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6990A -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6990A
KR20230066990A KR1020210152595A KR20210152595A KR20230066990A KR 20230066990 A KR20230066990 A KR 20230066990A KR 1020210152595 A KR1020210152595 A KR 1020210152595A KR 20210152595 A KR20210152595 A KR 20210152595A KR 20230066990 A KR20230066990 A KR 20230066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opening
closing door
unit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296B1 (ko
Inventor
이규설
Original Assignee
로지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지스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지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2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296B1/ko
Publication of KR20230066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1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개폐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자전거가 진입시 규격검출닫힘안내부가 자전거의 규격을 검출하고, 검출된 자전거의 규격이 설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개폐도어의 닫힘을 허용함으로써, 자전거를 주차타워로 안전하게 주차시킬 수 있는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는 주차타워의 출입구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한 쌍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로 자전거를 입고 대기시키거나 상기 개폐도어에서 출고된 자전거를 회수 대기시 상기 개폐도어가 설정 간격으로 열리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되는 설정열림안내부 및 상기 개폐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상기 자전거가 상기 개폐도어로 진입시 상기 자전거의 규격을 검출하고, 상기 자전거의 규격이 설정 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개폐도어의 닫힘을 허용하도록 안내하는 규격검출닫힘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PARKING TOWER ACCESS GUIDE DEVICE FOR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자전거가 진입시 규격검출닫힘안내부가 자전거의 규격을 검출하고, 검출된 자전거의 규격이 설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개폐도어의 닫힘을 허용함으로써, 자전거를 주차타워로 안전하게 주차시킬 수 있는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대도시의 주차난으로 인하여 출퇴근을 행하는 시민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추세가 늘어나고 있는데, 특히 운송수단으로서 자전거를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경향에 부응하여 국가적으로 또는 각 지자체에서도 자전거 도로를 개설하거나 도심의 지하철 내지 건물 주위에 자전거 주차시설을 건립하여 자전거 사용자들의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자전거 사용을 점점 장려하고 있다.
일반적인 자전거 주차시설은 단층의 구조로 되어 있어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고,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다.
최근에는 자전거 주차의 고집적화를 이루기 위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는 차원에서 대량의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자전거 주차타워들이 등장하고 있고, 이러한 주차타워들은 입고되는 자전거를 일정한 수직 간격으로 이루어진 격납실 내에 자전거를 보관, 인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주차타워의 구조는 자전거가 주차되는 타워와, 타워에 자전거를 입출고 하는 입출고부와, 타워의 수평 방향으로 자전거를 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와, 타워의 상하부로 자전거를 이송시키는 상하이송부 및 타워의 내에 구비된 자전거 주차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주차타워는 자전거를 보관할 때 입출고부에 입고된 자전거가 수평이송부와 상하이송부의 작동에 의해 주차부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전거의 규격이 주차부의 설정 규격을 초과하는 경우 자전거의 주차가 불가능하여 자전거를 다시 입출고부로 출고시키기 때문에 다수의 이용자가 동시에 이용하고자 할 때 자전거 주차를 위한 차기 이용자의 대기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0718호(2012.03.08. 공개, 명칭: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기의 출입구 도난방지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개폐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자전거가 진입시 규격검출닫힘안내부가 자전거의 규격을 검출하고, 검출된 자전거의 규격이 설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개폐도어의 닫힘을 허용함으로써, 자전거를 주차타워로 안전하게 주차시킬 수 있는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는 주차타워의 출입구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한 쌍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로 자전거를 입고 대기시키거나 상기 개폐도어에서 출고된 자전거를 회수 대기시 상기 개폐도어가 설정 간격으로 열리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되는 설정열림안내부 및 상기 개폐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상기 자전거가 상기 개폐도어로 진입시 상기 자전거의 규격을 검출하고, 상기 자전거의 규격이 설정 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개폐도어의 닫힘을 허용하도록 안내하는 규격검출닫힘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도어는 개폐구동부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개폐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개폐도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지지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력을 발생시 상기 슬라이드지지부가 상기 레일부재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슬라이드지지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지지부는 