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602A - 젤네일 - Google Patents

젤네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602A
KR20230057602A KR1020210141543A KR20210141543A KR20230057602A KR 20230057602 A KR20230057602 A KR 20230057602A KR 1020210141543 A KR1020210141543 A KR 1020210141543A KR 20210141543 A KR20210141543 A KR 20210141543A KR 20230057602 A KR20230057602 A KR 20230057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el
cured
solvent
coat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3664B1 (ko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주)샤인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샤인비 filed Critical (주)샤인비
Priority to KR1020210141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664B1/ko
Publication of KR20230057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젤네일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 상에 형성되고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에 형성되고 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되고 네일을 꾸미는 장식층, 상기 장식층 상에 형성되고, 용제 및 열경화 수지; 용제,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 또는 용제, 열경화 수지,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보호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경화된 보호층, 상기 보호층 상에 형성되고 용제,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형상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경화된 볼록한 형상의 형상층, 상기 형상층 상에 형성되고 용제, 열경화 수지, 청색광경화 수지 및 청색광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젤 코팅액이 도포되어 건조된 반경화 젤층, 및 상기 반경화 젤층 상에 형성되고 용제 및 열경화 수지를 포함하는 인쇄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건조 또는 경화된 투명 인쇄층을 포함하는 젤네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젤네일 {GEL NAIL}
본 발명은, 젤네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착형 젤네일에 관한 것이다.
네일 아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밀착성과 지속성이 좋은 네일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자외선 또는 열에 의해 경화시켜 광택이 우수하고 단단하게 오랜 기간 지속되는 젤네일(Gel nail)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하드젤, 소프트젤, 소크 오프(soak off) 젤 등 다양한 타입의 네일용 조성물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액상 안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의 젤네일 시술은 전문적인 시술을 요구하는 바, 사용자가 스스로 손쉽게 용할 수 있도록 스티커 형태의 젤네일이 출시되어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2207817 호는 손톱이나 발톱에 부착한 이후에도 색상이나 패턴 또는 투과도 등을 가역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젤 네일 스티커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젤네일 스티커는 액상 젤네일 시술에 비해 밀착성이 떨어져 지속성이 나쁘고 평평한 필름 형태를 가지고 있어 자연스럽지 못하며 미적 효과도 부족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으로 장시간 경화시켜야 하므로 사용자의 손톱과 피부에 유해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2207817 호 (2021.01.20 등록)
본 발명의 젤네일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 상에 형성되고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에 형성되고 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되고 네일을 꾸미는 장식층,
상기 장식층 상에 형성되고,
용제 및 열경화 수지;
용제,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 또는
용제, 열경화 수지,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보호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경화된 보호층,
상기 보호층 상에 형성되고 용제,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형상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경화된 볼록한 형상의 형상층,
상기 형상층 상에 형성되고 용제, 열경화 수지, 청색광경화 수지 및 청색광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젤 코팅액이 도포되어 건조된 반경화 젤층, 및
상기 반경화 젤층 상에 형성되고 용제 및 열경화 수지를 포함하는 인쇄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건조 또는 경화된 투명 인쇄층을 포함하는 젤네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젤네일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 상에 형성되고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에 형성되고 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되고 네일을 꾸미는 장식층,
상기 장식층 상에 형성되고,
용제 및 열경화 수지;
용제,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 또는
용제, 열경화 수지,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보호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경화된 보호층,
상기 보호층 상에 형성되고 용제,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형상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경화된 볼록한 형상의 형상층,
상기 형상층 상에 형성되고 용제, 열경화 수지, 청색광경화 수지 및 청색광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젤 코팅액이 도포되어 건조된 반경화 젤층, 및
상기 반경화 젤층 상에 형성되고 용제 및 열경화 수지를 포함하는 인쇄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건조 또는 경화된 투명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용제는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methacrylate; HEMA; 헤마),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탄올, 디아세톤알코올,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 ketone; MIBK; 미비케이), 시클로헥산온, 에톡시디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메틸피롤리돈,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피롤리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경화 수지는 스타이렌/메타크릴아마이드/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스타이렌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소듐디브이비/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퍼플루오로헥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경화 수지는 디-헤마 트리메틸헥실 디카바메이트,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헤마(HEMA) 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경화 개시제는 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색광경화 수지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메틸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tri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urethane dimethacrylate), 비스페놀 S-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식 중, A는 히드록실기 또는 메타크릴기임).
