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072A - 콤바인, 산정 시스템, 산정 방법, 산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콤바인, 산정 시스템, 산정 방법, 산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072A
KR20230118072A KR1020237014028A KR20237014028A KR20230118072A KR 20230118072 A KR20230118072 A KR 20230118072A KR 1020237014028 A KR1020237014028 A KR 1020237014028A KR 20237014028 A KR20237014028 A KR 20237014028A KR 20230118072 A KR20230118072 A KR 20230118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grain
work
amou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사이토
소타로 하야시
다카노리 호리
게이이치 우에다
교스케 야마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30118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작물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탈곡 장치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탈곡 장치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탈곡 장치로부터 곡립 탱크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 Fv1을 계측하는 유량 계측 장치(81A)와, 특정한 수량값 Vd를 접수하는 수량 접수부(85)와, 유량 Fv1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에 의해 얻어진 곡립의 수량 Vi가 특정한 수량값 Vd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량을 산정하는 작업량 산정부(84)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 산정 시스템, 산정 방법, 산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본 발명은, 탈곡 장치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탈곡 장치로부터 곡립 탱크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 계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 산정 시스템, 산정 방법, 산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9-216744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된 콤바인에서는, 곡립 탱크(특허문헌 1에서는 「그레인 탱크」) 내에 저류된 곡립의 수량(收量)(특허문헌 1에서는 「수확량」)이 검출되고, 포장에서 곡립 탱크가 가득차는 위치가 수량에 기초하여 예측된다. 곡립의 수량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20-000107호 공보(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특허문헌 2에서는 「곡립 탱크」)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 셀(특허문헌 2에서는 「중량 측정기」)에 의해 검출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9-21674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20-000107호 공보
그런데 일본 특허 공개 제2019-216744호 공보에 개시된 콤바인에서는, 포장에서 곡립 탱크가 가득차는 위치가 수량에 기초하여 예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곡립 탱크가 가득차기 전이라도, 특정한 수량에 기초하는 다양한 작업(예를 들어 곡립의 배출 작업이나, 수량에 따른 메인터넌스 작업)이 필요한 경우도 생각된다. 이 때문에, 특정한 수량에 도달할 때까지의 작업량을 산정 가능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특정한 수량에 도달할 때까지의 작업량을 산정하기 위해, 수량이 고정밀도로 검출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20-000107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이면, 곡립 탱크 내에 있어서의 곡립의 저류 형상(예를 들어, 전후 한쪽 부근이나 좌우 한쪽 부근으로 치우쳐 저류되는 경우 등)에 따라서는 로드 셀의 검출값이 다른 경우도 있기 때문에, 수량의 검출 정밀도의 향상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요구에 따른 특정한 수량에 도달할 때까지의 작업량을 고정밀도로 산정 가능한 콤바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에서는, 작물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곡립 탱크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 계측 장치와, 특정한 수량값을 접수하는 수량 접수부와, 상기 유량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에 의해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상기 특정한 수량값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량을 산정하는 작업량 산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량 접수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나 관리자는, 수량 접수부를 통해 요구에 따른 특정한 수량을 지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이라면, 예를 들어 곡립 탱크가 가득차기 전이라도, 특정한 수량에 기초하는 다양한 작업(예를 들어 곡립의 배출 작업이나, 수량에 따른 메인터넌스 작업)이 필요해질 때까지의 작업량을 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이 유량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되고, 상기 특정한 수량값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량이 당해 유량에 기초하여 산정된다. 즉, 곡립 탱크 내에 있어서의 곡립의 저류 형상(예를 들어, 전후 한쪽 부근이나 좌우 한쪽 부근에 치우쳐 저류되는 경우 등)에 좌우되는 일 없이, 작업량의 산정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요구에 따른 특정한 수량에 도달할 때까지의 작업량을 고정밀도로 산정 가능한 콤바인이 실현된다.
상술한 수확기의 기술적 특징은, 산정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산정 시스템은, 탈곡 장치로부터 반송 장치를 통해 곡립 탱크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 계측 장치와, 특정한 수량값을 접수하는 수량 접수부와, 상기 유량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에 의해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상기 특정한 수량값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작업량을 산정하는 작업량 산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수확기의 기술적 특징은, 산정 방법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산정 방법은, 탈곡 장치로부터 반송 장치를 통해 곡립 탱크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 계측 스텝과, 특정한 수량값을 접수하는 수량 접수 스텝과, 상기 유량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에 의해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상기 특정한 수량값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작업량을 산정하는 작업량 산정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수확기의 기술적 특징은, 산정 프로그램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 기술적 특징을 갖는 산정 프로그램이 기록된 광 디스크나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도 상술한 기술적 특징에 포함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산정 프로그램은, 탈곡 장치로부터 반송 장치를 통해 곡립 탱크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 계측 기능과, 특정한 수량값을 접수하는 수량 접수 기능과, 상기 유량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에 의해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상기 특정한 수량값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작업량을 산정하는 작업량 산정 기능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업량 산정부는, 상기 유량을 적산함으로써 상기 수량을 산정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유량을 적산함으로써 수량이 산출되기 때문에, 곡립 탱크 내에 있어서의 곡립의 저류 형상(예를 들어, 전후 한쪽 부근이나 좌우 한쪽 부근에 치우쳐 저류되는 경우 등)에 관계없이 수량의 산출이 가능해진다. 이 점으로부터, 예를 들어 곡립 탱크의 중량을 로드 셀로 측정함으로써 곡립의 수량이 계측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수량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업량 산정부는, 상기 유량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당의 평균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특정한 수량값으로부터 상기 수량을 감산하여 얻어진 값을 상기 평균 수량으로 제산하여, 상기 작업량으로서, 작업 시간을 산정하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업량 산정부는, 상기 유량에 기초하여 단위 주행 거리당의 평균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특정한 수량값으로부터 상기 수량을 감산하여 얻어진 값을 상기 평균 수량으로 제산하여, 상기 작업량으로서, 작업 주행 거리를 산정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해, 오퍼레이터나 관리자는, 작업량으로서 산정된 작업 시간과 작업 주행 거리 중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여, 포장에 있어서의 수확 작업을 계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업량은, 상기 곡립 탱크에 상기 특정한 수량값에 대응하는 곡립이 저류될 때까지의 작업량이면 적합하다.
본 구성이라면, 작업량이 곡립 탱크 내에 있어서의 곡립의 저류 상태에 기초하여 산정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나 관리자는, 예를 들어 곡립의 배출 작업 등의 구체적인 작업과, 당해 구체적인 작업이 필요해질 때까지의 수확 작업을 계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량 계측 장치에, 반송되는 곡립이 접촉하여 요동하는 암부와, 상기 암부의 요동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요동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을 산출하는 산출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곡립이 암부와 접촉하면 암부가 요동하고, 암부의 요동 각도가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다. 콤바인의 진동에 기인하여 암부가 공진하는 경우, 예를 들어 암부에 걸리는 하중을 센서부(예를 들어 로드 셀)가 검출하는 구성이면, 당해 공진이 센서부에 의한 하중의 검출에 미치는 영향은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암부가 공진해도, 공진에만 기인하여 암부가 요동하는 것은 아니므로, 센서부가 암부의 요동 각도를 검출하는 구성이면, 당해 공진이 센서부에 의한 요동 각도의 검출에 미치는 영향은 작다. 이 점으로부터, 예를 들어 암부에 걸리는 하중을 센서부가 검출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유량 계측 장치가 콤바인의 진동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즉, 암부의 요동 각도의 대소는, 콤바인의 진동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산출부는 요동 각도의 대소에 따라서 곡립의 유량을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량 계측 장치는 곡립의 수량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의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4는 곡립 탱크, 양곡 장치, 및 탈곡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1번물 센서를 도시하는 양곡 장치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6은 1번물 센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1번물 센서를 도시하는 기체 전후 방향에서 볼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1번물 센서가 곡립을 검출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양곡 장치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9는 1번물 센서가 곡립을 검출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양곡 장치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2번물 센서 및 2번물 배출구의 배치도이다.
도 11은 2번물 센서 및 2번물 배출구의 배치도이다.
도 12는 2번물 센서 및 2번물 배출구의 배치도이다.
도 13은 2번물 센서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버킷이 험프와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양곡 장치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버킷이 험프와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양곡 장치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버킷이 험프와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양곡 장치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17은 작업량의 산정, 및 탈곡 처리물의 양의 측정에 관한 기능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1번물 회수량 및 2번물 환원량의 검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탈곡 제어에 관한 제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자탈형 콤바인에 있어서의 1번물 센서를 도시하는 곡립 탱크 측벽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1번물 회수량 및 2번물 환원량의 검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작업량의 산정 및 탈곡 처리물의 양의 측정에 관한 기능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은, 탈곡된 작물로부터 선별된 곡립을 적절하게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콤바인에 대해서, 보통형 콤바인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우측면도이고,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전」(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F」의 방향)은 기체 전후 방향(주행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을 의미하고, 「후」(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B」의 방향)는 기체 전후 방향(주행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U」의 방향) 및 「하」(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D」의 방향)는 기체의 연직 방향(수직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이며, 지상 높이에 있어서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좌우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은, 기체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기체 횡단 방향(기체 폭 방향), 즉, 「좌」(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 「L」의 방향) 및 「우」(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 「R」의 방향)는 각각, 기체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콤바인에는,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3)와, 주행 장치(3)에 의해 지지된 기체 프레임(2)과, 포장의 작물(벼, 보리, 대두, 유채씨 등의 각종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4)와, 피더(11)와, 탈곡 장치(1)와, 곡립 탱크(12)와, 곡립 배출 장치(14)가 구비되어 있다.
