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637A -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637A
KR20200088637A KR1020190005169A KR20190005169A KR20200088637A KR 20200088637 A KR20200088637 A KR 20200088637A KR 1020190005169 A KR1020190005169 A KR 1020190005169A KR 20190005169 A KR20190005169 A KR 20190005169A KR 20200088637 A KR20200088637 A KR 20200088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connector
receptacle
pair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민
장진협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90005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8637A/ko
Priority to TW108145779A priority patent/TWI744740B/zh
Priority to CN202080009117.XA priority patent/CN113302803A/zh
Priority to PCT/US2020/012999 priority patent/WO2020150075A1/en
Priority to US17/419,289 priority patent/US11936139B2/en
Priority to JP2021531698A priority patent/JP7372971B2/ja
Publication of KR2020008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및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플러그 커넥터와 접속되어 한 쌍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바닥부의 마주하는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의 마주하는 다른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한 쌍의 측벽부와 연결되는 다른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의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는 중앙 돌출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다른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중앙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접속 홈부를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측을 따라 결합되고, 하나의 접점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되는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 및, 상기 다른 한 쌍의 측벽부에 결합되는 피팅 네일부와, 상기 피팅 네일부에서 상기 중앙 돌출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마주하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를 양 측으로 분리하여 신호간섭을 차단하는 신호간섭 차단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외부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노이즈 차단부를 갖는 리셉터클 메탈 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plug connector and board to board connec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전자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커넥터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기·전자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그 사용빈도가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한 쌍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이들 커넥터가 서로 접속되어 기판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 쌍의 커넥터 중 제 1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이고, 제 2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일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는 절연 소재의 몰드부에 단자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서로 접속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한다.
최근 전자기기는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커넥터도 소형화되는 반면, 전자기기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대량의 정보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소형화되는 커넥터는 각 접촉단자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이들 사이에 신호간섭(crosstalk)이 발생하고, 이러한 신호간섭은 고주파 신호 전송에 방해가 되고 있다. 또한, 커넥터는 고속 전송을 실현하기 위하여 커넥터 내외부에서 발생되는 이상 신호(noise)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접촉단자 사이에서 발생되는 신호간섭을 방지하여 고속 전송을 실현할 수 있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 내부 및 외부에서 발생되는 이상 신호를 차단하여 고속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 접촉단자 사이에서 신호 전송 경로를 최소로 하여 고속 전송을 실현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 접속되어 한 쌍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바닥부의 마주하는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의 마주하는 다른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한 쌍의 측벽부와 연결되는 다른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의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는 중앙 돌출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다른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중앙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접속 홈부를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측을 따라 결합되고, 하나의 접점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되는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 및, 상기 다른 한 쌍의 측벽부에 결합되는 피팅 네일부와, 상기 피팅 네일부에서 상기 중앙 돌출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마주하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를 양 측으로 분리하여 신호간섭을 차단하는 신호간섭 차단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외부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노이즈 차단부를 갖는 리셉터클 메탈 쉘을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접속되어 한 쌍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바닥부의 마주하는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의 마주하는 다른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한 쌍의 측벽부와 연결되는 다른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다른 한 쌍의 측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접속 홈부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측을 따라 결합되고, 하나의 접점으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되는 다수의 플러그 단자, 및, 상기 다른 한 쌍의 측벽부에 결합되는 피팅 네일부와, 상기 피팅 네일부에서 상기 접속 홈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마주하는 상기 플러그 단자를 양 측으로 분리하여 신호간섭을 차단하는 신호간섭 차단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외부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노이즈 차단부를 갖는 플러그 메탈 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어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 1 바닥부의 마주하는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바닥부의 마주하는 다른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측벽부와 연결되는 제 2 측벽부와, 상기 제 1 바닥부의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중앙에는 플레이트 삽입 홈이 형성되는 중앙 돌출부와, 상기 제 1 