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944B1 - 퀴놀린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퀴놀린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944B1
KR870001944B1 KR1019810003314A KR810003314A KR870001944B1 KR 870001944 B1 KR870001944 B1 KR 870001944B1 KR 1019810003314 A KR1019810003314 A KR 1019810003314A KR 810003314 A KR810003314 A KR 810003314A KR 870001944 B1 KR870001944 B1 KR 870001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xylic acid
oxo
fluoro
dihydroquinoline
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562A (ko
Inventor
쓰도무 이리구라
시바토시애
히로시 마쓰구보
Original Assignee
쿄린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하기하라 히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48503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7000194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쿄린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하기하라 히데시 filed Critical 쿄린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7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07D215/54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 C07D215/56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with oxygen atoms in position 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퀴놀린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살균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욱 상세하게는, 퀴놀린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IV)의 1-치환-6-플루오로-7-(1-피페라지닐 혹은 4-치환-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더욱 특별하게는, 하기 구조식(IV)의 살균제를 고순도로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R1은 에틸 혹은 비닐기이고,
R4
Figure kpo00002
(R3는 수소 혹은 저급 알킬기임)이다.중간체인 1-치환-6-플루오로-7-(1-피페라지닐 혹은 4-치환-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퀴놀린-3-카르복실산 에스테르(III)은 하기 구조식(I)의 7-할로-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에스테르와 피페라진 유도체(II)를 반응시켜서 제조한다.
Figure kpo00003
상기 식에서
R1,R2, 및 R4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2는 저급알킬기이다.
원하는 살균제(IV)는 상기 구조식(III) 의 중간체를 가수분해하여서 제조한다.
본 발명자들은 1-에틸-6-플루오로-7-(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이 종래의 살균제보다 강력하다는 것과 동시에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도 보고하였다(일본국 특허 공개소 53-141286). 또한 1-에틸-6-플루오로-7-(4-메틸-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및 유사화합물의 제조방법도 보고하였다(일본국 특허 공개소 54-138582,소 55-40456 및 소 55-47658). 더우기, 많이 치환된 퀴놀린 카르복실산 및 그 제조방법도 뻬숑(프랑스)에 의한 일본국 특허공개소 54-66686에 기재되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 살균제(IV)는 하기 카르복실산(V)과 화합물(II)를 반응시켜서 제조한다.
Figure kpo00004
식중에서 R1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이 방법에서, 시작물질(V)의 순도와 반응조선은 순수한 생산물(IV)의 산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즉, 물질(V)는 여러가지 용매에서 미량으로 용해되기 때문에 공업적인 범위로 순수하게 정제하기가 어렵다. 더구나,정제된 것이 화합물(II)와의 반응에 사용될지라도, 다음 화합물 (VI)이 부산물로 산출된다.
Figure kpo00005
상기 식에서,
R1과 R2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부산물의 형선으로 인하여 생산물 (IV)의 수율이 낮아진다.
본 발명은 고순도의 살균제를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결과로 얻어진 것이다. 시작물질로 6-플루오로-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을 적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중점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확인한 결과, 상기 부산물이 생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고수율로 용이하게 정제할 수 있는 일반식(IV)의 화합물을 얻었다. 중간체(III)은 다양한 용매에 용해되어 용이하게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시작물질(I)(1mol),유기염기 및 피페라진 유도체(II)(2~4mol)의 혼합물을 90~150℃,특히 110~120℃로 비극성 용매의 존재또는 부재하에서 가열한다. 가열시간은 온도에 따라 변화되고, 예를 들어 반응 온도가 110℃일 때는 5시간내에 완료시킨다. 피리딘, 피콜린, 트리에틸아민 등과 같은 유기염기가 사용된다. 이것은 반응 용매로 사용되며 염기의 양은 벤젠, 톨루엔등과 같은 비극성 용매가 사용될 경우 감소될 수 있다. 산을 사용한 가수분해에서, 중간체(III)가 염산과 같은 무기산 및 초산과 같은 유기산에서 환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를 사용한 가수분해 반응에서 중간체(III)은 묽은 수산화 나트륨 용액에서 50~100℃ , 특히 90~95℃로 가열한다. 산에 의한 가수분해는 수시간이 필요하지만 알칼리를 사용하면 단시간에 수행할 수 있다.