예취부(4)는 작물을 긁어들이는 긁어들임 릴(5)과, 포장의 작물을 절단하는 바리캉형의 절단 장치(6)와, 예취된 작물을 피더(11)까지 횡 이송하는 오거(7)를 구비한다. 예취부(4)에 의해 예취된 작물은, 피더(11)에 의해 탈곡 장치(1)로 반송되고, 탈곡 장치(1)에 의해 탈곡 선별 처리된다. 탈곡 장치(1)에 의해 탈곡 선별 처리된 선별 처리물은, 곡립 탱크(12)에 저류되고, 적절하게 곡립 배출 장치(14)에 의해 기외로 배출된다.
예취부(4)의 후방에, 피더(11)와 횡배열 상태로 운전부(9)가 구비되고, 운전부(9)는 기체 우측으로 치우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운전부(9)는 캐빈(10)에 의해 덮여 있다. 운전부(9)의 하방에는 엔진 룸(ER)이 구비되고, 엔진 룸(ER)에는 엔진(E)이나, 특별히 도시는 하지 않지만, 냉각 팬이나 라디에이터 등이 수용되어 있다. 엔진(E)의 동력은, 도시하지 않은 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 주행 장치(3)와, 예취부(4)나 탈곡 장치(1) 등의 작업 장치에 전달된다.
캐빈(10)에 위성 측위 모듈(83)이 마련되어 있다. 위성 측위 모듈(83)은, 인공위성(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신호(GPS 신호를 포함함)를 수신하여, 자차 위치를 취득한다. 또한, 위성 측위 모듈(83)에 의한 위성 항법을 보완하기 위해, 자이로 가속도 센서나 자기 방위 센서를 내장한 관성 항법 유닛이 위성 측위 모듈(83)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관성 항법 유닛은, 콤바인에 있어서 위성 측위 모듈(83)과 다른 개소에 배치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되는 탈곡 장치(1)의 종단 좌측면도를 사용하여, 탈곡 장치(1)의 구성을 설명한다. 탈곡 장치(1)는 기체 프레임(2)에 마련되고, 급동(22)에 의해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41)와, 탈곡 처리물을 요동 선별 처리하는 선별부(42)를 구비한다. 탈곡부(41)는, 탈곡 장치(1)에 있어서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고, 탈곡부(41)의 하방에, 수망(23)이 마련되고, 선별부(42)는 수망(23)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선별부(42)는 수망(23)으로부터 누하되어 온 탈곡 처리물을, 회수해야 할 곡립을 포함하는 선별 처리물과, 배출 짚 등의 배출물로 선별한다.
탈곡부(41)는, 탈곡 장치(1)의 좌우의 측벽과, 천장판(53)과, 수망(23)으로 둘러싸인 급실(21)을 구비한다. 급실(21)에는, 회전에 의해 작물을 탈곡 처리하는 급동(22)과, 복수의 송진 밸브(53a)가 구비되어 있다. 급동(22)은 회전 축심 X 주위로 회전한다. 피더(11)에 의해 반송된 작물은, 급실(21)에 투입되고, 급동(22)에 의해 탈곡 처리된다. 급동(22)에 의해 동반 회전되는 작물은, 송진 밸브(53a)의 이송 작용에 의해 후방을 향해 이송된다.
송진 밸브(53a)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천장판(53)의 내면(하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된다. 송진 밸브(53a)는, 평면에서 보아 회전 축심 X에 대해 경사지는 자세로 마련된다. 그 때문에, 각각의 송진 밸브(53a)는, 급실(21)에 있어서 급동(22)과 함께 회전하는 예취 곡간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작용시킨다. 또한, 송진 밸브(53a)는 회전 축심 X에 대한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급동(22) 내에서 작물이 후방으로 보내지는 속도는, 송진 밸브(53a)의 경사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작물이 탈곡되는 탈곡 효율은, 작물이 급동(22) 내에서 보내지는 속도에도 영향을 받는다. 그 결과, 작물이 탈곡되는 처리 능력은,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여 조정할 수 있지만, 송진 밸브(53a)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하나의 수단으로서 조정할 수 있다. 특별히 도시는 하지 않지만, 송진 밸브(53a)의 경사 자세를 변경 제어 가능한 송진 밸브 제어 기구가 구비되어 있어, 송진 밸브(53a)의 경사 각도를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탈곡 장치(1)는 1번물 회수부(26)와, 2번물 회수부(27)와, 2번물 환원 장치(32)를 구비한다. 선별부(42)는, 시브 케이스(33)를 갖는 요동 선별 장치(24)와 풍구(19)를 구비한다.
풍구(19)는 선별부(42)의 전방부 영역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고, 요동 선별 장치(24)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처리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 선별풍을 발생시킨다. 선별풍은,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배출 짚 등을 시브 케이스(33)의 후방측을 향해 송출하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요동 선별 장치(24)에 있어서는, 요동 구동 기구(43)에 의해 시브 케이스(33)가 요동함으로써, 시브 케이스(33)의 내부의 탈곡 처리물이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요동 선별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이하의 설명에서는, 요동 선별 장치(24)에 있어서, 처리물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이 전단 혹은 전방측이라 칭해지고, 하류측이 후단 혹은 후방측이라 칭해진다. 또한, 풍구(19)는 선별풍의 강도(풍량, 풍속)를 변경할 수 있다. 선별풍을 강하게 하면, 탈곡 처리물을 후방으로 송출하기 쉬워져, 선별 속도가 고속이 된다. 반대로, 선별풍을 약하게 하면, 탈곡 처리물이 시브 케이스(33) 내에 오래 머물러, 선별 정밀도가 높아진다. 그 때문에, 풍구(19)는 선별풍의 강도를 변경함으로써, 요동 선별 장치(24)의 선별 효율(선별 정밀도나 선별 속도)을 조정할 수 있다. 특별히 도시는 하지 않지만, 풍구(19)의 선별풍의 강도를 변경 제어 가능한 풍구 제어 기구가 구비되어 있어, 풍구(19)의 선별풍의 강도를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시브 케이스(33)의 전반 부분에는, 제1 채프 시브(38)가 구비되고, 시브 케이스(33)의 후반 부분에는, 제2 채프 시브(39)가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특별히 설명은 하지 않지만, 시브 케이스(33)에는, 제1 채프 시브(38) 등 이외에, 그레인 팬이나 그레인 시브(40)가 구비되어 있다. 수망(23)을 누하한 탈곡 처리물은, 제1 채프 시브(38)나 제2 채프 시브(39)에 낙하한다. 탈곡 처리물의 대부분은, 수망(23)으로부터 제1 채프 시브(38)를 포함하는 시브 케이스(33)의 전반 부분으로 누하되고, 시브 케이스(33)의 전반 부분에 의해 조선별 및 정선별된다. 일부의 탈곡 처리물은, 수망(23)으로부터 제2 채프 시브(39)로 누하되거나, 제1 채프 시브(38)로부터 하방으로 누하되지 않고 제2 채프 시브(39)까지 이송되거나 하여, 제2 채프 시브(39)에 있어서 누하 선별된다.
제1 채프 시브(38)의 하방에는, 상기 그레인 시브(4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요동 선별 장치(24)는, 제1 채프 시브(38)의 하방에 마련된 그레인 시브(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레인 시브(40)는, 펀칭 메탈이나 망체 등의 다공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제1 채프 시브(38)로부터 누하되어 온 탈곡 처리물을 받아내어 누하 선별한다.
시브 케이스(33)의 전반 부분의 하방에, 스크루식의 1번물 회수부(26)가 구비되고, 시브 케이스(33)의 후반 부분의 하방에, 스크루식의 2번물 회수부(27)가 구비되어 있다. 시브 케이스(33)의 전반 부분에 의해 선별 처리되어 누하되어 온 1번물, 즉, 선별부(42)에 의해 선별된 선별 처리물 중 1번물은, 1번물 회수부(26)에 의해 회수되어, 곡립 탱크(12)의 측(기체 좌우 방향 우측)을 향해 반송된다. 시브 케이스(33)의 후반 부분(제2 채프 시브(39))에 의해 선별 처리되어 누하되어 온 2번물(일반적으로 선별 처리 정밀도가 낮아, 절단 짚 등의 비율이 높음), 즉, 선별 처리물 중 2번물은, 2번물 회수부(27)에 의해 회수된다. 2번물은, 탈곡 처리물 중, 선별 처리물로서 선별되지 않은 탈곡 처리물이 상당한다. 2번물 회수부(27)에 의해 회수된 2번물은, 2번물 환원 장치(32)에 의해 선별부(42)의 전방부에 환원되어, 시브 케이스(33)에 의해 재선별된다.