측벽부, 상기 제 2 측벽부 및 상기 중앙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접속 홈부를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제 1 기판에 솔더링되면서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상기 제 1 기판에 고정하는 리셉터클 메탈 쉘, 및,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형성된 리셉터클 단자 홀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제 2 바닥부의 마주하는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 3 측벽부와, 상기 제 2 바닥부의 마주하는 다른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제 3 측벽부와 연결되는 제 4 측벽부와, 상기 제 3 측벽부 및 상기 제 4 측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접속 홈부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제 2 기판에 솔더링되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상기 제 2 기판에 고정하고, 상기 플레이트 삽입 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 1 신호간섭 차단부를 갖는 플러그 메탈 쉘,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는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기 제 1 신호간섭 차단부는 서로 마주하면서 배열되는 접촉단자 사이의 신호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 메탈 쉘은, 상기 제 2 측벽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측벽부를 가압하는 제 1 피팅 네일부와, 상기 제 1 피팅 네일부의 양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단자가 위치하는 영역의 상기 제 1 측벽부에 결합되는 제 1 노이즈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메탈 쉘은, 상기 제 4 측벽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4 측벽부를 가압하는 제 2 피팅 네일부와, 상기 제 2 피팅 네일부의 양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가 위치하는 영역의 상기 제 3 측벽부에 결합되는 제 2 노이즈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노이즈 차단부와 상기 제 2 노이즈 차단부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될 때 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노이즈 차단부 또는 상기 제 2 노이즈 차단부의 마주하는 어느 일 면에는 제 1 접촉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노이즈 차단부 또는 상기 제 2 노이즈 차단부의 마주하는 어느 타 면에는, 상기 제 1 접촉 돌기를 수용하는 접촉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 메탈 쉘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기 제 1 신호간섭 차단부와 마주하는 제 2 신호간섭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신호간섭 차단부와 상기 제 2 신호간섭 차단부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될 때 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신호간섭 차단부 또는 상기 제 2 신호간섭 차단부의 마주하는 어느 일 면에는, 제 2 접촉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 메탈 쉘 및 상기 플러그 메탈 쉘은,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면서 분리되는 한 쌍의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 단자는, 상기 제 1 기판에 접촉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1 접속부에서 벤딩되어 연장되는 제 1 접촉부로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는, 상기 제 2 기판에 접촉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에서 벤딩되어 연장되는 제 2 접촉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부는 하나의 접점으로 서로 접촉되어 선형의 신호 전송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서로 마주하는 접촉단자 사이에서 발생되는 신호간섭을 방지하여 고주파 신호의 고속 전송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서로 마주하는 접촉단자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어 소형화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외부로부터 노이즈의 유입이 차단되어 고주파 신호 전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신호간섭 차단과 노이즈 차단을 위한 쉴드 플레이트가 중복 구조를 이루면서 다수의 접촉단자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차단과 방출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도,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도 1의 메탈 쉘을 나타낸 분해도,
도 5는 도 4의 메탈 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1의 메탈 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도,
도 9는 도 1의 메탈 쉘이 적용된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다른 구현 예를 나타낸 분해도,
도 11은 도 10의 메탈 쉘을 나타낸 분해도,
도 12는 도 10의 메탈 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도 10의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메탈 쉘을 나타낸 분해도와 접속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1의 메탈 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메탈 쉘이 적용된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200)로 구성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제 1 기판(도 6의 10)에 실장되는 제 1 커넥터로서, 리셉터클 하우징(110)과, 리셉터클 하우징(110)을 보강하면서 제 1 기판(10)에 고정시키는 리셉터클 메탈 쉘(120)과,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배치되어 제 1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13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하우징(110)은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몸체를 구성하며, 절연 소재의 수지가 사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110)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면서, 제 1 바닥부(111)와, 제 1 바닥부(111)의 길이 방향(x 방향)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측벽부(112)와, 제 1 바닥부(111)의 폭 방향(y 방향)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제 1 측벽부(112)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 2 측벽부(113)와, 한 쌍의 제 1 측벽부(112) 및 한 쌍의 제 2 측벽부(113)와 이격되면서 제 1 바닥부(111)의 중앙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중앙 돌출부(114)와, 중앙 돌출부(114)와 한 쌍의 제 1 측벽부(112) 및 한 쌍의 제 2 측벽부(113)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접속 홈부(115)를 포함한다. 제 1 바닥부(111), 제 1 측벽부(112), 제 2 측벽부(113) 및 중앙 돌출부(114)는 사출 성형으로 일체로 연결된다.
제 1 측벽부(112)와 제 2 측벽부(11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벽체로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 1 측벽부(112)와 한 쌍의 제 2 측벽부(113)가 연결되면서 제 1 바닥부(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 형상의 벽을 형성한다.
중앙 돌출부(114)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벽체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리셉터클 단자(130)를 수용한다. 이를 위한 중앙 돌출부(114)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양 측면에 리셉터클 단자(130)가 수용되는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 홀(116)을 형성한다. 또한, 중앙 돌출부(114)는 중앙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플러그 메탈 쉘(220)의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를 수용하는 플레이트 삽입 홈(117)을 형성한다.
