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135A -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135A
KR20220143135A KR1020227033674A KR20227033674A KR20220143135A KR 20220143135 A KR20220143135 A KR 20220143135A KR 1020227033674 A KR1020227033674 A KR 1020227033674A KR 20227033674 A KR20227033674 A KR 20227033674A KR 20220143135 A KR20220143135 A KR 20220143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sleeve
pipe member
connecting portion
copper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지에 왕
위쿠안 산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4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07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joining pipes of dissimi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100)는 장비 파이프 라인(5)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100)는 스테인리스강 파이프(1) 및 구리 슬리브(2)를 포함한다. 스테인리스강 파이프(1)는 본체부(11) 및 본체부(11) 일단에 설치되는 연결부(12)를 포함한다. 연결부(12)의 외경은 본체부(11)의 외경보다 작다. 구리 슬리브(2)는 연결부(12) 외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구리 슬리브(2)의 외경은 본체부(11)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다.

Description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본 출원은 2020년 03월 18일 출원된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출원번호는 202020341501.7이고 발명의 명칭은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이다. 이는 본 출원에 전체로서 인용되었다.
본 출원은 냉동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냉동 기술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구리 파이프를 연결관으로 사용하여 2개의 부품을 연결한다. 구리 파이프와의 연결 용이성을 위해, 부품도 구리 재료로 제작한다. 구리 재료의 가격이 비교적 높아 생산 비용을 낮추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스테인리스강 재료로 구리 재료를 대체해 일부 부품을 제작한다. 제조 과정에서 구리 파이프와 스테인리스강 부품의 스테인리스강 파이프를 함께 용접해야 한다. 그러나 구리 재료와 스테인리스강 재료의 용접 특성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직접 구리 파이프와 스테인리스강 파이프를 함께 용접하는 공정의 난이도가 비교적 크다.
종래 기술에서는 스테인리스강 파이프 외측에 구리 슬리브를 용접한 후 장비 파이프 라인을 직접 구리 슬리브 상에 용접하는 기술적 해결책을 개시하였다. 이 기술적 해결책은 구리 슬리브를 추가한 후 이에 상응하여 장비 파이프 라인의 직경을 늘려야 하는데, 이는 장비 파이프 라인의 파이프 라인 설계를 변경해야 하므로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는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스테인리스강 파이프 및 구리 슬리브가 포함된다. 상기 스테인리스강 파이프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일단에 설치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의 외경은 상기 본체부의 외경보다 작다. 상기 구리 슬리브는 상기 연결부 외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리 슬리브의 외경은 상기 본체부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는 스테인리스강 파이프의 연결부 외측에 구리 슬리브를 커버하도록 설치하고 구리 슬리브를 통해 장비 파이프 라인을 연결함으로써, 스테인리스강 파이프와 장비 파이프 라인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였다. 구리 슬리브의 외경이 스테인리스강 파이프의 본체부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기 때문에, 구리 슬리브를 통해 장비 파이프 라인을 연결할 때 장비 파이프 라인의 파이프 라인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구리 슬리브 사이는 용접 연결된다. 따라서 용접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켜 구조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구리 슬리브 사이는 용접 링으로 용접한다. 상기 용접 링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본체부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된다. 용접 링은 환형 구조이며 땜납이 균일하게 분포된다. 따라서 연결부와 구리 슬리브 사이에 우수한 용접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접 링은 구리계 용접 링이다. 따라서 상기 구리 슬리브와 상기 연결부의 용접 과정이 더욱 쉽고 용접 강도가 더욱 높아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구리 슬리브 사이는 틈새 끼워맞춤된다. 상기 연결부와 상기 구리 슬리브 사이에는 땜납 충진층이 채워진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구리 슬리브 사이는 틈새 끼워맞춤을 채택하여, 용접 시 땜납이 갭에 침투하여 땜납 충진층을 형성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들 둘 사이의 용접 견고성이 향상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구리 슬리브 사이의 거리는 0.06mm 이하이다. 따라서 충분한 용접 강도를 보장하고 땜납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리 슬리브의 상기 본체부에서 먼 일단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본체부에서 먼 일단에서 돌출된다. 따라서 납땜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리 슬리브는 상기 연결부에서 돌출된 부분의 길이가 3mm 이하이다. 따라서 상기 구리 슬리브 제작에 필요한 재료를 효과적으로 절감하여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리 슬리브의 상기 본체부에 근접한 일단에는 필릿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필릿은 상기 구리 슬리브와 상기 연결부가 조립 과정에서 버(burr)를 생성하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강 파이프에는 전이부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전이부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결부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전이부는 추형관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전이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연결을 더욱 매끄럽게 만들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리 슬리브 외측에는 위치제한 돌기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제한 돌기는 상기 구리 슬리브가 상기 장비 파이프 라인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구리 슬리브가 상기 장비 파이프 라인에 삽입되는 깊이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어 조립 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 및/또는 예시를 더 잘 설명하고 해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첨부 도면을 참고할 수 있다. 첨부 도면 설명에 사용되는 추가적 세부 사항 또는 예시는 개시된 발명, 현재 설명된 실시예 및/또는 예시와 현재 이해된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를 용접한 후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를 용접하기 전의 구조도이다.
