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818A -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점착제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점착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818A
KR20220154818A KR1020227036995A KR20227036995A KR20220154818A KR 20220154818 A KR20220154818 A KR 20220154818A KR 1020227036995 A KR1020227036995 A KR 1020227036995A KR 20227036995 A KR20227036995 A KR 20227036995A KR 20220154818 A KR20220154818 A KR 20220154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layer
adhesive sheet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6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후미 가타미
히로타카 오하라
슈헤이 후쿠토미
신야 야마모토
다카히로 노나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04855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155733A/ja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54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5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제 시트에 첨가제를 배합하는 경우라도, 점착제 시트의 물성 변화나 첨가제 사이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첨가제 선택이나 경화 조건 등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게 하여 설계가 용이한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해당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점착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은, 지지체(S) 상에,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10)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제층(10)을 경화시키고, 첨가제(11)의 용액(12)을 준비하고, 상기 경화된 점착제층(10a)의 한쪽의 면에 상기 용액(12)을 도포하여, 해당 용액(12)에 포함되는 상기 첨가제(11)를, 상기 점착제층(10a)의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침투시키고, 상기 점착제층(10a)을 건조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점착제 시트
본 발명은,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해당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점착제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투명한 광학 부재를 다른 광학 부재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해당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점착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EL 표시 장치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커버 유리 등의 투명 커버 부재, 기타 다양한 투명 광학 부재가 적층된 광학 부재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광학 부재간을 접합하기 위해 투명한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즉, 접합되는 2개의 광학 부재의 사이에 점착제 시트가 배치되고, 해당 2개의 광학 부재는, 이들을 서로 압박함으로써 접합되어, 광학 부재 적층체가 형성된다. 또한, 기재 필름의 편면에 점착제층을 마련한 점착제 시트가, 상기 광학 부재의 흠집이나 오염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광학 제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점착제 시트에는, 요구 특성에 따라서, 중합 개시제, 가교제, 자외선 흡수제, 방청제, 대전 방지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과 같은 입력 장치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광학 부재의 표면에, 패턴화된 ITO(인듐ㆍ주석 산화물) 등의 투명한 도전성의 인쇄층이 형성된다. 또한 주변부에 은이나 구리의 라우팅 배선이 형성된다. 또한, 투명 커버 부재의 주연부에는, 프레임 형상으로 흑색의 은폐부를 인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인쇄층이나 배선을 갖는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접착제 시트에는, 점착제층의 유동성을 높게 하여, 인쇄 단차에 기포가 남지 않는 단차 흡수성을 나타내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광학 부재로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필름 등에는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가 포함되어 있어,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고온 조건 등에서 가스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때, 점착제층이 유연한 경우에는,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지 못하고, 점착제층이 들떠, 기포가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의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접착 시트에는 점착제층의 탄성률을 높게 하고, 단단하게 하여, 접착 신뢰성을 높이는 것도 요구된다.
상기의 단차 흡수성과 접착 신뢰성을 양립하는 점착제 시트로서는, 하이브리드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본 명세서에서,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하이브리드 점착제는, 열이나 광 등의 경화 개시 조건이 상이한 2종류의 중합 개시제나 가교제(본 명세서에서, 「트리거」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배합하고, 단계적으로 경화하는 점착제 조성물이다.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에서는, 먼저, 한쪽의 트리거(본 명세서에서, 「제1 트리거」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의해 유동성이 높고, 단차 흡수성이 우수한 반경화의 상태로 하여 단차에 대하여 충분히 추종시키고, 그 후에 다른 쪽의 트리거(본 명세서에서, 「제2 트리거」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의해 경화를 완결하여,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입사하는 자외선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 내의 구성 부재 등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자외선 커트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발광 소자로서 유기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자외선에 의한 열화가 빠르고, 나아가, 편광 필름이나 보호 필름 등의 광학 부재의 박형화가 진행되어, 자외선에 대한 내광성은 저하되어 있어, 자외선 흡수층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자외선 흡수층을 구비하는 점착제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화상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센서의 대형화나 프레임 폭 협소화에 수반하여, 구리 배선을 구비하고 있는 예가 증가하고 있다. 구리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여, 배선으로서 유용한 재료이지만, 산화ㆍ부식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구리 배선의 산화ㆍ부식을 억제하기 위해 점착제 시트에 방청제를 배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또한, 편광 필름 등의 광학 부재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에 정전기가 발생하면 화상 표시 장치의 전기 회로를 손상시킬 것이 염려된다. 또한, 정전기는, 진애를 흡인하거나, 작업성을 저하시키거나 하는 요인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한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점착제층에 대전 방지제를 배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참조).
국제 공개 WO2016/17087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11305호 공보 국제 공개 WO2015/14576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28537호 공보
상기의 각종 첨가제를 점착제 시트에 배합하는 경우에, 점착제 시트의 점착력, 탄성률 등의 각종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근년, 화상 표시 장치의 경량화, 박형화에 의해, 점착제층의 박형화도 진행되고 있어, 요구 특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점착제 시트에 포함시키는 첨가제의 농도를 높이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2종 이상의 첨가제를 배합하여, 점착제 시트에 다기능을 부여하는 요구도 높아지고 있지만, 첨가제끼리가 간섭하여, 트레이드오프의 관계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점착제 시트에 각종 첨가제를 배합하는 것에 의한 문제점이 보다 현재화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첨가제를 점착제 시트에 배합하는 경우에는, 첨가제에 의한 요구 특성을 충족시키는 것 외에, 점착제 시트의 점착력, 탄성률 등의 물성 변화나 첨가제 사이의 간섭을 적게 하기 위해, 각종 첨가제의 배합량이나 베이스 폴리머의 모노머 조성 등의 점착제 조성, 점착제 시트의 두께, 경화 조건 등의 설계를 처음부터 시작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있다. 나아가, 첨가제에 의한 요구 특성과 점착제 시트의 물성을 양립하기 위해, 첨가제 선택이나 경화 조건 등의 설계의 자유도가 좁아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경화 조건이 상이한 2종류의 트리거가 병용되므로, 제1 트리거에서 제2 트리거에 의한 경화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트리거의 조합이나 엄밀한 경화 조건의 설정이 필요해져, 트리거의 선택이나 경화 조건 등의 설계의 자유도는 매우 좁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제1 트리거를 열중합 개시제, 제2 트리거를 광중합 개시제로 하는 경우, 제1 트리거의 열경화 시에 제2 트리거의 경화가 진행되는 경우가 있어, 경화 반응의 엄밀한 제어가 필요해진다. 또한, 두꺼운 점착제층에서는 열경화에 시간이 걸려 생산 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제1 트리거를 광중합 개시제, 제2 트리거를 열중합 개시제로 하는 경우는, 광경화 후의 공정에서 고온에 노출되지 않는 공정 관리가 필요해지고, 또한 점착제 시트의 접합 후에 가열하는 것도 곤란하므로, 실용성은 낮다.
또한, 제1 트리거와 제2 트리거를 광중합 개시제로 하는 경우는, 2종류의 광중합 개시제의 광흡수 파장대를 충분히 떨어뜨릴 필요가 있고, 나아가 상술한 자외선 흡수제를 더 배합하는 경우는, 그 파장 영역과도 구별할 필요가 있으므로, 설계성이 극단적으로 좁아진다.
제1 트리거와 제2 트리거를 열중합 개시제로 하는 경우는, 제1 트리거의 열경화 시에 제2 트리거도 필연적으로 진행되므로, 2단계의 경화 반응으로 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에 자외선 커트성을 부여하기 위해 충분한 양의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함으로써, 점착제의 물성이나 경화성에 영향이 미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한 광경화형 점착제 시트를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는 경우, 자외선 흡수제에 의해 자외선이 흡수되어 버려 경화성이 악화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한 광경화형 점착제 시트에서는, 점착제 시트의 표리에 접착성, 점탄성 등의 물성차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이것은, 자외선이 점착제층의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에 자외선 흡수제에 의해 흡수되고, 자외선 조사측 표면으로부터 깊어질수록 자외선 조도가 저하되어, 표리에 있어서 경화 속도에 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의 특허문헌에서는, 점착제 조성물에 첨가제를 배합하여 균일하게 용해시키고 있지만, 방청제나 대전 방지제 등은, 본래, 접합하는 광학 부재와의 계면 부근에서만 기능하는 것이다. 그러나, 점착제 시트의 표면에 충분한 방청 기능이나 대전 방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점착제층 전체에 첨가제를 배합할 필요가 있고, 그것이 점착제 시트의 물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딜레마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하에서 고안된 것이며, 점착제 시트에 첨가제를 배합하는 경우라도, 점착제 시트의 물성 변화나 첨가제 사이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첨가제 선택이나 경화 조건 등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게 하여 설계가 용이한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착제 시트에 첨가제를 배합하는 경우라도, 점착제 시트의 물성 변화나 첨가제 사이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첨가제 선택이나 경화 조건 등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게 하여 설계가 용이한 점착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점착제 시트의 점착제층을 경화시킨 후에 첨가제의 용액을 도포하여 침투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이나 첨가제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점착제층의 물성이 우수하며, 또한 첨가제에 의한 우수한 요구 특성을 나타내는 점착제 시트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첨가제 선택이나 경화 조건 등의 설계의 자유도가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지지체 상에,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제층을 경화시키고,
첨가제의 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경화된 점착제층의 한쪽의 면에 상기 용액을 도포하여, 해당 용액에 포함되는 상기 첨가제를,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침투시키고,
상기 점착제층을 건조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점착제층에 첨가제를 함유시키기 전에 상기 점착제층을 경화시킴으로써, 첨가제의 점착제층에 미치는 영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첨가제에 의한 점착제층의 물성 변화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경화 후의 점착제층에 첨가제의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점착제층에 첨가제가 침투한다. 이에 의해, 점착제층에 첨가제에 의한 요구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첨가제가 용액의 상태로 침투함으로써 점착제층의 투명성이 유지된다.
그 후, 점착제층을 가열 등에 의해 건조시킨다. 이 공정에 의해, 점착제층은 도포 전에 가까운 상태로 되돌아간다. 즉, 점착제층은 일단 경화되어 있으므로 점착력, 탄성률 등의 물성은 상기 용액을 도포하기 전에 가까운 상태로 복원된다.
첨가제를 첨가하기 전에 접착제층을 경화시켰으므로, 접착제 조성물의 조성이나 경화 조건, 물성 등이 일단 결정되면, 첨가제를 배합하는 것에 의한 조성의 재설계의 필요는 없으며, 점착제층의 두께의 변경도 용이하다. 그리고, 그 후의 첨가제 용액의 도공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점착제층에 부여되는 요구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착제층의 물성 제어와 첨가제에 의한 요구 특성의 제어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점착제층의 두께나 첨가제의 첨가량 등의 변경에 대해서 처음부터 점착제층의 설계를 행할 필요는 없어, 효율이 좋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용액은, 상기 첨가제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이어도 되고, 상기 점착제층을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용액의 용매를 증발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경화 후의 점착제층에 첨가제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용매가 점착제층에 침투하여 점착제층이 팽윤됨과 함께, 용매에 의해 팽윤된 점착제층에, 용매 중에 용해된 첨가제가 침투한다. 이에 의해, 점착제층에 첨가제에 의한 요구 특성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첨가제가 용액으로 침투함으로써 점착제층의 투명성이 유지된다.
