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655B1 - 횡편기 - Google Patents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655B1
KR870001655B1 KR1019830001572A KR830001572A KR870001655B1 KR 870001655 B1 KR870001655 B1 KR 870001655B1 KR 1019830001572 A KR1019830001572 A KR 1019830001572A KR 830001572 A KR830001572 A KR 830001572A KR 870001655 B1 KR870001655 B1 KR 870001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needle
batt
raising
knit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466A (ko
Inventor
마사히로 시마
히로지 니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시마 아이디아센타
마사히로 시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시마 아이디아센타, 마사히로 시마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시마 아이디아센타
Publication of KR840004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04B15/365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with provision for loop transfer from one needle bed to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횡편기
제1도는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편침이 후퇴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침상(針床)의 종단면도.
제2도는 편침이 전진위치에 이는 상태를 나타낸 침상의 종단면도.
제3도는 캠장치의 하나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전후로 한쌍의 캠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5도는 편침이 전진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침상의 종단면도.
제6도는 캠장치의 하나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전후로 한쌍의 캠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8도 내지 제10도는 각각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캠장치의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XI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침상 2 : 침홈
3 : 편침 4 : 전 배트(前 batt)
5 : 후 배트(後 batt) 6 : 요(凹)홈
7 : 잭 9 : 캠지판(地板)
10 : 니팅록 11 : 레이징캠
12 : 센터캠
12a : 편침을 코(stitch)받이 궤도에 안내하는 내리는 캠면
13 : 스티치캠 14 : 안내캠
19 : 공소 20 : 코받이쪽 올리는 캠(raising cam)
20a : 올리는 캠면 22 : 코 건네는 쪽 내리는 캠
22a : 내리는 캠면 24 : 코 건네는 쪽 올리는 캠
24a : 올리는 캠면
본 발명의 편침을 니트(knit), 턱(tuck), 웰트(welt)의 3위치에 선택하여 유도할 수 있는 1개의 니팅록과 동일한 위상내에 편침을, 코(3titch)옮기는 궤도 또는 코받이 궤도에 선택하여 유도할 수 있는 트랜스퍼록을 설치하여 편침을 캐리지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1개의 니팅록과 동일위상의 작용영역내에서 자유로이 니트, 턱, 웰트 또는 트랜스퍼할 수 있는 횡편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능을 갖는 선행기술로서는 이미 일본국 특개소 57-25451호가 있고 그 중에는 서로 연속하도록 배치되어 각각 이 2개의 반대로 향한 램프를 가지는 2개의 올리는 캠과 2개의 올리는 캠이 서로 인접하는 램프간에 설치한 제3의 올리는 캠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1조의 올리는 캠군을 설치하여, 상기 제3의 올리는캠의 아래쪽에 공간을 설치하여 이공간과 상기 최초의 2개의 올리는 캠이 서로 인접하는 램프에 의하여 한쪽측을 한정되는 2개의 통로를, 연통시키므로서 상기 최초의 2개의 캠의 외단에 달하기전에 선택된 잭 및 편침이 캠기구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최초의 2개의 캠의 어느 한쪽과 제3의 캠에 의하여 구동되면, 편침이 편성궤도에 올림구동되고, 상기 공간이 상기 잭 및 편침과 거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달한때에 선택되면, 이 잭 및 편침이 제3의 캠에 의하여 구동되지 않고서 턱 편궤도 또는 트랜스퍼의 코받이궤도에 올림구동되도록 되어 있는 캠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지의 선행기술은 편침의 위에 돌설된 전배트와 잭위에 돌설된 후배트중 전배트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건네는 궤도에 올림구동하기 위한 캠은 그것이 가동캠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이캠은 그 상면으로서 전배트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건네는 궤도에 올림구동하는 캠작용면을 구정하고, 그 하면으로서 전배트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받이 궤도에 내림구동하는 캠작용면을 구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편침을 코건네는 궤도에 있어서 내림구동하기 위한 내리는 캠면은 그것이 상기 가동캠의 더상위에 고정설치된 상기 전배트의 전면에 작용하는 안내캠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 공지의 선행기술에 따른 캠장치의 전배트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건네는 궤도에 있어서 내림구동하기 위한 고정안내캠을 편침을 코건네는 궤도에 올림구동하기 위한 상기 가동캠의 더상위에, 필요로 한 분만큼 침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캠지판(地板)과 침상의 길이가 모두 크게 되고, 침홈의 길이가 길어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침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캠지판의 길이와 침홈의 길이를 되도록 짧게하여 니팅록과 트랜스퍼록이 캐리치의 폭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상에 설치된 횡편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관한 횡편기는 침홈내에 위치된 편침 또는 편침에 연결된 잭의 상면에는 그 길이방향의 2위치에 비치하여 전배트와 후배트를 돌설해 있는것, 캐리지상의 캠복스의 캠지판에는 상기 후배트에 작용하는 니팅록을 설치해 있어 1개의 니팅록을 구성하고 있는 좌우의 레이징캠간의 센터캠의 하위에, 상기 후배트가 통과할 수 있는 공소空所)를 형성해 있고, 그 공소에 