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651B1 - 기록 매질의 정보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매질의 정보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651B1
KR880002651B1 KR1019880008796A KR880008796A KR880002651B1 KR 880002651 B1 KR880002651 B1 KR 880002651B1 KR 1019880008796 A KR1019880008796 A KR 1019880008796A KR 880008796 A KR880008796 A KR 880008796A KR 880002651 B1 KR880002651 B1 KR 880002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signal
audio
recording medium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프론 에드워어드
올리버 맥퍼어슨 제이므즈
김영빈
Original Assignee
디스커버젼 어소시에이츠
로늘드 제이 클라아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339,011 external-priority patent/US4746991A/en
Application filed by 디스커버젼 어소시에이츠, 로늘드 제이 클라아크 filed Critical 디스커버젼 어소시에이츠
Priority to KR101988000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8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cord carriers

Landscapes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 매질의 정보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제 1도는 통상의 중앙제어장치가 다수의 인터페이스 부시스템 및 이에 연결된 다수의 오디오/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과 함께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완전한 오디오/비디오 질(質) 통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2도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을 중앙제어장치 대신에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인터페이스 부시스템 겸용 제어장치에 연결시켜서 이것의 제어하에 작동하도록 되어있는 제1도의 변형 블록 다이어그램.
제3도는 다수의 인터페이스 부시스템 및 이에 연결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중의 하나와 중앙제어장치와의 상호 작동 관계를 중심으로 제1도의 오디오/비디오 질 통제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제4도는 제3도의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제5도는 프로그램 물질의 도입부와 도출부의 위치, 오디오 트랙의 위치와 제어 및 큐우 트랙의 위치등을 나타내는 비디오 테이프의 길이방향 설명도.
제6도의 상반부는 비디오 테이프 혹은 비디오 디스크의 도입부와 도출부에서의 오디오 시험용 음조(音調)의 배치를 나타내는 공간적 설명도이며, 하반부는 그 상반부의 각 부분에 해당하는 신호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7도는 비디오 테이프 혹은 비디오 디스크의 도입부와 도출부에 배치시키기 위한 오디오 시험용 음조를 발생시키는 오디오 시험용 음조 발생장치의 논리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 그램.
제8도는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의 오디오 분석 논리부분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블록 다이어그램.
제9도는 오디오 분석 논리, 특히 이 논리의 오디오 제어장치 부분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다이어그램.
제10도는 오디오 분석 논리, 특히 오디오 비디오 선택기, 6734 검파기, 그리고 시간 부호 선택기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제11도는 제8도에 도시된 오디오 분석 논리의 다중 프로그램장치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제12도는 제8도에 도시된 다이어그램에 따라서 오디오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도표.
제13도는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의 작동기능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14도는 색조 버어스트 신호의 직후에 나타나는 수평 귀선소거 펄스의 후방 포오치의 파형에 있어서의 이론적으로 평평한 부분을 나타내는 파형도.
제15도는 비디오 디스크상에서 잡음 특성이 측정될 지점의 분포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16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수평 귀선소거 펄스의 후방 포오치에서의 잡음량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17도는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에 연결된 비디오 분석 논리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블록 다이어그램.
제18도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블록 다이어그램.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평가가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전반적인 공정상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평가가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전반적인 공정상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2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 평가가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전반적인 공정상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지탈 시그내춰 평가가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전반적인 공정상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 제어 장치 2 :오디오/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
3 : 인터페이스 부시스템 4 : 시험중인 장치
5 :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 7 :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
19 :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 21 : 오디오 제어장치
23 : 다중 프로그램장치 25 : 오디오 분석기
27 : 도입부/도출부 스펙트럼 분석기 43 : 활동 프로그램 스팩트럼 분석기
53 : 오디오/비디오 선택기 62 :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
91 : 비교기
본 발명은 오디오 및 (또는) 비디오 정보를 함유하는 장치의 오디오 및 (또는) 비디오 전달특성을 분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록매질상에 기록하거나 재생할 때 혹은 정보 취급장치(이하, 처리장치 라고 함)를 통하여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정보를 전달할때 그 정보 전달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괸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기록매질상에 함유된 정보를 그와 유사한 기록 매질 또는 다른 기록매질로 전달할 때의 질의 평가, 혹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정보가 통과하는 증폭기 및 기타의 신호처리 장치등과 같은 전자식 처리장치의 평가 등에 매우 유효하다.
각종의 전자식 정보 취급 장치에서 여러가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시험을 행하는 기술에 대하여서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미사용의 자기 테이프와 같은 기록매질상에서 특정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시험을 행하여 테이프의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테이프의 품질 및 등급을 결정하는 일, 즉 생산과정에서 테이프의 품질에 따라 등급을 분류하는 기술에 대하여서도 역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생산과정 중에서 미사용의 공테이프에 대하여 샘플 시험을 행하는 것은 단지 기록매질의 자기 특성만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며, 이 시험은 또한 이상적인 기록 및 재생조건 하에서 행하여져서 기록매질 그 자체의 성질만을 나타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시험은 기록매질 그 자체만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미 기록이 완료된 매질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혹은 이것을 다른 매질에 복제시킨 후에 그 평가결과를 상호 비교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서는 아직 알려진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매질의 정보 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다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측정이 시험중인 장치상에서 전자식으로 수행되어 이 허용한계의 이탈상태를 결정함으로써 제조과정에서 이 장치의 합격 또는 불합격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 등급의 시험에 있어서의 주관적인 평가가 배제되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치 평가방법 및 수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지된 내용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입력신호의 선택된 부분에서 선택된 변수들을 측정하고, 이 입력 신호를 시험중인 장치로 보내준 다음, 시험중인 장치로부터 출력신호에서 상기 입력신호의 선택 부분과 동일 부분에서의 동일 변수들을 측정하고, 그후 이들 입력신호의 선택된 변수와 출력신호의 해당 변수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장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내의 "장치 평가"에서 사용된 "장치"라는 용어는 테이프, 디스크, 오디오 레코오드, 전자식 저장장치, 그리고 간단한 집적회로나 프린트 회로판으로부터 대규모의 증폭기들 혹은 기타의 복잡한 정보 취급장치에 이르는 각종의 전자회로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본 발명은 특히 비디오 디스크의 평가에 유용하기 때문에,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장치 평가"라고 하는 특별한 형태의 용어가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디스크 평가"라고 하는 용어는 기록매질(일반적으로)의 분석에 대하여 비디오 디스크로부터 회수된 정보의 분석으로 언급할 것이며, 여기서 디스크상에 기록된 기록매질의 정보는 복사된 것이다. 그러므로, "디스크 평가"가 복제 디스크로부터 회수된 정보를 언급하는 것임에 반해, "테이프 평가"는 원테이프의 내용을 평가하는 것으로 사용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시그내춰"라고 하는 용어를 사용한다. 종래에는 이 "시그내춰"가 시험중인 비교가능한 측정치들이 포함된 각각의 범위를 갖는 다수의 시험용 변수로 이루어지는 한, 시험중인 장치의 동일성의 정도 혹은 "특징"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시그내춰"는 모든 다른 장치들에 비교한 이론적이 아닌 실제적인 모델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중앙제어장치(1) 및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과 각각이 오디오/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2)과, 이 오디오/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2)에 연결된 시험중인 장치(4)로 구성되는 다수의 단자를 가진 완전한 오디오/비디오 질 통제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중앙제어장치(1)의 주변에는 기억장치(13), 키보드(70),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19) 및 데이타 독취장치(64)가 연결되어 있다.
제1도에는 하나의 중앙제어장치(1)에 다수의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이 연결되어 있으나, 제2도에서는 그러한 '중앙화'장치의 대안으로 각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내에 덜 정교하지만 각자의 제어장치가 포함되어 있고, 또한 각자의 기억장치(13), 키보드(70) 및 데이타 독취장취(64)가 있다. 또한 제2도에는 인터페이스 부시스템, 시험용 부시스템 및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등의 장치들 사이의 연결형태가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3도는 제1도의 배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하나의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5),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7) 및 시험중인 장치(4)에 연결된 중앙제어장치(1) 및 그 주변 장치들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지금까지, 시험중인 장치(4)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테이프나 디스크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는 플레이형 장치로서 엄격히 취급되어 왔다. 그러나, 본 명세서내의 "시험중인 장치"라는 용어는 제3도의 시험중인 장치(4) 블록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레코오더/플레이어(11), 디스크 플레이어(9)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등으로 구성되는 보다 복잡한 배열을 지닌다. 디스크 플레이어(9)는 도선(147), (151)을 각각 통하여 비디오 및 비디오 선택기(53)로 내보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데이프 레코오더/플레이어(11)는 도선(149)을 통하여 비디오 신호를, 그리고 도선(153)을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각각 내보낸다. 이후에 설명될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용 도선(151) (153)은 스테레오포닉 또는 2 채널 신호를 위한 2개의 오디오 신호용 도선을 가지고 있다.
작동제어, 즉 정지, 동작, 후진, 급속 전진, 재권취 등은 케이블(133), [제3도에서는 간략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하나의 도선으로 표시하였음]을 통하여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에 있는 작동제어장치(117)에 의해 수행된다. 이 작동 제어장치는 또한 디스크 플레이어(9)나 테이프 레코오더/플레이어(11)로부터 하나의 오디오 채널, 혹은 2개 모두의 오디오 채널, 그리고 하나의 비디오 채널 혹은 2개 모두의 비디오 채널을 선택 하는데 사용된다. 이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는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로부터 도선(58), (118)을 통해 각각 출력된다.