제1 채프 시브(38)에는, 탈곡 처리물의 이송(반송)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마련된 복수의 판상의 채프 립이 구비되어 있다. 각 채프 립은, 후단부측일수록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채프 립의 경사 각도는 가변이며, 경사 각도를 급하게 할수록, 인접하는 채프 립끼리의 간격이 확대되어, 탈곡 처리물이 누하되기 쉬워진다. 즉, 복수의 채프 립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누하 개방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채프 립의 경사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요동 선별 장치(24)의 선별 효율(선별 정밀도나 선별 속도)을 조정할 수 있다. 채프 립의 경사 자세를 변경 제어 가능한 립 제어 기구가 구비되어 있어, 채프 립의 경사 각도를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2 채프 시브(39)도, 제1 채프 시브(38)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제2 채프 시브(39)의 채프 립의 경사 자세를 변경 제어 가능한 각도 제어 기구도 구비되어 있어, 채프 립의 경사 각도를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곡립 탱크(12), 양곡 장치(29), 및 탈곡 장치(1)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양곡 장치(29)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번물 회수부(26)에 의해 회수된 선별 처리물을 곡립 탱크(12)로 반송하는 양곡 장치(29)가 구비되어 있다. 양곡 장치(29)는, 탈곡 장치(1)와 곡립 탱크(12)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기립 설치되어 있다. 양곡 장치(29)는, 버킷 컨베이어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곡 장치(29)에 의해 리프팅된 선별 처리물은, 양곡 장치(29)의 상단부에 있어서, 횡 이송 반송 장치(30)에 전달된다. 횡 이송 반송 장치(30)는 양곡 장치(29)에 인접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횡 이송 반송 장치(30)는, 스크루 컨베이어식으로 구성되고, 곡립 탱크(12)의 전방부 좌측의 벽부로부터 곡립 탱크(12)의 내부에 박혀 있다. 횡 이송 반송 장치(30)는, 기체 횡방향 축심 Y1 주위로 회전하는 스크루부(30S)를 갖는다. 횡 이송 반송 장치(30)의 탱크 내부측의 단부에, 곡립 방출 장치(30A)가 구비되어 있다. 곡립 방출 장치(30A)는, 판상의 방출 회전체(30B)를 구비하고 있고, 스크루부(30S)와 일체 회전한다. 선별 처리물(곡립)은 횡 이송 반송 장치(30)에 의해 횡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곡립 방출 장치(30A)에 의해 곡립 탱크(12) 내에 투척된다. 즉, 횡 이송 반송 장치(30)는 양곡 장치(29)에 의해 반송된 곡립을 수취하여 횡 이송하고, 곡립 탱크(12)에 투입한다. 양곡 장치(29) 및 횡 이송 반송 장치(30)는, 본 발명의 『반송 장치』이다.
양곡 장치(29)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스프로킷(29A)과 종동 스프로킷(29B)에 걸쳐서 감아 걸린 무단 회동 체인(29C)의 외주측에 복수의 버킷(31)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양곡 장치(29)는, 탈곡 장치(1)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리프팅하는 복수의 버킷(31)을 갖는다. 양곡 장치(29)는, 선별 처리물이 수납된 버킷(31)이 상승하는 이송 경로(29D)와, 선별 처리물을 횡 이송 반송 장치(30)로 배출한 후의 버킷(31)이 하강하는 복귀 경로(29E)를 구비한다. 이송 경로(29D)와 복귀 경로(29E)는, 이송 경로(29D)가 후방측이 되도록, 곡립 탱크(12)의 좌측 벽(12b)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된다.
〔1번물 센서의 구성〕
양곡 장치(29)와 횡 이송 반송 장치(30) 사이에 1번물 센서(60)가 구비되어 있다. 1번물 센서(60)는, 본 발명의 『유량 계측 장치』이다. 양곡 장치(29)의 상단부에 있어서, 버킷(31)으로부터 횡 이송 반송 장치(30)에 전달되는 선별 처리물의 양을 측정하도록, 1번물 센서(60)가 배치된다. 1번물 센서(60)는 양곡 장치(29) 및 횡 이송 반송 장치(30)에 의해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 Fv1(도 17 참조)을 계측한다. 1번물 센서(60)에, 반송되는 곡립이 접촉하여 요동하는 암부(63)와, 제1 센서부(64)(본 발명의 『센서부』)와, 제1 유량 산출부(81A)(도 17 참조, 본 발명의 『산출부』)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센서부(64)는 암부(63)의 요동 각도 θ1(도 8, 도 9, 도 17 참조)을 검출한다. 제1 유량 산출부(81A)는, 검출된 요동 각도 θ1에 기초하여 유량 Fv1을 산출한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버킷(31)이 이송 경로(29D)를 따라서 상향으로 이동하고, 곡립은 버킷(31)에 적재되어, 1번물 회수부(26)로부터 양곡 장치(29)의 상단부로 반송된다. 양곡 장치(29)의 상단부에 토출구(29h)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29h)는 양곡 장치(29)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복귀 경로(29E)가 위치하는 측 부분 중 이송 경로(29D)와는 반대측의 측부에 구비되어 있다. 양곡 장치(29)의 상단부에 있어서 버킷(31)이 이송 경로(29D)로부터 복귀 경로(29E)로 이동할 때, 버킷(31)은 상승 자세로부터 하강 자세로 자세 반전된다. 이때, 버킷(31)은 종동 스프로킷(29B)의 회동 축심 주위로 180도(또는 대략 180도) 선회 동작하여, 버킷(31)에 적재된 곡립에 원심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토출구(29h)에 있어서 버킷(31)은 당해 선회 동작 시에 곡립을 투척한다. 환언하면, 양곡 장치(29)의 상단부에 있어서 상승 자세로부터 하강 자세로 자세 반전되는 버킷(31)에 의해, 곡립이 토출구(29h)로 투척된다. 양곡 장치(29)의 상단부, 즉 이송 경로(29D) 및 복귀 경로(29E)의 각각의 상단부는, 천장판(61)에 덮여 있다. 또한, 횡 이송 반송 장치(30)는 토출구(29h)에 연결되어 있다. 즉, 토출구(29h)의 외측이며 또한 횡 이송 반송 장치(30)의 상방에, 양곡 장치(29)와 횡 이송 반송 장치(30)의 수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곡립은,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되면, 천장판(61)의 하방 공간에서 포물선을 그리면서, 횡 이송 반송 장치(30)로 투입된다.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곡 장치(29)에 있어서의 천장판(61)에 팽출부(65)가 마련되어 있다. 팽출부(65)는 천장판(61)의 표면 부분보다 상측으로 팽출하고, 팽출부(65)의 내부에 내부 공간(62)이 형성되어 있다. 1번물 센서(60)는 팽출부(65)에 지지된다. 1번물 센서(60)는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된 곡립의 유량 Fv1을 측정한다. 1번물 센서(60)에, 암부(63)와, 제1 센서부(64)와, 회전축(66)이 구비되어 있다.
팽출부(65)에 회전축(66)이 지지된다. 회전축(66)과 일체 회동 가능하도록 암부(63)가 회전축(66)에 설치되어 있다. 암부(63)는 회전축(66)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어 있다. 암부(63)는 회전축(66)의 요동 축심 Y2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암부(63)는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되는 곡립의 투척 경로 상(투척 경로 영역 S1)에 위치하고, 버킷(31)에 의해 투척된 곡립이 접촉함으로써 요동한다. 암부(63)는 곡립이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토출구(29h)의 대향하는 수하 자세로 마련되고, 또한 토출구(29h)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되어 있다. 팽출부(65) 중, 회전축(66)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가장 높은 위치가 되도록, 팽출부(65)는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팽출부(65)의 기체 전방부에 경사면(65a)이 형성되고, 경사면(65a)은 기체 전방측일수록 천장판(61)에 접근한다. 또한, 암부(63)를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 도 6의 경사면(65a)은 전방 하측의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다.
팽출부(65)의 기체 좌측에 플랜지부(65b)가 형성되고, 플랜지부(65b)에 스테이(67)가 볼트 Bo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아, 스테이(67)의 길이 방향 중앙 영역은 스테이(67)의 길이 방향 양단부보다 팽출부(65)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돌출된다. 스테이(67)의 길이 방향 중앙 영역에 제1 센서부(64)가 지지된다. 제1 센서부(64)는 팽출부(65)의 플랜지부(65b)를 사이에 두고 양곡 장치(29)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즉, 제1 센서부(64)는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된 곡립의 투척 경로 영역 S1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어서, 투척 경로 영역 S1과 구획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팽출부(65)의 플랜지부(65b)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회전축(66)은 당해 관통 구멍을 관통한다. 회전축(66) 중, 팽출부(65)의 플랜지부(65b)를 사이에 두고 암부(63)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링크 암(66A)이 구비되고, 링크 암(66A)은 회전축(66)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스테이(67)의 길이 방향 중앙 영역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제1 센서부(64)의 회전축부(64A)는 당해 관통 구멍을 관통한다. 제1 센서부(64)의 회전축부(64A)의 선단부에 링크 암(64B)이 연결되고, 링크 암(64B)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링크 암(66A)과 링크 암(64B)이 핀 연결된다. 이에 의해, 회전축(66)과 일체 회전하는 암부(63)와, 제1 센서부(64)가 링크 암(66A)과 링크 암(64B)과 핀(99)을 통해 연동 연결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센서부(64)와 회전축(66)이 직접 연결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제1 센서부(64)가 암부(63)로부터 충격을 받기 어려워, 제1 센서부(64)가 고장나기 어려워진다. 제1 센서부(64)는 암부(63)의 요동 각도 θ1(도 17 참조)을 검출한다. 또한, 요동 각도 θ1에 기초하여 유량 Fv1을 산출하는 제1 유량 산출부(81A)가 구비되어 있다(도 17 참조). 예를 들어, 요동 각도 θ1과 유량 Fv1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나 식이 제1 유량 산출부(81A)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요동 각도 θ1과 유량 Fv1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나 식은, 실험 및 계산(실험 또는 계산)에 의해 미리 취득된다. 그리고 제1 유량 산출부(81A)는, 당해 맵이나 식에 기초하여 유량 Fv1을 산출한다.
