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3853A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3853A
KR20240093853A KR1020247016939A KR20247016939A KR20240093853A KR 20240093853 A KR20240093853 A KR 20240093853A KR 1020247016939 A KR1020247016939 A KR 1020247016939A KR 20247016939 A KR20247016939 A KR 20247016939A KR 20240093853 A KR20240093853 A KR 20240093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oxide
semiconduct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부 아사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240093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3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e.g. zinc oxide, copper aluminium oxide, cadmium stann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having a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 H01L29/7853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having a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the body having a non-rectangular crossection
    • H01L29/7854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having a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the body having a non-rectangular crossection with rounded cor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7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 H01L21/0217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characterised by the metal
    • H01L21/0217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characterised by the metal the material containing aluminium, e.g. Al2O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6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physical ablation of a target, e.g. sputtering, reactive sputter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or pulsed lase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3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0405, H01L21/0445, H01L21/06, H01L21/16 and H01L21/18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8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1/385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using diffusion into or out of a solid from or into a solid phase, e.g. a doped oxid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29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carbon
    • H01L23/291Oxides or nitrides or carbides, e.g. ceramics,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57Partial encapsulation or coating
    • H01L23/3171Partial encapsulation or coating the coating being direct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e.g. passivation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 H01L27/08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 H01L27/08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7/09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omplementary MIS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2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 H01L27/122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with semiconductor materials not belonging to the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e.g. InGaZn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semiconductor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9/16, H01L29/18, H01L29/20, H01L29/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969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not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18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e.g. multichannel, transverse or longitudinal shape, length or width, doping structure, or the overlap or alignment between the channel and the gate, the source or the drain, or the contacting structure of the channe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기생 용량을 저감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제 1 절연층과, 제 1 절연층 위의 제 1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1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제 2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과, 제 1 절연층,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 위의 제 2 절연층과, 제 2 절연층 위의 제 3 절연층과,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제 3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3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게이트 절연층과, 게이트 절연층 위의 게이트 전극층을 가지고, 제 2 절연층은, 산소 배리어층이며, 제 1 산화물 반도체층,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의 측면과 접촉하는 영역을 가지고, 제 3 산화물 반도체층은,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소스 전극층, 드레인 전극층, 제 2 절연층, 및 제 3 절연층의 측면과 접촉하는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물건, 방법, 또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은 공정(process), 기계(machine), 제품(manufacture), 또는 조성물(composition of matter)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반도체 장치, 표시 장치, 발광 장치, 축전 장치, 촬상 장치, 그들의 구동 방법, 또는 그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반도체 장치 또는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 반도체 장치란, 반도체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기능할 수 있는 장치 전반을 가리킨다. 트랜지스터, 반도체 회로는 반도체 장치의 일 형태이다. 또한, 기억 장치, 표시 장치, 전자 기기는, 반도체 장치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절연 표면을 가지는 기판 위에 형성된 반도체막을 사용하여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기술이 주목되고 있다. 당해 트랜지스터는 집적 회로(IC)나 화상 표시 장치(표시 장치)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트랜지스터에 적용 가능한 반도체 박막으로서 실리콘계 반도체 재료가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 외의 재료로서 산화물 반도체가 주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의 활성층으로서, 인듐(In), 갈륨(Ga), 및 아연(Zn)을 포함하는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가 특허문헌 1에 개시(開示)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165528호
반도체 소자를 미세화하는 데 있어서, 트랜지스터 근방의 기생 용량이 큰 문제가 된다.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있어서, 채널 근방(예를 들어, 소스 전극-드레인 전극 간)에 기생 용량이 존재하는 경우, 기생 용량의 충전에 요하는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트랜지스터의 응답성, 나아가서는 반도체 장치의 응답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각종 공정(특히 성막, 가공 등)은, 미세화가 진행될수록 그 제어성은 어려움이 늘어나고 있으며, 제조 공정에 기인한 편차가, 트랜지스터 특성, 나아가서는 신뢰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미세화에 수반하여 노광 장치의 해상 한계 때문에 패턴 형성이 어려워지는 등, 트랜지스터 제조상의 문제도 나타나고 있고, 설비 투자에 따른 비용도 막대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트랜지스터 근방의 기생 용량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는, 전기 특성이 양호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는,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는, 노광 장치의 해상 한계 이하의 패턴 형성이 가능한 트랜지스터, 또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는, 트랜지스터 또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에 기인한 특성의 편차를 저감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는, 산소 결손이 적은 산화물 반도체층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는, 간단한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는, 산화물 반도체층 근방의 계면 준위를 저감할 수 있는 구성의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는, 저소비전력의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한, 개발 비용을 억제한 신규 반도체 장치의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는, 신규 반도체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는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한, 이들 과제의 기재는, 다른 과제의 존재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들 과제의 모두를 해결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들 이외의 과제는,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저절로 명백해질 것이며,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이들 이외의 과제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 1 절연층과, 제 1 절연층 위의 제 1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1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제 2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과, 제 1 절연층,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 위의 제 2 절연층과, 제 2 절연층 위의 제 3 절연층과,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제 3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3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게이트 절연층과, 게이트 절연층 위의 게이트 전극층을 가지고, 제 2 절연층은, 산소 배리어층이며, 제 1 산화물 반도체층,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의 측면과 접촉하는 영역을 가지고, 제 3 산화물 반도체층은,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소스 전극층, 드레인 전극층, 제 2 절연층, 및 제 3 절연층의 측면과 접촉하는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제 1 절연층과, 제 1 절연층 위의 제 1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1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제 2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과, 제 2 산화물 반도체층의 측면과 접촉하는 영역을 가지는 제 1 도전층 및 제 2 도전층과, 제 1 절연층,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 위의 제 2 절연층과, 제 2 절연층 위의 제 3 절연층과,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제 3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3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게이트 절연층과, 게이트 절연층 위의 게이트 전극층을 가지고, 제 2 절연층은, 산소 배리어층이며,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은, 측면부에 있어서 제 2 절연층과 접촉하고, 제 3 산화물 반도체층은, 제 1 절연층, 제 1 산화물 반도체층,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소스 전극층, 드레인 전극층, 제 2 절연층, 및 제 3 절연층의 측면부에 접촉하는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제 1 절연층과, 제 1 절연층 위의 제 1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1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제 2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과, 제 1 절연층,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 위의 제 2 절연층과, 제 2 절연층 위의 제 3 절연층과,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 위에 있고, 또한 제 2 절연층, 및 제 3 절연층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제 4 절연층과,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제 3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3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게이트 절연층과, 게이트 절연층 위의 게이트 전극층을 가지고, 제 2 절연층은, 산소 배리어층이며, 제 1 산화물 반도체층,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의 측면과 접촉하는 영역을 가지고, 제 3 산화물 반도체층은, 제 1 절연층, 제 1 산화물 반도체층,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소스 전극층, 드레인 전극층, 및 제 4 절연층의 측면에 접촉하는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이다.
또한, 제 2 절연층으로서, 산화 알루미늄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제 1 도전층과, 제 1 도전층 위의 제 1 절연층과, 제 1 절연층 위의 제 1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1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제 2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과, 제 1 절연층,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 위의 제 2 절연층과, 제 2 절연층 위의 제 3 절연층과,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제 3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3 산화물 반도체층 위의 게이트 절연층과, 게이트 절연층 위의 게이트 전극층과, 제 3 절연층, 제 3 산화물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층, 및 게이트 전극층 위의 제 4 절연층을 가지고, 제 2 절연층은, 산소 배리어층이며, 제 1 산화물 반도체층,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의 측면부와 접촉하고, 제 3 산화물 반도체층은, 제 1 절연층, 제 1 산화물 반도체층,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소스 전극층, 드레인 전극층, 제 2 절연층, 제 3 절연층의 측면부 측면에 접촉하는 영역을 가지고, 제 4 절연층은, 산소 배리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이다.
또한, 제 2 절연층 및 제 4 절연층으로서, 산화 알루미늄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제 1 절연층을 형성하고, 제 1 절연층 위에 제 1 산화물 반도체막을 형성하고, 제 1 산화물 반도체막 위에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을 형성하고, 제 1 가열 처리를 행하고, 제 2 산화물 반도체막 위에 제 1 도전막을 형성하고, 제 1 마스크 및 제 1 도전막을 사용하여, 제 1 산화물 반도체막 및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의 일부를 에칭하는 것에 의하여, 제 1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2 산화물 반도체층을 섬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 1 절연층 및 제 1 도전막 위에 제 2 절연층을 형성하고, 제 2 절연층 형성 시에, 제 1 절연층과 제 2 절연막의 혼합층을 형성하고, 그와 동시에 혼합층 또는 제 1 절연층 내에 산소를 첨가하고, 제 2 가열 처리를 행하여, 산소를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내로 확산시키고, 제 2 절연층 위에 제 3 절연막을 형성하고, 제 3 절연층에 평탄화 처리를 행하여 제 3 절연층을 형성하고, 제 2 마스크를 사용하여 제 3 절연층 및 제 2 절연층을 선택적으로 에칭하고, 제 2 마스크 및 제 2 절연층을 사용하여, 제 1 도전막을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것에 의하여,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을 형성하고, 제 3 절연층 및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위에 제 3 산화물 반도체막을 형성하고, 제 3 산화물 반도체막 위에 제 4 절연막을 형성하고, 제 4 절연막 위에 제 2 도전막을 형성하고, 제 2 도전막, 제 3 절연막, 및 제 3 산화물 반도체막에 화학적 기계적 연마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하여, 제 3 산화물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층 및 게이트 전극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제 1 절연층을 형성하고, 제 1 절연층 위에 제 1 산화물 반도체막을 형성하고, 제 1 산화물 반도체막 위에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을 형성하고, 제 1 가열 처리를 행하고, 제 2 산화물 반도체막 위에 제 1 도전막을 형성하고, 제 1 마스크 및 제 1 도전막을 사용하여 제 1 산화물 반도체막 및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을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것에 의하여, 제 1 산화물 반도체층과, 제 2 산화물 반도체층을 섬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 1 절연층 및 제 1 도전막 위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고, 제 2 절연막 형성 시에 제 1 절연층과 제 2 절연막의 혼합층을 형성하고, 혼합층 또는 제 1 절연층 내에 산소를 첨가하고, 제 2 가열 처리를 행하여, 산소를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내로 확산시켜,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내의 산소 결손을 저감시키고, 제 2 절연막 위에 제 3 절연막을 형성하고, 제 3 절연막에 평탄화 처리를 행하고, 제 2 마스크를 사용하여 제 3 절연막, 및 제 2 절연막의 일부를 에칭하는 것에 의하여 제 3 절연층 및 제 2 절연층을 형성하고, 제 1 도전층, 제 3 절연층 위에 제 4 절연막을 형성하고, 이방성 에칭하는 것에 의하여, 제 2 절연층, 및 제 3 절연층의 측면에 접촉하는 제 4 절연층을 형성하고, 제 4 절연층을 마스크로서 사용하여, 제 1 도전막의 일부를 에칭하는 것에 의하여,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고, 제 3 절연층 및 제 2 산화물 반도체층 위에 제 3 산화물 반도체막을 형성하고, 제 3 산화물 반도체막 위에 제 5 절연막을 형성하고, 제 5 절연막 위에 제 2 도전막을 형성하고, 제 2 도전막, 제 3 절연막 및 제 3 산화물 반도체막에 화학적 기계적 연마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하여, 제 3 산화물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층, 게이트 전극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제 2 절연막을,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산소 가스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절연막을,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산화 알루미늄 타깃을 사용하여, 산소를 50체적% 이상 가진 조건으로, 산화 실리콘막 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가열 처리를 300 이상 450 이하에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도체 장치와, 마이크로폰과, 스피커와, 하우징을 사용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트랜지스터 근방의 기생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는, 전기 특성이 양호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노광 장치의 해상 한계 이하의 패턴 형성이 가능한 트랜지스터, 또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트랜지스터 또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에 기인한 특성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는, 산소 결손이 적은 산화물 반도체층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간단한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산화물 반도체층 근방의 계면 준위를 저감할 수 있는 구성의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저소비전력의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발 비용을 억제한 신규 반도체 장치의 제조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신규 반도체 장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효과의 기재는, 다른 효과의 존재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반드시 이들 효과의 모두를 가질 필요는 없다. 또한, 이들 이외의 효과는,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저절로 명백해질 것이며,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이들 이외의 효과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트랜지스터를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2는 트랜지스터를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트랜지스터를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산화물 반도체층의 밴드도. 트랜지스터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ALD 성막 원리.
도 6은 ALD 장치의 개요도.
도 7은 트랜지스터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8은 트랜지스터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9는 트랜지스터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10은 트랜지스터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11은 트랜지스터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12는 트랜지스터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13은 트랜지스터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14는 트랜지스터를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15는 트랜지스터를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16은 트랜지스터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17은 트랜지스터를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18은 트랜지스터를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19는 트랜지스터를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20은 트랜지스터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21은 트랜지스터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22는 트랜지스터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23은 트랜지스터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단면도.
도 24는 CAAC-OS의 단면에서의 Cs 보정 고분해능 TEM 이미지, 및 CAAC-OS의 단면 모식도.
도 25는 CAAC-OS의 평면에서의 Cs 보정 고분해능 TEM 이미지.
도 26은 CAAC-OS 및 단결정 산화물 반도체의 XRD에 의한 구조 해석을 설명하는 도면.
도 27은 CAAC-OS의 전자 회절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28은 In-Ga-Zn 산화물의 전자 조사에 의한 결정부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및 회로도.
도 30은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및 회로도.
도 31은 촬상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2는 촬상 장치의 화소를 도시한 평면도.
도 33은 촬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4는 촬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5는 RF 태그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6은 CPU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7은 기억 소자의 회로도.
도 38은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 및 화소의 회로도.
도 39는 표시 모듈을 설명하는 도면.
도 40은 리드 프레임형의 인터포저를 사용한 패키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1은 전자 기기를 설명하는 도면.
도 42는 전자 기기를 설명하는 도면.
도 43은 전자 기기를 설명하는 도면.
도 44는 전자 기기를 설명하는 도면.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그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형태 및 자세한 사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된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동일 부분 또는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상이한 도면 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을 구성하는 같은 요소의 해칭을 상이한 도면 간에서 적절히 생략 또는 변경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 X와 Y가 접속되어 있다고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X와 Y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와, X와 Y가 기능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와, X와 Y가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경우가, 본 명세서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소정의 접속 관계, 예를 들어, 도면 또는 문장에 나타난 접속 관계에 한정되지 않고, 도면 또는 문장에 나타난 접속 관계 이외의 것도, 도면 또는 문장에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X, Y는, 대상물(예를 들어, 장치, 소자, 회로, 배선, 전극, 단자, 도전막, 층 등)인 것으로 한다.
X와 Y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일례로서는, X와 Y의 전기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소자(예를 들어, 스위치, 트랜지스터, 용량 소자, 인덕터, 저항 소자, 다이오드, 표시 소자, 발광 소자, 부하 등)가, X와 Y 사이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며, X와 Y의 전기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소자(예를 들어, 스위치, 트랜지스터, 용량 소자, 인덕터, 저항 소자, 다이오드, 표시 소자, 발광 소자, 부하 등)를 통하지 않고, X와 Y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이다.
X와 Y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일례로서는, X와 Y의 전기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소자(예를 들어, 스위치, 트랜지스터, 용량 소자, 인덕터, 저항 소자, 다이오드, 표시 소자, 발광 소자, 부하 등)가, X와 Y 사이에 1개 이상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위치는, 온 오프가 제어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스위치는, 도통 상태(온 상태), 또는 비도통 상태(오프 상태)가 되어, 전류를 흘릴지 흘리지 않을지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는, 스위치는, 전류를 흘리는 경로를 선택하여 전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X와 Y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X와 Y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X와 Y가 기능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일례로서는, X와 Y의 기능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예를 들어, 논리 회로(인버터, NAND 회로, NOR 회로 등), 신호 변환 회로(DA 변환 회로, AD 변환 회로, 감마 보정 회로 등), 전위 레벨 변환 회로(전원 회로(승압 회로, 강압 회로 등), 신호의 전위 레벨을 바꾸는 레벨 시프터 회로 등), 전압원, 전류원, 전환 회로, 증폭 회로(신호 진폭 또는 전류량 등을 크게 할 수 있는 회로, 연산 증폭기, 차동 증폭 회로, 소스 폴로어 회로, 버퍼 회로 등), 신호 생성 회로, 기억 회로, 제어 회로 등)가, X와 Y 사이에 1개 이상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례로서, X와 Y 사이에 다른 회로를 개재(介在)하더라도, X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Y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X와 Y는 기능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X와 Y가 기능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X와 Y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와, X와 Y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X와 Y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고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X와 Y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즉, X와 Y 사이에 다른 소자 또는 다른 회로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는 경우)와, X와 Y가 기능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즉, X와 Y 사이에 다른 회로를 개재하여 기능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와, X와 Y가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경우(즉, X와 Y 사이에 다른 소자 또는 다른 회로를 개재하지 않고 접속되어 있는 경우)가, 본 명세서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고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단순히, 접속되어 있다고만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내용이, 본 명세서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가, Z1을 통하여(또는 통하지 않고), X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이, Z2를 통하여(또는 통하지 않고), Y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나,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가, Z1의 일부와 직접적으로 접속되고, Z1의 다른 일부가 X와 직접적으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이, Z2의 일부와 직접적으로 접속되고, Z2의 다른 일부가 Y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와 Y와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와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X,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 Y의 순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또는,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는, X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은 Y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X,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 Y는, 이 순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또는, "X는,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와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을 통하여, Y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X,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 Y는, 이 접속 순서로 제공되어 있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들 예와 마찬가지의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회로 구성에서의 접속의 순서에 대하여 규정하는 것에 의하여,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와,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을, 구별하여, 기술적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다른 표현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는, 적어도 제 1 접속 경로를 통하여, X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접속 경로는, 제 2 접속 경로를 가지지 않고, 상기 제 2 접속 경로는, 트랜지스터를 통하는,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와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 사이의 경로이고, 상기 제 1 접속 경로는, Z1을 통하는 경로이고,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은, 적어도 제 3 접속 경로를 통하여, Y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접속 경로는, 상기 제 2 접속 경로를 가지지 않고, 상기 제 3 접속 경로는, Z2를 통하는 경로이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또는,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는, 적어도 제 1 접속 경로에 의하여, Z1을 통하여, X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접속 경로는, 제 2 접속 경로를 가지지 않고, 상기 제 2 접속 경로는, 트랜지스터를 통하는 접속 경로를 가지고,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은, 적어도 제 3 접속 경로에 의하여, Z2를 통하여, Y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접속 경로는, 상기 제 2 접속 경로를 가지지 않는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또는,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는, 적어도 제 1 전기적 패스에 의하여, Z1을 통하여, X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전기적 패스는, 제 2 전기적 패스를 가지지 않고, 상기 제 2 전기적 패스는,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로부터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으로의 전기적 패스이고,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은, 적어도 제 3 전기적 패스에 의하여, Z2를 통하여, Y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전기적 패스는, 제 4 전기적 패스를 가지지 않고, 상기 제 4 전기적 패스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으로부터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로의 전기적 패스이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들 예와 마찬가지의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회로 구성에서의 접속 경로에 대하여 규정하는 것에 의하여,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와,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을, 구별하여, 기술적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표현 방법은, 일례이며, 이들 표현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X, Y, Z1, Z2는, 대상물(예를 들어, 장치, 소자, 회로, 배선, 전극, 단자, 도전막, 층 등)인 것으로 한다.
또한, 회로도상에서 독립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처럼 도시된 경우라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복수의 구성 요소의 기능을 겸비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배선의 일부가 전극으로도 기능하는 경우, 하나의 도전막이, 배선의 기능, 및 전극의 기능의 모든 구성 요소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이란, 이 같은, 하나의 도전막이, 복수의 구성 요소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는 경우도, 그 범주에 포함한다.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그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형태 및 자세한 사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된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동일 부분 또는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상이한 도면 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설명하는 기재에 관한 부기>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위에", "아래에"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어구는, 구성들끼리의 위치 관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구성들끼리의 위치 관계는, 각 구성을 묘사하는 방향에 따라 적절히 변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에서 설명한 어구에 한정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바꿔 말할 수 있다.
또한, "위"나 "아래"의 용어는, 구성 요소의 위치 관계가 직상 또는 직하이고, 또한 직접 접촉하고 있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절연층 A 위의 전극 B"의 표현이라면, 절연층 A 위에 전극 B가 직접 접촉하여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절연층 A와 전극 B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행"이란, 두 직선이 -10° 이상 10° 이하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5° 이상 5° 이하의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대략 평행"이란, 두 직선이 -30° 이상 30° 이하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수직"이란, 두 직선이 80° 이상 100° 이하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85° 이상 95° 이하의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대략 수직"이란, 두 직선이 60° 이상 120° 이하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결정이 삼방정 또는 능면체정인 경우, 육방정계로서 나타낸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크기, 층의 두께, 또는 영역은, 설명의 편의상 임의의 크기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반드시 그 스케일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은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면에 나타난 형상 또는 값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상면도(평면도, 레이아웃 도면이라고도 함)나 사시도 등에 있어서, 도면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 요소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동일"이란, 동일한 면적을 가져도 좋고, 동일한 형상을 가져도 좋다. 또한, 제조 공정의 관계상, 완전히 동일한 형상이 되지 않는 것도 상정되기 때문에, 대략 동일하더라도 동일하다고 바꿔 발할 수 있다.
<바꿔 말할 수 있는 기재에 관한 부기>
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 트랜지스터의 접속 관계를 설명할 때, 소스와 드레인 중 한쪽을, "소스 또는 드레인의 한쪽"(또는 제 1 전극, 또는 제 1 단자)이라고 표기하고, 소스와 드레인 중 다른 쪽을 "소스 또는 드레인의 다른 쪽"(또는 제 2 전극, 또는 제 2 단자)이라고 표기하였다. 이는,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은, 트랜지스터의 구조 또는 동작 조건 등에 따라 바뀌기 때문이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의 호칭에 대해서는, 소스(드레인) 단자나, 소스(드레인) 전극 등, 상황에 따라 적절히 바꿔 말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 "전극"이나 "배선"의 용어는, 이들 구성 요소를 기능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극"은 "배선"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극"이나 "배선"의 용어는, 복수의 "전극"이나 "배선"이 일체가 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등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 트랜지스터란, 게이트와, 드레인과, 소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단자를 가지는 소자이다. 그리고, 드레인(드레인 단자, 드레인 영역 또는 드레인 전극)과 소스(소스 단자, 소스 영역 또는 소스 전극) 사이에 채널 영역을 가지고 있고, 드레인과 채널 영역과 소스를 통하여 전류를 흘릴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소스와 드레인은, 트랜지스터의 구조 또는 동작 조건 등에 따라 바뀌기 때문에, 어느 쪽이 소스 또는 드레인인지를 한정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소스로서 기능하는 부분, 및 드레인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을, 소스 또는 드레인이라고 부르지 않고, 소스와 드레인 중 한쪽을 제 1 전극이라고 표기하고, 소스와 드레인 중 다른 쪽을 제 2 전극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제 1", "제 2", "제 3"이라는 서수사는, 구성 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붙인 것이며, 수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부기한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서는, 표시 패널의 기판에, 예를 들어 FPC(Flexible Printed Circuits) 또는 TCP(Tape Carrier Package) 등이 장착된 것, 또는 기판에 COG(Chip On Glass) 방식에 의하여 IC(집적 회로)가 직접 실장된 것을, 표시 장치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막"이라는 말과, "층"이라는 말은, 경우에 따라서는, 또는 상황에 따라서, 서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전층"이라는 용어를, "도전막"이라는 용어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절연막"이라는 용어를, "절연층"이라는 용어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어구의 정의에 관한 부기>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 등에서의 각 어구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트렌치" 또는 "홈"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경우, 가는 띠 형상의 오목한 부분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막으로서 예를 들어 산화 질화 실리콘을 나타내는 경우, SiOxNy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x 및 y는, 자연수이어도 좋고, 소수점을 가지는 수이어도 좋다.
<접속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 A와 B가 접속되어 있다라는 것은, A와 B가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 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A와 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라는 것은, A와 B 사이에서, 어떠한 전기적 작용을 가지는 대상물이 존재할 때, A와 B의 전기 신호의 수수(授受)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들 표현 방법은, 일례이며, 이들 표현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X, Y, Z1, Z2는, 대상물(예를 들어, 장치, 소자, 회로, 배선, 전극, 단자, 도전막, 층 등)인 것으로 한다.
또한, 어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기술하는 내용(일부의 내용이라도 좋음)은, 그 실시형태에서 기술하는 다른 내용(일부의 내용이라도 좋음),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술하는 내용(일부의 내용이라도 좋음)에 대하여, 적용, 조합, 또는 치환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 기술하는 내용이란, 각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양한 도면을 사용하여 기술하는 내용, 또는 명세서에 기재되는 문장을 사용하여 기술하는 내용을 가리킨다.
또한, 어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술하는 도면(일부라도 좋음)은, 그 도면의 다른 부분, 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술하는 다른 도면(일부라도 좋음),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술하는 도면(일부라도 좋음)에 대하여,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더 많은 도면을 구성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반도체 장치와,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 도 1의 (B), 도 1의 (C)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트랜지스터(10)의 상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의 (A)는 상면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에 나타낸 일점쇄선 A1-A2간, 도 1의 (C)는 A3-A4간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의 (A)에서는, 도면의 명료화를 위하여 일부의 요소를 확대, 축소, 또는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일점쇄선 A1-A2 방향을 채널 길이 방향, 일점쇄선 A3-A4 방향을 채널 폭 방향이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트랜지스터(10)는, 기판(100)과, 절연층(110)과, 산화물 반도체층(121)과, 산화물 반도체층(122)과, 산화물 반도체층(123)과, 소스 전극층(130)과, 드레인 전극층(140)과, 게이트 절연층(150)과, 게이트 전극층(160)과, 절연층(170)과, 절연층(175)을 가진다. 절연층(110)은, 기판(100) 위에 형성된다. 산화물 반도체층(121)은, 절연층(110) 위에 형성된다. 산화물 반도체층(122)은, 산화물 반도체층(121) 위에 형성된다. 소스 전극층(130) 및 드레인 전극층(140)은, 산화물 반도체층(122) 위에 형성되고, 산화물 반도체층(122)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절연층(170)은, 절연층(110), 소스 전극층(130), 드레인 전극층(140) 위에 형성되고,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측면과 접촉한다. 절연층(175)은, 절연층(170) 위에 형성되고, 측면부에 있어서 산화물 반도체층(123)과 접촉한다.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산화물 반도체층(122) 위에 형성된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절연층(170)의 측면, 절연층(175)의 측면, 소스 전극층(130)의 측면, 및 드레인 전극층(140)의 측면과 접촉한다. 게이트 절연층(150)은, 산화물 반도체층(123) 위에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층(160)은, 게이트 절연층(150) 위에 형성된다.
또한, 도 1의 (B)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층(160)은 단층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후술하는 게이트 전극층(161) 및 게이트 전극층(162)의 적층이어도 좋다. 트랜지스터(10)에 포함되는 산화물 반도체층(123) 및 게이트 절연층(150)의 단부는, 게이트 전극층(160)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술한 구조는,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과, 소스 전극층(130) 및 드레인 전극층(140)이 접촉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10)의 동작 시에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 내에 발생되는 열에 대하여, 방열 효과가 높은 특징을 가진다.
또한, 트랜지스터(10)는, 절연층(170)이 되는 제 2 절연막을 성막할 때에, 절연층(110)과의 계면에 절연층(110)의 재료와 제 2 절연막의 재료, 또한 제 2 절연막의 성막 시에 사용한 가스 등을 가진 혼합층이 형성되고, 당해 혼합층 또는 절연층(110)에 산소(과잉 산소, exO라고 함)가 첨가된다. 또한, 가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당해 산소가 산화물 반도체층(121) 및 산화물 반도체층(122)까지 확산되어,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내에 존재하는 산소 결손에 대하여 당해 산소가 보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트랜지스터 특성(예를 들어, 문턱 전압, 신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절연막 성막 시에 첨가되는 당해 과잉 산소는, 예를 들어 스퍼터링법에 의한 성막 시에 인가된 전압, 전력, 플라스마, 또는 기판 온도 등의 영향에 의하여, 산소 라디칼, 산소 이온, 또는 산소 원자 등, 다양한 상태로 존재한다. 이때, 당해 과잉 산소는, 안정적인 상태에 비하여 에너지를 많이 가진 상태이며, 절연층(110) 내에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산소가 첨가되는 방법은,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절연층(110)은, 성막 시에 당해 과잉 산소를 가져도 좋고, 성막 후에 다른 방법(예를 들어, 이온 주입법, 이온 플라스마 침지법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트랜지스터(10)는, 도 1의 (C)의 A3-A4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폭 방향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층(160)은 게이트 절연층(150)을 개재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측면과 대향한다. 즉, 게이트 전극층(160)에 전압이 인가되면,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채널 폭 방향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층(160)의 전계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게이트 전극층(160)의 전계에 의하여 반도체층이 둘러싸이는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surrounded channel(s-channel) 구조라고 부른다. 또한, 트랜지스터(10)는, 홈을 사용하여 셀프 얼라인으로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 맞춤 정밀도가 우수하고, 미세한 트랜지스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를 셀프 얼라인 s-channel FET(Self Align s-channel FET, SA s-channel FET) 구조, 또는 트렌치 게이트 s-channel FET(Trench gate s-channel FET), 또는 TGSA FET(Trench Gate Self Align) 구조, 또는 GLSA FET(Gate Last Self Align FET)라고 부른다.