테이프 위치신호는 테이프 플레이어(11)의 데이타 채널 출력선을 통해 출력도며, 오디오 시험용 음조(音調)는 테이프 레코오더(11)에 의해 테이프에 가해지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이후에 도면을 참조하며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테이프 원본이 입수되면 이를 복제하는데, 이와같이 복제된 것은 사본이라고 부르거나 혹은 디스크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준비 테이프라고 부른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첫번째 처리단계는 원본 테이프로부터의 프로그램을 사본용, 즉 준비용 테이프에 옮겨주는 공정이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의 비디오 부분을 준비용 테이프로 전달함과 동시에, 적절한 비디오 시험용 신호는 NTSC 포맷 비디오 신호의 수직간격의 수평주사선들(19,20)상에 삽입된다. 예정된 타이밍을 가진 일련의 오디오 시험용 신호들을 준비용 테이프의 도입부 및 도출부상에서 소정 위치에 기록시킨다. 이들 신호는 테이프 및 테이프로 제작될 디스크에 기록되는 신호의 오디오 질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입부 및 도출부에서의 오디오 시험에 대하여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테이프 플레이어(11)로부터의 데이타 채널신호는 도선(34)을 통해 출력되어 시간 부호 선택장치(51)로 전달되는데, 이 시간 부호 선택장치(51)에는 키보드(70)에 의해 설정되어 중앙제어장치(1)를 통해서 시간부호 레지스터(116)로부터 전달된 시간부호 신호가 또 하나의 입력으로 입력된다. 작동자는 테이프 레코오더(11)상에서 테이프를 재권취시켜서 시험용 음조를 위한 출발위치의 상류에 위치시키고, 도선(133)을 통해 작동제어장치(117)를 동작시켜서 테이프 레코오더를 기록 모우드로 설정한다. 데이타 채널선(34)상의 시간부호 신호가 시간 부호 레지스터(116)로부터의 시간부호와 일치되었을때, 시간 부호 선택장치(51)는 출력 비교신호를 오디오 제어장치(21)로 내보내며, 이 오디오 제어장치(21)는 도선(30)을 통하여 시험용 음조발생기(49)를 시동시켜서 시험용 음조를 테이프 레코오더(11)의 채널 1 및 2에 모두 가하도록 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시험용 음조가 테이프의 도입부에 가하여진 후, 작동자는 테이프를 고속으로 권취하여서 활동 프로그램의 끝부분에 해당하는 점까지 위치시키고, 테이프의 도출부내에서의 상기 프로그램 단부로 부터 최소한 150 프레임 떨어진 지점, 즉 두번째의 시험용 음조를 발생시킬 지점에 맞춘다. 중앙제어장치(1)의 제어하에서 테이프가 활동 프로그램의 끝을 지나가기전에 작동자에 의해 정상 속도로 복귀된다면, 이 프로그램 단부로부터 최소한 150 프레임 떨어진 곳에서 시간부호 선택기(5)에 의해 다시한번 일치됨을 알아내고 테이프 레코오더가 기록 모우드로 전환되고, 시험용 음조 발생기(49)는 오디오 제어장치(21)에 의해 작동되어서 테이프 레코오더(11)에 의해 기록되는 테이프의 채널 1 및 2에 시험용 음조를 가한다.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시험용 음조를 고립 프로그램 부분들 사이, 그리고 도입부 및 도출부내에 삽입함이 시도되어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기록매질의 정보전달 특성을 특징화시키는 방법은 기록매질상에 공지된 내용의 하나 이상의 시험용 신호를 기록함과 동시에 이 신호에 대해 첫번째 측정을 시행하고, 그후 기록매질의 기록내용을 재생시켜서 기록되어 있는 시험용 신호에 대한 두번째 측정을 시행하는 것이다. 종래의 방법에서와 같이 단지 기록매질의 측정특성(예컨대 비디오 테이프의 자기 특성)만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신호 전달의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로서의 "시그내춰"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첫번째 측정결과로부터의 편차 범위는 전술한 두번째 측정에 대한 규정된 허용한계로 설정되고, 첫번째 측정의 결과를 두번째 측정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두번째 측정결과가 첫번째 측정결과로부터의 상기 허용 한계내에 위치하는 가의 여부를 결정한다.
처리장치(예컨대 증폭기, 인쇄 회로판, 마이크로 일레트로닉 칩등)를 검사 할때, 즉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공지된 내용의 입력신호를 발생시켜서 이 입력신호의 선택 부분에서의 선택 변수들을 측정하고, 이 입력신호를 신호처리 장치로 보내어 주고, 이 신호 처리장치로부터 나오는 출력신호에 대해 상기 입력신호에서와 동일한 선택부분에서 상기의 변수들을 측정한 후, 입력신호의 선택 변수들을 이들 출력신호의 해당 변수들과 비교함으로써 신호 처리장치의 신호 전달 특성을 분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출력신호의 변수 측정에 있어서의 허용한계도 역시 입력신호의 선택 부분의 대응 변수 측정치로부터의 편차 범위에 의해 유도된다.
이후에 기술될 신호 처리장치의 신호 전달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은 상기 방법을 약간 변형시킨 것으로서, 정보 저장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시험중인 장치로부터 신속하게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차후의 정보 분석에 제공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실제로, 이 후자의 방법은 공지된 내용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입력신호의 선택부분에서 선택 변수들을 측정하고, 이 입력신호의 측정결과를 저장하여서 이것을 이 입력신호의 선택부분에서의 선택 변수들로 이루어지는 입력신호 저장 시그내춰로 하고, 상기 입력신호를 신호 처리장치로 보내어주고, 이 신호 처리장치로부터 나오는 출력신호에서 상기 입력신호의 선택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에서의 변수들을 측정하고 그후, 이 출력신호의 변수와 해당 입력 시그내춰 변수를 서로 비교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후에 출력신호의 측정결과를 실제 평가하려고 할때에는 상기 분석 방법에 평가단계를 보충하여 주면된다. 즉, 출력신호 측정결과를 저장된 선택 입력 시그내춰 변수들과 비교하기에 앞서 이 출력신호의 측정결과를 저장함으로써 이것을 이 출력신호의 선택부분에서의 선택 변수들로 이루어지는 출력신호 저장 시그내춰로 하며, 그다음 비교단계는 저당된 출력신호 시그내춰를 저장된 입력신호 시그내춰와 비교하는 것으로 구성한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이와같은 특징을 더욱 설명하기로 한다.
6734 초기 음조를 기록하여 단지 하나의 채널(예컨대 2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중에서 채널 2)로 부터만 회수한다. 이 초기 음조는 오디오 시험용 음조열(列)의 시작을 확인시키며,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1)로부터 나온 도선(58) (제3도) 혹은 도선(58-2) (제4도)상의 오디오 신호는 5734 검파기(41)로 보내어진다. 6734 검파기(41)로부터의 출력은 도선(82)을 통하여 오디오 제어장치(21)로 보내지며, 이 오디오 제어장치(21)는 내부처리 제어하에서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5)의 나머지 장치에 모든 기능을 부여한다.
오디오 제어장치(21)는 작동자에 의해 6734 음조 버어스트를 시스템의 인식하기 위한 준비 과정에서 오디오 부시스템 내부에 프로그램을 부과하고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을 작동시키라는 요청을 오디오 부시스템에 보냄으로써 키보드(70), 중앙제어장치(1) 및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에 의해 작동된다.
오디오 시험용 신호가 발생되어 테이프에 가해지면, 테이프 작동자는 SMPTE 시작부호를 가하여서 활동 프로그램의 시작이 시간 및 분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테이프 작동자에 의해 가해진 SMPTE 종료부호는 활동 프로그램의 종료를 시간 및 분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테이프 혹은 디스크 평가를 수행하라는 명령을 작동자가 발하면, 중앙제어장치(1)는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을 통하여 "가능"신호를 도선(18)으로 내보냄으로써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5)내의 오디오 제어장치(21)를 작동가능하게 한다.
그다음 중앙제어장치는 테이프 혹은 디스크를 재권취하여서 처음부터 작동시키라는 지시를 작동자에게 발한다. 중앙제어장치는 SMPTE 시작부호보다 25초가 작은 신호를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에 가하여 이것을 시간부호 레지스터(116)에 부과시킨다. 상기에서 시험용 음조열을 준비용 테이프에 위치시킴에 대하여 설명 하였던 것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시간부호 선택기(51)는 테이프 혹은 디스크의 도입부가 독취되고 있다는 경보를 도선(76)을 통하여 오디오 제어장치(21)에 보낸다. 이리하여 오디오 제어장치(21)가 작동가능하게 되면, 6734 음조 버어스를 검파하여 오디오 제어장치(21)를 시동시킴으로써 도선(30)을 통하여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의 각종 분석기능을 위한 타이밍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선(30)을 통해 나오는 출력 제어신호증의 하나는 제어 및 트리거 신호로서 다중 프로그램장치(23)에 가하여진다. 다중 프로그램장치(23)가 이 제어 및 트리거 신호를 받으면, 이 다음 프로그램장치(23)는 도선(58)상의 세그먼트화되어 있는 오디오 시험용 음조를 디지탈화된 시험용 음조를 기억장치내에 저장하며, 오디오 제어장치(21)의 제어하에서 오디오 시험용 음조의 선택 세그먼트를 연속적인 아날로그 표시로 변환시켜서 이것을 도선(46)을 통해 오디오 신호 분석기(25)로 보내어 일반적인 분석을 수핸시키며, 또한 도입부/도출부 스펙트럼 분석기(27)로도 보내어 시험용 음조의 도입부 및 도출부에 대한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시킨다.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로부터 도선(58)을 통해오는 오디오신호는 활동 프로그램 스펙트럼 분석기(43) 밑 모노/비(非)모노 신호 검사기(62)로 향하며, 전자의 활동 프로그램 스펙트럼 분석기(43)는 활동 프로그램 물질을 선택 부분에서의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하고, 후지의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62)는 2개의 오디오 채널로부터의 2개 오디오 신호가 서로 같은지 다른지를 결정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오디오 부분이 모노포닉인지 비모노포닉인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모노포닉, 스테레오포닉, 혹은 상호 완전히 분리된 오디오 트랙의 형태를 갖는 2개 채널상의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기에 적합하므로, "스테레오"라는 용어는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62)의 작동을 나타내는 것을 아니다.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내의 각 신호 분석 블럭으로부터의 출력은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19)으로 보내어지며, 이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19)은 중앙제어장치(1)를 통한 작동자의 지시에 의하여 오디오 분석의 결과를 통상의 결과와 비교하며(즉, 시그내춰 비교를 수행하며), 이 평가결과를 인쇄기(15) 혹은 시각적 표시장치(17)에 출력한다.
제3도를 참조하면,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로부터 도선(118)을 통해 오는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7)으로 향하며, 이 비디오 신호는 A/D 변환기(123)에 의해 아날로그형으로부터 디지탈형으로 변환되고, 이와같이 변환된 디지탈 신호는 디지탈 기억장치(124)에 의해 저장되어서 비디오 처리장치(125)에서 선택적으로 처리 혹은 분석된다. 따라서 비디오 처리장치(125)의 출력은 회복된 비디오 신호의 비디오 "시그내춰"로서 도선(126)을 통하여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19)으로 보내지며, 이와같이 얻어진 출력 "시그내춰"는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19)내에 저장되어 있던 시그내춰와 비교된 후, 이들 비교의 결과는 인쇄기(15)상에서 인쇄되거나 혹은 표시장치(17)에서 표시된다.
시간부호 선택기(51)로부터의 도선(76)을 통한 프로그램 시작 및 종료신호와 도선(78)을 통한 평가시작신호는 오디오 제어장치(21)를 작동 가능하게 하여 이를 시동시키고, 도선(118)을 통하여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로부터 받아들이는 비디오 신호의 수직 간격으로부터 프레임 시간부호를 디코딩한 결과로서 활동 오디오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도록 한다.
설명의 목적으로,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를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던 용어와 일치시키기 위하여 제5도를 참조하면, 제5도에는 도입부, 도출부, 그리고 이들 사이의 프로그램 물질부분을 갖는 비디오 테이프가 그 길이방향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테이프가 제5도의 오른쪽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하면, 테이프(55)의 시작 단부에는 도입부(57), 이 도입부(57)상의 시험용 음조부분(59) 및 도입부에 대한 보호부(65)가 있으며, 그후에 프로그램 물질부분(67)이 이어진다. 도입부상의 시험용 음조부분(59)은 2개 트랙의 오디오 시험용 음조로, 즉 제1트랙(61) 및 제2트랙(63)으로 구성된다.
이와 대칭적으로, 프로그램 물질부분(67)의 이후에는 도출부 보호부분(65')이 있고, 또 그 이후에는 제1오디오 트랙(61') 및 제2오디오 트랙(63')으로 구성되는 시험용 음조부분(59'), 그리고 테이프 말단부에 이어지는 도출부(57')가 있다.
