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113A - 유체 기계 - Google Patents

유체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113A
KR20220136113A KR1020220029965A KR20220029965A KR20220136113A KR 20220136113 A KR20220136113 A KR 20220136113A KR 1020220029965 A KR1020220029965 A KR 1020220029965A KR 20220029965 A KR20220029965 A KR 20220029965A KR 20220136113 A KR20220136113 A KR 20220136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nector
anchor
wiring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071B1 (ko
Inventor
고키 시노하라
준야 야노
유스케 기노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220136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08Insulating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04C2240/403Electric motor with inverter for speed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leads, i.e. conducting wi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Abstract

유체 기계는, 하우징과 커버에 의해서 구획 형성되고, 인버터를 수용하는 인버터실과, 상대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인버터의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을 구비한다. 배선은,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와, 상대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부와, 커버의 벽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기판 접속부와 커넥터 접속부를 접속하는 연장부를 갖는다. 유체 기계는, 연장부를 덮는 수지 몰드부와, 수지 몰드부에 일체 형성된 앵커부로서, 커버가 갖는 관통공에 걸리는 앵커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연장부는, 앵커부에 의해서 커버의 벽면에 걸려 있다.

Description

유체 기계{FLUID MACHINE}
본 개시는 유체 기계에 관한 것이다.
유체 기계는, 유체가 흡입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에는, 금속제의 커버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과 커버에 의해서 인버터실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인버터실은, 인버터를 수용한다. 또한, 유체 기계는, 인버터의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을 구비하고 있다. 배선은, 상대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선은,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와, 상대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기판 접속부가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커넥터 접속부가 상대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배선은, 상대측 커넥터로부터의 전력을 회로 기판에 공급한다.
유체 기계에서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과 기판 접속부의 접속 위치의 제약이나 상대측 커넥터와 커넥터 접속부의 접속 위치의 제약 등에 의해서, 기판 접속부와 커넥터 접속부의 상대 위치가, 커버의 벽면을 따라서 서로 멀어지는 경우가 있다. 기판 접속부와 커넥터 접속부가, 커버의 벽면을 따라서 멀어질수록, 배선에 있어서, 커버의 벽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기판 접속부와 커넥터 접속부를 접속하는 연장부의 길이가 길어진다. 연장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배선이 진동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예를 들어, 적어도 연장부를 수지 몰드부에 의해서 덮어, 수지 몰드부를 커버에 고정시킴으로써, 배선의 진동을 억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98664호에서는, 수지 몰드부가 볼트에 의해서 커버에 고정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98664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과 같이, 볼트를 사용하여, 수지 몰드부를 커버에 고정시키는 구성에서는, 볼트의 분만큼 부품 점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유체 기계에 있어서는, 부품 점수를 삭감하면서도, 배선의 진동을 억제할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의하면, 유체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인버터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금속제의 커버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에 의해서 구획 형성됨과 함께 상기 인버터를 수용하는 인버터실과, 상대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상기 인버터의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배선으로서, 상기 배선은,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 커넥터 접속부와, 상기 커버의 벽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기판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 접속부를 접속하는 연장부를 갖는 상기 배선과, 상기 연장부를 덮는 수지 몰드부와, 상기 수지 몰드부에 일체 형성된 앵커부로서, 상기 커버가 갖는 관통공에 걸리는 상기 앵커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앵커부에 의해서 상기 커버의 벽면에 걸려 있는 유체 기계가 제공된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체 기계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인버터실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인버터실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앵커부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제 2 커넥터부와 2 개의 제 2 앵커부의 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1 구성체와 제 2 구성체를 일체화시키기 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앵커부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유체 기계를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 1 ∼ 도 6 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유체 기계는, 예를 들어, 차량 공조 장치에 사용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 기계 (10) 는, 하우징 (11) 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11) 은, 원통상이다. 하우징 (11) 은, 모터 하우징 (12) 과 토출 하우징 (13) 을 갖고 있다. 모터 하우징 (12) 및 토출 하우징 (13) 은, 금속제이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제이다.
모터 하우징 (12) 은, 단벽 (14a) 과, 둘레벽 (12b) 을 갖고 있다. 단벽 (14a) 은, 평판상이다. 둘레벽 (12b) 은, 단벽 (14a) 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통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토출 하우징 (13) 은, 모터 하우징 (12) 의 둘레벽 (12b) 에 있어서의 단벽 (14a) 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 하우징 (13) 은, 모터 하우징 (12) 에 있어서의 단벽 (14a) 과는 반대측의 개구를 폐색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 (12) 내에는, 회전축 (15) 과, 압축부 (16) 와, 전동 모터 (17) 가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 모터 (17) 는, 하우징 (11) 내에 수용되어 있다. 회전축 (15) 은, 모터 하우징 (12)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압축부 (16) 는, 회전축 (15) 의 회전에 의해서 유체인 냉매를 압축한다. 압축부 (16) 는, 예를 들어, 모터 하우징 (12) 내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고정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에 대향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가동 스크롤로 구성되는 스크롤식이다.
전동 모터 (17) 는, 로터 (17a) 와, 스테이터 (17b) 로 구성되어 있다. 로터 (17a) 는, 회전축 (15) 에 고정되어 회전축 (15) 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스테이터 (17b) 는, 모터 하우징 (12) 의 둘레벽 (12b) 의 내주면에 고정됨과 함께 로터 (17a) 를 둘러싸고 있다. 스테이터 (17b) 의 티스에는, 코일 (18) 이 권회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18) 에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로터 (17a) 및 회전축 (15) 이 회전한다. 따라서, 전동 모터 (17) 는, 회전축 (15) 을 회전시켜 압축부 (16) 를 구동시킨다.
모터 하우징 (12) 의 둘레벽 (12b) 에는, 흡입구 (12h)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토출 하우징 (13) 에는, 토출구 (13h) 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 (12h) 에는 외부 냉매 회로 (19) 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토출구 (13h) 에는 외부 냉매 회로 (19) 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냉매 회로 (19) 로부터 흡입구 (12h) 를 통하여 모터 하우징 (12) 내에 냉매가 흡입된다. 따라서, 유체 기계 (10) 는, 유체가 흡입되는 하우징 (11) 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모터 하우징 (12) 내에 흡입된 냉매는, 압축부 (16) 에 의해서 압축된다. 압축부 (16) 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는, 토출 하우징 (13) 내로 토출됨과 함께 토출구 (13h) 를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 (19) 로 토출된다. 외부 냉매 회로 (19) 로 토출된 냉매는, 외부 냉매 회로 (19) 의 도시하지 않은 열교환기나 팽창 밸브를 거쳐, 흡입구 (12h) 를 통하여 모터 하우징 (12) 내로 환류된다. 유체 기계 (10) 및 외부 냉매 회로 (19) 는, 차량 공조 장치 (20) 를 구성하고 있다.
