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701B1 - 네일 스티커 - Google Patents

네일 스티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701B1
KR102583701B1 KR1020220119369A KR20220119369A KR102583701B1 KR 102583701 B1 KR102583701 B1 KR 102583701B1 KR 1020220119369 A KR1020220119369 A KR 1020220119369A KR 20220119369 A KR20220119369 A KR 20220119369A KR 102583701 B1 KR102583701 B1 KR 102583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sticker
nail
soft layer
stick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준길
안재박
김효섭
Original Assignee
(주)글루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글루가 filed Critical (주)글루가
Priority to PCT/KR2023/00676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2440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10Esters of organic acids
    • C09D101/14Mixed esters, e.g. cellulose acetate-buty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일 스티커에 관한 것으로, 상기 네일 스티커는 경화 가능한 네일 스티커에 있어서, 상기 네일 스티커는 소프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층은 소프트층용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층용 수지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일 스티커{NAIL STICKER}
본 발명은 소프트층을 포함하는 경화 가능한 네일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추구하는 신체적 아름다움의 표현 방식의 하나로 미용 산업은 발달이 가속화되는 동시에 세분화되고 있다. 특히, 20세기 이후 급격한 시장 확대와 함께 일반인들에게 미용 산업은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미용 산업 중에서도, 네일 아트(nail art)는 연령층과 성별의 관계없이 신체에 대한 표현 예술의 필수적인 요소로 최근 급격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래, 네일 아트는 미용 예술의 한 분야로서 인간의 바디를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손톱의 길이나 모양 또는 색깔은 시대의 문화의 변화와 가치를 반영하여 표현되어 왔다.
네일 아트 중에서도 인공적으로 제조한 손톱 또는 발톱 형상의 네일 스티커가 많은 사람들에게 사용되고 있다. 예전에는 손톱 또는 발톱 형상과 같이 곡선을 그리며 휘어진 형상으로 네일 스티커가 제조되어 소비자에게 공급되었다. 다만, 사람마다 손톱 또는 발톱의 모양(특히 곡률)이 상이하므로, 이미 휘어진 형상을 가지는 네일 스티커와 소비자의 손톱 또는 발톱이 밀접하게 점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외선 경화 원료를 포함하는 네일 스티커가 최근 들어 각광을 받고 있다. 구체적으로, 소비자는 자신들의 손톱 또는 발톱에 맞게 상기 네일 스티커를 변형시킨 뒤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네일 스티커를 경화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손톱 또는 발톱과 상기 네일 스티커가 밀접하게 점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네일 스티커의 점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네일 스티커는 젤 네일 스티커라고도 불리운다.
한편, 자외선 경화 가능한 네일 스티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소비자들의 손톱 또는 발톱 모양에 따라 상기 네일 스티커가 부착되는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도 1을 참조하며, 손가락(3) 위의 손톱 또는 발톱(2)이 급격한 곡선(곡률 반경이 작음)을 그리며 휘어진 경우, 손톱 또는 발톱 상면 영역 중 큐티클에 가까운 영역(2a)에서는 상기 네일 스티커가 손톱 또는 발톱과 잘 부착되어 있으나, 손톱 또는 발톱의 끝부분 근처 영역(프리엣지에 가까운 영역, 2b)에서는 상기 네일 스티커가 손톱 또는 발톱과 부착되지 않고 들뜨는 현상(e)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네일 스티커와 손톱 또는 발톱이 원활하게 부착되지 않고 상기 네일 스티커가 들뜨는 경우, 이물질이 들뜬 영역에 쉽게 위치하게 되어 네일 스티커가 오염되고, 소비자가 이물감을 느끼게 되며, 네일 스티커의 부착력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도 2와 같이, 상기 네일 스티커를 손톱에 부착 후 경화시킬 시, 상기 네일 스티커가 지나치게 꺾이게 되어(f) 네일 스티커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손톱 또는 발톱 표면이 지나치게 울퉁불퉁한 경우, 네일 스티커가 부착 시 네일 스티커의 표면도 손톱 또는 발톱의 표면을 따라 지나치게 울퉁불퉁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네일 스티커의 들뜨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네일 스티커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새로운 네일 스티커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1404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네일 스티커와 손톱(또는 발톱) 간의 들뜸 현상을 최소화하여, 네일 스티커의 오염을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이물감을 덜 느낄 수 있게 하는 네일 스티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네일 스티커의 모양이 지나치게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네일 스티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손톱 또는 발톱 표면이 요철을 가지더라도, 부착된 네일 스티커의 표면은 매끄러운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네일 스티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화 가능한 네일 스티커에 있어서, 상기 네일 스티커는 소프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층은 소프트층용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층용 수지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네일 스티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경화 가능한 네일 스티커에 있어서, 상기 네일 스티커는 소프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네일 스티커를 평평한 바닥에 부착한 뒤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할 시 상기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가 증가하는 네일 스티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경화 가능한 네일 스티커에 있어서, 상기 네일 스티커는 소프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네일 스티커를 평평한 바닥에 부착한 뒤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할 시 상기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가 증가하는 네일 스티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경화 가능한 네일 스티커에 있어서, 상기 네일 스티커는 소프트층을 포함하며, 평평한 바닥 상에 배치된 두께가 0.7mm인 직육면체의 기판을 준비하고, 네일 스티커의 전체 길이의 70%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영역이 상기 기판의 평평한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네일 스티커를 상기 기판 상면에 부착하고, 36℃ 온도 분위기에서 상기 네일 스티커 중 상기 기판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하는 부분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38.5N의 힘을 바닥 방향으로 가한 뒤, 상기 힘을 제거하고 36℃에서 30분간 방치 후 측정 시, 상기 네일 스티커 중 상기 기판에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기판을 벗어나 돌출된 부분이 상기 바닥과 접하는 영역과 상기 기판 간의 최단 거리가 1.5mm이하이며, 상기 힘은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전체 면적의 40% 내지 80%에 해당하는 면적에 가해지는 네일 스티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네일 스티커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네일(손톱 또는 발톱) 끝부분에 인접한 소프트층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프트층이 네일 스티커와 네일(손톱 또는 발톱) 사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채워줄 수 있으므로, 네일 스티커의 들뜸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에 의한 네일 스티커의 오염이 줄어들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물감을 덜 느낄 수 있고, 네일 스티커의 점착력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층에 의해 상기 네일 스티커의 지나친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손톱 또는 발톱 표면이 요철을 가지더라도, 부착된 네일 스티커의 표면은 매끄러운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네일 스티커가 네일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네일 스티커가 네일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네일 스티커가 네일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의 평면도(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평평한 바닥에 올려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에 압력을 가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에 압력을 가한 후, 상기 압력을 제거하고 30분 방치했을 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가 네일에 부착된 후, 상기 네일 스티커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가 네일에 부착된 후, 상기 네일 스티커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의 물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1의 네일 스티커를 네일에 부착하지 않은 상태(압력도 가하지 않은 상태)의 사진이다.
도 14는 실시예 1의 네일 스티커에 압력을 수 초간 가한 뒤, 상기 압력을 제거하고 일정 시간 방치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 15는 비교예 1의 네일 스티커를 네일에 부착하지 않은 상태(압력도 가하지 않은 상태)의 사진이다.
도 16은 비교예 1의 네일 스티커에 압력을 수 초간 가한 뒤, 상기 압력을 제거하고 일정 시간 방치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 17은 실시예 1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손톱에 착용한 사진이다.
도 18은 비교예 1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손톱에 착용한 사진이다.
도 19는 실시예 1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손톱에 착용한 뒤, 네일 스티커의 단면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20는 비교예 1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손톱에 착용한 뒤, 네일 스티커의 단면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21은 실시예 1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손톱에서 착용한 뒤, 떼어내고 네일 스티커의 하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2은 비교예 1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손톱에서 착용한 뒤, 떼어내고 네일 스티커의 하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3는 표면에 굴곡이 심한 손톱의 사진이다.
