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140A -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공조기 - Google Patents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공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140A
KR20230164140A KR1020237037373A KR20237037373A KR20230164140A KR 20230164140 A KR20230164140 A KR 20230164140A KR 1020237037373 A KR1020237037373 A KR 1020237037373A KR 20237037373 A KR20237037373 A KR 20237037373A KR 20230164140 A KR20230164140 A KR 20230164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ody
section
silencer
opening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7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중보 펑
원지에 왕
주앙 랑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64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14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04C29/065Noise dampening volumes, e.g. muffle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공조기에 있어서, 소음기는 실린더체(10)를 포함한다. 실린더체(10) 내부에는 내부 캐비티(11)가 구비된다. 실린더체(10)의 양단에는 제1 개구(121) 및 제2 개구(141)가 각각 개설된다. 제1 개구(121) 및 제2 개구(141)는 내부 캐비티(11)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소음기는 커버(20)를 더 포함한다. 커버(20)는 실린더체(10) 상의 제2 개구(141) 일단에 위치하며, 제2 개구(141)를 덮는다. 커버(20)와 실린더체(10)는 분리 설치된다. 공조기는 압축기 및 상술한 소음기를 포함하며, 소음기는 압축기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공조기
본 출원은 2021년 4월 30일 출원된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출원번호는 202120938807.5이고 발명의 명칭은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공조기"이다. 이는 본 출원에 전체로서 인용되었다.
본 출원은 냉동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공조기에 관한 것이다.
소음기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소음이 전파되는 기류 관로를 동시에 구비하는 경우, 흡음 라이닝이 있는 관로 및 엘보를 사용하거나 단면적이 급격히 변하고 기타 음향 임피던스가 불연속적인 관로 등 소음 저감 장치를 사용하여, 관로 내부 소음을 감쇠시키거나 반사시킬 수 있다.
관련 소음기 실린더체는 통상적으로 일체형 연신 성형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는 실린더체 길이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연신 난이도가 증가하여 성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기술적 과제에 대하여, 본 출원은 가공이 용이한 소음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이하의 기술적 해결책을 제공한다.
소음기에 있어서, 실린더체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체 내부에는 내부 캐비티가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체의 양단에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가 각각 개설된다.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내부 캐비티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상기 소음기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실린더체 상의 상기 제2 개구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개구를 덮는다. 상기 커버와 상기 실린더체는 분리 설치된다.
본 출원은 상기 커버와 상기 실린더체를 분리형으로 설치한다. 일체형 연신으로 상기 실린더체를 형성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본 출원은 가공 공정이 더욱 간단하고 성형이 용이함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실린더체 사이는 중간 끼워맞춤된다.
상기 커버와 상기 실린더체의 중간 끼워맞춤을 통해 상기 커버와 상기 실린더체 사이의 연결 신뢰성 및 밀봉성이 강화됨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연결관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체의 측벽에는 상기 연결관과 맞춤 연결되는 유통 개구가 개설된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유통 개구를 통해 상기 내부 캐비티와 서로 연통된다.
상기 연결관을 설치함으로써, 냉매가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내부 캐비티로 유입되거나 상기 내부 캐비티로부터 유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통 개구의 내부 에지는 상기 연결관을 따라 연장되며 외부로 확장되는 플랜지를 형성한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연결관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상기 플랜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연결관과 상기 실린더체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상기 연결관과 상기 실린더체 사이의 연결 신뢰성이 향상됨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이 상기 실린더체 내로 연장되는 깊이는 H로 정의하고, H는 관계식 H≥4mm을 충족시킨다.
삽입 깊이가 너무 얕으면, 상기 연결관과 상기 실린더체 사이의 연결 신뢰성이 떨어지고, 흔들리는 과정에서 탈락되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통 개구에서 먼 상기 연결관의 일단에는 제1 슬리브가 연결된다. 상기 제1 슬리브는 냉동 시스템의 구리관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1 슬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 슬리브가 상기 연결관과 냉동 시스템의 구리관 연결 사이에서 어댑터 부재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연결 성능이 강화되어, 용접 효과가 더욱 우수해짐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에 가까운 상기 실린더체의 일단에는 제2 슬리브가 연결된다. 상기 제2 슬리브는 냉동 시스템의 구리관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2 슬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2 슬리브가 상기 연결관과 냉동 시스템의 구리관 연결 사이에서 어댑터 부재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연결 성능이 강화되어, 용접 효과가 더욱 우수해짐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리브 및/또는 상기 제2 슬리브는 구리관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에 가까운 상기 실린더체의 일단에는 위치제한 단차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슬리브는 상기 위치제한 단차에 맞닿을 수 있다.
