KR880002665B1 - 기록매질의 기록특성을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질의 기록특성을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665B1
KR880002665B1 KR8204106A KR820004106A KR880002665B1 KR 880002665 B1 KR880002665 B1 KR 880002665B1 KR 8204106 A KR8204106 A KR 8204106A KR 820004106 A KR820004106 A KR 820004106A KR 880002665 B1 KR880002665 B1 KR 880002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test
test signal
signal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716A (ko
Inventor
에프론 에드워어드
올리버 맥퍼어슨 제이므즈
김영빈
Original Assignee
로놀드 제이 클라아크
디스커비젼 어소시에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놀드 제이 클라아크, 디스커비젼 어소시에이츠 filed Critical 로놀드 제이 클라아크
Publication of KR840001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716A/ko
Priority to KR101988000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651B1/ko
Priority to KR1019880008798A priority patent/KR880002666B1/ko
Priority to KR1019880008797A priority patent/KR880002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8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25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16Tes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16Testing
    • G11B20/182Testing using test patter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4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8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with computer assistan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6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or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ufacturing Of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Studio Device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Manufacturing Optical Record Carrier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매질의 기록특성을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제 1도는 통상의 중앙 제어 장치가 다수의 인터페이스 부시스템 및 이에 연결된 다수의 오디오/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과 함께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완전한 오디오/비디오 질(質) 통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제 2도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을 중앙 제어 장치 대신에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인터페이스 부시스템 겸용 제어장치에 연결시켜서 이것의 제어하에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도의 변형 블록 다이어그램.
제 3도는 다수의 인터페이스 부시스템 및 이에 연결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중의 하나와 중앙 제어장치와의 상호 작동 관계를 중심으로 제 1도의 오디오/비디오 질 통제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제 4도는 제 3도의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랩.
제 5도는 프로그램 물질의 도입부와 도출부의 위치, 오디오 트랙의 위치와 제어 및 큐우 트랙의 위치 등을 나타내는 비디오 테이프의 길이방향 설명도.
제 6도의 상반부는 비디오 테일프 혹은 비디오 디스크의 도입부와 도출부에서의 오디오 시험용 음조(音調)의 배치를 나타내는 공간적 설명도이며, 하반부는 그 상반부의 각 부분에 해당하는 신호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7도는 비디오 테이프 혹은 비디오 디스크의 도입부와 도출부에 배치시키기 위한 오디오 시험용 음조를 발생시키는 오디오 시험용 음조 발생장치의 논리를 나타내는 블로 다이어그램.
제 8도는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의 오디오 분석 논리부분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블록 다이어그램.
제 9도는 오디오 분선 놀리, 특히 이 논리의 오디오 제어 장치 부분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다이어그램.
제10도는 오디오 분석 논리, 특히 오디오/비디오 선택기, 6734 검파기, 그리고 시간 부호 선택기를 상세하기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제11도는 제 8도에 도시된 오디오 분석 논리의 다중 프로그램장치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제12도는 제 8도에 도시된 논리 다이어그램에 따라서 오디오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도표.
제13도는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의 작동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14도는 색조 버어스트 신호의 직후에 나타나는 수평귀선소 거펄스의 후방 포오치의 파형에 있어서의 이론적으로 평평한 부분을 나타내는 파형도.
제15도는 비디오 디스크 상에 잡음 특성이 측정 될 지점의 분포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16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수평 귀선소거 펄스이 후방 포오치에서의 잡음량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17도는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에 연결된 비디오분석 논리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블록 다이어그램.
제18도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블록 다이어그램.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평가가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전반적인 공정상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평가가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전반적인 공정상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2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 평가가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전반적인 공정상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시그내춰 평가가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전반적인 공정상의 블록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제어장치 2 : 오디오/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
3 : 인터페이스 부시스템 4 : 시험중인 장치
5 :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 7 :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
19 : 데이타 평가부시스템 21 : 오디오 제어장치
23 : 다중 프로그램장치 25 : 오디오 분석기
27 : 도입부/도출부 스펙트럼 분석기 43 : 활동 프로그램 스펙트럼 분석기
53 : 오디오/비디오 선택기 62 :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
91 : 비교기
본 발명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정보를 함유하거나 혹은 이 정보를 통과시키는 장치에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기록 특성의 질(質)을 평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록 매질상에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정보를 기록할때 그 기록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록매질 그 자체의 평가, 혹은 하나의 기록매질상에 함유된 정보를 그와 유사한 기록 매질 또는 다른 기록 매질로 전달할 때 질의 평가, 혹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정보가 통과하는 증폭기 및 기타의 신호처리 장치 등과 같은 전자식 처리의 장치의 평가등에 매우 유효하다.
각종의 전자식 정보 취급장치에서 여러가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시험을 행하는 기술에 대하여서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미사용의 자기 테이프와 같은 기록 매질상에서 특정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실험을 행하여 테이프의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테이프의 품질 및 등급을 결정하는 일, 즉 생산과정에서 테이프의 품질에 따라 등급을 분류하는 기술에 대하여서도 테이프의 품질에 따라 등급을 분류하는 기술에 대하여 서도 역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생산과정 중에서 미사용의 공테이프에 대하여 샘플 시험을 행하는 것은 단지 기록매질의 자기 특성만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며, 이 시험은 또한 이상적인 기록 및 재생조건하에서 행하여져서 기록 매질 그 자체의 성질만을 나타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시험은 기록매질 그 자체만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미 기록이 완료된 매질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혹은 이것을 다른 매질에 복제시킨후에 그 평가 결과를 상호 비교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서는 아직 알려진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 매질의 기록특성을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다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측정이 시험중인 장치상에서 전자식으로 수행되어 이 장치의 허용한계의 이탈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제조 과정에서 이 장치의 합격 또는 불합격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장치등급의 시험에 있어서의 주관적인 평가가 배제되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치 평가방법 및 수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지된 내용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입력신호의 선택된 부분에서 선택된 변수들을 측정하고, 이 입력신호를 시험중인 장치로 보내준 다음, 시험중인 장치로 부터의 출력신호에서 상기 입력 신호의 선택부분과 동일 부분에서의 동일 변수들을 측정하고, 그 후 이들 입력신호의 선택된 변수와 출력 신호의 해당 변수를 서로 비교함으로써"장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내의"장치 평가"에서 사용된"장치"라는 용어는 테이프, 디스크, 오디오 레코오드, 전자식 저장장치, 그리고 간단한직접회로나 프린트 회로판으로 부터 대규모의 증폭기들 혹은 기타의 복잡한 정보 취급장치에 이르는 각종의 전자회로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본 발명은 특히 비디오 디스크의 평가에 유용하기 때문에, 본 명세서 전반에 걸져"장치평가"라고 하는 특별한 형태의 용어가 사용될 것이며, 따라서"디스크 평가"라고 하는 용어는 기록 매질(일반적으로)의 분석에 대하여 비디오 디스크로 부터 회수된 정보의 분석으로 언급할 것이며, 여기서 디스크상에 기록된 기록매질의 정보는 복사된것이다. 그러므로, "디스크 평가"가 복재 디스크로 부터 회수된 정보를 언급하는 것임에 반해, "테이프 평가"는 원테이프의 내용을 평가하는 것으로 사용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시그내춰"라고 하는 용어를 사용한다. 종래에는 이 "시그내취"라고 하는 용어가 시험될 장치에 비교한 일련의 변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어왔다.
본 명세서에서의"시그내춰"라는 용어는, 이"시그내춰"가 시험중인 장치의 비교가능한 측정치들이 포함된 각각의 범위를 갖는 다수의 시험용 변수로 이루어지는 한, 시험중인 장치의 동일성의 정도 혹은"특징"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시그내춰"는 모든 다른 장치들에 비교한 이론적이 아닌 실제적인 모델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에는 중앙 제어장치(1) 및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과, 각각이 오디오/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2)과, 이 오디오/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2)에 연결된 시험중인 장치(4)로 구성되는 다수의 단자를 가진 완전한 오디오/비디오 질 통제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중앙 제어장치(1)의 주변에는 기억장치(13), 키보드(70),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19) 및 데이타 독취장치(64)가 연결되어 있다.
제 1도에는 하나의 중앙 제어장치(1)에 다수의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이 연결되어 있으나, 제 2도에서는 그러한'중앙화'장치의 대안으로 각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 내에 덜 정교하지만 각자의 제어장치가 포함되어 있고, 또한 각자의 기억장치(13), 키보드(70)및 데이타 독취장치(64)가 있다. 또한 제 2도에는 인터페이스 부시스템, 시험용 부시스템 및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등의 여러 장치들 사이의 연결형태가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 3도는 제 1도의 배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서, 하나의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5),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7) 및 시험중인 장치(4)에 연결된 중앙제어장치(1) 및 그 주변 장치들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지금까지 시험중인 장치(4)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테이프나 디스크로 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는 프레이형 장치로서 엄격히 취급되어 왔다. 그러나, 본 명세서내의"시험중인장치"라는 용어는 제 3도의 시험중인 장치(4)블로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레코오더/플레이어(11), 디스크 플레이어(9),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등으로 구성되는 보다 복잡한 배열을 지닌다. 디스크 플레이어(9)는 도선(147), (151)을 각각 통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로 내보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테이프 레코오더/플레이어(11)는 도선(149)을 통하여 비디오 신호를 그리고 도선(153)을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각각 내보낸다. 이 후에 설명된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용 도선(151) (153)은 스테레오포닉 또는 2채널 신호를 위한 2개의 오디오 신호용 도선을 가지고 있다.
작동제어, 즉 정치, 동작, 후진, 급속전진, 재권취등은 케이블(133), [제 3도에서는 간략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하나의 도선으로 표시하였음]을 통하여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에 있는 작동제어 장치(117)에 의해 수행된다. 이 작동 제어장치는 또한 디스크 플레이어(9)나 테이프 레코오더/플레이어(11)로 부터 하나의 오디오 채널, 혹은 2개 모두의 오디오 채널, 그리고 하나의 비디오 채널 혹은 2개 모두의 비디오 채널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이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는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로 부터 도선(58), (118)을 통해 각각 출력된다.
테이프 위치신호는 테이프 플레이어(11)의 데이타 채널 출력선을 통해 출력되며, 오디오 시험용 음조(音調)는 테이프 레코오더(11)에 의해 테이프에 가해지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이후에 도면을 참조하며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3도 및 제 4도를 참조하여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테이프 원본이 입수되면 이를 복제하는데, 이와같이 복제된 것은 사본이라고 부르거나 혹은 디스크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준비테이프라고 부른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첫번째 처리 단계는 원본 테이프로 부터의 프로그램을 사본용, 즉 준비용 테이프에 옮겨주는 공정이다. 이와같이 프로그램의 비디오 부분은 준비용 테이프로 전달함과 동시에, 적절한 비디오 시험용 신호는 NTSC포맷 비디오 신호의 수직간격의 수평주사선들(19,20)상에 삽입된다. 예정된 타이밍을 가진 일련의 오디오 시험용 신호들을 준비용 테이프의 도입부 및 도출부상에서 소정 위치에 기록시킨다. 이들 신호는 테이프 및 이 테이프로 부터 제작될 디스크에 기록되는 신호의 오디오 질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입부 및 도출부에서의 오디오 시험에 대하여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3도 및 제 4도에 있어서, 테이프 플레이어(11)로부터의 데이타 채널신호는 도선(3a)를 통해 출력되어 시간 부호 선택장치(51)로 전달되는데, 이시간 부호 선택장치(51)에는 키보드(70)에 의해 설정되어 중앙 제어 장치(1)를 통해서 시간부호 레지스터(116)로 부터 전달된 시간부호 신호가 또 하나의 입력으로서 입력된다. 작동자는 테이프 레코오더(11)상에 테이프를 재권취시켜서 시험용 음조를 위한 출발위치의 상류에 위치시키고, 도선(133)을 통해 작동 제어 장치(117)를 동작시켜서 테이프 레코오더를 기록 모우드로 설정한다. 데이타 채널선(34)상의 시간부호 신호가 시간 부호 레지스터(116)로 부터의 시간 부호신호와 일치되었을때, 시간부호 선택장치(51)는 출력 비교신호를 오디오 제어장치(21)로 내보내며, 이 오디오 제어장치(21)는 도선(30)을 통하여 시험용 음조 발생기(49)를 시동시켜서 시험용 음조를 테이드 레코오더(11)의 채널2 및 2에 모두 가하도록 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시험용 음조가 테이프의 도입부에 가하여진 후, 작동자는 테이프를 고속으로 권취하여서 활동 프로그램의 끝부분에 해당하는 점까지 위치시키고, 테이프의 돌출부내에서 상기 프로그램 단부로부터 최소한 150프레임 떨어진 지점, 즉 두번째 의 시험용 음조를 발생시킬 지점에 맞춘다. 중앙 제어장치(1)의 제어하에서 테이프가 활동 프로그램의 끝을 지나기전에 작동자에 의해 정상 속도로 복귀된다면, 이 프로그램 단부로 부터 최소한 150프레임 떨어진 곳에서 시간부호 선택기(51)에 의해 다시한번 일치됨을 알라내고 테이프 레코오더가 기록 모우드로 전환되고, 시험용 음조 발생기(49)는 오디오 제어장치(21)에 의해 작동되어서 테이프 레코오더(11)에 의해 기록 되는 테이프의 채널 2 및 2에 시험용 음조를 가한다.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시험용 음조를 고립 프로그램 부분들 사이, 그리고 도입부 및 도출부내에 삽입함이 시도되어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기록 매질의 정보 전달특성을 특징화시키는 방법은 기록매질상에 공지된 내용의 하나이상의 시험용 신호를 기록함과 동시에 이 신호에 대해 첫번째 측정을 시행하고, 그후 기록 매질의 기록 내용을 재생시켜서 기록되어 있는 시험용 신호에 대해 두번째 측정을 시행하는 것이다. 종래의 방법에서와 같이 단지 기록 매질의 측정특성(예컨대 비디오 테이프의 자기 특성)만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신호 전달의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로서의"시그내춰"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첫번째 측정결과로부터의 편차 범위는 전술한 두번째 측정에 대한 규정된 허용한계로 설정되고, 첫뻔째 측정의 결과를 두번째 측정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두번째 측정결과가 첫번째 측정결과로부터의 상기 허용 한게내에 위치하는 가의 여부를 결정한다.