유체 기계 (10) 는, 커버 (14) 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14) 는, 금속제이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제이다. 커버 (14) 는, 단벽 (14a) 과, 둘레벽 (14b) 을 갖고 있다. 단벽 (14a) 은, 평판상이다. 둘레벽 (14b) 은, 단벽 (14a) 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통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커버 (14) 는, 둘레벽 (14b) 에 있어서의 단벽 (14a) 과는 반대측의 개구가 모터 하우징 (12) 의 단벽 (12a) 에 의해서 폐색된 상태에서, 모터 하우징 (12) 의 단벽 (12a) 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 하우징 (12) 의 단벽 (12a) 과 커버 (14) 에 의해서 인버터실 (S1) 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단벽 (14a) 은, 회전축 (15) 의 축선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체 기계 (10) 는, 인버터 (21) 를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21) 는, 회로 기판 (22) 을 갖고 있다. 인버터 (21) 는, 인버터실 (S1) 내에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인버터실 (S1) 은, 인버터 (21) 를 수용한다. 압축부 (16), 전동 모터 (17), 및 인버터 (21) 는, 이 순으로, 회전축 (15) 의 축선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 (22) 은,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이 회전축 (15) 의 축선 방향과 일치한 상태에서, 인버터실 (S1) 내에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은, 회전축 (15) 의 축선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단벽 (14a) 이 연장되는 방향은,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14) 의 단벽 (14a) 은, 제 1 면 (140a) 과 제 2 면 (141a) 을 갖고 있다.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제 1 면 (140a) 은, 커버 (14) 의 단벽 (14a) 에 있어서의 모터 하우징 (12) 의 단벽 (12a) 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제 2 면 (141a) 은, 커버 (14) 의 단벽 (14a) 에 있어서의 모터 하우징 (12) 의 단벽 (12a) 근방에 위치하는 면이다.
커버 (14) 의 단벽 (14a) 에는, 저전압용 삽입 통과공 (14c) 및 고전압용 삽입 통과공 (14d) 이 형성되어 있다. 저전압용 삽입 통과공 (14c) 및 고전압용 삽입 통과공 (14d) 은, 커버 (14) 의 단벽 (14a) 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14) 의 단벽 (14a) 에는, 관통공으로서의 제 1 관통공 (14e), 제 2 관통공 (14f), 및 제 3 관통공 (14g) 이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관통공 (14e), 각 제 2 관통공 (14f), 및 각 제 3 관통공 (14g) 각각은, 커버 (14) 의 단벽 (14a) 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각 제 1 관통공 (14e), 각 제 2 관통공 (14f), 및 각 제 3 관통공 (14g) 각각은, 원공상 (圓孔狀) 이다. 각 제 1 관통공 (14e), 각 제 2 관통공 (14f), 및 각 제 3 관통공 (14g) 각각의 내경은 동일하다. 각 제 2 관통공 (14f) 은, 커버 (14) 의 단벽 (14a) 에 있어서의 고전압용 삽입 통과공 (14d) 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 기계 (10) 는, 저전압용 배선 (30) 과, 고전압용 배선 (31) 과, 수지 몰드부 (M1) 를 구비하고 있다.
저전압용 배선 (30) 은, 저전압용 기판 접속부 (30a) 와, 저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0b) 와, 저전압용 연장부 (30c) 를 갖고 있다. 저전압용 기판 접속부 (30a), 저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0b), 및 저전압용 연장부 (30c) 는, 각각 가늘고 긴 평판상이다. 저전압용 기판 접속부 (30a) 는, 저전압용 연장부 (30c) 의 제 1 단으로부터 저전압용 연장부 (30c) 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저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0b) 는, 저전압용 연장부 (30c) 의 제 2 단으로부터 저전압용 연장부 (30c) 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저전압용 연장부 (30c) 는, 저전압용 기판 접속부 (30a) 와 저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0b) 를 접속하고 있다. 저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0b) 에 있어서의 저전압용 연장부 (30c) 로부터의 연장 방향은, 저전압용 기판 접속부 (30a) 에 있어서의 저전압용 연장부 (30c) 로부터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전압용 배선 (31) 은, 고전압용 기판 접속부 (31a) 와, 고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1b) 와, 고전압용 연장부 (31c) 를 갖고 있다. 고전압용 기판 접속부 (31a), 고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1b), 및 고전압용 연장부 (31c) 는, 각각 가늘고 긴 평판상이다. 고전압용 기판 접속부 (31a) 는, 고전압용 연장부 (31c) 의 제 1 단으로부터 고전압용 연장부 (31c) 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1b) 는, 고전압용 연장부 (31c) 의 제 2 단으로부터 고전압용 연장부 (31c) 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고전압용 연장부 (31c) 는, 고전압용 기판 접속부 (31a) 와 고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1b) 를 접속하고 있다. 고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1b) 에 있어서의 고전압용 연장부 (31c) 로부터의 연장 방향은, 고전압용 기판 접속부 (31a) 에 있어서의 고전압용 연장부 (31c) 로부터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다.
수지 몰드부 (M1) 는, 예를 들어, 폴리페닐렌술파이드 수지와 같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 수지제이다. 수지 몰드부 (M1) 는, 제 1 수지부 (40) 와, 제 2 수지부 (50) 와, 제 3 수지부 (60) 를 갖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수지부 (40) 는, 저전압용 배선 (30) 을 유지하고 있다. 제 1 수지부 (40) 는, 제 1 유지부 (41) 와, 제 1 커넥터부 (42) 와, 제 2 유지부 (43) 를 갖고 있다. 제 1 유지부 (41) 는, 판상이다. 도 2 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지부 (41) 에는, 복수의 제 1 연통공 (41a)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연통공 (41a) 은, 원공상이다. 각 제 1 연통공 (41a) 은, 제 1 유지부 (41) 를 제 1 유지부 (41) 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각 제 1 연통공 (41a) 의 내경은,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각 제 1 관통공 (14e) 의 내경과 동등하다. 제 1 커넥터부 (42) 는, 제 1 유지부 (41) 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일방의 단면 (410) 으로부터 통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유지부 (43) 는 원주상이다. 제 2 유지부 (43) 는, 제 1 유지부 (41) 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타방의 단면 (411) 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 1 유지부 (41) 는, 복수의 돌출부 (41b) 를 갖고 있다. 각 돌출부 (41b) 는, 원주상이다. 각 돌출부 (41b) 는, 제 1 유지부 (41) 의 단면 (411) 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각 돌출부 (41b) 의 선단면은 평탄면상이다.
