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736A -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736A
KR20230134736A KR1020220031877A KR20220031877A KR20230134736A KR 20230134736 A KR20230134736 A KR 20230134736A KR 1020220031877 A KR1020220031877 A KR 1020220031877A KR 20220031877 A KR20220031877 A KR 20220031877A KR 20230134736 A KR20230134736 A KR 20230134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lid
storage box
open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식
정상진
노홍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이피
Priority to KR1020220031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736A/ko
Priority to US17/848,977 priority patent/US20230294581A1/en
Publication of KR20230134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73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on the right-hand as well as the left-hand side; Convertible right-hand or left-hand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으로 개폐되는 암레스트의 초기 오픈이 원활한 개폐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면이 열린 저장박스(S)의 상부에는 암레스트(A)가 설치된다. 저장박스를 개폐하는 암레스트는, 저장박스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는 양측의 사이드리드(20)와, 사이드리드의 중심에 설치되어 사이드리드에 대하여 전후 양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는 센터리드(1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푸쉬부재(50)는, 사이드리드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센터리드를 상방으로 밀어올려서 초기 오픈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이드리드는, 외부커버(22)와 내부커버(24), 그리고 외부커버와 내부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이들을 체결하여 지지하는 금속재 프레임(40)으로 구성되고, 푸쉬부재는 내부커버에 의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in armrest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레스트의 커버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할 때, 커버의 로킹이 해제되면 커버가 들리도록 하는 초기 오픈시 효과적으로 커버가 일정 구간 상승될 수 있도록 하는 암레스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콘솔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콘솔은 하부에 설치되는 저장박스(Storage box)와, 이러한 저장박스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암레스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암레스트는, 하부의 저장박스에 고정되는 양측 사이드리드와, 이러한 사이드리드 사이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센터리드로 구성된다.
실직적으로 저장박스 내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것은 암레스트의 센터리드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암레스트는 운전석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일방향으로만 열리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여러 가지 필요에 의하여, 전방 또는 후방에서 선택적으로 열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한국 실용신안 출원 제20-1994-0031556호(출원일 1994.11.28)와 한국 특허 출원 제10-2004-0097620 (출원일 2004.11.25)호 등으로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 특허 문헌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양측으로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제품도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 특허 문헌에 의한 구성은, 상당히 복잡하고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지적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또는 후방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암레스트를 개폐하는 경우, 실사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단점에 대한 보완책은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암레스트의 센터리드가 전방 또는 후방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경우, 탄성부재에 의한 초기 오픈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암레스트 개폐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실질적으로 암레스트의 양방향 개폐를 위한 다양한 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선행 기술 또는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암레스트의 양방향 개폐구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 외에도 암레스트를 전후 방향 또는 양측 방향에서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모든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에 의하면, 상면이 열린 저장박스의 상부에는 암레스트가 설치된다. 저장박스를 개폐하는 암레스트는, 저장박스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는 양측의 사이드리드와, 사이드리드의 중심에 설치되어 사이드리드에 대하여 전후 양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는 센터리드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푸쉬부재는, 사이드리드의 중간 부분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센터리드를 상방으로 밀어올려서 초기 오픈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사이드리드는, 외부커버와 내부커버, 그리고 외부커버와 내부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이들을 체결하여 지지하는 금속재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푸쉬부재는 내부커버에 의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프레임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성형되고, 저장박스에 체결되어 지지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푸쉬부재가 사이드리드의 중간 부분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방으로 가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암레스트의 센터리드의 체결이 해제되면, 센터리드를 상방으로 밀어서 일정 간격 들리도록 하는 초기 오픈 기능을 충실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푸쉬부재에 의한 초기 오픈 기능은, 센터리드가 양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양방향으로 센터리드를 밀어서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그리고 이러한 개폐장치에서 금속재로 만들어지는 프레임은 저장박스와 암레스트 사이의 구조적 강도를 충분히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콘솔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개폐장치의 초기 오픈을 보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개폐장치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개폐장치의 요부 예시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에서 콘솔은, 저장물의 저장 공간인 저장박스(S)와, 저장박스의 상단 열린 부분을 개폐하기 위한 암레스트(A)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A)는 개폐되는 센터리드(10)와, 센터리드(10)의 개폐를 지지하도록 저장박스(S)에 고정되는 양측의 사이드리드(20)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암레스트(A)는 저장박스(S)의 상부에 설치되어, 저장박스(S)의 저장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 개폐장치는 콘솔의 암레스트(A)에 적용되는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콘솔(A)의 센터리드(10)가 양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에 적용되는 것이나, 이에 한정될 수는 없다. 