처리장치(예컨대 증폭기, 인쇄 회로판, 마이크로 일렉트로닉 칩 등)를 검사할 때, 즉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공지된 내용의 입력신호를 발생시켜서 이 입력 신호의 선택 부분에서의 선택변수들을 측정하고, 이 입력신호를 신호 처리장치로 보내어주고, 이 신호 처리장치로부터 나오는 출력신호에 대해 상기 입력신호에서와 동일한 선택부분에서 상기의 변수들을 측정한 후, 입력신호의 선택변수들을 이들 출력신호의 해당 변수들과 비교함으로써 신호처리장치의 신호 전달특성을 분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출력 신호의 변수 측정에 있어서의 허용한계도 역시 입력신호의 선택부분의 대응 변수 측정치로 부터의 편차범위에 의해 유도된다.
이후에 기술될 신호 처리장치의 신호 전달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은 상기 방법을 약간 변형시킨 것으로서, 정보 저장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시험중인 장치로 부터 신속하게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차후의 정보 분석에 제공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실제로, 이 후자의 방법은 공지된 내용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입력 신호의 선택부분에서 선택변수들을 측정하고 이 입력신호의 측정 결과를 저장하여서 이것을 이 입력 신호의 선택 부분에서의 선택 변수들로 이루어지는 입력 신호 저장 시그내춰로 하고, 상기 입력신호를 신호처리장치로 보내주고, 이 신호 처리장치로부터 나오는 출력신호에서 상기 입력신호의 선택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에서의 변수들을 측정하고, 그후, 이 출력신호의 변수와 해당입력 시그내춰 변수를 서로 배교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후에 출력신호의 측정결과를 실제 평가하려고 할때에는 상기 분석 방법에 평가단계를 보충하여주면 된다. 즉, 출력신호 측정결과를 저장된 선택입력 시그내춰 변수들과 비교하기에 앞서 이 출력신호의 측정결과를 저장함으로써 이것을 이 출력신호의 선택부분에서의 선택변수들로 이루어지는 출력신호 저장 시그내춰로 하며, 그 다음 비교단계는 저장된 출력신호 시그내춰를 저장된 입력신호 시그내춰와 비교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제 3도 및 제 4도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이와같은 특징을 더욱 설명하기로 한다.
6734 초기 음조를 기록하여 단지 하나의 채널(예컨대 2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중에서 채널 2)로부터만 회수한다. 이 초기 음조는 오디오 시험용 음조열(列)의 시작을 확인시키며,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로부터 나옹 도선(58)(제 3도)혹은 도선(58-2)(제 4도)상의 오디오 신호는 6734 검파기(41)로 보내어진다. 6734 검파기(41)로 부터의 출력은 도선(82)을 통하여 오디오 제어장치(21)로 보내어지며, 이 오디오 제어장치(21)는 내부처리 제어하에서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5)의 나머지 장치에 모든 타이밍 기능을 부여한다.
오디오 제어장치(21)는 작동자에 의해 6734 음조 버어스트를 시스템이 인식하기 위한 준비과정에서 오디오 부시스템내부에 프로그램을 부과하고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을 작동시키라는 요청을 오디오 부시스템에 보냄으로써 키보드(70), 중앙 제어장치(1) 및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에 의해 작동된다.
오디오 시험용 신호가 발생되어 테이프에 가해진면, 테이프 작동자는 SMPTE 시작부호를 가하여서 활동 프로그램의 시작이 시간 및 분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테이프 작동자에 의해 가해진 SMKPTE 종료부호는 활동 프로그램의 종료를 시간 및 분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테이프 혹은 디스크 평가를 수행하라는 명령을 작동자가 발하면, 중앙 제어장치(1)는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을 통하여"가능"신호를 도선(18)으로 내보냄으로써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탬(5)내의 오디오 제어장치(21)를 작동가능하게 한다.
그 다음 중앙 제어장치는 테이프 혹은 디스크를 재권취하여서 처음부터 작동시키라는 지시를 작동자에게 발한다. 중앙 제어장치는 SMPTE 시작부호보다 25초가 작은 신호를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에 가하여 이것을 시간 부호 레지스터(116)에 부과시킨다. 상기에서 시험용 음조열 준비용 테이프레 위치시키에 대하여 설명하였던 것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시간부호 선택기(51)는 테이프 혹은 디스크의 도입부가 독취되고 있다는 경보를 도선(76)을 통하여 오디오 제어장치(21)에 보낸다. 이리하여 오디오 제어장치(21)가 작동가능하게 되면, 6734 음조 버어스트를 검파하여 오디어 제어장치(21)를 시동시킴으로써 도선(30)을 통하여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의 각종 분석기능을 위한 타이밍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선(30)을 통해 나오는 출력 제어 신호중의 하나는 제어 및 트리거 신호로서 다중 프로그램장치(23)에 가하여 진다. 다중 프로그램 장치(23)가 이 제어 및 트리거 신호를 받으면, 이 다중 프로그램장치(23)는 도선(58)상의 세그먼트화되어 있는 오디오 시험용 음조를 디지탈화하고 이와 같이 디지탈화된 시험용 음조를 기억장치내에 저장하며, 오디오 제어장치(21)의 제어하에서 오디오 시험용 음조의 선택 시그먼트를 연속적인 아날로그 표시로 변환시켜서 이것을 도선(46)을 통해 오디오 신호 분석기(25)로 보내어 일반적인 분석을 수행시키며, 또한 도입부/도출부 스팩트럼 분석기(27)로도 보내어 시험용 음조의 도입부 및 도출부에 대한 스팩트럼 분석을 수행시킨다.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로 부터 도선(58)을 통해 오는 오디오 신호는 활동 프로그램 스펙트럼 분석기(43) 및 모노/비(非)모노 신호 검사기(62)로 향하며, 전자의 활동 프로그램 스펙트럼 분석기(43)는 활동 프로그램 물질의 선택 부분에서의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하고, 후자의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62)는 2개의 오디오 채널로 부터의 2개 오디오 신호가 서로 같은지 다른지를 결정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오디오 부분이 모노포닉인지 비모노포닉인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모노포닉, 스테레오포닉, 혹은 상호완전히 분리된 오디오 트랙의 형태를 갖는 2개 채널상의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기에 적합하므로, "스테레오"라는 용어는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62)의 작동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내의 각 신호 분석블럭으로 부터의 출력은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19)으로 보내어지며, 이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19)은 중앙 제어장치(1)를 통한 작동자의 지시에 의하여 오디오 분석의 결과를 통상의 결과와 비교하며(즉, 시그내춰 비교를 수행하며), 이 평가결과를 인쇄기(15) 혹은 시각적 표시장치(17)에 출력한다.
제 3도를 참조하면,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로 부터 도선(118)을 통해 오는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7)으로 향하며, 이 비디오 신호는 A/D변환기(123)에 의해 아날로그형으로 부터 디지탈형으로 변환되고, 이와 같이 변환된 디지탈 신호는 디지탈 기억 장치(124)에 의해 저장되어서 비디오 처리장치(125)의 출력은 회복된 비디오 신호의 비디오 "시그내춰"로서 도선(126)을 통하여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19)으로 보내지며, 이와같이 얻어진 출력 "시그내춰"는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19)내에 저장되어 있던 시그내춰와 비교된 후, 이들 비교의 결과는 인쇄기(15)상에서 인쇄되거나 혹은 표시장치(17)에서 표시된다.
시간 부호 선택기(51)로 부터의 도선(76)을 통한 프로그램 시작 및 종료 신호와 도선(78)을 통한 평가시작신호는 오디오 제어장치(21)를 작동가능하게 하여 이를 시동시키고, 도선(118)을 통하여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로 부터 받아들인 비디오 신호의 수직 간격으로 부터 프레임 시간부호를 디코딩한 결과로서 활동 오디오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도록 한다.
설명의 목적으로,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를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던 용어와 일치시키기 위하여 제 5도를 참조하면, 제 5도에는 도입부, 도출부, 그리고 이들 사이의 프로그램 물질부분을 갖는 비디오 테이프가 그 길이방향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테이프가 제 5도의 오른쪽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하며, 테이프(55)의 시작 단부에는 도입부(57), 이 도입부(57)상의 시험용 음조부분(59) 및 도입부에 대한 보호부(65)가 있으며, 그후에 프로그램물질부분(67)이 이어진다. 도입부상의 시험용 음조분(59)은 2개트랙의 오디오 시험용 음조로, 즉 제 1트랙(61) 및 제 2트랙(63)으로 구성된다. 이와 대칭적으로, 프로그램 물질부분(67)의 이훠에는 도출부 보호 부분(65')이 있고, 또 그 이후에는 제 1오디오 트랙(61')및 제 2오디오 트랙(63')으로 구성되는 시험용 음조부분(59'),그리고 테이프 말단부에 이어지는 도출부(57')가 있다.
점선(66)은 제어트랙으로서, 시간부호 프레임수, 편집데이타, 추가 오디오 신호 등을 포함하는 각종의 신호를 녹음시키기 위한 큐우트랙(68) 및 재생시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을 동기시키는데 사용되는 제어트랙을 도시한 것이다.
제 6도를 참조하면, 오디오 신호의 질을 판정하기 위한 통상의 측정들을 행하기 위하여, 적절한 시험용 신호의 세그먼트화된 신호열이 준비용 테이프의 도입부 및 도출부에 모두 기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시험용 음조를 테이프의 2개 오디오 채널에 모두 기록하고, 제 6도의 수직점선으로 표시된바와 같은 2개 오디오 채널의 대응부분에 12개의 수직 프레임 시간을 점유시킨다. 채널 2에서 12개 프레임 동안 진행되는 시험용 음조는 6734시험용 음조 위치 신호이다.
제 6도의 상반부는 2개 오디오 채널(61), (63)을 도시한 것으로 각 오디오 채널에서 각각의 프레임 시간동안 함유된 형태의 신호를 문자로 표시한 것이다. 제 6도의 하반부는 그 상반부에 나타난 신호들의 대략적인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오디오 시험용 음조열의 제 1세그먼트 내용을 분석하였을때, 위상, 진폭, 신호 대 잡음비(SN 비) 및 고조파 왜곡에 대한 측정이 취해진다. 세그먼트2 및 3에 있어서는 2개 채널중 한쪽에는 1KHz 의 신호가 그리고 다른쪽에는 이와 동시에 DC신호(즉, 신호가 없음)가 나타나기 때문에, 세그먼트 2 및 3에서는 상호간의 누화측정이 취해진다.
세그먼트 4 및 7에서는 각 채널이 모두 DC레벨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시간구간에서는 잡은 레벨 측정 취해진다.
세그먼트 5 및 6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60Hz음조와 7KHz음조의 총합 형태가 나타나며, 적절한 시험장치에서 분석을 행하면 기록 및 재생과정을 통한 혼변조왜곡을 알아낼 수 있다.
그리고, 세그먼트 8 내지 12에는 넓은 범위의 주파수(즉, 20Hz-20KHz)에 걸쳐 연속적으로 스위프하는 오디오 음조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부분에서 회수된 시험용 음조를 분석하면 전달특성의 주파수 응답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기록/재생 처리에 연관된 전자장치에 대한 영향은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한다.
제 7도에는 오디오 시험용 음조를 발생하는 대략적인 다이어그램이 나타나 있다. 시험용 음조 발생기(49)에는 6734 발생기(73), 1KHz 음조 발생기(75), 60Hz음조발생기, 7KHz 음조 발생기, 스위프 발생기(81) 및 DC 전원(83)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기능 발생기를 가지고 있다.
