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857B1 -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857B1
KR101946857B1 KR1020170060490A KR20170060490A KR101946857B1 KR 101946857 B1 KR101946857 B1 KR 101946857B1 KR 1020170060490 A KR1020170060490 A KR 1020170060490A KR 20170060490 A KR20170060490 A KR 20170060490A KR 101946857 B1 KR101946857 B1 KR 101946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eceptacle
connector
side plat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066A (ko
Inventor
신지 와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커넥터 조립체를 실드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및 이것과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플러그 단자(23)를 실드하는 플러그 실드 부재(30)가 플러그 하우징(21)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실드 부재(30)는, 플러그 하우징(21)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서 당해 플러그 하우징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부(31)를 갖고, 각 측판부와 플러그 하우징의 사이에,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39)을 형성하고, 짧은 쪽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각 측판부(31)가 대응하는 플러그 단자(23)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고, 측판부(31)는, 2개의 각부(33, 34)를 갖는 굴곡 형상 단면을 갖고, 당해 2개의 각부가 상기 짧은 쪽 방향에서 이간 혹은 접면하고 있어 이중 구조를 이루고 있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INCLUDING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각각 대응하는 회로 기판에 부착되고,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서로 끼워맞춤 접속됨으로써, 양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조립체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 조립체 전체를 덮는 실드 부재(셸(shell))를 리셉터클 커넥터측에 형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플러그 커넥터는 하우징(인슐레이터)에 형성된 평행한 2개의 측벽(끼워맞춤 볼록부)의 각각에서 U자 형상 부분이 보유지지(保持)된 단자(콘택트)를 갖고, 당해 단자의 U자 형상 부분의 양 각부(脚部)가 접촉부를 형성하고 있고,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는,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의 중앙 돌부(突部)와 양쪽의 측벽(전벽 및 후벽)의 각각의 사이에서 오목부(변형 허용홈)를 형성하고, 양쪽의 측벽의 각각에 역 U자 형상 부분에서 부착된 단자의 내(內)단측이 U자 형상의 접촉부를 이루고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2개의 측벽 그리고 그들로 보유지지되는 단자는 측벽끼리의 대향 방향에서 대칭을 이루고, 단자가 복렬(複列)로 배치되어 있다. 양 커넥터의 끼워맞춤 접속하에서는, 측벽에서 보유지지된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의 U자 형상 부분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의 U자 형상의 접촉부에 끼워넣어진다. 이러한 끼워맞춤 접속 상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역 U자 형상 부분은, 커넥터 폭 방향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실드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실드 부재를 갖고 있지 않은 플러그 커넥터도 포함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조립체 전체적으로 실드하도록 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도 리셉터클 커넥터도, 하우징의 각각의 측벽의 외면에는 단자의 일부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측벽의 외면에 접면(接面)하여 실드 부재를 부착할 수 없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서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측벽보다도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측벽에서 바깥쪽으로 이간(離間)한 위치에서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의 측벽에 평행해지도록 실드 부재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배치하고 있다. 이 실드 부재는, 측벽이 연장되는 방향에서의 양단부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4-192102호
그러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의 경우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에 호환성이 있어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에 실드 부재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형식의 것을 채용하는 실시 형태 혹은 채용하지 않을 수 없는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가 실드 부재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양 커넥터 모두, 즉 커넥터 조립체가 전혀 실드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태에서도 대응하여 커넥터 조립체를 실드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및 이것과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제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해결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하우징의 저벽으로부터 기립하여,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의 각각에 보유지지된 리셉터클 단자에 대하여 접속되는 플러그 단자가, 상기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하우징에 보유지지되어 있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단자를 실드하는 플러그 실드 부재가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실드 부재는,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서 당해 플러그 하우징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러그 실드 측판부를 갖고, 각 플러그 실드 측판부와 플러그 하우징의 사이에,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긴 쪽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짧은 쪽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각 플러그 실드 측판부가 대응하는 플러그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고,