여기서, 산화물 반도체층(121)과, 산화물 반도체층(122)과, 산화물 반도체층(123)을 합쳐서 산화물 반도체층(120)으로 한 경우, SA s-channel 구조의 트랜지스터에 있어서, 온 상태에서는 산화물 반도체층(120) 전체(벌크)에 채널이 형성되기 때문에, 온 전류가 증대된다. 한편, 오프 상태의 경우, 산화물 반도체층(120)에 형성되는 채널 영역의 전체 영역을 공핍화하기 때문에, 오프 전류를 더 작게 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하여, 홈부(174)에 산화물 반도체층(123), 게이트 절연층(150), 게이트 전극층(160)을 형성할 때에, 각 막의 매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트랜지스터(1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10)가 TGSA 구조를 가짐으로써, 게이트 전극-소스 전극 간 또는 게이트 전극-드레인 전극 간에서 발생되는 기생 용량이 저감되고, 트랜지스터(10)의 차단 주파수 특성이 향상되는 등, 트랜지스터(10)를 고속 응답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소스 전극층(130) 또는 드레인 전극층(140)의 상면의 위치는, 게이트 전극층(160)의 저면의 위치보다 낮아도 좋고, 같아도 좋고, 높아도 좋다.
또한, 트랜지스터(10)는, 도 2의 (A)의 홈부(174)가 직선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트랜지스터 도 2의 (B)와 같이 게이트 전극층(160)의 상면이 절연층(175)의 상면보다 아래에 있어도 좋다. 또한, 트랜지스터(10)는, 도 2의 (C)와 같이 절연막(150a) 및 제 3 산화물 반도체막(123a)을 평탄화 처리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1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전극층(130) 및 드레인 전극층의 단부가 산화물 반도체층(122)보다 짧은 형상을 가져도 좋고, 긴 형상을 가져도 좋다.
<채널 길이에 대하여>
또한, 채널 길이란,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의 상면도에 있어서, 반도체(또는 트랜지스터가 온 상태일 때에 반도체 내에서 전류가 흐르는 부분)와 게이트 전극이 중첩되는 영역, 또는 채널이 형성되는 영역에서의, 소스(소스 영역 또는 소스 전극)와 드레인(드레인 영역 또는 드레인 전극)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또한, 하나의 트랜지스터에 있어서, 채널 길이가 모든 영역에서 같은 값을 취한다고 할 수는 없다. 즉, 하나의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는, 하나의 값으로 정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채널 길이는, 채널이 형성되는 영역에서의, 어느 하나의 값, 최대값, 최소값 또는 평균값으로 한다.
<채널 폭에 대하여>
채널 폭이란, 예를 들어, 반도체(또는 트랜지스터가 온 상태일 때에 반도체 내에서 전류가 흐르는 부분)와 게이트 전극이 중첩되는 영역의 길이를 말한다. 또한, 하나의 트랜지스터에 있어서, 채널 폭이 모든 영역에서 같은 값을 취한다고 할 수는 없다. 즉, 하나의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은, 하나의 값으로 정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채널 폭은, 채널이 형성되는 영역에서의, 어느 하나의 값, 최대값, 최소값 또는 평균값으로 한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구조에 따라서는, 실제로 채널이 형성되는 영역에서의 채널 폭(이하, 실효적인 채널 폭이라고 부름)과, 트랜지스터의 상면도에 있어서 나타나는 채널 폭(이하, 외관상 채널 폭이라고 부름)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는 트랜지스터에서는, 실효적인 채널 폭이, 트랜지스터의 상면도에 있어서 나타나는 외관상 채널 폭보다 커지고, 그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될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미세하고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는 트랜지스터에서는, 반도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채널 영역의 비율에 대하여, 반도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채널 영역의 비율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상면도에 있어서 나타나는 외관상 채널 폭보다, 실제로 채널이 형성되는 실효적인 채널 폭이 더 커진다.
그런데,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는 트랜지스터에 있어서는, 실효적인 채널 폭의, 실측에 의한 어림잡기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설계값으로부터 실효적인 채널 폭을 어림잡기 위해서는, 반도체의 형상이 기지(旣知)라는 가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반도체의 형상을 정확하게 모르는 경우에는, 실효적인 채널 폭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
<SCW에 대하여>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트랜지스터의 상면도에 있어서, 반도체와 게이트 전극이 중첩되는 영역에서의 외관상 채널 폭을, "둘러싸인 채널 폭(SCW: Surrounded Channel Width)"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단순히 채널 폭이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둘러싸인 채널 폭 또는 외관상 채널 폭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는, 단순히 채널 폭이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실효적인 채널 폭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채널 길이, 채널 폭, 실효적인 채널 폭, 외관상 채널 폭, 둘러싸인 채널 폭 등은, 단면 TEM 이미지 등을 취득하고, 그 화상을 해석하는 것 등에 의하여,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전계 효과 이동도나, 채널 폭당 전류값 등을 계산하여 구하는 경우, 둘러싸인 채널 폭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실효적인 채널 폭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경우와는 상이한 값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미세화에 있어서의 특성 향상>
반도체 장치를 고집적화하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의 미세화가 필수적이다. 한편, 트랜지스터의 미세화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전기 특성이 악화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채널 폭이 축소되면 온 전류가 저하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트랜지스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이 형성되는 산화물 반도체층(122)을 덮도록 제 3 산화물 반도체층(123)이 형성되어 있고, 채널 형성층과 게이트 절연층이 접촉하지 않는 구성이 되어 있다. 그러므로, 채널 형성층과 게이트 절연층의 계면에서 일어나는 캐리어의 산란을 억제할 수 있고, 트랜지스터의 온 전류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트랜지스터에서는, 채널이 되는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채널 폭 방향을 전기적으로 둘러싸도록 게이트 전극층(16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산화물 반도체층(1223)에 대해서는 수직 방향으로부터의 게이트 전계에 더하여, 측면 방향으로부터의 게이트 전계가 인가된다. 즉, 산화물 반도체층 전체에 게이트 전계가 인가되고, 전류는 산화물 반도체층(122) 전체에 흐르게 되기 때문에, 온 전류를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트랜지스터는, 산화물 반도체층(123)을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위에 형성함으로써 계면 준위가 형성되기 어렵게 하는 효과나, 산화물 반도체층(122)을 중간에 위치하는 층으로 함으로써 상하에서의 불순물 혼입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 등을 겸비한다. 그러므로, 상술한 트랜지스터의 온 전류의 향상에 더하여, 문턱 전압의 안정화나, S값(서브스레숄드 값)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Icut(게이트 전압(VG)이 0V 시의 전류)를 낮출 수 있고,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 안정화되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의 장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채널 등에 있어서, 산화물 반도체층(120) 등을 사용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채널이나 그 근방,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등을, 경우에 따라서는, 또는 상황에 따라서, 실리콘(변형 실리콘을 포함함), 저마늄, 실리콘 저마늄, 탄소화 실리콘, 갈륨 비소, 알루미늄 갈륨 비소, 인듐 인, 질화 갈륨, 유기 반도체 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하여도 좋다.
<트랜지스터의 구성>
이하에서 본 실시형태의 트랜지스터의 구성에 대하여 나타낸다.
<<기판(100)>>
기판(100)에는, 예를 들어, 유리 기판, 세라믹 기판, 석영 기판, 사파이어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이나 탄소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 다결정 반도체 기판, 실리콘 저마늄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 반도체 기판, SOI(Semiconductor On Insulator) 기판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들 기판 위에 반도체 소자가 제공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기판(100)은, 단순한 지지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트랜지스터 등의 디바이스가 형성된 기판이어도 좋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층(160), 소스 전극층(130), 및 드레인 전극층(140) 중 하나는, 상기 다른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기판(100)으로서, 가요성 기판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가요성 기판 위에 트랜지스터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는, 비가요성의 기판 위에 트랜지스터를 제작한 후, 트랜지스터를 박리하여, 가요성 기판인 기판(100)으로 전치하는 방법도 있다. 그 경우에는, 비가요성 기판과 트랜지스터 사이에 박리층을 제공하면 좋다. 또한, 기판(100)으로서, 섬유를 짠 시트, 필름 또는 박(箔)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기판(100)이 신축성을 가져도 좋다. 또한, 기판(100)은, 구부림이나 잡아당김을 멈췄을 때에,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가져도 좋다. 또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성질을 가져도 좋다. 기판(100)의 두께는, 예를 들어, 5μm 이상 7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 500μ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μm 이상 300μm 이하로 한다. 기판(100)을 얇게 하면, 반도체 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기판(100)을 얇게 함으로써, 유리 등을 사용한 경우에도 신축성을 가지는 경우나, 구부림이나 잡아당김을 멈췄을 때에,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낙하 등에 의하여 기판(100) 위의 반도체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완화할 수 있다. 즉, 튼튼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가요성 기판인 기판(100)으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합금, 수지 또는 유리, 또는 그들의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요성 기판인 기판(100)은, 선팽창률이 낮을수록 환경에 기인한 변형이 억제되므로 바람직하다. 가요성 기판인 기판(100)으로서는, 예를 들어, 선팽창률이 1×10-3/K 이하, 5×10-5/K 이하, 또는 1×10-5/K 이하인 재질을 사용하면 좋다.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폴리올레핀, 폴리아마이드(나일론, 아라미드 등),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이 있다. 특히, 아라미드는, 선팽창률이 낮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인 기판(100)으로서 적합하다.
<<절연층(110)>>
절연층(110)은, 기판(100)으로부터의 불순물의 확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가지는 외에, 산화물 반도체층(120)에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층(110)은 산소를 포함하는 절연막인 것이 바람직하고, 화학량론 조성보다 많은 산소를 포함하는 절연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TDS법에서, 산소 원자로 환산한 산소 방출량이 1.0×1019atoms/cm3 이상인 막으로 한다. 또한, 상기 TDS 분석 시에서의 막의 표면 온도로서는 100 이상 700 이하, 또는 100 이상 500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100)이 다른 디바이스가 형성된 기판인 경우, 절연층(110)은, 층간 절연막으로서의 기능도 가진다. 그 경우에는, 표면이 평탄해지도록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법 등으로 평탄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물 반도체층(121, 122, 123)>>
산화물 반도체층(122)은, In 또는 Zn을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막이며, 대표적으로는, In-Ga 산화물, In-Zn 산화물, In-Mg 산화물, Zn-Mg 산화물, In-M-Zn 산화물(M은 Al, Ti, Ga, Y, Zr, Sn, La, Ce, Mg, 또는 Nd)이 있다.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산화물 반도체는, 적어도 인듐(In) 또는 아연(Z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In과 Zn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의 전기 특성의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그들과 함께,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태빌라이저로서는, 갈륨(Ga), 주석(Sn), 하프늄(Hf), 알루미늄(Al), 또는 지르코늄(Zr) 등이 있다. 또한, 다른 스태빌라이저로서는, 란타노이드인, 란타넘(La),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네오디뮴(Nd), 사마륨(Sm), 유로퓸(Eu), 가돌리늄(Gd), 터븀(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어븀(Er), 툴륨(Tm), 이터븀(Yb), 루테튬(Lu) 등이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3)이 In-M-Zn 산화물일 때, In과 M의 원자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In이 25atomic% 이상, M이 75atomic%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In이 34atomic% 이상, M이 66atomic% 미만으로 한다.
산화물 반도체층(123) 내의 인듐이나 갈륨 등의 함유량은, 비행 시간형 이차 이온 질량 분석법(TOF-SIMS)이나, X선 전자 분광법(XPS), ICP 질량 분석(ICP-MS)에 의하여 비교할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층(122)은, 에너지 갭이 2eV 이상, 바람직하게는 2.5eV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eV 이상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10)의 오프 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두께는, 3nm 이상 2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3nm 이상 100n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nm 이상 50nm 이하로 한다.
산화물 반도체층(121)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산화물 반도체층(122)을 구성하는 원소 중 1종류 이상으로 구성되는 산화물 반도체막이다. 이 때문에, 산화물 반도체층(122)과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4)의 계면에 있어서, 계면 산란이 일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당해 계면에 있어서는 캐리어의 움직임이 저해되지 않기 때문에, 트랜지스터(10)의 전계 효과 이동도가 높아진다.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대표적으로는, In-Ga 산화물, In-Zn 산화물, In-Mg 산화물, Ga-Zn 산화물, Zn-Mg 산화물, In-M-Zn 산화물(M은 Al, Ti, Ga, Y, Zr, Sn, La, Ce, Mg, 또는 Nd)이고,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2)보다 전도대 하단의 에너지 준위가 진공 준위에 가깝고, 대표적으로는,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전도대 하단의 에너지와,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전도대 하단의 에너지의 차가, 0.05eV 이상, 0.07eV 이상, 0.1eV 이상, 또는 0.2eV 이상이고 2eV 이하, 1eV 이하, 0.5eV 이하, 또는 0.4eV 이하이다. 즉,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전자 친화력과,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전자 친화력의 차가, 0.05eV 이상, 0.07eV 이상, 0.1eV 이상, 또는 0.2eV 이상이고 2eV 이하, 1eV 이하, 0.5eV 이하, 또는 0.4eV 이하이다. 또한, 전자 친화력은, 진공 준위와 전도대 하단의 에너지의 차를 가리킨다.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으로서, Al, Ti, Ga, Y, Zr, Sn, La, Ce, Mg, 또는 Nd를, In보다 높은 원자수비로 가짐으로써, 이하의 효과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1)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4)의 에너지 갭을 크게 한다. (2)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전자 친화력을 작게 한다. (3) 외부로부터의 불순물을 차폐한다. (4) 산화물 반도체층(122)과 비교하여, 절연성이 높아진다. (5) Al, Ti, Ga, Y, Zr, Sn, La, Ce, Mg, 또는 Nd는, 산소와의 결합력이 센 금속 원소이기 때문에, Al, Ti, Ga, Y, Zr, Sn, La, Ce, Mg, 또는 Nd를 In보다 높은 원자수비로 가짐으로써, 산소 결손이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산화물 반도체층(122)과 비교하여 절연성이 높기 때문에, 게이트 절연층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진다.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이 In-M-Zn 산화물일 때, Zn 및 O를 제외한 In 및 M의 원자수비율은, 바람직하게는, In이 50atomic% 이하, M이 50atomic%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In이 25atomic% 이하, M이 75atomic% 이상으로 한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이 In-M-Zn 산화물(M은Al, Ti, Ga, Y, Zr, Sn, La, Ce, Mg, 또는 Nd)의 경우, 산화물 반도체층(122)과 비교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에 포함되는 M(Al, Ti, Ga, Y, Zr, Sn, La, Ce, Mg, 또는 Nd)의 원자수비가 높고, 대표적으로는, 산화물 반도체층(123)에 포함되는 상기 원자와 비교하여, 1.5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 높은 원자수비이다. 상술한 M으로 나타낸 원소는 인듐보다 산소와 세게 결합되기 때문에, 산소 결손이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에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산화물 반도체층(122)보다 산소 결손이 발생되기 어려운 산화물 반도체막이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2)은,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보다 인듐의 함유량을 많게 하면 좋다. 산화물 반도체에서는 주로 중금속의 s궤도가 캐리어 전도에 기여하고 있고, In의 함유율을 많게 하는 것에 의하여, 더 많은 s궤도가 중첩되기 때문에, In이 M보다 많은 조성이 되는 산화물은 In이 M과 동등하거나 또는 적은 조성이 되는 산화물과 비교하여 이동도가 높아진다. 그러므로, 산화물 반도체층(122)에 인듐의 함유량이 많은 산화물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전계 효과 이동도의 트랜지스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2)이 In-M-Zn 산화물(M은, Al, Ti, Ga, Y, Zr, Sn, La, Ce, Mg, 또는 Nd)의 경우, 산화물 반도체층(122)을 성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타깃에 있어서, 금속 원소의 원자수비를 In:M:Zn=x1:y1:z1로 하면, x1/y1은, 1/3 이상 6 이하, 나아가서는 1 이상 6 이하이고, z1/y1은, 1/3 이상 6 이하, 나아가서는 1 이상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z1/y1을 1 이상 6 이하로 함으로써, 산화물 반도체층(122)으로서 CAAC-OS(C Axis Aligned 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막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타깃의 금속 원소의 원자수비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In:M:Zn=1:1:1, In:M:Zn=1:1:1.2, 2:1:1.5, 2:1:2.3, 2:1:3, 3:1:2, 4:2:3, 4:2:4.1 등이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이 In-M-Zn 산화물(M은, Al, Ti, Ga, Y, Zr, Sn, La, Ce, Mg, 또는 Nd)의 경우,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을 성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타깃에 있어서, 금속 원소의 원자수비를 In:M:Zn=x2:y2:z2로 하면, x2/y2<x1/y1이고, z2/y2는, 1/3 이상 6 이하, 나아가서는 1 이상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z2/y2를 1 이상 6 이하로 함으로써,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으로서 CAAC-OS막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타깃의 금속 원소의 원자수비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In:M:Zn=1:3:2, 1:3:4, 1:3:6, 1:3:8, 1:4:4, 1:4:5, 1:4:6, 1:4:7, 1:4:8, 1:5:5, 1:5:6, 1:5:7, 1:5:8, 1:6:8, 1:6:4, 1:9:6 등이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원자수비는 각각, 오차로서 상기 원자수비의 ±40%의 변동을 포함한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AlOx), 산화 갈륨(GaOx), 산화 하프늄(HfOx), 산화 실리콘(SiOx), 산화 저마늄(GeOx), 또는 산화 지르코니아(ZrOx)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고, 산화물 반도체층(123) 위에 당해 금속 산화물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원자수비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로 하는 반도체 특성에 따라 적절한 원자수비의 것을 사용하면 좋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같은 조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으로서, 스퍼터링법에서 사용하는 타깃의 금속 원소의 원자수비가 In:Ga:Zn=1:3:2, 1:3:4, 또는 1:4:5인In-Ga-Zn 산화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는,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상이한 조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층(121)으로서, 스퍼터링법에서 사용하는 타깃의 금속 원소의 원자수비가 In:Ga:Zn=1:3:4의 In-Ga-Zn 산화물을 사용하고, 산화물 반도체층(123)으로서 타깃의 금속 원소의 원자수비가 In:Ga:Zn=1:3:2의 In-Ga-Zn 산화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두께는, 3nm 이상 100nm 이하, 또는 3nm 이상 50n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두께는, 적어도 산화물 반도체층(121)과 비교하여, 얇게 형성하여도 좋고, 같게 하여도 좋고, 두껍게 형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층(122)을 두껍게 한 경우, 트랜지스터의 온 전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1)은,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계면 준위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상실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라면 좋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두께는, 산화물 반도체층(121)의 두께에 대하여, 1배보다 크게, 또는 2배 이상, 또는 4배 이상, 또는 6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온 전류를 높일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산화물 반도체층(121)의 두께를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두께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절연층(110) 또는 절연층(175)이 산소를 과잉으로 가진 경우, 가열 처리에 의하여, 당해 산소가 확산되어, 산화물 반도체층(122)에 포함되는 산소 결손량을 저감할 수 있고, 반도체 장치의 전기 특성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3)도 산화물 반도체층(121)과 마찬가지로,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계면 준위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상실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라면 좋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층(121)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하의 두께로 하면 좋다. 산화물 반도체층(123)이 두꺼우면, 게이트 전극층(160)(또는, 게이트 전극층(161), 게이트 전극층(162))에 의한 전계가 산화물 반도체층(122)에 전달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으므로,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두께보다 얇게 하면 좋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두께는 게이트 절연층(150)의 내압을 고려하여,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는 전압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 각각의 조성이 상이한 경우, 계면은, 주사형 투과 전자 현미경 STEM(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을 사용하여 관찰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수소 농도에 대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에 포함되는 수소는, 금속 원자와 결합하는 산소와 반응하여 물이 됨과 함께, 산소가 이탈된 격자(또는 산소가 이탈된 부분)에 산소 결손을 형성한다. 당해 산소 결손에 수소가 들어감으로써, 캐리어인 전자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소의 일부가 금속 원자와 결합하는 산소와 결합함으로써, 캐리어인 전자를 생성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수소가 포함되어 있는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는 노멀리 온 특성이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 및 각각의 계면에 있어서, 산소 결손과 함께, 수소가 가능한 한 저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 및 각각의 계면에 있어서 이차 이온 질량 분석법(SIMS: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에 의하여 얻어지는 수소 농도는, 1×1016atoms/cm3 이상 2×1020atoms/cm3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16atoms/cm3 이상 5×1019atoms/cm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16atoms/cm3 이상 1×1019atoms/cm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16atoms/cm3 이상 5×1018atoms/cm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과, 트랜지스터(10)는, 문턱 전압이 양이 되는 전기 특성(노멀리 오프 특성이라고도 함)을 가질 수 있다.
<탄소, 실리콘 농도에 대하여>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 및 각각의 계면에 있어서, 제 14족 원소 중 하나인 실리콘이나 탄소가 포함되면,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에 있어서 산소 결손이 증가되어, n형 영역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 및 각각의 계면에서의 실리콘, 및 탄소 농도는,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 산화물 반도체층(124), 및 각각의 계면에 있어서 SIMS에 의하여 얻어지는 실리콘이나 탄소의 농도는, 1×1016atoms/cm3 이상 1×1019atoms/cm3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16atoms/cm3 이상 5×1018atoms/cm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16atoms/cm3 이상 2×1018atoms/cm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과, 트랜지스터(10)는, 문턱 전압이 양이 되는 전기 특성(노멀리 오프 특성이라고도 함)을 가진다.
<알칼리 금속의 농도에 대하여>
또한,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은, 산화물 반도체와 결합하면 캐리어를 생성하는 경우가 있고, 트랜지스터의 오프 전류가 증대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 및 각각의 계면에서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농도를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 및 각각의 계면에 있어서, 이차 이온 질량 분석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농도를, 1×1018atoms/cm3 이하, 바람직하게는 2×1016atoms/cm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트랜지스터(10)는, 문턱 전압이 양이 되는 전기 특성(노멀리 오프 특성이라고도 함)을 가질 수 있다.
<질소 농도에 대하여>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 및 각각의 계면에 질소가 포함되어 있으면, 캐리어인 전자가 발생되고, 캐리어 밀도가 증가되어, n형 영역이 형성된다. 이 결과, 질소가 포함되어 있는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는 노멀리 온 특성이 되기 쉽다. 따라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 및 각각의 계면에 있어서, 질소는 가능한 한 저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 및 각각의 계면에 있어서 SIMS에 의하여 얻어지는 질소 농도는, 1×1015atoms/cm3 이상 5×1019atoms/cm3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15atoms/cm3 이상 5×1018atoms/cm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15atoms/cm3 이상 1×1018atoms/cm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15atoms/cm3 이상 5×1017atoms/cm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트랜지스터(10)는, 문턱 전압이 양이 되는 전기 특성(노멀리 오프 특성이라고도 함)을 가질 수 있다.
<캐리어 밀도에 대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불순물을 저감함으로써,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캐리어 밀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캐리어 밀도가 1×1015개/cm3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13개/cm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8×1011개/cm3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1011개/cm3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10개/cm3 미만이고, 1×10-9개/cm3 이상으로 한다.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으로서, 불순물 농도가 낮고, 결함 준위 밀도가 낮은 산화물 반도체막을 사용함으로써, 더 우수한 전기 특성을 가지는 트랜지스터를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는, 불순물 농도가 낮고, 결함 준위 밀도가 낮은(산소 결손이 적은) 것을 고순도 진성 또는 실질적으로 고순도 진성이라고 부른다. 고순도 진성 또는 실질적으로 고순도 진성인 산화물 반도체는, 캐리어 발생원이 적기 때문에, 캐리어 밀도를 낮게 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당해 산화물 반도체막에 채널 영역이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는, 문턱 전압이 양이 되는 전기 특성(노멀리 오프 특성이라고도 함)이 되기 쉽다. 또한, 고순도 진성 또는 실질적으로 고순도 진성인 산화물 반도체막은, 결함 준위 밀도가 낮기 때문에, 트랩 준위 밀도도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고순도 진성 또는 실질적으로 고순도 진성인 산화물 반도체막은, 오프 전류가 현저히 작고,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전압(드레인 전압)이 1V에서 10V의 범위에 있어서, 오프 전류가, 반도체 파라미터 애널라이저의 측정 한계 이하, 즉 1×10-13A 이하라는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산화물 반도체막에 채널 영역이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는, 전기 특성의 변동이 작고, 신뢰성이 높은 트랜지스터가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순도화된 산화물 반도체막을 채널 형성 영역에 사용한 트랜지스터의 오프 전류는 매우 작다. 예를 들어, 소스와 드레인 사이의 전압을 0.1V, 5V, 또는 10V정도로 한 경우에,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으로 정규화한 오프 전류를 수yA/μm 내지 수zA/μm까지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예를 들어 비단결정 구조이어도 좋다. 비단결정 구조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CAAC-OS, 다결정 구조, 미결정(microcrystalline) 구조, 또는 비정질 구조를 포함한다. 비단결정 구조에 있어서, 비정질 구조는 가장 결함 준위 밀도가 높고, CAAC-OS는 가장 결함 준위 밀도가 낮다.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예를 들어 미결정 구조이어도 좋다. 미결정 구조의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예를 들어, 1nm 이상 10nm 미만의 사이즈의 미결정을 막 내에 포함한다. 또는, 미결정 구조의 산화물막 및 산화물 반도체막은, 예를 들어 비정질상에 1nm 이상 10nm 미만의 결정부를 가지는 혼상 구조이다.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예를 들어 비정질 구조이어도 좋다. 비정질 구조의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예를 들어, 원자 배열이 무질서하며, 결정 성분을 가지지 않는다. 또는, 비정질 구조의 산화물막은, 예를 들어, 완전한 비정질 구조이며, 결정부를 가지지 않는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이, CAAC-OS, 미결정 구조, 및 비정질 구조 중 2개 이상의 구조의 영역을 가지는 혼합막이어도 좋다. 혼합막으로서, 예를 들어, 비정질 구조의 영역과, 미결정 구조의 영역과, CAAC-OS의 영역을 가지는 단층 구조가 있다. 또는, 혼합막으로서, 예를 들어, 비정질 구조의 영역과, 미결정 구조의 영역과, CAAC-OS의 영역의 적층 구조가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예를 들어, 단결정 구조를 가져도 좋다.
산화물 반도체층(122)과 비교하여 산소 결손이 발생되기 어려운 산화물 반도체막을 산화물 반도체층(122) 상하에 접촉하여 제공함으로써, 산화물 반도체층(122)에서의 산소 결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2)은, 산화물 반도체층(122)을 구성하는 금속 원소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과 접촉하기 때문에, 산화물 반도체층(121)과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계면, 산화물 반도체층(122)과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계면에서의 계면 준위 밀도가 매우 낮다. 예를 들어, 절연층(110)에 산소를 첨가한 후, 가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당해 산소가 산화물 반도체층(121)을 경유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2)으로 산소가 이동하는데, 이때 계면 준위에 있어서 산소가 포획되기 어려워, 효율적으로 산화물 반도체층(121)에 포함되는 산소를 산화물 반도체층(122)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산화물 반도체층(122)에 포함되는 산소 결손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1)에도 산소가 첨가되기 때문에, 산화물 반도체층(121)의 산소 결손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적어도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국재 준위(局在準位) 밀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2)이, 구성 원소가 상이한 절연막(예를 들어, 산화 실리콘막을 포함하는 게이트 절연층)과 접촉하는 경우, 계면 준위가 형성되고, 당해 계면 준위는 채널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문턱 전압이 상이한 제 2 트랜지스터가 출현하여, 트랜지스터의 외관상 문턱 전압이 변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산화물 반도체층(122)을 구성하는 금속 원소를 1종류 이상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층(121)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이 산화물 반도체층(122)과 접촉하기 때문에, 산화물 반도체층(121)과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계면,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과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계면에 계면 준위가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각각 절연층(110), 게이트 절연층(150)의 구성 원소가 산화물 반도체층(122)에 혼입되어, 불순물로 인한 준위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배리어막으로도 기능한다.
예를 들어, 절연층(110) 또는 게이트 절연층(150)으로서, 실리콘을 포함하는 절연막을 사용하는 경우, 게이트 절연층(150) 내의 실리콘, 또는 절연층(110)과, 게이트 절연층(150) 내에 혼입될 수 있는 탄소가, 산화물 반도체층(121) 또는 산화물 반도체층(123) 내에 계면에서 수nm정도까지 혼입되는 경우가 있다. 실리콘, 탄소 등의 불순물이 산화물 반도체층(122) 내에 들어가면 불순물 준위를 형성하고, 불순물 준위가 도너가 되어 전자를 생성함으로써 n형화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막 두께가, 수nm보다 두꺼우면, 혼입된 실리콘, 탄소 등의 불순물이 산화물 반도체층(122)까지 도달하지 않아, 불순물 준위의 영향은 저감된다.
따라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등의 전기 특성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층(150)과 산화물 반도체층(122)이 접촉하고, 그 계면에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당해 계면에서 계면 산란이 일어나, 트랜지스터의 전계 효과 이동도가 낮아진다. 그러나, 산화물 반도체층(122)을 구성하는 금속 원소를 1종류 이상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이 산화물 반도체층(122)에 접촉하여 제공되기 때문에, 산화물 반도체층(122)과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계면에서는 캐리어의 산란이 일어나기 어렵고, 트랜지스터의 전계 효과 이동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산소 결손량, 나아가서는 산화물 반도체층(122)에 접촉하는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산소 결손량을 저감할 수 있고,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국재 준위 밀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트랜지스터(10)는, 문턱 전압의 변동이 적고, 신뢰성이 높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트랜지스터(10)는 우수한 전기 특성을 가진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층으로서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절연막이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이유에 의하여 산화물 반도체층의 채널이 되는 영역은,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트랜지스터와 같이 게이트 절연층과 접촉하지 않는 구조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층과 산화물 반도체층의 계면에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당해 계면에서 캐리어의 산란이 일어나, 트랜지스터의 전계 효과 이동도가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도, 산화물 반도체층의 채널이 되는 영역은 게이트 절연층에서 떨어져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산화물 반도체층(120)을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적층 구조로 함으로써, 산화물 반도체층(123)에 채널을 형성할 수 있고, 높은 전계 효과 이동도 및 안정된 전기 특성을 가진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는 반드시 3층으로 할 필요는 없고, 단층, 2층, 4층, 나아가서는 5층 이상의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단층으로 하는 경우,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산화물 반도체층(122)에 상당하는 층을 사용하면 좋다.