점착제층에 침투한 용매는 가열 등에 의해 증발하여, 점착제층은 팽윤 전에 가까운 상태로 되돌아간다. 즉, 점착제층은 일단 경화되어 있으므로 점착력, 탄성률 등의 물성은 상기 용액을 도포하기 전에 가까운 상태로 복원된다.
또한, 예를 들어, 2종 이상의 첨가제의 용액을, 점착제층에 개별로 도포, 건조함으로써, 첨가제 사이의 간섭도 저감할 수 있어, 다종의 요구 특성을 효율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지지체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박리 시트를 접합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박리 시트를 접합함으로써, 점착제층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중합 개시제, 가교제, 자외선 흡수제, 방청제, 및 대전 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본 발명의 소정의 효과를 얻기 위한 적합한 예이다.
상기 첨가제가 중합 개시제 및 가교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경우,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이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인 경우,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가, 제1 트리거로서,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가 상기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의 반응에 의한 경화이며,
상기 첨가제가, 제2 트리거로서,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중합 개시제는, 제2 중합 개시제와 동일해도 된다.
제2 트리거를 첨가하기 전에, 제1 트리거에 의한 경화 반응은 완결되어 있으므로, 제2 트리거에 의한 경화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제1 트리거와의 조합이나 엄밀한 경화 조건의 설정은 불필요해져,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의 설계 자유도는 현저히 향상된다.
즉, 제1 트리거와 제2 트리거의 경화 반응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1 트리거와 제2 트리거의 조합의 선택의 자유도는 매우 높다. 예를 들어, 제1 트리거와 제2 트리거의 양쪽이 광중합 개시제의 조합, 제1 트리거가 열중합 개시제와 제2 트리거가 광중합 개시제의 조합, 제1 트리거가 광중합 개시제와 제2 트리거가 열중합 개시제의 조합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종래의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에서는 곤란했던 제1 트리거와 제2 트리거의 양쪽이 열중합 개시제의 조합도 가능하다. 또한, 제1 트리거와 제2 트리거의 양쪽이 광중합 개시제의 조합인 경우, 2종류의 광중합 개시제의 광흡수 파장대가 중복, 근사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에서는 불가능했던, 제1 트리거와 제2 트리거로서, 동일한 중합 개시제(열중합 개시제와 광중합 개시제를 불문함)의 조합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트리거와 제2 트리거의 조합의 자유도가 매우 높고, 동일한 트리거의 조합도 가능한 것은, 점착제층의 착색이나 열화를 야기시킬 우려가 있는 중합 개시제의 사용을 회피할 수 있는 점에서도 적합하다.
또한, 제1 트리거와 제2 트리거의 경화 반응이 분리되어 있고, 서로 간섭하지 않으므로, 각각의 경화 반응을 제어하기 위한 엄밀한 조건 설정도 불필요하다. 예를 들어, 제1 트리거에서는, 제2 트리거가 진행되지 않는 조건 설정은 불필요하고, 점착제층에 우수한 단차 흡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경화 조건이 일단 결정되면, 그 후의 제2 트리거 용액의 도공 조건이나 경화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점착제층에 부여해야 할 접착 신뢰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있어서, 첨가제가 자외선 흡수제인 경우,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점착제층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자외선 흡수제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상기 점착제층을 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 흡수제에 의한 경화성의 악화에 의한 생산성의 저하, 표리의 물성차 등의 상기 점착제층의 물성 변화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기 전에 접착제층을 경화시켰으므로, 접착제 조성물의 조성이나 경화 조건, 물성 등이 일단 결정되면,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것에 의한 조성의 재설계의 필요는 없으며, 점착제층의 두께의 변경도 용이하다. 그리고, 그 후의 자외선 흡수제 용액의 도공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점착제층에 부여되는 자외선 흡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착제층의 물성 제어와 자외선 흡수 기능의 제어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점착제층의 두께나 자외선 흡수 기능의 변경에 대해서 처음부터 점착제층의 설계를 행할 필요는 없어, 효율이 좋다.
또한,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에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경우, 제1 트리거 및 제2 트리거에 의한 경화 후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할 수 있으므로, 제1 트리거 및 제2 트리거로서 사용하는 광중합 개시제와 자외선 흡수제의 흡수 파장대를 구별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광중합 개시제와 자외선 흡수제를 조합하는 선택의 자유도도 현저히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중합 개시제 및 가교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경우, 상기 첨가제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가, 중합 개시제 및 가교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더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함으로써,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를 한 번의 도공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자외선을 흡수한 자외선 흡수제가 발열함으로써, 경화 반응이 촉진되어,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인 경우, 경화 후의 점착제층의 표면에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의 용액을 도포, 침투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의 표면 부근에 충분한 방청 기능 또는 대전 방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를 점착제층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에 의한 점착제층의 탄성률 등의 물성 변화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고,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의 사용량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를 첨가하기 전에 접착제층을 경화시켰으므로, 접착제 조성물의 조성이나 경화 조건, 물성 등이 일단 결정되면,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를 배합하는 것에 의한 조성의 재설계의 필요는 없으며, 점착제층의 두께의 변경도 용이하다. 그리고, 그 후의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의 용액의 도공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점착제층에 부여되는 방청 기능 또는 대전 방지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착제층의 물성 제어와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에 의한 방청 기능 또는 대전 방지능의 제어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점착제층의 두께나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의 첨가량 등의 변경에 대해서 처음부터 점착제층의 설계를 행할 필요는 없어, 효율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과,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에,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제 시트의 점착제층을 접합하고,
상기 점착제층을 상기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반응에 의해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광학 부재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은 인쇄층을 갖고,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과 상기 인쇄층 사이의 단차를 메우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제 시트(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를 사용하여 광학 부재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의 점착제층은,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제1 트리거)에 의해 경화된 것이지만,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제2 트리거)에 의한 경화 전의 반경화로 유동성이 높은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이 인쇄층을 갖는 경우라도,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과 상기 인쇄층 사이의 단차에 충분히 추종하여, 이것을 메우도록 접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점착제층을 상기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제2 트리거)의 반응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의 탄성률을 높여,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지지체와, 해당 지지체 상의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 시트이며,
상기 점착제층은,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주면을 갖는 단일층이고,
상기 점착제층에는, 첨가제가 용해되어 있고,
상기 단일층의 점착제층을 두께 방향으로 등분으로 2분할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2개의 주면 중 한쪽의 제1 주면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와, 다른 쪽의 제2 주면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점착제층의 한쪽의 면에 첨가제의 용액을 도포하여 침투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의 표리에 있어서 첨가제의 농도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구성이 발생할 수 있는 점착제 시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첨가제에 의한 물성 변화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두께나 첨가제의 침투 시간 등의 조건에 따라서는, 첨가제의 농도가 점착제층의 표리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첨가제의 농도가 점착제층의 표리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점착제 시트가 얻어지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경화된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은, 첨가제에 의한 물성 변화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면이 상기 지지체 상에 면하고 있고, 상기 제1 주면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가, 상기 제2 주면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은, 제1 주면에 첨가제의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의 점착제층이 두께 방향으로 상기 첨가제의 농도 구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은, 점착제층의 한쪽의 주면에 첨가제의 용액을 도포, 침투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박리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박리 시트로 이루어지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점착제층의 양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가 박리 시트임으로써, 박리된 후에 투명 광학 부재와 접합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중합 개시제, 가교제, 자외선 흡수제, 방청제, 및 대전 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첨가제는, 본 발명의 소정의 효과를 얻기 위한 적합한 예이다.
상기 첨가제가 중합 개시제 및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경우,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중합 개시제 및 가교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경우, 상기 첨가제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가, 중합 개시제 및 가교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더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로 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자외선을 흡수한 자외선 흡수제가 발열함으로써, 경화 반응이 촉진되어,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이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인 경우,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가, 제1 트리거로서,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가 상기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의 반응에 의한 경화이며,
상기 첨가제가, 제2 트리거로서,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중합 개시제는, 제2 중합 개시제와 동일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이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인 경우, 본 발명의 제1 측면이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인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 주면이 속하는 영역의 제2 트리거의 농도와, 제2 주면이 속하는 영역의 제2 트리거의 농도가 상이함으로써, 제1 주면과 제2 주면의 가교 밀도를 제어하여, 점착제층의 표리에 탄성률 등의 물성에 차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구성은, 예를 들어, 절곡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적합하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절곡했을 때에는, 일반적으로, 외측에는 인장성의 응력, 내측에는 압축성의 응력이 가해지고, 외측의 응력은 내측의 응력보다도 강하다. 따라서, 점착제층의 제2 트리거의 농도가 높은 쪽의 면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부리는 경우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굴곡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에 있어서 첨가제가 자외선 흡수제인 경우,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첨가제가 자외선 흡수제인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첨가제가 자외선 흡수제인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는, 자외선 흡수제에 의한 경화성의 악화에 의한 생산성의 저하, 표리의 물성차 등의 물성 변화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에 있어서 첨가제가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인 경우,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첨가제가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인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첨가제가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인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는, 한쪽의 주면(제1 또는 제2 주면)에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를 보다 높은 농도로 분포시킴으로써, 당해 주면에 우수한 방청 기능 또는 대전 방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를 점착제층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에 의한 점착제층의 물성 변화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고,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의 사용량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5㎛ 내지 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이 범위 내에 있으면, 점착제층의 두께 방향으로 첨가제의 농도 구배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적합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과,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이며,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에 상기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점착제층이,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의 점착제층의 경화물인, 광학 부재 적층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이 인쇄층을 갖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과 상기 인쇄층 사이의 단차를 메우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은, 상기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반응에 의한 경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를 사용한 광학 부재 적층체이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의 광학 부재 적층체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것이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점착제 시트에 의하면, 점착제 시트에 첨가제를 배합하는 경우라도, 점착제층의 물성 변화나 첨가제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나 첨가제의 배합량의 변경에 대해서 처음부터 점착제층의 설계를 행할 필요는 없어, 효율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양태를 실시하기 위한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점착제층 형성 공정, (b)는 점착제층 경화 공정, (c)는 용액 도포 공정, (d)는 용액 침투 공정, (e)는 건조 공정을 각각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점착제 시트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점착제 시트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점착제 시트를 사용하는 가장 단순한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접착 시트를 사용한 광학 부재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형태를 실시하기 위한 공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실시예 9 및 비교예 9의 점착제 시트에 있어서의 TOF-SIMS 분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의 (a)는 실시예 9, 도 5의 (b)는 비교예 9의 결과이다. 도 5에 있어서 좌측의 종축의 스케일은, 아크릴산부틸(BA) 및 N-비닐피롤리돈(NVP)의 강도, 우측의 종축의 스케일은, 자외선 흡수제(Tinosorb S)의 강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관련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도 1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양태를 실시하기 위한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S1) 상에,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10)을 형성한다(점착제층 형성 공정).