제 1 유지부 (41) 의 내부에는, 저전압용 연장부 (30c) 가 매설되어 있다. 저전압용 연장부 (30c) 는, 저전압용 연장부 (30c) 가 연장되는 방향이 제 1 유지부 (41) 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과 일치한 상태에서, 제 1 유지부 (41) 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다. 제 1 유지부 (41) 의 단면 (410) 에서는, 저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0b) 에 있어서의 저전압용 연장부 (30c) 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돌출되어 있다. 저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0b) 에 있어서의 저전압용 연장부 (30c) 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제 1 커넥터부 (42) 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커넥터부 (42) 는, 저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0b) 를 둘러싸고 있다. 제 2 유지부 (43) 에 있어서의 제 1 유지부 (41) 와는 반대측의 단면에서는, 저전압용 기판 접속부 (30a) 에 있어서의 저전압용 연장부 (30c) 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돌출되어 있다.
저전압용 배선 (30) 을 유지한 제 1 수지부 (40) 는, 각 돌출부 (41b) 의 선단면이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제 1 면 (140a) 에 밀착된 상태에서, 커버 (14) 에 대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각 제 1 연통공 (41a) 은, 각 제 1 관통공 (14e) 과 서로 중첩되어 있다. 또, 제 2 유지부 (43) 는, 저전압용 삽입 통과공 (14c) 을 통하여 인버터실 (S1) 내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저전압용 기판 접속부 (30a) 에 있어서의 저전압용 연장부 (30c) 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예를 들어, 회로 기판 (22) 에 납땜됨으로써, 저전압용 기판 접속부 (30a) 가 회로 기판 (2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저전압용 기판 접속부 (30a) 는, 회로 기판 (2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이다. 저전압용 기판 접속부 (30a) 는, 회로 기판 (22) 으로부터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저전압용 기판 접속부 (30a) 에 있어서의 저전압용 연장부 (30c) 측의 단부는, 저전압용 삽입 통과공 (14c) 을 통하여 인버터실 (S1) 외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저전압용 삽입 통과공 (14c) 는, 저전압용 배선 (30) 이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공이다. 저전압용 연장부 (30c) 는, 인버터실 (S1) 외에서, 커버 (14) 의 단벽 (14a) 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저전압용 연장부 (30c) 는, 인버터실 (S1) 외에 배치되어 있다. 저전압용 연장부 (30c) 는,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저전압용 연장부 (30c) 는, 커버 (14) 의 벽면을 형성하는 단벽 (14a) 을 따라서 연장되어, 저전압용 기판 접속부 (30a) 와 저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0b) 를 접속하는 연장부이다.
제 1 커넥터부 (42) 에는, 상대측 커넥터인 저전압용 커넥터 (C1) 가 접속된다. 이로써, 저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0b) 가 저전압용 커넥터 (C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저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0b) 는, 저전압용 커넥터 (C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부이다. 그리고, 저전압용 배선 (30) 은, 저전압용 커넥터 (C1) 로부터의 전력을 인버터 (21) 의 회로 기판 (22) 에 공급한다. 따라서, 저전압용 배선 (30) 은, 저전압용 커넥터 (C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인버터 (21) 의 회로 기판 (22) 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수지부 (50) 는, 고전압용 배선 (31) 을 유지하고 있다. 제 2 수지부 (50) 는, 제 3 유지부 (51) 와, 제 4 유지부 (52) 를 갖고 있다. 제 3 유지부 (51) 는, 판상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유지부 (51) 에는, 복수의 제 2 연통공 (51a)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유지부 (51) 에는, 복수의 제 3 연통공 (51b)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연통공 (51a) 및 각 제 3 연통공 (51b) 각각은, 원공상이다. 각 제 2 연통공 (51a) 및 각 제 3 연통공 (51b) 각각은, 제 3 유지부 (51) 를 제 3 유지부 (51) 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각 제 2 연통공 (51a) 및 각 제 3 연통공 (51b) 각각의 내경은,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각 제 2 관통공 (14f) 및 각 제 3 관통공 (14g) 각각의 내경과 동등하다. 제 3 유지부 (51) 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일방의 단면 (511) 에는, 홈부 (51c)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연통공 (51a) 은, 홈부 (51c) 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수지부 (50) 에는, 금속제의 실드부 (62a)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드부 (62a) 는, 통부 (62b) 와, 고정부 (62c) 를 갖고 있다. 고정부 (62c) 는, 통부 (62b) 의 제 1 단부로부터 통부 (62b) 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플랜지상이다. 실드부 (62a) 는, 고정부 (62c) 가 홈부 (51c) 에 끼워넣어짐과 함께 통부 (62b) 가 제 3 유지부 (51) 의 홈부 (51c) 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제 3 유지부 (51) 에 형성되어 있다.
제 4 유지부 (52) 는, 원주상이다. 제 4 유지부 (52) 는, 홈부 (51c) 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 4 유지부 (52) 는, 홈부 (51c) 의 저면으로부터 실드부 (62a) 의 통부 (62b) 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4 유지부 (52) 는, 실드부 (62a) 의 통부 (62b) 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제 3 유지부 (51) 의 내부에는, 고전압용 연장부 (31c) 가 매설되어 있다. 고전압용 연장부 (31c) 는, 고전압용 연장부 (31c) 가 연장되는 방향이 제 3 유지부 (51) 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과 일치한 상태에서, 제 3 유지부 (51) 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다. 제 4 유지부 (52) 에 있어서의 제 3 유지부 (51) 와는 반대측의 단면으로부터는, 고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1b) 에 있어서의 고전압용 연장부 (31c) 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돌출되어 있다. 고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1b) 에 있어서의 고전압용 연장부 (31c) 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실드부 (62a) 의 통부 (62b) 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유지부 (51) 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타방의 단면 (510) 으로부터는, 고전압용 기판 접속부 (31a) 에 있어서의 고전압용 연장부 (31c) 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돌출되어 있다.
