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292A - 송순 농축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송순 농축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292A
KR20230014292A KR1020210095477A KR20210095477A KR20230014292A KR 20230014292 A KR20230014292 A KR 20230014292A KR 1020210095477 A KR1020210095477 A KR 1020210095477A KR 20210095477 A KR20210095477 A KR 20210095477A KR 20230014292 A KR20230014292 A KR 20230014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e
concentrate
shoots
bu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839B1 (ko
Inventor
김홍근
Original Assignee
김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근 filed Critical 김홍근
Priority to KR1020210095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839B1/ko
Publication of KR20230014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7Chemical peeling or cleaning of harvested fruits, vegetables or othe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순(pine bud)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송순을 선별하고 이물질을 제거한 후, 송순을 물속에 5~10일간 유지하여 송진을 제거한 다음, 송진이 제거된 송순 100중량부에 대하여 자당 90~110중량부와 생수 90~110중량부를 혼합하고, 주기적으로 위아래를 뒤집어 가면서 상온에서 6~12개월간 자연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송순 농축액을 모으는 단계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송순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따른 송순 농축액은 장기 자연 발효에 의하여 소나무의 송진 냄새가 없어 누구나 거부감 없이 진한 솔잎향을 느낄 수가 있고, 송순의 약리학적, 생리학적 활성 물질과 영양 성분을 보유하며, 송순 농축액은 물 또는 탄산수에 희석하여 음용하거나 요거트나 우유 등을 이용한 스므디(smoothie)에 첨가하거나 또는 제면이나 제빵을 위한 반죽에 첨가하여 사용하거나, 약주에 첨가하여 음용하는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송순 농축액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PINE BUD EXTRACT}
본 발명은 송순(松筍: pine bud)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소나무의 송진 냄새가 없어 누구나 거부감 없이 진한 자연의 솔잎 향을 느낄 수가 있는 장기 자연 발효에 의한 송순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서, 소나무속은 잣나무와 백송이 속하는 단유관아속과 소나무와 해송이 속하는 쌍유관아속으로 크게 나뉘며, 우리나라 수종 중 가장 넓은 분포면적을 가지며 개체 수도 가장 많다.
솔잎은 예로부터 한방 또는 민간요법에 있어 건위, 보혈작용이 있고 중풍, 동맥경화, 신경통, 고혈압, 당뇨병, 천식 등에 치료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솔잎은 솔잎 특유의 향을 내는 휘발성분으로 피톤치드의 일종인 테르펜과 떫은맛을 내는 타닌이 주요 구성성분이다.
테르펜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말초신경을 확장시켜 호르몬 분비를 높이며, 고혈압이나 심근경색 등 성인병에 효과가 있고, 신경을 안정시키며, 감기 예방과 치료에도 도움을 준다.
타닌은 위장 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식욕을 촉진시키고 위점막을 보호하며 장의 긴장을 완화시켜 신경성 변비 증상을 경감시킨다.
이 외에도, 혈당수치를 낮춰 당뇨병에 도움을 주는 글리코키닌, 빈혈에 좋은 철분,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해 주는 루틴, 담배의 유해 물질을 없애 주는 알파피넨, 항산화제로서의 비타민 C, 모든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한 24종의 아미노산이 풍부하며, 리놀레인산, 팔미트산, 5-올레핀산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한다.
한편, 칡순은 칡순은 칡(Pueraria lobata Ohwi) 덩굴줄기의 새순으로 한방에서는 갈용이라 부르며, 칡순은 이른 봄부터 여름에 채취한다.
칡순은 맛이 달고 성질은 서늘하며 독이 없으며 위경에 작용하여 땀을 나게 하고 열을 내리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칡순은 카테킨에 의한 숙취 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와, 풍부한 무기질과 각종 비타민에 의한 피부 미용 및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질환 개선효과와, 폴리페놀에 의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 동맥 경화나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각종 심혈관계 질환 예방 효과와, 석류보다 600배가 넘는식물성 에스트로겐 함량으로 인한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 효과와, 다이제인에 의한 칼슘 흡수 촉진에 따른 골다공증 예방 효과와, 기관지 증상 개선 효과와, 성장발육 효과를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솔잎과 칡순은 약리 효능이 우수하고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예로부터 생식으로 복용하거나 차나 술로 만들어 음용하여 왔으나, 생식으로 솔잎이나 칡순을 섭식하는 것은 솔잎과 칡순의 강한 향기와 떫은맛으로 인해 거부감이 크고, 차를 끓여 음용하는 경우에는 가열에 의한 유용성분의 파괴 및 정유 성분의 휘발이 일어나며, 술을 담가 복용하는 것은 주류이므로 상시 음용이 곤란하다.