상기 개폐도어에 구비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풀리부재와, 상기 제1풀리부재에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풀리부재와, 상기 제1풀리부재와 상기 제2풀리부재에 감기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풀리부재의 회전으로 이동하는 벨트부재 및 상기 벨트부재의 이동시 상기 고정브라켓이 연동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부재를 파지하는 연동파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열림안내부는 상기 자전거의 바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가 함몰 형성되는 출입안내프레임와, 상기 수용공간부에 상기 자전거의 바퀴가 수용시 상기 자전거의 바퀴에 가압되어 회동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에 구비되는 회동가압부재 및 상기 회동가압부재가 상기 자전거 바퀴의 가압으로 회동시 상기 회동가압부재에 가압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가압부재의 가압 유무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가 설정 간격으로 이격되거나 닫히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신호를 전송하는 가압전송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규격검출닫힘안내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한 쌍이 이격되도록 연결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자전거 핸들의 너비를 감지하는 핸들감지센서와, 상기 핸들감지센서의 사이에 한 쌍이 배치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자전거 바구니의 너비를 감지하는 바구니감지센서와, 상기 바구니감지센서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자전거에 적재되는 화물의 높이를 제한하는 화물높이제한부와, 상기 수직프레임(410)에 한 쌍이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상기 자전거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와,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자전거의 바퀴를 감지하여 상기 자전거 길이를 검출하는 길이감지센서와,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로 상기 자전거 바퀴의 진입 유무를 검출하는 진입감지센서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한 쌍이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자전거에 적재되는 화물의 너비를 제한하는 화물너비제한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자전거가 상기 설정열림안내부에 위치하여 설정 간격으로 열림시 가림차단부에 의해 개방 부위의 일부가 가려지도록 차단되며, 상기 가림차단부는 상기 개폐도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단부에 지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 부위를 차단하는 가림막부재 및 상기 개폐도어의 닫힘시 상기 가림막부재가 복원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회동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는 개폐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자전거가 진입시 규격검출닫힘안내부가 자전거의 규격을 검출하고, 검출된 자전거의 규격이 설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개폐도어의 닫힘을 허용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자전거를 주차타워로 안전하게 주차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에서 규격검출닫힘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에서 개폐구동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에서 설정열림안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에서 가림차단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에서 규격검출닫힘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에서 개폐구동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에서 설정열림안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에서 가림차단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는 고정프레임(100), 개폐도어(200), 설정열림안내부(300) 및 규격검출닫힘안내부(400)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100)은 주차타워의 출입구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프레임(100)은 개폐도어(200), 설정열림안내부(300) 및 규격검출닫힘제어부(40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개폐도어(200)는 고정프레임(100)에 한 쌍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출입구를 개폐한다.
이러한 개폐도어(200)는 주차타워로 자전거를 주차 가능하게 입고시키는 과정에서 외부에 위치하는 자전거를 설정열림안내부(300)에 진입 가능하게 대기시면 설정 간격으로 개방되고, 자전거의 바퀴를 개방된 부위로 진입시키면 주차타워에 구비된 승강견인장치가 설정열림안내부(300)에서 대기하는 자전거를 주차 가능하게 견인하도록 일시적으로 완전히 열린 후에 닫히게 된다.
반대로, 개폐도어(200)는 주차타워에 주차된 자전거를 외부로 출고시키는 과정에서 주차타워에 구비된 승강견인장치가 자전거를 설정열림안내부(300)에 위치시키도록 견인할 경우, 완전히 개방된 후에 설정 간격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닫히다가 사용자가 자전거를 설정열림안내부(300)에서 회수하면 완전히 닫히게 된다.
이를 위해, 개폐도어(200)는 개폐구동부(600)에 의해 고정프레임(100)에서 개폐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러한 개폐구동부(600)는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부재(610)와, 레일부재(6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개폐도어(200)에 설치되는 슬라이드지지부(620)와, 고정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630) 및 구동모터(630)가 회전력을 발생시 슬라이드지지부(620)가 레일부재(610)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동모터(630)의 회전력을 슬라이드지지부(62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40)를 포함한다.
이때, 슬라이드지지부(620)는 개폐도어(200)에 구비되는 고정브라켓(621) 및 고정브라켓(621)에 구비되어 레일부재(6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블록(622)을 포함한다.