플러그 단자는 회로 기판에 납땜 접속되는 플러그 단자 접속부를 갖고,
플러그 실드 측판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상기 플러그 단자 접속부와 중복되는 범위에도 미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짧은 쪽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의 플러그 단자 접속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切欠) 형상의 오목연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짧은 쪽 방향에서 플러그 단자의 플러그 단자 접속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단자를 실드하는 리셉터클 실드 부재가 리셉터클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실드 부재는, 리셉터클 하우징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셉터클 측판부를 갖고, 짧은 쪽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각 리셉터클 측판부가 대응하는 리셉터클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고,
리셉터클 단자는, 회로 기판에 납땜 접속되는 리셉터클 단자 접속부를 갖고,
리셉터클 측판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 접속부와 중복되는 범위에도 미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짧은 쪽 방향에서 리셉터클 단자 접속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정규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실드 부재와 리셉터클 실드 부재가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플러그 실드 부재의 플러그 실드 측판부가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당해 플러그 단자의 접속부와 중복되는 범위에 미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 단자 접속부에서의 실드의 효과도 얻어지고, 일부의 플러그 단자 접속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짧은 쪽 방향으로 봄으로써 플러그 단자 접속부에서의 납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오목연부의 형성에 의해서도, 나머지의 많은 부분에 플러그 실드 부재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실드 효과의 저하에는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러그 실드 부재는, 한 쌍의 플러그 실드 측판부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플러그 실드 단판부를 갖고, 플러그 실드 측판부와 플러그 실드 단판부로, 측판부도 단판부도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이간하여 형성된 틀 형상부를 갖고, 상기 플러그 실드 부재가 그 일부에서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플러그 하우징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러그 실드 단판부도 갖는 틀 형상부의 형태로 함으로써, 전기적으로는 플러그 실드 단판부에서도 실드 기능이 얻어짐과 함께, 기계적으로는 플러그 실드 부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플러그 실드 측판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접속 상태로 짧은 쪽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리셉터클 단자의 적어도 일부도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플러그 실드 부재는 리셉터클 단자도 실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플러그 실드 측판부는, 짧은 쪽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플러그 하우징의 측벽으로의 플러그 단자의 부착 부분과 플러그 커넥터가 회로 기판과 접속되기 위한 플러그 단자의 접속부를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 실드 측판부가 플러그 단자의 접속부도 덮음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의 실드 기능이 더욱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플러그 실드 측판부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실드 부재를 수용하여 당해 리셉터클 실드 부재와 접촉하는 탄성 접촉편을 갖고, 당해 탄성 접촉편은 짧은 쪽 방향에서 측판부로부터 안쪽으로 잘라세워져 돌출하여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촉편을 형성함으로써, 플러그 실드 부재와 리셉터클 실드 부재는 양호하게 도통(conduction)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접촉편은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높이 치수에 제약이 있는 플러그 커넥터라도, 접촉편의 탄성 변위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접촉편은 안쪽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취급시 등에 있어서, 외부의 다른 부재 등과의 뜻하지 않은 충돌을 회피할 수 있어 손상의 우려는 없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플러그 하우징에 대하여 짧은 쪽 방향에서 이간하는 한 쌍의 플러그 실드 측판부를 갖는 플러그 실드 부재를 형성하고, 각 플러그 실드 측판부와 플러그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되는 각각의 수용 공간에 리셉터클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대응하는 측벽을 수용하도록 했기 때문에, 커넥터 끼워맞춤 접속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양 플러그 실드 측판부의 각각이 플러그 단자뿐만 아니라 리셉터클 단자에 대해서 외측에 위치하도록 되고, 플러그 커넥터 자체뿐만 아니라 당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조립체에 대해서도 실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플러그 커넥터와 상대쪽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서로의 끼워맞춤 전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이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후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끼워맞춤 