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508A -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 Google Patents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508A
KR20230083508A KR1020210171553A KR20210171553A KR20230083508A KR 20230083508 A KR20230083508 A KR 20230083508A KR 1020210171553 A KR1020210171553 A KR 1020210171553A KR 20210171553 A KR20210171553 A KR 20210171553A KR 20230083508 A KR20230083508 A KR 20230083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protruding member
mobile
separation
connect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유나
Original Assignee
신유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유나 filed Critical 신유나
Priority to KR1020210171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3508A/ko
Publication of KR2023008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12Boxes, C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60Positioning, means on a cart for load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는 다수의 적재 화물 박스를 정해진 장소에 위치한 파레트에 적재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동식 대차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대차는 상기 적재 화물 박스의 적재가 가능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 모서리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적재 화물 박스의 이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승하강 스토퍼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식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A portable cart for loading cargo}
본 발명은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식 대차의 일단에 상하 이동이 가능한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를 설치하여 적재 화물의 이동 시 운반자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동식 대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동 이동식 대차는 물품을 운반할 때 사용한다. 특히, 대형 마트의 물류 창고, 제조업 공장 또는 대형 농장의 창고등에서는 많은 양의 박스를 쌓아 두었다가 한 번에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대량의 박스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이동식 대차가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식 대차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다양한 구조의 이동식 대차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동식 대차에서 물건을 싣고 내릴 때마다 물건을 들어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은 여전히 발생되어 이용자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7-0025079호는 화물적재용 이동식 대차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형 판 형태의 지지판; 상기 지지판 밑면의 4 모서리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 상기 지지판의 일 측면에 직각으로 또는 각도를 이루게 설치되고, 2개의 수직 기둥과 기둥의 상단 부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져 역 U 형태를 갖는 손잡이; 및 상기 지지판의 윗면에 설치되고, 손잡이를 향해 내리막 경사를 갖는 구조의 경사지지대를 포함하 고, 상기 경사지지대의 양쪽 측연부와 지지판의 양쪽 측연부 사이에 바퀴의 폭보다 큰 폭의 공 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21-0032646호는 이동식 대차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세로방향 지지대 및 다수의 가로방향 지지대를 포함하고 끝단이 절곡되는 제1 절곡부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1 절곡부와 타측 끝단을 연결하며 제2 절곡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하단 일측에 마련되는 프레임과 기설정된 각을 이루어 마련되는 바형상의 사물 지지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끝단과 상기 제2 절곡부의 끝단에 각각 마련되는 바퀴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면에 마련되는 전자석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1 절곡부 끝단에 마련되어 전자석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1. 한국공개특허 10-2017-0025079호(2017.03.08) 2. 한국공개특허 10-2021-0032646호(2021.03.2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 중에는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가 상승하여 적재 화물 박스의 이탈을 방지하고, 파레트에 인접하였을 때에는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가 하강하여 운반자가 적재 화물 박스들을 파레트 방향으로 밀어주는 동작 만으로 적재 화물 박스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는 다수의 적재 화물 박스를 정해진 장소에 위치한 파레트에 적재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동식 대차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대차는 상기 적재 화물 박스의 적재가 가능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 모서리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적재 화물 박스의 이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승하강 스토퍼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식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프레임은 4개의 라인형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브 프레임들은 'ㄱ'자 형태로 절곡된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동일 평면상에서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승하강 스토퍼부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본체 프레임 상단과 결합되며, 수직한 제1 관통 홀이 구비된 상부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 하단과 결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한 제2 관통 홀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제1 관통 홀을 관통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와, 상기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의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 일측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연결 링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연결부는 상기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의 일단에 고정된 제1 연결 링크와, 상기 제1 연결 링크와 회전 축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부 프레임에 고정된 제2 