<밴드도>
여기서, 밴드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밴드도에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절연층(110),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 및 게이트 절연층(150)의 전도대 하단의 에너지(Ec)를 나타내었다.
도 4의 (A),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에 있어서, 전도대 하단의 에너지가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이는,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을 구성하는 원소가 공통되는 것에 의하여, 산소가 상호적으로 확산되기 쉬운 점에서도 이해된다. 따라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은 조성이 상이한 막의 적층체이기는 하지만, 물성적으로 연속이라고 할 수도 있다.
주성분을 공통으로 하여 적층된 산화물 반도체막은, 각 층을 단순히 적층하는 것이 아니라 연속 접합(여기서는 특히 전도대 하단의 에너지가 각 층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U자형의 우물(U Shape Well) 구조)이 형성되도록 제작한다. 즉, 각 층의 계면에 트랩 중심이나 재결합 중심과 같은 결함 준위를 형성하는 불순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적층 구조를 형성한다. 만약에, 적층된 다층막의 층간에 불순물이 혼재되어 있으면, 에너지 밴드의 연속성이 상실되어, 계면에서 캐리어가 트랩되거나 또는 재결합에 의하여 소멸된다.
또한, 도 4의 (B)에서는, 산화물 반도체층(121)과,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Ec가 마찬가지인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지만, 각각이 상이하여도 좋다.
도 4의 (B), 도 4의 (C)로부터, 산화물 반도체층(122)이 웰(우물)이 되어, 트랜지스터(10)에 있어서, 채널이 산화물 반도체층(122)에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2)을 바닥으로 하여 전도대 하단의 에너지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U자형의 우물 구조의 채널을 매몰 채널이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1)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과, 산화 실리콘막 등의 절연막의 계면 근방에는, 불순물이나 결함에 기인한 트랩 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이 있는 것에 의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2)과 당해 트랩 준위를 떨어져 있게 할 수 있다. 다만, 산화물 반도체층(121) 또는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Ec와,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Ec의 에너지 차가 작은 경우,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전자가 당해 에너지 차를 넘어 트랩 준위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음의 전하가 되는 전자가 트랩 준위에 포획됨으로써, 절연막 계면에 음의 고정 전하가 발생되어,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은 양의 방향으로 시프트된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장기 보존 시험에 있어서, 트랩이 고정화되지 않고, 특성에 대한 변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의 변동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산화물 반도체층(121)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Ec와, 산화물 반도체층(122) 사이에 에너지 차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각각의 당해 에너지 차는, 0.1eV 이상이 바람직하고, 0.2eV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3)에는, 결정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c축 배향한 결정을 사용함으로써 트랜지스터에 안정된 전기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밴드도에 있어서, 산화물 반도체층(123)을 제공하지 않고, 산화물 반도체층(123)과 게이트 절연층(150) 사이에 In-Ga 산화물(예를 들어, 원자수비가 In:Ga=7:93의 In-Ga 산화물)을 제공하여도 좋고, 또는 산화 갈륨을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3)을 가지는 상태에서 산화물 반도체층(123)과 게이트 절연층(150) 사이에 In-Ga 산화물을 제공하여도 좋고, 또는 산화 갈륨을 제공하여도 좋다.
산화물 반도체층(122)에는, 산화물 반도체층(121)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보다 전자 친화력이 큰 산화물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층(122)으로서, 산화물 반도체층(121)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보다 전자 친화력이 0.07eV 이상 1.3eV 이하, 바람직하게는 0.1eV 이상 0.7eV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2eV 이상 0.4eV 이하 큰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트랜지스터는, 산화물 반도체층(122)을 구성하는 금속 원소를 1종류 이상 포함하고 있는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산화물 반도체층(121)과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계면, 및 산화물 반도체층(123)과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계면에 계면 준위가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3)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등의 전기 특성의 편차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소스 전극층(130), 드레인 전극층(140)>>
소스 전극층(130), 드레인 전극층(140)에는, 구리(Cu), 텅스텐(W), 몰리브데넘(Mo), 금(Au), 알루미늄(Al), 망가니즈(Mn), 타이타늄(Ti), 탄탈럼(Ta), 니켈(Ni), 크로뮴(Cr), 납(Pb), 주석(Sn), 철(Fe), 코발트(Co), 루테늄(Ru), 백금(Pt), 이리듐(Ir), 스트론튬(Sr)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체, 또는 합금,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소, 질소, 플루오린, 실리콘 등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도전층의 단층 또는 적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적층하는 경우에, 산화물 반도체층(122)과 접촉하는 아래쪽 도전층(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소스 전극층(131), 드레인 전극층(141))은 산소와 결합되기 쉬운 재료를 가지고, 위쪽 도전층(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소스 전극층(132), 드레인 전극층(142))에는 내산화성이 강한 재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내열성과 도전성을 양립하는 텅스텐이나 몰리브데넘 등의 고융점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저저항 도전성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u-Mn 합금을 사용하면, 산소를 포함하는 절연체와의 계면에 산화 망가니즈가 형성되고, 산화 망가니즈가 Cu의 확산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산소와 결합되기 쉬운 도전 재료와 산화물 반도체층을 접촉시키면, 산화물 반도체층 내의 산소가, 산소와 결합되기 쉬운 도전 재료 쪽으로 확산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산화물 반도체층에서 소스 전극층 또는 드레인 전극층과 접촉한 근방의 영역에 산소 결손이 발생되고, 막 내에 미미하게 포함되는 수소가 당해 산소 결손에 들어가는 것에 의하여 당해 영역은 현저히 n형화된다. 따라서, n형화한 당해 영역을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으로서 작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쪽 도전층으로서 W를 사용하고, 위쪽 도전층으로서 Pt를 사용한 적층 구조로 함으로써, 접촉한 산화물 반도체를 n형으로 하면서, 절연층(170)과 접촉하는 것으로 인한 도전층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50)>>
게이트 절연층(150)에는, 산소(O), 질소(N), 플루오린(F),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실리콘(Si), 갈륨(Ga), 저마늄(Ge), 이트륨(Y), 지르코늄(Zr), 란타넘(La), 네오디뮴(Nd), 하프늄(Hf), 탄탈럼(Ta), 타이타늄(Ti) 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AlOx), 산화 마그네슘(MgOx), 산화 실리콘(SiOx), 산화 질화 실리콘(SiOxNy), 질화 산화 실리콘(SiNxOy), 질화 실리콘(SiNx), 산화 갈륨(GaOx), 산화 저마늄(GeOx), 산화 이트륨(YOx), 산화 지르코늄(ZrOx), 산화 란타넘(LaOx), 산화 네오디뮴(NdOx), 산화 하프늄(HfOx) 및 산화 탄탈럼(TaOx)을 1종류 이상 포함하는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층(150)은 상기 재료의 적층이어도 좋다. 또한, 게이트 절연층(150)에, 란타넘(La), 질소, 지르코늄(Zr) 등이 불순물로서 포함되어도 좋다.
또한, 게이트 절연층(150)의 적층 구조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게이트 절연층(150)은, 예를 들어, 산소, 질소, 실리콘, 하프늄 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산화 하프늄, 및 산화 실리콘 또는 산화 질화 실리콘을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산화 하프늄은, 산화 실리콘이나 산화 질화 실리콘에 비하여 비유전율이 높다. 따라서 등가 산화막 두께에 대하여 물리적인 막 두께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등가 산화막 두께를 10nm 이하 또는 5nm 이하로 한 경우에도, 터널 전류로 인한 누설 전류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오프 전류의 작은 트랜지스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결정 구조를 가지는 산화 하프늄은, 비정질 구조를 가지는 산화 하프늄에 비하여 높은 비유전율을 구비한다. 따라서, 오프 전류가 작은 트랜지스터로 하기 위해서는, 결정 구조를 가지는 산화 하프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 구조의 예로서는, 단사정계나 입방정계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런데, 결정 구조를 가지는 산화 하프늄의 피형성면은, 결함에 기인한 계면 준위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당해 계면 준위는 트랩 센터로서 기능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산화 하프늄이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에 근접하여 배치될 때, 당해 계면 준위에 의하여 트랜지스터의 전기 특성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당해 계면 준위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과 산화 하프늄 사이에, 다른 막을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서로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이 막은, 완충 기능을 가진다. 완충 기능을 가지는 막은, 게이트 절연층(150)에 포함되는 막이어도 좋고, 산화물 반도체막에 포함되는 막이어도 좋다. 즉, 완충 기능을 가지는 막으로서는, 산화 실리콘, 산화 질화 실리콘, 산화물 반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완충 기능을 가지는 막에는, 예를 들어, 채널 영역이 되는 반도체보다 에너지 갭이 큰 반도체 또는 절연체를 사용한다. 또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막에는, 예를 들어, 채널 영역이 되는 반도체보다 전자 친화력이 작은 반도체 또는 절연체를 사용한다. 또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막에는, 예를 들어, 채널 영역이 되는 반도체보다 이온화 에너지가 큰 반도체 또는 절연체를 사용한다.
한편, 상술한 결정 구조를 가지는 산화 하프늄의 피형성면에서의 계면 준위(트랩 센터)에 전하를 트랩시킴으로써,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당해 전하가 안정적으로 존재하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채널 영역과 산화 하프늄 사이에, 산화 하프늄보다 에너지 갭이 큰 절연체를 배치하면 좋다. 또는, 산화 하프늄보다 전자 친화력이 작은 반도체 또는 절연체를 배치하면 좋다. 또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막에는, 산화 하프늄보다 이온화 에너지가 큰 반도체 또는 절연체를 배치하면 좋다. 이러한 절연체를 사용함으로써, 계면 준위에 트랩된 전하의 방출이 일어나기 어려워져, 장기간에 걸쳐 전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한 절연체로서, 예를 들어, 산화 실리콘, 산화 질화 실리콘을 들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50) 내의 계면 준위에 전하를 포획시키기 위해서는, 산화물 반도체막으로부터 게이트 전극층(160)을 향하여 전자를 이동시키면 좋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높은 온도(예를 들어, 125 이상 450 이하, 대표적으로는 150 이상 300 이하) 하에서, 게이트 전극층(160)의 전위를 소스 전극층(130)이나 드레인 전극층(140)의 전위보다 높은 상태로 1초 이상, 대표적으로는 1분 이상 유지하면 좋다.
이와 같이 게이트 절연층(150) 등의 계면 준위에 원하는 양의 전자를 포획시킨 트랜지스터는, 문턱 전압이 양의 쪽으로 시프트된다. 게이트 전극층(160)의 전압이나, 전압을 인가하는 시간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전자를 포획시키는 양(문턱 전압의 변동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하를 포획시킬 수 있으면, 게이트 절연층(150) 내가 아니어도 된다.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지는 적층막을, 다른 절연층에 사용하여도 좋다.
<<게이트 전극층(160)>>
게이트 전극층(160)에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타이타늄(Ti), 크로뮴(Cr),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이트륨(Y), 지르코늄(Zr), 몰리브데넘(Mo), 루테늄(Ru), 은(Ag), 탄탈럼(Ta) 및 텅스텐(W) 등의 도전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게이트 전극층(160)은, 적층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층(162)은 상기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고, 게이트 전극층(161), 게이트 전극층(163)에는, 상기 재료의 질화물 등, 질소를 포함한 도전막을 사용하여도 좋다.
<<절연층(170)>>
절연층(170)에는, 산소(O), 질소(N), 플루오린(F),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실리콘(Si), 갈륨(Ga), 저마늄(Ge), 이트륨(Y), 지르코늄(Zr), 란타넘(La), 네오디뮴(Nd), 하프늄(Hf), 탄탈럼(Ta), 타이타늄(Ti) 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AlOx), 산화 마그네슘(MgOx), 산화 실리콘(SiOx), 산화 질화 실리콘(SiOxNy), 질화 산화 실리콘(SiNxOy), 질화 실리콘(SiNx), 산화 갈륨(GaOx), 산화 저마늄(GeOx), 산화 이트륨(YOx), 산화 지르코늄(ZrOx), 산화 란타넘(LaOx), 산화 네오디뮴(NdOx), 산화 하프늄(HfOx) 및 산화 탄탈럼(TaOx)을 1종류 이상 포함하는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170)은 상기 재료의 적층이어도 좋다.
절연층(170)에는, 산화 알루미늄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알루미늄막은, 수소, 수분 등의 불순물, 및 산소의 모두에 대하여 막을 투과시키지 않는 차단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산화 알루미늄막은, 트랜지스터의 제작 공정 중 및 제작 후에 있어서, 트랜지스터의 전기 특성의 변동 요인이 되는 수소, 수분 등의 불순물의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으로의 혼입 방지, 주성분 재료인 산소의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으로부터의 방출 방지, 절연층(110)으로부터의 산소의 불필요한 방출 방지의 효과를 가지는 보호막으로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또한, 절연층(170)은, 산소 공급 능력을 가지는 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170)이 되는 제 2 절연막을 성막할 때에, 혼합층이 형성되고, 당해 혼합층 또는 절연층(110)에 산소가 첨가되고, 그 후의 가열 처리에 의하여, 산소가 산화물 반도체 내로 확산되어, 산화물 반도체 내의 산소 결손에 대하여, 산소를 보전할 수 있고, 트랜지스터 특성(예를 들어, 문턱 전압, 신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층(170)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다른 절연층을 가져도 좋다. 예를 들어, 산화 마그네슘, 산화 실리콘, 산화 질화 실리콘, 질화 산화 실리콘, 질화 실리콘, 산화 갈륨, 산화 저마늄, 산화 이트륨, 산화 지르코늄, 산화 란타넘, 산화 네오디뮴, 산화 하프늄 및 산화 탄탈럼을 1종류 이상 포함하는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다. 산소(O), 질소(N), 플루오린(F),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실리콘(Si), 갈륨(Ga), 저마늄(Ge), 이트륨(Y), 지르코늄(Zr), 란타넘(La), 네오디뮴(Nd), 하프늄(Hf), 탄탈럼(Ta), 타이타늄(Ti) 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AlOx), 산화 마그네슘(MgOx), 산화 실리콘(SiOx), 산화 질화 실리콘(SiOxNy), 질화 산화 실리콘(SiNxOy), 질화 실리콘(SiNx), 산화 갈륨(GaOx), 산화 저마늄(GeOx), 산화 이트륨(YOx), 산화 지르코늄(ZrOx), 산화 란타넘(LaOx), 산화 네오디뮴(NdOx), 산화 하프늄(HfOx) 및 산화 탄탈럼(TaOx)을 1종류 이상 포함하는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170)은 상기 재료의 적층이어도 좋다. 절연층(170)은, 화학량론 조성보다 많은 산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절연층으로부터 방출되는 산소는 게이트 절연층(150)을 경유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0)의 채널 형성 영역으로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채널 형성 영역에 형성된 산소 결손에 산소를 보전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된 트랜지스터의 전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절연층(175)>>
절연층(175)에는, 산소(O), 질소(N), 플루오린(F),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실리콘(Si), 갈륨(Ga), 저마늄(Ge), 이트륨(Y), 지르코늄(Zr), 란타넘(La), 네오디뮴(Nd), 하프늄(Hf), 탄탈럼(Ta), 타이타늄(Ti) 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마그네슘(MgOx), 산화 실리콘(SiOx), 산화 질화 실리콘(SiOxNx), 질화 산화 실리콘(SiNxOx), 질화 실리콘(SiNx), 산화 갈륨(GaOx), 산화 저마늄(GeOx), 산화 이트륨(YOx), 산화 지르코늄(ZrOx), 산화 란타넘(LaOx), 산화 네오디뮴(NdOx), 산화 하프늄(HfOx) 및 산화 탄탈럼(TaOx), 산화 알루미늄(AlOx)을 1종류 이상 포함하는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175)은 상기 재료의 적층이어도 좋다. 당해 절연층은, 화학량론 조성보다 많은 산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절연층(175)은, 저유전율의 재료(Low-k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수%의 플루오린(F)을 도입한 산화 실리콘(SiOF), 수%의 탄소(C)를 도입한 산화 실리콘(SiOC), 플루오린화 실리케이트 유리(FSG), 유기 실리케이트 유리(OSG), 수소화실세스퀴옥산(HSQ), 메틸실세스퀴옥산(MSQ), 유기 폴리머, 폴리이미드, 플루오린 수지(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 플루오린을 첨가한 어모퍼스 카본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절연층(175)에, Low-k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트랜지스터(10)의 용량을 더 저감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의 구성에 있어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도 7 내지 도 13에 나타낸 A1-A2 방향은 도 1의 (A), 도 1의 (B)에 나타낸 채널 길이 방향이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13에 나타낸 A3-A4 방향은, 도 1의 (A) 및 도 1의 (C)에 나타낸 채널 폭 방향이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각 층(절연층, 산화물 반도체층, 도전층 등)은, 스퍼터링법, 화학 기상 퇴적(CVD)법, 진공 증착법, 펄스 레이저 퇴적(PLD)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포법이나 인쇄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성막 방법으로서는, 스퍼터링법, 플라스마 화학 기상 퇴적(PECVD)법이 대표적이지만, 열CVD법이어도 좋다. 열CVD법의 예로서, MOCVD(유기 금속 화학 퇴적)법이나 ALD(원자층 성막)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열CVD법>
열CVD법은, 플라스마를 사용하지 않는 성막 방법이기 때문에, 플라스마 대미지에 의하여 결함이 생성되는 일이 없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열CVD법에서는, 원료 가스와 산화제를 동시에 체임버 내로 공급하고, 체임버 내를 대기압 또는 감압하로 하고, 기판 근방 또는 기판 위에서 반응시켜 기판 위에 퇴적시킴으로써 성막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MOCVD법이나 ALD법 등의 열CVD법은, 여기까지 기재한 실시형태에 개시된 금속막, 반도체막, 무기 절연막 등 다양한 막을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In-Ga-Zn-O막을 성막하는 경우에는, 트라이메틸인듐, 트라이메틸갈륨, 및 다이메틸아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트라이메틸인듐의 화학식은, In(CH3)3이다. 또한, 트라이메틸갈륨의 화학식은, Ga(CH3)3이다. 또한, 다이메틸아연의 화학식은, Zn(CH3)2이다. 또한, 이들 조합에 한정되지 않고, 트라이메틸갈륨 대신에 트라이에틸갈륨(화학식 Ga(C2H5)3)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이메틸아연 대신에 다이에틸아연(화학식 Zn(C2H5)2)을 사용할 수도 있다.
<ALD법>
종래의 CVD법을 이용한 성막 장치는, 성막 시에, 반응을 위한 원료 가스(전구체)의 1종류 또는 복수 종류가 체임버에 동시에 공급된다. ALD법을 이용한 성막 장치는, 반응을 위한 전구체가 순차적으로 체임버에 도입되고, 그 가스 도입의 순서를 반복함으로써 성막을 행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스위칭 밸브(고속 밸브라고도 부름)를 전환하여 2종류 이상의 전구체를 순차적으로 체임버에 공급하고, 복수 종류의 전구체가 섞이지 않도록 제 1 전구체 다음에 불활성 가스(아르곤 또는 질소 등) 등을 도입하고, 제 2 전구체를 도입한다. 또한, 불활성 가스를 도입하는 대신 진공 배기에 의하여 제 1 전구체를 배출한 후, 제 2 전구체를 도입할 수 있다.
도 5의 (A), (B), (C), (D)에 ALD법의 성막 과정을 도시하였다. 제 1 전구체(601)가 기판 표면에 흡착되어(도 5의 (A) 참조), 제 1 단일층이 성막된다(도 5의 (B) 참조). 이때, 전구체 내에 함유되는 금속 원자 등이 기판 표면에 존재하는 수산기와 결합될 수 있다. 금속 원자에는 메틸기나 에틸기 등의 알킬기가 결합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전구체(601)를 배기한 후에 도입되는 제 2 전구체(602)와 반응하여(도 5의 (C) 참조), 제 2 단일층이 제 1 단일층 위에 적층되어 박막이 형성된다(도 5의 (D) 참조). 예를 들어, 제 2 전구체로서 산화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전구체 내에 존재하는 금속 원자 또는 금속 원자와 결합한 알킬기와, 산화제 사이에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 산화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구체에 수소를 가지는 가스가 사용되어 있으면, 환원 반응에 의하여 금속막을 형성할 수 있다.
ALD법은 표면 화학 반응에 기초한 성막 방법으로, 전구체가 피성막 표면에 흡착되고, 자기 정지 기구가 작용함으로써, 1층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트라이메틸 알루미늄과 같은 전구체와 당해 피성막 표면에 존재하는 수산기(OH기)가 반응한다. 이때, 열에 의한 표면 반응만이 일어나기 때문에, 전구체가 당해 피성막 표면과 접촉하여, 열 에너지에 의하여 당해 피성막 표면에 전구체 내의 금속 원자 등이 흡착될 수 있다. 또한, 전구체는, 높은 습기압을 가지고, 성막 전의 단계에서는 열적으로 안정되어 있어 자기 분해하지 않고, 기판에 대한 화학 흡착이 빠른 등의 특징을 가진다. 또한, 전구체는 가스로서 도입되기 때문에, 번갈아 도입되는 전구체가 충분히 확산될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면, 고애스펙트비의 요철을 가지는 영역에도, 피복성 좋게 성막할 수 있다.
또한, ALD법에 있어서는, 가스 도입 순서를 제어하면서, 원하는 두께가 될 때까지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단차 피복성이 우수한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박막의 두께는, 반복하는 횟수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한 막 두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배기 능력을 높임으로써 성막 속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막 내의 불순물 농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ALD법에는, 열을 사용한 ALD법(열ALD법), 플라스마를 사용한 ALD법(플라스마 ALD법)이 있다. 열ALD법은,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전구체의 반응을 행하는 것이고, 플라스마 ALD법은 전구체의 반응을 라디칼의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다.
ALD법은, 매우 얇은 막을 정밀도 좋게 성막할 수 있다. 요철을 가지는 면에 대해서도, 표면 피복률이 높고, 막 밀도가 높다.
<플라스마 ALD>
또한, 플라스마 ALD법에 의하여 성막함으로써, 열을 사용한 ALD법(열ALD법)에 비하여 더 저온에서의 성막이 가능해진다. 플라스마 ALD법은, 예를 들어, 100 이하에서도 성막 속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성막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마 ALD법에서는, N2를 플라스마에 의하여 라디칼화할 수 있기 때문에, 산화물뿐만 아니라 질화물을 성막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마 ALD에서는, 산화제의 산화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ALD로 막 형성을 행하는 경우에 막 내에 잔류하는 전구체, 또는 전구체에서 이탈된 유기 성분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막 내의 탄소, 염소, 수소 등을 저감할 수 있고, 불순물 농도가 낮은 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플라스마 ALD를 행하는 경우에는, 라디칼 종을 발생시키고,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등과 같이 기판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로 플라스마를 발생시킬 수도 있고, 기판 또는 당해 보호막이 형성되는 막에 대한 플라스마 대미지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플라스마 ALD법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성막 방법에 비하여, 프로세스 온도를 낮출 수 있고, 또한 표면 피복률을 높일 수 있고, 당해 막을 성막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외부로부터의 물, 수소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특성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LD 장치에 관한 설명>
도 6의 (A)에 ALD법을 이용한 성막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ALD법을 이용한 성막 장치는, 성막실(체임버(1701))과, 원료 공급부(1711a), 원료 공급부(1711b)와, 유량 제어기인 고속 밸브(1712a), 고속 밸브(1712b)와, 원료 도입구(1713a), 원료 도입구(1713b)와, 원료 배출구(1714)와, 배기 장치(1715)를 가진다. 체임버(1701) 내에 설치되는 원료 도입구(1713a, 1713b)는 공급관이나 밸브를 통하여 원료 공급부(1711a, 1711b)와 각각 접속되어 있고, 원료 배출구(1714)는, 배출관이나 밸브나 압력 조정기를 통하여 배기 장치(1715)와 접속되어 있다.
체임버 내부에는 히터를 구비한 기판 홀더(1716)가 있고, 그 기판 홀더 위에 피성막 기판(1700)을 배치한다.
원료 공급부(1711a), 원료 공급부(1711b)에서는, 기화기나 가열 수단 등에 의하여 고체의 원료나 액체의 원료로부터 원료 가스를 형성한다. 또는, 원료 공급부(1711a), 원료 공급부(1711b)는, 기체의 원료 가스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원료 공급부(1711a), 원료 공급부(1711b)를 2개 제공한 예를 도시하였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고속 밸브(1712a), 고속 밸브(1712b)는 시간에 의하여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원료 가스와 불활성 가스의 어느 한쪽을 공급하는 구성이 되어 있다. 고속 밸브(1712a, 1712b)는 원료 가스의 유량 제어기이고, 또한 불활성 가스의 유량 제어기라고도 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성막 장치에서는, 피성막 기판(1700)을 기판 홀더(1716) 위로 반입하고, 체임버(1701)를 밀폐 상태로 한 후, 기판 홀더(1716)의 히터 가열에 의하여 피성막 기판(1700)을 원하는 온도(예를 들어, 100 이상 또는 150 이상)로 하고, 원료 가스의 공급과, 배기 장치(1715)에 의한 배기와, 불활성 가스의 공급과, 배기 장치(1715)에 의한 배기를 반복함으로써 박막을 기판 표면에 형성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성막 장치에서는, 원료 공급부(1711a), 원료 공급부(1711b)에 준비하는 원료(휘발성 유기 금속 화합물 등)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하프늄(Hf), 알루미늄(Al), 탄탈럼(Ta), 지르코늄(Zr) 등 중에서 선택된 1종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복합 산화물도 포함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연층을 성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화 하프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연층, 산화 알루미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연층, 하프늄 실리케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연층, 또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연층 등을 성막할 수 있다. 또한, 원료 공급부(1711a), 원료 공급부(1711b)에 준비하는 원료(휘발성 유기 금속 화합물 등)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텅스텐층, 타이타늄층 등의 금속층이나, 질화 타이타늄층 등의 질화물층 등의 박막을 성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LD법을 이용한 성막 장치에 의하여 산화 하프늄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용매와 하프늄 전구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체(하프늄 알콕사이드나, 테트라키스다이메틸아마이드 하프늄(TDMAH) 등의 하프늄 아마이드)를 기화시킨 원료 가스와, 산화제로서 오존(O3)의 2종류의 가스를 사용한다. 이 경우, 원료 공급부(1711a)로부터 공급하는 제 1 원료 가스가 TDMAH이고, 원료 공급부(1711b)로부터 공급하는 제 2 원료 가스가 오존이 된다. 또한, 테트라키스다이메틸아마이드 하프늄의 화학식은 Hf[N(CH3)2]4이다. 또한, 다른 재료로서는, 테트라키스(에틸메틸아마이드) 하프늄 등이 있다. 또한, 질소는 전하 포획 준위를 소실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원료 가스가 질소를 포함함으로써, 전하 포획 준위 밀도가 낮은 산화 하프늄을 성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LD법을 이용한 성막 장치에 의하여 산화 알루미늄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용매와 알루미늄 전구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체(TMA 등)를 기화시킨 원료 가스와, 산화제로서 H2O의 2종류의 가스를 사용한다. 이 경우, 원료 공급부(1711a)로부터 공급하는 제 1 원료 가스가 TMA이고, 원료 공급부(1711b)로부터 공급하는 제 2 원료 가스가 H2O가 된다. 또한, 트라이메틸알루미늄의 화학식은 Al(CH3)3이다. 또한, 다른 재료액으로서는, 트리스(다이메틸아마이드) 알루미늄, 트라이아이소뷰틸 알루미늄, 알루미늄트리스(2,2,6,6-테트라메틸-3,5-헵테인다이오네이트) 등이 있다.
예를 들어, ALD를 이용한 성막 장치에 의하여 산화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헥사클로로다이실레인을 피성막면에 흡착시키고, 흡착물에 포함되는 염소를 제거하고, 산화성 가스(O2, 일산화 이질소)의 라디칼을 공급하여 흡착물과 반응시킨다.
예를 들어, ALD를 이용한 성막 장치에 의하여 텅스텐막을 성막하는 경우에는, WF6 가스와 B2H6 가스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도입하여 초기 텅스텐막을 형성하고, 그 후 WF6 가스와 H2 가스를 동시에 도입하여 텅스텐막을 형성한다. 또한, B2H6 가스 대신에 SiH4 가스를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ALD를 이용한 성막 장치에 의하여 산화물 반도체막, 예를 들어In-Ga-Zn-O막을 성막하는 경우에는, In(CH3)3 가스와 O3 가스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도입하여 In-O층을 형성하고, 그 후 Ga(CH3)3 가스와 O3 가스를 동시에 도입하여 GaO층을 형성하고, 그 후 Zn(CH3)2와 O3 가스를 동시에 도입하여 ZnO층을 형성한다. 또한, 이들 층의 순서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가스를 섞어서 In-Ga-O층이나 In-Zn-O층, Ga-Zn-O층 등의 혼합 화합물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O3 가스 대신에 Ar 등의 불활성 가스로 버블링하여 얻어진 H2O 가스를 사용하여도 좋지만, H를 포함하지 않는 O3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In(CH3)3 가스 대신에 In(C2H5)3 가스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Ga(CH3)3 가스 대신에 Ga(C2H5)3 가스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Zn(CH3)2 가스를 사용하여도 좋다.