제 1 접속 홈부(115)는 플러그 하우징(210)의 제 3 측벽부(212) 및 제 4 측벽부(213)를 수용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를 결합시키며, 중앙 돌출부(114), 제 1 측벽부(112) 및 제 2 측벽부(113) 사이에서 트랙 또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리셉터클 메탈 쉘(120)은 제 1 기판(10)에 솔더링되어, 리셉터클 하우징(110)을 제 1 기판(10)에 고정시키면서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강성을 보강하며, 리셉터클 커넥터(100) 내외부의 노이즈를 차단한다. 리셉터클 메탈 쉘(120)은 전도성 부재의 플레이트가 프레스 및 벤딩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오버 몰딩(over molding)에 의하여 리셉터클 하우징(110)과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리셉터클 메탈 쉘(120)은 제 2 측벽부(113)에 결합되어 제 2 측벽부(113)를 가압하는 제 1 피팅 네일부(122)와, 제 1 측벽부(112)의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측부 보강부(123)와, 중앙 돌출부(114)의 단부에 결합되는 중앙 보강부(124)와, 제 1 측벽부(112)에 결합되어 커넥터 내외부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한 쌍의 제 1 노이즈 차단부(125)를 포함한다. 제 1 피팅 네일부(122), 제 1 측부 보강부(123) 및 중앙 보강부(124)는 판 상의 제 1 연결부(121)를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피팅 네일부(122)는 제 2 측벽부(113)를 '∩' 형상의 벤딩 구조로 감싸면서 일측 단부는 제 1 연결부(121)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제 1 기판(10)에 솔더링되는 제 1 솔더링부(126)를 형성한다. 제 1 솔더링부(126)가 제 1 기판(10)에 솔더링되면서 제 1 피팅 네일부(122)는 제 2 측벽부(113)를 보강하면서 리셉터클 하우징(110)을 제 1 기판(10)에 고정한다.
제 1 측부 보강부(123)는 제 1 측벽부(112)의 단부를 '∩' 형상으로 감싸면서 일측 단부는 제 1 연결부(121)에 연결된다. 제 1 측부 보강부(123)는 제 1 측벽부(112)의 단부를 보강하면서 리셉터클 하우징(110)을 제 1 기판(10)에 고정한다.
중앙 보강부(124)는 제 1 연결부(121)의 일측 단부를 'ㄱ' 형상으로 감싸면서 일측 단부는 제 1 연결부(121)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중앙 돌출부(114)의 단부에 결합된다. 중앙 보강부(124)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속시 중앙 돌출부(114)가 플러그 메탈 쉘(220)에 충돌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노이즈 차단부(125)는 제 1 측부 보강부(123)의 단부에서 길이 방향, 즉, 제 1 측벽부(112)를 따라 연장되고, 리셉터클 단자(130)가 위치하는 영역의 제 1 측벽부(112)의 내 측면 및 외 측면을 감싸는 '∩'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 1 노이즈 차단부(125)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여, 외부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리셉터클 단자(13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 1 노이즈 차단부(125)는 내 측면에 접촉 홈(125')이 형성된다. 제 1 노이즈 차단부(125)의 접촉 홈(125')은 제 2 노이즈 차단부(225)에 형성되는 제 1 접촉 돌기(225')를 수용한다.
제 1 피팅 네일부(122), 제 1 측부 보강부(123), 중앙 보강부(124) 및 제 1 노이즈 차단부(125)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 1 연결부(121)를 중심으로 프레스 및 벤딩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측부 보강부(123)는 제 1 피팅 네일부(122)의 양 측부에서 연장될 수 있고, 외측 단부에 제 1 기판(10)에 실장되기 위한 솔더링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메탈 쉘(120)은 제 1 측부 보강부(123) 없이 제 1 노이즈 차단부(125)가 제 1 연결부(121) 또는 제 1 피팅 네일부(122)의 양 측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리셉터클 메탈 쉘(120)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서로 연결되는 일체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길이 방향의 중앙에서 대칭을 이루면서 한 쌍으로 분리되는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분리형의 리셉터클 메탈 쉘(120)은 프레스 및 벤딩 가공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또한, 리셉터클 메탈 쉘(120)은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접속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탄성 돌부(127)를 더 포함한다. 탄성 돌부(127)는 제 1 측부 보강부(123)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가 접속될 때, 플러그 메탈 쉘(220)의 측면을 탄성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메탈 쉘(220)이 탄성 돌부(127)에 접촉될 때, 탄성 돌부(127)와 플러그 메탈 쉘(220)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작업자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속을 쉽게 감지하게 된다.
리셉터클 단자(130)는 일 측 단부가 제 1 기판(10)에 접촉되고, 타 측 단부가 플러그 단자(230)에 접촉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리셉터클 단자(130)는 전도성 부재의 플레이트가 프레스 및 벤딩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단자 홀(116)에 삽입되어 오버 몰딩으로 리셉터클 하우징(110)과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단자(130)는 제 1 기판(10)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부(131)와, 제 1 접속부(131)에서 연장되어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고정부(132)와, 고정부(132)의 단부에서 상측(z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133)와, 탄성부(133)의 단부가 제 1 접속 홈부(115)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플러그 단자(230)에 접촉되는 제 1 접촉부(134)로 구성된다.