링크 암(66A)과 링크 암(64B) 중 한쪽에 긴 구멍이 형성되고, 링크 암(66A)과 링크 암(64B) 중 다른 쪽에 둥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은 당해 한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당해 한쪽의 긴 구멍과 당해 다른 쪽의 둥근 구멍에 1개의 핀(99)이 삽입 관통됨으로써, 링크 암(66A)과 링크 암(64B)이 핀 연결된다. 링크 암(66A)과 링크 암(64B) 중 한쪽에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 암(66A)과 링크 암(64B)의 핀 연결에 있어서의 센터링의 오차가 허용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센서부(64)의 회전축부와 회전축(66)을 동일 축심 상에 정밀하게 맞출 필요가 없어, 1번물 센서(60)에 있어서의 제1 센서부(64)의 조립 장착이 용이해진다.
스테이(67)의 좌우 단부에 볼트 Bo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당해 삽입 관통 구멍의 직경은 볼트 Bo의 호칭 지름보다 크고(예를 들어 당해 호칭 지름보다 3㎜ 정도 큼), 또한 볼트 Bo의 헤드부의 직경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축(66)에 대한 제1 센서부(64)의 회전축부의 위치 정렬이 용이해진다. 즉, 1번물 센서(60)에 있어서의 제1 센서부(64)의 조립 장착이 용이해진다.
스테이(67)에 스프링 수용부(67a)가 마련되어 있다. 링크 암(66A)의 자유 단부와 스프링 수용부(67a)에 걸쳐서 코일 스프링(68)이 장설된다. 암부(63)는 코일 스프링(68)의 인장 가압력에 의해 양곡 장치(29)에 근접하도록 요동 가압되어 있다. 암부(63)에 있어서의 요동 기단부측의 영역이 걸림부(69)에 맞닿아, 코일 스프링(68)의 스프링 가압력에 저항하여 하향 대기 자세로 위치 유지된다. 암부(63)가 걸림부(69)에 맞닿고, 또한 암부(63)에 코일 스프링(68)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구성이라면, 포장의 요철에 의한 진동이나 엔진으로부터의 진동 등이 암부(63)에 전달되어도, 암부(63)는 진동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하향 대기 자세로 유지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암부(63)는 하향 자세의 위치와, 경사면(65a)의 전방 하단부의 범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의 암부(63)의 요동 각도 θ1은, 예를 들어 40도로 설정되어 있다.
횡 이송 반송 장치(30) 중, 스크루부(30S)를 덮는 통 형상 케이스의 반송 방향 시단부에 수용부(30d)가 형성되고, 수용부(30d)는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된 곡립을 수용한다. 수용부(30d)는 횡 이송 반송 장치(30)의 스크루부(30S)보다 양곡 장치(29)가 위치하는 측으로 연장 돌출된다. 수용부(30d)는 스크루부(30S)가 위치하는 측일수록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체 측면에서 보아 수용부(30d)의 연장 돌출 선단부가 위치하는 영역이 가상선 L1로 나타내어지고, 암부(63)는 가상선 L1보다 횡 이송 반송 장치(30)의 스크루부(30S)가 위치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 측면에서 보아 스크루부(30S)의 기체 횡방향 축심 Y1이 위치하는 부분이 가상선 L2로 나타내어지고, 암부(63)는 곡립이 충돌하지 않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가상선 L2보다 양곡 장치(29)가 위치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암부(63)는 곡립이 충돌하지 않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가상선 L1과 가상선 L2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암부(63)는 양곡 장치(29)와 횡 이송 반송 장치(30)의 수수 공간에 있어서, 스크루부(30S)보다 높은 위치, 또한 양곡 장치(29)와 횡 이송 반송 장치(30)가 인접하는 방향에 있어서, 토출구(29h)와 기체 횡방향 축심 Y1 사이의 위치에 마련된 요동 축심 Y2 주위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립이 암부(63)에 충돌하면, 곡립은 암부(63)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한다. 이 점으로부터, 암부(63)에 충돌하는 곡립은, 암부(63)에 충돌하지 않는 곡립과 비교하여, 복귀 경로(29E)로 낙하할 가능성이 높다. 본 실시 형태라면, 암부(63)는 수용부(30d)의 연장 돌출 선단부보다 횡 이송 반송 장치(30)의 스크루부(30S)가 위치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암부(63)에 충돌하여 되튀겨지는 곡립의 대부분이 수용부(30d)에 받아내어져, 횡 이송 반송 장치(30)에 의해 곡립 탱크(12) 내로 안내된다. 이 결과, 암부(63)에 충돌하는 곡립이 복귀 경로(29E)로 낙하하기 어려워진다.
암부(63)의 폭은, 버킷(31)의 폭의 절반 이하가 되도록, 암부(63)는 형성되어 있다. 버킷(31)의 폭 방향에 있어서, 곡립은 버킷(31)으로부터 대략 균일하게 투척되므로,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되는 곡립의 절반 이상이 암부(63)에 충돌하지 않고 수용부(30d)에 받아내어진다. 이 결과, 곡립이 암부(63)에 의해 되튀겨져 복귀 경로(29E)로 낙하할 우려가 경감된다. 즉, 암부(63)의 가로 폭은, 버킷(31)의 개구의 가로 폭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암부(63)는 곡립이 충돌하지 않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가상선 L2보다 양곡 장치(29)가 위치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암부(63)가 가상선 L2보다 양곡 장치(29)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에 배치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곡립이 암부(63)에 강하게 충돌한다. 이 점으로부터,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되는 곡립의 양이 소량이어도, 1번물 센서(60)는 곡립의 유량 Fv1을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곡립이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되면, 곡립은 상하로 연속되는 띠상이 되어 포물선을 그리면서 수용부(30d)가 위치하는 측으로 낙하한다. 암부(63)는 곡립의 투척 경로 상(투척 경로 영역 S1)에 위치하고, 상하로 연속되는 띠상의 곡립 중 상측에 위치하는 곡립이 암부(63)와 접촉한다.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된 곡립이 암부(63)에 접촉하면, 그 압박력에 의해 암부(63)가 코일 스프링(6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곡립을 투척한 버킷(3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암부(63)에 충돌한 곡립은, 암부(63)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고, 수용부(30d)에 받아내어져 스크루부(30S)가 위치하는 측으로 안내된다. 암부(63)의 요동 기단부는, 곡립의 투척 경로 영역 S1보다 상측으로 벗어나 있다. 즉, 암부(63)는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된 곡립의 투척 경로 영역 S1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마련된 요동 축심 Y2 주위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가상선 L3이 나타내어진다. 가상선 L3은, 요동 축심 Y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투척 경로 영역 S1의 상단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한다. 암부(63)의 자유 단부는, 곡립이 충돌하지 않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가상선 L3보다 가상선 L2가 위치하는 측에 위치한다. 이 점으로부터, 암부(63)가 가상선 L2가 위치하는 측으로 요동할수록, 암부(63) 중 투척 경로 영역 S1의 범위 밖으로 비어져 나오는 부분이 많아진다. 즉, 암부(63)는 요동 각도 θ1이 클수록, 투척 경로 영역 S1의 밖으로 비어져 나오는 비율이 많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곡립이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되어 암부(63)와 접촉하면, 암부(63)가 요동한다. 그리고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되는 곡립의 대부분이 암부(63)가 위치하는 영역을 다 통과하면, 암부(63)는 코일 스프링(68)의 가압력에 의해 하향 자세측으로 복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초간에 20 내지 30개의 버킷(31)이 양곡 장치(29)의 상단부를 통과하고, 토출구(29h)에 있어서 곡립이 1/20초 내지 1/30초 간격으로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된다. 이 점으로부터, 암부(63)는 1/20초 내지 1/30초의 주기로 요동(진동)한다.
도 9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되는 예보다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되는 곡립의 양이 많아져 있다.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되는 곡립의 양이 많아지면, 투척되는 곡립이 토출구(29h)에 있어서 괴상으로 되어 두께를 증가시킨다.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되는 곡립의 양이 많아져, 암부(63)의 요동 각도 θ1이 커진다. 또한, 버킷(31)으로부터 투척되는 곡립이 많아지면, 곡립은 토출구(29h)에 있어서 괴상으로 되어 두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투척 경로 영역 S1을 괴상의 곡립이 통과하는 데 요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이 때문에, 암부(63)가 하향 자세측으로 복귀될 사이도 거의 없이, 요동 각도 θ1이 크게 유지된 채 그대로이다.
