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485A - 수지 조성물, 점착제, 적층체, 표면 보호 필름,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면을 보호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점착제, 적층체, 표면 보호 필름,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면을 보호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485A
KR20230072485A KR1020237013232A KR20237013232A KR20230072485A KR 20230072485 A KR20230072485 A KR 20230072485A KR 1020237013232 A KR1020237013232 A KR 1020237013232A KR 20237013232 A KR20237013232 A KR 20237013232A KR 20230072485 A KR20230072485 A KR 20230072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resin composition
structural unit
mass
pent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우에쿠사
모토야스 야스이
요시사다 후카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72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48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4Monomers containing five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9J1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9J153/025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수지 조성물, 점착제, 적층체, 표면 보호 필름,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또는 면을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해당 수지 조성물은, (a)∼(b)를 만족시키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과, (c)∼(d)를 만족시키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와, 이들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고, (A-1), (A-2) 및 (B)의 합계 100질량%에 대해, (A-1) 및 (A-2)의 합계 함유량이 2∼50질량%, (B)의 함유량이 50∼98질량%이다.
(a) 4-메틸-1-펜텐 유래의 구성 단위(i)을 65∼80몰%, α-올레핀 유래의 구성 단위(ii)를 20∼35몰% 포함한다
(b) DSC로 관측되는 융점이 110℃ 미만이거나 관측되지 않는다
(c) 구성 단위(i)을 80∼90몰%, 구성 단위(ii)를 10∼20몰% 포함한다
(d) DSC로 측정되는 융점이 110∼160℃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점착제, 적층체, 표면 보호 필름,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면을 보호하는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특정한 수지 조성물, 해당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해당 수지 조성물 또는 해당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층을 갖는 적층체, 해당 점착층 또는 해당 적층체를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 해당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혹은 표면 요철 높이가 소정의 범위에 있는 면을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강,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 부재, 이들 금속 부재에 도료를 도장한 부재, 유리제 부재, 합성 수지제 부재 등의 피착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점착층과 기재층을 적층한 표면 보호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 표면 보호 필름은, 피착체의 성형 가공 시 또는 성형 가공 후의 소정의 시기에, 피착체로부터 박리된다.
이 표면 보호 필름은, 피착체에 점착하여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고, 피착체의 운반 시 등에서는 용이하게 박리되지 않으며, 피착체의 가공 시 또는 가공 후에, 피착체로부터 박리하고자 할 때에는 용이하게 피착체로부터 박리 가능할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해당 표면 보호 필름에는, 피착체에 대한 적당한 접착성, 표면 보호 필름 자체가 피착체면에 흠집을 내지 않을 정도의 적당한 유연성, 피착체의 가공 성형에 따른 신도 특성 등의 기계 특성이 적당할 것, 내열성을 가질 것 등의 각종의 특성이 요구된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이, 편광판, 위상차판, 도광판, 반사판, 프리즘판 등과 같이, 표면에 요철을 갖는 피착체의 표면의 보호에 사용되는 경우, 피착체와 점착층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점착층에는, 이와 같은 표면에 요철을 갖는 피착체에 대해서도, 적당한 점착력을 가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추가로, 용도에 따라서는 양호한 외관, 투명성 및 색조를 갖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겔, 피시 아이 등의 필름 결함이 없을 것이 요구된다. 나아가, 표면 보호 필름은, 대량으로 사용되고, 또한 폐기되는 것이기 때문에,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일 것이 요구된다.
종래, 상기와 같은 점착층으로서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예: 특허문헌 1), 스타이렌계 중합체와 점착성 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층(예: 특허문헌 2 및 3), 다이엔계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층(예: 특허문헌 4),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와 프로필렌계 단독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층(예: 특허문헌 5), 중합체 블록과 지방산 아마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예: 특허문헌 6),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층(예: 특허문헌 7)이 기재되어 있다.
국제공개 제2008/099865호 일본 특허공개 2007-12651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2-25507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27421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1-12616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3-121989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5/012274호
피착체에 표면 보호 필름을 첩부한 후에, 시간의 경과나 고온에 노출되는 등에 의해, 점착 강도의 증가, 이른바 점착 앙진(昻進)하는 경우가 있지만,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에는, 풀 잔류 등이 일어나지 않고 박리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점착 앙진의 정도가 작을(저점착 앙진성) 것도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착 앙진은, 특히 표면에 요철을 갖는 피착체의 경우, 그 앙진의 정도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 피착체에 충분히 접착되고, 또한,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박리 가능하다는, 피착체에 대해 적당한 접착성을 갖는 것과, 저점착 앙진성을 양립시킨 점착층은 얻어지고 있지 않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7에 기재된 점착층에는, 저점착 앙진성의 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특허문헌 2 및 3에 기재된 점착층은, 특히, 표면에 요철을 갖는 피착체에 대한 점착 강도가 불충분하고, 또한, 끈적임이나 블로킹이 생기기 쉬워, 압출 성형성이 나쁘기 때문에 생산성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허문헌 4 및 5에 기재된 점착층은, 특히, 표면에 요철을 갖는 피착체에 대한 점착 강도가 불충분했다. 또한, 특허문헌 6에 기재된 점착층은, 해당 점착층을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에, 피착체에 대한 오염성 등이 염려되어, 박리성의 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피착체에 대해 적당한 접착성을 갖고, 또한 저점착 앙진성을 갖는 점착층을 형성 가능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특정한 특징을 갖는 복수의 4-메틸-1-펜텐 공중합체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피착체에 대해 적당한 접착성을 갖고, 가열·가압(예를 들면, 80℃, 2kgf) 전후에서의 점착 강도의 증가(점착 앙진)가 생기기 어려운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상기 점착층은, 적당한 점착 강도를 갖는 데다가, 외부 환경이 변화하더라도 점착 강도가 대폭으로 증가하지 않고 양호한 점착 안정성을 갖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구성예는 이하와 같다.
[1] 하기 요건(a) 및 (b)를 만족시키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과,
하기 요건(c) 및 (d)를 만족시키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와,
상기 공중합체(A-1) 및 상기 공중합체(A-2)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고,
상기 공중합체(A-1), 상기 공중합체(A-2)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B)의 합계 100질량%에 대해, 상기 공중합체(A-1) 및 상기 공중합체(A-2)의 합계 함유량이 2∼50질량%이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B)의 함유량이 50∼98질량%인,
수지 조성물(X).
(a)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 및 탄소수 2∼20의 α-올레핀(단, 4-메틸-1-펜텐을 제외한다)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의 합계를 100몰%로 했을 때,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이 65∼80몰%이고,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이 20∼35몰%이다
(b)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관측되는 융점이 110℃ 미만이거나 관측되지 않는다
(c)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 및 탄소수 2∼20의 α-올레핀(단, 4-메틸-1-펜텐을 제외한다)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의 합계를 100몰%로 했을 때,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이 80∼90몰%이고,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이 10∼20몰%이다
(d)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이 110∼160℃이다.
[2] -100∼150℃의 온도 범위에서, 10rad/s(1.6Hz)의 주파수에서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여 얻어지는 tanδ 피크로서, 피크 온도가 0℃ 미만인 제 1 피크 및 피크 온도가 0℃ 이상인 제 2 피크를 갖는, [1]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X).
[3] 상기 공중합체(A-1) 및 상기 공중합체(A-2)의 합계 함유량 100질량%에 대해, 상기 공중합체(A-1)의 함유량이 1∼99질량%이고, 상기 공중합체(A-2)의 함유량이 99∼1질량%인, [1] 또는 [2]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X).
[4] 상기 공중합체(A-1) 및 상기 공중합체(A-2) 중 적어도 한쪽의 공중합체가,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X).
[5] 상기 공중합체(A-1) 및 상기 공중합체(A-2) 중, 적어도 한쪽의 공중합체의 구성 단위(ii)가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X).
[6] 상기 열가소성 수지(B)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B1)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X).
[7] 상기 열가소성 수지(B)가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B2)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X).
[8]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X)를 포함하는 점착제.
[9]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X) 또는 [8]에 기재된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층(L1)과,
기재층(L2)를 갖는 적층체.
[10] 상기 기재층(L2)가 폴리프로필렌층인, [9]에 기재된 적층체.
[11]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X) 혹은 [8]에 기재된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층, 또는 [9] 혹은 [10]에 기재된 적층체를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
[12] [11]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을 T 다이 필름 성형법에 의해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13] [11]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 또는 [12]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하여, 표면 요철 높이가 0.1∼300μm인 면을 보호하는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피착체에 대해 적당한 접착성을 가짐과 함께, 가열·가압 후에도 저점착 앙진성을 갖는 점착층, 해당 점착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표면 보호 필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표면에 요철을 갖는 피착체이더라도 그 표면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수치 범위를 규정하는 「∼」는, 그 하한치 이상, 상한치 이하를 의미한다.