도 24는 실시예 1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도 23의 손톱에서 착용한 사진이다.
도 25은 비교예 1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도 23의 손톱에서 착용한 사진이다.
도 26은 실시예 1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도 23의 손톱에서 착용한 뒤, 떼어내고 네일 스티커의 하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7는 비교예 1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도 23의 손톱에서 착용한 뒤, 떼어내고 네일 스티커의 하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8은 실시예 1의 네일 스티커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단면 사진이다.
도 29는 비교예 1의 네일 스티커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단면 사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에 압력을 가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상”에 배치 또는 위치하는 것은 직접 맞닿은 상태로 대상의 위에 존재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격된 상태로 대상의 위에 배치 또는 위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네일(nail)은 손톱 및/또는 발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측정되는 두께는 keyence의 VHX-970F 장비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떠한 구성의 '최대 두께'란 해당 구성의 하면의 임의의 지점에서 수직한 방향을 따라 측정된 상기 구성의 두께 중, 가장 두꺼운 두께를 의미한다. 압력을 가하기 전 최대 두께가 나타나는 지점과 압력을 가한 후 압력을 제거했을 때 최대 두께가 나타나는 지점을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네일 스티커의 상면은 도7 내지 도 11의 R 방향을 상부 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상부 방향을 향해 노출된 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은 코팅층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네일 스티커의 하면은 도7 내지 도 11의 R' 방향을 하부 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하부 방향을 향해 노출된 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은 기재층(구체적으로 기재층의 점착층)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네일 스티커는 장축과 단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축은 상기 네일 스티커를 네일에 착용할 시 네일이 네일 뿌리에서 네일의 말단(손가락이 끝나는 지점에 인접한 말단)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네일 스티커의 가장 긴 길이에 대응되는 가상의 선분을 포함하는 축에 해당한다(도 4의 A-A'). 여기서 네일 스티커의 길이(100L)란, 네일 스티커를 네일에 착용할 시 네일이 네일 뿌리에서 네일의 말단(손가락이 끝나는 지점에 인접한 말단)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네일 스티커의 크기를 의미하며, 상기 네일 스티커의 길이 방향은 상기 장축과 평행을 이룬다. 상기 단축은 상기 장축에 수직을 이루는 가상의 선분이며(도 4의 B-B'), 상기 네일 스티커의 폭(100W)은 상기 네일 스티커의 단축과 평행을 이룬다. 상기 네일 스티커의 중심부(100a)는 상기 네일 스티커 길이 중 가장 긴 길이가 2등분되는 지점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네일 스티커의 물성을 설명하기 위한 '압력을 가하는 것'은 36℃의 온도 분위기에서 38.5N의 힘을 상기 네일 스티커 상면에 가하는 것이다. 상기 압력은 IMADA사의 push gage 장비를 통해 가해질 수 있으며, 또한 압력 수치가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압력을 가하는 부재의 하면 면적은 예를 들어 177mm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1) 압력이 가해지기 전에 소프트층의 두께가 최대인 지점과 2) 압력이 가해지기 전에 네일 스티커의 두께가 최대인 지점에는 상기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을 가하는 것은 36℃의 온도 분위기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전체 면적의 40% 내지 80%에 해당하는 면적의 영역에 38.5N의 힘을 아래 방향으로 가하는 것일 수 있다.
<네일 스티커>
상기 네일 스티커란, 네일(손톱 및/또는 발톱)에 부착되는 용도로 제조되는 인공적인 적층 구조체를 의미한다. 부착되는 용도를 고려할 시, 네일 아트, 네일 아트 스티커라고도 불린다. 구체적으로, 소비자가 상기 네일 스티커를 공급받으면, 소비자는 상기 네일 스티커를 네일 상에 밀착되도록 상기 네일 스티커의 형태를 변형시켜가며 상기 네일 아트를 네일 상 부착시키며, 이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네일 스티커를 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는 경화 가능한 소프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층은 소프트층용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층용 수지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경화 가능한 네일 스티커를 사용함에 있어서, 네일이 급격한 곡선(곡률 반경이 작음)을 그리며 휘어진 경우, 네일 상면 영역 중 큐티클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상기 네일 스티커가 네일과 잘 부착되어 있으나, 네일의 끝부분 근처 영역(프리엣지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상기 네일 스티커가 네일과 부착되지 않고 들뜨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네일 스티커와 네일이 원활하게 부착되지 않고 상기 네일 스티커가 들뜨는 경우, 이물질이 들뜬 영역에 쉽게 위치하게 되어 네일 스티커가 오염되고, 소비자가 이물감을 느끼게 되며, 네일 스티커의 부착력이 저하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원들은 각고의 노력 끝에 소프트층을 네일 스티커에 포함시켰다. 소프트층이 체온 수준에서 적절한 저장 탄성율과 손실 탄성율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네일 스티커를 붙이는 과정에서 소정의 힘을 주면, 체온에 의해 소프트층이 쉽게 변형되며 변형된 형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네일(또는 발톱)과 네일 스티커 사이의 들뜨는 공간을 소프트층이 채워줄 수 있고, 채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에 의한 네일 스티커의 오염이 줄어들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물감을 덜 느낄 수 있고, 네일 스티커의 점착력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나아가, 네일 스티커의 일부가 네일 영역을 벗어나 연장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연장되어 돌출된 네일 스티커의 일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소프트층이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네일 표면이 요철을 가지더라도, 부착된 네일 스티커의 표면은 매끄러운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소프트층은 소프트층용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층용 수지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네일 스티커를 붙이는 과정에서 소정의 힘을 주면, 네일과 네일 스티커 사이의 들뜨는 공간을 소프트층이 채워줄 수 있으며, 채워진 형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물감을 덜 느끼며, 네일 스티커의 점착력이 높아질 수 있다. 나아가, 네일 스티커의 일부가 네일 영역을 벗어나 연장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연장되어 돌출된 네일 스티커의 일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소프트층이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네일 표면이 요철을 가지더라도, 소정의 힘을 가하여 네일 표면의 오목진 부분 상에는 더 많은 소프트층이 배치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네일 표면이 요철을 가지더라도, 부착된 네일 스티커의 표면은 매끄러운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및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는 다른 물질들에 비해 충격흡수에 우수한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프트층용 수지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소프트층용 수지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일 수 있다. 이 경우, 충격 흡수 능력과 내구성이 우수하며, 소프트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와 혼합될 시 연성이 증가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소프트층의 변형이 충격 흡수 능력 효과에 의해 비가역적인 모습으로 나타나며, 한번 변형된 모습이 보다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층용 수지는 상기 소프트층 내에 10중량% 내지 90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5중량% 내지 75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30중량% 내지 6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소프트층이 체온 수준에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변형된 소프트층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층은 소프트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프트층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폴리 카보네이트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아크릴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프트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자외선에 의한 경화가 용이하며 경화 후에도 소정의 유연한 물성을 가질 수 있어서 유리한다. 또한, 헤이즈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어서 코팅층의 투명성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2 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4 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6 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9 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미원 사 제품인 PU210, PU280, PU640, SC2404, SATOMER 사 제품인 CN 9033, CN 9047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g/mol 내지 1,000,000 g/mol 내지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00 g/mol 내지 10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작업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경우 고반응성을 가지고 있어 고경도 및 연마성 등이 좋고, 경화가 쉽고, 유연성이 우수하며, 산소와의 접촉에도 경화가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관능기 1개 또는 2개의 관능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관능기 1개일 경우 연성을 나타내며, 관능기 수가 높을수록 강성 또는 열적 안정성에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미원 사 제품인 PE210, PE 2120, PE 250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 g/mol 내지 10,000 g/mol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00 g/mol 내지 6,000 g/mol일 수 있다. 소프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과 점도를 고려할 때,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반응성이 우수하고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보다 점착력이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관능기가 4개 또는 6개를 갖는 올리고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미원 사 제품인 PS4040, PS460, PS6300 Etermer 6311-100, 6312-100, 6314C-60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 g/mol 내지 50,000 g/mol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500 g/mol 내지 38,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공정성 및 점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층 내에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층 내에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1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 중량부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을 만족할 시, 공기 중에 상기 소프트층이 노출되어도 급속한 경화가 발생하지 않으며, 네일 스티커 부착 후에도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소프트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는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프트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는 상기 소프트층 내에 10중량% 내지 9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5중량% 내지 75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30중량% 내지 6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소프트층이 자외선 조사 전에는 유연한 물성을 유지하다가, 자외선 조사를 통한 경화 후에는 매우 단단한 물성을 갖는다.
