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312B1 - 자기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312B1
KR860000312B1 KR8203262A KR820003262A KR860000312B1 KR 860000312 B1 KR860000312 B1 KR 860000312B1 KR 8203262 A KR8203262 A KR 8203262A KR 820003262 A KR820003262 A KR 820003262A KR 860000312 B1 KR860000312 B1 KR 860000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recording
head
heads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933A (ko
Inventor
아끼라 토바
Original Assignee
사바 쇼오이찌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바 쇼오이찌,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바 쇼오이찌
Publication of KR840000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4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기록 재생장치
제1도는 회전디스크 위의 회전헤드의 위치과계를 나타낸 도면.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어셈블 에디팅 시스템(assemble ebiting system)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자기 테이프 위의 레코우딩 패턴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어셈블 에디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제3도의 어셈불 에디팅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 타이밍 다이아 그램.
제5도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어셈블 에디팅시스템의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5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드.
본 발명은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특히 어셈블에디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먼저 녹화된 부분으로 부터 연속하여 새로운 녹화를 하기 위해서는 즉, 어셈블 편집을 위해서는, 테이프가 먼저 녹화된 부분의 끝에서 일정 시간 리와인드 하여서 다음에 어셈블에디팅 개시와 동시에 일정시간 동작을 재생모우드로 하고, 이 모우드로 구기록 패턴과 새로운 신호 패턴의 위상이 합쳐지고, 그리고 그 후 새로운 신호가 기록된다. 이 경우, 통상 테이프의 리와인드량과, 재생모우드에서 캡스턴 서어보(capstan servo)가 동작하고, 그리고 실정할 때까지의 테이프의 권취량과의 사이에는 차가 생기고, 그러므로 테이프의 리와인드량이, 새 녹화가 행하여질 때까지의 테이프 권취량 보다더 많이 되어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반드시 새로운 영상 신호가 낡은 영상신호에 오버랍한다. 이런 기록 방법은 리마인드량이 적고, 그러므로 오랜 녹화부와 새로운 녹화부와의 사이에 공백부가 생기는 것과 같은 기록방법 보다도 좋은 재생화를 제공할 수가 있다. 오버랍부에 있어서, 구영상 신호는 거의 소멸되지만, 그 일부는 소멸되지 않는다.
따라서 오랍부의 재생시에 불쾌한 비이트가 발생한다. 오버랍부가 생기지 않도록 어셈블 편집을 하기 위해서는, 회전 소멸 헤드를 비데오헤드에 근접시켜 설치해도 좋으나, 이것은 경제적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새로운 비데오 기록패턴을 낡은 비데오 기록 패턴에 대하여, 그 사이에 공백부 또는 중복부를 형성시키는 일없이, 연속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어셈블 에디팅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1필드마다의 영상신호를 싱글 스큐비데오 트랙으로서 차례로 자기 테이프 위에 기록하고, 또는 여기서 1필도 마다의 영상신호를 차례로 재생시키는 제1도 및 제2도의 회전 비데오 헤드가 180°간격으로 회전 디스크 위에 배치되어 있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우더를 위한 어셈블 에디팅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회전 디스크 위에 제1 및 제2의 비데오헤드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보조 헤드; 녹화 모우드중 오페레이터에 의하여 주어지는 기록포즈 조작에 응답하여 기록포즈 조작이 해제될 때까지 기록포즈 신호를 발생기키는 기록 포즈수단, 기록포즈 신호에 응답하여 제1의 비데오 헤드에 의한 기록이 종료하는 타이밍으로 영상신호의 제1 및 제2의 비데오헤드에 대한 공급을 저지시키는 수단; 기록포즈신호에 응답하여 자기테이프를 일정기간 리와인드 시키기 위한 수단; 자기테이프의 정방향 주행개시 후, 상기 녹화모우드중 기록된 비데오 트랙을 트랙을 트레이스 하는 보조헤드의 재생출력 신호의 레벨에 기인하여 자기테이프 위의 낡은 기록패턴의 제1헤드에 의해 기록된 최종 트랙 위치를 검출하는 최종 트랙위치 검출수단 및 낡은 기록패턴의 최종 트랙위치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1의 헤드에 의하여 기록된 최종트랙에 인접하는 제2의 헤드에 의한 새로운 비데오 트랙의 기록개시 시점에서 기록 슈트 수단을 해서 제1 및 제2의 비데오 헤드에 대한 영상신호의 공급을 재개시키는 기록슈트 해제수단이 제공된다.