≪수지 조성물(X)≫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조성물(X)는, 특정한 물성을 갖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 및 특정한 물성을 갖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와, 당해 공중합체(A-1) 및 공중합체(A-2)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B)를 특정한 비율로 함유한다.
한편,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 및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를, 각각 간단히 「공중합체(A-1)」 및 「공중합체(A-2)」라고 하는 경우가 있고, 상기 공중합체(A-1) 및 공중합체(A-2)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B)를 간단히 「열가소성 수지(B)」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수지 조성물(X) 중의 공중합체(A-1) 및 공중합체(A-2)의 함유량의 합계는, 공중합체(A-1), 공중합체(A-2)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B)의 합계 100질량%에 대해, 2∼50질량%이고, 상한치는, 바람직하게는 4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이고,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8질량%이다.
수지 조성물(X) 중의 열가소성 수지(B)의 함유량은, 공중합체(A-1), 공중합체(A-2) 및 열가소성 수지(B)의 합계 100질량%에 대해, 50∼98질량%이고,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5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이고, 상한치는, 바람직하게는 9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4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92질량%이다.
공중합체(A-1) 및 공중합체(A-2)의 함유량의 합계 및 열가소성 수지(B)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피착체에 대해 적당한 접착성을 갖고, 또한 저점착 앙진성을 갖는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공중합체(A-1) 및 공중합체(A-2)의 함유량의 합계 100질량%에 대한, 공중합체(A-1)의 함유량의 상한치는, 바람직하게는 99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8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질량%이고,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1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질량%이다.
공중합체(A-1) 및 공중합체(A-2)의 함유량의 합계 100질량%에 대한, 공중합체(A-2)의 함유량의 상한치는, 바람직하게는 99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8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질량%이고,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1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질량%이다.
공중합체(A-1)의 함유량 및 공중합체(A-2)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피착체에 대해 적당한 접착성을 갖고, 또한 저점착 앙진성을 갖는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수지 조성물(X)는, 공중합체(A-1)과 공중합체(A-2) 중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공중합체(A-1) 및 공중합체(A-2)의 양쪽을 포함하기 때문에, 저점착 앙진성을 갖는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특히, 표면에 요철을 갖는 피착체에 대해서도 적당한 접착성을 갖고, 가열·가압 후에도 저점착 앙진성을 갖는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수지 조성물(X)는, 하기 요건(x) 및 (y)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 요건(x)
10rad/s(1.6Hz)의 주파수에서, -100∼150℃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X)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여, 각 온도에서의 손실 탄성률과 저장 탄성률의 비(손실 정접, tanδ)를 온도의 함수로서 플로팅한 경우, 적어도 제 1 피크와 제 2 피크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제 1 피크는, 0℃ 미만의 범위에 있는 피크를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5℃ 이상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에 있다.
제 1 피크는, 열가소성 수지(B)에 기인하는 tanδ의 피크이다. 제 1 피크는, 2개 이상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즉, 0℃ 미만의 범위에, tanδ의 극대치가 2개 이상 있어도 된다.
또한, 제 2 피크는, 0℃ 이상의 범위에 있는 피크를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에 있다.
제 2 피크는, 공중합체(A-1) 및/또는 공중합체(A-2)에 기인하는 피크이다. 제 2 피크는, 2개 이상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즉, 0℃ 이상의 범위에, tanδ의 극대치가 2개 이상 있어도 된다. 또한, 공중합체(A-1) 유래의 tanδ 피크와 공중합체(A-2) 유래의 tanδ 피크가 겹쳐 있는 경우, 제 2 피크는, 1개의 브로드한 피크로서 관측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 제 1 및 제 2 피크를 가지면, 수지 조성물(X)를 포함하는 점착층의 점착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한편, 측정 조건 등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난에 기재된 바와 같다.
· 요건(y)
10rad/s(1.6Hz)의 주파수에서, -100∼150℃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X)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여, 각 온도에서의 tanδ를 온도의 함수로서 플로팅한 경우, 0℃ 이상에 존재하는 tanδ의 피크의 값(제 2 피크의 최대치)은,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0℃ 이상에 존재하는 tanδ의 피크치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실온에서의 점착 강도가 우수한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한편, 측정 조건 등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난에 기재된 바와 같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
상기 공중합체(A-1)은 하기 요건(a) 및 (b)를 만족시킨다.
수지 조성물(X)에 이용하는 공중합체(A-1)은, 1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 요건(a)
공중합체(A-1)은,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 및 탄소수 2∼20의 α-올레핀(단, 4-메틸-1-펜텐을 제외한다)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를 포함하고, 구성 단위(i) 및 구성 단위(ii)의 합계 100몰%에 대해, 구성 단위(i)을 65∼80몰% 포함하고, 구성 단위(ii)를 20∼35몰% 포함한다.
구성 단위(i) 및 구성 단위(ii)의 합계 100몰%에 대한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의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68몰%이고, 상한치는, 바람직하게는 78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5몰%이다.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요철 추종성이 우수한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 이하이면,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공중합체(A-1)은,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 및 탄소수 2∼20의 α-올레핀(단, 4-메틸-1-펜텐을 제외한다)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를 포함하고, 공중합체(A-1)을 구성하는 전체 구성 단위를 100몰%로 하면,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의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6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65몰%, 더 바람직하게는 68몰%이고,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의 상한치는, 바람직하게는 8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8몰%, 더 바람직하게는 75몰%이다.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요철 추종성이 우수한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 이하이면,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공중합체(A-1)은,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 및 탄소수 2∼20의 α-올레핀(단, 4-메틸-1-펜텐을 제외한다)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를 포함하고, 공중합체(A-1)을 구성하는 전체 구성 단위를 100몰%로 하면,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의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2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22몰%이고,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의 상한치는, 바람직하게는 35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32몰%이다.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 이하이면, 요철 추종성이 우수한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 단위(ii)를 유도하는 α-올레핀으로서는, 직쇄상의 α-올레핀이어도 되고, 분기상의 α-올레핀이어도 된다.
직쇄상의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을 들 수 있다. 직쇄상의 α-올레핀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2∼15,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이다.
분기상의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3-메틸-1-뷰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4-다이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다이메틸-1-헥센,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을 들 수 있다. 분기상의 α-올레핀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5∼20,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이다.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이 바람직하고, 에틸렌, 프로필렌이 보다 바람직하며, 하기 요건(e) 및 (f)를 만족시키는 공중합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프로필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공중합체(A-1)에 포함되는 구성 단위(ii)는, 1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공중합체(A-1)의 일례로서는, 구성 단위(i) 및 구성 단위(ii)만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구성 단위(i)과 구성 단위(ii)의 합계는 100몰%이다.
공중합체(A-1)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의 소량, 구체적으로는 10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몰% 이하이면, 구성 단위(i) 및 구성 단위(ii) 외에, 4-메틸-1-펜텐 및 탄소수 2∼20의 α-올레핀 이외의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공중합체(A-1)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는, 1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다른 중합성 모노머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스타이렌, 바이닐사이클로펜테인, 바이닐사이클로헥세인, 바이닐노보네인 등의 환상 구조를 갖는 바이닐 화합물; 아세트산 바이닐 등의 바이닐 에스터류; 무수 말레산 등의 불포화 유기산 또는 그의 유도체; 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펜타다이엔, 2,3-다이메틸뷰타다이엔 등의 공액 다이엔류; 1,4-헥사다이엔, 1,6-옥타다이엔, 2-메틸-1,5-헥사다이엔, 6-메틸-1,5-헵타다이엔, 7-메틸-1,6-옥타다이엔,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사이클로헥사다이엔, 다이사이클로옥타다이엔, 메틸렌노보넨, 5-바이닐-2-노보넨, 5-에틸리덴-2-노보넨, 5-메틸렌-2-노보넨, 5-아이소프로필리덴-2-노보넨, 6-클로로메틸-5-아이소프로펜일-2-노보넨, 2,3-다이아이소프로필리덴-5-노보넨, 2-에틸리덴-3-아이소프로필리덴-5-노보넨, 2-프로펜일-2,2-노보나다이엔 등의 비공액 폴리엔류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공중합체(A-1)이,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구성 단위(ii)와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의 범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성 단위(i)과 구성 단위(ii)와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합계는 100몰%이다.
