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012A -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012A
KR20220135012A KR1020210040459A KR20210040459A KR20220135012A KR 20220135012 A KR20220135012 A KR 20220135012A KR 1020210040459 A KR1020210040459 A KR 1020210040459A KR 20210040459 A KR20210040459 A KR 20210040459A KR 20220135012 A KR20220135012 A KR 20220135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el
nail
color
gel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9186B1 (ko
Inventor
주진웅
Original Assignee
주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웅 filed Critical 주진웅
Priority to KR102021004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186B1/ko
Priority to US17/927,710 priority patent/US20230210239A1/en
Priority to PCT/KR2021/004486 priority patent/WO2022211171A1/ko
Priority to JP2022573752A priority patent/JP7485408B2/ja
Publication of KR2022013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4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81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waves, e.g. ultraviolet radiation, electron be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365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가적 장식층을 견고하게 젤네일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색성 또는 내구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킨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은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베이스층, 상기 컬러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인쇄층, 상기 컬러인쇄층의 상부에 형성된 젤코팅층, 및 상기 젤코팅층의 상부에 형성된 장식층을 포함하고, 상기 장식층의 하면은 상기 컬러베이스층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ADHESIVE GEL NA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톤(Stone)과 같은 장식층을 포함하는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일 아트의 경우 다양한 색상의 매니큐어와 같은 안료 등을 손톱이나 발톱 등에 도포하거나 비즈나 보석 등의 악세서리를 손톱에 부착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액상의 안료를 손톱이나 발톱에 도포하는 방법은 안료를 도포한 후 경화시키기 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를 부착하는 경우에도 접착제가 완전히 굳어질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며, 부착이 완료된 후에도 작은 충격에 쉽게 액세서리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에 안료를 직접 도포하는 방법 대신 네일 스티커를 부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안료를 도포하고 경화시킬 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간단히 손톱이나 발톱에 스티커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손톱과 발톱을 장식할 수 있어 사용자가 기존 방식에 비해 훨씬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네일 아트를 실시할 수 있었다.
나아가, 선행기술문헌 1 내지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최근에는 연질의 반고체 상태인 스티커를 손톱이나 발톱에 부착한 이후에 자외선 경화를 진행하도록 하여 손톱 또는 발톱에 부착된 형태를 유지하는 방법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4에서는 모두 점착층 또는 접착층 위에 컬러층을 구현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젤네일에서의 컬러층은 젤네일 스티커의 컬러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데, 선행기술문헌 1 내지 4은 점착층 또는 접착층에 바로 컬러층을 형성하게 되므로 착색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나아가 최근에는 제품의 고급화 추세에 맞추어 스톤(Stone)이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층을 젤네일의 최외각에 부착하는 제품이 등장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식층을 따로 붙이기 위해서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고 있으므로 제품의 가격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문제가 있고 장식층이 쉽게 박리되어 젤네일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2024663호(2019.09.24) 젤네일 스티커 등록특허 제10-2024666호(2019.09.24) 젤네일 스티커의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0-11949267호(2019.02.19) 젤 네일 스티커및 이의 제조 방법 등록특허 제10-1797203호(2017.11.15)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가적 장식층을 견고하게 젤네일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색성 또는 내구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킨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은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베이스층, 상기 컬러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인쇄층, 상기 컬러인쇄층의 상부에 형성된 젤코팅층, 및 상기 젤코팅층의 상부에 형성된 장식층을 포함하고, 상기 장식층의 하면은 상기 컬러베이스층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컬러베이스층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베이스층은 오픈셀(open cell)과 크로즈드셀(closed cell)이 혼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베이스층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 거칠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층의 측면에는 상기 젤코팅층이 돌출된 젤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젤돌출부는 상기 장식층의 테두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층의 하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층은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접착층이 충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층의 하부에는 접착층과 상기 젤코팅층이 열융합한 조직융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하면에 배치된 이형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형지에는 상기 장식층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압축흔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인쇄층은 상기 컬러베이스층과 접촉하면서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은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제층 상에 컬러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베이스층 상에 컬러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인쇄층 상에 젤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젤코팅층 상에 장식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층의 하면은 상기 컬러베이스층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장식층의 하면을 컬러베이스층에 배치되도록 하여 스톤과 같은 장식의 부착력을 극대화시키면서 대규모 제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베이스층을 폴리우레탄으로 형성시켜 컬러인쇄층의 착색성과 해상도를 증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상부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하부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100)은 점착제층(20), 컬러베이스(30), 컬러인쇄층(40), 젤코팅층(50), 및 장식층(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점착제층(20)은 그 제조를 위해 이형지(10) 상에서 형성된다.