리셉터클 단자(130)는 제 1 접속부(131)가 제 1 기판(10)에 솔더링되어 고정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200)는 제 2 기판(20)에 실장되는 제 2 커넥터로서, 플러그 하우징(210)과, 플러그 하우징(210)을 보강하면서 제 2 기판(20)에 고정시키는 플러그 메탈 쉘(220)과, 플러그 하우징(210)에 배치되어 제 2 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플러그 단자(230)를 포함한다.
플러그 하우징(210)은 플러그 커넥터(200)의 몸체를 구성하며, 절연 소재의 수지가 사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210)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면서, 제 2 바닥부(211)와, 제 2 바닥부(211)의 길이 방향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 측벽부(212)와, 제 2 바닥부(211)의 폭 방향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제 3 측벽부(212)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 4 측벽부(213)와, 제 3 측벽부(212) 및 제 4 측벽부(213)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제 2 접속 홈부(214)를 포함한다. 제 2 바닥부(211), 제 3 측벽부(212) 및 제 4 측벽부(213)는 사출 성형으로 일체로 연결된다.
제 3 측벽부(212)와 제 4 측벽부(21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벽체로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 3 측벽부(212)와 한 쌍의 제 4 측벽부(213)가 연결되면서 제 2 바닥부(2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 형상의 벽을 형성한다. 제 3 측벽부(212)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플러그 단자(230)를 수용하는 플러그 단자 홀(215)을 형성한다.
제 2 접속 홈부(214)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중앙 돌출부(114)를 수용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를 결합시킨다.
플러그 메탈 쉘(220)은 제 2 기판(20)에 솔더링되어, 플러그 하우징(210)을 보강하면서 제 2 기판(20)에 고정시키고, 플러그 단자(230)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간섭이나 플러그 커넥터(200) 내외부의 노이즈를 차단한다. 플러그 메탈 쉘(220)은 전도성 부재의 플레이트가 프레스 및 벤딩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오버 몰딩으로 플러그 하우징(210)과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플러그 메탈 쉘(220)은 제 4 측벽부(213)에 결합되는 제 2 피팅 네일부(222)와, 제 3 측벽부(212)의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측부 보강부(223)와, 플러그 단자(230) 사이의 신호간섭을 차단하는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와, 제 3 측벽부(212)에 결합되어 커넥터 내외부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한 쌍의 제 2 노이즈 차단부(225)를 포함한다. 제 2 피팅 네일부(222)와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는 판 상의 제 2 연결부(221)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고, 제 2 측부 보강부(223)는 제 2 피팅 네일부(222)의 양 측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피팅 네일부(222)는 제 4 측벽부(213)를 '∩' 형상의 벤딩 구조로 감싸면서 일측 단부는 제 2 연결부(221)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제 2 기판(20)에 솔더링되는 제 2 솔더링부(226)를 형성한다.
제 2 측부 보강부(223)는 제 3 측벽부(212)의 단부를 '∩' 형상의 벤딩 구조로 감싸면서 제 3 측벽부(212)의 단부에 결합된다. 제 2 측부 보강부(223)는 외측 단부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제 2 기판(20)에 솔더링되는 제 3 솔더링부(227)를 형성하고, 일측 단부가 제 2 연결부(22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 2 솔더링부(226)와 제 3 솔더링부(227)는 제 2 기판(20)에 솔더링되면서 플러그 하우징(210)을 제 2 기판(20)에 고정하고, 제 2 피팅 네일부(222)와 제 2 측부 보강부(223)는 제 4 측벽부(213) 및 제 3 측벽부(212)를 보강한다.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는 세로 방향의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면서 제 2 연결부(221)의 내측 단부에서 연장된다.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는 제 2 접속 홈부(214)를 양 측의 길이 방향으로 분리한다. 결국,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는 마주하는 한 쌍의 제 3 측벽부(212)에 결합되는 플러그 단자(230)를 양 측으로 분리하여 마주하는 플러그 단자(230)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신호간섭을 차단한다.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결합시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플레이트 삽입 홈(117)에 삽입된다.
