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295B1 - 손수레 - Google Patents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295B1
KR102088295B1 KR1020180114920A KR20180114920A KR102088295B1 KR 102088295 B1 KR102088295 B1 KR 102088295B1 KR 1020180114920 A KR1020180114920 A KR 1020180114920A KR 20180114920 A KR20180114920 A KR 20180114920A KR 102088295 B1 KR102088295 B1 KR 102088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ir
rails
coupled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곤
Original Assignee
이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곤 filed Critical 이수곤
Priority to KR1020180114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Abstract

본 문건은, 무게가 무거운 짐을 용이하게 실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수레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 뒤쪽 부분에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프레임의 하부 앞쪽 부분에 구비되는 한 쌍의 앞바퀴유닛; 상기 프레임의 하부 뒤쪽 부분에 구비되는 한 쌍의 뒷바퀴유닛; 플레이트 형태를 갖고, 하면에 한 쌍의 레일이 수직으로 결합된 몸체 - 상기 한 쌍의 레일 각각에는 이동홈이 형성됨 - ;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의 이동홈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고정핀; 및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다른 하나의 레일의 이동홈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제2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앞바퀴유닛은, 포크; 일측면에 래칫이 구비되고 상기 포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 및 상기 포크에 결합되고, 상기 래칫을 구속하는 제1 상태와 상기 걸림턱에 맞닿아 상기 래칫을 구속하지 않는 제2 상태를 갖는 멈춤쇠유닛;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손수레{HAND CART}
본 개시(Disclosure)는 짐을 운반할 때 사용되는 손수레와 관련된다.
본 섹션(Section)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되는 종래기술을 기재된다. 다만, 공지여부에 대한 명확한 언급이 없는 한, 기재된 종래기술이 출원 전 공지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손수레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와,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바퀴(캐스터, Caster)와,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다양한 크기의 짐을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손수레로 짐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바퀴의 높이 만큼 지면에서 이격된 몸체 위에 짐을 실어야야 하는데, 냉장고 등과 같이 무게가 무거운 물체의 경우, 몸체에 싣기 쉽지 않고, 사용자가 짐을 싣는 과정에서 다칠 우려가 있다.
또 한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0971호를 통하여, 무거운 짐을 용이하게 실을 수 있도록 고안된 손수레의 일례를 확인할 수 있다.
KR 20-0460971 Y1 (2012.06.21. 공고) KR 10-1834501 B1 (2018.04.13. 공고)
무게가 무거운 짐을 용이하게 실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 뒤쪽 부분에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프레임의 하부 앞쪽 부분에 구비되는 한 쌍의 앞바퀴유닛; 상기 프레임의 하부 뒤쪽 부분에 구비되는 한 쌍의 뒷바퀴유닛; 플레이트 형태를 갖고, 하면에 한 쌍의 레일이 수직으로 결합된 몸체 - 상기 한 쌍의 레일 각각에는 이동홈이 형성됨 - ;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의 이동홈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고정핀; 및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다른 하나의 레일의 이동홈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제2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앞바퀴유닛은, 포크; 일측면에 래칫이 구비되고 상기 포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 및 상기 포크에 결합되고, 상기 래칫을 구속하는 제1 상태와 상기 걸림턱에 맞닿아 상기 래칫을 구속하지 않는 제2 상태를 갖는 멈춤쇠유닛;으로 구성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에 상기 몸체를 고정하는 잠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는, 몸체가 프레임의 전방으로 인출된 뒤, 지면 방향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되므로, 무게가 무거운 짐을 용이하게 실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에 짐(LD)을 싣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변형 예이고, 멈춤쇠유닛(170)의 구성과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실물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는 프레임(110), 손잡이(120), 앞바퀴유닛(130), 뒷바퀴유닛(140) 및 몸체(150)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는 잠금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예로서, 프레임(110)은 다수 개의 빔이 'ㅂ' 자 형태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프레임(110)의 형태는,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의 강성과 무게 등(설계사양)을 고려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110)의 재료로는 알루미늄이나 철 등의 금속재가 채택될 수 있고, 경량화를 위해, 고강도 탄소섬유 등이 채택되어도 무방하다.
손잡이(120)는 프레임(110)의 상부 뒤쪽 부분에 구비된다. 손잡이(120)는 프레임(110)과 수직한 형태일 수 있고, 하부가 프레임(110)과 힌지결합되어, 프레임(110) 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앞바퀴유닛(130)은 프레임(110)의 하부 일측(앞쪽 부분)에 구비된다. 어느 하나의 앞바퀴유닛(130)과 다른 하나의 앞바퀴유닛(130)은 프레임(110)의 폭 방향 소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다. 앞바퀴유닛(130)은 시중에 판매되는 캐스터(Caster)일 수 있다.