그리고, 상기 청색광경화 수지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식 중 A 둘 다 히드록실기인 화합물과 하나의 A는 히드록실기이고 다른 A는 메타크릴기인 화합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색광경화 수지가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식 중 A 둘 다 히드록실기인 화합물과 하나의 A는 히드록실기이고 다른 A는 메타크릴기인 화합물의 혼합물인 경우 그 혼합비는 10 내지 90 중량% : 90 내지 10 중량%, 20 내지 80 중량% : 80 내지 20 중량%, 또는 30 내지 70 중량% : 7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색광경화 개시제는 캄포르퀴논(camphorquinone), 에틸 p-디메틸아미노 벤조에이트 (ethyl p-dimethylamino benzoate), 페닐프로판디온(phenylpropanedione), 루시린(lucir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색광경화 개시제의 첨가량은 상기 청색광경화 수지 100 중량부 당 1 내지 10 중량부, 2 내지 9 중량부, 또는 3 내지 8 중량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젤 코팅액은 실리카, 지르코니아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충전(充塡)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재는 상기 청색광경화 수지 100 중량부 당 1 내지 30 중량부, 2 내지 20 중량부, 또는 3 내지 10 중량부만큼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젤 코팅액은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디메틸글리옥심(dimethylglyoxime)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희석제는 상기 청색광경화 수지 100 중량부 당 1 내지 10 중량부, 2 내지 9 중량부, 또는 3 내지 8 중량부만큼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젤 코팅액은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디케톤(diketone)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활성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활성화제는 상기 청색광경화 수지 100 중량부 당 0.5 내지 5 중량부, 0.7 내지 4 중량부, 또는 1 내지 3 중량부만큼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 점착층, 및 기재층의 총 두께는 0.18 내지 0.3 mm, 0.2 내지 0.25 mm, 또는 0.22 내지 0.23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층은 염료, 안료, 글리터, 금속박, 홀로그램박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층의 두께는 0.6 mm 이하, 0.55 mm 이하, 또는 0.5 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경화 젤층은 60 초 이내, 40 초 이내, 또는 30 초 이내에 경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화 젤층의 두께는 0.12 내지 0.38 mm, 0.16 내지 0.34 mm, 또는 0.2 내지 0.3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인쇄층 상에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인쇄층의 두께는 0.05 내지 0.25 mm, 0.08 내지 0.22 mm, 또는 0.1 내지 0.2 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립제는 실리콘계 슬립제 또는 비실리콘계 슬립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 점착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젤네일은 볼록한 형태의 형상층으로 인해 젤네일이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이로 인해 입체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성적인 심미감과 광택감을 향상시킬 수 있어 우수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반경화 젤층에 기존 자외선경화 수지 대신 청색광경화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유해한 자외선 대신 청색광으로 신속하게 경화시킬 수 있어 손톱과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반경화 젤층에 충전재를 도입하여 젤네일의 강도와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반경화 젤층의 경화 시 수축을 억제하며 반응열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반경화 젤층에 희석제를 도입하여 경화 전 반경화 젤층에 필요한 유동성을 부여 및 조절할 수 있고, 활성화제를 도입함으로써 청색광경화 개시제를 보조하여 광경화를 촉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네일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층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예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설명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함유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요소(또는 구성성분) 등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요소 등이 존재하지 않거나 부가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청색광'은 가시광선 중 청색 영역에 해당하는 450 내지 485 nm, 또는 460 내지 480 nm의 광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젤네일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100),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100) 상에 형성되고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층(200), 상기 점착층(200) 상에 형성되고 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300), 상기 기재층(300) 상에 형성되고 네일을 꾸미는 장식층(400), 상기 장식층(400) 상에 형성되고, 용제 및 열경화 수지; 용제,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 또는 용제, 열경화 수지,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보호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경화된 보호층(500), 상기 보호층(500) 상에 형성되고 용제,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형상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경화된 볼록한 형상의 형상층(600), 상기 형상층(600) 상에 형성되고 용제, 열경화 수지, 청색광경화 수지 및 청색광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젤 코팅액이 도포되어 건조된 반경화 젤층(700), 및 상기 반경화 젤층(700) 상에 형성되고 용제 및 열경화 수지를 포함하는 인쇄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건조 또는 경화된 투명 인쇄층(8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층(200) 하부에 형성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이형층(100)은 점착층(200)을 보호하는 필름으로서 젤네일 사용시에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100) 상에 형성된 점착층(200)은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손톱 또는 발톱에 접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 점착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점착층(200) 상에 형성된 기재층(300)은 장식층(400)이 올라가기 위한 기재가 되는 층으로서 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100), 점착층(200), 및 기재층(300)의 두께의 총합은 0.18 내지 0.3 mm, 0.2 내지 0.25 mm, 또는 0.22 내지 