점선(66)은 제어트랙으로서, 시간부호 프레임수, 편집 데이타, 추가 오디오 신호 등을 포함하는 각종의 신호를 녹음시키기 위한 큐우 트랙(68) 및 재생시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을 동기시키는데 사용되는 제어트랙을 도시한 것이다.
제6도를 참조하면, 오디오 신호의 질을 판정하기 위한 통상의 측정들을 행하기 위하여, 적절한 시험용 신호의 세그먼트화된 신호열이 준비용 테이프의 도입부 및 도출부에 모두 기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시험용 음조를 테이프의 2개 오디오 채널에 모두 기록하고, 제6도의 수직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2개 오디오 채널의 대응부분에 12개의 수직 프레임 시간을 점유시킨다. 채널 2에서 12개 프레임 동안 진행되는 시험용 음조는 6734 시험용 음조 위치 신호이다.
제6도의 상반부는 2개 오디오 채널(61), (63)을 도시한 것으로 각 오디오 채널에서 각각의 프레임 시간동안 함유된 형태의 신호를 문자로 표시한 것이다. 제6도의 하반부는 그 상반부에 나타난 신호들의 대략적인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오디오 시험용 음조열의 제1세그먼트 내용을 분석하였을때, 위상, 진폭, 신호 대 잡음비(SN 비) 및 고조파 왜곡에 대한 측정이 취해진다. 세그먼트 2 및 3에 있어서 2개 채널중 한쪽에는 1KHz의 신호가, 그리고 다른쪽에는 이와 동시에 DC 신호(즉, 신호가 없음)가 나타나기 때문에 세그먼트 2 및 3에서는 상호간의 누화 측정이 취해진다.
세그먼트 4 및 7에서는 각 채널이 모두 DC 레벨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시간구간에서는 잡음 레벨 측정이 취해진다.
세그먼트 5 및 6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60Hz 음조와 7KHz 음조의 총합 형태가 나타나며, 적절한 시험 장치에서 분석을 행하면 기록 및 재생 과정을 통한 혼변조 왜곡을 알아낼 수 있다.
그리고, 세그먼트 8 내지 12에는 넓은 범위의 주파수(즉, 20Hz-20KHz)에걸쳐 연속적으로 스위프하는 오디오 음조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부분에서 회수된 시험용 음조를 분석하면 전달특성의 주파수 응답을 알 수 잇다.
본 발명의 목적상, 기록/재생처리에 연관된 전자장치에 대한 영향은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한다.
제7도에는 오디오 시험용 음조를 발생하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 나타나 있다. 시험용 음조 발생기(49)에는 6734 발생기(73), 1KHz 음조 발생기, 7KHz 음조발생기, 스위프 발생기(81) 및 DC 전원(83)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기능 발생기를 가지고 있다.
시험용 음조의 기록과정에 있어서는, 키보드 작동자의 명령에 따라서 가능신호가 도선(18)을 통하여 오디오 제어장치(21)로 보내진다. 테이프는 재권취되어 동작 상태로 돌입하여, 이에 의해 중앙제어장치(1)로부터 전달된 SMPTE 부호는 도입부 위치 레지스터(87)에 전해져서 도선(86)을 통해 비교기(91)로 보내진다. 테이프가 동작 상태로 진행함에 따라 위치 탐지기(85)는 데이타 채널 테이프 레코오더(11)로부터의 SMPTE 시간부호를 독취하여서 이와같이 탐지된 위치정보를 도선에(84)을 통하여 역시 비교기(91)로 보낸다. 오디오 제어장치(21)가 작동가능하게 된 후, 이 오디오 제어장치(21)는 위치 탐지기(85)에 의해 탐지된 현재의 위치와 도입부 시험용 음조 신호가 가하여질 소정 위치(도입부 위치 레지스터(87)로부터 얻은 위치 정보)의 사이의 대응 여부에 관한 탐지결과를 문의한다. 비교결과가 나타날 경우에는, 도선(28)을 통한 비교기(91)의 출력은 뒤이어 오디오 제어장치(21)의 제어하에서 멀티플렉서의 작동을 개시킨다. 기본적으로, 오디오 제어장치(21)는 멀티플렉서(71)에 시호를 공급하는 하나 혹은 2개의 기능 발생기를 도선(72)을 통해 선택적으로, 그리고 비디오 수직 반복율로써 작동가능하게 한다. 그다음, 멀티플렉시(71)는 선택된 기능 발생기들의 출력을 가산하며,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소기의 조합을 출력하여 도선(76), (78)을 통하여 테이프 레코오더(11)의 입력 채널 1 및 2로 보내어진다.
비교신호가 도선(28)상에서 탐지됨과 동시에, 오디오 제어장치(21)는 도선(80)을 통하여 기록가능신호를 테이프 레코오더(11)로 출력하며, 따라서 레코오더는 동작 상태로부터 기록 상태로 변화되고, 이에 의해 각각의 오디오 채널상에는 제6도에 도시된 형태와 같은 오디오 시험용 음조가 위치하게 된다.
테이프 레코오더(11)의 전진, 후진, 동작, 정지 작동에 대한 제어는 케이블(133)내의 도선을 통한 오디오제어장치(21)의 제어하에서 이루어진다. 제7도에는 작동자의 키보드 명령을 오디오 제어장치에 전달하여 테이프 레코오더(11)의 각종 기능를 나타나게 하는 중앙제어장치(1),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 및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5) 사이의 연관 관계가 나타나 있지 않으나, 이들은 공지된 바와 같은 각종 형태의 제어 연결방식이 가능하다.
제8도에는 오디오 분석 논리의 일반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 나타나 있다. 제3도와 함께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디스크 플레이어(9) 및 테이프 레코오더/플레이어(11)는 모두 오디오 선택기(53) [오디오. 비디오 선택기(53)의 오디오 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디스크 플레이어(9)의2개 오디오 출력은 도선(32)을 통하고, 테이프 플레이어(11)로부터의 2개 채널신호는 도선(16)을 통한다. 오디오 선택기(53)로부터의 오디오 채널 1신호 및 2신호는 도선(58-1) (채널 2)을 통한다. 이때 제6도의 파형과 일치하는 오디오 채널 2신호만이 6734 검파기(41)로 보내진다. 도선(58-1)상의 오디오 신호는 A/D 변환기(37)로 보내져서 디지탈화된 후, 도선(36)을 통해 디지탈화 시험용 음조 기억장치(33)로 보내져서 이곳에 저장된다. 오디오 제어장치(21)의 제어하에서, 도선(30)상의 제어 및 트리거신호는 재순환 제어 및 클럭기(99-1)를 작동시켜서 디지탈화 시험용 음조 기억장치(33)내의 선택된 시험용 음조 세그먼트를 재순환시키며, 이와같이 선택된 시험용 음조 세그먼트를 도선(38)을 통해 연속적 방식으로 D/A 변환기(39)로 내보낸다. 그후, 앞서 간단히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시험용 음조는 연속적인 형태로 되어 도선(46)을 통해 오디오 신호 분석기(25) 및 도입부/도출부 스펙트럼 분석기(27)로 향한다. 이들 분석기(25) (27)의 출력은 도선(48) (50)을 통하여 오디오 분석 기억장치(47)로 보내진다. 이 오디오 분석 기억장치(47)내의 기억기(45)는, 오디오 제어장치(21)의 제어하에서 도선(30)을 통해 예정된 타이밍 방식으로, 멀티플렉서(42)의 출력을 받아들이는 기억 기록 게이트(44)에 의해, 정보를 기록된 형태로 함유한다. 따라서, 멀티플렉서(42)에 대한 모든 입력은 일련으로 작동하여 기억기(45)에 저장된 후에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에 의해 평가된다.
분석될 오디오 시험용 음조를 회수하기 위한 도입부 및 도출부내에서의 적절한 위치분석은, 도입부 및 도출부에서의 적절한 프레임수가 탐지되었을때 비교기(19)로부터의 신호를 도선(28)상에 내보냄으로써 제어된다.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이 테이프를 분석하던지 혹은 디스크를 분석하던지 간에, 위치 탐지기(85)는 도선(34a) 및 도선(118)을 각각 통해 현재위치에 관한 데이타를 받아들인다. 비교기(95), (91)는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즉, 테이프 혹은 디스크의 소기의 위치를 위치 레지스터에 저장시켜 놓고, 오디오 제어장치(21)의 일치점에서 오디오 제어장치(21)를 작동가능하게 하는 현재 위치 데이타와 상기 레시스터내의 내용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들 비교기(91) (95)는 오디오 분석을 수행함에 있어서, 약간 상이한 기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제8도에는 이들 비교기(91) (95)를 별도로 도시하였다.
즉, 비교기(95)는 활동 프로그램 물질의 오디오 정보내에 포함된 시간부호의 비교를 실시함으로써 활동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시험이 수행될 프로그램물질 내용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점, 프로그램 종료점 및 각종의 지점을 확인한다. 그 반면에, 테이프 혹은 디스크의 도입부 및 도출부내에는 비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교기(91)는 테이프 및 디스크 플레이어의 데이타 채널 송신 혹은 오디오 송신 신호로 부터의 SMPTE 시간부호 탐지에 의존하여야만 한다.
도입부 분석이 완료된 후,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은 활동 프로그램이 작동화는 동안에 소정 시간 간격을 갖고 활동 오디오 프로그램 물질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다. 이때 비교기(95)는 비디오 신호의 수직 소거기간으로부터 현재위치 데이타를 받으며, 위치 레지스터(109)는 현재위치와의 일치가 이루어졌을 경우에 프로그램 시작신호를 오디오 제어장치(21)로 내보내서 오디오 제어장치가 차후의 활동 프로그램 분석제어에 대응 할 수 있도록 한다. 오디오 신호의 분석이 행하여질 활동 프로그램내외 첫번째 소정위치에서, 평가시작 위치 레지스터(111)는 위치정보를 위치 탐지기(85)로부터의 현재위치와 일치시키며, 비교기(95)는 도선(78)을 통한 평가 시작신호를 오디오 제어장치(21)로 내보낸다. 이때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의 2개의 추가적 오디오 분석기능의 제어는 오디오 제어장치(21)의 제어하에서 제어 도선(30) (제8도)을 통해 시작된다.
오디오 선택기(53)로부터 나오는 재생장치의 2개 채널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활동 프로그램 2채널 스펙트럼 분석기(43)로 도입된다. 활동 프로그램 분석기(43)에는 2개의 분석기 어레이가 있는데, 즉 오디오 채널 1개씩에 대하여 1개의 어레이가 있다. 활동 프로그램 물질내에서 분석될 오디오 신호는 연속적인 것이므로, 테이프 혹은 디스크의 도입부 및 도출부에서의 짧은 세그먼트 지속시간을 갖는 시험용 음조에서와 같이 다중 프로그램장치(23)내에서 이들 오디오 세그먼트를 디지탈화하거나 재순환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활동 프로그램 스펙트럼 분석기(43)로 도입되는 오디오 신호는 재생장치로부터 곧바로 선택된 오디오 신호이다.