방향이 되는 하향 자세로 도 1(A)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를 상하 반전한 자세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A)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확대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양 커넥터에 대한 커넥터 조립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3(A)의 플러그 커넥터의 저면도이고, 도 5(B)는 도 3(B)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A), (B)는 도 1(A), (B)에 대응하여, 도 1(A), (B)에 대한 플러그 실드 부재, 리셉터클 실드 부재와 그들의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7(A), (B)는 플러그 실드 부재의 탄성 접촉편의 부분의 확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A)는 도 6(A)에 상당하는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B)는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단자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 커넥터의 끼워맞춤 후의 단자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플러그 커넥터와 상대쪽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서로의 끼워맞춤 전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B)는 이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후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2(A)는 플러그 커넥터의 저면도이고, 도 12(B)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A)는,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 커넥터와 상대쪽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서로의 끼워맞춤 전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이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후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끼워맞춤 방향이 되는 하향 자세로 도 1(A)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를 상하 반전한 자세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A)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확대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양 커넥터에 대한 커넥터 조립체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A)는 도 3(A)의 플러그 커넥터의 저면도이고, 도 5(B)는 도 3(B)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6(A), (B)는 도 1(A), (B)에 대응하여, 도 1(A), (B)에 대한 플러그 실드 부재, 리셉터클 실드 부재와 그들의 조립체를 나타내고, 도 7(A), (B)는 플러그 실드 부재의 탄성 접촉편의 부분의 확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A)는 도 6(A)에 상당하는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B)는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3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1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단자 위치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끼워맞춤 후의 단자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A)∼도 4 그리고 도 5(A)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는, 플러그 단자(11)를 플러그 하우징(21)으로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커넥터 본체(20)에 대하여 당해 플러그 커넥터 본체(20)를 둘러싸도록 하여 플러그 하우징(21)으로 지지되어 있는 플러그 실드 부재(30)를 갖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 본체(20)는, 플러그 하우징(21)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22)(도 2 참조)의 각각에 복수의 신호 단자(23)가 상기 긴 쪽 방향으로 배열되고, 당해 신호 단자(23)의 배열 범위에 인접한 양단 위치에는 전원 단자(24)가 배치되어 있다. 신호 단자(23) 그리고 전원 단자(24)(이하, 플러그 단자(23, 24)라고도 함)는 리셉터클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신호 단자(23)의 접촉부(23A), 그리고 전원 단자(24)의 접촉부(24A)(도 9 참조)), 그리고 회로 기판에 납땜 접속되는 접속부(신호 단자(23)의 접속부(23B), 그리고 전원 단자(24)의 접속부(24B)(도 9 참조))를 갖고 있고, 플러그 하우징(21)에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이들 플러그 단자(23, 24)는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아니기 때문에,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 본체(20)의 플러그 하우징(21)은, 플러그 단자(23, 24)의 배열 방향인 긴 쪽 방향으로 직상(直狀)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긴 쪽 방향에서 양단으로 T자 형상으로 연장 돌출하는 연결 아암(25)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실드 부재(30)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1∼도 4 그리고 도 5(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 본체(20)의 주위에 간격을 두고 있고, 상기 연결 아암(25)을 제외하고 당해 플러그 커넥터 본체(20)로부터 이간하도록 위치하고 있고, 상기 연결 아암(25)은 플러그 실드 부재(30)의 단판부(32)에 보유지지되고, 상기 연결 아암(25)과 당해 플러그 커넥터 본체(20)는, 전술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실드 부재(30)는, 도 6(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부(31)와, 상기 긴 쪽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짧은 쪽 방향(커넥터 폭 방향)에서, 한 쌍의 당해 측판부(31)끼리를 그들의 단부에서 연결하는 단판부(32)를 갖고 있어,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측판부(31)는, 상기 긴 쪽 방향에 직각인 면에서 단면을 취하면, 도 3,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대략 U자 형상 단면을 이루고 있고, 거의 등장(等長)인 2개의 각부, 즉 내각부(33)와 외각부(34)를 갖고 있다.