첨부 도면에서 부호의 의미는 하기와 같다.
100은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1은 스테인리스강 파이프, 11은 본체부, 12는 연결부, 13은 전이부, 2는 구리 슬리브, 21은 필릿, 22는 위치제한 돌기, 3은 용접 링, 4는 땜납 충진층, 5는 장비 파이프 라인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전부가 아닌 일부 실시예일 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작업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범위 및 상술한 첨부 도면에서 "포함"이라는 용어 및 이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장착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장착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설치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설치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고정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출원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하다. 본원에서 본 출원의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또는/및"은 하나 이상의 관련하여 나열된 항목의 임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에에 따른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100)를 용접한 후의 구조도이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100)는 장비 파이프 라인(5)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는 스테인리스강 파이프(1) 및 구리 슬리브(2)가 포함된다. 스테인리스강 파이프(1)는 본체부(11) 및 본체부(11) 일단에 설치된 연결부(12)를 포함한다. 연결부(12)의 외경은 본체부(11)의 외경보다 작다. 구리 슬리브(2)는 연결부(12) 외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구리 슬리브(2)의 외경은 본체부(11)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강 파이프(1)의 연결부(12) 외측에 구리 슬리브(2)를 커버하도록 설치하고 구리 슬리브(2)를 통해 장비 파이프 라인(5)을 연결함으로써, 스테인리스강 파이프(1)와 장비 파이프 라인(5)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였다. 구리 슬리브(2)의 외경이 스테인리스강 파이프(1)의 본체부(11)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다. 따라서 구리 슬리브(2)를 통해 장비 파이프 라인(5)을 연결할 때 장비 파이프 라인(5)의 파이프 라인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즉, 장비 파이프 라인(5)의 파이프 직경을 변경할 필요가 없거나, 직경 변경을 통해 장비 파이프 라인(5)과 구리 슬리브(2)를 연결할 필요가 없어, 조작이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는 용접 연결된다.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는 용접으로 연결되며, 연결 강도가 강하고 구조가 안정적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100)를 용접하기 전의 구조도이다.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는 용접 링(3)에 의해 용접된다. 용접 링(3)은 연결부(12)의 본체부(11)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된다. 용접 링(3)으로 용접하는 것은 노내납땜의 방식으로 용접하는 것이다. 용접하기 전에, 먼저 용접 링(3)을 연결부(12) 외측에 고정한다. 그 다음 상기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100)를 브레이징 로에 이송하여 납땜을 수행한다. 노내납땜의 방식은 조작 과정이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는 모두 관형 구조이다. 따라서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의 용접 부위에 하나의 용접 링(3)을 증가시켜, 용접 링(3)을 용융시킨 후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의 갭 내에 균일하게 침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에 우수한 용접 강도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용접 링(3)은 구리계 용접 링이다. 구리계 땜납은 융점이 비교적 낮고 유동성이 우수하며 기계적 강도가 높다. 따라서 구리계 용접 링을 사용하면 구리 슬리브(2)와 연결부(12)의 용접 과정이 더욱 용이해지고 용접 강도가 더욱 높아짐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는 틈새 끼워맞춤이다.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에는 땜납 충진층(4)이 채워진다.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는 틈새 끼워맞춤된다. 즉,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에는 갭이 존재하므로, 땜납이 갭에 침투되기가 용이하다.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에는 땜납 충진층(4)이 채워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용접 링(3)으로 용접할 때, 용접 링(3)이 용융된 후 형성되는 액체 땜납은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의 갭에 침투되어 땜납 충진층(4)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에 땜납 충진층(4)을 채운다. 