다른 태양에 의하면, 회전 디스크 위에 180°간격으로 배치되고, 1필드마다의 영상 신호를 싱글 스큐비데오 트랙(single skewed viedo track)으로서 차례로 자기 테이프 위에 기록하고, 또는 여기서 부터 1필드마다의 영상신호를 차례로 재생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의 회전 비데오 헤드 및 제1 및 제2의 비데오 헤드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보조헤드를 갖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를 위한 어셈블 에디팅시스템으로, 비데오테이프 레코더를 녹화 모우드로 동작시켜서 자기 테이프 위에 제1 및 제2의 비데오헤드에 의하여 비데오 트랙을 차례로 기록하고; 녹음포즈의 조작을 하고; 녹음포즈 조작 후 제2의 비데오헤드에 의하여 비데오트랙이 형성된 타이밍으로 제1 및 제2의 비데오헤드에 대한 영상신호의 공급을 저지시키며, 제1및 제2의 비데오 헤드에 대한 영상신호의 공급저지 후, 자기테이프를 일정기간 리와인드 하며; 테이프 리와인드 후 기록포즈 조작을 해제하므로서 테이프를 정방향으로 주행시키며 ; 테이프의 정방향주행개시 후, 제1의 스텝중 제1 및 제2의 비데오 헤드에 의하여 기록된 비데오 트랙을 드래스하는 것을 보조 헤드의 출력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며 ; 그리고 보조 헤드의 출력신호 레벨의 저하에 응답하여, 제1의 스텝중에 제2의 지데오 헤드에 의하여 기록된 최후의 비데오트랙을 제1의 비데오 트랙이 트레스되고 녹화 타이밍으로 제1및 제2의 비데오 헤드에 대한 영상신호의 공급을 재개하는 단계로 구성된 비데오테이프를 위한 어셈블 에디팅 방법이 마련된다.
최근, 통상의 기록재생용의 2개의 회전헤드외에 슬로우/스틸과 같은 특수재생용의 2개의 보조회전 헤드를 구비한 가정용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가 시장에 출화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어셈블 에디팅시스템을 이와 같은 비데오테이프레코더를 이용한 실시예를 예로들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특수재생용 회전헤드의 하나가 어셈블 에디팅을 위하여 유효하게 이용되는 것이지만, 단지 어셈블에디팅을 위해서는 통상의 기록 재생용의 2개의 회전 헤드외에 어셈블 에디팅을 위한 1개의 회전헤드를 구비하면 된다.
제1도는 회전 디스크위의 4개의 회전헤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A 및 B는 통상의 기록재생용의 주회전헤드를 나타내고, SA 및 SB는 특수재생용의 보조회전 헤드를 나타낸 것이다. 주회전헤드와 보조회전 헤드는 직교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T는 비데오 테이프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록 재생시에는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한다. 또 회전디스크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어셈블 에디팅시스템의 개요를 자기 기록패턴을 나타내는 제2a 및 제2b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어셈블 에디팅을 하기 위해서는, 기록포즈 조작이 행하여지고, 그리고 그 다음, 기록포즈조작이 해제되면 된다.
기록포즈 조작이 행하여지면, 헤드 A에 의한 기록이 완료된 시점에서 기록뮤트상태로 된다. 제2a도에있어서 스큐비데오트랙 B1, A1, B2, A2, B3, A3는 구기록패턴을 나타내고 있으며, 트랙 B1, B2, B3는 헤드 B에 의하여 형성되고, 트랙 A1, A2, A3는 헤드 A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비데오 트랙은 영상신호의 1필드에 상당한다.
트랙 A3는 최후의 비데오트랙이고, 이 비데오트랙 A3의 형성 종료시점에서, 헤드 A와 헤드 B는 데이프 위에서 도면에 표시한 위치에 있다. 이것은 제1도에 나타낸 테이프 T와 회전헤드 A, B와의 상대적위치관계에 상당한다.
다음에 비데오 트랙 A3 이 형성된 다음, 테이프 T는 일정기간 리와인드 된다. 이때의 테이프의 리와인드량은, 기록포즈 해제에 의한 테이프의 정방향 주행 개시후 캡스턴 서어보계가 안정할 때까지의 테이프 주행량보다 조금 많게 설정되어 있다.
기록포즈 해체 후 테이프 T는 정방향으로 주행을 개시한다. 헤드 A 및 B가 구트랙 A1 및 B1를 트레스하는 시점에 다달으며, 캡스턴서어보계는 안정되고, 또 테이프 T의 콘트롤 트랙으로 부터 재생되는 콘트롤펄스와 회전 디스크의 회전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헤드 절환펄스의 위상이 소정의 관계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새로운 영상신호의 적절한 기록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는 기록 뮤드(mute) 상태는 해제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새로운 기록은 행할 수 없다. 상기한 보조헤드 SA는 새로운 기록패턴의 기록시작 위치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어셈블 에디팅을 위하여 재생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프 T가 정방향으로 주행하고 있을 동안 주헤드 A가 없는 기록 패턴의 비데오트랙 A1을 트레스할 때, 제2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헤드 SA는, 트랙 A1과 B2를 트레스한다. 그러므로, 보조헤드 SA로 부터 큰 레벨로 출력신호가 재생된다. 낡은 기록패턴의 최후의 트랙 A3을 주헤드 트레스할 때에는, 트랙 A3에 인접한 비데오 트랙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보조 헤드 SA의 재생신호 레벨은 비교적 저하하고, 이것에 의하여 낡은 기록패턴의 끝이 검출되고, 기록뮤트상태가 해제되고, 주헤드 B에 의하여 트랙 A3에 인접하여 새로운 비데오 트랙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어셈블에디팅 시스템에 의하여, 보조헤드에 의하여 낡은 기록 패턴의 끝의 트랙, 다시말 하면, 새로운 기록패턴의 개시위치가 검출되므로, 새로운 기록패턴이 낡은 기록패턴에, 중첩부 또는 공백부를 설치하는 것 없이,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셈블에디팅을 위한 보조 헤드는 주헤드 A 및 B의 각각에 대하여 90°의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아하 전술한 어셈불 에디팅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영상신호는 기록슈트회로(11) 및 기록모우드중 전원가 공급되는 기록증폭기(12)를 개재하여 회전헤드어 셈블리(10)의 주헤드(A) 및 (B)에 결합된다. 주헤드(A) 및 (B)는 또 재생 폴리앰프(13) 및 (14)에 각각 접속되고, 한편 보조헤드 SA 및 SB는 각각 재생풀리앰프(15) 및 (16)에 접속된다.