0.23 mm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300) 상에 형성된 장식층(400)은 네일을 꾸미는 층으로서 염료, 안료, 글리터, 금속박, 홀로그램박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기재층(300) 상에 염료나 안료로 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글리터, 금속박 또는 홀로그램박으로 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에 의해 장식층(400)을 꾸민 후 경화시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장식층(400) 상에 형성된 보호층(500)은 보호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경화된 층으로서 후술하는 반경화 젤층(700)의 변질을 방지하고, 젤층의 용제에 의한 장식층(400)의 무늬 변형을 방지하여 장식층(40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보호층 코팅액은 (i) 용제 및 열경화 수지; (ii) 용제,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 또는 (iii) 용제, 열경화 수지,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층(500)은 보호층 코팅액에 함유된 수지에 따라 열경화 및/또는 자외선경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용제는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methacrylate; HEMA),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탄올, 디아세톤알코올,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 ketone; MIBK), 시클로헥산온, 에톡시디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메틸피롤리돈,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피롤리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 수지는 열에 의해 경화될 수 있고, 스타이렌/메타크릴아마이드/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스타이렌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소듐디브이비/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퍼플루오로헥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경화 수지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고, 디-헤마 트리메틸헥실 디카바메이트,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헤마(HEMA) 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경화 개시제는 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500) 상에 형성된 형상층(600)은 형상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경화된 층으로서, 상기 형상층 코팅액은 용제,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헤마(HEMA),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탄올, 디아세톤알코올, 미비케이(MIBK), 시클로헥산온, 에톡시디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메틸피롤리돈,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피롤리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경화 수지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고, 디-헤마 트리메틸헥실 디카바메이트,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헤마(HEMA) 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경화 개시제는 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형상층(600)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볼록한 형태의 형상층(600)으로 인해 젤네일이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이로 인해 입체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성적인 심미감과 광택감을 향상시킬 수 있어 우수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
형상층(600)의 볼록한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볼록한 형상은 형상층(600)의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1 이상의 볼록한 형상이 있을 수 있다. 형상층(600)은 위치에 따라 두께가 다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형상층(600)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와 같은 단면을 갖는 형상층(600)은 중앙부로 갈수록 두터워지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아지는 돔 형상의 형상층(600)이다. 이 경우 사용자의 손톱 또는 발톱을 볼록하게 해주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형상층(600)의 두께는 0.6 mm 이하, 0.55 mm 이하, 또는 0.5 mm 이하이거나, 형상층(600)의 최대 두께가 0.3 내지 0.5 mm, 0.35 내지 0.5 mm, 또는 0.4 내지 0.5 mm일 수 있다. 형상층(60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입체감이 미미하고, 반면에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외관을 해칠 수 있다.
상기 형상층(600) 위에 형성된 반경화 젤층(700)은 젤 코팅액이 도포되어 건조된 층으로서 반경화 상태이다. 상기 젤 코팅액은 용제, 열경화 수지, 청색광경화 수지 및 청색광경화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젤네일은 상기 반경화 젤층(700)에 기존 자외선경화 수지 대신 청색광경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이를 통해 유해한 자외선 대신 청색광으로 신속하게 반경화 젤층(700)을 경화시킬 수 있어 손톱과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반경화 젤층(700)은 열경화 수지와 청색광경화 수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는데, 이를 통해 용도나 상황에 따라 경화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 수지와 청색광경화 수지의 비율은 1:99 내지 99:1일 수 있고, 청색광경화 수지가 열경화 수지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경화 젤층(700)은 열, 청색광,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60 초 이내, 40 초 이내, 또는 30 초 이내에 경화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헤마(HEMA),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탄올, 디아세톤알코올, 미비케이(MIBK), 시클로헥산온, 에톡시디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메틸피롤리돈,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피롤리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 수지는 열에 의해 경화될 수 있고, 스타이렌/메타크릴아마이드/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스타이렌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소듐디브이비/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퍼플루오로헥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청색광경화 수지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메틸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tri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urethane dimethacrylate), 비스페놀 S-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식 중, A는 히드록실기 또는 메타크릴기임).