용접을 수행할 때, 땜납 충진층(4)은 고온 용융되어 유동되므로,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 용접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의 거리는 0.06mm 이하이다.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의 거리가 0.06mm보다 크면,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에 충진할 땜납이 더 많이 필요해 땜납 낭비가 초래됨을 이해할 수 있다. 땜납 충진이 불충분하면 용접이 견고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의 거리가 0.06mm 이하이면, 땜납을 연결부(12)와 구리 슬리브(2) 사이의 갭에 침투시켜 충분한 용접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 슬리브(2)는 본체부(11)에서 먼 일단이 연결부(12)의 본체부(11)에서 먼 일단에 돌출된다. 구리 슬리브(2)는 연결부(12)에 돌출된 부분이 땜납에 축적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납땜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리 슬리브(2)는 연결부(12)에 돌출된 부분의 길이가 3mm 이하이다. 이를 통해 땜납에 충분한 축적 공간을 제공한다. 구리 슬리브(2)가 연결부(12)에서 돌출된 부분의 길이가 3mm보다 크면, 땜납 축적 공간이 낭비되어 구리 슬리브(2) 재료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 슬리브(2)는 본체부(11)에 근접한 일단에 필릿(21)이 설치된다. 필릿(21)은 구리 슬리브(2)의 단부를 더욱 매끄럽게 만든다. 조립할 때, 구리 슬리브(2)를 연결부(12)의 일단으로부터 연결부(12) 외측에 조립하여 넣는다. 구리 슬리브(2)는 본체부(11)에 근접한 일단에 필릿(21)이 설치되어, 구리 슬리브(2)에 조립하여 넣는 과정에서 연결부(12)의 외표면을 긁지 않는다. 따라서 조립 과정에서 버가 생성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강 파이프(1)에는 전이부(13)가 더 설치된다. 전이부(13)는 본체부(11)와 연결부(12) 사이에 설치된다. 전이부(13)의 일단은 본체부(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부(12)에 연결된다. 전이부(13)는 추형관 형태이다. 전이부(13)의 외경은 본체부(11)와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연결부(12)와 연결된 일단까지 점차 감소하여, 본체부(11)와 연결부(12) 사이의 연결을 더욱 매끄럽게 만들며, 본체부(11)와 연결부(12)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 슬리브(2) 외측에는 위치제한 돌기(22)가 설치된다. 위치제한 돌기(22)는 구리 슬리브(2)가 장비 파이프 라인(5)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100)를 장비 파이프 라인(5)에 연결할 때, 위치제한 돌기(22)가 설치되기 때문에 구리 슬리브(2)가 장비 파이프 라인(5)에 삽입되는 깊이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장비 파이프 라인(5)의 일단의 단면은 위치제한 돌기(22)에 맞닿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장비 파이프 라인(5)의 내벽에 위치제한 오목홈을 설치하고, 위치제한 돌기(22)와 위치제한 오목홈을 매칭시켜 위치를 제한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기술적 특징의 조합에 모순이 없는 한 이는 모두 본 발명에 기술된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실시예가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한다. 본 출원의 사상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를 적절하게 변경 및 수정한 것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장비 파이프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에 있어서,
    스테인리스강 파이프 및 구리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인리스강 파이프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설치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외경은 상기 본체부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구리 슬리브는 상기 연결부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리 슬리브의 외경은 상기 본체부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구리 슬리브 사이는 용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구리 슬리브 사이는 용접 링으로 용접하고, 상기 용접 링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본체부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링은 구리계 용접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구리 슬리브 사이는 틈새 끼워맞춤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구리 슬리브 사이에 땜납 충진층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내측벽과 상기 구리 슬리브의 외측벽 사이의 거리는 