한편, 「X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여기에서, X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라고 할 때는, X를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X에 대응하는 구성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라고 할 때는, 4-메틸-1-펜텐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4-메틸-1-펜텐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4-메틸-1-펜텐에 대응하는 구성 단위를 의미한다.
· 요건(b)
공중합체(A-1)은,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관측되는 융점(Tm)이 110℃ 미만이거나, 또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융점(Tm)이 관측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융점(Tm)이 관측되지 않는다.
공중합체(A-1)이 요건(b)를 만족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층의 점착 강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측정 조건 등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난에 기재된 바와 같다.
공중합체(A-1)의 바람직한 형태는, 하기 요건(e)∼(i)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부를 더 만족시킨다.
· 요건(e)
10rad/s(1.6Hz)의 주파수에서, -100∼150℃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공중합체(A-1)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여, 각 온도에서의 tanδ를 온도의 함수로서 플로팅한 경우, 공중합체(A-1)의 유리 전이 온도에 기인하는 tanδ의 피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8℃ 이상이다. 또한, 공중합체(A-1)의 유리 전이 온도에 기인하는 tanδ의 피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3℃ 이하이다.
tanδ의 피크 온도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얻어지는 점착층을 실온에서 유연화할 수 있어, 실온에서의 점착 강도가 우수한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한편, 측정 조건 등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난에 기재된 바와 같다.
· 요건(f)
10rad/s(1.6Hz)의 주파수에서, -100∼150℃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공중합체(A-1)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여, 각 온도에서의 tanδ를 온도의 함수로서 플로팅한 경우, tanδ의 피크치(최대치)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tanδ의 피크치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실온에서의 점착 강도가 우수한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한편, 측정 조건 등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난에 기재된 바와 같다.
· 요건(g)
공중합체(A-1)의, 데칼린 중 135℃에서 측정한 극한 점도[η]는, 바람직하게는 0.1dl/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dl/g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dl/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dl/g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5dl/g 이하이다.
상기 극한 점도[η]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점착층을 형성할 때의 성형 가공성이 양호해진다.
한편, 측정 조건 등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난에 기재된 바와 같다. 상기 극한 점도[η]는, 중합 중에 수소를 이용하면 분자량을 제어할 수 있어, 극한 점도[η]를 조정할 수 있다.
· 요건(h)
공중합체(A-1)의,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와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율(분자량 분포; Mw/Mn)은,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8 이하이다.
상기 Mw/Mn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조성 분포에서 유래하는 저분자량, 저입체 규칙성 폴리머의 영향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층의 표면이 끈적이기 쉽고, 또한 피착체를 오염시키기 쉬워진다.
한편, 측정 조건 등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난에 기재된 바와 같다. 후술하는 촉매를 이용하면, 상기 요건(g)에서 나타나는 극한 점도[η]의 범위 내에 있어서, 요건(h)를 만족시키는 상기 공중합체(A-1)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공중합체(A-1)의,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Mw)는, 폴리스타이렌 환산으로,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500,000 이하이다.
공중합체(A-1)의 상기 Mw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해당 공중합체(A-1)은, 수지 조성물이나 점착제 중에 있어서 분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측정 조건 등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난에 기재된 바와 같다.
· 요건(i)
공중합체(A-1)의 밀도(ASTM D 1505에 기초하여 측정)는, 바람직하게는 830kg/m3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870kg/m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65kg/m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855kg/m3 이하이다.
밀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공중합체(A-1)을 이용함으로써, 경량인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측정 조건 등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난에 기재된 바와 같다. 밀도는 공중합체(A-1)의 코모노머 조성비에 의해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
공중합체(A-2)는, 이하의 요건(c) 및 (d)를 만족시킨다.
수지 조성물(X)에 이용하는 공중합체(A-2)는, 1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 요건(c)
공중합체(A-2)는,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 및 탄소수 2∼20의 α-올레핀(단, 4-메틸-1-펜텐을 제외한다)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를 포함하고, 구성 단위(i) 및 구성 단위(ii)의 합계 100몰%에 대해, 구성 단위(i)을 80∼90몰% 포함하며, 구성 단위(ii)를 10∼20몰% 포함한다.
구성 단위(i) 및 구성 단위(ii)의 합계 100몰%에 대한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의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82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84몰%이고, 상한치는, 바람직하게는 88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86몰%이다.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요철 추종성이 우수한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 이하이면,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공중합체(A-2)는,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 및 탄소수 2∼20의 α-올레핀(단, 4-메틸-1-펜텐을 제외한다)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를 포함하고, 공중합체(A-2)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 단위를 100몰%로 하면,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의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8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82몰%, 더 바람직하게는 84몰%이고,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의 상한치는, 바람직하게는 9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88몰%, 더 바람직하게는 86몰%이다.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요철 추종성이 우수한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 이하이면,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공중합체(A-2)는,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 및 탄소수 2∼20의 α-올레핀(단, 4-메틸-1-펜텐을 제외한다)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를 포함하고, 공중합체(A-2)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 단위를 100몰%로 하면,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의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1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몰%, 더 바람직하게는 14몰%이고,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의 상한치는, 바람직하게는 2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몰%, 더 바람직하게는 16몰%이다.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 이하이면, 요철 추종성이 우수한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 단위(ii)를 유도하는 α-올레핀으로서는, 공중합체(A-1)의 난에서 예시한 α-올레핀과 마찬가지의 올레핀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올레핀도 마찬가지이다.
공중합체(A-2)에 포함되는 구성 단위(ii)는, 1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공중합체(A-2)의 일례로서는, 구성 단위(i) 및 구성 단위(ii)만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구성 단위(i)과 구성 단위(ii)의 합계는 100몰%이다.
공중합체(A-2)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의 소량, 구체적으로는 10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몰% 이하이면, 구성 단위(i) 및 구성 단위(ii) 외에, 4-메틸-1-펜텐 및 탄소수 2∼20의 α-올레핀 이외의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공중합체(A-2)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는, 1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공중합체(A-1)의 난에서 예시한 다른 중합성 모노머와 마찬가지의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공중합체(A-2)가,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구성 단위(ii)와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의 범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성 단위(i)과 구성 단위(ii)와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합계는 100몰%이다.
· 요건(d)
공중합체(A-2)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Tm)이 110∼160℃이고,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이하이다.
융점(Tm)이 상기 범위에 있는 공중합체(A-2)를 이용하면, 점착 앙진을 억제 가능한 점착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측정 조건 등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난에 기재된 바와 같다.
공중합체(A-2)의 바람직한 형태는, 공중합체(A-1)에서 기재한 요건(g)∼(i) 및 하기 요건(j)∼(k)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부를 만족시킨다.
· 요건(j)
10rad/s(1.6Hz)의 주파수에서, -100∼150℃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공중합체(A-2)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여, 각 온도에서의 tanδ를 온도의 함수로서 플로팅한 경우, 공중합체(A-2)의 유리 전이 온도에 기인하는 tanδ의 피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8℃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5℃ 이하이다.
tanδ의 피크 온도가 상기 범위에 있는 공중합체(A-2)를 이용하면,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X)는, 실온에서 적당한 경도를 가지면서, 높은 tanδ의 값(즉, 높은 점성)을 가져, 결과로서 점착층의 점착 강도를 조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한편, 측정 조건 등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난에 기재된 바와 같다.
· 요건(k)
10rad/s(1.6Hz)의 주파수에서, -100∼150℃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공중합체(A-2)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여, 각 온도에서의 tanδ를 온도의 함수로서 플로팅한 경우, tanδ의 피크치(최대치)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9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tanδ의 피크치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점착층의 점착 강도를 조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한편, 측정 조건 등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난에 기재된 바와 같다.
