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501B1 - 손수레 - Google Patents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501B1
KR101834501B1 KR1020160163336A KR20160163336A KR101834501B1 KR 101834501 B1 KR101834501 B1 KR 101834501B1 KR 1020160163336 A KR1020160163336 A KR 1020160163336A KR 20160163336 A KR20160163336 A KR 20160163336A KR 101834501 B1 KR101834501 B1 KR 101834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unit
driving
loading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효
우현우
이하영
Original Assignee
김태효
우현우
이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효, 우현우, 이하영 filed Critical 김태효
Priority to KR1020160163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5/023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using an upwards push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하부에 형성되는 승강부를 통해 적재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장애물을 넘어서 용이하게 적재물을 이송하는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수레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 하부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구동부들,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적재부와 수직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하는 승강부, 구동을 통해 상기 승강부를 상승시키는 상승페달 및 상기 상승페달의 측면에 배치되고 구동하면 상기 승강부를 하강시키는 하강페달을 포함하는 승강제어부 및 상기 적재부의 후방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손수레{CAR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승강기능을 통해 장애물을 용이하게 장애물을 주행하는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손수레는 전방 및 후방에 휠들이 형성되고 후방에 손수레를 밀거나 끌어당길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해당 사용자가 손수레를 끌고 장애물을 지나가는 경우 손잡이로 전후방의 휠을 들어올려 주행하거나 장애물을 우회하여 이동해야 했다.
그리고 장애물을 피할 수 없는 경우에는 손수레에 적재된 적재물을 직접 들어올려 목적지로 이동해야 하고, 장애물이 많은 장소에서 손수레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손수레 사용에 제약이 있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특허공개 제10-2009-0115316호는 방향을 조정하는 손잡이가 설치된 쇼핑카트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특허등록 제10-1637132호는 손잡이가 접철 가능하고 완충부가 형성되는 포터블 제동 카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만 장애물이나 방지턱을 용이하게 지나가는 발명은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재물의 흐트러짐이나 낙하 없이 장애물을 지나갈 수 있는 손수레 발명을 필요로 한다.
하부에 형성되는 승강부를 통해 손수레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장애물을 넘어서 용이하게 적재물을 이송하는 손수레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손수레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 하부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구동부들,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적재부와 수직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하는 승강부, 구동을 통해 상기 승강부를 상승시키는 상승페달 및 상기 상승페달의 측면에 배치되고 구동하면 상기 승강부를 하강시키는 하강페달을 포함하는 승강제어부 및 상기 적재부의 후방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전방 및 후방구동부들 사이에서 각각이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승강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승페달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1 및 제2 승강유닛들 각각의 일부가 수직 연장되어 상기 적재부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강페달의 단계적인 구동을 통해 상기 제2 승강유닛 및 상기 제1 승강유닛의 순서대로 상기 제2 승강유닛 및 상기 제1 승강유닛 각각이 상기 적재부와 수직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수레는 적재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승강유닛들의 상승 또는 하강 구동을 통해 적재부에 적재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손수레를 끌고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적재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구동센서들은 적재부가 상승한 상태에서 전방에 장애물이 인접한 경우 장애물을 감지하면 승강유닛들을 차례대로 수축시켜 페달의 사용없이 편리하게 손수레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승강유닛들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들은 유압펌프가 수직 연장 또는 수축하는 경우 적재물의 중량으로 양측으로 발생될 수 있는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적재부가 상승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적재물을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승강구동부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구동센서들을 통해 손수레를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구동센서가 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승강부가 손수레를 승강시켜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손수레의 상기 언급된 편의성 및 안정성의 열거된 효과들 외에 다른 효과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손수레의 다른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손수레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내지 7들은 도 1의 손수레의 장애물 주행 순서를 나타내는 측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수레(100)는 적재부(200), 전방구동부(300), 후방구동부(400), 승강부(500) 및 손잡이(700)를 포함한다.
승강부(500)는 제1 승강유닛(510) 및 제2 승강유닛(520)을 포함하고, 승강제어부(600)는 상승페달(610) 및 하강페달(620)을 포함한다.
손수레(10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적재부(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승강부(500)의 구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지면에 돌출 형성되는 장애물을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다.
전방 및 후방구동부(300, 400)들 각각은 적재부(200) 하부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 결합 배치되고, 승강부(500)는 적재부(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제어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 또는 수축하여 적재부(2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상승페달(610)은 적재부(200)의 하부 후방에 배치되고, 일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면 회전구동을 통해 승강부(500)를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작동시켜 승강부(500)를 적재부(200)와 수직방향으로 연장시킨다.