활동 프로그램 스펙트럼 분석기(43)의 어레이 1(113) 및 어레이 2(115)는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즉, 각각의 오디오 채널로부터의 45초 오디오 파형이 얻어져서, 각 채널에 대해 128개의 개별적인 주파수 점을 갖는 2개의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변형된다. 주파수 간격은 200Hz의 주파수 증분을 가지며, 각 점에서 분석된 값은 데시빌(dB)로 표시된다. 각 샘플에서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독특한 오디오 "인쇄"를 나타내며, 각 채널에서의 128개의 지점은 도선(56) (60)에 각각 포함된 값을 갖고, 이들 값은 멀티플렉서(42)내에서 다른 분석기의 신호와 멀티플렉싱되어서 최종적으로 기억기(45)내에 저장된다.
"시그내춰"의 다른 부분, 즉 멀티플렉서(42)에 대한 다른 입력은 프로그램의 오디오 부분이 모노포닉이가 혹은 비(非) 모노포닉인가를 나타내는 도선(54)상의 신호이다. 이 신호는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62)내에서 발생된다. 채널 1 및 채널 2의 오디오 신호는 도선(58-1) (58-2)을 각각 통하여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62)에 의해 수신되며, 이들 2개의 신호는 진폭 비교기(105)내에서 상호 비교된다. 모노/비모노 시험은 테이프 혹은 디스크의 활동 프로그램 전체에 걸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시행된다. 각 시험은 65,536개의 측정으로 구성되며, 각 측정은 1밀리초의 간격을 두고 행하여 진다.
블럭(62)은 모노/비모노 검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62)내에서는 2개 오디오 채널 신호의 진폭이 진폭 비교기(105)에 의해 연속적으로 비교된 후에 그 차이가 도선(84)으로 내보내진다. 만약 진폭이 상호 5%이내의 차이밖에 없다면 한계치 탐지기(107)는 도선(84)상의 신호에 대해 반응하지 않으므로 도선(86)상에는 출력이 나타나지 않고 1KHz 클럭기(103)의 클럭신호가 도선(88)을 통하여 모노/비모노 계수기(101)에 가하여진다. 도선(86)상에 입력이 없으면, 즉 양측 오디오 채널상의 오디오 신호 진폭이 상호 5%이내의 차이가 있다면, 모노/비모노 계수기(10)는 1계수만큼 증가하게 된다. 1KHz 클럭기(103)의 클럭신호의 펄스 반복 주파수에 의해 정해지는 시간인 1밀리초 후에, 상기 진폭이 역시 5%이내의 차이에 있다면 모노/비모노 계수기(101)는 또 다시 1계수 만큼 증가한다. 이러한 과정은 2개 오디오 채널신호의 진폭측정치의 차이가 5% 이상이 될 때까지 계속되며, 5%이상이 될 때에는 한계치 탐지기(107)가 도선(86)상에 단위 파형을 내보냄으로써 모노/비모노 계수기(101)가 1계수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65,536개의 클록 펄스까지 모노/비모노 계수기(101)의 계수증가 혹은 계수비증가가 완료된 후에, 축적된 계수는 도선(54)을 통해 멀티플렉서(42)로 보내지며, 기억 기록 게이트(44)에 의해 기억기(45)에 저장되어서 시험된 장치를 위한 "시그내춰"의 일부로 된다.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에 의한 분석을 인쇄함에 있어서, 도선(54)상의 계수가 많을수록(즉, 계수 누계가 65536에 근접할수록) 2개 오디오 채널상의 오디오 신호가 동일하다(즉, 오디오 프로그램이 모노포닉이다)라고 할 수 있음은 분명하다.
모노/비모노 검사기(62)의 변형이 1KHz 클록기(103)로부터 진폭비교기(105)로 향하는 점선(886)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 채널(58-1) (58-2)상에 있는 오디오 신호의 진폭이 연속적으로 비교되는 것이 아니라 1KHz 클록기의 게이팅 작동하에서, 즉 1밀리초마다 비교된다. 이때 진폭 비교기(105)는 2개 오디오 입력선(58-1) (582-2)의 신호의 진폭이 상호 5%이내의 차이가 있을 경우에 출력펄스가 도선(84)을 통해 한계치 탐지기(107)로 내보내지도록 배치된다. 한계치 탐지기(107)의 출력은 2개 오디오 채널 신호의 진폭 차이가 5% 이내이면 단의 출력이고, 상기 차이가 5% 이상이면 직류의 출력이다. 진폭 비교기(105)는 1KHz의 주파수로 클럭되기 때문에 한계치 탐지기(107)로부터의 최대 주파수 단위 신호도 역시 1KHz이며, 스테레오 포닉 또는 비모노포닉 프로그램이 존재할 때 모노/비모노 계수기(101)의 증가가 작다. 또한, 비교기(105)에 의해 65536번의 진폭비교가 이루어졌다면, 이 실시예에 의한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는 단지 2개 오디오 채널 신호로부터의 샘플의 진폭이 상호 5%의 허용한계내에 있었던 횟수만을 나타냄으로써, 2개 채널상의 신호들이 그 정보 내용에 있어서 서로 유사한 것인가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제9도는 오디오 제어장치(21)에 대한 상세한 다이어그램으로서, 이 오디오 제어장치(21)가 기본적으로 처리장치(29) 및 ROM(31)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ROM(31)은 예컨대 테이프 카셋트, 마이크로칩내의 경선기억 혹은 연소 기억 등과 같은 각종 형태의 기억을 모두 취할 수 있다. 기억장치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오디오 제어장치의 제어기능을 중앙 제어장치(1) 및 (또는) 인터페이스부시스템과 도선(18)에 의해 상술한 방식으로 작동가능하도록 설정시키려는 것이며, 처리장치(29)는 자신이 받아들인 신호에 따라 ROM을 동작시켜서 이 ROM(31)이 처리장치(29)로 하여금 도선(30) (실제로 다수의 신호 도선들)을 통해 제어논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10도에는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와 시간부호 선택기(51)에 연결되어 있는 신호 경로가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내에 6734음조 혹은 부호 신호라고 기술되어 있는 도입부 및 도출부 확인신호는 간단한 시스템 내에서는 테이프 혹은 디스크의 도입부 및 도출부의 시험용 음조열(列)을 진랭시키는 1화상 프레임 시간동안 지속되는 6734Hz등의 비정규 주파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더욱 양호한 확인 신호로서는 예컨대 6,7,3,4와 같은 숫자열로 된 부호의 형태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호는 6734의 수열로된 자기 클록킹(selt-clocking)의 디지탈 부호로서, 모든 실용적인 목적상 테이프 혹은 디스크로부터 무작위하게 회수된 기타의 모든 신호가 이확인신호내에 나타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부호화된 숫자들은 2개 구형파 공급원 음조 사이에서 상호 스위칭 됨으로써 2진수의 형태로 표시되는데, 즉 1 및 0의 2진 상태에 따라서 각각 1KHz의 음조 및 2.5KHz의 음조로 나타난다. 6734검파기(41)에 의해 검파가 이루어지면, KHz 음조에 의한 전이는 논리 1로 해석되며, 반면 2.5KHz 음조에 의한 전이는 논리 0로 해석된다. 6,7,3,4를 2진 표시로 구성한 1 및 0의 적절한 조합을 검파하면, 6734검파기(41)는 "일치"신호를 내보냄으로써 도입부 및 도출부 시험용 신호열이 뒤따르게 됨을 통보한다.
이상에서 오디오 프로그램 물질을 처리, 분석 및 평가함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활동 오디오가 분석될 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서는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내에서 비디오 신호를 이용하며, 이러한 정보는 비디오 신호의 수직 간격내의 프레임 수 부호로부터 얻는다. 따라서, 디스크 플레이어로부터의 도선(147)상의 비디오 신호 및 테이프 플레이어로부터의 도선(149)상의 비디오 신호는 오디오/비디오 선택기(53)로 향하며, 이때 디스크 혹은 테이프중의 어떤 프로그램이 분석될 것인가에 따라서, 도선(118)상의 비디오 출력신호는 시간부호 선택기(51)로 향한다. 인터페이스 부시스템으로부터 나온 도선(18-2)상의 소정 프레임 부호가 시간 부호 선택기(51)내에서 비디오 프레임수 부호와 비교되면, 활동 비디오 프로그램의 첫번째 프레임이 소정 프레임 수 부호와 일치함에 따라서 "프로그램시작" 신호가 도선(76)상에 발생되며, 이어서 프로그램의 활동 오디오 부분을 분석할 소정지점이 소정 프레임 부호와 일치함에 따라서 "평가 시작"신호가 도선 (78)상에 발생된다. 오디오 분석이 대부분의 프로그램 길이에 비하여 짧은 기간내에 이루어지기 때문에(예컨대 스펙트럼 분석은 45초,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는 65.5초), 시간부호 선택기(51)가 받아들이는 도선(18-2)상의 다수의 소정 프레임 부호는 상호 간격을 둔 다수의 "평가시작" 신호를 도선(78)상에 발생시킨다.
제11도에는 다중 프로그램장치(23)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 다중 프로그램 장치(23)의 목적은 프로그램의 도입부 및 도출부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도선(58)을 통해 수신하여서 연속적인 오디오 신호를 도선(46)을 통해 내보내려는 것이다. 이 다중 프로그램 장치는 또한 도선(30)을 통해 제어 및 트리거 신호를 받아들여서 다중 프로그램장치의 내부 작동을 동기화시키며, 1밀리초의 타이밍 신호로서의 1KHz 클록신호를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62)로 내보낸다.
세그먼트화된 오디오 시험용 신호열은 도선(58)을 통해 수신되며, A/D 변환기(37)에 의해 디지탈 형태로 변환된다. 6734 검파기(41)내에서 6734음조가 감지되면, 오디오 제어장치(21)는 도선(30)을 따라 제어 및 트리거 신호를 프로그램 저장기(35), A/D 변환기(37) 및 타이머(103)로 보낸다.
프로그램 저장기(35)에 대한 제어는 다중 프로그램 장치의 내부 프로그램을 단지 리세트,시키기만 함으로써 오디오 신호가 적절한 시간에 획득, 재순환 및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준다. 펄스 발생기(97) 및 타이머(103)로 향하는 도선(30)상의 트리거신호는 6734시작음조가 검파되었을 때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펄스 발생기(97)는 32KHz의 구형파를 내보내서 A/D 변환기(37)를 작동시키며, 타이머(103)는 64KHz의 구형파를 내보내서 AD/A 변환기(39)내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타이밍을 제공한다. 도선(88a)상의 1KHz 클록 출력신호는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62)에 대한 기본 타이밍 공급원이다. 다시 말해서, 제8도의 1KHz 클록회로(103)는 모노/비모노 신호 검사기(62)내에서 분배될 클록신호를 성형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은 형태의 디지탈화 펄스에 의하여, A/D 변환기(37)는 도선(58)상의 실시간(real-time)오디오 수신신호를 변환시켜 이것을 디지탈화 시험용 음조 기억장치(33)내에 저장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6734 시작음조에 이어서 12개 세그먼트의 오디오 시험용 음조가 다중 프로그램장치(23)에 가해지며, 이들 12개의 모든 프레임은 1초당 30프레임의 속도로 0.4초만에 디지탈화 시험용 음조 기억장치(33)내에 기록된다.