제 2 노이즈 차단부(225)는 제 2 측부 보강부(223)의 단부에서 길이 방향, 즉, 제 3 측벽부(212)를 따라 연장되고, 플러그 단자(230)가 위치하는 영역의 제 3 측벽부(212) 외측면에 결합된다. 제 2 노이즈 차단부(225)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플러그 단자(23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 2 노이즈 차단부(225)는 표면에 제 1 접촉 돌기(225')가 형성된다. 제 1 접촉 돌기(225')는 제 1 노이즈 차단부(125)의 접촉 홈(125')에 수용된다. 이때, 제 1 접촉 돌기(225')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접촉 홈(125')에 접촉되어 제 1 노이즈 차단부(125)와 제 2 노이즈 차단부(22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 1 노이즈 차단부(125)와 제 2 노이즈 차단부(225)로 흡수되는 노이즈가 제 1 솔더링부(126), 제 2 솔더링부(226) 및 제 3 솔더링부(227)를 통하여 신속하게 방출되도록 한다.
또한, 제 2 노이즈 차단부(225)의 제 1 접촉 돌기(225')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 과정에서 제 1 노이즈 차단부(125)의 표면을 가압하고, 결합이 완료될 때 접촉 홈(125')에 안착 및 수용된다. 이 과정에서 제 1 접촉 돌기(225')가 제 1 노이즈 차단부(125)에 접촉될 때 강한 마찰력이 작용하지만, 제 1 접촉 돌기(225')가 접촉 홈(125')에 안착되는 순간 마찰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이 완료되었음을 쉽게 감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 2 노이즈 차단부(225)의 제 1 접촉 돌기(225')와 이에 대응하는 제 1 노이즈 차단부(125)의 접촉 홈(125')은 작업자로 하여금 커넥터의 접속 완료를 쉽게 감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접촉 돌기(225')는 제 2 노이즈 차단부(225)에 형성되고, 접촉 홈(125')은 제 1 노이즈 차단부(125)에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제 1 접촉 돌기(225')가 제 1 노이즈 차단부(125)에 형성되고, 접촉 홈(125')이 제 2 노이즈 차단부(225)에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 2 피팅 네일부(222), 제 2 측부 보강부(223),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 및 제 2 노이즈 차단부(225)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 2 연결부(221)를 중심으로 프레스 및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메탈 쉘(220)은 제 2 측부 보강부(223) 없이 제 2 노이즈 차단부(225)가 제 1 피팅 네일부(122) 또는 제 2 연결부(221)의 양 측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플러그 메탈 쉘(220)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서로 연결되는 일체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길이 방향의 중앙에서 대칭을 이루면서 한 쌍으로 분리되는 분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플러그 단자(230)는 일 측 단부가 제 2 기판(20)에 접속되고, 타 측 단부가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접속시 리셉터클 단자(130)와 접촉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플러그 단자(230)는 전도성 부재의 플레이트가 프레스 및 벤딩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오버 몰딩으로 플러그 하우징(210)과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단자(230)는 제 2 기판(20)에 접촉되는 제 2 접속부(231)와 제 2 접속부(131)에서 상측(-z 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러그 하우징(210)에 고정되면서 리셉터클 단자(130)에 접촉되는 제 2 접촉부(232)로 구성된다. 제 2 접촉부(232)는 탄성을 갖는 리셉터클 단자(130)의 제 1 접촉부(134)에 탄성 접촉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에 전기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속 상태를 살펴보면, 리셉터클 단자(130)와 플러그 단자(23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중앙 돌출부(114)를 중심으로 양 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때, 리셉터클 단자(130)의 제 1 접촉부(134)는, 플러그 커넥터(200)가 결합되기 전에는 탄성부(133)에 의하여 제 1 접속 홈부(115) 공간으로 돌출되고((a) 참고), 플러그 커넥터(200)가 결합된 후에는 탄성부(133)의 탄성으로 밀려나면서 제 2 접촉부(232)에 접촉된다((b) 참고).
이때, 플러그 커넥터(200)에는 제 3 측벽부(212) 내측에만 단자가 형성되어 하나의 접점만으로 신호 전송 경로를 형성하고, 리셉터클 단자(130)와 플러그 단자(230) 사이에는 대략 선형의 신호 전송 경로(S)가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접점을 통한 최단 경로(S)로 신호 전송이 이루어져 고속 신호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중앙 돌출부(114)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양 측에서 배열되는 리셉터클 단자(130)와 플러그 단자(230) 사이에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가 위치한다. 따라서 길이 방향의 리셉터클 단자(130)와 플러그 단자(230) 사이에서 신호간섭이 차단되어 신호 전송이 방해받지 않으므로, 고주파 신호 전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에 의하여 길이 방향의 리셉터클 단자(130)와 플러그 단자(230) 사이의 간격을 더 좁힐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제 3 측벽부(212) 외측에 쉴드를 형성하여 노이즈까지 차단함으로써, 커넥터의 소형화에 더욱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양 측부에는 제 1 노이즈 차단부(125)와 제 2 노이즈 차단부(225)가 위치한다. 따라서 외부의 노이즈가 리셉터클 단자(130)와 플러그 단자(230)에 간섭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고주파 신호 전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메탈 쉘(120)에 의한 제 1 노이즈 차단부(125)와 플러그 메탈 쉘(220)에 의한 제 2 노이즈 차단부(225)가 이중 구조를 이루면서 제 1 접촉 돌기(225')를 매개로 서로 접촉되어 있어, 노이즈 차단부에 흡수되는 노이즈는 제 1 노이즈 차단부(125) 또는 제 2 노이즈 차단부(225)의 어느 일 측 차단부 또는 양 측의 모든 차단부를 통하여 신속하게 방출될 수 있다.