우선, 이형지(10)는 점착제층(20)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부착형 젤네일(100)의 가장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이형지(10)는 부착형 젤네일(100)의 사용 시 제거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이형지(10)는 PET 재질에 실리콘 이형 처리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층(20)은 아크릴 수성 계열, 아크릴 유성 계열 및 UV 경화형 점착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에 직접 부착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점착제층(20)은 이형지(10) 상에 도포하여 형성한다.
점착제층(20)은 안티 펑거 영양 글루층으로서 손톱과 발톱을 케어하기 위한 영양 강화 성분과 세균이나 곰팡이 등으로부터 손톱을 보호하기 위한 향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점착제층(20)은 비타민, 칼슘, 유칼립투스, 편백수 및 천연허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영양 강화 성분으로서 비타민 B5, 비타민 E, 칼슘 등을 포함하고, 향균 성분으로서 유칼립투스, 편백수, 천연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은 영양 강화 성분과 향균 성분을 동시에 포함하므로 잦은 셀프 네일 시술로 손상된 사용자의 손톱과 발톱을 보호하고 손톱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컬러베이스층(30)은 점착제층(20)의 상부에 형성되는데, 우레탄 원료에 에어로졸을 첨가하여 에어홀을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우레탄 원료를 에스테르 폴리머계 및 에테르 폴리머계를 혼합하여 사용하여 컬러베이스층의 내부 구조가 오픈셀(open cell)과 크로즈드셀(closed cell)이 혼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최소한의 통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오픈셀의 부피% 비율을 5%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컬러베이스층(30)의 구비에 따라서, 부착형 젤네일(100)은 산소 투과율이 높아져 통기성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가 젤네일(100)을 손톱이나 발톱에 부착할 경우 답답함을 느끼지 않고 보다 편한 착용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우레탄 시트층(30)은 20 내지 50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컬러베이스층(30)은 컬러인쇄층(4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백색 계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100)에서는 컬러인쇄층(40)에서 원하는 색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CMYK를 혼합하거나 다른 색상을 혼합한 컬러 잉크를 백색의 컬러베이스층(30) 상에 도포하게 되므로 색상의 채도가 극대화되어 표현력이 증가하므로 컬러층의 색상 해상도가 증가되고 컬러인쇄층(40)의 패턴이 보다 선명하게 확인될 수 있다.
더욱 나아가, 이 경우에 컬러베이스층(40)의 표면 거칠기는 점착제층(20)의 표면 거칠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점착제층(20)에 바로 컬러인쇄층(40)을 도포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20)의 표면 거칠기에 기인하여 인쇄 해상도가 매우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구성된 컬러베이스층(30)을 먼저 점착제층(20)에 접착하고 여기에 색상이나 패턴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인쇄 해상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채도의 증가와 더불어 해상도의 증가에 따라 보다 미시적인 패턴이나 모양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더더욱 나아가, 컬러베이스층(30)은 컬러인쇄층(40)이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경우에 컬러인쇄층(40)을 지지하게 된다. 즉, 컬러베이스층(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기성 구조를 가지므로 플렉서블(flexible)하면서도 점착제층(20)보다 현저히 큰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컬러인쇄층(40)이 경화되는 경우에도 컬러인쇄층(40)의 부피 변화에 대응하여 함께 변형되므로 컬러층의 크랙 발생을 줄이면서 다른 쪽에서 점착제층(20)과의 결합력도 계속 유지하므로 젤네일(100)의 내구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킨다.
