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087B1 - 듀얼 광(光)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광(光)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087B1
KR102184087B1 KR1020190103817A KR20190103817A KR102184087B1 KR 102184087 B1 KR102184087 B1 KR 102184087B1 KR 1020190103817 A KR1020190103817 A KR 1020190103817A KR 20190103817 A KR20190103817 A KR 20190103817A KR 102184087 B1 KR102184087 B1 KR 102184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ured resin
film
semi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영
김판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뷰텍
Priority to KR1020190103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래에서부터 접착층(110), 베이스젤층(120), 컬러층(130) 및 반경화 수지층(1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베이스필름(100)을 포함하는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에 관한 것으로, 연성의 반경화 수지층(140)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 형상에 보다 유사한 형상으로 부착시킬 수 있어 부착력 및 지속력이 향상되며, 베이스필름(100) 상에 연성필름(200)이 합지되어, 반경화 수지층(140)이 보호되므로 제조시, 사용시 반경화 수지층(140)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듀얼 광(光)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Gel nail stic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톱 형태에 관계 없이 안정하고 강한 부착력을 형성할 수 있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용 산업 시장이 급격히 확대되며 동시에 일반인들에게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미용 산업의 한 분야인 네일 아트(nail art)는 연령층과 성별에 관계없이 신체에 대한 표현 예술의 필수적인 요소로 최근 급격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네일 아트는 다양한 컬러의 매니큐어와 같은 액상 안료를 손톱 또는 발톱에 도포하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방법은 액상 안료를 균일하게 도포시키는 기술이 요구되며, 균일하게 도포된다 하더라도 이를 건조시키는데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건조된 후 부분적 혹은 전체 탈리가 쉽게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유발한다.
이에, 최근에는 UV경화 수지 조성물이 포함된 액상 안료를 사용하여 손톱이나 발톱에 도포한 후, UV 램프를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UV 젤 네일(gel nail)이 각광받고 있다.
UV 젤 네일은 유연하고 부드러워서 쉽게 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햇빛에 노출되어도 변색되지 않고, 광택이 뛰어나며 손톱에 단단하게 부착되는 장점이 있으나, 액상의 젤 네일을 손톱에 도포한 후 경화시키고, 다시 그 위에 다양한 형상의 무늬 등을 스티커 형태로 부착하거나 직접 그리는 과정을 거친 후, 또 다시 그 위에 탑코트 등의 강도 보강제를 도포해야 하는 등 그 과정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으며, UV 젤 층을 제거하기 위해서 유해한 용매에 장시간 손가락을 침지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여 피부와 손톱에 매우 해로운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네일 아트의 종류로서, 매니큐어나 UV 젤 네일과 같은 액상 제품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건식 네일 스티커가 개발되었으나, 대부분의 건식 네일 스티커는 그 형상이 정해져 있어 부착성이 떨어지고, 부착 후의 내구성이 매우 약하여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내구성이 뛰어난 인조 네일도 있으나, 이는 딱딱한 플라스틱 형태여서 유연성 및 신축성이 부족하여, 착용감과 부착성이 떨어지므로, 손톱에 자연스럽게 안착되지 못하고 들뜨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심미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격된 공간에 이물질이나 유해한 균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882174호(2018.07.20 등록)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손톱 형태와 관계 없이 안정하고 강한 부착력을 형성하여 네일 아트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 노출되는 자외선에 의한 지경화 및 UV 램프를 이용한 속경화가 모두 가능한, 듀얼 광경화 타입의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에 관한 것으로, 상기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는, 컬러, 글리터, 패턴, 문자 및 문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자인 요소를 구비하고, 저면이 손톱 또는 발톱에 부착되는 베이스필름(100);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상면에 합지되는 보호필름(300); 및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저면에 합지되는 이형필름(4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필름(100)은, 손톱 또는 발톱과 접착되는 접착층(110); 상기 접착층(110)의 상단에 배치되는 연질의 베이스젤층(120); 상기 베이스젤층(120)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는 컬러층(130); 및 상기 컬러층(130)의 상단에 배치되고, 일부 경화되어 연성을 갖는 반경화 수지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필름(100)과 보호필름(300)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한 폴리우레탄계 