재생풀리앰프(13) 내지 (16)은 통상의 재생 모우드중 전원 PB+V가 공급되어서 입력신호를 증폭한다. 재생 플리앰프(13) 내지 (16)은 어셈블 에디팅 모우드중, 기록포즈 해제에세 서로운 녹화개시까지의 사이에도 전원 AE+V가 공급된다.
재생풀리 앰프(13) 및 (14)의 출력은 헤드절환 스위치(17) 및 (18)을 개재하여 헤드 교환 스위치(21)의 한쪽의 입력에 결합된다. 재생 풀리앰프(15) 및 (16)의 출력은 헤드 절환스위치(19) 및 (20)을 개재하여, 헤드 교환 스위치(21)의 다름쪽의 입력에 결합된다.
헤드 교환스위치(21)의 출력은 재생풀리 앰프(13) 내지 (16)과 같이 전원 PB+V가 공급되는 FM 복조기(22)에 결합하된다. 1싸의 스위치(17) 및 (18) 및 다른 1쌍의 스위치(17) 및 (18) 및 다른 1쌍의 스위치(19) 및 (20)은 각기헤드절환펄스 발생기(23)에서의 30Hz 헤드 절환 펄스에 의하여 교대로 "온", "오프"된다. 헤드 교환스위치(21)는 헤드교환펄스 발생기(26)에서의 헤드교환 펄스에 의하여 제어되고, 통상의 기록 재생모우드중에는 주 헤드(A) 및 (B)에 접속된 재생 풀리앰프(13) 및 (14)의 출력 신호를 FM 복조기(22)에 공급하고, 한편 특수 재생모우드 중 혹은 어셈블 에디팅 모우드 중에 있어서 기록포즈 해제에서 기록 재개까지의 사이, 보조 헤드 SA 및 SB에 접속된 재생풀리앰프(15) 및 (16)의 출력신호를 복조기(22)로 공급한다.
회전 헤드 어셈블리(10)과 관련하여 고정 픽업 헤드(PG 1) 및 (PG 2)가 설치되고, 이 출력이 헤드절환펄스 발생기(23)를 구동하여 전술한 헤드 절환펄스를 발생한다. 헤드 절환펄스 발생회로(23)은 전술한 헤드교환신호가 공급되어서, 이 교환신호가 주헤드(A) 및 (B)를 특정화할 때에는 주헤드 절환 펄스를, 한편 교환신호가 보조헤드(SA) 및 (SB)를 특정화할 때에는 보조헤드 절환펄스를 그 출력에 제공한다.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작동되어서 기록포즈신호를 발생하는 기록포오즈 신호발생회로(24)가 설정된다.
이 기록포드신호 발생회로(24)의 출력은 어셈블에디팅모우드중 기록슈트신호 REC·MUTE를 발생하는 플립플롭회로(25)의 세티입력(S), 헤드 교환신호발생기(26), 어셈블 에디팅 모우드중 재생풀리 앰프(13) 내지 (16)을 인에이즐하기 위한 전원 AE+V를 발생하는 전원 공급회로(27), 재생 슈트 신호 PB·MUTE 발생하는 재생슈트회로(28), 일정기간 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제어신호 RV와 테이프를 정방향으로 주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FW)를 발생하는 리일, 캡스턴제어회로(29) 및 캡스턴 서어보계를 기록모우드와 재생모우드와의 사이에서 절환시키기 위한 캡스턴 서어보절환회로(30)에 접속된다.
헤드 교환스위치(21)의 출력신호는 인벨로프 검출기(31)에 공급되고, 이 검출기(31)의 출력신호의 레벨이 레벨 검출기(32)에 의하여 검출된다. 레벨검출기(32)의 출력이 D-플립플롭회로(33)의 인력에 결합된다. 헤드 절환 펄스 발생회로(23)의 출력펄스는 전술의 플립플롭회로(25)의 크록입력(CP)에 공급됨과 동시에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4), 슬로우/스틸 제어펄스 발생회로(36)에 공급된다.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5)를 구동하고, 이의 출력은 D-플립플롭회로(33)은 기록 뮤트 리세트 신호를 형성하므로 그 출력(Q)는 기록뮤트 REC·MUTE를 형성하는 플립플롭회로(25)의 리세트입력(R)에 결합된다. 플립플롭회로(33)의 출력(Q)은 또 헤드교환신호 발생회로(26), 어셈블 에디팅전원 AE+V 발생회로(27) 및 캡스턴 서오보 절환회로(30)에 결합된다. 재생 뮤트신호 PB·MUTE는 기록포오즈 해제후 캡스턴 서오보계가 안정할 때까지의 일정기간 발생되고, 플립플롭회로(33)의 출력(Q)를 하이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전기 일정기간 보조 헤드의 출력레벨의 검출이 무시된다. 일정기간 경과 후에 보조헤드의 출력레벨이 저하하면, 이에 의하여 플립플롭회로(33)의 출력(Q)이 로우로 간다. 이결과 헤드 교환펄스 발생회로(26)이 주헤드(A) 및 (B)를 지정하고, 이 때문에 해드 절환펄스 발생회로(23)이 주헤드 절환펄스를 출력한다. 주헤드 절환펄스에 응답해서 플립플롭회로(25)의 출력(Q)가 로우에 가서 기록뮤트를 해제한다.