아울러, 동력전달부(640)는 구동모터(630)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풀리부재(641)와, 제1풀리부재(641)에 이격 배치되도록 고정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풀리부재(642)와, 제1풀리부재(641)와 제2풀리부재(642)에 감기도록 설치되어 제1풀리부재(642)의 회전으로 이동하는 벨트부재(643) 및 벨트부재(643)의 이동시 고정브라켓(621)이 연동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고정브라켓(621)에 구비되어 벨트부재(643)를 파지하는 연동파지부재(644)를 포함한다.
한편, 설정열림안내부(300)는 개폐도어(200)로 자전거를 입고시키거나 개폐도어(200)에서 출고된 자전거를 회수시 개폐도어(200)가 설정 간격으로 열린 상태에서 자전거를 대기시키도록 고정프레임(10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설정열림안내부(300)는 자전거의 바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311)가 함몰 형성되는 출입안내프레임(310)과, 수용공간부(311)에 자전거의 바퀴가 수용시 자전거의 바퀴에 가압되어 회동되도록 수용공간부(311)에 구비되는 회동가압부재(320) 및 회동가압부재(320)가 자전거 바퀴의 가압으로 회동시 회동가압부재(320)에 가압되도록 수용공간부(311)에 구비되고, 개폐도어(200)가 설정 간격으로 열리도록 구동모터(630)에 신호하는 가압전송센서(330)를 포함한다.
즉, 주차타워에 주차하기 위한 자전거가 수용공간부(311)로 진입하여 자전거의 하중으로 회동가압부재(320)를 기울어지도록 회동시키면 가압전송센서(330)는 회동가압부재(320)에 가압되어 구동모터(630)에 개폐도어(200)를 설정된 간격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수용공간부(311)에는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관통되는 관통홀부(311a)가 형성되고, 출입안내프레임(310)에는 관통홀부(311a)를 통해 자전거 바퀴의 진입을 감지하는 바퀴진입감지센서(3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630)는 자전거가 수용공간부(311)로 진입되어 바퀴진입감지센서(340)에 감지된 후에 가압전송센서(330)를 가압하면 개폐도어(200)가 설정된 간격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아울러, 개폐도어(200)는 자전거가 설정열림안내부(300)에 위치하여 설정 간격으로 열림시 가림차단부(500)에 의해 개방 부위의 일부가 가려지도록 차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림차단부(500)는 한 쌍의 개폐도어(200)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510)와, 고정플레이트(510)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부재(520)와, 회동부재(520)의 단부에 지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도어(200)의 개방 부위를 가리는 가림막부재(530) 및 개폐도어(200)의 닫힘시 가림막부재(530)가 복원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회동부재(5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540)를 포함한다.
이때, 탄성제공부(540)는 고정플레이트(510)에 구비되는 제1지지축부(541)와, 회동부재(520)에 구비되는 제2지지축부(542) 및 제1지지축부(541)에 일측이 연결되고, 제2지지축부(542)에 타측이 연결되는 탄성부재(543)를 포함한다.
즉, 가림막부재(530)는 한 쌍의 개폐도어(200)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닫히면 회동부재(520)에 의해 개폐도어(200)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가림막부재(530)는 한 쌍의 개폐도어(200)가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열리면 탄성부재(214c)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회동부재(520)의 회동에 의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복원 이동된다.
이에 따라, 개폐도어(200)는 자전거가 설정열림안내부(300)에 위치하여 설정 간격으로 열리면 가림막부재(530)에 의해 자전거의 바퀴가 개폐도어(200)로 진입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개방 부위가 가려짐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규격검출닫힘안내부(400)는 개폐도어(200)가 열림 상태에서 자전거가 개폐도어(200)로 진입시 자전거의 규격을 검출하고, 자전거의 규격이 설정조건에 만족하면 개폐도어(200)의 닫힘을 허용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규격검출닫힘안내부(400)는 고정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410)과, 수평프레임(410)에 한 쌍이 이격되도록 연결되는 수직프레임(420)과, 수평프레임(420)에 한 쌍이 구비되어 자전거 핸들의 너비를 감지하는 핸들감지센서(430)와, 핸들감지센서(430)의 사이에 한 쌍이 배치되도록 수평프레임(420)에 구비되어 자전거 바구니의 너비를 감지하는 바구니감지센서(440)와, 바구니감지센서(4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자전거에 적재되는 화물의 높이를 제한하는 화물높이제한부(450)과, 수직프레임(410)에 설치되어 자전거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460)와, 수직프레임(410)에 설치되어 자전거의 바퀴를 감지하여 자전거 길이를 검출하는 길이감지센서(470)와, 수직프레임(410)에 설치되어 개폐도어(200)로 자전거 바퀴의 진입 유무를 검출하는 진입감지센서(480) 및 수직프레임(410)에 한 쌍이 마주보게 설치되어 자전거에 적재되는 화물의 너비를 제한하는 화물너비제한부(490)를 포함한다.