컬러인쇄층(40)은 컬러베이스층(30)에 도포되며, 컬러 잉크를 일정 두께로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컬러인쇄층(40)에 사용되는 컬러 잉크로는 CMYK 등이 있는데, C는 블루, M은 레드, Y는 옐로우, K는 블랙으로서, 이러한 컬러 잉크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적절히 혼합하여 컬러인쇄층(4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컬러인쇄층(40)은 네일의 모양 패턴을 함께 인쇄할 수 있는데 각종 인쇄 방법이나 금박, 은박, 홀박 또는 글리터(반짝이) 등으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컬러인쇄층(50)은 실크 스크린 인쇄, 플렉소 그래픽 인쇄, 옵셋 인쇄, 디지털 인쇄 및 그라비아 인쇄 등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컬러인쇄층(40) 상에는 젤코팅층(60)이 형성된다. 젤코팅층(60)은 UV 젤코팅층(미도시) 또는 LED 젤코팅층(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UV 젤코팅층은 올리고머, 모노머 및 단파장 개시제를 혼합한 UV 젤코팅액을 도포하여 자외선 경화 방식으로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V 젤코팅층은 올리고머 40% 내지 60%, 모노머 30% 내지 55%, 단파장 개시제 2% 내지 10%를 혼합한 UV 젤코팅액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 아크릴에폭시, 폴리에스더 계열 올리고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파장 개시제는 TPO, 18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포된 UV 젤코팅액은 UV 자외선 경화 방식으로 건조시킴으로써 UV 젤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UV 젤코팅층의 경우, 올리고머가 기준치 이상일 때(즉, 올리고머의 함량이 60%를 초과할 때)에 젤네일(100)이 너무 유연(soft)하게 되어 젤네일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스크래치, 찍힘 등이 손상이 많이 생겨 유지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올리고머의 함량은 가능한 60%를 초과하지 않도록 혼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면, 올리고머가 기준치 이하일 때(즉, 올리고머의 함량이 40% 미만일 때)에는 부착형 젤네일(100)이 너무 단단(hard)하게 되어 일반 소비자의 굴곡진 손톱에 붙이기 어렵다. 따라서, 밀착감이 떨어져 젤네일(100)이 이탈 현상(손톱이나 발톱에서 떨어지는 현상)이 생길 수 있으며, 밀착감이 없으므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올리고머의 함량이 40% 이상이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UV 젤코팅층에서 모노머가 기준치(예를 들면, 55% 함량)를 초과하면 제품의 유연성과 신율이 하향할 수 있어, 굴곡진 손톱이나 발톱에 붙이는 밀착감(밀착력)이 떨어지므로 지속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모노머의 함량이 기준치(예를 들면, 30%) 미만이면, 부착형 젤네일(100)이 너무 딱딱해지므로 굴곡진 손톱에 붙일 때에 밀착감(밀착력)이 떨어지면서 지속력(손톱이나 발톱에 붙어 있는 부착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모노머를 30% 내지 55% 범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손톱이나 발톱에 대한 밀착력이라 함은 부착형 젤네일(100)에서 이형지(10)에 구비된 점착제층(20)이 사용자의 굴곡진 손톱이나 발톱에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점착제층(20)의 밀착감을 향상시킴으로써 부착형 젤네일(100)이 손톱이나 발톱에 붙어 있는 밀착감을 우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UV 젤코팅층에서 단파장 개시제가 10%를 초과하면, 제품의 경화 상태가 너무 빨라져 제조 과정이나 유통 과정에서 자연 경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굴곡진 손톱이나 발톱에 부착형 젤네일(100)을 붙이기 어려워지며, 붙이게 되더라도 젤네일(100)이 손톱이나 발톱에서 쉽게 박리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UV 젤코팅층의 경우 단파장 개시제를 10%가 초과하지 않도록 혼합할 수 있다.