상기 지지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 등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상품명 「아톤」(환상 올레핀계 폴리머, JSR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제오노아」(환상 올레핀계 폴리머, 닛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의 환상 올레핀계 폴리머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플라스틱 재료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지지체는, 박리 시트여도 된다. 상기 박리 시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황화몰리브덴 등의 박리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는, 광학 용도로 사용 가능한 점착성을 갖는 투명한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및 폴리에테르계 점착제로부터 적의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투명성, 가공성 및 내구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는, 상기한 점착제 중 어느 것을 단독으로, 혹은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베이스 폴리머로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는, 특별히 한정하는 의미는 아니지만,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모노머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트)아크릴」이라고 하는 표현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다른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계 폴리머라고 하는 용어는, 상술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외에,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도 포함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가 아크릴계 점착제인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당해 아크릴계 폴리머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또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서 유래되는 모노머 유닛을 중량 비율로 가장 많은 주된 모노머 유닛으로서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모노머 유닛을 이루기 위한,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즉,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기 위한 모노머 성분에 포함되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s-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펜틸, (메트)아크릴산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헵틸,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노닐, (메트)아크릴산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데실, (메트)아크릴산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운데실, (메트)아크릴산도데실, (메트)아크릴산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이소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노나데실, 및 (메트)아크릴산에이코실 등,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위한 당해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1종류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위한 당해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및 아크릴산이소스테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사용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즉, 당해 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기 위한 원료 모노머 성분 조성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함유되는 아크릴계 폴리머는, 지환식 모노머에서 유래되는 모노머 유닛을 포함해도 된다. 아크릴계 폴리머의 모노머 유닛을 이루기 위한 지환식 모노머, 즉, 당해 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기 위한 모노머 성분에 포함되는 지환식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 2환식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3환 이상의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시클로펜틸,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헵틸, 및 (메트)아크릴산시클로옥틸을 들 수 있다. 2환식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보르닐 및 (메트)아크릴산이소보르닐을 들 수 있다. 3환 이상의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트)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 (메트)아크릴산트리시클로펜타닐, (메트)아크릴산1-아다만틸, (메트)아크릴산2-메틸-2-아다만틸, 및 (메트)아크릴산2-에틸-2-아다만틸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위한 지환식 모노머로서는, 1종류의 지환식 모노머를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지환식 모노머를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위한 지환식 모노머로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이소보르닐, 및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사용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지환식 모노머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비율은, 당해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있어서 적당한 유연성을 실현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40중량%이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함유되는 아크릴계 폴리머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에서 유래되는 모노머 유닛을 포함해도 된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는, 모노머 유닛 내에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를 갖게 되는 모노머이다. 점착제 베이스 재료 내의 아크릴계 폴리머가 수산기 함유 모노머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있어서 접착성이나 적당한 응집력을 얻기 쉽다. 또한, 수산기는, 후술하는 가교제와의 반응점으로도 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모노머 유닛을 이루기 위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 즉, 당해 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기 위한 모노머 성분에 포함되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비닐알코올, 및 알릴알코올을 들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라우릴, 및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위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1종류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위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및 메타크릴산4-히드록시부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사용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이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비율에 관한 이들 구성은, 당해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있어서 접착성이나 적당한 응집력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적합하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함유되는 아크릴계 폴리머는,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에서 유래되는 모노머 유닛을 포함해도 된다.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는, 모노머 유닛 내에 적어도 하나의 질소 원자를 갖게 되는 모노머이다. 점착제 베이스 재료 내의 아크릴계 폴리머가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있어서 경도나 양호한 접착 신뢰성을 얻기 쉽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모노머 유닛을 이루기 위한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 즉, 당해 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기 위한 모노머 성분에 포함되는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N-비닐 환상 아미드 및 (메트)아크릴아미드류를 들 수 있다.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인 N-비닐 환상 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N-비닐-2-피롤리돈, N-비닐-2-피페리돈, N-비닐-3-모르폴리논, N-비닐-2-카프로락탐, N-비닐-1,3-옥사진-2-온, 및 N-비닐-3,5-모르폴린디온을 들 수 있다.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인 (메트)아크릴아미드류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옥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N-디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를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위한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는, 1종류의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위한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 바람직하게는 N-비닐-2-피롤리돈이 사용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비율은, 당해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있어서, 적당한 경도나, 접착성, 투명성을 실현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이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비율은, 당해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있어서, 충분한 투명성을 실현한다고 하는 관점이나, 너무 단단해지는 것을 억제하여 양호한 접착 신뢰성을 실현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이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함유되는 아크릴계 폴리머는,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에서 유래되는 모노머 유닛을 포함해도 된다.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는, 모노머 유닛 내에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시기를 갖게 되는 모노머이다. 점착제 베이스 재료 내의 아크릴계 폴리머가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있어서 양호한 접착 신뢰성이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카르복시기는, 후술하는 가교제와의 반응점으로도 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모노머 유닛을 이루기 위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즉, 당해 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기 위한 모노머 성분에 포함되는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및 이소크로톤산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위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1종류의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위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로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이 사용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비율은, 당해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있어서, 피착체 표면에 극성기가 존재하는 경우의 당해 극성기와 카르복시기의 상호 작용의 기여를 얻어 양호한 접착 신뢰성을 확보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이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비율은, 당해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있어서 너무 단단해지는 것을 억제하여 양호한 접착 신뢰성을 실현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이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함유되는 아크릴계 폴리머는, 가교제에서 유래되는 가교 구조를 가져도 된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가 가교 구조를 가짐으로써, 점도가 상승하여 형상 안정성이 향상되고, 지지체(S1)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가교제로서는, 공중합성 가교제인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나 열경화성 가교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에서만 유래되는 가교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열경화성 가교제에서만 유래되는 가교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열경화성 가교제의 양쪽에서 유래되는 가교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 가교제는, 본 발명의 점착제 시트가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인 경우의 제1 트리거를 구성하는 가교제(제1 가교제)이다.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비닐(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위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1종류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위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바람직하게는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사용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이다.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에 관한 이들 구성은, 당해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있어서 적당한 경도나 접착성, 형상 안정성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적합하다.
열경화성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과산화물계 가교제, 요소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및 아민계 가교제를 들 수 있다. 점착제 베이스 재료는, 1종류의 당해 열경화성 가교제를 함유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당해 열경화성 가교제를 함유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에폭시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사용된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및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를 들 수 있다.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로서는, 예를 들어 1,2-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수소 첨가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로서는, 예를 들어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상품명 「코로네이트 L」, 닛본 폴리우레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상품명 「코로네이트 HL」, 닛본 폴리우레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및 트리메틸올프로판/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상품명 「타케네이트 D-110N」, 미츠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의 시판품도 들 수 있다.
에폭시계 가교제(다관능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디글리시딜아닐린,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탄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아디프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o-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및 비스페놀-S-디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또한,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에폭시 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수지도 들 수 있다. 덧붙여,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상품명 「테트래드 C」(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의 시판품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 사이를 가교하기 위한 이상과 같은 열경화성 가교제를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가 함유하는 경우, 점착제 베이스 재료 중의 당해 열경화성 가교제의 함유량은,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형상 안정성이 향상되고, 지지체(S1)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쉬워지고, 피착체에 대한 충분한 접착 신뢰성을 실현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점착제 베이스 재료 중의 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이상이다. 또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 중의 당해 열경화성 가교제의 함유량은,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있어서 적당한 유연성을 발현시켜 양호한 점착력을 실현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점착제 베이스 재료 중의 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가 이상과 같은 아크릴계 폴리머를 점착제로서 함유하는 경우,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있어서의 당해 아크릴계 폴리머의 함유율은, 예를 들어 85 내지 100중량%이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기 위한 모노머나 가교제에 더하여,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광중합 개시제나 열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는, 1종류의 중합 개시제를 함유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중합 개시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한, 이 중합 개시제는, 본 발명의 점착제 시트가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인 경우의 제1 트리거를 구성하는 중합 개시제(제1 중합 개시제)이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및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및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을 들 수 있다.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및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을 들 수 있다.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및 1-[4-(2-히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판-1-온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를 들 수 있다.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을 들 수 있다.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을 들 수 있다.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및 폴리비닐벤조페논을 들 수 있다.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디메틸케탈을 들 수 있다.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및 도데실티오크산톤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0중량부이다.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조계 중합 개시제,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아조계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AMBN),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등을 들 수 있다.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시드, 디-t-부틸퍼옥시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쿠밀퍼옥시드,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도데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중량부이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는, 필요에 따라서, 가교 촉진제, 실란 커플링제, 점착 부여 수지, 노화 방지제, 충전제, 안료나 염료 등의 착색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가소제, 연화제, 계면 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더 함유해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로진 유도체, 폴리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및 유용성 페놀을 들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첨가제가 자외선 흡수제인 경우,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점착제 시트를 후술하는 점착제층 경화 공정에 부치는 경우에 경화성의 악화나 표리의 물성차 등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전량(100질량%)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비율이 0.05중량% 이하(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하)인 경우, 당해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는 자외선 흡수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첨가제가 방청제인 경우,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는, 방청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점착제 시트의 점착제층에 대하여 방청제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전량(100질량%)에 있어서의 방청제의 비율이 0.05중량% 이하(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하)인 경우, 당해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는 방청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첨가제가 대전 방지제인 경우,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점착제 시트의 점착제층에 대하여 대전 방지제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전량(100질량%)에 있어서의 대전 방지제의 비율이 0.05중량% 이하(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하)인 경우, 당해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는 대전 방지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를 지지체 상에 도포(도공)하고,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층을 건조 경화시키는 것이나,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를 지지체 상에 도포(도공)하고,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또한, 가열 건조해도 된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도포(도공)에는, 공지의 코팅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콤마 코터, 다이렉트 코터 등의 코터를 들 수 있다.
건조 경화 온도는, 40 내지 2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8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70℃이다. 건조 경화 시간은, 적의, 적절한 시간이 채용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5초 내지 2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5초 내지 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초 내지 5분이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에너지, 조사 시간, 조사 방법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점착제층(10)의 두께 등에 따라서, 원하는 점도나 점탄성이 되도록 적의하게 설정하면 된다.
상기에서 형성된 점착제층의 지지체에 면하고 있지 않은 주면은, 상기 활성 에너지선, 및/또는 후술하는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 점착제층을 광경화시키는 경우는, 광경화를 저해하는 산소를 차단하기 위해, 또 다른 지지체(박리 시트를 포함함)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해당 점착제층(10)을 경화시킨다(점착제층 경화 공정). 도 1의 (b)에 있어서 부호 10a는 점착제층(10)이 경화된 점착제층이다. 점착제층(10)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점착제층(10)을 가열하는 것이나, 점착제층(10)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또한, 가열 건조해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해당 점착제층(10)을 경화시키는 조건은, 실시 형태에 의해, 점착제층(10a)이 원하는 물성을 갖도록 적의하게 선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점착제 시트에 있어서의 점착제 베이스 재료가 상기 중합 개시제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인 경우는, 점착제층(10a)은 높은 유동성을 나타내고, 우수한 단차 흡수성을 나타내도록, 가열 온도나 시간, 혹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량을 적의하게 설정하면 된다.
