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995B1 -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 Google Patents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995B1
KR102273995B1 KR1020190136155A KR20190136155A KR102273995B1 KR 102273995 B1 KR102273995 B1 KR 102273995B1 KR 1020190136155 A KR1020190136155 A KR 1020190136155A KR 20190136155 A KR20190136155 A KR 20190136155A KR 102273995 B1 KR102273995 B1 KR 102273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armrest
console body
support
press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197A (ko
Inventor
이용수
박만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90136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99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레스트 락킹 구조에 관한 것으로, 콘솔 바디의 후방에 힌지 고정되고 콘솔 바디의 전방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어 콘솔 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공간부를 개폐하며 잠금 해제시에는 후방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암레스트, 콘솔 바디의 전방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누름부, 암레스트의 하부를 형성하는 로워커버에 누름부에 대응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콘솔 바디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락킹부를 포함하여 종래에 비해 적은 부품수와 단순한 구조로 암레스트를 콘솔 바디에 락킹시킬 수 있어 생산성이 증대되고 재료비가 절감된다.

Description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Locking Structure Of Arm Rest}
본 발명은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 비해 적은 부품수와 단순한 구조로 암레스트를 콘솔 바디에 락킹시킬 수 있어 생산성이 증대되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다양한 형태의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것이다.
차량의 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암레스트 하부공간에도 운전자 및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렇게 암레스트 하부에 구비되는 수납공간은 평상시에는 후크에 의해서 잠겨있다가 차량의 운전자 및 탑승자가 암레스트의 전면에 구비되는 버튼을 눌러 작동시키면 버튼과 연결되는 후크의 걸고리가 암레스트 하부의 수납공간과 분리되면서 암레스트가 상부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운전자 및 탑승자가 버튼을 눌러 콘솔측의 링크를 회전시키고, 링크가 회전하여 락킹노브의 단부를 누르면, 락킹노브가 회전하면서 락킹노브의 후크가 암레스트에서 탈거되는 것이다.
이렇게 락킹노브의 후크가 암레스트에서 탈거되면 암레스트 후방과 콘솔의 후방 사이에 연결된 힌지스프링에 의해 암레스트 하부의 수납공간과 분리되면서 암레스트가 상부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버튼, 링크, 락킹노브는 버튼을 눌렀다가 떼었을 때 각각에 구비되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는 버튼, 링크, 락킹노브로 구성되고 각 부품들에 대한 리턴스프링들과 가이드구조, 조립부품이 구성됨에 따라 부품 수가 많아 재료비가 상승하고, 이러한 부품들을 조립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작업이 어렵고 작업성이 떨어지며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종래 버튼식 암레스트 락킹 구조에 비해 부품 수를 줄여 재료비가 절감되게 하며, 단순한 구조를 적용하여 수월한 조립 작업으로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생산성도 개선될 수 있는 암레스트 락킹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레스트 락킹 구조는 콘솔 바디의 후방에 힌지 고정되고 콘솔 바디의 전방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어 콘솔 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공간부를 개폐하며 잠금 해제시에는 후방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암레스트, 콘솔 바디의 전방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누름부, 암레스트의 하부를 형성하는 로워커버에 누름부에 대응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콘솔 바디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는 콘솔 바디에 체결되고 전방에 누름부가 노출되는 개구홀이 형성되며 로워커버와 마주보는 면에 락킹부가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락킹홀이 형성된 상부하우징, 상부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어 누름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부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는 누름부에 외부 조작력이 제거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누름부와 하부하우징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누름부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누름부는 지지스프링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스프링이 지지되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지스프링이 감김 고정되는 스프링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 하부하우징은 누름부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고정턱이 지지되도록 형성된 고정홀, 사용자의 조작시 누름부가 일정 거리만큼만 이동되도록 지지스프링이 안착되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누름부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되면 스프링 지지부가 지지되는 돌출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하우징은 암레스트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콘솔 바디의 폐쇄시 락킹부가 락킹홀에 삽입되도록, 로워커버와 마주보는 면에서 로워커버측으로 돌출되어 락킹홀의 내측면과 연결되며 굴곡지게 형성된 삽입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는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락킹부의 단부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면서 락킹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동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는 락킹부의 후측 단부를 감싸며 로워커버에 고정되어 락킹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는 락킹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탄성지지하도록 지지부재와 락킹부의 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각각을 탄성 지지하는 리턴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 락킹부는 콘솔 바디에 잠금시, 외측면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로워커버에 지지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버튼식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에 비해 부품 수가 줄어들고 구조가 단순해짐에 따라 재료비 및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이 용이해져 작업성과 생산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튼을 누르면 암레스트가 자동으로 콘솔 바디가 개방되고, 다시 암레스트를 콘솔 바디측으로 누르면 자동으로 콘솔 바디가 폐쇄되는 구조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가 설치된 콘솔 암레스트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가 설치된 콘솔 암레스트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B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는 콘솔 바디(100)의 후방에 힌지 고정되고 콘솔 바디(100)의 전방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어 콘솔 바디(100)의 상부에 마련되는 공간부(101)를 개폐하며 잠금 해제시에는 후방의 힌지축(20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암레스트(200), 콘솔 바디(100)의 전방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누름부(300), 암레스트(200)의 하부를 형성하는 로워커버(210)에 누름부(300)에 대응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콘솔 바디(100)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락킹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암레스트(200)의 락킹 구조는 버튼식으로 제공되며, 암레스트(200)는 평상시에 콘솔 바디(100)의 상부에 마련되는 공간부(101)를 폐쇄하다가, 콘솔 바디(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누름부(300)의 전방면인 버튼(310)을 눌렀을 때 콘솔 바디(100)의 공간부(101)를 개방한다.