반면, 단파장 개시제가 기준치(예를 들면 2%)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 속도가 저하되고 제품의 견고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물질이 손톱이나 발톱에 쉽게 붙을 수 있으며, 변형도 쉽게 발생할 수 있고 지속력 또한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UV 젤코팅층에 사용되는 단파장 개시제의 함량을 2% 이상이 되도록 함량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 젤코팅층은 올리고머, 모노머, 장파장 개시제 및 셀룰로오스를 혼합한 LED 젤코팅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ED 젤코팅층은 올리고머 15% 내지 40%, 모노머 20% 내지 30%, 장파장 개시제 0.1% 내지 0.5% 및 셀룰로오스 30% 내지 55%를 혼합한 LED 젤코팅액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포된 LED 젤코팅액은 60도 내지 100도 사이에서 30분 내지 60분정도 건조시킴으로써 LED 젤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UV 젤코팅층과 LED 젤코팅층은 투명 코팅층으로서 컬러인쇄층(4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ED 젤코팅층은 22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LED 젤코팅층의 경우, 모노머가 기준치(예를 들면, 30%)를 초과하면, 부착형 젤네일(100)의 끈적임이 심해질 수 있고, 견고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부착형 젤네일(100)이 사용자의 손에 묻게 되며 젤네일(100)의 형태가 손상될 수 있다. 제품의 경화 속도도 많이 저하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도록 LED 젤코팅층에서는 모노머의 함량을 30% 이하로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모노머의 함량이 20% 미만이면, 젤네일(100)이 너무 딱딱하게 되어 굴곡진 손톱에 젤네일(100)을 부착할 때 밀착감이 떨어지면서 지속력 또한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모노머의 함량을 20%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LED 젤코팅층에 포함되는 올리고머가 40%를 초과하면, 자외선에 쉽게 경화될 수 있다. 즉, 부착형 젤네일(100)의 제조 과정이나 유통 과정에서 쉽게 자연 경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LED 젤코팅층이 경화된 후 부착형 젤네일(100)을 제거하는 경우, 완전히 제거가 되지 못하고 쪼개지면서 벗겨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손톱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올리고머가 15% 미만이면, 자외선 경화시 경화 속도가 너무 느려져, 경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그대로 미경화된 제품을 사용하게 되면 부착형 젤네일(100)이 심하게 손상될 수 있다. 이처럼 형태 변형, 광택감 저하, 이물질 등에 의해 부착형 젤네일(100)의 지속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LED 젤코팅층의 장파장 개시제가 0.5%를 초과하면, 실생활에서 빛에 노출되어 쉽게 자연 경화가 발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굴곡진 손톱이나 발톱에 쉽게 부착형 젤네일(100)을 붙이기 어렵고, 붙인 이후에도 젤네일(100)이 쉽게 떨어질 수 있다. 만약 장파장 개시제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 속도가 너무 느려지고, 젤네일(100)의 견고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물질이 쉽게 붙고, 변형이 쉽게 발생하며 지속력도 저하될 수 있다.
또한, LED 젤코팅층의 셀룰로오스가 55%를 초과되도록 혼합하면, 젤네일(100)의 신율이 너무 낮아져 굴곡진 손톱 또는 발톱에 붙이기가 어려울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에 젤네일(100)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쉽게 떨어지게 되므로, 젤네일(100)의 점착력과 지속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LED 젤코팅층에는 셀룰로오스를 55% 이하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30% 미만이면, 부착형 젤네일(100)을 반고체 상태로 만들어 주는 기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셀룰로오스 함량을 30% 이상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100)에 사용된 모노머, 올리고머, 장파장 개시제는 모두 액상 상태의 제품으로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에만 액상 상태에서 고체로 변하게 된다. 이 때, 이러한 액상 상태의 젤네일을 셀룰로오스가 반고체 상태로 만들어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젤코팅층(50)의 상부에는 장식층(60)이 형성된다. 장식층(60)은 스톤(Stone), 금속 및 합성수지 재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열융착 공정을 위해 장식층의 재질은 스톤이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장식층(60)은 부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그 하면이 컬러베이스층(40)에 배치될 수 있다. 장식층(60)은 열압착의 방법에 의하여 하부로 압축력을 가하면서 부착되는데 이 경우 폴리우레탄 재질인 컬러베이스가 일부 용융되어 장식층(60)의 하면에 밀착하게 된다. 또한, 장식층의 하면은 표면 거칠기가 설정값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컬러베이스가 표면 거칠기를 유발하는 부위에 적절하게 삽입되므로 더욱 부착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열압착은 수작업이 필요없으며 대량 자동 생산이 가능하므로 제조 원가가 현저하게 저감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200)은 젤돌출부(55)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압착의 방법으로 장식층(60)을 부착하는 경우에 젤코팅층(50)이 일부 융용되어 상부로 돌출되어 튀어 나오는 젤돌출부(55)가 형성된다. 젤돌출부(5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층(60)의 테두리를 덮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장식층(60)의 부착력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식부(60)의 하면에 접착층(65)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착층(65)은 열압착시 컬러베이스층(30)과 더욱 밀접하게 접착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장식층(60)의 부착력을 더욱 극대화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에서 더욱 나아가 장식층(60)을 열압착시키는 경우에 온도 범위를 보다 상승시켜 제3실시예에서의 접착부(65)가 용융되면서 컬러베이스층(30)과 융합되어 조직융합부(70)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조직융합부(70)는 단순 접착에 의한 부착력을 더욱 극대화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식층(60')의 형태를 변경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층(60')은 내부에 빈공간인 개구부(61)를 형성하였는데 이러한 개구부(61)에는 접착층(6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장식층(60')을 열압착시키는 경우에 내부의 접착제가 컬러인쇄층(30)과 열융합하여 이전 실시예와 다른 형태의 조직융합부(70')가 형성된다.