후배트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받이 궤도에 안내하는 올리는 캠면을 갖춘 코받이쪽 올리는캠을 배설하는 동시에, 상기 센터캠의 상기 공소로 향한 하면으로서, 후배트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받이 궤도에 안내하는 내리는 캠면을 구성하는 있는것, 또, 이 니팅록을 구성하고 있는 좌우의 스티치캠간의 상기 센터캠의 상위에, 후배트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스티치캠의 작용궤도에 안내하는 내리는 캠면을 갖춘 코건네는 쪽 내리는캠을 배설해 있는것, 상기 코건네는 쪽 내리는 캠의 상위에 상기 전배트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건네는 궤도에 안내하는 올리는 캠면을 갖춘 출몰성의 코건네는 쪽 올리는 캠을 배설해 있는것, 상기 후배트로 하여금 상기 공소의 코받이쪽 올리는 캠의 작용영역에 안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후배트쪽이나 또는 레이징캠쪽의 어느한쪽을 다른쪽에 대한 불작용영역에 변위제어자유로 구성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공지기술로는 얻을 수 없는 여러가지 이점을 얻을 수있는데, 다음에 본 발명의 구성과 이점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V배트 횡편기의 한쌍의 침상(1)(1)의 각침홈(2)내에 잭이 없는 편침(3)을 심어 설치된 경우에 관한 것이지만, 각침홈(2)내에 심어 설치된 코옮기는 기능을 가지는 편침(3)의 상면에는 편침(3)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전후(침끝쪽을 앞으로 한)의 2위치에 일정한 간격(
Figure kpo00001
)을주어서 2개의 배트(4)(5)가 돌설돼 있는데, 이 실시예의 전배트(4)는 후배트(5)보다 그 높이를 특히 낮게 설정해 있고, 전배트(4)는 침상(1)의 상면에 침홈(2)에 교차하도록하여 침상(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한, 일정폭(
Figure kpo00002
)의 요홈(6)내에 있어서만 후술하는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24)이 작용할 수 있는 높이로 돌출되어 있고, 이 전배트(4)는 후술의 니팅록(10)이 작용할 수 없는 높이로 그 높이를 낮게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같은 편침(3)에 작용하여 그것을 선택적으로 니트, 턱, 웰트, 또는 코옮기는 동작을 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캠지핀(9)의 표면에 배설되어 있는 캠기구를 제3도, 제4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실시예의 니팅록(10)은 캠지판에서 출몰제어자유로운 한쌍의 레이징캠(11)(11)과, 마찬가지로 출몰제어 자유로운 센터캠(12)과 캠지판(9)의 표면을 따라 비스듬히 상하방향으로 접동제어 자유로운 한쌍의 시티치캠(13)(13)과, 한쌍의 스티치캠(13)(13)간에 있어서 상기 센터캠(12)의 상위(제3도상의 상측을 상위로 한다)에 배설된 안내캠(14)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데, 센터캠(12)의 상위에 있어 후배트(5)에 작용하여 편침(3)을 스티치캠(13)의 작용궤도로 안내하기 위하 한쌍의 내리는 캠면(14a)(14a)을 갖추어 있는 안내캠(14)은 캠지판(9)에서 출몰제어자유로 구성되어 있다.
니팅록(10)의 양측위치와 그 하위에는 각각 상기 후배트(5)에 작용하여 편침(3)을 니팅록(10)의 작용영역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캠(15)(15)(16)(16)(17)이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니팅록(10)을 구성해 있는 좌우의 레이징캠(11)(11)과 센터캠(12)의 하위에는 상기 후배트(15)의 웰트궤도 및 코옮김용의 코받이 궤도를 형성시킬 수 있는 공소(19)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소(19)에는 웰트궤도에 있는 후베트(5)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3)을 코옮길때의 코받이궤도에 안내하는 올리는 캠(20a)을 갖춘 코받이 쪽 올리는 캠(20)을 캠지판(9)으로부터 출몰제어자유로하여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소(19)내에는 상기 센터캠(12)의 하면이 상기 공소(19)로 향하고 있느 부분의 일부(12a)로서 편침(3)의 후배트(5)에 작용하여 편침(3)을코옮길때의 코받이궤도에 안내하기 위한 내리는 캠면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상기 각 레이징캠(11)(11)에는 올리는 캠(11a)의 반대측에 상기 공소(19)방향을 향하여 캠판의 두께가 얇아지는 사면(16b)(X표)을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좌우의 스티치캠(13)(13)간의 센터캠(12)의 상위에 후배트(5)에 작용하여 편침(3)의 스티치캠(13)(13)의 작용궤도로 안내하기 위한 출몰성의 안내캠(1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안내캠(14)의 상위에 배치하여 좌우의 스티치캠(13)(13)간에 상기 안내캠(14)을 몰(沒)위치에 제어하면 코옮길때에 후배트(5)에 작용하여 편침(3)을 스티치캠(13)(13)의 작용궤도로 안내하는 내리는 캠면(22a)을 갖춘 코건네는 쪽 내리는 캠(22)을 캠지판(9)에 고정하여 배설해 있다. 또한 이캠(22)의 캠지판(9)으로부터의 돌출량은 니팅록(10)의 그것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코건네는 쪽 내리는캠(22)의 상위에 위치시켜서는 스티치캠(13)의 조밀도 조절의 장해가 되지않은 위치에 배치하여 코옮길때에 상기 전배트(4)의 후면에 작동하여 편침(3)을 코 건네는 궤도에 안내하는, 올리는 캠면(24a)을 갖춘 코건네는 쪽 올리는(24)을 캠지판(9)에서 출몰제어 자유로 배설되어 있다. 다만 이캠(24)의 출몰량은 상기 요홈(6)위치의 전배트(4)에 대하여 작용 또는 불작용 위치의 사이에 걸쳐 출몰제어가능한 범위이면 족하다는 것은 물론이고, 이 코건네는 쪽 올리는 캠(24)의 지판(9)의 표면에 있어서의 배설위치는 돌출시에 있어(제2도참조)그것이 요홈(6)내에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그 하단의 위치는 상기 코건네는 쪽 내리는캠(22)의 내리는 캠면(22a)의 상단의 위치보다 상위에 설정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는 특히 전배트(4)의 높이는 그것이 니팅록(10)및 상및 코건네는 쪽 내리는캠(22)에는 접촉하지 않은 높이로 설정되는 동시에 상기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24)은 그 돌출위치에서 전배트(4)에만 적용가능하고 후배트(5)에는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이므로, 이 실시예의 횡편기의 경우에는 캐리지의 우행시에, 즉 캠지판(9)을 제3도상 우행시켰을 때에 있어서, 레이징캠(11), 센터캠(12) 및 안내캠(14)을 모두 출위치로 제어하고,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24)을 물위치로 제어해두면 제3도에 나타낸바처럼 편침(3)은 그 후배트(5)가 출위치의 레이징캠(11), 안내캠(14) 및 스티치캠(13)으로 구성되는 니트궤도를 통과하므로 편침(3)은 니트한다.