하강페달(620)은 상승페달(610)의 측면에 이격 배치되고 일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면 회전 구동을 통해 승강부(500)를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작동시켜 승강부(500)를 적재부(200)와 수직방향으로 수축시킨다.
제1 승강유닛(510)은 전방구동부(300)와 후방구동부(4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승강유닛(520)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방을 향해 인접하도록 적재부(200)와 결합되어 배치된다.
제2 승강유닛(520)은 전방구동부(300)와 후방구동부(4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승강유닛(5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방을 향해 인접하도록 적재부(200)와 결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승페달(610)을 발로 눌러서 지면을 향해 압력을 가하면 제1 및 제2 승강유닛(510, 520)들 각각의 일부가 지면과 수직으로 연장되어 적재부(200)를 상승시킨다.
또한, 상승페달(610)의 구동으로 적재부(200)가 상승된 상태에서 하강페달(620)을 단계적으로 하강시키면 1차로 제2 승강유닛(520)이 수축되고, 2차로 제1 승강유닛(510)이 수축되어 제자리로 복귀하므로 무거운 중량의 적재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적재물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장애물을 벗어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손수레의 다른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손수레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승강유닛(510)은 제1 지지부재(511), 제1 지지부(512), 제1 유압펌프(513), 제1 가이드(514), 제1 승강구동부(515) 및 구동센서(516)를 포함하고, 제2 승강유닛(520)은 제2 지지부재(521), 제2 지지부(522), 제2 유압펌프(523), 제2 가이드(524), 제2 승강구동부(525) 및 구동센서(526)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재(521), 제2 지지부(522), 제2 유압펌프(523), 제2 가이드(524), 제2 승강구동부(525) 및 구동센서(526) 각각은 배치되는 위치를 제외하고, 제1 지지부재(511), 제1 지지부(512), 제1 유압펌프(513), 제1 가이드(514), 제1 승강구동부(515) 및 구동센서(516) 각각과 서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제2 지지부재(521), 제2 지지부(522), 제2 유압펌프(523), 제2 가이드(524), 제2 승강구동부(525) 및 구동센서(526) 각각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지지부재(511)는 중앙은 적재부(200)의 하부면과 수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는 날개 형태로 양측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1 지지부(512)들은 적재부(200)의 하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지지부재(511)의 중앙 일부의 양쪽 끝단 각각에서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1 가이드(514)들은 제1 지지부(512)들 각각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지지부(512)들 각각의 하부로 돌출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1 유압펌프(513)는 제1 지지부(512)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유압펌프(513)의 내부에 형성되고 적재부(200)와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샤프트의 상단이 적재부(200)와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승페달(610)의 끝단에 압력을 가하여 하부로 이동시키면 제1 및 제2 유압펌프(513, 523)들 각각의 샤프트들이 수직 상승하여 적재부(200)를 상부로 밀어내고 제1 및 제2 가이드(514, 524)들 각각은 제1 및 제2 지지부(512, 522)들 각각에서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1 유압펌프(513)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제1 승강구동부(515)는 양쪽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2개의 휠들 사이에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는 구동축이 형성된다.
제1 지지부(512)들과 제1 유압펌프(513) 각각의 하부는 제1 승강구동부(515)의 연결부의 상부면과 결합되고, 상승페달(610)을 누르면 제1 및 제2 유압펌프(513, 523)들 각각의 샤프트들이 적재부(200)를 상부로 밀어내고 샤프트를 둘러싸는 실린더들이 하부로 하강하면서 제1 및 제2 승강구동부(515, 525)들 각각을 하부로 밀어낸다.
따라서, 상승 페달(610)의 구동으로 제1 및 제2 승강구동부(515, 525)들 각각이 지면을 밀고 상기 샤프트들이 수직 상승하면서 적재부(200)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전방구동부(300) 및 후방구동부(400)는 지면과 이격되어 상부로 상승한다.
구동센서(516, 526)들 각각은 제1 및 제2 승강구동부(515, 525)들 각각의 전방에 형성되고, 인접한 위치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제1 유압펌프(513) 또는 제2 유압펌프(523)를 상부로 상승시킨다.
한편, 승강제어부(600)와 제1 승강유닛(510) 및 제2 승강유닛(520) 각각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적재부(200)의 내부에 제1 유압펌프(513) 및 제2 유압펌프(523) 각각을 구동시키는 모터가 내부에 형성되고, 모터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배터리가 배치된다.
도 4 내지 7들은 도 1의 손수레의 장애물 주행 순서를 나타내는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7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수레(100)는 전방에 장애물(800)과 근접한 경우 사용자가 상승페달(610)을 구동시키면 제1 승강유닛(510) 및 제2 승강유닛(520)이 적재부(200)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재부(200)가 상승하고, 전방구동부(300)에 형성된 휠들은 전방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장애물(800)의 표면에 안착되는 높이만큼 상승한다.
