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784B1 -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784B1
KR102444784B1 KR1020160007887A KR20160007887A KR102444784B1 KR 102444784 B1 KR102444784 B1 KR 102444784B1 KR 1020160007887 A KR1020160007887 A KR 1020160007887A KR 20160007887 A KR20160007887 A KR 20160007887A KR 102444784 B1 KR102444784 B1 KR 102444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terminal
strands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038A (ko
Inventor
김영호
박동진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7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784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Abstract

리셉터클 단자, 및 리셉터클 단자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단자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중공에 수용되어 플러그 단자와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접촉부; 및 적어도 두 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지고, 리셉터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리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HAVING IMPROVED JOINT STRUCTURE}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근래에 들어 전기 커넥터는 휴대용 단말 등의 회로기판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도록 저배화(低背化)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전자 소자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기 커넥터에 구비되는 단자의 수도 많아지고 단자의 피치간격의 조밀화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단자와 리셉터클 하우징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장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는 솔더가 리드부 쪽으로 타고 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단자, 및 상기 리셉터클 단자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중공에 수용되어 플러그 단자와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접촉부; 및 적어도 두 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리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닥 각각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닥 각각과 끼워맞춤되는 적어도 두 개의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닥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단자, 및 상기 리셉터클 단자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중공에 수용되어 플러그 단자와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접촉부; 및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리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드부는, 적어도 두 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달성할 수 있는 일부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i) 리셉터클 단자와 리셉터클 하우징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ii)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장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iii) 솔더가 리드부 쪽으로 타고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v) 리셉터클 커넥터의 저배화를 달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셉터클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리셉터클 단자와 결합 가능한 리셉터클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단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20)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단면도이며, 도 3은 하나의 리셉터클 단자(12)가 결합될 수 있는 리셉터클 하우징(11)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전기 커넥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20)로 이루어진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12)와 리셉터클 단자(12)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하우징(11)을 포함하며, 플러그 커넥터(20)는 다수의 플러그 단자(22)와 이들을 수용하는 플러그 하우징(21)을 포함한다. 플러그 단자(22)의 돌출 영역이 리셉터클 단자(12)의 요홈 영역으로 삽입 결합됨으로써, 플러그 단자(22)와 리셉터클 단자(1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리셉터클 단자(12)와 플러그 단자(22)는 전기적 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하우징(11)과 플러그 하우징(21)은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12)는 리셉터클 하우징(11)에 수용되는데, 리셉터클 단자(12)는 리셉터클 하우징(11)의 중공(13)으로 수용되어 플러그 단자(22)와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접촉부(15)와, 리셉터클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되어 기판에 실장되거나 케이블에 연결되는 리드부(16) 및 접촉부(15)와 리드부(16)를 연결하는 연결부(17)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11)에는 리드부(16)에 대응하는 홈(14)이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인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의하면, 리셉터클 단자(12)의 접촉부(15)가 리셉터클 하우징(11)의 중공(13)에 수용되고, 리셉터클 단자(12)의 리드부(16)가 리셉터클 하우징(11)의 홈(14)에 수용되면서, 리셉터클 단자(12)와 리셉터클 하우징(11)이 서로 결합된다. 또한, 리셉터클 단자(12)와 리셉터클 하우징(11)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리셉터클 단자(12)의 연결부(17)의 측면에 쐐기부(18)를 마련하고, 이를 리셉터클 하우징(11)의 내면 홈 (미도시)에 결합시킨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리셉터클 단자(12)와 리셉터클 하우징(11)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리셉터클 단자(12)의 연결부(17)에 쐐기부(18)를 형성시켜야 하므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저배화를 달성하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리셉터클 단자(12)의 리드부(16)를 기판에 솔더링(soldering)을 하는 경우, 솔더가 리셉터클 단자(12)의 리드부(16)로 타고 오르는 현상(solder wicking)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표면장력에 의한 것으로 이러한 솔더의 타오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컨택트의 리드부(16)에 배리어로서 니켈 도금 처리를 수행하며, 이는 별도의 추가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를 향상시키는 요인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단자(4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리셉터클 단자(400)와 결합 가능한 리셉터클 하우징(5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단자(400)는 리셉터클 하우징(500)의 중공에 수용되어 플러그 단자(22)와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접촉부(410), 리셉터클 하우징(500)의 외부로 돌출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리드부(420) 및 접촉부(410)와 리드부(420)를 연결하는 연결부(4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단자(400)의 리드부(420)는 적어도 두 개의 가닥(4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500)에는 리셉터클 단자(400)의 리드부(420)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홈(510)이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홈(510)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가닥(422)과 억지 끼워맞춤되어 서로 간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하면, 리셉터클 단자(400)의 리드부(420)를 두 개 이상의 복수 개의 가닥(422)으로 구성함으로써, 솔더가 리드부(420)를 타고 오르는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며, 실장 면적이 증가되어 실장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즉, 리셉터클 단자(400)의 리드부(420)를 두 개 이상의 복수 개의 가닥(422)으로 구성하면, 솔더가 리드부(420)의 가닥(422)들 사이의 공간에 흘러 들어가면서 자연스럽게 솔더의 타오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솔더와 기판 사이의 접촉 면적의 증가로 실장 강도가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적어도 두 개의 가닥(422)으로 이루어진 리드부(420)와 리셉터클 하우징(500)의 홈(510)을 끼워맞춤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그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단자(400)에서 쐐기부(432)가 생략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저배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리셉터클 단자(600)는 도 4에 도시된 리셉터클 단자(400)로부터 쐐기부(432)가 생략된 구성을 갖는다. 즉, 리셉터클 단자(600)와 리셉터클 하우징(500)의 결합력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쐐기부(432)가 리셉터클 단자(600)로부터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700)의 리드부(720)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72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커넥터도 소형화 및 저배화가 요구되므로, 리셉터클 하우징(11)에 복수의 가닥(622)을 포함하는 리드부(620)에 대응하는 복수의 홈(14)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소형 커넥터의 경우에는, 리드부(720)를 종래와 같이 한 개의 가닥으로 형성하되,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722)을 형성하여 솔더의 타오름 방지 및 실장 강도 증가를 꾀할 수 있다. 도 6(b)는 관통 홀(722)의 단면을 원형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 홀(722)의 단면은 타원형,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인 리셉터클 단자(12)의 리드부(16)와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722)이 형성된 리드부(720)의 실장 면적이 증가될 수 있고, 또한, 솔더가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722)의 공간에 흘러 들어가서 솔더가 리드부(720)를 타고 오르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리셉터클 단자(700)는 도 3에 도시된 일반적인 리셉터클 하우징(11)과 결합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리드부(420)의 복수의 가닥(422) 각각에 관통 홀을 형성시켜 솔더의 타오름 현상 방지 및 실장 강도의 증대를 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단자와 리셉터클 하우징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장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는 솔더가 리드부 쪽으로 타고 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리셉터클 커넥터의 저배화를 달성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리셉터클 커넥터 11: 리셉터클 하우징
12: 리셉터클 단자 13: 중공
14: 홈 15: 접촉부
16: 리드부 17: 연결부
18: 쐐기부 20: 플러그 커넥터
21: 플러그 하우징 22: 플러그 단자
400, 600, 700: 리셉터클 커넥터 410, 610, 710: 접촉부
420, 620, 720: 리드부 422, 622: 가닥
722: 관통 홀 430, 630, 730: 연결부
432: 쐐기부 500: 리셉터클 하우징
510: 홈