이때, 이 실시예의 니팅록(10)의 일부와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24)은 편침(3)의 전배트(4)에 오우버랩한 위치를 통과하는데, 이 실시예의 전배트(4)의 높이는 낮고, 그것은 상기한 것처럼 요홈(6)내에서만 돌출되어 있고, 코건네는 올리캠(24)은 몰위치에 제어되어 있으므로 전배트(4)는 니팅록(10) 및 코건네는 올리는캠(24)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로서도 이해할 수 있듯이, 캐리지의 주행시에 레이징캠(11)(11)을 출위치로 제어하고, 센터캠(12) 및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24)을 몰위치로 제어해둔 경우에는 편침(3)은 후배트(5)가 레이징캠(11)의 작용에 의하여 턱위치가지 밖에 올림구동이 되지 않으므로, 편침(3)은 턱하고(도시하지 않음), 캐리지의 주행시에 레이징캠(11)(11), 센터캠(12) 및 코받이쪽 올리는캠(20)을 다같이 몰위치에 제어해둔 경우에는 편침(3)은 후배트(5)가 상기 어느하나의 캠(11)(12)(20)에 의하여도 올림구동이 되지 않으므로 당연히 웰트한다(도시하지 않음).
상기한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편침(3)의 전배트(4)에 오우버랩한 위치를 니팅록(10)의 일부와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24)이 통과하지만, 니팅록(10)과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24)은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전배트(4)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의 캠기구는 캐리지의 우행시에, 즉 전후에서 한쌍의 캠비판(9f), (9r)을 제4도상 우행시킨때에 있어서 적어도 전측의 캠지판(9f)상의 레이징캠(11)(11)과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24)을 출위치에 제어하는 동시에 안내캠(14)을 몰위치에 제어하고, 후측의 캠지판(9r)상의 적어도 선행측(제4도 상우측)의 레이징캠(11)(11)과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24)을 몰위치에 제어하는 동시에 코받이 쪽 올리는캠(20)과 센터캠(12)을 출위치에 제어해두면, 제4도에 나타내듯이 전측의 침상(針床)(1)상의 편침(3)이 그 후배트(5)를 출위치의 레이징캠(11)에 의하여 올림구동되어 그 전배트(4)를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24)의 작용위치까지 올려진다음 계속해서 전배트(4)에작용하는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24)의 올리는캠(24a)과 후배트(5)에 작용하는 코건네는 쪽 내리는캠(22)의 내리는 캠면(22a)과 스티치캠(13)에 의하여 코건네는 궤도를 안내되게 되고, 후측의 침상(1)상의 편침(3)은 그 후배트(5)를 몰위치의 레이징캠(11)이 공소(19)로 도입하고, 이 공소(19)에 도입된 후배트(5)는 축위치의 코받이 쪽 올리는캠(20)의 올리는캠(20a)과 센터캠(12)의 내리는캠면(12a)에 의하여 코받이궤도를 안내되게 되므로, 전측의 침상(1)상의 편침(3)에 결려있는 코가 후측의 침상(1)상의 편침(3)에 코이동이되게 되는 것이다.
이 캐리지의 좌행시에 전후의 캠지판(9f)(9r)상의 캠장치의 제어를, 전후를 바꾸어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어해둘 때는 후측의 침상(1)상의 편침(3)에 걸려있는 코를 전측의 침상(1)상의 편침(3)에 코이동이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니팅록(10)은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전배트(4)에 오우버랩해도 그것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즉 상기 실시예처럼 전배트(4)의 높이를 니팅록(10)이 작용하지 못하는 높이로 설정해둔 경우에는 이전배트(4)와 후배트(5)간의 간격(
Figure kpo00003
)을 스티치캠(13)의 편침(3)의 길이방향으로 따른 높이(h)보다 작게 설정하므로써 편침(3)의 길이를 되도록 짧게하는 동시에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24)의 편침(3)의 길이방향으로 따른 높이(H)를 되도록 작게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지나치게 캠지판(9)과 침상(1)의 편침(3)의 길이방향을 따른 각길이(ℓ·L )를 작게하고, 침상과 캠복스를 콤팩트화 할수 있는 것이다.