연결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관통홀을 관통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 레버와, 상기 가이드 레버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 링크부에 압력을 가하는 레버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식 대차가 상기 팔레트에 접촉하면, 상기 가이드 레버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면서 상기 제2 연결 링크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연결 링크에 고정된 상기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가 하강하며, 상기 이동식 대차가 상기 팔레트에서 분리되면, 상기 가이드 레버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면서 상기 제2 연결 링크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연결 링크에 고정된 상기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는 이동 중에는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가 상승하여 적재 화물 박스의 이탈을 방지하고, 파레트에 인접하였을 때에는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가 하강하여 운반자가 적재 화물 박스들을 파레트 방향으로 밀어주는 동작 만으로 적재 화물 박스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를 이용한 적재 화물의 운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대차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의 승하강 스토퍼부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의 이동에 따른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 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를 이용한 적재 화물의 운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동식 대차(100)는 다수의 적재 화물 박스(110)를 정해진 장소에 위치한 파레트(120)에 적재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1a와 같이 이동식 대차(100)에 적재 화물 박스(110)를 적재하여 파레트(120) 근처로 이동시키고, 도 1b와 같이 이동식 대차(100)에 적재되어 있던 적재 화물 박스(110)를 파레트(120) 상단으로 옮겨 적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일반적으로는 이동식 대차(100)의 모서리에는 적재 화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턱이 설치되는데, 이 방지턱 때문에 이동식 대차(100)에서 파레트(120)로 적재 화물 박스(110)를 이동시킬 때 운반자가 적재 화물 박스를 직접 들어서 파레트(120)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동식 대차가 이동하는 중에는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가 상승하여 적재 화물 박스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동식 대차가 파레트에 인접하였을 때에는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가 하강하여 운반자가 적재 화물 박스들을 파레트 방향으로 밀어주는 동작 만으로 적재 화물 박스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식 대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대차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식 대차(200)는 본체 프레임(210), 승하강 스토퍼부(220) 및 이동식 바퀴(230)로 구성된다.
본체 프레임(210)은 다수의 서브 프레임(210a) 및 연결 부재(210b)를 포함하며, 다수의 서브 프레임(210a)들은 연결 부재(210b)를 통해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어 본체 프레임(200) 상단에 적재 화물 박스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한다.
승하강 스토퍼부(220)는 소정의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220a), 하우징(220a) 내의 수용 공간에 위치하며 하우징(220a) 상부로 돌출되거나 하우징(220a) 내부로 수용되는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220b),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220b)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연결 링크부(220c) 및 연결 링크부(220c)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버(220d)로 구성된다.
이동식 바퀴(230)는 본체 프레임(210)의 각 모서리부 하단에 위치하며, 본체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의 (i)는 이동식 대차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ii)는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 프레임(300)은 4개의 라인형 서브 프레임(310)으로 구성되며, 서브 프레임(310)들은 'ㄱ'자 형태로 절곡된 연결 부재(320)를 이용하여 동일 평면상에서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어 상단에 적재 화물 박스(330)가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 프레임(300) 모서리부에는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적재 화물 박스의 이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승하강 스토퍼부(340)이 구비된다. 승하강 스토퍼부(340)는 본체 프레임(300) 일측면에 돌출된 가이드 레버가 파레트에 접촉하면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의 승하강 스토퍼부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승하강 스토퍼부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400),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 연결 링크부 및 가이드 레버으로 구성된다.
하우징(400)은 본체 프레임(도 3의 '300') 상단과 결합되며, 수직한 제1 관통 홀(410a)이 구비된 상부 프레임(410)과 본체 프레임 하단과 결합되며, 상부 프레임(410) 하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한 제2 관통 홀(420a)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420)으로 구성된다.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430)는 상부 프레임(410)의 제1 관통 홀(410a)을 관통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포함한다. 제1 관통 홀(410a)은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430)가 승하강하는 이동통로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430)의 수용 공간 내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 부재(440)가 구비된다.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430)는 탄성 부재(44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승하강 할 수 있다.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430) 일측에는 절곡부(430a)가 구비되며, 절곡부(430a)는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430)가 상승하는 경우 상부 프레임(410) 하단에 걸림턱으로 이용되어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430)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430) 일측에는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430) 및 하우징(400)에 결합되어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43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연결 링크부(450)가 구비된다.