한편, 노이즈 차단부는 리셉터클 메탈 쉘 또는 플러그 메탈 쉘의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서 리셉터클 메탈 쉘에 노이즈 차단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에서는 리셉터클 메탈 쉘(120)에 형성되는 제 1 노이즈 차단부(125)가 외부의 노이즈가 내부의 리셉터클 단자(130) 또는 플러그 단자(230)접촉단자에 간섭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제 1 노이즈 차단부(125)는 제 1 측벽부(112)의 내 측면 및 외 측면을 감싸는 '∩' 형상을 이루므로, 그 자체로서 이중 구조를 이루어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차단한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다른 구현 예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메탈 쉘을 나타낸 분해도와 접속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0의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Ⅲ-Ⅲ 방향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현예의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메탈 쉘(120)은 제 2 신호간섭 차단부(128)를 포함한다. 제 2 신호간섭 차단부(128)는 세로 방향의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면서 제 1 연결부(121)의 내측 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2 신호간섭 차단부(128)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선형으로 배치된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와 충돌되지 않도록 중앙에서 약간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다. 제 2 신호간섭 차단부(128)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시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신호간섭 차단부(128)는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에 마주하는 일면에 제 2 접촉 돌기(128')가 형성된다. 제 2 접촉 돌기(128')는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와 제 2 신호간섭 차단부(128)의 접촉을 보강하고,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와 제 2 신호간섭 차단부(128)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 표면에는 제 2 접촉 돌기(128')에 대응하는 접촉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접촉 돌기(128')는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 일면에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신호간섭 차단부(128)는 제 1 신호간섭 차단부(224)와 함께 이중 구조로 양 측으로 분리된 접촉단자 사이에 위치하고, 각 접촉단자 사이에 신호가 간섭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고주파 신호 전송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의 커넥터에 있어서, 신호간섭 차단부가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되거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양측에 구비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리셉터클 커넥터에만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신호간섭 차단부는 리셉터클 커넥터 또는 플러그 커넥터의 적어도 어느 일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 또는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되는 신호간섭 차단부는 서로 분리된 리셉터클 메탈 쉘(또는 플러그 메탈 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일치하는 선형으로 배치되거나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신호간섭 차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때, 분리된 틈새 사이로 신호가 간섭되지 않도록 일부가 폭 방향으로 중복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리셉터클 커넥터
110 : 리셉터클 하우징 111 : 제 1 바닥부
112 : 제 1 측벽부 113 : 제 2 측벽부
114 : 중앙 돌출부 115 : 제 1 접속 홈부
116 : 리셉터클 단자 홀 117 : 플레이트 삽입 홈
120 : 리셉터클 메탈 쉘 121 : 제 1 연결부
122 : 제 1 피팅 네일부 123 : 제 1 측부 보강부
124 : 중앙 보강부 125 : 제 1 노이즈 차단부
126 : 제 1 솔더링부 127 : 탄성 돌부
128 : 제 2 신호간섭 차단부
130 : 리셉터클 단자 131 : 제 1 접속부
132 : 고정부 133 : 탄성부
134 : 제 1 접촉부
200 : 플러그 커넥터
210 : 플러그 하우징 211 : 제 2 바닥부
212 : 제 3 측벽부 213 : 제 4 측벽부
214 : 제 2 접속 홈부 215 : 플러그 단자 홀
220 : 플러그 메탈 쉘 221 : 제 2 연결부
222 : 제 2 피팅 네일부 223 : 제 2 측부 가압부
224 : 제 1 신호간섭 차단부 225 : 제 2 노이즈 차단부
226 : 제 2 솔더링부 227 : 제 3 솔더링부
230 : 플러그 단자 231 : 제 2 접속부
232 : 제 2 접촉부

Claims (13)

  1. 플러그 커넥터와 접속되어 한 쌍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바닥부의 마주하는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의 마주하는 다른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한 쌍의 측벽부와 연결되는 다른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의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는 중앙 돌출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다른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중앙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접속 홈부를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측을 따라 결합되고, 하나의 접점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되는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 및
    상기 다른 한 쌍의 측벽부에 결합되는 피팅 네일부와, 상기 피팅 네일부에서 상기 중앙 돌출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마주하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를 양 측으로 분리하여 신호간섭을 차단하는 신호간섭 차단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외부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노이즈 차단부를 갖는 리셉터클 메탈 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리셉터클 커넥터와 접속되어 한 쌍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바닥부의 마주하는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의 마주하는 다른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한 쌍의 측벽부와 연결되는 다른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다른 한 쌍의 측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접속 홈부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측을 따라 결합되고, 하나의 접점으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되는 다수의 플러그 단자; 및