솔잎 또는 칡순을 이용한 음료에 관한 전형적인 종래의 기술로서는 하기의 것들을 들 수가 있다.
특허공고공보 제10-1993-001275호(1993.02.25. 공고)는 솔잎을 소금물에 침지시켜 솔잎 특유의 휘발성 냄새를 제거한 다음 통상의 방법으로 추출한 농도 70~95%의 솔잎농축물 0.5~3mg, 식품구연산 0.08~0.3mg, 탄산나트륨 0.08~0.3mg, 증류수 10~35mg을 혼합과 동시에 살균처리하여 음료원액을 만든 다음, 이 음료원액의 L치와 PH를 조정제로 조정한 솔잎 농축물을 이용한 불포화산 알카리음료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는 저온 발효에 의한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53481호(2002.09.09. 등록)는 세절한 솔잎, 솔순 또는 잣잎에 흰설탕, 황설탕, 흑설탕, 꿀 및 물엿 중에서 선택된 감미료와 물을 솔잎, 솔순 또는 잣잎의 중량을 기준으로 1~1.2 : 19~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끓여서 식힌 감미료 수용액을 붓고 20±1℃에서 5일간 자연발효시킨 후 여과 및 캔 포장하여 살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가열하여 자비하는 과정에서 테르펜과 같은 피톤치드를 이루는 주요물질이 휘발하여 제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24113호(2009.10.22. 등록)는 생솔잎을 채취하여 정수된 물로 깨끗이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하는 세척단계와; 생솔잎을 침지물에 침지시킨 후 생솔잎에 묻은 침지물을 제거하기 위해 정수된 물로 세척하는 침지단계와; 생솔잎과 정수된 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혼합된 생솔잎과 정수된물을 일정 용기에 밀폐시켜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발효된 생솔잎과 정수된물을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솔잎음료와 발효된 솔잎을 분리하는 여과단계와; 여과되어 얻은 솔잎음료를 일정 용기에 포장하는 포장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단계의 정수된 물은 알코올, 황산알루미늄 또는 염소 중 어느 하나로 소독시킨 미지근한 물이며, 상기 침지단계에서 침지물은 알코올, 황산알루미늄 또는 염소 중 어느 하나이고, 이 침지물에 10분∼2시간 침지시키며, 상기 혼합단계에서 생솔잎과 정수된 물을 중량비 0.7:1로 혼합하고, 상기 발효단계에서 생솔잎과 정수된물을 상온에서 2∼3일 자연 발효시키는 기능성 솔잎음료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 방법은 단기 발효액에 관한 것이다.
그 외, 공개특허공보 10-1995-0013417호(1995.06.15. 공개), 공개특허공보 10-1999-0078551호(1999.11.05. 공개) 및, 공개특허공보 10-2001-0107182호 (2001.12.07. 공개)는 솔잎 음료에 관한 것이나, 이들은 모두 유산균 내지 요쿠르트를 포함시킨 것이다.
한편, 칡은 예로부터 차와 같은 음료로서 그 뿌리가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칡순을 이용한 종래 기술로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2993호(2011.04.27. 공개)는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칡순으로부터 추출된 칡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들 수 있으나, 이는 음료에 관한 것이 아니다.
특허공고공보 제10-1993-001275호(1993.02.25.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0353481호(2002.09.09.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0924113호(2009.10.22. 등록) 공개특허공보 10-1995-0013417호(1995.06.15. 공개) 공개특허공보 10-1999-0078551호(1999.11.05. 공개) 공개특허공보 10-2001-0107182호(2001.12.07. 공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소나무의 송진 냄새가 없어 누구나 거부감 없이 진한 솔잎향을 느낄 수 있는 송순 농축액의 효과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첫 번째 목적에 더하여 칡 특유의 단맛과 부드러움을 가미함으로써 기호도를 개선한 송순 농축액의 효과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전술한 목적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송순 농축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A) 송순을 선별하고 세정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B) 이물질이 제거된 송순을 물에 침적하거나 또는 흐르는 물속에 5~10일간 유지하여 송진을 제거하고 세정한 후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와; (C) 토기 항아리 내에, 송진이 제거된 송순 100중량부에 대하여 자당(sucrose) 90~110중량부와 생수 90~110중량부를 혼합하여 장입하는 단계와; (D) 주기적으로 위아래를 뒤집어 가면서 상온에서 6~12개월간 자연 발효시키는 단계와; (E) 자연 발효 종료 후, 여과하여 송순 농축액을 모으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순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원활히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혼합 단계 (C)에서 세절한 칡순 5~20중량부를 포함시키는 송순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원활히 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상기한 자연 발효 후의 당도는 6~8 Brix이고, pH는 3.7~4.0 이다.