연성필름(200)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필름(200)과 반경화 수지층(140) 사이에 접착제층(150)이 추가로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컬러층(130)과 반경화 수지층(140) 사이에 완전 경화 수지층(160)이 추가로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300)은, 자외선 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베이스 필름(100)을 제조하는 베이스 필름 제조 단계; 및 베이스 필름(100)의 상면에 보호필름(300)을 합지하는 보호필름 합지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 필름 제조 단계는, 필름상의 베이스젤층(120)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베이스젤층(120)의 하면에 접착층(110)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베이스젤층(120)의 상면에 컬러, 글리터, 패턴, 문자 및 문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자인 요소를 배치하여 컬러층(130)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컬러층(130) 상에 열경화 수지 조성물 및 UV경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중 경화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하여 일부 경화시킴으로써 연성을 갖는 반경화 수지층(140)을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필름 제조 단계와 보호필름 합지 단계 사이에, 베이스 필름(100)의 상면에 투명하고 연성을 갖는 폴리우레탄계 연성필름(200)을 합지하는 합지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와 제4 단계 사이에, 컬러층(130) 상에 보조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완전 경화 수지층(160)을 형성하는 완전 경화 수지층 형성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는 사용자의 손톱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부착되므로, 부착성이 뛰어나며, 외부에 노출되는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젤 네일 스티커로 인한 광택, 컬러, 무늬 등의 지속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시 스티커 부착 후 자외선 조사라는 두 단계를 거쳐 손톱이나 발톱에 젤 네일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빠르고 간편한 젤 네일 아트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구성요소 상에 배치된다는 표현은, 해당 구성요소와 직접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해당 구성요소와의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더 배치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는, 컬러, 글리터, 패턴, 문자 및 문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자인 요소를 구비하고, 저면이 손톱 또는 발톱에 부착되는 베이스필름(100),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상면에 합지되는 보호필름(300) 및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저면에 합지되는 이형필름(4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필름(100)은, 손톱 또는 발톱과 접착되는 접착층(110); 상기 접착층(110)의 상단에 배치되는 연질의 베이스젤층(120); 상기 베이스젤층(120)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는 컬러층(130); 및 상기 컬러층(130)의 상단에 배치되고, 일부 경화되어 연성을 갖는 반경화 수지층(14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젤 네일 스티커는 이형지와 같이 기초가 되는 필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컬러잉크, 글리터 등을 이용하여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는 컬러층을 형성한 뒤, 그 위에 액상의 UV 경화 잉크를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최상층에 UV 경화 잉크를 이용한 경화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젤 네일 스티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이와 같이 이미 완전히 경화 된 상태에서 제품으로 출시되므로 연성이 낮아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손톱 및 발톱에 부착할 때 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손톱이나 발톱에 부착한 후 젤 네일 스티커의 외주부를 따라 젤 네일 스티커가 들뜨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며, 이 경우, 일상 생활 중에 젤 네일 스티커가 들뜬 영역으로 물, 계면활성제, 용매 등의 다양한 물질이 유입되므로, 한 번 들뜬 현상이 발생한 젤 네일 스티커의 경우에는 더욱 빠르게 접착력이 손실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의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10)는, UV 경화 잉크가 아닌 이중 경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일부 경화시킨 반경화 수지층(140)을 포함하여, 젤 네일 스티커(10)의 연성이 확보되므로, 다양한 곡률의 손톱이나 발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젤 네일 스티커(10)를 손톱이나 발톱에 부착한 후, 반경화 수지층(140)은 UV 램프 혹은 일상 생활에서 노출되는 UV에 의해 완전 경화되어,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 형상에 대응되는 맞춤형으로 형성되므로, 부착성 및 지속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반경화 수지층(140)을 이루는 이중 경화 수지 조성물은 열경화 수지 조성물 및 UV경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반경화 수지층(140) 형성 단계에서 이중 경화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뒤 열을 가해 열경화 수지만을 경화시킴으로써, 일부 경화에 따른 높은 연성을 갖게 된다. 