상기 위치제한 단차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실린더체에서 상기 제2 구리 슬리브의 장착 위치를 제한함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체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연결 구간, 테이퍼형 구간 및 본체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연결 구간에 개설된다.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커버에 가까운 상기 본체 구간의 일단에 개설된다. 상기 연결 구간의 벽 두께는 t1으로 정의하고, 상기 테이퍼형 구간의 벽 두께는 t2로 정의하고, 상기 본체 구간의 벽 두께는 t3로 정의한다. t1, t2 및 t3는 관계식 t1>t3>t2를 충족한다.
본 출원은 이하의 기술적 해결책을 더 제공한다.
공조기에 있어서, 상기 공조기는 압축기 및 소음기를 포함한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압축기에 연결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소음기는 상기 커버와 상기 실린더체를 분리형으로 설치한다. 일체형 연신으로 상기 실린더체를 형성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본 출원은 가공 공정이 더욱 간단하고 성형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실린더체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소음기의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전부가 아닌 일부 실시예일 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작업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장착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장착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설치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설치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고정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출원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하다. 본원에서 본 출원의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또는/및"은 하나 이상의 관련하여 나열된 항목의 임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은 소음기(100)를 제공한다. 상기 소음기(100)는 공조기에 적용된다. 소음기(100)는 공조기에서 완충 및 감압 작용을 하며, 소음의 효과를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소음기(100)는 실린더체(10)를 포함한다. 실린더체(10) 내부에는 내부 캐비티(11)가 구비된다. 실린더체(10)의 양단에는 제1 개구(121) 및 제2 개구(141)가 각각 개설된다. 제1 개구(121) 및 제2 개구(141)는 내부 캐비티(11)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소음기(100)는 커버(20)를 더 포함한다. 커버(20)는 실린더체(10) 상의 제2 개구(141) 일단에 위치하며, 제2 개구(141)를 덮는다. 커버(20)와 실린더체(10)는 분리 설치된다.
관련 소음기 실린더체는 통상적으로 일체형 연신 성형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는 실린더체 길이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연신 난이도가 증가하여 성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실시방식에서는 커버(20)와 실린더체(10)를 분리형으로 설치한다. 일체형 연신으로 실린더체(10)를 형성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본 출원은 가공 공정이 더욱 간단하고 성형이 용이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체(10)는 연결 구간(12), 테이퍼형 구간(13) 및 본체 구간(14)을 포함한다. 테이퍼형 구간(13)은 연결 구간(12)과 본체 구간(14) 사이에 위치한다. 테이퍼형 구간(13)의 양단은 연결 구간(12) 및 본체 구간(14)에 각각 연결된다. 제1 개구(121)는 연결 구간(12)에 개설되고, 제2 개구(141)는 테이퍼형 구간(13)에서 먼 본체 구간(14)의 일단에 개설된다.
테이퍼형 구간(13)에서 실린더체(10) 축선까지의 수직 거리는 연결 구간(12)으로부터 본체 구간(14)까지의 방향으로 점차 증가함에 유의한다. 즉, 연결 구간(12)은 테이퍼형 구간(13)의 소직경단에 연결된다. 본체 구간(14)은 테이퍼형 구간(13)의 대직경단에 연결된다. 연결 구간(12)과 본체 구간(14)의 직경은 어디에서나 동일하다. 즉, 냉매가 직경이 작은 연결 구간(12)으로부터 직경이 큰 본체 구간(14)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유통 면적이 커져 냉매가 효과적으로 완충된다. 나아가 냉매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및 저주파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실린더체(10)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은 내부 캐비티(11)로 통칭한다. 입구 및 출구는 실린더체(10)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나, 입구 및 출구도 내부 캐비티(11)에 포함됨에 유의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린더체(10)는 스테인리스강 재질을 선택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실린더체(1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 다른 재질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연결 구간(12)의 벽 두께는 t1로 정의하고, 테이퍼형 구간(13)의 벽 두께는 t2로 정의하고, 본체 구간(14)의 벽 두께는 t3로 정의한다. t1, t2 및 t3는 관계식 t1>t3>t2를 충족한다.
