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163B1 - 콘솔박스 - Google Patents

콘솔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163B1
KR101922163B1 KR1020160126567A KR20160126567A KR101922163B1 KR 101922163 B1 KR101922163 B1 KR 101922163B1 KR 1020160126567 A KR1020160126567 A KR 1020160126567A KR 20160126567 A KR20160126567 A KR 20160126567A KR 101922163 B1 KR101922163 B1 KR 101922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etent
support surface
height
conso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6231A (ko
Inventor
이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126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1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절 링크구조로 이루어져 콘솔박스의 암레스트의 높이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콘솔박스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가 구성된 콘솔박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콘솔박스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가 구성된 콘솔박스는 자동차 콘솔박스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가 상기 암레스트의 내부에 결합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측 소정지점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결합면이 형성되어 암레스트와 함께 이동되는 상부링크; 상기 콘솔박스 상측 내부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측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결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전방측 경사면을 따라 톱니형태의 높이조절단가 형성되는 하부링크; 소정길이를 갖는 사각판형의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측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결합면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전방링크; 사각판형의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측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결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 중 상기 높이조절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어느 하나에는 멈춤쇠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전방링크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후방링크; 상기 후방링크의 멈춤쇠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높이조절단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연동되어 상기 상부링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상부링크의 높이가 단계별로 조절되도록 하는 쐐기돌기부가 형성되는 멈춤쇠; 및 상기 전방링크와 하부링크가 연결되는 힌지핀에 형성되어 전방링크와 연결된 상부링크가 항상 아래로 내려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전방링크에 힘을 가하는 링크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솔박스{Console Box}
본 발명은 콘솔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솔박스의 상부에 위치되어 콘솔박스의 덮게 역할을 함과 동시에 운전자 및 동승자의 팔거치를 위한 암레스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콘솔박스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자동차 문화가 일상화됨에 따라 자동차의 실내에는 각종 편의 시설이 추가되는 추세에 있으며, 장거리 운행시나 점차 심각해지는 교통 체증 등으로 인하여 승객이 자동차 실내에서 장시간 머물러야 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이에 대비한 승객의 편의를 위한 시설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는 추세에 있다.
차량에 설치되는 편의시설중의 하나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콘솔박스가 있으며, 이러한 콘솔박스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컵홀더, 키홀더, 휴대폰 거치대, 동전보관함 등 다양한 공간으로 구획된 박스형 구조물로써 운전자의 소형 편의물 등을 보관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콘솔박스는 상부에는 콘솔박스의 개구된 상부면을 덮는 커버 기능을 함과 동시에 운전자 또는 보조석에 탑승한 동승자의 팔거치를 위한 암레스트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콘솔박스에 설치되는 암레스트의 경우 그 높이가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남여별, 또는 같은 성별일 경우에도 체형별 특징을 갖는 운전자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즉, 최근에는 운전자의 신체적 또는 체형별 특성에 적합하도록 시트, 핸들, 사이드미러 등의 다양한 장치들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적용되고 추세 있지만, 현재 콘솔박스에 설치되는 암레스트의 경우, 암레스트가 콘솔박스의 일 측에 단순 힌지 연결되는 구조로 높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신체적 또는 체형별 특성에 적합하도록 암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콘솔박스에 설치되는 암레스트의 높이를 단계별로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신체적 특징 또는 체형에 따라 암레스트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운전자의 휴식을 위한 거치대의 역할이 제대로 수행될 수 있도록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수 있는 콘솔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어 