암부(63)와 경사면(65a)의 전방 하단부가 맞닿으면, 암부(63)의 요동이 멈춘다. 환언하면, 암부(63)와 경사면(65a)의 전방 하단부가 맞닿음으로써, 암부(63)의 요동이 최대로 벗어난다. 이 상태에서, 암부(63) 중 자유 단부 이외의 대략 전체가, 내부 공간(62)에 수납된다. 이때, 천장판(61)의 내주 측면부를 따라 포물선상으로 투척된 곡립은, 암부(63)의 자유 단부에만 접촉하기 때문에, 곡립의 대부분이 암부(63)와 접촉하지 않고, 횡 이송 반송 장치(30)의 수용부(30d)로 안내된다.
〔2번물 센서의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이, 2번물은 2번물 환원 장치(32)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24)의 전방부인 상류측에 환원된다. 구체적으로는, 2번물 환원 장치(32)의 2번물 배출구(32A)는, 원호상의 수망(23)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수망(23)의 측방이며, 2번물이 수망(23)을 통과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고, 이 위치에 있어서 2번물이 배출된다. 탈곡 장치(1)에는, 이와 같이 환원되는 2번물의 유량 Fv2(2번물 환원량, 도 17 참조)를 측정하는 2번물 센서(70)가 구비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는, 이러한 2번물 배출구(32A)의 배치 형태가 나타내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번물 배출구(32A)는 수망(23)측을 향해 마련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번물 배출구(32A)의 근방에는, 2번물 환원 장치(32)를 구성하는 스크루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블레이드(32B)가 마련되고, 2번물 환원 장치(32)에 의해 반송된 2번물은, 탈곡부(41)의 측벽(50)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을 통해 회전 블레이드(32B)에 의해 2번물 배출구(32A)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방출되어, 도 12의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배출된다.
2번물 배출구(32A)에는, 방출된 2번물을 요동 선별 장치(24)의 처리물 이송 방향 상측을 향해 안내하는 안내부(32C)가 마련된다. 안내부(32C)는, 2번물 배출구(32A)에 대향하는 내주면을 갖는 통 형상의 일부를 나타내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환언하면, 안내부(32C)는, 띠판을 원호상으로 구부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부(32C)의 내주면에 의해, 회전 블레이드(32B)에 의해 방출된 2번물의 배출 방향이 규제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번물 센서(70)는 탈곡부(41)에 있어서의 측벽(50)의 내부측 부분에 지지된다. 2번물 센서(70)는 2번물 환원 장치(32)에 있어서의 회전 블레이드(32B)에 의해 방출된 2번물에 접촉하여 환원되는 2번물의 유량 Fv2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번물 센서(70)는 2번물 환원 장치(32)에 의해 방출되는 2번물의 방출 연장 상에 위치하여 방출된 2번물이 접촉함으로써 요동하는 요동 암(72)과, 요동 암(72)의 요동 각도 θ2(도 17 참조)에 기초하여 2번물의 유량 Fv2를 측정하는 제2 센서부(73)와, 제2 센서부(73) 및 요동 암(72)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74)과, 2번물 센서(70)의 상방을 덮는 커버체(75)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센서부(73)는 케이스에 포텐시오미터가 내장되고, 지지 프레임(74)의 내방측 개소에 대해 볼트에 의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제2 센서부(73)는 회전축(76)이 지지 프레임(74)을 삽입 관통하여 외방측(측벽(50)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회전축(76)에 일체 회동 가능하게 요동 암(72)이 설치되어 있다. 요동 암(72)은 회전축(76)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안내부(32C)에 의해 2번물이 안내되는 안내 경로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구비되어 있다. 요동 암(72)은 회전축(76)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커버체(75)는 요동 암(72), 제2 센서부(73), 및 지지 프레임(74)의 각각의 상방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커버체(75)에 의해, 수망(23)을 통과하여 누하되는 탈곡 처리물 중 미세한 진애가 요동 암(72)이나 제2 센서부(73)에 덮여 계측 동작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요동 암(72)은 회전축(76)보다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 돌출부를 갖고, 연장 돌출부와 스프링 수용부(77)에 걸쳐서 코일 스프링(78)이 장설된다. 요동 암(72)은 코일 스프링(78)의 인장 가압력에 의해 2번물 배출구(32A)에 근접하도록 요동 가압되어 있다. 요동 암(72)은 상단부가 걸림부(79)에 맞닿아, 스프링 가압력에 저항하여 하향 대기 자세로 위치 유지된다.
2번물 배출구(32A)를 통해 회전 블레이드(32B)에 의해 방출된 2번물이 요동 암(72)에 접촉하면, 그 압박력에 의해 요동 암(72)이 코일 스프링(7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2번물 배출구(32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때의 요동 각도 θ2가 제2 센서부(73)에 의해 계측되고, 제2 유량 산출부(81B)(도 17 참조)가, 제2 센서부(73)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2번물의 유량 Fv2를 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요동 각도 θ2와 2번물의 유량 Fv2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나 식을 제2 유량 산출부(81B)에 기억해 두고, 당해 맵이나 식에 기초하여 2번물의 유량 Fv2를 산정하면 적합하다.
〔버킷과 접촉하는 험프의 구성〕
도 5에 도시된 험프(30e)의 상세에 관해서, 도 14, 도 15 및 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구(29h)에 있어서 버킷(31)은 종동 스프로킷(29B)의 회동 축심 주위로 180도(또는 대략 180도) 선회 동작하면서 곡립을 방출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버킷(31)의 내측에 곡립이 달라붙거나 할 우려가 생각된다. 버킷(31)의 내측에 달라붙은 곡립은, 버킷(31)의 선회 동작만으로는 곡립이 버킷(31)으로부터 방출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 점으로부터, 버킷(31)의 내측에 곡립이 달라붙으면, 양곡 장치(29)의 반송 효율의 저하, 곡립의 수량 손실 등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경감하기 위해, 수용부(30d)의 돌출 선단부에 고무제의 험프(30e)가 볼트 연결되어 있다. 험프(30e)는 버킷(31)과 접촉하도록 위치한다. 험프(30e)와 버킷(31)이 접촉한 충격으로, 버킷(31)에 남겨진 곡립이 튕겨 나가 수용부(30d)로 안내된다. 그리고 버킷(31)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험프(30e)가 하향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버킷(31)은 상향으로 요동한다. 버킷(31)이 복귀 경로(29E)를 다시 하방으로 이동하면, 험프(30e)와 버킷(31)이 이격된다. 이때, 험프(30e)의 탄성 에너지는 해방되고, 험프(30e)는 기세 좋게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버킷(31)도, 험프(30e)와 이격될 때, 험프(30e)의 탄성 에너지에 기인하는 충격이 버킷(31)에 전달되어, 버킷(31)에 남겨진 곡립이 튕겨 나가 하방으로 낙하한다. 하방으로 낙하한 곡립은, 복귀 경로(29E)를 타고 1번물 회수부(26)로 복귀된다. 이 구성에 의해, 버킷(31)의 내부에 곡립이 달라붙을 우려가 경감된다.
〔작업량의 산출에 대해서〕
작업량의 산출에 관해서 도 1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유량 산출부(81A)는, 제1 센서부(64)에 의해 계측된 암부(63)의 요동 각도 θ1에 기초하여, 양곡 장치(29) 및 횡 이송 반송 장치(30)를 흐르는 곡립의 유량 Fv1을 산출한다. 요동 각도 θ1과 곡립의 유량 Fv1의 상관 관계는, 예를 들어 실험 데이터나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얻어진다. 실험 데이터나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얻어진 요동 각도 θ1과 곡립의 유량 Fv1의 상관 관계의 데이터가 기억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에 기억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유량 산출부(81A)는, 곡립의 유량 Fv1을, 예를 들어 1/20초 내지 1/30초의 샘플링 주기로 산출 가능하다. 이 점으로부터, 제1 유량 산출부(81A)는, 양곡 장치(29) 및 횡 이송 반송 장치(30)를 흐르는 곡립의 유량 Fv1을 실시간(또는 대략 실시간)으로 산출 가능하다.
제2 유량 산출부(81B)는, 제2 센서부(73)에 의해 계측된 요동 암(72)의 요동 각도 θ2에 기초하여, 2번물 배출구(32A)로부터 배출되는 2번물의 유량 Fv2를 산출한다. 요동 각도 θ2와 2번물의 유량 Fv2의 상관 관계는, 예를 들어 실험 데이터나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얻어진다. 실험 데이터나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얻어진 요동 각도 θ2와 2번물의 유량 Fv2의 상관 관계의 데이터가 기억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에 기억된다. 제1 유량 산출부(81A)와 동일하게 제2 유량 산출부(81B)는, 2번물 배출구(32A)로부터 배출되는 2번물의 유량 Fv2를 실시간(또는 대략 실시간)으로 산출 가능하다.