[공중합체(A-1) 및 공중합체(A-2)의 제조 방법]
공중합체(A-1) 및 공중합체(A-2)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4-메틸-1-펜텐과, α-올레핀을 적당한 중합 촉매 존재하에서 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중합 촉매로서는, 종래 공지된 촉매, 예를 들면, 마그네슘 담지형 타이타늄 촉매, 국제공개 제01/53369호, 국제공개 제01/27124호, 일본 특허공개 평3-19379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02-41303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1/055803호, 국제공개 제2014/050817호 등에 기재된 메탈로센 촉매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열가소성 수지(B)〕
상기 열가소성 수지(B)는, 상기 공중합체(A-1) 및 공중합체(A-2)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인 한 특별히 제한은 없다. 열가소성 수지(B)를 이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X)에 양호한 점착성, 성형성, 택성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X)에 이용하는 열가소성 수지(B)는, 1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B)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공중합체(A-1) 및 공중합체(A-2) 이외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B1);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B2); 열가소성 폴리유레테인; 염화 바이닐 수지; 염화 바이닐리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에틸렌·바이닐 알코올 공중합체; 폴리바이닐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B) 중, 올레핀계 엘라스토머(B1) 및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B2)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피착체가 요철면인 경우는, 점착 강도가 높은 점착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B2)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열가소성 수지(B)로서,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B2)를 이용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B)는,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B2)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B1)]
올레핀계 엘라스토머(B1)의 제 1 태양으로서는,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과 환상 올레핀의 공중합체, 스타이렌, 아세트산 바이닐,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등의 각종 바이닐 화합물을 코모노머로 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탄소수 4∼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탄소수 4∼20의 α-올레핀과 환상 올레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 올레핀계 엘라스토머(B1)의 제 1 태양으로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와, 폴리뷰타다이엔, 수소 첨가 폴리뷰타다이엔, 폴리아이소프렌, 수소 첨가 폴리아이소프렌, 폴리아이소뷰틸렌, 및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공중합의 형태는, 블록 공중합, 그래프트 공중합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와,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의 경우에만, 공중합의 형태는 랜덤 공중합이어도 된다. 상기 α-올레핀이란, 분자쇄의 편말단에 이중 결합을 갖는 올레핀이고, 1-뷰텐이나 1-옥텐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B1)의 제 1 태양으로서, 예를 들면, 경질부가 되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결정성이 높은 폴리머를 형성하는 폴리올레핀 블록과, 연질부가 되는 비결정성을 나타내는 모노머 공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올레핀(결정성)·에틸렌·뷰틸렌·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폴리올레핀(비결정성)·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JSR(주)제의 DYNARON(다이나론), 미쓰이 화학(주)제의 타프머, 노티오, 다우 케미컬사제의 ENGAGE, VERSIFY, 엑슨모빌 케미컬사제의 Vistamaxx를 들 수 있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B1)의 제 2 태양으로서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공중합체, 에틸렌·뷰텐 공중합체, 및 수소 첨가 스타이렌뷰타다이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렌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공중합체, 에틸렌·뷰텐 공중합체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가교되어 있어도 된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B1)의 제 2 태양의 구체예로서는, 미쓰이 화학(주)제의 타프머, 밀라스토머, 스미토모 화학(주)제의 에스포렉스, 미쓰비시 케미컬(주)제의 서모런, 젤라스, 엑슨모빌 케미컬사제의 Santoplene 등의 시판품을 들 수 있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B1)은, 산 무수물기, 카복실기, 아미노기, 이미노기, 알콕시실릴기, 실란올기, 실릴 에터기, 하이드록시기 및 에폭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작용기로 변성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 조성물(X)에 올레핀계 엘라스토머(B1)을 이용하는 경우, 이용하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B1)은, 1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B2)]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B2)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경질부(결정부)가 되는 폴리스타이렌 블록과, 연질부가 되는 다이엔계 모노머 블록의 블록 공중합체(SBS), 수첨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랜덤 공중합체(HSBR),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EPS), 스타이렌·에틸렌·뷰텐·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타이렌·아이소뷰틸렌·스타이렌 공중합체(SIBS), 스타이렌·아이소뷰틸렌 공중합체(SIB), 스타이렌·에틸렌·뷰텐·스타이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EBSS)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중에서도 초기 점착력과 유연성이 우수한, SEBS, SIB, SIBS가 바람직하다.
HSBR의 구체예로서는, JSR(주)제의 다이나론 등의 시판품을 들 수 있다.
SEPS로서는,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IS)를 수소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SIS의 구체예로서는, JSR(주)제의 JSR SIS, (주)구라레이제의 하이블러, 크레이톤사제의 크레이톤 D 등의 시판품을 들 수 있다.
SEPS의 구체예로서는, (주)구라레이제의 셉톤, 크레이톤사제의 크레이톤 등의 시판품을 들 수 있다.
SEBS의 구체예로서는, 아사히 화성(주)제의 터프텍, 크레이톤사제의 크레이톤 등의 시판품을 들 수 있다.
SIB, SIBS의 구체예로서는, (주)가네카제의 시브스타 등의 시판품을 들 수 있다.
SEBSS로서는, 연질부의 뷰타다이엔 및 아이소프렌을 중합할 때에 스타이렌을 합쳐 중합함으로써 연질부에 스타이렌 부위를 도입하여 점착력을 조정한 제품을 들 수 있고, 구체예로서는, 아사히 화성(주)제의 S.O.E. 등의 시판품을 들 수 있다.
수지 조성물(X)에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B2)를 이용하는 경우, 이용하는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B2)는, 1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표면 요철이 큰 피착면에 수지 조성물(X)를 이용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B)로서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B2)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피착면의 표면 요철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0.1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μ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μm 이하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면 요철 높이란, 피착체의 표면을 주사형 프로브 현미경(SPM)으로 관찰하는 것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기타 성분〕
수지 조성물(X)는, 공중합체(A-1), 공중합체(A-2) 및 열가소성 수지(B)만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이어도 되지만, 공중합체(A-1), 공중합체(A-2) 및 열가소성 수지(B) 외에,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된 기타 성분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해당 기타 성분은 각각, 1종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 기타 성분으로서는, 점착 부여제, 내후성 안정제, 내열 안정제, 대전 방지제, 슬립 방지제, 안티블로킹제, 방담제, 활제, 안료, 염료, 가소제, 노화 방지제, 염산 흡수제, 산화 방지제, 결정핵제, 방미제, 항균제, 난연제, 충전제(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연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 부여제]
상기 점착 부여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점착 부여제로서 제조·판매되고 있는 수지상 물질을 들 수 있고, 구체예로서는, 쿠마론·인덴 수지 등의 쿠마론 수지; 페놀·폼알데하이드 수지, 자일렌·폼알데하이드 수지 등의 페놀계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테르펜 수지(α,β-피넨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수소화 테르펜 수지 등의 테르펜계 수지; 합성 폴리테르펜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계 환상 탄화수소 수지, 수소 첨가 탄화수소 수지, 탄화수소계 점착화 수지 등의 석유계 탄화수소 수지;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터, 로진의 글리세린 에스터, 수소 첨가 로진, 수소 첨가 로진 에스터, 특수 로진 에스터, 로진계 점착 부여제 등의 로진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성분 중에서는, 연화점이,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130℃의 범위에 있는, 수소 첨가 탄화수소 수지, 수소 첨가 지방족계 환상 탄화수소 수지, 수소 첨가 지방족·지환족계 석유 수지, 수소화 테르펜 수지, 수소화 합성 폴리테르펜 수지 등의 수소 첨가 수지;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터, 로진의 글리세린 에스터, 수소 첨가 로진, 수소 첨가 로진 에스터, 특수 로진 에스터, 로진계 점착 부여제 등의 로진 유도체; 등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층의 피착체에 대한 점착 강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X)가 상기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경우, 당해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상기 공중합체(A-1), 공중합체(A-2) 및 열가소성 수지(B)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100질량부이다.
[연화제]
상기 연화제로서는, 종래 공지된 연화제를 이용할 수 있고, 구체예로서는, 프로세스 오일, 윤활유, 파라핀, 유동 파라핀,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석유 아스팔트, 바셀린 등의 석유계 물질; 콜 타르, 콜 타르 피치 등의 콜 타르류; 피마자유, 아마씨유, 유채씨유, 대두유, 야자유, 톨유 등의 지방유; 밀랍, 카르나우바 납 및 라놀린 등의 납류; 리시놀레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12-수산화 스테아르산, 몬탄산, 올레산, 에루크산 등의 지방산 또는 그의 금속염; 다이옥틸 프탈레이트, 다이옥틸 아디페이트, 다이옥틸 세바케이트 등의 에스터계 가소제;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액상 폴리뷰타다이엔 또는 그의 변성물 혹은 수첨물; 액상 싸이오콜을 들 수 있다.
[충전제]
상기 충전제의 예로서는, 마이카, 카본 블랙, 실리카, 탄산 칼슘, 탤크, 그래파이트,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의 분말 충전제; 유리 섬유, 금속 섬유 등의 섬유상 충전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친수성의 층상 점토 광물, 특정 형상(층상을 제외한다)의 친수성 무기 화합물도 들 수 있다.