상기 소프트층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 및 상기 소프트층용 수지의 중량비는 10:90 내지 90:10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0:80 내지 80:20, 보다 구체적으로 30:70 내지 70:30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시 소프트층용 수지의 충격흡수 성질과 소프트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의 점성이 혼합되어 외부충격 에너지 흡수 능력이 더욱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소프트층용 광 개시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 개시제는 자외선 광 개시제일 수 있다.
상기 소프트층용 광 개시제는 200nm 내지 600 nm 범위의 흡수 파장 대역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소프트층용 광 개시제는 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 옥사이드(Trimethylbenzoyl Phosphnie oxide),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및 2-벤질-2-(디메틸아미노)-1-[4-4(4-모포리닐)페닐]-1-부타논(2-Benzyl-2-(dimethylamino)-1-[4-(4-morpholinyl)phenyl]-1-butano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프트층용 광 개시제는 상기 소프트층 내에 1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중량% 내지 8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2중량% 내지 7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시, 사용자가 상기 네일 스티커를 경화시킬 시, 상기 네일 스티커가 적절한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는 250㎛ 내지 2500㎛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00㎛ 내지 2400㎛, 보다 구체적으로 600㎛ 내지 2000㎛, 예컨대 1000㎛ 내지 20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시 네일 스티커와 네일 간의 들뜸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소프트층의 일부가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네일 스티커의 일부가 네일 영역을 벗어나 연장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연장되어 돌출된 네일 스티커의 일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소프트층이 지지하는 역할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일 표면이 요철을 가지더라도, 소프트층의 이동에 의해 네일의 오목부 위에는 더 많은 소프트층이 충분히 위치할 수 있으므로, 부착된 네일 스티커의 표면이 더욱 매끄러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소프트층이 외부의 충격에 의하더라도 변화율이 높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효과들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는 상기 소프트층의 하면의 임의의 지점에서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된 상기 소프트층의 두께 중, 가장 두께가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층은 단층일 수도 있고, 이와 달리 2이상의 층들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네일 스티커는 기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층은 상기 기재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기재층(120)의 상면과 상기 소프트층 (110)의 하면은 대향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접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기재층(120) 상에 상기 소프트층(11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상기 네일 스티커가 네일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화학적 점착력을 부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점착층은 상기 네일 스티커의 최 하면을 구성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네일 스티커의 하면은 평평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점착층의 하면이 평평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점착 성분을 포함하며, 이는 당해 분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점착 성분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디자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층은 상기 점착층과 상기 소프트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층은 컬러층 및 인쇄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층은 상기 네일 스티커에 색상을 부여하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무늬 표현을 위한 입자, 운모 등의 심미성을 위한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하면 상에는 기재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은 상기 점착층의 오염을 방지하여 상기 네일 스티커를 사용하기 전까지 점착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네일 스티커 사용 시 제거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기재 필름은 당해 분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일 스티커는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네일 스티커(100) 내에서, 상기 코팅층(130)은 상기 소프트층(1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코팅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 코팅층용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가 상기 코팅층에 포함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네일과 밀착되도록 상기 네일 스티커를 변형시킨 뒤, 자외선을 조사하여 변형된 네일 스티커의 형상대로 네일 스티커를 경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네일 스티커와 네일/발톱이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서로 접합될 수 있으므로, 네일 스티커 점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폴리 카보네이트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아크릴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자외선에 의한 경화가 용이하며 경화 후에도 소정의 유연한 물성을 가질 수 있어서 유리한다. 또한, 헤이즈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어서 코팅층의 투명성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2 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4 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6 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9 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미원 사 제품인 PU210, PU280, PU640, SC2404, SATOMER 사 제품인 CN 9033, CN 9047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g/mol 내지 1,000,000 g/mol 내지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00 g/mol 내지 10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작업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경우 고반응성을 가지고 있어 고경도 및 연마성 등이 좋고, 경화가 쉽고, 유연성이 우수하며, 산소와의 접촉에도 경화가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관능기 1개 또는 2개의 관능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관능기 1개일 경우 연성을 나타내며, 관능기 수가 높을수록 강성 또는 열적 안정성에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미원 사 제품인 PE210, PE 2120, PE 250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 g/mol 내지 10,000 g/mol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00 g/mol 내지 6,000 g/mol일 수 있다.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과 점도를 고려할 때,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반응성이 우수하고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보다 점착력이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관능기가 4개 또는 6개를 갖는 올리고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미원 사 제품인 PS4040, PS460, PS6300 Etermer 6311-100, 6312-100, 6314C-60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 g/mol 내지 50,000 g/mol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500 g/mol 내지 38,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공정성 및 점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 내에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 내에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1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 중량부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을 만족할 시, 공기 중에 상기 코팅층이 노출되어도 급속한 경화가 발생하지 않으며, 네일 스티커 부착 후에도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코팅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는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팅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는 상기 코팅층 내에 10중량% 내지 9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중량% 내지 6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20중량%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코팅층이 자외선 조사 전에는 유연한 물성을 유지하다가, 자외선 조사를 통한 경화 후에는 매우 단단한 물성을 갖는다.
상기 코팅층용 수지는 상기 코팅층의 흐름성을 제어하여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용 수지에 의해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이 적절한 점도를 가질 수 있어서, 상기 코팅층이 목적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용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30 ℃ 내지 200 ℃, 구체적으로 50 ℃ 내지 120 ℃인 열가소성 코팅층용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시 상온에서는 상기 코팅층용 수지의 이동성이 높지 않으나, 네일 스티커 제조 과정에 있어서 건조로 안에서 상기 코팅층용 수지가 상기 자외선 경화 원료와 적절하게 혼합되어, 네일 스티커의 옆 라인이 부드럽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용 수지는 아크릴계 코팅층용 수지, 니트로 셀룰로오스 코팅층용 수지, 에폭시계 코팅층용 수지, 폴리에스테르 코팅층용 수지, 폴리비닐 코팅층용 수지, 우레탄 코팅층용 수지, 및 초산 비닐코팅층용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코팅층용 수지는 아크릴계 코팅층용 수지 및 니트로 셀룰로오스 코팅층용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코팅층용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는 30 ℃ 내지 200 ℃, 구체적으로 50 ℃ 내지 120 ℃일 수 있다. 상기 니트로 셀룰로오스 코팅층용 수지는 한국씨엔씨 HRS 1/8 ~ 20 SS type 1/8 ~ 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트로 셀룰로오스 코팅층용 수지의 질소 함량은 11.5 % 내지 12.2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점도에 따라 1/8초 ~ 20초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낮은 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능하여 고형분 함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용 수지는 상기 코팅층 내에 10중량% 내지 9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5중량% 내지 75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15중량% 내지 7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시 상온에서 취급해도 문제가 없을 정도 끈끈함이 없어지며, 라운드 모양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팅층용 수지는 열경화성 코팅층용 수지와 열 개시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코팅층은 코팅층용 광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개시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 개시제는 자외선 광 개시제일 수 있다.