물건의 수납이 가능한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탑승자의 팔거치를 위해 4절 링크구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레스트의 높이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콘솔박스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가 구성되는 콘솔박스에 있어서, 상기 콘솔박스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암레스트의 내부에 결합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측 소정지점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결합면이 형성되어 암레스트와 함께 이동되는 전후방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부링크; 상기 콘솔박스 상측 내부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측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결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전방측 경사면을 따라 톱니형태의 높이조절단이 형성되는 하부링크; 소정길이를 갖는 사각판형의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측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결합면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전방링크; 사각판형의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측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결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 중 상기 높이조절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어느 하나에는 멈춤쇠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전방링크 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후방링크; 상기 후방링크의 멈춤쇠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높이조절단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연동되어 상기 상부링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상부링크의 높이가 단계별로 조절되도록 하는 쐐기돌기부가 형성되는 멈춤쇠; 및 상기 전방링크와 하부링크가 연결되는 힌지핀에 형성되어 전방링크와 연결된 상부링크가 항상 아래로 내려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전방링크에 힘을 가하는 링크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단이 형성된 하부링크의 결합면의 상사점 부근에는 멈춤쇠와 접촉하여 멈춤쇠를 높이조절단과의 체결 방향 또는 체결 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토글밀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링크의 지지면에는 상기 상부링크의 상하방향 이동 시, 상기 하부링크의 토글밀대부와 상기 멈춤쇠가 후방링크의 지지면과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정길이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멈춤쇠는 '┏┓'구조로 형성되어 양끝단 중 일단에는 상기 쐐기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돌기부와 소정거리 이격된 멈춤쇠의 타단에는 상기 하부링크의 토글밀대부와 접촉하여 상기 높이조절단과 체결해제된 상태로 회전된 멈춤쇠가 상기 상부링크의 하방향 이동 시, 다시 상기 높이조절단과 결합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키는 토글돌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멈춤쇠에는 'C' 형태의 구조로, 양단이 후방링크의 멈춤쇠 결합부와 멈춤쇠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탄성력에 의해 높이조절단과의 체결 또는 체결해제 시의 멈춤쇠 회전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토글스프링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가 구성된 콘솔박스는 암레스트의 높이를 다단으로 조절 가능하게 할 수 있음으로써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체형에 따라 암레스트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운전자의 휴식을 위한 거치대의 역할이 제대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콘솔박스 암레스트용 높이조절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차종별 콘솔박스 암레스트에 적용가능 할 수 있다.
아울러, 토글스프링 및 링크스프링의 구성을 통해 암레스트의 단계별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특히 링크스프링에 의해 조작감이 향상되고, 진동에 따른 각 힌지 연결된 링크들의 흔들림이나 소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 감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에 적용되는 콘솔박스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링크가 최하단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부링크가 최상단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상부링크가 상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하는 과정에서, 멈춤쇠가 높이조절단과 체결 해제되도록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부링크가 상방향으로 최대한 이동된 경우, 멈춤쇠가 회전하여 높이조절단과 체결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상부링크가 최하단의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멈춤쇠가 높이조절단과 체결되도록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가 콘솔박스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 암레스트의 높이가 최하단과 최상단으로 높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에 적용되는 콘솔박스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는 자동차 콘솔박스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되며, 