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644B1 -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644B1
KR102393644B1 KR1020200138470A KR20200138470A KR102393644B1 KR 102393644 B1 KR102393644 B1 KR 102393644B1 KR 1020200138470 A KR1020200138470 A KR 1020200138470A KR 20200138470 A KR20200138470 A KR 20200138470A KR 102393644 B1 KR102393644 B1 KR 102393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lor
nail
ge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4021A (ko
Inventor
한성주
Original Assignee
(주)선우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우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선우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200138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644B1/ko
Priority to JP2022575354A priority patent/JP2023528938A/ja
Priority to US18/008,660 priority patent/US20230240426A1/en
Priority to PCT/KR2021/011639 priority patent/WO2022085927A1/ko
Publication of KR20220054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32B2255/1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synthetic resin or rubber layer being a foam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8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6Open cell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8Closed cell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착색성, 내구성 및 통기성 현저하게 증대시키는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은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베이스층, 및 상기 컬러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ADHESIVE GEL NA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착용감과 착색성이 현저하게 개선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일 아트의 경우 다양한 색상의 매니큐어와 같은 안료 등을 손톱이나 발톱 등에 도포하거나 비즈나 보석 등의 악세서리를 손톱에 부착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액상의 안료를 손톱이나 발톱에 도포하는 방법은 안료를 도포한 후 경화시키기 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를 부착하는 경우에도 접착제가 완전히 굳어질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며, 부착이 완료된 후에도 작은 충격에 쉽게 액세서리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에 안료를 직접 도포하는 방법 대신 네일 스티커를 부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안료를 도포하고 경화시킬 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간단히 손톱이나 발톱에 스티커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손톱과 발톱을 장식할 수 있어 사용자가 기존 방식에 비해 훨씬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네일 아트를 실시할 수 있었다.
나아가, 선행기술문헌 1 내지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최근에는 연질의 반고체 상태인 스티커를 손톱이나 발톱에 부착한 이후에 자외선 경화를 진행하도록 하여 손톱 또는 발톱에 부착된 형태를 유지하는 방법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4에서는 모두 점착층 또는 접착층 위에 컬러층을 구현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젤네일에서의 컬러층은 젤네일 스티커의 컬러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데, 선행기술문헌 1 내지 4은 점착층 또는 접착층에 바로 컬러층을 형성하게 되므로 착색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점착층 또는 접착층의 무른 성질에 의해 컬러층이 나중에 경화되는 경우에는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도 유발된다. 이에 따라 선행기술문헌 5에서는 컬러층이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지 않도록 하는 젤 네일 스티커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경화의 방지를 위해서는 컬러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광안정제를 별도로 사용해야 되므로 제조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또한, 네일 스티커를 장시간 부착하게 되면 산소가 오랫동안 공급되지 못하여 손톱 건강을 해할 수 있으므로 점착제 또는 접착제의 개선도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2024663호(2019.09.24) 젤네일 스티커 등록특허 제10-2024666호(2019.09.24) 젤네일 스티커의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0-11949267호(2019.02.19) 젤 네일 스티커및 이의 제조 방법 등록특허 제10-1797203호(2017.11.15)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0-1982125호(2019.05.24)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색성 또는 내구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킨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인 통기성을 가지도록 하여 손톱이나 발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은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베이스층, 및 상기 컬러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컬러베이스층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베이스층은 에어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베이스층은 오픈셀(open cell)과 크로즈드셀(closed cell)이 혼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베이스층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 거칠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은 비타민, 칼슘, 유칼립투스, 편백수 및 천연허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층은 상기 컬러베이스층과 접촉하면서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또한, 부착형 젤네일은 상기 컬러층 상에 형성된 젤코팅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젤코팅층은 UV 젤코팅층과 LED 젤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은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점착제층 상에 컬러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컬러베이스층 상에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컬러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표면 거칠기가 점착제층의 표면 거칠기 보다 작은 우레탄 필름을 점착제층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컬러베이스가 컬러층의 착색성과 해상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베이스의 표면 거칠기가 점착제층보다 작아져 상기 인쇄 해상도를 높이면서도 컬러층이 경화되는 경우까지 컬러베이스층이 컬러층을 밀착 지지하도록하여 컬러층과 전체 젤네일의 내구성을 현저하게 높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젤코팅층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젤코팅층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100)은 점착제층(20), 컬러베이스(30), 컬러층(40), 젤코팅층(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점착제층(20)은 그 제조를 위해 베이스 필름(10) 상에서 형성될 수 있고, 컬러층(40)외에 별도의 인쇄층(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필름(70)이 부가되어 젤코팅층(60)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우선, 베이스 필름(10)은 점착제층(20)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부착형 젤네일(100)의 가장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은 이형지로 형성되어도 되며, 부착형 젤네일(100)의 사용 시 제거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베이스 필름(10)은 PET 재질에 실리콘 이형 처리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층(20)은 아크릴 수성 계열, 아크릴 유성 계열 및 UV 경화형 점착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에 직접 부착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점착제층(20)은 베이스 필름(10) 상에 도포하여 형성한다.