상기한 송순으로서는, 적송 송순, 흑송 송순, 잣나무 송순, 또는 이들의 혼합 송순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전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송순 농축액을 제공하는 것에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순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장기 자연 발효에 의하여 소나무의 송진 냄새가 없어 누구나 거부감 없이 진한 솔잎향을 느낄 수가 있으며, 선택적으로 칡순을 추가하면 칡 특유의 단맛과 부드러움을 가미함으로서 특유의 솔잎향을 살리면서도 강한 솔잎향을 적당히 마스킹하여 기호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송순 또는 송순과 칡순의 약리학적, 생리학적 활성 물질과 영양 성분을 보유하는 기능성 송순 농축액을 제공하며, 상기한 송순 농축액은 물 또는 탄산수에 희석하여 음용하거나 요거트나 우유 등을 이용한 스므디(smoothie)에 첨가하거나 또는 제면이나 제빵을 위한 반죽에 첨가하여 사용하거나, 약주에 첨가하여 음용하는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송순(松筍: pine bud)'이라는 용어는 4~5월경에 채취한 솔잎 새싹을 의미하며, 여기서의 솔잎 새싹은 적송 송순, 흑송 송순, 잣나무 송순, 일본 소나무 송순, 또는 이들의 혼합 송순일 수 있으며, 광의로는 새싹이 아닌 솔잎을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정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 송순 선별, 세정 단계:
4월 중순에서 5월말에 송순을 9~12cm 정도되게 채취한 후, 선별하고 세정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송순은 적송, 흑송, 해송, 잣나무, 일본 소나무 등과 같은 소나무속의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잎이 부드럽고 풍미가 좋은 적송과 잣나무이다.
6월에는 항공 방제가 이루어지므로 이때의 송순은 바람직하지 않다.
(B) 송진 제거 단계:
이물질을 제거한 송순을 망에 담아 물에 침적하고 침적수를 하루에 3번 정도 교환하거나 또는 계곡물과 같은 자연 유수 또는 펌프에 의한 강제 유수 중에 넣어 약 5~10일간 유지함으로써, 체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침착되는 인체에 유해한 송진을 제거하고, 다시 세정한 후 물기를 제거한다.
이 때, 경우에 따라서는 송순의 이취 제거 및 송진의 완전한 제거를 위하여 쌀뜻물에 식초를 혼합한 혼합액(부피비로 쌀뜻물:식초 = 10:0.1~0.5)에 12~36시간 침적시켜 둘 수도 있다.
(C) 혼합 단계:
송진이 제거된 송순 100중량부에 대하여 자당(sucrose) 90~110중량부, 특정하게는 100중량부와 생수 90~110중량부, 특정하게는 100중량부를 용기 내에 혼합하여 장입한다.
상기한 자당은 백설탕, 흑설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용기는 숨을 쉴 수 있는 토기 항아리가 바람직하다.
필요하다면, 송순을 세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때는 쓴 맛이 생길 수 있으므로 발효 시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칡순 5~20중량부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칡순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면 칡 특유의 단맛과 부드러움을 가미함으로서 특유의 솔잎향을 살리면서도 강한 솔잎향을 적당히 마스킹하여 기호도를 개선할 수가 있다.
칡순의 첨가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단맛과 부드러움의 가미 정도가 미약하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칡순의 풍미가 강해져 솔잎향을 지나치게 마스킹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칡순은 5월부터 어린 순이 단단해지기 전인 6월 말 이전에 약 10cm 길이로 채취하여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약 3cm 정도로 세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D) 자연 발효 단계:
토기 항아리의 입구를 덮어 혐기 발효시키고 주기적으로 위아래를 뒤집어 가면서 상온에서 6~12개월간 자연 발효시킨다.
뒤집는 주기는 처음 2개월 까지는 1주일에 한 번씩 뒤집고, 그 이후부터는 일이개월에 한두차례씩 뒤집어 주어 균일한 발효가 일어나도록 함과 아울러, 이산화탄소와 같은 발효 기체를 배출시킨다.