도입부 및 도출부에서의 오디오 시험용 음조열의 연속적 형태의 각 세그먼트를 분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저장기(35)는 오디오 제어장치(21)의 제어하에서 오디오 시험용 음조열의 각 세그먼트를 차례대로 회수하여서 이것을 재순환 제어 및 클럭기(33)의 제어하에 도선(80)을 통해 재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선택된 연속적인 형태의 특정한 세그먼트가 도선(38)으로 내보내지도록 한다. 타이머(103)에 의해 타이밍 조절된 D/A 변환기(39)는 선택된 연속적인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시험용 음조 세그먼트를 도선(46)으로 내보냄으로써 제4도와 제8도에 도시된 오디오 신호 분석기(25) 및 도입부/도출부 스펙트럼 분석기(27)에 의한 분석이 행하여지도록 한다.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의 기능은 상기 도면내의 회로 블록사이의 신호 경로와 함께 설명된 바 있다. 제12도는 상기 신호 경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금까지 도시됨이 없이 설명된 각종 신호에 대한 타이밍 분석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2도에는 채널 1의 오디오 신호 파형(90) 및 채널 2의 오디오 신호 파형(92)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테이프 혹은 디스크의 시작단부는 제12도의 좌측이다. 채널 1 및 채널 2신호 파형내에는 도입부에서의 시험용 음조, 그후의 프로그램물질, 그리고 그후의 도출부에서의 시험용 음조가 도시되어 있다.
분석에 적합하지 않을 정도로 너무 빠른 속도를 갖는 기록매질로부터는 단지 도입부 및 도출부 시험용 음조만이 얻어지기 때문에, 차후의 분석에 있어서는 단지 이들 시험용 신호만이 디지탈화, 저장, 그리고 회수된다. 따라서, 디지탈 오디오 신호의 파형(94)은 다중 프로그램 장치(23)가 단지 도입부 및 도출부의 영역 내에서만 오디오 제어장치(21)의 제어하에서 디지탈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물질의 분석은 실시간동안 수행되며, 디지탈화를 위한 기술이 가해질 필요는 없다.
"프로그램 시작"신호 파형(96)은 프로그램 물질의 첫부분에 하나의 펄스로서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펄스는 오디오 제어장치(21)로 보내져서 내부 오디오 처리장치를 클리어 및 리세트시킴으로써, 활동 오디오 샘플의 분석에 대비하도록 한다.
반면에, "평가 시작"신호의 파형(98)은 전체의 프로그램 물질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발생한다(제12도에는 단지 하나의 예로서 4개의 펄스만을 도시하였음). 가장 긴 분석시간은 약 56.2초이므로, "평가시작"신호 파형은 이와 같거나 혹은 이보다 약간 낮은 비율로 발생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제12도는 프로그램 물질의 시작단부에서의 "평가시작" 펄스를 나타내며, 그 결과 모노/비모노 계수기(101) (제8도)로부터의 계수가 누적되기 시작한다. 모노/비모노 계수기 신호 파형(100a)은 1KHz 주파수에서 발생되는 다수의 계수를 나타내며, 만약 오디오 채널 1 및 2에 모두 이론적인 모노포닉 신호가 기록되었다면. 655536개의 샘플의 대부분 혹은 모두가 나타나게 됨으로써, 2개 오디오 채널상에 모노포닉 프로그램이 존재함을 알려준다. 반면, 모노/비모노 계수기 신호 파형(100b)은 2개 채널상에서 비모노 오디오 프로그램을 획득하여 분석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1KHz의 펄스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서 65.536초후에 누적된 계수 펄스의 수가 적고, 따라서 2개 오디오 채널상에 비모노포닉 프로그램이 존재함을 알게 된다. 모노/비모노 계수기 신호 파형(100a), (100b)내의 펄스(102a) (102b)는 오실로스코우프상에 나타난 실제의 파형을 도시의 편의상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에 불과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오디오 제어장치(21)는 도선(80)을 통하여 모노/비모노 계수기(101)에 가해지는 "계수 누계 보존 및 클리어 계수"펄스(106)의 파형(104)을 발생시켜서, 누적된 계수가 도선(54)을 통해 출력하여 오디오 분석 기억장치(47)에서 분석될 수 있도록 한다(제8도 참조).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오디오 제어장치(21)는 도시된 채널 1 및 2에서 200Hz씩의 증분을 갖는 누적 스펙트럼 인쇄 파형(108)과 같은 약 45초의 작동가능 펄스(110)를 발생시켜서 활동 프로그램 스펙트럼 분석기(43)를 작동시키고, 45초의 작동 가능 펄스(110)가 이후의 이완시간 동안에는 도시된 채널 1 및 2에서의 스펙트럼 인쇄 보전 파형(112)의 펄스(114)가 활동 프로그램 스펙트럼 분석기(43)로 하여금 그 시험결과를 내보내도록 하는데, 이러한 결과는 평가후의 시그네춰의 일부로 "스펙트럼 인쇄"로 기술되어 잇다.
제13도에는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이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7)은 근본적으로 2개의 논리장치, 즉 획득장치(119) 및 비디오 처리장치(125)로 이루어진다. 획득장치(119)는 제어된 방식으로 비디오 신호를 획득하여서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를 A/D변환기(123)내에서 디지탈 값으로 변환시키고, 이와같은 디지탈 신호를 도선(130)을 통해 디지탈 기억장치(124)내에 저장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신호를 도선(130)을 통해 디지탈 기억장치(124)내에 저장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기억장치(124)는 32K바이트(byte)의 획득 기억용량을 가지며, 따라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은 8비트 바이트 단위를 가진다. 프레임내의 525선들중의 하나는 910변환 또는 바이트로 표시되며 실시간중에 변환되는데, 각 화상 수평선은 그 지속시간이 63.5밀리초이다. 비디오 시험용 신호는 수직 간격중 수평주사선(19) 및 수평주사선(20)내에서 인코드 되며, 비디오 처리장치(125)의 프로그램 제어하에서 하나의 프레임으로부터 혹은 연속적인 레임들로부터의 선택된 선 혹은 이들 선의 일부분은 32K바이트의 획득 저장이 충만될 때까지 변환되고 저장된다.
획득장치(119)의 제어 및 획득된 데이타의 계산은 비디오 처리장치(125)에 의해 수행된다. 비디오 처리장치(125)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컴퓨터(120), 처리저장기(121) 및 실시간 클록기(122)로 구성된다. 선택된 비디오 시험용 신호를 획득하여 저장한 후에,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으로부터 제어도선(135)을 통해 비디오 처리장치(125)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오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에 있어서와 유사한 제어방식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 컴퓨터(120)는 디지탈화되어 저장된 비디오 시험용 신호를 도선(127)을 통해 디지탈 기억장치(124)로부터 잔달되도록 도선(128)을 통해 호출한다. 도선(129)을 통한 실시간 클록기(122)로부터의 시간에 근거를 두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컴퓨터(120) 및 처리저장기(121)는 상호 동작을 하여서, 처리되는 아날로그 평가 비디오 시험용 신호 또는 이 신호의 일부분을 도선(126)을 통해 출력하며, 이 신호를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으로 진행시킴으로써 평가되는 테이프 혹은 디스크의 "시그나춰"의 일부가 되도록 한다.
통상의 NTSC비디오 신호내에서 비디오 화상 정보를 재현시키는 수평주사선(20)은 상술한 비디오 시험용 신흐를 함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합성 VITS시험용 신호는 필드 1, 수평주사선(20)에서 각 프레임내에 위치되어 있으며, 적절한 측정장치에서 약 15종류의 서로 다른 비디오 변수가 측정될 수 있다. 조합 VITS비디오 시험용 신호는 필드 2, 수평주사선(20)에서 각 프레임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약 11종류의 측정가능한 변수들이 있다. 또한, VIRS시험용 신호는 양측 수직 필드내의 수평주사선(19)에서 각 프레임내에 위치되어 있으며, 약 9종류의 또 다른 측정가능한 변수들이 있다. 최근의 비디오 시험장치는 실질적으로 모든 VITS 및 VIRS시험용 신호들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의 수직 간격중에 보통 수행되는 잡음시험에 관해서는 예외이다. 잡음 레벨을 평가하기 위한 통상의 시험방법은, 이론적으로는 약 4마이크로초 동안 레벨을 유지하는 수평동기 펄스동안 잡음 편차의 정부간(正負間)진폭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비디오 디스크상에서, 특히 일정 각 속도(CAV)의 형태를 사용하는 비디오 디스크 상에서, 만약 수직 간격 동안에만 잡음시험을 행하였다면 디스크 표면적중의 매우 작은 비율만이 잡음 측정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15도에는 수직 간격에 해당하는 2개의 V자형 부분(207)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점선(208)은 디스크가 시계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하였을 때에 잡음 측정이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지점, 즉 각 수직 간격내의 주어진 선수(線數)에서 주어진 수평 동기 팁(tip)상의 지점을 나타낸다. 잡음시험이 비록 하나 건너씩의 필드시이의 수직 간격동안 행하여진다고 하더라도, 제15도를 참조하면 디스크의 매우 가느다란 부분만이 잡음시험에 의해 평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리고 비디오 디스크 상에서의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중의 하나에 맞도록, 본 발명에 의한 잡음 시험은 각 비디오 프로그램의 어떠한 바람직한 부분에서도 그 부분의 수평 귀선소거 펄스에 대해 행하여진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색조 버어스트(180)에 이어지는 수평 귀선소거 펄스의 후방 포오치(201)는 시구간(202)동안 이론적으로는 평평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구간(202)동안 잡음 평가가 행하여지며, 이와같은 평가는 각각의 수평 귀선소거 펄스상에서 행하여지기 때문에 디스크의 거의 전체 영역이 잡음에 관한 시험을 받게 되고, 이때 잡음 형태는 제15도에서의 반경방향 점선(208)이 아닌 각각의 데쉬라인(209)으로부터 취해진다. 제15도에는 단지 2열의 데쉬라인(209)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약 54,000회전의 데쉬라인(209)이 나타나게 되고, 따라서 수직 간격 외부의 디스크상에 어떠한 결점이 존재하더라도 이것은 잡음 측정에 의해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단 하나의 수평동기 팁(200)에서만 그리고 수직 간격의 발생시에만 잡음시험을 행하였던 종래의 통상적인 잡음 시험법에 비하여 비디오 질을 확인하는 실질적인 진보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6도에는 상술한 바와같은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독자적인 잡음시험을 행하기 위한 회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제16도에서는 제13도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제16도의 잡음 시험장치에 있어서, 도선(118)을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는 A/D변환기(123)에서 디지탈화되어서 샘플 홀드회로(137)로 향한다. 샘플/홀드 회로(137)는 파형부(202) (제14도 참조)를 8개 샘플로 형성시켜서, 그 결과를 디지탈 기억장치(124)내에 저장시킨다. 잡음 시험 데이타의 처리는 비디오 신호의 개별적인 필드내에서 수행된다. 이때, 샘플/홀드회로(137)의 샘플링을 위하여서는 인접한 수평 귀선소거 신호들의 동일 부분을 샘플할 필요가 있으므로, 단지 수직 간격 외부의 수평 귀선소거 신호에 대하여서만 잡음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잡음시험 측정을 위하여서는 1개 프레임당 약 480선이 샘플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필드 1의 비디오 신호는 평균치 탐지기(139-1)로 보내어지며, 이 평균치 탐지기(139-1)는 8개 샘플의 평균치를 계산하고, 한편 차이 검출기(141-1)는 이 평균치로부터의 변동을 출력하여 평균화 회로(152)로 내보낸다. 이와 마찬가지로, 필드 2의잡음 샘플은 차이 검출기(139-2)로 보내어지며, 이 평균치로부터의 변동은 차이 검출기(141-2)에 의해 탐지되어서 평균화 회로(152)로 보내진다. 이와같은 2개 잡음 형태로부터의 평균치는 송신되는 측정 데이타로서 도선(126)을 통하여 내보내지며, 이 측정데이타는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겠음)으로 보내진다.