이러한 암레스트(200)는 콘솔 바디(100)의 후방에 힌지 고정되고, 콘솔 바디(100)의 전방에 락킹 구조를 통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된다.
특히 암레스트(200)는 콘솔 바디(100)의 후방과의 사이에 락킹 구조의 잠금 해제시 해당 암레스트(200)의 회전을 위해 암레스트(200)에 탄성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201)이 마련된다.
즉, 암레스트(200)가 콘솔 바디(100)에 잠금될 때는 토션스프링(201)이 압축되어 암레스트(200)에 탄성을 제공하다가, 콘솔 바디(100)와의 락킹 구조의 잠금 해제시에는 토션스프링(201)의 복원력에 의한 탄성으로 인해 암레스트(200)가 후방의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토션스프링(201)과 함께 락킹 구조의 잠금 해제시 암레스트(200)를 회전시키는 별도 구조가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암레스트(200)의 버튼식을 이용한 락킹 구조는 콘솔 바디(100) 전방의 버튼(310)을 누르면 암레스트(200)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토션스프링(201)에 의해 암레스트(200)가 회전하며 콘솔 바디(100)의 공간부(101)를 개방한다.
이러한 암레스트(200)의 락킹 구조는, 평상시 암레스트(200) 측에서 락킹부(400)가 콘솔 바디(100)측으로 돌출되어 잠금되다가, 사용자가 버튼(310)을 누르면 버튼(310)과 일체로된 누름부(300)가 이동하여 락킹부(400)를 콘솔 바디(100)로부터 탈거시켜 암레스트(200)가 잠금 해제되는 구조이다.
누름부(300)는 콘솔 바디(100)에 마련되며 보다 자세하게는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을 통해 콘솔 바디(100)에 장착되고, 락킹부(400)는 암레스트(200)의 하부를 형성하는 로워커버(210)에 장착되며 로워커버(210)에 형성된 통과홀(211)을 통해 콘솔 바디(100)측으로 돌출된다.
누름부(300)는 전방 상측의 단부에 사용자가 조작력을 가하는 버튼(310)이 구비되고, 콘솔 바디(100)의 전방 상측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된다.
특히, 누름부(300)는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전방 상측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작력을 가하면 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이동한다.
이러한 누름부(300)는 버튼(310)의 반대측 단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락킹부(400)의 단부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면서 락킹부(4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동지지부(320)가 형성된다.
특히, 누름부(300)는 콘솔 바디(100)에 체결되어 전방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10)에 체결되어 누름부(30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부하우징(120) 사이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부하우징(110)은 콘솔 바디(100)에서 누름부(300)를 전방 상부에 위치시키기 위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콘솔 바디(100)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되고, 전방 상측에 버튼(310)이 노출되는 개구홀(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하우징(110)은 로워커버(210)와 마주보는 면에 락킹부(400)가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락킹홀(112)이 형성되고, 이러한 락킹홀(112)이 형성되는 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하부하우징(120)은 누름부(30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부하우징(110)의 내측에 체결되며 누름부(300)가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한다.
락킹부(400)는 로워커버(2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통과홀(211)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며, 누름부(300)에 대응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락킹홀(112)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전방 단부가 가동지지부(320)에 지지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누름부(300)가 이동하면서 가동지지부(320)가 전방 단부를 밀어 락킹부(40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된다.