Claims (4)

  1. 리셉터클 단자, 및 상기 리셉터클 단자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중공에 수용되어 플러그 단자와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접촉부;
    적어도 두 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리드부; 및
    상기 접촉부와 리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측면에 마련되는 쐐기부가 생략되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닥 각각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닥 각각과 끼워맞춤되는 적어도 두 개의 홈이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닥 각각에는
    복수의 관통 홀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리드부는
    상기 각각의 가닥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닥은 상기 끼워맞춤을 위해 휘어져, 상기 가닥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홈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60007887A 2016-01-22 2016-01-22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KR102444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887A KR102444784B1 (ko) 2016-01-22 2016-01-22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887A KR102444784B1 (ko) 2016-01-22 2016-01-22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038A KR20170088038A (ko) 2017-08-01
KR102444784B1 true KR102444784B1 (ko) 2022-09-19

Family

ID=5965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887A KR102444784B1 (ko) 2016-01-22 2016-01-22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7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637A (ko) 2019-01-15 2020-07-23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CN114628940A (zh) * 2022-03-30 2022-06-14 东莞立德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8615B2 (ja) * 2011-04-19 2013-12-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977U (ja) * 1993-01-13 1994-08-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H1140221A (ja) * 1997-07-18 1999-02-12 Yazaki Corp プリント基板用接続端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8615B2 (ja) * 2011-04-19 2013-12-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038A (ko)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804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soldering holes inter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flat flexible cable
US933141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533838B2 (ja) 同軸コネクタプラグ
US7160151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8979551B2 (en) Low-profile mezzanine connector
US925780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 shorter siz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776667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high profile
US9263829B2 (en) Durable plug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EP3392984B1 (en) Press-fit circuit board connector
US8192217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with low profile
US20090291574A1 (en) Electrical terminal
US8992247B2 (en) Multi-surface contact plu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US10243311B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US20140127949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KR20160080636A (ko)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KR102444784B1 (ko)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US951543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set
US7938652B2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US20130178076A1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548233B1 (ko) 금속 프레임 구조를 가진 전기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768216B1 (ko) 세라믹을 이용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그리고 이들의 제조방법.
US8840433B2 (en) Electrical connector
TWM509991U (zh) 一種高頻傳輸連接器
JP2007149663A (ja) コネクタおよびそのベース
CN211789699U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