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498B1 - 네일용 장식물 - Google Patents

네일용 장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498B1
KR102415498B1 KR1020220023955A KR20220023955A KR102415498B1 KR 102415498 B1 KR102415498 B1 KR 102415498B1 KR 1020220023955 A KR1020220023955 A KR 1020220023955A KR 20220023955 A KR20220023955 A KR 20220023955A KR 102415498 B1 KR102415498 B1 KR 102415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nail
decoration
pattern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02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은, 점착력을 가지며 이형필름 제거시 네일(nail) 외면에 부착되는 점착층과, 색상, 무늬, 문자, 패턴, 금속질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데코레이션부와, 상기 점착층과 데코레이션부 사이에 데코레이션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게재된 데코가능층과, 상기 데코레이션부 외면에서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데코레이션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탑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네일용 장식물{Decoration for nail}
본 발명은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으로, 필름을 포함하지 않아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관이 수려하고 데코레이션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 충격이나 긁힘 등에 대하여 내구성을 갖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UV 조사시에 경화하는 탑코팅층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톱에 들뜸없이 밀착된 상태로 성형 가능한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패턴과 증착 및 색상 인쇄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패턴을 가지면서 색상 또는 금속질감을 선택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추구하는 신체적 아름다움의 표현 방식의 하나로 미용 산업은 발달이 가속화되는 동시에 세분화되고 있다. 특히 20세기 이후 급격한 시장 확대와 함께 일반인들에게 미용 산업은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미용 산업 중에서도, 네일 아트(nail art)는 연령층과 성별의 관계없이 신체에 대한 표현 예술의 필수적인 요소로 최근 급격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네일아트는 미용 예술의 한 분야로서 인간의 바디를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네일의 길이나 모양 또는 색깔은 시대의 문화의 변화와 가치를 반영하여 표현되어 왔다.
종래의 네일아트는 다양한 컬러의 매니큐어와 같은 안료 등을 손톱 또는 발톱에 도포한 후 이를 UV램프를 이용하여 강제로 경화시키는 UV 젤 네일이 각광 받고 있다.
UV 젤은 자외선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것으로 다양한 장점을 갖는데, 유연하고 부드러워서 쉽게 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햇빛에 노출되어도 변색되지 않고, 광택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UV 젤은 UV 젤층 형성용 조성물을 천연 네일에 도포한 후 UV 경화시켜 형성시키는데, 이를 통해서 천연 네일에 고급스러운 효과를 낼 수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천연 네일에 직접 UV 젤층을 형성하는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유해한 용매에 장시간 손가락을 침지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피부와 네일에 매우 유해할 뿐만 아니라, 이를 떼고 난 이후 천연 네일의 손상이 심각한 문제가 되어 왔다.
또 다른 네일아트의 종류로서, 매니큐어나 UV 젤과 같은 액상 제품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건식 네일 스티커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대부분 매니큐어와 동일한 원료로 구성된 필름으로, 부착 후의 내구성이 매우 약하여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내구성이 뛰어난 인조 네일도 있으나, 이는 유연성 및 신축성이 부족하여 착용감과 부착성이 떨어져 손톱에 자연스럽게 안착되지 못하기 때문에 심미성이 떨어지며, 손톱에서 인조 네일이 통째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0908호에는 도 1과 같이 대지(10) 위에 코팅층(20)이 형성되어 있어 긁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손톱 스티커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접착층이 전면에 구비되어 있어 네일에 부착시 외부로 노출되므로 이물이 묻는 등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5332호에는 도 2와 같이 인조손톱 배면에 자동 기계에 의해 미리 접착된 접착테이프가 구비된 인조손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인조손톱이 어떠한 방식으로 성형되는지에 대한 설명만 기재되어 있을 뿐, 인조손톱 자체가 어떠한 디자인을 가지는지에 대한 기재가 없으므로 심미감을 기대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57903호에는 도 3과 같이 반경화형 젤 네일 스티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3의 종래기술은 내부에 기저필름(110)이 게재되어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며 두께가 두꺼워 들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6682호에는 도 4와 같이 곡면을 포함하는 네일 바디(11), 기저층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패턴이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형성되며, 네일 바디의 곡면을 덮도록 휘어진 입체 필름(15) 및 네일 바디(11)와 입체 필름(15)을 결합하는 접착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일 팁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4의 종래기술에서 입체 필릅(15)은 금형을 사용하여 곡률을 갖도록 성형된 것으로서, 서로 상이한 3차원 형상을 갖는 손톱 모양에 안정적으로 안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의 