연결 링크부(450)는 하우징(400) 내의 수용 공간에 위치하며, 제1 연결 링크(450a) 및 회전 축(450c)을 통해 제1 연결 링크(450a)와 연결된 제2 연결 링크(450b)로 구성된다. 제1 연결 링크(450a)는 제1 고정 축(452a)을 통해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430)의 일단에 고정되고, 제2 연결 링크(450b)는 제2 고정 축(452b)를 통해 하부 프레임(420)의 일단에 고정된다. 이때, 제1 고정 축(452a) 및 제2 고정 축(452b)은 제1 연결 링크(450a) 및 제2 연결 링크(450b)의 움직임에도 움직이지 않는다. 제1 연결 링크(450a)의 타단과 제2 연결 링크(450b)의 타단이 회전 축(450c)을 통해 연결되어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430)의 승하강을 조절하는 링크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연결 링크부(450)는 하우징(400)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 레버(460)의 누름 조작에 의해 이동 운동을 진행한다. 가이드 레버(460)의 일단에는 가이드 레버(460)의 이동에 따라 연결 링크부(450)에 압력을 가하는 레버 연결부(470)가 구비된다. 레버 연결부(470)는 제2 관통홀(420a)을 관통하며, 레버 연결부(470)의 일단은 제2 연결 링크(450b)와 연결된다.
가이드 레버(460)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면서 레버 연결부(470)와 연결된 제2 연결 링크(450b)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1 연결 링크(450a)에 고정된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430)가 하강한다. 반대로, 가이드 레버(460)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면서 레버 연결부(470)에 연결된 제2 연결 링크(450b)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 연결 링크(450a)에 고정된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430)가 상승한다. 이러한 링크 구조에서 가이드 레버의 길이,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 제1 연결 링크 및 제2 연결 링크 사이의 관계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 수학식 1 >
Figure pat00001
여기서, Lg는 가이드 레버의 길이, K는 탄성 상수, Hp는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의 높이,
Figure pat00002
는 제1 연결 링크와 제2 연결 링크 사이의 각도를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의 이동에 따른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ㅌ
도 5a를 참조하면, 다수의 적재 화물 박스(510)가 적재된 이동식 대차(500)가 파레트(520) 방향으로 이동 시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530)가 본체 프레임(540)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이때,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530)의 단차에 의해 적재 화물 박스(510)가 이탈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식 대차(500)가 이동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이동식 대차(500)가 파레트(520)에 인접하면, 이동식 대차(500) 일단에 노출된 가이드 레버(550)가 파레트(520) 일단과 접촉한다. 이때, 가이드 레버(550)가 이동식 대차(500) 내부의 연결 링크부(560)의 회전 축(560a) 후방으로 밀어내어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530)가 일정 높이 하강한다.
이후, 도 5c를 참조하면, 이동식 대차(500)가 파레트(520)에 근접할수록 외부로 노출된 가이드 레버(550)가 파레트(520) 일단에 의해 이동식 대차(500)의 본체 프레임(540) 내부로 수용되고, 가이드 레버(550)가 내부의 연결 링크 부(560)를 후방으로 더 밀어 내어, 연결 링크부(560)와 연결된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530)가 하강하여 본체 프레임(540) 내부로 수용된다.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530)가 본체 프레임(540) 내부로 수용됨에 따라 이동식 대차(500) 일단에는 단차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운반자는 이동식 대차(500)에 적재되어 있던 적재 화물 박스(510)를 파레트(520) 방향으로 미는 동작만으로 적재 화물 박스(510)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d 및 도 5e를 참조하면, 적재 화물 박스(510)를 파레트(520) 상부로 이동시킨 후 이동식 대차(500)를 파레트(520)에서 분리하면, 본체 프레임(540)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가이드 레버(550)가 다시 제자리 즉, 본체 프레임(540) 외부로 노출되면서,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530)가 상승하여 본체 프레임(540) 상부로 돌출된다.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530)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시 상승한다. 이와 같이, 이동식 대차와 파레트의 접촉 여부에 따라 가이드 레버가 누름 조작되고, 이와 연결된 링크 구조의 동작으로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가 승하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500 : 이동식 대차 110, 510 : 적재 화물 박스
120, 520 : 파레트 210, 300, 540 : 본체 프레임
210a : 서브 프레임 210b, 320 : 연결 부재
220, 340 : 승하강 스토퍼부 220a, 400 : 하우징
220b, 360, 430, 530 :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
220c, 450, 560 : 연결 링크부 220d, 350, 460, 550 : 가이드 레버
230 : 이동식 바퀴 410 : 상부 프레임
410a : 제1 관통 홀 420 : 하부 프레임
420a : 제2 관통 홀 440 : 탄성 부재
450a : 제1 연결 링크 450b : 제2 연결 링크
450c, 560a : 회전 축 452a : 제1 고정 축
452b : 제2 고정 축 470 : 레버 연결부

Claims (7)

  1. 다수의 적재 화물 박스를 정해진 장소에 위치한 파레트에 적재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동식 대차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대차는
    상기 적재 화물 박스의 적재가 가능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 모서리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적재 화물 박스의 이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승하강 스토퍼부; 및