상기 내각부(33) 그리고 외각부(34) 모두,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단자(23, 24)의 접속부의 범위에까지 미치고 있고,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플러그 단자(23, 24)를 덮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 본체(20)의 측에 가깝게 위치하는 내각부(33)는, 도 3∼도 6, 도 7에도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긴 쪽 방향의 복수 위치에, 당해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접촉편(35)을 갖고 있다. 당해 탄성 접촉편(35)은, 상기 내각부(33)를 부분적으로 잘라세워져 만들어져 있고, 당해 탄성 접촉편(35)의 선단을 향하여 끝 가늘어짐을 이루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 안쪽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고, 이 선단에서, 상대쪽인 리셉터클 실드 부재와 탄성을 갖고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탄성 접촉편(35)의 선단의 방향은, 2열의 탄성 접촉편(35) 사이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상기 외각부(34)는 평탄면을 이루고 있지만, 신호 단자(23)의 배열 피치(pitch)의 정수배의 거리의 피치로, 복수의 신호 단자(23) 중 일부의 수의 신호 단자(23)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연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상기 탄성 접촉편(35)의 기부(基部)측에도, 상기 오목연부(36)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연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 접촉편(35)은 끝이 가늘기 때문에, 기판과의 사이에 극간이 생긴다. 이 오목연부(36, 35A)는, 플러그 커넥터(10)가 회로 기판에 납땜 접속되었을 때, 플러그 단자(23, 24)의 접속부(23B, 24B)에 있어서의 납땜 접속 상황을 측방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회로 기판과의 사이에 극간을 형성하고 있다(도 8, 도 9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부의 접속부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지만, 모든 접속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단판부(32)는, 상기 긴 쪽 방향으로 평행한 면에서의 단면을 취하면,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측판부(31)와 동일하게, 대략 U자 형상 단면을 이루도록, 즉 내각부(37)와 외각부(38)를 갖고 있다. 외각부(38)에는, 커넥터 폭 방향 중앙 위치에 편 형상부(38A)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편 형상부(38A)의 단부가 회로 기판에 납땜된다. 또한, 편 형상부(38A)의 양측에는 부착편(38B)이 형성되고, 플러그 하우징(21)의 연결 아암(25)의 대응 홈에 압입됨으로써, 플러그 하우징(21)에 보유지지된다. 내각부(37)에는, 중앙에 절결부(37B)가 형성되고, 플러그 하우징(21)을 걸치도록 위치한다. 절결부(37B)의 양단에 볼록부(37A)가 형성되고 있고, 당해 볼록부(37A)의 단부가 납땜에 이용되고, 외각부(38)와 서로 작용하여, 외부에 대한 실드 기능을 서로 보충하고 있다.
이러한 측판부(31), 단판부(32)를 갖고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플러그 실드 부재(30)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본체(20)의 주위에 간격을 형성하여 당해 플러그 커넥터 본체(20)에 대하여 이간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 이간한 위치에서 형성되는 상기 주위의 간격은,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39)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커넥터 본체(20)에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벽(22) 간에, 당해 측벽(22)을 따라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오목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중앙 오목부(22A)는, 후술하는 리셉터클 커넥터(60)의 중앙 돌부(64)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리셉터클 커넥터(60)는, 신호 단자(65) 및 전원 단자(66)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61)에 리셉터클 실드 부재(70)가 부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60)는, 도 1, 도 3∼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대향하여 상기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62)과, 양쪽의 측벽(62)을 그들의 단부에서 연결하는 단벽(63)에서 틀 형상의 주벽(周壁)을 이루고, 또한, 주벽의 안쪽에 상기 측벽(62)에 평행한 중앙 돌부(64)를 구비한 리셉터클 하우징(61)을 갖고 있다. 