전후의 배트(4)(5)에 상기한 바처럼 고저차를 마련하여 전배트(4)에 니팅록(10) 및 코거네는 쪽 내리는 캠(22)등이 오우버랩해도 양자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미리 설정해두면, 상기한 바와같은 이점이 얻어지지만, 본 발명의 횡편기는 전후의 배트(4)(5)간에 상기한 바와같은 고저차를 마련한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양배트(4)(5)의 높이를 같은 높이로 해두어도 좋으며, 그경우에는 양배트(4)(5)간의 간격(
Figure kpo00004
)을 상기 실시예의 경우보다 약간 크게하여 캐리지의 주행시에 니팅록(10) 및 코건네는 쪽 내리는캠(22)이 전배트(4)에 오우버랩하지 않게 구성해두면 좋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배트(4)와 후배트(5)의 쌍방이 모두 편침(3)의 상면에 돌설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배트(4)가 편침(3)의 상면에 돌설되어 있고, 후배트(5)가 편침(3)에 연결된 잭(7)의 상면에 돌설되어 있어도 좋고,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전배트(4)와 후배트(5)의 쌍방이 모두 편침(3)에 연결된 잭(7)의 상면에 돌설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레이징캠(11)(11)이 캠지판(9)에서 출몰사유로 구성되고, 또 센터캠(12)이 레이징캠(11)(11)과 는 별체로 되어 지판(9)에서 출몰자유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들 캠(11)(11)(12)은 제6도,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판(9)에 공정된 일체의 캠이라도 좋고,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코받이 쪽 올리는캠(20)이 공소(19)에 있어서 캠지판(9)에서 출몰제어자유인 예를 나타냈으나, 제6도,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는 이 코받이 쪽 올리는캠은 반드시 캠지판(9)에서 출몰제어자유일 필요는 없고, 캠지판(9)에 고정된 캠이라도 좋다.
그러나, 상기한바처럼 레이징캠(11)(11), 센터캠(12) 및 코받이쪽 올리는캠(20)을 캠지판(9)에 고정된 캠으로 구성한 경우(제5도 내지 제7도)에는 편침(3)의 후배트(5)를, 레이징캠(11)의 레이징작용영역, 센테캠(12)의 레이징작용영역, 및 코받이 쪽 올리는캠(20)의 작용영역등으로 이들의 캠(11)(12)(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불작용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그와같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장치는 이미 특개소 54-68440호공보(해당 미국특허 제4,214,460호)로서 공지이므로 그것을 응용하면 좋다.
즉, 제5도에 나타내듯이 상기 잭(7)을 가요성으로 구성하여 후배트(5)를 침홈(2)내로 출몰제어자유로 구성하는 동시에 이 잭(7)이 상면에 프레서잭(8)을 배설해서 이 프래서잭(8)을 예컨대 캐리지상에 설치한 선침기구(選針機構)로서 선택적으로 전진위치(I), 중간위치(II) 및 후퇴위치(III)의 3위치로 선택되도록 구성해두면 캠지판(9)에 설치한 출몰성의 압압캠(31)(32)(32)(33)(33)(34)을 선택적으로 출몰제어하므로써 상기 3위치 (I)(II)(III)의 프레서잭(8)의 배트(30)를 누르고, 임의의 편침(3)의 후배트(5)로 하여금 상기 레이징캠(11), 센터캠(12) 또는 코받이 쪽 올리는캠(20)의 작용영역에서 그것을 침홈(2)내에 몰입시킨 불작용위치에 제어된다. 그리고 35와 36은 상기 프레서잭(8)의 배트(30)의 전면에 작용하는 출몰성의 하아프클리어캠과 클리어캠이며, 37은 프레서잭(8)의 상기 3위치 선침장치의 일부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같이 후배트(5)를 가요성의 잭(7)상에 설치하여 프레서잭(8)으로 그 상면을 누르면 후배트(5)로 하여금 침홈(2)내에 몰입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는 동시에 레이징캠(11)(11)과 센터캠(12)을 일체의 고정캠으로하고, 코받이쪽 올리는캠(20)을 고정캠 또는 출몰성의 캠으로 한 경우(제5도 내지 제7도)에 있어서의 편성동작과 코이동 동작을 제6도, 제7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6도에 나타내있듯이 상기 프레서잭(8)을 후퇴위치(III)로 선택하여 압압캠(31)을 출위치에 제어해두면, 후배트(5)가 레이징캠(11)(11)과 센터캠(12)의 작용영역에서 몰위치로 유지되므로 편침(3)은 웰트하고(제6도 3점쇄선), 상기 프레서잭(8)을 중간위치(II)에 선택하여 압압캠(32)(32)을 몰위치 제어해두면, 후배트(5)가 레이징캠(11)(11)과 센터캠(12)의 작용영역에서 출위치로 유지되므로 편침(3)은 니트하고(제6도 2점쇄선), 상기 프레서잭(8)을 전진위치(I)에 선택하여 압압캠(33)(33)을 몰위치에 제어하고 압압캠(34)을 출위치에 제어해두면 후배트(5)가 레이징캠(11)(11)의 작용영역에서는 출위치로 유지되고, 센터캠(12)의 작용영역에서는 몰위치로 유지되므로 편침(3)은 턱하게 된다(제6도 1점쇄선). 