자동차 콘솔박스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는 암레스트의 높이가 단계별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상호 힌지 연결되는 상부링크(10), 하부링크(20), 전방링크(30), 후방링크(40), 멈춤쇠(50) 및 링크스프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링크(10)는 암레스트의 내부에 결합되어 암레스트와 함께 이동되는 것으로, 암레스트의 내측면 대응되어 접촉 고정되도록 소정 굴곡을 갖는 사각판형의 지지면(11)과 상기 지지면(11)의 양측 소정지점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결합면(12)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면(12)에는 다른 링크들과 힌지 결합하기 위한 체결홀(13)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링크(20)는 콘솔박스 상측 내부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며, 상부링크(10)의 지지면(11)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사각판형의 지지면(21)과 상기 지지면(21)의 양측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결합면(22)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면(22)에는 다른 링크들과 힌지 결합되기 위한 체결홀(23)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결합면(22) 중 어느 하나의 결합면(22a)은 다른 결합면(22b) 대비 수직방향으로 더 연장 형성됨과 동시에 전방측 경사면을 따라 톱니형태의 높이조절단(24)이 형성된다. 또한, 높이조절단(24)이 형성된 경사면의 상사점 부근에는 수직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토글밀대부(25)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링크(30)는 상부링크(10)와 하부링크(20)를 연결하는 링크 중 전방측에 위치되는 링크로써, 상부링크(10) 및 하부링크(20)의 결합면(12, 22) 사이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사각판형의 지지면(31)과 상기 지지면(31)의 양측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결합면(32)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방링크(30)의 한 쌍의 결합면(32)에는 마찬가지로 다른 링크들과 힌지 결합되기 위한 체결홀(33)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방링크(30)는 상부링크(10)와 하부링크(20)와의 연결 시, 전방링크(30)의 결합면(31)이 상부링크(10) 및 하부링크(20)의 결합면(11, 21)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각각의 체결홀(13, 23, 33)들이 정렬된 상태에서 힌지핀(70)에 의해 연결됨으로서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링크(40)는 상부링크(10)와 하부링크(20)를 연결하는 링크 중 후방측에 위치되는 링크로써, 상부링크(10)의 결합면(12) 사이의 폭보다는 작고, 하부링크(20)의 결합면(22) 사이보다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사각판형의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측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결합면(42)으로 형성된다.
이때, 후방링크(40)의 지지면의 일 측에는 후방링크(40)가 하부링크(20)와 연결된 상태에서 후방링크(40)가 움직일 시, 하부링크(20)의 토글밀대부(25)와 멈춤쇠(50)가 후방링크(40)의 지지면과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정길이로 절개된 절개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개부(44)는 암레스트의 높이 조절 시 멈춤쇠(50) 및 토글밀대부(25)와 후방링크(40)의 지지면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섭충격에 의한 소음저감 및 설계자유도 향상에 따른 컴팩트한 구조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내용은 후술될 작동설명을 통해 보다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후방링크(40)의 한 쌍의 결합면(42)에는 다른 링크들과 마찬가지로 다른 링크들과 상호 힌지 결합되기 위한 체결홀(43)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링크(40)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면(42) 중 높이조절단(24)이 형성된 하부링크(20)의 결합면(22a)측에 위치하는 결합면(42a)의 소정위치에는 다른 결합면(42b) 대비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멈춤쇠 결합부(45)가 형성된다. 이때, 멈춤쇠 결합부(45)에는 멈춤쇠(50)가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멈춤쇠 결합홀(46)과, 일단이 멈춤쇠(50)와 연결되는 토글스프링(54)의 타단이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토글스프링 결합홀(47)이 형성된다.
이러한 후방링크(40)는 상부링크(10)와 하부링크(20)와의 연결 시, 후방링크(40)의 결합면(42)이 상부링크(10)측과 결합시에는 상부링크(10) 결합면(12)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링크(20)측과 결합시에는 하부링크(20) 결합면(22) 외측에 배치된 상태로 각각의 체결홀(13, 23, 43)들이 정렬된 상태에서 힌지핀(7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모든 링크가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멈춤쇠(50)는 후방링크(40)의 멈춤쇠 결합홀(46)에 힌지 결합되어 하부링크(20)의 높이조절단(24)과 상호 연동하여 링크들에 의한 암레스트의 높이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개략적으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구조로 형성된 멈춤쇠(50)는 양 끝단 중 일단에는 높이조절단(24)의 톱니와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쐐기돌기부(51)가 형성되며, 상기 쐐기돌기부(51)와 소정거리 이격된 멈춤쇠(50)의 타단에는 멈춤쇠(50)가 높이조절단(24)의 최상단을 거쳐 결합상태가 해제 후 최하단으로 이동할 때, 토글밀대부(25)와 접촉하여 멈춤쇠(50)가 다시 높이조절단(24)과 결합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회전 복귀시키는 토글돌기부(52)가 형성된다.