<<멀티 체임버 성막 장치>>
또한, 도 6의 (A)에 도시된 성막 장치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멀티 체임버의 제조 장치의 일례를 도 6의 (B)에 도시하였다.
도 6의 (B)에 도시된 제조 장치는, 적층막을 대기에 접촉시키지 않고 연속 성막할 수 있고, 불순물의 혼입 방지나 스루풋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제조 장치는, 로드실(1702), 반송실(1720), 전처리실(1703), 성막실인 체임버(1701), 언로드실(1706)을 적어도 가진다. 또한, 제조 장치의 체임버(로드실, 처리실, 반송실, 성막실, 언로드실 등을 포함함)는, 수분의 부착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슬점이 관리된 불활성 가스(질소 가스 등)를 충전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감압을 유지시킨다.
또한, 체임버(1704, 1705)는, 체임버(1701)와 같은 ALD법을 이용한 성막 장치로 하여도 좋고, 플라스마 CVD법을 이용한 성막 장치로 하여도 좋고, 스퍼터링법을 이용한 성막 장치로 하여도 좋고, 유기 금속 기상 성장법(MOCVD: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한 성막 장치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체임버(1704)는 플라스마 CVD법을 이용한 성막 장치로 하고, 체임버(1705)는 MOCVD법을 이용한 성막 장치로 하고, 적층막을 성막하는 일례를 이하에서 나타낸다.
도 6의 (B)에서는 반송실(1720)의 상면도가 육각형인 예를 도시하였지만, 적층막의 층 수에 따라, 그 이상의 다각형으로 하여 더 많은 체임버와 연결시킨 제조 장치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6의 (B)에서는 기판의 상면 형상을 구형(矩形)으로 나타내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6의 (B)에서는 매엽식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복수개의 기판을 한번에 성막하는 배치식의 성막 장치로 하여도 좋다.
<절연층(110)의 형성>
먼저, 기판(100) 위에 절연층(110)을 성막한다. 절연층(110)은, 플라스마 CVD법, 열CVD법(MOCVD법, ALD법), 또는 스퍼터링법 등에 의하여,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산화 실리콘, 산화 질화 실리콘, 산화 갈륨, 산화 저마늄, 산화 이트륨, 산화 지르코늄, 산화 란타넘, 산화 네오디뮴, 산화 하프늄 및 산화 탄탈럼 등의 산화물 절연막, 질화 실리콘, 질화 산화 실리콘, 질화 알루미늄, 질화 산화 알루미늄 등의 질화물 절연막, 또는 이들의 혼합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료의 적층이어도 좋고, 적어도 후에 산화물 반도체층(121)이 되는 제 1 산화물 반도체막과 접촉하는 적층의 상층은 산화물 반도체층(122)으로의 산소의 공급원이 될 수 있는 과잉의 산소를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절연층(110)으로서 플라스마 CVD법에 의하여 두께 100nm의 산화 질화 실리콘막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가열 처리를 행하여, 절연층(110)에 포함되는 물, 수소 등을 이탈시켜도 좋다. 이 결과, 절연층(110)에 포함되는 물, 수소 등의 농도를 저감할 수 있고, 가열 처리에 의하여, 후에 형성되는 제 1 산화물 반도체막으로의 물, 수소 등의 확산량을 저감할 수 있다.
<제 1 산화물 반도체막,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의 형성>
이어서, 절연층(110) 위에 후에 산화물 반도체층(121)이 되는 제 1 산화물 반도체막, 후에 산화물 반도체층(122)이 되는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을 성막한다. 제 1 산화물 반도체막,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은, 스퍼터링법, MOCVD법, PLD법 등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고, 스퍼터링법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스퍼터링법으로서는, RF 스퍼터링법, DC 스퍼터링법, AC 스퍼터링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퍼터링법에 있어서, 대향 타깃 방식(대향 전극 방식, 기상 스퍼터링 방식, VDSP(Vapor Deposition Spattering) 방식이라고도 함)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성막 시의 플라스마 대미지를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산화물 반도체막을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 스퍼터링 장치에서의 각 체임버는, 산화물 반도체에서 불순물이 되는 물 등을 가능한 한 제거하기 위하여, 크라이오펌프(cryopump)와 같은 흡착식의 진공 배기 펌프를 사용하여 고진공화(5×10-7Pa 내지 1×10-4Pa정도까지)할 수 있는 것, 또한 성막되는 기판을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터보 분자 펌프와 콜드 트랩을 조합하여 배기계로부터 체임버 내로 탄소 성분이나 수분 등을 포함하는 기체가 역류하지 않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터보 분자 펌프와 크라이오펌프를 조합한 배기계를 사용하여도 좋다.
고순도 진성 산화물 반도체를 얻기 위해서는, 체임버 내를 고진공 배기할 뿐만 아니라 스퍼터링 가스의 고순도화도 필요하다. 스퍼터링 가스로서 사용하는 산소 가스나 아르곤 가스는, 이슬점이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까지 고순도화한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산화물 반도체막에 수분 등이 들어가는 것을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
스퍼터링 가스는, 희가스(대표적으로는 아르곤), 산소, 희가스 및 산소의 혼합 가스를 적절히 사용한다. 또한, 희가스 및 산소의 혼합 가스의 경우, 희가스에 대하여 산소의 가스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막을 형성할 때에, 예를 들어, 스퍼터링법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 온도를 150 이상 7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45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420 이하로 하여, 산화물 반도체막을 성막함으로써, CAAC-OS막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산화물 반도체막은, 제 2 산화물 반도체막보다 전자 친화력이 작아지도록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은, 제 1 산화물 반도체막, 제 3 산화물 반도체막보다 인듐의 함유량을 많이 가져도 좋다. 산화물 반도체에서는 주로 중금속의 s궤도가 캐리어 전도에 기여하고 있고, In의 함유율을 많게 하는 것에 의하여, 더 많은 s궤도가 중첩되기 때문에, In이 Ga보다 많은 조성이 되는 산화물은 In이 Ga와 동등하거나 또는 적은 조성이 되는 산화물과 비교하여 이동도가 높아진다. 그러므로, 산화물 반도체층(122)에 인듐의 함유량이 많은 산화물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이동도의 트랜지스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산화물 반도체막,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에 있어서, 예를 들어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성막하는 경우, 멀티 체임버 방식의 스퍼터링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제 1 산화물 반도체막과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을 대기에 노출시키지 않고 연속 성막할 수 있다. 그 경우, 제 1 산화물 반도체막과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의 계면에는 불필요한 불순물 등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계면 준위를 저감할 수 있다. 이 결과, 트랜지스터의 전기 특성, 특히 신뢰성 시험에 있어서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산소를 첨가한 제 1 산화물 반도체막에 있어서 산소 첨가 시에 당해 산화물 반도체막 내에 대미지가 있는 경우에, 산화물 반도체층(122)이 있음으로써 주요 전도 패스가 되는 산화물 반도체층(123)을 대미지부에서 떨어져 있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트랜지스터의 전기 특성, 특히 신뢰성 시험에 있어서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산화물 반도체막으로서,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In:Ga:Zn=1:3:4(원자수비)의 타깃을 사용하여 두께 20nm로 성막한 산화물 반도체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으로서,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In:Ga:Zn=1:1:1(원자수비)의 타깃을 사용하여 두께 15nm로 성막한 산화물 반도체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산화물 반도체막, 제 2 산화물 반도체막 성막 후의 가열 처리에 의하여,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의 산소 결손량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가열 처리를 행하여, 산소의 일부를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으로 이동시켜,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의 산소 결손을 저감시킬 수 있다. 산소 결손이 저감된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을,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으로 한다. 또한, 이때, 제 1 산화물 반도체막의 산소 결손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가열 처리에 의하여 산소가 첨가된 제 1 산화물 반도체막 및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에 포함되는 수소, 물 등을 이탈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산소가 첨가된 제 1 산화물 반도체막,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에 포함되는 불순물의 함유량을 저감할 수 있다.
제 1 가열 처리의 온도는, 250 이상 기판의 변형점 미만,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65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50 이상 550 이하로 한다.
제 1 가열 처리는, 헬륨, 네온, 아르곤, 제논, 크립톤 등의 희가스, 또는 질소를 포함하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행한다. 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가열한 후, 산소 분위기 또는 건조 공기(이슬점이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인 공기) 분위기에서 가열하여도 좋다. 또는 감압 상태에서 행하면 좋다. 또한, 상기 건조 공기 외에, 불활성 가스 및 산소 가스에 수소, 물 등이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표적으로는 이슬점이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 시간은 3분에서 24시간으로 한다.
또한, 제 1 가열 처리에 있어서, 전기로 대신에, 저항 발열체 등의 발열체로부터의 열 전도 또는 열 복사에 의하여, 피처리물을 가열하는 장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GRTA(Gas Rapid Thermal Anneal) 장치, LRTA(Lamp Rapid Thermal Anneal) 장치 등의 RTA(Rapid Thermal Anneal)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LRTA 장치는, 할로젠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제논 아크 램프, 카본 아크 램프, 고압 나트륨 램프, 고압 수은 램프 등의 램프로부터 발하는 광(전자파)의 복사에 의하여, 피처리물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GRTA 장치는, 고온의 가스를 사용하여 제 1 가열 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고온의 가스에는, 아르곤 등의 희가스, 또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가 사용된다.
또한, 제 1 가열 처리는, 후술하는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을 형성하는 에칭 후에 행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질소 분위기에 있어서, 450에서 1시간의 가열 처리를 행한 후, 산소 분위기에 있어서, 450에서 1시간의 가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상의 공정에 의하여, 산화물 반도체막의 산소 결손의 저감, 또한 수소, 물 등의 불순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국재 준위 밀도가 저감된 산화물 반도체막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도전막의 형성>
다음에, 산화물 반도체층(123) 위에 소스 전극층(130), 드레인 전극층(140)이 되는 제 1 도전막을 형성한다. 제 1 도전막은, 스퍼터링법, 화학 기상 퇴적(CVD)법(유기 금속 화학 퇴적(MOCVD)법, 메탈 화학 기상 퇴적법, 원자층 성막(ALD)법 또는 플라스마 화학 기상 퇴적(PECVD)법을 포함함), 증착법, 펄스 레이저 퇴적(PLD)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 1 도전막의 재료는, 구리(Cu), 텅스텐(W), 몰리브데넘(Mo), 금(Au), 알루미늄(Al), 망가니즈(Mn), 타이타늄(Ti), 탄탈럼(Ta), 니켈(Ni), 크로뮴(Cr), 납(Pb), 주석(Sn), 철(Fe), 코발트(Co), 루테늄(Ru), 백금(Pt), 이리듐(Ir), 스트론튬(Sr)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체, 또는 합금,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도전막의 단층 또는 적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적층하는 경우에, 산화물 반도체층(122)과 접촉하는 아래쪽 도전층은 산소와 결합되기 쉬운 재료를 가지고, 위쪽 도전층에는 내산화성이 강한 재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내열성과 도전성을 양립하는 텅스텐(W)이나 몰리브데넘(Mo) 등의 고융점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Al)이나 구리(Cu) 등의 저저항 도전성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u-Mn 합금을 사용하면, 산소를 포함하는 절연체와의 계면에 산화 망가니즈를 포함하는 막이 형성되고, 산화 망가니즈가 Cu의 확산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두께 20 내지 100nm의 텅스텐막을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제 1 도전막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후의 공정에서 제 1 도전막을 가공하여 형성되는 도전층(130b)은, 이 후의 공정에 있어서, 하드 마스크로서의 기능과, 소스 전극층, 드레인 전극층의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추가의 성막 공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반도체 제조 공정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형성>
다음에, 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하여 레지스트 마스크를 형성하고, 당해 레지스트 마스크를 사용하여, 제 1 도전막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도전층(130b)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전층(130b) 위의 레지스트를 제거한 후, 도전층(130b)을 하드 마스크로 하여, 제 2 산화물 반도체막, 제 1 산화물 반도체막을 각각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2), 산화물 반도체층(121)을 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에칭 방법으로서는, 드라이 에칭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전층(130b)을 하드 마스크로서 사용하여 산화물 반도체층을 에칭함으로써, 레지스트 마스크에 비하여 에칭한 후의 산화물 반도체층의 에지 거칠기를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칭 가스로서, 메테인 가스, 아르곤 가스를 사용하여, 레지스트 마스크 및 하드 마스크를 사용하여 제 1 산화물 반도체막,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을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것에 의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절연막의 성막>
다음에, 절연층(110), 도전층(130b) 위에 제 2 절연막을 성막한다.
제 2 절연막, 제 3 절연막은, 플라스마 CVD법, 열CVD법(MOCVD법, ALD법), 또는 스퍼터링법 등에 의하여,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SiOx), 산화 마그네슘(MgOx), 산화 실리콘(SiOx), 산화 질화 실리콘(SiOxNy), 산화 갈륨(GaOx), 산화 저마늄(GeOx), 산화 이트륨(YOx), 산화 지르코늄(ZrOx), 산화 란타넘(LaOx), 산화 네오디뮴(NdOx), 산화 하프늄(HfOx) 및 산화 탄탈럼(TaOx) 등의 산화물 절연막, 질화 실리콘(SiNx), 질화 산화 실리콘(SiNxOy), 질화 알루미늄(AlNx), 질화 산화 알루미늄(AlNxOy) 등의 질화물 절연막, 또는 이들의 혼합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료의 적층이어도 좋다.
또한, 제 2 절연막으로서는,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산화 알루미늄막을 성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퍼터링용 타깃으로서, 산화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막 시에 사용하는 가스로서, 산소 가스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산화 알루미늄막을 성막할 때에, 절연층(110)과의 계면에 혼합층(171)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2 절연막 성막 시에 사용하는 산소 가스는, 스퍼터링법에 의한 성막 시에 인가된 전압, 전력, 플라스마, 기판 온도 등의 영향에 의하여, 산소 라디칼, 산소 이온, 산소 원자 등, 다양한 상태로 존재하고, 또한 안정적인 상태에 비하여 에너지가 높은 상태를 가진다. 이때, 산소(과잉 산소, exO라고 함)(172)가 절연층(110), 또는 혼합층(171) 내에 첨가된다(도 8 참조).
다음에, 제 2 가열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제 2 가열 처리는, 대표적으로는, 150 이상 기판의 변형점 미만,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 5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450 이하로 할 수 있다. 당해 가열 처리에 의하여, 절연층(110), 당해 혼합층에 첨가된 산소(172)가 확산되어, 산화물 반도체층(122)까지 이동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2) 내에 존재하는 산소 결손에 대하여 산소를 보전할 수 있다(도 9 참조).
예를 들어,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산화 알루미늄(AlOx) 타깃을 사용하여, 스퍼터링 시의 가스로서 산소 가스를 50체적% 함유시켜, 제 2 절연막을 성막할 수 있다. 두께는 20nm 내지 40nm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 가열 처리로서, 산소 분위기하 400에서 1시간 처리할 수 있다.
<산소의 첨가>
또한, 트랜지스터(10)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산소를 첨가하는 처리를 별도로 행하여도 좋다. 당해 산소를 첨가하는 처리는, 절연층(110)에 행하여도 좋고, 제 1 산화물 반도체막, 후술하는 제 3 산화물 반도체막(123a)에 대하여 행하여도 좋다. 첨가하는 산소로서, 산소 라디칼, 산소 원자, 산소 원자 이온, 산소 분자 이온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또한, 산소를 첨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이온 도핑법, 이온 주입법, 플라스마 침지 이온 주입법 등이 있다.
또한, 산소를 첨가하는 방법으로서 이온 주입법을 사용하는 경우, 산소 원자 이온을 사용하여도 좋고, 산소 분자 이온을 사용하여도 좋다. 산소 분자 이온을 사용하면, 첨가되는 막에 대한 대미지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소 분자 이온은, 당해 산소가 첨가되는 막 표면에 있어서 분리하여, 산소 원자 이온이 되어 첨가된다. 산소 분자에서 산소 원자로 분리하는 데 에너지가 사용되기 때문에, 산소 분자 이온을 당해 산소가 첨가되는 막에 첨가한 경우의 산소 원자 이온당 에너지는, 산소 원자 이온을 당해 산소가 첨가되는 막에 첨가한 경우와 비교하여 낮다. 이 때문에, 당해 산소가 첨가되는 막에 대한 대미지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산소 분자 이온을 주입하는 경우는, 산소 원자 이온을 주입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산소 원자 이온당 에너지가 낮다. 이 때문에, 산소 분자 이온을 사용하여 주입함으로써, 가속 전압을 높일 수 있고, 스루풋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산소 분자 이온을 사용하여 주입함으로써, 산소 원자 이온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같은 양의 산소 원자 이온을 첨가하기 위한 도즈양을 반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제조 공정의 스루풋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당해 산소가 첨가되는 막에 산소를 첨가하는 경우, 당해 산소가 첨가되는 막에 산소 원자 이온의 농도 프로파일의 피크가 위치하는 조건을 사용하여, 당해 산소가 첨가되는 막에 산소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과, 산소 원자 이온을 주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주입 시의 가속 전압을 낮출 수 있고, 당해 산소가 첨가되는 막의 대미지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당해 산소가 첨가되는 막의 결함량을 저감할 수 있고, 트랜지스터의 전기 특성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당해 산소가 첨가되는 막에 대한 대미지를 저감할 수 있고, 트랜지스터의 전기 특성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산소를 가지는 분위기에서 발생시킨 플라스마에 당해 산소가 첨가되는 막을 노출시키는 플라스마 처리(플라스마 침지 이온 주입법)에 의하여, 당해 산소가 첨가되는 막에 산소를 첨가하여도 좋다. 산소를 가지는 분위기로서는, 산소, 오존, 일산화 이질소, 이산화 질소 등의 산화성 기체를 가지는 분위기가 있다. 또한, 기판(100) 쪽에 바이어스를 인가한 상태에서 발생한 플라스마에 당해 산소가 첨가되는 막을 노출시킴으로써, 당해 산소가 첨가되는 막에 대한 산소 첨가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플라스마 처리를 행하는 장치의 일례로서, 애싱 장치가 있다.
예를 들어, 가속 전압을 5kV로 하고, 도즈양이 1×1016/cm2의 산소 분자 이온을 이온 주입법에 의하여 제 1 산화물 반도체막에 첨가할 수 있다.
이상의 공정, 및 후의 가열 처리를 조합하여 처리함으로써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산소 결손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산소가 첨가된 막은, 산소가 첨가되기 전의 막과 비교하여, 막 밀도가 낮아진다.
<제 3 절연막의 성막>
다음에, 제 2 절연막 위에 제 3 절연막을 성막한다. 제 3 절연막은, 플라스마 CVD법, 열CVD법(MOCVD법, ALD법), 스퍼터링법, 또는 스핀 코팅법 등에 의하여,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SiOx), 산화 마그네슘(MgOx), 산화 실리콘(SiOx), 산화 질화 실리콘(SiOxNy), 산화 갈륨(GaOx), 산화 저마늄(GeOx), 산화 이트륨(YOx), 산화 지르코늄(ZrOx), 산화 란타넘(LaOx), 산화 네오디뮴(NdOx), 산화 하프늄(HfOx) 및 산화 탄탈럼(TaOx) 등의 산화물 절연막, 질화 실리콘(SiNx), 질화 산화 실리콘(SiNxOy), 질화 알루미늄(AlNx), 질화 산화 알루미늄(AlNxOy) 등의 질화물 절연막, 또는 이들의 혼합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료의 적층이어도 좋다.
또는, 제 3 절연막은, 저유전율의 재료(Low-k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수%의 플루오린(F)을 도입한 산화 실리콘(SiOF), 수%의 탄소(C)를 도입한 산화 실리콘(SiOC), 플루오린화 실리케이트 유리(FSG), 유기 실리케이트 유리(OSG), 수소화실세스퀴옥산(HSQ), 메틸실세스퀴옥산(MSQ), 유기 폴리머, 플루오린 수지(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이미드, 플루오린을 첨가한 어모퍼스 카본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가열 처리는, 제 3 절연막 성막 후에 행하여도 좋다.
<제 3 절연막의 평탄화>
다음에, 제 3 절연막의 평탄화 처리를 행하여, 절연층(175b)을 형성한다. 평탄화 처리는,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법, 드라이 에칭법, 리플로법 등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CMP법을 사용하여 평탄화하는 경우에는, 제 3 절연막 위에 제 3 절연막과 조성이 상이한 막을 도입하는 것에 의하여, CMP 처리 후의 기판 면내의 절연층(175)의 막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가열 처리는, 제 3 절연막을 평탄화한 후에 행하여도 좋다.
<홈부의 형성, 및 소스 전극층(130), 게이트 절연층(150)의 형성>
다음에, 절연층(175b) 위에 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하여 레지스트 마스크(176)를 형성한다(도 10 참조). 또한, 절연층(175b) 위에 유기막을 도포하고 나서, 또는 레지스트 위에 유기막을 도포하고 나서 리소그래피 공정을 행하여도 좋다. 당해 유기막은,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메틸에터, 유산 에틸 등을 가지고, 노광 시의 반사 방지막(BARC, Bottom Anti Reflective Coating)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외에, 레지스트와 막의 밀착성의 향상, 해상성의 향상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채널 길이가 매우 짧은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소스 전극층(130), 드레인 전극층(140)이 되는 도전층(130b)을 분단하는 영역에 있어서, 전자빔 노광, 액침 노광, EUV 노광 등의 세선 가공에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레지스트 마스크 가공을 행하고, 에칭 공정에 의하여 당해 영역을 에칭하면 좋다. 또한, 전자빔 노광으로 레지스트 마스크를 형성하는 경우, 당해 레지스트 마스크로서는, 포지티브형 레지스트를 사용하면, 노광 영역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고,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채널 길이를 100nm 이하, 나아가서는 30nm 이하로 하는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매우 파장이 짧은 광(예를 들어, 극단 자외광(EUV: Extreme Ultra- violet))이나, X선 등을 사용한 노광 기술에 의하여 미세한 가공을 행하여도 좋다.
당해 레지스트 마스크를 사용하여, 절연층(175b)에 드라이 에칭법에 의하여 홈 가공 처리를 행한다. 선택적으로 에칭 처리가 진행함으로써, 절연층(175)에 홈부(174)가 형성된다.
이어서, 노출시킨 도전층(130b)을 분단하는 식으로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소스 전극층(130), 드레인 전극층(140)을 형성할 수 있다(도 11 참조).
또한, 소스 전극층(130), 드레인 전극층(140)을 형성한 후, 에칭 잔사를 제거하기 위하여, 세정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이 세정 처리를 행함으로써, 소스 전극층(130), 드레인 전극층(140)의 단락을 억제할 수 있다. 당해 세정 처리는, TMAH(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용액 등의 알칼리성의 용액, 희석한 플루오린화 수소산, 옥살산, 인산 등의 산성의 용액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세정 처리에 의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일부가 에칭되어, 산화물 반도체층(122)에 오목부가 형성된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 소스 전극층(130), 드레인 전극층(140)의 형성 순서에 대해서는,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전극층(130),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홈부(174)를 먼저 제공하고 나서,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을 형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제 2 절연막으로서 형성한 산화 질화 실리콘막을 평탄화 후, 당해 산화 질화 실리콘막 위에 레지스트 마스크를 형성하고, 당해 레지스트 마스크와, 탄소, 플루오린을 가지는 가스를 사용하여 드라이 에칭하는 것에 의하여 산화 질화 실리콘의 개구 처리를 행하고, 염소, 플루오린계의 가스를 사용하여 도전층(130b)을 드라이 에칭하는 것에 의하여, 소스 전극층(130), 드레인 전극층(140)을 형성할 수 있다.
<제 3 산화물 반도체막(123a)의 형성>
다음에, 산화물 반도체층(122), 절연층(175) 위에 산화물 반도체층(123)으로서 사용되는 제 3 산화물 반도체막(123a)을 성막한다. 제 3 산화물 반도체막(123a)은, 제 1 산화물 반도체막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성막할 수 있고, 제 3 산화물 반도체막(123a)은, 제 2 산화물 반도체막보다 전자 친화력이 작아지도록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산화물 반도체막(123a)으로서,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In:Ga:Zn=1:3:2(원자수비)의 타깃을 사용하여 두께 5nm로 성막한 산화물 반도체막을 사용할 수 있다.
<절연막(150a)의 형성>
다음에, 산화물 반도체막(123a) 위에 게이트 절연층(150)이 되는 제 4 절연막(150a)을 형성한다. 제 4 절연막(150a)에는,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AlOx), 산화 마그네슘(MgOx), 산화 실리콘(SiOx), 산화 질화 실리콘(SiOxNy), 질화 산화 실리콘, 질화 실리콘, 산화 갈륨, 산화 저마늄, 산화 이트륨, 산화 지르코늄, 산화 란타넘, 산화 네오디뮴, 산화 하프늄 및 산화 탄탈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4 절연막(150a)은, 상기 재료의 적층이어도 좋다. 제 4 절연막(150a)은, 스퍼터링법, CVD법(플라스마 CVD법, MOCVD법, ALD법 등), MBE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4 절연막(150a)은, 절연층(110)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적절히 사용하여 절연막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절연막(150a)으로서 플라스마 CVD법에 의하여 산화 질화 실리콘을 10nm로 형성할 수 있다.
<도전막(160a)의 형성>
다음에, 제 4 절연막(150a) 위에 게이트 전극층(160)이 되는 제 2 도전막(160a)을 성막한다(도 12 참조). 제 2 도전막(160a)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타이타늄(Ti), 크로뮴(Cr),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이트륨(Y), 지르코늄(Zr), 몰리브데넘(Mo), 루테늄(Ru), 은(Ag), 금(Au), 백금(Pt), 탄탈럼(Ta), 텅스텐(W),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 2 도전막(160a)은, 스퍼터링법이나 CVD법(플라스마 CVD법, MOCVD법, ALD법 등), MBE법, 증착법, 도금법 등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도전막(160a)으로서는, 질소를 포함한 도전막을 사용하여도 좋고, 상기 도전막과 질소를 포함한 도전막의 적층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제 2 도전막(160a)은, 단층이어도 좋고, 적층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도전막(160a)으로서 ALD법에 의하여 질화 타이타늄을 10nm, 텅스텐을 메탈 CVD법에 의하여 150nm 적층한 구조로 할 수 있다.
<평탄화 처리>
다음에, 평탄화 처리를 행한다. 평탄화 처리는, CMP법, 드라이 에칭법 등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평탄화 처리는, 제 3 절연막(150a)이 노출된 시점에서 종료하여도 좋고, 제 3 산화물 반도체막(123a)이 노출된 시점에서 종료하여도 좋고, 절연층(175)이 노출된 시점에서 종료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여, 게이트 전극층(160), 게이트 절연층(150), 산화물 반도체층(123)을 형성할 수 있다(도 13 참조).
또한, 평탄화된 절연층(175) 위에 산화물 반도체막(123a), 또는 절연막(150a)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새로 레지스트 마스크를 사용하여 가공하여도 좋다. 산화물 반도체막(123a), 또는 절연막(150a) 위에 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하여 레지스트 마스크를 형성한다. 당해 마스크는, 게이트 전극층(160)의 상면부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당해 마스크에 의하여 절연막(150a)과, 산화물 반도체막(123a)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게이트 절연층(150), 산화물 반도체층(123)을 형성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10)에 있어서는, 산소 결손이 발생되기 어려운 산화물 반도체층(123)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채널 폭 방향에서의 산화물 반도체층(123)의 측면으로부터의 산소의 이탈이 억제되어, 산소 결손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적 특성이 향상되고, 신뢰성이 높은 트랜지스터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제 3 가열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당해 가열 처리는, 대표적으로는, 150 이상 기판의 변형점 미만,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 5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450 이하로 할 수 있다. 당해 가열 처리에 의하여, 절연층(예를 들어, 절연층(175))에 첨가된 산소가 확산되어, 산화물 반도체층(122)까지 이동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2) 내에 존재하는 산소 결손에 대하여 산소를 보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소 분위기하에서, 400 1시간의 가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상의 공정에 의하여, 산화물 반도체막의 국재 준위 밀도가 저감되고, 우수한 전기 특성을 가지는 트랜지스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경시 변화나 스트레스 시험에 따른 전기 특성의 변동이 적은, 신뢰성이 높은 트랜지스터를 제작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10)의 변형예 1: 트랜지스터(11)>
도 1에 도시된 트랜지스터(10)와 형상이 다른 트랜지스터(11)에 대하여,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A), 도 14의 (B), 도 14의 (C)는, 트랜지스터(11)의 상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4의 (A)는 트랜지스터(11)의 상면도이고, 도 14의 (B)는, 도 14의 (A)의 일점쇄선 A1-A2간, 도 14의 (C)는 A3-A4간의 단면도이다.
트랜지스터(11)는,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의 측면(채널 영역을 제외함), 소스 전극층(130), 드레인 전극층(140)의 측면, 절연층(110)의 측면 및 상면, 절연층(170)의 하면에 접촉하는 도전층(135)을 가지는 점에서, 트랜지스터(10)와 다르다. 도전층(135)은,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월 형상을 가진다.