점착제층(20)은 안티 펑거 영양 글루층으로서 손톱과 발톱을 케어하기 위한 영양 강화 성분과 세균이나 곰팡이 등으로부터 손톱을 보호하기 위한 향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점착제층(20)은 비타민, 칼슘, 유칼립투스, 편백수 및 천연허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영양 강화 성분으로서 비타민 B5, 비타민 E, 칼슘 등을 포함하고, 향균 성분으로서 유칼립투스, 편백수, 천연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은 영양 강화 성분과 향균 성분을 동시에 포함하므로 잦은 셀프 네일 시술로 손상된 사용자의 손톱과 발톱을 보호하고 손톱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컬러베이스층(30)은 점착제층(20)의 상부에 형성되는데, 우레탄 원료에 에어로졸을 첨가하여 에어홀을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우레탄 원료를 에스테르 폴리머계 및 에테르 폴리머계를 혼합하여 사용하여 컬러베이스층의 내부 구조가 오픈셀(open cell)과 크로즈드셀(closed cell)이 혼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최소한의 통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오픈셀의 부피% 비율을 5%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컬러베이스층(30)의 구비에 따라서, 부착형 젤네일(100)은 산소 투과율이 높아져 통기성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가 젤네일(100)을 손톱이나 발톱에 부착할 경우 답답함을 느끼지 않고 보다 편한 착용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우레탄 시트층(30)은 20 내지 50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컬러베이스층(30)은 컬러층(4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백색 계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100)에서는 컬러층(40)에서 원하는 색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CMYK를 혼합하거나 다른 색상을 혼합한 컬러 잉크를 백색의 컬러베이스층(30) 상에 도포하게 되므로 색상의 채도가 극대화되어 표현력이 증가하므로 컬러층의 색상 해상도가 증가되고 인쇄층(40)의 패턴이 보다 선명하게 확인될 수 있다.
더욱 나아가, 이 경우에 컬러베이스층(40)의 표면 거칠기는 점착제층(20)의 표면 거칠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점착제층(20)에 바로 컬러층(40)이나 인쇄층(50)을 도포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20)의 표면 거칠기에 기인하여 인쇄 해상도가 매우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우레탄 필름으로 구성된 컬러베이스층(30)을 먼저 점착제층에 접착하고 여기에 색상이나 패턴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인쇄 해상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채도의 증가와 더불어 해상도의 증가에 따라 보다 미시적인 패턴이나 모양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더더욱 나아가, 컬러베이스층(30)은 컬러층(40)이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경우에 컬러층(40)을 지지하게 된다. 즉, 컬러베이스층(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기성 구조를 가지므로 플렉서블(flexible)하면서도 점착제층(20)보다 현저히 큰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컬러층(40)이 경화되는 경우에도 컬러층(40)의 부피 변화에 대응하여 함께 변형되므로 컬러층의 크랙 발생을 줄이면서 다른 쪽에서 점착제층(20)과의 결합력도 계속 유지하므로 젤네일(100)의 내구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킨다.