친수성의 층상 점토 광물로서는, 예를 들면, 2차원으로 퍼지는 층이 복수 적층된 필로규산염 광물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스멕타이트를 들 수 있다. 스멕타이트는, 몬모릴론석군 광물로서, 예를 들면, 몬모릴론석(몬모릴론나이트), 마그네시안 몬모릴론석, 철 몬모릴론석, 철 마그네시안 몬모릴론석, 바이델라이트, 알루미니안 바이델라이트, 논트론석, 알루미니안 논트로나이트, 사포석(사포나이트), 알루미니안 사포석, 헥토라이트, 소코나이트, 스티븐사이트, 벤토나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친수성의 층상 점토 광물로서는, 예를 들면, 버미큘석(버미큘라이트), 할로이사이트, 팽윤성 마이카, 흑연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친수성의 층상 점토 광물은, 일반적인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예로서는, 천연품으로서, 예를 들면, 구니피아 시리즈(몬모릴로나이트, 구니미네 공업(주)제), 벵겔 시리즈(벤토나이트, (주)호준제), 소마시프 ME 시리즈(팽윤성 마이카, 가타쿠라 코옵 아그리(주)제)를 들 수 있고, 합성품으로서, 예를 들면, 스멕톤(사포나이트, 구니미네 공업(주)제), 루센타이트 SWN 시리즈(헥토라이트, 가타쿠라 코옵 아그리(주)제), 라포나이트(헥토라이트, 록우드 홀딩스사제)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합성품은 천연품보다도 최대 길이가 짧기 때문에, 작은 유적(油滴)을 얻을 수 있는 등의 점에서, 합성품이 바람직하다.
[난연제]
상기 난연제의 예로서는, 안티모니계 난연제,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붕산 아연, 구아니딘계 난연제, 지르코늄계 난연제 등의 무기 화합물, 폴리인산 암모늄, 에틸렌비스트리스(2-사이아노에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트리스(트라이브로모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3-하이드록시프로필)포스핀 옥사이드 등의 인산 에스터 및 기타 인 화합물, 염소화 파라핀, 염소화 폴리올레핀, 퍼클로로사이클로펜타데케인 등의 염소계 난연제, 헥사브로모벤젠, 에틸렌비스다이브로모노보네인다이카복시이미드,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유도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S, 테트라브로모다이펜타에리트리톨 등의 브로민계 난연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연화제, 충전제, 난연제 등의 점착 부여제 이외의 기타 성분의 사용량의 합계는, 상기 공중합체(A-1), 공중합체(A-2) 및 열가소성 수지(B)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01∼50질량부이다.
〔수지 조성물(X)의 조제 방법〕
수지 조성물(X)는, 상기 공중합체(A-1), 공중합체(A-2), 열가소성 수지(B), 및 필요에 따라, 상기 기타 성분을, 상기와 같은 양으로 배합하여, 여러 가지 공지된 방법으로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해당 공지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플라스토밀, 헨셸 믹서, V-블렌더, 리본 블렌더, 텀블러 블렌더, 니더루더 등을 이용하여 혼합하는 방법, 각 성분을 혼합 후, 1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니더, 밴버리 믹서 등으로 용융 혼련하고, 이어서, 조립(造粒) 또는 분쇄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점착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이하 「본 점착제」라고도 한다.)는, 상기 수지 조성물(X)를 포함시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상기 수지 조성물(X)(만)으로 이루어진다.
본 점착제는, 수지 조성물(X)를 포함하기 때문에, 피착체로부터 자연 낙하되지 않을 정도의 적당한 접착성을 갖고, 또한 저점착 앙진성을 갖는 점착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점착제를 표면에 요철을 갖는 피착체에 이용하는 경우, 본 점착제는 피착체의 요철 형상에 추종하기 때문에, 점착 면적이 증가하여, 표면에 요철을 갖는 피착체에 대해서도, 초기 점착 시점에서 충분한 점착 강도를 가짐과 함께, 가열, 가압 전후에 있어서 피착체와의 접촉 면적이 대폭으로 증가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점착 앙진을 억제할 수 있는 점착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점착제는, 하기 적층체의 점착층(L1)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층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이하 「본 적층체」라고도 한다.)는, 상기 수지 조성물(X) 또는 상기 본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층(L1)과, 기재층(L2)를 갖는다.
본 적층체는, 상기 점착층(L1)을 갖기 때문에, 피착체에 대한 적당한 접착성을 갖고, 또한 저점착 앙진성을 갖는 점착층을 함유하는 적층체가 된다. 또, 본 적층체를, 표면에 요철을 갖는 피착체에 첩부한 경우에는, 점착층(L1)이 피착체의 요철 형상에 추종하기 때문에, 점착 면적이 증가하여, 표면에 요철을 갖는 피착체에 대해서도, 초기 점착 시점에서 충분한 점착 강도를 가짐과 함께, 가열, 가압 전후에 있어서 피착체와의 접촉 면적이 대폭으로 증가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점착 앙진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점착 강도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적층체의 두께는, 본 적층체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6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μm 이하이다.
본 적층체를 23℃에서 1일 둔 후의, 본 적층체(점착층(L1))의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 강도(23℃에서의 점착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0.5N/50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6N/50m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5N/5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N/50mm 이하이다.
본 적층체를 60℃에서 1일 둔 후의, 본 적층체(점착층(L1))의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 강도(60℃에서 가열 후의 점착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0.5N/50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N/50m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5N/5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N/50mm 이하이다.
본 적층체를 80℃에서 1일 둔 후의, 본 적층체(점착층(L1))의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 강도(80℃에서 가열 후의 점착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0.5N/50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N/50m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5N/5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N/50mm 이하이다.
상기 점착 강도는, 구체적으로는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된다.
본 적층체(점착층(L1))의, 23℃에서의 점착 강도에 대한 60℃에서 가열 후의 점착 강도의 점착 앙진율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6%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8% 이하이다. 본 적층체(점착층(L1))의, 23℃에서의 점착 강도에 대한 60℃에서 가열 후의 점착 강도의 점착 앙진율은 낮은 편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하한은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 이상이다.
본 적층체(점착층(L1))의, 23℃에서의 점착 강도에 대한 80℃에서 가열 후의 점착 강도의 점착 앙진율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8% 이하이다. 본 적층체(점착층(L1))의, 23℃에서의 점착 강도에 대한 80℃에서 가열 후의 점착 강도의 점착 앙진율은 낮은 편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하한은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 이상이다.
상기 점착 앙진율은, 구체적으로는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된다.
<점착층(L1)>
점착층(L1)은, 상기 수지 조성물(X)를 포함시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상기 수지 조성물(X) 또는 상기 본 점착제(만)으로 형성된다.
본 적층체는, 통상, 피착체에 첩부하여 사용되고, 점착층(L1)이 피착체에 접하도록 첩부된다.
점착층(L1)은, 피착체의 첩부면의 물성, 예를 들면, 표면의 요철(표면 거칠기)의 정도 등에 따라서 성분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피착체의 첩부면의 표면 거칠기가 거친 경우에는 강(强)점착 타입의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조정은, 상기 수지 조성물(X)의 난에 기재된 범위에서 행하면 된다.
점착층(L1)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피착체의 종류나 요구되는 물성(예: 점착 강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되지만, 통상 1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3μm 이상이고, 통상 5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μm 이하이다.
<기재층(L2)>
상기 기재층(L2)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기재층을 이용할 수 있다.
기재층(L2)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구체예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예: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소량의 α-올레핀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계 수지(예: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공지된 에틸렌계 중합체(예: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n-뷰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공지된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예: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폴리4-메틸-1-펜텐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1-펜텐이 보다 바람직하고, 점착층과의 층간 밀착성, 투명성, 내열성 등의 점에서 프로필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1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한편, 기재층(L2)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는 경우, 얻어지는 기재층(L2)는, 프로필렌층이며, 해당 프로필렌층으로서는,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L2)로서는,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기재층(L2)의 표면은,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플레임 처리, 전자선 조사 처리 및 자외선 조사 처치와 같은 표면 처리법으로 처리되어 있어도 되고, 기재층(L2)는 무색 투명한 층이어도 되며, 착색된 또는 인쇄된 층이어도 된다.
또한, 기재층(L2)에는, 필요에 따라서 표면에 미끄럼성과 같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이형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층(L2)의 두께는, 본 적층체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9μ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하이다.
<본 적층체의 구성>
본 적층체로서는, 점착층(L1)과, 기재층(L2)를 가지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해당 본 적층체의 적합한 용도로서 표면 보호 필름을 들 수 있다.