고전압용 배선 (31) 을 유지한 제 2 수지부 (50) 는, 제 3 유지부 (51) 의 단면 (511) 이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제 2 면 (141a) 에 밀착된 상태에서, 커버 (14) 에 대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각 제 2 연통공 (51a) 은, 각 제 2 관통공 (14f) 과 서로 중첩되어 있다. 각 제 3 연통공 (51b) 은, 각 제 3 관통공 (14g) 과 서로 중첩되어 있다. 또, 고전압용 기판 접속부 (31a) 에 있어서의 고전압용 연장부 (31c) 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예를 들어, 회로 기판 (22) 에 납땜됨으로써, 고전압용 기판 접속부 (31a) 가 회로 기판 (2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고전압용 기판 접속부 (31a) 는, 회로 기판 (2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이다. 고전압용 기판 접속부 (31a) 는, 회로 기판 (22) 으로부터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실드부 (62a) 는, 고전압용 삽입 통과공 (14d) 을 통하여 인버터실 (S1) 외로 돌출되어 있다. 고정부 (62c) 는,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제 2 면 (141a) 에 있어서의 고전압용 삽입 통과공 (14d) 의 주위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4 유지부 (52) 는, 고전압용 삽입 통과공 (14d) 을 통하여 인버터실 (S1) 외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고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1b) 에 있어서의 고전압용 연장부 (31c) 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고전압용 삽입 통과공 (14d) 을 통하여 인버터실 (S1) 외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고전압용 삽입 통과공 (14d) 은, 고전압용 배선 (31) 이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공이다.
고전압용 연장부 (31c) 는, 인버터실 (S1) 내에서, 커버 (14) 의 단벽 (14a) 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고전압용 연장부 (31c) 는, 인버터실 (S1) 내에 배치되어 있다. 고전압용 연장부 (31c) 는,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고전압용 연장부 (31c) 는, 커버 (14) 의 단벽 (14a) 을 따라서 연장되어, 고전압용 기판 접속부 (31a) 와 고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1b) 를 접속하는 연장부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는, 저전압용 배선 (30) 이 갖는 저전압용 연장부 (30c) 와, 고전압용 배선 (31) 이 갖는 고전압용 연장부 (31c) 를 포함한다.
제 3 수지부 (60) 는, 접속부 (61) 와, 제 2 커넥터부 (62) 를 갖고 있다. 제 2 커넥터부 (62) 는,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제 1 면 (140a) 으로부터 통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커넥터부 (62) 는, 실드부 (62a) 의 통부 (62b) 를 둘러싼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커넥터부 (62) 는, 고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1b) 를 둘러싸고 있다. 따라서, 제 2 커넥터부 (62) 는, 고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1b) 를 둘러싼 상태에서 커버 (14) 로부터 통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커넥터부 (62) 에는, 상대측 커넥터인 고전압용 커넥터 (C2) 가 접속된다. 이로써, 고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1b) 가 고전압용 커넥터 (C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제 2 커넥터부 (62) 는, 고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1b) 를 둘러싼 상태에서 커버 (14) 로부터 통상으로 돌출됨과 함께 고전압용 커넥터 (C2) 가 접속되는 커넥터부이다. 또, 고전압용 커넥터 접속부 (31b) 는, 고전압용 커넥터 (C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부이다. 그리고, 고전압용 배선 (31) 은, 고전압용 커넥터 (C2) 로부터의 전력을 인버터 (21) 의 회로 기판 (22) 에 공급한다. 따라서, 고전압용 배선 (31) 은, 고전압용 커넥터 (C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인버터 (21) 의 회로 기판 (22) 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배선은, 저전압용 배선 (30) 과, 고전압용 배선 (31) 을 포함한다.
접속부 (61) 는, 제 1 접속부 (61a) 와, 제 2 접속부 (61b) 와, 제 3 접속부 (61c) 를 갖고 있다. 접속부 (61) 는, 박판상이다. 접속부 (61) 는,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제 1 면 (140a) 의 일부, 및 제 1 수지부 (40) 의 대부분을 피복하고 있다. 접속부 (61) 는, 제 1 커넥터부 (42) 와 제 2 커넥터부 (62) 를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제 3 수지부 (60) 는, 제 1 수지부 (40) 와 제 2 수지부 (50) 를 접속하고 있다.
제 1 접속부 (61a) 는, 박판상이다. 제 1 접속부 (61a) 는, 제 1 유지부 (41) 의 단면 (410) 의 대부분을 피복하고 있다. 제 2 접속부 (61b) 는, 제 1 유지부 (41) 의 단면 (411) 의 대부분을 피복하고 있다. 제 2 접속부 (61b) 는, 제 1 유지부 (41) 의 단면 (411) 및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제 1 면 (140a) 에 밀착되어 있다. 제 3 접속부 (61c) 는, 제 1 연통공 (41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접속부 (61c) 는, 제 1 접속부 (61a) 와 제 2 접속부 (61b) 를 접속하고 있다.
제 3 수지부 (60) 는, 앵커부로서의 제 1 앵커부 (64), 제 2 앵커부 (65), 및 제 3 앵커부 (66) 를 갖고 있다. 따라서, 수지 몰드부 (M1) 는, 앵커부를 복수 갖고 있다.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수지부 (60) 는, 제 1 앵커부 (64) 를 복수 갖고 있다. 각 제 1 앵커부 (64) 는, 삽입 통과부로서의 제 1 삽입 통과부 (64a) 와, 플랜지부로서의 제 1 플랜지부 (64b) 를 각각 갖고 있다. 각 제 1 삽입 통과부 (64a) 는, 원주상이다. 각 제 1 삽입 통과부 (64a) 는, 제 2 접속부 (61b) 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각 제 1 관통공 (14e) 을 통과하여, 인버터실 (S1) 내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제 1 삽입 통과부 (64a) 는,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각 제 1 관통공 (14e) 내로 삽입 통과되어 있다. 각 제 1 삽입 통과부 (64a) 는, 각 제 1 관통공 (14e) 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제 1 앵커부 (64) 는, 각 제 1 관통공 (14e) 에 걸려 있다.
각 제 1 플랜지부 (64b) 는, 각 제 1 삽입 통과부 (64a) 에 있어서의 접속부 (61) 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는 환상이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 1 플랜지부 (64b) 는, 각 제 1 삽입 통과부 (64a) 에 있어서의 각 제 1 관통공 (14e) 으로부터 인버터실 (S1) 내로 돌출된 부위로부터 제 1 삽입 통과부 (64a)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제 1 플랜지부 (64b) 에 있어서의 커버 (14) 의 단벽 (14a) 근방의 단면 (640b) 은,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제 2 면 (141a) 에 있어서의 각 제 1 관통공 (14e) 의 주위에 걸려 있다. 따라서, 각 제 1 앵커부 (64) 는, 커버 (14) 의 단벽 (14a) 에 걸려 있다.