한편, 후술하는 첨가제가, 자외선 흡수제, 방청제 또는 대전 방지제인 경우는, 점착제층(10a)은 높은 탄성률을 나타내고 우수한 접착 신뢰성을 나타내도록, 가열 온도나 시간, 혹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량을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도 1의 (b)는, 상기 점착제층(10)에 자외선(U)을 조사하여 해당 점착제층(10)을 경화시키는 실시 형태이다. 자외선은, 점착제층(10)에 직접 조사해도 되지만,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를 저해하는 산소를 차단하기 위해, 지지체를 통해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b)는 자외선을 점착제층(10)에 지지체(S2)를 통해 조사하는 실시 형태이다. 지지체를 통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10)의 지지체(S1)가 면하는 주면과 반대측의 주면에 다른 지지체(S2)(박리 시트를 포함함)를 접합하여, 해당 지지체를 통해 자외선을 조사한다. 자외선 조사의 조도, 시간은,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조성이나 점착제층의 두께 등에 의해 적의하게 설정된다. 자외선 조사에는, 고압 수은 램프, 저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S2)를 박리 제거한 후에, 첨가제(11)의 용액(12)을 점착제층(10a)의 한쪽의 면에 도포한다(용액 도포 공정). 첨가제의 용액은, 액상으로 점착제층에 도공 가능하고 침투하는 것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첨가제가 액상인 경우는, 첨가제 자체를 그대로 용액으로서 도포해도 된다. 또한, 첨가제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이어도 된다. 혹은, 첨가제가 2종 이상의 조합(예를 들어, 제2 트리거로서의 제2 중합 개시제와 제2 가교제)인 경우, 이들이 혼합된 용액이어도 된다. 도 1의 (c)는 첨가제(11)를 용매(13)에 용해시킨 용액(12)을 점착제층(10a)의 한쪽의 면에 도포하는 실시 형태이다.
점착제층(10a)의 표면은, 용액(12) 중의 첨가제(11)가, 점착제층(10a) 내에, 두께 방향으로 침투한다(용액 침투 공정). 이 상태를 도 1의 (d)에 도시한다. 용액(12)이 첨가제(11)를 용매(13)에 용해시킨 용액인 경우는, 점착제층(10a)의 표면에 용매(13)가 침투하여 팽윤됨과 함께, 첨가제(11)는 용매 중에 용해된 상태에서 점착제층(10a)에 침투한다. 첨가제(11)는 점착제층(10a) 내에서 「용해」된 상태가 된다.
또한, 첨가제(11)가 점착제층(10a)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두께 방향으로 농도 구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용액(12)을 도포한 면측의 첨가제(11)의 농도는, 반대측의 면측보다도 높아질 수 있다. 이 상태를 도 1의 (d)에 도시한다.
그 후, 점착제층(10a)을 건조시킴으로써, 도 1의 (e)에 도시하는 점착제 시트(1)를 얻을 수 있다(건조 공정). 용액(12)이 첨가제(11)를 용매(13)에 용해시킨 용액인 경우는, 건조 공정에 의해, 침투한 용매(13)는 증발한다. 점착제층(10a)을 건조시킴으로써, 점착제층(10a)은 도포하기 전에 가까운 상태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첨가제(11)에 의한 점착제층(10a)의 물성 변화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점착제층(10a)을 건조시킨 시점에서 첨가제(11)의 점착제층(10a)에 대한 침투는 멈추고, 상기한 첨가제의 농도 구배는 고정된다.
상기 첨가제로서는, 점착제의 분야에서 첨가되는 것인 한,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중합 개시제, 가교제, 자외선 흡수제, 방청제, 대전 방지제, 가교 촉진제, 실란 커플링제, 점착 부여 수지, 노화 방지제, 염료 등의 착색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가소제, 연화제,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고 하는 관점에서, 중합 개시제, 가교제, 자외선 흡수제, 방청제, 대전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첨가제로서는, 산은 바람직하지 않다. 즉, 상기 첨가제로서 산은 제외된다. 이러한 산으로서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등의 유기산을 들 수 있고, 특히 락트산이다.
중합 개시제, 가교제로서는, 상기의 점착제 베이스 재료가 함유할 수 있는 중합 개시제, 가교제와 마찬가지의 것이 예시되고, 이들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시트가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인 경우,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는, 제1 트리거로서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 경화 공정은, 당해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 반응에 의한 경화이며, 첨가제(11)는, 제2 트리거로서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상기 점착제층 경화 공정 후에 있어서,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이 잔류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첨가제(11)로서,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 중 어느 한쪽만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첨가제로서,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의 양쪽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시트가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인 경우, 제1 트리거와 제2 트리거의 조합의 자유도는 매우 넓다. 즉, 중합 개시제의 조합에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제1 트리거와 제2 트리거의 양쪽이 광중합 개시제의 조합, 제1 트리거가 열중합 개시제와 제2 트리거가 광중합 개시제의 조합, 제1 트리거가 광중합 개시제와 제2 트리거가 열중합 개시제의 조합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종래의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에서는 곤란했던 제1 트리거와 제2 트리거의 양쪽이 열중합 개시제의 조합도 가능하다. 또한, 제1 트리거와 제2 트리거의 양쪽이 광중합 개시제의 조합인 경우, 2종류의 광중합 개시제의 광흡수 파장대가 중복, 근사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나아가, 종래의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에서는 불가능했던, 제1 트리거와 제2 트리거로서, 동일한 중합 개시제(열중합 개시제와 광중합 개시제를 불문함)의 조합도 가능하다.
또한, 가교제의 조합에도 제한은 없으며, 제1 트리거와 제2 트리거로서, 동일한 가교제의 조합도 가능하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옥시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고, 1분자 중에 히드록실기를 2개 이하 갖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및 1분자 중에 벤조트리아졸 골격을 1개 갖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자외선 흡수제인 것이 용해성이 양호하고, 또한 파장 380nm 부근에서의 자외선 흡수 능력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1분자 중에 히드록실기를 2개 이하 갖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2,4-비스-[{4-(4-에틸헥실옥시)-4-히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Tinosorb S, BASF제), 2,4-비스[2-히드록시-4-부톡시페닐]-6-(2,4-디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TINUVIN460, BASF제),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히드록시페닐과 [(C10-C16(주로 C12-C13)알킬옥시)메틸]옥시란의 반응 생성물(TINUVIN400, BASF제),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3-(도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놀,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과 (2-에틸헥실)-글리시드산에스테르의 반응 생성물(TINUVIN405, BASF제),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TINUVIN1577, BASF제),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2-(2-에틸헥사노일옥시)에톡시]-페놀(ADK STAB LA46, ADEKA제), 2-(2-히드록시-4-[1-옥틸옥시카르보닐에톡시]페닐)-4,6-비스(4-페닐페닐)-1,3,5-트리아진(TINUVIN479, BASF사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1분자 중에 벤조트리아졸 골격을 1개 갖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2-(2H-벤조트리아졸-2-일)-6-(1-메틸-1-페닐에틸)-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TINUVIN928, BASF제), 2-(2-히드록시-5-tert-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TINUVIN PS, BASF제), 벤젠프로판산 및 3-(2H-벤조트리아졸-2-일)-5-(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C7-9 측쇄 및 직쇄 알킬)의 에스테르 화합물(TINUVIN384-2, BASF제),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TINUVIN900, BASF제), 2-(2H-벤조트리아졸-2-일)-6-(1-메틸-1-페닐에틸)-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TINUVIN928, BASF제), 메틸-3-(3-(2H-벤조트리아졸-2-일)-5-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300의 반응 생성물(TINUVIN1130, BASF제), 2-(2H-벤조트리아졸-2-일)-p-크레졸(TINUVIN P, BASF제),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TINUVIN234, BASF제),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TINUVIN326, BASF제), 2-(2H-벤조트리아졸-2-일)-4,6-디-tert-펜틸페놀(TINUVIN328, BASF제),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TINUVIN329, BASF제), 메틸3-(3-(2H-벤조트리아졸-2-일)-5-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와 폴리에틸렌글리콜300의 반응 생성물(TINUVIN213, BASF제), 2-(2H-벤조트리아졸-2-일)-6-도데실-4-메틸페놀(TINUVIN571, BASF제),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Sumisorb250, 스미토모 가가쿠 고교(주)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벤조페논계 화합물), 옥시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옥시벤조페논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무수 및 삼수염, 2-히드록시-4-옥틸옥시벤조페논, 4-도데실옥시-2-히드록시벤조페논, 4-벤질옥시-2-히드록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Seesorb106, 시프로 가세이(주)제),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살리실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페닐-2-아크릴로일옥시벤조에이트, 페닐-2-아크릴로일옥시-3-메틸벤조에이트, 페닐-2-아크릴로일옥시-4-메틸벤조에이트, 페닐-2-아크릴로일옥시-5-메틸벤조에이트, 페닐-2-아크릴로일옥시-3-메톡시벤조에이트, 페닐-2-히드록시벤조에이트, 페닐-2-히드록시-3-메틸벤조에이트, 페닐-2-히드록시-4-메틸벤조에이트, 페닐-2-히드록시-5-메틸벤조에이트, 페닐2-히드록시-3-메톡시벤조에이트,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TINUVIN120, BASF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시클로알킬-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콕시알킬-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케닐-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키닐-2-시아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흡수 스펙트럼의 최대 흡수 파장은, 300 내지 400nm의 파장 영역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20 내지 380nm의 파장 영역에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최대 흡수 파장이란, 300 내지 460nm의 파장 영역에서의 분광 흡수 스펙트럼에 있어서, 복수의 흡수 극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중에서 최대의 흡광도를 나타내는 흡수 극대 파장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첨가제가 중합 개시제 및 가교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경우, 상기 첨가제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가, 중합 개시제 및 가교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더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함으로써,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를 한 번의 도공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자외선을 흡수한 자외선 흡수제가 발열함으로써, 경화 반응이 촉진되어,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방청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벤조산암모늄, 프탈산암모늄, 스테아르산암모늄, 팔미트산암모늄, 올레산암모늄, 디시클로헥실아민벤조산염, 요소, 우로트로핀, 티오 요소, 카르밤산페닐, 시클로헥실암모늄-N-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CHC)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방청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1,2,3-벤조트리아졸), 4-메틸벤조트리아졸, 5-메틸벤조트리아졸, 4-에틸벤조트리아졸, 5-에틸벤조트리아졸, 4-프로필벤조트리아졸, 5-프로필벤조트리아졸, 4-이소프로필벤조트리아졸, 5-이소프로필벤조트리아졸, 4-n-부틸벤조트리아졸, 5-n-부틸벤조트리아졸, 4-이소부틸벤조트리아졸, 5-이소부틸벤조트리아졸, 4-펜틸벤조트리아졸, 5-펜틸벤조트리아졸, 4-헥실벤조트리아졸, 5-헥실벤조트리아졸 등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벤조트리아졸, 5-메톡시벤조트리아졸,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5-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디히드록시프로필벤조트리아졸, 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2,3-디카르복시프로필벤조트리아졸, 1-[N,N-비스(2-에틸헥실)아미노메틸]벤조트리아졸, 1-[말레산]벤조트리아졸, 4-클로르벤조트리아졸, 5-클로르벤조트리아졸, 4-니트로벤조트리아졸, 5-니트로벤조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모노에탄올아민염, 벤조트리아졸디에틸아민염, 벤조트리아졸시클로헥실아민염, 벤조트리아졸모르폴린염, 벤조트리아졸이소프로필아민염, 메틸벤조트리아졸시클로헥실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모노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에틸에탄올아민, 암모니아나 암모니아수 등의 히드록시기 함유 아민 화합물; 모르폴린 등의 환상 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등의 환상 알킬아민 화합물; 3-메톡시프로필 아민 등의 직쇄상 알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계 폴리머와의 상용성, 점착제층의 투명성의 점에서, 불소 함유 음이온을 함유하는 이온성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함유 음이온을 함유하는 이온성 화합물로서는, LiCF3SO3, Li(CF3SO2)2N, Li(C2F5SO2)2N, Li(C4F9SO2)2N, Li(CF3SO2)3C 등을 들 수 있고, Li(CF3SO2)2N, Li(C2F5SO2)2N, Li(C4F9SO2)2N, Li(FSO2)2N 등의 불소 함유 리튬 이미드염이 바람직하고, 특히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리튬염,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리튬염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 방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서는, 상기 첨가제를 용해할 수 있고, 또한 점착제층(10a)을 팽윤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계 용매는 점착제층에 대한 습윤성이 나빠, 첨가제가 침투하기 어려우므로, 비수계 용매가 바람직하다. 