이 때문에 낡은 기록 패턴의 최후의 트랙(A3)에 인접하여 헤드(B)에 의하여 새로운 비데오 트랙이 형성된다.
콘트롤 헤드(CTL)에 의하여, 테이프의 콘트롤 트랙에서 재생되는 콘트롤 펄스(CTLP)는 캡스턴서어보 절환회로(30)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위치(37)의 한 쪽의 입력에 공급된다. 캡스턴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헤드(FG)의 출력펄스(FGP)는 스위치(37)의 타방의 입력에 공급되는 동시에 AFC 회로(38)에 공급된다. 스위치(37)의 출력은 APC 회로(39)에 공급된다. 스위치(41)의 타방의 입력에는 슬로우/스틸 펄스 발생회로(36)의 출력이 공급된다.
스위치(41)의 출력에 의하여, 캡스턴 모우터(42)가 서어보 제어된다. 캡스턴 모우터(42)는 리일 캡스턴제어회로(29)에서의 정방향이송신호(FW) 혹은 역이송신호(RN)이 공급되는 제어회로(43)에 의하여 그 회전방향이 제어된다. 스위치(37)은, 기록모우드에서는, 펄스(FGP)를 재생모우드에서는 펄스(CTLP)를 회로(39)에 공급된다.
스위치(41)는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슬로우/스틸 제어신호발생회로(44)에 의하여 절환된다. 슬로우/스틸 재생모우드에서는 캡스턴모우터(41)은 슬로우/스틸 펄스 발생회로(36)의 출겨에 의하여 제어되고, 통상의 기록/재생모우드에서는 AFC 회로(37) 및 APC 회로(38)에 의하여 제어된다
슬로우/스틸 제어신호 발생회로(44)의 출력은 또 헤드 교환신호 발생회로(26)에 결합되고, 슬로우/스틸재생이 지정되었을 때 보조헤드 SA를 선택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리일 모우터(45)는 리일, 캡스턴 제어회로(29)에서의 정방향이송신호(FW), 혹은 역방향이송신호(KW)가 공급되는 제어회로(46)에 의하여 그 회전방향이 제어된다.
이하 제4도에 보이는 타이밍 챠아트를 참조하면서 제3도의 어셈블 에디팅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a)도는 수직동기신호(VS)를 포함한 영상신호를, 제4(b)도는 헤드 절환펄스 발생회로(23)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주헤드(A) 및 (B)에 대한 절환펄스를 그리고 제4(C)도는 보조 헤드(SA, SB)에 대한 절환펄스를 표시한다. 어셈블 에디팅 모우드에서는 제4(i)도에 표시하는 절환펄스가 헤드절환펄스 발생회로(23)에서 출력된다 주헤드 절환 펄스가 하이일 때 주헤드(B)에 결합된 스위치(18)이 ON 하고, 한편 로우인 때에는 주헤드(A)에 결합된 스위치(17)이 ON한다. 보조헤드 절환펄스가 하이인 때에는 보조헤드(SB)에 결합된 스위치(20)가 ON하고, 한편 로우인 때에는 보조헤드(SA)에 결합된 스위치(19)가 ON 한다.
기록포오즈회로(24)가 시각(ti)으로 작동되면, REC·MUTE 신호가 하이로 된다. 이 결과 플립플롭회로(25)의 출력(Q)이 헤드 절환펄스 발생회로(23)에서 출력되는 주헤드 절환 펄스의 수직상승에 동기하여 하이가 되고, 기록 뮤트회로(11)를 인에이블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주헤드(A)에 의한 기록이 종료한시점에서 기록 뮤트가 개시되는 일이다. 기록 포오즈 조작후 약간 늦게 리일·캡스턴 제어회로(29)가 제4(f)도에 표시하는 것처럼, 일정시간 TO 테이프리와인드 신호(FW)를 만들고, 이에 의하여 리일모우터(45) 및 캡스턴 모우터(42)를 역전시켜서 테이프를 일정량 리와인드 한다.
시간(t2)에서 기록포오즈조작이 해제되면 REC·PAUSE 신호가 로우가 된다. 이에 응답하여 리일·캡스턴제어회로(29)가 제4(j)에 표시하는 것처럼 테이프 정이송신호(FW)를 만들고, 이에 의하여 캡스턴 모우터(42) 및 리일 모우터(45)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테이프를 정방향으로 주행시킨다. 동시에 헤드 교환신호 발생회로(26)의 출력이 제4(h)도에 보이는 것처럼, 하이가 되아 헤드 교환 스위치(21)를 보조 헤드측으로 절환시키는 동시에, 헤드 절환 펄스회로(23)로 하여금 제4(i)도에 보이는 것처럼 보조헤드 절환펄스를 출력시킨다.