이러한 조직융합부(70')은 접착층(65')이 상부의 장식층을 잡아주면서 하부 방향으로는 조직융합부(70')가 장식층(60')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이형지(10)에 압축흔(15)이 생성되는 것을 설명한다. 장식층(60')을 열압착하는 경우에 설정 범위 이하의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장식층(60')의 하면이 컬러베이스층(30)에 배치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설정 범위 이상의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장식층(60')이 이형지(10)를 뚫고 나오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열압착시에는 설정 범위의 압력 인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경우 설정범위의 압력을 인가하게 되면 이형지(10)가 살짝 눌린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는 이형지(10)에 압축흔(15)이 생성될 정도의 압력인가가 바람직하다.
즉, 이형지(10)에 압축흔(15)이 생성되지만 이형지(10)가 뚫리지 않을 정도의 압력 인가 시에 장식층(60')의 하면이 컬러베이스층(30)에 배치되게 된다.
이상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부착형 젤 네일의 사진을 도 7 및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상부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하부 사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층의 테두리에 다른 층이 둘러싸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층은 앞에서 설명한 젤코팅층이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장식층의 하면 테두리가 보이는데 이는 이형지에 압축흔이 발생될 정도의 압력이 인가되었음을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 필름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S10), 점착제층 상에 컬러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S20), 컬러베이스층 상에 컬러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S30), 컬러인쇄층 상에 젤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40), 및 젤코팅층 상에 장식층(S5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앞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점착제층에 컬러베이스층을 형성하는 것과 장식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점착제층을 먼저 형성하고 그 상부에 컬러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컬러층의 경화는 크랙이 유발되는 큰 단점이 된다. 따라서, 흰색 계열로 컬러베이스의 역할을 하되 표면 거칠기가 점착제층보다 작아져 인쇄 해상도를 높이면서 컬러층이 경화되는 경우에도 컬러베이스층이 컬러층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여 컬러층과 전체 젤네일의 내구성을 현저하게 높이게 된다.
또한, 장식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열압착하여 하면이 컬러베이스층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상부에 젤코팅층이 돌출된 젤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하면에는 접착제와 컬러베이스층이 융합된 조직융합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장식층의 부찰력을 극대화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600: 부착형 젤네일
10: 이형지
15: 압축흔
20: 점착제층
30: 컬러베이스층
40: 컬러인쇄층
50: 젤코팅층
55: 젤돌출부
60: 장식층
65, 65': 접착층
70, 70': 조직융합부

Claims (12)

  1.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베이스층;
    상기 컬러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인쇄층;
    상기 컬러인쇄층의 상부에 형성된 젤코팅층; 및
    상기 젤코팅층의 상부에 형성된 장식층;
    을 포함하고,
    상기 장식층의 하면은 상기 컬러베이스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베이스층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베이스층은 오픈셀(open cell)과 크로즈드셀(closed cell)이 혼합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베이스층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 거칠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의 측면에는 상기 젤코팅층이 돌출된 젤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젤돌출부는 상기 장식층의 테두리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의 하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은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접착층이 충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의 하부에는 접착층과 상기 젤코팅층이 열융합한 조직융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하면에 배치된 이형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형지에는 상기 장식층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압축흔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인쇄층은 상기 컬러베이스층과 접촉하면서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12.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제층 상에 컬러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베이스층 상에 컬러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인쇄층 상에 젤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젤코팅층 상에 장식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층의 하면은 상기 컬러베이스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
KR1020210040459A 2021-03-29 2021-03-29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39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459A KR102539186B1 (ko) 2021-03-29 2021-03-29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US17/927,710 US20230210239A1 (en) 2021-03-29 2021-04-09 Adhesive gel na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21/004486 WO2022211171A1 (ko) 2021-03-29 2021-04-09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2573752A JP7485408B2 (ja) 2021-03-29 2021-04-09 装飾層が形成された付着型ジェルネイル及びこれ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459A KR102539186B1 (ko) 2021-03-29 2021-03-29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012A true KR20220135012A (ko) 2022-10-06