    상기 다른 한 쌍의 측벽부에 결합되는 피팅 네일부와, 상기 피팅 네일부에서 상기 접속 홈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마주하는 상기 플러그 단자를 양 측으로 분리하여 신호간섭을 차단하는 신호간섭 차단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외부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노이즈 차단부를 갖는 플러그 메탈 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3.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어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 1 바닥부의 마주하는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바닥부의 마주하는 다른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측벽부와 연결되는 제 2 측벽부와, 상기 제 1 바닥부의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중앙에는 플레이트 삽입 홈이 형성되는 중앙 돌출부와,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제 2 측벽부와 상기 중앙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접속 홈부를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제 1 기판에 솔더링되면서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상기 제 1 기판에 고정하는 리셉터클 메탈 쉘; 및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형성된 리셉터클 단자 홀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제 2 바닥부의 마주하는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 3 측벽부와, 상기 제 2 바닥부의 마주하는 다른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제 3 측벽부와 연결되는 제 4 측벽부와, 상기 제 3 측벽부 및 상기 제 4 측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접속 홈부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제 2 기판에 솔더링되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상기 제 2 기판에 고정하고, 상기 플레이트 삽입 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 1 신호간섭 차단부를 갖는 플러그 메탈 쉘;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는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기 제 1 신호간섭 차단부는 서로 마주하면서 배열되는 접촉단자 사이의 신호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메탈 쉘은,
    상기 제 2 측벽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측벽부를 가압하는 제 1 피팅 네일부와, 상기 제 1 피팅 네일부의 양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단자가 위치하는 영역의 상기 제 1 측벽부에 결합되는 제 1 노이즈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메탈 쉘은,
    상기 제 4 측벽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4 측벽부를 가압하는 제 2 피팅 네일부와, 상기 제 2 피팅 네일부의 양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가 위치하는 영역의 상기 제 3 측벽부에 결합되는 제 2 노이즈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이즈 차단부와 상기 제 2 노이즈 차단부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될 때 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이즈 차단부 또는 상기 제 2 노이즈 차단부의 마주하는 어느 일 면에는 제 1 접촉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이즈 차단부 또는 상기 제 2 노이즈 차단부의 마주하는 어느 타 면에는, 상기 제 1 접촉 돌기를 수용하는 접촉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메탈 쉘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기 제 1 신호간섭 차단부와 마주하는 제 2 신호간섭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간섭 차단부와 상기 제 2 신호간섭 차단부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될 때 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간섭 차단부 또는 상기 제 2 신호간섭 차단부의 마주하는 어느 일 면에는, 제 2 접촉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메탈 쉘 및 상기 플러그 메탈 쉘은,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면서 분리되는 한 쌍의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는,
    상기 제 1 기판에 접촉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1 접속부에서 벤딩되어 연장되는 제 1 접촉부로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는,
    상기 제 2 기판에 접촉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에서 벤딩되어 연장되는 제 2 접촉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부는 하나의 접점으로 서로 접촉되어 선형의 신호 전송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1020190005169A 2019-01-15 2019-01-15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20200088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69A KR20200088637A (ko) 2019-01-15 2019-01-15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TW108145779A TWI744740B (zh) 2019-01-15 2019-12-13 插座連接器、插頭連接器以及具有其的板對板連接器
CN202080009117.XA CN113302803A (zh) 2019-01-15 2020-01-10 插座连接器、插头连接器以及具有其的板对板连接器
PCT/US2020/012999 WO2020150075A1 (en) 2019-01-15 2020-01-10 Receptacle connector, plug connector, and board-to-board connector having the same
US17/419,289 US11936139B2 (en) 2019-01-15 2020-01-10 Receptacle connector, plug connector, and board-to-board connector having the same
JP2021531698A JP7372971B2 (ja) 2019-01-15 2020-01-10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れを有する基板対基板コネク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69A KR20200088637A (ko) 2019-01-15 2019-01-15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637A true KR20200088637A (ko) 2020-07-23

Family

ID=7161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169A KR20200088637A (ko) 2019-01-15 2019-01-15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36139B2 (ko)
JP (1) JP7372971B2 (ko)
KR (1) KR20200088637A (ko)
CN (1) CN113302803A (ko)
TW (1) TWI744740B (ko)
WO (1) WO20201500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890A (ko) * 2020-07-02 2022-01-11 협진커넥터(주) 차폐성능이 향상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WO2023053037A1 (en) * 2021-09-28 2023-04-06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Electrical connecto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637A (ko) * 2019-01-15 2020-07-23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JP7188569B2 (ja) * 2019-04-24 2022-12-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極コネクタセット
CN114270633A (zh) * 2019-08-05 2022-04-01 宏致日本株式会社 连接器及布线结构
