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5902A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5902A
KR20220155902A KR1020220041765A KR20220041765A KR20220155902A KR 20220155902 A KR20220155902 A KR 20220155902A KR 1020220041765 A KR1020220041765 A KR 1020220041765A KR 20220041765 A KR20220041765 A KR 20220041765A KR 20220155902 A KR20220155902 A KR 20220155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hell
wall
housing
cross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지 오오사카
요헤이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08287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764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108680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799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108690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80022A/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5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6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 H01R13/6587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for mounting on PC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Paper (AREA)

Abstract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어서 한쪽의 커넥터가 변위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커넥터의 변형 및 파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한쪽의 내측에 다른쪽이 들어가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와 감합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커넥터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 제 2 커넥터가 배치되는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제 2 커넥터는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커넥터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는다.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와 접하는 것에 의해 제 2 커넥터의 변위를 규제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와 감합(끼워맞춤)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조립체 중에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이하, 커넥터 조립체(1)라 함)와 같이, 2개의 커넥터가 서로 감합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커넥터 조립체가 있다.
커넥터 조립체(1)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3)에 의해서 구성된다. 플러그 커넥터(3)는 리셉터클 커넥터(2)가 갖는 제 1 쉘(4)의 내측의 공간에 들어감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2)와 감합되고, 그 결과, 커넥터 조립체(1)가 구성된다.
특허문헌: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9-192656호
상기의 커넥터 조립체(1)에서는 커넥터끼리 감합된 후에, 커넥터의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3)가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해 변위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3)가 갖는 제 2 쉘(5)이 제 1 쉘(4)의 내벽면에 접촉하고, 제 1 쉘(4)로부터 제 2 쉘(5)에 대해 외력이 작용한다. 이 외력에 의해 제 2 쉘(5)이 내측으로 변위하도록 변형된다.
한편, 제 2 쉘(5)은 컨택트(6)를 유지하는 하우징(7)을 둘러싼 상태에서 하우징(7)에 부착되어 있다. 제 2 쉘(5)은 외력을 받아 변형되면 하우징(7)의 측벽에 부딪혀 측벽을 압압하고, 하우징(7)의 측벽은 제 2 쉘(5)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서 변형 또는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에 나타내는 목적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어서 한쪽의 커넥터가 변위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커넥터의 변형 및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한쪽의 내측에 다른쪽이 들어가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와 감합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제 1 커넥터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 제 2 커넥터가 배치되는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제 2 커넥터는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커넥터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고,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와 접하는 것에 의해 제 2 커넥터의 변위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는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와 접하는 것에 의해 제 2 커넥터의 변위를 규제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커넥터의 변위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외력을 억제하고, 그 결과, 그 외력에 의해서 생길 수 있는 제 2 커넥터의 변형 및 파손이 양호하게 억제된다.
또한, 제 1 커넥터는 제 1 컨택트와, 제 1 컨택트를 유지하는 제 1 하우징과, 제 1 하우징을 둘러싸는 제 1 쉘을 가져도 좋다. 제 2 커넥터는 제 1 컨택트와 접속되는 제 2 컨택트와, 제 2 컨택트를 유지하는 제 2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둘러싸는 제 2 쉘을 가져도 좋다. 또한, 제 1 쉘은 감합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쉘의 일단에 개구를 갖고, 또한, 감합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저벽을 가져도 좋다. 이 경우, 돌출부는 저벽에서 개구가 위치하는 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 1 쉘의 저벽으로부터 돌출부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커넥터내에 있어서 돌출부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규제부가 교차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보다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2 커넥터가 교차 방향으로 변위된 경우에는 돌출부에서 보아, 변위의 방향에 규제부가 존재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커넥터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교차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제 1 교차 방향 및 제 2 교차 방향을 포함해도 좋다. 또한,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각각은 제 1 교차 방향보다 제 2 교차 방향에 있어서 길게 연장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는 제 1 교차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 1 교차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커넥터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에서는 커넥터 조립체의 내부에서 차단 실드가 제 1 교차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도 좋다. 이 경우, 돌출부는 제 2 교차 방향에 있어서 차단 실드보다 제 1 커넥터의 코너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 1 교차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커넥터의 변위(상세하게는 감합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더욱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제 1 교차 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2개의 돌출부를 가져도 좋다. 그리고, 규제부는 제 1 교차 방향에 있어서 2개의 돌출부의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2개의 규제부를 가지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2개의 돌출부 및 2개의 규제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교차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커넥터의 변위를 한층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이 2개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제 1 쉘에 부착되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2개의 돌출부 사이에 제 1 하우징을 압입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하우징이 제 1 쉘에 부착된다. 즉, 돌출부는 규제부와 함께 제 2 커넥터의 변위를 규제하는 용도 이외에, 제 1 하우징을 제 1 쉘에 부착하는 용도에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 용도별로 부품(부분)을 나누어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부품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저벽과 동일한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고, 또한, 저벽과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다. 즉, 돌출부와 저벽은 일체 성형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돌출부와 저벽이 별도의 부품인 경우에 비해, 제 1 커넥터의 구성부품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돌출부 및 저벽은 동일한 금속판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제 2 쉘은 감합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벽과, 감합 방향에 있어서의 연장벽의 단에서 교차 방향의 내측을 향해 만곡된 만곡벽을 가져도 좋다. 이 경우, 만곡벽에 있어서의 교차 방향의 내측의 단부에 규제부가 마련되어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 2 쉘의 만곡벽의 일부(상세하게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의 단부)를 이용하여 규제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만곡벽에 있어서의 교차 방향의 내측의 단부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만곡벽 중, 노치가 형성된 부분이 규제부를 구성하고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만곡벽 중, 노치가 형성된 부분을 이용하여 규제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끼리를 감합시킬 때에 돌출부와 만곡벽의 간섭이 회피되기 쉬워지므로, 커넥터끼리를 원활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커넥터의 내측에 제 2 커넥터가 들어가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와 감합되고, 제 2 하우징은 교차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하우징의 단부에 측벽을 갖고, 제 2 커넥터는 제 2 하우징보다 고강성인 보강 부재를 더 구비해도 좋다. 그리고, 보강 부재의 일부분은 측벽에 있어서 제 2 쉘과 대향하는 측에 위치하는 외벽면과, 외벽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내벽면 사이에 들어간 상태에서 측벽에 부착되어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 2 하우징의 측벽의 외벽면과 내벽면 사이에 보강 부재의 일부분이 들어가 측벽에 부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쉘로부터 하우징의 측벽에 대해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측벽에 부착된 보강 부재의 일부분이 외력에 대항하므로, 측벽의 변형 및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2 커넥터가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제 2 커넥터의 변형 및 파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가 실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J-J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커넥터의 전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제 1 커넥터를 하측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커넥터의 분해 기기도이다.