보정부(80)는, 제1 유량 산출부(81A)에 의해 산출된 곡립의 유량 Fv1을, 제2 유량 산출부(81B)에 의해 산출된 2번물의 유량 Fv2로 보정한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곡립의 유량 Fv1 및 2번물의 유량 Fv2에 관한 검출량의 일례이다. 구체적으로는, 보정부(80)는, 작업 대상 영역에 있어서 수확 작업을 개시하고 나서 곡립의 유량 Fv1이 소정량에 도달할 때까지는, 곡립의 유량 Fv1에 2번물의 유량 Fv2를 더하여 보정한다. 작업 대상 영역이란, 콤바인이 포장에서 작물의 예취 작업을 행하는 영역이다.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물의 수확 작업을 개시하고 나서 곡립의 유량 Fv1이 소정량(소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즉, 도 18에 있어서의 예취 개시로부터 t1까지는 곡립의 유량 Fv1은 점차 증대되고, 2번물의 유량 Fv2는 급격하게(급준하게) 증대된 후,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그래서, 보정부(80)는 예취 개시로부터 t1까지는 1번물 센서(60)에 의해 검출된 곡립의 유량 Fv1에 2번물의 유량 Fv2를 더하여, 1번물 센서(60)의 검출 결과를 보정한다.
한편, 보정부(80)는 작업 대상 영역을 예취하고 빠진 후에는 곡립의 유량 Fv1로부터 2번물의 유량 Fv2를 감하여 보정한다. 작업 대상 영역을 예취하고 빠진 후란, 콤바인의 예취부(4)가 포장에서 작물의 예취 작업을 행하는 영역을 빠져나간 후를 말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취하고 빠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t2의 후는 곡립의 유량 Fv1은 급격하게(급준하게) 증대된 후,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2번물의 유량 Fv2는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그래서, 보정부(80)는 예취하고 빠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t2의 후는 1번물 센서(60)에 의해 검출된 곡립의 유량 Fv1로부터 2번물의 유량 Fv2를 감하여, 1번물 센서(60)의 검출 결과를 보정한다. 보정부(80)에 의해 보정된 곡립의 유량 Fv1은, 작업량 산정부(84)로 보내진다.
수량 접수부(85)는 특정한 수량값 Vd를 접수한다. 특정한 수량값 Vd로서, 곡립 탱크(12)의 기지의 용량에 대응한 수량값이나, 운반차가 운반 가능한 용량(또는 잔량)에 대응한 수량값이나, 건조 시설의 건조기가 건조 가능한 용량에 대응한 수량값 등이 예시된다. 특정한 수량값 Vd는, 예를 들어 미리 기억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에 기억된 곡립 탱크(12)의 용량을 읽어내는 구성이어도 되고, 운전부(9)의 조작 패널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설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특정한 수량값 Vd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수량 접수부(85)에 의해 접수된 특정한 수량값 Vd는, 작업량 산정부(84)로 보내진다.
기체 위치 산출부(88)는 위성 측위 모듈(83)에 의해 출력된 측위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체의 위치 좌표를 경시적으로 산출한다. 즉, 기체 위치 산출부(88)는 위성 측위를 사용하여 기체 위치를 산출한다. 산출된 기체의 경시적인 위치 좌표는, 작업량 산정부(84)로 보내진다.
작업량 산정부(84)는, 제1 유량 산출부(81A)에 의해 산출되며, 또한 보정부(80)에 의해 보정된 곡립의 유량 Fv1을 적산함으로써, 곡립 탱크(12)에 저류된 곡립의 총량, 즉 수량 Vi를 실시간으로 산정한다. 곡립의 유량 Fv1은, 예를 들어 1/20초 내지 1/30초마다 제1 유량 산출부(81A)로부터 차례로 보내져 오기 때문에, 작업량 산정부(84)는 곡립의 유량 Fv1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당의 평균 수량 Vt를 산출 가능하다.
또한, 작업량 산정부(84)는 기체 위치 산출부(88)에 의해 산출된 기체의 경시적인 위치 좌표를 수취하기 때문에, 기체의 경시적인 위치 좌표의 차분을 산출함으로써 주행 거리나 속도를 산출 가능하다. 이 점으로부터, 작업량 산정부(84)는 곡립의 유량 Fv1에 기초하여 단위 주행 거리당의 평균 수량 Vr을 산출 가능하다.
또한, 작업량 산정부(84)는 특정한 수량값 Vd와, 곡립의 유량 Fv1과, 기체 위치 산출부(88)에 의해 산출된 기체의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다양한 작업량을 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양한 작업량은, 곡립 탱크(12)에 특정한 수량값 Vd에 대응하는 곡립이 저류될 때까지의 작업량이다. 예를 들어 특정한 수량값 Vd가 곡립 탱크(12)의 용량이면, 작업량 산정부(84)는 곡립 탱크(12)가 가득 찰 때까지의 작업량을 산출한다. 또한, 예를 들어 특정한 수량값 Vd가 운반차의 운반 가능한 용량(또는 잔량)이면, 작업량 산정부(84)는 운반차의 운반 가능한 용량(또는 잔량)에 대응하는 작업량을 산출한다.
구체예로서, 작업량 산정부(84)는 작업량으로서 잔량값 Vre를 하기의 식으로 산출한다.
Vre=Vd-Vi
잔량값 Vre는, 특정한 수량값 Vd로부터 수량 Vi를 감산한 값이다. 또한, 작업량 산정부(84)는 작업량으로서 작업 시간 Tw를 하기의 식으로 산출한다.
Tw=Vre/Vt
작업 시간 Tw는, 특정한 수량값 Vd로부터 수량 Vi를 감산한 잔량값 Vre를 단위 시간당의 평균 수량 Vt로 제산한 값이다. 덧붙여, 작업량 산정부(84)는 작업량으로서 작업 주행 거리 Dw를 하기의 식으로 산출한다.
Dw=Vre/Vr
작업 주행 거리 Dw는, 특정한 수량값 Vd로부터 수량 Vi를 감산한 잔량값 Vre를 단위 주행 거리당의 평균 수량 Vr로 제산한 값이다. 이와 같이, 작업량 산정부(84)는 곡립의 유량 Fv1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에 의해 얻어진 곡립의 수량 Vi가 특정한 수량값 Vd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량을 산정한다.
작업량 산정부(84)에 의해 산정된 작업량(예를 들어, 잔량값 Vre, 작업 시간 Tw, 작업 주행 거리 Dw 등)이 통지부(87)에 의해 오퍼레이터 등에게 통지된다. 통지부(87)가, 예를 들어 운전부(9)에 마련된 액정 모니터인 경우, 제1 유량 산출부(81A)와 작업량 산정부(84)의 각각의 산출 결과가 당해 액정 모니터에 표시된다. 또한, 통지부(87)는 LED 램프, 버저, 음성 안내 등이어도 된다.
곡립 배출 장치(14)의 스크루 컨베이어(14A)가 회전하면, 곡립 탱크(12)에 저류된 곡립이 기외로 배출된다. 배출량 산출부(86)는 곡립 배출 장치(14)의 스크루 컨베이어(14A)의 회전 속도 Rv에 기초하여 곡립 탱크(12)로부터 배출된 곡립의 양을 산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루 컨베이어(14A)의 회전 속도 Rv는 회전수 검출부(14B)에 의해 검출된다. 곡립 배출 장치(14)에 의해 배출되는 곡립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은, 스크루 컨베이어(14A)의 회전 속도 Rv와 비례 관계(또는 대략 비례 관계)에 있다. 이 때문에, 스크루 컨베이어(14A)의 회전 속도 Rv에 시간을 곱함으로써, 곡립의 배출량이 실시간으로 산출된다. 곡립이 기외로 배출되기 전에, 곡립 탱크(12)에 저류된 곡립의 수량 Vi는 작업량 산정부(84)에 의해 산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출량 산출부(86)는 곡립의 배출 중에, 수량 Vi로부터 적산 배출량을 감산함으로써, 곡립 탱크(12)의 내부에 남겨진 곡립의 잔량을 실시간으로 산출해도 된다. 배출량 산출부(86)의 산출 결과는 통지부(87)에 의해 오퍼레이터 등에게 통지된다. 통지부(87)가 액정 모니터인 경우, 배출량 산출부(86)의 산출 결과가 당해 액정 모니터에 표시된다.