실린더체(10)의 전체 가공 과정은 다음과 같음에 유의한다. 즉, 본체 구간(14)과 연결 구간(12) 사이의 연결 지점에서 출발해 연결 구간(12)의 방향을 향해 연신시킨다. 연결 구간(12)의 꼬리부까지 연신시켜 네킹(necking)을 수행한다. 네킹의 가공 단계는 연결 구간(12)의 벽 두께를 어느 정도 증가시킨다. 테이퍼형 구간(13)은 연신으로 인해 벽 두께가 감소하나, 본체 구간(14)의 벽 두께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 구간(12), 테이퍼형 구간(13) 및 본체 구간(14)의 벽 두께의 관계는 t1>t3>t2이다.
연결 구간(12)은 제2 슬리브(122)를 통해 공조기의 구리관과 용접해야 한다. 따라서 연결 구간(12)은 실린더체(10)의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벽 두께를 갖도록 하여 용접 신뢰성 및 구조적 강도를 강화해야 함을 이해할 수 있다. 본체 구간(14)의 경우, 본체 구간(14)이 냉매의 소음을 완충시키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본체 구간(14)의 벽 두께도 테이퍼형 구간(13)의 벽 두께보다 커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는 실린더체(10) 방향으로 연장부(21)가 형성된다. 연장부(21)는 실린더체(10)의 측벽에 밀착된다. 연장부(21)를 설치하면 제2 개구(141)를 덮는 커버(20)의 밀봉성이 강화된다. 따라서 냉매가 커버(20)와 실린더체(10)가 연결되는 틈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누출율이 낮아진다.
구체적으로, 커버(20)와 실린더체(10) 사이는 중간 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한다. 커버(20)와 실린더체(10) 사이의 중간 끼워맞춤을 통해 커버(20)와 실린더체(10) 사이의 연결 신뢰성 및 밀봉성을 강화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20)와 실린더체(10) 사이는 용접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린더체(10)와 커버(20) 맞춤 지점의 단부에는 인발 패턴이 더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린더체(10)와 커버(20) 맞춤 사이의 거칠기를 증가시켜, 실린더체(10)와 커버(20) 맞춤 연결의 신뢰성을 강화시킨다.
선택적으로, 커버(20)는 스테인리스강 재질을 선택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2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 다른 재질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1 개구(121)에 가까운 실린더체(10)의 일단에는 제2 슬리브(122)가 연결된다. 제2 슬리브(122)는 공조기의 구리관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제2 슬리브(122)를 설치함으로써, 제2 슬리브(122)가 연결관(30)과 공조기의 구리관 연결 사이의 어댑터 부재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연결 성능을 강화하여, 더욱 우수한 용접 효과를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제2 슬리브(122)의 재질은 구리이다. 실린더체(10)의 재질이 스테인리스강이기 때문에, 실린더체(10)를 공조기의 구리관과 직접 용접하면, 용접 후 파이프 부재의 경도가 너무 낮아 운송 과정에서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실린더체(10)와 공조기의 구리관 사이에 전이 부재인 제2 슬리브(122)를 설치하여, 파이프 부재의 경도를 보장하고, 용접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연결 구간(12)에 위치제한 단차(123)가 설치된다. 제2 슬리브(122)가 연결 구간(12)에 연결되면, 제2 슬리브(122)는 위치제한 단차(123)에 맞닿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린더체(10)에서 제2 슬리브(122)의 장착 위치를 제한한다.