<<도전층(135)>>
도전층(135)에는, 구리(Cu), 텅스텐(W), 몰리브데넘(Mo), 금(Au), 알루미늄(Al), 망가니즈(Mn), 타이타늄(Ti), 탄탈럼(Ta), 니켈(Ni), 크로뮴(Cr), 납(Pb), 주석(Sn), 철(Fe), 코발트(Co), 루테늄(Ru), 백금(Pt), 이리듐(Ir), 스트론튬(Sr)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체, 또는 합금,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소, 질소, 플루오린, 실리콘 등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도전층의 단층 또는 적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적층하는 경우에, 산화물 반도체층(122)과 접촉하는 아래쪽 도전층은 산소와 결합되기 쉬운 재료를 가지고, 위쪽 도전층에는 내산화성이 강한 재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내열성과 도전성을 양립하는 텅스텐이나 몰리브데넘 등의 고융점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저저항 도전성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u-Mn 합금을 사용하면, 산소를 포함하는 절연체와의 계면에 산화 망가니즈가 형성되고, 산화 망가니즈가 Cu의 확산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바람직하다.
도전층(135)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과 접촉하는 도전층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온 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다.
<트랜지스터(10)의 변형예 2: 트랜지스터(12)>
도 1에 도시된 트랜지스터(10)와 형상이 다른 트랜지스터(12)에 대하여, 도 15 및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A), 도 15의 (B), 도 15의 (C)는, 트랜지스터(12)의 상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5의 (A)는 트랜지스터(12)의 상면도이고, 도 15의 (B)는, 도 15의 (A)의 일점쇄선 A1-A2간, 도 15의 (C)는 A3-A4간의 단면도이다.
트랜지스터(12)는, 절연층(110) 아래쪽에 도전층(165)과, 절연층(175), 산화물 반도체층(123), 게이트 절연층(150), 게이트 전극층(160)의 상면에 절연층(177)을 가지는 점에서, 트랜지스터(10)와 다르다.
<<도전층(165)>>
도전층(165)은, 보텀 게이트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전층(165)에는, 게이트 전극층(160)과 같은 전위를 공급할 수 있고, 다른 전위를 공급할 수 있다. 도전층(165)에는, 예를 들어, 구리(Cu), 텅스텐(W), 몰리브데넘(Mo), 금(Au), 알루미늄(Al), 망가니즈(Mn), 타이타늄(Ti), 탄탈럼(Ta), 니켈(Ni), 크로뮴(Cr), 납(Pb), 주석(Sn), 철(Fe), 코발트(Co), 루테늄(Ru), 백금(Pt), 이리듐(Ir), 스트론튬(Sr)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체, 또는 합금,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소, 질소, 플루오린, 실리콘 등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도전층의 단층 또는 적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전층(166)에는 내산화성이 강한 재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전층(167)에는 내열성과 도전성을 양립하는 텅스텐이나 몰리브데넘 등의 고융점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저저항 도전성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177)>>
절연층(177)에는, 산소(O), 질소(N), 플루오린(F),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실리콘(Si), 갈륨(Ga), 저마늄(Ge), 이트륨(Y), 지르코늄(Zr), 란타넘(La), 네오디뮴(Nd), 하프늄(Hf), 탄탈럼(Ta), 타이타늄(Ti) 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AlOx), 산화 마그네슘(MgOx), 산화 실리콘(SiOx), 산화 질화 실리콘(SiOxNy), 질화 산화 실리콘(SiNxOy), 질화 실리콘(SiNx), 산화 갈륨(GaOx), 산화 저마늄(GeOx), 산화 이트륨(YOx), 산화 지르코늄(ZrOx), 산화 란타넘(LaOx), 산화 네오디뮴(NdOx), 산화 하프늄(HfOx) 및 산화 탄탈럼(TaOx)을 1종류 이상 포함하는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177)은 상기 재료의 적층이어도 좋다.
절연층(177)에는, 산화 알루미늄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알루미늄막은, 수소, 수분 등의 불순물, 및 산소의 모두에 대하여 막을 투과시키지 않는 차단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산화 알루미늄막은, 트랜지스터의 제작 공정 중 및 제작 후에 있어서, 트랜지스터의 전기 특성의 변동 요인이 되는 수소, 수분 등의 불순물의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으로의 혼입 방지, 주성분 재료인 산소의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으로부터의 방출 방지, 절연층(175)으로부터의 산소의 불필요한 방출 방지의 효과를 가지는 보호막으로서 사용하는 것에 적합하다.
또한, 절연층(177)은, 산소 공급 능력을 가지는 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절연층(177)을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성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177)이 성막될 때에, 절연층(175)과의 계면에 혼합층이 형성되고, 당해 혼합층 또는 절연층(175)에 산소(172)를 첨가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12)는, 절연층(177)을 성막 후에, 제 3 가열 처리를 할 수 있다. 제 3 가열 처리는, 대표적으로는, 150 이상 기판의 변형점 미만,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 5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450 이하로 할 수 있다. 제 3 가열 처리에 의하여, 절연층(175)에 첨가된 산소(172)가 확산되어, 산화물 반도체층(121), 산화물 반도체층(122)까지 이동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2) 내에 존재하는 산소 결손에 대하여 산소를 보전할 수 있다.
또한, 제 3 가열 처리는, 제 2 가열 처리를 겸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절연층(110), 절연층(175)에 첨가된 산소(172)가, 게이트 절연층(150), 산화물 반도체층(123), 산화물 반도체층(121) 등을 통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2)까지 이동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2) 내에 존재하는 산소 결손에 대하여 산소를 보전할 수 있다(도 16 참조).
이에 의하여, 트랜지스터(12)의 트랜지스터 특성(예를 들어, 문턱 전압, 신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12)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를 병렬로 가진 구조(트랜지스터(13))로 할 수 있다(도 17 참조). 또한, 트랜지스터(13)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170) 위에 절연층(180)과, 게이트 전극층(160) 위에 도전층(190)(도전층(191), 도전층(192))을 가지고, 게이트 전극층(160)과 도전층(190)은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절연층(180)은, 절연층(175)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전층(190)은, 게이트 전극층(160)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13)는, 양호한 트랜지스터 특성을 나타내면서, 온 전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 및 실시예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트랜지스터(10)와는 구조가 다른 트랜지스터(14), 및 트랜지스터(14)의 제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트랜지스터(14)>
도 19의 (A), 도 19의 (B), 도 19의 (C)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트랜지스터(14)의 상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9의 (A)는 상면도이고, 도 19의 (B)는 도 19의 (A)의 일점쇄선 A1-A2간, 도 19의 (C)는 도 19의 (A)의 일점쇄선 A3-A4간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9의 (A)에서는, 도면의 명료화를 위하여 일부의 요소를 확대, 축소, 또는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일점쇄선 A1-A2 방향을 채널 길이 방향, 일점쇄선 A3-A4 방향을 채널 폭 방향이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트랜지스터(14)는, 도 19의 (A), 도 19의 (B),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74)에 있어서, 소스 전극층(130), 드레인 전극층(140)의 상면에 절연층(185)을 가지고 있는 점이, 트랜지스터(10)와 다르다. 절연층(185)은, 절연층(170)과, 절연층(175)의 측면과 접촉하고, 절연층(185) 위쪽에 산화물 반도체층(123)을 가진다.
<<절연층(185)>>
절연층(185)에는, 산소(O), 질소(N), 플루오린(F),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실리콘(Si), 갈륨(Ga), 저마늄(Ge), 이트륨(Y), 지르코늄(Zr), 란타넘(La), 네오디뮴(Nd), 하프늄(Hf), 탄탈럼(Ta), 타이타늄(Ti) 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마그네슘(MgOx), 산화 실리콘(SiOx), 산화 질화 실리콘(SiOxNx), 질화 산화 실리콘(SiNxOx), 질화 실리콘(SiNx), 산화 갈륨(GaOx), 산화 저마늄(GeOx), 산화 이트륨(YOx), 산화 지르코늄(ZrOx), 산화 란타넘(LaOx), 산화 네오디뮴(NdOx), 산화 하프늄(HfOx) 및 산화 탄탈럼(TaOx), 산화 알루미늄(AlOx)을 1종류 이상 포함하는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185)은 상기 재료의 적층이어도 좋다. 당해 절연층은, 화학량론 조성보다 많은 산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절연층(185)은, 저유전율의 재료(Low-k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수%의 플루오린(F)을 도입한 산화 실리콘(SiOF), 수%의 탄소(C)를 도입한 산화 실리콘(SiOC), 플루오린화 실리케이트 유리(FSG), 유기 실리케이트 유리(OSG), 수소화실세스퀴옥산(HSQ), 메틸실세스퀴옥산(MSQ), 유기 폴리머, 폴리이미드, 플루오린 수지(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플루오린을 첨가한 어모퍼스 카본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절연층(185)에, Low-k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트랜지스터(14)의 용량을 더 저감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14)는, 절연층(185)을 가짐으로써, 장치의 해상 한계 이하의 가공을 행할 수 있어, 더 미세한 가공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설비 도입 등의 개발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14)의 제작 방법>
트랜지스터(14)의 제작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트랜지스터(10)와 마찬가지의 공정에 대해서는, 당해 설명을 원용한다.
도 20의 (A),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170), 절연층(175b)을 형성 후, 홈부 형성용의 레지스트 마스크(176)를 형성한다. 레지스트 마스크(176)는, 트랜지스터(10) 제작에 비하여, 홈의 치수를 넓게(디자인 룰을 느슨하게)할 수 있다.
다음에, 레지스트 마스크(176)를 사용하여 절연층(175b)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절연층(175)을 형성한다.
다음에, 절연층(185)이 되는 제 4 절연막을 형성한다. 제 4 절연막은, 플라스마 CVD법, 열CVD법(MOCVD법, ALD법), 스퍼터링법, 또는 스핀 코팅법 등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드라이 에칭법을 사용하여, 에치백 처리를 행하여, 절연층(185)을 형성한다.
다음에, 절연층(185)을, 하드 마스크로서 사용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22)이 노출될 때까지 도전층(130b)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소스 전극층(130)과, 드레인 전극층(140)을 형성한다(도 21 참조).
다음에, 제 3 산화물 반도체막(123a), 제 3 절연막(150a), 도전막(160a)을 순차적으로 성막하고(도 22 참조), 평탄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트랜지스터(14)를 제작한다(도 23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 및 실시예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산화물 반도체의 구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산화물 반도체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산화물 반도체는, 단결정 산화물 반도체와, 그 이외의 비단결정 산화물 반도체로 나뉜다. 비단결정 산화물 반도체로서는, CAAC-OS(C Axis Aligned 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 다결정 산화물 반도체, nc-OS(nano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 a-like OS(amorphous like Oxide Semiconductor),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 등이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는, 산화물 반도체는,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와, 그 이외의 결정성 산화물 반도체로 나뉜다. 결정성 산화물 반도체로서는, 단결정 산화물 반도체, CAAC-OS, 다결정 산화물 반도체, nc-OS 등이 있다.
비정질 구조의 정의로서는, 일반적으로, 준안정 상태이며 고정화되어 있지 않은 것, 등방적이며 불균질 구조를 가지지 않는 것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결합 각도가 유연하고, 단거리 질서성을 가지면서 장거리 질서성을 가지지 않는 구조라고 바꿔 말할 수도 있다.
반대의 관점에서 보면, 본질적으로 안정적인 산화물 반도체의 경우, 완전한 비정질(completely amorphous) 산화물 반도체라고 부를 수는 없다. 또한, 등방적이지 않은(예를 들어, 미소한 영역에 있어서 주기 구조를 가지는) 산화물 반도체를, 완전한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라고 부를 수는 없다. 다만, a-like OS는, 미소한 영역에 있어서 주기 구조를 가지지만, 공동(보이드라고도 함)을 가지고, 불안정한 구조이다. 그러므로, 물성적으로는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CAAC-OS>
먼저, CAAC-OS에 대하여 설명한다.
CAAC-OS는, c축 배향된 복수의 결정부(펠릿이라고도 함)를 가지는 산화물 반도체의 하나이다.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에 의하여, CAAC-OS의 명시야상과 회절 패턴의 복합 해석상(고분해능 TEM 이미지라고도 함)을 관찰하면, 복수의 펠릿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고분해능 TEM 이미지에서는 펠릿들의 경계, 즉 결정립계(그레인 바운더리라고도 함)를 명확히 확인할 수 없다. 그러므로, CAAC-OS는, 결정립계에 기인하는 전자 이동도의 저하가 일어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TEM에 의하여 관찰한 CAAC-OS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의 (A)에, 시료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CAAC-OS의 단면의 고분해능 TEM 이미지를 나타낸다. 고분해능 TEM 이미지의 관찰에는, 구면 수차 보정(Spherical Aberration Corrector) 기능을 사용하였다. 구면 수차 보정 기능을 사용한 고분해능 TEM 이미지를, 특히 Cs 보정 고분해능 TEM 이미지라고 부른다. Cs 보정 고분해능 TEM 이미지의 취득은, 예를 들어 일본 전자 주식회사 제조의 원자 분해능 분석 전자 현미경 JEM-ARM200F 등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도 24의 (A)의 영역(1)을 확대한 Cs 보정 고분해능 TEM 이미지를 도 24의 (B)에 나타낸다. 도 24의 (B)로부터, 펠릿에 있어서, 금속 원자가 층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금속 원자의 각 층의 배열은, CAAC-OS의 막을 형성하는 면(피형성면이라고도 함) 또는 상면의 요철을 반영하고 있고, CAAC-OS의 피형성면 또는 상면에 평행하게 된다.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AC-OS는 특징적인 원자 배열을 가진다. 도 24의 (C)는, 특징적인 원자 배열을, 보조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4의 (B) 및 (C)로부터, 펠릿 하나의 크기는 1nm 이상의 것이나 3nm 이상의 것이 있고, 펠릿과 펠릿의 기울기에 의하여 생기는 틈의 크기는 0.8nm 정도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펠릿을, 나노 결정(nc: nanocrystal)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또한, CAAC-OS를, CANC(C-Axis Aligned nanocrystals)를 가지는 산화물 반도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여기서, Cs 보정 고분해능 TEM 이미지를 바탕으로, 기판(5120) 위의 CAAC-OS의 펠릿(5100)의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면, 벽돌 또는 블록이 쌓인 것 같은 구조가 된다(도 24의 (D) 참조). 도 24의 (C)에서 관찰된 펠릿과 펠릿 사이에서 기울기가 생긴 개소는, 도 24의 (D)에 도시된 영역(5161)에 상당한다.
또한, 도 25의 (A)에, 시료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CAAC-OS의 평면의 Cs 보정 고분해능 T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5의 (A)의 영역(1), 영역(2) 및 영역(3)을 확대한 Cs 보정 고분해능 TEM 이미지를, 각각 도 25의 (B), (C) 및 (D)에 나타내었다. 도 25의 (B), (C) 및 (D)로부터, 펠릿은, 금속 원자가 삼각 형상, 사각 형상 또는 육각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펠릿 간에서, 금속 원자의 배열에 규칙성은 보이지 않는다.
다음으로, X선 회절(XRD: X-Ray Diffraction)에 의하여 해석한 CAAC-OS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InGaZnO4의 결정을 가지는 CAAC-OS에 대하여, out-of-plane법에 의한 구조 해석을 행하면, 도 2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절각(2θ)이 31° 근방일 때 피크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 피크는, InGaZnO4의 결정의 (009)면에 귀속되는 것으로부터, CAAC-OS의 결정이 c축 배향성을 가지고, c축이 피형성면 또는 상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을 향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CAAC-OS의 out-of-plane법에 의한 구조 해석에서는, 2θ가 31° 근방의 피크 외에, 2θ가 36° 근방에서도 피크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2θ가 36° 근방의 피크는, CAAC-OS 내의 일부에, c축 배향성을 가지지 않는 결정이 포함되는 것을 가리킨다. 보다 바람직한 CAAC-OS는, out-of-plane법에 의한 구조 해석에서는, 2θ가 31° 근방일 때 피크를 나타내고, 2θ가 36° 근방일 때 피크를 나타내지 않는다.
한편, CAAC-OS에 대하여, c축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X선을 입사시키는 in-plane법에 의한 구조 해석을 행하면, 2θ가 56° 근방일 때 피크가 나타난다. 이 피크는, InGaZnO4의 결정의 (110)면에 귀속된다. CAAC-OS의 경우, 2θ를 56° 근방에 고정하고, 시료면의 법선 벡터를 축(Φ축)으로 하여 시료를 회전시키면서 분석(Φ스캔)을 행하여도, 도 2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료한 피크는 나타나지 않는다. 한편, InGaZnO4의 단결정 산화물 반도체이면, 2θ를 56° 근방에 고정하고 Φ스캔한 경우, 도 2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0)면과 등가인 결정면에 귀속되는 피크가 6개 관찰된다. 따라서, XRD를 사용한 구조 해석으로부터, CAAC-OS는 a축 및 b축의 배향이 불규칙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회절에 의하여 해석한 CAAC-OS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InGaZnO4의 결정을 가지는 CAAC-OS에 대하여, 시료면에 평행하게 프로브 직경이 300nm인 전자선을 입사시키면, 도 2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절 패턴(제한 시야 투과 전자 회절 패턴이라고도 함)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 회절 패턴에는, InGaZnO4의 결정의 (009)면에 기인하는 스폿이 포함된다. 따라서, 전자 회절에 의해서도, CAAC-OS에 포함되는 펠릿이 c축 배향성을 가지고, c축이 피형성면 또는 상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을 향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같은 시료에 대하여, 시료면에 수직으로 프로브 직경이 300nm인 전자선을 입사시켰을 때의 회절 패턴을 도 27의 (B)에 도시하였다. 도 27의 (B)로부터, 링 형상의 회절 패턴이 확인된다. 따라서, 전자 회절에 의해서도, CAAC-OS에 포함되는 펠릿의 a축 및 b축은 배향성을 가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7의 (B)에서의 제 1 링은, InGaZnO4의 결정의 (010)면 및 (100)면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도 27의 (B)에서의 제 2 링은 (110)면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CAAC-OS는 결정성이 높은 산화물 반도체이다. 산화물 반도체의 결정성은 불순물의 혼입이나 결함의 생성 등에 의하여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반대의 관점에서 보면 CAAC-OS는 불순물이나 결함(산소 결손 등)이 적은 산화물 반도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불순물은, 산화물 반도체의 주성분 이외의 원소로, 수소, 탄소, 실리콘, 전이 금속 원소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등, 산화물 반도체를 구성하는 금속 원소보다 산소와의 결합력이 강한 원소는, 산화물 반도체로부터 산소를 빼앗음으로써 산화물 반도체의 원자 배열을 흐트러지게 하여, 결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철이나 니켈 등의 중금속, 아르곤, 이산화 탄소 등은, 원자 반경(또는 분자 반경)이 크기 때문에, 산화물 반도체의 원자 배열을 흐트러지게 하여 결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산화물 반도체가 불순물이나 결함을 가지는 경우, 광이나 열 등에 의하여 특성이 변동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에 포함되는 불순물은, 캐리어 트랩이 되는 경우나, 캐리어 발생원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 내의 산소 결손은, 캐리어 트랩이 되는 경우나, 수소를 포획하는 것에 의하여 캐리어 발생원이 되는 경우가 있다.
불순물 및 산소 결손이 적은 CAAC-OS는, 캐리어 밀도가 낮은 산화물 반도체이다. 구체적으로는, 8×1011/cm3 미만, 바람직하게는 1×1011/cm3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1010/cm3 미만이고 1×10-9/cm3 이상의 캐리어 밀도의 산화물 반도체로 할 수 있다. 그러한 산화물 반도체를, 고순도 진성 또는 실질적으로 고순도 진성의 산화물 반도체라고 부른다. CAAC-OS는, 불순물 농도가 낮고, 결함 준위 밀도가 낮다. 즉, 안정적인 특성을 가지는 산화물 반도체라고 할 수 있다.
<nc-OS>
다음으로, nc-OS에 대하여 설명한다.
nc-OS는, 고분해능 TEM 이미지에 있어서, 결정부를 확인할 수 있는 영역과, 명확한 결정부를 확인할 수 없는 영역을 가진다. nc-OS에 포함되는 결정부는, 1nm 이상 10nm 이하, 또는 1nm 이상 3nm 이하의 크기인 경우가 많다. 또한, 결정부의 크기가 10nm보다 크고 100nm 이하인 산화물 반도체를 미결정 산화물 반도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nc-OS는, 예를 들어, 고분해능 TEM 이미지에서는, 결정립계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나노 결정은, CAAC-OS에서의 펠릿과 기원이 같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nc-OS의 결정부를 펠릿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nc-OS는, 미소한 영역(예를 들어, 1nm 이상 10nm 이하의 영역, 특히 1nm 이상 3nm 이하의 영역)에 있어서 원자 배열에 주기성을 가진다. 또한, nc-OS는, 상이한 펠릿 간에서 결정 방위에 규칙성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막 전체에서 배향성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nc-OS는, 분석 방법에 따라서는, a-like OS나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와 구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nc-OS에 대하여, 펠릿보다 큰 직경의 X선을 사용한 경우, out-of-plane법에 의한 해석에서는, 결정면을 나타내는 피크는 검출되지 않는다. 또한, nc-OS에 대하여, 펠릿보다 큰 프로브 직경(예를 들어, 50nm 이상)의 전자선을 사용하는 전자 회절을 행하면, 헤일로 패턴 같은 회절 패턴이 관측된다. 한편, nc-OS에 대하여, 펠릿의 크기와 가깝거나 펠릿보다 작은 프로브 직경의 전자선을 사용하는 나노빔 전자 회절을 행하면, 스폿이 관측된다. 또한, nc-OS에 대하여 나노빔 전자 회절을 행하면, 원을 그리듯이(링 형상으로) 휘도가 높은 영역이 관측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링 형상의 영역 내에 복수의 스폿이 관측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펠릿(나노 결정) 간에서는 결정 방위가 규칙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부터, nc-OS를, RANC(Random Aligned nanocrystals)를 가지는 산화물 반도체, 또는 NANC(Non-Aligned nanocrystals)를 가지는 산화물 반도체라고 부를 수도 있다.
nc-OS는,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보다 규칙성이 높은 산화물 반도체이다. 그러므로, nc-OS는, a-like OS나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보다 결함 준위 밀도가 낮게 된다. 다만, nc-OS는, 상이한 펠릿 간에서 결정 방위에 규칙성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nc-OS는, CAAC-OS에 비하여 결함 준위 밀도가 높게 된다.
<a-like OS>
a-like OS는, nc-OS와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의 중간의 구조를 가지는 산화물 반도체이다.
a-like OS는, 고분해능 TEM 이미지에 있어서 공동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고분해능 TEM 이미지에 있어서, 명확하게 결정부를 확인할 수 있는 영역과, 결정부를 확인할 수 없는 영역을 가진다.
공동을 가지기 때문에, a-like OS는, 불안정한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a-like OS가, CAAC-OS 및 nc-OS에 비하여 불안정한 구조인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전자 조사에 의한 구조의 변화를 기재한다.
전자 조사를 행하는 시료로서, a-like OS(시료 A라고 표기함), nc-OS(시료 B라고 표기함) 및 CAAC-OS(시료 C라고 표기함)를 준비한다. 시료는 모두 In-Ga-Zn 산화물이다.
먼저, 각 시료의 고분해능 단면 TEM 이미지를 취득한다. 고분해능 단면 TEM 이미지에 의하여, 각 시료는 모두 결정부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어느 부분을 하나의 결정부로 간주할지의 판정은, 이하와 같이 행하면 좋다. 예를 들어, InGaZnO4의 결정의 단위 격자는, In-O층을 3층 가지고, 또한 Ga-Zn-O층을 6층 가지는, 총 9층이 c축 방향으로 층상으로 겹쳐진 구조를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근접하는 층들의 간격은, (009)면의 격자면 간격(d값이라고도 함)과 같은 정도이고, 결정 구조 해석으로부터 그 값은 0.29nm로 구해진다. 따라서, 격자 줄무늬의 간격이 0.28nm 이상 0.30nm 이하인 개소를, InGaZnO4의 결정부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격자 줄무늬는, InGaZnO4의 결정의 a-b면에 대응한다.
도 28은, 각 시료의 결정부(22개소 내지 45개소)의 평균의 크기를 조사한 예이다. 다만, 상술한 격자 줄무늬의 길이를 결정부의 크기로 하였다. 도 28로부터, a-like OS는, 전자의 누적 조사량에 따라 결정부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8에서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TEM에 의한 관찰 초기에 있어서는 1.2nm 정도의 크기였던 결정부(초기핵이라고도 함)가, 누적 조사량이 4.2×108e-/nm2에 있어서는 2.6nm 정도의 크기까지 성장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nc-OS 및 CAAC-OS는, 전자 조사 개시 시부터 전자의 누적 조사량이 4.2×108e-/nm2까지의 범위에서, 결정부의 크기에 변화가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8에서 (2) 및 (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의 누적 조사량에 상관없이, nc-OS 및 CAAC-OS의 결정부의 크기는, 각각 1.4nm 정도 및 2.1nm 정도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a-like OS는, 전자 조사에 의하여 결정부의 성장이 보이는 경우가 있다. 한편, nc-OS 및 CAAC-OS는, 전자 조사에 의한 결정부의 성장이 거의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a-like OS는, nc-OS 및 CAAC-OS에 비하여, 불안정한 구조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공동을 가지기 때문에, a-like OS는, nc-OS 및 CAAC-OS에 비하여 밀도가 낮은 구조이다. 구체적으로는, a-like OS의 밀도는, 같은 조성의 단결정의 밀도의 78.6% 이상 92.3% 미만이 된다. 또한, nc-OS의 밀도 및 CAAC-OS의 밀도는, 같은 조성의 단결정의 밀도의 92.3% 이상 100% 미만이 된다. 단결정의 밀도의 78% 미만이 되는 산화물 반도체는, 성막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
예를 들어, In:Ga:Zn=1:1:1[원자수비]을 만족하는 산화물 반도체에 있어서, 능면체정 구조를 가지는 단결정 InGaZnO4의 밀도는 6.357g/cm3이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In:Ga:Zn=1:1:1[원자수비]을 만족하는 산화물 반도체에 있어서, a-like OS의 밀도는 5.0g/cm3 이상 5.9g/cm3 미만이 된다. 또한, 예를 들어, In:Ga:Zn=1:1:1[원자수비]을 만족하는 산화물 반도체에 있어서, nc-OS의 밀도 및 CAAC-OS의 밀도는 5.9g/cm3 이상 6.3g/cm3 미만이 된다.
또한, 같은 조성의 단결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임의의 비율로 조성이 상이한 단결정을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원하는 조성의 단결정에 상당하는 밀도를 어림잡을 수 있다. 원하는 조성의 단결정에 상당하는 밀도는, 조성이 상이한 단결정을 조합하는 비율에 대하여, 가중 평균을 사용하여 어림잡으면 좋다. 다만, 밀도는, 가능한 한 적은 종류의 단결정을 조합하여 어림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산화물 반도체는, 다양한 구조를 취하고, 각각이 다양한 특성을 가진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는, 예를 들어,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 a-like OS, nc-OS, CAAC-OS 중, 2종류 이상을 가지는 적층막이어도 좋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회로의 일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면 구조>
도 29의 (A)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도 29의 (A)에 있어서, X1-X2 방향은 채널 길이 방향, Y1-Y2 방향은 채널 폭 방향을 나타낸다. 도 29의 (A)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는, 하부에 제 1 반도체 재료를 사용한 트랜지스터(2200)를 가지고, 상부에 제 2 반도체 재료를 사용한 트랜지스터(2100)를 가지고 있다. 도 29의 (A)에서는, 제 2 반도체 재료를 사용한 트랜지스터(2100)로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트랜지스터를 적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일점쇄선의 왼쪽이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 방향의 단면, 오른쪽이 채널 폭 방향의 단면이다.
제 1 반도체 재료와 제 2 반도체 재료는 상이한 금제대폭을 가지는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1 반도체 재료를 산화물 반도체 이외의 반도체 재료(실리콘(변형 실리콘을 포함함), 저마늄, 실리콘 저마늄, 탄소화 실리콘, 비소화 갈륨, 비소화 알루미늄 갈륨, 인화 인듐, 질화 갈륨, 유기 반도체 등)로 하고, 제 2 반도체 재료를 산화물 반도체로 할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 이외의 재료로서 단결정 실리콘 등을 사용한 트랜지스터는, 고속 동작이 용이하다. 한편,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트랜지스터를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서브스레숄드 특성이 얻어지고, 미세한 트랜지스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위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고속 동작이 가능하고, 오프 전류가 낮기 때문에 누설 전류가 작다.