    상기 본체 프레임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식 바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4개의 라인형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브 프레임들은 'ㄱ'자 형태로 절곡된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동일 평면상에서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스토퍼부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본체 프레임 상단과 결합되며, 수직한 제1 관통 홀이 구비된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본체 프레임 하단과 결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한 제2 관통 홀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제1 관통 홀을 관통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
    상기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의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 일측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연결 링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부는
    상기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의 일단에 고정된 제1 연결 링크; 및
    상기 제1 연결 링크와 회전 축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부 프레임에 고정된 제2 연결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을 관통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 레버; 및
    상기 가이드 레버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 링크부에 압력을 가하는 레버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대차가 상기 팔레트에 접촉하면, 상기 가이드 레버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면서 상기 제2 연결 링크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연결 링크에 고정된 상기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를 하강시키며,
    상기 이동식 대차가 상기 팔레트에서 분리되면, 상기 가이드 레버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면서 상기 제2 연결 링크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연결 링크에 고정된 상기 이탈 방지용 돌출 부재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KR1020210171553A 2021-12-03 2021-12-03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KR20230083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553A KR20230083508A (ko) 2021-12-03 2021-12-03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553A KR20230083508A (ko) 2021-12-03 2021-12-03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508A true KR20230083508A (ko) 2023-06-12

Family

ID=8677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553A KR20230083508A (ko) 2021-12-03 2021-12-03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35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680B1 (ko) 2023-07-03 2024-02-28 주식회사 한국건설자재 건축자재 운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 운반방법
KR200497845Y1 (ko) * 2023-07-12 2024-03-14 (주)국제산업 앵글달리 코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079A (ko) 2015-08-27 2017-03-08 윤일식 화물적재용 이동식 대차
KR20210032646A (ko) 2019-09-17 2021-03-25 장원석 이동식 대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079A (ko) 2015-08-27 2017-03-08 윤일식 화물적재용 이동식 대차
KR20210032646A (ko) 2019-09-17 2021-03-25 장원석 이동식 대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680B1 (ko) 2023-07-03 2024-02-28 주식회사 한국건설자재 건축자재 운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 운반방법
KR200497845Y1 (ko) * 2023-07-12 2024-03-14 (주)국제산업 앵글달리 코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83508A (ko)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US4288195A (en) Roll-away wheel truck and lift table assembly
US8413958B2 (en) Lifter with linkage mechanism
JP4289502B2 (ja) 搬送補助装置およびこの搬送補助装置を備えた搬送装置
EP2159185A1 (en) Industrial truck comprising two load carriages
US20180179039A1 (en) An improved linkage system for a forklift truck
KR101834501B1 (ko) 손수레
KR20200001191A (ko) 상하역이 용이한 화물 운반용 카트
JP6162201B2 (ja) フォークカバー
JP2007161478A (ja) コンテナ用フォークリフトの可動式プラットホーム
KR102607854B1 (ko) 핸드 파렛트 지게 트럭장치
KR101216387B1 (ko) 위치결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치대
CN211809681U (zh) 多功能转运小车
CN211365371U (zh) 一种用于航空集装箱运输的托盘
JP6336366B2 (ja) 積荷移動台車
JP5003621B2 (ja) センタリング装置
CN218320583U (zh) 一种可升降的装卸货装置
JP2002104660A (ja) ローダ
JP4618663B2 (ja) フォークリフト
JPH05229607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CN217297169U (zh) 一种适用于载重工业车辆的行走装置和一种载重工业车辆
CN219117088U (zh) 一种托盘搬运车
JP6535873B2 (ja) パレット持上げ装置及びパレット持上げ方法
JP4650680B2 (ja) 搬送設備
JP2017171292A (ja) 搬送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