제17도에는 비디오 분석 논리도가 도시되어 있다. 서로 다른 비디오 프로그램 물질을 시험하려면 샘플점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여 측정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측정될 프레임의 목록을 함유하는 기억기(138)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142)가 인터페이스 부시스템(3)으로부터 "가능"신호를 받으면, 이 제어장치(142)는 디스크 플레이어(9) 혹은 테이프 레코우더/플레이어(11)의 전진, 후진, 정진 및 동작기능을 개시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이들 장치중의 하나가 그 비디오 정보를 도선(147) 및 도선(149)을 각각 통하여 비디오 선택기(53)로 내보내도록 하여준다. 그동안에, 제어장치(142)는 도선(161)을 통해 계수기(140)의 내용을 클리어시키며, 측정될 첫번째 프레임수는 기억기(138)로부터 도선(169)을 통하여 비교기(136)로 내보내진다. 비디오 선택기(53)로부터의 도선(118)을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가 프레임 디코더(134)에 의해 프레임 수로써 디코드되면 비교기(136)에서 비교가 실시된 후에 "측정실시"신호가 도선(157)을 통해 제어장치(142)에 전달된다.
이때 제어장치(142)는 도선(175)을 통해 "가능"신호를 내보냄으로써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7)의 시험동작을 개시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어장치(142)는 메모리 기록 게이트(144)를 작동가능하게 함으로써,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7)으로부터의 도선(126)을 통해 출력된 비디오 시험 데이타가 도선(167)을 통해 비디오 분석 기억장치(147)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시험 분석 신호가 기록될 비디오 분석 기억장치(146)내의 위치는 시험중인 프에임수에 일치된 어드레스 버스(165)에 의해 제어된다.
비디오 시험용 신호의 1개 샘플에 대한 기억저장이 완료되면, 측정될 프레임 목록내의 2번째 신호가 도선(169)을 통해 기억기(138)로 내보내짐으로써 비교기(136)내에서 현재의 프레임수와의 또 다른 비교가 수행되며, 이에 의해 "측정실시"신호가 또 다시 도선(157)을 통하여 제어장치(142)로 전달된다. 제어장치(142)는 메모리 기록 게이트(144)를 작동가능하게 하여서, 계수기(140)로 부터 어드레스 버스(165)를 통해 어드레스 된 비디오 분석기억기(146)내의 위치에 새로운 시험 데이타를 기록시킨다. 또한, 제어장치(142)는 도선(163)을 통해 계수기(140)의 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다음번에 측정될 프레임수가 기억기(138)에 의해 독춰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처리는 모든 시험용 샘플이 비디오 시험용 부시스템에 의해 분석되어서 비디오 분석 기억장치(146)내에 기록될 때까지 계속된다. 비디오 분석 기억장치(146)로부터의 출력은 전술한 바와같이 도선(126)을 토하여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으로 향한다.
제18도는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 평가 부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제3도, 4도, 8도, 13도 및 16도와 함께 설명된 바와같이, 테이프 혹은 디스크 혹은 처리장치로부터의 모든 오디어 및 비디오 분석 데이타는 데이타평가 부시스템으로 보내진다. 데이타 평가 부시스템(19)내에서 처리되기 전에 전자장치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분석적 처리는 지금까지 "분석"이라고 언급되어 왔다. 본 명세서내에서는 "평가"라는 용어가 특수한 의미를 갖는데, 시험중인 장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분석"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특별한 실제적 응용에 있어서는 이 "평가"가 시험중인 장치의 합격 혹은 불합격 여부를 결정짓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앞서의 설명에서 처리장치들은 본 발명의 개념을 이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고 이미 기술하였으나, 제18도에는 원제품 프로그램으로부터 복제된 복제품에서의 전형적인 오디오 및 비디오 평가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블럭(211)은 원제품 프로그램 물질로부터의 오디오 분석 데이타를 나타내며, 블럭(212)은 원제품으로부터 제작된 복제품으로부터의 대응하는 분석 데이타를 나타낸다. 이와 마찬가지로. 블럭(213)은 원제품으로부터의 비디오분석 데이타이며, 블럭(214)은 복제품으로부터의 비디오 분석 데이타를 나타낸다. 오디오 비교기(215)는 원제품과 복제품의 분석 데이타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인쇄기(15)로 보내서 이 차이점의 목록이 인쇄기(15)에 의해 가시적이고도 영구적으로 지정될 수 있게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비디오 비교기(216)도 원제품과 복제품 사이의 비디오 분석 데이타의 차이점을 인쇄기(15)로 보내서 그 차이점의 목록을 인쇄시킨다. 다음의 도면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오디오 비교기(215) 및 비디오 비교기(216)는 원제품과 복제품으로 부터의 신호를 단지 선대선(線對線)으로 비교할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내에 정의된 바와같은 "시그내춰"를 비교하는 본 발명의 독특한 개념을 수행하는 것이다.
제19도 내지 제22도에는 본 발명의 개념을 이용한 각종의 "평가"방식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첫번째 도면, 즉 제19도는 "테이프 평가"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 및 (또는)음향 프로그램원(143)으로 부터의 화상 및 (또는)음향을 프로그램 테이프 레코오더(145)상에 기록함으로써 준비용 비디오 테이프(154)가 제작됨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화상 및 음향 프로그램원은 비디오 테이프 원제품으로부터 혹은 활동사진 필름으로 부터 얻어진다. 어떤 경우에서도, 준비용 비디오 테이프(154)는 원제품 테이프 혹은 필름 프로그램원으로부터 제조되어서, 궁극적으로, 디스크 완제품을 제조하느데 사용되기 위한 준비용 테이프로 사용된다. 프로그램 테이프 레코오더(145)에 의해 준비용 비디오 테이프(154)상에 프로그램이 기록될때, 시험용 신호 발생기(148)로부터의 적절한 비디오 시험용 신호가 프로그램의 수직 간격동안 기록된다. 준비용 비디오 테이프(154)를 제조할 때에는 프로그램 물질 전후의 테이프상에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어서 이 부분에 도입부 및 도출부 오디오 시험용 음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준비용 비디오 테이프(154)상에 프로그램이 기록될때, 혹은 필요시에는 그후에, 오디오 시험용 음조가 시험용 신호 테이프 레코오더(150[혹은 필요에 따라서는 음조와 프로그램 테이프 레코오더(145)]상에서 기록시키면, 생성된 준비용 비디오 테이프(154)에 도입부 시험용 음조와 프로그램 물질 및 도출부 시험용 음조가 포함되는 것이다.
플레이어(156)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들을 그들 각각의 분석기(158)로 내보내며, 이 분석기(158)에 의해 측정된 시험용 변수들의 특성은 변수 목록(164)으로 만들어져서 가시적으로 독춰할 수 있게 된다. 이 시점에서, 도입부 및 도출부 기간동안의 오디오 시험용 음조의 적용이 아닌 "테이프 분석"이 완료된 것이며, 이 테이프의 특성은 변수 목록(164)에 열거된 피시험 변수의 분석에 반영된다. 이와같은 형태의 분석은 테이프 제조업계에 공지된 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변수 목록(164)으로부터 수동적으로 혹은 한계치 설정기(166)로부터의 콤퓨터 제어에 의하여 이들 변수의 편차 한계치가 설정된다는 점에서 신호원의 단순한 분석을 능가하는 것이다. 한계치 설정기(166)에 의해 허용된 변수 편차의 범위는 변수 목록(164)내의 피측정 변수들에 대하여 %비율을 적용시키고 이와같이 하여 유도된 편차 한계를 시그내춰 저장기(168)내에 저장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분석된 변수들을 변수목록(164)내에 열거하기전에, 확정된 표준 도표(162)가 통상의(즉, 예컨대 NTSC, PAL, 또는 SECAM)표준으로 사용되어서 분석기(158)의 출력을 비교기(160)내에서 비교하는 것이 좋다. 예를들어, 미합중국 연방 체신위원회(FCC), SMPTE, EIA 혹은 기타의 표준 그룹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에 대하여 변수들의 허용한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놓은 경우에는, 변수 목록(164)내에 열거된 변수들이 상기의 산업용 표준 범위내에 있는가를 비교기(160)가 확인한다.
반면에 한계치 설정기(166)는 특정한 제조업자의 기록공정에 포함된 특정 처리에서 허용되는 허용 한계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즉, 준비용 테이프(154)로부터 복제품이 만들어졌을경우, 원제품 및 복제품으로부터의 해당신호들은 분석기(158)내에서 분석되며, 이 분석기(158)의 출력과 시그내춰 저장기(168)내의 시그내춰를 비교함으로써 평가장치(171)내에서 평가가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복제품의 품질은 필수적으로 2개의 표준에 대한 비교를 받게 되는데, 즉 표준 도표(162)에 따른 산업용 표준 및 한계치, 설정기(166)에 의해 설정되는 제조업자 자신의 표준이 그것이다. 결과적으로, 평가장치(171)에 의해 평가된 신호는 종래에서와 같이 단지 산업용 표준에 대하여서만 평가를 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전한 한계내에서 반복적으로 수핸되는 기록공정의 특성을 나타내는 "시그내춰"에 대한 비교도 아울러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방식에 의하여, 복제공정의 등급저하는 보다 현실적인 기준치에 대해, 즉 동일 종류의 테이프와 동일 레코오더와 동일한 신호원을 사용하여 이미 기록된 신호에 대해 평가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의 테이프와 레코오더 및 신호원에 의한 영향이 배제될 수 있는 것이다.