또한, 멈춤쇠(50)에는 'C' 형태의 구조로 형성되어 일단이 후방링크(40)의 멈춤쇠 결합부(45)의 토글스프링 결합홀(47)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멈춤쇠(50)에 형성된 토글스프링 결합홀(53)에 힌지 결합되는 토글스프링(54)이 구성된다. 이러한 토글스프링(54)은 탄성력에 의해 멈춤쇠(50)가 회전되어 높이조절단(24)에 체결 또는 해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링크스프링(60)은 전방링크(30)와 하부링크(20)가 연결되는 힌지핀(70)에 형성되어 전방링크(30)에 힘을 가해 전방링크(30)와 연결된 상부링크(10)가 항상 아래로 내려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도록 한다. 이러한 링크스프링(60)은 상부링크(10)가 항상 아래로 내려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음에 따라 멈춤쇠(50)가 높이조절단(24)에 체결 시, 토글스프링(54)과 함께 쐐기돌기부(51)와 높이조절단(24)과의 체결상태가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암레스트의 높이를 다시 최하단으로 위치시키는 조작시 보다 적은 힘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링크(10)가 아래로 내려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임에 따라 각 모른 링크에는 적절한 긴장(텐션)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진동에 의해 발생 될 수 있는 링크들의 흔들림이나 발생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 동작(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상부링크가 최하단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부링크가 최상단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도면이다.
먼저, 암레스트의 높이를 각 단계별로 조절하는 작동상태를 도 2 및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부링크(10)가 가장 낮은 위치(최하단)에서 가장 높은 위치(최상단)로까지 단계별로 고정 시, 운전자는 상부링크(10)가 결합된 암레스트를 파지하여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암레스트의 상방향 이동에 따라 상부링크(1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며, 상부링크(10)의 상방향 정도에 따라 멈춤쇠(50)가 높이조절단(24)을 따라 최하단 위치에서부터 최상단까지 단계별로 이동하면서 높이조절단(24)의 각 단별 톱니에 체결된다. 이때, 토글스프링(54) 및 링크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쐐기돌기부(51)가 톱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쐐기돌기부(51)가 높이조절단(24)의 각 단별 톱니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멈춤쇠(50)가 높이조절단(24)을 따라 각 단별 톱니에 체결될 시, 멈춤쇠(50)의 토글돌출부(52)와 하부링크(20)의 토글밀대부(25)는 후방링크(40)의 절개부(44)를 통해 후방링크(40) 지지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진다. 이러한 절개부(44)는 토글돌출부(52)와 토글밀대부(25)가 후방링크(40)의 지지면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이동영역을 확보해줌으로써, 후방링크(40)의 부피, 전방링크(30)와의 간격 등이 최소화될 수 있음으로써 전반적인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가 컴팩트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콘솔박스의 경우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 형성되는 만큼 부피와 높이 관련 설계 범위가 매우 제한적임에 따라 컴팩트한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상부링크가 상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하는 과정에서, 멈춤쇠가 높이조절단과 체결 해제되도록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부링크가 상방향으로 최대한 이동된 경우, 멈춤쇠가 회전하여 높이조절단과 체결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상부링크가 최하단의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멈춤쇠가 높이조절단과 체결되도록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가 콘솔박스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 암레스트의 높이가 최하단과 최상단으로 높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한편, 암레스트를 다시 원래 위치한 최하단에 위치시키는 작동상태를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운전자는 암레스트를 원래 위치인 최하단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암레스트를 최상단 고정위치보다 더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암레스트가 최상단 고정위치보다 더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면 멈춤쇠(50) 또한 높이조절단(24)의 최상단보다 더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높이조절단(24)을 이탈함으로써 높이조절단(24)과의 체결이 해제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암레스트를 상방향으로 더 들어올리게 되면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멈춤쇠(50)의 쐐기돌기부(51)의 후측면이 토글밀대부(25)와 충돌하게 되고, 토글밀대부(25)와 충돌한 멈춤쇠(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수평상태에 가깝게 놓이게 된다. 이때, 토글밀대부(25)와의 충돌에 의한 멈춤쇠(50)의 회전 시, 토글돌출부(52)가 형성된 멈춤쇠(50)의 후단부분이 후방링크(40)의 지지면에 부딪치면서 회전영역이 제한되어 멈춤쇠(50)의 과도한 회전이 방지되며, 토글스프링(54)에 의해 수평상태에 가깝게 회전한 멈춤쇠(50)의 상태가 유지된다.