컬러층(40)은 컬러베이스층(30)에 도포되며, 컬러 잉크를 일정 두께로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컬러층(40)에 사용되는 컬러 잉크로는 CMYK 등이 있는데, C는 블루, M은 레드, Y는 옐로우, K는 블랙으로서, 이러한 컬러 잉크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적절히 혼합하여 컬러층(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컬러층(40)은 외부의 자외선이나 형광등, LED 등의 간접 자외선 등에 의해 빨리 굳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광안정제를 극소량 첨가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100)은 이 경우에도 전술한 컬러베이스층(30)에 의해 내구성이 확보되므로 광안정제의 불사용에 따라 생산 원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인쇄층(50)은 일반적으로 네일의 모양 패턴을 인쇄하는 것을 말하는데, 인쇄층(50)은 각종 인쇄 방법이나 금박, 은박, 홀박 또는 글리터(반짝이) 등으로 디자인이 표현된 것을 말한다. 이때, 인쇄층(50)은 실크 스크린 인쇄, 플렉소 그래픽 인쇄, 옵셋 인쇄, 디지털 인쇄 및 그라비아 인쇄 등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젤코팅층(60)은 UV 젤코팅층(61)과 LED 젤코팅층(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UV 젤코팅층(61)은 컬러층(40) 또는 인쇄층(50) 상에 도포되며, 올리고머, 모노머 및 단파장 개시제를 혼합한 UV 젤코팅액을 도포하여 자외선 경화 방식으로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V 젤코팅층(61)은 올리고머 40% 내지 60%, 모노머 30% 내지 55%, 단파장 개시제 2% 내지 10%를 혼합한 UV 젤코팅액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 아크릴에폭시, 폴리에스더 계열 올리고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파장 개시제는 TPO, 18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포된 UV 젤코팅액은 UV 자외선 경화 방식으로 건조시킴으로써 UV 젤코팅층(6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UV 젤코팅층(61)의 경우, 올리고머가 기준치 이상일 때(즉, 올리고머의 함량이 60%를 초과할 때)에 젤네일(100)이 너무 유연(soft)하게 되어 젤네일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스크래치, 찍힘 등이 손상이 많이 생겨 유지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올리고머의 함량은 가능한 60%를 초과하지 않도록 혼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면, 올리고머가 기준치 이하일 때(즉, 올리고머의 함량이 40% 미만일 때)에는 젤네일(100)이 너무 단단(hard)하게 되어 일반 소비자의 굴곡진 손톱에 붙이기 어렵다. 따라서, 밀착감이 떨어져 젤네일(100)이 이탈 현상(손톱이나 발톱에서 떨어지는 현상)이 생길 수 있으며, 밀착감이 없으므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올리고머의 함량이 40% 이상이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UV 젤코팅층(61)에서 모노머가 기준치(예를 들면, 55% 함량)를 초과하면 제품의 유연성과 신율이 하향할 수 있어, 굴곡진 손톱이나 발톱에 붙이는 밀착감(밀착력)이 떨어지므로 지속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모노머의 함량이 기준치(예를 들면, 30%) 미만이면, 젤네일(100)이 너무 딱딱해지므로 굴곡진 손톱에 붙일 때에 밀착감(밀착력)이 떨어지면서 지속력(손톱이나 발톱에 붙어 있는 부착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모노머를 30% 내지 55% 범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손톱이나 발톱에 대한 밀착력이라 함은 젤네일(100)에서 베이스 필름(10)에 구비된 하부 점착제층(미도시)이 사용자의 굴곡진 손톱이나 발톱에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하부 점착제층의 밀착감을 향상시킴으로써 부착형 젤네일(100)이 손톱이나 발톱에 붙어 있는 밀착감을 우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UV 젤코팅층(61)에서 단파장 개시제가 10%를 초과하면, 제품의 경화 상태가 너무 빨라져 제조 과정이나 유통 과정에서 자연 경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굴곡진 손톱이나 발톱에 젤네일(100)을 붙이기 어려워지며, 붙이게 되더라도 젤네일(100)이 손톱이나 발톱에서 쉽게 박리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UV 젤코팅층(61)의 경우 단파장 개시제를 10%가 초과하지 않도록 혼합할 수 있다.