비수계 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등의 지환식 케톤; 헥산, 헵탄, 옥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디에틸에테르, 디메톡시에탄,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벤조니트릴 등의 니트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sec-부탄올, tert-부탄올 등의 알코올을 들 수 있고, 에스테르, 방향족 탄화수소, 케톤,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용매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첨가제의 용액 중의 농도는, 점착제층(10a)에 부여해야 할 원하는 요구 특성에 따라서, 적의하게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95중량% 이하(예를 들어 0.1 내지 95중량%, 0.1 내지 90중량%, 0.1 내지 85중량%, 0.1 내지 80중량%, 0.1 내지 70중량%, 0.1 내지 60중량%, 0.1 내지 50중량%, 0.1 내지 40중량% 등), 예를 들어 0.1중량% 이상(예를 들어 0.1 내지 95중량%, 0.2 내지 95중량%, 0.3 내지 95중량%, 0.4 내지 95중량%, 0.5 내지 95중량%, 1 내지 95중량%, 1.5 내지 95중량%, 3 내지 95중량%, 5 내지 95중량% 등) 적의하게 선택할 수 있다. 첨가제의 용액 중의 농도가 이 범위라면, 첨가제를 용해하면서, 점착제층(10a)을 충분히 팽윤시켜, 점착제층(10a)에 적당한 요구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첨가제가 가교제인 경우, 용액 중의 가교제의 농도는, 점착제층(10a)에 부여해야 할 원하는 경화 특성에 따라서, 적의하게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95중량% 이하(예를 들어 1 내지 95중량%, 1 내지 90중량%, 1 내지 85중량%, 1 내지 80중량%, 1 내지 60중량% 등), 예를 들어 1중량% 이상(예를 들어 1 내지 95중량%, 2 내지 95중량%)의 범위로부터 적의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가 자외선 흡수제인 경우, 용액 중의 자외선 흡수제의 농도는, 점착제층(10a)에 부여해야 할 원하는 자외선 흡수 특성에 따라서, 적의하게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한 50중량% 이하(예를 들어 1 내지 50중량%, 1 내지 45중량%, 1 내지 40중량%, 1 내지 35중량%, 1 내지 30중량%, 1 내지 25중량%, 1 내지 20중량%, 1 내지 15중량% 등) 또는, 하한 1% 이상(예를 들어 1 내지 50중량%, 2 내지 50중량%, 3 내지 50중량%, 4 내지 50중량%, 5 내지 50중량%)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가 방청제인 경우, 용액 중의 방청제의 농도는, 점착제층(10a)에 부여해야 할 원하는 방청 특성에 따라서, 적의하게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한 10중량% 이하(예를 들어 0.1 내지 10중량%, 0.1 내지 9중량%, 0.1 내지 8중량%, 0.1 내지 7중량%, 0.1 내지 6중량%, 0.1 내지 5중량%, 0.1 내지 4중량% 등) 또는, 하한 0.1% 이상(예를 들어 0.1 내지 10중량%, 0.2 내지 10중량%, 0.3 내지 10중량%, 0.4 내지 10중량%, 0.5 내지 10중량%)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가 대전 방지제인 경우, 용액 중의 대전 방지제의 농도는, 점착제층(10a)에 부여해야 할 원하는 대전 방지 특성에 따라서, 적의하게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한 95중량% 이하(예를 들어 0.1 내지 90중량%, 0.1 내지 9중량%, 0.1 내지 85중량%, 0.1 내지 80중량%, 0.1 내지 75중량%, 0.1 내지 70중량% 등) 또는, 하한 0.1% 이상(예를 들어 0.1 내지 90중량%, 0.2 내지 90중량%, 0.3 내지 90중량%, 0.4 내지 90중량%, 0.5 내지 90중량%, 0.6 내지 90중량%, 1 내지 90중량% 등)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각 첨가제(가교제, 자외선 흡수제, 방청제, 대전 방지제)의 농도가 상기 범위보다 짙으면, 첨가제가 블리드아웃되거나, 도포 균일 정밀도의 관점에서 분포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농도가 상기 범위보다 옅으면, 용매가 필요 이상으로 필요해져, 잔존 용제에 의한 점착 물성의 저하나, 점착제가 필요 이상으로 팽윤하게 함으로써, 외관상의 문제(표면의 요철이 됨)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용액(12)의 점착제층(10a)에 대한 도포(도공)에는, 공지의 코팅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콤마 코터, 다이렉트 코터 등의 코터를 들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용액의 점착제층(10a)의 도포량은, 점착제층(10a)에 부여해야 할 원하는 요구 특성에 따라서, 적의하게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첨가제의 용액의 도포량이 이 범위이면, 첨가제를 용해하면서, 점착제층(10a)에 충분한 요구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첨가제의 용액을 점착제층(10a)에 도포 후, 필요에 따라서, 정치하여 첨가제를 침투시켜도 된다. 정치 시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예를 들어 15분 이내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초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5초 내지 5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정치 온도로서는, 실온(10 내지 30℃ 정도)에서 행할 수 있다. 상기의 조건에서 정치한 경우에, 첨가제를 점착제층(10a)에 충분히 침투시킬 수 있다.
건조 공정에서의 가열 건조 온도는, 40 내지 2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8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70℃이다. 건조 시간은, 적의, 적절한 시간이 채용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5초 내지 2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5초 내지 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초 내지 5분이다. 상기의 조건에서 건조를 행함으로써, 점착제층(10a)은 도포하기 전에 가까운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와 점착제층을 보다 균일화시키는 정치 시간을 마련해도 된다. 정치 시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예를 들어, 30일 이내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시간 내지 15일 사이,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내지 10일 사이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정치함으로써, 점착제층(10a)은 첨가제와 점착제층이 안정화되어, 특성 평가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점착제 시트(2A)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21)과, 해당 점착제층(21)의 한쪽의 제1 주면(21a)에는 지지체는 접합되어 있지 않고, 해당 점착제층(21)의 다른 쪽의 제2 주면(21b)에 접합된 박리 시트로 이루어지는 지지체(S1)로 구성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점착제 시트(2B)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21)과, 해당 점착제층(21)의 한쪽의 제1 주면(21a)에 접합된 박리 시트로 이루어지는 제1 지지체(S2)와, 해당 점착제층(21)의 다른 쪽의 제2 주면(21b)에 접합된 박리 시트로 이루어지는 제2 지지체(S1)로 구성된다. 점착제 시트(2B)는, 점착제 시트(2A)의 제1 주면(21a)에 지지체(S2)를 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도 2의 (a) 및 (b)에 있어서, 점선 X-X'는 점착제층(21)을 두께 방향으로 등분으로 2분할하는 선이다. 점착제층(21)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는, 점선 X-X'는 각 지점의 두께를 2등분하는 선이다.
도 2에 있어서, 점착제층(21)은,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주면(제1 주면과 제2 주면)을 갖는 단일층이다. 점착제층(21)은 상기한 점착제층 형성 공정, 및 점착제층 경화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도 1의 점착제층(10a)에 상당한다. 따라서, 점착제층(21)은, 바람직하게는 경화된 점착제층이다.
점착제층이 「단일층」이라는 것은, 적층 구조가 아닌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또한 그 위에, 동일한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은 적층 구조이며, 단일층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첨가제가 용해된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또한 그 위에, 첨가제가 상이한 농도로 용해된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은 적층 구조이며, 단일층은 아니다.
점착제층(2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은 5㎛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0㎛이다. 점착제층(21)의 두께가 이 범위 내에 있으면, 점착제층(21)의 두께 방향으로 첨가제의 농도 구배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적합하다.
점착제층(21) 전체의 전광선 투과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JIS K7361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으로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점착제층(21)의 전광선 투과율은,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헤이즈값은,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첨가제(11)는 점착제층(21)에 용해되어 있다. 여기서 「용해」란,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가 상기 점착제층의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 즉 첨가제의 광산란에 기인하는 백탁 등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로 용해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점착제층의 헤이즈값이 1.5%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이하로 되도록, 상기 첨가제가 상기 점착제층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11)는, 상기한 용액 도포 공정, 용액 침투 공정, 및 건조 공정에 의해, 첨가제(11)가 점착제층(21)에 침투함으로써 형성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21)의 두께 방향으로 첨가제(11)의 농도 구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층의 점착제층(21)을 두께 방향으로 등분으로 2분할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2개의 주면 중 한쪽의 제1 주면(21a)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와, 다른 쪽의 제2 주면(21b)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가 상이한 것이 된다. 첨가제의 농도가 낮은 쪽의 영역 내에 첨가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첨가제의 농도가 0)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제1 주면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 및 제2 주면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는, 각각의 영역 내에도 농도 구배가 있는 경우, 각각의 영역 내의 첨가제의 평균의 농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의 (a)는, 상기 제2 주면(21b)이 상기 지지체(S1) 상에 면하고 있고, 상기 제1 주면(21a)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가, 상기 제2 주면(21b)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실시 형태이며, 상기 제1 주면(21a)에 첨가제의 용액을 도포하고, 제1 주면(21a)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깊이에 걸쳐서 점착제층(21) 내에 첨가제가 용해된 상태에서 침투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에 있어서, 방청제, 대전 방지제 등의 첨가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주면(21a) 부근에서 높은 농도로 분포함으로써, 제1 주면(21a)에 방청 기능이나, 대전 방지 기능 등의 첨가제에 의한 요구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점착제층(21) 전체에 있어서의 첨가제(11)의 농도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첨가제(11)에 의한 점착제층(21)의 물성 변화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는, 액정 화상 표시 장치나 유기 EL 화상 표시 조치 등에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투명한 광학 부재를 다른 광학 부재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로서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커버 유리 등의 투명 커버 부재, 기타 다양한 투명 광학 부재를 들 수 있다. 또한, 패턴화된 ITO막과 같은 투명 도전성층이 형성된 유리 기판도 본 발명의 광학 부재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 시트는, 상기 광학 부재의 흠집이나 오염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도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점착제 시트를 사용하는 가장 단순한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학 부재 적층체(3)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1 광학 부재(31)와, 해당 제1 광학 부재(31)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21)을 통해 접합된 제2 광학 부재(32)로 구성되어 있다. 광학 부재 적층체(3)는, 도 2의 (b)에 도시하는 점착제 시트(2B)로부터, 지지체(S1, S2)를 박리하여, 제1 및 제2 광학 부재에 접합한 것이다. 해당 투명한 제1 광학 부재(31) 및 제2 광학 부재(32)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그 밖의 광학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 광학적 표시 장치의 시인측 커버 유리와 같은 투명 커버 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제1 광학 부재(31)는 점착제층(21)의 제1 주면(21a)에, 제2 광학 부재(32)는 점착제층(21)의 제2 주면(21b)에, 각각 접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광학 부재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양태를 실시하기 위한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 시트(2C)와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42)(이하, 단순히 「기판(42)」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 사용된다.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 접착 시트(2C)는 하이브리드 접착 시트인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다.