이때, 반경화 수지층(140)은, 열경화 수지 조성물과 UV경화 수지 조성물의 함량에 따라 약 20~70 % 경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중 경화 수지 조성물은 열경화 수지 조성물 20~70 wt%와 UV경화 수지 조성물 30~80 w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열경화 수지 조성물이 20 wt% 미만으로 포함되거나, UV경화 수지 조성물이 80 wt%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반경화 수지층(140)의 연성이 과도하게 높아, 제조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연성필름(200)이 고정되지 않고 분리되거나 움직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시 연성필름(200)의 표면에 기포가 대량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열경화 수지 조성물이 70 wt%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UV경화 수지 조성물이 30 wt%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반경화 수지층(140)의 연성이 부족하여, 표면이 딱딱하고, 이후 손톱이나 발톱에 접착된 뒤 가장자리가 들뜨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경화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수지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또는 이소프로필알코올과 같은 용매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경화 수지 조성물은 UV 수지 100 중량부에 150~400nm의 광파장영역을 갖는 광개시제 1.0~12.5 중량부가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UV 수지는 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75~80 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74~84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반응성이 좋아 경화가 쉬우면서도 경화 후의 유연성이 우수하고, 황변현상이 적다.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는 강도, 내구성, 내약품성 등의 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는 경화 후 투명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UV 수지로 상기와 같은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경화 수지층(140)이 경화된 후의 투명성 및 광택이 뛰어나 컬러층(130)의 디자인 요소가 더욱 아름답게 보이도록 만들어주고, 젤 네일 스티커(10)의 강도, 내약품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켜 젤 네일 스티커(10)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로는 에틸페닐 포스피네이트, 트리메틸베노일 포스피녹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반경화 수지층(140)은 이중 경화 수지 조성물을 1회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고 2회 이상 도포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2회 이상 도포하여 형성되는 경우, 인접한 두 층의 반경화 수지층(140) 중 컬러층(130)에 근접한 반경화 수지층(140)의 도포 면적이 더 넓게 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손톱이 자라는 방향을 길이, 손톱표면에서 길이방향의 법선 방향을 너비로 정의하면, 제1 반경화 수지층(141)과 제2 반경화 수지층(142)은 길이는 동일하고, 너비는 제1 반경화 수지층(141)이 더 넓게 형성되도록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 반경화 수지층(142)의 너비는 제3 반경화 수지층(143)의 너비보다 넓게, 제3 반경화 수지층(143)의 너비는 제4 반경화 수지층(144)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반경화 수지층(141, 142, 143, 144)은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젤 네일 스티커(10)를 손톱이나 발톱에 부착했을 때, 길이 방향으로 더 봉긋하게 올라오는 형상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보다 아름다운 손톱, 발톱의 표현이 가능하고 입체감에 의한 광택이 보다 강하게 표현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필름(100)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접착층(110), 베이스젤층(120), 컬러층(130) 및 반경화 수지층(140)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110)은 상온에서 건조 및 경화되는 접착제로 이루어져, 젤 네일 스티커(10)를 이형필름(400), 손톱 및 발톱에 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베이스젤층(120)은 하단에 접착층(110)을 형성시키고 상단에 디자인 요소를 포함한 컬러층(130)을 형성시키기 위한 중심재로 기능하는 연성의 투명한 필름이다.
상기 컬러층(130)은 컬러, 글리터, 패턴, 문자 및 문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자인 요소를 구비하여 젤 네일 스티커(10)로 인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컬러층(130)은 상기 디자인 요소를 롤러, 스프레이, 실크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도포하거나, 노즐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디자인 요소로 인한 심미감을 높이기 위해 다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컬러층(130)과 반경화 수지층(140) 사이에는 완전 경화 수지층(160)이 추가로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완전 경화 수지층(160)은 컬러층(130)에 보조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뒤 완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지 조성물은 UV경화형 보조 수지 100 중량부와 150~400nm의 광파장영역을 갖는 광개시제 0.5~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UV경화형 