제2 슬리브(122)는 연결 구간(12)에 삽입되어 실린더체(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 구간(12) 외벽을 씌우도록 설치되어 실린더체(10)와 연결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제2 슬리브(122)가 연결 구간(12)에 삽입되면, 위치제한 단차(123)는 연결 구간(12)의 내벽에 설치된다. 제2 슬리브(122)가 연결 구간(12) 외벽을 씌우도록 설치되면, 위치제한 단차(123)는 연결 구간(12)의 외벽에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제한 단차(123)는 위치제한 폼 또는 위치제한 링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2 슬리브(122)에는 공조기의 구리관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위치제한 돌기(1221)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의 원리는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소음기(100)는 연결관(30)을 더 포함한다. 실린더체(10)의 측벽에는 연결관(30)과 맞춤 연결되는 유통 개구(142)가 개설된다. 연결관(30)은 유통 개구(142)를 통해 내부 캐비티(11)와 서로 연통된다. 실린더체(10)의 측벽에 연결관(30)을 연결함으로써, 냉매가 연결관(30)을 통해 내부 캐비티(11)로 유입되거나 내부 캐비티(11)로부터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냉매는 제1 개구(121)로부터 실린더체(10)로 유입된 후 유통 개구(142)를 통해 연결관(30)으로부터 실린더체(10)로 유출될 수 있다. 또는 냉매는 연결관(30)으로부터 실린더체(10)로 유입된 후 제1 개구(121)로부터 실린더체(10)로 유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관(30)은 스테인리스강 재질을 선택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관(30)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 다른 재질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유통 개구(142)의 내부 에지는 연결관(30)을 따라 연장되며 외부로 확장되는 플랜지(143)를 형성한다. 플랜지(143)는 연결관(30)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연결관(30)이 유통 개구(142)로 직접 연장되어 실린더체(10)와 연결되는 것에 비해, 연결관(30)이 플랜지(143)를 통해 실린더체(10)와 연결된다. 또한 연결관(30)의 외주벽이 플랜지(143)에 대응하여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관(30)과 실린더체(1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나아가 연결관(30)과 실린더체(10)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외부로 확장"된다는 것은 실린더체(10) 중심에서 먼 방향을 의미하며, 반대로 "내부"는 실린더체(10)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함에 유의한다.
또한, 연결관(30)은 유통 개구(142)를 통해 실린더체(10)와 용접되는 제1구간(31) 및 제1구간(31)과 연통되며 실린더체(10)에서 먼 제2구간(32)을 포함한다. 제1구간(31)과 제2구간(32)은 협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공조기의 내부 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제1구간(31)과 제2구간(32)이 협각을 이루도록 설치하면 공간 점유를 크게 줄일 수 있고, 소음기(100)의 장착이 용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구간(31)과 제2구간(32) 사이에 형성되는 협각은 직각 또는 기타 임의 각도일 수 있다. 일부 특수한 경우에는, 심지어 제1구간(31)과 제2구간(32)을 더 구부려 절곡관 또는 곡관을 형성하여, 소음기(100)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구간(31)과 제2구간(32) 사이는 직각으로 설치된다. 즉, 제1구간(31)의 축선과 실린더체(10)의 축선이 수직을 이루며, 제2구간(32)의 축선과 실린더체(10)의 축선은 평행하다.
구체적으로, 제1구간(31)이 실린더체(10) 내로 연장되는 깊이는 H로 정의하며, H는 관계식 H≥4mm를 충족한다. 제1구간(31)이 실린더체(10) 내에 삽입되는 깊이가 너무 얕으면, 연결관(30)과 실린더체(10) 사이의 연결 신뢰성이 떨어져, 흔들리는 과정에서 탈락하여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통 개구(142)에 가까운 제1구간(31)의 외벽면에는 위치결정 돌기(311)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결정 돌기(311)는 플랜지(143)와 맞닿아 제1구간(31)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제1구간(31)이 실린더체(10) 내에 삽입되는 길이가 너무 길면, 심지어 실린더체(10)의 내벽에 맞닿으면, 실린더체(10) 내의 냉매가 연결관(30)으로부터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한다. 제1구간(31)이 실린더체(10) 내에 삽입되는 길이가 너무 짧으면, 접촉면적이 충분하지 않아 흔들릴 수도 있다. 따라서 위치결정 돌기(311)를 설치하여 제1구간(31)이 실린더체(10) 내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어하였다.