도 14는 제 1 하우징이 2개의 돌출부 사이에 압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커넥터의 전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커넥터의 분해 기기도이다.
도 20은 차단 실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각각을, 하우징 및 컨택트를 제외하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각각을, 하우징 및 컨택트를 제외하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6의 돌출 단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24는 돌출 단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종래예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의 도면에 나타낸 구성예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든 일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형태로부터 변경 또는 개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재질, 형상 및 설계 치수 등은 본 발명의 용도 및 본 발명의 실시 시점에서의 기술 수준 등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방향을 X, Y, Z방향으로 하고, X방향이 커넥터 조립체의 횡폭 방향이고, Y방향이 커넥터 조립체의 전후 방향이며, Z방향이 커넥터 조립체의 상하 방향인 것으로 한다. 여기서, Z방향은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감합 방향에 상당하고, X방향 및 Y방향은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상당한다. 또한, 교차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제 1 교차 방향 및 제 2 교차 방향을 포함하고, X방향이 제 1 교차 방향에 해당하며, Y방향이 제 2 교차 방향에 해당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Z측을 커넥터 조립체의 상측으로 하고, -Z측을 커넥터 조립체의 하측으로 해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Z측은 Z방향에 있어서 제 1 커넥터에서 보았을 때의 제 2 커넥터가 위치하는 측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직교" 및 "평행"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오차의 범위를 포함하고, 엄밀한 직교 및 평행에 대해 몇 도(예를 들면 2∼3°) 미만의 범위내에서 어긋나 있는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와 감합하는 것을 "커넥터 감합"이라고 하는 것으로 하고,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와 감합하고 있는 상태를 "커넥터 감합 상태"로 하는 것으로 한다.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예에 대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 조립체(이하, 커넥터 조립체(100))의 구성의 개요에 대해, 도 1∼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I-I 단면을 나타내며, I-I 단면은 후술하는 차단 플레이트(80)를 통과하는 XZ 평면이다. 도 7은 도 5의 J-J 단면을 나타내며, J-J 단면은 후술하는 돌출부(42)를 통과하는 XY 평면이다.
커넥터 조립체(100)는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커넥터(10), 및 도 2에 나타내는 제 2 커넥터(50)를 구성요소로서 갖는다. 커넥터 조립체(100)에 있어서, 제 1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커넥터이고, 제 2 커넥터(50)는 플러그 커넥터이다. 그리고, 제 1 커넥터(10)의 내측에 제 2 커넥터(50)가 들어가는 것에 의해 커넥터끼리 감합되고, 커넥터 조립체(100)가 구성된다.
제 1 커넥터(10)는 그 -Z측의 단이 도시하지 않은 기판의 표면에 땜납에 의해서 고정되고, 기판에 실장되어 있다. 제 1 커넥터(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을 이루고, X방향보다 Y방향에 있어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제 1 커넥터(10)는 X방향 및 Y방향의 각각의 중앙 위치를 경계로 하여, 대칭인 구조이다.
제 1 커넥터(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컨택트(12, 14)와, 제 1 컨택트(12, 14)를 유지하는 제 1 하우징(20)과, 제 1 하우징(20)을 둘러싸는 제 1 쉘(30)과, 차단 실드(120)를 구성하는 차단 실드편(40)을 갖는다.
제 1 하우징(20)의 Y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하우징 중앙부(21))에 유지된 제 1 컨택트(12)는 저주파 신호 전송용 혹은 급전용의 컨택트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복수(도 1에서는 6개)의 제 1 컨택트(12)가 하우징 중앙부(21)에 유지되어 있다. 제 1 하우징(20)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하우징 단부(22))에 유지된 제 1 컨택트(14)는 고주파 신호 전송용의 컨택트, 즉 RF(Radio Frequency)용의 단자이다. 고주파는 예를 들면 6㎓이상의 주파수 대역이 해당하며, 5G(5th Generation)에 이용되는 28㎓ 대역을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Y측 및 -Y측의 하우징 단부(22)에 각각 1개씩 제 1 컨택트(14)가 유지되어 있다.
제 1 하우징(20)은 절연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며, 제 1 쉘(30)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 1 쉘(30)에 조립되어 있다. 제 1 쉘(30)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틀체이며, +Z측의 단이 개구단이다. 즉, 제 1 쉘(3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에 개구 M을 갖는다. 커넥터 감합시, 제 2 커넥터(50)는 개구 M을 통해 제 1 커넥터(10)의 내측에 들어간다. 그리고,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도 3, 도 4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50) 전체가 제 1 쉘(30)의 내측 공간에 수용된다.
차단 실드편(4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측 및 -Y측의 하우징 단부(22)에 각각 2개씩 부착되어 있다. 각 하우징 단부(22)에 부착된 2개의 차단 실드편(40)은 쌍을 이루며, Y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되어 있다.
제 2 커넥터(50)는 그 +Z측의 단이 도시하지 않은 기판의 표면에 땜납에 의해서 고정되고, 기판에 실장되어 있다. 제 2 커넥터(5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을 이루고, X방향보다 Y방향에 있어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제 2 커넥터(50)는 X방향 및 Y방향의 각각의 중앙 위치를 경계로 하여, 대칭인 구조이다.
제 2 커넥터(5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컨택트(52, 54)와, 제 2 컨택트(52, 54)를 유지하는 제 2 하우징(60)과, 제 2 하우징(60)을 둘러싸는 제 2 쉘(70)과, 차단 실드(120)를 구성하는 차단 플레이트(80)를 갖는다.
