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845Y1 - 앵글달리 코너 - Google Patents

앵글달리 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845Y1
KR200497845Y1 KR2020230001445U KR20230001445U KR200497845Y1 KR 200497845 Y1 KR200497845 Y1 KR 200497845Y1 KR 2020230001445 U KR2020230001445 U KR 2020230001445U KR 20230001445 U KR20230001445 U KR 20230001445U KR 200497845 Y1 KR200497845 Y1 KR 200497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rner
frame
present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1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희
Original Assignee
(주)국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국제산업 filed Critical (주)국제산업
Priority to KR2020230001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8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83Wheeled supports connected to the transported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앵글달리 코너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달리 코너는, 적재 또는 운반하려는 물품의 모서리 영역을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평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부, 및 프레임 본체부의 하부에서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부를 관통하는 서로 다른 형상의 봉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 구조를 갖는 부재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앵글달리 코너{Angle Dolly Corner}
본 고안은 앵글달리 코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ㄱ자 봉, 원형 봉, 사각봉 등 다양한 형상의 봉 부재를 하나의 모서리 고정장치에 결합하여 물건 등을 이동하는 운반용 대차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앵글달리 코너에 관한 것이다.
운반 대차는 운반 조작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도구이다. 사람의 힘으로는 금방 소진되는 체력을 아끼고 시간을 요하는 작업도 단축할 수 있다. 운반대차에는 접이식, 평대차, 컨테이너 대차, 롤테이너 등이 있다. 스토퍼나 미끄러짐 방지 기능이 있는 안전적인 면을 고려한 제품도 많이 있다. 2륜, 4륜, 6륜 등 바퀴의 수에도 차이가 있으며 바퀴가 많을수록 안정적이다. 단, 바퀴 수가 늘어나면 주행 저항도 증가하므로 작업 현장 및 사용 환경에 적합한 운반 대차를 선택해야 한다. 또한, 오랫동안 사용하면 타이어가 열화되므로 별도로 판매되는 교체용 바퀴를 고려해 두는 것도 중요하다. 평대차나 컨테이너 대차는 연결할 수 있는 것도 많으며, 사람의 힘으로는 운반하기 어려운 큰 짐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그 가운데 대표적으로 컨테이너 대차는 컨테이너 박스를 사용하는 공장·물류 창고·점포 등에서 컨테이너 박스를 그대로 쌓아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한 운반 대차이다. 4륜 타입이 대부분이지만, 길이가 있는 컨테이너 박스에 대응한 6륜 타입이나 평대차 타입도 있다. 대차 본체도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제품이 있다. 재질은 스테인리스 및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나 수지제가 있으며, 사용 환경에 적합한 소재를 선택할 수 있다. 고정 타입은 사용하는 컨테이너 박스에 적합한 사이즈의 컨테이너 대차를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대차의 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사이즈의 컨테이너 박스에 대응하는 신축 타입도 있다. 또한, 손잡이가 있어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제품이나 소음 대책이 마련된 제품도 있다.
종래에는 컨테이너 대차와 관련하여 4개의 코너부재를 활용하는 제품이 공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해당 코너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봉 등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코너부재를 사용해야 하는 등 제품 제조 및 제품의 사용에 많은 번거로움이 뒤따르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25109호(2019.09.19)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령 ㄱ자 봉, 원형 봉, 사각봉 등 다양한 형상의 봉 부재를 하나의 모서리 고정장치에 결합하여 물건 등을 이동하는 운반용 대차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앵글달리 코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달리 코너는, 적재 또는 운반하려는 물품의 모서리 영역을 지지하고 가이드(guide)하는 평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부, 및 상기 프레임 본체부의 하부에서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부를 관통하는 서로 다른 형상의 봉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 구조를 갖는 부재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본체부는, 직각 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직각 삼각형의 형상에서 예각을 갖는 부위에 상기 부재 체결부를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부재 체결부는, 각목 형태의 봉 부재를 체결하는 제1 체결구조, 원형의 봉 부재를 체결하는 제2 체결구조, 'ㄱ'자나 'L'자의 봉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제3 체결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체결구조는 상기 부재 체결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의 정중앙을 가로지르면서 상기 측면 프레임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재 체결부는, 상기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의 총 길이를 d라 할 때, 전반부의 제1 구간(d1)에는 상기 제1 체결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구간에 이어지는 후반부의 제2 구간(d2)에는 상기 제2 