그리고, 상기 청색광경화 수지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식 중 A 둘 다 히드록실기인 화합물과 하나의 A는 히드록실기이고 다른 A는 메타크릴기인 화합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청색광경화 수지가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식 중 A 둘 다 히드록실기인 화합물과 하나의 A는 히드록실기이고 다른 A는 메타크릴기인 화합물의 혼합물인 경우 그 혼합비는 10 내지 90 중량% : 90 내지 10 중량%, 20 내지 80 중량% : 80 내지 20 중량%, 또는 30 내지 70 중량% : 7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색광경화 개시제는 캄포르퀴논(camphorquinone), 에틸 p-디메틸아미노 벤조에이트 (ethyl p-dimethylamino benzoate), 페닐프로판디온(phenylpropanedione), 루시린(lucir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리고, 상기 청색광경화 개시제의 첨가량은 상기 청색광경화 수지 100 중량부 당 1 내지 10 중량부, 2 내지 9 중량부, 또는 3 내지 8 중량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젤 코팅액은 실리카, 지르코니아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충전(充塡)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재는 젤네일의 강도와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반경화 젤층(700)의 경화 시 수축을 억제하며 반응열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충전재는 상기 청색광경화 수지 100 중량부 당 1 내지 30 중량부, 2 내지 20 중량부, 또는 3 내지 10 중량부만큼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젤 코팅액은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디메틸글리옥심(dimethylglyoxime)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화 전 반경화 젤층(700)에 필요한 유동성을 부여 및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희석제는 상기 청색광경화 수지 100 중량부 당 1 내지 10 중량부, 2 내지 9 중량부, 또는 3 내지 8 중량부만큼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젤 코팅액은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디케톤(diketone)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활성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제는 청색광경화 개시제를 보조하여 광경화를 촉진한다.
그리고, 상기 활성화제는 상기 청색광경화 수지 100 중량부 당 0.5 내지 5 중량부, 0.7 내지 4 중량부, 또는 1 내지 3 중량부만큼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경화 젤층(700)의 두께는 0.12 내지 0.38 mm, 0.16 내지 0.34 mm, 또는 0.2 내지 0.3 mm일 수 있다. 반경화 젤층(700)의 두께가 상기 범위 이내일 때 유연성 및 신축성이 발현되어 착용감과 부착성이 향상되고, 손톱에 자연스럽게 안착되어 심미성이 향상된다.
상기 반경화 젤층(700) 상에 형성된 투명 인쇄층(800)은 인쇄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건조 또는 경화된 층으로서 표면을 매끈하게 하고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인쇄층 코팅액은 용제 및 열경화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쇄층 코팅액 도포 후 상온 경화 또는 열 경화 모두 가능하다. 열 경화는 경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용제는 헤마(HEMA),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탄올, 디아세톤알코올, 미비케이(MIBK), 시클로헥산온, 에톡시디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메틸피롤리돈,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피롤리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 수지는 열에 의해 경화될 수 있고, 스타이렌/메타크릴아마이드/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스타이렌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소듐디브이비/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퍼플루오로헥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인쇄층(800)의 두께는 0.05 내지 0.25 mm, 0.08 내지 0.22 mm, 또는 0.1 내지 0.2 mm일 수 있다. 투명 인쇄층(800)의 두께가 상기 범위 이내일 때 표면이 매끄럽고 이물질의 부착을 막아 본 발명 젤네일의 광택을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젤네일은 상기 투명 인쇄층(800) 상에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젤네일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네일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100) 상에 점착층(200), 기재층(300), 장식층(400), 보호층(500), 형상층(600), 반경화 젤층(700), 및 투명 인쇄층(8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볼록한 형상의 형상층(600)이 형성됨에 따라 전체적인 젤네일의 형상이 볼록하고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
200 점착층
300 기재층
400 장식층
500 보호층
600 형상층
700 반경화 젤층
800 투명 인쇄층

Claims (5)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 상에 형성되고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에 형성되고 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되고 네일을 꾸미는 장식층,
    상기 장식층 상에 형성되고, 용제 및 열경화 수지; 용제,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 또는 용제, 열경화 수지,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보호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경화된 보호층,
    상기 보호층 상에 형성되고 용제, 자외선경화 수지 및 자외선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형상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경화된 볼록한 형상의 형상층,
    상기 형상층 상에 형성되고 용제, 열경화 수지, 청색광경화 수지 및 청색광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젤 코팅액이 도포되어 건조된 반경화 젤층, 및
    상기 반경화 젤층 상에 형성되고 용제 및 열경화 수지를 포함하는 인쇄층 코팅액이 도포되어 건조 또는 경화된 투명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네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은 염료, 안료, 글리터, 금속박, 홀로그램박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네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상층의 두께는 0.6 mm 이하, 0.55 mm 이하, 또는 0.5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네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경화 젤층은 60 초 이내, 40 초 이내, 또는 30 초 이내에 청색광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네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인쇄층 상에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네일.