제 2 하우징(60)의 Y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하우징 중앙부(61))에는 제 1 컨택트(12)와 동수(도 2에서는 6개)의 제 2 컨택트(52)가 유지되어 있다. 각 제 2 컨택트(52)는 제 1 컨택트(12)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대응하는 제 1 컨택트(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간에서의 저주파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하우징(60)의 +Y측 및 -Y측의 단부(하우징 단부(62))의 각각에는 고주파 신호 전송용의 제 2 컨택트(54)가 1개씩 유지되어 있다. 각 제 2 컨택트(54)는 제 1 컨택트(14)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대응하는 제 1 컨택트(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간에서의 고주파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하우징(60)은 절연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며, 제 2 쉘(70)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 2 쉘(70)에 조립되어 있다. 제 2 쉘(70)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틀체이며,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쉘(70)의 외벽면이 제 1 쉘(30)의 내벽면과 인접한다.
차단 플레이트(8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으로 연장하는 금속 플레이트이며,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제 2 하우징(60)에 부착되어 있다. 차단 플레이트(80)는 Y방향에 있어서, +Y측 및 -Y측의 하우징 단부(22)에 유지된 제 2 컨택트(54) 사이에 복수(도 2에서는 2개)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차단 플레이트(80)는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차단 실드편(40)과 함께 차단 실드(120)를 구성한다(도 20∼도 22 참조).
차단 실드(120)는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100)의 내부에 마련되고, +Y측 및 -Y측에 1개씩 배치된 고주파 신호용의 컨택트 사이에 복수(구체적으로는 2개) 배치된다. 각각의 차단 실드(120)는 고주파 신호용의 컨택트 사이에 있어서의 신호의 크로스 토크를 억제하기 위해, X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도 21 및 도 22 참조).
≪제 1 커넥터의 상세 구성에 대해≫
제 1 커넥터(10)의 상세 구성에 대해, 도 8∼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제 1 하우징(20)이 2개의 돌출부(42) 사이에 압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이 단면은 돌출부(42)를 통과하는 XZ 평면이다.
제 1 하우징(20)은 Y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부분,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중앙부(21)와 +Y측 및 -Y측의 하우징 단부(22)를 갖는다. 하우징 중앙부(21)는 도 8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중앙 볼록부(23)와, X방향에 있어서 중앙 볼록부(23)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방 볼록부(24)를 구비한다. 중앙 볼록부(23) 및 2개의 측방 볼록부(24)는 Y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중앙 볼록부(23)와 각 측방 볼록부(24) 사이에는 감입(끼워넣음) 홈(25)이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감입 홈(25)에는 Y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도 1에서는 3개)의 제 1 컨택트(12)가 감입되어 있다.
제 1 하우징(20) 중, +Y측 및 -Y측의 각각의 하우징 단부(22)는 도 8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의 중앙 부분에, Y방향 내측에 움푹패여 형성된 감입 오목부(26)를 갖는다. 감입 오목부(26)에 있어서, Y방향 외측의 단은 개구단으로 되어 있고, 그 이외의 단은 +Z측에 수직으로 상승한 벽면에 의해서 닫혀 있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감입 오목부(26)에는 제 1 컨택트(14)가 Y방향 내측에 압입되어 감입되어 있다.
또한, 각 하우징 단부(22)는 도 8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측 및 -X측의 단부의 각각에, Y방향 외측에 움푹패여 형성된 계합(걸어맞춤) 오목부(27)를 갖는다. 계합 오목부(27)에 있어서, Y방향 내측의 단은 개구단으로 되어 있고, 그 이외의 단은 +Z측에 수직으로 상승한 벽면에 의해서 닫혀 있다. 그리고, 계합 오목부(27)에는 차단 실드편(40)이 들어가고, 차단 실드편(40)은 계합 오목부(27)에 있어서 Y방향 외측의 단에 위치하는 벽면과 계합된다.
차단 실드편(40)은 측방에서 보아 대략 S자 형상으로 굴곡되고, 또한 +Z측으로 돌출된 금속편으로 이루어진다. 차단 실드편(40)은 도 8, 도 9,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에 있어서, 하우징 중앙부(21)에 유지된 제 1 컨택트(12)보다 외측에 마련되고, 하우징 단부(22)에 유지된 제 1 컨택트(14)와 대략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단 실드편(40)이 제 1 쉘(30)과 일체화되어 있고, 제 1 쉘(30)과 동일한 금속판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형상으로 펀칭된 제 1 쉘(30)의 저벽(31)의 일부분을 +Z측으로 기립시켜 대략 S자 형상으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차단 실드편(40)이 구성되어 있다.
제 1 쉘(30)은 제 1 커넥터(10)가 실장된 기판 중, 도시하지 않은 접지용의 도전 패턴에 접하고, 접지 전위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쉘(30)은 실드 기능을 발휘하고, 제 1 컨택트(12, 14)에 대한 외계로부터의 영향(전자적 간섭)을 차단한다.
제 1 쉘(30)은 도 8∼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측의 단부(즉, 개구 M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마련된 저벽(31)과, 저벽(31)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Z측으로 상승한 측벽(32)을 갖는다. 측벽(32)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Y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장변 부분(33)과, X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단변 부분(34)을 갖는다. 한 쌍의 장변 부분(33)과 한 쌍의 단변 부분(34)은 도 8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매없이 또한 단락없이 연결되어 있다. 즉, 측벽(32)은 제 1 쉘(30)의 전체둘레에 걸쳐 심리스로 연속되어 있다.
또한, 측벽(32)의 +Z측의 단부(상단부)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쉘(30)의 외측을 향해 굴곡되고, 플랜지 부분(35)을 형성하고 있다. 플랜지 부분(35)은 제 1 쉘(30)에 있어서 개구 M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측벽(32)의 상단부가 제 1 쉘(30)의 외측을 향해 굴곡되어 플랜지 부분(35)을 형성하기 때문에, 커넥터 감합시에는 제 2 커넥터(50)가 제 1 쉘(30)의 내측에 적절히 안내된다.