체결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평면 프레임상에는 상기 프레임 본체부의 하부에 구동륜을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 프레임은 삼각형상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재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부의 하부에서 'ㄱ'자 형상으로 형성 가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앵글달리 코너를 활용해서도 다양한 유형의 봉 부재를 결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앵글달리 코너를 운반대차에 사용할 때 운반하려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봉 부재를 분리 및 재결합할 수 있어 운반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앵글달리 코너의 제품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봉 부재를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앵글달리 코너의 구매에 따른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대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앵글달리 코너의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앵글달리 코너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앵글달리 코너의 좌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혹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고안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고안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대차의 구성(혹은 그 일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대차(90)는 앵글달리 코너(100), 봉 부재(110) 및 구동륜(미도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구동륜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운반 대차(90)가 구성되거나, 구동륜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앵글달리 코너(10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고안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앵글달리 코너(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때, 운반 대차(90)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하여 총 4개의 앵글달리 코너(100)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앵글달리 코너(100)는 '모서리 고정장치' 등 다양하게 명명될 수 있으므로 그러한 명칭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앵글달리 코너(100)는 운반 대차(90)를 구성할 때 컨테이너 박스 등의 모서리 부분을 거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 앵글달리 코너(100)는 컨테이너 박스 등의 물품 운반시 안정적인 거치를 통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4개의 앵글달리 코너(100)는 봉 부재(11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앵글달리 코너(100)는 봉 부재(110)가 각각 90도 각도에서 체결될 수 있도록 부재 체결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재 체결부(103)는 앵글달리 코너(100)의 하부에서 서로 90도의 방향을 향하도록 각각 구성된다. 부재 체결부(103)는 90도의 방향에서 각각 봉 부재(11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복수의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체결 구조"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ㄱ'자나 'L'자 형상의 봉 부재, 도 2에서와 같이 '―'자형 봉 부재,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사각형상의 각목과 같은 봉 부재가 하나의 부재 체결부(103)를 사용해 체결될 수 있고, 나아가 원형의 봉 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앵글달리 코너(100)의 부재 체결부(103)는 가령 운반 대차(90)를 사용하는 사용자 가령 현장의 작업자들이 작업의 특성에 따라 자신에 편리한 봉 부재(110)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재 체결부(103)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해당 구조의 부재 체결부(103)는 앵글달리 코너(100)의 하부에서 서로 독립적인 형태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본 고안에 따른 부재 체결부(103)는 'ㄱ'자나 'L'자 형태의 측벽(102)과 같은 배치를 이루어 'ㄱ'자나 'L'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제품의 제조비용 등을 고려해 볼 때, 부재 체결부(103)에 체결된 봉 부재(110)의 끝 부위가 부재 체결부(103)에 체결된 후 다시 말해 내부 중공으로 관통한 후 양끝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앵글달리 코너(100)를 구성하는 삼각형의 바닥 플레이트(혹은 평면 프레임)(101)의 하부에 구동륜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재 체결부(103)는 내부 중공 또는 관통홀로 체결된 봉 부재(110)의 양끝을 감싸는 또는 권취하는 형태의 체결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삼각 형상의 바닥 플레이트(101)의 하부에는 구동륜이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정리해 보면, 본 고안에 따른 앵글달리 코너(100)는 구동륜을 체결하기 위한 평판 형태의 바닥 플레이트(101)와, 그 바닥 플레이트(101)의 일면 즉 상측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는 부위에 형성되는 측벽(102), 그리고 바닥 플레이트(101)의 타측 즉 하부에서 90도의 방향을 이루어 각각 구성되어 봉 부재(110)를 각각 체결하는 부재 체결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바닥 플레이트(101)상에는 구동륜을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홀(101a)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재 체결부(103)는 서로 수직한 방향에서 봉 부재(110)가 각각 체결될 수 있도록 일체화된 가령 'ㄱ'자 형태가 구성되거나, '―'자 형상을 갖는 2개의 부재 체결부(103)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부재 체결부 및 제2 부재 체결부가 구성되는 것이다.