이후, 상부링크(10)가 최대한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져 멈춤쇠가 도 5와 같이 높이조절단으로부터 해제되어 수평에 가까워진 형태로 놓여진 상태에서 운전자는 암레스트를 하방향으로 밀게되고, 상부링크(10)의 하방향 이동과 함께 멈춤쇠(50)는 높이조절단(24)의 경사방향이 아닌 전방측(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링크(10)의 하방향 이동에 의해 멈춤쇠(5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부링크(10)가 최하단 높이의 위치로 거의 근접하게 이동되었을 때, 쐐기돌기부(51)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멈춤쇠(50)의 토글돌출부(52)와 토글밀대부(25)가 충돌하여 멈춤쇠(50)가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멈춤쇠(5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된 멈춤쇠(50)의 쐐기돌출부(51)는 높이조절단(24)의 최하단 지점의 톱니에 체결됨으로써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콘솔박스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는 콘솔박스의 암레스트의 높이를 다단으로 조절 가능하게 할 수 있음으로써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체형 또는 신체적 특징에 따라 암레스트의 높이를 단계별로 조절 가능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콘솔박스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차종별 콘솔박스 암레스트에 적용가능 할 수 있다.
아울러, 토글스프링(54) 및 링크스프링(60)의 구성을 통해 암레스트의 단계별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특히 링크스프링에 의해 조작감이 향상되고, 진동에 따른 각 힌지 연결된 링크들의 흔들림이나 소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 감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10: 상부링크
20: 하부링크
24: 높이조절단 25: 토글밀대부
30: 전방링크
40: 후방링크
44: 절개부 45: 멈춤쇠 결합부
50: 멈춤쇠
51: 쐐기도출부 52: 토글돌출부
53: 토글스프링 결합부 54: 토글스프링
60: 링크스프링

Claims (5)

  1.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어 물건의 수납이 가능한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탑승자의 팔거치를 위해 4절 링크구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레스트의 높이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콘솔박스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가 구성되는 콘솔박스에 있어서,
    상기 콘솔박스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암레스트의 내부에 결합되는 지지면(11)과, 상기 지지면(11)의 양측 소정지점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결합면(12)이 형성되어 암레스트와 함께 이동되는 전후방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부링크(10);
    상기 콘솔박스 상측 내부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지지면(21)과, 상기 지지면(21)의 양측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결합면(2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전방측 경사면을 따라 톱니형태의 높이조절단(24)이 형성되는 하부링크(20);
    소정길이를 갖는 사각판형의 지지면(31)과 상기 지지면(31)의 양측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결합면(32)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링크(10)와 하부링크(20)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전방링크(30);
    사각판형의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측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결합면(4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42) 중 상기 높이조절단(24)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어느 하나에는 멈춤쇠 결합부(45)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전방링크(30) 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링크(10)와 하부링크(20)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후방링크(40);
    상기 후방링크(40)의 멈춤쇠 결합부(45)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높이조절단(24)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연동되어 상기 상부링크(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상부링크(10)의 높이가 단계별로 조절되도록 하는 쐐기돌기부(51)가 형성되는 멈춤쇠(50); 및