또한, 측벽(32)에는 도 8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32)의 벽체를 내측에 밀어넣는 것에 의해 제 1 쉘(30)의 내측으로 융기한 융기부(36)가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저벽(31)은 XY 평면을 따른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9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쉘(30)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저벽(31)의 상면(+Z측의 표면)에는 제 1 하우징(20)이 탑재되고, 저벽(31)의 하면(-Z측의 표면)은 기판에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벽(31)이 측벽(32)과 일체 성형되어 있고, 상세하게는 측벽(32)과 동일한 금속판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8∼도 13에 나타내는 제 1 쉘(30)은 1개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금속판에 대해 드로잉 가공(엄밀하게는 각통 드로잉 가공)을 적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금속판의 재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황동 및 청동 등의 구리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등이 이용 가능하다. 금속판의 판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6㎜∼0.15㎜로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벽(31)의 대부분이 펀칭되어 있고, 가장자리부(37)와 우각부(38)와 연락부(39)에 의해서 저벽(31)이 구성되어 있다. 가장자리부(37)는 도 9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쉘(30)의 내측 공간의 바깥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된 폭이 가느다란 부분이다. 우각부(38)는 제 1 쉘(30)의 4개의 모서리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의 단편 형상으로 존재한다.
연락부(39)는 X방향에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 가장자리부(37)에 있어서의 +X측의 단부와 -X측의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이고, 도 9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위치에 복수(구체적으로는 2개) 마련되어 있다. +Y측 및 -Y측에 마련된 연락부(39)는 Y방향에 있어서, +Y측의 우각부(38)와 -Y측의 우각부(3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락부(39)에는 전술한 차단 실드편(40)이 연속되어 있고, +Y측 및 -Y측의 연락부(39)의 각각으로부터 2개의 차단 실드편(40)이 +Z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Y방향에 있어서 연락부(39)가 마련된 위치는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차단 실드(120)가 마련되는 위치에 상당한다.
제 1 쉘(30)의 내측에는 도 8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31)으로부터 +Z측, 즉, 제 1 커넥터(10)에서 보아 제 2 커넥터(50)가 배치되는 측에 돌출된 돌출부(42)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42)는 기둥 형상의 볼록부이며, 저벽(31)으로부터 개구 M이 위치하는 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량(상세하게는 저벽(31)의 상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은 약 0.1㎜이다. 돌출부(42)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위치에 2개 배치되어 있고, 도 8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돌출부(42)는 +Y측 및 -Y측에 1조씩 마련되어 있다.
+Y측 및 -Y측에 각각 마련된 2개의 돌출부(42)는 제 1 커넥터(10)의 X방향 중앙을 경계로 하여 대칭인 구조이고, 2개의 돌출부(42)의 각각은 Y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X방향에 있어서의 2개의 돌출부(42)의 간격은 제 1 하우징(20)의 하우징 단부(22)의 횡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이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42)의 X방향 내측의 단면(즉, 쌍을 이루는 돌출부(42)와 대향하는 측의 단면)은 산 형상으로 팽창돌출되어 있다.
또한, 각 돌출부(42)는 도 8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쉘(30)내에 있어서 제 1 쉘(30)의 4개의 모서리(바꿔 말하면, 제 1 커넥터(10)의 코너부)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Y측에 마련된 2개의 돌출부(42)는 +Y측의 연락부(39), 즉 +Y측에 마련되는 차단 실드(120)보다 제 1 커넥터(10)의 +Y측의 코너부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Y측에 마련된 2개의 돌출부(42)는 -Y측의 연락부(39), 즉 -Y측에 마련되는 차단 실드(120)보다 제 1 커넥터(10)의 -Y측의 코너부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돌출부(42)가, 제 1 쉘(30)의 저벽(31) 및 측벽(32)과 동일한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세하게는 저벽(31) 및 측벽(32)과 동일한 금속판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우각부(38)의 꼭대기부(내측의 단부)에 랜싱 가공을 실시하고, +Z측에 기립시키는 것에 의해서 돌출부(42)가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쉘(30)의 저벽(31) 및 측벽(32), 돌출부(42) 및 차단 실드편(40)이 모두 일체화되어 있다. 그 결과, 이들 부분의 각각이 별도의 부품으로 나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제 1 커넥터(10)의 구성부품 수가 더욱 적어진다. 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42)가 제 1 쉘(30)과는 별도의 부품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다.
이상에 설명한 돌출부(42)는 제 1 하우징(20)을 제 1 쉘(30)에 부착하기 위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하우징(20)을 개구 M측으로부터 제 1 쉘(30)내에 넣어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이 때,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단부(22)가 2개의 돌출부(42) 사이에 압입되어 돌출부(42)끼리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하우징(20)이 제 1 쉘(30)에 부착된다(조립된다).
≪제 2 커넥터의 상세 구성에 대해≫
제 2 커넥터(50)의 상세 구성에 대해, 도 15∼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2 하우징(60)은 Y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부분,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중앙부(61)와 +Y측 및 -Y측의 하우징 단부(62)를 갖는다. 하우징 중앙부(61)는 도 15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측에 상승되고 Y방향으로 연장된 컨택트 유지부(63)를 갖는다. 컨택트 유지부(63)는 X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2개 마련되어 있다. 각 컨택트 유지부(63)에는 Y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움푹패임부가 형성되고, 각 움푹패임부에 제 2 컨택트(52)가 압입되어 있다.
하우징 단부(62)는 도 15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유지부(64)와, 컨택트 유지부(64)의 외측에 배치된 측벽(65, 66)을 갖는다. 컨택트 유지부(64)는 Y방향 내측에 형성된 움푹패임부를 갖고, 그 움푹패임부에 제 2 컨택트(54)가 압입되어 있다.