트랜지스터(2200)는, n채널형의 트랜지스터 또는 p채널형의 트랜지스터 중 어느 쪽이어도 좋고, 회로에 따라 적절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면 좋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사용하는 재료나 구조 등, 반도체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여기에 기재된 것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도 29의 (A)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트랜지스터(2200) 상부에, 절연체(2201), 절연체(2207)를 개재하여 트랜지스터(2100)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2200)와 트랜지스터(2100) 사이에는, 복수의 배선(2202)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각종 절연체에 매립된 복수의 플러그(2203)에 의하여, 상층과 하층에 각각 제공된 배선이나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2100)를 덮는 절연체(2204)와, 절연체(2204) 위에 배선(2205)이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2종류의 트랜지스터를 적층하는 것에 의하여, 회로의 점유 면적이 저감되고, 더 고밀도로 복수의 회로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하층에 제공되는 트랜지스터(2200)에 실리콘계 반도체 재료를 사용한 경우, 트랜지스터(2200)의 반도체막 근방에 제공되는 절연체 내의 수소는 실리콘의 댕글링 본드를 종단시키고, 트랜지스터(22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층에 제공되는 트랜지스터(2100)에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경우, 트랜지스터(2100)의 반도체막 근방에 제공되는 절연체 내의 수소는, 산화물 반도체 내에 캐리어를 생성하는 요인의 하나가 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2100)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실리콘계 반도체 재료를 사용한 트랜지스터(2200)의 상층에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2100)를 적층하여 제공하는 경우, 이들 사이에 수소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절연체(2207)를 제공하는 것은 특히 효과적이다. 절연체(2207)에 의하여, 하층에 수소를 가둠으로써 트랜지스터(2200)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에 더하여, 하층으로부터 상층으로 수소가 확산되는 것이 억제됨으로써 트랜지스터(2100)의 신뢰성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절연체(2207)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 산화 질화 알루미늄, 산화 갈륨, 산화 질화 갈륨, 산화 이트륨, 산화 질화 이트륨, 산화 하프늄, 산화 질화 하프늄,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랜지스터(2100)를 덮도록, 트랜지스터(2100) 위에 수소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블록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블록막으로서는, 절연체(2207)와 마찬가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산화 알루미늄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알루미늄막은, 수소, 수분 등의 불순물 및 산소의 모두에 대하여 막을 투과시키지 않는 차단(블로킹) 효과가 높다. 따라서, 트랜지스터(2100)를 덮는 당해 블록막으로서 산화 알루미늄막을 사용함으로써, 트랜지스터(2100)에 포함되는 산화물 반도체막으로부터의 산소의 이탈을 방지함과 함께, 산화물 반도체막으로의 물 및 수소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블록막은, 절연체(2204)를 적층으로 함으로써 사용하여도 좋고, 절연체(2204) 아래쪽에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트랜지스터(2200)는, 플레이너형의 트랜지스터뿐만 아니라, 다양한 타입의 트랜지스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IN(핀)형, TRI-GATE(트라이 게이트)형 등의 트랜지스터 등으로 할 수 있다. 그 경우의 단면도의 예를, 도 29의 (D)에 도시하였다. 반도체 기판(2211) 위에, 절연체(2212)가 제공되어 있다. 반도체 기판(2211)은, 선단이 가는 볼록부(핀이라고도 함)를 가진다. 또한, 볼록부 위에는, 절연체가 제공되어 있어도 좋다. 그 절연체는, 볼록부를 형성할 때에, 반도체 기판(2211)이 에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마스크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또한, 볼록부는, 선단이 가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어, 대략 직방체의 볼록부이어도 좋고, 선단이 굵은 볼록부이어도 좋다. 반도체 기판(2211)의 볼록부 위에는, 게이트 절연체(2214)가 제공되고, 그 위에는, 게이트 전극(2213)이 제공되어 있다. 반도체 기판(2211)에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22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반도체 기판(2211)이, 볼록부를 가지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SOI 기판을 가공하여, 볼록부를 가지는 반도체 영역을 형성하여도 좋다.
<회로 구성예>
상기 구성에 있어서, 트랜지스터(2100)나 트랜지스터(2200)의 전극을 적절히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반도체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는 회로 구성의 예를 설명한다.
<CMOS 인버터 회로>
도 29의 (B)에 도시된 회로도는, p채널형의 트랜지스터(2200)와 n채널형의 트랜지스터(2100)를 직렬로 접속하고, 또한 각각의 게이트를 접속한, 소위 CMOS 인버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CMOS 아날로그 스위치>
또한, 도 29의 (C)에 도시된 회로도는, 트랜지스터(2100)와 트랜지스터(2200)의 각각의 소스와 드레인을 접속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9의 (A)에 있어서, X1-X2 방향은 채널 길이 방향, Y1-Y2 방향은 채널 폭 방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소위 CMOS 아날로그 스위치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기억 장치의 예>
본 발명의 일 형태인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기억 내용의 유지가 가능하고, 또한 기록 횟수에도 제한이 없는 반도체 장치(기억 장치)의 일례를 도 30에 도시하였다.
도 30의 (A)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는, 제 1 반도체 재료를 사용한 트랜지스터(3200)와 제 2 반도체 재료를 사용한 트랜지스터(3300), 및 용량 소자(3400)를 가지고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3300)로서는, 실시형태 1 내지 2에서 설명한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0의 (B)에 도 30의 (A)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당해 단면도의 반도체 장치에서는, 트랜지스터(3300)에 백 게이트를 제공한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백 게이트를 제공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도 30의 (A)는 중간층(2210)이 도전성을 가지는 경우의 구성이고, 중간층(2210)이 절연성인 경우에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3005)을 사용하여 트랜지스터(2200)와 트랜지스터(2100)를 접속하면 좋다.
트랜지스터(3300)는, 산화물 반도체를 가지는 반도체층에 채널이 형성되는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3300)는, 오프 전류가 작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장기간에 걸쳐 기억 내용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리프레시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또는 리프레시 동작의 빈도가 매우 적은 반도체 기억 장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도 30의 (A)에 있어서, 제 1 배선(3001)은 트랜지스터(3200)의 소스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배선(3002)은 트랜지스터(3200)의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3 배선(3003)은 트랜지스터(3300)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의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4 배선(3004)은 트랜지스터(3300)의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트랜지스터(3200)의 게이트 전극은, 트랜지스터(3300)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의 다른 쪽, 및 용량 소자(3400)의 전극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5 배선(3005)은 용량 소자(3400)의 전극 중 다른 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30의 (A)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에서는, 트랜지스터(3200)의 게이트 전극의 전위를 유지할 수 있다는 특징을 살림으로써, 다음과 같이, 정보의 기록, 유지, 판독이 가능하다.
정보의 기록 및 유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4 배선(3004)의 전위를, 트랜지스터(3300)가 온 상태가 되는 전위로 하여, 트랜지스터(3300)를 온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제 3 배선(3003)의 전위가, 트랜지스터(3200)의 게이트 전극, 및 용량 소자(3400)에 공급된다. 즉, 트랜지스터(3200)의 게이트에는, 소정의 전하가 공급된다(기록). 여기서는, 상이한 2개의 전위 레벨을 부여하는 전하(이하 Low 레벨 전하, High 레벨 전하라고 함) 중 어느 한쪽이 공급되는 것으로 한다. 그 후, 제 4 배선(3004)의 전위를, 트랜지스터(3300)가 오프 상태가 되는 전위로 하여, 트랜지스터(3300)를 오프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하여, 트랜지스터(3200)의 게이트에 공급된 전하가 유지된다(유지).
트랜지스터(3300)의 오프 전류는 매우 작기 때문에, 트랜지스터(3200)의 게이트의 전하는 장시간에 걸쳐 유지된다.
다음으로 정보의 판독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배선(3001)에 소정의 전위(정전위)를 공급한 상태에서, 제 5 배선(3005)에 적절한 전위(판독 전위)를 공급하면, 트랜지스터(3200)의 게이트에 유지된 전하량에 따라, 제 2 배선(3002)은 상이한 전위를 취한다. 일반적으로, 트랜지스터(3200)를 n채널형으로 하면, 트랜지스터(3200)의 게이트 전극에 High 레벨 전하가 공급되고 있는 경우의 외견상 문턱 전압 Vth_H는, 트랜지스터(3200)의 게이트 전극에 Low 레벨 전하가 공급되고 있는 경우의 외견상 문턱 전압 Vth_L보다 낮아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외견상 문턱 전압이란, 트랜지스터(3200)를 "온 상태"로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 5 배선(3005)의 전위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제 5 배선(3005)의 전위를 Vth_H와 Vth_L 사이의 전위 V0로 하는 것에 의하여, 트랜지스터(3200)의 게이트에 공급된 전하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록에 있어서, High 레벨 전하가 공급된 경우에는, 제 5 배선(3005)의 전위가 V0(>Vth_H)가 되면, 트랜지스터(3200)는 "온 상태"가 된다. Low 레벨 전하가 공급된 경우에는, 제 5 배선(3005)의 전위가 V0(<Vth_L)가 되어도, 트랜지스터(3200)는 "오프 상태"인 채이다. 이 때문에, 제 2 배선(3002)의 전위를 판별함으로써, 유지되고 있는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셀을 어레이상으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원하는 메모리 셀의 정보만을 판독 가능한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정보를 판독하지 않는 경우에는, 게이트의 상태에 상관없이 트랜지스터(3200)가 "오프 상태"가 되는 전위, 즉 Vth_H보다 작은 전위를 제 5 배선(3005)에 공급하면 좋다. 또는, 게이트의 상태에 상관없이 트랜지스터(3200)가 "온 상태"가 되는 전위, 즉 Vth_L보다 큰 전위를 제 5 배선(3005)에 공급하면 좋다.
도 30의 (C)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는, 트랜지스터(3200)를 제공하지 않은 점이 도 30의 (A)와 상이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하여 정보의 기록 및 유지 동작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정보의 판독에 대하여 설명한다. 트랜지스터(3300)가 온 상태가 되면, 부유 상태인 제 3 배선(3003)과 용량 소자(3400)가 도통되고, 제 3 배선(3003)과 용량 소자(3400) 사이에서 전하가 재분배된다. 그 결과, 제 3 배선(3003)의 전위가 변화된다. 제 3 배선(3003)의 전위의 변화량은, 용량 소자(3400)의 제 1 단자의 전위(또는 용량 소자(3400)에 축적된 전하)에 따라, 다른 값을 취한다.
예를 들어, 용량 소자(3400)의 제 1 단자의 전위를 V, 용량 소자(3400)의 용량을 C, 제 3 배선(3003)이 가지는 용량 성분을 CB, 전하가 재분배되기 전의 제 3 배선(3003)의 전위를 VB0으로 하면, 전하가 재분배된 후의 제 3 배선(3003)의 전위는, (CB×VB0+C×V)/(CB+C)가 된다. 따라서, 메모리 셀의 상태로서, 용량 소자(3400)의 제 1 단자의 전위가 V1과 V0(V1>V0)의 2가지 상태를 취한다고 하면, 전위 V1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의 제 3 배선(3003)의 전위(=(CB×VB0+C×V1)/(CB+C))는, 전위 V0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의 제 3 배선(3003)의 전위(=(CB×VB0+C×V0)/(CB+C))보다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 3 배선(3003)의 전위를 소정의 전위와 비교함으로써,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 셀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에 상기 제 1 반도체 재료가 적용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트랜지스터(3300)로서 제 2 반도체 재료가 적용된 트랜지스터를 구동 회로 위에 적층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에서는, 채널 형성 영역에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오프 전류가 매우 작은 트랜지스터를 적용함으로써, 매우 장기간에 걸쳐 기억 내용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리프레시 동작이 불필요하게 되거나, 또는 리프레시 동작의 빈도를 매우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력의 공급이 없는 경우(다만, 전위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함)에도, 장기간에 걸쳐 기억 내용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에서는, 정보의 기록에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소자 열화의 문제도 없다. 예를 들어, 종래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같이, 플로팅 게이트에 대한 전자의 주입이나, 플로팅 게이트로부터의 전자의 추출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게이트 절연층의 열화 등의 문제가 전혀 생기지 않는다. 즉, 개시된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서는, 종래의 비휘발성 메모리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재기록 가능 횟수에 제한은 없고, 신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온 상태, 오프 상태에 따라, 정보의 기록이 행해지기 때문에, 고속의 동작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는, 능동 소자(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 수동 소자(용량 소자, 저항 소자 등) 등이 가지는 모든 단자에 대하여, 그 접속처를 특정하지 않아도, 당업자라면, 발명의 일 형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즉, 접속처를 특정하지 않아도, 발명의 일 형태가 명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처가 특정된 내용이, 본 명세서 등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 접속처를 특정하지 않은 발명의 일 형태가, 본 명세서 등에 기재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특히, 단자의 접속처로서 복수의 케이스가 생각되는 경우에는, 그 단자의 접속처를 특정의 개소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능동 소자(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 수동 소자(용량 소자, 저항 소자 등) 등이 가지는 일부의 단자에 대해서만, 그 접속처를 특정함으로써, 발명의 일 형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는, 어떤 회로에 대하여, 적어도 접속처를 특정하면, 당업자라면 발명을 특정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는, 어떤 회로에 대하여, 적어도 기능을 특정하면, 당업자라면 발명을 특정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즉, 기능을 특정하면, 발명의 일 형태가 명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이 특정된 발명의 일 형태가, 본 명세서 등에 기재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어떤 회로에 대하여, 기능을 특정하지 않아도, 접속처를 특정하면, 발명의 일 형태로서 개시되어 있는 것이며, 발명의 일 형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어떤 회로에 대하여, 접속처를 특정하지 않아도, 기능을 특정하면, 발명의 일 형태로서 개시되어 있는 것이며, 발명의 일 형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는, 어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기술하는 도면 또는 문장에 있어서, 그 일부분을 추출하여, 발명의 일 형태를 구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어떤 부분을 기술하는 도면 또는 문장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 그 일부분의 도면 또는 문장을 추출한 내용도, 발명의 일 형태로서 개시되어 있는 것이며, 발명의 일 형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능동 소자(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 배선, 수동 소자(용량 소자, 저항 소자 등), 도전층, 절연층, 반도체층, 유기 재료, 무기 재료, 부품, 장치, 동작 방법, 제조 방법 등이 단수 또는 복수 기재된 도면 또는 문장에 있어서, 그 일부분을 추출하여, 발명의 일 형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N개(N은 정수(整數))의 회로 소자(트랜지스터, 용량 소자 등)를 가지고 구성되는 회로도로부터, M개(M은 정수이며, M<N)의 회로 소자(트랜지스터, 용량 소자 등)를 추출하여, 발명의 일 형태를 구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는, N개(N은 정수)의 층을 가지고 구성되는 단면도로부터, M개(M은 정수이며, M<N)의 층을 추출하여, 발명의 일 형태를 구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는, N개(N은 정수)의 요소를 가지고 구성되는 흐름도로부터, M개(M은 정수이며, M<N)의 요소를 추출하여, 발명의 일 형태를 구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촬상 장치>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1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200)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촬상 장치(200)는, 화소부(210)와, 화소부(2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주변 회로(260)와, 주변 회로(270), 주변 회로(280)와, 주변 회로(290)를 가진다. 화소부(210)는, p행 q열(p 및 q는 2 이상의 정수)의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211)를 가진다. 주변 회로(260), 주변 회로(270), 주변 회로(280) 및 주변 회로(290)는, 각각 복수의 화소(211)에 접속되고, 복수의 화소(211)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 주변 회로(260), 주변 회로(270), 주변 회로(280) 및 주변 회로(290) 등 모두를 가리켜 "주변 회로" 또는 "구동 회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주변 회로(260)는 주변 회로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200)는, 광원(291)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291)은, 검출광(P1)을 방사할 수 있다.
또한, 주변 회로는, 적어도 논리 회로, 스위치, 버퍼, 증폭 회로, 또는 변환 회로 중 하나를 가진다. 또한, 주변 회로는, 화소부(210)를 형성하는 기판 위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주변 회로는 그 일부 또는 전부를 IC 등의 반도체 장치로 실장하여도 좋다. 또한, 주변 회로는, 주변 회로(260), 주변 회로(270), 주변 회로(280) 및 주변 회로(29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도 3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200)가 가지는 화소부(210)에 있어서, 화소(211)를 기울여서 배치하여도 좋다. 화소(211)를 기울여서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행방향 및 열방향의 화소 간격(피치)을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촬상 장치(200)에서의 촬상의 품질을 더 높일 수 있다.
<화소의 구성예 1>
촬상 장치(200)가 가지는 하나의 화소(211)를 복수의 부화소(212)로 구성하고, 각각의 부화소(212)에 특정의 파장대역의 광을 투과시키는 필터(컬러 필터)를 조합함으로써, 컬러 화상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도 32의 (A)는, 컬러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화소(211)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2의 (A)에 도시된 화소(211)는, 적색(R)의 파장대역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가 제공된 부화소(212)(이하, "부화소(212R)"라고도 함), 녹색(G)의 파장대역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가 제공된 부화소(212)(이하, "부화소(212G)"라고도 함) 및 청색(B)의 파장대역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가 제공된 부화소(212)(이하, "부화소(212B)"라고도 함)를 가진다. 부화소(212)는, 포토센서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부화소(212)(부화소(212R), 부화소(212G), 및 부화소(212B))는, 배선(231), 배선(247), 배선(248), 배선(249), 배선(2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부화소(212R), 부화소(212G), 및 부화소(212B)는, 각각이 독립한 배선(25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 예를 들어 n행째 화소(211)에 접속된 배선(248) 및 배선(249)을, 각각 배선(248[n]) 및 배선(249[n])이라고 기재한다. 또한, 예를 들어 m열째 화소(211)에 접속된 배선(253)을, 배선(253[m])이라고 기재한다. 또한, 도 32의 (A)에 있어서, m열째 화소(211)가 가지는 부화소(212R)에 접속하는 배선(253)을 배선(253[m]R), 부화소(212G)에 접속하는 배선(253)을 배선(253[m]G), 및 부화소(212B)에 접속하는 배선(253)을 배선(253[m]B)이라고 기재하였다. 부화소(212)는, 상기 배선을 통하여 주변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촬상 장치(200)는, 인접한 화소(211)의, 같은 파장대역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가 제공된 부화소들(212)이 스위치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을 가진다. 도 32의 (B)에, n행(n은 1 이상 p 이하의 정수) m열(m은 1 이상 q 이하의 정수)에 배치된 화소(211)가 가지는 부화소(212)와, 해당 화소(211)에 인접한 n+1행 m열에 배치된 화소(211)가 가지는 부화소(212)의 접속예를 도시하였다. 도 32의 (B)에 있어서, n행 m열에 배치된 부화소(212R)와, n+1행 m열에 배치된 부화소(212R)가 스위치(201)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n행 m열에 배치된 부화소(212G)와, n+1행 m열에 배치된 부화소(212G)가 스위치(202)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n행 m열에 배치된 부화소(212B)와, n+1행 m열에 배치된 부화소(212B)가 스위치(203)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부화소(212)에 사용하는 컬러 필터는, 적색(R), 녹색(G), 청색(B)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시안(C), 황색(Y) 및 마젠타(M)의 광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도 좋다. 하나의 화소(211)에 3종류의 상이한 파장대역의 광을 검출하는 부화소(212)를 제공함으로써, 풀 컬러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는, 각각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광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가 제공된 부화소(212)에 더하여, 황색(Y)의 광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가 제공된 부화소(212)를 가지는 화소(211)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는, 각각 시안(C), 황색(Y) 및 마젠타(M)의 광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가 제공된 부화소(212)에 더하여, 청색(B)의 광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가 제공된 부화소(212)를 가지는 화소(211)를 사용하여도 좋다. 하나의 화소(211)에 4종류의 상이한 파장대역의 광을 검출하는 부화소(212)를 제공함으로써, 취득한 화상의 색의 재현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2의 (A)에 있어서, 적색의 파장대역을 검출하는 부화소(212), 녹색의 파장대역을 검출하는 부화소(212), 및 청색의 파장대역을 검출하는 부화소(212)의 화소수비(또는 수광 면적비)는, 1:1:1이 아니라도 좋다. 예를 들어, 화소수비(수광 면적비)를 적색:녹색:청색=1:2:1로 하는 Bayer 배열로 하여도 좋다. 또는, 화소수비(수광 면적비)를 적색:녹색:청색=1:6:1로 하여도 좋다.
또한, 화소(211)에 제공하는 부화소(212)는 하나라도 좋지만, 2개 이상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같은 파장대역을 검출하는 부화소(212)를 2개 이상 제공함으로써, 중복성을 높이고, 촬상 장치(200)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시광을 흡수 또는 반사하고 적외광을 투과시키는 IR(IR: Infrared)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적외광을 검출하는 촬상 장치(200)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ND(ND: Neutral Density) 필터(감광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광전 변환 소자(수광 소자)에 대광량의 광이 입사하였을 때에 생기는 출력 포화를 방지할 수 있다. 감광량이 상이한 ND 필터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촬상 장치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필터 이외에, 화소(211)에 렌즈를 제공하여도 좋다. 여기서, 도 33의 단면도를 사용하여, 화소(211), 필터(254), 렌즈(255)의 배치예를 설명한다. 렌즈(255)를 제공함으로써, 광전 변환 소자가 입사광을 효율적으로 수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211)에 형성한 렌즈(255), 필터(254)(필터(254R), 필터(254G) 및 필터(254B)), 및 화소 회로(230) 등을 통하여 광(256)을 광전 변환 소자(220)에 입사시키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다만, 일점쇄선으로 둘러싼 영역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로 나타낸 광(256)의 일부가 배선(257)의 일부에 의하여 차광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도 3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 변환 소자(220) 측에 렌즈(255) 및 필터(254)를 배치하여, 광전 변환 소자(220)가 광(256)을 효율적으로 수광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광전 변환 소자(220) 측으로부터 광(256)을 광전 변환 소자(220)에 입사시킴으로써, 검출 감도가 높은 촬상 장치(2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광전 변환 소자(220)로서, pn형 접합 또는 pin형의 접합이 형성된 광전 변환 소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광전 변환 소자(220)를, 방사선을 흡수하여 전하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방사선을 흡수하여 전하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물질로서는, 셀레늄, 아이오딘화 납, 아이오딘화 수은, 비소화 갈륨, 텔루륨화 카드뮴, 카드뮴 아연 합금 등이 있다.
예를 들어, 광전 변환 소자(220)에 셀레늄을 사용하면, 가시광이나, 자외광, 적외광에 더하여, X선이나, 감마선 등 폭넓은 파장대역에 걸쳐 광 흡수 계수를 가지는 광전 변환 소자(220)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촬상 장치(200)가 가지는 하나의 화소(211)는, 도 32에 도시된 부화소(212)에 더하여, 제 1 필터를 가지는 부화소(212)를 가져도 좋다.
<화소의 구성예 2>
이하에서는, 실리콘을 사용한 트랜지스터와,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화소를 구성하는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4의 (A), (B)는, 촬상 장치를 구성하는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34의 (A)에 도시된 촬상 장치는, 실리콘 기판(300)에 제공된 실리콘을 사용한 트랜지스터(351), 트랜지스터(351) 위에 적층하여 배치된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352) 및 트랜지스터(353), 그리고 실리콘 기판(300)에 제공된 애노드(361)와 캐소드(362)를 가지는 포토다이오드(360)를 포함한다. 각 트랜지스터 및 포토다이오드(360)는, 각종 플러그(370) 및 배선(371)과 전기적인 접속을 가진다. 또한, 포토다이오드(360)의 애노드(361)는, 저저항 영역(363)을 통하여 플러그(370)와 전기적으로 접속을 가진다.
또한, 촬상 장치는, 실리콘 기판(300)에 제공된 트랜지스터(351) 및 포토다이오드(360)를 가지는 층(310)과, 층(310)과 접촉하여 제공되며, 배선(371)을 가지는 층(320)과, 층(320)과 접촉하여 제공되며, 트랜지스터(352) 및 트랜지스터(353)를 가지는 층(330)과, 층(330)과 접촉하여 제공되며, 배선(372) 및 배선(373)을 가지는 층(34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4의 (A)의 단면도의 일례에서는, 실리콘 기판(300)에 있어서, 트랜지스터(351)가 형성된 면과는 반대쪽의 면에 포토다이오드(360)의 수광면을 가지는 구성으로 한다. 해당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종 트랜지스터나 배선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광로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개구율의 화소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포토다이오드(360)의 수광면을 트랜지스터(351)가 형성된 면과 같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화소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층(310)을,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층으로 하면 좋다. 또는 층(310)을 생략하여, 트랜지스터만으로 화소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34의 (A)의 단면도에 있어서, 층(310)에 제공하는 포토다이오드(360)와, 층(330)에 제공하는 트랜지스터를, 중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화소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촬상 장치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34의 (B)는, 촬상 장치는 층(340) 쪽에 포토다이오드(365)를 트랜지스터 위에 배치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도 34의 (B)에 있어서, 예를 들어 층(310)에는, 실리콘을 사용한 트랜지스터(351)와 트랜지스터(352)를 가지고, 층(320)에는 배선(371)을 가지고, 층(330)에는 산화물 반도체층을 사용한 트랜지스터(352), 트랜지스터(353)를 가지고, 층(340)에는 포토다이오드(365)를 가지고 있고, 포토다이오드(365)는 반도체층(63), 반도체층(64), 반도체층(65)으로 구성되어 있고, 배선(373)과, 플러그(370)를 통한 배선(374)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34의 (B)에 도시된 소자 구성으로 함으로써, 개구율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포토다이오드(365)에는, 비정질 실리콘막이나 미결정 실리콘막 등을 사용한 pin형 다이오드 소자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포토다이오드(365)는, n형의 반도체층(368), i형의 반도체층(367), 및 p형의 반도체층(366)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i형의 반도체층(367)에는 비정질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형의 반도체층(366) 및 n형의 반도체층(368)에는, 각각의 도전형을 부여하는 도펀트를 포함하는 비정질 실리콘 또는 미결정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비정질 실리콘을 광전 변환층으로 하는 포토다이오드(365)는 가시광의 파장 영역에서의 감도가 높고, 미약한 가시광을 검지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 및 실시예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RF 태그>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트랜지스터, 또는 기억 장치를 포함하는 RF 태그에 대하여,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RF 태그는, 내부에 기억 회로를 가지고, 기억 회로에 필요한 정보를 기억하고, 비접촉 수단,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외부와 정보의 수수를 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 때문에, RF 태그는, 물품 등의 개체 정보를 판독하는 것에 의하여 물품의 식별을 행하는 개체 인증 시스템 등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RF 태그의 구성에 대하여 도 3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5는, RF 태그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태그(800)는, 통신기(801)(질문기, 리더/라이터 등이라고도 함)에 접속된 안테나(802)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803)를 수신하는 안테나(804)를 가진다. 또한 RF 태그(800)는, 정류 회로(805), 정전압 회로(806), 복조 회로(807), 변조 회로(808), 논리 회로(809), 기억 회로(810), ROM(811)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복조 회로(807)에 포함되는 정류 작용을 나타내는 트랜지스터에 역방향 전류를 충분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재료,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여, 역방향 전류에 기인하는 정류 작용의 저하를 억제하고, 복조 회로의 출력이 포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복조 회로의 입력에 대한 복조 회로의 출력을 선형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전송 형식은, 한 쌍의 코일을 대향 배치하여 상호 유도에 의하여 교신을 행하는 전자기 결합 방식, 유도 전자계에 의하여 교신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 전파를 이용하여 교신하는 전파 방식의 3가지로 대별된다.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RF 태그(800)는, 그 어느 방식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각 회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테나(804)는, 통신기(801)에 접속된 안테나(802)와 무선 신호(803)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정류 회로(805)는, 안테나(804)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의하여 생성되는 입력 교류 신호를 정류, 예를 들어 반파 2배압 정류하고, 후단에 제공된 용량 소자에 의하여, 정류된 신호를 평활화함으로써 입력 전위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이다. 또한, 정류 회로(805)의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는, 리미터 회로를 제공하여도 좋다. 리미터 회로란, 입력 교류 신호의 진폭이 크고, 내부 생성 전압이 큰 경우에, 어느 전력 이상의 전력을 후단의 회로에 입력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다.
정전압 회로(806)는, 입력 전위로부터 안정적인 전원 전압을 생성하여, 각 회로에 공급하기 위한 회로이다. 또한, 정전압 회로(806)는, 내부에 리셋 신호 생성 회로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리셋 신호 생성 회로는, 안정적인 전원 전압의 상승을 이용하여, 논리 회로(809)의 리셋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이다.
복조 회로(807)는, 입력 교류 신호를 포락선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복조하여, 복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이다. 또한, 변조 회로(808)는, 안테나(80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변조를 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논리 회로(809)는 복조 신호를 해석하여, 처리를 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기억 회로(810)는, 입력된 정보를 유지하는 회로이며, 로 디코더(row decoder), 칼럼 디코더(column decoder), 기억 영역 등을 가진다. 또한, ROM(811)은, 고유 번호(ID) 등을 저장하고, 처리에 따라 출력을 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또한, 상술한 각 회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취사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기억 회로를, 기억 회로(810)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기억 회로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이어도 정보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RF 태그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기억 회로는, 데이터의 기록에 필요한 전력(전압)이 종래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비하여 현저히 작기 때문에, 데이터의 판독 시와 기록 시의 최대 통신 거리의 차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의 기록 시에 전력이 부족해서 오동작 또는 기록의 오류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기억 회로는, 비휘발성의 메모리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ROM(811)에 적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생산자가 ROM(811)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커맨드를 별도로 준비하여, 사용자가 자유로이 재기록하지 못하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산자가 출하 전에 고유 번호를 기록한 후에 제품을 출하함으로써, 제작한 RF 태그 모두에 대하여 고유 번호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출하할 좋은 제품에만 고유 번호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출하 후의 제품의 고유 번호가 불연속이 되지 않아 출하 후의 제품에 대응한 고객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 및 실시예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기억 장치를 포함하는 CPU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6은,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트랜지스터를 적어도 일부에 사용한 CPU의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CPU의 회로도>
도 36에 도시된 CPU는, 기판(1190) 위에, ALU(1191)(ALU: Arithmetic logic unit, 연산 회로), ALU 컨트롤러(1192), 인스트럭션 디코더(1193), 인터럽트 컨트롤러(1194), 타이밍 컨트롤러(1195), 레지스터(1196), 레지스터 컨트롤러(1197), 버스 인터페이스(1198), 재기록 가능한 ROM(1199), 및 ROM 인터페이스(1189)를 가지고 있다. 기판(1190)은, 반도체 기판, SOI 기판, 유리 기판 등을 사용한다. ROM(1199) 및 ROM 인터페이스(1189)는, 다른 칩에 제공하여도 좋다. 물론, 도 36에 도시된 CPU는, 그 구성을 간략화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고, 실제의 CPU는 그 용도에 따라 다종다양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도 36에 도시된 CPU 또는 연산 회로를 포함하는 구성을 하나의 코어로 하고, 해당 코어를 복수로 포함하며, 각각의 코어가 병렬로 동작하는 등의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CPU가 내부 연산 회로나 데이터 버스에서 취급할 수 있는 비트 수는, 예를 들어 8비트, 16비트, 32비트, 64비트 등으로 할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1198)를 통하여 CPU에 입력된 명령은, 인스트럭션 디코더(1193)에 입력되어, 디코딩된 후, ALU 컨트롤러(1192), 인터럽트 컨트롤러(1194), 레지스터 컨트롤러(1197), 타이밍 컨트롤러(1195)에 입력된다.