회수된 테이프 신호를 이미 확정되어 있는(혹은 계산된)표준에 대해 평가하는 분석공정과는 달리, 복제품 혹은 이와 유사한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그내춰"에 대해 평가하면 허용한계를 벗어난 아무리 사소한 편차라도 이것을 체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 공정상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시그내춰"특성에 대한 비교에 의하면 2번째 및 그 이후의 기록으로부터 회수된 신호가 확정된 표준에 대한 허용한계내에 있을 경우에도 공정상의 등급저하를 알아낼 수 잇다. 바꾸어 말하면, 어떤 기록 공정에 있어서는 어떤 특정 변수의 분석시험 결과가 매우 좁은 범위내에 위치하여, 산업용 기준치가 요구하는 것보다 더 적합한 값을 갖는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그 결과, 시그내춰가 이 특정변수에 대해 통상적이 아닌 높은 표준을 반영하게 될 것이다. 이와같은 사실은 한계치의 설정이 산업용 표준이 아닌 앞서의 시험결과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즉, 예컨대 테이프 자체의 제조에 있어서와 같은 기록공정상의 일부에서의 등급저하가 발생함에 따라, 어떤 변수가 표준 도표(162)에 따른 산업용 표준내에 있을지라도 한계치 설정기(166)에 의한 한계치를 벗어나게 되기 때문에, 평가장치(171)는 장치의 완전한 시험을 행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테이프에 대한 제조공정과 시험중인 특정변수 사이의 관계를 알고 있으면, 즉각적인 정정동작이 춰해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이와같은 결함(특히, 다른결함들과 조합된 결함)때문에 제품(이 경우에는 테이프)이 사용 불가능하게 될 것이며, 제조업자는 소비자로부터 수많은 불평을 들은 후에야 비로소 그러한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평가장치(171)는, 분석기(158)로부터의 다수의 변수값 각각이 시그내춰 저장기(168)내에 저장된 각 변수값에 대한 2개 한계치(평가될 변수들에 대한 상한치 및 하한치)와 비교되는 여러가지 형태의 정교한 비교기로 작용될 수도 있다. 이때의 평가 출력신호는 변수의 목록, 한계치 설정기(166)에 의해 설정된 허용범위, 평가장치(171)에 의해 평가되는 각 변수의 값, 그리고 허용범위를 벗어난 변수에 대한 정보 등을 나타내는 인쇄된 데이타 도표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같이 제작된 도표의 한가지 예는 다음의 표 Ⅰ,Ⅱ,Ⅲ에 나타나 있으며, 이들 도표는 제20도에 도시된 "디스크 평가"와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다.
[표 Ⅰ]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표 Ⅱ]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표 Ⅲ]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제20도에는 "디스크 평가"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제19도에서와 동일한 소자는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며, 추가 소자로서는 디스크 마스터링 레코오더(173) 및 이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몇가지 소자들이 있다. 이 구성에서, 평가장치(171)는 시그내춰 저장기(168)내에 저장된 테이프 시그내춰를 시그내춰 저장기(231)내에 저장된 해당 디스크 시그내춰에 대해 평가한다. 준비용 비디오 테이프(154)가 플레이어(156)내에서 플레이될때, 테이프 "시그내춰"가 제19도에서와 같이 획득되엇다고 가정하면, 프로그램 물질 및 시험용 음조는 디스크 마스터링 레코오더(173)에 의하여 비디오 디스크(177)로 전달됨으로써, 준비용 테이프에서와 동일한 시험용 신호원을 사용한 디스크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블럭(217-223)은 노출 및 현상단계(217)로부터 접착제를 가해 디스크의 양면을 서로 맞붙여서 완전한 양면(兩面)디스크를 형성하는 단계(23)까지의 비디오디스크 제조시의 주요처리 단계를 나타낸다. 이리하여 디스크 플레이어(224)는 완성된 디스크를 플레이시키고, 그 결과는 분석기(15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분석기(226)에서 분석된다. 이때에도 역시 분석기(226)의 출력을 비교기(225)내에서 표준도표(227)의 확정된 표준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예비 검사에 의하면 산업용 표준 허용치로부터 매우 크게 벗어난 변수에 의한 결함을 갖는 디스크들을 미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9도-제20도 모두에 해당하는 바와같이, "세계적"표준에 대한 이와같은 초기 분석을 행하는 것은 원래의 프로그램 물질의 질에 대한 검사이며, 이것은 "세계적"표준으로부터의 편차를 초기에(예컨대 디스크 마스터링이 시작되기 전에)탐지할 수 있어 매우 유리하다.
각 경우에 있어서, 분석기(226)의 결과가 확정된 산업용 표준에 대해 허용가능하다면, 이 분석기의 출력은 시그내춰 도표(229)로 보내져서 시그내춰 저장기(231)내에 저장된다. 도입부 및 도출부 시험용 음조가 0.5초 이내의 실시간에 누적되어 어떤 종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시험이 활동 프로그램 물질상에서 수행되고 있음을 수동제어 혹은 콤퓨터 제저에 의해 리콜(recall)하면, 평가장치(171)는 시그내춰 저장기(168)로부터의 테이프 시그내춰 및 시그내춰 저장기(231)로부터의 디스크 시그내춰를 리콜하여서 이들 2개 시그내춰를 각 변수마다 비교한다 이때, 가시적 독취가능 인쇄 결과를 이용하면 어떤 디스크가 그 대응하는 준비용 디스크에 대해 얼마나 양호하게 수행되는가를 알아낼 수 있다(상기 표 Ⅰ,Ⅱ,Ⅲ 참조).
원제품 및 복제품의 대응부분을 측정함에 대한 중요성은 이미 설명된 바 있으며, 이에 대한 논리는 다소 명백하다. 따라서, 변수분석 결과 및 허용한계치 범위를 포함하는 "시그내춰"이외에도, "테이프 시그내춰"가 비디오 및 오디오 활동 프로그램 분석이 행하여질 특징한 프레임수를 그 구성중에 포함하여야 함은 필수적이다. 이와같이, "시그내춰"의 "특성"은 예컨대 제20도의 공정에서 주 디스크가 감광성 내식막을 갖는 지점(A), 노출 및 현상되는 지점(B), 금속화되는 지점(C), 스템퍼로 되는 지점(D), 편면(片面)플라스틱 복제품으로 되는 지점(E), 반사피복이 가해지는 지점(F), 보호피복이 가해지는 지점(G), 그리고 2개의 편면 디스크가 합쳐져서 양면의 완성 디스크로 되는 지점(H)과 같은 어떠한 시간, 어떠한 단계에서도 시그내춰 비교를 행할 수 있는 모든 정보에 전적으로 특징을 이루고 있다.
모든 복제공정에서와 같이, 제20도 공정의 각 단계를 거치는 동안 지점(A-H)에서 프로그램 물질의 약간의 등급저하가 예상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지점(A)와 지점(B)사이에서 예상되는 등급저하는 지점(B)와 지점(C)의 사이에서 예상되는 등급저하보다 작을 수 있고, 이와같은 예상은 각 단계 사이의 지점에 있어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용은 공정내의 모든 지점에서 디스크를 플레이시켜서 지점(A-H)사이의 각 지점에 대해 "시그내춰"를 설정함에 관계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의 평가를 "공정중"의 작동과 상호 관련시킴으로써, 감독자가 재질 및 시간을 크게 낭비함이 없이 설비를 차당시키거나 개조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또한, 변수들이 허용한계를 벗어나려는 경향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고, 공정의 각 단계에서 공정상의 시그내춰를 비교하여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시그내춰"시험에 대해 제공되는 매우 정확하고도 반복적인 시험능력에 의해 제조공정 혹은 공정단계를 개선시킬 수가 있다. 상기의 경향 정보에 의하면, 비록 시험된 변수들이 절대 척도상에서 반드시 허용가능한 한계내에 존재할 경우에 있어서도 그 잠재적인 문제점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공정내에 각 주요한 단계에서 온도, 압력, 처리시간 등이 변함에 따라서 처리변수들을 변화시키면 이들 "시그내춰"의 배교에 의해 제품의 품질향상이 가능하다.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가 최근에 개발된 것이라는 점에 있어 "디스크 평가"를 고려하면, 본 발명은 플레이어의 일관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0도에서 디스크를 교환하는 대신에 같은 디스크를 다수의 디스크 플레이어(224)상에서 재생시켜서 이들 플레이어로부터 "시그내춰"를 발생시킨 후 이 "시그내춰"를 이미 양호한 플레이어라고 알려져 있는 플레이어로부터의 시그내춰와 비교할 수 있는 것이다.
오디오 및 비디오 증폭기나 혹은 예컨대 에코우 장치, 분배 증폭기, 제한기 등과같은 특수효과용 장치를 포함하는 "처리"장치에 대한 본 발명의 이용에 대하여서는 이미 전술한 바 있으며, 그 구성은 제21도에 도시되어 있다.
평가공정에 있어서는 처리 기준장치(234)의 "시그내춰"를 발생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21도에는 시험중인 처리장치(235)에 대한 개별적인 경로를 표시하였다. 각각의 시험중인 장치에는 그 자신의 고유한 분석기(226), 시그내춰 도표(229) 및 시그내춰 저장기(231)가 있다. 물론, 경제적인 목적상, 분석기(158)를 처리 기준장치(234) 및 시험중인 처리장치(235)에 대해 시분할시켜서 제19도에서와 같은 구조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분석기(226), 시그내춰 도표(229) 및 시그내춰 저장기(231)가 필요없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9도에서와 같이 분석기(158)의 출력을 평가장치(171)로 직접보낼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제21도에서와 같이 별도의 분석기, 시그내춰 도표 및 시그내춰 저장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2도는 디지탈 시그내춰 평가가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시그내춰 저장기(168)내에 시그내춰가 형성 될때까지는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다. 그러나, 평가될 신호가 오디오이던지 비디오이던지간에, 플레이어 [도면에는 시험중인 장치(238)로 도시 되었음]는 그 신호는 A/D 변환기(237)로 내보냄으로써 디지탈 형태의 신호가 디지탈 기억기(233)내에 저장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도입부 및 도출부 동안의 오디오 시험용 음조의 경우와 같이, 이 저장된 신호의 선택된 디지탈 부분을 재순환 제어기(240)에 의해 궤환시켜서, 저장된 신호의 연속적인 형태를 D/A 변환기(239)로 내보내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얻어진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는 분석기(226)내에서 분석되는 시그내춰 도표가 작성되고, 그후 분석결과는 시그내춰 저장기(231)에 저장되어서 평가장치(171)내에서의 차후의 평가에 이용되게 한다.
표 1은 비디오 디스크의 도입부에서의 "시그내춰"평가의 결과는 인쇄한 것이다. 사용된 예에서 디스크에 대해 선택된 분석 변수들은 최측에 열되어 있으며, "시그내춰"비교는 각각 3개의 열로 이루어지는 2개 그룹으로 나타나 있는데, 앞서의 그룹은 오디오 채널 1에 관한 것이고 뒷쪽의 그룹은 오디오 채널 2에 관한 것이다. 각 채널에 있어서의 3개 열중의 가운데 열은 각 변수에 대한 디스크 분석 측정치를 나타내며, 이 가운데 열의 양측열은 제20도의 한계치 설정기(166)에 의해 설정된 "시그내춰"한계치를 나타낸다.
표 Ⅱ는 시험중인 디스크의 도출부에 대한 유사한 평가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표 Ⅲ은 비디오 평가 사험결과를 나타낸다. 표 Ⅲ에는 정보의 추가적인 열이 표시되어 있는데, 즉 "시그내춰"비교에 있어서 한계치 설정기(166)에서 상한치 및 하한치를 결정하기 위한 실제의 테이프 분석 측정치의 열이 추가로 나타나 있다.