시험용 음조의 기록과정에 있어서, 키보드 작동자의 명령에 따라서 가능신호가 도선(18)을 통하여 오디오 제어장치(21)로 보내진다. 테이프는 재권취되어 동작 상태로 돌입하며, 이에 의해 중앙 제어장치(1)로 부터 전달된 SMPTE 보호는 도입부 위치 레지스터(87)에 전해져서 도선(86)을 통해 비교기(91)로 보내진다. 테이프가 동작 상태로 진행함에 따라 위치 탐지기(85)는 데이타 채널 테이프레코어더(11)로 부터의 SMPTE 시간부호를 독취하여서 이와같이 탐지된 위치 정보를 도선(84)을 통하여 역시 비교기(91)로 보낸다. 오디오 제어장치(21)가 작동가능하게 된 후, 이 오디오 제어 장치(21)가 작동가능하게 된 후, 이 오디오 제어장치(21)는 위치탐지기(85)에 의해 탐지된 현재의 위치와 도입부 시험용 음조 신호가 가하여질 소정의 위치[도입부 위치 레지스터(87)로 부터 얻은 위치 정보]의 사이에 대응 여부에 관한 탐지결과를 문의한다. 비교결과가 나타날경우에는, 도선(28)을 통한 비교기(91)의 출력은 뒤이어 오디오 제어장치(21)의 제어하에서 멀티플렉서의 작동을 개시시킨다. 기본적으로, 오디오 제어장치(21)는 멜티플렉서(71)에 신호를 공급하는 하나 혹은 2개의 기능 발생기를 도선(72)을 통해 선택적으로, 그리고 비디오 수직 반복율로써 작동가능하게한다. 그다음, 벌티플렉서(71)는 선택된 기능 발생기들의 출력을 가산하며, 제 6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소기의 조합을 출력하여 도선(76), (78)을 통하여 테이프 레코오더(11)의 입력 채널 1 및 2로 보내어진다.
비교 신호가 도선(28)상에 탐지됨과 동시에, 오디오 제어장치(21)는 도선(80)을 통하여 기록 가능신호를 데이프 레코오더(11)로 출력하며, 따라서 레코오더는 동작 상태로 부터 기록 상태로 변화되고, 이에 의해 각각의 오디오 채널상에는 제 6도에 도시된 형태와 같은 오디오 시험용 음조가 위치하게 된다.
테이프 레코오더(11)의 전진, 후진, 동작, 정지 작동에 대한 제어는 케이블(133)내의 도선을 통한 오디오 제어장치(21)의 제어하에서 이루어진다. 제 7도에는 작동자의 키보드명령을 오디오 제어 장치에 전달하여 테이프 레코오더(11)의 각종 동작 기능을 나타내게 하는 중앙제어장치(1),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 및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5) 사이의 연관 관계가 나타나 있지 않으나, 이들은 공지된 바와 같은 각종 형태의 제어 연결방식이 가능하다.
제 8도에는 오디오 분석 논리의 일반적인 블로 다이어그램이 나타나있다. 제 3도와 함께 설명한 바와같은 방법으로, 디스크 플레이어(9)및 테이프 레코오더/플레이어(11)는 모두 오디오 선택기(53)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의 오디오 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디스크 플레이여(9)의 2개 오디오 출력은 도선(32)을 통하고, 테이프 플레이어(11)로부터의 2개 채널신호는 도선(16)을 통한다. 오디오 선택기(53)로부터의 오디오 채널 1 신호 및 2신호는 도선(58-1)(채널 1) 및 도선(58-2)(채널 2)을 통한다. 이때, 제 6도의 파형과 일치하는 오디오 채널 2신호만이 6734검파기(41)로 보내진다. 도선(58-1) 상의 오디오 신호는 A/D 변환기(37)로 보내져서 디지탈화된 후, 도선(36)을 통해 디지탈화 시험용 음조 기억장치(33)로 보내져서 이곳에 저장된다. 오디오 제어장치(21)의 제어하에서, 도선(30)상의 제어 및 트리거신호는 재순환 제어 및 클럭기(99-1)를 작동시켜서 디지탈화 시험용 음조 기억장치(33)내의 선택된 시험용 음조 세그먼트를 재순환시키며, 이와같이 선택된 시험용 음조 세그먼트를 도선(38)을 통해 연속적 방식으로 D/A 변환기(39)로 내보낸다. 그후, 앞서 간단히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 선택된 시험용 음조는 연속적인 형태로 되어 도선(46)을 통해 오디오 신호 분석기(25) 및 도입부/도출부 스펙트럼 분석기(27)로 향한다. 이들 분석기(25)(27)의 출력은 도선(48)(50)을 통하여 오디오 분석 기억장치(47)로 보내진다. 이 오디오 분석 기억장치(47)내의 기억기(45)는, 오디오 제어장치(21)의 제어하에서 도선(30)을 통해 예정된 타이밍 방식으로 멀티플렉서(42)의 출력을 받아들이는 기억 기록 게이트(44)에 의해, 정보를 기록된 형태로 함유한다. 따라서, 멀티플렉서(42)에 대한 모든 입력은 일련으로 작동하여 기억기(45)에 저장된 후에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에 의해 평가된다.
분석될 오디오 시험용 음조를 회수하기 위한 도입부 및 도출부내에서의 적절한 위치분석은, 도입부 및 도출부에서의 적절한 프레임수가 탐지되었을 때 비교기(91)로부터의 신호를 도선(28)상에 내보냄으로써 제어된다.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이 테이프를 분석하던지 혹은 디스크를 분석하던지 간에, 위치 탐지기(85)는 도선(34a) 및 도선(118)을 각각 통해 현재 위치에 관한 데이타를 받아들인다. 비교기(95), (91)는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즉, 테이프 혹은 디스크의 소기의 위치를 위치 레지스터에 저장시켜 놓고, 오디오 제어장치(21)의 일치점에서 오디오 제어장치(21)를 작동가능하게 하는 현재 위치 데이타와 상기 레지스터내의 내용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들 비교기(91)(95)는 오디오 분석을 수행함에 있어서, 약간 상이한 기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제 8도에는 이들 비교기(91)(95)를 별도로 도시하였다.
즉, 비교기(95)는 활동 프로그램 불질의 비디오 정보내에 포함된 시간부호의 비교를 실시함으로써 활동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시험이 수행될 프로그램 물질 내용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점, 프로그램 종료점 및 각종의 지점을 확인한다. 그 반면에, 테이프 혹은 디스크의 도입부 및 도출부내에는 비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교기(91)는 테이프 및 디스크 플레이어 데이타 채널 송신 혹은 오디오 송신 신호로 부터의 SMPTE 시간부호 탐지에 의존하여야만 한다.
도입부 분석이 완료된후,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은 활동 프로그램이 작동하는 동안에 소정 시간 간격을 갖고 활동 오디오 프로그램 물질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다. 이때 비교기(95)는 비디오 신호의 수직 간격으로 부터 현재위치 데이타를 받으며, 위치 레지스터(109)는 현재위치와의 일치가 이루어졌을 경우에 프로그램 시작신호를 오디오 제어장치(21)로 내보내서 오디오 제어장치가 차후의 활동 프로그램 분석제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오디오 신호의 분석이 행하여질 활동 프로그램내의 첫번째 소정위치에서, 평가시작위치 레지스터(111)는 위치정보를 위치 탐지기(85)로부터의 현재 위치와 일치시키며, 비교기(95)는 도선(78)을 통한 평가 시작신호를 오디오 제어장치(21)로 내보낸다. 이때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의 2개의 추가적 오디오 분석기능의 제어는 오디오 제어장치(21)의 제어하에서 제어 도선(30)(제 8도)을 통해 시작된다.
오디오 선택기(53)로부터 나오는 재생장치의 2개 채널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활동 프로그램 2 채널 스펙트럼 분석기(43)로 도입된다. 활동 프로그램 분석기(43)에는 2개의 분석기 어레이가 있는데, 즉 오디오 채널 1개씩에 대하여 1개의 어레이기 있다. 활동 프로그램 물질내에서 분석될 오디오 신호는 연속적인 것이르모, 테이프 혹은 디스크의 도입부 및 도출부에서의 짧은 세그먼트 지속시간을 갖는 시험용 음조에서화 같이 다중 프로그램장치(23)내에서 이들 오디오 세그먼트를 디지탈화하거나 재순환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활동 프로그램 스펙트럼 분석기(43)로 도입되는 오디오 신호는 재생장치로부터 곧 바로 선택된 오디오 신호이다. 활동 프로그램 스펙트럼 분석기(43)의 어레이 1(113) 및 어레이 2(115)는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즉, 각각의 오디오 채널로부터의 45초 오디오 파형이 얻어져서, 각 채널에 대해 128개의 개별적인 주파수점을 갖는 2개의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변형된다. 주파수 간격은 200Hz의 주파수 증분을 가지며, 각 점에서 분석된 값은 데시빌(dB)로 표시된다. 각 샘플에서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독특한 오디오 "인쇄"를 나타내며, 각 채널에서의 128개 지점은 도선(56)(60)에 각각 포함된 값을 갖고, 이들 값은 멀티플렉서(42)내에서 다른 분석기의 신호와 멀티플렉싱되어서 최종적으로 기억기(45)내에 저장된다.
"서그내춰"의 다른 부분, 즉 멀티플렉서(42)에 대한 다른 입력은 프로그램의 오디오 부분이 모노포닉인가 혹음 비(非) 모노포닉인가를 나타내는 도선(54)상의 신호이다. 이 신호는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62)내에서 발생된다. 채널 1 및 채널 2의 오디오 신호는 도선(58-1)(58-2)을 각각 통하여 모노/비노모노 신호 겸사기(62)에 의해 수신되며, 이들 2개의 신호는 진폭 비교기(105)내에서 상호 비교된다. 모노/비모노 시험은 테이프 혹은 디스크를 활동 프로그램 전체에 걸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시행된다. 각 시험은 65,536개의 측정으로 구성되며, 각 측정은 1밀리초의 간격을 두고 행하여 진다.
블럭(62)은 모노/비모노 검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62)내에서는 2개 오디오 채널신호의 진폭이 진폭 비교기(105)에 의해 연속적으로 비교된 후에 그 차이가 도선(84)으로 보내진다. 만약 진폭이 상호 5% 이내의 차이밖에 없다면 한계치 탐지기(107)는 도선(84)상의 신호에 대해 반응하지 않으므로 도선(86)상에는 출력이 나타나지 않고, 1KHz 클럭기(103)의 클럭신호가 도선(88)을 통하여 모노/비모노 계수기(101)에 가하여진다. 도선(86)상에 입력이 없으면, 즉 양측 오디오 채널상의 오디오 신호 진폭이 상호 5% 이내의 차이에 있다면, 모노/비모노 계수기(101)는 1계수만큼 증가하게 된다. 1KHz의 클럭기(103)의 클럭신호의 펄스 반복 주파수에 의해 정해지는 시간인 1밀리초 후에, 상기 진폭이 역시 5% 이내의 차이에 있다면 모노/비모노 계수기(101)는 또 다시 1계수만큼 증가한다. 이러한 과정은 2개 오디오 채널신호의 진폭 측정치의 차이가 5% 이상이 될때까지 계속되며, 5% 이상이 될때에는 한계치 탐지기(107)가 도선(86)상에 단위 파형을 내보냄으로써 모노/비모노 계수기(101)가 1계수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65,536개의 클록 펄스까지 모노/비모노 계수기(101)의 계수증가 혹은 계수 비증가가 완료된 후에, 축적된 계수는 도선(54)을 통해 멀티플렉서(42)로 보내지며, 기억 기록 게이트(44)에 의해 기억기(45)에 저장되어서 시험된 장치를 위한 "시그내춰"의 일부로 된다.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에 의한 분석을 인쇄함에 있어서, 도선(54)상의 계수가 많을수록(즉, 계수 누계가 65,536에 근접할수록)2개 오디오 채널상의 오디오 신호가 동일하다(즉, 오디오 프로그램이 모노포닉이다)라고 할 수 있음은 분명하다.
모노/비모노 검사기(62)의 변형이 1KHz 클록기(103)로부터 진폭 비교기(105)로 향하는 점선(88b)으로 도시되어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 채널(58-1)(58-2)상에 있는 오디오 신호의 진폭이 연속적으로 비교되는 것이 아니라 1KHz 클록기의 게이팅 작동하에서, 즉 1밀리초마다 비교된다. 이때 진폭 비교기(105)는 2개 오디오 입력선(58-1)(58-2)의 신호의 진폭이 상호 5% 이내의 차이에 있을 경우에 출력펄스가 도선(84)을 통해 한계치 탐지기(107)로 내보내지도록 배치된다. 한계치 탐지기(107)의 출력은 2개 오디오 채널 신호의 진폭 차이가 5% 이내이면 단위 출력이고, 상기 차이가 5% 이상이면 직류의 출력이다. 진폭 비교기(105)는 1KHz의 주파수로 클럭되기 때문에 한계치 탐지기(107)로부터의 최대 주파수 단위 신호도 역시 1KHz이며, 스테레오포닉 또는 비모노포닉 프로그램이 존재할때 모노/비모노 계수기(101)의 증가가 작다. 또한, 비교기(105)에 의해 65,536번의 진폭비교가 이루어졌다면, 이 실시예에 의한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는 단지 2개 오디오 채널신호부터의 샘플의 진폭이 상호 5%의 허용한계내에 있었던 횟수만을 나타냄으로써, 2개 채널상의 신호들이 그 정보내용에 있어서 서로 유사한 것인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제 9도는 오디오 제어장치(21)에 대한 상세한 다이어그램으로서, 이 오디오 제어장치(21)가 기본적으로 처리장치(29) 및 ROM(31)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ROM (31)은 예컨대 테이프 카셋트, 마이크로칩내의 경선기억 혹은 연소기억 등과 같은 각종 형태의 기억을 모두 취할 수 있다. 기억장치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오디오 제어장치의 제어기능을 중앙 제어장치(1) 및(또는) 인터페이스 부시스템과 도선(18)에 의해 상술한 방식으로 작동가능하도록 설정시키려는 것이며, 처리장치(29)는 자신이 받아들인 신호에 따라 ROM을 동작시켜서 이 ROM(31)이 처리장치(29)로 하여금 도선(30)(실제로는 다수의 신호 도선들)을 통해 제어논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10도에는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와 시간부호 선택기(51)에 연결되어 있는 신호 경로가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있다.