반면, 단파장 개시제가 기준치(예를 들면 2%)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 속도가 저하되고 제품의 견고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물질이 손톱이나 발톱에 쉽게 붙을 수 있으며, 변형도 쉽게 발생할 수 있고 지속력 또한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UV 젤코팅층(61)에 사용되는 단파장 개시제의 함량을 2% 이상이 되도록 함량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 젤코팅층(65)은 UV 젤코팅층(61) 상에 도포되며, 올리고머, 모노머, 장파장 개시제 및 셀룰로오스를 혼합한 LED 젤코팅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ED 젤코팅층(65)은 올리고머 15% 내지 40%, 모노머 20% 내지 30%, 장파장 개시제 0.1% 내지 0.5% 및 셀룰로오스 30% 내지 55%를 혼합한 LED 젤코팅액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포된 LED 젤코팅액은 60도 내지 100도 사이에서 30분 내지 60분정도 건조시킴으로써 LED 젤코팅층(65)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UV 젤코팅층(61)과 LED 젤코팅층(65)은 투명 코팅층으로서 인쇄층(4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ED 젤코팅층(65)은 22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LED 젤코팅층(65)의 경우, 모노머가 기준치(예를 들면, 30%)를 초과하면, 젤네일(100)의 끈적임이 심해질 수 있고, 견고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젤네일(100)이 사용자의 손에 묻게 되며 젤네일(100)의 형태가 손상될 수 있다. 제품의 경화 속도도 많이 저하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도록 LED 젤코팅층(65)에서는 모노머의 함량을 30% 이하로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모노머의 함량이 20% 미만이면, 젤네일(100)이 너무 딱딱하게 되어 굴곡진 손톱에 젤네일(100)을 부착할 때 밀착감이 떨어지면서 지속력 또한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모노머의 함량을 20%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LED 젤코팅층(65)에 포함되는 올리고머가 40%를 초과하면, 자외선에 쉽게 경화될 수 있다. 즉, 젤네일(100)의 제조 과정이나 유통 과정에서 쉽게 자연 경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LED 젤코팅층(65)이 경화된 후 젤네일(100)을 제거하는 경우, 완전히 제거가 되지 못하고 쪼개지면서 벗겨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손톱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올리고머가 15% 미만이면, 자외선 경화시 경화 속도가 너무 느려져, 경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그대로 미경화된 제품을 사용하게 되면 젤네일(100)이 심하게 손상될 수 있다. 이처럼 형태 변형, 광택감 저하, 이물질 등에 의해 젤네일(100)의 지속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LED 젤코팅층(65)의 장파장 개시제가 0.5%를 초과하면, 실생활에서 빛에 노출되어 쉽게 자연 경화가 발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굴곡진 손톱이나 발톱에 쉽게 젤네일(100)을 붙이기 어렵고, 붙인 이후에도 젤네일(100)이 쉽게 떨어질 수 있다. 만약 장파장 개시제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 속도가 너무 느려지고, 젤네일(100)의 견고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물질이 쉽게 붙고, 변형이 쉽게 발생하며 지속력도 저하될 수 있다.
또한, LED 젤코팅층(65)의 셀룰로오스가 55%를 초과되도록 혼합하면, 젤네일(100)의 신율이 너무 낮아져 굴곡진 손톱 또는 발톱에 붙이기가 어려울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에 젤네일(100)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쉽게 떨어지게 되므로, 젤네일(100)의 점착력과 지속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LED 젤코팅층(65)에는 셀룰로오스를 55% 이하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30% 미만이면, 젤네일(100)을 반고체 상태로 만들어 주는 기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셀룰로오스 함량을 30% 이상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100)에 사용된 모노머, 올리고머, 장파장 개시제는 모두 액상 상태의 제품으로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에만 액상 상태에서 고체로 변하게 된다. 이 때, 이러한 액상 상태의 젤네일을 셀룰로오스가 반고체 상태로 만들어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100)은 타발 공정에 의해 베이스 필름(10) 위에 형성된 점착제층(20), 컬러베이스층(30), 컬러층(40), UV 젤코팅층(61), 및 LED 젤코팅층(65)를 절단하여 손톱 또는 발톱 모양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발 공정 이후에는 베이스 필름(10)까지 절단하여 부착형 젤네일을 생성하는 컷팅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 필름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S10), 점착제층 상에 컬러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S20), 컬러베이스층 상에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S30), 컬러층 상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S40). 인쇄층 상에 젤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앞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점착제층에 컬러베이스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때, 컬러층을 젤코팅층을 도포한 이후 그 하부에 형성하는 경우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점착제층을 먼저 형성하고 그 상부에 컬러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컬러층의 경화는 크랙이 유발되는 큰 단점이 된다. 따라서, 흰색 계열로 컬러베이스의 역할을 하되 표면 거칠기가 점착제층보다 작아져 인쇄 해상도를 높이면서 컬러층이 경화되는 경우에도 컬러베이스층이 컬러층을 밀착 지지하도록하여 컬러층과 전체 젤네일의 내구성을 현저하게 높이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부착형 젤네일
10: 베이스 필름
20: 점착제층
30: 컬러베이스층
40: 컬러층
50: 인쇄층
60: 젤코팅층
61: UV젤코팅층
65: LED젤코팅층
70: 보호필름

Claims (10)

  1.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베이스층; 및
    상기 컬러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층