측벽(65)은 -Z측에 수직으로 상승된 벽이며, 각각의 하우징 단부(62)의 가장자리 부분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단부(62)의 X방향에 있어서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측벽(65)(이하, X방향의 측벽(65))이 세워 마련되어 있다. X방향의 측벽(65)은 제 2 하우징(60)의 X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측단부)를 이루고 있다. 또한, 하우징 단부(62)의 Y방향 외측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2개의 측벽(66)(이하, Y방향의 측벽(66))이 X방향에 간격을 두고 세워 마련되어 있다. 제 2 컨택트(54)가 압입되는 움푹패임부는 도 15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 Y방향의 측벽(66)끼리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각 측벽(65, 66)은 두께를 갖고,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2 쉘(70)과 대향하는 측에 위치하는 외벽면 S1과, 외벽면 S1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내벽면 S2를 갖는다(도 23 참조). 외벽면 S1은 Z방향에 평행한 평면이며, 제 2 쉘(70)의 내벽면과 인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벽면 S1과 제 2 쉘(70)의 내벽면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도 23 참조). 또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간극이 한없이 작아도 좋고, 혹은 외벽면 S1이 제 2 쉘(70)의 내벽면에 인접해도 좋다.
X방향의 측벽(65)의 내측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 외측에 사다리꼴 형상으로 움푹패여 형성된 측벽 오목부(67)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하우징(60)이 제 2 쉘(70)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 오목부(67)와 제 2 쉘(70)의 규제부(78)가 Z방향으로 중첩된다. 상세하게는 측벽 오목부(67)와 규제부(78)가 각각의 바깥 가장자리끼리가 일치하도록 중첩된다.
Y방향의 측벽(66)의 내측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 외측에 움푹패여 형성된 계합 오목부(68)가 마련되어 있다. 계합 오목부(68)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쉘(70)의 계합편부(77)가 계합된다.
제 2 쉘(70)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황동 및 청동 등의 구리합금 또는 스테인리스의 판재에 의해 구성된다. 제 2 쉘(70)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판 두께는 예를 들면 0.06㎜∼0.15㎜로 설정된다. 제 2 쉘(70)의 +Z측의 단은 제 2 커넥터(50)가 실장된 기판 중, 도시하지 않은 접지용의 도전 패턴에 접하고, 접지 전위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쉘(70)은 실드 기능을 발휘하고, 제 2 컨택트(52, 54)에 대한 외계로부터의 영향(전자적 간섭)을 차단한다. 또한, 제 2 쉘(70)은 그 전체둘레에 걸쳐 기판에 땜납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 2 쉘(70)은 도 15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에 있어서 2개의 단편으로 분할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평면에서 보아 대략 C자 형상을 이루는 2개의 각 단편이, 각각의 립측의 단(열린 측의 단)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 2 쉘(70)을 구성한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쉘(70)은 1개의 연속체로 분할 불가능한 틀체라도 좋다.
제 2 쉘(70)을 구성하는 2개의 단편의 구조는 Y방향에 있어서 대칭이다. 각 단편은 도 15∼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제 1 벽부(71)와, X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제 1 벽부(71)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벽부(72)를 갖는다. 제 1 벽부(71)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방향에 수직으로 상승하고 또한 Y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벽(73)과, 연장벽(73)의 -Z측의 단에서 X방향 내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만곡벽(74)을 갖는다. 연장벽(73)의 +Z측의 단부의 소정 개소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노치되어 있다. 이 노치내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단 플레이트(80)의 X방향 단부(상세하게는 연장 부분(81)의 단부)가 임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 1 벽부(71)의 각각에서는 도 15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벽(74)의 Y방향 외측이고 또한 X방향 내측의 단부에, 평면에서 보아 사다리꼴 형상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치의 형상은 사다리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이어도 좋다.
상기의 노치는 커넥터 감합시에 제 1 커넥터(10)의 돌출부(42)가 제 2 쉘(70),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벽부(71)의 만곡벽(74)과 간섭하는 것을 피할 목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의 노치는 X방향 및 Y방향에 있어서 돌출부(42)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커넥터(10)에서는 +Y측 및 -Y측의 각각에, X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2개의 돌출부(42)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과 대응하도록, 제 2 커넥터(50)에서는 +Y측 및 -Y측의 각각에 있어서, X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제 1 벽부(71)의 각각의 만곡벽(74)에 상기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만곡벽(74) 중, 노치가 형성된 부분은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을 때에 제 2 커넥터(50)의 X방향 및 Y방향의 변위(위치 어긋남)를 규제하기 위해 이용된다. 바꿔 말하면, 만곡벽(74) 중, 노치가 형성된 부분이 제 2 커넥터(50)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78)를 구성하고 있다. 규제부(78)는 도 15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벽(74)의 X방향 내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2개의 돌출부(42)의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규제부(78)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 2 쉘(70)의 +Y측 및 -Y측의 각각의 단부에는 X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규제부(7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규제부(78)는 도 15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쉘(70)내에 있어서 제 2 쉘(70)의 4개의 모서리(바꿔 말하면, 제 2 쉘(70)의 코너부)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Y측에 마련된 2개의 규제부(78)는 +Y측의 차단 플레이트(80), 즉 +Y측에 마련되는 차단 실드(120)보다 제 2 커넥터(50)의 +Y측의 코너부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Y측에 마련된 2개의 규제부(78)는 -Y측의 차단 플레이트(80), 즉 -Y측에 마련되는 차단 실드(120)보다 제 2 커넥터(50)의 -Y측의 코너부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벽부(72)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방향에 수직으로 상승하고 또한 X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벽(75)과, 연장벽(75)의 -Z측의 단에서 Y방향 내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만곡벽(76)을 갖는다. 연장벽(75)의 X방향 양단부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Y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부분(이하, 연장벽 단부(75A))을 갖는다. 연장벽 단부(75A)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 제 1 벽부(71)의 연장벽(73)과 평행하고 또한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만곡벽(76)에는 도 15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 내측의 단에서 -Z측을 향해 역J자 형상으로 만곡된 계합편부(7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벽부(71) 및 제 2 벽부(72)의 각각에는 도 17∼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벽(73, 75)의 외표면으로부터 비드 형상으로 융기한 돌기부(79)가 마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2 쉘(70)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합편부(77)를 계합 오목부(68)에 꽂아넣는 것에 의해 제 2 하우징(60)의 -Z측 단부에 부착된다.
차단 플레이트(80)는 제 2 하우징(60)보다 고강성의 부재, 구체적으로는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황동 및 청동 등의 구리합금의 판재에 의해서 구성된다. 차단 플레이트(80)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판 두께는 예를 들면 0.06㎜∼0.15㎜의 범위내에서 설계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단 플레이트(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제 2 하우징(60)에 부착되어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하우징(60)에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하고, 그 오목부에 차단 플레이트(80)를 압입함으로써 제 2 하우징(60)에 차단 플레이트(80)를 부착해도 좋다.