본 명세서내에 6734음조 혹은 부호 신호라고 기술되어있는 도입부 및 도출부 확인신호는 간단한 시스템내에서의 테이프 혹은 디스크의 도입부 및 도출부의 시험용 음조열(列)을 진행시키는 1화상 프레임 시간동안 지속되는 6734Hz 등의 비정규 주파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더욱 양호한 확인 신호로서는 예컨대 6,7,3,4와 같은 숫자열로 된 부호의 형태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호는 6734의 수열로 된 자기클록킹(self-clocking)의 디지탈 부호로서, 모든 실용적인 목적상 테이프 혹은 디스크로부터 무작위하게 회수된 기타의 모든 신호가 이 확인신호내에 나타날 수 없게 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부호화된 숫자들은 2개 구형파 공급원 음조 사이에서 상호 스위칭됨으로써 2진수의 형태로 표시되는데, 즉 1 및 0의 2진 상태에 따라서 각각 1KHz의 음조 및 2.5KHz의 음조로 나타난다. 6734검파기(41)에 의해 검파가 이루어지면, 1KHz 음조에 의한 전이는 논리 1로 해석되며, 반면 2.5KHz 음조에 의한 전이는 논리 0로 해석된다. 6,7,3,4를 2진표시로 구성한 1 및 0의 적절한 조합을 검파하면, 6734검파기(41)는 "일치" 신호를 내보냄으로써 도입부 및 도출부 시험용 신호열이 뒤따르게 됨을 통보한다.
이상에서는 오디오 프로그램 물질을 처리, 분석 및 평가함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활동 오디오가 분석된 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서는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내에서 비디오 신호를 이용하며, 이러한 정보는 비디오 신호의 수직 간격내의 프레임 수 부호로부터 얻는다. 따라서, 디스크 플레이어로부터의 도선(147)상의 비디오 신호 및 테이프 플레이어로부터의 도선(149)상의 비디오 신호는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로 향하며, 이때 디스크 혹은 테이프중의 어떤 프로그램이 분석될 것인가에 따라서, 도선(118)상의 비디오 출력신호는 시간 부호 선택기(51)로 향한다. 인터페이스 부시스템으로부터 나온 도선(18-2)상의 소정 프레임 부호가 시간 부호 선택기내에서 비디오 프레임수 부호와 비교되면, 활동 비디오 프로그램의 첫번째 프레임이 소정 프레임 부호와 일치함에 따라서 "프로그램 시작" 신호가 도선(76)상에 발생되며, 이어서 프로그램의 활동 오디오 부분을 분석할 소정지점이 소정 프레임 부호와 일치함에 따라서 "평가 시작" 신호가 도선(78)상에 발생된다. 오디오 분석이 대부분의 프로그램 길이에 비하여 짧은 기간내에 이루어지기 때문에(예컨대 스펙트럼 분석은 45초,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는 65.5초) 시간부호 선택기(51)가 받아들이는 도선(18-2)상의 다수의 소정 프레임 부호는 상호 간격을 둔 다수의 "평가시작" 신호를 도선(78)상에 발생시킨다.
제11도에는 다중 프로그램 장치(23)가 상세하게 도시되어있다. 이 다중 프로그램 장치(23)의 목적은 프로그램의 도입부 및 도출부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도선(58)을 통해 수신하여서 연속적인 오디오 신호를 도선(46)을 통해 내보내려는 것이다. 이 다중 프로그램 장치는 또한 도선(30)을 통해 제어 및 트리거 신호를 받아들여서 다중 프로그램장치의 내부 작동을 동기화시키며, 1밀리초의 타이밍 신호로서의 1KHz 클록신호를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62)로 내보낸다.
세그먼트화된 오디오 시험용 신호열은 도선(58)을 통해 수신되며, A/D변환기(37)에 의하여 디지탈 형태로 변화된다. 6734검파기(41)내에서 6734음조가 감지되면, 오디오 제어장치(21)는 도선(30)을 따라 제어 및 트리거 신호를 프로그램 저장기(35), A/D변환기(37)및 타이머(103)로 보낸다.
프로그램 저장기(35)에 대한 제어는 다중 프로그램 장치의 내부 프로그램을 단지 티세트시키기만 함으로써 오디오 신호가 적절한 시간에 획득, 재순환 및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준다. 펄스 발생기(97) 및 타이머(103)로 향하는 도선(30)상의 트리거 신호는 6734시작음조가 검파되었을때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펄스 발생기(97)는 32KHz의 구형파를 내보내서 A/D 변환기(37)를 작동시키며, 타임(103)는 64KHz의 구형파를 내보내서 D/A 변환기(39)내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타이밍을 제공한다. 도선(88a)상의 1KHz 클록 출력신호는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62)에 대한 기본 타이밍 공급원이다. 다시말해서, 제 8도의 1KHz 클록회로(103)는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62)내에서 분배될 클록신호를 성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디지탈화 펄스에 의하면, A/D 변환기(37)는 도선(58)상의 실시간(real-time) 오디오 수신신호를 변환시켜서 이것을 디지탈화 시험용 음조 기억장치(33)내에 저장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이, 6734 시작음조에 이어서 12개 세그먼트의 오디오 시험용 음조가 다중 프로그램장치(23)에 가해지며, 이들 12개의 모든 프레임은 1초당 30프레임의 속도로 0.4초만에 디지탈화 시험용 음조 기억장치(33)내에 기록된다.
도입부 및 도출부에서의 오디오 시험용 음조열의 연속적 형태의 각 세그먼트를 분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저장기(35)는 오디어 제어장치(21)의 제어하에서 오디오 시험용 음조열의 각 선택된 세그먼트를 차례대로 회수하여서 이것을 재순환 제어 및 클럭기(99)의 제어하에 도선(80)을 통해 재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선택된 연속적인 형태의 특정한 세그먼트가 도선(38)으로 내보내지도록 한다. 타이밍(103)에 의해 타이밍 조절된 AD/A 변환기(39)는 선택된 연속적인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시험용 음조 세그먼트를 도선(46)으로 내보냄으로써 제 4도와 제 8도에 도시된 오디오 신호 분석기(25) 및 도입부/도출부 스펙트럼 분석기(27)에 의한 분석이 행하여지도록 한다.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의 기능은 상기 도면내의 회로 블록 사이의 신호 경로와 함께 설명된 바 있다. 제12도는 상기 신호 경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금까지 도심됨이 없이 설명된 각종 신호에 대한 타이밍 분석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2도에는 채널 1 의 오디오 신호 파형(90) 및 채널 2의 오디오 신호 파형(92)의 개략적으로 나타나있다. 테이프 혹은 디스크의 시작단부는 제12도의 좌측이다. 채널 1 및 채널 2신호 파형내에는 도입부에서의 시험용 음조, 그후의 프로그램 물질, 그리고 그후에 도출부에서의 시험용 음조가 도시되어있다.
분석에 적합하지 않을 정도로 너무 빠른 속도를 갖는 기록 매질로부터는 단지 도입부 및 도출부 시험용 음조만이 얻어지기 때문에, 차후의 분석에 있어서는 단지 이들 시험용 신호만이 디지탈화, 저장, 그리고 회수된다. 따라서, 디지탈 오디오 신호의 파형(94)은 다중 프로그램장치(23)가 단지 도입부 및 도출부의 영역내에서만 오디오 제어장치(21)의 제어하에서 디지탈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같이, 프로그램 물질의 분석은 실시간동안 수행되며, 디지탈화를 위한 기술이 가해질 필요는 없다.
"프로그램 시작" 신호 파형(96)은 프로그램 물질의 첫부분에 하나의 펄스로서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펄스는 오디오 제어장치를(21)로 보내져서 내부 오디오 처리장치를 클리어 및 리세트 시킴으로써, 활동 오디오 처리장치를 클리어 및 리세트 시킴으로써, 활동 오디오 샘플의 분석에 대비하도록 한다.
반면에, "평가 시작" 신호의 파형(98)은 전체의 프로그램 물질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발생한다(제12도에는 단지 하나의 예로서 4개의 펄스만을 도시하였음). 가장 긴 분석시간은 약65.5초이므로, "평가시작" 신호 파형은 이와 같거나 혹은 이보다 약간 낮은 비율로 발생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제12도는 프로그램 물질의 시작단부에서의 "평가시작" 펄스를 나타내며, 그 결과 모노/비모노 계수기(101)(제 8도)로부터의 계수가 누적되기 시작한다. 모노/비모노 계수기 신호 파형(100a)은 1KHz 주파수에서 발생되는 다수의 계수를 나타내며, 만약 오디오 채널 1 및 2에 모두 이론적인 모노포닉 신호가 기록되었다면 65536개의 샘플의 대부분 혹은 모두가 나타나게 됨으로써, 2개 오디오 채널상에 모노포닉 프로그램이 존재함을 알려준다. 반면, 모노/비모노 계수기 신호 파형(100b)은 2개 채널상에서 비모노 오디오 프로그램을 획득하여 분석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1KHz의 펄스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서 65.536초후에 누적된 계수 펄스의 수가 적고, 따라서 2개 오디오 채널상에 비모노포닉 프로그램이 존재함을 알게 된다. 모노/비모노 계수기 신호 파형(110a), (100b)내의 펄스(102a)(102b)는 오실로스코우프상에 나타난 실제의 파형을 도시의 편의상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에 불과함을 이해하여야한다.
오디오 제어장치(21)는 도선(80)을 통하여 모노/비모노 계수기(101)에 가해지는 "계수 누계 보존 및 클리어 계수" 펄스(106)의 파형(104)을 발생기켜서, 누적된 계수가 도선(54)을 통해 출력하여 오디오 분석 기억장치(47)에서 분석될 수 있도록 한다(제 8도 참조).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오디오 제어장치(21)는 도시된 채널 1 및 2에서 200Hz 씩의 증분을 갖는 누적 스펙트럼 인쇄 파형(108)과 같은 약45초의 작동 가능 펄스(110)를 발생시켜서 활동 프로그램 스펙트럼 분석기(43)를 작동시키고, 45초의 작동가능 펄스(110)이후의 이완시간 동안에는 도시된 채널 1및 2에서의 스펙트럼 인쇄보존 파형(112)의 펄스(114)가 활동 프로그램 스펙트럼 분석기(43)로 하여금 그 시험 결과를 내보내도록 하는데, 이러한 결과는 평가후의 시그네춰의 일부로 되는 "스펙트럼 인쇄"로 기술되어있다.
제13도에는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이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7)은 근본적으로 2개의 논리 장치, 즉 획득장치(119) 및 비디오 처리장치(125)로 이루어진다. 획득장치(119)는 제어된 방식으로 비디오 신호를 획득하여서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기(123)내에서 디지탈 값으롤 변환시키고, 이와같은 디지탈 신호를 도선(130)을 통해 디지탈 기억장치(124)내에 저장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기억장치(124)는 32K바이트(byte)의 획득 기억용량을 가지며, 따라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은 8비트 바이트 단위를 가진다. 프레임내의 525선들중의 하나는 910변환 또는 바이트로 표시되며 실시간중에 변환되는데, 각 화상 수평선은 그 지속시간이 63.5밀리초이다. 비디오 시험용 신호는 수직 간격중 수평주사선(19) 및 수평주사선(20)내에서 인코드 되며, 비디오 처리장치(125)의 프로그램 제어하에서 하나의 프레임으로부터의 혹은 연속적인 프레임들로부터의 선택된 선 혹은 이들선의 일부분은 32K바이트의 획득 저장이 충만될 때까지 변환되고 저장된다.
획득장치(119)의 제어 및 획득된 데이타의 계산은 비디오 처리장치(125)에 의해 수행된다. 비디오 처리장치(125)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컴퓨터(120), 처리 저장기(121) 및 실시간 클록기(122)로 구성된다. 선택된 비디오 시험용 신호를 획득하여 저장한 후에,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으로부터 제어도선(135)을 통해 비디오 처리장치(125)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에 있어서와 유사한 제어방식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컴퓨터(120)는 디지탈화되어 저장된 비디오 시험용 신호를 도선(127)을 통해 디진탈 기억 장치(124)로부터 전달되도록 도선(128)을 통해 호출한다. 도선(129)을 통한 실시간 클록기(122)로부터의 시간에 근거를 두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컴퓨터(120) 및 처리저장기(121)는 상호 동작을 하여서, 처리되는 아날로그 평가 비디오 시험용 신호 또는 이 신호의 일부분을 도선(126)을 통해 출력하며 이 신호를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으로 진행시킴으로써 평가되는 테이프 혹은 디스크의 "시그내춰"의 일부가 되도록 한다.