앵글달리 코너(100)의 하부에서 90도 방향을 이루어 구성되는 부재 체결부(103)에는 봉 부재(110)가 각각 체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봉 부재(110)는 운반 대차(90)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총 4개의 앵글달리 코너(100)에 총 4개의 봉 부재(110)가 사용될 수 있다. 봉 부재(1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ㄱ'자나 'L'자 형상의 봉 부재, '―'자 형상의 봉 부재, 각목 형태의 봉 부재 및 원형의 봉 부재 등 대략 4가지 유형의 봉 부재가 체결이 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제품으로 여러가지 형태의 봉 부재(110)를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들이 작업 현장에서 컨테이너 박스 등의 운반을 위해 최적의 봉 부재(110)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달리 코너(100)는 금형기에서 사출되는 형태로 제품이 형성될 수 있다. 앵글달리 코너(100)는 플라스틱 등 PC 재질의 다양한 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 봉 부재(110)의 경우에도 금형기에서 사출되는 형태로 제품이 형성될 수 있지만, 봉 부재(110)의 경우에는 철(Fe)이나 알루미늄(Al)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앵글달리 코너(100)나 봉 부재(1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달리 코너(100)는 이후에도 계속해서 다루어지므로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앵글달리 코너의 평면도 및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앵글달리 코너의 우측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앵글달리 코너의 좌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달리 코너(100)는 평면 프레임(이하, 바닥 플레이트라 함)과 측면 프레임(이하, 측벽이라 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레임 본체부(111, 112), 그리고 프레임 본체부(111, 112)의 하부에 구성되는 부재 체결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글달리 코너(100)는 직각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바닥 플레이트(101), 그 바닥 플레이트(101)의 일면 즉 상부에서 서로 직교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측벽(102), 그리고 바닥 플레이트(101)의 타면 즉 하부에서 양끝 예각 부위에 각각 구성되어 봉 부재(110)의 체결을 위한 부재 체결부(103)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측벽(102)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앵글달리 코너(100)가 구성되거나, 바닥 플레이트(101)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측벽(102)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와 통합 즉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고안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앵글달리 코너(100)는 금형기에서 사출에 의해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금형기를 통해 서로 분리되어 사출된 후 본딩(bonding)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평면 프레임 즉 바닥 플레이트(101)는 도 4에서 볼 때, 개략적으로 삼각 형상으로 상측에 평면을 갖는 형태의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바닥 플레이트(101)의 상부면은 하부에 구동륜을 체결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체결홈이나 체결홀(101a)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체결홀(101a)에 구동륜과 체결을 위한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닥 플레이트(101)의 상측면에서 직각을 이루는 가장자리 즉 일측 변을 따라서는 측벽(102)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해당 측벽(102)은 가령 컨테이너 박스 등의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여 유동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측벽(102)의 경우에도 도 4에서와 같이 반드시 직각을 이루어 형성될 필요는 없지만, 제품의 내구성을 위하여 직각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측벽(102)은 컨테이너 박스 등의 모서리 영역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바닥 플레이트(101)의 양측에서 대략 45도 정도로 예각을 이루는 부위의 하부에는 봉 부재(110)를 체결하기 위한 부재 체결부(103)가 각각 구성된다. 부재 체결부(103)는 직각으로 형성되는 측벽(102)과 마찬가지로 바닥 플레이트(101)의 하부 직각 부위를 따라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동륜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부재 체결부(103)는 양측에 독립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재 체결부(103)는 일측의 제1 부재 체결부와, 그 일측과 90도 방향을 향하여 봉 부재(110)를 체결하는 제2 부재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재 체결부(10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봉 부재(110)를 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도 5, 도 6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우선, 부재 체결부(103)의 내부에서 사각 형상이나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제1 체결구조(400, 410)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부재 체결부(103)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의 총 길이를 d라고 가정할 때, d는 전반부의 제1 구간의 길이(d1)와 그 전반부에 이은 후반부의 제2 구간의 길이(d2)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의 경우 전반부의 d1의 구간에는 각목과 같은 사각형의 봉 부재(110)를 체결할 수 있는 구조 즉 제1 서브체결구조(400)를 형성할 수 있고, 또 후반부의 d2 구간에는 원형의 봉 부재(110)를 체결하기 위한 구조 즉 제2 서브체결구조(410)를 형성함으로써 사각형과 원형의 봉 부재(110)를 모두 체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반부의 d1의 구간에 제2 서브체결구조(410)가 형성되고, 후반부의 d2 구간에는 제1 서브체결구조(4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부재 체결부(103)는 '―'자 형상의 봉 부재(110), 'ㄱ'자 형상 등의 봉 부재(110)를 체결하기 위하여 부재 체결부(103)의 중공의 정중앙을 가로지르면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측벽(102)의 내부로 형성되어 있는 'ㄱ'자 또는 'L'자 형상의 제2 체결구조(420, 430)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의 정중앙을 가로지르는 제2 체결구조(420, 430)의 제3 서브체결구조(420)에는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제1 서브체결구조(400)에 체결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지만, '―'자 형상의 봉 부재(110)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서브체결구조(420) 및 제4 서브체결구조(430)에는 'ㄱ'자 형상 등의 봉 부재(110)가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총 4가지 유형의 봉 부재(110)가 앵글달리 코너(100)에 체결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앵글달리 코너(100)를 사용하여 도 1에서와 같은 운반 대차(90)를 구성하는 경우, 작업 현장의 작업자들은 운반하고자 하는 컨테이너 박스 등의 제품 유형에 따라 신속하게 봉 부재(110)를 분리 및 재결합함으로써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앵글달리 코너 101: 바닥 플레이트(혹은 평면 프레임)