0.06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슬리브의 상기 본체부에서 먼 일단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본체부에서 먼 일단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슬리브가 상기 연결부에서 돌출된 부분의 길이는 3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슬리브의 상기 본체부에 근접한 일단에는 필릿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강 파이프에는 전이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전이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전이부는 추형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슬리브의 외측에는 위치제한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 돌기는 상기 구리 슬리브가 상기 장비 파이프 라인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KR1020227033674A 2020-03-18 2021-01-18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KR202201431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0341501.7 2020-03-18
CN202020341501.7U CN212361095U (zh) 2020-03-18 2020-03-18 管件连接结构
PCT/CN2021/072378 WO2021184944A1 (zh) 2020-03-18 2021-01-18 管件连接结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135A true KR20220143135A (ko) 2022-10-24

Family

ID=74146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674A KR20220143135A (ko) 2020-03-18 2021-01-18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517506A (ko)
KR (1) KR20220143135A (ko)
CN (1) CN212361095U (ko)
WO (1) WO20211849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361095U (zh) * 2020-03-18 2021-01-15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管件连接结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4933A1 (de) * 2014-04-08 2015-06-18 Miele & Cie.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 von Rohren sowie Rohrverbindung erstellt nach dem Verfahren
CN204913089U (zh) * 2015-08-28 2015-12-30 何珠华 管件焊接结构
CN106917924A (zh) * 2015-12-28 2017-07-04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管口接口结构和消音器
CN205781506U (zh) * 2016-07-20 2016-12-07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四通换向阀接管、四通换向阀及冷媒循环系统
CN110605493B (zh) * 2019-09-24 2021-10-26 苏州悦贸金属制品有限公司 不锈钢管与铜管的焊接方法
CN212362521U (zh) * 2020-02-25 2021-01-15 盾安(芜湖)中元自控有限公司 管口连接结构、储液器筒体及储液器
CN212361095U (zh) * 2020-03-18 2021-01-15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管件连接结构
CN211925062U (zh) * 2020-03-25 2020-11-13 广东恒基金属制品实业有限公司 一种不锈钢管与铜管的焊接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4944A1 (zh) 2021-09-23
CN212361095U (zh) 2021-01-15
JP2023517506A (ja)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74860B (zh) 一种接管与阀座的固定结构
KR20210000109U (ko) 일종의 파이프 연결 구조, 사방향 전환 밸브 및 에어컨
CN104009301A (zh) 压缩密封型气密端子
KR20220143135A (ko)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KR200497089Y1 (ko) 액체 저장 장치
CN210649131U (zh) 液冷水板与水嘴真空钎焊的结构
JPS6354916B2 (ko)
KR101837909B1 (ko) 유체 분배용 관 접속구조 및 접속방법
CN212793642U (zh) 一种波纹管焊接结构
CN105127533A (zh) 一种薄壁细管的连接方法
CN204438880U (zh) 用于换热器的集流管组件
CN112935612A (zh) 一种可避免与紫铜管钎焊连接时熔深不足的接头
JP2007105774A (ja) 管部材と相手部材とのろう付け方法
JP2019199935A (ja) ろう付管体およびろう付管体の製造方法
CN112212101A (zh) 带有焊料的铜水管弯头及其制造方法和焊接方法
CN220984430U (zh) 磁芯管对中定位结构及电磁开关
CN219912155U (zh) 波纹金属软管
CN220816641U (zh) 一种四通阀主阀座
JP2022170346A (ja) 管部材と相手部材とのろう付け方法
CN204187899U (zh) 一种压缩机储液器
CN110849189B (zh) 毛细管管壳式换热器中的管板成型方法
CN219453159U (zh) 一种衬套、一种管路组件
CN220551645U (zh) 流焊阻挡式圆管垂直连接结构及制冷组件
CN212929145U (zh) 一种新型沟槽波纹补偿器
CN214558433U (zh) 一种可避免与紫铜管钎焊连接时熔深不足的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