도 2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수지부 (60) 는, 제 2 앵커부 (65) 를 2 개 갖고 있다. 2 개의 제 2 앵커부 (65) 는, 삽입 통과부로서의 제 2 삽입 통과부 (65a) 와, 플랜지부로서의 제 2 플랜지부 (65b) 를 각각 갖고 있다. 각 제 2 삽입 통과부 (65a) 는, 원주상이다. 각 제 2 삽입 통과부 (65a) 는, 접속부 (61) 에 있어서의 제 2 커넥터부 (62) 의 주위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각 제 2 관통공 (14f) 및 각 제 2 연통공 (51a) 을 통과하여, 인버터실 (S1) 내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제 2 삽입 통과부 (65a) 는,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각 제 2 관통공 (14f) 내로 삽입 통과되어 있다. 각 제 2 삽입 통과부 (65a) 는, 각 제 2 관통공 (14f) 의 내주면 및 각 제 2 연통공 (51a) 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제 2 앵커부 (65) 는, 각 제 2 관통공 (14f) 에 걸려 있다.
각 제 2 플랜지부 (65b) 는, 각 제 2 삽입 통과부 (65a) 에 있어서의 접속부 (61) 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는 환상이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 2 플랜지부 (65b) 는, 각 제 2 삽입 통과부 (65a) 에 있어서의 각 제 2 연통공 (51a) 으로부터 인버터실 (S1) 내로 돌출된 부위로부터 제 2 삽입 통과부 (65a)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제 2 플랜지부 (65b) 에 있어서의 커버 (14) 의 단벽 (14a) 근방의 단면 (650b) 은, 제 3 유지부 (51) 에 있어서의 각 제 2 연통공 (51a) 의 주위에 걸려 있다. 따라서, 각 제 2 앵커부 (65) 는, 제 3 유지부 (51) 를 통하여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제 2 면 (141a) 에 있어서의 각 제 2 관통공 (14f) 의 주위에 걸려 있다.
2 개의 제 2 앵커부 (65) 는, 제 2 커넥터부 (62) 의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2 개의 제 2 앵커부 (65) 의 일방은, 제 2 커넥터부 (62) 보다 제 1 커넥터부 (42)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2 개의 제 2 앵커부 (65) 의 타방은, 제 1 커넥터부 (42) 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2 개의 제 2 앵커부 (65) 는, 제 2 커넥터부 (62) 를 회로 기판 (22) 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끼우고 있다. 2 개의 제 2 앵커부 (65) 를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2 개의 제 2 앵커부 (65) 는, 제 2 커넥터부 (62) 를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에서 끼워 넣는 양측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앵커부 중 2 개의 앵커부인 제 2 앵커부 (65) 는, 제 2 커넥터부 (62) 를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에서 끼워 넣는 양측의 위치에서 인버터실 (S1) 측으로부터 커버 (14) 의 단벽 (14a) 에 각각 걸려 있다. 바꾸어 말하면, 2 개의 제 2 앵커부 (65) 와 제 2 커넥터부 (62) 는,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며, 또한, 2 개의 제 2 앵커부 (65) 사이에 제 2 커넥터부 (62) 가 위치하고 2 개의 제 2 앵커부 (65) 는 인버터실 (S1) 측으로부터 커버 (14) 에 각각 걸려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수지부 (60) 는, 제 3 앵커부 (66) 를 갖고 있다. 제 3 앵커부 (66) 는, 삽입 통과부로서의 제 3 삽입 통과부 (66a) 와, 플랜지부로서의 제 3 플랜지부 (66b) 를 갖고 있다. 제 3 앵커부 (66) 는, 제 3 삽입 통과부 (66a) 를 복수 갖고 있다. 각 제 3 삽입 통과부 (66a) 는, 원주상이다. 각 제 3 앵커부 (66) 는, 접속부 (61) 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각 제 3 관통공 (14g) 및 각 제 3 연통공 (51b) 을 통과하여, 인버터실 (S1) 내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제 3 삽입 통과부 (66a) 는,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각 제 3 관통공 (14g) 내로 삽입 통과되어 있다. 각 제 3 삽입 통과부 (66a) 는, 각 제 3 관통공 (14g) 의 내주면 및 각 제 3 연통공 (51b) 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앵커부 (66) 는, 각 제 3 관통공 (14g) 에 걸려 있다.
제 3 플랜지부 (66b) 는, 판상이다. 제 3 플랜지부 (66b) 는, 제 3 유지부 (51) 에 있어서의 커버 (14) 의 단벽 (14a) 과는 반대측의 면에 밀착되어 있다. 제 3 플랜지부 (66b) 의 두께 방향은, 제 3 유지부 (51) 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제 3 플랜지부 (66b) 는, 각 제 3 삽입 통과부 (66a) 에 있어서의 접속부 (61) 와는 반대측의 단부끼리를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제 3 플랜지부 (66b) 는, 제 3 유지부 (51) 에 있어서의 각 제 3 연통공 (51b) 의 주위에 걸려 있다. 따라서, 제 3 앵커부 (66) 는, 제 3 유지부 (51) 를 통하여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제 2 면 (141a) 에 있어서의 각 제 3 관통공 (14g) 의 주위에 걸려 있다.
<수지 몰드부 (M1) 의 제조 방법>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몰드부 (M1) 를 제조할 때에는, 먼저, 제 1 구성체 (A1) 와, 제 2 구성체 (A2) 를 준비한다. 제 1 구성체 (A1) 는, 저전압용 배선 (30) 및 제 1 수지부 (40)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2 구성체 (A2) 는, 고전압용 배선 (31), 제 2 수지부 (50), 및 실드부 (62a)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돌출부 (41b) 의 선단면이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제 1 면 (140a) 에 밀착되도록,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제 1 면 (140a) 에 대해서 제 1 구성체 (A1) 를 설치한다. 이 때, 제 1 유지부 (41) 의 단면 (411) 과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제 1 면 (140a)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때, 제 2 유지부 (43) 가 저전압용 삽입 통과공 (14c) 에 삽입 통과되고, 각 제 1 관통공 (14e) 과 각 제 1 연통공 (41a) 이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제 1 구성체 (A1) 를 커버 (14) 에 대해서 설치한다.