당해 중앙 돌부(64)와 측벽(62)에는, 중앙 돌부(64)로부터 하우징 저벽을 거쳐 측벽(62)에 향하여 연장되는 U자 형상의 접촉부(65A, 66A)와 회로 기판에 납땜 접속되는 접속부(65B, 66B)를 각각 갖는 신호 단자(65)와 전원 단자(66)(이하, 「리셉터클 단자(65, 66)」라고 함)가 리셉터클 하우징(61)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보유지지되어 있다(도 4, 도 9 참조). 당해 리셉터클 단자(65, 66) 자체는,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아니기 때문에,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리셉터클 커넥터(60)에도, 플러그 커넥터(10)의 경우와 동일하게, 리셉터클 하우징(61)에 대하여 리셉터클 실드 부재(70)가 부착되어 있다. 당해 리셉터클 실드 부재(70)는, 상기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부(71)와, 측판부(71)끼리를 그 단부에서 연결하는 단판부(72)를 갖고,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측판부(71)는, 도 3에도 보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61)의 측벽(62)의 측면과 상면의 양면에 따르도록 만곡 단면을 갖고, 상기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상기 측판부(71)의 측면측의 하연(下緣)에는, 리셉터클 단자(65, 66)에 대응한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에 오목부(71B)가 형성되어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60)가 회로 기판에 납땜 접속됐을 때에, 리셉터클 단자(65, 66)의 접속부(65B, 66B)에 있어서의 납땜 접속 상태가 상기 오목부(71B)를 통과하여 측방으로부터 육안으로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도 8, 도 9 참조). 상기 측판부(71)의 상면에는 짧은 쪽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부(73)가 복수 개소 형성되고, 돌부와 돌부의 사이에는 절결부(73A)가 형성되고, 리셉터클 커넥터(60)가 회로 기판에 납땜 접속됐을 때에, 그 납땜 접속 상태가 상기 절결부(73A)를 통과하여 상방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돌부(73)가 복수 개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부하에 대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접속부의 육안 확인을 할 수 있지만, 일부의 접속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도록 해도 좋다.
단판부(72)는, 리셉터클 하우징(61)의 단벽(63)의 상면의 일부와 내외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에 짧은 쪽 방향의 단위치에 2개의 부착편(72A)(도 6(A) 참조)을 갖고, 외측면에는 외벽을 이루는 외각부(72B)의 하연에 2개의 돌부(72B-1)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부착편(72A)은 리셉터클 하우징(61)의 대응 홈에 압입됨으로써 리셉터클 하우징(61)으로 보유지지된다. 상기 짧은 쪽 방향에서 상기 부착편(72A)의 위치에서 단면을 취하면, 부착편(72A)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략 U자 형상 단면을 이루도록 외각부(72B)가 형성되어 있다. 외각부(72B)에는, 커넥터 폭 방향 단부 위치에 상기 돌부(72B-1)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편부의 단부가 회로 기판에 납땜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상태의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60)의 사용 요령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60)를 각각 대응하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그들의 단자의 접속부(23B, 24B); (65B, 66B)에서 납땜 접속한다. 그 납땜 접속 상태는, 플러그 커넥터(10)에서는, 플러그 실드 부재(30)의 오목연부(36)를 통과하여 측방으로부터,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60)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실드 부재(70)의 오목부(71B)를 통과하여 측방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리셉터클 실드 부재(70)의 절결부(73A)를 통과하여 상방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8, 도 9 참조). 도 8의 우측 절반에 나타나 있는 단면도는, 플러그 커넥터(10), 리셉터클 커넥터(60)의 긴 쪽 방향에 평행한 면에서의 단면이다.