상기 광 개시제는 200nm 내지 600 nm 범위의 흡수 파장 대역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 개시제는 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 옥사이드(Trimethylbenzoyl Phosphnie oxide),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및 2-벤질-2-(디메틸아미노)-1-[4-4(4-모포리닐)페닐]-1-부타논(2-Benzyl-2-(dimethylamino)-1-[4-(4-morpholinyl)phenyl]-1-butano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 개시제는 상기 코팅층 내에 1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5중량% 내지 8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2중량% 내지 7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시, 사용자가 상기 코팅층을 경화시킬 시, 상기 코팅층이 적절한 경도를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코팅층은 용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용매는 상기 코팅층의 제조를 위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형성할 시 사용된 용매에 해당하며, 상기 코팅층 제조 과정에서 건조에 의해 제거된다. 다만, 상기 코팅층에 일부 용매가 매우 낮은 함량으로 잔류할 수도 있다.
상기 네일 스티커는 상기 코팅층 상에 배치되는 디자인 표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표현층은 무광과 같은 표현을 할 수 있으며, 입체적인 라인 또는 원뿔, 원형돔 등과 같은 후막형 입체도형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는 300㎛ 내지 3000㎛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600㎛ 내지 2800㎛, 보다 구체적으로 700㎛ 내지 26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시 소프트층의 극명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는, 경화 가능한 스티커이며, 상기 네일 스티커는 소프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네일 스티커를 평평한 바닥에 부착한 뒤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할 시 상기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일 스티커는 상술한 네일 스티커와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네일 스티커의 소프트층, 코팅층, 기재층 등은 본 실시예의 네일 스티커에도 동일하게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압력을 가하는 것은 36℃의 온도 분위기에서 38.5N의 힘을 상기 네일 스티커 상면에 가하는 것이다. 상기 압력은 IMADA사의 push gage 장비를 통해 가해질 수 있으며, 또한 압력 수치가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압력을 가하는 부재의 하면 면적은 예를 들어 177mm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1) 압력이 가해지기 전에 소프트층의 두께가 최대인 지점과 2) 압력이 가해지기 전에 네일 스티커의 두께가 최대인 지점에는 상기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을 가하는 것은 36℃의 온도 분위기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전체 면적의 40% 내지 80%에 해당하는 면적의 영역에 38.5N의 힘을 아래 방향으로 가하는 것일 수 있다.
도 8은 상기 압력을 가하는 것을 도식화한 그림이며, 도 30은 압력을 가하는 부재의 하면과 네일 스티커의 상면이 닿는 모습을 위에서 바라본 그림이다.
도 8 및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압력은 상기 소프트층(110)의 최대 두께(A1)가 존재하는 지점과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최대 두께(A2)가 존재하는 지점에는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압력을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Q)에 가해지며, 상기 상면의 일부(Q)에는 상기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가 존재하는 지점과 상기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가 존재하는 지점이 포함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네일 스티커(100)를 평평한 바닥(F1)에 배치한다. 상기 네일 스티커(100)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비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두께가 길이 방향에 있어서 비대칭일 수 있다.
압력을 가할 시, 상기 도 8의 100b에 해당하는 영역 상에 상기 압력을 가하는 부재(P)의 하면(Ps)이 닿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일 말단(100g), 네일 스티커 부착 시 네일의 큐티클 쪽을 향하는 말단)에서부터 상기 일 말단으로부터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길이(100L)의 70%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까지에 대해(도 8의 100b에 해당하는 영역), 상기 압력을 가하는 부재(P)로 압력을 가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압력을 가하는 부재(P)의 하면(Ps)과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상면이 만나는 영역은 상기 네일 스티커의 일 말단(100g)으로부터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길이(100L)의 70%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일 말단(100g)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타 말단(100h)은 일 말단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네일의 프리엣지에 가까운 말단이다.
여기서 '부착'은 상기 네일 스티커의 하면과 상기 평평한 바닥의 상면이 접하도록 상기 네일 스티커를 상기 바닥 상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네일 스티커의 점착층이 상기 바닥의 상면에 점착되도록 하는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은 대리석 바닥일 수 있으며, 상기 네일 스티커의 하면의 넓이 보다 넓은 상면을 가진 기판을 바닥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네일 스티커는 상술한 실시예의 소프트층을 포함하므로, 상기 네일 스티커를 네일에 부착한 뒤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하면, 압력이 가해진 상기 상면의 일부 아래의 소프트층이 인접한 영역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네일 스티커를 평평한 바닥에 배치한 뒤, 도 8에서와 같이 압력을 가하면, 압력이 가해진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의 최대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면의 타부의 아래에 위치한 소프트층 중 적어도 일부는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소프트층을 구성하는 물질들이 위와 같은 성질을 가지는 물질들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도 증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할 시 상기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가 증가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도 증가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네일 스티커를 네일 상에 부착한 뒤, 네일의 끝부분(프리엣지 방향)을 향하여 상기 소프트층의 일부가 이동하도록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프트층의 일부가 네일 스티커의 끝부분을 향하여 이동하여, 네일과 네일 스티커 사이의 들뜨는 공간을 소프트층이 채워줄 수 있으며, 채워진 형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물감을 덜 느끼며, 네일 스티커의 점착력이 높아질 수 있다. 나아가, 네일 스티커의 일부가 네일 영역을 벗어나 연장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연장되어 돌출된 네일 스티커의 일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소프트층이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네일 표면이 요철을 가지더라도, 소정의 힘을 가하여 네일 표면의 오목진 부분 상에는 더 많은 소프트층이 배치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네일 표면이 요철을 가지더라도, 부착된 네일 스티커의 표면은 매끄러운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네일 스티커에 있어서, 하기 식 1에 따른 상기 소프트층의 두께 증가율이 2%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프트층의 두께 증가율은 3%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3% 내지 30%일 수 있으며, 예컨대 5% 내지 20%일 수 있다.
[식 1]
소프트층의 두께 증가율 = [(A2-A1)/A1]×100
상기 A1은, 바닥에 부착된 상기 네일 스티커에 상기 압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측정된 상기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이며, 상기 A2는, 상기 압력을 3초간 가하고, 상기 압력을 제거한 뒤 30분간 상기 네일 스티커를 방치한 후에 측정한 상기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이다. 상기 압력은, 36℃의 온도 분위기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전체 면적의 40% 내지 80%에 해당하는 면적의 영역에 38.5N의 힘을 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을 가하는 것은 36℃의 온도 분위기에서 38.5N의 힘을 상기 네일 스티커 상면에 가하는 것이다. 상기 압력은 IMADA사의 push gage 장비를 통해 가해질 수 있으며, 또한 압력 수치가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압력을 가하는 부재의 하면 면적은 예를 들어 177mm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1) 압력이 가해지기 전에 소프트층의 두께가 최대인 지점과 2) 압력이 가해지기 전에 네일 스티커의 두께가 최대인 지점에는 상기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을 가하는 것은 36℃의 온도 분위기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전체 면적의 40% 내지 80%, 구체적으로 50% 내지 70%, 예컨대 60%에 해당하는 면적의 영역에 38.5N의 힘을 아래 방향으로 가하는 것일 수 있다.
도 8은 상기 압력을 가하는 것을 도식화한 그림이며, 도 30은 압력을 가하는 부재의 하면과 네일 스티커의 상면이 닿는 모습을 도식화한 그림이다.
도 8 및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압력은 상기 소프트층(110)의 최대 두께(A1)가 존재하는 지점과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최대 두께(A2)가 존재하는 지점에는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압력을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에 가해지며, 상기 상면의 일부에는 상기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가 존재하는 지점과 상기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가 존재하는 지점이 포함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네일 스티커(100)를 평평한 바닥(F1)에 배치한다. 상기 네일 스티커(100)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비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두께가 길이 방향에 있어서 비대칭일 수 있다.