계속해서,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제 2 면 (141a) 에 대해서 제 2 구성체 (A2) 를 설치한다. 이 때, 제 4 유지부 (52) 및 실드부 (62a) 의 통부 (62b) 가 고전압용 삽입 통과공 (14d) 에 삽입 통과되고, 각 제 2 관통공 (14f) 과 각 제 2 연통공 (51a) 이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제 2 구성체 (A2) 를 커버 (14) 에 대해서 설치한다. 나아가서는, 각 제 3 관통공 (14g) 과 각 제 3 연통공 (51b) 이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제 2 구성체 (A2) 를 커버 (14) 에 대해서 설치한다.
계속해서, 제 1 구성체 (A1), 제 2 구성체 (A2), 및 커버 (14) 를, 도시하지 않은 금형으로 구속한다. 이 때, 제 3 수지부 (60) 에 의해서 덮이지 않고 노출되는 부위를 누른 상태에서, 금형으로 구속한다. 그리고, 금형 내에 수지를 흘려 넣는다. 흘러 들어간 수지가 경화되면, 제 2 커넥터부 (62), 제 1 앵커부 (64), 제 2 앵커부 (65), 및 제 3 앵커부 (66) 를 갖는 제 3 수지부 (60) 가 형성되고, 제 1 구성체 (A1) 와 제 2 구성체 (A2) 가 제 3 수지부 (60) 를 통하여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하여, 수지 몰드부 (M1) 가 제조된다. 제 1 구성체 (A1) 및 제 2 구성체 (A2) 는, 제 3 수지부 (60) 를 통하여 커버 (14) 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수지부 (40) 및 제 2 수지부 (50) 는, 제 3 수지부 (60) 를 통하여 커버 (14) 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 1 앵커부 (64), 각 제 2 앵커부 (65), 및 제 3 앵커부 (66) 각각이 커버 (14) 에 걸림으로써, 수지 몰드부 (M1) 가 커버 (14) 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수지 몰드부 (M1) 에는, 커버 (14) 에 걸리는 각 제 1 앵커부 (64), 각 제 2 앵커부 (65), 및 제 3 앵커부 (66) 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전압용 연장부 (30c) 및 고전압용 연장부 (31c) 는, 각 제 1 앵커부 (64), 각 제 2 앵커부 (65), 및 제 3 앵커부 (66) 에 의해서 커버 (14) 의 단벽 (14a) 에 걸려 있다.
<작용>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지 몰드부 (M1) 에 일체 형성된 각 제 1 앵커부 (64), 각 제 2 앵커부 (65), 및 제 3 앵커부 (66) 가 커버 (14) 에 걸려 있다. 각 제 1 앵커부 (64), 각 제 2 앵커부 (65), 및 제 3 앵커부 (66) 는, 수지 몰드부 (M1) 의 커버 (14) 로부터의 이간 이동을 규제한다. 그 결과, 저전압용 배선 (30) 및 고전압용 배선 (31) 의 진동이 억제되어 있다.
<효과>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수지 몰드부 (M1) 에는, 각 제 1 관통공 (14e), 각 제 2 관통공 (14f), 및 각 제 3 관통공 (14g) 각각에 걸리는 각 제 1 앵커부 (64), 각 제 2 앵커부 (65), 및 제 3 앵커부 (66) 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수지 몰드부 (M1) 에 일체 형성된 각 제 1 앵커부 (64), 각 제 2 앵커부 (65), 및 제 3 앵커부 (66) 가 각 제 1 관통공 (14e), 각 제 2 관통공 (14f), 및 각 제 3 관통공 (14g) 각각에 걸린다. 이로써, 저전압용 연장부 (30c) 및 고전압용 연장부 (31c) 는, 각 제 1 앵커부 (64), 각 제 2 앵커부 (65), 및 제 3 앵커부 (66) 에 의해서 커버 (14) 의 단벽 (14a) 에 걸려 있다. 그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볼트를 사용하여, 수지 몰드부 (M1) 를 커버 (14) 에 고정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 점수를 삭감하면서도, 저전압용 배선 (30) 및 고전압용 배선 (31) 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2) 2 개의 제 2 앵커부 (65) 가, 제 2 커넥터부 (62) 를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에서 끼워 넣는 양측의 위치에서 인버터실 (S1) 측으로부터 커버 (14) 의 단벽 (14a) 에 각각 걸려 있다. 바꾸어 말하면, 2 개의 제 2 앵커부 (65) 와 제 2 커넥터부 (62) 는,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며, 또한, 2 개의 제 2 앵커부 (65) 의 사이에 제 2 커넥터부 (62) 가 위치하고, 2 개의 제 2 앵커부 (65) 는 인버터실 (S1) 측으로부터 커버 (14) 의 단벽 (14a) 에 각각 걸려 있다. 그 때문에, 제 2 커넥터부 (62) 의 커버 (14) 로부터의 이간 이동이 규제되기 쉽다. 따라서, 제 2 커넥터부 (62) 를 보다 강고하게 커버 (14) 에 고정시킬 수 있다.
(3) 저전압용 기판 접속부 (30a) 는, 회로 기판 (22) 으로부터 저전압용 삽입 통과공 (14c) 을 통하여 인버터실 (S1) 외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인버터실 (S1) 내에서 연장되는 저전압용 기판 접속부 (30a) 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인버터실 (S1) 내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유체 기계 (10) 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4) 고전압용 연장부 (31c) 가 인버터실 (S1) 내에 배치되고, 저전압용 연장부 (30c) 가 인버터실 (S1) 외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저전압용 연장부 (30c) 와 고전압용 연장부 (31c) 사이에서의 전자 노이즈를 커버 (14) 에 의해서 차폐할 수 있다.
(5) 고전압용 연장부 (31c) 는, 인버터실 (S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고전압용 배선 (31) 의 대부분을 인버터실 (S1) 내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전압용 배선 (31) 을 커버 (14) 에 의해서 보호할 수 있다.