    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베이스층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 거칠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베이스층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베이스층은 에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베이스층은 오픈셀(open cell)과 크로즈드셀(closed cell)이 혼합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비타민, 칼슘, 유칼립투스, 편백수 및 천연허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층은 상기 컬러베이스층과 접촉하면서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층 상에 형성된 젤코팅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젤코팅층은 UV 젤코팅층과 LED 젤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9.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점착제층 상에 컬러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컬러베이스층 상에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표면 거칠기가 점착제층의 표면 거칠기 보다 작은 우레탄 필름을 점착제층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
  10. 삭제
KR1020200138470A 2020-10-23 2020-10-23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93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470A KR102393644B1 (ko) 2020-10-23 2020-10-23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2575354A JP2023528938A (ja) 2020-10-23 2021-08-31 付着型ジェルネイル及びこれの製造方法
US18/008,660 US20230240426A1 (en) 2020-10-23 2021-08-31 Adhesive gel na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21/011639 WO2022085927A1 (ko) 2020-10-23 2021-08-31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470A KR102393644B1 (ko) 2020-10-23 2020-10-23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021A KR20220054021A (ko) 2022-05-02
KR102393644B1 true KR102393644B1 (ko) 2022-05-06

Family

ID=8128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470A KR102393644B1 (ko) 2020-10-23 2020-10-23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40426A1 (ko)
JP (1) JP2023528938A (ko)
KR (1) KR102393644B1 (ko)
WO (1) WO202208592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492B1 (ko) 2013-03-05 2013-12-17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Uv 젤층 도포용 네일 스티커 및 그 적용방법
KR101882174B1 (ko) 2017-10-13 2018-07-30 주식회사 컨트롤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024663B1 (ko) * 2019-01-31 2019-09-24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2380A (ja) * 2007-05-07 2008-11-13 Sadaaki Yamagami 付け爪
KR101128344B1 (ko) * 2009-05-22 2012-03-23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손톱용 전사 스티커와 그 제조방법
KR20140105144A (ko) * 2013-02-22 2014-09-01 김일해 손톱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797203B1 (ko) 2015-08-10 2017-11-15 (주)글루가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949267B1 (ko) 2017-02-09 2019-02-19 (주)글루가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2125B1 (ko) 2019-01-29 2019-05-24 (주)글루가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4666B1 (ko) 2019-01-31 2019-09-24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492B1 (ko) 2013-03-05 2013-12-17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Uv 젤층 도포용 네일 스티커 및 그 적용방법
KR101882174B1 (ko) 2017-10-13 2018-07-30 주식회사 컨트롤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024663B1 (ko) * 2019-01-31 2019-09-24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021A (ko) 2022-05-02
WO2022085927A1 (ko) 2022-04-28
US20230240426A1 (en) 2023-08-03
JP2023528938A (ja)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838B1 (ko) 부착형 젤네일 및 그에 대한 제조 방법
KR102184087B1 (ko) 듀얼 광(光)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024666B1 (ko)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CN107690292B (zh) 胶质指甲贴及其制作方法
KR102024663B1 (ko) 젤네일 스티커
KR102313488B1 (ko)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158815A1 (ko) 젤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503250B1 (ko) 반경화 코팅막 젤층을 포함하는 젤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7832A (ko) 젤네일 스티커
KR20190017833A (ko)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JP2023078965A (ja) 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を用いた施術方法
KR102292158B1 (ko)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539186B1 (ko)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93644B1 (ko)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0034B1 (ko) 연장 가능한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102494163B1 (ko) 금형을 이용한 연장가능한 완전경화용 젤네일 스티커의 시술방법
KR102569603B1 (ko) 금형을 이용한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102295997B1 (ko)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528810B1 (ko) 젤 네일 스티커
WO2023166977A1 (ja) ネイルシールおよびネイルシールセット
KR102543665B1 (ko) 젤네일의 제조방법
JP7164239B1 (ja) 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を用いた施術方法
KR20240006761A (ko) 네일 아트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41378A (ko)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