보조 수지는, 연성 아크릴 모노머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며, 연성 아크릴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펜타레이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1~4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연성 아크릴 모노머에 의해 경화된 완전 경화 수지층(160)에 연성이 부여되어, 손톱이나 발톱 형상에 맞추어 완전 경화 수지층(160)이 쉽게 휠 수 있고,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우수한 강도 및 내마모성이 부여되어 완전 경화 수지층(160)이 쉽게 휘어지되, 찢어지거나 요철이 형성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완전 경화 수지층(160)은 반경화 수지층(140)과의 부착력이 컬러층(130)보다 현저히 높기 때문에 반경화 수지층(140)을 보다 단단하게 붙잡아, 손톱이나 발톱으로부터 젤 네일 스티커(10)를 제거할 때 젤 네일 스티커(10)가 부서지거나 찢어지지 않고 한번에 제거될 수 있도록 하므로, 보다 용이한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반경화 수지층(140)만 존재하는 경우, 연성을 갖는 반경화 수지층(140) 때문에, 젤 네일 스티커(10)를 손톱에 부착시킨 후 손톱 결에 의해 또는 컬러층(130)의 글리터와 같은 소정 부피를 갖는 디자인 요소에 의해 젤 네일 스티커(10) 표면에 요철이 발생되고, 광택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반경화 수지층(140) 하단에 완전 경화 수지층(160)을 형성함으로써, 반경화 수지층(140) 하단에 존재하는 요철 발생 요인들의 영향을 제거하고, 반경화 수지층(140)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반경화 수지층(140)은 젤 네일 스티커(10)에 연성을 부여하여, 사용시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부착되어 부착력 및 지속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나, 일부 경화된 상태로 포장, 이송될 뿐만 아니라, 일부 경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므로, 반경화 수지층(140)이 외부로 노출되는 최상층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물리적, 화학적 요인에 의한 반경화 수지층(140)의 손상이 쉽게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이중 경화 수지 조성물이 흐름성을 갖는 상태에서 도포된 뒤 경화되므로 반경화 수지층(140)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표면에 미세 요철이 형성되어 광택성이 다소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일부 경화된 상태이기에 표면에 끈적임이 있어 젤 네일 스티커(10)를 손톱이나 발톱에 적용한 후 바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10)는 베이스필름(100) 상에 연성필름(200)이 추가로 더 합지되어, 연성필름(200)이 반경화 수지층(140)에 접착되므로, 제조 혹은 사용시 반경화 수지층(140)의 외부로의 직접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일부 경화된 반경화 수지층(140)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성필름(200)은 광택성, 투명성 및 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성필름(200)이 필름 형태로 성형 및 완전 경화된 후에 베이스필름(100)과 합지되므로, 반경화 수지층(140)의 손상이나 광택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젤 네일 스티커(10)를 적용한 후 바로 일상생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연성필름(200)이 없는 경우에는 반경화 수지층(140)의 연성 때문에 젤 네일 스티커(10)를 손톱이나 발톱에 부착한 직후 큐빅, 비즈 등과 같은 네일 파츠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UV램프를 이용해 반경화 수지층(140)을 완전 경화시킨 후 적용해야 하나, 본 발명의 젤 네일 스티커(10)의 경우에는 반경화 수지층(140)이 미경화된 상태에서 연성필름(200) 상에 네일 파츠를 부착하고 일상생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연성필름(200)은, 폴리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의 향료가 추가로 더 첨가되어 제조됨으로써, 젤 네일 스티커(10)에 향기를 부여할 수 있다. 향료가 반경화 수지층(140)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경화 과정에서 약 80% 이상의 향료가 제거되어, 향기가 약해지거나 완전히 사라지므로, 연성필름(200)에 향료가 추가로 더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성필름(200)과 반경화 수지층(140) 사이에는, 이들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접착제층(150)이 추가로 더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층(150)은 투명하고 흐름성을 갖는 액상 접착제 또는 양면 접착 필름일 수 있으며, 양면 접착 필름의 경우 열경화 양면 접착 필름일 수 있다. 접착제층(150)의 성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투명성 및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10)는 접착층(110)과 부착되어, 사용시 제거되는 이형필름(400)과, 연성필름(200) 상에 부착되어 사용시 제거되는 보호필름(3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형필름(400) 및 보호필름(30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300)은 자외선 차단 물질인 UV 흡수제를 포함하여,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사용자가 젤 네일 스티커(10)를 사용하기 전에 반경화 수지층(140)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UV 흡수제로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등의 UV 흡수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호필름(300)은 항균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오산화인(P2O5)과 산화알루미늄(Al2O3)을 주재료로 하는 