WO2021117539A1 (ja) * 2019-12-09 2021-06-17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対
WO2022029554A1 (en) * 2020-08-04 2022-02-10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pair
JP2022033394A (ja) * 2020-08-17 2022-03-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
JP2023058820A (ja) * 2021-10-14 2023-04-26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CN114498128A (zh) * 2022-03-21 2022-05-13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头及板对板连接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9606B2 (ja) 2003-08-22 2009-07-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882007Y (zh) * 2006-01-28 2007-03-21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具有电磁屏蔽功能的板对板连接器
WO2011140438A2 (en) * 2010-05-07 2011-11-10 Ampheno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cable connector
JP5748334B2 (ja) 2011-05-31 2015-07-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ユニット
JP5908225B2 (ja) * 2011-07-06 2016-04-2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03218619U (zh) 2013-03-26 2013-09-25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抑制串扰的插座电连接器
JP6360679B2 (ja) 2013-12-18 2018-07-18 株式会社Subaru 車両の車体構造及び車体の製造方法
KR102277125B1 (ko) 2014-06-09 2021-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모듈, 조명 장치 및 조명 시스템
KR20160027286A (ko) 2014-08-28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소자
JP6385875B2 (ja) * 2015-04-01 2018-09-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256426B2 (ja) 2015-07-29 2018-01-10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6281539B2 (ja) 2015-07-29 2018-02-2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KR101935019B1 (ko) 2015-11-26 2019-01-03 몰렉스 엘엘씨 확산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KR102444784B1 (ko) * 2016-01-22 2022-09-1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KR101814608B1 (ko) 2016-04-07 2018-01-03 주식회사 퍼스트옵틱스 광속제어부재 및 광속제어부재를 사용하는 발광장치
JP6628685B2 (ja) * 2016-05-16 2020-01-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と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JP6117415B1 (ja) 2016-08-04 2017-04-19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8085203A (ja) 2016-11-22 2018-05-3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CN108232526B (zh) 2016-12-21 2020-04-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CN108258484B (zh) 2016-12-28 2020-02-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JP6885730B2 (ja) * 2017-01-06 2021-06-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遮蔽シールド板付きコネクタ
CN207925768U (zh) 2017-01-11 2018-09-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JP2018190600A (ja) 2017-05-08 2018-11-29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基板連結装置
CN107910676B (zh) * 2017-10-27 2019-12-10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CN109088193B (zh) * 2018-08-15 2021-01-19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低电噪音板对板连接器
KR20200088637A (ko) * 2019-01-15 2020-07-23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890A (ko) * 2020-07-02 2022-01-11 협진커넥터(주) 차폐성능이 향상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WO2023053037A1 (en) * 2021-09-28 2023-04-06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Electrical connec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94112A1 (en) 2022-03-24
TW202029583A (zh) 2020-08-01
CN113302803A (zh) 2021-08-24
WO2020150075A1 (en) 2020-07-23
US11936139B2 (en) 2024-03-19
JP7372971B2 (ja) 2023-11-01
TWI744740B (zh) 2021-11-01
JP2022511025A (ja)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6139B2 (en) Receptacle connector, plug connector, and board-to-board connector having the same
US6431914B1 (en) Grounding scheme for a high speed backplane connector system
US723231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means
US776667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high profile
US714427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uidance face
JP7198924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20040175978A1 (en) Connector with switching function
JP2021174770A (ja) 基板側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6042398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ing arrangement
CN113131289A (zh) 连接器和连接器装置
CN113131290A (zh) 连接器和连接器装置
KR102083912B1 (ko) 고주파 전송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20130137304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70077823A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for camera module
JP2022029413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US6083041A (en) Electrical connector mounting assembly
EP3429031A1 (en) Poke-in connector
US6152773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liably secured shield
CN116075990A (zh) 连接器及连接器对
KR102516102B1 (ko)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US6296511B1 (en) Electrical connector
TWI688165B (zh) 板連接器組合及其連接器
KR102659117B1 (ko) 리셉터클 커넥터
US7314381B2 (en) Electric component having connector attached to case via seal member
US6508662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wo flexible printed circu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