차단 플레이트(80)는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차단 실드편(40)과 함께 차단 실드(120)를 구성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하우징(60)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이 보강 기능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또한, +Y측의 차단 플레이트(80)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유지부(63)에 유지된 복수의 제 2 컨택트(52)와, +Y측의 컨택트 유지부(64)에 유지된 제 2 컨택트(5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Y측의 차단 플레이트(80)는 컨택트 유지부(63)에 유지된 복수의 제 2 컨택트(52)와, -Y측의 컨택트 유지부(64)에 유지된 제 2 컨택트(5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차단 플레이트(80)의 저면(+Z측의 면)은 땜납에 의해서 기판에 X방향을 따라 고정되어 있다. 또한, 차단 플레이트(80)는 +X측의 단에서 -X측의 단까지의 전체 범위에 걸쳐 연속해서 납땜되어도 좋고, 혹은 X방향에 있어서 단속적으로 납땜되어도 좋다.
차단 플레이트(80)는 +Z측의 단부에, X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 부분(81)을 갖는다(도 6 참조). 연장 부분(81)은 각기둥 형상을 이루는 부분이며, 제 2 하우징(60)의 저부에 매립되어 있다. 연장 부분(81)의 +Z측의 단면은 제 2 하우징(60)의 저부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며, 기판에 땜납으로 고정되어 있다.
연장 부분(81)의 X방향 중앙부에는 -Z측을 향해 수직으로 상승한 혀 형상의 제 1 차단부(82)가 연장 부분(81)과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다(도 6 참조). X방향에 있어서 제 1 차단부(82)의 양측 위치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측을 향해 만곡되면서 상승한 제 2 차단부(83)가 마련되어 있다. +X측 및 -X측의 각각에 배치된 제 2 차단부(83)는 측방에서 보아 S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탄성을 갖는다.
또한, 차단 플레이트(80)는 X방향에 있어서 제 2 차단부(83)보다 외측의 위치에, 연장 부분(81)의 -Z측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단부(84)가 연장 부분(81)과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다(도 6 및 도 23 참조). 돌출 단부(84)는 차단 플레이트(80)의 X방향 양단부의 각각에 마련되고, 연장 부분(81)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돌출 단부(84)는 차단 플레이트(80)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제 2 하우징(60)에 부착됨으로써, 제 2 하우징(60)이 구비하는 X방향의 측벽(65)내에 매립되어 있다(도 6 참조). 구체적으로는 +X측의 측벽(65)에는 +X측의 돌출 단부(84)가 매립되어 있고, -X측의 측벽(65)에는 -X측의 돌출 단부(84)가 매립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차단 플레이트(80)의 일부분인 돌출 단부(84)는 X방향에 있어서의 측벽(65)의 외벽면 S1과 내벽면 S2 사이에 들어간 상태에서 측벽(65)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돌출 단부(8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측벽(65)에 대해 빠지기 어려운 상태로 매립되어 있다.
≪커넥터 감합 상태에 대해≫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을 때의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에 대해, 도 20∼도 2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0은 차단 실드(12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이 단면은 차단 실드편(40) 및 차단 플레이트(80)를 통과하는 YZ 평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는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의 각각을, 하우징 및 컨택트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6의 돌출 단부(84) 부근의 확대도이고, 도 24는 도 23과 대응하는 도면이며, 돌출 단부(84)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제 1 쉘(30)의 내측에 제 2 커넥터(50)의 전체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제 2 쉘(70)이 X방향 및 Y방향에 있어서 제 1 쉘(30)에 접한다. 상세하게는 제 2 쉘(70)에 마련된 돌기부(79)가, 제 1 쉘(30)의 측벽(32)의 내벽면과 접촉한다(도 6 참조). 또한, 측벽(32)에 마련된 융기부(36)가 제 2 쉘(70)의 외벽면에 접촉한다(도 6 참조).
또한,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도 20∼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단 플레이트(80)가 구비하는 2개의 제 2 차단부(83)의 각각이 탄성변형되면서, 대응하는 차단 실드편(40)과 당접하고, 차단 실드편(40)과의 접촉을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차단 플레이트(80)와 차단 실드편(40)이 차단 실드(120)를 구성한다.
또한,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10)에 있어서 +Y측 및 -Y측에 각각 배치된 2개의 돌출부(42)의 각각이, 제 2 쉘(70)의 만곡벽(74)에 마련된 규제부(78)와 대향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X방향에 있어서, 각 돌출부(42)보다 외측의 위치에 규제부(78)가 배치되어 있고, 돌출부(42)와 규제부(78)의 가장자리는 약간의 클리어런스를 두고 서로 인접하고 있다(도 7 참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 돌출부(42)는 만곡벽(74)에 있어서 규제부(78)를 이루는 노치 부분의 내측에 들어가 있다. 또한, 통상의 커넥터 감합 상태, 즉, 제 2 커넥터(50)가 제 1 쉘(30)내의 정규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돌출부(42)는 규제부(78)의 가장자리에서 약 0.05㎜만큼 떨어져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78)는 제 1 커넥터(10)에 대한 제 2 커넥터(50)의 X방향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 2 커넥터(50)가 제 1 커넥터(10)에 대해 Z축을 중심으로 비트는 방향(도 4 중, 굵은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규제부(78)(엄밀하게는 돌출부(42)에서 보아 제 2 커넥터(50)가 변위되는 방향과 동일한 측에 있는 규제부(78))가 X방향에 있어서 돌출부(42)와 접한다. 상세하게는 규제부(78)를 이루는 노치의 가장자리 중, X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돌출부(42)를 계지(걸어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커넥터(50)의 변위가 규제된다.