KR1020210141543A 2021-10-22 2021-10-22 젤네일 KR102543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543A KR102543664B1 (ko) 2021-10-22 2021-10-22 젤네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543A KR102543664B1 (ko) 2021-10-22 2021-10-22 젤네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602A true KR20230057602A (ko) 2023-05-02
KR102543664B1 KR102543664B1 (ko) 2023-06-15

Family

ID=8638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543A KR102543664B1 (ko) 2021-10-22 2021-10-22 젤네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66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666B1 (ko) * 2019-01-31 2019-09-24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184087B1 (ko) * 2019-08-23 2020-11-30 주식회사 이노뷰텍 듀얼 광(光)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194838B1 (ko) * 2020-08-18 2020-12-29 주식회사 내일팀 부착형 젤네일 및 그에 대한 제조 방법
KR102207817B1 (ko) 2020-05-29 2021-01-26 주식회사 나노브릭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KR102208444B1 (ko) * 2020-09-02 2021-01-28 신성민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92158B1 (ko) * 2021-04-09 2021-08-23 이영숙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302653B1 (ko) * 2021-04-07 2021-09-16 신경연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13488B1 (ko) * 2021-03-19 2021-10-14 황윤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666B1 (ko) * 2019-01-31 2019-09-24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184087B1 (ko) * 2019-08-23 2020-11-30 주식회사 이노뷰텍 듀얼 광(光)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207817B1 (ko) 2020-05-29 2021-01-26 주식회사 나노브릭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4838B1 (ko) * 2020-08-18 2020-12-29 주식회사 내일팀 부착형 젤네일 및 그에 대한 제조 방법
KR102208444B1 (ko) * 2020-09-02 2021-01-28 신성민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13488B1 (ko) * 2021-03-19 2021-10-14 황윤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2653B1 (ko) * 2021-04-07 2021-09-16 신경연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92158B1 (ko) * 2021-04-09 2021-08-23 이영숙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664B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90292B (zh) 胶质指甲贴及其制作方法
KR101982125B1 (ko)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84087B1 (ko) 듀얼 광(光)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194838B1 (ko) 부착형 젤네일 및 그에 대한 제조 방법
JP5916131B2 (ja) 人工爪コーティングのための除去可能な保護トップコートおよびそのための方法
JP5851407B2 (ja) 人工爪コーティングのための除去可能な着色層およびそのための方法
ES2559027T3 (es) Capa de revestimiento base en gel coloreada eliminable para revestimientos de uñas artificiales y procedimientos para la misma
KR102240992B1 (ko) 금속 포일 네일 아플리케
US5785958A (en) Non-yellowing rapid drying nail polish top-coat compositions
KR101949267B1 (ko)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90233031A1 (en) Nail Strips Having a Crosslinked Polymer Top Coat
US9655430B2 (en) Double colored nail applique having an ultraviolet cured layer, method of making and using
KR102313488B1 (ko)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3664B1 (ko) 젤네일
KR102543665B1 (ko) 젤네일의 제조방법
US10744349B2 (en) Nail polish formulation
KR20210084361A (ko) 네일 아트용 접착제 및 네일 아트
US10617191B2 (en) Nail gel removal method
KR102419887B1 (ko) 손톱 연장용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하여 손톱을 연장하는 네일아트 방법
KR102393644B1 (ko)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30008814A1 (en) Continuous curing rate change type gel nail
KR20240044793A (ko)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네일아트용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205454B1 (ja) ネイル用カラージェル
KR20240006761A (ko) 네일 아트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