한 쌍의 뒷바퀴유닛(140)은 프레임(110)의 하부 타측(뒤쪽 부분)에 구비된다. 어느 하나의 뒷바퀴유닛(140)과 다른 하나의 뒷바퀴유닛(140)은 프레임(110)의 폭 방향 소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다. 뒷바퀴유닛(140)은 시중에 판매되는 캐스터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의 방향 전환을 위해서, 뒷바퀴유닛(140)은 그 각각이 360˚ 제자리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한 쌍의 앞바퀴유닛(130)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150)는 짐(LD)이 안치되는 부분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예로서, 사각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몸체(150)의 형태는 싣고자 하는 짐(LD)의 형태에 따라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몸체(150)는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프레임(110)의 전방[앞바퀴유닛(130) 방향]으로 일정 거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몸체(150)는 프레임(110)에서 인출된 뒤, 지면 방향으로 틸트(Tilt)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몸체(150)의 하부에는 레일(152)이 수직으로 결합된다. 레일(152)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홈(152a)이 형성된다. 레일(152)은 한 쌍이 구비된다.
제1 고정핀(154)은 레일(152)의 이동홈(152a)을 관통하여, 프레임(110)의 폭 방향 일측에 결합된다. 제2 고정핀(154')은 다른 레일(미도시)의 이동홈(미도시)를 관통하여, 프레임(110)의 폭 방향 타측에 결합된다.
즉, 한 쌍의 레일(152, 미도시)은 고정핀[제1 고정핀(154), 제2 고정핀(154')]을 기준으로 전후로 움직일 수 있고, 고정핀을 기준으로 소정거리 전방으로 이동한 뒤, 고정핀을 지지점으로 하여, 틸트될 수 있다.
한편, 레일(152)은 프레임(110)의 길이보다 짧고, 몸체(150)는 프레임(110)에서 전체적 면적의 40 ~ 60% 만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유닛(160)은 몸체(150)에 구비되며, 프레임(110)에서 몸체(150)가 이동되지 않도록, 프레임(110)에 몸체(15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잠금유닛(160)은 통상의 기술자가 통상의 기술수준 내에서, 다양한 형태를 구성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 그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에 짐(LD)을 싣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짐(LD)의 크기나 무게로 인하여, 짐(LD)을 도수로 들어올리기 곤란한 경우,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의 잠금유닛(160)을 해제한 후, 프레임(110)에서 몸체(150)를 전방으로 인출한 뒤, 선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틸트시킨다.
계속해서, 짐(LD)을 소정 각도 기울인 뒤, 짐(LD)의 하부에 형성된 틈(공간)으로, 틸트된 몸체(150)를 밀어 넣는다.
이어서, 짐(LD)을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 방향으로 밀면, 몸체(150)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면서, 몸체(150)의 상면에 짐(LD)이 자연스럽게 안착된다.
즉,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는, 몸체(150)가 프레임(110)의 전방으로 인출된 뒤, 지면 방향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되므로, 무게가 무거운 짐(LD)을 용이하게 실을 수 있다.
한편, 짐(LD)을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 방향으로 미는 과정에서,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가 후방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는 몸체(150)가 프레임(110)에서 인출된 이후에는, 한 쌍의 앞바퀴유닛(130)이 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150)가 프레임(110)에서 인출된 이후에는, 한 쌍의 앞바퀴유닛(130)이 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성한 하나의 예로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몸체(150)의 하면에는 한 쌍의 걸림턱(156)[한 쌍의 앞바퀴유닛(130)에 대응]이 형성되고, 한 쌍의 앞바퀴유닛(130) 각각은, 포크(132), 래칫(134a)을 구비한 바퀴(134) 및, 멈춤쇠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포크(132)는 레일(15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바퀴(134)의 일측면에는 래칫(134a)이 구비된다.
멈춤쇠유닛(170)은 작동축(172), 걸림쇠(174), 멈춤쇠(176)를 포함하고, 작동축(172)은 포크(13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포크(132)의 외부로 돌출된다. 멈춤쇠(176)는 포크(132)의 내부 위치하되, 작동축(172)의 하부에 구비된다. 걸림쇠(174)는 포크(132)의 외부에 위치하되, 포크(132)의 외부로 돌출된 작동축(172) 일단의 상부에 구비되며, 포크(132)와 스프링(174a)를 매개로 결합된다.
한 쌍의 앞바퀴유닛(130) 중 어느 하나의 앞바퀴유닛(130)에 구비된 걸림쇠(174)는 한 쌍의 걸림턱(156) 중 어느 하나의 걸림턱(156)과 걸림 결합된다.