이러한 누름부(300)와 락킹부(400)는 각각에 조작력이 해제될 경우 원래 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프링 구조, 조작력에 따른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구조가 마련된다.
먼저 누름부(300)는 버튼(310)의 반대측 단부에서 함몰 형성되어 지지스프링(301)이 내설되는 스프링 가이드부(330)가 마련된다.
지지스프링(301)은 누름부(300)에 외부 조작력이 제거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누름부(300)와 하부하우징(120)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누름부(300)를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즉, 지지스프링(301)은 누름부(300)와 하부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을 탄성 지지하며 누름부(300)의 버튼(310)에 외부 조작력이 가해져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되었다가, 외부 조작력이 제거되면 누름부(300)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버튼(310)이 개구홀(111)에 노출되게 한다.
또한, 누름부(300)는 스프링 가이드부(330) 내측에서 지지스프링(30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스프링(301)이 지지되는 스프링 가이드부(330)의 안쪽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지스프링(301)이 감김 고정되는 스프링 지지부(331)가 마련된다.
스프링 지지부(331)는 지지스프링(301)의 일측 단부가 감김 고정되어 있어서 지지스프링(30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스프링(301)이 스프링 가이드부(330) 내측에서 누름부(300)를 상측으로 경사진 전후 방향으로만 탄성 지지하도록 고정시킨다.
지지스프링(301)의 타측 단부는 하부하우징(120)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부(121)에 지지된다.
스프링 안착부(121)에는 스프링 지지부(331)를 향해 돌출 형성되되 스프링 지지부(331)에서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지지스프링(301) 내부에 위치하는 돌출부(122)가 구비된다.
이러한 돌출부(122)는 사용자가 누름부(300)에 외부 조작력을 가하면 일정 거리만큼만 이동되도록 스토퍼 기능을 하는 것으로, 누름부(300)는 돌출부(122)의 단부와 스프링 지지부(331) 사이의 이격 거리만큼만 이동하게 된다.
또한, 하부하우징(120)에는 누름부(300)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고정턱(340)이 지지되도록 형성된 고정홀(123)이 마련되어 평상시에 고정턱(340)이 고정홀(123)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즉, 누름부(300)는 평상시에 고정홀(123)에 고정턱(340)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외부 조작력이 가해지면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다가 돌출부(122)에 스프링 지지부(331)가 지지된다.
그리고 하부하우징(120)이 누름부(30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누름부(3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락킹부(400)는 로워커버(21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로워커버(210)에 안착된 락킹부(400)의 상측을 감싸며 로워커버(210)에 장착되는 지지부재(500)가 마련된다.
지지부재(500)는 중앙에 락킹부(400)의 후방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510)이 형성되고, 양측이 로워커버(210)에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된다.
또한, 지지부재(500)는 후측 단부가 돌출되어 로워커버(210)에 지지되며, 락킹부(400)의 후방 단부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지지부재(500)와 락킹부(400)의 후방 단부 사이에는 리턴스프링(401)이 마련되어 각각을 탄성지지한다.
리턴스프링(401)은 락킹부(400)가 누름부(300)에 대응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압축되었다가, 외부 조작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한 탄성으로 락킹부(40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락킹부(400)는 후측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어 리턴스프링(401)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스프링 삽입홈(410)이 마련된다.
또한 지지부재(500)의 리턴스프링(401)이 지지되는 면에도 리턴스프링(401)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락킹부(400)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락킹홀(112)에 체결되어 암레스트(200)를 콘솔 바디(100)에 잠금시, 과하게 돌출되어 로워커버(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면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로워커버(210)에 지지되는 걸림턱(420)이 형성된다.
즉, 락킹부(400)는 지지부재(500)의 후방 단부와 로워커버(210) 사이에서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지지부재(500)의 하측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락킹부(400)의 상측면에도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홈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이 삽입되어 락킹부(400)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버튼(310)을 누르면, 누름부(300)가 상측으로 경사진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가동지지부(320)가 락킹부(400)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누르게된다.
그리고 락킹부(400)는 락킹홀(112)에서 탈거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어 암레스트(200) 후방의 토션스프링(201)에 의해 암레스트(200)가 힌지축(20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콘솔 바디(100)의 공간부(101)가 개방된다.