자연 발효 완료 후의 당도는 6~8 Brix이고 pH는 3.7~4.0 이다.
(E) 여과 단계:
자연 발효 종료 후, 망으로 여과하여 발효 후 남은 송순과 부유 입자 및 침전 입자를 제거하고 순수한 송순 농축액을 모은다.
(F) 살균 단계:
이어서, 모아진 송순 농축액은 초고온순간(Ultra High Temperature Short Time:UHTST) 살균되며, 히터 코일에 의해 순간적으로 135~140℃로 가열되어 2~3초간 유지하는 것에 의해서 송순 농축액 내의 미생물이 순간적으로 살균되며, 초고온으로 순간적으로 가열된 송순 농축액은 고압분사되어 급팽창시키는 것에 의해 급냉되어 응축 수집된다.
한편, 송순 농축액으로부터 휘발되는 휘발성 정유 성분은 응축 도관을 이용함으로써 포집된 다음, 응축 수집된 송순 농축액과 다시 합쳐지며, 이 상태에서 송순 농축액 중의 미생물 수는 10-7~10-9 범위로 감소된다.
한편, 반응속도상수 k=ae-E/RT(a=실험상수(min-1), T=절대온도(°K), E=활성화에너지(cal/gㆍmol), R=기체상수(1.98cal/gㆍmolㆍ°K)로 나타낼 수 있으며, 활성화 에너지 E의 값은 영양세포와 포자에 대해서는 약 50~100Kcal/gㆍmol인 반면, 효소와 비타민류의 E값은 약 2~20Kcal/gㆍmol에 불과하므로, 이와 같은 고온 단시간의 조작에서는 불필요한 화학반응에 따른 영양성분의 파괴는 최소화되면서도 미생물은 효과적으로 사멸시킬 수가 있다.
필요하다면, 식품에 대한 고도의 안전성 차원에서 미생물 수를 10-9~10-12 정도로 저감시키기 위하여, 초고온순간살균에 후속하여 근래의 비열 살균 방법인 고전압펄스전기장 내로 통과시킬 수도 있으며, 이 방법은 살균 대상 액상 식품을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 용기 중에 통과시키면서 순간적으로 고전압 펄스를 가하는 것에 의하여 미생물의 세포막을 파괴시켜 미생물을 살균시키는 처리 방법으로써, 미생물의 불활성화 처리 중 온도의 상승이 거의 없으며 처리 시간이 짧고 연속 처리가 가능하며 처리 후 식품의 물리적, 화학적 및 영양학적 특성의 변화가 거의 없고 종래의 가열 조작에 비하여 에너지 소비량이 약 1/10에 불과하다.
통상적으로, 고전압펄스전기장의 방전시간은 ㎳(10-3sec)~㎲(10-6sec)의 범위이며 처리시간은 1초 이하이며, 전극 간격은 0.1~0.5㎝ 이하이고, 전기장 세기 3~25㎸/㎝, 펄스폭 0.5㎲~3.0㎲, 주파수 50~80Hz의 고전압 펄스를 순간적으로 수 회 적용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 포장 단계:
살균된 송순 농축액은 미리 고온 살균 처리된 캔, 병, 수지 코팅 종이 패키지 등과 같은 적당한 용기에 주입한 후 밀봉하여 시판될 수 있다.
이때, 필요하다면 살균 처리된 송순 농축액에는 신선감과 청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탄산가스를 1.4~3.5kg/cm2의 압력으로 함유시킬 수도 있으며, 이 때 필요하다면 비타민 C, 및/또는 당업계 공지의 식품공전상의 상안정제를 적량 추가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와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적송 송순을 선별하고 세정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흐르는 물속에 7일간 두어 송진을 제거한 다음, 부피비로 쌀뜻물:식초 = 10:0.3에 24시간 침적하여 이취를 제거함과 아울러 송진을 흡착 제거한 후, 다시 물로 세정하고 물기를 제거하였다.
물기를 제거한 적송 송순 10kg을 토기 항아리 내에 적층해 가면서 흑설탕 6kg과 백설탕 4kg의 혼합 자당을 중간 중간 뿌려 혼합하고, 생수 10kg을 부은 다음, 토기 항아리 입구를 비닐과 고무줄을 이용하여 밀봉하고 뚜껑을 닫아 실온에서 1년간 자연 발효시켰다.
뒤집기는 처음 2개월 까지는 1주일에 한 번씩 수행하고, 그 이후부터는 일개월에 한차례씩 뒤집어 주어 균일한 발효가 일어나도록 하였다.