    상기 전방링크(30)와 하부링크(20)가 연결되는 힌지핀(70)에 형성되어 전방링크(30)와 연결된 상부링크(10)가 항상 아래로 내려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전방링크(30)에 힘을 가하는 링크스프링(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단(24)이 형성된 하부링크(20)의 결합면(20a)의 상사점 부근에는 멈춤쇠(50)와 접촉하여 멈춤쇠(50)를 높이조절단(24)과의 체결 방향 또는 체결 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토글밀대부(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링크(40)의 지지면에는 상기 상부링크(10)의 상하방향 이동 시, 상기 하부링크(20)의 토글밀대부(25)와 상기 멈춤쇠(50)가 후방링크(40)의 지지면과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정길이로 절개된 절개부(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50)는 '┏┓'구조로 형성되어 양끝단 중 일단에는 상기 쐐기돌기부(51)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돌기부(51)와 소정거리 이격된 멈춤쇠(50)의 타단에는 상기 멈춤쇠(50)가 높이조절단(24)과 체결해제된 상태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링크(10)의 하방향 이동 시, 상기 하부링크(20)의 토글밀대부(25)와 접촉하여 상기 높이조절단(24)과 결합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키는 토글돌기부(5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50)에는 'C' 형태의 구조로, 양단이 후방링크(40)의 멈춤쇠 결합부(45)와 멈춤쇠(50)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탄성력에 의해 높이조절단(24)과의 체결 또는 체결해제일 때의 멈춤쇠(50) 회전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토글스프링(54)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

KR1020160126567A 2016-09-30 2016-09-30 콘솔박스 KR101922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567A KR101922163B1 (ko) 2016-09-30 2016-09-30 콘솔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567A KR101922163B1 (ko) 2016-09-30 2016-09-30 콘솔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231A KR20180036231A (ko) 2018-04-09
KR101922163B1 true KR101922163B1 (ko) 2018-11-26

Family

ID=6197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567A KR101922163B1 (ko) 2016-09-30 2016-09-30 콘솔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1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607B1 (ko) * 2020-10-28 2022-07-14 주식회사 서연이화 변위 조절식 콘솔 암레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4646A (ja) * 2008-05-16 2009-11-26 Toyota Boshoku Corp アームレスト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712Y1 (ko) * 1996-10-31 1999-10-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콘솔박스 리드
JP4200060B2 (ja) * 2003-06-30 2008-12-24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昇降装置及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4646A (ja) * 2008-05-16 2009-11-26 Toyota Boshoku Corp アームレスト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231A (ko) 201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2055B1 (en) Lock device of seatback
US7614674B2 (en) Console box
US5265937A (en) Seat back inertia lock
JP4883440B2 (ja) スライド・跳上げ式自動車用シート
US20170057387A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sliding armrest console
JP2009520640A (ja) 自動車用ヘッドレスト
US6877800B2 (en) Sunroof device
KR101922163B1 (ko) 콘솔박스
JPH067012Y2 (ja) 自動車のコンソ−ルボツクス構造
JP4579449B2 (ja) カップホルダー装置
US11498491B2 (en) Vehicle storage device
JP4943603B2 (ja) 車載用ルーフボックス
JP3942084B2 (ja) 車両用シート
CN108569171B (zh) 用于座椅靠背的铰接锁定机构
JP4244464B2 (ja) 二段収納容器
JP3606181B2 (ja) 車両用シート
WO2023182310A1 (ja) 車両用ドアアームレスト
JP6765918B2 (ja) 収納装置
JP3162303B2 (ja) 自動車用スペースアップシートのインナーレッグカバー構造
JP3162302B2 (ja) 自動車用スペースアップシートのインナーレッグ構造
JP4784802B2 (ja) 跳上げ可能なスライド式折畳みシート
KR19990048081A (ko) 자동차용 콘솔의 암레스트 슬라이딩장치
JP7356405B2 (ja) テーブルユニット
JP6754718B2 (ja) 物品保持装置、及び物品保持装置を備えたセンターコンソール
US20230294581A1 (en) Armre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