ALU 컨트롤러(1192), 인터럽트 컨트롤러(1194), 레지스터 컨트롤러(1197), 타이밍 컨트롤러(1195)는, 디코딩된 명령에 기초하여, 각종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ALU 컨트롤러(1192)는, ALU(119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인터럽트 컨트롤러(1194)는, CPU의 프로그램 실행 중에, 외부의 입출력 장치나, 주변 회로로부터의 인터럽트 요구를, 그 우선도나 마스크 상태로부터 판단하여, 처리한다. 레지스터 컨트롤러(1197)는, 레지스터(1196)의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CPU의 상태에 따라 레지스터(1196)의 판독이나 기록을 행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195)는, ALU(1191), ALU 컨트롤러(1192), 인스트럭션 디코더(1193), 인터럽트 컨트롤러(1194), 및 레지스터 컨트롤러(1197)의 동작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타이밍 컨트롤러(1195)는, 기준 클럭 신호를 바탕으로, 내부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내부 클럭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 클럭 신호를 상기 각종 회로에 공급한다.
도 36에 도시된 CPU에서는, 레지스터(1196)에, 메모리 셀이 제공되어 있다. 레지스터(1196)의 메모리 셀로서, 실시형태 1 내지 3에 기재된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CPU에 있어서, 레지스터 컨트롤러(1197)는, ALU(119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레지스터(1196)에서의 유지 동작의 선택을 행한다. 즉, 레지스터(1196)가 가지는 메모리 셀에 있어서, 플립플롭에 의한 데이터의 유지를 행할지, 용량 소자에 의한 데이터의 유지를 행할지를 선택한다. 플립플롭에 의한 데이터의 유지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레지스터(1196) 내의 메모리 셀에 대한, 전원 전압의 공급이 행해진다. 용량 소자에서의 데이터의 유지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용량 소자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이 행해져, 레지스터(1196) 내의 메모리 셀에 대한 전원 전압의 공급을 정지할 수 있다.
<기억 회로>
도 37은, 레지스터(1196)로서 사용할 수 있는 기억 소자의 회로도의 일례이다. 기억 소자(1200)는, 전원 차단에 의하여 기억 데이터가 휘발되는 회로(1201)와, 전원 차단에 의하여 기억 데이터가 휘발되지 않는 회로(1202)와, 스위치(1203)와, 스위치(1204)와, 논리 소자(1206)와, 용량 소자(1207)와, 선택 기능을 가지는 회로(1220)를 가진다. 회로(1202)는, 용량 소자(1208)와, 트랜지스터(1209)와, 트랜지스터(1210)를 가진다. 또한, 기억 소자(1200)는, 필요에 따라, 다이오드, 저항 소자, 인덕터 등 그 외의 소자를 더 가지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회로(1202)에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기억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기억 소자(1200)에 대한 전원 전압의 공급이 정지되었을 때, 회로(1202)의 트랜지스터(1209)의 게이트에는 접지 전위(0V), 또는 트랜지스터(1209)가 오프가 되는 전위가 계속 입력되는 구성으로 한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1209)의 제 1 게이트가 저항 등의 부하를 통하여 접지되는 구성으로 한다.
스위치(1203)는, 하나의 도전형(예를 들어, n채널형)의 트랜지스터(1213)를 사용하여 구성하고, 스위치(1204)는, 하나의 도전형과는 반대의 도전형(예를 들어, p채널형)의 트랜지스터(1214)를 사용하여 구성한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스위치(1203)의 제 1 단자는 트랜지스터(1213)의 소스와 드레인의 한쪽에 대응하고, 스위치(1203)의 제 2 단자는 트랜지스터(1213)의 소스와 드레인의 다른 쪽에 대응하고, 스위치(1203)는 트랜지스터(1213)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RD)에 따라, 제 1 단자와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 또는 비도통(즉, 트랜지스터(1213)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이 선택된다. 스위치(1204)의 제 1 단자는 트랜지스터(1214)의 소스와 드레인의 한쪽에 대응하고, 스위치(1204)의 제 2 단자는 트랜지스터(1214)의 소스와 드레인의 다른 쪽에 대응하고, 스위치(1204)는 트랜지스터(1214)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RD)에 따라, 제 1 단자와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 또는 비도통(즉, 트랜지스터(1214)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이 선택된다.
트랜지스터(1209)의 소스와 드레인의 한쪽은, 용량 소자(1208)의 한 쌍의 전극 중 한쪽, 및 트랜지스터(1210)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접속 부분을 노드(M2)로 한다. 트랜지스터(1210)의 소스와 드레인의 한쪽은, 저전원 전위를 공급할 수 있는 배선(예를 들어, GND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쪽은, 스위치(1203)의 제 1 단자(트랜지스터(1213)의 소스와 드레인의 한쪽)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스위치(1203)의 제 2 단자(트랜지스터(1213)의 소스와 드레인의 다른 쪽)는 스위치(1204)의 제 1 단자(트랜지스터(1214)의 소스와 드레인의 한쪽)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스위치(1204)의 제 2 단자(트랜지스터(1214)의 소스와 드레인의 다른 쪽)는 전원 전위(VDD)를 공급할 수 있는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스위치(1203)의 제 2 단자(트랜지스터(1213)의 소스와 드레인의 다른 쪽)와, 스위치(1204)의 제 1 단자(트랜지스터(1214)의 소스와 드레인의 한쪽)와, 논리 소자(1206)의 입력 단자와, 용량 소자(1207)의 한 쌍의 전극 중 한쪽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접속 부분을 노드(M1)로 한다. 용량 소자(1207)의 한 쌍의 전극 중 다른 쪽은, 일정한 전위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전원 전위(GND 등) 또는 고전원 전위(VDD 등)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용량 소자(1207)의 한 쌍의 전극 중 다른 쪽은, 저전원 전위를 공급할 수 있는 배선(예를 들어, GND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용량 소자(1208)의 한 쌍의 전극 중 다른 쪽은, 일정한 전위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전원 전위(GND 등) 또는 고전원 전위(VDD 등)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용량 소자(1208)의 한 쌍의 전극 중 다른 쪽은, 저전원 전위를 공급할 수 있는 배선(예를 들어, GND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용량 소자(1207) 및 용량 소자(1208)는, 트랜지스터나 배선의 기생 용량 등을 적극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트랜지스터(1209)의 제 1 게이트(제 1 게이트 전극)에는, 제어 신호(WE)가 입력된다. 스위치(1203) 및 스위치(1204)는, 제어 신호(WE)와는 다른 제어 신호(RD)에 따라 제 1 단자와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 상태 또는 비도통 상태가 선택되고, 한쪽의 스위치의 제 1 단자와 제 2 단자 사이가 도통 상태일 때 다른 쪽의 스위치의 제 1 단자와 제 2 단자 사이는 비도통 상태가 된다.
또한, 도 37에서의 트랜지스터(1209)에서는 제 2 게이트(제 2 게이트 전극: 백 게이트)를 가지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 1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WE)를 입력하고, 제 2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WE2)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 신호(WE2)는, 일정한 전위의 신호로 하면 좋다. 당해 일정한 전위에는, 예를 들어 접지 전위(GND)나 트랜지스터(1209)의 소스 전위보다 작은 전위 등이 선택된다. 이때, 제어 신호(WE2)는, 트랜지스터(1209)의 문턱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전위 신호이고, 게이트 전압(VG)이 0V일 때의 전류)를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WE2)는, 제어 신호(WE)와 같은 전위 신호이어도 좋다. 또한, 트랜지스터(1209)로서는, 제 2 게이트를 가지지 않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트랜지스터(1209)의 소스와 드레인의 다른 쪽에는, 회로(1201)에 유지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된다. 도 36에서는, 회로(1201)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트랜지스터(1209)의 소스와 드레인의 다른 쪽에 입력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스위치(1203)의 제 2 단자(트랜지스터(1213)의 소스와 드레인의 다른 쪽)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논리 소자(1206)에 의하여 그 논리값이 반전된 반전 신호가 되어, 회로(1220)를 통하여 회로(1201)에 입력된다.
또한, 도 37에는, 스위치(1203)의 제 2 단자(트랜지스터(1213)의 소스와 드레인의 다른 쪽)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논리 소자(1206) 및 회로(1220)를 통하여 회로(1201)에 입력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위치(1203)의 제 2 단자(트랜지스터(1213)의 소스와 드레인의 다른 쪽)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논리값이 반전되지 않고 회로(1201)에 입력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회로(1201) 내에,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논리값이 반전된 신호가 유지되는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에, 스위치(1203)의 제 2 단자(트랜지스터(1213)의 소스와 드레인의 다른 쪽)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해당 노드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37에 있어서, 기억 소자(1200)에 사용되는 트랜지스터 중, 트랜지스터(1209) 이외의 트랜지스터는, 산화물 반도체 이외의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층 또는 기판(1190)에 채널이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층 또는 실리콘 기판에 채널이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억 소자(1200)에 사용되는 트랜지스터 모두를, 채널이 산화물 반도체층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로 할 수도 있다. 또는, 기억 소자(1200)는, 트랜지스터(1209) 이외에도, 채널이 산화물 반도체층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도 좋고, 나머지 트랜지스터는 산화물 반도체 이외의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층 또는 기판(1190)에 채널이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로 할 수도 있다.
도 37에서의 회로(1201)에는, 예를 들어 플립플롭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논리 소자(1206)로서는, 예를 들어 인버터나 클럭드 인버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의 반도체 장치에서는, 기억 소자(1200)에 전원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는, 회로(1201)에 기억된 데이터를, 회로(1202)에 제공된 용량 소자(1208)에 의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에 채널이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는 오프 전류가 매우 작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층에 채널이 형성되는 트랜지스터의 오프 전류는, 결정성을 가지는 실리콘에 채널이 형성되는 트랜지스터의 오프 전류에 비하여 현저히 낮다. 그러므로, 해당 트랜지스터를 트랜지스터(1209)로서 사용함으로써, 기억 소자(1200)에 전원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도 용량 소자(1208)에 유지된 신호가 장기간에 걸쳐 유지된다. 이와 같이, 기억 소자(1200)는 전원 전압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도 기억 내용(데이터)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위치(1203) 및 스위치(1204)를 제공함으로써, 프리차지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소자이기 때문에, 전원 전압 공급 재개 후에, 회로(1201)가 원래의 데이터를 다시 유지할 때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회로(1202)에 있어서, 용량 소자(1208)에 의하여 유지된 신호는 트랜지스터(1210)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그러므로, 기억 소자(1200)에 대한 전원 전압의 공급이 재개된 후, 용량 소자(1208)에 의하여 유지된 신호를, 트랜지스터(1210)의 상태(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환하여, 회로(1202)로부터 판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용량 소자(1208)에 유지된 신호에 대응하는 전위가 다소 변동되어 있더라도, 원래의 신호를 정확하게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억 소자(1200)를, 프로세서가 가지는 레지스터나 캐시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에 사용함으로써, 전원 전압의 공급 정지로 인한 기억 장치 내의 데이터의 소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전압의 공급을 재개한 후, 단시간에 전원 공급 정지 전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 전체, 또는 프로세서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논리 회로에 있어서, 짧은 시간이라도 전원 정지를 행할 수 있으므로,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억 소자(1200)를 CPU에 사용하는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기억 소자(120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커스텀 LSI,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등의 LSI, RF(Radio Frequency) 태그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 및 실시예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 장치 회로 구성예>
도 38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38의 (B)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의 화소에 액정 소자를 적용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화소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또한, 도 38의 (C)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의 화소에 유기 EL 소자를 적용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화소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화소부에 배치하는 트랜지스터는, 실시형태 1 내지 3에 따라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트랜지스터는 n채널형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구동 회로 중, n채널형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는 구동 회로의 일부를 화소부의 트랜지스터와 동일 기판 위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화소부나 구동 회로에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신뢰성이 높은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의 상면도의 일례를 도 38의 (A)에 도시하였다. 표시 장치의 기판(700) 위에는, 화소부(701), 제 1 주사선 구동 회로(702), 제 2 주사선 구동 회로(703), 신호선 구동 회로(704)를 가진다. 화소부(701)에는, 복수의 신호선이 신호선 구동 회로(704)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주사선이 제 1 주사선 구동 회로(702), 및 제 2 주사선 구동 회로(703)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주사선과 신호선의 교차 영역에는, 각각, 표시 소자를 가지는 화소가 매트릭스상으로 제공되어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기판(700)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접속부를 통하여, 타이밍 제어 회로(컨트롤러, 제어 IC라고도 함)에 접속되어 있다.
도 38의 (A)에서는, 제 1 주사선 구동 회로(702), 제 2 주사선 구동 회로(703), 신호선 구동 회로(704)는, 화소부(701)와 같은 기판(700) 위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외부에 제공하는 구동 회로 등의 부품의 수가 줄어들므로,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판(700)의 외부에 구동 회로를 제공한 경우, 배선을 연장시킬 필요가 생겨, 배선 간의 접속수가 늘어난다. 같은 기판(700) 위에 구동 회로를 제공한 경우, 그 배선 간의 접속수를 줄일 수 있어, 신뢰성의 향상, 또는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주사선 구동 회로(702), 제 2 주사선 구동 회로(703), 신호선 구동 회로(704) 중 어느 것이 기판(700) 위에 실장된 구성이나 기판(700)의 외부에 제공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액정 표시 장치>
또한, 화소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도 38의 (B)에 도시하였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VA형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에 적용할 수 있는 화소 회로를 나타낸다.
이 화소 회로는, 하나의 화소에 복수의 화소 전극층을 가지는 구성에 적용할 수 있다. 각각의 화소 전극층은 다른 트랜지스터에 접속되고, 각 트랜지스터는 다른 게이트 신호로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멀티도메인 설계된 화소의 개개의 화소 전극층에 인가하는 신호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716)의 주사선(712)과, 트랜지스터(717)의 주사선(713)에는, 상이한 게이트 신호를 공급할 수 있도록 분리되어 있다. 한편, 신호선(714)은, 트랜지스터(716)와 트랜지스터(717)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트랜지스터(716)와 트랜지스터(717)는 실시형태 1 내지 3에서 설명하는 트랜지스터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신뢰성이 높은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716)에는, 제 1 화소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717)에는, 제 2 화소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화소 전극과 제 2 화소 전극은, 각각 분리되어 있다. 또한, 제 1 화소 전극 및 제 2 화소 전극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제 1 화소 전극은, V자상으로 하면 좋다.
트랜지스터(716)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712)과 접속되고, 트랜지스터(717)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713)과 접속되어 있다. 주사선(712)과 주사선(713)에 상이한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여 트랜지스터(716)와 트랜지스터(717)의 동작 타이밍을 다르게 하여, 액정의 배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용량 배선(710)과, 유전체로서 기능하는 게이트 절연층과, 제 1 화소 전극층 또는 제 2 화소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용량 전극으로 유지 용량을 형성하여도 좋다.
멀티도메인 설계에서는, 하나의 화소에 제 1 액정 소자(718)와 제 2 액정 소자(719)를 구비한다. 제 1 액정 소자(718)는 제 1 화소 전극층과 대향 전극층과 그 사이의 액정층으로 구성되고, 제 2 액정 소자(719)는 제 2 화소 전극층과 대향 전극층과 그 사이의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38의 (B)에 도시된 화소 회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8의 (B)에 도시된 화소 회로에 새로 스위치, 저항 소자, 용량 소자, 트랜지스터, 센서, 또는 논리 회로 등을 추가하여도 좋다.
<유기 EL 표시 장치>
화소의 회로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 38의 (C)에 도시하였다. 여기서는, 유기 EL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화소 구조를 나타낸다.
유기 EL 소자는, 발광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한 쌍의 전극 중 한쪽으로부터 전자가, 다른 쪽으로부터 정공이 각각 발광성의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에 주입되어, 전류가 흐른다. 그리고, 전자 및 정공이 재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발광성의 유기 화합물이 여기 상태를 형성하고, 그 여기 상태가 기저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발광한다. 이러한 메커니즘 때문에, 이와 같은 발광 소자는, 전류 여기형의 발광 소자라고 불린다.
도 38의 (C)는, 적용 가능한 화소 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n채널형의 트랜지스터를 하나의 화소에 2개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당해 화소 회로는, 디지털 시간 계조 구동을 적용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화소 회로의 구성 및 디지털 시간 계조 구동을 적용한 경우의 화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소(720)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721), 구동용 트랜지스터(722), 발광 소자(724) 및 용량 소자(723)를 가지고 있다. 스위칭용 트랜지스터(721)는, 게이트 전극층이 주사선(726)에 접속되고, 제 1 전극(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 중 한쪽)이 신호선(725)에 접속되고, 제 2 전극(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 중 다른 쪽)이 구동용 트랜지스터(722)의 게이트 전극층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용 트랜지스터(722)는, 게이트 전극층이 용량 소자(723)를 통하여 전원선(727)에 접속되고, 제 1 전극이 전원선(727)에 접속되고, 제 2 전극이 발광 소자(724)의 제 1 전극(화소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발광 소자(724)의 제 2 전극은 공통 전극(728)에 상당한다. 공통 전극(728)은, 동일 기판 위에 형성되는 공통 전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스위칭용 트랜지스터(721) 및 구동용 트랜지스터(722)에는 실시형태 1 내지 3에서 설명하는 트랜지스터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신뢰성이 높은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발광 소자(724)의 제 2 전극(공통 전극(728))의 전위는 저전원 전위로 설정한다. 또한, 저전원 전위란, 전원선(727)에 공급되는 고전원 전위보다 낮은 전위이며, 예를 들어 GND, 0V 등을 저전원 전위로서 설정할 수 있다. 발광 소자(724)의 순방향의 문턱 전압 이상이 되도록 고전원 전위와 저전원 전위를 설정하고, 그 전위차를 발광 소자(724)에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발광 소자(724)에 전류를 흘려서 발광시킨다. 또한, 발광 소자(724)의 순방향 전압이란, 원하는 휘도로 하는 경우의 전압을 가리키며, 적어도 순방향 문턱 전압을 포함한다.
또한, 용량 소자(723)는 구동용 트랜지스터(722)의 게이트 용량을 대용하는 것에 의하여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동용 트랜지스터(722)에 입력하는 신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압 입력 전압 구동 방식의 경우, 구동용 트랜지스터(722)가 충분히 온이 되거나, 오프가 되는 2개의 상태가 되는 비디오 신호를, 구동용 트랜지스터(722)에 입력한다. 또한, 구동용 트랜지스터(722)를 선형 영역에서 동작시키기 위하여, 전원선(727)의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구동용 트랜지스터(722)의 게이트 전극층에 가한다. 또한, 신호선(725)에는, 전원선 전압에 구동용 트랜지스터(722)의 문턱 전압 Vth를 더한 값 이상의 전압을 가한다.
아날로그 계조 구동을 행하는 경우, 구동용 트랜지스터(722)의 게이트 전극층에 발광 소자(724)의 순방향 전압에 구동용 트랜지스터(722)의 문턱 전압 Vth를 더한 값 이상의 전압을 가한다. 또한, 구동용 트랜지스터(722)가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도록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발광 소자(724)에 전류를 흘린다. 또한, 구동용 트랜지스터(722)를 포화 영역에서 동작시키기 위하여, 전원선(727)의 전위를, 구동용 트랜지스터(722)의 게이트 전위보다 높게 한다.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로 함으로써, 발광 소자(724)에 비디오 신호에 따른 전류를 흘려, 아날로그 계조 구동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소 회로의 구성은, 도 38의 (C)에 도시된 화소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8의 (C)에 도시된 화소 회로에 스위치, 저항 소자, 용량 소자, 센서, 트랜지스터 또는 논리 회로 등을 추가하여도 좋다.
도 38에서 예시한 회로에 상기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트랜지스터를 적용하는 경우, 저전위 측에 소스 전극(제 1 전극), 고전위 측에 드레인 전극(제 2 전극)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제어 회로 등에 의하여 제 1 게이트 전극의 전위를 제어하고, 제 2 게이트 전극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에 의하여 소스 전극에 공급하는 전위보다 낮은 전위를 인가하는 등, 상기에서 예시한 전위를 입력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좋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 표시 소자, 표시 소자를 가지는 장치인 표시 장치,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를 가지는 장치인 발광 장치는,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다양한 소자를 가질 수 있다. 표시 소자, 표시 장치,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장치는, 예를 들어, EL(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유기물 및 무기물을 포함하는 EL 소자, 유기 EL 소자, 무기 EL 소자), LED(백색 LED, 적색 LED, 녹색 LED, 청색 LED 등), 트랜지스터(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트랜지스터), 전자 방출 소자, 액정 소자, 전자 잉크, 전기 영동 소자, 그레이팅 라이트 밸브(GLV),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DP), MEMS(마이크로·일렉트로·메커니컬·시스템),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MD), DMS(디지털·마이크로·셔터), MIRASOL(등록 상표), IMOD(인터피어런스·모듈레이션) 소자, 일렉트로 웨팅 소자, 압전 세라믹 디스플레이, 카본 나노튜브를 사용한 표시 소자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있다. 이들 외에도, 전기적 또는 자기적 작용에 의하여, 콘트라스트, 휘도, 반사율, 투과율 등이 변화하는 표시 매체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EL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는, EL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전자 방출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는,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FED) 또는 SED 방식 평면형 디스플레이(SED: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등이 있다. 액정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반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직시형 액정 디스플레이, 투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전자 잉크 또는 전기 영동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는, 전자 종이 등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 및 실시예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8)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반도체 장치를 적용한 표시 모듈에 대하여, 도 29를 사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표시 모듈>
도 39에 도시된 표시 모듈(6000)은, 상부 커버(6001)와 하부 커버(6002) 사이에, FPC(6003)에 접속된 터치 패널(6004), FPC(6005)에 접속된 표시 패널(6006), 백라이트 유닛(6007), 프레임(6009), 프린트 기판(6010), 배터리(6011)를 가진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6007), 배터리(6011), 터치 패널(6004) 등은, 제공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반도체 장치는, 예를 들어, 표시 패널(6006)이나, 프린트 기판에 실장된 집적 회로에 사용할 수 있다.
상부 커버(6001) 및 하부 커버(6002)는, 터치 패널(6004) 및 표시 패널(6006)의 사이즈에 맞춰, 형상이나 치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04)은, 저항막 방식 또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을 표시 패널(6006)에 중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6006)의 대향 기판(밀봉 기판)에, 터치 패널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표시 패널(6006)의 각 화소 내에 광 센서를 제공하여, 광학식의 터치 패널 기능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표시 패널(6006)의 각 화소 내에 터치 센서용 전극을 제공하여,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기능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백라이트 유닛(6007)은, 광원(6008)을 가진다. 광원(6008)을 백라이트 유닛(6007)의 단부에 제공하고, 광 확산판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프레임(6009)은, 표시 패널(6006)의 보호 기능뿐만 아니라, 프린트 기판(6010)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전자기 실드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프레임(6009)은, 방열판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프린트 기판(6010)은, 전원 회로, 비디오 신호 및 클럭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진다. 전원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서는, 외부의 상용 전원이어도 좋고, 별도로 제공한 배터리(6011)이어도 좋다. 또한, 상용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터리(6011)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표시 모듈(6000)에는, 편광판, 위상차판, 프리즘 시트 등의 부재를 추가적으로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 및 실시예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9)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드 프레임형의 인터포저를 사용한 패키지>
도 40의 (A)에, 리드 프레임형의 인터포저를 사용한 패키지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도 40의 (A)에 도시된 패키지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상당하는 칩(1751)이, 와이어 본딩법에 의하여, 인터포저(1750) 위의 단자(1752)와 접속되어 있다. 단자(1752)는, 인터포저(1750)의 칩(1751)이 마운트되어 있는 면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칩(1751)은 몰드 수지(1753)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어도 좋지만, 각 단자(1752)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밀봉되도록 한다.
패키지가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전자 기기(휴대 전화)의 모듈의 구성을, 도 40의 (B)에 도시하였다. 도 40의 (B)에 도시된 휴대 전화의 모듈은, 프린트 배선 기판(1801)에, 패키지(1802)와, 배터리(1804)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표시 소자가 제공된 패널(1800)에, 프린트 배선 기판(1801)이 FPC(1803)에 의하여 실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 및 실시예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0)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전자 기기>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반도체 장치를 사용하여, 전자 기기나 조명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반도체 장치를 사용하여, 신뢰성이 높은 전자 기기나 조명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반도체 장치를 사용하여, 터치 센서의 검출 감도가 향상된 전자 기기나 조명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전자 기기로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장치(텔레비전,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라고도 함), 컴퓨터용 등의 모니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포토 프레임, 휴대 전화기(휴대 전화, 휴대 전화 장치라고도 함), 휴대형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 음향 재생 장치, 파친코기 등의 대형 게임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전자 기기 또는 조명 장치는 가요성을 가지는 경우, 가옥이나 빌딩의 내벽 또는 외벽, 또는 자동차의 내장 또는 외장의 곡면을 따라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전자 기기는, 이차 전지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비접촉 전력 전송을 사용하여, 이차 전지를 충전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차 전지로서는, 예를 들어, 겔상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폴리머 전지(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유기 라디칼 전지, 납 축전지, 공기 이차 전지, 니켈 아연 전지, 은 아연 전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전자 기기는, 안테나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안테나에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표시부에서 영상이나 정보 등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가 이차 전지를 가지는 경우, 안테나를, 비접촉 전력 전송에 사용하여도 좋다.
도 41의 (A)는 휴대형 게임기이며, 하우징(7101), 하우징(7102), 표시부(7103), 표시부(7104), 마이크로폰(7105), 스피커(7106), 조작 키(7107), 스타일러스(7108) 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하우징(7101)에 내장되어 있는 집적 회로, CPU 등에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7103) 또는 표시부(7104)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감이 우수하고, 품질의 저하가 일어나기 어려운 휴대형 게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1의 (A)에 도시된 휴대형 게임기는, 2개의 표시부(7103)와 표시부(7104)를 가지고 있지만, 휴대형 게임기가 가지는 표시부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1의 (B)는, 스마트워치이며, 하우징(7302), 표시부(7304), 조작 버튼(7311, 7312), 접속 단자(7313), 밴드(7321), 버클(7322) 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하우징(7302)에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 CPU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도 41의 (C)는, 휴대 정보 단말이며, 하우징(7501)에 탑재된 표시부(7502) 외에, 조작 버튼(7503), 외부 접속 포트(7504), 스피커(7505), 마이크로폰(7506), 표시부(7502) 등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하우징(7501)에 내장되어 있는 모바일용 메모리, CPU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7502)는, 매우 고정세(高精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중소형이면서 풀 하이비전, 4k, 또는 8k 등, 다양한 표시를 행할 수 있고, 매우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도 41의 (D)는 비디오 카메라이며, 제 1 하우징(7701), 제 2 하우징(7702), 표시부(7703), 조작 키(7704), 렌즈(7705), 접속부(7706) 등을 가진다. 조작 키(7704) 및 렌즈(7705)는 제 1 하우징(7701)에 제공되어 있고, 표시부(7703)는 제 2 하우징(7702)에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하우징(7701)과 제 2 하우징(7702)은, 접속부(7706)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고, 제 1 하우징(7701)과 제 2 하우징(7702) 사이의 각도는, 접속부(7706)에 의하여 변경이 가능하다. 표시부(7703)에서의 영상을, 접속부(7706)에서의 제 1 하우징(7701)과 제 2 하우징(7702) 사이의 각도에 따라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렌즈(7705)의 초점이 되는 위치에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촬상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제 1 하우징(7701)에 내장되어 있는 집적 회로, CPU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도 41의 (E)는,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이며, 전주(7901)에 설치된 표시부(7902)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부(7902)의 제어 회로에 사용할 수 있다.
도 42의 (A)는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이며, 하우징(8121), 표시부(8122), 키보드(8123), 포인팅 디바이스(8124) 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하우징(8121) 내에 내장되어 있는 CPU나, 메모리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8122)는, 매우 고정세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중소형이면서 8k의 표시를 행할 수 있고, 매우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도 42의 (B)에 자동차(9700)의 외관을 도시하였다. 도 42의 (C)에 자동차(9700)의 운전석을 도시하였다. 자동차(9700)는, 차체(9701), 차륜(9702), 대시보드(9703), 라이트(9704) 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반도체 장치는, 자동차(9700)의 표시부, 및 제어용의 집적 회로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2의 (C)에 도시된 표시부(9710) 내지 표시부(9715)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반도체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9710)와 표시부(9711)는, 자동차의 앞유리에 제공된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는,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가 가지는 전극을, 투광성을 가지는 도전성 재료로 제작하는 것에 의하여, 반대쪽이 비쳐 보이는, 소위 시스루 상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로 할 수 있다. 시스루 상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이면, 자동차(9700)의 운전 시에도 시계(視界)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자동차(9700)의 앞유리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에,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등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유기 반도체 재료를 사용한 유기 트랜지스터나,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 등, 투광성을 가지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면 좋다.