본 적층체에 포함되는 점착층(L1)은, 1층이어도, 2층 이상이어도 되고, 본 적층체에 포함되는 기재층(L2)도, 1층이어도, 2층 이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적층체가, 2층 이상의 점착층(L1)을 포함하는 경우, 이들 층은, 동일한 층이어도 되고, 상이한 층이어도 된다. 2층 이상의 다른 층(기재층(L2)를 포함한다)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적층체의 적합예의 하나로서는, 점착층(L1)이, 단층 또는 다층의 기재층(L2)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기재층(L2)/점착층(L1)의 순번으로 적층된 2층 필름, 또는 점착층(L1)/기재층(L2)/점착층(L1)의 순번으로 적층된 3층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적층체는, 점착층(L1) 및 기재층(L2) 이외의 다른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해당 다른 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재층(L2)의 점착층(L1) 측과는 반대 측의 면에, 예를 들면, 적층체를 롤로 한 경우에, 해당 적층체를 조출(繰出)하기 쉽게 하는 등을 위해서 마련되는 표면층(L3), 점착층(L1)과 기재층(L2) 사이에 마련되는 중간층(L4)를 들 수 있다.
표면층(L3)이나 중간층(L4)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층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적층체에 포함되는 다른 층은, 1층이어도, 2층 이상이어도 된다.
<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다층 필름의 성형 방법을 이용하면 되지만, 바람직한 방법의 예로서는, T 다이 필름 성형법이나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법을 이용하여, 점착층(L1)과 기재층(L2)를 공압출하는 방법이나, 미리 성형된 기재층(L2) 위에, 점착층(L1)을 압출 코팅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용액상의 수지 조성물(X)를 기재층(L2) 위에 도포하고, 당해 기재층(L2) 위에 점착층(L1)을 형성하는 방법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점착층(L1)과 기재층(L2)를 공압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공압출하는 방법으로서는, T 다이 필름 성형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층(L2)과 점착층(L1)과, 필요에 따라서 마련되는 표면층(L3)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미리 T 다이 필름 성형 또는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 등에 의해 표면층(L3)을 형성하고, 해당 표면층(L3) 위에, 압출 라미네이션, 압출 코팅 등의 공지된 적층법에 의해, 기재층(L2) 및 점착층(L1)을 적층하는 방법이나, 표면층(L3), 기재층(L2) 및 점착층(L1)을 독립적으로 필름으로 한 후, 각각의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생산성의 점에서, 표면층(L3), 기재층(L2), 점착층(L1)의 각 층을 형성하는 원료를 다층의 압출기에 제공하여 성형하는 공압출 성형이 바람직하고, 공압출하는 방법으로서는, T 다이 필름 성형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중간층(L4) 등의 다른 층을 갖는 적층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들어맞는다.
본 적층체는, 1축 방향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어도 된다.
1축 연신의 바람직한 방법으로서는, 통상 이용되고 있는 롤 연신법을 예시할 수 있다. 2축 연신의 방법으로서는, 1축 연신 후에 2축 연신을 행하는 축차 연신법이나, 튜뷸러 연신법과 같은 동시 2축 연신법을 예시할 수 있다.
<본 적층체의 용도>
본 적층체의 용도로서는, 점착 시트, 표면 보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강,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 부재, 이들 금속 부재에 도료를 도장한 부재, 유리제 부재, 합성 수지제 부재, 나아가, 이들 부재를 이용한 가전 제품, 자동차 부품, 전자 부품 등의 피착체를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점착 필름, 프로텍트 필름, 반도체용 공정 보호 필름, 렌즈 보호 필름, 반도체 웨이퍼용 백그라인드 테이프, 다이싱 테이프, 기판용 보호 테이프(예: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도금 처리 시에 이용되는 도금 마스크용 보호 테이프) 등의 일렉트로닉스 분야에 사용되는 필름 또는 테이프; 창유리 보호용 필름; 베이킹 도장용 필름;에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L1)은, 요철 추종성을 갖기 때문에, 표면에 요철 구조가 많은 프리즘 시트나 반사 시트, 주름 가공된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시트 등에도 적합하게 이용된다.
≪표면 보호 필름≫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수지 조성물(X) 혹은 상기 본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층, 또는 상기 본 적층체를 포함한다. 해당 표면 보호 필름은, 보호의 대상인 피착체에 첩부하여 이용된다.
해당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점착층만으로 이루어져도 되고, 본 적층체만으로 이루어져도 되고, 상기 점착층 또는 본 적층체와 다른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표면 보호 필름끼리의 블로킹(들러붙음)을 막기 위해서, 표면 보호 필름 사이에 박리지나 박리 필름을 끼워도 되고, 기재층(L2)의 노출면에 박리제를 도포해도 된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T 다이 필름 성형법에 의해 해당 필름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지 조성물(X) 또는 상기 본 점착제를, 필요에 따라, 상기 기재층(L2)나 다른 층의 형성 재료와 함께, T 다이로부터 (공)압출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는, 해당 표면 보호 필름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μm 이하이다.
≪면을 보호하는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면을 보호하는 방법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하여, 피착체면을 보호하는 방법이며, 구체적으로는, 피착체에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첩부함으로써, 피착체면을 보호한다.
해당 피착체면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휘되는 등의 점에서, 표면 요철 높이가, 바람직하게는 0.1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μ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μm 이하인 면이다. 이와 같은 면을 갖는 피착체의 예로서는, 프리즘 시트를 들 수 있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하면, 이와 같은 표면 요철 높이를 갖는 피착체에 대해서도, 적당한 접착성을 갖기 때문에, 해당 피착체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조건 등]
하기 물성의 측정 조건 등은, 이하와 같다.
〔조성〕
폴리머 중의 구성 단위(i) 및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은, 13C-NMR에 의해, 이하의 장치 및 조건에서 측정했다.
니혼 전자(주)제 ECP 500형 핵자기 공명 장치를 이용하여, 용매를 o-다이클로로벤젠/중벤젠(80/20용량%) 혼합 용매, 시료 농도를 55mg/0.6mL, 측정 온도를 120℃, 관측 핵을 13C(125MHz), 시퀀스를 싱글펄스 프로톤 디커플링, 펄스 폭을 4.7μ초(45° 펄스), 반복 시간을 5.5초, 적산 횟수를 1만회 이상으로 하고, 27.50ppm을 케미컬 시프트의 기준치로 하여 측정했다.
〔극한 점도〕
하기 합성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극한 점도[η](dl/g)는, 데칼린 용매를 이용하여 135℃에서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공중합체 약 20mg을 데칼린 15ml에 용해하여, 135℃의 오일 배스 중에서 비점도 ηsp를 측정했다. 이 데칼린 용액에 데칼린 용매를 5ml 추가하여 희석 후, 마찬가지로 하여 비점도 ηsp를 측정했다. 이 희석 조작을 2회 더 반복하고, 하기 식(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농도(C)를 0으로 외삽했을 때의 ηsp/C값을 극한 점도[η](단위: dl/g)로 했다.
[η]=lim(ηsp/C) (C→0) ···(1)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
하기 합성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Waters제 ALC/GPC 150-C plus형(시차 굴절계 검출기 일체형)을 이용하고, 칼럼으로서 도소(주)제 GMH6-HT×2개 및 GMH6-HTL×2개를 직렬 접속한 것을 이용하고, 이동상 매체로서 o-다이클로로벤젠을 이용하여, 유속 1.0ml/분, 140℃에서 측정했다. 한편, 1샘플당 측정 시간은 60분으로 했다.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표준 폴리스타이렌 샘플을 사용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해석함으로써, 중량 평균 분자량(Mw), 수 평균 분자량(Mn)을 측정하고, 분자량 분포(Mw/Mn)을 산출했다.
〔밀도〕
하기 합성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밀도는, ASTM D 1505(수중 치환법)에 따라, 알파미라지(주)제의 전자 비중계 MD-300S를 이용하여, 수중과 공기 중에서 측정된 각 공중합체의 질량으로부터 산출했다.
〔융점(Tm)〕
세이코 인스트루먼츠(주)제 DSC220C 장치를 이용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하기 합성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융점(Tm)을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합성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 7∼12mg을 알루미늄 팬 중에 밀봉하고, 실온부터 10℃/분으로 200℃까지 가열했다. 그 후, 공중합체를 완전 융해시키기 위해서 200℃에서 5분간 유지하고, 이어서 10℃/분으로 -50℃까지 냉각했다. -50℃에서 5분간 둔 후, 그 시료를 10℃/분으로 200℃까지 재차 가열했다. 이 재차(2번째) 가열에서의 피크 온도를, 융점(Tm)으로서 채용했다.
〔공중합체의 동적 점탄성〕
190℃로 설정한 (주)신토 금속 공업소제의 유압식 열프레스기를 이용하여, 하기 합성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에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5분간 가열하고, 그 후, 10MPa의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1∼2분간 가열함으로써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20℃로 설정한 별도의 (주)신토 금속 공업소제의 유압식 열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얻어진 시트에 5분간 정도 10MPa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측정용 시료(3mm 두께의 시트)를 제작했다. 한편, 상기 압력을 가할 때에는, 열판으로서 5mm 두께의 진유판(眞鍮板)을 이용했다.