KR102539186B1 KR102539186B1 (ko) 2023-05-31

Family

ID=83456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459A KR102539186B1 (ko) 2021-03-29 2021-03-29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10239A1 (ko)
JP (1) JP7485408B2 (ko)
KR (1) KR102539186B1 (ko)
WO (1) WO20222111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312B1 (ko) * 2023-08-16 2024-02-28 박고은 네일 구조체 제조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3291A (ja) * 2008-03-28 2009-10-15 Chie Toda 爪又は人工爪の装飾方法、及びこの装飾方法に用いられる爪又は人工爪装飾用具
KR101797203B1 (ko) 2015-08-10 2017-11-15 (주)글루가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949267B1 (ko) 2017-02-09 2019-02-19 (주)글루가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91056A (ko) *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 라라리즈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4666B1 (ko) 2019-01-31 2019-09-24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024663B1 (ko) 2019-01-31 2019-09-24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KR102194838B1 (ko) * 2020-08-18 2020-12-29 주식회사 내일팀 부착형 젤네일 및 그에 대한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333B1 (ko) 2006-09-19 2007-10-09 장성용 인조네일 및 네일용 장식물
JP2011130931A (ja) 2009-12-25 2011-07-07 Imca Inc 人工爪への宝石類の取付方法および宝石類を取り付けた人工爪
KR101239735B1 (ko) 2010-11-26 2013-03-06 장성용 입체형 장식물이 부착된 인조네일 및 인조네일 제조방법
KR102240992B1 (ko) 2012-04-09 2021-04-16 파영 박 금속 포일 네일 아플리케
KR101314948B1 (ko) * 2012-05-16 2013-10-04 홍우식 프레스 압력을 이용한 손톱용 스티커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손톱용 스티커
JP2014039698A (ja) 2012-08-23 2014-03-06 Oikosu:Kk ネイル用ステッカーの製造装置、ネイル用ステッカー、およびネイル用ステッカーの製造方法
JP2014050966A (ja) 2012-09-05 2014-03-20 Bn:Kk 装飾用シール及び装飾用シールの製造方法
KR102226272B1 (ko) * 2018-12-11 2021-03-11 김설연 네일아트용 스티커
KR102196405B1 (ko) * 2019-05-17 2020-12-30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3291A (ja) * 2008-03-28 2009-10-15 Chie Toda 爪又は人工爪の装飾方法、及びこの装飾方法に用いられる爪又は人工爪装飾用具
KR101797203B1 (ko) 2015-08-10 2017-11-15 (주)글루가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949267B1 (ko) 2017-02-09 2019-02-19 (주)글루가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91056A (ko) *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 라라리즈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4666B1 (ko) 2019-01-31 2019-09-24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024663B1 (ko) 2019-01-31 2019-09-24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KR102194838B1 (ko) * 2020-08-18 2020-12-29 주식회사 내일팀 부착형 젤네일 및 그에 대한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312B1 (ko) * 2023-08-16 2024-02-28 박고은 네일 구조체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9121A (ja) 2023-07-07
KR102539186B1 (ko) 2023-05-31
US20230210239A1 (en) 2023-07-06
JP7485408B2 (ja) 2024-05-16
WO2022211171A1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838B1 (ko) 부착형 젤네일 및 그에 대한 제조 방법
KR102024666B1 (ko)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CN107690292B (zh) 胶质指甲贴及其制作方法
KR102184087B1 (ko) 듀얼 광(光)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AU200735336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applying solid nail coatings to mammalian and artificial nails
KR102024663B1 (ko) 젤네일 스티커
KR101207316B1 (ko) 블링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313488B1 (ko)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JP7164238B1 (ja) 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を用いた施術方法
EP4088614A1 (en) Gel nail stic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503250B1 (ko) 반경화 코팅막 젤층을 포함하는 젤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539186B1 (ko)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93644B1 (ko)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0034B1 (ko) 연장 가능한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102415498B1 (ko) 네일용 장식물
KR102494163B1 (ko) 금형을 이용한 연장가능한 완전경화용 젤네일 스티커의 시술방법
KR102569603B1 (ko) 금형을 이용한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JP7164239B1 (ja) 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を用いた施術方法
KR102295997B1 (ko)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528810B1 (ko) 젤 네일 스티커
JP7164240B1 (ja) 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を用いた施術方法
KR20240006761A (ko) 네일 아트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24441A (ko) 네일스티커 제조 방법
AU201220083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pplying solid nail coatings to mammalian and artificial na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