항균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항균제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10)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므로, 동일한 용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의 제조방법은, 베이스 필름(100)을 제조하는 베이스 필름 제조 단계; 및 베이스 필름(100)의 상면에 보호필름(300)을 합지하는 보호필름 합지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 필름 제조 단계 중간에 혹은 제조 단계 이후에 베이스 필름 저면에 이형필름(400)을 부착하는 이형필름 부착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술될 제2 단계와 제3 단계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베이스 필름 제조 단계는, 필름상의 베이스젤층(120)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베이스젤층(120)의 하면에 접착층(110)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베이스젤층(120)의 상면에 컬러, 글리터, 패턴, 문자 및 문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자인 요소를 배치하여 컬러층(130)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컬러층(130) 상에 열경화 수지 조성물 및 UV경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중 경화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하여 일부 경화시킴으로써 연성을 갖는 반경화 수지층(140)을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필름상의 베이스젤층(12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 단계는, 제1 단계에서 준비된 베이스젤층(120)의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110)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후, 접착층(110)의 하면에 이형필름(400)이 추가로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베이스젤층(120)의 상면에 컬러, 글리터, 패턴, 문자 및 문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자인 요소를 배치하여 컬러층(130)을 형성하는 단계로, 예를 들어 유색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전면에, 혹은 일부 면에 도포하여 컬러를 형성하거나, 이 위에 또 다른 유색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또는 글리터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패턴, 문자, 문양과 같은 디자인 요소를 형성하는 등의 방식으로 디자인 요소를 응용하여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컬러층(130)을 형성할 수 있다. 컬러층(130)은 도포방식 혹은 인쇄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에, 젤 네일 스티커(10)의 제거력을 높이기 위해, 추가적으로 컬러층(130) 상에 보조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완전 경화 수지층(160)을 형성하는 완전 경화 수지층 형성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는, 컬러층(130) 상에 열경화 수지 조성물 및 UV경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중 경화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하여 일부 경화시킴으로써 연성을 갖는 반경화 수지층(14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가열을 통해 열경화 수지만 경화되고, UV경화 수지는 미경화된 상태로 남아있어, 반경화 수지층(140)이 연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화 정도는 열경화 수지 조성물과 UV경화 수지 조성물의 배합비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본 단계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20~70 % 경화된 반경화 수지층(140)이 얻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얻어진 베이스 필름(100)의 상면에 보호필름(300)을 합지하는 보호필름 합지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보호필름(300)은 반경화 수지층(140) 상면에 배치되도록 합지되며, 사용시 제거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필름 제조 단계와 보호필름 합지 단계 사이에, 베이스 필름(100) 상에 투명하고 연성을 갖는 폴리우레탄계 연성필름(200)을 합지하여 연성필름(200)을 반경화 수지층(140) 상에 부착시키는 연성필름 합지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합지시 반경화 수지층(140)의 미경화된 UV경화 수지 조성물에 의해 접착력이 형성되어, 두 필름이 접착될 수 있는데, 두 필름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연성필름 합지 단계 직전에 반경화 수지층(140) 상에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투명한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진 접착제층(150)을 형성하는 접착제층 형성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친 이후에,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10)를 손톱 또는 발톱 형상으로 재단하는 재단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젤 네일 스티커(10)를 손톱 또는 발톱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로, 이후, 손톱이나 발톱 형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이형필름(400)을 제외한 젤 네일 스티커(100)가 제거되는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재단 단계에서, 이형필름(400)은 제외되고 절단되거나, 이형필름(400)의 일부만 절단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손톱 또는 발톱 형상의 젤 네일 스티커(10)가 개별로 취급되지 않고 하나의 이형필름(400) 상에서 세트로 존재하기 때문에 취급성이 향상된다.