통상의 NTSC비디오 신호내에서 비디오 화상 정보를 재현시키는 수평주사선(19) 및 수평주사선(20)은 상술한 비디오 시험용 신호를 함유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합성 VITS 시험용 신호는 필드 1, 수평주사선(20)에서 각 프레임내에 위치되어 있으며, 적절한 측정장치에서 약15종류의 서로 다른 비디오 변수가 측정될 수 있다.
조합 VITS비디오 시험용 신호는 필드 2, 수평주사선(20)에서 각 프레임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약11종류의 측정가능한 변수들이 있다.
또한, VIRS시험용 신호는 양측 필드내의 수평주사선(19)에서 각 프레임내에 위치되어 있으며, 약9종류의 또 다른 측정가능한 변수들이 있다. 최근의 비디오 시험장치는 실질적으로 모든 VITS 및 VIRS시험용 신호들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의 수직 간격중에 보통 수행되는 잡음 시험에 관해서는 예외이다.
잡음 레벨을 평가하기 위한 통상의 시험방법은, 이론적으로는 약4 마이크로 초동안 DC레벨을 유지하는 수평 동기 펄스 동안 잡음 편차의 정부간(正負間) 진폭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비디오 디스크 상에서, 특히 일정 각속도(CAV)의 형태를 사용하는 비디오 디스크상에서, 만약 수직 간격 동안에만 잡음 시험을 행하였다면 디스크 표면적중의 매우 작은 비율만이 잡음 측정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15도에는 수직 간격에 해당하는 2개의 V자형부분(207)이 개략적으로 나타나있으며, 점선(208)은 디스크가 시계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하였을 때에 잡음 측정이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지점, 즉 각 수직 간격내의 주어진 선수(線數)에서 주어진 수평 동기팁(tip)상의 지점을 나타낸다. 잡음시험이 비록 하나 건너씩의 필드사이의 각 수직 간격 동안 행하여진다고 하더라도, 제15도를 참조하면 디스크의 매우 가느다란 부분만이 잡음 시험에 의해 평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리고 비디오 디스크 상에서의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중의 하나에 맞도록, 본 발명에 의한 잡음 시험은 비디오 프로그램의 어떠한 바람직한 부분에서도 그 부분의 각 수평 귀선소가 펄스에 대해 행하여진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조 버어스트(180)에 이어지는 수평 귀선소가 펄스의 후방 포오치(201)는 시구간(202)동안 이론적으로는 평평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구간(202)동안 잡음 평가가 행하여지며, 이와같은 평가는 각각의 수평 귀선소거 펄스상에서 행하여지기 때문에 디스크의 거의 전체 영역이 잡음에 관한 시험을 받게 되고, 이때 잡음 형태는 제15도에서의 반경방향 점선(208)이 아닌 각각의 대쉬라인(209)으로부터 취해진다. 제15도에는 단지 2열의 대쉬라인(209)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약54,000회전의 대쉬라인(209)이 나타나게 되고, 따라서 수직 간격 외부의 디스크상에 어떠한 결점이 존재하더라도 이것은 잡음 측정에 의해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하나의 수평 동기 팁(200)에서만 그리고 수직 간격의 발생시에만 잡음 시험을 행하였던 종래의 통상적인 잡음 시험법에 비하여 비디오 질을 확인하는 실질적인 진보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6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독자적인 잡음시험을 행하기 위한 회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제16도에서는 제13도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 동일한 참조부를 사용하고 있다. 제16도의 잡음 시험장치에 있어서, 도선(118)을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는 A/D 변환기(123)에서 디지탈회되어서 샘플/홀드회로(137)로 향한다. 샘플/홀드회로(137)는 파형부(202)(제14도 참조)를 8개 샘플로 형성시켜서, 그 결과를 디지탈 기억장치(124)내에 저장시킨다. 잡음 시험 데이타의 처리는 비디오 신호의 개별적인 펄드내에서 수행된다. 이때, 샘플/홀드회로(137)의 샘플링을 위하여서는 인접한 수평 귀선소서 신호들의 동일 부분을 샘플할 필요가 있으므로, 단지 수직간격 외부의 수평 귀선소거 신호에 대하여서만 잡음시험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잡음 시험 측정을 위하여서는 1개 프레임당 약480선이 샘플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필드 1의 비디오 신호는 평균치 탐지기(139-1)로 보내어지며, 이 평균치 탐지기(139-1)는 8개 샘플의 평균치를 계산하고, 한편 차이 검출기(141-1)는 이 평균치로부터의 변동을 출력하여 평균화회로(152)로 내보낸다. 이와 마찬가지로, 필드 2의 잡음 샘플은 평균치 검출기(139-2)로 보내어지며, 이 평균치로부터의 변동은 차이 검출기(141-2)에 의해 탐지되어서 평균화회로(152)로 보내진다. 이와같은 2개 잡음 형태로부터의 평균치는 송신되는 측정 데이타로서 도선(126)을 통하여 내보내지며, 이 측정 데이타는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겠음)으로 보내진다.
제17도에는 비디오 분석 논리도가 도시되어 있다. 서로 다른 비디오 프로그램 물질을 시험하려면 샘플점을 서로 다르게 재어하여 측정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믄에, 측정될 프레임의 목록을 함유하는 기억기(138)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142)가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으로부터 "가능"신호를 받으면, 이 제어장치(142)는 디스크 플레이어(9) 혹은 테이프 레코우더/플레이어(11)의 전진, 후진, 정지 및 동작 기능을 개시 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이들 장치중의 하나가 그 비디오 정보를 도선(147) 및 도선(149)을 각각 통하여 비디오 선택기(53)로 내보내도록 하여준다. 그 동안에, 제어장치(142)는 도선(161)을 통해 계수기(140)의 내용을 클리어시키며, 측정될 첫번째 프레임수는 기억기(138)로부터 도선(169)을 통하여 비교기(136)로 내보내진다. 비디오 선택기(53)로부터의 도선(118)을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가 프레임 디코더(134)에 의해 프레임수로써 디코드되면 비교기(136)에서 비교가 실시된 후에 "측정실시" 신호가 도선(157)을 통해 제어장치(142)에 전달된다. 이때 제어장치(142)는 도선(135)을 통해 "가능"신호를 내보냄으로써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7)의 시험동작을 개시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어장치(142)는 메모리 기록 게이트(144)를 작동가능하게 함으로써,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7)으로부터의 도선(126)을 통해 출력된 비디오 시험 데이타가 도선(167)을 통해 비디오 분석 기억장치(146)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시험분석 신호가 기록될 비디오 분석 기억장치(146)내의 위치는 시험중인 프레임수에 일치된 어드레스 버스(165)에 의해 제어된다.
비디오 시험용 신호의 1개 샘플에 대한 기억저장이 완료되며, 측정될 프레임 목록내의 2번째 신호가 도선(169)을 통해 기억기(138)로 내보내짐으로써 비교기(136)내에서 현재의 프레임수와의 또 다른 비교가 수행되며, 이에 의해 "측정실시" 신호가 또 다시 도선(157)을 통하여 제어 장치(142)로 전달된다. 제어장치(142)는 메모리 기록 게이트(144)를 작동 가능하게 하여서, 계수기(140)로 부터 어드래스 버스(165)를 통해 어드레스된 비디오 분석 기억기(146)내의 위치에 새로운 시험 데이타를 기록시킨다. 또한, 제어장치, (142)는 도선(163)을 통해 계수기(140)의 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다음번에 측정될 프레임수가 기억기(138)에 의해 독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처리는 모든 시험용 샘플이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에 의해 분석되어서 비디오 분석 기억장치(146)내에 기록될 때까지 계속된다. 비디오 분석 기억장치(146)로부터의 출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선(126)을 통하여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으로 향한다.
제18도는 데이타 평가 부시스탬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제 3도, 제 4도, 제 8도, 제13도 및 제16도와 함께 설명됨 바와 같이, 테이프 혹은 디스크 혹은 처리장치로부터의 모든 오디오 및 비디오 분석 데이타는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으롤 보내진다.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19)내에서 처리되기 전에 전자장치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분석적처리는 지금까지 "분석"이라고 언급되어 왔다. 본 명세서내에서는 "평가"라는 용어가 특수한 의미를 갖는데, 즉 시험중인 장치를 "평가" 할 수 있도록 "분석"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제적 응용에 있어서는 이 "평가"가 실험중인 장치의 합격 혹은 불합격 여부를 결정짓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앞서의 설명에서 처리장치들은 본 발명의 개념을 이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고 이미 기술하였으나, 제18도에는 원제품 프로그램으로부터 복제된 복제품에서의 전형적인 오디오 및 비디오 평가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블럭(211)은 원제품 프로그램 물질로부터의 오디오 분석 데이타를 나타내며, 블럭(212)은 원제품으로부터 제작된 복제품으로부터의 대응하는 분석 데이타를 나타낸다. 이와 마찬가지로, 블럭(213)은 원제품으로부터의 비디오 분석 데이타이며, 블럭(214)은 복제품으로부터의 비디오 분석 데이타를 나타낸다. 오디오 비교기(215)는 원제품과 복제품의 분석 데이타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인쇄기(15)로 보내서 이 차이점의 목록이 인쇄기(15)에 의해 가시적이라고도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게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비디오 비교기(216)도 원제품과 복제품 사이의 비디오 분석 데이타의 차이점을 인쇄기(15)로 보내서 그 차이점의 목록을 인쇄시킨다. 다음의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디오 비교기(215) 및 비디오 비교기(216)는 원제품과 복제품으로부터의 신호를 단지 선대선(線對線)으로 비교할 뿐 만 아니라, 본 명세서내에 정의된 바와 같은 "시그내춰"를 비교하는 본 발명의 독특한 개념을 수행하는 것이다.
제19도 내지 제22도에는 본 발명의 개념을 이용한 각종의 "평가" 방식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첫번째 도면, 즉 제19도는 "테이프 평가"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 및(또는) 음향 프로그램(143)으로부터의 화상 및(또는) 음향을 프로그램 테이프 레코오드(145)상에 기록함으로써 준비용 비디오 테이프(154)가 제작됨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화상 및 음향 프로그램원은 비디오 테이프 원재품으로부터 혹은 활동사진 필름으로부터 얻어진다. 어떤 경우에서도, 준비용 비디오 테이프(154)는 원제품으로부터 혹은 활동사진 필름으로부터 얻어진다. 어떤 경우에서도, 준비용 비디오 테이프(154)는 원제품 테이프 혹은 필픔 프로그램원으로부터 제조되어서, 궁극적으로 디스크 완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기 위한 준비용 테이프로 사용된다. 프로그램 테이프 레코오더(145)에 의해 준비용 비티오 테이프(154)상에 프로그램이 기록될때, 시험용 신호 발생기(148)로부터의 적절한 비디오 시험용 신호가 프로그램의 수직 간격동안 기록된다. 준비용 비디오 테이프(154)를 제조할 때에는 프로그램 물질 전후의 테이프상에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어서 이 부분에 도입부 및 도출부 오디오 시험용 음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준비용 비디오 테이프(154)상에 프로그램이 기록될 때, 혹은 필요시에는 그후에, 오디오 시험용 음조가 시험용 신호 테이프 레코오더(150) [혹은 필요에 따라서는 프로그램 테이츠 레코오더(145)] 상에서 기록시키며나, 생성된 준비용 비디오 테이프(154)에 도입부 시험용 음조와 프로그램 물질 및 도출부 시험용 음조가 포함되는 것이다.