도 3 (a)를 참조하면, 몸체(150)가 프레임(110)에서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걸림쇠(174)는 걸림턱(156)과 맞닿고, 멈춤쇠(176)은 래칫(134a)을 구속하지 않는다. 즉, 바퀴(134)는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도 3 (b)를 참조하면, 몸체(150)가 프레임(110)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걸림쇠(174)는 걸림턱(156)과 맞닿지 않고, 스프링(174a)에 의하여, 전방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작동축(172)이 함께 회동하며, 멈춤쇠(176)가 래칫(134a)과 맞물리게 된다. 즉, 바퀴(134)는 시계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 전반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손수레
110 : 프레임
120 : 손잡이
130 : 앞바퀴유닛
132 : 포크
134 : 바퀴
134a : 래칫
140 : 뒷바퀴유닛
150 : 몸체
152, 152' : 레일
152a, 152a' : 이동홈
154, 154' : 제1 고정핀, 제2 고정핀
156 : 걸림턱
160 : 잠금유닛
170 : 멈춤쇠유닛
172 : 작동축
174 : 걸림쇠
174a : 스프링
176 : 멈춤쇠
--
LD : 짐

Claims (4)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 뒤쪽 부분에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프레임의 하부 앞쪽 부분에 구비되는 한 쌍의 앞바퀴유닛;
    상기 프레임의 하부 뒤쪽 부분에 구비되는 한 쌍의 뒷바퀴유닛;
    플레이트 형태를 갖고, 하면에 한 쌍의 레일이 수직으로 결합된 몸체 - 상기 한 쌍의 레일 각각에는 이동홈이 형성됨 - ;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의 이동홈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고정핀; 및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다른 하나의 레일의 이동홈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제2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앞바퀴유닛은,
    포크;
    일측면에 래칫이 구비되고 상기 포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 및
    상기 포크에 결합되고, 상기 래칫을 구속하는 제1 상태와 상기 걸림턱에 맞닿아 상기 래칫을 구속하지 않는 제2 상태를 갖는 멈춤쇠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를 상기 프레임의 전방으로 인출하면, 상기 앞바퀴유닛이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에 상기 몸체를 고정하는 잠금유닛;을 더 포함하는, 손수레.
  3. 삭제
  4. 삭제
KR1020180114920A 2018-09-27 2018-09-27 손수레 KR102088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920A KR102088295B1 (ko) 2018-09-27 2018-09-27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920A KR102088295B1 (ko) 2018-09-27 2018-09-27 손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295B1 true KR102088295B1 (ko) 2020-03-13

Family

ID=6993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920A KR102088295B1 (ko) 2018-09-27 2018-09-27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2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7978A (ja) * 1998-10-26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荷物搬送車
US7338104B1 (en) * 2006-09-28 2008-03-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figurable access sliding tray
KR200460971Y1 (ko) 2010-03-22 2012-06-21 박강민 손수레
KR20150000827U (ko) * 2013-08-19 2015-02-27 이명환 덤프형 운반기
KR101801470B1 (ko) * 2016-06-07 2017-11-30 이정훈 인입인출형 경사로 탑재 트레일러
KR101834501B1 (ko) 2016-12-02 2018-04-13 김태효 손수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7978A (ja) * 1998-10-26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荷物搬送車
US7338104B1 (en) * 2006-09-28 2008-03-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figurable access sliding tray
KR200460971Y1 (ko) 2010-03-22 2012-06-21 박강민 손수레
KR20150000827U (ko) * 2013-08-19 2015-02-27 이명환 덤프형 운반기
KR101801470B1 (ko) * 2016-06-07 2017-11-30 이정훈 인입인출형 경사로 탑재 트레일러
KR101834501B1 (ko) 2016-12-02 2018-04-13 김태효 손수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9100B2 (en) Modular container assembly
US6880851B1 (en) Hand cart
JP4538495B2 (ja) 車輪付き手荷物ケース
US3827707A (en) Portable carrier
US9126611B2 (en) Handcart
US7226073B1 (en) Luggage cart having a telescoping handle with the addition of a foldable supportive wheel assembly
US7658388B1 (en) Cart apparatus
US8033369B2 (en) Fully recessed translation biased cantilever leg luggage device
US9650060B2 (en) Swivelable and unidirectional platform truck
US7500683B2 (en) Filing cabinet dolly
US20150344056A1 (en) Dolly system and method of use
US3647236A (en) Handtruck attachment
EP3397538A1 (en) Cart and dolly handle with stacking position
US6824152B1 (en) Dolly device
KR102088295B1 (ko) 손수레
JP6122085B1 (ja) 台車
US20090194959A1 (en) Mobile platform methods and system
US9033313B2 (en) Hand operated jacks for lifting file cabinets
KR102088289B1 (ko) 손수레
US9365226B1 (en) Transport dolly
JP6352518B1 (ja) 台車、これに使用される台車本体および操作具
JP3174344U (ja) パレット付台車
CA2551856C (en) Filing cabinet dolly
KR101399567B1 (ko) 다용도 손수레
JP3194428U (ja) 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