그리고, 규제부(78)에 의해 제 2 커넥터(50)의 변위가 규제되는 것에 의해, 그 변위에 기인하는 제 2 커넥터(50)의 변형 및 손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제 2 쉘(70)의 외벽면이 제 1 쉘(30)의 내벽면에 접하고 있다(도 6 참조). 그 때문에, 제 2 커넥터(50)가 상기의 비틀림 방향으로 변위되면, 제 2 쉘(70)이 제 1 쉘(30)에 의해 X방향 내측으로 압압되고, 제 2 쉘(70)의 제 1 벽부(71)가 X방향 내측으로 변위된다. 그리고, 제 2 쉘(70)은 제 2 하우징(60)에 있어서의 X방향의 측벽(65)과 당접하고, 측벽(65)에는 제 2 쉘(70)로부터 X방향 내측의 외력(이하, 비틀림시의 외력)이 작용한다. 측벽(65)은 수지 성형품이기 때문에, 비틀림시의 외력이 부여됨으로써 X방향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변형되고, 변형량이 커지면 손상 또는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100)에서는 돌출부(42)가 규제부(78)에 당접하는 것에 의해서 제 2 쉘(70)의 X방향의 변위가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비틀림시의 외력이 측벽(65)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고, 측벽(65)의 변형 및 손상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42)가 차단 실드(120)보다 제 1 커넥터(10)의 코너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규제부(78)가 차단 실드(120)보다 제 2 커넥터(50)의 코너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비틀림 방향으로 제 2 커넥터(50)가 변위되는 것을 돌출부(42) 및 규제부(78)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력에 대한 제 2 하우징(60)의 강도, 상세하게는 X방향의 측벽(65)의 강도가 차단 플레이트(80)에 의해서 높아져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단 플레이트(80)의 돌출 단부(84)가 측벽(65)의 외벽면 S1과 내벽면 S2 사이에 들어가 있다. 이것에 의해, 측벽(65)에 작용하는 비틀림시의 외력을 돌출 단부(84)에 의해서 받아낼 수 있다. 그 결과, 측벽(65)의 변형을 규제하고, 이로써, 측벽(65)의 손상 및 파손을 억제하여 제 2 커넥터(5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 단부(84)가, X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면(X방향 외측의 단면)은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 측벽(65)의 외벽면 S1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또한 외벽면 S1과 연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비틀림시의 외력에 대항하는 차단 플레이트(80)의 효과가 더욱 적절하게 발휘된다.
또한, 돌출 단부(84)의 선단면은 외벽면 S1과 동일 평면상에 있고, 또한 외벽면 S1에 둘러싸인 상태에서 노출되어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돌출 단부(84)의 선단면과 외벽면 S1 사이에 간극이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 단부(84)의 선단면이 X방향에 있어서 외벽면 S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도 좋다. 또한,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돌출 단부(84)의 선단면이 X방향에 있어서 외벽면 S1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외벽면 S1과 내벽면 S2 사이에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단 플레이트(80)가 X방향을 따라 기판에 땜납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차단 플레이트(80)의 X방향 단부에 돌출 단부(84)가 마련되어 있다. 비틀림시의 외력은 X방향을 따라 작용하기 때문에, 비틀림시의 외력에 대항하는 차단 플레이트(80)의 효과는 땜납에 의한 기판과의 접합력과 아울러, 더욱 유효하게 발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2 쉘(70)이 제 1 쉘(30)에 접해 있고, 제 2 쉘(70)이 제 1 쉘(30)로부터 당접력을 받아 X방향 내측으로 변형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X방향의 측벽(65)에 비틀림시의 외력이 작용하기 쉬운 상황에 있고, 비틀림시의 외력에 대항하는 차단 플레이트(80)의 효과가 더욱 의의가 있는 것으로 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이상까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 대해, 구체예를 들어 설명해 왔지만,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든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 이외의 실시형태도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 1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이고, 규제부를 구비하는 제 2 커넥터가 플러그 커넥터이며, 제 1 커넥터의 내측에 제 2 커넥터가 들어가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 1 커넥터가 플러그 커넥터이고, 규제부를 구비하는 제 2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제 2 커넥터의 내측에 제 1 커넥터가 들어가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가 X방향에 있어서 규제부의 가장자리에 접하는 것에 의해, X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커넥터의 변위를 규제하는 것으로 하였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가 Y방향에 있어서 규제부에 접하여 Y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커넥터의 변위를 규제하도록, 돌출부 및 규제부가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을 때, 규제부가 교차 방향(구체적으로는 X방향)에 있어서 돌출부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커넥터가 변위되었을 때에 돌출부의 외측에서 돌출부가 규제부와 접하는 것으로 하였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규제부가 교차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돌출부의 내측에서 돌출부가 규제부와 접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쉘(30) 및 제 2 쉘(70)의 각각의 외형 형상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인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평면에서 보아 원 형상, 사다리꼴 또는 마름모 등의 직사각형 이외의 사각형, 혹은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이어도 좋다.