자연 발효 종료 후, 망으로 여과하여 송순 농축액을 모았다.
얻어진 송순 농축액의 당도는 6.8 Brix이고, pH는 3.84였다.
실시예 2:
상기한 실시예 1에서, 적송 송순 대신에 잣나무 송순을 이용함과 아울러 칡순 1kg을 더 혼합하여 자연 발효 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송순 농축액을 얻었다.
얻어진 송순 농축액의 당도는 7.2 Brix이고, pH는 3.93이었다.
실시예 3:
상기한 실시예 2의 농축 송순액을 140℃에서 2초간 유지하는 초고온순간살균 처리 후, 전극 간격 0.3㎝, 전기장 세기 12㎸/㎝, 펄스폭 1㎲, 주파수 60Hz의 고전압 펄스를 30회 반복 방전시키는 고전압펄스 비열살균을 수행한 후, 2㎛의 포어 사이즈를 가지는 여과막을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병입하고, 시간 변화에 따른 균체 증식에 의한 탁도 변화나 플록 형성 여부 및 침전물 생성 유무를 육안 관찰하였다.
비교예 1:
상기한 실시예 2에서 칡순 혼합량을 300g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송순 농축액을 얻었다.
얻어진 송순 농축액의 당도는 6.9 Brix이고, pH는 3.78이었다.
비교예 2:
상기한 실시예 2에서 칡순 혼합량을 2.5kg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송순 농축액을 얻었다.
얻어진 송순 농축액의 당도는 7.3 Brix이고, pH는 3.97이었다.
비교예 3:
상기한 실시예 1에서 자연 발효 기간을 3개월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송순 농축액을 얻었다.
얻어진 송순 농축액의 당도는 4.9 Brix이고, pH는 3.81이었다.
실험예 1: 관능시험
20대에서 60대에 이르는 연령층의 시식인 30명(각 연령대마다 6 인씩 무작위로 선발: 단, 시식인은 비흡연자임)에게 실시예 1,2와 비교예 1 내지 3의 송순 농축액을 물 5배량으로 희석하여 블라인드 패널 테스트하였다.
풍미에 대한 시험 항목 및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으며, 24 인이 양호한 것으로 판정시는 ◎, 18 인이 양호한 것으로 판정시는 ○, 12 인이 양호한 것으로 판정시는 △, 6 인 이하가 양호한 것으로 판정시는 X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풍미에 대한 관능 시험 결과
평가 항목 솔잎향 부드러운 목넘김 전체적인 풍미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X
비교예 3
상기한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음료는 전체적으로 고른 밸런스를 유지하였으며, 특히 칡순을 적량 첨가한 경우 강한 솔잎향을 약간 마스킹함으로써 거부감을 줄이고 맛과 목넘김이 부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칡순을 소량 첨가한 비교예 1은 실시예 1과 별 차이가 없었던 반면, 칡순을 다량 첨가한 비교예 2는 솔잎향이 나빠짐과 아울러 맛도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자연 발효 기간을 짧게 한 비교예 3 은 매우 강한 솔잎향을 보유하여 상대적으로 거부감을 갖는 사람이 많아졌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경시 안정성
실시예 3의 살균 송순 농축액에 대하여 6개월 간 매월 1회 30㎖ 유리제 메스실린더에 따라붓고 배면 불빛 하에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경시안정성
온도 조건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4℃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35℃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미세한 플록

Claims (5)

  1.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송순(松筍: pine bud) 농축액의 제조방법:
    (A) 송순을 선별하고 세정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B) 이물질이 제거된 송순을 물에 침적하거나 또는 흐르는 물속에 5~10일간 유지하여 송진을 제거하고 세정한 후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와;
    (C) 토기 항아리 내에, 송진이 제거된 송순 100중량부에 대하여 자당(sucrose) 90~110중량부와 생수 90~110중량부를 혼합하여 장입하는 단계와;
    (D) 주기적으로 위아래를 뒤집어 가면서 상온에서 6~12개월간 자연 발효시키는 단계와;
    (E) 자연 발효 종료 후, 여과하여 송순 농축액을 모으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혼합 단계 (C)에서 칡순 5~20중량부를 포함시키는 송순 농축액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자연 발효 후의 당도가 6~8 Brix이고, pH는 3.7~4.0인 송순 농축액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송순으로서는, 적송 송순, 흑송 송순, 잣나무 송순, 또는 이들의 혼합 송순을 사용하는 송순 농축액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송순 농축액.