그리고 제7도에 나타내 있듯이 캐리지의 우행시에 즉전후에서 한쌍의 캠지판(9f)(9r)을 제7도상 우행시킨때에 있어서, 앞쪽의 침상(1)상의 프레서잭(8)을 전진위치(I)에 선택해두는 동시에 앞쪽의 캠지판(9f)상의 압압캠(33)(34)(33)과 안내캠(14)을 몰위치제어하고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24)을 출위치에 제어해두면, 프레서잭(8)이 전진위치(I)에 선택된 침홈(2)내의 편침(3)은 그것에 연결되어 있는 잭(7)의 후배트(5)에 작용하는 레이징캠(11), 코건네는 쪽내리는캠(22)의 내리는캠면(22a) 및 스터치캠(13)과 편침(3)의 전배트(4)에 작용하는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24)의 올리는캠면(24a)에 의하여 코건네는 궤도(제7도 1점쇄선)에 안내되고, 뒤쪽의 침상(1)상의 프레서잭(8)을 증간위치(II)에 선택해두는 종시에 뒤쪽의 캠지판(9r)상의 압압캠(32)(32)을 출위치에 제어하고, 크건네는 쪽 올리는캠(24)을 몰위치에 제어하고, 코받이쪽 올리는캠(20)이 출몰성의 경우는 그것을 출위치에 제어해두면, 프세서잭(8)이 중간위치(II)에 선택된 침홈(2)내의 편침(3)은 그것에 연결된 잭(7)의 후배트(5)에 작용하는 코받이쪽 올리는캠(20)의 올리는캠면(20a)과 센터캠(12)의 내리는 캠면(12a)에 의하여 코받이궤도(제7도 2점쇄선)에 안내되므로 상기 실시예(제4도)의 경우 마찬가지로 앞쪽의 침상(1)상의 편침(3)에 걸려있는 코는 그것이 뒤쪽의 침상위의 편침(3)에 코이동이 되게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캐리지의 좌행시에는 전후를 교체한 상기와 마찬가지의 제어에 의하여 코를 뒤쪽에서 앞으로 코이동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제4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배트(4)의 높이를 니팅록(10)이 작용할 수 없는 높이로 설정해둔 경우에는 캠지판(9)과 침상(1)의 편침(3)의 길이방향으로 따른 길이(ℓ·L )를 작게하므로써 침상과 캠복스를 콤팩트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 실시예(제5도 내지 제7도)의 경우와 같은 선침기구가 병설된 횡편기의 경우에는 전후의 침상(1)상의 임의의 프레서잭(8)을 후퇴위치(III)에 선택하여 압압캠(31)을 출위치에 제어해둘때는, 프레서잭(8)이 후퇴위치에 선택된 침홈(2)내의 편침(3)은 그것에 연결되어 있는 잭(7)의 후배트(5)가 레이징캠(11, 11)과 센터캠(12)의 작용영역에서 몰위치로 유지되므로 임의의 편침(3)을 웰트시켜서(제7도 3점쇄선)다른 편침(3)만을 선택하여 코이동(제7도 2점 쇄선 및 1점쇄선)시킬수가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코받이 쪽 올리는캠(20)이 후배트(5)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3)을 코받이 궤도에 안내하는 올리는캠면(20a)을 한쪽의 주행방향(제3도, 제6도상의 좌방향)에 면해서만 갖추고, 상기 센터캠(12)의 상기 공소(19)에 향한 하면으로서 구성된 후배트(5)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3)을 코받이 궤도로 안내하는 내리는 캠면(12a)이 캐리지의 한쪽의 주행방향(제3도, 제6도상의 좌방향)에 면해서만 형성되어, 상기 코건네는 쪽 내리는캠(22)이 후배트(5)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3)을 스티치캠(13)의 작용 궤도에 안내하는 내리는 캠면(22a)을 캐리지의 다른쪽의 주행방향(제3도, 제6도상의 우방향)에 면해서만 갖추고, 또한 상기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24)이 전배트(4)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3)을 코건네는 궤도에 안내하는 올리는캠면(24a)을 캐리지의 다른쪽의 주행방향(제3도, 제6도 상우방향)에 면해서만 갖추고 있는 예를 표시하였으나,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니트, 턱 또는 웰트는 캐리지의 좌우 어느 방면으로의 주행시에도 이를 자유로이 선택해서 할 수 있으나 코이동동작은 캐리지의 좌우 어느한 방향으로의 주행시에는 전후 어느한쪽의 침상(1)상의 편침(3)에 걸려있는 코를 다른쪽의 침상(1)상의 편침(3)에 코이동되어도 다른쪽의 침상(1)상의 편침(3)에 걸려있는 코는 캐리지의 주행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변경하지 않으면 이것을 반대측의 편침(3)에 코이동될 수 없는 예를 표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공소(19)에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후배트(5)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3)을 코받이궤도에 안내하는 올리는 캠면(20a)을 캐리지의 한쪽의 주행방향으로(좌방향)면해서 갖추고 있는 올리는 캠(201)과 동일한 올리는 캠면(20a)을 캐리지의 다른쪽의 주행방향(우방향)에 면해서 갖추고 있는 올리는캠(202)을 한쌍 설치해두던가, 또는 제9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공소(19)에 배설된 1개의 코받이 쪽 올리는캠(20)에 후배트(5)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3)을 코받이궤도에 안내하는 올리는캠면을 캐리지의 양쪽의 주행방향에 면하여한쌍(20a, 20a) 형성하여둠과 동시에, 상기 센터캠(12)의 상기 공소(19)로 향한 하면으로서 구성되는 후배트(5)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받이궤도로 안내하기 위한 내리는 캠면을 캐리지의 양쪽의 주행방향에 면하여 한쌍(12a, 12a)형성하고, 상기 코건네는쪽 내리는캠(22)에 후배트(5)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3)을 스티치캠(13)의 작용궤도로 안내하는 내리는 캠면을 캐리지의 양쪽의 주행방향으로 면하여 한쌍(22a, 22a)형성하고, 또한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24)에 전배트(4)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3)을 코건네기궤도에 안내하는 올리는캠면을 캐리지의 양쪽의 주행방향으로 면하여 항쌍(24a, 24a)형성하여 둘때는, 코이동동작을 캐리지의 좌우 어느 주행방향에 있어서도 전후 어느 쪽에서라도 한쪽의 침상(1)상의 편침(3)에 걸려있는 코로 하여금 반대 쪽의 침상(1)상의 편침(3)에 코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다른 실시에에 있어서는 제10도, 제11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1개의 코받이쪽 올리는캠(20)을 상기 공소(19)에 배설해두어도, 상기 제8도, 제9도의 코받이쪽 올리는캠과 마찬가지고 코이동을 캐리지의 좌우어느 주행방향에 있어서도 전후 어느 쪽에서라도 할수 있다.