또한, 제1구간(31)에서 먼 제2구간(32)의 일단에는 제1 슬리브(321)가 설치된다. 제1 슬리브(321)는 공조기의 구리관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슬리브(321)를 설치함으로써, 제1 슬리브(321)가 연결관(30)과 공조기의 구리관 연결 사이의 어댑터 부재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연결 성능을 강화하여, 더욱 우수한 용접 효과를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제1 슬리브(321)에 가까운 제2구간(32)의 일단에는 위치제한 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제2구간(32)에서 제1 슬리브(321)의 장착 위치를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슬리브(321)는 제2구간(32)에 삽입되어 연결관(3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구간(32) 외벽을 씌우도록 설치되어 연결관(30)과 연결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제1 슬리브(321)가 제2구간(32)에 삽입될 때, 위치제한 부재는 제2구간(32)의 내벽에 설치된다. 제1 슬리브(321)가 제2구간(32) 외벽을 씌우도록 설치될 때, 위치제한 부재는 제2구간(32)의 외벽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제1 슬리브(321)에는 공조기의 구리관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위치제한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의 원리는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1 슬리브(321)의 재질은 구리이다. 연결관(30)의 재질이 스테인리스강이기 때문에, 연결관(30)을 공조기의 구리관과 직접 용접하면, 용접 후 파이프 부재의 경도가 너무 낮아 운송 과정에서 변형이 일어나지 쉽다. 따라서 연결관(30)과 공조기의 구리관 사이에 전이 부재인 제1 슬리브(321)를 설치하여, 파이프 부재의 경도를 보장하고 용접의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본 출원은 공조기(미도시)를 더 제공한다. 여기에는 압축기(미도시) 및 소음기(100)가 포함된다. 소음기(100)는 압축기에 연결된다.
본 출원에 있어서, 소음기(100)는 압축기와 사방 밸브 사이에 연결된다. 즉, 제2 슬리브(122)는 압축기의 배기관과 연결된다. 제1 개구(121)는 압축기의 배기관과 연통된다. 연결관(30)은 공조기의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관로와 연결된다. 압축기에 의해 압축되어 형성된 고속 고압의 냉매는 배기관으로부터 배출되고, 제1 개구(121)로부터 실린더체(10)에 유입된다. 본체 구간(14)의 직경이 연결 구간(12)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냉매가 효과적으로 완충되고, 공조기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이 감소하여, 사용자 체험이 향상된다.
본 출원의 소음기(100)는 에어컨뿐만 아니라 냉동 시스템이 구비된 기타 장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기술적 특징의 조합에 모순이 없는 한 이는 모두 본 발명에 기술된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를 표현한 것으로 설명이 비교적 구체적이고 상세하나, 본 출원 특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수정 및 개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 특허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도면에서 각 부호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100-소음기, 10-실린더체, 11-내부 캐비티, 12-연결 구간, 121-제1 개구, 122-제2 슬리브, 1221-위치제한 돌기, 123-위치제한 단차, 13-테이퍼형 구간, 14-본체 구간, 141-제2 개구, 142-유통 개구, 143-플랜지, 20-커버, 21-연장부, 30-연결관, 31-제1구간, 311-위치결정 돌기, 32-제2구간, 321-제1 슬리브.