플레이어(156)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들을 그들 각각의 분석기(158)로 내보내며, 이 분석기(158)에 의해 측정된 시험용 변수들의 특성은 변수 목록(164)으로 만들어져서 가시적으로 독취할 수 있게 된다. 이 시점에서, 도입부 및 도출부 기간동안의 오디오 시험용 음조의 적용이 아닌 "테이프 분석"이 완료된 것이며, 이 테이프의 특성은 변수 목록(164)에 열거된 피시험 변수의 분석에 방영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분석은 테이프 제조업계에 공지된 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변수 목록(164)으로부터 수동적으로 혹은 한계치 설정기(166)로부터의 콤퓨터 제어에 의하여 이들 변수의 편차 한계치가 설정된다는 점에서 신호원의 단순한 분석을 능가하는 것이다. 한계치 설정기(166)에 의해 허용된 변수 편차의 범위는 변수 목록(164)내의 피측정 변수들에 대하여 %비율을 적용시키고 이와 같이 하여 유도된 편차 한계를 시그내춰 저장기(168)내에 저장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분석된 변수들을 변수 목록(164)내에 열거하기 전에, 확정된 표준 도표(162)가 통상의 (즉, 예컨대 NTSC, PAL 또는 SECAM)표준으로 사용되어서 분석기(158)의 출력을 비교기(160)내에서 비교하는 것이 좋다. 예를들어, 미합중국 연방 체신위원회(FCC), SMPTE, EIA 혹은 기타의 표준그룹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에 대하여 변수들의 허용한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놓은 경우에는, 변수 목록(164)내에 열거된 변수들이 상기의 산업용 표준 범위내에 있는가를 비교기(160)가 확인한다. 반면에 한계치 설정기(166)는 특정한 제조업자의 기록공정에 포함된 특정 처리에서 허용되는 허용 한계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즉, 준비용 테이프(154)로부터 복제품이 만들어졌을 경우, 원제품 및 복제품으로부터의 해당 신호들은 분석기(158)내에서 분석되며, 이 분석기(158)의 출력과 시그내춰 저장기(168)내에 시그내춰를 비교함으로써 평가장치(171)내에서 평가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복제품의 품질의 필수적으로 2개의 표준에 대한 비교를 받게 되는데, 즉 표준 도표(162)에 따른 산업용 표준 및 한계치 설정기(166)에 의해 설정되는 제조업자 자신의 표준이 그것이다. 결과적으로, 평가장치(171)에 의해 평가된 신호는 종래에서와 같이 단지 산업용 표준에 대하여서만 평가를 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한계내에서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기록공정의 특성을 나타내는 "시그내춰"에 대한 비교도 아울러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복제공정의 등급저하는 보다 현실적인 기준치에 대해, 즉 동일 종류의 테이프와 동일 레코오도와 동일한 신호원을 사용하여 이미 기록된 신호에 대해 평가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의 테이프와 레코오더 및 신호원에 의한 영향이 배제될 수 있는 것이다.
회수된 테이프 신호를 이미 확정되어 있는 (혹은 계산된)표준에 대해 평가하는 분석공정과는 달리, 복제품 혹은 이와 유사한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그내춰"에 대해 평가하면 허용한계를 벗어난 아무리 사소한 편차라도 이것을 체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 긍정상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시그내춰"특성에 대한 비교에 의하면 2번째 및 그 이후의 기록으로부터 회수된 신호가 확정된 표준에 대한 허용한계내에 있을 경우에도 공정상의 등급저하를 알아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어떤 기록공정에 있어서는 어떤 특정 변수의 분석시험 결과가 매우 좁은 범위내에 위치하여, 산업용 기준치가 요구하는 것보다 더 적합한 값을 갖는 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그 결과, 시그내춰가 이 특정 변수에 대해 통상적인 아닌 높은 표준을 반영하게될 것이다. 이와 같은 사실은 한계치의 설정이 산업용 표준이 아닌 앞서의 시험결과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즉, 예컨대 테이프자체의 제조에 있어서와 같은 기록공정상의 일부에서의 등급저하가 발생함에 따라, 어떤 변수가 표준 도표(162)에 따른 산업용 표준내에 있을 지라도 한계치 설정기(166)에 의한 한계치를 벗어나게 되기 때문에, 평가장치(171)는 장치의 완전한 시험을 행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테이프에 대한 제조공정과 시험중인 특정 변수 사이의 관계를 알고 있으면, 즉각적인 정정동작이 취해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이와 같은 결함(특히, 다른 결함들과 조합된 결함)때문에 제품(이 경우에는 테이프)이 사용 불가능하게 될 것이며, 제조업자는 소비자로부터 수많은 불평을 들은 후에야 비로소 그러한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평가장치(171)는, 분석기(158)로부터의 다수의 변수값 각각이 시그내춰 저장기(168)내에 저장된 각 변수값에 대한 2개 한계치(평가될 변수들에 대한 상한치 및 하한치)와 비교되는 여러가지 형태의 정교한 비교기로 작용될 수도 있다. 이때의 평가 출력신호는 변수의 목록, 한계치 설정기(166)에 의해 설정된 허용범위, 평가장치(171)에 의해 평가되는 각 변수의 값, 그리고 허용범위를 벗어난 변수에 대한 정보 등을 나타내는 인쇄된 데이타 도표의 형태를 갖게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도표의 한가지 예는 다음의 표 I, II, III에 나타나 있으며, 이들 도표는 제20도에 도시된 "디스크 평가와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다.
[표 I]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표 II]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표 III]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제20도에는 "디스크 평가"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제19도에서와 동일한 소자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며, 추가 소자로서는 디스크 마스터링 레코오더(173) 및 이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몇가지 소자들이 있다. 이 구성에서, 평가장치(171)는 시그내춰 저장기(168)내에 저장된 테이프 시그내춰를 시그내춰 저장기(231)내에 저장된 해당 디스크 시그내춰에 대해 평가한다. 준비용 비디오테이프(154)가 플레이어(156)내에서 플레될때, 테이프"시그내춰"가 제19도에서와 같이 획득되었다고 가정하면, 프로그램 물질 및 시험용 음조는 디스크 마스터링 레코오더(173)에 의하여 비디오 디스크(177)로 전달된다. 이때 도입부 및 도출부 신호도 프로그램 물질과 함께 비디오 디스크(177)로 전달됨으로써, 준비용 테이프에서와 동일한 시험용 신호원을 사용한 디스크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블럭(217-223)은 노출 및 현상단계(217)로부터 접착제를 가해 디스크의 양면을 서로 맞물여서 완전한 양면(兩面) 디스크를 형성하는 도면(223)까지의 비디오 디스크 제조시의 주요 처리 단계를 나타낸다. 이리하여 디스크 플레이어(224)는 완성된 디스크를 플레이시키고, 그 결과는 분석기(15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분석기(226)에서 분석된다. 이때에도 역시 분석기(226)의 출력을 비교기(225)내에서 표준 도표(227)의 확정된 표준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예비검사에 의하면 산업용 표준 허용치로부터 매우 크게 벗어난 변수에 의한 결함을 갖는 디스크들을 미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9도-제20도 모두에 해당하는 바와 같이, "세계적"표준에 대한 이와 같은 초기분석을 행하는 것은 원래의 프로그램 물질의 질에 대한 검사이며, 이것은 "세계적"표준으로부터의 편차를 초기에(예컨대 디스크 마스터링이 시작되기 전에) 탐지할 수 있어 매우 유리하다.
각 경우에 있어서, 분석기(226)의 결과가 확정된 산업용 표준에 대해 허용가능하다면, 이 분석기의 출력은 시그내춰 도표(229)로 보내져서 시그내춰 저장기(231)내에 저장된다. 도입부 및 도출부 시험용 음조가 0.5초 이내의 실시간에 누적되어 어떤 종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시험이 활동 프로그램 물질상에서 수행되고 있음을 수동제어 혹은 콤퓨터 제어에 의해 리콜(recall)하면, 평가장치(171)는 시그내춰 저장기(168)로부터의 테이프 시그내춰 및 시그내춰 저장기(231)로부터의 디스크 시그내춰를 리콜 하여서 이들 2개 시그내춰를 각 변수마다 비교한다. 이때, 가시적 독취가능 인쇄결과를 이용하면 어떤 디스크가 그 대응하는 준비용 디스크에 대해 얼마나 양호하게 수행되는 가를 역시 알아낼 수 있다(상기 I, II,III참조).
원제품 및 복제품의 대응 부분을 측정함에 대한 중요성은 이미 설명된 바 있으며, 이에 대한 논리는 다소 명백하다. 따라서, 변수분석결과 및 허용 한계치 범위를 포함하는 "시그내춰"이외에도, "테이프 시그내춰"가 비디오 및 오디오 활동 프로그램 분석이 행하여 질 특정한 프레임수를 그 구성중에 포함하여야 함은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시그내춰"의 "특성"은 예컨대 제20도의 공정에서 주 디스크가 감광성 내식막을 갖는 지점(A), 노출 및 현상되는 지점(B), 금속화 되는 지점(C), 스탬퍼로 되는 지점(D), 편면(片面)플라스틱 복제품으로 되는 지점(E), 반사피복이 가해지는 지점(F), 보호피복이 가해지는 지점(G), 그리고 2개의 편면 디스크가 합쳐저서 양면의 완성 디스크로 되는 지점(H)과 같은 어떠한 시간, 어떠한 단계에서도 시그내춰 비교를 행할 수 있는 모든 정보에 전적으로 특징으로 이루고 있다.
모든 복제공정에서와 같이, 제20도 공정의 각 단계를 거치는 동안 지점(A-H)에서 프로그램 물질의 약간의 등급저하가 예상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지점(A)와 지점(B)의 사이에서 예상되는 등급저하는 지점(B)와 지점(C)의 사이에서 예상되는 등급저하 보다 작을 수 있고, 이와 같은 예상은 각 단계 사이의 지점에 있어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용은 공정내의 모든 지점에서 디스크를 플레이시켜서 지점(A-H)사이의 각 지점에 대해 "시그내춰"를 설정함에 관계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의 평가를 "공정중"의 작동과 상호 관련시킴으로써, 감독자가 재질 및 시간을 크게 낭비함이 없이 설비를 차단시키거나 개조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또한, 변수들이 허용한계를 벗어나려는 경향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고, 공정의 각 단계에서 공정상의 시그내춰를 비교하여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시그내춰"시험에 의해 제공되는 매우 정확하고도 반복적인 시험능력에 의해 제조공정 혹은 공정단계를 개선시킬 수가 있다. 상기의 경향 정보에 의하며, 비록 시험된 변수들이 절대 척도상에서 반드시 허용가능한 한계내에 존재할 경우에 있어서도 그 잠재적인 문제점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공정내의 각 주요한 단계에서 온도, 압력, 처리시간 등이 변함에 따라서 처리 변수들을 변화시키면 이글 "시그내춰"의 비교에 의해 제품의 품질향상이 가능하다.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가 최근에 개발된 것이라는 점에 있어 "디스크 평가"를 고려하면 본 발명은 플레이어의 일관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0도에서 디스크를 교환하는 대신에 같은 디스크를 다수의 디스크 플레이어(224)상에서 재생시켜서 이들 플레이어로부터 "시그내춰"를 발생시킨 후 이 "시그내춰"를 이미 양호한 플레이어라고 알려져 있는 플레이어로부터의 시그내춰와 비교할 수 있는 것이다.
오디오 및 비디오 증폭기나 혹은 예컨대 에코우 장치, 분배증폭기, 제한기 등과 같은 특수효과용 장치를 포함하는 "처리"장치에 대한 본 발명의 이용에 대하여서는 이미 전술한 바 있으며, 그 구성은 제21도에 도시되어 있다.
평가공정에 있어서는 처리 기준장치(234)의 "시그내춰"를 발생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21도에는 시험중인 처리장치(235)에 대한 개별적인 경로를 표시하였다. 각각의 시험중인 장치에는 그 자신의 고유한 분석기(226), 시그내춰 도표(229)및 시그내춰 저장기(231)가 있다. 물론, 경제적인 목적상, 분석기(158)를 처리 기준 장치(234)및 시험중인 처리장치(235)에 대해 시분할시켜서 제19도에서와 같은 구조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분석기(226), 시그내춰 도표(229) 및 시그내춰 저장기(231)가 필요 없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9도에서와 같이 분석기(158)의 출력을 평가장치(171)로 직접 보낼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제21도에서와 같이 별도의 분석기, 시그내춰 도표 및 시그내춰 저장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2도는 디지탈 시그내춰 평가가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시그내춰 저장기(168)내에 시그내춰가 형성될 때까지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다. 그러나, 평가될 신호가 오디오이던지 비디오이던지간에, 플레이어[도면에는 시험중인 장치(238)로 도시되었음]는 그 신호를 A/D변환기(237)로 내보냄으로써 디지탈 형태의 신호가 디지탈 기억기(233)내에 저장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도입부 및 도출부 동안의 오디오 시험용 음조의 경우와 같이, 이 저장된 신호의 선택된 디지탈 부분을 재순환 제어기(240)에 의해 궤환시켜서, 저장된 신호의 연속적인 형태를 D/A변환기(239)로 내보내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얻어진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는 분석기(226)내에서 분석되어 시그내춰 도표가 작성되고, 그후 분석결과는 시그내춰 자장지(231)에 저장되어서 평가장치(171)내에서의 차후의 평가에 이용되게 된다.
표 I은 비디오 디스크의 도입부에서의 "시그내춰" 평가의 결과를 인쇄한 것이다. 사용된 예에서 디스크에대해 선택된 분석 변수들은 좌측에 열거되어 있으며, "시그내춰"비교는 각각 3개의 열로 이루어지는 2개 그룹으로 나타나 있는데, 앞서의 그룹은 오디어 채널 1에 관한 것이고 뒷쪽의 그룹은 오디오 채널 2에 관한 것이다. 각 채널에 있어서의 3개 열중의 가운데 열은 각 변수에 대한 디스크 분석 측정치를 나타내며, 이 가운데 열의 양측 열은 제20도의 한계치 설정기(166)에 의해 설정된 "시그내춰"한계치를 나타낸다.
표 II는 시험중인 디스크의 도출부에 대한 유사한 평가 비교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표 III은 비디오 평가 시험결과를 나타낸다. 표 III에는 정보와 추가적인 열이 표시되어 있는데, 즉 "시그내춰"비교에 있어서 한계치 설정기(166)에서 상한치 및 하한치를 결정하기 위한 실제의 테이프 분석 측정치의 열이 추가로 나타나 있다.