압력을 가할 시, 상기 도 8의 100b에 해당하는 영역 상에 상기 압력을 가하는 부재(P)의 하면(Ps)이 닿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일 말단(100g, 네일 스티커 부착 시 네일의 큐티클 쪽을 향하는 말단)에서부터 상기 일 말단으로부터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길이(100L)의 70%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까지에 대해(도 8의 100b에 해당하는 영역), 상기 압력을 가하는 부재(P)로 압력을 가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압력을 가하는 부재(P)의 하면(Ps)과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상면이 만나는 영역은 상기 네일 스티커의 일 말단(100g)으로부터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길이(100L)의 70%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일 말단(100g)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착'은 상기 네일 스티커의 하면과 상기 평평한 바닥의 상면이 접하도록 상기 네일 스티커를 상기 바닥 상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네일 스티커의 점착층이 상기 바닥의 상면에 점착되도록 하는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은 대리석 바닥일 수 있으며, 상기 네일 스티커의 하면의 넓이 보다 넓은 상면을 가진 기판을 바닥으로 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네일 스티커는 상술한 네일 스티커와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네일 스티커의 소프트층, 코팅층, 기재층 등은 본 실시예의 네일 스티커에도 동일하게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층의 두께 증가율 범위를 만족한다는 것은 상기 네일 스티커 상면에 압력이 가해질 시 소프트층이 네일 스티커 내부에서 이동하게 되어,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가 증가할 수 있고, 상기 압력을 제거하더라도 변형된 소프트층이 그 모양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네일 스티커를 평평한 바닥에 배치한 뒤, 도 8에서와 같이 압력을 가하면, 압력이 가해진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의 최대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네일 스티커는 네일 스티커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도 4의 A-A'을 따라서 확인한 단면), 압력을 가하기전에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가 나타나는 지점이 네일 스티커의 일 말단 쪽으로 치우쳐져서 네일 스티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네일 스티커의 두께가 비대칭일 수 있다. 이 경우, 네일 스티커 상면의 중심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네일 스티커 내의 소프트층의 대부분이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네일 스티커의 일 말단에 인접한 영역에서 최대 두께가 나타나며, 압력을 가하기 전의 최대 두께와 비교하여 그 수치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압력이 제거되고 일정 시간 네일 스티커가 방치되더라도, 변형되었던 네일 스티커가 원래의 모양으로 쉽게 돌아오지 않는다.
이러한 네일 스티커의 물성이 가지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이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할 시 상기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가 증가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네일 스티커를 네일 상에 부착한 뒤, 네일의 끝부분(프리엣지 방향)을 향하여 상기 소프트층의 일부가 이동하도록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여기서 최대 두께가 증가한다는 것은 압력이 가해지는 영역의 두께가 증가한다는 것이 아니며, 압력이 가해지는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의 두께 중에서 상기 소프트층의 가장 큰 두께 수치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압력을 가하기 전과 가한 후의 최대 두께가 나타나는 지점도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프트층의 일부가 네일 스티커의 끝부분을 향하여 이동하여, 네일과 네일 스티커 사이의 들뜨는 공간을 소프트층이 채워줄 수 있으며, 채워진 형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물감을 덜 느끼며, 네일 스티커의 점착력이 높아질 수 있다. 나아가, 네일 스티커의 일부가 네일 영역을 벗어나 연장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연장되어 돌출된 네일 스티커의 일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소프트층이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네일 표면이 요철을 가지더라도, 소정의 힘을 가하여 네일 표면의 오목진 부분 상에는 더 많은 소프트층이 배치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네일 표면이 요철을 가지더라도, 부착된 네일 스티커의 표면은 매끄러운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층의 두께 증가율 범위를 만족한다는 것은, 상술한 효과들이 사용자가 네일을 사용하는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잘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는, 경화 가능한 네일 스티커이며, 상기 네일 스티커는 소프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네일 스티커를 평평한 바닥에 부착한 뒤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할 시 상기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일 스티커는 상술한 네일 스티커와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네일 스티커의 소프트층, 코팅층, 기재층 등은 본 실시예의 네일 스티커에도 동일하게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압력을 가하는 조건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에 있어서, 식 1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네일 스티커는 상술한 실시예의 소프트층을 포함하므로, 상기 네일 스티커를 네일에 부착한 뒤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하면, 압력이 가해진 상기 상면의 일부 아래의 소프트층이 인접한 영역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네일 스티커를 평평한 바닥에 배치한 뒤, 도 8에서와 같이 압력을 가하면, 압력이 가해진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의 최대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면의 타부의 아래에 위치한 소프트층 중 적어도 일부는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소프트층을 구성하는 물질들이 위와 같은 성질을 가지는 물질들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도 증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할 시 상기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가 증가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도 증가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네일 스티커를 네일 상에 부착한 뒤, 네일의 끝부분(프리엣지 방향)을 향하여 상기 소프트층의 일부가 이동하도록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프트층의 일부가 네일 스티커의 끝부분을 향하여 이동하여, 네일과 네일 스티커 사이의 들뜨는 공간을 소프트층이 채워줄 수 있으며, 채워진 형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물감을 덜 느끼며, 네일 스티커의 점착력이 높아질 수 있다. 나아가, 네일 스티커의 일부가 네일 영역을 벗어나 연장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연장되어 돌출된 네일 스티커의 일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소프트층이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네일 표면이 요철을 가지더라도, 소정의 힘을 가하여 네일 표면의 오목진 부분 상에는 더 많은 소프트층이 배치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네일 표면이 요철을 가지더라도, 부착된 네일 스티커의 표면은 매끄러운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네일 스티커에 있어서, 하기 식 2에 따른 상기 네일 스티커의 두께 증가율이 2%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일 스티커의 두께 증가율은 3%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3% 내지 30%일 수 있으며, 예컨대 5% 내지 20%일 수 있다.
[식 2]
네일 스티커의 두께 증가율 = [(B2-B1)/B1]×100
상기 B1은 바닥에 부착된 상기 네일 스티커에 상기 압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측정된 상기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이며, 상기 B2는, 상기 압력을 3초간 가하고, 상기 압력을 제거한 뒤 30분간 상기 네일 스티커를 방치한 후에 측정한 상기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이며, 상기 압력은, 36℃의 온도 분위기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전체 면적의 40% 내지 80%에 해당하는 면적의 영역에 38.5N의 힘을 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일 스티커는 상술한 네일 스티커와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네일 스티커의 소프트층, 코팅층, 기재층 등은 본 실시예의 네일 스티커에도 동일하게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압력을 가하는 조건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에 있어서, 식 1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네일 스티커의 두께 증가율 범위를 만족한다는 것은 상기 네일 스티커 상면에 압력이 가해질 시 소프트층이 네일 스티커 내부에서 이동하게 되어,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가 증가할 수 있고, 상기 압력을 제거하더라도 변형된 소프트층이 그 모양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네일 스티커를 평평한 바닥에 배치한 뒤, 도 8에서와 같이 압력을 가하면, 압력이 가해진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의 최대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네일 스티커는 네일 스티커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도 4의 A-A'을 따라서 확인한 단면), 압력을 가하기전에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가 나타나는 지점이 네일 스티커의 일 말단 쪽으로 치우쳐져서 네일 스티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네일 스티커의 두께가 비대칭일 수 있다. 이 경우, 네일 스티커 상면의 중심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네일 스티커 내의 소프트층의 대부분이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네일 스티커의 일 말단에 인접한 영역에서 최대 두께가 나타나며, 압력을 가하기 전의 최대 두께와 비교하여 그 수치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압력이 제거되고 일정 시간 네일 스티커가 방치되더라도, 변형되었던 네일 스티커가 원래의 모양으로 쉽게 돌아오지 않는다.