재단 단계에서 이형필름(400)의 일부만 절단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젤 네일 스티커(10)의 손톱 혹은 발톱 형상의 길이방향 중심 라인을 제외한 영역의 이형필름(400)이 절단되어 슬릿(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에, 이형필름(400) 하단에 소정 곡률을 갖는 지그를 이용하여 열을 가하면, 재단된 형상의 젤 네일 스티커(10)가 지그의 형상을 따라 소정 곡률을 갖도록 성형된다. 따라서, 사용 전 젤 네일 스티커(10)가 이미 소정 곡률을 갖고 있어, 사용시 젤 네일 스티커(10)가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 형상과 더욱 유사한 형태를 갖는 상태로 부착되므로, 젤 네일 스티커(10)의 부착력 및 유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젤 네일 스티커 11: 슬릿
100: 베이스필름 110: 접착층
120: 베이스젤층 130: 컬러층
140: 반경화 수지층 150: 접착제층
160: 완전 경화 수지층 200: 연성필름
300: 보호필름 400: 이형필름

Claims (8)

  1. 컬러, 글리터, 패턴, 문자 및 문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자인 요소를 구비하고, 저면이 손톱 또는 발톱에 부착되는 베이스필름(100);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상면에 합지되는 투명한 폴리우레탄계 연성필름(200);
    상기 투명한 폴리우레탄계 연성필름(200) 상면에 합지되는 보호필름(300); 및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저면에 합지되는 이형필름(40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필름(100)은,
    손톱 또는 발톱과 접착되는 접착층(110);
    상기 접착층(110)의 상단에 배치되는 연질의 베이스젤층(120);
    상기 베이스젤층(120)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는 컬러층(130);
    상기 컬러층(130)의 상단에 배치되는, 완전 경화 수지층(160); 및
    상기 완전 경화 수지층(160)의 상단에 배치되고, 일부 경화되어 연성을 갖는 반경화 수지층(140);을 포함하며,
    상기 반경화 수지층(140)은, 열경화 수지 조성물 및 UV경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중 경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UV 경화 수지 조성물은 UV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UV 수지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75~80 중량부 및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74~8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필름(200)과 반경화 수지층(140) 사이에 접착제층(150)이 추가로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300)은, 자외선 차단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
  6. 베이스 필름(100)을 제조하는 베이스 필름 제조 단계; 및
    베이스 필름(100)의 상면에 투명한 폴리우레탄계 연성필름(200)을 합지하는 연성필름 합지 단계;
    상기 연성필름(200)의 상면에 보호필름(300)을 합지하는 보호필름 합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 제조 단계는,
    필름상의 베이스젤층(120)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베이스젤층(120)의 하면에 접착층(110)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베이스젤층(120)의 상면에 컬러, 글리터, 패턴, 문자 및 문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자인 요소를 배치하여 컬러층(130)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컬러층(130) 상에 보조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완전 경화 수지층(160)을 형성하는 완전 경화 수지층 형성 단계; 및
    상기 완전 경화 수지층(160) 상에 열경화 수지 조성물 및 UV경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중 경화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하여 일부 경화시킴으로써 연성을 갖는 반경화 수지층(140)을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UV경화 수지 조성물은, UV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UV 수지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75~80 중량부 및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74~8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광경화 젤 네일 스티커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90103817A 2019-08-23 2019-08-23 듀얼 광(光)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184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817A KR102184087B1 (ko) 2019-08-23 2019-08-23 듀얼 광(光)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817A KR102184087B1 (ko) 2019-08-23 2019-08-23 듀얼 광(光)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087B1 true KR102184087B1 (ko) 2020-11-30

Family

ID=7364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817A KR102184087B1 (ko) 2019-08-23 2019-08-23 듀얼 광(光)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087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997B1 (ko) * 2021-03-30 2021-09-01 주식회사 씨앤엘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308728B1 (ko) * 2021-05-28 2021-10-05 주식회사 우리옵토 젤 네일 라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13488B1 (ko) * 2021-03-19 2021-10-14 황윤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9887B1 (ko) * 2021-09-13 2022-07-13 주식회사 유유유유유 손톱 연장용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하여 손톱을 연장하는 네일아트 방법
KR20220118128A (ko) * 2021-02-18 2022-08-25 신성민 반경화 코팅막 젤층을 포함하는 젤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67597A (ko) * 2021-06-14 2022-12-21 이성환 네일용 볼륨 스티커