[실험1.]
살균활성
본 발명의 살균활성은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균에 대한 표준 한천 희석 화선배양법으로 분석하였다(Chemothrapy,22,1126(1974)).
결과는 표 1에 날리딕스산과 함께 나타났다.
본 발명의 실시예 1,6,8 및 9 의 화합물은 그람-음성 및 그람-양성균에 대하여 날리딕스산보다 더 활성이 있었다.
[표 1]
살균활성 (최소너해농도)(㎎/㎖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NA : 날리딕스산
하기 실시예는 본발명을 상세히 기술하기 위한 것으로서 ,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들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무수 피페라진(19.5g)과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16.8㎖)를 34㎖의 피리딘에 가하고, 5시간 교반환류 하였다. 감압 농축 후 100㎖의 클로로포름에 융해시키고 클로로포름층을 물로 3회 세척하였다.
클로로포름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한 후, 클로로포름을 감압 증류하여증발시켜 얻은 잔류물을 벤젠에서 가열 용해하였다. 여과한 후 , 벤젠층을 냉각시켰다. 침전된 결정을 염화메틸렌(50㎖)과 벤젠(100㎖)의 혼합물로 재결정화하여 17.3g(수율:88%)의 1-에틸-6-플루오로-7-(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에틸에스테르를 얻는다. 융점:178.5~180℃
Figure kpo00008
고온(90℃)의 6%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40㎖)에 상기 에스테르 (5g)을 가하였다. 동 온도에서 5분동안 보존한 후, 반응 혼합물을 물에서 냉각시킨다. 묽은 염산으로 반응 혼합물의 pH를 7.5로 조절하여 결정을 얻는다. 20㎖의 메탄올 내의 결정을 한동안 교반하고, 여과한 후 건조하고, 염화메틸렌(25㎖)과 에탄올(15㎖)의 혼합물에서 재 결정화하여 4.1g(수율:89%)의 1-에틸-6-플루오로-7-(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을 얻는다.
융점 : 221~222℃
[실시예 2]
18㎖의 피콜린 10.3g의 무수피페라진 및 8.9g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에틸에스테르의 혼합물을 5시간 교반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여 잔류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8.2g(수율:79%)의 1-에틸-6-플루오로-7-(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에틸에스테르를 얻는다.
융점:178~180℃
빙초산(170㎖)과 진한 염산(170㎖)의 혼합물에 4.3g의 1-에틸-6-플루오로-7-(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묽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7.5로 조절하였다. 침전된 결정을 실시예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3.3g(수율:84%)의 1-에틸-6-플루오로-7-(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을 얻는다.
융점:220.5~222℃
[실시예 3]
18㎖의 트리에틸아민 10.3g의 무수피페라진 및 8.9g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에틸에스테르의 혼합물을 20시간 교반환류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30㎖ 클로로포름을 가하고, 0℃로 냉각하여 결정을 얻는다 . 결정을 여과하여 2g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에틸에스테르를 얻는다. 상기여과액을 묽은 염산으로 추출하고, 염산층을 묽은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한 후 클로로 포름으로 추출하였다. 글로로포름층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한 후 클로로포름층을 감압 증유하였다. 잔류물을 실시예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7.4g(수율리71%)의 1-에틸-6-플루오로-7-(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는다.
융점:178~180℃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및 2와 같이 가수분해하여 상응하는 산을 얻는다.
[실시예 4]
무수피페라진(10.3g)과 1-에틸-6-플루오로-7-(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에틸 에스테르를 피리딘(9㎖)과 톨루엔(18㎖)의 혼합물에 가하고 5시간 교반 환류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여 8.4g(수율:81%)의 1-에틸-6-플루오로-7-(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는다.
융점:178.5~180℃
상기 에틸에스테르를 실시예1 및 2와 같이 가수분해하여 상응하는 산을 얻는다.