이러한 네일 스티커의 물성이 가지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이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할 시 상기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가 증가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네일 스티커를 네일 상에 부착한 뒤, 네일의 끝부분(프리엣지 방향)을 향하여 상기 소프트층의 일부가 이동하도록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여기서 최대 두께가 증가한다는 것은 압력이 가해지는 영역의 두께가 증가한다는 것이 아니며, 압력이 가해지는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의 두께 중에서 상기 소프트층의 가장 큰 두께 수치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압력을 가하기 전과 가한 후의 최대 두께가 나타나는 지점도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프트층의 일부가 네일 스티커의 끝부분을 향하여 이동하여, 네일과 네일 스티커 사이의 들뜨는 공간을 소프트층이 채워줄 수 있으며, 채워진 형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물감을 덜 느끼며, 네일 스티커의 점착력이 높아질 수 있다. 나아가, 네일 스티커의 일부가 네일 영역을 벗어나 연장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연장되어 돌출된 네일 스티커의 일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소프트층이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네일 표면이 요철을 가지더라도, 소정의 힘을 가하여 네일 표면의 오목진 부분 상에는 더 많은 소프트층이 배치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네일 표면이 요철을 가지더라도, 부착된 네일 스티커의 표면은 매끄러운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층의 두께 증가율 범위를 만족한다는 것은, 상술한 효과들이 사용자가 네일을 사용하는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잘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는 경화 가능하며, 상기 네일 스티커는 소프트층을 포함하며, 평평한 바닥 상에 배치된 두께가 0.7mm인 직육면체의 기판을 준비하고, 네일 스티커의 전체 길이의 70%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영역이 상기 기판의 평평한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네일 스티커를 상기 기판 상면에 부착하고, 36℃ 온도 분위기에서 상기 네일 스티커 중 상기 기판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하는 부분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38.5N의 힘을 바닥 방향으로 가한 뒤, 상기 힘을 제거하고 36℃에서 30분간 방치 후 측정 시, 상기 네일 스티커 중 상기 기판에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기판을 벗어나 돌출된 부분이 상기 바닥과 접하는 영역과 상기 기판 간의 최단 거리가 1.5mm이하이며, 상기 힘은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전체 면적의 40% 내지 80%에 해당하는 면적의 영역에 가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최단 거리(D)는 0mm 내지 1.3mm, 보다 구체적으로 0mm 내지 1.0mm를 만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프트층은 상술한 실시예의 네일 스티커에 있어서 설명한 소프트층과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네일 스티커 역시 상술한 실시예의 네일 스티커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기재층, 소프트층, 코팅층 등, 상술한 네일 스티커에서 설명한 모든 구성이 본 실시예의 네일 스티커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내용에 관하여, 도 12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평한 바닥(F) 상에 기판(S)을 배치한다. 기판(S)은 직육면체일 수 있으며, 기판(S)은 소정의 두께(T)를 가지며 두께는 0.7mm일 수 있다.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일부가 상기 기판(S)과 상하 방향(H)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일부를 상기 기판(S) 상에 부착시킨다. 이 때,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일부의 길이는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전체 길이의 70%일 수 있다. 여기서 전체 길이는, 도 2를 참조할 때, A-A'방향에 있어서 네일 스티커의 최장 길이를 의미하며,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일부의 길이란 A-A'방향에 있어서의 네일 스티커의 전체 길이 중 일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네일 스티커(100)의 일부를 상기 기판(S) 상에 부착시키면, 네일 스티커(100) 중 상기 기판(S)에 상하 방향(H)으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기판(S)을 벗어나 돌출된 부분(100p)가 존재하게 되며, 돌출된 부분(100p)의 길이는 네일 스티커의 전체 길이의 30%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된 부분(100p)은 바닥(F)을 향해 휘어져서, 바닥(F)과 접하게 되는 영역을 가지게 된다. 상기 압력을 제거하고 36℃에서 30분간 방치 후 측정 시, 상기 영역과 상기 기판(S)과의 최단 거리(D)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압력이 가해지기 전, 상기 네일 스티커(100)의 두께가 최대인 지점은 상기 돌출된 부분(100p)에 속할 수 있다. 상기 힘은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전체 면적의 40% 내지 80%, 구체적으로 50% 내지 70%, 예컨대 60%에 해당하는 면적의 영역에 가해질 수 있다.
상기 힘을 가하는 것은 36℃의 온도 분위기에서 38.5N의 힘을 상기 네일 스티커 상면의 일부에 가하는 것이다. 상기 압력은 IMADA사의 push gage 장비를 통해 가해질 수 있으며, 또한 압력 수치가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압력을 가하는 부재의 하면 면적은 예를 들어 177mm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최단 거리(D)가 1.5mm 이하인 특징은, 네일 스티커가 소프트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달성 가능하다. 압력이 네일 스티커의 상면에 가해지면 네일 스티커 내부의 소프트층이 변형되어 바닥을 향하여 일부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단 거리(D)가 지나치게 크지 않은 상태로 상기 돌출된 부분(100a)이 바닥(F)과 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네일 스티커가 사용자의 네일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큰 효과를 가진다. 즉, 사용자가 네일 스티커(100)를 네일에 붙이는 과정에서 소정의 힘을 주면, 네일과 네일 스티커 사이의 들뜨는 공간을 상기 소프트층이 효과적으로 채워주게 된다. 이에 따라, 이물질에 의한 네일 스티커의 오염이 줄어들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물감을 덜 느낄 수 있고, 네일 스티커의 점착력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나아가, 네일 스티커의 일부가 네일영역을 벗어나 연장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연장되어 돌출된 네일 스티커의 일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소프트층이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네일 표면이 요철을 가지더라도, 부착된 네일 스티커의 표면은 매끄러운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반대로, 최단 거리(D)가 1.5mm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큰 경우, 소프트층의 변형이 발생되기 어려운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자가 네일 스티커(100)를 네일에 붙이는 과정에서 소정의 힘을 주더라도, 상기 소프트층이 네일과 네일 스티커 사이의 들뜨는 공간을 채우기 어렵다. 또한, 상기 소프트층의 이동이 어려우므로, 네일 표면의 요철 형태가 네일 스티커 표면에 고스란히 반영되어, 네일 스티커의 표면 역시 울퉁불퉁한 모양을 가지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네일 스티커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상기 실시예는 본 기재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기재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기재층(두께: 150㎛), 상기 기재층 상에 배치된 소프트층(최대두께: 1380.3 ㎛), 상기 소프트층 상에 배치된 코팅층(최대두께:65 ㎛)을 포함하는 네일 스티커를 준비하였다. 상기 기재층은 점착층(최대 두께:50 ㎛) 및 상기 점착층 상에 배치된 인쇄층(최대 두께:100 ㎛)을 포함하였다. 상기 점착층은 상기 네일 스티커의 하면을 구성하였다.
상기 소프트층은 소프트층용 수지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를 60중량%, 소프트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38중량%, 소프트층용 광 개시제인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를 2중량%로 포함하였다.
상기 코팅층은 코팅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코팅층용 광 개시제인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 코팅층용 수지인 니트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였다.
비교예 1
기재층(두께: 150㎛), 상기 기재층 상에 배치된 제1 코팅층(최대두께: 1182.6 ㎛), 상기 제1 코팅층 상에 배치된 제2 코팅층(최대두께:65 ㎛)을 포함하는 네일 스티커를 준비하였다. 상기 기재층은 점착층(최대 두께:50 ㎛) 및 상기 점착층 상에 배치된 인쇄층(최대 두께:100 ㎛)을 포함하였다. 상기 점착층은 상기 네일 스티커의 하면을 구성하였다.
상기 제1 코팅층은 제1 코팅충용 수지인 니트로셀룰로오스 60중량%, 제1 코팅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38중량%, 제1 코팅층용 광 개시제인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를 2중량%로 포함하였다.