즉, 구동모터(630)는 자전거가 개폐도어(200)로 입고될 때 자전거의 규격이 핸들감지센서(430), 바구니감지센서(440), 높이감지센서(460), 길이감지센서(470), 진입감지센서(480) 중 어느 하나의 조건에 충족되지 못할 경우, 개폐도어(200)의 닫힘이 방지되도록 정지된다.
반대로, 구동모터(630)는 자전거가 개폐도어(200)로 입고될 때 자전거의 규격이 핸들감지센서(430), 바구니감지센서(440), 높이감지센서(460), 길이감지센서(470), 진입감지센서(480)의 모든 조건에 충족될 경우, 개폐도어(200)의 닫힘이 허용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규격검출닫힘안내부(400)는 개폐도어(200)로 진입된 자전거의 규격을 검출하여 구동모터(630)를 통해 개폐도어(200)의 닫힘 유무를 안내하기 때문에 주차타워로 주차 가능한 자전거를 판별할 수 있으므로, 주차타워에 주차 가능한 자전거만 안전하게 주차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고정프레임 200: 개폐도어
300: 설정열림안내부 310: 출입안내프레임
311: 수용공간부 320: 회동가압부재
330: 가압전송센서 340: 바퀴진입감지센서
400: 규격검출닫힘안내부 410: 수평프레임
420: 수직프레임 430: 핸들감지센서
440: 바구니감지센서 450: 화물높이제한부
460: 높이감지센서 470: 길이감지센서
480: 진입감지센서 490: 화물너비제한부
500: 가림차단부 510: 고정플레이트
520: 회동부재 530: 가림막부재
540: 탄성제공부 541: 제1지지축부
542: 제2지지축부 543: 탄성부재
600: 개폐구동부 610: 레일부재
620: 슬라이드지지부 621: 고정브라켓
622: 슬라이드블록 630: 구동모터
640: 동력전달부 641: 제1풀리부재
642: 제2풀리부재 643: 벨트부재
644: 연동파지부재

Claims (6)

  1. 주차타워의 출입구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한 쌍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
    상기 개폐도어로 자전거를 입고 대기시키거나 상기 개폐도어에서 출고된 자전거를 회수 대기시 상기 개폐도어가 설정 간격으로 열리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되는 설정열림안내부; 및
    상기 개폐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상기 자전거가 상기 개폐도어로 진입시 상기 자전거의 규격을 검출하고, 상기 자전거의 규격이 설정 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개폐도어의 닫힘을 허용하도록 안내하는 규격검출닫힘안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개폐구동부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개폐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개폐도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지지부;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력을 발생시 상기 슬라이드지지부가 상기 레일부재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슬라이드지지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지지부는 상기 개폐도어에 구비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풀리부재와, 상기 제1풀리부재에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풀리부재와, 상기 제1풀리부재와 상기 제2풀리부재에 감기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풀리부재의 회전으로 이동하는 벨트부재 및 상기 벨트부재의 이동시 상기 고정브라켓이 연동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부재를 파지하는 연동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열림안내부는,
    상기 자전거의 바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가 함몰 형성되는 출입안내프레임;
    상기 수용공간부에 상기 자전거의 바퀴가 수용시 상기 자전거의 바퀴에 가압되어 회동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에 구비되는 회동가압부재; 및
    상기 회동가압부재가 상기 자전거 바퀴의 가압으로 회동시 상기 회동가압부재에 가압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가압부재의 가압 유무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가 설정 간격으로 이격되거나 닫히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신호를 전송하는 가압전송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검출닫힘안내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한 쌍이 이격되도록 연결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자전거 핸들의 너비를 감지하는 핸들감지센서;
    상기 핸들감지센서의 사이에 한 쌍이 배치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자전거 바구니의 너비를 감지하는 바구니감지센서;
    상기 바구니감지센서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자전거에 적재되는 화물의 높이를 제한하는 화물높이제한부;