102: 측벽(혹은 측면 프레임) 103: 부재 체결부
400, 410: 제1 체결구조 420, 430: 제2 체결구조

Claims (8)

  1. 적재 또는 운반하려는 물품의 모서리 영역을 지지하고 가이드(guide)하는 평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부; 및
    상기 프레임 본체부의 하부에서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부를 관통하는 서로 다른 형상의 봉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 구조를 갖는 부재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 체결부는, 각목 형태의 봉 부재를 체결하는 제1 체결구조, 원형의 봉 부재를 체결하는 제2 체결구조, 'ㄱ'자나 'L'자의 봉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제3 체결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앵글달리 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부는, 직각 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직각 삼각형의 형상에서 예각을 갖는 부위에 상기 부재 체결부를 각각 구성하는, 앵글달리 코너.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체결구조는 상기 부재 체결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의 정중앙을 가로지르면서 상기 측면 프레임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앵글달리 코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체결부는, 상기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의 총 길이를 d라 할 때, 전반부의 제1 구간(d1)에는 상기 제1 체결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구간에 이어지는 후반부의 제2 구간(d2)에는 상기 제2 체결구조를 형성하는, 앵글달리 코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프레임상에는 상기 프레임 본체부의 하부에 구동륜을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앵글달리 코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프레임은 삼각형상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앵글달리 코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부의 하부에서 'ㄱ'자 형상으로 형성 가능한, 앵글달리 코너.
KR2020230001445U 2023-07-12 2023-07-12 앵글달리 코너 KR200497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445U KR200497845Y1 (ko) 2023-07-12 2023-07-12 앵글달리 코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445U KR200497845Y1 (ko) 2023-07-12 2023-07-12 앵글달리 코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845Y1 true KR200497845Y1 (ko) 2024-03-14

Family

ID=9024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445U KR200497845Y1 (ko) 2023-07-12 2023-07-12 앵글달리 코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845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927Y1 (ko) * 2007-09-05 2008-07-09 고영호 상자 운반용 이동 대차
KR20190061971A (ko) * 2017-11-28 2019-06-05 지재홍 조립형 운반 대차
KR102025109B1 (ko) 2017-08-11 2019-09-25 대영전자 주식회사 운반용 대차
US20210253189A1 (en) * 2020-02-19 2021-08-19 Norco Industries, Inc. Electric vehicle battery support and transport assemblies
KR20230031427A (ko) * 2021-08-27 2023-03-07 도아섭 조립식 수레 적재판과 그 적재판의 모서리연결구
KR20230083508A (ko) * 2021-12-03 2023-06-12 신유나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927Y1 (ko) * 2007-09-05 2008-07-09 고영호 상자 운반용 이동 대차
KR102025109B1 (ko) 2017-08-11 2019-09-25 대영전자 주식회사 운반용 대차
KR20190061971A (ko) * 2017-11-28 2019-06-05 지재홍 조립형 운반 대차
US20210253189A1 (en) * 2020-02-19 2021-08-19 Norco Industries, Inc. Electric vehicle battery support and transport assemblies
KR20230031427A (ko) * 2021-08-27 2023-03-07 도아섭 조립식 수레 적재판과 그 적재판의 모서리연결구
KR20230083508A (ko) * 2021-12-03 2023-06-12 신유나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28468A (en) Plastic pallet with reinforcing members
US9169040B2 (en) Nestable pallet and stackable sleeve pack
JP3393552B2 (ja) 車輪付商品保管用パレット
US20080223262A1 (en) Pallet With Foldable Platform Surface
US5154297A (en) Foot assembly for simulated pallet
US20110061572A1 (en) All in one multifunction pallet
US20230271750A1 (en) Transport and storage enclosure
CA1107666A (en) Knock-down slot-lock container
KR200497845Y1 (ko) 앵글달리 코너
US7992738B2 (en) Pallet container
KR101453197B1 (ko) 상,하 절첩식 캐스터를 가진 파레트
US4267780A (en) Load supporting and handling means
JP2020045086A (ja) 台車及び荷積荷降方法
JP4734064B2 (ja) 梱包装置
JPH09207785A (ja) ストックカート
KR200465771Y1 (ko) 운반용 대차
CN204150354U (zh) 一种防滑加固型塑料托盘
KR101451342B1 (ko) 플라스틱 파레트 조립체
JP7209524B2 (ja) 運搬台車
JP2012158206A (ja) 台車の連結装置
JP3156134B2 (ja) 運搬用台車
JP2004115081A (ja) 重量物梱包ケース
JP6585466B2 (ja) サイドパネルを有する運搬用台車
CN216862293U (zh) 一种花格木箱结构
CN217836775U (zh) 一种小零件运输托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