표시부(9712)는 필러 부분에 제공된 표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차체에 제공된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영상을 표시부(9712)에 표시함으로써, 필러에 의하여 가려진 시계를 보완할 수 있다. 표시부(9713)는 대시보드 부분에 제공된 표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차체에 제공된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영상을 표시부(9713)에 표시함으로써, 대시보드에 의하여 가려진 시계를 보완할 수 있다. 즉, 자동차의 외측에 제공된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각을 보완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이지 않는 부분을 보완하는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더 자연스럽게 위화감 없이 안전 확인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2의 (D)는, 운전석과 조수석에 벤치 시트를 채용한 자동차의 실내를 도시하고 있다. 표시부(9721)는, 도어부에 제공된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이다. 예를 들어, 차체에 제공된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영상을 표시부(9721)에 표시함으로써, 도어에 의하여 가려진 시계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9722)는, 핸들에 제공된 표시 장치이다. 표시부(9723)는, 벤치 시트의 착좌면의 중앙부에 제공된 표시 장치이다. 또한, 표시 장치를 착좌면이나 등받이 부분 등에 설치하여, 당해 표시 장치를, 당해 표시 장치의 발열을 열원으로 한 시트 히터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표시부(9714), 표시부(9715), 또는 표시부(9722)는 내비게이션 정보, 스피드미터나 태코미터, 주행 거리, 급유량, 기어 상태, 에어컨의 설정 등, 그 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항목이나 레이아웃 등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표시부(9710) 내지 표시부(9713), 표시부(9721), 표시부(9723)에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9710) 내지 표시부(9715), 표시부(9721) 내지 표시부(9723)는 조명 장치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표시부(9710) 내지 표시부(9715), 표시부(9721) 내지 표시부(9723)는 가열 장치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3의 (A)에, 카메라(8000)의 외관을 도시하였다. 카메라(8000)는, 하우징(8001), 표시부(8002), 조작 버튼(8003), 셔터 버튼(8004), 결합부(8005) 등을 가진다. 또한 카메라(8000)에는, 렌즈(8006)를 장착할 수 있다.
결합부(8005)는, 전극을 가지고, 후술하는 파인더(8100) 외에, 스트로보 장치 등을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는 카메라(8000)로서, 렌즈(8006)를 하우징(8001)에서 떼어 내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렌즈(8006)와 하우징이 일체가 되어 있어도 좋다.
셔터 버튼(8004)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촬상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8002)는 터치 패널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표시부(8002)를 터치하는 것에 의하여 촬상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8002)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3의 (B)에는, 카메라(8000)에 파인더(8100)를 장착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파인더(8100)는, 하우징(8101), 표시부(8102), 버튼(8103) 등을 가진다.
하우징(8101)에는, 카메라(8000)의 결합부(8005)와 맞물리는 결합부를 가지고 있으며, 파인더(8100)를 카메라(80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결합부에는 전극을 가지고, 당해 전극을 통하여 카메라(8000)로부터 수신한 영상 등을 표시부(8102)에 표시시킬 수 있다.
버튼(8103)은, 전원 버튼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버튼(8103)에 의하여, 표시부(8102)의 표시의 온·오프를 전환할 수 있다.
하우징(8101) 내에 있는, 집적 회로, 이미지 센서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반도체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3의 (A) (B)에서는, 카메라(8000)와 파인더(8100)를 별개의 전자 기기로 하여, 이들이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카메라(8000)의 하우징(8001)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구비한 파인더가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43의 (C)에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8200)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8200)는, 장착부(8201), 렌즈(8202), 본체(8203), 표시부(8204), 케이블(8205) 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장착부(8201)에는, 배터리(8206)가 내장되어 있다.
케이블(8205)은, 배터리(8206)로부터 본체(8203)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체(8203)는 무선 수신기 등을 구비하고, 수신한 화상 데이터 등의 영상 정보를 표시부(8204)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8203)에 제공된 카메라로 사용자의 안구나 눈꺼풀의 움직임을 포착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시점의 좌표를 산출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시점을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8201)에는, 사용자에 접촉하는 위치에 복수의 전극이 제공되어 있어도 좋다. 본체(8203)는 사용자의 안구의 움직임에 따라 전극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시점을 인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당해 전극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맥박을 모니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장착부(8201)에는, 온도 센서, 압력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표시부(8204)에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움직임 등을 검출하여, 표시부(8204)에 표시하는 영상을 그 움직임에 맞춰서 변화시켜도 좋다.
본체(8203)의 내부의 집적 회로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반도체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적어도 그 일부를 본 명세서 내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1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사용한 RF 태그의 사용예에 대하여 도 44를 사용하면서 설명한다.
<RF 태그의 사용예>
RF 태그의 용도는 광범위하지만, 예를 들어, 지폐, 동전, 유가 증권류, 무기명 채권류, 증서류(운전 면허증이나 주민표 등, 도 44의 (A) 참조), 탈것류(자전거 등, 도 44의 (B) 참조), 포장용 용기류(포장지나 보틀 등, 도 44의 (C) 참조), 기록 매체(DVD나 비디오 테이프 등 신변품(가방이나 안경 등, 도 44의 (D) 참조), 식품류, 식물류, 동물류, 인체, 의류, 생활용품류, 약품이나 약제를 포함하는 의료품, 또는 전자 기기(액정 표시 장치, EL 표시 장치, 텔레비전 장치, 또는 휴대 전화) 등의 물품, 또는 각 물품에 장착하는 꼬리표(도 44의 (E), 도 44의 (F) 참조) 등에 제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RF 태그(4000)는, 표면에 붙이거나 또는 매립하는 것에 의하여, 물품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책이면 종이에 매립하고, 유기 수지로 이루어지는 패키지이면 당해 유기 수지의 내부에 매립하여, 각 물품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RF 태그(4000)는, 소형, 박형, 경량을 실현하기 때문에, 물품에 고정한 후에도 그 물품 자체의 디자인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지폐, 동전, 유가 증권류, 무기명 채권류, 또는 증서류 등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RF 태그(4000)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인증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이 인증 기능을 활용하면, 위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장용 용기류, 기록 매체, 신변품, 식품류, 의류, 생활용품류, 또는 전자 기기 등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RF 태그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검품 시스템 등의 시스템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탈것류이어도,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RF 태그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도난 등에 대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사용한 RF 태그를, 본 실시형태에서 열거한 각 용도로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정보의 기록이나 판독을 포함하는 동작 전력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 통신 거리를 길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력이 차단된 상태이어도 정보를 매우 긴 기간 유지 가능하기 때문에, 기록이나 판독의 빈도가 낮은 용도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 및 실시예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10: 트랜지스터
11: 트랜지스터
12: 트랜지스터
13: 트랜지스터
14: 트랜지스터
63: 반도체층
64: 반도체층
65: 반도체층
100: 기판
110: 절연층
120: 산화물 반도체층
121: 산화물 반도체층
122: 산화물 반도체층
123: 산화물 반도체층
123a: 산화물 반도체막
124: 산화물 반도체층
130: 소스 전극층
130b: 도전층
131: 소스 전극층
132: 소스 전극층
135: 도전층
140: 드레인 전극층
141: 드레인 전극층
142: 드레인 전극층
150: 게이트 절연층
150a: 절연막
160: 게이트 전극층
160a: 도전막
161: 게이트 전극층
162: 게이트 전극층
163: 게이트 전극층
165: 도전층
166: 도전층
167: 도전층
170: 절연층
171: 혼합층
172: 산소
174: 홈부
175: 절연층
175b: 절연층
176: 레지스트 마스크
177: 절연층
180: 절연층
185: 절연층
190: 도전층
191: 도전층
192: 도전층
200: 촬상 장치
201: 스위치
202: 스위치
203: 스위치
210: 화소부
211: 화소
212: 부화소
212B: 부화소
212G: 부화소
212R: 부화소
220: 광전 변환 소자
230: 화소 회로
231: 배선
247: 배선
248: 배선
249: 배선
250: 배선
253: 배선
254: 필터
254B: 필터
254G: 필터
254R: 필터
255: 렌즈
256: 광
257: 배선
260: 주변 회로
270: 주변 회로
280: 주변 회로
290: 주변 회로
291: 광원
300: 실리콘 기판
310: 층
320: 층
330: 층
340: 층
351: 트랜지스터
352: 트랜지스터
353: 트랜지스터
360: 포토다이오드
361: 애노드
362: 캐소드
363: 저저항 영역
365: 포토다이오드
366: 반도체층
367: 반도체층
368: 반도체층
370: 플러그
371: 배선
372: 배선
373: 배선
374: 배선
601: 전구체
602: 전구체
700: 기판
701: 화소부
702: 주사선 구동 회로
703: 주사선 구동 회로
704: 신호선 구동 회로
710: 용량 배선
712: 주사선
713: 주사선
714: 신호선
716: 트랜지스터
717: 트랜지스터
718: 액정 소자
719: 액정 소자
720: 화소
721: 스위칭용 트랜지스터
722: 구동용 트랜지스터
723: 용량 소자
724: 발광 소자
725: 신호선
726: 주사선
727: 전원선
728: 공통 전극
800: RF 태그
801: 통신기
802: 안테나
803: 무선 신호
804: 안테나
805: 정류 회로
806: 정전압 회로
807: 복조 회로
808: 변조 회로
809: 논리 회로
810: 기억 회로
811: ROM
1189: ROM 인터페이스
1190: 기판
1191: ALU
1192: ALU 컨트롤러
1193: 인스트럭션 디코더
1194: 인터럽트 컨트롤러
1195: 타이밍 컨트롤러
1196: 레지스터
1197: 레지스터 컨트롤러
1198: 버스 인터페이스
1199: ROM
1200: 기억 소자
1201: 회로
1202: 회로
1203: 스위치
1204: 스위치
1206: 논리 소자
1207: 용량 소자
1208: 용량 소자
1209: 트랜지스터
1210: 트랜지스터
1213: 트랜지스터
1214: 트랜지스터
1220: 회로
1223: 산화물 반도체층
1700: 피성막 기판
1701: 체임버
1702: 로드실
1703: 전처리실
1704: 체임버
1705: 체임버
1706: 언로드실
1711a: 원료 공급부
1711b: 원료 공급부
1712a: 고속 밸브
1712b: 고속 밸브
1713a: 원료 도입구
1713b: 원료 도입구
1714: 원료 배출구
1715: 배기 장치
1716: 기판 홀더
1720: 반송실
1750: 인터포저
1751: 칩
1752: 단자
1753: 몰드 수지
1800: 패널
1801: 프린트 배선 기판
1802: 패키지
1803: FPC
1804: 배터리
2100: 트랜지스터
2200: 트랜지스터
2201: 절연체
2202: 배선
2203: 플러그
2204: 절연체
2205: 배선
2207: 절연체
2210: 중간층
2211: 반도체 기판
2212: 절연체
2213: 게이트 전극
2214: 게이트 절연체
2215: 드레인 영역
3001: 배선
3002: 배선
3003: 배선
3004: 배선
3005: 배선
3200: 트랜지스터
3300: 트랜지스터
3400: 용량 소자
4000: RF 태그
5100: 펠릿
5120: 기판
5161: 영역
6000: 표시 모듈
6001: 상부 커버
6002: 하부 커버
6003: FPC
6004: 터치 패널
6005: FPC
6006: 표시 패널
6007: 백라이트 유닛
6008: 광원
6009: 프레임
6010: 프린트 기판
6011: 배터리
7101: 하우징
7102: 하우징
7103: 표시부
7104: 표시부
7105: 마이크로폰
7106: 스피커
7107: 조작 키
7108: 스타일러스
7302: 하우징
7304: 표시부
7311: 조작 버튼
7312: 조작 버튼
7313: 접속 단자
7321: 밴드
7322: 금
7501: 하우징
7502: 표시부
7503: 조작 버튼
7504: 외부 접속 포트
7505: 스피커
7506: 마이크로폰
7701: 하우징
7702: 하우징
7703: 표시부
7704: 조작 키
7705: 렌즈
7706: 접속부
7901: 전주
7902: 표시부
8000: 카메라
8001: 하우징
8002: 표시부
8003: 조작 버튼
8004: 셔터 버튼
8005: 결합부
8006: 렌즈
8100: 파인더
8101: 하우징
8102: 표시부
8103: 버튼
8121: 하우징
8122: 표시부
8123: 키보드
8124: 포인팅 디바이스
8200: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8201: 장착부
8202: 렌즈
8203: 본체
8204: 표시부
8205: 케이블
8206: 배터리
9700: 자동차
9701: 차체
9702: 차륜
9703: 대시보드
9704: 라이트
9710: 표시부
9711: 표시부
9712: 표시부
9713: 표시부
9714: 표시부
9715: 표시부
9721: 표시부
9722: 표시부
9723: 표시부

Claims (9)

  1. 반도체 장치로서,
    산화물층과,
    상기 산화물층 위의 제 1 도전층 및 제 2 도전층과,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면, 상기 제 2 도전층의 상면, 및 상기 산화물층의 측면과 접촉하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 위에 있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측면 및 상기 제 2 도전층의 측면에 접촉하는 산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산화물층 위에 있는 게이트 전극층과,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층 사이의 게이트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물층은,
    상기 제 1 도전층과 접촉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도전층과 접촉하는 제 2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있고,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과 접촉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 1 영역의 두께 및 상기 제 2 영역의 두께보다 작은, 반도체 장치.
  2. 반도체 장치로서,
    산화물층과,
    상기 산화물층 위의 제 1 도전층 및 제 2 도전층과,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면, 상기 제 2 도전층의 상면, 및 상기 산화물층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 1 절연층과,
    상기 제 1 절연층 위에 있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측면 및 상기 제 2 도전층의 측면에 접촉하는 산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산화물층 위에 있는 제 3 도전층과,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제 3 도전층 사이의 제 2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물층은,
    상기 제 1 도전층과 접촉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도전층과 접촉하는 제 2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있고,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과 접촉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 1 영역의 두께 및 상기 제 2 영역의 두께보다 작은, 반도체 장치.
  3. 반도체 장치로서,
    산화물층과,
    상기 산화물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도전층 및 제 2 도전층과,
    상기 제 1 도전층의 제 1 면, 상기 제 2 도전층의 제 1 면, 및 상기 산화물층의 제 1 면과 접촉하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과 중첩되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제 2 면 및 상기 제 2 도전층의 제 2 면에 접촉하는 산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물층은,
    상기 제 1 도전층과 접촉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도전층과 접촉하는 제 2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있고,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과 접촉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4. 반도체 장치로서,
    산화물층과,
    상기 산화물층 위의 제 1 도전층 및 제 2 도전층과,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면, 상기 제 2 도전층의 상면, 및 상기 산화물층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 1 절연층과,
    상기 제 1 절연층 위에 위치하고 홈부를 갖는 제 2 절연층과,
    상기 홈부의 내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측면 및 상기 제 2 도전층의 측면에 접촉하는 산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홈부에 있고,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산화물층 위에 있는 게이트 전극층과,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층 사이의 게이트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물층은,
    상기 제 1 도전층과 접촉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도전층과 접촉하는 제 2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있고,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과 접촉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 1 영역의 두께 및 상기 제 2 영역의 두께보다 작은, 반도체 장치.
  5. 반도체 장치로서,
    산화물층과,
    상기 산화물층 위의 제 1 도전층 및 제 2 도전층과,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면, 상기 제 2 도전층의 상면, 및 상기 산화물층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 1 절연층과,
    상기 제 1 절연층 위에 위치하고 홈부를 갖는 제 2 절연층과,
    상기 홈부에 있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측면 및 상기 제 2 도전층의 측면에 접촉하는 산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홈부에 있고,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산화물층 위에 있는 게이트 전극층과,
    상기 홈부에 있는 게이트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물층은,
    상기 제 1 도전층과 접촉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도전층과 접촉하는 제 2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있고,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과 접촉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 1 영역의 두께 및 상기 제 2 영역의 두께보다 작은, 반도체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에는 산화 알루미늄막이 사용되는, 반도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층 아래에 절연체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8. 제 2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층 또는 상기 제 2 절연층에는 산화 알루미늄막이 사용되는, 반도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산화물층과 중첩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247016939A 2015-02-06 2016-01-28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202400938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22588 2015-02-06
JP2015022588 2015-02-06
PCT/IB2016/050420 WO2016125052A1 (ja) 2015-02-06 2016-01-28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KR1020177019786A KR102669279B1 (ko) 2015-02-06 2016-01-28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786A Division KR102669279B1 (ko) 2015-02-06 2016-01-28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3853A true KR20240093853A (ko) 2024-06-24

Family

ID=5656351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786A KR102669279B1 (ko) 2015-02-06 2016-01-28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1020247008606A KR20240042119A (ko) 2015-02-06 2016-01-28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1020247016939A KR20240093853A (ko) 2015-02-06 2016-01-28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1020237037579A KR102649091B1 (ko) 2015-02-06 2016-01-28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786A KR102669279B1 (ko) 2015-02-06 2016-01-28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1020247008606A KR20240042119A (ko) 2015-02-06 2016-01-28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7579A KR102649091B1 (ko) 2015-02-06 2016-01-28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86614B2 (ko)
JP (6) JP6650888B2 (ko)
KR (4) KR102669279B1 (ko)
CN (2) CN112768511A (ko)
WO (1) WO20161250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4112B2 (en) * 2015-01-26 2018-04-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674269B2 (ja) 2015-02-09 2020-04-0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US10163479B2 (en) 2015-08-14 2018-12-25 Spin Transfer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ipolar memory write-verify
US10366774B2 (en) 2016-09-27 2019-07-30 Spin Memory, Inc. Device with dynamic redundancy registers
US10360964B2 (en) 2016-09-27 2019-07-23 Spin Memory, Inc. Method of writing contents in memory during a power up sequence using a dynamic redundancy register in a memory device
US10546625B2 (en) 2016-09-27 2020-01-28 Spin Memory, Inc. Method of optimizing write voltage based on error buffer occupancy
US10460781B2 (en) 2016-09-27 2019-10-29 Spin Memory, Inc. Memory device with a dual Y-multiplexer structure for performing two simultaneous operations on the same row of a memory bank
US10818331B2 (en) 2016-09-27 2020-10-27 Spin Memory, Inc. Multi-chip module for MRAM devices with levels of dynamic redundancy registers
US10437723B2 (en) 2016-09-27 2019-10-08 Spin Memory, Inc. Method of flushing the contents of a dynamic redundancy register to a secure storage area during a power down in a memory device
US10437491B2 (en) 2016-09-27 2019-10-08 Spin Memory, Inc. Method of processing incomplete memory operations in a memory device during a power up sequence and a power down sequence using a dynamic redundancy register
US10446210B2 (en) 2016-09-27 2019-10-15 Spin Memory, Inc. Memory instruction pipeline with a pre-read stage for a write operation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emory device that uses dynamic redundancy registers
US10424670B2 (en) * 2016-12-30 2019-09-24 Intel Corporation Display panel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JP7232764B2 (ja) * 2017-08-04 2023-03-0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US11626037B2 (en) 2017-08-04 2023-04-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device
JPWO2019048983A1 (ja) 2017-09-05 2020-10-1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US10481976B2 (en) 2017-10-24 2019-11-19 Spin Memory, Inc. Forcing bits as bad to widen the window between the distributions of acceptable high and low resistive bits thereby lowering the margin and increasing the speed of the sense amplifiers
US10529439B2 (en) 2017-10-24 2020-01-07 Spin Memory, Inc. On-the-fly bit failure detection and bit redundancy remapping techniques to correct for fixed bit defects
US10489245B2 (en) 2017-10-24 2019-11-26 Spin Memory, Inc. Forcing stuck bits, waterfall bits, shunt bits and low TMR bits to short during testing and using on-the-fly bit failure detection and bit redundancy remapping techniques to correct them
US10656994B2 (en) 2017-10-24 2020-05-19 Spin Memory, Inc. Over-voltage write operation of tunnel magnet-resistance (“TMR”) memory device and correcting failure bits therefrom by using on-the-fly bit failure detection and bit redundancy remapping techniques
TWI794340B (zh) * 2017-12-07 2023-03-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以及半導體裝置的製造方法
US10424726B2 (en) 2017-12-28 2019-09-24 Spin Memory, Inc. Process for improving photoresist pillar adhesion during MRAM fabrication
CN108155246B (zh) * 2017-12-28 2020-07-2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薄膜晶体管及其制备方法、阵列基板
US10395711B2 (en) 2017-12-28 2019-08-27 Spin Memory, Inc. Perpendicular source and bit lines for an MRAM array
US10360962B1 (en) 2017-12-28 2019-07-23 Spin Memory, Inc. Memory array with individually trimmable sense amplifiers
US10891997B2 (en) 2017-12-28 2021-01-12 Spin Memory, Inc. Memory array with horizontal source line and a virtual source line
US10811594B2 (en) 2017-12-28 2020-10-20 Spin Memory, Inc. Process for hard mask development for MRAM pillar formation using photolithography
US10395712B2 (en) 2017-12-28 2019-08-27 Spin Memory, Inc. Memory array with horizontal source line and sacrificial bitline per virtual source
US10367139B2 (en) 2017-12-29 2019-07-30 Spin Memory,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magnetic tunnel junction devices
US10546624B2 (en) 2017-12-29 2020-01-28 Spin Memory, Inc. Multi-port random access memory
US10886330B2 (en) 2017-12-29 2021-01-05 Spin Memory, Inc. Memory device having overlapping magnetic tunnel junctions in compliance with a reference pitch
US10840439B2 (en) 2017-12-29 2020-11-17 Spin Memory, Inc. Magnetic tunnel junction (MTJ) fabrication methods and systems
US10424723B2 (en) 2017-12-29 2019-09-24 Spin Memory, Inc. Magnetic tunnel junction devices including an optimization layer
US10840436B2 (en) 2017-12-29 2020-11-17 Spin Memory, Inc. Perpendicular magnetic anisotropy interface tunnel junction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0784439B2 (en) 2017-12-29 2020-09-22 Spin Memory, Inc. Precessional spin current magnetic tunnel junction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0438995B2 (en) 2018-01-08 2019-10-08 Spin Memory, Inc. Devices including magnetic tunnel junctions integrated with selectors
US10438996B2 (en) 2018-01-08 2019-10-08 Spin Memory, Inc. Methods of fabricating magnetic tunnel junctions integrated with selectors
CN111656531B (zh) * 2018-01-24 2024-05-28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装置及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KR20200123784A (ko) 2018-02-23 2020-10-3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WO2019166906A1 (ja) * 2018-02-28 2019-09-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WO2019166914A1 (ja) * 2018-02-28 2019-09-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WO2019166921A1 (ja) * 2018-03-02 2019-09-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CN111788698A (zh) * 2018-03-07 2020-10-16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装置及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US10446744B2 (en) 2018-03-08 2019-10-15 Spin Memory, Inc. Magnetic tunnel junction wafer adaptor used in magnetic annealing furna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784437B2 (en) 2018-03-23 2020-09-22 Spin Memory, Inc. Three-dimensional arrays with MTJ devices including a free magnetic trench layer and a planar reference magnetic layer
US20190296220A1 (en) 2018-03-23 2019-09-26 Spin Transfer Technologies, Inc. Magnetic Tunnel Junction Devices Including an Annular Free Magnetic Layer and a Planar Reference Magnetic Layer
US11107978B2 (en) 2018-03-23 2021-08-31 Spin Memory,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arrays with MTJ devices including a free magnetic trench layer and a planar reference magnetic layer
US11107974B2 (en) 2018-03-23 2021-08-31 Spin Memory, Inc. Magnetic tunnel junction devices including a free magnetic trench layer and a planar reference magnetic layer
WO2019186315A1 (ja) 2018-03-29 2019-10-0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7275112B2 (ja) 2018-04-20 2023-05-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WO2019207410A1 (ja) * 2018-04-27 2019-10-3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JP7322008B2 (ja) * 2018-05-25 2023-08-0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US10411185B1 (en) 2018-05-30 2019-09-10 Spin Memory, Inc. Process for creating a high density magnetic tunnel junction array test platform
JP7047615B2 (ja) * 2018-06-13 2022-04-05 住友電工デバイ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10600478B2 (en) 2018-07-06 2020-03-24 Spin Memory, Inc. Multi-bit cell read-out techniques for MRAM cells with mixed pinned magnetization orientations
US10559338B2 (en) 2018-07-06 2020-02-11 Spin Memory, Inc. Multi-bit cell read-out techniques
US10692569B2 (en) 2018-07-06 2020-06-23 Spin Memory, Inc. Read-out techniques for multi-bit cells
US10593396B2 (en) 2018-07-06 2020-03-17 Spin Memory, Inc. Multi-bit cell read-out techniques for MRAM cells with mixed pinned magnetization orientations
JP2020009960A (ja) * 2018-07-11 2020-01-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US10741454B2 (en) 2018-08-09 2020-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oundary protection for CMOS multi-threshold voltage devices
US10650875B2 (en) 2018-08-21 2020-05-12 Spin Memory, Inc. System for a wide temperature range nonvolatile memory
CN110890428B (zh) * 2018-09-07 2023-03-24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氧化物半导体场效晶体管及其形成方法
US10699761B2 (en) 2018-09-18 2020-06-30 Spin Memory, Inc. Word line decoder memory architecture
US11621293B2 (en) 2018-10-01 2023-04-04 Integrated Silicon Solution, (Cayman) Inc. Multi terminal device stack systems and methods
US10971680B2 (en) 2018-10-01 2021-04-06 Spin Memory, Inc. Multi terminal device stack formation methods
KR20200047898A (ko) 2018-10-26 2020-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캔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2094979B2 (en) 2018-10-26 2024-09-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10978563B2 (en) 2018-12-21 2021-04-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11107929B2 (en) 2018-12-21 2021-08-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11107979B2 (en) 2018-12-28 2021-08-31 Spin Memory, Inc. Patterned silicid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20200111889A (ko) * 2019-03-19 2020-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0095441B (zh) * 2019-04-19 2021-12-10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一种荧光纳米标尺部件及其制备和应用
US12100768B2 (en) 2019-05-24 2024-09-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JP2023044840A (ja) * 2021-09-21 2023-04-03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装置
WO2023052906A1 (ja) * 2021-09-30 2023-04-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US20230411500A1 (en) 2022-06-20 2023-12-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5528A (ja) 2004-11-10 2006-06-22 Canon Inc 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2303B2 (en) * 2003-07-02 2007-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panel therefor including regular and successive regular domain defining members
US7791072B2 (en) 2004-11-10 2010-09-07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JP5078246B2 (ja) 2005-09-29 2012-11-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5064747B2 (ja) 2005-09-29 2012-10-3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表示モジュール、電子機器、及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KR101103374B1 (ko) * 2005-11-15 2012-01-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장치
US7576394B2 (en) * 2006-02-02 2009-08-18 Kochi Industrial Promotion Center Thin film transistor including low resistance conductive thin film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30008037A (ko) * 2010-03-05 2013-01-2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
WO2012014786A1 (en) 2010-07-30 2012-02-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cu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09105B1 (ko) 2010-08-06 2017-12-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집적 회로
TWI602303B (zh) 2011-01-26 2017-10-1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US9431400B2 (en) 2011-02-08 2016-08-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691772B2 (en) 2011-03-03 2017-06-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memory cell which includes transistor and capacitor
US8932913B2 (en) 2011-04-22 2015-01-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US8878288B2 (en) 2011-04-22 2014-11-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9490241B2 (en) 2011-07-08 2016-11-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first inverter and a second inverter
US8946812B2 (en) 2011-07-21 2015-02-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059219B2 (en) 2012-06-27 2015-06-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EP2880690B1 (en) * 2012-08-03 2019-02-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with oxide semiconductor stacked film
TWI613813B (zh) * 2012-11-16 2018-02-0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
US9318484B2 (en) 2013-02-20 2016-04-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KR102290247B1 (ko) 2013-03-14 2021-08-1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와 그 제작 방법
US9368636B2 (en) * 2013-04-01 2016-06-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oxide semiconductor layers
TWI620324B (zh) 2013-04-12 2018-04-0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
TWI631711B (zh) 2013-05-01 2018-08-0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
US9647125B2 (en) 2013-05-20 2017-05-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37022B1 (ko) 2013-05-20 2023-05-3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US9343579B2 (en) 2013-05-20 2016-05-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DE102014208859B4 (de) * 2013-05-20 2021-03-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Halbleitervorrichtung
TWI664731B (zh) 2013-05-20 2019-07-0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
JP6400336B2 (ja) 2013-06-05 2018-10-0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KR20160132982A (ko) 2014-03-18 2016-11-2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와 그 제작 방법
WO2015145292A1 (en) 2014-03-28 2015-10-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ransistor and semiconductor device
TWI663733B (zh) 2014-06-18 2019-06-2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電晶體及半導體裝置
US9954112B2 (en) 2015-01-26 2018-04-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5528A (ja) 2004-11-10 2006-06-22 Canon Inc 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19343A1 (en) 2018-01-18
KR102649091B1 (ko) 2024-03-20
JP2023179593A (ja) 2023-12-19
KR20170107997A (ko) 2017-09-26
US10186614B2 (en) 2019-01-22
JP2023052958A (ja) 2023-04-12
JPWO2016125052A1 (ja) 2018-01-25
CN107210227A (zh) 2017-09-26
WO2016125052A1 (ja) 2016-08-11
JP2022166307A (ja) 2022-11-01
JP2020074441A (ja) 2020-05-14
JP7132404B2 (ja) 2022-09-06
JP7224520B2 (ja) 2023-02-17
KR102669279B1 (ko) 2024-05-28
KR20230154294A (ko) 2023-11-07
JP2021177569A (ja) 2021-11-11
CN112768511A (zh) 2021-05-07
JP6917486B2 (ja) 2021-08-11
KR20240042119A (ko) 2024-04-01
JP6650888B2 (ja) 2020-02-19
CN107210227B (zh) 202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9091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JP7402923B2 (ja) 半導体装置
JP6934089B2 (ja) 半導体装置
KR102556718B1 (ko) 반도체 장치, 그 제작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2638101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102549926B1 (ko) 반도체 장치,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및 전자기기
JP2016201518A (ja) 導電体およ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2016219761A (ja) 構造体の作製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