캠지판(9)으로부터 출몰자유로 구성된 이실시예의 코받이쪽 올리는캠(20)은, 캠의 출몰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높이가 낮은 베이스캠(203)과 이베이스캠(203)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삼각캠(204)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캠(203)은 그 양쪽의 면을 상기 요소(凹所)로 향하여 그 돌출높이가 낮아지는 사면(203b, 203b)으로 형성되어 있어, 삼각캠(204)의 양쪽의 캠작용면(204a, 204a)과 베이스캠(203)의 양쪽의 캠작용면(203a, 203a)과의 짜맞춤으로서 좌우 어느방향에서라도 상기 후배트(5)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3)을 코받이궤도로 안내하는 한쌍의 올리는 캠면이 구성되어 있다.
즉 이실시예의 코받이쪽 올리는캠(20)은 레이징캠(11)은 요소(19)에 후배트(5)가 안내되면 후배트(5)를 그 상면에 작용하는 베이스캠(203)의 사면(203b)으로서 먼저 삼각캠(204)의 작용위치에 오게하고, 후배트(5)를 그후면에 작용하는 삼각캠(204)의 캠작용면(204a)에서 일정량 상승시키고, 후배트(5)가삼각캠(204)의 정점위치에 달하면, 그것을 한쌍의 캠작용면(203a)으로서 그것을 소정량 전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니팅록(10)이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센터캠과 그 상위의 상기 코건네는 쪽 내리는캠(22)과의 사이에 상기 후배트(5)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3)을 스티치캠(13)의 작용궤도에 안내하기 위한 내리는캠면을 갖춘 안내캠(14)을 특히 출몰제어자유로이하여 갖추고 있는 니팅록(10)인 경우에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안내캠(14)은 이를 생략하여도 된다.
다음에 상기 레이징캠(11, 11)과 센터캠(12)에 상당하는 캠을 일체의 고정캠으로하고 또한 캐리지의 어느주행방향에 있어서나 전후 어느쪽의 편침에서라도 반대측듸 편침에 코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제8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하여 그 상세한 것을 약간 보충설명한다면, 제8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한쌍의 코받이쪽 올리는캠(201), (202)은 각각 개별적으로 캠지판(9)으로부터 출몰제어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어느 한쪽을 출위치로 제어하고 다른쪽을 몰위치로 제어하므로써 캐리지의 어느 주행방향에 있어서도 편침(3)으로 하여금 코받이궤도로 안내될 수있도록 되어 있으나, 제9도, 제10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1개의 코받이쪽 올리는캠(20)이 죄우양방향으로 향해서 올리는캠을 갖추고 있으므로 이경우의 코받이쪽 올리는 캠(20)은 캠지판(9)으로부터 출몰성의 캠이나 고정캠이라도 그 어느것이라도 된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횡편기를 몇개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바에 의하여도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편기에 있어서는, 침홈내에 위치된 편침 또는 편침에 연결된 잭의 상면에는 전후의 2위치에 배치하여 전배트와 후배트가 돌설되어 있으며, 이 전후 2개의 배트에 작용하는 캠장치로서, 편침을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있어서의 동일한 위상에 설치된 캠 장치로서, 니트궤도, 턱궤도, 웰트궤도, 코이동을 위한 코건네기궤도, 또는 코이동을 위한 코받이궤도의 어느것에라도 선택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횡편기의 캠기구는, 상기 2개의 배트중 후배트에 작용하는 니팅록을 설치하고 있으며, 코이동을 위한 캠면중 편침을 코받이궤도에 안내하기 위한 내리는 캠면이 좌우의 레이징캠간의 센터캠의 하위에 형성한 공소에 면하고 있는 센터캠의 하면으로서 후배트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받이 궤도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횡편기에서는 종래장치와 같이 전배트의 전면으로 하여금 편침을 코받이궤도에 안내하기 위한 캠장치에 작용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횡편기에서는 후배트의 전면으로 하여금 코건네기 궤도로 올림구동된 편침을 내림 구동하기 위한 내리는 캠면에 작용시켜서 편침을 코건네기 궤도에서 내림구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편침을 코건네기궤도에 있어서 내림구동하기 위한 캠면을 가진 코건네는쪽 내리는 캠을 전배트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건네기궤도에 올림구동하기 위한 캠면을 가진 코건네는 쪽 올리는캠의 하위에 배치하고 후배트에 대면시켜서 설치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횡편기에 있어서는 코건네기궤도에 있어서 전배트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내림구동하기 위한 캠면을 가진 안내캠을 코건네는쪽 올리는캠의 상위에 캠지판을 연설하여 거기에 설치해둘 필요가 없으며 이와같은 안내캠을 필요로 하지 않는 부분만큼 캠복스와 침홈의 편침의 길이방향에 따른 길이를 짧게할수가 있어 캠복스와 침사을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24)

  1. 침홈애에 위치된 편침 또는 편침에 연결된 잭의 상면에는 그 길이방향의 2위치에 배치하여 전배트(前 batt)와 후배트(後 batt)를 돌설하고 있는것, 캐리지상의 캠박스의 캠지판(地板)에는 상기 후배트에 작용하는 니팅록을 설이하고 있어 1개의 니팅록을 구성하고 있는 좌우의 레이징캠간의 센터캠의 하위에 상기 후배트가 통과할 수 있는 공소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공소에 후배트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받이 궤도로 안내하는 올리는 캠면을 갖춘 코받이쪽 올리는 캠을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센터 캠의 상기 공소로 향한 하면으로서 후배트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받이 궤도로 안내하는 내리는 캠면을 구성하고 있는것, 또 이 니팅록을 구성하고 있는 좌우의 스티치캠간의 상기 센터캠의 상위에 후배트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스티치캠의 작용궤도로 안내하는 내리는 캠면을 갖춘 코건네는쪽 내리는캠을 배설하고 있는것, 상기 코건네는쪽 내리는캠의 상위에 상기 전배트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건네기 궤도로 안내하는 올리는 캠면을 갖춘 출몰서의 코건네는 쪽 올리는 캠을 배설하고 있는것, 상기 후배트로 하여금 상기 공소의 코받이쪽 올리는캠의 작용영역으로 안내가능토록 하게하기 위하여 후배트쪽이던가 또는 레이징캠쪽의 어느한쪽을 다른쪽에 대하는 부작용영역으로 변위제어자유로 구성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이쪽 올리는캠이 상기 후배트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받이궤도로 안내하는 올리는캠면을 캐리지의 한쪽의 주행방향으로 면하여서만 갖추고 있는 1개의 올리는 캠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캠의 상기 공소로 향한 하면으로서 구성된 상기 후배트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받이궤도로 안내하는 내리는 캠면이 캐리지의 한쪽의 주행방향으로 면하여서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4. 