[실시예 5]
1.7g의 무수피페라진과 3㎖의 피리딘에 용해시킨 1.4g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의 혼합액을 5시간 교반환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냉각하여 조악한 결정을 얻는다. 이 결정을 메탄올의 혼합물에서 재결정화하여 1.55g(수율:77.5%)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는다.
융점:179~181℃
Figure kpo00009
상기 메틸 에스테르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가수분해하여 1.1g(수율:85.2%)의 1-에틸-6-플루오로-7-(1-피페라지닐)-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융점:220.5~221.5℃
[실시예 6]
8㎖의 피리딘에 3.6g의 1-메틸피페라진과 3.6g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가하고,5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농축한 후 , 잔류물에 10㎖물을 가하고,10㎖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클로로포름층을 탈수하여 진공 증류하고, 벤젠과 에틸 에테르의 혼합물로 재결정화하여 3.1g(수율:72.1%)의 1-에틸-6-플루오로-7-(4-메틸-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는다.
융점 : 176~179℃
Figure kpo00010
상기 에틸에스테르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가수분해하여 0.97g(수율:89.8%)의 1-에틸-6-플루오로-7-(4-메틸-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을 얻는다.
융점:271.0~271.4℃
[실시예 7]
8㎖의 α-피콜린 4.8g의 1-메틸피페라진 및 3.6g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에틸 에스테르를 5시간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시예6과 같이 처리하여 2.8g(수율:64.8%)의 1-에틸-6-플루오로-7-(4-메틸-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 퀴놀린-3-카르복실산에틸에스테르를 얻는다. 융점 : 176~177℃
상기 에틸에스테르를 실시예 1 과같이 가수분해하여 상응하는 산을 얻는다.
[실시예 8]
120㎖의 무수디메틸설폭사이드(DMSO), 6.32g의 1-(2-클로로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및 2.89g의 1.8-디아지비시클로[5,4,0]-7-운데센을 가하고 84~89℃로 2시간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한 후 ,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킨다. 클로로포름층을 물로 세척하고 탈수시킨다. 클로로포름을 증류하여 얻은 잔류물을 에틸 에테르로 재결정화하여 3.66g(수율:65.1%)의 1-비닐-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에스테르를 얻는다. 융점 : 146~149℃
Figure kpo00011
무수 피페라진(1.4g)과 1.2g의 상기 에틸에스테르를 3㎖의 피리딘에 가하고 혼합물을 5시간 환류하였다. 냉각한 후 , 결정을 여과하고 에탄올로 세척한 후 염화메틸렌과 벤젠의 혼합물로 재결정화하여 1.0g의 (수율:71.4%) 1-비닐-6-플루오로-7-(1-피레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로 얻는다. 융점 :208~210℃
Figure kpo00012
상기 에틸 에스테르를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1.8g(수율:92.4%)의 1-비닐-6-플루오로-7-(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을 얻는다. 융점 : 248.5~251℃
[실시예 9]
1-메틸피페라진(1.6g)과 1-비닐-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에스테르(1.2g)를 3㎖의 피리딘에 가하고, 혼합물을 5시간 환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여 물을 가하고, 초산으로 pH4로 조절하였다. 여과한 후 여과액을 수산화나트륨으로 알칼리화 하였다. 조악한 결정을 콜로로포름과 벤젠의 혼합물로 재결정하여 1.0g(수율:68.5%)의 1-비닐-6-플루오르-7-(4-메틸-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에틸에스테르를 얻는다.
융점 ; 186.5~187.5℃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상기 에틸에스테르(1,1g)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0.9g(수율:90%)의 1-비닐-6-플루오로-7-(4-메틸-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을 얻는다.