이때, 오디오 도입부 음조로부터의 12개 세그먼트는 1초당 30세그먼트의 속도 (수직 프레임 속도)로 회수되며, 주어진 변수를 보통 2.5초 혹은 그 이하의 시간내에 측정하기 위하여서는 예컨대 휼레트 팩카드 8903A(Hewlett Packard 8903A)오디오 분석기와 같은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입부 시험용 음조의 각 세그먼트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측정에 사용되기 때문에 이 세그먼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재순환되며, 따라서 이 세그먼트는 분석기가 두번째의 시험용 세그먼트를 회수하여 연속적으로 이용하기에 앞서 분석기에 의한 모든 오디오 측정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연속적인 형태를 유지한다.
하나의 시험용 프레임에서는 다수의 측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술한 바와같은 분석기는 2.5초 혹은 그 이하의 시간 내에 그 분석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분석기가 예컨대 시험용 프레임 1 내에서 11개의 측정을 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최대한으로 약 27.5초 정도이다. 따라서, 제 8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재순환 제어 및 클럭기(99)는 단지 최대한 27.5초의 시간동안 음조 세그먼트를 재순환시키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비록 본 발명의 상기에 열거된 특정한 시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23개의 오디오 시험측정을 모두 완성하기 위하여서는 57.5초 이하의 시간으로서도 충분하다. 즉, 완전한 오디오 측정 사이클이 반복되는 반복 속도는 아무리 넉넉히 잡아도 1분당 1사이클이다. 이때, 가장 시간이 오래걸리는 활동 프로그램 시험은 모노/비모노 검사이며 이것은 65.6초만에 완성되기 때문에, 오디오/비디오 질 통제 시스템에서 결함이 있는 디스크들을 제거해내기 위해서는 수분의 레코오딩/플레이 시간으로서 충분하다는 잇점이 있다. 이와같은 개념은 제20도에 도시된 방법(기록후에 직접 독취하는 방법이 아닌)에 의해 생산된 비디오 디스크들에 대하여 이 공정내의 어떠한 지점에서도 결함이 있는 디스크를 발견해낼 수 있게 함으로써 단지 수분내에 수행된다. 물론, 평가될 디스크의 도입부에 근접하게 포함되지 않은 결함은 순간적으로 발견되지 않지만, 전체 비디오 디스크를 통하여 일정한 변수의 등급저하를 발생시키는 공정상의 결함은 플레이 시간의 맨 처음에 포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오디오/비디오 질 통제 시스템에 의해 정보가 분석되는 속도는 종래에서와 같은 육안 관찰 및 (혹은)수동 측정에 의한 기술에서 보다 시간을 훨씬 단축시킨다. 뿐만 아니라, 디스크에 대한 모든 주관적인 평가가 배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에 대하여서만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계으 숙련자라면 제 7도-제11도에 도시된 방법에 따른 오디오 신호 측정과 유사한 방법으로 비디오 신호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즉, "오디오"라고 표시된 부분은 멀티플렉싱 및 그 이후에 비디오의 도입부 및 도출부 질은 분석하기 위한 방식에 따라 이에 맞도록 표시되기만 하면 된다. (물로, 신호원 및 타이밍 도면에 대해서도 적절한 변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내에 기재된 비디오 변수 분석 및 평가방식도 상술한 바와 같은 변경을 통하여 오디오 변수의 분석 및 평가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32)

  1. 타이밍을 가진 시험용 신호열을 기록 매질상에 기록시키는 단계, 대응하는 타이밍을 가진 재생된 시험용 신호열을 회수하기 위해 기록매질로부터 기록된 시험용 신호들을 회수하는 단계, 및 시험표준들에 대해 회수된 신호들을 비교함으로써 회수된 시험용 신호들을 분석하는 단계로 구성된, 기록매질의 기록특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단계는 다수의 개별적인 불연속 오디오 시험용 신호들을 상기 매질상에 타이밍을 가진 불연속 오디오 시험용신호에 세그먼트들의 열로 기록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기록단계는 시험용 신호열에서 각 상기 세그먼트의 시작과 그다음 세그먼트이 시작 사이의 시간 간격이 표준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지속시간에 정수배로 대응하도록 상기 기록된 세그먼트들을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배수가 한배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들의 한그룹에 대한 상기 시간간격은 비디오 프레임 지속시간의 제 1 정수배에 대응하고, 상기 세그먼트들의 다른 그룹들에 대한 상기 시간간격은 비디오 프레임 지속시간의 제 2 정배수에 대응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수배가 한배이고 상기 제 2 정수배가 두배인 방법.
  5. 제 1 항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단게에 앞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정위치에 예비기록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예비기록된 정보의 앞에 도입부를 포함하는 정보함유 매질을 제공하는 단계가 더 있으며, 상기 시험용 신호들은 기록매질의 상기 도입부에 기록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단계 후에, 하나 또느 그 이상의 소정위치에 예비 기록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예비기록된 정보의 앞에 도출부를 포함하는 정보함유 매질을 제공하는 단계가 더 있으며, 상기 시험용 신호들은 상기 기록매질의 상기 도출부에 기록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용 신호들이 아날로그 오디오 시험용 신호들인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예비기록된 정보의 다수의 세그먼트들은 상기 정보함유 매질상에 포함되며 ; 상기 시험용 신호들은 상기 예비기록된 정보의 상기 소정 위치들 사이의 위치들에 기록되는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험용 신호들이 상기 시험용 신호열의 첫번째 세그먼트의 바로앞에 가해지는 시험용 음조위치 신호를 포함하고 ; 상기 시험용 음조 위치신호가 상기 기록 매질이 평가될때 상기 기록 매질의 시험용 신호 영역 위치를 알리는 데 사용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험용 신호들이 아날로그 포맷으로 있고, 상기 회수단계가 (a) 아날로그 시험용 신호들의 회수된 세그먼트들을 디지탈 시험용 신호들의 세그먼트들로 변환시키는 단계 ; (b) 상기 디지탈 시험용 신호 세그먼트들을 저장시키는 단계 ; (c) 저장된 것으로부터 상기 디지탈 시험용 신호 세그먼트들을 회수시키는 단계 ; 및 (d) 상기 회수된 디지탈 시험용 신호 세그먼트들을 아날로그 시험용 신호 세그먼트들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 그리고 상기 상호관련 단계가 (e)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시험용 신호들의 각 세그먼트의 시험용 신호 편차특성과 상기 기록단계에서 사용된 대응하는 시험용 신호 세그먼트와 연관된 시험용신호 편차특성을 상호관련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시키는 단계는 (a) 다수의 개별적인 오디오 시험용 음조들을 발생시키는 단계 ; 와 (b) 각 조합이 상기 시험용 신호열의 상이한 불연속 세그먼트내에 포함되는, 상기 오디오 시험용 음조들의 조합들을 생성시키기 위해 상기 다수의 시험용 음조들을 특정한 방법으로 멀티플렉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험용 신호열을 0볼트 DC전위 시험용 신호를 함유하는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험용 신호열은 정주파 오디오 음조를 함유하는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험용 신호열은 스위프 주파수를 함유하는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험용 신호열은 두개의 정주파 가변음조들의 합을 함유하는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세그먼트는 인접 세그먼트로부터의 상이한 오디오 시험용 신호를 포함하는 방법.
  17. 타이밍을 가진 시험용 신호열을 발생시키는 수단, 상기 시험용 신호들을 기록 매질 상에 기록하는 수단, 대응하는 타이밍을 가진 재생된 시험용 신호열을 회수하기 위해 기록매질로부터 기록된 시험용 신호들을 회수하는 재생수단, 및 시험 표준들에 대해 회수된 신호들을 비교함으로써 회수된 시험용 신호들을 분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록매질의 기록특성을 평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생수단은 다수의 개별적인 불연속 오디오 시험용 신호들(73,75,77,79,81,83)을 생성시키는 수단(49)을 포함하며 ; 상기 기록수단은 시험용 신호열에 있는 각 상기 세그먼트의 시작과 그다음 세그먼트의 시작 사이의 시간간격이 표준 비디오 신호의 지속시간에 정수배로 대응하도록 상기 기록된 세그먼트들이 이격된째, 상기 다수의 개별적인 불연속 오디오 시험용 신호들을 상기 매질(55)상에 타이밍을 가진 불연속 오디오 시험용 신호 세그먼트들(61,63)의 열로 기록하는 수단(11)을 포함하며 ; 그리고 상기 분석수단은 각 분석되어 있는 재생된 신호 세그먼트의 시험용 신호 편차특성과 상기 기록수단에 의해 기록된 대응하는 시험용 신호 세그먼트와 연관된 시험용 신호 편차특성을 상호 관련시키는 비교기(5,19)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배가 한배인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들(61-0,1)(63-2,4,7)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시간간격은 비디오 프레임 지속시간의 제 1 배에 대응하고, 상기 세그먼트들중 다른 것들(61-1 및 2,5및 6)(63-0 및 1,5및 6)에대한 상기 시간간격은 비디오 프레임 지속시간의 제 2 배에 대응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는 한배이고 상기 제 2 배는 두배인 장치.
  21. 제17항 내지 20항에 있어서, 정보함유 매질(55)이 예비기록된 정보(67)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정 위치에서 포함하며 도입부(57)를 예비기록된 정보앞에 포함하고 ; 상기 기록수단(11)이 기록매질의 상기 도입부에만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21)을 포함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정보함유 매질(55)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정위치에서 예비기록된 정보(67)를 포함하고 상기 예비기록된 정보뒤에 도출부(57')를 포함하며 ; 상기 기록수단(11)이 기록매질의 도출부에만 기록가능하도록 하는 수단(21)을 포함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용 신호들이 아날로그 시험용 신호들인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예비 기록된 정보의 다수의 세그먼트들(67)이 상기 정보함유 매질(55)상에 포함되며 ; 상기 기록수단(11)이 이 예비기록된 정보의 소정위치사이의 위치들에게 상기 시험용 신호들을 기록시키는 수단(21)을 포함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11)이 상기 시험용 신호열의 첫번째 게그먼트(63-1) 바로 앞에 시험용 음조 위치신호(63-0)를 기록시키는 수단(73)을 포함하며, 상기 시험용 음조 위치 신호가 상기 기록매질(55)의 시험용 신호 영역(57,57')의 위치를 정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험용 신호들이 아날로그 포맷으로 있으며, 상기 재생수단(9,11)이 (a) 아날로그 시험용 신호들의 회수된 세그먼트(58)을 디지탈 시험용 신호들의 세그먼트들(36)로 변환시키는 첫번째 신호변환수단(37) ; (b) 상기 디지탈 시험용 신호 세그먼트들을 저장시키는 기억수단(33) ; (c) 저장된 것으로부터 상기 디지탈 시험용 신호 세그먼트들을 회수시키는 독취수단(33,99) ; 및 (d) 상기 회수된 디지탈 시험용 신호 세그먼트들을 아날로그 시험용 신호 세그먼트(46)로 변환시키는 두번째 신호 변환수단(39)을 포함하며 ; 그리고 상기 비교수단(5,19)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시험용 신호들의 각 세그먼트의 시험용 신호 편차특성과 상기 기록수단에 의해 기록된 대응하는 시험용 신호 세그먼트와 연관된 시험용 신호 편차특성을 상호 관련시키는 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험용 신호들을 생성시키는 상기 수단(49)은 다수의 개별적인 오디오 시험용 음조들을 발생시키는 수단(73,75,77,79,81,83)과 각 조합이 상기 시험용 신호열의 상이한 불연속 세그먼트내에 포함되는 상기 오디오 시험용 음조들(76,78)의 조합을 생성시키기 위해 상기 다수의 시험용 음조들을 특정한 방법으로 멀티플렉싱시키는 수단(71)을 포함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험용 신호열은 0볼트 DC전위 시험용 신호를 함유하는 세그먼트(61-0, 3및 4)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험용 신호열은 정주파 오디오 음조를 함유하는 세그먼트(61-1및 2)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험용 신호열은 스위프 주파수를 함유하는 세그먼트(61-8 내지 12)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험용 신호열은 두개의 정주파 가변 음조들의 합을 함유하는 세그먼트(61-5및 6)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각 상기 세그먼트는 인접 세그먼트로부터의 상이한 오디오 시험용 신호를 포함하는 장치.