지지체 상에,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제층을 상기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의 반응에 의한 경화시키고,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의 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경화된 점착제층의 한쪽의 면에 상기 용액을 도포하여, 해당 용액에 포함되는 상기 첨가제를,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침투시키고,
상기 점착제층을 건조시킨다.
도 4의 (a)의 접착제 시트(2C)에 있어서, 본 실시 양태에서는, 점착제층(41)은 상기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도시하지 않음)의 반응에 의한 경화된 것이며, 제2 중합 개시제(11a)와 제2 가교제(11b)가 용해된 상태에서 분산되어 있다. 제2 중합 개시제(11a)와 제2 가교제(11b) 중 어느 한쪽만이 점착제층(41)에 용해되어 있는 양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실시 양태에서는, 접착 시트(2C)는 지지체(S3)를 갖는 것이지만, 지지체(S3)는 없어도 된다. 본 실시 양태에서는, 점착제층(41)이 지지체(S3)와 접하는 주면(41a)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제2 중합 개시제(11a)와 제2 가교제(11b)의 농도 구배가 존재한다.
도 4의 (a)의 기판(42)에 있어서, 본 실시 양태에서는, 접착 시트(2C)와 접합되는 주면(42a)은 인쇄층(43)을 갖는다. 인쇄층(43)은 패턴화된 ITO(인듐ㆍ주석 산화물) 등의 투명한 도전성의 인쇄층이나, 투명 커버 부재의 주연부에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흑색의 은폐부 등을 들 수 있다. 인쇄층(43)을 갖지 않는 기판(42)을 사용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다음에, 기판(42)의 주면(42a)에, 점착제 시트(2C)의 점착제층(41)을 접합한다. 접합은 공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한 가열 가압 조건 등에서 행할 수 있다. 점착제 시트(2C)의 점착제층(41)은, 상기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제1 트리거)의 반응에 의한 경화된 것이지만, 제2 중합 개시제(11a) 및 제2 가교제(11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제2 트리거)에 의한 경화 반응이 진행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 유동성이 높고, 우수한 단차 흡수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점착제층(41)은 기판(42)의 주면(42a)과 인쇄층(43) 사이의 단차를 간극 없이 메우도록 접합된다.
다음에, 점착제층(41)을 제2 중합 개시제(11a) 및 제2 가교제(11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제2 트리거)의 반응에 의해 경화시킨다. 점착제층(41)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제2 트리거에 의해 경화 반응이 진행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점착제층(41)을 가열하는 것이나, 점착제층(41)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또한, 가열 건조해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해당 점착제층(41)을 경화시키는 조건은, 예를 들어 높은 탄성률을 나타내고, 우수한 접착 신뢰성을 나타내도록, 가열 온도나 시간, 혹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량을 적의하게 설정하면 된다.
도 4의 (c)는 점착제층(41)에 자외선(U)을 조사하여 해당 점착제층(41)을 경화시키는 실시 형태이다. 자외선(U)의 조사에 의해, 제2 중합 개시제(11a)가 분해되어 라디칼 또는 이온 등이 발생하여, 제2 가교제(11b)의 중합ㆍ가교 반응이 개시된다. 자외선은, 점착제층(41)에 직접 조사해도 되고, 지지체(S3)를 통해 조사해도 된다. 도 4의 (c)는 지지체(S3)를 통해 자외선(U)을 점착제층(41)에 조사하는 실시 형태이다. 자외선을 점착제층(41)에 직접 조사하는 경우는, 지지체(S3)를 점착제층(41)으로부터 박리한 후에 자외선(U)을 조사하면 된다.
점착제층(41)을 경화시킴으로써,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부재 적층체(4)가 얻어진다. 도 4의 (d)에 있어서 부호 41c는 점착제층(41)이 경화된 점착제층이다. 광학 부재 적층체(4)는, 본 발명의 제4 측면의 광학 부재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실시 양태이다.
점착제층(41)을 경화시킴으로써, 가교제(11b)는 가교ㆍ중합하여 가교 구조(11c)를 형성하여, 점착제층(41c)을 형성한다. 점착제층(41c)은 탄성률이 향상되고, 기판(42)에 대한 접착 신뢰성이 향상되어 있다. 따라서, 점착제층(41c)은 기판(42)(플라스틱 필름)의 가열에 의한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여, 기포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도 4의 (d)의 실시 양태는, 점착제층(41c)이 지지체(S3)와 접하는 주면(41a)의 측의 쪽이, 반대측의 주면(41b)보다도 가교 밀도가 높다. 이 구성은, 예를 들어 광학 부재 적층체(4)를 주면(41a)의 측을 외측으로 구부리는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굴곡성이 향상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즉,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절곡했을 때에는, 일반적으로, 외측에는 인장성의 응력, 내측에는 압축성의 응력이 가해지고, 외측의 응력은 내측의 응력보다도 강하다. 따라서, 점착제층(41c)의 주면(41a)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부리는 경우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굴곡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 광학 부재 적층체(4)는, 예를 들어 이하의 구성을 갖는 것이다.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42)과, 점착제층(41c)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4)이며,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43)의 주면에 상기 점착제층(41c)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점착제층(41c)은, 상기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제1 트리거)의 반응, 및 상기 제2 중합 개시제(11a) 및 제2 가교제(11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제2 트리거)의 반응에 의해 경화된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주면을 갖는 단일층이고,
상기 단일층의 점착제층을 두께 방향으로 등분으로 2분할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2개의 주면 중 한쪽의 제1 주면(41a)이 속하는 영역의 가교 구조(11c)의 밀도와, 다른 쪽의 제2 주면(41b)이 속하는 영역의 가교 구조(11c)의 밀도가 상이하다.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41c)은, 기판(42)의 주면(42a)과 인쇄층(43) 사이의 단차를 메우도록 적층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제 시트 A의 제작)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 66중량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HEA) 19중량부, 및 N-비닐-2-피롤리돈(NVP) 15중량부로 구성되는 모노머 혼합물에, 광중합 개시제(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BASF사제) 0.035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BASF사제) 0.035중량부를 배합한 후, 점도(계측 조건: BH 점도계 No.5 로터, 10rpm, 측정 온도 30℃)가 약 20Paㆍs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모노머 성분의 일부가 중합된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에, 해당 프리폴리머 조성물에,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0.2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필름(상품명 「MRF#38」, 미츠비시 쥬시 가부시키가이샤제)의 박리 처리된 면 상에, 점착제층 형성 후의 두께가 100㎛가 되도록 도포하여, 점착제 조성물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해당 점착제 조성물층의 표면에, 박리 필름(상품명 「MRN#38」, 미츠비시 쥬시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접합하였다. 그 후, 조도: 5㎽/㎠, 광량: 1500mJ/㎠의 조건에서 자외선 조사를 행하고, 점착제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 점착제 시트 A를 형성하였다.
(점착제 시트 B의 제작)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의 첨가량을 0.1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시트 A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시트 B를 형성하였다.
(점착제 시트 C의 제작)
모노머 혼합물로서, 아크릴산부틸(BA) 96중량부, 및 아크릴산(AA) 4중량부를 사용하고,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대신에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HEA) 0.1중량부 사용하고, 점착제층 형성 후의 두께를 23㎛로 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시트 A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시트 C를 형성하였다.
(점착제 시트 D의 제작)
모노머 혼합물로서, 아크릴산부틸(BA) 57중량부,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4HBA) 23중량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HEA) 8중량부, 및 아크릴산시클로헥실(CHA) 12중량부를 사용하고,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대신에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0.02중량부 사용하고, 점착제층 형성 후의 두께를 150㎛로 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시트 A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시트 D를 형성하였다.
(점착제 시트 E의 제작)
모노머 혼합물로서,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 29중량부,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4HBA) 21중량부, 아크릴산이소스테아릴(ISTA) 29중량부, 및 아크릴산이소보르닐(IBXA) 21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시트 A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시트 E를 형성하였다.
(점착제 시트 F의 제작)
모노머 혼합물로서,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 41중량부,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4HBA) 1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NVP) 17중량부, 및 아크릴산이소스테아릴(ISTA) 41중량부를 사용하고,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대신에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0.02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시트 A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시트 F를 형성하였다.
(점착제 시트 G의 제작)
모노머 혼합물로서, 아크릴산부틸(BA) 57중량부,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4HBA) 23중량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HEA) 8중량부, 및 아크릴산시클로헥실(CHA) 12중량부를 사용하고,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대신에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HEA) 0.03중량부 사용하고, 점착제층 형성 후의 두께를 250㎛로 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시트 A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시트 G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1)
점착제 시트 A의 한쪽의 주면(「제1면」이라고 함)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된 제1면에 자외선 흡수제(Tinosorb S, BASF제)의 10중량%의 농도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RD Specialties사제의 Wire Wound Rod 타입, 7번의 바 코터로 도공하였다(목표 Wet 도포 두께 15㎛). 도포 후, 점착제 시트 A를 110℃의 오븐 내에서 2분간 가열 건조시켜, 용매를 휘발, 제거하여, 해당 자외선 흡수제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A를 얻었다.
(비교예 1)
점착제 시트 A의 제1면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자외선 흡수제의 용액을 도포하지 않은 점착제 시트 A를 비교예 1로 한다.
(실시예 2)
점착제 시트 B를 사용하고, 자외선 흡수제(Tinuvin928, BASF제)의 12중량%의 농도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해당 자외선 흡수제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B를 얻었다.
(실시예 3)
점착제 시트 B를 사용하고, 자외선 흡수제(Tinuvin928, BASF제)의 12중량%의 농도의 메틸에틸케톤 용액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해당 자외선 흡수제가 용해된 점착제층 B를 얻었다.
(실시예 4)
점착제 시트 B를 사용하고, 자외선 흡수제(Seesorb106, 시프로 가세이(주)제)의 15중량%의 농도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해당 자외선 흡수제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B를 얻었다.
(비교예 2)
점착제 시트 B의 제1면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자외선 흡수제의 용액을 도포하지 않은 점착제 시트 B를 비교예 2로 한다.
(실시예 5)
점착제 시트 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자외선 흡수제(Tinosorb S, BASF제)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C를 얻었다.
(실시예 6)
점착제 시트 C를 사용하고, 자외선 흡수제(Tinuvin928, BASF제)의 12중량%의 농도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자외선 흡수제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C를 얻었다.
(실시예 7)
점착제 시트 C를 사용하고, 자외선 흡수제(Tinuvin928, BASF제)의 12중량%의 농도의 메틸에틸케톤 용액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자외선 흡수제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C를 얻었다.
(실시예 8)
점착제 시트 C를 사용하고, 자외선 흡수제(Seesorb106, 시프로 가세이(주)제)의 15중량%의 농도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해당 자외선 흡수제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C를 얻었다.
(비교예 3)
점착제 시트 C의 제1면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자외선 흡수제의 용액을 도포하지 않은 점착제 시트 C를 비교예 3으로 한다.
(비교예 4)
점착제 시트 C를 사용하고,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 아세트산에틸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 점착제 시트 C를 얻었다.
(실시예 9)
점착제 시트 D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자외선 흡수제(Tinosorb S, BASF제)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D를 얻었다.
(비교예 5)
점착제 시트 D의 제1면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자외선 흡수제의 용액을 도포하지 않은 점착제 시트 D를 비교예 5로 한다.
(실시예 10)
점착제 시트 E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자외선 흡수제(Tinosorb S, BASF제)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E를 얻었다.