이 때, 상승페달(610)을 누르는 압력이나 속도 및 횟수에 따라서 제1 및 제2 승강유닛(510, 520)이 수직 연장되는 길이가 달라지므로 장애물(800)의 높이에 따라서 적재부(200)가 상승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적재부(200)가 상승하여 전방구동부(300)의 휠들의 하부가 장애물(800)의 표면의 높이와 동일하게 상승하면, 해당 사용자는 하강페달(620)을 눌러서 제2 승강구동부(525)의 하부가 장애물(80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상승시킨다.
또는, 전방에 형성되는 구동센서(526)가 자동으로 장애물(800)을 감지하여 구동센서(526)가 장애물(800)을 감지하지 못하는 위치까지 제2 승강구동부(525)를 상부로 상승시킨다.
제2 승강구동부(525)가 상승하면, 해당 사용자는 손잡이(700)를 제1 방향을 향해 밀어서 제2 승강구동부(525)의 휠들이 장애물(800)의 상부에 배치하고 다시 손잡이(700)를 제1 방향으로 밀어서 제1 승강유닛(510)과 장애물(800)이 서로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제1 승강유닛(510)이 장애물(80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면, 제1 승강구동부(515)의 전방에 형성되는 구동센서(516)가 장애물(800)을 감지하여 제1 승강구동부(515)를 상부로 상승시키거나, 해당 사용자가 하강페달(620)을 눌러서 제1 승강구동부(515)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해당 사용자는 제1 승강구동부(515)가 상승하여 제1 승강구동부(515)의 하부가 장애물(800)의 상부면과 동일한 위치로 상승하는 적재부(200)에 적재된 적재물의 중량으로 후방이 기울어지기 전에 손잡이(700)를 제1 방향으로 밀어내면 제1 승강유닛(510)이 장애물(80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따라서, 손수레(100)는 적재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승강유닛(510) 및 제2 승강유닛(520)의 상승 또는 하강 구동을 통해, 적재부(200)에 적재물을 배치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손수레(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승강유닛(510, 520)들 각각의 전방에 형성된 구동센서(516, 526)들을 통해 편리하게 장애물(800)을 지나 손수레(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센서(516, 526)들의 구동이 불가능한 경우 상승페달(610) 및 하강페달(620)을 사용하여 적재부(200), 전방구동부(300) 및 후방구동부(400)를 상승시켜 장애물(800)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승강유닛(510, 520)들 각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511, 521)들이 제1 및 제2 승강구동부(515, 525)들 각각의 수직 연장 또는 수축의 방향을 가이드하고, 제1 및 제2 승강구동부(515, 525)들이 구동하는 동안 적재부(20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양측면에서 가이드하여 안정적인 승강 또는 하강이 가능하다.
한편, 구동센서(526)는 제1 및 제2 승강구동부(515, 525)들 각각의 전후방에 형성될 수 있고, 후방에 형성되는 구동센서(526)들은 손수레(100)를 끌고 뒤로 이동하면서 마주하는 장애물을 넘어갈 때 사용될 수 있으며, 후방의 구동센서(526)가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하강페달(620)에 제1차로 압력을 가하면 후방에 인접한 제1 승강구동부(515)가 제1 순위로 적재부(200)와 수직 방향으로 수축한다.
또한, 하강페달(620)에 제2의 압력을 가하면 제2 승강구동부(525)가 적재부(200)와 수직 방향으로 수축하고, 손수레(100)를 후방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 구동센서(526)와 하강페달(620)의 연동으로 편리하게 적재물 이송이 가능하다.