KR1020210095477A 2021-07-21 2021-07-21 송순 발효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648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477A KR102648839B1 (ko) 2021-07-21 2021-07-21 송순 발효 농축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477A KR102648839B1 (ko) 2021-07-21 2021-07-21 송순 발효 농축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292A true KR20230014292A (ko) 2023-01-30
KR102648839B1 KR102648839B1 (ko) 2024-03-19

Family

ID=8510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477A KR102648839B1 (ko) 2021-07-21 2021-07-21 송순 발효 농축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83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275A (ko) 1991-06-19 1993-01-16 한형수 브라운관용 벌브 전면유리(판넬) 검사장치
KR950013417A (ko) 1993-11-05 1995-06-15 이은선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솔잎 음료의 제조방법
KR19990078551A (ko) 1999-04-15 1999-11-05 김종화 벌꿀솔잎건강음료의제조방법
KR20000028403A (ko) * 1998-10-31 2000-05-25 박재욱 솔잎발효음료및그의제조법
KR20010107182A (ko) 2000-05-25 2001-12-07 최진호 솔잎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 음료의 제법
KR100924113B1 (ko) 2007-11-19 2009-10-29 김경순 기능성 솔잎음료의 제조방법
KR101710278B1 (ko) * 2015-09-24 2017-02-24 선병국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170030223A (ko) * 2015-09-09 2017-03-17 조동휘 발효솔순을 이용한 숙성주의 제조방법
KR20200045762A (ko) * 2018-10-23 2020-05-06 고창군 송순이 함유된 복분자 발효음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275A (ko) 1991-06-19 1993-01-16 한형수 브라운관용 벌브 전면유리(판넬) 검사장치
KR950013417A (ko) 1993-11-05 1995-06-15 이은선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솔잎 음료의 제조방법
KR20000028403A (ko) * 1998-10-31 2000-05-25 박재욱 솔잎발효음료및그의제조법
KR100353481B1 (ko) 1998-10-31 2002-12-18 대한민국 솔잎발효음료 및 그의 제조법
KR19990078551A (ko) 1999-04-15 1999-11-05 김종화 벌꿀솔잎건강음료의제조방법
KR20010107182A (ko) 2000-05-25 2001-12-07 최진호 솔잎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 음료의 제법
KR100924113B1 (ko) 2007-11-19 2009-10-29 김경순 기능성 솔잎음료의 제조방법
KR20170030223A (ko) * 2015-09-09 2017-03-17 조동휘 발효솔순을 이용한 숙성주의 제조방법
KR101710278B1 (ko) * 2015-09-24 2017-02-24 선병국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200045762A (ko) * 2018-10-23 2020-05-06 고창군 송순이 함유된 복분자 발효음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839B1 (ko)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864B1 (ko) 숙취해소 음료
KR100803342B1 (ko)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편백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백 음료
KR101281065B1 (ko) 매실감식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매실감식초
CN107586656A (zh) 一种刺梨全果酒及其制备方法
KR102133447B1 (ko) 수면장애 개선 및 수면유도 효과를 가지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18146A (ko) 녹차발효주 및 그 제조방법
KR100899536B1 (ko) 녹차청주제조방법 및 녹차청주
CN112358923A (zh) 一种茉莉花啤酒的制作方法
CN112314756A (zh) 一种茉莉花茶饮料的制作方法
KR101985666B1 (ko) 노니를 주성분으로 하는 노니청 제조방법
CN107574081A (zh) 一种刺梨酒及其制备方法
KR101721940B1 (ko) 과일 발효주와 과채류를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8839B1 (ko) 송순 발효 농축액의 제조방법
KR20190080853A (ko)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RU2442444C2 (ru)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газированный напиток на основе физиологически функциональных пищевых ингредиентов
KR100568090B1 (ko) 어성초 발효 음료 조성물
CN106666810A (zh) 一种烟草葡萄酒新型烟草制品及其制备方法
KR101950983B1 (ko) 엘더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음료의 제조 방법
KR20110113709A (ko) 바나듐이 함유된 생선회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바나듐이 함유된 생선회 음료 조성물
KR20060004635A (ko) 녹차발효주 및 그 제조방법
KR101928827B1 (ko) 미나리 즙액의 제조방법
KR100930910B1 (ko) 생오미자 과즙액이 함유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1861976A (zh) 一种桂花保健饮料
KR20200089947A (ko) 항균식물 복합 발효액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CN105380225A (zh) 一种白酱油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