(비교예 6)
점착제 시트 F의 제1면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자외선 흡수제의 용액을 도포하지 않은 점착제 시트 E를 비교예 6으로 한다.
(실시예 11)
점착제 시트 F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자외선 흡수제(Tinosorb S, BASF제)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F를 얻었다.
(비교예 7)
점착제 시트 F의 제1면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자외선 흡수제의 용액을 도포하지 않은 점착제 시트 F를 비교예 7로 한다.
(비교예 8)
점착제 시트 F를 사용하고,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 아세트산에틸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 점착제 시트 F를 얻었다.
(비교예 9)
모노머 혼합물로서, 아크릴산부틸(BA) 70중량부,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4HBA) 14중량부, 및 N-비닐-2-피롤리돈(NVP) 16중량부를 사용하고,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자외선 흡수제(Tinosorb S, BASF제)를 0.0009중량부 배합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시트 D와 마찬가지로 하여, 해당 자외선 흡수제가 균일하게 용해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 시트를 얻었다.
<투과율 평가>
실시예 1 내지 11, 비교예 1 내지 8에서 얻어진 점착제 시트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광의 파장별 투과율(파장 범위: 300 내지 800nm)을 분광 광도계(U4100, (주)히타치 하이테크 사이언스제)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380nm, 420nm에서의 투과율(%)을 표 1에 나타낸다.
<점착력 평가>
실시예 1 내지 11, 비교예 1 내지 8에서 얻어진 점착제 시트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였다. 자외선 흡수제 용액을 도포한 면을 제1면, 반대의 주면을 제2면으로 한다.
얻어진 점착제 시트를 폭 100mm, 길이 100mm로 커트하고, 제1면 또는 제2면을 알칼리 유리에 접합하고, 반대의 면에 PET 필름(두께: 25㎛)을 접합하여, 핸드 롤러에 의해 접합하고, 오토클레이브에서 15분간, 가열 가압(5atm, 50℃)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시료를 오토그래프(인장 속도: 60mm/min. 박리 각도: 180°)를 사용하여 점착력(N/10mm)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각 조건에 대하여 3개의 시료를 제작하고, 그들의 수평균값을 취하였다. 제1면 및 제2면의 알칼리 유리에 대한 점착력(N/10mm)과 그 차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자외선에 의해 경화된 점착제 시트의 점착제층에 자외선 흡수제의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점착제층에 우수한 자외선 흡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점착제층의 제1면과 제2면의 점착력의 차는 1.0N/mm이며, 경화된 점착제 시트의 점착제층에 자외선 흡수제의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점착제층의 표리의 점착력 등의 물성차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점착제의 두께 방향의 자외선 흡수제의 분포의 평가>
실시예 9 및 비교예 9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Tinosorb S)의 분포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TOF-SIMS 분석(Ar 가스 클러스터 이온 에칭법)을 행하였다. 샘플은, 제작 후 1개월 보관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9, 비교예 9에서 얻어진 점착제 시트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제1면측으로부터 이하의 측정 조건에서 TOF-SIMS 분석을 행하였다. 결과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5의 (a)는 실시예 9, 도 5의 (b)는 비교예 9의 결과이다. 도 5에 있어서 좌측의 종축의 스케일은, 아크릴산부틸(BA, C3+H3+O2) 및 N-비닐피롤리돈(NVP, C4+H6+N+O)의 강도, 우측의 종축의 스케일은, 자외선 흡수제(Tinosorb S, C30+H32+N3+O5)의 강도를 나타낸다.
분석 장치: TOF-SIMS(알박ㆍ파이제, TRIFT V)
에칭 이온: Ar 가스 클러스터 이온
조사한 1차 이온: Bi3 2+
가속 전압: 30kV
측정 극성: 음이온
도 5의 (a)로부터, 실시예 9의 점착제 시트의 점착제층은 제1면으로부터 제2면에 걸쳐서 자외선 흡수제(Tinosorb S)의 농도 구배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의 (b)로부터, 비교예 9의 점착제 시트의 점착제층은 제1면으로부터 제2면에 걸쳐서 일정한 농도로 자외선 흡수제(Tinosorb S)가 분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2)
점착제 시트 A의 한쪽의 주면(「제1면」이라고 함)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된 제1면에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를 20중량%, 광중합 개시제(Omnirad 184, IGM Resins B.V.사제)를 1중량%의 농도로 희석한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RD Specialties사제의 Wire Wound Rod 타입, #7번의 바 코터로 도공했다(목표 Wet 도포 두께 15㎛). 도포 후, 점착제 시트 A를 110℃의 오븐 내에서 2분간 가열 건조시켜, 용매를 휘발, 제거하여, HDDA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A를 얻었다.
(실시예 13)
점착제 시트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HDDA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B를 얻었다.
(실시예 14)
점착제 시트 G를 사용하고,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의 5중량%, 광중합 개시제(Omnirad 184, IGM Resins B.V.사제)를 0.25중량%의 농도로 희석한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DPHA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G를 얻었다.
(실시예 15)
점착제 시트 G를 사용하고,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를 2중량%, 광중합 개시제(Omnirad 184, IGM Resins B.V.사제)를 0.1중량%의 농도로 희석한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HDDA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G를 얻었다.
(실시예 16)
점착제 시트 G를 사용하고,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를 40중량%, 광중합 개시제(Omnirad 184, IGM Resins B.V.사제)를 2중량%의 농도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HDDA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G를 얻었다.
(실시예 17)
점착제 시트 G를 사용하고,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TMPTA)의 5중량%, 광중합 개시제 Omnirad 184(IGM Resins B.V.사제)를 0.25중량%의 농도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TMPTA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G를 얻었다.
<탄성률 평가>
실시예 12 내지 17에서 얻어진 점착제 시트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약 2mm의 두께로 한 것을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Rheometric Scientific사제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ARES)」을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 의해,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였다.
(측정 조건)
변형 모드: 비틀림
측정 주파수: 1Hz
승온 속도: 5℃/분
형상: 패럴렐 플레이트 7.9mmφ
다음에, 상기 측정용 샘플을 조도 300mW/㎠, 적산 광량 3000mJ/㎠의 조건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상기의 방법에 의해,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였다. 표 2에 경화 전, 경화 후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12 내지 17에 있어서, 점착제층에 가교제 용액을 도포, 건조시킨 점착제 시트 A, B 및 G를 경화 조건에 부침으로써 저장 탄성률이 향상된다. 따라서, 실시예 12 내지 17의 점착제 시트는, 하이브리드 점착제 시트로서 유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5, 16으로부터, 가교제 용액의 농도를 조정함으로써, 경화 후의 저장 탄성률을 제어할 수 있는 것도 알 수 있다.
(실시예 18)
점착제 시트 C의 한쪽의 주면(「제1면」이라고 함)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된 제1면에 방청제(1,2,3-벤조트리아졸)의 0.5중량%의 농도의 에탄올 용액을, RD Specialties사제의 Wire Wound Rod 타입, #7번의 바 코터로 도공했다(목표 Wet 도포 두께 15㎛). 도포 후, 점착제 시트 C를 110℃의 오븐 내에서 2분간 가열 건조시켜, 용매를 휘발, 제거하여, 해당 방청제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C를 얻었다.
(비교예 10)
점착제 시트 C의 제1면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방청제의 용액을 도포하지 않은 점착제 시트 C를 비교예 10으로 한다.
<방청 기능의 평가>
실시예 18, 비교예 10에서 얻어진 점착제 시트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였다. 방청제 용액을 도포한 면을 제1면, 반대의 주면을 제2면으로 한다. 얻어진 점착제 시트를 폭 100mm, 길이 100mm로 커트하고, 제1면 또는 제2면을 구리를 구비하는 필름에 접합하고, 반대의 면에 PET 필름(두께: 25㎛)을 접합하여, 핸드 롤러에 의해 접합하고, 오토클레이브에서 15분간, 가열 가압(5atm, 50℃)하였다. 구리를 구비하는 필름은, 시클로올레핀 필름(상품명 「ZEONOR(등록 상표) ZF16, 두께 50㎛)의 양면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한 것의 편면에, 50nm의 구리의 층을 스퍼터에 의해 형성한 것(표면 저항값: 0.58Ω/□)을 사용하였다. 이것을 85℃, 85% RH 환경 하에서 500시간 보존하고, 보존 전후에 구리의 상태를 평가하였다. 홀 경화 측정 장치(악센트 옵티컬 테크놀로지스 HL5500PC)에 의해 구리의 표면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눈으로 보기에 의해 구리 표면을 관찰하고, 부식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또한, 보존 후에 방청제의 검출의 유무를 현미경에 의해 확인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표 3으로부터, 점착제층에 대한 방청제 용액의 도포에 의해, 점착제에 방청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방청제 용액을 도포한 제1면의 500시간 후의 표면 저항값은 제2면보다 낮아, 표리에 방청제의 농도차가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19)
점착제 시트 C의 한쪽의 주면(「제1면」이라고 함)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된 제1면에 대전 방지제(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리튬)의 5중량%의 농도의 에탄올 용액을, RD Specialties사제의 Wire Wound Rod 타입, #7번의 바 코터로 도공했다(목표 Wet 도포 두께 15㎛). 도포 후, 점착제 시트 C를 110℃의 오븐 내에서 2분간 가열 건조시켜, 용매를 휘발, 제거하여, 해당 대전 방지제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C를 얻었다.
(실시예 20)
대전 방지제 용액의 농도를 10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하여, 대전 방지제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C를 얻었다.
(실시예 21)
대전 방지제 용액의 농도를 20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하여, 대전 방지제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C를 얻었다.
(비교예 11)
점착제 시트 C의 제1면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대전 방지제의 용액을 도포하지 않은 점착제 시트 C를 비교예 11로 한다.
<대전 방지 기능의 평가>
실시예 19 내지 21, 비교예 11에서 얻어진 점착제 시트의 한쪽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값을 이하의 조건에 의해 측정하였다. 대전 방지제 용액을 도포한 주면을 제1면, 반대의 주면을 제2면으로 한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측정 장치: 하이레스타 MCP-HT450(미츠비시 가가쿠 애널리텍)
프로브: URS
인가 전압: 250V
Figure pct00004
표 4로부터, 점착제층에 대한 대전 방지제 용액의 도포에 의해, 점착제에 대전 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2)
점착제 시트 B의 한쪽의 주면(「제1면」이라고 함)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된 제1면에, 자외선 흡수제(Tinosorb S, BASF제)를 10중량%,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를 20중량%, 광중합 개시제(Omnirad 819, IGM Resins B.V.사제)를 0.3중량%의 농도로 희석한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RD Specialties사제의 Wire Wound Rod 타입, #7번의 바 코터로 도공했다(목표 Wet 도포 두께 15㎛). 도포 후, 점착제 시트 B를 110℃의 오븐 내에서 2분간 가열 건조시켜, 용매를 휘발, 제거하여, 해당 자외선 흡수제와, HDDA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B를 얻었다.
(실시예 23)
자외선 흡수제(Tinuvin928, BASF제)를 12중량%,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를 30중량%, 광중합 개시제(Omnirad 819, IGM Resins B.V.사제)를 0.5중량%의 농도로 희석한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2와 마찬가지로 하여, 해당 자외선 흡수제와, HDDA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B를 얻었다.
(실시예 24)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를 20중량%, 광중합 개시제(Omnirad 819, IGM Resins B.V.사제)를 0.3중량%의 농도로 희석한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2와 마찬가지로 하여, HDDA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B를 얻었다.