KR20230029211A (ko) * 2021-08-24 2023-03-03 채병철 젤 네일 스티커
KR102505338B1 (ko) 2022-06-23 2023-03-06 엔스펙트라 주식회사 색가변 네일 스티커
KR20230041378A (ko) * 2021-09-17 2023-03-24 초록별팩(주)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7603A (ko) * 2021-10-22 2023-05-02 (주)샤인비 젤네일의 제조방법
KR20230057602A (ko) * 2021-10-22 2023-05-02 (주)샤인비 젤네일
EP4088614A4 (en) * 2021-01-21 2023-08-02 Sung Min Shin GEL NAIL ADHESIVE AND METHOD OF PRODUCTION
KR102583702B1 (ko) * 2022-05-20 2023-10-04 (주)글루가 네일 스티커, 상기 네일 스티커의 제조 방법, 상기 네일 스티커를 포함하는 네일 스티커 세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174B1 (ko) 2017-10-13 2018-07-30 주식회사 컨트롤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20190014044A (ko) * 2019-01-29 2019-02-11 (주)글루가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174B1 (ko) 2017-10-13 2018-07-30 주식회사 컨트롤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20190014044A (ko) * 2019-01-29 2019-02-11 (주)글루가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8614A4 (en) * 2021-01-21 2023-08-02 Sung Min Shin GEL NAIL ADHESIVE AND METHOD OF PRODUCTION
KR20220118128A (ko) * 2021-02-18 2022-08-25 신성민 반경화 코팅막 젤층을 포함하는 젤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503250B1 (ko) * 2021-02-18 2023-02-23 신성민 반경화 코팅막 젤층을 포함하는 젤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313488B1 (ko) * 2021-03-19 2021-10-14 황윤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5997B1 (ko) * 2021-03-30 2021-09-01 주식회사 씨앤엘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308728B1 (ko) * 2021-05-28 2021-10-05 주식회사 우리옵토 젤 네일 라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167597A (ko) * 2021-06-14 2022-12-21 이성환 네일용 볼륨 스티커
KR102529676B1 (ko) * 2021-06-14 2023-05-08 이성환 네일용 볼륨 스티커
KR102528810B1 (ko) * 2021-08-24 2023-05-11 채병철 젤 네일 스티커
KR20230029211A (ko) * 2021-08-24 2023-03-03 채병철 젤 네일 스티커
KR102419887B1 (ko) * 2021-09-13 2022-07-13 주식회사 유유유유유 손톱 연장용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하여 손톱을 연장하는 네일아트 방법
KR20230041378A (ko) * 2021-09-17 2023-03-24 초록별팩(주)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0755B1 (ko) * 2021-09-17 2024-02-27 초록별팩(주)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7603A (ko) * 2021-10-22 2023-05-02 (주)샤인비 젤네일의 제조방법
KR102543664B1 (ko) 2021-10-22 2023-06-15 (주)샤인비 젤네일
KR102543665B1 (ko) 2021-10-22 2023-06-15 (주)샤인비 젤네일의 제조방법
KR20230057602A (ko) * 2021-10-22 2023-05-02 (주)샤인비 젤네일
KR102583702B1 (ko) * 2022-05-20 2023-10-04 (주)글루가 네일 스티커, 상기 네일 스티커의 제조 방법, 상기 네일 스티커를 포함하는 네일 스티커 세트
WO2023224407A1 (ko) * 2022-05-20 2023-11-23 (주)글루가 네일 스티커, 상기 네일 스티커의 제조 방법, 상기 네일 스티커를 포함하는 네일 스티커 세트
KR20240000347A (ko) 2022-06-23 2024-01-02 엔스펙트라 주식회사 색가변 네일 스티커
KR102505338B1 (ko) 2022-06-23 2023-03-06 엔스펙트라 주식회사 색가변 네일 스티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087B1 (ko) 듀얼 광(光)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CN107690292B (zh) 胶质指甲贴及其制作方法
AU200735336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applying solid nail coatings to mammalian and artificial nails
KR102313488B1 (ko)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8254B1 (ko) 네일용 스티커
US9655430B2 (en) Double colored nail applique having an ultraviolet cured layer, method of making and using
KR102308728B1 (ko) 젤 네일 라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92475A (ko)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3078965A (ja) 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を用いた施術方法
KR20210157903A (ko) 반경화형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KR102516032B1 (ko) 네일 스티커
KR20210084358A (ko) 네일 아트 및 상기 네일 아트의 제조 방법
KR20230063190A (ko) 상부에 네일용 파츠가 결합되어 있는 네일아트용 반경화 스티커
KR20220135012A (ko)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29676B1 (ko) 네일용 볼륨 스티커
KR20210084325A (ko) 네일 아트 및 상기 네일 아트의 제조 방법
KR102393644B1 (ko)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83701B1 (ko) 네일 스티커
KR102419887B1 (ko) 손톱 연장용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하여 손톱을 연장하는 네일아트 방법
KR102528810B1 (ko) 젤 네일 스티커
JP7344621B1 (ja) ジェルネイルシールおよびジェルネイルシールセット
KR102640755B1 (ko)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3664B1 (ko) 젤네일
KR102543665B1 (ko) 젤네일의 제조방법
KR20240006761A (ko) 네일 아트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