도 1에서 (a)는 후방으로 열리는 센터리드(10)를, 그리고 (b)는 전방으로 열리는 센터리드(10)를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다. 여기서 전후방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된다는 것은, 양측면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과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폐구조는, 상술한 선행 특허 문헌에서 공개되는 구조를 이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센터리드(10)의 양방향 개폐를 위한 어떠한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암레스트는 닫힌 상태에서는 체결장치에 의하여 외력(외부 조작) 없이는 열리지 않는 체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암레스트의 초기 오픈이라고 함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버튼(12)을 눌러 체결 상태가 해제되면, 내장된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일정 구간 센터리드(10)가 열리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센터리드(10)가 양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센터리드(10)의 전후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해제버튼(12)이 눌러지면 센터리드(10)의 전후단부가 각각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 상태가 해제되면서 일정 구간 열리도록 구성된다. 다음에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개폐장치, 즉 양방향 개폐시 초기 오픈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체결상태가 해제된다는 것은, 예를 들면 도 2에서 센터리드(10)의 단부 양측에 설치되는 힌지축(14)이 사이드리드(20)의 대응 부분에 성형된 지지공(도시 생략)에서 빠지면서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의 도시는 이러한 체결상태의 해제를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을 뿐이고, 그 외에도 센터리드(10)가 사이드리드(20)에 대한 다양한 체결(Locking) 구조에서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구성에는 다양한 실시례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사이드리드(20)는 외부커버(22)와 내부커버(24)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금속재의 프레임(40)을 이용하여, 저장박스(S)와 사이드리드(20)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고 있다. 즉, 프레임(40)은 저장박스(S)에 고정되는 하부프레임(42)과, 하부프레임(42)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사이드리드(20)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프레임(4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외부커버(22)와 내부커버(24)는 그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44)에 고정되어 지지되는데, 예를 들면 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상부프레임(44)도 사이드리드(20)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40) 전체는 알미늄 다이캐스팅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프레임(44)은 양측의 사이드리드(20)를 지지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리드(20)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방으로 지지되고 있는 푸쉬부재(5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푸쉬부재(50)는, 암레스트의 센터리드(10)가 닫혀서 체결된 상태에서 해제버튼(12)이 눌러져서 체결 상태가 해제되면, 센터리드(10)를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밀어 올리기 위한 것으로, 사이드리드(20)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즉, 푸쉬부재(50)가 사이드리드(20)의 중간부분에서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사이드리드(20)는 스프링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다. 따라서 센터리드(10)를 닫고 있는 체결력이 해제되면, 푸쉬부재(50)가 센터리드(10)를 약간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를 초기 오픈이라고 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리드(20)의 중간부분에 푸쉬부재(50)를 설치함으로써, 센터리드의 양방향 개폐에 대하여 동일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센터리드(10)가 닫혀서 체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사이드리드(20)에 설치되는 부재를 이용하거나, 암레스트의 다른 부분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푸쉬부재(50)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커버(24)에 형성된 통과공(24a)을 통하여 내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어서, 양측의 사이드리드(20) 사이에서 개폐되는 센터리드(10)를 상부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도시한 실시례에서는 토션스프링)(48)에 의하여 상방으로 가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푸쉬부재(50)는 인너커버(24)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인너커버(24)에 장착되는 상하 관형상을 가지는 가이드(52)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다, 그 외에도 푸쉬부재(50)는 인너커버(24)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되는 구성에는 다양한 실시례가 있음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한 실시례에서 토션스프링(48)의 일단부가 푸쉬부재(5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푸쉬부재(50)를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푸쉬부재(50)가 사이드리드(2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쉬부재(50)의 상부는 이분된 포크형상부분(5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포크형상부분(52)의 중간에 형성되는 홈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이루어지고, 이러한 포크형상부분(52)은 내부커버(24)에 대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토션스프링(48)의 상향 탄성력에 대하여 정해진 높이에서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시한 실시례에 의하면, 내부커버(24)는 상부프레임(44)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프레임(40)은, 평면도 상에서 보면 사각형상을 가지고 저장박스(S)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42)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프레임(44)의 내외측에 내부커버(24) 및 외부커버(22)가 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부프레임(44)은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고정) 요소를 이용하여 저장박스(S)에 체결되어 지지되고 있다.