Claims (11)

  1. 소음기에 있어서,
    실린더체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체 내부에는 내부 캐비티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체의 양단에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가 각각 개설되고,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내부 캐비티를 통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소음기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실린더체 상의 상기 제2 개구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개구를 덮고, 상기 커버와 상기 실린더체는 분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실린더체 사이는 중간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체의 측벽에는 상기 연결관과 맞춤 연결되는 유통 개구가 개설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유통 개구를 통해 상기 내부 캐비티와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 개구의 내부 에지는 상기 연결관을 따라 연장되며 외부로 확장되는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연결관을 씌우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이 상기 실린더체 내로 연장되는 깊이는 H로 정의하고, H는 관계식 H≥4mm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 개구에서 먼 상기 연결관의 일단에는 제1 슬리브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슬리브는 냉동 시스템의 구리관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에 가까운 상기 실린더체의 일단에는 제2 슬리브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슬리브는 냉동 시스템의 구리관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리브 및/또는 상기 제2 슬리브는 구리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에 가까운 상기 실린더체의 일단에는 위치제한 단차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슬리브는 상기 위치제한 단차에 맞닿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체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연결 구간, 테이퍼형 구간 및 본체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연결 구간에 개설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커버에 가까운 상기 본체 구간의 일단에 개설되고,
    상기 연결 구간의 벽 두께는 t1으로 정의하고, 상기 테이퍼형 구간의 벽 두께는 t2로 정의하고, 상기 본체 구간의 벽 두께는 t3로 정의하고, t1, t2 및 t3는 관계식 t1>t3>t2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11. 압축기 및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음기를 포함하는 공조기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
KR1020237037373A 2021-04-30 2022-01-11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공조기 KR202301641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0938807.5 2021-04-30
CN202120938807.5U CN217979233U (zh) 2021-04-30 2021-04-30 消音器及具有其的空调器
PCT/CN2022/071391 WO2022227704A1 (zh) 2021-04-30 2022-01-11 消音器及具有其的空调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140A true KR20230164140A (ko) 2023-12-01

Family

ID=8384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7373A KR20230164140A (ko) 2021-04-30 2022-01-11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공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518871A (ko)
KR (1) KR20230164140A (ko)
CN (1) CN217979233U (ko)
WO (1) WO202222770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597B1 (ko) * 1996-10-09 1999-08-02 오상수 버스 에어컨의 소음기
CN103506807A (zh) * 2012-06-21 2014-01-15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一种分体式结构消音器的制造方法
CN107131366B (zh) * 2013-10-10 2019-07-16 新昌县四通机电有限公司 一种管件连接结构及不锈钢管件与铜管的连接结构
CN204063512U (zh) * 2014-08-20 2014-12-31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消声器
CN104265600B (zh) * 2014-09-03 2016-06-29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压缩机的制造方法
CN204987413U (zh) * 2015-09-30 2016-01-20 安徽众汇制冷有限公司 一种焊接式空调消音器
JP2017089978A (ja) * 2015-11-11 2017-05-25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サイレンサを有する冷媒配管、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の冷凍サイクル
CN205895544U (zh) * 2016-08-22 2017-01-18 安徽众汇制冷有限公司 一种降噪增强型空调消音器
CN205895545U (zh) * 2016-08-22 2017-01-18 安徽众汇制冷有限公司 一种进气改进型空调消音器
CN206247598U (zh) * 2016-11-24 2017-06-13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消声器和空调器
CN210688490U (zh) * 2019-07-23 2020-06-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110397572B (zh) * 2019-08-28 2023-02-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消音器、压缩机及空调器
CN111141073A (zh) * 2019-12-30 2020-05-12 浙江盾安机电科技有限公司 缓冲罐及空调系统
CN112483719A (zh) * 2020-12-14 2021-03-12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电子膨胀阀及制冷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8871A (ja) 2024-05-08
CN217979233U (zh) 2022-12-06
WO2022227704A1 (zh)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006B1 (ko) 소음-저감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컨디셔닝 회로를 위한 덕트 및 그것을 포함하는 회로
CN101016853A (zh) 消音器
KR20230164140A (ko)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공조기
US10900396B2 (en) Exhaust orifice tube for vehicle mufflers
JP7345660B2 (ja) 消音器及び空調
JP7348399B2 (ja) フィルタサイレンサ及び空調装置
JP2022535640A (ja) 弁消音器及びその電子膨張弁
JP2007192060A (ja) 消音装置
CN205101768U (zh) 消声器和管路系统
JP2008291827A (ja) 消音器
JP2024502696A (ja) 消音器及び空調装置
CN103277179B (zh) 一种汽车消声器
JP2019019677A (ja) 消音器
CN109356757A (zh) 一种进气系统消声结构
CN214841268U (zh) 一种消音器及空调器
JP2002364332A (ja) 車両用排気消音器
CN215057659U (zh) 排气消声器和具有排气消声器的车辆
CN109532389A (zh) 一种汽车空调管路消声器
CN216715578U (zh) 一种管道残余气体放散装置
US20070289810A1 (en) Carbon deposition eliminator for vehicle exhaust pipe
JPH06288496A (ja) 配管接続構造
CN216406943U (zh) 消音器
CN214741950U (zh) 一种消音器及压缩机排气系统
CN110145453B (zh) 一种冰箱压缩机消音器
JP2005352188A (ja) 消音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