이러한 작동 구조의 설명을 위해 도 5를 참고하여 아래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상측 도면은 암레스트(200)가 콘솔 바디(100)를 폐쇄한 상태로 락킹부(400)가 락킹홀(112)에 체결된 상태이다.
누름부(300)는 지지스프링(301)에 지지되어 버튼(310)이 개구홀(111)을 통해 노출되어 있고 가동지지부(320)가 상부하우징(110)의 내측에서 락킹부(400)의 전방 단부와 접촉된다.
락킹부(400)는 리턴스프링(401)에 지지되어 전방 단부가 통과홀(211)을 통과하여 락킹홀(112)에 삽입되어 콘솔 바디(100)에 체결된다.
여기서, 가동지지부(320)의 단부에는 락킹부(400)가 지지되는 면에서 단차지며 함몰 형성된 단턱면(3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버튼(310)을 누르면 누름부(300)가 하측 후방의 경사방향으로 이동하며, 가동지지부(320)가 락킹부(400)의 단부를 누르게 된다.
가동지지부(320)에 눌린 락킹부(400)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락킹홀(112)에서 탈거되면서 암레스트(200)가 힌지축(20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콘솔 바디(100)를 개방한다.
이때, 락킹부(400)의 전방 단부에는 상측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지지면(430)이 구비된다.
지지면(430)은 락킹부(400)가 락킹홀(112)에 체결되어 있을 때 가동지지부(320)가 지지하는 면으로, 누름부(300)의 이동에 따라 가동지지부(320)가 락킹부(400)를 밀면서 가동지지부(320)가 지지하는 지점이 가이드면을 따라 락킹부(400)의 전방 단부로 이동되게 한다.
다시 말해서 락킹부(400)의 전방 단부에 지지면(430)이 구비됨에 따라 가동지지부(320)가 락킹부(400)를 누를 때 걸림감 없이 락킹부(400)가 후방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버튼(310)을 누를 때 걸림감이 느껴지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버튼(310)을 누르는 작동감이 좋아지게 된다.
또한, 도 5의 하측 도면은 락킹부(400)가 락킹홀(112)에서 탈거된 상태의 도면으로, 누름부(300)는 사용자가 버튼(310)을 눌러 하측 후방의 경사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지지부(320)가 락킹부(400)를 눌러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암레스트(200)는 리턴스프링(401)의 탄성으로 힌지축(20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락킹부(400)가 락킹홀(112)에서 탈거된다.
이때, 락킹홀(112)은 락킹부(400)의 탈거시 걸림감이 없도록 락킹부(400)의 상측면과 마주보는 면 중 후방측 모서리가 함몰 형성된 함몰부(114)가 마련되어 락킹부(400)가 락킹홀(112)에서 용이하게 탈거된다.
락킹부(400)는 락킹홀(112)의 일측면에 지지되어 잠금되고 가동지지부(320)에 의해 전방 단부가 눌리면서 서서히 후방으로 이동하다가 락킹홀(112)의 일측면에서 벗어나 지지면(430)이 함몰부(114)를 통해 이탈가능하게 되면 락킹홀(112)에서 이탈하여 잠금 해제된다.
또한, 락킹부(400)가 락킹홀(112)에 삽입될 때 함몰부(114)를 타고 이동하여 락킹홀(112)에 체결된다.
이렇게 개방된 암레스트(200)는 로워커버(210)의 통과홀(211)을 통해 락킹부(400)가 리턴스프링(401)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암레스트(200)를 콘솔 바디(100)의 상부에 안착시켜 콘솔 바디(100)를 밀폐시키고자 하는 경우, 락킹부(400)의 이동가이드면(440)과 상부하우징(110)의 삽입가이드면(113)에 의해 별도 조작 없이 암레스트(200)를 힌지축(20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며 콘솔 바디(100)측으로 누르면 락킹부(400)가 상부하우징(11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락킹홀(112)에 체결되어 잠금된다.
이동가이드면(440)은 락킹부(400)의 전방 단부의 하측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상부하우징(110)의 락킹홀(112)이 형성된 면에 지지되어 암레스트(200)를 콘솔 바디(100)측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락킹부(400)가 후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암레스트(200)가 힌지축(20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콘솔 바디(100)의 폐쇄시 락킹부(400)가 락킹홀(112)에 삽입되도록, 상부하우징(110)은 로워커버(210)와 마주보는 면에서 로워커버(210)측으로 돌출되어 락킹홀(112)의 내측면과 연결되며 굴곡지게 형성된 삽입가이드면(113)이 마련된다.