곡립 탱크(12)에 저류된 곡립은 산 형상으로 저류되는 경향이 있는데, 본 구성이라면, 양곡 장치(29)와 횡 이송 반송 장치(30) 사이에서 1번물 센서(60)가 곡립의 유량 Fv1을 검출한다. 양곡 장치(29)와 횡 이송 반송 장치(30) 사이에서 1번물 센서(60)가 곡립의 유량 Fv1을 검출하는 구성에 의해, 곡립 탱크(12)의 내부에 있어서의 곡립의 저류 형상에 좌우되는 일 없이, 정밀도 좋은 작업량의 산정이 가능해진다.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의 조정에 대해서〕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정부(80)에 의해 보정된 곡립의 유량 Fv1은 제어 유닛(82)에 전달된다. 제어 유닛(82)은, 보정된 곡립의 유량 Fv1과, 2번물의 유량 Fv2에 기초하여 탈곡 장치(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 유닛(82)은, 곡립의 유량 Fv1이 제1 역치를 초과하며, 또한 2번물의 유량 Fv2가 제2 역치 이하이면, 선별부(42)에 있어서의 제1 채프 시브(38) 및 제2 채프 시브(39)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누하 개방도를 작게 한다. 이에 의해, 곡립의 유량 Fv1을 저감시켜, 2번물의 유량 Fv2를 증대시키고, 탈곡 장치(1)에 있어서 선별하는 탈곡 처리물의 양을 증대시켜, 보다 선별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1번물에 혼입되는 협잡물의 양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어 유닛(82)은, 곡립의 유량 Fv1이 미리 설정된 제1 역치보다 작은 제3 역치보다도 작아지면,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를 크게 하면 적합하다. 이에 의해, 곡립의 유량 Fv1이 소정량 이하인 경우에 곡립의 유량 Fv1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채프 시브(38) 및 제2 채프 시브(39)의 누하 개방도가 작게 된 경우라도, 곡립의 유량 Fv1이 제1 역치보다 큰 상태가 계속되거나, 혹은 2번물의 유량 Fv2가 제2 역치 이하인 상태가 계속되거나, 곡립의 유량 Fv1에 대한 2번물의 유량 Fv2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는 것이 상정되는데, 이것은 탈곡 장치(1)에 공급되는 작물의 양이 지나치게 많은 것에 기인한다. 그래서, 제1 채프 시브(38) 및 제2 채프 시브(39)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 경우라도, 특히 2번물의 유량 Fv2가 제2 역치보다 클 때에는,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제어를 행하는 주행 장치(3)가,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면 적합하다. 이에 의해, 탈곡 장치(1)에 공급되는 작물의 양을 적게 하여, 탈곡 장치(1)에 있어서의 탈곡량 및 선별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그레인 시브(40)에 있어서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2번물의 유량 Fv2가 증대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 상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주행 장치(3)는, 기체 프레임(2)을 자동 주행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역치나 제2 역치에 기초하여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거나, 정차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기치 않은 이유에 의해, 제1 채프 시브(38) 및 제2 채프 시브(39)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곡립의 유량 Fv1에 대한 2번물의 유량 Fv2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나,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가 저감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곡립의 유량 Fv1에 대한 2번물의 유량 Fv2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주행 장치(3)는 기체 프레임(2)을 정지시키면 적합하다. 이에 의해, 탈곡 장치(1)로의 작물의 공급을, 일단 중단할 수 있으므로, 탈곡 장치(1)에 있어서의 탈곡 처리 및 선별 처리에 관한 부하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현재, 탈곡 장치(1) 내에 있어서의 작물에 대한 처리를 행하여, 그레인 시브(40)에 있어서의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 상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송진 밸브(53a)의 경사 자세를 변경 가능한 경우에는, 곡립의 유량 Fv1과 2번물의 유량 Fv2에 기초하여 당해 경사 각도를 변경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예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다른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콤바인이 보통형 콤바인인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콤바인은 자탈형 콤바인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나타내어진 1번물 센서(60)의 구성은, 자탈형 콤바인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번물 센서(91)가 곡립 탱크(12)의 천장판(12t)에 지지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곡립 탱크(12)의 좌측 벽(12b)에, 상하로 연장되는 양곡 장치(90)가 지지되고, 양곡 장치(90)에, 스크루 컨베이어(90A)가 구비되고, 스크루 컨베이어(90A)는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좌측 벽(12b) 중, 양곡 장치(90)의 상단부가 위치하는 개소에 토출구(12h)가 형성되고, 토출구(12h)는 양곡 장치(9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스크루 컨베이어(90A)는, 탈곡 장치(1)의 저부로부터 곡립을 수직으로 반송하고, 스크루 컨베이어(90A)의 상단부에 회전 블레이드(90B)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 블레이드(90B)는 스크루 컨베이어(90A)와 일체 회전한다. 토출구(12h)는 회전 블레이드(90B)가 위치하는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1번물 센서(91)에, 암부(92)와 센서부(93)가 구비되어 있다. 토출구(12h)로부터 곡립이 방출되면, 곡립의 어느 정도가 암부(92)와 접촉하여, 암부(92)가 요동한다. 센서부(93)에 의해 암부(92)의 요동 각도 θ1이 계측되고, 그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곡립의 유량 Fv1이 산출된다.
곡립 탱크(12)의 천장판(12t)에 팽출부(95)가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95)는 천장판(12t)의 표면 부분보다 상측으로 팽출되고, 팽출부(95)의 내부에 팽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95)에 암부(92)의 회전축(94)이 지지된다. 팽출부(95) 중, 회전축(94)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가장 높은 위치가 되도록, 팽출부(95)는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팽출부(95)의 기체 전방부에 경사면(95a)이 형성되고, 경사면(95a)은 기체 전방측일수록 천장판(12t)에 접근한다.
도 20에 가상선 L3이 나타내어진다. 가상선 L3은, 요동 축심 Y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투척 경로 영역 S1의 상단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한다. 암부(92)의 자유 단부는, 곡립이 충돌하지 않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가상선 L3보다 토출구(12h)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에 위치한다. 이 점으로부터, 암부(92)가 토출구(12h)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으로 요동할수록, 암부(92) 중 투척 경로 영역 S1의 범위 밖으로 비어져 나오는 부분이 많아진다. 즉, 암부(92)는 요동 각도 θ1이 클수록, 투척 경로 영역 S1의 밖으로 비어져 나오는 비율이 많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토출구(12h)로부터 방출되는 1번물의 양이 많아지면, 암부(92)가 상향으로 크게 요동한다. 이때, 암부(92) 중 요동 기단부측이, 천장판(12t)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팽출부(95)에 수납된다. 즉, 토출구(12h)로부터 방출되는 1번물의 양이 많아지면, 암부(92)가 상향으로 크게 요동하여, 암부(92) 중 곡립의 투척 경로 영역 S1보다 상측으로 벗어나는 부분의 비율이 많아진다. 또한, 암부(92)가 상향으로 크게 요동할수록, 암부(92) 중 팽출부(95)에 수납되는 부분의 비율이 많아진다. 이 때문에, 1번물의 대부분이 암부(92)와 접촉하지 않고, 포물선을 따라 곡립 탱크(12)의 내부로 확산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2번물 센서(70)에 의해 검출된 2번물의 유량 Fv2가 제2 역치보다 클 때,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제어를 행하는 주행 장치(3)가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는 구성이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채프 시브(38)의 누하 개방도가 작게 설정되면, 곡립의 유량 Fv1이 저감되고, 곡립의 유량 Fv1의 저감분이 2번물로서 2번물 회수부(27)에 회수되어, 보다 선별 정밀도가 높아진다. 한편, 2번물 회수부(27)에 회수되는 양이 지나치게 증대되면, 2번물 회수부(27)로부터 2번물이 넘쳐나와, 배출 짚 등과 함께 그대로 배출되어 수확 손실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번물의 유량 Fv2가 제4 역치보다 클 때, 제어 유닛(82)이 제1 채프 시브(38)의 누하 개방도를 크게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채프 시브(38)로부터의 선별 처리물의 누하가 촉진되어 곡립의 유량 Fv1이 증대되어, 2번물 회수부(27)에 회수되는 양이 저감되기 때문에, 2번물 회수부(27)로부터 2번물이 넘쳐나올 우려가 경감된다.
도 18에 도시되는 제2 역치와, 도 21에 도시되는 제4 역치가 동일하면, 2번물의 유량 Fv2가 제2 역치 및 제4 역치보다 큰 경우, 제어 유닛(82)은 제1 채프 시브(38)의 누하 개방도를 크게 하고 또한 기체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킨다.
도 21에 도시되는 제4 역치가 도 18에 도시되는 제2 역치보다 큰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2번물의 유량 Fv2가 제2 역치보다 크고 또한 제4 역치보다 작은 경우, 제어 유닛(82)은 기체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지만, 제1 채프 시브(38)의 누하 개방도를 크게 하지 않는다. 그리고 2번물의 유량 Fv2가 제2 역치보다 크고 또한 제4 역치보다 커지면, 제어 유닛(82)은 제1 채프 시브(38)의 누하 개방도를 크게 하고 또한 기체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킨다. 또한, 2번물의 유량 Fv2가 제2 역치보다 크고 또한 제4 역치보다 커지면, 제어 유닛(82)은 제1 채프 시브(38)의 누하 개방도를 크게 하고, 기체의 주행 속도를 변경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21에 도시되는 제4 역치가 도 18에 도시되는 제2 역치보다 작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2번물의 유량 Fv2가 제4 역치보다 크고 또한 제2 역치보다 작은 경우, 제어 유닛(82)은 제1 채프 시브(38)의 누하 개방도를 크게 하지만, 기체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2번물의 유량 Fv2가 제4 역치보다 크고 또한 제2 역치보다 커지면, 제어 유닛(82)은 제1 채프 시브(38)의 누하 개방도를 크게 하고 또한 기체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킨다. 또한, 2번물의 유량 Fv2가 제4 역치보다 크고 또한 제2 역치보다 커지면, 제어 유닛(82)은 기체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고, 제1 채프 시브(38)의 누하 개방도를 변경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구성이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보정부(80)는, 제1 유량 산출부(81A)에 의해 산출된 곡립의 유량 Fv1을, 제2 유량 산출부(81B)에 의해 산출된 2번물의 유량 Fv2로 보정하는데,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보정부(80)가 구비되지 않고, 곡립의 유량 Fv1이 보정부(80)에 의해 보정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4) 작업량은,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의 조정값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업량 산정부(84)가, 곡립의 유량 Fv1에 기초하여 누하 개방도의 조정값을 제어 유닛(82)에 출력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리고 제어 유닛(82)은, 작업량 산정부(84)로부터 수신한 조정값에 기초하여 제1 채프 시브(38) 및 제2 채프 시브(39)의 누하 개방도를 조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량으로서의 작업 시간 Tw는, 특정한 수량값 Vd로부터 수량 Vi를 감산한 잔량값 Vre를 단위 시간당의 평균 수량 Vt로 제산한 값인데,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량으로서의 작업 주행 거리 Dw는, 특정한 수량값 Vd로부터 수량 Vi를 감산한 잔량값 Vre를 단위 주행 거리당의 평균 수량 Vr로 제산한 값인데,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작업량은, 특정한 수량값 Vd로부터 수량 Vi를 감산한 잔량값 Vre를 유량 Fv1(순시값)로 제산한 값이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량은, 곡립 탱크(12)에 특정한 수량값 Vd에 대응하는 곡립이 저류될 때까지의 작업량인데,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작업량은, 곡립 반송용의 트럭에 특정한 수량값 Vd에 대응하는 곡립이 저류될 때까지의 작업량이어도 된다. 또한, 작업량은, 건조 시설의 건조기에 특정한 수량값 Vd에 대응하는 곡립이 저류될 때까지의 작업량이어도 된다.