얻어진 측정용 시료 및 ANTON Paar사제 MCR 301을 이용하여, 10rad/s(1.6Hz)의 주파수에 있어서, -100∼150℃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의 온도 의존성을 측정하고, 0∼60℃의 범위에 있어서의, 유리 전이 온도에 기인하는 손실 정접(tanδ)이 최대치가 될 때의 온도(이하 「피크 온도」라고도 한다.), 및 그때의 손실 정접(tanδ)의 값(이하 「피크치」라고도 한다.)을 측정했다.
〔수지 조성물의 동적 점탄성〕
하기 합성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 대신에,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공중합체의 동적 점탄성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지 조성물의 손실 정접(tanδ)이 극대치가 될 때의 온도(이하 「피크 온도」라고도 한다.), 및 그때의 손실 정접(tanδ)의 값(이하 「피크치」라고도 한다.)을 측정했다. 한편, 피크 온도가 0℃ 미만의 범위에 있는 피크 온도 및 피크치를 각각, 제 1 피크 온도 및 제 1 피크치라고 하고, 피크 온도가 0℃ 이상의 범위에 있는 피크 온도 및 피크치를 각각, 제 2 피크 온도 및 제 2 피크치라고 한다.
〔점착 강도〕
JIS Z 0237:2000에 준거하여,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점착 강도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측정했다.
50mm 폭×100mm 길이×2mm 두께의 흑색 아크릴판(미쓰비시 케미컬(주)제, 아크릴라이트 REX)과,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체를,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하에 1시간 방치한 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점착층(L1)이 아크릴판에 접하도록, 적층체를 아크릴판 위에 배치하고, 약 2kg의 고무 롤을 이용하여, 압력을 가하면서 해당 고무 롤을 2왕복시켜, 아크릴판에 적층체를 첩부함으로써 시험체를 제작했다. 제작한 시험체를,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일정 환경하에 1일간 둔 후,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에서, 아크릴판으로부터 적층체를 180° 방향으로 속도 300mm/분으로 떼어냈을 때의 점착 강도를, 만능 인장 시험기(3380, 인스트론사제)를 이용하여 측정했다(23℃에서의 점착 강도).
제작한 시험체를,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일정 환경하에 1일간 두는 대신에, 60℃의 오븐 중에 1일간 둔 것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강도를 측정했다(60℃ 가열 후의 점착 강도).
또한, 제작한 시험체를,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일정 환경하에 1일간 두는 대신에, 80℃의 오븐 중에 1일간 둔 것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강도를 측정했다(80℃ 가열 후의 점착 강도).
〔점착 앙진율〕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23℃에서의 점착 강도 및 60℃ 가열 후의 점착 강도의 값을 이용하고, 하기 식(2)에 기초하여, 60℃ 가열에서의 점착 앙진율을 산출하고, 23℃에서의 점착 강도 및 80℃ 가열 후의 점착 강도의 값을 이용하고, 하기 식(3)에 기초하여, 80℃ 가열에서의 점착 앙진율을 산출했다.
60℃ 가열에서의 점착 앙진율=
{(60℃ 가열 후의 점착 강도)-(23℃에서의 점착 강도)}/(23℃에서의 점착 강도)×100 ···(2)
80℃ 가열에서의 점착 앙진율=
{(80℃ 가열 후의 점착 강도)-(23℃에서의 점착 강도)}/(23℃에서의 점착 강도)×100 ···(3)
〔합성예 1〕
충분히 질소 치환한 용량 1.5리터의 교반 날개 부착 SUS제 오토클레이브에, 23℃에서 4-메틸-1-펜텐을 750ml 장입했다. 이 오토클레이브에, 트라이아이소뷰틸알루미늄(TIBAL)의 1.0mmol/ml 톨루엔 용액을 0.75ml 장입하고, 교반기를 회전시켰다.
다음으로, 오토클레이브를 내온 60℃까지 가열하고, 전체압이 0.13MPa(게이지압)이 되도록 프로필렌으로 가압했다. 계속해서, 미리 조제해 둔 메틸알루미녹세인을 Al 환산으로 1mmol, 및 다이페닐메틸렌(1-에틸-3-t-뷰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2,7-다이-t-뷰틸-플루오렌일)지르코늄 다이클로라이드를 0.01mmol 포함하는 톨루엔 용액 0.34ml를, 질소로 오토클레이브에 압입하여, 중합을 개시했다. 중합 반응 중, 오토클레이브 내온이 60℃가 되도록 온도를 조정했다. 중합 개시로부터 60분 후, 오토클레이브에 메탄올 5ml를 질소로 압입하여, 중합을 정지하고, 오토클레이브를 대기압까지 탈압했다. 그 후, 반응 용액에 아세톤을 교반하면서 부었다.
얻어진 용매를 포함하는 파우더상의 중합체를 100℃, 감압하에서 12시간 건조했다. 얻어진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1)의 양은 36.9g이며, 폴리머 중의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은 72.5mol%,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은 27.5mol%였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2〕
충분히 질소 치환한 용량 1.5리터의 교반 날개 부착 SUS제 오토클레이브에, 23℃에서, 노말 헥세인 300ml(건조 질소 분위기, 활성 알루미나로 건조한 것), 및 4-메틸-1-펜텐 450ml를 장입했다. 이 오토클레이브에, 트라이아이소뷰틸알루미늄(TIBAL)의 1.0mmol/ml 톨루엔 용액을 0.75ml 장입하고, 교반기를 회전시켰다.
다음으로, 오토클레이브를 내온 60℃까지 가열하고, 전체압이 0.19MPa(게이지압)이 되도록 프로필렌으로 가압했다. 계속해서, 미리 조제해 둔 메틸알루미녹세인을 Al 환산으로 1mmol, 및 다이페닐메틸렌(1-에틸-3-t-뷰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2,7-다이-t-뷰틸-플루오렌일)지르코늄 다이클로라이드 0.01mmol을 포함하는 톨루엔 용액 0.34ml를, 질소로 오토클레이브에 압입하여, 중합을 개시했다. 중합 반응 중, 오토클레이브 내온이 60℃가 되도록 온도를 조정했다. 중합 개시로부터 60분 후, 오토클레이브에 메탄올 5ml를 질소로 압입하여, 중합을 정지하고, 오토클레이브를 대기압까지 탈압했다. 그 후, 반응 용액에 아세톤을 교반하면서 부었다.
얻어진 용매를 포함하는 파우더상의 중합체를 100℃, 감압하에서 12시간 건조했다. 얻어진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1)의 양은 44.0g이며, 폴리머 중의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은 84.1mol%,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은 15.9mol%였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1]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1) 15질량부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1) 5질량부와, 아사히 화성(주)제의 터프텍 H1052(이하 「B2-1」이라고도 기재한다.) 80질량부와, 내열 안정제로서의 n-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질량부를 배합하여, 점착층(L1)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수지 펠릿)을 얻었다.
30mmφ 단축 압출기를 겸비한, 다이 폭 300mm의 3종 3층 T-다이 성형기를 이용하여, 표면층(L3), 기재층(L2), 점착층(L1) 각각을 형성하기 위한 T-다이에 각각 연결되는 수지 공급 호퍼로부터,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펠릿을 투입하고, 200∼240℃로 설정한 단축 압출기 내의 실린더를 통해 수지 펠릿을 융해시킨 후, T-다이로부터 다이 온도 200℃에서 압출 성형을 행함으로써 적층체를 얻었다.