제1에항 있어서, 상기 코건네는쪽 내리는캠이 상기 후배트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스티치캠의 작용궤도로 안내하는 내리는 캠면을 캐리지의 다른쪽의 주행방향으로 면하여서만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건네는 쪽 올리는 캠이 상기 전배트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건네는 궤도로 안내하는 올리는 캠면을 캐리지의 다른쪽의 주행방향으로 면하여서만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이쪽 올리는캠이, 상기 후배트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받이 궤도로 안내하는 올리는 캠면을 캐리지의 한쪽의 주행방향으로 면하여 갖추고 있는 올리는캠과, 상기와 마찬가지의 올리는 캠면을 캐리지의 다른쪽의 주행방향으로 면하여 갖추고 있는 올리는 캠과의 한쌍임을 특징으로하는 횡편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이쪽 올리는캠이 상기 후배트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받이궤도로 안내하는 올리는 캠면을 캐리지의 양쪽의 주행방향으로 면하여 한쌍 갖추고 있는 1개의 올리는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8. 제1항, 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캠의 상기 공소로 향한 하면으로서 구성된 상기 후배트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받이 궤도로 안내하는 내리는 캠면이, 캐리지의 양쪽의 주행방향으로 면하여 한쌍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건네는쪽 내리는 캠이 상기 후배트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스티치캠의 작용궤도로 안내하는 내리는 캠면을 캐리지의 양쪽의 주행방향으로 면하여 한쌍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건네는쪽 올리는캠이 상기 전배트의 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코건네기 궤도로 안내하는 올리는 캠면을 캐리지의 양쪽의 주행방향으로 면하여 한쌍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배트와 후배트의 쌍방이 함께 편침의 상면에 돌설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배트가 편침의 상면에 돌설되어 있으며 상기 후배트가 편침에 연결된 잭의 상면에 돌설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배트와 후배트의 쌍방이 함께 편침의 연결된 잭의 상면에 돌설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잭이 그의 상면이 후배트를 니팅록에 대한 작용위치와 니팅록에 작용하지 않는 위치와의 사이에 걸쳐서 출몰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징 캠이 작용위치와 부작용위치와의 사이에 걸쳐서 출몰제어 자유로운 캠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캠이 작용위치와 부작용위치와의 사이에 걸쳐서 출몰제어 자유로운 캠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이쪽 올리는캠이 작용위치와 부작용위치와의 사이에 걸쳐서 출몰제어 자유로운 캠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징캠이 캠지판에 고정된 캠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캠이 캠지판에 고정된 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이쪽 올리는 캠이 캠지판에 고정되 캠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배트가 그 높이를 니팅록이 작용할 수 없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배트와 사기 후배트간의 간격이 스티치캠의 편침이 길이 방향에 따른 높이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침상이 그의 상면에 출위치의 상기 코건네쪽 올리는 캠의 통과를 허용하는 요(凹)홈을, 침상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갖추고 있는 침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횡편기.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팅록이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상기 센터캠과 그 상위의 상기 코건네는 쪽 내리는 캠과의 사이에 상기 후배트의 전면에 작용하여 편침을 스티치캠의 작용궤도로 안내하기 위한 내리는 캠면을 갖춘 안내캠을 출몰제어 자유로 갖춘 니팅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KR1019830001572A 1982-04-28 1983-04-14 횡편기 KR870001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72254 1982-04-28
JP57072254A JPS591750A (ja) 1982-04-28 1982-04-28 横編機
JP57-72254 1982-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466A KR840004466A (ko) 1984-10-15
KR870001655B1 true KR870001655B1 (ko) 1987-09-18

Family

ID=13483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572A KR870001655B1 (ko) 1982-04-28 1983-04-14 횡편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470274A (ko)
JP (1) JPS591750A (ko)
KR (1) KR870001655B1 (ko)
CH (1) CH661539A5 (ko)
DE (1) DE3348182C2 (ko)
GB (1) GB2119413B (ko)
IT (1) IT11632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7093C2 (de) * 1983-07-27 1986-05-22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7081 Westhausen Kombiniertes Strick-Umhhängeschloß für R-R-Flachstrickmaschinen mit V-förmig angeordneten Nadelbetten und mit Schiebernadeln
DE3334040C2 (de) * 1983-09-21 1986-03-13 H. Stoll Gmbh & Co, 7410 Reutlingen Ein- oder Mehrschloßsystem für Flachstrickmaschinen
DE3340197A1 (de) * 1983-11-07 1985-05-23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7081 Westhausen Flachstrickmaschine mit selektiver nadelauswahl
DE3433628C2 (de) * 1984-09-13 1986-12-18 H. Stoll Gmbh & Co, 7410 Reutlingen Schloßsystem für Flachstrickmaschinen und Verfahren zum kombinierten Bilden und Umhängen von Maschen an Flachstrickmaschinen
DD239012A1 (de) * 1985-07-01 1986-09-10 Textima Veb K Schlosssystem fuer strickmaschinen