상기 제2 코팅층은 제2 코팅충용 자외선 경화 원료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제2 코팅층용 광 개시제인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 제2 코팅층용 수지인 니트로셀룰로오스를 포함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네일 스티커 각각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물성을 확인하였다.
평평한 바닥 상에 배치된 두께가 0.7mm인 직육면체의 기판을 준비하고, 네일 스티커의 전체 길이의 70%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영역을 상기 기판의 평평한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네일 스티커의 일부를 상기 기판 상면에 부착하고, 36℃의 온도 분위기에서 38.5N의 힘을 네일 스티커와 상기 기판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된 영역에(상기 네일 스티커 상면의 전체 면적의 60%에 해당하는 면적의 영역) 3초 간 가한 뒤, 상기 압력을 제거하고 36℃에서 30분간 네일 스티커를 방치하였다. 이 후 상기 네일 스티커 중 상기 기판에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기판을 벗어나 도출된 부분이 상기 바닥과 접하는 영역과 상기 기판 간의 최단 거리를 측정하였다.
도 28은 실시예 1의 실험 결과를, 도 29는 비교예 1의 실험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최단 거리(mm)
실시예 1 0.845
비교예 1 3.617
실험예 2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네일 스티커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각각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13은 실시예 1의 네일 스티커의 하면이 평평한 바닥의 상면을 향하도록, 네일 스티커의 점착층을 평평한 바닥의 상면에 부착한 상태이며, 이 후 압력을 가하기 전의 단면 사진이다. 도 14는, 36℃ 온도 분위기에서, 도 13과 같이 바닥 상에 부착된 실시예 1의 네일 스티커에 대해 177mm2의 면적의 하면(원형)을 가지는 압력 부재를 통해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상면 전체 면적의 60%에 해당하는 면적의 영역이되, 상기 네일 스티커 및 소프트층의 두께가 최대인 지점을 포함하지 않음)에 38.5N의 힘을 3초간 가한 뒤, 상기 힘을 제거하고 36℃ 온도 분위기에서 30분간 상기 네일 스티커를 방치하고 촬영한 단면 사진이다. 도 13과 도 14의 단면은 모두 도 4의 A-A'을 따라 네일 스티커를 잘랐을 때의 단면에 해당한다. 도 13 및 도 14를 통해 측정된 최대 두께 및 두께 변화율 정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같은 방식으로 비교예 1에 대해서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도 15는 비교예 1의 네일 스티커의 하면이 평평한 바닥의 상면을 향하도록, 네일 스티커의 점착층을 평평한 바닥의 상면에 부착한 상태이며, 이 후 압력을 가하기 전의 단면 사진이다. 도 16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조건으로 압력을 가한 후 압력을 제거하고 방치한 뒤 촬영한 단면 사진이다.
실시예 1 비교예 1
소프트층 네일 스티커 제1코팅층 네일 스티커
압력을 가하기 전의 최대 두께(㎛) A1: 1308.5 B1: 1516.7 A1: 1182.6 B1: 1394.9
압력을 제거하고 일정 시간 방치 후 최대 두께(㎛) A2: 1380.3 B2: 1597.6 A2: 1182.6 B2: 1394.9
두께 증가율(%) 5.49 5.33 0 0
상기 소프트층의 두께 변화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식 1]
소프트층의 두께 증가율(%) = [(A2-A1)/A1]×100
상기 A1은 바닥에 부착된 상기 네일 스티커에 상기 압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측정된 상기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이며, 상기 A2는, 상기 압력을 3초간 가하고, 상기 압력을 제거한 뒤 30분간 상기 네일 스티커를 방치한 후에 측정한 상기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이며, 상기 압력은, 36℃의 온도 분위기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전체 면적의 60%에 해당하는 면적의 영역에 38.5N의 힘을 가하는 것으로 적용되었다. 한편, 상기 식 1을 비교예 1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비교예 1의 제1 코팅층을 실시예 1의 소프트층에 대응시켰다.
상기 네일 스티커의 두께 변화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식 2]
네일 스티커의 두께 증가율 = [(B2-B1)/B1]×100
상기 B1은 바닥에 부착된 상기 네일 스티커에 상기 압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측정된 상기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이며, 상기 압력을 3초간 가하고, 상기 압력을 제거한 뒤 30분간 상기 네일 스티커를 방치한 후에 측정한 상기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이며, 상기 압력은, 36℃의 온도 분위기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전체 면적의 60%에 해당하는 면적의 영역에 38.5N의 힘을 가하는 것으로 적용되었다.
실험예 3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네일 스티커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각각 실험을 진행하였다.
굴곡진 네일 표면과 네일 스티커의 하면(점착층이 노출된 면)이 접하도록, 굴곡진 네일 표면 상에 네일 스티커를 위치시킨 뒤, 손가락으로 소정의 힘을 주어 네일 스티커를 네일에 붙였다. 이 후, 1,800mmJ/cm2 이상의 광량, 6W의 출력, 5V/1.2A의 정격전압의 조건에서, 395nm의 파장대를 가진 자외선을 45초 동안 2회 조사하여, 네일 스티커를 경화시켰다.
이를 도 17(실시예 1의 네일 스티커)과 도 18(비교예 1의 네일 스티커)로 나타내었다.
도 17을 보면 네일 스티커의 표면이 파인 곳 없이 매끈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18을 보면 네일 스티커의 표면 중 네일 끝부분 근처 위에 위치한 영역의 일부가 움푹 파여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 1의 경우, 네일 스티커를 네일에 붙이는 과정에서 소프트층의 일부가 네일 끝 부분 쪽으로 이동하여 네일 끝 부분 근처에서 소프트층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두꺼워진 소프트층이 네일과 네일 스티커 간에 이격된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도 19(실시예 1의 네일 스티커의 단면)과 도 20(비교예 1의 네일 스티커의 단면)을 보면 더욱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9를 보면 실시예 1의 네일 스티커는 네일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된 영역에 있어서 네일에 최대한 밀접하게 붙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네일의 끝 부분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네일과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네일 스티커 내부의 소프트층이 네일 끝 부분으로 쏠리듯 이동하여, 네일 스티커와 네일이 지속적으로 접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반면 도 20을 보면, 비교예 1의 네일 스티커는 네일의 끝 부분 근처에서부터 네일과 붙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한편,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대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네일 스티커를 부착하고 경화시킨 뒤, 네일 스티커를 떼어내고, 네일 스티커의 하면을 관찰하였다. 도 21는 실시예 1의 네일 스티커의 하면이고 도 22은 비교예 1의 네일 스티커의 하면이다.
도 21를 보면, 실시예 1의 경우 소프트층이 네일 끝 부분을 향하여 이동하여 중간에 주변부보다 두꺼운 네일 스티커의 일부분이 네일 라인처럼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부분들에 의해 네일과 네일 스티커가 효과적으로 접하며, 네일 스티커의 모양이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22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의 네일 스티커의 경우 하면에 층의 이동에 의해 나타나는 두꺼운 부분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예 5
도 23은 표면에 굴곡이 심한 네일의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23의 네일은 네일 상면은 볼록하게 튀어나온 부분을 포함한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 각각의 네일 스티커를 도 23의 네일에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부착하고 경화시켰다.
도 24를 참조하면, 네일 표면에 굴곡이 심하더라도, 실시예 1의 네일 스티커의 상면에는 그러한 요철 형태가 나타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 1의 네일 스티커 내에서 소프트층이 효과적으로 이동하여(도 11의 단면도 참조), 네일 스티커의 표면이 매끄러운 모양을 가지도록 소프트층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도 25를 참조하면, 소프트층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네일 스티커의 경우, 네일 스티커의 상면에 네일 표면의 굴곡이 고스란히 나타나는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5의 네일 스티커 상면은 네일 상면의 볼록한 부분에 대응되는 볼록한 영역을 포함한다.