REC·PAUSE 신호의 수직하강에 응답하여 재생 뮤트회로(28)의 출력이 제4도(m)에 보이는 것처럼 캡스턴어보계가 안정할 때까지의 일정 기간(T2) 오동작을 피하기 위하여 하이가 된다. 이 결과, 플립플롭회로(33)가 디스에이블 되어서, 그 출력(a)이 강제적으로 하이가 된다. 이것은 캡스턴 서어보계가 안정할때까지 보조헤드(SA)의 출력레벨의 검출결과에 플립플롭회로(33)가 응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 REC·PAUSE 신호의 수직하강에 응답하여 어셈블 에디팅 전원공급회로(27)가 드라이브 되어서 제4(d)도에 보이는 것과 같은 어셈블 에이팅 전원전압 FCAE+V를 재생플리앰프(13) 내지 (16)에 공급한다. 이에 의하여 낡은 비데오 기록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동시에 캡스턴 서어보 절환펄스(30)가 제4(p)도에 표시하는 것처럼, 콘트롤헤드(CTL)에 의하여 재생된다. 콘트롤펄스(CTLP)가 회로(39)에 공급되도록 스위치(37)를 절환한다. 즉 캡스턴 서오보계는 재생모우드로 제어된다.
제4(j)도는 기록 포오즈 해제후의 재생모우드에서의 보조 헤드(SA)의 재생 출력신호를 보인다. 이 출력신호는 엔베로우프 검파기(31)에 인가되어서 제4(k)도에 보이는 것처럼, 이 인벨로프가 검파된다. 헤드 절환펄스 발생회로(23)의 출력펄스는 네거티브 에지 트리거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4)에 인가되어, 이 멀티바이브레이터(34)는 네거티브에지 트리거되는 아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5)를 드라이브하여 제4(l)도에 보이는 바와 같은 출력 신호를 작동 멀티바이브레이터(34) 및 (35)의 특정수는 멀티바이브레이터(35)의 음으로 진행하는 출력펄스의 각각이 헤드 절환펄스 발생회로(23)의 출력펄스가 로우인 기간에 발생하도록 선택되어 있다.
플립플롭회로(33)는, 그 크록입력 CP에 있어서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5)의 출력펄스의 포지티브에지에 응답하여, 그 입력(D)의 전압레벨을 그 출력(Q)에 전달한다. 그러나 기록포즈 해제 후의 일정기간(T4) 즉 캡스턴 서어보계의 재상모우드에 동작이 불안정하다고 간주되는 기간에는, 플립플롭회로(33)는, 디스에이블되어서 그 출력(Q)는 하이에 머문다. 이것은 보조헤드(EA)의 재생출력의 검출이 무시되는 것을 익힌다.
일정기간(T1)의 경과후, 보조헤드(SA)가 낡은 기록 패턴을 트레이스할 때에는 헤드절환펄스가 로우인기간, 제4(j)에 보이는 것처럼 보조헤드(SA)에서 재생출력신호가 얻어진다.
따라서 인벨로프 검파기(31)에서 비교적 큰 레벨의 엔베로오프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이 인벨로프 출력이 레벨검출기(32)에 의하여 검출된다. 이 때문에 멀티바이브레이터(35)의 출력의 포지티브에지에 있어서 레벨검출기(32)의 출력이 정이므로 플립플롭회로(33)의 출력(Q)은, 제4(n)도에 보이는 것처럼 하이에 머문다. 제2b도에 보이는 것처럼 보조헤드(SA)가 낡은 기록패턴의 최종트랙(A3)을 스레스할 때에는 보조헤드(SA)의 출력레벨이 저하하고 레벨검출기(32)의 출력은 로우가 된다.
따라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5)의 출력펄스의 포지티브에지에 응답하여, 플립플롭회로(33)의 출력(Q)은, 시각(t3)에서 로우로 간다. 이에 응답하여, 헤드교환펄스 발생회로(26)의 출력이, 제4(h)도에 보이는 것처럼 로우로 되고, 이것은 헤드교환 스위치(21)로 하여금 메인헤드(A) 및 (B)를 선택시키고, 그리고 헤드 절환 펄스 발생회로(23)로 하여금, 제4(i)도에 보이는 것처럼, 주헤드 절환펄스를 출력시킨다.
이 직후의 주헤드절환펄스의 수직상승에 응답하여, 플립플롭회로(25)의 출력(Q), 즉 REC·MUTSE 신호가 로우가 되어 비데오 기록을 재개시킨다. 여기서 주위할 것은 비데오 기록의 재개가 주헤드 절환펄스의 수직상승에 동기하여 행해지므로 낡은 기록패턴의 총종트랙(A3)에 인접하여 새로운 비데오 트랙은 주헤드(B)에 의하여 형성된다는 것이다.
플립 플롭회로(33)의 출력(Q)의 수직하강에 응답하여, 제4(O)도에 보이는 것처럼 어셈블 에디팅전원 AE+V가 로우가 되고, 또 제4(p)에 보이는 것처럼 캡스턴 모우터(42)가 펄스(FGP)를 사용하여 제어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어셈블 에디팅 시스템은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해도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 5는 4비트 1칩 마이크로 컴퓨터(東 TMP431S)를 사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면 3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달아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5에서 번호(100)는 상기의 4비터 1칩 마이크로 컴퓨터이고 핀(1) 내지 (9)를 귀한다. 핀(1), (2) 및 (3)은 입력포오트이고 핀(4)~(9)은 출력포오트이다.