융점 :242~243℃
[실시예 10]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10g),무수피페라진(11.6g)및 10㎖의 3-메톡시부탄올의 혼합물을 125℃에서 5시간 환류하였다. 냉각후, 22㎖의 20%수산화나트륨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90℃로 30분간 가열하였다. 냉각후35㎖의 물을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묽은 초산으로 pH7.5로 조절하여 생성되는 결정을 여과한다. 결정을 52㎖의 물에 용해시킨 42㎖의 초산용액에 용해시키고 활성탄으로 처리한 후 여과하고 이 여과액에 45㎖의 황산을 가하엿다. 생성된 황산염을 물로 재결정하였다. 얻은 결정을 110㎖의 물에 용해시킨 20 수산화나트륨(9㎖) 용액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의 pH를 7.5로 조절하여 생성되는 결정을 물로 세척한다. 이 결정에 100㎖의 에탄올을 가하고,1시간 교반후 건조하여 9.2g(시작물질에서 계산한 수율:85.8%)의 1-에틸-6-플루오르-7-(1-피페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을 얻는다.
융점 :221~222℃

Claims (1)

  1. 하기구조식(I)의 1-치환-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에스테르유도체와 하기 구조식(II)의 피페라진 유도체를 반응시켜 얻는 하기 구조식(III)의 화합물을 가수분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구조식(IV)의 1-치환-6-플루오로-7-(1-피레라지닐 또는 4-치환-1-피레라지닐)-4-옥소-1,4-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상기 식중에서, R1은 에틸 또는 비닐기이고, R2는 저급알킬리고,
    R3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R4
    Figure kpo00017
    (식중에서, R3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이다)이다.
KR1019810003314A 1980-09-05 1981-09-05 퀴놀린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70001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123024 1980-09-05
JP55123024A JPS5762259A (en) 1980-09-05 1980-09-05 Preparation of substituted quinolinecarboxylic acid derivati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562A KR830007562A (ko) 1983-10-21
KR870001944B1 true KR870001944B1 (ko) 1987-10-23

Family

ID=1485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314A KR870001944B1 (ko) 1980-09-05 1981-09-05 퀴놀린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9)

Country Link
US (1) US4472579A (ko)
JP (1) JPS5762259A (ko)
KR (1) KR870001944B1 (ko)
AR (1) AR226917A1 (ko)
AT (1) AT380009B (ko)
AU (1) AU540205B2 (ko)
BE (1) BE890223A (ko)
CA (1) CA1214466A (ko)
CH (1) CH646697A5 (ko)
DE (1) DE3135125A1 (ko)
DK (1) DK154763C (ko)
ES (2) ES505207A0 (ko)
FI (1) FI77854C (ko)
FR (1) FR2489821B1 (ko)
GB (1) GB2085875B (ko)
GR (1) GR74304B (ko)
HU (1) HU187356B (ko)
IE (1) IE51540B1 (ko)
IN (1) IN155106B (ko)
IT (1) IT1168168B (ko)
LU (1) LU83609A1 (ko)
MX (1) MX7101E (ko)
NL (1) NL193375C (ko)
NO (1) NO157699C (ko)
NZ (1) NZ198295A (ko)
PH (1) PH17837A (ko)
PT (1) PT73571B (ko)
SE (1) SE442402B (ko)
ZA (1) ZA8152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0444B1 (en) * 1980-09-03 1999-02-09 Bayer Ag and-naphthyridine-3-carboxylic acids and antibacte7-amino-1-cyclopropyl-4-oxo-1,4-dihydro-quinoline-rial agents containing these compounds
DE3142854A1 (de) * 1981-10-29 1983-05-11 Bayer Ag, 5090 Leverkusen 1-cyclopropyl-6-fluor-1,4-dihydro-4-oxo-7-piperazino-chinolin-3-carbonsaeu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iese enthaltende antibakterielle mittel
JPS59122470A (ja) * 1982-12-27 1984-07-14 Dai Ichi Seiyaku Co Ltd キノリン−3−カルボン酸誘導体の製造法
DE3306771A1 (de) * 1983-02-25 1984-08-30 Bayer Ag, 5090 Leverkusen Chinoloncarbonsaeu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iese enthaltende antibakterielle mittel
DE3318145A1 (de) * 1983-05-18 1984-11-22 Bayer Ag, 5090 Leverkusen 7-amino-1-cyclopropyl-6,8-difluor-1,4-dihydro-4-oxo-3-chinolincarbonsaeu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iese enthaltende antibakterielle mittel
AU553415B2 (en) * 1983-09-19 1986-07-17 Abbott Japan Co., Ltd. 6-fluoro-1-4-dihydro-4-oxo-7-substituted piperazinyl- quinoline-3-carboxylic acids