(실시예 25)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를 30중량%, 광중합 개시제(Omnirad 819, IGM Resins B.V.사제)를 0.5중량%의 농도로 희석한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2와 마찬가지로 하여, HDDA가 용해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B를 얻었다.
<평가>
실시예 22 내지 25에서 얻어진 점착제 시트를, 실시예 12 내지 17과 마찬가지로 7일간 정치시킨 후에 상기의 「투과율 평가」, 「점착력 평가」, 및 「탄성률 평가」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투과율 평가, 점착력 평가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 전의 점착제 시트에 대하여 행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광중합 개시제, 가교제에 더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한 실시예 22, 23의 점착제 시트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 용액을 도포한 실시예 24, 25의 점착제 시트에 비해 경화 후의 저장 탄성률이 상승하여, 접착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자외선을 흡수한 자외선 흡수제가 발열하여, 경화 반응이 촉진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베리에이션을 부기한다.
〔부기 1〕지지체 상에,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제층을 경화시키고,
첨가제의 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경화된 점착제층의 한쪽의 면에 상기 용액을 도포하여, 해당 용액에 포함되는 상기 첨가제를,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침투시키고,
상기 점착제층을 건조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부기 2〕상기 첨가제의 용액은, 상기 첨가제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이며,
상기 점착제층을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용액의 용매를 증발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부기 1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부기 3〕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지지체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박리 시트를 접합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부기 4〕상기 첨가제가, 중합 개시제, 가교제, 자외선 흡수제, 방청제, 및 대전 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부기 5〕상기 첨가제가, 중합 개시제 및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부기 4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부기 6〕상기 첨가제가,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부기 5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부기 7〕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가,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가 상기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의 반응에 의한 경화이며,
상기 첨가제가,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부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부기 8〕상기 제1 중합 개시제가, 제2 중합 개시제와 동일한, 부기 7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부기 9〕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과,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에, 부기 7 또는 8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제 시트의 점착제층을 접합하고,
상기 점착제층을 상기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반응에 의해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제조 방법.
〔부기 10〕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이 인쇄층을 갖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과 상기 인쇄층 사이의 단차를 메우도록 접합되어 있는, 부기 9에 기재된 광학 부재 적층체의 제조 방법.
〔부기 11〕지지체와, 해당 지지체 상의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 시트이며,
상기 점착제층은,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주면을 갖는 단일층이고,
상기 점착제층에는, 첨가제가 용해되어 있고,
상기 단일층의 점착제층을 두께 방향으로 등분으로 2분할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2개의 주면 중 한쪽의 제1 주면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와, 다른 쪽의 제2 주면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시트.
〔부기 12〕상기 점착제층이, 경화된 점착제층인, 부기 11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
〔부기 13〕상기 제2 주면이 상기 지지체 상에 면하고 있고, 상기 제1 주면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가, 상기 제2 주면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
〔부기 14〕상기 단일층의 점착제층이 두께 방향으로 상기 첨가제의 농도 구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
〔부기 15〕상기 지지체가 박리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
〔부기 16〕박리 시트로 이루어지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점착제층의 양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5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
〔부기 17〕상기 첨가제가, 중합 개시제, 가교제, 자외선 흡수제, 방청제, 및 대전 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부기 1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
〔부기 18〕상기 첨가제가, 중합 개시제 및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부기 17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
〔부기 19〕상기 첨가제가,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부기 18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
〔부기 20〕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가,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가 상기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의 반응에 의한 경화이며,
상기 첨가제가,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부기 12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
〔부기 21〕상기 제1 중합 개시제가, 제2 중합 개시제와 동일한, 부기 20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
〔부기 22〕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5 내지 500㎛인, 부기 1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
〔부기 23〕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과,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이며,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에 상기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점착제층이, 부기 18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의 점착제층 경화물인, 광학 부재 적층체.
〔부기 24〕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이 인쇄층을 갖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과 상기 인쇄층 사이의 단차를 메우도록 적층되어 있는, 부기 23에 기재된 광학 부재 적층체.
〔부기 25〕상기 경화물이, 상기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반응에 의한 경화물인, 부기 23 또는 24에 기재된 광학 부재 적층체.
본 발명은, 투명한 광학 부재를 다른 광학 부재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해당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점착제 시트에 유용하다.
10: 점착제층(경화 전)
10a: 점착제층(경화 후)
S, S1, S2, S3: 지지체(박리 시트)
U: 자외선
11: 첨가제
11a: 제2 중합 개시제
11b: 제2 가교제
11c: 가교 구조
12: 첨가제의 용액
13: 용매
31, 32: 광학 부재
21: 점착제층(경화 후)
21a: 점착제층의 주면(제1면)
21b: 점착제층의 주면(제2면)
41: 점착제층(경화 전)
41a: 점착제층의 주면(제1면)
41b: 점착제층의 주면(제2면)
42: 광학 부재
42a: 광학 부재의 주면
43: 인쇄층

Claims (25)

  1. 지지체 상에,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제층을 경화시키고,
    첨가제의 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경화된 점착제층의 한쪽의 면에 상기 용액을 도포하여, 해당 용액에 포함되는 상기 첨가제를,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침투시키고,
    상기 점착제층을 건조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용액은, 상기 첨가제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이며,
    상기 점착제층을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용액의 용매를 증발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지지체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박리 시트를 접합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중합 개시제, 가교제, 자외선 흡수제, 방청제, 및 대전 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중합 개시제 및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가,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가 상기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의 반응에 의한 경화이며,
    상기 첨가제가,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 개시제가, 제2 중합 개시제와 동일한,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9.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과,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에, 제7항 또는 제8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제 시트의 점착제층을 접합하고,
    상기 점착제층을 상기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반응에 의해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이 인쇄층을 갖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과 상기 인쇄층 사이의 단차를 메우도록 접합되어 있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제조 방법.
  11. 지지체와, 해당 지지체 상의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 시트이며,
    상기 점착제층은,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주면을 갖는 단일층이고,
    상기 점착제층에는, 첨가제가 용해되어 있고,
    상기 단일층의 점착제층을 두께 방향으로 등분으로 2분할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2개의 주면 중 한쪽의 제1 주면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와, 다른 쪽의 제2 주면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경화된 점착제층인, 점착제 시트.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면이 상기 지지체 상에 면하고 있고, 상기 제1 주면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가, 상기 제2 주면이 속하는 영역의 상기 첨가제의 농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시트.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의 점착제층이 두께 방향으로 상기 첨가제의 농도 구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시트.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박리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시트.
  16. 제15항에 있어서,
    박리 시트로 이루어지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점착제층의 양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시트.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중합 개시제, 가교제, 자외선 흡수제, 방청제, 및 대전 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점착제 시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중합 개시제 및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점착제 시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가,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가 상기 제1 중합 개시제 및 제1 가교제의 반응에 의한 경화이며,
    상기 첨가제가,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점착제 시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 개시제가, 제2 중합 개시제와 동일한, 점착제 시트.
  22. 제1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5 내지 500㎛인, 점착제 시트.
  23.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과,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이며,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에 상기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점착제층이,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제 시트의 점착제층의 경화물인, 광학 부재 적층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이 인쇄층을 갖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주면과 상기 인쇄층 사이의 단차를 메우도록 적층되어 있는, 광학 부재 적층체.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이, 상기 제2 중합 개시제 및 제2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반응에 의한 경화물인, 광학 부재 적층체.
KR1020227036995A 2020-03-27 2021-03-24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점착제 시트 KR202201548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59016 2020-03-27
JP2020059016 2020-03-27
JP2021048552A JP2021155733A (ja) 2020-03-27 2021-03-23 粘着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粘着剤シート
JPJP-P-2021-048552 2021-03-23
PCT/JP2021/012326 WO2021193747A1 (ja) 2020-03-27 2021-03-24 粘着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粘着剤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818A true KR20220154818A (ko) 2022-11-22

Family

ID=7789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995A KR20220154818A (ko) 2020-03-27 2021-03-24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점착제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03347A1 (ko)
EP (1) EP4130182A4 (ko)
KR (1) KR20220154818A (ko)
CN (1) CN115397936A (ko)
TW (1) TW202200738A (ko)
WO (1) WO20211937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3746A1 (ja) * 2020-03-27 2021-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粘着剤シート
WO2024019160A1 (ja) * 2022-07-22 2024-01-2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1305A (ja) 2011-03-23 2012-11-01 Mitsubishi Plastics Inc 画像表示装置用透明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5145767A1 (ja) 2014-03-28 2015-10-0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6128537A (ja) 2015-01-09 2016-07-14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WO2016170875A1 (ja) 2015-04-22 2016-10-27 Dic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6471A (ja) * 1982-09-24 1984-03-31 Nitto Electric Ind Co Ltd 両面接着テ−プの製造方法
JPH08170055A (ja) * 1994-12-20 1996-07-02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H11317475A (ja) * 1998-02-27 1999-11-16 Canon Inc 半導体用封止材樹脂および半導体素子
JP4639876B2 (ja) * 2004-04-07 2011-02-2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耐候性に優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2851406A4 (en) * 2012-05-14 2015-12-23 Lg Chemical Ltd METHOD FOR PRODUCING AN ADHESIVE ARTICLE
KR101286829B1 (ko) * 2012-05-31 2013-07-17 (주)티엠에스 광학투명접착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US10852455B2 (en) * 2014-01-17 2020-12-01 Nitto Denko Corporation Laminate of optical elements having a layer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laminate of optical elements
US10072184B2 (en) * 2014-01-17 2018-09-11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JP6234970B2 (ja) * 2015-07-22 2017-11-22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な粘着剤層を有する透明導電層付カバー部材
WO2021193746A1 (ja) * 2020-03-27 2021-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粘着剤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1305A (ja) 2011-03-23 2012-11-01 Mitsubishi Plastics Inc 画像表示装置用透明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5145767A1 (ja) 2014-03-28 2015-10-0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6128537A (ja) 2015-01-09 2016-07-14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WO2016170875A1 (ja) 2015-04-22 2016-10-27 Dic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0182A1 (en) 2023-02-08
TW202200738A (zh) 2022-01-01
US20230203347A1 (en) 2023-06-29
EP4130182A4 (en) 2023-09-20
CN115397936A (zh) 2022-11-25
WO2021193747A1 (ja)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1277B2 (ja) 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有機el表示装置
KR102583657B1 (ko)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 조성물,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편광 필름, 및 유기 el 표시 장치
JP6635727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JP2019070150A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光学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
JP2023027214A (ja) 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有機el表示装置
CN114292595A (zh) 粘合剂组合物、粘合剂层、粘合片、光学构件及触控面板
TW201302968A (zh) 壓感黏著劑機能膜及顯示裝置
KR20220154818A (ko) 점착제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점착제 시트
KR20180098359A (ko) 도전부재용 점착 시트, 도전부재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US20230227699A1 (en) Method for pro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2021011516A (ja) 粘着シート、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21155733A (ja) 粘着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粘着剤シート
JP2021144241A (ja) 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102629906B1 (ko)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EP4317345A1 (en) Radiation-curable adhesive sheet
EP4317343A1 (en) Radiation-curable adhesive sheet
EP4317344A1 (en) Radiation-curable adhesive sheet
WO2023032795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7064532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JP2021155732A (ja) 粘着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粘着剤シート
KR20220126219A (ko) 광학용 점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