핀(1)에는 기록포즈 회로(24)가 접속되고 기록포즈조작으로 하이레벨이 입력되고 기록포즈 해재로써 로우레벨이 입력된다. 핀(2)에는 입력펄스가 인가되고 그 수직 강하에지가 검출된다. 핀(3)에는 플립플롭회로(33)의 출력 Q가 접속되고 상기와 같이 어셈블에이팅을 위한 재생모우드중 새로운 기록 패턴의 개시위치가 검출되면 입력 레벨은 로우가 된다.
이 재생모우드 중 캡스턴 서어보계가 안정되기 까지의 일정 기간 T1에서는 마이크로 컴앰터(100)의 내부에서 플립플롭회로(33)의 출력레벨은 무시된다. 핀(4)은 기록 슈트회로(11)에 접속되고 그 출력 레벨이 "하이"의 경우 기록슈트동작이 행해지고, 한편 로우일 때에는 기록이 가능해진다. 핀(5)은 캡스턴 서어보계를 재생모우드와 기록모우드와의 사이에서 절환하기 위한 출력을 공급하고 그 출력 레벨이 "하이"의 경우 FG 펄스를 사용해서 기록 모우드로 캡스턴 모우터(42)를 제어시키고, 한편 로우일 때는 CTL 펄스를 사용한 재생모우드로 제어시킨다. 핀(6)은 어셈블 에디팅을 위해스 프리앰프(13) 내지 (16)을 동작시키는 전원 AE+V(하이레벨)을 출력한다. 핀(7)은 헤드교환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그 출력 레벨이 하이의 결우 보조헤드 SA, SB를 명기하고 한편 로우의 경우 주헤드 A, B를 명기한다. 핀(8)른 리일, 캡스턴을 정전시키는 신호 FW을 하이레벨로 출력한다. 핀(9)은 리일, 캡스턴을 정번시키는 신호 ZV를 하이레벨으로 출력한다.
스위치(101)는 슬로우/스틸회로(43) 또는 마이크로컴퓨터(100)의 핀(7)의 출력에 의해서 절환되는 스위치이고, 헤드 절환펄스 발생회로(23)로 부터의 주헤드절환펄스(A, B) 또는 보조헤드 절환펄스(SA, SB)를 선택한다.
헤드 절환 펄스 발생회로(23)로 부터의 주헤드절환 펄스는 게이트(102)의 한 쪽의 입력에 결합되고, 이NAND 게이트의 다른쪽 입력은 마이크로 컴퓨터(100)의 핀(5)에 결합된다. 게이트(102)의 출력은 입력펄스의 수직강하를 검출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100)의 핀(2)에 접속된다. 이 NAND 게이트(102)는 기록모우드로 주헤드절환펄스를 반전시키고, 그리고 기록슈트 동작의 시작과 끝에서의 주헤드 A로 부터 주헤드 B에의 절환 타이밍을 반전된 주헤드 절환펄스의 수직강하 에지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설지되어 있다.
이하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한 어셈블 에디팅 시스템의 동작을 도면 6의 순서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개시동작에 의해서 기록동작이 행해진다. 기록 동작중 핀(4)의 레벨은 로우, 핀(5)은 하이, 핀(6)은 로우, 핀(7)은 로우, 핀(8)은 하이, 핀(9)은 로우이다. 즉 기록 슈트는 해제되어 있고, 캡스턴 서어보계는 기록모우드에 있고, 그리고 재생프리앰프는 정지되어 있다. 또 주스위치에는 주헤드절환펄스가 공급되고, 그리고 리일 및 캡스턴은 정전한다.
다음에 핀(1)의 레벨의 하이 여부가 조사된다. 만약 하이가 아니면 기록동작이 속행된다. 만약 핀(1)의 레벨이 하이 상태이면, 즉 기록 포우즈 조작이 행해지고 있으면 다음에 핀(2)에 공급되는 NAND 게이트(102)의 출력펄스의 수직강하 에지가 검출된다. 이 수직강하 에지, 즉 주헤드 A에 의한 기록이 종료되는 타이밍이 검출되기까지는 상기의 동작이 유지된다. 수직강하에지가 검출되면 핀(4)의 레벨이 로우에서 하이로 변화해서 기록슈트를 개시시킨다.
기로 슈우트의 개시 후, 핀(9)의 레벨이 로우에서 하이로 절환되어서 리일 캡스턴을 일정시간 T0 역전 시킨다. 즉 테이프를 되감는다. 다음에 테이프가 일정기간 T0 되감아지면 핀(9)의 레벨이 하이에서 로우로 변하고, 리일, 캡스턴이 정지한다.