이때, 표면층(L3) 및 기재층(L2)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 펠릿으로서는, (주)프라임 폴리머제의 폴리프로필렌 F107을 이용하고, 점착층(L1)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펠릿으로서는,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용했다. 표면층(L3), 기재층(L2), 점착층(L1)의 두께가, L3/L2/L1=10/30/10μm가 되도록 압출했다. 얻어진 적층체의 각종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1) 10질량부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1) 10질량부와, 아사히 화성(주)제의 터프텍 H1052(B2-1) 80질량부와, n-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각종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1) 10질량부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1) 10질량부와, JSR(주)제의 다이나론 1320P(이하 「B2-2」라고도 기재한다.) 80질량부와, n-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각종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1) 10질량부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1) 10질량부와, 미쓰이 화학(주)제의 타프머 PN-3560(이하 「B1-1」이라고도 기재한다.) 80질량부와, n-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각종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1) 10질량부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1) 10질량부와, 미쓰이 화학(주)제의 타프머 PN-2060(이하 「B1-2」라고도 기재한다.) 80질량부와, n-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각종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1) 5질량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1) 5질량부와, 아사히 화성(주)제의 터프텍 H1052(B2-1) 90질량부와, n-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각종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1) 5질량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1) 3질량부와, 미쓰이 화학(주)제의 타프머 PN-2060(B1-2) 92질량부와, n-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각종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1) 20질량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1) 20질량부와, 아사히 화성(주)제의 터프텍 H1052(B2-1) 60질량부와, n-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각종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1) 10질량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1) 10질량부와, (주)가네카제의 시브스타 072T(이하 「B2-3」이라고도 기재한다.) 80질량부와, n-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각종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1) 5질량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1) 15질량부와, 아사히 화성(주)제의 터프텍 H1052(B2-1) 80질량부와, n-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각종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서, 아사히 화성(주)제의 터프텍 H1052(B2-1) 100질량부와, n-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각종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서, 미쓰이 화학(주)제의 타프머 PN-3560(B1-1) 100질량부와, n-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각종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서, 미쓰이 화학(주)제의 타프머 PN-2060(B1-2) 20질량부와, 아사히 화성(주)제의 터프텍 H1052(B2-1) 80질량부와, n-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각종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1) 10질량부와, 미쓰이 화학(주)제의 타프머 PN-2060(B1-2) 10질량부와, 아사히 화성(주)제의 터프텍 H1052(B2-1) 80질량부와, n-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각종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Claims (13)

  1. 하기 요건(a) 및 (b)를 만족시키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1)과,
    하기 요건(c) 및 (d)를 만족시키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2)와,
    상기 공중합체(A-1) 및 상기 공중합체(A-2)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고,
    상기 공중합체(A-1), 상기 공중합체(A-2)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B)의 합계 100질량%에 대해, 상기 공중합체(A-1) 및 상기 공중합체(A-2)의 합계 함유량이 2∼50질량%이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B)의 함유량이 50∼98질량%인,
    수지 조성물(X):
    (a)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 및 4-메틸-1-펜텐 이외의 탄소수 2∼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의 합계를 100몰%로 했을 때,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이 65∼80몰%이고,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이 20∼35몰%이다
    (b) 시차 주사 열량계로 관측되는 융점이 110℃ 미만이거나 관측되지 않는다
    (c)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 및 4-메틸-1-펜텐 이외의 탄소수 2∼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의 합계를 100몰%로 했을 때, 구성 단위(i)의 함유량이 80∼90몰%이고, 구성 단위(ii)의 함유량이 10∼20몰%이다
    (d) 시차 주사 열량계로 측정되는 융점이 110∼160℃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100∼150℃의 온도 범위에서, 10rad/s의 주파수에서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여 얻어지는 tanδ 피크로서, 피크 온도가 0℃ 미만인 제 1 피크 및 피크 온도가 0℃ 이상인 제 2 피크를 갖는, 수지 조성물(X).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A-1) 및 상기 공중합체(A-2)의 합계 함유량 100질량%에 대해, 상기 공중합체(A-1)의 함유량이 1∼99질량%이고, 상기 공중합체(A-2)의 함유량이 99∼1질량%인, 수지 조성물(X).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A-1) 및 상기 공중합체(A-2) 중 적어도 한쪽의 공중합체가,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X).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A-1) 및 상기 공중합체(A-2) 중, 적어도 한쪽의 공중합체의 구성 단위(ii)가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인, 수지 조성물(X).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B)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B1)인, 수지 조성물(X).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B)가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B2)인, 수지 조성물(X).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X)를 포함하는 점착제.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X)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층(L1)과,
    기재층(L2)를 갖는 적층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L2)가 폴리프로필렌층인, 적층체.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X) 혹은 제 8 항 에 기재된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층, 또는 제 9 항 혹은 제 10 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
  12. 제 11 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을 T 다이 필름 성형법에 의해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 또는 제 12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하여, 표면 요철 높이가 0.1∼300μm인 면을 보호하는 방법.
KR1020237013232A 2020-11-17 2021-10-29 수지 조성물, 점착제, 적층체, 표면 보호 필름,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면을 보호하는 방법 KR202300724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90965 2020-11-17
JP2020190965 2020-11-17
PCT/JP2021/040125 WO2022107578A1 (ja) 2020-11-17 2021-10-29 樹脂組成物、粘着剤、積層体、表面保護フィルム、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面を保護する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485A true KR20230072485A (ko) 2023-05-24

Family

ID=81708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232A KR20230072485A (ko) 2020-11-17 2021-10-29 수지 조성물, 점착제, 적층체, 표면 보호 필름,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면을 보호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07073A1 (ko)
JP (1) JPWO2022107578A1 (ko)
KR (1) KR20230072485A (ko)
CN (1) CN116406330A (ko)
TW (1) TW202225308A (ko)
WO (1) WO2022107578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512A (ja) 2005-11-01 2007-05-24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08099865A1 (ja) 2007-02-15 2008-08-21 Mitsui Chemicals, Inc. プロピレン系重合体、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ペレットおよび粘着剤
JP2008274213A (ja) 2007-03-30 2008-11-13 Jsr Corp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1126169A (ja) 2009-12-18 2011-06-30 Japan Polypropylene Corp インモールドラミネーション用二軸延伸自己粘着性プロテクトフィルム
JP2012255071A (ja) 2011-06-08 2012-12-27 Kuraray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3121989A (ja) 2011-06-15 2013-06-20 Sekisui Chem Co Ltd 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5012274A1 (ja) 2013-07-26 2015-01-29 三井化学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423B1 (ko) * 2009-11-06 2014-06-17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 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4-메틸-1-펜텐 공중합체 조성물
KR101567269B1 (ko) * 2011-12-27 2015-11-06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4-메틸-1-펜텐 (공)중합체 조성물, 해당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 및 중공 성형체
JP6282504B2 (ja) * 2013-03-25 2018-02-21 三井化学株式会社 4−メチル−1−ペンテン共重合体組成物
JP2015214658A (ja) * 2014-05-12 2015-12-03 三井化学株式会社 拡張性基材フィルム、拡張性粘着フィルム、ダイシングフィルム、拡張性基材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2323855B1 (ko) * 2014-09-25 2021-11-09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조성물 및 적층체
JP7389576B2 (ja) * 2019-07-12 2023-11-30 三井化学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512A (ja) 2005-11-01 2007-05-24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08099865A1 (ja) 2007-02-15 2008-08-21 Mitsui Chemicals, Inc. プロピレン系重合体、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ペレットおよび粘着剤
JP2008274213A (ja) 2007-03-30 2008-11-13 Jsr Corp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1126169A (ja) 2009-12-18 2011-06-30 Japan Polypropylene Corp インモールドラミネーション用二軸延伸自己粘着性プロテクトフィルム
JP2012255071A (ja) 2011-06-08 2012-12-27 Kuraray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3121989A (ja) 2011-06-15 2013-06-20 Sekisui Chem Co Ltd 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5012274A1 (ja) 2013-07-26 2015-01-29 三井化学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06330A (zh) 2023-07-07
US20230407073A1 (en) 2023-12-21
WO2022107578A1 (ja) 2022-05-27
TW202225308A (zh) 2022-07-01
JPWO2022107578A1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3132B1 (ko) 수첨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점착제, 접착제, 성형체, 액체 포장 용기, 의료용구, 의료용 튜브, 웨더 시일용 코너 부재 및 웨더 시일
ES2681848T3 (es) Adhesivos termofusibles basados en poliolefina con propiedades mejoradas
JP5850773B2 (ja) 粘着剤、積層体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614820B1 (ko)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또는 시트
JP5871734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EP3328956B1 (en) Polypropylene based hot-melt adhesive composition
KR10107655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적층체, 해당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점착시켜 이루어지는물품, 및 물품의 표면 보호 방법
JP2017535632A (ja) 改良された加工および結合性能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ベースのホットメルト接着剤
KR101791803B1 (ko) 표면 보호 필름
JP5965070B2 (ja) 応力緩和性フィルム及び半導体用表面保護フィルム
TWI568782B (zh) 樹脂組成物及離型膜
KR102603770B1 (ko)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체, 포장재 및 포장 용기
KR20140048957A (ko) 점착 시트
KR20230072485A (ko) 수지 조성물, 점착제, 적층체, 표면 보호 필름,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면을 보호하는 방법
WO2013011561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6150953A (ja) 成形体、食品容器本体及び食品容器用蓋
JP2019156943A (ja) 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JP6466189B2 (ja) 積層体およびその用途
TW201943564A (zh) 積層薄膜
JP2016108383A (ja) 表面保護部材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JP2004338286A (ja) 粘着テープ用基材および粘着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