1; 커넥터 조립체 2; 리셉터클 커넥터
3; 플러그 커넥터 4; 제 1 쉘
5; 제 2 쉘 6; 컨택트
7; 하우징 10; 제 1 커넥터
12, 14; 제 1 컨택트 20; 제 1 하우징
21; 하우징 중앙부 22; 하우징 단부
23; 중앙 볼록부 24; 측방 볼록부
25; 감입 홈 26; 감입 오목부
27; 계합 오목부 30; 제 1 쉘
31; 저벽 32; 측벽
33; 장변 부분 34; 단변 부분
35; 플랜지 부분 36; 융기부
37; 가장자리부 38; 우각부
39; 연락부 40; 차단 실드편
42; 돌출부 50; 제 2 커넥터
52, 54; 제 2 컨택트 60; 제 2 하우징
61; 하우징 중앙부 62; 하우징 단부
63, 64; 컨택트 유지부 65, 66; 측벽
67; 측벽 오목부 68; 계합 오목부
70; 제 2 쉘 71; 제 1 벽부
72; 제 2 벽부 73, 75; 연장벽
75A; 연장벽 단부 74, 76; 만곡벽
77; 계합편부 78; 규제부
79; 돌기부 80; 차단 플레이트
81; 연장 부분 82; 제 1 차단부
83; 제 2 차단부 84; 돌출 단부
100; 커넥터 조립체 M; 개구
S1; 외벽면 S2; 내벽면

Claims (12)

  1.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한쪽의 내측에 다른쪽이 들어가 상기 제 1 커넥터가 상기 제 2 커넥터와 감합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가 배치되는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커넥터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고,
    상기 제 1 커넥터가 상기 제 2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커넥터의 변위를 규제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컨택트와, 상기 제 1 컨택트를 유지하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을 둘러싸는 제 1 쉘을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컨택트와 접속되는 제 2 컨택트와, 상기 제 2 컨택트를 유지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을 둘러싸는 제 2 쉘을 갖고,
    상기 제 1 쉘은 상기 감합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쉘의 일단에 개구를 갖고, 또한 상기 감합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저벽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저벽에서 상기 개구가 위치하는 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가 상기 제 2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제 1 교차 방향 및 제 2 교차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 각각은 상기 제 1 교차 방향보다 상기 제 2 교차 방향에 있어서 길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커넥터가 상기 제 2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 1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가 상기 제 2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내부에서 차단 실드가 상기 제 1 교차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차단 실드보다 상기 제 1 커넥터의 코너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교차 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2개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 1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돌출부의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2개의 규제부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이 상기 2개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쉘에 부착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저벽과 동일한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저벽과 일체화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저벽은 동일한 금속판에 의해서 형성된 커넥터 조립체.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쉘은 상기 감합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벽과, 상기 감합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벽의 단에서 상기 교차 방향의 내측을 향해 만곡된 만곡벽을 갖고,
    상기 만곡벽에 있어서의 상기 교차 방향의 내측의 단부에 상기 규제부가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벽에 있어서의 상기 교차 방향의 내측의 단부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만곡벽 중에서 상기 노치가 형성된 부분이 상기 규제부를 구성하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내측에 상기 제 2 커넥터가 들어가 상기 제 1 커넥터가 상기 제 2 커넥터와 감합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하우징의 단부에 측벽을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하우징보다 고강성인 보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강 부재의 일부분은 상기 측벽에 있어서 상기 제 2 쉘과 대향하는 측에 위치하는 외벽면과, 상기 외벽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내벽면 사이에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측벽에 부착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220041765A 2021-05-17 2022-04-04 커넥터 조립체 KR202201559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82870A JP2022176435A (ja) 2021-05-17 2021-05-17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21-082870 2021-05-17
JP2021086800A JP2022179959A (ja) 2021-05-24 2021-05-24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2021086902A JP2022180022A (ja) 2021-05-24 2021-05-24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21-086902 2021-05-24
JPJP-P-2021-086800 2021-05-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902A true KR20220155902A (ko) 2022-11-24

Family

ID=82746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765A KR20220155902A (ko) 2021-05-17 2022-04-04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220368045A1 (ko)
KR (1) KR20220155902A (ko)
CN (4) CN217306840U (ko)
TW (2) TWI8195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81280S (ko) * 2020-09-30 2021-03-15
JP1698703S (ja) * 2021-04-16 2021-11-01 コネクタ
JP1708464S (ja) * 2021-07-01 2022-02-25 コネクタ
WO2024096256A1 (ko) * 2022-11-04 2024-05-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WO2024096257A1 (ko) * 2022-11-04 2024-05-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2656A (ja) 2017-11-06 2019-10-3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4253B2 (ja) * 2009-09-11 2012-06-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TWM392471U (en) * 2010-05-06 2010-1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747953B2 (ja) * 2013-06-27 2015-07-15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EP3051634B1 (en) * 2013-09-27 2020-01-15 KYOCERA Corporation Connector
JP5887326B2 (ja) * 2013-12-12 2016-03-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9391398B2 (en) *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CN105098413B (zh) * 2014-04-17 2017-09-2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JP6269558B2 (ja) * 2014-06-05 2018-01-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JP6279989B2 (ja) * 2014-06-25 2018-02-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404248B2 (ja) * 2016-02-15 2018-10-1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807218B2 (ja) * 2016-11-18 2021-01-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842359B2 (ja) * 2017-05-10 2021-03-1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EP3462820B1 (en) * 2017-09-29 2021-08-04 Hosiden Corporation Connector box and method of its assembly
JP6998752B2 (ja) * 2017-12-14 2022-02-0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6554567B2 (ja) * 2018-01-18 2019-07-3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JP2019186062A (ja) * 2018-04-11 2019-10-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041368B1 (ko) *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JP6714056B2 (ja) * 2018-09-12 2020-06-2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7148357B2 (ja) * 2018-10-18 2022-10-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TWM584995U (zh) * 2019-06-26 2019-10-11 宏致電子股份有限公司 母座連接器、公頭連接器及其組合
CN111029858B (zh) * 2019-12-13 2021-07-06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连接器
JP7021293B2 (ja) * 2020-06-04 2022-02-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212968337U (zh) * 2020-08-10 2021-04-13 信维通信(江苏)有限公司 板对板射频连接器
JP7038172B2 (ja) * 2020-10-12 2022-03-1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2656A (ja) 2017-11-06 2019-10-3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68045A1 (en) 2022-11-17
TW202247529A (zh) 2022-12-01
CN217306840U (zh) 2022-08-26
TWI804260B (zh) 2023-06-01
CN115360547A (zh) 2022-11-18
CN217182490U (zh) 2022-08-12
US20220368046A1 (en) 2022-11-17
TW202247535A (zh) 2022-12-01
TWI819532B (zh) 2023-10-21
CN115360551A (zh) 2022-11-18
KR20220155904A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5902A (ko) 커넥터 조립체
KR101946857B1 (ko)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US1169987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urrounding shield member with outward protrusion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US11563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electromagnetic shielding frame surrounding plurality of terminals and connector housing
TW202143573A (zh) 連接器組裝體
CN217182551U (zh) 连接器和连接器组装体
US11469538B2 (en)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plate portions on the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s
US20210359473A1 (en) Connector assembly
WO2022190986A1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23001455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102682867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2022180022A (ja) コネクタ組立体
KR102682871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2543913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2543900B1 (ko) 커넥터 조립체
JP7445551B2 (ja) コネクタ
WO2022190987A1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7461245B2 (ja) コネクタ
JP2022179959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2022054592A (ja) コネクタ組立体
JP2024024771A (ja)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KR20210139139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