JPS6221851A (ja) * 1985-07-18 1987-01-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針を使用した横編機
JPS6221850A (ja) * 1985-07-19 1987-01-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針を使用した横編機
EP0217432B1 (fr) * 1985-09-04 1988-11-17 Atelier De Construction Steiger S.A. Porte-cames pour machine à tricoter rectiligne et machine à tricoter équipée d'un tel porte-cames
DE3537612C2 (de) * 1985-10-23 1994-07-28 Stoll & Co H Schloßsystem für Flachstrickmaschinen
DE3541171A1 (de) * 1985-11-21 1987-05-27 Stoll & Co H Flachstrickmaschine mit nadelauswahleinrichtung
DD252207A1 (de) * 1986-08-15 1987-12-09 Textima Veb K Schloss fuer rechts/rechts-flachstrickmaschine
DE3715212A1 (de) * 1987-05-07 1988-12-01 Schieber Universal Maschf Flachstrickmaschine
JP2610533B2 (ja) * 1990-02-14 1997-05-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トランスファー兼用カム
US5305619A (en) * 1990-03-26 1994-04-26 Shima Seiki Mfg. Ltd. Stitch increasing method and cams for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stitch increasing function
TR25333A (tr) * 1991-03-26 1993-01-01 Shima Seiki Mfg ILMEK ARTTIRMA YÖNTEMI VE ILMEK ARTTIRMA FONKSIYONU OLAN DüZ ÖRGü MAKINALARI ICIN KAM
JPH0621962U (ja) * 1992-07-23 1994-03-22 昌一 柴田 紙めくり用タツクシール
GB2299347A (en) * 1995-03-28 1996-10-02 Monk Dubied Limited Cam system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7690223B2 (en) * 2004-12-07 2010-04-06 Fukuhara Needle Co., Ltd. Part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DE102008034620B4 (de) * 2008-07-25 2011-11-03 H. Stoll Gmbh & Co. Kg Strickschloss einer Flachstrickmaschine
EP2372003B1 (en) * 2008-12-01 2014-05-21 Shima Seiki Mfg., Ltd Cam device for transfer receiving needle
CN102264966B (zh) * 2008-12-26 2013-08-14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横机
JP5431002B2 (ja) * 2009-04-03 2014-03-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編成用横編機
CN101792951B (zh) * 2010-04-02 2011-08-24 太仓市隆丝达针织时装有限责任公司 一种针织横机的底板三角装置
CN102321945A (zh) * 2011-08-25 2012-01-18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电脑针织横机编织三角
CN102828336A (zh) * 2012-10-02 2012-12-19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针织横机中的多功能三角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32107A (it) * 1951-11-02 1958-08-31 Macchine Utensili E Maglieria Serratura per macchine da maglieria rettilinea con aghi a tallone alto e basso
DE1785099C3 (de) * 1968-08-09 1975-01-23 H. Stoll & Co, 7410 Reutlingen ScMoe für Flachstrickmaschine!! zum Umhängen von Maschen von den Nadeln des einen auf die des anderen Nadelbettes
SU579912A3 (ru) * 1974-09-10 1977-11-05 Универсаль Машиненфабрик Др. Рудольф Шибер Кг (Фирма) Замок переноса петель с игл игольницы на иглы другой игольницы плоскофанговой машины
JPS5468440A (en) * 1977-11-08 1979-06-01 Shima Idea Center Co Ltd V bed knitting machine
JPS563291U (ko) * 1979-06-18 1981-01-13
CH636657A5 (fr) * 1980-06-16 1983-06-15 Steiger Atelier De Constructio Porte-cames pour machine a trico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348182C2 (de) 1994-01-20
GB2119413B (en) 1985-09-18
KR840004466A (ko) 1984-10-15
GB8311375D0 (en) 1983-06-02
IT8320828A1 (it) 1984-10-28
IT8320828A0 (it) 1983-04-28
US4470274A (en) 1984-09-11
GB2119413A (en) 1983-11-16
JPS591750A (ja) 1984-01-07
JPS6225776B2 (ko) 1987-06-04
CH661539A5 (de) 1987-07-31
IT1163254B (it) 1987-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655B1 (ko) 횡편기
KR100554230B1 (ko) 횡편기
KR101223919B1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
KR100249119B1 (ko) 눈옮김장치를 가진 횡편기
JP3085657B2 (ja) 横編機
JP4977383B2 (ja) 横編機の編成用カム装置
US7412850B2 (en) Complex cam system
US4729230A (en) Cam system for flat-bed knitting machine
KR102226578B1 (ko) 횡편기
JP4015982B2 (ja) 編地編成用カム装置
JP3465174B2 (ja) 横編機におけるニット,トランスファー兼用カム
EP2025785A1 (en) Knitting method of intersia pattern fabric and weft knitting machine
CN110678593B (zh) 横机中的添纱编织方法
JPH0137498B2 (ko)
CN100366807C (zh) 具有可动沉降装置的横机
JP2604677B2 (ja)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
JPH0860499A (ja) ニッティングカムおよびカム装置
US3916648A (en) Knitting machine cam system with pressing off means
JPS58109662A (ja) 横編機の選針装置
JPS6237142B2 (ko)
JPH0210262B2 (ko)
KR20110091692A (ko) 트랜스퍼 리시빙 니들용 캠 장치
JPS5847494B2 (ja) 横編機における目移装置
JPS6214148Y2 (ko)
JPH06220752A (ja) 横編機における選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