(6) 각 제 1 삽입 통과부 (64a) 가 각 제 1 관통공 (14e) 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각 제 1 플랜지부 (64b) 가 커버 (14) 의 단벽 (14a) 에 있어서의 각 제 1 관통공 (14e) 의 주위에 걸림으로써, 각 제 1 앵커부 (64) 가 제 1 관통공 (14e) 에 걸려 있다. 또, 각 제 2 삽입 통과부 (65a) 가 각 제 2 관통공 (14f) 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각 제 2 플랜지부 (65b) 가 커버 (14) 의 단벽 (14a) 에 있어서의 각 제 2 관통공 (14f) 의 주위에 걸림으로써, 각 제 2 앵커부 (65) 가 제 2 관통공 (14f) 에 걸려 있다. 또한, 각 제 3 삽입 통과부 (66a) 가 각 제 3 관통공 (14g) 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제 3 플랜지부 (66b) 가 커버 (14) 의 단벽 (14a) 에 있어서의 각 제 3 관통공 (14g) 의 주위에 걸림으로써, 제 3 앵커부 (66) 가 제 3 관통공 (14g) 에 걸려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각 제 1 삽입 통과부 (64a) 만이 각 제 1 관통공 (14e) 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각 제 1 앵커부 (64) 가 제 1 관통공 (14e) 에 걸려 있는 경우에 비해서, 각 제 1 앵커부 (64) 에 있어서의 제 1 관통공 (14e) 에 대한 걸림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 각 제 2 삽입 통과부 (65a) 만이 각 제 2 관통공 (14f) 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각 제 2 앵커부 (65) 가 제 2 관통공 (14f) 에 걸려 있는 경우에 비해서, 각 제 2 앵커부 (65) 에 있어서의 제 2 관통공 (14f) 에 대한 걸림을 보다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각 제 3 삽입 통과부 (66a) 만이 각 제 3 관통공 (14g) 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제 3 앵커부 (66) 가 제 3 관통공 (14g) 에 걸려 있는 경우에 비해서, 제 3 앵커부 (66) 에 있어서의 제 3 관통공 (14g) 에 대한 걸림을 보다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제 1 앵커부 (64), 각 제 2 앵커부 (65), 및 제 3 앵커부 (66) 에 의해서, 수지 몰드부 (M1) 의 커버 (14) 로부터의 이간 이동을 더욱 쉽게 규제할 수 있다.
(7) 제 1 수지부 (40) 및 제 2 수지부 (50) 는, 제 3 수지부 (60) 를 통하여 커버 (14) 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수지부 (40) 및 제 2 수지부 (50) 에 있어서의 커버 (14) 에 대한 위치 결정이 강고한 것이 된다. 그 결과, 제 1 수지부 (40) 와 커버 (14) 사이, 및 제 2 수지부 (50) 와 커버 (14) 사이 각각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8) 종래 기술과 같이, 볼트를 사용하여, 수지 몰드부 (M1) 를 커버 (14) 에 고정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커버 (14) 에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커버 (14) 의 단벽 (14a) 은, 볼트공을 형성하기 위한 두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14) 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체 기계 (10) 를 경량화할 수 있다.
(9)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구성체 (A1) 와 제 2 구성체 (A2) 를 일체화시는 공정과, 제 1 앵커부 (64), 제 2 앵커부 (65), 및 제 3 앵커부 (66) 를 커버 (14) 에 걸리게 하여 수지 몰드부 (M1) 를 커버 (14) 에 장착하는 공정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변경예>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및 이하의 변경예는,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 1 앵커부 (64) 는, 제 1 관통공 (14e) 내에 배치되는 제 1 삽입 통과부 (64a) 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요점은, 제 1 앵커부 (64) 의 제 1 삽입 통과부 (64a) 의 외주면이, 제 1 관통공 (14e) 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제 1 앵커부 (64) 가 제 1 관통공 (14e) 에 걸리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제 1 관통공 (14e)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14) 의 단벽 (14a) 의 제 1 면 (140a) 으로부터 제 2 면 (141a) 을 향함에 따라서 확경되는 형상이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저전압용 연장부 (30c) 가 인버터실 (S1) 내에 배치되고, 고전압용 연장부 (31c) 가 인버터실 (S1) 외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요점은, 저전압용 연장부 (30c) 및 고전압용 연장부 (31c) 의 일방이 인버터실 (S1) 내에 배치되고, 저전압용 연장부 (30c) 및 고전압용 연장부 (31c) 의 타방이 인버터실 (S1) 외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저전압용 연장부 (30c) 및 고전압용 연장부 (31c) 가 인버터실 (S1)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저전압용 연장부 (30c) 및 고전압용 연장부 (31c) 가 인버터실 (S1) 외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저전압용 기판 접속부 (30a) 는, 회로 기판 (22) 으로부터 저전압용 삽입 통과공 (14c) 을 통하여 인버터실 (S1) 외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저전압용 기판 접속부 (30a) 가, 회로 기판 (22) 으로부터 연장되고, 인버터실 (S1) 내에서 굴곡되도록 연장된 후, 저전압용 삽입 통과공 (14c) 을 통하여 인버터실 (S1) 외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2 개의 제 2 앵커부 (65) 가 제 2 커넥터부 (62) 의 부근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 개의 제 2 앵커부 (65) 가 제 2 커넥터부 (62) 의 부근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끼워 넣는 양측의 위치에서 인버터실 (S1) 측으로부터 커버 (14) 에 각각 걸리는 2 개의 제 2 앵커부 (65) 를 1 개의 세트로 한다. 이 때, 제 2 커넥터부 (62) 의 부근에 배치되는 3 개의 제 2 앵커부 (65) 에 의해서,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끼워 넣는 양측의 위치에서 인버터실 (S1) 측으로부터 커버 (14) 에 각각 걸리는 2 개의 제 2 앵커부 (65) 의 세트를 2 세트 구성해도 된다. 요점은, 앵커부의 적어도 2 개는, 제 2 커넥터부 (62) 를 회로 기판 (22) 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에서 끼워 넣는 양측의 위치에서 인버터실 (S1) 측으로부터 커버 (14) 에 각각 걸려 있으면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저전압용 삽입 통과공 (14c) 및 고전압용 삽입 통과공 (14d) 에 앵커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 (14) 의 단벽 (14a) 은, 평판상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버 (14) 의 단벽 (14a) 이, 만곡 판상이어도 된다. 요점은, 커버 (14) 는, 하우징 (11) 과 인버터실 (S1) 을 구획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저전압용 배선 (30) 및 고전압용 배선 (31) 은, 버스 바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면이 원상인 도선이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지 몰드부 (M1) 는, 폴리페닐렌술파이드 수지제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 몰드부 (M1) 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수지제여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축부 (16) 는, 스크롤식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피스톤식이나 베인식 등이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축부 (16), 전동 모터 (17), 및 인버터 (21) 는, 이 순으로, 회전축 (15) 의 축선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체 기계 (10) 는, 압축부 (16) 대신에, 예를 들어, 유체를 압송하는 펌프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체 기계 (10) 는, 차량 공조 장치 (20) 를 구성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체 기계 (10) 는, 연료 전지차에 탑재되어 있고, 연료 전지에 공급되는 유체로서의 공기를 압축부 (16) 에 의해서 압축하는 것이어도 된다.