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1)의 단부(21A)가 볼록 형상을 하고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61)의 단부(61A)가 오목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는 끼워맞춤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10)를, 다른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60)의 상방 위치에, 도 9와 같이 맞물린 후, 당해 플러그 커넥터(10)를 강하시키고, 도 10과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60)로 끼워맞춤시킨다. 플러그 커넥터(10)는, 플러그 단자(23, 24)를 보유지지하고 있는 플러그 하우징(21)의 측벽(22)이 리셉터클 커넥터(60)의 중앙 돌부(64)와 측벽(62)의 사이의 공간에 진입하고, 상기 플러그 단자(23, 24)의 접촉부(23A, 24A)가 리셉터클 단자(65, 66)의 접촉부(65A, 66A)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가 된다. 한편, 리셉터클 단자(65, 66)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커넥터(60)의 측벽(62)과 실드 부재(70)의 측판부(7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커넥터 본체(20)와 플러그 실드 부재(30)의 사이의 수용 공간(39) 내로 진입한다. 나아가서는, 리셉터클 커넥터(60)의 단벽(63)과 단판부(72)도 플러그 커넥터(10)의 수용 공간(39)으로 진입한다. 도 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 진입에 의해, 플러그 실드 부재(30)는 그 복수의 탄성 접촉편(35)으로 리셉터클 실드 부재(70)와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실드 부재(30)의 단판부(32)의 내각부(37)와 리셉터클 실드 부재(70)의 외각부(72B)는 접촉하고 있지 않지만(도 3 참조), 어느 한 쪽에 탄성 접촉편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60)의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내각부(33)와 외각부(34)를 갖고 이중 구조를 이루고 있는 플러그 실드 부재(30)는, 커넥터 폭 방향 또는 긴 쪽 방향으로 봤을 때에, 당해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단자(23, 24)뿐만 아니라, 리셉터클 단자(65, 66)도 덮고 있고, 플러그 실드 부재(30)만으로,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60)의 양쪽의 커넥터의 단자를 실드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실드판은 이중인 것으로 했지만, 플러그 단자의 접속부와 중복되는 범위에 미치게 형성되어 충분히 실드되고 있는 것이라면 홑겹이라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본체(20)의 플러그 하우징(21)의 긴 쪽 방향에서 양단으로 T자 형상으로 연장 돌출하는 연결 아암(25)은 플러그 실드 부재(30)의 단판부(32)에 보유지지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11과 같이 측판부(31)로 보유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에서는, 전(前) 실시 형태와 공통부 위치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결 아암(25)은, 단판부(32)에는 보유지지되지 않고, 상기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부(31)의 단부에 보유지지되어 있다. 이때, 리셉터클 커넥터(60)에 형성된 상기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62)과 한 쌍의 실드 부재(70)의 양단에 연결 아암(25)에 대응하는 홈부(71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양자는 끼워맞춤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본체(20)의 플러그 하우징(21)의 긴 쪽 방향에서 양단으로 T자 형상으로 연장 돌출하는 연결 아암(25)은 플러그 실드 부재(30)의 단판부(32)에 보유지지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A)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21')의 양단이 가는 형상부로 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에서는, 전 실시 형태와 공통부 위치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리셉터클 커넥터(60)의 리셉터클 하우징(61')의 길이 방향의 양단은, 플러그 하우징(21')의 양단의 가는 형상부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실드 부재(70)의 측판부(71)끼리를 그 단부에 연결하는 단판부(72')도 플러그 하우징(21') 양단의 가는 형상부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양자는 길이 방향으로 어긋나게 끼워맞춤을 개시하고자 해도, 안내하면서 끼워맞춤할 수 있다.