실험예 6
도 23는 표면에 굴곡이 심한 네일의 사진이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 각각의 네일 스티커를 도 23의 네일에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부착하고 경화시켰다. 이 후, 네일 스티커를 떼어낸 뒤 하면을 관찰하였다.
도 27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의 네일 스티커의 경우, 네일 스티커의 하면이 네일의 오목진 영역과는 접하기 어려우므로, 네일 표면과 이격된 네일 스티커의 하면의 일부 영역은 점착층의 매끈한 영역이 일부 고스란히 남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매끈하지 않은 영역은 네일과 점착층이 접하면서 점착층의 점착 성분들이 서로 응집되어 그물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도 26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네일 스티커의 경우, 소프트층의 이동에 따라 네일 스티커의 하면이 네일의 오목진 영역을 효과적으로 채울 수 있으므로, 네일 스티커 하면에는 매끈한 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1: 종래의 네일 스티커
2: 네일
3: 손가락
100: 네일 스티커
110: 소프트층
120: 기재층
130: 코팅층
S: 기판
F1, F2: 바닥

Claims (14)

  1. 경화 가능한 네일 스티커에 있어서,
    상기 네일 스티커는 소프트층, 기재층 및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층은 상기 기재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소프트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소프트층은 소프트층용 수지, 소프트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 및 소프트층용 광 개시제를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층용 수지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층용 광 개시제는 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 옥사이드(Trimethylbenzoyl Phosphnie oxide),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및 2-벤질-2-(디메틸아미노)-1-[4-4(4-모포리닐)페닐]-1-부타논(2-Benzyl-2-(dimethylamino)-1-[4-(4-morpholinyl)phenyl]-1-butano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는 상기 소프트층 내에 30중량% 내지 65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소프트층용 광 개시제는 상기 소프트층 내에 2중량% 내지 7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네일 스티커를 평평한 바닥에 부착한 뒤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할 시 상기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가 증가하는, 네일 스티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층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네일 스티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코팅층용 자외선 경화 원료 및 코팅층용 수지를 포함하는 네일 스티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일 스티커는 자외선 조사 시 경화되는 네일 스티커.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하기 식 1에 따른 상기 소프트층의 두께 증가율이 2% 이상인 네일 스티커.
    [식 1]
    소프트층의 두께 증가율 = [(A2-A1)/A1]×100
    상기 A1은 바닥에 부착된 상기 네일 스티커에 상기 압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측정된 상기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이며,
    상기 A2는, 상기 압력을 3초간 가하고, 상기 압력을 제거한 뒤 36℃의 온도 분위기에서 30분간 상기 네일 스티커를 방치한 후에 측정한 상기 소프트층의 최대 두께이며,
    상기 압력은, 36℃의 온도 분위기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전체 면적의 40% 내지 80%에 해당하는 면적의 영역에 38.5N의 힘을 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기 식 2에 따른 상기 네일 스티커의 두께 증가율이 2% 이상인 네일 스티커.
    [식 2]
    네일 스티커의 두께 증가율 = [(B2-B1)/B1]×100
    상기 B1은 바닥에 부착된 상기 네일 스티커에 상기 압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측정된 상기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이며,
    상기 B2는, 상기 압력을 3초간 가하고, 상기 압력을 제거한 뒤 36℃의 온도 분위기에서 30분간 상기 네일 스티커를 방치한 후에 측정한 상기 네일 스티커의 최대 두께이며,
    상기 압력은, 36℃의 온도 분위기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전체 면적의 40% 내지 80%에 해당하는 면적의 영역에 38.5N의 힘을 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14. 청구항 1에 있어서,
    평평한 바닥 상에 배치된 두께가 0.7mm인 직육면체의 기판을 준비하고, 네일 스티커의 전체 길이의 70%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영역이 상기 기판의 평평한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네일 스티커를 상기 기판 상면에 부착하고, 36℃ 온도 분위기에서 상기 네일 스티커 중 상기 기판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하는 부분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38.5N의 힘을 바닥 방향으로 가한 뒤, 상기 힘을 제거하고 36℃에서 30분간 방치 후 측정 시, 상기 네일 스티커 중 상기 기판에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기판을 벗어나 돌출된 부분이 상기 바닥과 접하는 영역과 상기 기판 간의 최단 거리가 1.5mm이하이며,
    상기 힘은 상기 네일 스티커의 상면의 전체 면적의 40% 내지 80%에 해당하는 면적의 영역에 가해지는 네일 스티커.
KR1020220119369A 2022-05-20 2022-09-21 네일 스티커 KR102583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6765 WO2023224406A1 (ko) 2022-05-20 2023-05-18 네일 스티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62244 2022-05-20
KR1020220062244 2022-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701B1 true KR102583701B1 (ko) 2023-10-04

Family

ID=8829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369A KR102583701B1 (ko) 2022-05-20 2022-09-21 네일 스티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3701B1 (ko)
WO (1) WO202322440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1929A (ja) * 2016-01-14 2019-01-24 レブロン コンシューマー プロダクツ コーポレイション キャップ付きオリゴマーを含むネイル組成物
KR20190014044A (ko) 2019-01-29 2019-02-11 (주)글루가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84358A (ko) * 2019-12-27 2021-07-07 (주)글루가 네일 아트 및 상기 네일 아트의 제조 방법
JP2022021394A (ja) * 2020-07-22 2022-02-03 十条ケミカル株式会社 光硬化性ジェルネイル用組成物、及びジェルネイ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786Y1 (ko) * 2003-09-04 2004-01-24 조점섭 박판을 구비한 인조손톱
KR102567955B1 (ko) * 2020-06-22 2023-08-18 주식회사 젤라또랩 반경화형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1929A (ja) * 2016-01-14 2019-01-24 レブロン コンシューマー プロダクツ コーポレイション キャップ付きオリゴマーを含むネイル組成物
KR20190014044A (ko) 2019-01-29 2019-02-11 (주)글루가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84358A (ko) * 2019-12-27 2021-07-07 (주)글루가 네일 아트 및 상기 네일 아트의 제조 방법
JP2022021394A (ja) * 2020-07-22 2022-02-03 十条ケミカル株式会社 光硬化性ジェルネイル用組成物、及びジェルネイ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4406A1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90292B (zh) 胶质指甲贴及其制作方法
KR102184087B1 (ko) 듀얼 광(光)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US4682612A (en) Novel process and article for preparing artificial nails
KR102208444B1 (ko)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66629B1 (ko) 젤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308728B1 (ko) 젤 네일 라벨 및 그의 제조방법
JP7164238B1 (ja) 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を用いた施術方法
KR102567955B1 (ko) 반경화형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KR102340677B1 (ko) 네일 아트용 접착제 및 네일 아트
KR20210084358A (ko) 네일 아트 및 상기 네일 아트의 제조 방법
KR102583701B1 (ko) 네일 스티커
KR102506128B1 (ko)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의 제조방법
KR102304140B1 (ko) 네일 아트 및 상기 네일 아트의 제조 방법
KR102304141B1 (ko) 네일 아트의 제조 방법
KR102583702B1 (ko) 네일 스티커, 상기 네일 스티커의 제조 방법, 상기 네일 스티커를 포함하는 네일 스티커 세트
KR102415498B1 (ko) 네일용 장식물
KR20230063190A (ko) 상부에 네일용 파츠가 결합되어 있는 네일아트용 반경화 스티커
KR102282916B1 (ko) 네일 아트용 접착제 및 네일 아트
KR102515075B1 (ko)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CN118119319A (zh) 指甲贴、所述指甲贴的制备方法、包括所述指甲贴的指甲贴套件
JP7344621B1 (ja) ジェルネイルシールおよびジェルネイルシールセット
KR102528810B1 (ko) 젤 네일 스티커
KR20240006761A (ko) 네일 아트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JPH0493245A (ja) 成形用ハードコー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43664B1 (ko) 젤네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