DE3504643A1 (de) * 1985-02-12 1986-08-14 Bayer Ag, 5090 Leverkusen 1-cyclopropyl-1,4-dihydro-4-oxo-7-(4-(2-oxo-1,3-dioxol-4-yl-methyl)-1-piperazinyl)-3-chinolin carbonsaeu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iese enthaltende antibakterielle mittel
HUT40429A (en) * 1985-04-29 1986-12-28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 Process for production of salts of derivatives of kynolin carbonic acid
DE3525108A1 (de) * 1985-06-07 1986-12-11 Bayer Ag, 5090 Leverkusen Antibakteriell wirksame chinoloncarbonsaeureester
DE3525335A1 (de) * 1985-07-16 1987-01-22 Bayer Ag Embonate von chinoloncarbonsaeuren und ihren derivaten
DE3542002A1 (de) * 1985-11-28 1987-06-04 Bayer Ag 1-cyclopropyl-6-fluor-1,4-dihydro-4-oxo-7- (1-piperazinyl)-3-chinolincarbonsaeu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iese enthaltende antibakterielle mittel
CA1306750C (en) 1985-12-09 1992-08-25 Istvan Hermecz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quinoline carboxylic acide
HU196218B (en) 1985-12-09 1988-10-28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 Process for preparing quinoline carboxylic acid boric acid anhydrides
SI8712447A8 (en) 1987-12-31 1995-12-31 Krka Tovarna Zdravil Process for preparing 1-substituted 6-fluoro-4-oxo-7-(1-piperazinyl) -1,4-dihydroquinoline-3-carboxylic acid and new intermediate used in this process
SI9200377A (en) 1992-12-11 1994-06-30 Krk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substituted 6-fluoro-4-oxo-7-(1-piperazinyl)-1,4-dihydroquinoline-3-carboxilic acid, novel intermediate used in this process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US6584615B1 (en) * 1998-11-06 2003-07-01 Mission Hockey Company Asymmetrical hockey glove system with articulated locking thumb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4875A (en) * 1945-06-04 1950-04-18 Us Sec War Method for producing 4-hydroxyquinolines
US4017622A (en) * 1972-12-18 1977-04-12 Dainippon Pharmaceutical Co., Ltd. Piperazine derivatives
JPS5732059B2 (ko) * 1974-02-09 1982-07-08
FI311974A (ko) * 1973-10-26 1975-04-27 Dainippon Pharmaceutical Co
JPS53141286A (en) * 1977-05-16 1978-12-08 Kyorin Seiyaku Kk Novel substituted quinolinecarboxylic acid
JPS5466686A (en) * 1977-09-20 1979-05-29 Dainippon Pharmaceut Co Ltd Quinoline-3-carboxylic acid derivative, its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g the same
US4292317A (en) * 1977-09-20 1981-09-29 Laboratorie Roger Bellon 1,4-Dihydro-quinoline-3-carboxylic acid derivativ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S54141286A (en) * 1978-04-14 1979-11-02 Matsuo Kogyo Spool detachable system in spinning reel for fishing
JPS54138582A (en) * 1978-04-19 1979-10-27 Kyorin Seiyaku Kk Substituted quinolinecarboxylic acid
JPS5540656A (en) * 1978-09-19 1980-03-22 Kyorin Pharmaceut Co Ltd Substituted quinoline-carboxylic acid derivative
JPS5845426B2 (ja) * 1978-09-29 1983-10-08 杏林製薬株式会社 置換キノリンカルボン酸誘導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812686L (no) 1982-03-08
GB2085875B (en) 1984-06-13
SE8105102L (sv) 1982-03-06
HU187356B (en) 1985-12-28
FR2489821A1 (fr) 1982-03-12
JPS5762259A (en) 1982-04-15
IT8123799A0 (it) 1981-09-04
NO157699C (no) 1988-05-04
IE51540B1 (en) 1987-01-07
ZA815207B (en) 1982-07-28
FI812538L (fi) 1982-03-06
US4472579A (en) 1984-09-18
AR226917A1 (es) 1982-08-31
DK154763B (da) 1988-12-19
IN155106B (ko) 1985-01-05
FI77854B (fi) 1989-01-31
AT380009B (de) 1986-03-25