또한, 후방의 구동센서(526)가 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면 하강페달(620)의 구동이 없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제1 승강구동부(515) 및 제2 승강구동부(525)의 순서대로 제1 승강구동부(515) 및 제2 승강구동부(525)가 적재부(200)를 향해 상승하여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손수레 200: 적재부
300: 전방구동부 400: 후방구동부
500: 승강부 600: 승강제어부
700: 손잡이 800: 장애물

Claims (9)

  1.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 하부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구동부들;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구동부들 사이에서 각각이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적재부와 수직 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하는 제1 및 제2 승강유닛들을 포함하는 승강부;
    구동을 통해 상기 승강부를 상승시키는 상승페달 및 상기 상승페달의 측면에 배치되고 구동하면 상기 승강부를 하강시키는 하강페달을 포함하는 승강제어부; 및
    상기 적재부의 후방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승강유닛들 각각은 중앙에 형성되는 샤프트가 지면과 수직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유압펌프, 각각이 상기 유압펌프의 양쪽 측면에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와 결합되는 지지부들, 상기 유압펌프의 하부에 결합되고 양측에 바퀴들이 형성되는 승강구동부 및 각각이 상기 승강구동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들 각각에 삽입되며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상승페달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1 및 제2 승강유닛들 각각의 상기 샤프트가 상부를 향해 수직 연장되어 상기 적재부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페달의 단계적인 구동을 통해 상기 제2 승강유닛 및 상기 제1 승강유닛의 순서대로 상기 제2 승강유닛 및 상기 제1 승강유닛 각각이 상기 적재부와 수직 방향으로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강유닛들 각각은,
    상기 유압펌프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전방에 인접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구동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가 상기 장애물을 감지하면 상기 유압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승강구동부를 상기 적재부를 향해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전방 및 후방에 인접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구동센서들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센서들이 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면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적재부를 향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센서들은,
    상기 승강제어부와 연동하여 후방에 형성되는 상기 하강페달을 단계적으로 누르면 제1 승강구동부 및 제2 승강구동부의 순서대로 상기 제1 및 제2 승강구동부들은 상기 적재부와 수직 방향으로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KR1020160163336A 2016-12-02 2016-12-02 손수레 KR101834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36A KR101834501B1 (ko) 2016-12-02 2016-12-02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36A KR101834501B1 (ko) 2016-12-02 2016-12-02 손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501B1 true KR101834501B1 (ko) 2018-04-13

Family

ID=6197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336A KR101834501B1 (ko) 2016-12-02 2016-12-02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5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3611A (zh) * 2019-01-02 2019-05-03 江苏核电有限公司 一种液压越野式核级设备运输车
KR102088295B1 (ko) 2018-09-27 2020-03-13 이수곤 손수레
KR102088289B1 (ko) 2018-09-27 2020-03-13 이수곤 손수레
KR102189155B1 (ko) * 2019-07-23 2020-12-09 안신용 개인용 전동 핸드 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407A (ja) * 1998-10-08 2000-04-25 Kunihiro Michihashi 台車および台車用走行補助装置
JP2000168565A (ja) * 1998-12-08 2000-06-20 Kumagai Gumi Co Ltd 搬送台車
JP2003245308A (ja) * 2002-02-26 2003-09-02 Yamatomekku:Kk 昇降機能付き軽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407A (ja) * 1998-10-08 2000-04-25 Kunihiro Michihashi 台車および台車用走行補助装置
JP2000168565A (ja) * 1998-12-08 2000-06-20 Kumagai Gumi Co Ltd 搬送台車
JP2003245308A (ja) * 2002-02-26 2003-09-02 Yamatomekku:Kk 昇降機能付き軽車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295B1 (ko) 2018-09-27 2020-03-13 이수곤 손수레
KR102088289B1 (ko) 2018-09-27 2020-03-13 이수곤 손수레
CN109703611A (zh) * 2019-01-02 2019-05-03 江苏核电有限公司 一种液压越野式核级设备运输车
KR102189155B1 (ko) * 2019-07-23 2020-12-09 안신용 개인용 전동 핸드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501B1 (ko) 손수레
US8376089B2 (en) Lift for skids and pallets
US10604168B2 (en) Lifter for stacked trays
CN111433106A (zh) 可调倾斜的手推车装置
CN102030286A (zh) 手动自升式托盘叉车
EP2998189B1 (en) A forklift truck
CN112850552A (zh) 一种搬运装置及货物搬运方法
WO2022142668A1 (zh) 一种搬运装置及货物搬运方法
CN112124004B (zh) 叉车轮距调节装置及叉车
US20070152413A1 (en) Hand truck
EP1816051A2 (en) Trolley, particularly for moving pieces of furniture
KR101626934B1 (ko) 승강식 운반 대차
NL1030868C2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heffen van lasten.
CN210792699U (zh) 叉车轴距调节装置及叉车
CN110482445B (zh) 一种搬运支撑机构及搬运车
KR101701590B1 (ko) 계단용 카트의 브레이크 장치
KR101747830B1 (ko) 이송 장치
EP2923916A1 (en) Sack truck
US9238553B2 (en) Powered curb ramp tugger lift
CN112079295A (zh) 可上车式电动堆高机
WO2014111698A1 (en) A pallet stacking apparatus
KR200443186Y1 (ko) 다리부의 폭 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팔레트 스태커
TWM583448U (zh) 可上車式電動堆高機
CN219689253U (zh) 叉车
WO2017023179A1 (en) An attachment for a lif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