    상기 수직프레임(410)에 한 쌍이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상기 자전거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자전거의 바퀴를 감지하여 상기 자전거 길이를 검출하는 길이감지센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로 상기 자전거 바퀴의 진입 유무를 검출하는 진입감지센서;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한 쌍이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자전거에 적재되는 화물의 너비를 제한하는 화물너비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자전거가 상기 설정열림안내부에 위치하여 설정 간격으로 열림시 가림차단부에 의해 개방 부위의 일부가 가려지도록 차단되며,
    상기 가림차단부는,
    상기 개폐도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단부에 지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 부위를 차단하는 가림막부재; 및
    상기 개폐도어의 닫힘시 상기 가림막부재가 복원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회동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
KR1020210152595A 2021-11-08 2021-11-08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 KR102625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595A KR102625296B1 (ko) 2021-11-08 2021-11-08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595A KR102625296B1 (ko) 2021-11-08 2021-11-08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990A true KR20230066990A (ko) 2023-05-16
KR102625296B1 KR102625296B1 (ko) 2024-01-16

Family

ID=8654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595A KR102625296B1 (ko) 2021-11-08 2021-11-08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2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514A (ja) * 1996-02-14 1997-08-19 Tokyu Car Corp 車種判別装置
JPH10157678A (ja) * 1996-11-28 1998-06-16 Isao Kuribayashi 駐輪装置
JPH11101018A (ja) * 1997-09-25 1999-04-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開閉制御装置
KR100505435B1 (ko) * 2002-09-11 2005-08-04 강태원 자동문 개폐시스템
JP2010007229A (ja) * 2008-06-24 2010-01-14 Daifuku Co Ltd 立体駐輪設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514A (ja) * 1996-02-14 1997-08-19 Tokyu Car Corp 車種判別装置
JPH10157678A (ja) * 1996-11-28 1998-06-16 Isao Kuribayashi 駐輪装置
JPH11101018A (ja) * 1997-09-25 1999-04-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開閉制御装置
KR100505435B1 (ko) * 2002-09-11 2005-08-04 강태원 자동문 개폐시스템
JP2010007229A (ja) * 2008-06-24 2010-01-14 Daifuku Co Ltd 立体駐輪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296B1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2662B2 (en) Movable barrier operator having cable tension sensor and door lock mechanism
US4984399A (en) Automobile enclosure
JP6573996B2 (ja) モータ作動式垂直移動型ゲート
KR20230066990A (ko) 자전거용 주차타워 출입 안내장치
KR100971886B1 (ko) 다양한 전장길이를 갖는 자전거들의 주차가 가능한 자전거용 주차타워시설
SE9203549L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undvika skador på personer och fordon samt stöld ur parkerade fordon i ett parkeringshus
KR100974066B1 (ko) 주차시 자전거의 쓰러짐 방지수단이 구비된 자전거용 주차타워시설
JP2005200892A (ja) 立体駐車場の場内監視システム
CN110306847A (zh) 一种斜置停车装置的举升系统
KR20220028625A (ko) 안전성이 향상된 방폭도어
JP5583457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0974067B1 (ko) 주차시 자전거의 끼임방지수단이 구비된 자전거용 주차타워시설
CN214363093U (zh) 一种智能人行通道闸
KR20070093954A (ko) 자전거 자동 잠금 거치대
JP5738611B2 (ja) 垂直搬送装置
KR20220028624A (ko) 설치구조와 공간성이 향상된 방폭도어
IT201800007806A1 (it) Apparato per il ricovero di veicoli quali biciclette, motocicli o ciclomotori
JP4614777B2 (ja) 開閉体案内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開閉体装置
JP3046547B2 (ja) 昇降装置の安全機構
KR20120020718A (ko)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기의 출입구 도난방지장치
KR102287038B1 (ko) 울타리용 자동문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JPH0855257A (ja) 現金取り扱い装置
KR100818366B1 (ko) 이륜차 주차장치
JPH07502Y2 (ja) 防潮扉
JP3089273B2 (ja) 兼掌通路用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