ES8305752A1 (es) 1983-05-01
JPH0130823B2 (ko) 1989-06-22
ATA358881A (de) 1985-08-15
DK154763C (da) 1989-06-26
CH646697A5 (de) 1984-12-14
ES514699A0 (es) 1983-05-01
PT73571A (en) 1981-09-01
KR830007562A (ko) 1983-10-21
DE3135125A1 (de) 1982-06-03
PT73571B (en) 1982-11-09
DE3135125C2 (ko) 1988-10-27
NL193375C (nl) 1999-08-03
BE890223A (fr) 1982-01-04
DK380681A (da) 1982-03-06
NL193375B (nl) 1999-04-01
GR74304B (ko) 1984-06-22
FI77854C (fi) 1989-05-10
LU83609A1 (fr) 1982-01-21
PH17837A (en) 1985-01-07
NZ198295A (en) 1984-02-03
FR2489821B1 (fr) 1986-01-10
IT1168168B (it) 1987-05-20
AU7461181A (en) 1982-03-11
IE812028L (en) 1982-03-05
ES8301965A1 (es) 1982-12-16
MX7101E (es) 1987-06-24
NL8103679A (nl) 1982-04-01
AU540205B2 (en) 1984-11-08
GB2085875A (en) 1982-05-06
SE442402B (sv) 1985-12-23
ES505207A0 (es) 1982-12-16
NO157699B (no) 1988-01-25
CA1214466A (en) 198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944B1 (ko) 퀴놀린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FR2614620A1 (fr) Derives de la 1,4-dihydro-4-oxonaphtyridine et leurs sels, procede pour leur production et agents anti-bacteriens les contenant
US5914401A (en)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quinolone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and intermediates thereof
EP0275971A1 (en) Process and intermediates for quinolonecaboxylic acid
KR910003617B1 (ko) 퀴놀론-및 나프티리돈-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EP0388620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carboxypyridyl- and o-carboxyquinolylimidazolinones
NO832810L (no) 1,3-dioksolo(4,5-g)-kinoliner og fremgangsmaate for deres fremstilling.
US4182880A (en) 1,8-Naphthyridine compound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EP0238411A1 (fr) Dihydro-1,2 méthyl-4 oxo-1 5-H pyrido (4,3-b) indoles et leur procédé de synthèse
AT397385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hinolincarbonsäurederivaten
EP0221541A2 (en) Quinolo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their preparation
JPH0635458B2 (ja) ピリドンカルボン酸誘導体、そのエステルおよびその塩
SU645565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пиридина
KR940009792B1 (ko) 벤즈옥사진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Dimsdale The formation of 2‐alkoxyquinolines from quinoline N‐oxides in alcoholic media
EP0195135B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quinoli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KR900000554B1 (ko) 퀴놀린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CA1044239A (en) 6-alkoxy-7-hydroxyquinoline-3-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KR900004878B1 (ko) 퀴놀론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90002639B1 (ko) 퀴놀린 유도체의 제조 방법
FI80459C (fi) Nya 3- eller 5-(3-pyridyl)substituerade 1h,3h-pyrrolo/1,2-c/tiazol-7-karboxylsyror, vilka aer mellanprodukter vid framstaellning av motsvarande terapeutiskt anvaendbara pyrrolotiazol-7-karboxylsyraamider och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daerav.
RU200274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1-замещенной 6-фтор-4-оксо-7-(1-пиперазинил)-1,4-дигидрохинолин-3-карбоновой кислоты
US538084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quinoli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RU204473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хинолинкарбоновой кислоты или ее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 приемлемых солей и соединение
JPS62201869A (ja) キノリン誘導体の製造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