알미늄 다이캐스팅으로 만들어지는 하부프레임(44)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상을 가지고 있고, 저장박스(S)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지지되고 있다. 상부프레임(44)은 사이드리드(20)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외부커버(22)와 내부커버(24)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프레임(40)은 실질적으로 금속재로 성형되기 때문에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지고 있고, 이로 인하여 고정된 저장박스(S)에 대하여 개폐되는 암레스트(센터리드)를 충분히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푸쉬부재를 중간부분에 설치함으로써 암레스트의 센터리드의 초기 오픈 기능을 충분하게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푸쉬부재 주변 구성은 실질적으로 암레스트가 양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때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프레임(40)은 사이드리드(20)의 내부커버(24)를 견고하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콘솔 전체의 구조 강도를 충분히 보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은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A ..... 암레스트
S ..... 저장박스
10 .... 센터리드
12 ..... 해제버튼
20 ..... 사이드리드
22 ..... 외부커버
24 ..... 내부커버
40 ..... 프레임

Claims (3)

  1. 상면이 열린 저장박스(S)와;
    저장박스(S)의 상부에 장착되어 개폐되고, 저장박스(S)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는 양측의 사이드리드(20)와, 사이드리드(20)의 중심에 설치되어 사이드리드(20)에 대하여 전후 양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는 센터리드(10)를 포함하는 암레스트; 그리고
    상기 사이드리드(20)의 중간 부분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센터리드(10)를 상방으로 밀어올릴 수 있는 푸쉬부재(50)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이드리드(20)는, 외부커버(22)와 내부커버(24), 그리고 외부커버(22)와 내부커버(24) 사이에 개재되는 이들을 체결하여 지지하는 금속재 프레임(40)으로 구성되고, 푸쉬부재(50)는 내부커버에 의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4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성형되고, 저장박스에 체결되어 지지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KR1020220031877A 2022-03-15 2022-03-15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KR20230134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877A KR20230134736A (ko) 2022-03-15 2022-03-15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US17/848,977 US20230294581A1 (en) 2022-03-15 2022-06-24 Armre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877A KR20230134736A (ko) 2022-03-15 2022-03-15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736A true KR20230134736A (ko) 2023-09-22

Family

ID=8806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877A KR20230134736A (ko) 2022-03-15 2022-03-15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294581A1 (ko)
KR (1) KR20230134736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8120A1 (en) * 2007-08-29 2009-03-05 Mazda Motor Corporation Center console structure of vehicle
CN104640739B (zh) * 2012-09-21 2018-04-10 江森自控科技公司 用于车辆内部部件的竖直可调节扶手组件
US8714613B1 (en) * 2013-01-16 2014-05-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enter console and tray assembly
KR101601504B1 (ko) * 2014-10-17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 유징 암레스트 장치
DE102016011206A1 (de) * 2016-09-12 2018-03-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Armablage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mit der Armablagevorrichtung
CN109421606A (zh) * 2017-08-29 2019-03-05 福特环球技术公司 扶手控制台中的惯性装置
CN115257372A (zh) * 2021-04-29 2022-11-0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副仪表板总成和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94581A1 (en)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899B1 (ko) 차량 시트 잠금장치
KR100794896B1 (ko) 차량 시트 잠금장치
KR100794897B1 (ko) 차량 시트 잠금장치
US8162369B2 (en) Console box
US7740299B2 (en) Central console for a vehicle
US7070225B2 (en) Industrial truck with a lateral frame opening and a frame-reinforcing door
KR20030086806A (ko) 자동차용 2웨이 오픈형 콘솔박스 커버구조
KR20230134736A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KR102163881B1 (ko) 차량 시트 백 조절을 위한 래치 어셈블리
JP2021032413A (ja) 自己調節可能なストッパを有する緩衝器
KR20230134737A (ko) 자동차의 콘솔용 연결프레임
KR101956264B1 (ko)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KR20230134735A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JP4943603B2 (ja) 車載用ルーフボックス
JP2018001982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1905542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KR101922163B1 (ko) 콘솔박스
JP2561795B2 (ja) フレーム付きパレット
CN210212233U (zh) 储物装置及车辆
JP7436264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2273995B1 (ko)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JPH0610416Y2 (ja) 操作レバーとキャップとの嵌合構造
KR20240066743A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JP2022141068A (ja) スロープ装置を搭載した車両
JPH04405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