10 : 플러그 커넥터
21 : 플러그 하우징
23 : 플러그 단자(신호 단자)
23B : 접속부
30 : 플러그 실드 부재
31 : 측판부
32 : 단판부
33 : 각부(내각부)
34 : 각부(외각부)
35 : 탄성 접촉편
60 : 리셉터클 커넥터
61 : 리셉터클 하우징
62 : 측벽
65 : 리셉터클 단자(신호 단자)

Claims (8)

  1. 삭제
  2.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하우징의 저벽으로부터 기립하여,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의 각각에 보유지지된 리셉터클 단자에 대하여 접속되는 플러그 단자가, 상기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하우징에 보유지지되어 있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단자를 실드하는 플러그 실드 부재가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실드 부재는,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서 당해 플러그 하우징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러그 실드 측판부를 갖고, 각 플러그 실드 측판부와 플러그 하우징의 사이에,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긴 쪽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짧은 쪽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각 플러그 실드 측판부가 대응하는 플러그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고,
    플러그 단자는 회로 기판에 납땜 접속되는 플러그 단자 접속부를 갖고,
    플러그 실드 측판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상기 플러그 단자 접속부와 중복되는 범위에도 미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짧은 쪽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의 플러그 단자 접속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切欠) 형상의 오목연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짧은 쪽 방향에서 플러그 단자의 플러그 단자 접속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단자를 실드하는 리셉터클 실드 부재가 리셉터클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실드 부재는, 리셉터클 하우징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셉터클 측판부를 갖고, 짧은 쪽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각 리셉터클 측판부가 대응하는 리셉터클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고,
    리셉터클 단자는, 회로 기판에 납땜 접속되는 리셉터클 단자 접속부를 갖고,
    리셉터클 측판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 접속부와 중복되는 범위에도 미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짧은 쪽 방향에서 리셉터클 단자 접속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정규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실드 부재와 리셉터클 실드 부재가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플러그 실드 부재는, 한 쌍의 플러그 실드 측판부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플러그 실드 단판부를 갖고, 플러그 실드 측판부와 플러그 실드 단판부로 틀 형상부를 형성하고, 플러그 실드 측판부도 플러그 실드 단판부도, 단자를 배열하고 있는 플러그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이간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실드 부재가 그 일부에서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플러그 하우징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플러그 실드 측판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접속 상태에서 짧은 쪽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리셉터클 단자의 적어도 일부도 덮고 있는 것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플러그 실드 측판부는, 짧은 쪽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플러그 하우징의 측벽으로의 플러그 단자의 부착 부분과 플러그 커넥터가 회로 기판과 접속되기 위한 플러그 단자 접속부를 덮고 있는 것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플러그 실드 측판부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실드 부재를 수용하여 당해 리셉터클 실드 부재와 접촉하는 탄성 접촉편을 갖고, 당해 탄성 접촉편은 짧은 쪽 방향에서 플러그 실드 측판부로부터 안쪽으로 잘라세워져 돌출하여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는 것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삭제
  8. 삭제
KR1020170060490A 2016-05-16 2017-05-16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101946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97739A JP6628685B2 (ja) 2016-05-16 2016-05-16 プラグコネクタと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JPJP-P-2016-097739 2016-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066A KR20170129066A (ko) 2017-11-24
KR101946857B1 true KR101946857B1 (ko) 2019-02-12

Family

ID=6041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490A KR101946857B1 (ko) 2016-05-16 2017-05-16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28685B2 (ko)
KR (1) KR101946857B1 (ko)
CN (1) CN10745315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767A (ko) 2019-05-31 2020-12-0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소켓실드부재를 갖는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실드부재를 갖는 플러그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KR102241129B1 (ko) 2020-01-07 2021-04-1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차폐형 실드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KR20210066255A (ko) 2019-11-28 2021-06-0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차폐형 커넥터 장치
KR20220010331A (ko) 2020-07-17 2022-01-25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차폐벽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0454B (zh) * 2017-11-28 2020-07-31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CN107910677B (zh) * 2017-11-28 2020-05-29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JP6959884B2 (ja) * 2018-03-13 2021-1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
JP7102329B2 (ja) * 2018-05-11 2022-07-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10498058B1 (en) * 2018-05-11 2019-12-03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10534944A (zh) * 2018-05-23 2019-12-03 深圳市亚奇科技有限公司 连接器