이때, 오디오 도입부 음조로부터의 12개 세그먼트는 1초당 30세그먼트의 속도(수직 프레임 속도)로 회수되며, 주어진 변수를 보통 2.5초 혹은 그 이하의 시간내에 측정하기 위하여서는 예컨대 휼레트 팩카트 8903 A(Hewlett Packard 8903A)오디오 분석기와 같은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입부 시험용 음조의 각 세그먼트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측정에 사용되기 때문에 이 세그먼트는 전술한 바와같이 재순환되며, 따라서 이 세그먼트는 분석기가 두번째의 시험용 세그먼트를 회수하여 연속적으로 이용하기에 앞서 분석기에 의한 모든 오디오 측정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연속적인 형태를 유지한다.
하나의 시험용 프레임에서는 다수의 측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술한 바와같은 분석기는 2.5초 혹은 그 이하의 시간내에 그 분석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분석기가 예컨대 시험용 프레임 1내에서 11개의 측정을 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최대한으로 약 27.5초 정도이다. 따라서, 제8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재순환 제어 및 클럭기(99)는 단지 최대한 27.5초의 시간동안 음조 세그먼트를 재순환시키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열거된 특정한 시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23개의 오디오 시험측정을 모두 완성하기 위하여서는 57.5초 이하의 시간으로서도 충분하다. 즉, 완전한 오디오 측정 사이클이 반복되는 반복 속도는 아무리 넉넉히 잡아도 분당 1사이클이다. 이때, 가장 시간이 오래 걸리는 활동 프로그램 시험은 모노/비모노 검사이며 이것은 65.5초만에 완성되기 때문에, 오디오/비디오 질 통제 시스템에서 결함이 있는 디스크들을 제거해내기 위해서는 수분의 레코오딩/플레이 시간으로서 충분하다는 잇점이 있다. 이와같은 개념은 제20도에 도시된 방법(기록후에 직접 독취하는 방법이 아니)에 의해 생산된 비디오 디스크들에 대하여 이 공정내의 어떠한 지점에서도 결함이 있는 디스크를 발견해낼 수 있게 함으로써 단지 수분내에 수행된다. 물론, 평가될 디스크의 도입부에 근접하게 포함되지 않는 결함은 순간적으로 발견되지 않지만, 전체 비디오 디스크를 통하여 일정한 변수의 등급 저하를 발생시키는 공정상의 결함은 플레이 시간의 맨 처음에 포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오디오/비디오 질 통제시스템에 의해 정보가 분석되는 속도는 종래에서와 같은 육안 관찰 및 (혹은)수동측정에 의한 기술에서 보다 시간을 훨씬 단축시킨다. 뿐만 아니라, 디스크에 대한 모든 주관적인 평가가 배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에 대하여서만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제7도-제11도에 도시된 방법에 따른 오디오 신호측정과 유사한 방법으로 비디오 신호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즉, "오디오"라고 표시된 부분은 멀티플렉싱 및 그 이후에 비디오의 도입부 및 도출부 질을 분석하기 위한 방식에 따라 이에 맞도록 표시되기만 하면된다(물론, 신호원 및 타이밍 도면에 대해서도 적절한 변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내에 기재된 비디오 변수 분석 및 평가방식도 상술한 바와같은 변경을 통하여 오디오 변수의 분석 및 평가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2)

  1. 기준신호의 선택된 변수들을 평가하고 허용 한계값을 결정하며 더 나아가 상기 평가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적어도 첫번째 기록매질을 통하여 비교기에 가해지는 상기 기준신호를 포함하는 기록매질의 정보전달 특성을 특징짓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를 상기 첫번째 기록매질상에 제공하는 단계 ; 상기 기준신호의 상기 선택된 변수들을 상기 첫번째 기록 매질상에서 측정 및 분석하고 기준신호 측정값들을 설정하는 단계 ; 기준신호 시그내춰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신호 측정값들을 시그내춰 저장기에 저장하는 단계 ; 상기 기준신호의 기록된 복사신호를 두번째 기록매질상에 제공하는 단계 ; 복사신호 측정값들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신호의 상기 선택된 변수들을 상기 두번째 기록매질상에서 측정 및 분석하는 단계 ; 그리고 상기 허용단계 값들의 상기 결정을 위해 상기 시그내춰 저장기에 있는 상기 기준신호 측정값들과 상기 복사신호 측정값들을 비교하는 단계 ; 를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의 상기 선택된 변수들을 측정 및 분석하는 상기 단계는 규정된 허용한계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신호 시그내춰 값들로부터 편차레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그리고 상기 비교단계는 상기 복사신호 측정값들이 상기 규정된 허용한계 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는 상기 단계는 선택된 주파수들에서의 상기 기준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 측정을 포함하며 ; 그리고 상기 복사신호를 측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선택된 주파수들에서 상기 복사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 측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는 상기단계는 상기 기준신호 측정값들과 앞서 선택된 고정 표준 값들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를 상기 첫번째 기록 매질상에 제공하는 상기단계는 타이밍을 가진 시험용 신호열을 가지는 입력 기록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며 ; 상기 기준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는 상기단계는 상기 기준신호에 있는 각 연속적인 시험용 신호의 변수들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에 있는 상기 시험용 신호열은 표준 텔레비젼의 동기간격에 해당하는 속도를 가지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에 있는 상기 시험용 신호열을 아날로그 포멧을 가지며 ; 상기 기준 신호 측정값들을 저장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시험용 신호들을 디지탈 시험용 신호들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디지탈 시험용 신호들을 디지탈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상기 비교단계는 상기 디지탈로 저장된 시험용 신호들을 아날로그 시험용 신호들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시험용 신호들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기록물질을 자기비디오 테이프로 선택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기록물질을 광학디스크로 선택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를 상기 첫번째 기록 매질상에 제공하는 상기단계는 상기 첫번째 기록매질을 정보가 복사된 자기 비디오 테이프 사본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를 상기 첫번째 기록 매질상에 제공하는 상기단계는 상기 첫번째 기록매질을 정보가 복사된 광학 디스크 사본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기준신호의 선택된 변수들을 평가하고 허용한계값들을 결정하기 위해 적어도 첫번째 기록매질을 통하여 비교기(171)에 기준신호를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또한 평가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록매질의 정보전달 특성을 특징짓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를 상기 첫번째 기록매질(154)에 제공하는 수단 (148,150): 복사신호를 상기 첫번째 기록매질(154)로부터 재생신호로 선택하는 수단(156) ; 상기 복사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고 기준신호 측정값들을 설정하는 수단(158) ; 기준 시그내춰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신호 측정값들을 시그내춰 저장기(168)에 저장되는 수단(158) ; 상기 기준신호의 기록된 복사신호를 두번째 기록매질(177)상에 제공하는 수단 ; 복사신호 측정값들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신호의 상기 선택된 변수들을 상기 두번째 기록매질상에서 측정 및 분석하는 수단(158,226) ; 그리고 상기 허용한계 값들의 상기 결정을 위해 상기 시그내춰 저장기에 있는 상기 기준신호 측정값들을 상기 복사신호 측정값들(231)과 비교하는 수단(171),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상기수단은 규정된 허용한계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신호 시그내춰 값들로부터 편차레벨을 선택하는 수단(166)을 포함하며 ; 상기 비교수단(171)은 상기 복사신호 측정값들이 상기 규정된 허용오차 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12항 및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는 상기수단은 선택된 주파수들에서 상기 기준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수단(25,28)을 포함하며 ; 상기 복사신호를 측정하는 상기수단은 상기 선택된 주파수들에서 상기 기준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수단(25,28)을 포함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는 상기수단은 상기 기준신호 측정값들과 앞서 선택된 고정 표준값들을 비교하는 수단(160,162)을 포함하는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를 상기 첫번째 기록매질(154)상에 제공하는 상기수단은 타이밍을 가진 시험용 신호열을 가지는 입력 기록신호를 선택하는 수단(49)을 포함하며 ; 상기 기준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는 상기수단은 상기 기준신호에 있는 각 연속적인 시험용 신호의 측정변수들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수단(99-1,35)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에 있는 상기 시험용 신호열은 표준 텔레비젼 신호의 동기간격에 대응하는 속도를 가지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에 있는 상기시험용 신호열은 아날로그 포멧을 가지며 ; 상기 기준신호 측정값들을 저장하는 상기수단은 상기 아날로그 시험용 신호들을 디지탈 시험용 신호들로 변환시키는 수단(37,237)과 상기 디지탈 시험용 신호들을 디지탈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수단(33,233)을 포함하며 ; 그리고 상기 비교수단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시험용 신호들을 비교하기 위해 상기 디지탈로 저장된 시험용 신호들을 아날로그 시험용 신호들로 변환시키는 수단(33,239)을 포함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기록매질을 자기 비디오 테이프로 선택하는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기록매질을광학 디스크로 선택하는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를 상기 첫번째 기록매질상에 제공하는 상기수단은 상기 첫번째 기록매질을 정보가 복사된 자기 비디오 테이프 사본으로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를 상기 첫번째 기록매질상에 제공하는 상기수단은 상기 첫번째 기록 매질을 정보가 복사된 광학 디스크 사본으로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KR1019880008796A 1982-01-12 1988-07-12 기록 매질의 정보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KR880002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796A KR880002651B1 (ko) 1982-01-12 1988-07-12 기록 매질의 정보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339,011 US4746991A (en) 1982-01-12 1982-01-12 Recording characteristic evaluation of a recording medium with a time sequence of test signals
US339,011 1982-01-12
KR8204106A KR880002665B1 (ko) 1982-01-12 1982-09-10 기록매질의 기록특성을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880008796A KR880002651B1 (ko) 1982-01-12 1988-07-12 기록 매질의 정보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106A Division KR880002665B1 (ko) 1982-01-12 1982-09-10 기록매질의 기록특성을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651B1 true KR880002651B1 (ko) 1988-12-08

Family

ID=2734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796A KR880002651B1 (ko) 1982-01-12 1988-07-12 기록 매질의 정보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65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667B1 (ko) 규정된 아날로그 신호로 기록매질의 기록특성을 분석하는 장치와 평가하는 방법
US4455634A (en) Audio/video quality monitoring system
US5126990A (en) Method of evaluating a storage medium by recirculating a test sample of a signal
US4755884A (en) Audio evaluation of information stored on a record medium under control of video picture frame number
US4524444A (en) Analyzing the signal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signal processing unit
US4623837A (en) Audio/video quality monitoring system
US4682246A (en) Characterizing the information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recording medium
US4598324A (en) Audio evaluation under control of video picture frame number
US5001568A (en) Signal evaluation by accumulation at one rate and releasing and testing at a slower rate
US47649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 multiplexed signal on a record medium
US4724484A (en) System for testing video equipment
KR880002651B1 (ko) 기록 매질의 정보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KR880002653B1 (ko) 신호처리장치의 신호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KR880002666B1 (ko) 저장기 부재상에 기록된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의 선택된 부분의 오디오 특성을 자동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US5343242A (en) Testing video equipment
US5966279A (en) Rotary magnetic head inspection method
GB2263576A (en) Method of automatically monitoring the quality of audio-video recordings
SU1727172A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 временных искажений видеомагнитофона
KR100190689B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vcr)의 녹화재생검사장치
EP0431859B1 (en) Disc evaluating apparatus
SU720501A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 амплитудно-частотных параметров магнитофона
JP2689658B2 (ja) ディスク評価方法
JPS63251987A (ja) 伝送系検査方式
JPH02195542A (ja) 試験用光学ディスク
JPH013256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