KR8204106A 1982-01-12 1982-09-10 기록매질의 기록특성을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KR880002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796A KR880002651B1 (ko) 1982-01-12 1988-07-12 기록 매질의 정보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880008798A KR880002666B1 (ko) 1982-01-12 1988-07-12 저장기 부재상에 기록된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의 선택된 부분의 오디오 특성을 자동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880008797A KR880002653B1 (ko) 1982-01-12 1988-07-12 신호처리장치의 신호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339,011 US4746991A (en) 1982-01-12 1982-01-12 Recording characteristic evaluation of a recording medium with a time sequence of test signals
US339,011 1982-01-12
US339011 1982-01-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799A Division KR880002667B1 (ko) 1982-01-12 1988-07-12 규정된 아날로그 신호로 기록매질의 기록특성을 분석하는 장치와 평가하는 방법
KR1019880008798A Division KR880002666B1 (ko) 1982-01-12 1988-07-12 저장기 부재상에 기록된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의 선택된 부분의 오디오 특성을 자동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880008797A Division KR880002653B1 (ko) 1982-01-12 1988-07-12 신호처리장치의 신호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880008796A Division KR880002651B1 (ko) 1982-01-12 1988-07-12 기록 매질의 정보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716A KR840001716A (ko) 1984-05-16
KR880002665B1 true KR880002665B1 (ko) 1988-12-17

Family

ID=233270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106A KR880002665B1 (ko) 1982-01-12 1982-09-10 기록매질의 기록특성을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880008799A KR880002667B1 (ko) 1982-01-12 1988-07-12 규정된 아날로그 신호로 기록매질의 기록특성을 분석하는 장치와 평가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799A KR880002667B1 (ko) 1982-01-12 1988-07-12 규정된 아날로그 신호로 기록매질의 기록특성을 분석하는 장치와 평가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46991A (ko)
EP (9) EP0116135B1 (ko)
JP (2) JPH0711548B2 (ko)
KR (2) KR880002665B1 (ko)
AT (5) ATE31991T1 (ko)
DE (1) DE3272153D1 (ko)
HK (6) HK156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6991A (en) * 1982-01-12 1988-05-24 Discovision Associates Recording characteristic evaluation of a recording medium with a time sequence of test signals
US4773094A (en) * 1985-12-23 1988-09-20 Dolby Ray Milto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recording and transmission systems
US5148291A (en) * 1986-05-21 1992-09-15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signal drop-out
US4752825A (en) * 1986-10-10 1988-06-21 Grumman Aerospace Corporation Video display simulator and analyzer
JPH0337801A (ja) * 1989-07-04 1991-02-19 Jonan Denki Kogyosho:Kk 記録済ビデオ・テープの検査装置
US5265079A (en) 1991-02-15 1993-11-23 Applied Magnetics Corporation Seek actuator for optical recording
US6141300A (en) 1989-06-20 2000-10-31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actuator including lens assembly with optical axis having symmetric suspensory forces acting thereon and optical disc system including same
US5121260A (en) * 1989-06-22 1992-06-09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Read channel optimization system
JPH03178057A (ja) * 1989-12-06 1991-08-02 Sony Corp ディスク評価装置
GB2239976B (en) * 1989-12-20 1993-12-22 Toshiba Emi Kk Method of inspecting pancake tape
US5677899A (en) 1991-02-15 1997-10-14 Discovision Associates Method for moving carriage assembly from initial position to target position relative to storage medium
US6236625B1 (en) 1991-02-15 2001-05-22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having current monitoring circuit with controller for laser driv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5808980A (en) * 1991-02-15 1998-09-15 Discovision Associates Seek actuator for optical recording
US6069857A (en) 1991-02-15 2000-05-30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having improved circuitry for performing blank sector check on readable disc
US5729511A (en) 1991-02-15 1998-03-17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having servo motor and servo error detection assembly operated relative to monitored quad sum signal
DE4124378A1 (de) * 1991-07-23 1993-01-28 Basf Magnetics Gmbh Verfahren zur automatischen qualitaetsueberwachung von audio-video-programmen, welche auf einem aufzeichnungstraeger aufgezeichnet sind
US5363250A (en) * 1991-07-31 1994-11-08 U.S. Philips Corporation Prerecorded record carrier
JPH06131618A (ja) * 1991-12-27 1994-05-13 Teac Corp 磁気テ−プにおける基準信号の記録再生方法
US5357520A (en) * 1992-01-31 1994-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mpensation value determination in a PRML data channel
GB9203911D0 (en) * 1992-02-24 1992-04-08 Emi Plc Thorn Alignment corresponding segments of a digital signal and a digital reference signal
US5812506A (en) * 1992-04-10 1998-09-22 Wea Manufacturing, Inc. System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 correcting for overshoot in a high frequency (HF) signal generated by a compact disc player during testing of a compact disc
DE69330478T2 (de) * 1992-04-10 2002-05-16 Wea Mfg Inc Compact-Disc-Analysevorrichtung
US5450247A (en) * 1992-11-06 1995-09-12 Future Network, Inc. Simultaneous contact duplication of a plurality of magnetic copy tapes from a single magnetic master tape
US5424881A (en) 1993-02-01 1995-06-13 Cirrus Logic, Inc. Synchronous read channel
US6434087B1 (en) 1995-01-25 2002-08-13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bias coil and light source to process information on a storage medium
US5920539A (en) * 1995-01-25 1999-07-06 Discovision Associates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ression of electromagnetic emissions having a groove on an external surface for passing an electrical conductor
US6091684A (en) * 1995-01-25 2000-07-18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the rotational rate of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5748578A (en) * 1995-01-25 1998-05-05 Discovision Associates Colpitts type oscillator having reduced ringing and improved optical disc system utilizing same
US6269482B1 (en) * 1997-07-14 2001-07-31 Altinex, Inc. Methods of testing electrical signals and compensating for degradation
US5927988A (en) * 1997-12-17 1999-07-27 Jenkins; William 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of sensory and perceptual systems in LLI subjects
US6157505A (en) * 1998-06-19 2000-12-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for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a tape recorder
EP1245118A2 (en) 1999-12-03 2002-10-02 MTI Film LL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inconsistencies in duplicate digital videos
GB2407910B (en) 2003-11-05 2006-07-19 Zoo Digital Group Plc Automated testing of digital content
ITMI20040985A1 (it) * 2004-05-17 2004-08-17 Technicolor S P A Rilevamento automatico di soncronizzazione del suono
WO2007014325A2 (en) * 2005-07-27 2007-02-01 Doug Carson & Associates, Inc. Verifying provenance data associated with digital content
JP2008016128A (ja) * 2006-07-06 2008-01-24 Fujifilm Corp 記録媒体の検査方法、記録媒体の検査装置、記録媒体用ドライブ装置の検査方法及び記録媒体用ドライブ装置の検査装置
CN103747407B (zh) * 2013-12-27 2017-04-12 深圳英飞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fft扫频的音频模块自动化测试方法
CN106154096B (zh) * 2015-04-27 2019-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音频连接线检测方法和装置
CN105548865B (zh) * 2016-01-19 2018-07-06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头模组上电时序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13096694B (zh) * 2019-12-23 2023-02-21 北京声智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终端的播放质量检测方法及电子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84751B (de) * 1959-07-02 1960-07-07 Siemens Ag Einrichtung zur Kontrolle bei der magnetischen Bildaufzeichnung
US3225135A (en) * 1960-06-25 1965-12-21 Fuji Telecast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television tape recording operation
DE1159010B (de) * 1962-12-04 1963-12-12 Telefunken Patent UEberwachungs- und Umschalteinrichtung fuer Verstaerkerstufen in Fernsehsendern
US3485961A (en) * 1966-09-30 1969-12-23 Eastman Kodak Co Control system for re-recorders which senses and compares original and copy records
US3551608A (en) * 1967-04-07 1970-12-29 Bell & Howell Co Discrepancy indicator for record duplicating apparatus
US3576390A (en) * 1968-05-29 1971-04-27 Rca Corp Apparatus for generating test signals useful in measuring television transmission performance without affecting receiver synchronization
US3517305A (en) * 1968-10-22 1970-06-23 Us Navy Magnetic tape tester in which,after comparison with a standard,an erroneous signal is stored for later analysis
US3659044A (en) * 1970-07-31 1972-04-25 Rca Corp Test system for electrical apparatus
DE2049259B1 (de) * 1970-10-07 1972-03-23 Fernseh Gmbh System zur selbsttätigen Prüfung von Video-Studiogeräten
US3864736A (en) * 1973-06-25 1975-02-04 Burroughs Corp Magnetic recording verification
US3879749A (en) * 1973-08-20 1975-04-22 Sencore Inc TV test pattern and method of testing
US4003084A (en) * 1973-11-28 1977-01-11 Nasa Method of and means for testing a tape record/playback system
US3932894A (en) * 1974-03-14 1976-0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ic record member for use with rotating head magnetic recording apparatus
US3938183A (en) * 1974-10-03 1976-02-10 The United States Of Amerci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agnetic tape signature signal injection device
GB1532405A (en) * 1974-11-01 1978-11-15 Indep Broadcasting Authority Television systems
DE2536585C3 (de) * 1975-08-16 1981-04-02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Anordnung zur statistischen Signalanalyse
JPS5231777A (en) * 1975-09-04 1977-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n ratio measuring apparatus
JPS5937784B2 (ja) * 1975-12-20 1984-09-1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ジキテ−プカラノ サイセイシンゴウノシンゴウレベルノ ヘイキンチハンテイホウシキ
JPS52123606A (en) * 1976-04-09 1977-10-18 Sony Corp Recorder/reproducer
DE2650891A1 (de) * 1976-11-06 1978-05-11 Basf Ag Verfahren und anordnungen zur qualitaetskontrolle bei signal-kopieranlagen
GB1604678A (en) * 1978-05-30 1981-12-16 Indep Broadcasting Authority Television systems
DE2827422C3 (de) * 1978-06-22 1985-01-31 Wandel & Goltermann Gmbh & Co, 7412 Eningen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Messen von Kennwerten eines Vierpols, insbesondere einer Datenübertragungsstrecke
JPS5575822A (en) * 1978-12-05 1980-06-07 Niigataken Hydraulic bulging method for metallic container
DE3100472A1 (de) * 1980-01-11 1982-01-28 Independent Broadcasting Authority, London Pruefgeraet und verfahren zur ueberwachung digitaler signale
US4404603A (en) * 1980-05-27 1983-09-13 Warren Eugene D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magnetic tape recorded material for alterations
JPS5733409A (en) * 1980-08-06 1982-02-23 Sony Corp Reproducer of coded signal
US4746991A (en) * 1982-01-12 1988-05-24 Discovision Associates Recording characteristic evaluation of a recording medium with a time sequence of test signals
US4455634A (en) * 1982-01-12 1984-06-19 Discovision Associates Audio/video quality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52535A3 (en) 1985-10-02
EP0309639A2 (en) 1989-04-05
HK20891A (en) 1991-03-28
KR840001716A (ko) 1984-05-16
KR880002667B1 (ko) 1988-12-17
EP0113426A1 (en) 1984-07-18
DE3272153D1 (en) 1986-08-28
US4746991A (en) 1988-05-24
HK15691A (en) 1991-03-15
EP0113425A1 (en) 1984-07-18
EP0116135A1 (en) 1984-08-22
EP0083686B1 (en) 1986-07-23
JPS58120173A (ja) 1983-07-16
ATE37112T1 (de) 1988-09-15
EP0116135B1 (en) 1988-09-07
EP0113425B1 (en) 1988-01-13
EP0117908A1 (en) 1984-09-12
EP0117910A1 (en) 1984-09-12
EP0083686A1 (en) 1983-07-20
ATE31991T1 (de) 1988-01-15
EP0309639A3 (en) 1989-04-12
ATE28713T1 (de) 1987-08-15
ATE28958T1 (de) 1987-08-15
EP0117908B1 (en) 1987-08-12
HK16091A (en) 1991-03-15
ATE29638T1 (de) 1987-09-15
HK30091A (en) 1991-04-26
JPH0711548B2 (ja) 1995-02-08
JP2839058B2 (ja) 1998-12-16
EP0117909A1 (en) 1984-09-12
EP0113426B1 (en) 1987-09-09
HK15491A (en) 1991-03-15
EP0152535A2 (en) 1985-08-28
EP0117910B1 (en) 1987-07-29
HK29991A (en) 1991-04-26
JPH0778423A (ja)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665B1 (ko) 기록매질의 기록특성을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US4455634A (en) Audio/video quality monitoring system
US5126990A (en) Method of evaluating a storage medium by recirculating a test sample of a signal
US4755884A (en) Audio evaluation of information stored on a record medium under control of video picture frame number
US4524444A (en) Analyzing the signal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signal processing unit
US4623837A (en) Audio/video quality monitoring system
US4682246A (en) Characterizing the information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recording medium
US4598324A (en) Audio evaluation under control of video picture frame number
US5001568A (en) Signal evaluation by accumulation at one rate and releasing and testing at a slower rate
US47649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 multiplexed signal on a record medium
KR880002653B1 (ko) 신호처리장치의 신호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KR880002651B1 (ko) 기록 매질의 정보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US5343242A (en) Testing video equipment
KR880002666B1 (ko) 저장기 부재상에 기록된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의 선택된 부분의 오디오 특성을 자동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JPS6050683A (ja) 記録再生装置
KR100190689B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vcr)의 녹화재생검사장치
EP0431859B1 (en) Disc evaluating apparatus
JP2689658B2 (ja) ディスク評価方法
JPS63251987A (ja) 伝送系検査方式
Roome et al. A new approach to the automatic detection of pressing faults on gramophone records
JPH0132563B2 (ko)
JPH06268966A (ja) 画像記録再生装置
JPS63251988A (ja) 伝送系検査方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