JP7245052B2 (ja) * 2019-01-07 2023-03-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KR102083912B1 (ko) * 2019-01-08 2020-03-0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고주파 전송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20200088637A (ko) * 2019-01-15 2020-07-23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US20220360023A1 (en) * 2019-06-20 2022-11-10 Ls Mtron Ltd. Board connector
JP7176631B2 (ja) * 2019-06-20 2022-11-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極コネクタ及び多極コネクタセット
JP7348045B2 (ja) * 2019-12-03 2023-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の実装構造
KR102241130B1 (ko) * 2019-12-12 2021-04-1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차폐 및 결합 성능이 향상된 rf 커넥터
JP7430818B2 (ja) * 2020-03-19 2024-02-13 エル エス エムトロン リミテッド 基板コネクタ
JP7467296B2 (ja) 2020-09-16 2024-04-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KR102525442B1 (ko) * 2020-05-13 2023-04-2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CN113675651A (zh) 2020-05-13 2021-11-19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US20230291153A1 (en) * 2020-08-04 2023-09-14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pair
JP2023540709A (ja) * 2020-08-28 2023-09-26 エル エス エムトロン リミテッド 基板コネクタ
US20230411911A1 (en) * 2020-11-20 2023-12-21 Ls Mtron Ltd. Board connector
CN113270769A (zh) * 2021-03-02 2021-08-17 上海沈德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屏蔽簧片和具有该屏蔽簧片的矩形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9770A (ja) * 2003-11-11 2005-06-0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13242971A (ja) * 2012-05-17 2013-12-05 Daiichi Seiko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14192102A (ja) 2013-03-28 2014-10-06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コネクタ
JP2015230840A (ja) * 2014-06-05 2015-12-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595A (ja) * 1998-05-14 1999-11-30 Mitsumi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6127943A (ja) * 2004-10-29 2006-05-18 Tyco Electronics Amp Kk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カプラ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2882007Y (zh) * 2006-01-28 2007-03-21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具有电磁屏蔽功能的板对板连接器
JP4809816B2 (ja) * 2007-08-31 2011-11-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01944B2 (ja) * 2009-12-03 2012-03-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859991B2 (ja) * 2010-04-27 2012-01-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890117B2 (ja) * 2011-07-07 2016-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96959B2 (ja) * 2013-06-14 2016-03-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実装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9770A (ja) * 2003-11-11 2005-06-0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13242971A (ja) * 2012-05-17 2013-12-05 Daiichi Seiko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14192102A (ja) 2013-03-28 2014-10-06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コネクタ
JP2015230840A (ja) * 2014-06-05 2015-12-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767A (ko) 2019-05-31 2020-12-0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소켓실드부재를 갖는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실드부재를 갖는 플러그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KR20210066255A (ko) 2019-11-28 2021-06-0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차폐형 커넥터 장치
KR102241129B1 (ko) 2020-01-07 2021-04-1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차폐형 실드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KR20220010331A (ko) 2020-07-17 2022-01-25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차폐벽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53159A (zh) 2017-12-08
JP2017208165A (ja) 2017-11-24
JP6628685B2 (ja) 2020-01-15
KR20170129066A (ko) 2017-11-24
CN107453159B (zh)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857B1 (ko)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JP7103454B2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CN110800169B (zh) 电连接器装置
JP6591251B2 (ja) コネクタ
JP5820858B2 (ja) 中継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1169987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urrounding shield member with outward protrusion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US10644420B1 (en)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set
US9425558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outer shielding covered by a cover with a resilient plate extending upward and rearward
US10741974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315912B2 (ja) 多連装電気コネクタ
KR20150031199A (ko) 전기 커넥터
KR20220155904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4594706B2 (ja) シールド付き基板接続用コネクタ
KR20120031115A (ko) 차폐 케이스, 커넥터 및 전자기기
JP6970928B2 (ja) 電気コネクタ
JP6112937B2 (ja) 中継電気コネクタ
KR20220155901A (ko) 커넥터 조립체
US11031709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and mounting arrangement for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US20230046020A1 (en) Connector
WO2022185950A1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セット
JP5044483B2 (ja) 電気コネクタ
CN114586242B (zh) 连接器
CN209860167U (zh) 板对板型rf插头
CN114175409A (zh) 连接器
US20230178938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hree metal shells joined toget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