삽입가이드면(113)은 상부하우징(110)의 락킹홀(112)이 형성된 면에 하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곡면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락킹부(400)의 이동가이드면(440)이 지지되어 서서히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락킹부(4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이동가이드면(440)과 삽입가이드면(113)이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별도 조작 없이 암레스트(200)로 콘솔 바디(100)의 공간부(101)를 용이하게 덮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통해 종래의 버튼식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에 비해 부품 수가 줄어들고 구조가 단순해짐에 따라 재료비 및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이 용이해져 작업성과 생산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튼을 누르면 암레스트가 자동으로 콘솔 바디가 개방되고, 다시 암레스트를 콘솔 바디측으로 누르면 자동으로 콘솔 바디가 폐쇄되는 구조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콘솔 바디 110: 상부하우징
111: 개구홀 112: 락킹홀
113: 삽입가이드면 114: 함몰부
120: 하부하우징 121: 스프링 안착부
122: 돌출부 123: 고정홀
200: 암레스트 201: 토션스프링
210: 로워커버 211: 통과홀
300: 누름부 301: 지지스프링
310: 버튼 320: 가동지지부
331: 스프링 지지부 340: 고정턱
400: 락킹부 401: 리턴스프링
410: 스프링 삽입홈 420: 걸림턱
430: 지지면 440: 이동가이드면
500: 지지부재

Claims (8)

  1. 콘솔 바디의 후방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콘솔 바디의 전방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어 상기 콘솔 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공간부를 개폐하며 잠금 해제시에는 후방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암레스트;
    상기 콘솔 바디의 전방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누름부;
    상기 암레스트의 하부를 형성하는 로워커버에 상기 누름부에 대응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콘솔 바디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락킹부; 및
    상기 콘솔 바디에 체결되고 전방에 상기 누름부가 노출되는 개구홀이 형성되며, 상기 로워커버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락킹부가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락킹홀이 형성된 상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락킹홀이 형성되는 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락킹홀에 상기 누름부가 삽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누름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부하우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에 외부 조작력이 제거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누름부와 하부하우징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지지스프링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스프링이 지지되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스프링이 감김 고정되는 스프링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사용자의 조작시 상기 누름부가 일정 거리만큼만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스프링이 안착되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락킹부의 단부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락킹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동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의 후측 단부를 감싸며 상기 로워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락킹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락킹부의 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각각을 탄성 지지하는 리턴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콘솔 바디에 잠금시, 외측면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로워커버에 지지되는 걸림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KR1020190136155A 2019-10-30 2019-10-30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KR102273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155A KR102273995B1 (ko) 2019-10-30 2019-10-30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155A KR102273995B1 (ko) 2019-10-30 2019-10-30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197A KR20210051197A (ko) 2021-05-10
KR102273995B1 true KR102273995B1 (ko) 2021-07-08

Family

ID=7591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155A KR102273995B1 (ko) 2019-10-30 2019-10-30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9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204319A (ja) * 2017-06-05 2018-12-2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リッドロック機構およ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5538Y2 (ja) * 1991-12-13 1996-10-30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車輌用収納容器の蓋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204319A (ja) * 2017-06-05 2018-12-2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リッドロック機構およ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197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0044B2 (en) Dual-opening armrest assembly and vehicle having same
US10533351B2 (en) Interior apparatus of a vehicle
US20180194295A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KR102422966B1 (ko) 차량의 센터 암레스트
JP2006022482A (ja) プッシュボタン式ボックス開放構造
JP2006240330A (ja) 車両用スイッチ操作機構
JP2007118623A (ja) スライド部材のロック構造
JP4591375B2 (ja) ストライカカバー
KR102273995B1 (ko)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US11541792B2 (en) Armrest assembly mounted on console of vehicle
JP2016211205A (ja) フューエルリッド構造
JP4050539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1025423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7401341B2 (ja) 移動体付き基材
KR101500410B1 (ko) 차량용 암레스트 모듈
JP5108441B2 (ja) リッド開閉機構
JP5122926B2 (ja) リッド開閉機構
JP4563793B2 (ja) 車両収納ボックスの開閉扉
JP4446251B2 (ja) 車両収納ボックスの開閉扉
JP2018177225A (ja) 車両用コンソール装置
CN211166687U (zh) 车辆用控制台
JP2935731B2 (ja) コンソールリッド
JP5450721B2 (ja) リッド開閉機構
JP2794395B2 (ja) 収納装置
US20240149793A1 (en) Storage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