(7)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1번물 센서(60)는, 암부(63)의 요동 각도 θ1을 제1 센서부(64)에 의해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1번물 센서(60)에, 판 부분과 로드 셀이 구비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판 부분에 곡립이 충돌하고, 로드 셀은 판 부분으로부터의 하중을 검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8)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유량 산출부(81A), 제2 유량 산출부(81B), 작업량 산정부(84), 수량 접수부(85), 배출량 산출부(86) 등이 콤바인에 구비되어 있지만,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유량 산출부(81A), 제2 유량 산출부(81B), 작업량 산정부(84), 수량 접수부(85), 배출량 산출부(86) 등이 콤바인에 탑재되지 않는 컴퓨터(1대 또는 복수의 컴퓨터이며, 거치식, 휴대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됨)에 구비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당해 컴퓨터와 수확기의 각각에 각각 별도의 산정 기능이 구비되고, 각각의 산정 기능이 서로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유선/무선 인터넷 통신)을 가능한 산정 시스템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다른 실시 형태를 포함함, 이하 동일함)에서 개시되는 구성은,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개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포장의 식립 곡간을 예취하고, 탈곡 장치에 의해 예취 곡간의 탈곡 선별 처리를 행하는 콤바인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콤바인의 기술적 특징은, 산정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때문에, 상술한 실시 형태는 산정 시스템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콤바인의 기술적 특징은, 산정 방법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때문에, 상술한 실시 형태는 산정 방법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콤바인의 기술적 특징은, 산정 프로그램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 때문에, 상술한 실시 형태는 산정 프로그램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술적 특징을 갖는 산정 프로그램이 기록된 광 디스크나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도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에 포함된다.
1: 탈곡 장치
12: 곡립 탱크
29: 양곡 장치(반송 장치)
30: 횡 이송 반송 장치(반송 장치)
60: 1번물 센서(유량 계측 장치)
63: 암부
64: 제1 센서부(센서부)
81A: 제1 유량 산출부(산출부)
84: 작업량 산정부
85: 수량 접수부
Fv1: 곡립의 유량
Vi: 곡립의 수량
Vd: 특정한 수량값
Vr: 단위 주행 거리당의 평균 수량
Vt: 단위 시간당의 평균 수량
Dw: 작업 주행 거리(작업량)
Tw: 작업 시간(작업량)
θ1: 암부의 요동 각도

Claims (10)

  1. 작물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곡립 탱크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 계측 장치와,
    특정한 수량값을 접수하는 수량 접수부와,
    상기 유량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에 의해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상기 특정한 수량값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량을 산정하는 작업량 산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량 산정부는, 상기 유량을 적산함으로써 상기 수량을 산정하는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량 산정부는, 상기 유량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당의 평균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특정한 수량값으로부터 상기 수량을 감산하여 얻어진 값을 상기 평균 수량으로 제산하여, 상기 작업량으로서, 작업 시간을 산정하는 콤바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량 산정부는, 상기 유량에 기초하여 단위 주행 거리당의 평균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특정한 수량값으로부터 상기 수량을 감산하여 얻어진 값을 상기 평균 수량으로 제산하여, 상기 작업량으로서, 작업 주행 거리를 산정하는 콤바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량은, 상기 곡립 탱크에 상기 특정한 수량값에 대응하는 곡립이 저류될 때까지의 작업량인 콤바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계측 장치에, 반송되는 곡립이 접촉하여 요동하는 암부와, 상기 암부의 요동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요동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을 산출하는 산출부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7. 콤바인의 작업량을 산정하는 산정 시스템이며,
    탈곡 장치로부터 반송 장치를 통해 곡립 탱크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 계측 장치와,
    특정한 수량값을 접수하는 수량 접수부와,
    상기 유량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에 의해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상기 특정한 수량값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작업량을 산정하는 작업량 산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산정 시스템.
  8. 콤바인의 작업량을 산정하는 산정 방법이며,
    탈곡 장치로부터 반송 장치를 통해 곡립 탱크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 계측 스텝과,
    특정한 수량값을 접수하는 수량 접수 스텝과,
    상기 유량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에 의해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상기 특정한 수량값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작업량을 산정하는 작업량 산정 스텝을 구비하는 산정 방법.
  9. 콤바인의 작업량을 산정하는 산정 프로그램이며,
    탈곡 장치로부터 반송 장치를 통해 곡립 탱크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 계측 기능과,
    특정한 수량값을 접수하는 수량 접수 기능과,
    상기 유량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에 의해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상기 특정한 수량값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작업량을 산정하는 작업량 산정 기능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산정 프로그램.
  10. 콤바인의 작업량을 산정하는 산정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탈곡 장치로부터 반송 장치를 통해 곡립 탱크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 계측 기능과,
    특정한 수량값을 접수하는 수량 접수 기능과,
    상기 유량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에 의해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상기 특정한 수량값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작업량을 산정하는 작업량 산정 기능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산정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KR1020237014028A 2020-12-11 2021-12-02 콤바인, 산정 시스템, 산정 방법, 산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KR202301180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06138A JP2022093059A (ja) 2020-12-11 2020-12-11 コンバイン
JPJP-P-2020-206138 2020-12-11
PCT/JP2021/044187 WO2022124173A1 (ja) 2020-12-11 2021-12-02 コンバイン、算定システム、算定方法、算定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072A true KR20230118072A (ko) 2023-08-10

Family

ID=8197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028A KR20230118072A (ko) 2020-12-11 2021-12-02 콤바인, 산정 시스템, 산정 방법, 산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093059A (ko)
KR (1) KR20230118072A (ko)
CN (1) CN116419669A (ko)
WO (1) WO202212417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6744A (ja) 2019-09-03 2019-12-26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20000107A (ja) 2018-06-28 2020-01-0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6123A (ja) * 1984-03-19 1985-10-04 株式会社クボタ 刈取収穫機
JP4846942B2 (ja) * 2001-09-06 2011-12-28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収穫量の測定装置
JP2006034232A (ja) * 2004-07-29 2006-02-09 Iseki & Co Ltd 携帯電話によるグレンタンクの貯留表示装置
JP7059125B2 (ja) * 2018-06-25 2022-04-25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及び穀粒排出収量算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0107A (ja) 2018-06-28 2020-01-0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019216744A (ja) 2019-09-03 2019-12-26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19669A (zh) 2023-07-11
WO2022124173A1 (ja) 2022-06-16
JP2022093059A (ja)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1032B2 (en) Elevator for bulk material and related apparatuses
KR101614342B1 (ko) 콤바인
JP5809871B2 (ja) コンバイン
WO2017110818A1 (ja) コンバイン及びコンバイン用穀粒収量管理システム
KR20230118072A (ko) 콤바인, 산정 시스템, 산정 방법, 산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US20100071333A1 (en) Loading auger deflector
JP2018102209A (ja) コンバイン
KR20230117558A (ko) 콤바인
JP7391005B2 (ja) コンバイン
JP2022093245A (ja) コンバイン
JP7399037B2 (ja) コンバイン
JP7399036B2 (ja) コンバイン
JP7399038B2 (ja) コンバイン
JP3675167B2 (ja) 収穫作業車の穀物積替判定装置
US20220217911A1 (en) Threshing Apparatus
JP7130604B2 (ja) コンバイン
WO2021261115A1 (ja) コンバイン
JP7423438B2 (ja) 脱穀装置
JP2022175696A (ja) 管理システム
JP7115943B2 (ja) コンバイン
JP2023175132A (ja) 収穫機械
JP2023175131A (ja) 収穫機械
WO2013012073A1 (ja) コンバイン
JP2008199995A (ja) 脱穀選別装置
JP2022072503A (ja) コンバイ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