다음에 핀(1)의 레벨의 로우여하, 즉 기록포즈의 해제여부가 조사된다. 기록포즈가 해제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작은 어셈블에디팅을 위한 재생모우드로 전진한다. 이 재생모우드에서는 핀(5)의 레벨은 로운, 핀(6)의 레벨은 하이, 핀(7)의 레벨은 하이, 핀(8)의 레벨은 하이로 변환다. 즉 캡스턴서어보는 재생모우드로 동작하고 프리앰프가 정지되고, 주스위치는 보조헤드 절환펄스에 의해서 동작하고, 리일, 캡스턴은 정전한다. 이 동작이 콘트롤펄스 CTLP와 헤드절환 펄스가 페이즈(phase)되기까지의 일정기간(T1) 행해졌는지, 다음에 판정된다. 만약 일정 기간(T1)이 경과했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서 핀(3)에 접속된 플립플롭회로(33)에 출력레벨이 판정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헤드 A가 오래된 기록 트랙 패턴의 트랙을 트레이스하고 있을 때는 핀(3)의 입력레벨은 로우이다. 핀(3)의 입력 레벨이 로우인 것이 검출되면 동작은 기록상태로 전진한다. 즉, 핀(5)의 레벨이 하이, 핀(6)의 레벨이 로우, 핀(7)의 레벨이 로우가 되고 기록슈우트 상태가 유지된채로 캡스턴 서어보계가 기록모우드가 동작하고 재생프리앰프가 정지되고, 그리고 주 스위치는 메인헤드 절환펄스에 의해서 절환된다.
다음에 핀(2)에 공급되는 NAND 게이트(102)의 출력펄스의 수직하강의 검출단계가 실시된다. 수직하강이 검출되면, 즉 주헤드 A에 의한 오래된 기록패턴의 최종 트랙의 트레이스의 종료시점이 검출되면 다음단계로서 기기이 재개된다. 즉, 핀(1)의 레벨이 로우가 되어 기록슈트가 해제되고 그리고 주헤드 B에 의해서 오래된 기록패턴의 최종 트랙에 인접해서 새로운 비데오 트랙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어셈블 에이팅을 위한 동작이 종료한다.

Claims (5)

1피일드 마다의 영상 신호를 싱글스큐 비데오 트랙로서 차례로 자기테이프상에 기록하고, 또는 이것으로 부터 1피일드마다의 영상신호를 차례로 재생하는 제1 및 제2의 회전비데오 헤드가 180°간격으로 회전디스크상에 배치되는 비데오테이프 레코우더로, 회전디스크상에 제1 및 제2의 비데오 헤드와 소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보조헤드와; 녹회모우드중 오페레이터에 의하여 주어지는 기록포즈조작에 응답해서 기록포즈조작이 해제될 때가지 기록포즈신호를 발생하는 기록포즈수단과; 기록 포즈신호에 응답해서 제1의 비데오 헤드에 의한 기록이 종효하는 타이밍으로 영상신호의 제1 및 제2의 비데오 헤드에 대한 공급을 저지하는 기록슈트 수단과; 기록포즈 신호에 응답해서 자기 테이프를 일정기간 되감기 위한 수단과; 자기테이프의 일정기간 되감은 후의 기록 포즈해제 조작에 응답해서 자기테이프를 순서방향으로 수행시키는 수단과; 자기 테이프의 순서방향으로의 주행개시 후, 전기록화 무우드중 기록된 비데오 트랙을 트레이스하는 보조헤드의 재생출력 신호의 레벨에 따라 자기 테이프상의 오래된 기록 패턴의 제1헤드에 의해서 기록된 최종 트랙위치를 검출하는 최종 트랙위치 검출수단과; 오래된 기록패턴의 최종 트랙위치의 검출에 응답해서 제1의 헤드에 의하여 기록된 최종 트랙에 인접하는 제2의 헤드에 의한 새로운 비데오 트랙의 기록개시 시점에서 기록슈트수단으로 하여금 영상회로의 제1 및 제2의 비데오헤드에 대한 공급을 재개시키는 기록 슈트해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제1항에 있어서, 보조헤드는 회전디스크상에 제1 및 제2의 비데오 헤드의 각각에 대하여 90°의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조헤드는 회전디스크상에 설치된 특수 재생용의 2개의 비데오 헤드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제1항에 있어서, 최종 트랙위치 검출 수단으로 하여금, 자기테이프의 순서 방향 주행개시 후의 일정기간 보조헤드의 재생출력 신호의 레벨을 무시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재생기록장치.
회전 디스크상에 180°간격으로 배치되고 1피일드마다의 영상신호를 싱글 스큐 비데오 트랙으로서 차례로 자기 테이프상에 기록하고, 또는 이것에서 1피일드마다의 영상 신호를 차례로 재생하기 위한 제1 및 제2의 회전 비데오헤드 및 제1 및 제2의 비데오 헤드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보조 헤드를 가지는 비데오 테이프레코우더를 위해서 비데오 레코우더를 녹화 모우드로 동작시켜서 자기테이프상에 제1 및 제2의비데오 헤드에 의해서 영상트랙을 차례로 기록하고; 녹음 포우즈으 조작을 하고; 녹음 포즈조작 후,제 의 비데오 해드에 의해서 비데오트랙이 기록된 타이밍으로 제1 및 제2의 비데오 헤드에 대한 영상신호의 공급을 지지하고; 제1 및 제2의 비데오헤드에 대한 영상신호의 공급저지 후 자기테이프를 일정기간 되감고; 테이프를 되감은 후 기록포즈조작을 해제하므로써 테이프를 순서방향으로 주행시키고; 테이프의 순서방향 주행개시후 제1의 단계중 제1 및 제2의 비데오헤드에 의해서 기록된 비데오 트랙을 트레이스 하는 보조헤드의 출력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및 보조헤드의 출력시호 레벨의 저하에 응답해서 제1의 단계중에 제1의 비데오 헤드에 의해서 기록된 최종의 비데오트랙을 제1의 비데오 헤드가 트레이스 중료하는 타이밍로 제1 및 제2의 비데오 헤드에 대한 영상신호의 공급을 재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재생기록방법.