Claims (6)

  1. 유체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인버터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금속제의 커버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에 의해서 구획 형성됨과 함께 상기 인버터를 수용하는 인버터실과,
    상대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상기 인버터의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배선으로서, 상기 배선은,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 커넥터 접속부와,
    상기 커버의 벽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기판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 접속부를 접속하는 연장부를 갖는, 상기 배선과,
    상기 연장부를 덮는 수지 몰드부와,
    상기 수지 몰드부에 일체 형성된 앵커부로서, 상기 커버가 갖는 관통공에 걸리는 상기 앵커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앵커부에 의해서 상기 커버의 벽면에 걸려 있는 유체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몰드부는, 상기 커넥터 접속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커버로부터 통상으로 돌출되는 커넥터부를 갖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수지 몰드부가 갖는 복수의 앵커부 중 1 개이며,
    상기 복수의 앵커부 중 2 개와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앵커부 중 그 2 개 사이에 상기 커넥터부가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앵커부 중 그 2 개는 상기 인버터실측으로부터 상기 커버에 각각 걸려 있는 유체 기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배선이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공을 갖고,
    상기 기판 접속부는, 상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상기 삽입 통과공을 통하여 상기 인버터실 외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유체 기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저전압용 배선과, 고전압용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저전압용 배선이 갖는 저전압용 연장부와,
    상기 고전압용 배선이 갖는 고전압용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전압용 연장부 및 상기 고전압용 연장부의 일방은, 상기 인버터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저전압용 연장부 및 상기 고전압용 연장부의 타방은, 상기 인버터실 외에 배치되어 있는 유체 기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용 연장부는, 상기 인버터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저전압용 연장부는, 상기 인버터실 외에 배치되어 있는 유체 기계.
  6.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관통공 내로 삽입 통과됨과 함께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삽입 통과부와,
    상기 삽입 통과부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관통공의 주위에 걸리는 플랜지부를 갖는 유체 기계.
KR1020220029965A 2021-03-31 2022-03-10 유체 기계 KR102628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60893A JP2022156947A (ja) 2021-03-31 2021-03-31 流体機械
JPJP-P-2021-060893 2021-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113A true KR20220136113A (ko) 2022-10-07
KR102628071B1 KR102628071B1 (ko) 2024-01-23

Family

ID=83282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965A KR102628071B1 (ko) 2021-03-31 2022-03-10 유체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20949A1 (ko)
JP (1) JP2022156947A (ko)
KR (1) KR102628071B1 (ko)
CN (1) CN115143110B (ko)
DE (1) DE1020221073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4492A (ko) * 2022-10-19 2024-04-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9186A (ja) * 2012-02-28 2013-09-09 Sumitomo Electric Ind Ltd リアクトル、リアクトル用部品、コンバータ、及び電力変換装置
JP2016098664A (ja) 2014-11-18 2016-05-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9521B2 (ja) * 2005-04-14 2011-12-07 サンデン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008163765A (ja) * 2006-12-27 2008-07-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圧縮機
JP5138551B2 (ja) * 2008-11-06 2013-02-06 サンデン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5839769B2 (ja) * 2009-03-06 2016-01-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モジュールおよび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5481148B2 (ja) * 2009-10-02 2014-04-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パワー半導体モジュール、およびパワー半導体モジュールを備えた電力変換装置
JP5413435B2 (ja) * 2011-10-31 2014-02-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コンプレッサ
JP5683536B2 (ja) * 2012-06-08 2015-03-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EP3133720B1 (en) * 2014-05-01 2020-02-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hicle control device
JP6380034B2 (ja) * 2014-11-17 2018-08-2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載用電子機器
JP6210092B2 (ja) * 2015-07-14 2017-10-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
JP2017072071A (ja) * 2015-10-07 2017-04-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2019075872A (ja) * 2017-10-13 2019-05-1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制御機能付き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動ポンプ
JP2019143606A (ja) * 2018-02-23 2019-08-29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動圧縮機
JP6927118B2 (ja) * 2018-03-29 2021-08-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載用電動圧縮機
JP2020105932A (ja) * 2018-12-26 2020-07-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7035999B2 (ja) * 2018-12-27 2022-03-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9186A (ja) * 2012-02-28 2013-09-09 Sumitomo Electric Ind Ltd リアクトル、リアクトル用部品、コンバータ、及び電力変換装置
JP2016098664A (ja) 2014-11-18 2016-05-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20949A1 (en) 2022-10-06
CN115143110A (zh) 2022-10-04
CN115143110B (zh) 2023-05-30
JP2022156947A (ja) 2022-10-14
KR102628071B1 (ko) 2024-01-23
DE102022107343A1 (de)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3934B1 (ko) 압축기
JP2018517092A (ja) 圧縮機
CN113464436B (zh) 电动压缩机
JP2016160802A (ja) 電動圧縮機
JP6766666B2 (ja) 電動圧縮機
JP4549968B2 (ja) 電動圧縮機
KR20220136113A (ko) 유체 기계
KR20170094081A (ko) 전동 압축기
US10527040B2 (en) Fluid machine for vehicle
US20200309118A1 (en) Electric pump device and mounting structure of electric pump
KR102426480B1 (ko) 전동 압축기
US20200309130A1 (en) Electric pump device and mounting structure of electric pump
CN103703249B (zh) 包括组装装置的模块化电压缩机
JP2023165828A (ja) 電動圧縮機
JP2010121449A (ja)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6492446B2 (ja) ターミナルおよびターミナルを備えた圧縮機
KR102289268B1 (ko) 전동 압축기
KR102625341B1 (ko) 전동 압축기
KR102385273B1 (ko) 전동 압축기, 및 전동 압축기의 제조 방법
JP6051875B2 (ja) 電動過給機
JP5931488B2 (ja) 電動圧縮機
EP4138275A1 (en) A cover for a housing of an electric machine
CN111756189B (zh) 电动压缩机
KR20220127746A (ko) 전동 압축기
JP2023119511A (ja) 車載用電動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