KR8203262A 1981-07-22 1982-07-21 자기기록 재생장치 KR860000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709 1981-07-22
JP56-114709 1981-07-22
JP56114709A JPS5815379A (ja) 1981-07-22 1981-07-22 磁気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933A KR840000933A (ko) 1984-03-26
KR860000312B1 true KR860000312B1 (ko) 1986-03-31

Family

ID=1464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262A KR860000312B1 (ko) 1981-07-22 1982-07-21 자기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88185A (ko)
JP (1) JPS5815379A (ko)
KR (1) KR860000312B1 (ko)
DE (1) DE3227281C2 (ko)
GB (1) GB21038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8540A (ja) * 1983-11-04 1985-06-01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0115038A (ja) * 1983-11-26 1985-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録画再生装置
JPS60179960A (ja) * 1984-02-24 1985-09-13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つなぎ撮り装置
US4823198A (en) * 1984-12-25 1989-04-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including video signal record restart during rewind/playback operation after non-detection of pilot signal in video track
US4600952A (en) * 1985-02-01 1986-07-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elical scan video tape recorder with auxiliary heads for blur free high speed reproduction pictures
DE3514921A1 (de) * 1985-04-25 1986-10-30 Deutsche Thomson-Brandt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Videorecorder mit pausenbetrieb
JPH0750921B2 (ja) * 1985-12-18 1995-05-31 ソニー株式会社 編集制御装置
JP2733524B2 (ja) * 1986-11-13 1998-03-3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
JP2577214B2 (ja) * 1986-11-14 1997-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磁気記録装置
US5282096A (en) * 1989-02-16 1994-01-25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agnetic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JPH02267712A (ja) * 1989-04-07 1990-11-01 Victor Co Of Japan Ltd 回転ヘッド型磁気記録再生装置
US5285329A (en) * 1989-09-29 1994-02-08 Canon Kabushiki Kaisha Rotary head type recording apparatus
KR920020475A (ko) * 1991-04-12 1992-11-21 더글라스 엠 길버어트 신호 레코더에서의 삽입 편집을 자동으로 적절하게 실행하는 2채널 방법 및 장치
KR920020488A (ko) * 1991-04-12 1992-11-21 더글라스 엠 길버어트 신호 레코더에서의 삽입 편집을 자동으로 적절하게 실행하는 1채널 방법 및 장치
US6002836A (en) * 1993-06-07 1999-12-14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n which digital data having various transmission rates are processed at their optimum data rates
US5986841A (en) * 1997-03-14 1999-11-16 Seagate Technology, Inc. Disc drive having a serial preamplifier interface with broadcast mode addressing
KR100280786B1 (ko) * 1997-12-24 2001-02-01 윤종용 디지털 브이시알의 타임랩스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4522A (en) * 1973-07-26 1976-08-10 Akai Electric Company Limited Electronic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video tape recorder
US4163262A (en) * 1976-01-02 1979-07-31 Americal Telephone and Telegraph Helical video tape recorder arrangement suitable for high quality editing
US4163263A (en) * 1978-04-04 1979-07-31 Basf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paratus for tape recording time-spaced segments of video information from a video camera
DE2844897A1 (de) * 1978-10-14 1980-04-17 Blaupunkt Werke Gmbh Informationsaufzeichnungs- und informationswiedergabegeraet
JPS55114084A (en) * 1979-02-23 1980-09-03 Hitachi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5669981A (en) * 1979-11-12 1981-06-11 Sony Corp Phase servo circuit
US4389680A (en) * 1980-12-17 1983-06-21 Gramling William D Special effects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retrieved vide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03866A (en) 1983-02-23
GB2103866B (en) 1985-01-03
JPS6248950B2 (ko) 1987-10-16
US4488185A (en) 1984-12-11
JPS5815379A (ja) 1983-01-28
DE3227281C2 (de) 1985-10-17
KR840000933A (ko) 1984-03-26
DE3227281A1 (de) 198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312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US4638390A (en) Recording apparatus
KR860000051B1 (ko) 정, 역방향 슬로우 비데오 재생장치
JPH05780B2 (ko)
US5089919A (en) Tracking control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device
JPH0430234B2 (ko)
JPH04195844A (ja) 記録装置
JPS59117878A (ja) ビデオテ−プレコ−ダのフレ−ム記録装置
JP3161479B2 (ja) 情報信号の記録装置
JPS6040965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14277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38761Y2 (ko)
JPH0510735B2 (ko)
JP2633341B2 (ja) 追跡装置
JPH0624022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29493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44906Y2 (ko)
JPS5914940Y2 (ja) 情報記録媒体再生装置
JPS6342760Y2 (ko)
JPS6349865Y2 (ko)
JP3361672B2 (ja) 再生装置
JP3045334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2183049A (ja) トラツキングサ−ボ回復方法
JPS621159A (ja) 記録又は再生装置
JPH0425604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