종래기술에는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손톱에 부착시 밀착되지 못하고 들뜸으로 인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자인성 및 심미감이 낮아지므로 구매욕을 자극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름을 포함하지 않아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세한 입체 문양을 포함하므로 빛의 밝기나 조사 각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가 발생할때 미세한 패턴을 따라 빛이 움직이거나 3차원적인 입체감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외관이 수려하고 데코레이션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 충격이나 긁힘 등에 대하여 내구성을 갖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UV 조사시에 경화하는 탑코팅층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톱에 들뜸없이 밀착된 상태로 성형 가능한 네일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턴과 증착 및 색상 인쇄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턴을 가지면서 색상 또는 금속질감을 선택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은, 점착력을 가지며 이형필름 제거시 네일(nail) 외면에 부착되는 점착층과, 색상, 무늬, 문자, 패턴, 금속질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데코레이션부와, 상기 점착층과 데코레이션부 사이에 데코레이션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게재된 데코가능층과, 상기 데코레이션부 외면에서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데코레이션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탑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코레이션부는, 상기 데코가능층 외면에 투명하게 형성되며 외측에 패턴을 가지는 패턴층과, 상기 패턴층 외면에 금속질감을 갖도록 형성된 증착층과, 상기 증착층 외면에 광투과성 및 색상을 갖도록 형성된 투과인쇄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코레이션부는, 상기 데코가능층 외면에 투명하게 형성되며 외측에 패턴을 가지는 패턴층과, 상기 패턴층 외면에 금속질감을 갖도록 형성된 증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코레이션부는, 상기 데코가능층 외면에 광투과성 및 색상을 갖도록 형성된 투과인쇄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코가능층은 UV를 조사하거나 가열시 경화하며,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코팅층은, 완전경화상태 또는 반경화상태로 신축성을 가지며 네일에 부착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UV조사시 완전 경화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코팅층 외면에는, 상기 데코레이션부가 외부로 투시되게 하고, 상기 탑코팅층의 이물 접촉을 차단하는 이물차단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필름을 포함하지 않아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한 입체 문양을 포함하므로 빛의 밝기나 조사 각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가 발생할때 미세한 패턴을 따라 빛이 움직이거나 3차원적인 입체감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외관이 수려하고 데코레이션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 충격이나 긁힘 등에 대하여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UV 조사시에 경화하는 탑코팅층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톱에 들뜸없이 밀착 성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패턴과 증착 및 색상 인쇄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으며, 패턴을 가지면서 색상 또는 금속질감을 선택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도 1 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0908호에 개시된 손톱 스티커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5332호에 개시된 접착된 접착테이프를 부착한 인조손톱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57903호에 개시된 반경화형 젤 네일 스티커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4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6682호에 개시된 네일 팁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 은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종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의 구조를 보인 도 5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을 사용시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에서 일 구성인 데코레이션부의 일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에서 일 구성인 데코레이션부의 다른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에서 일 구성인 데코레이션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에서 일 구성인 점착층의 외면에 데코가능층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에서 일 구성인 데코가능층의 외면에 데코레이션부가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에서 일 구성인 데코레이션부 외면에 탑코팅층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을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의 구조를 보인 도 5의 "A"부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일용 장식물(100)은 손톱이나 발톱 등 네일(N) 상면에 부착되어 장식 기능을 갖도록 한 것으로서, 네일(N)에 부착하기 전에는 신축성을 갖는 상태로 포장되어 있으며, 포장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보았을 때 네일용 장식물(100)이 가지는 색상, 무늬, 문자, 패턴, 금속질감 등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네일용 장식물(100)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탑코팅층(180)이 완전경화상태이거나 반경화상태일 수 있는데, 반경화상태인 경우 네일(N)에 부착된 이후에 UV를 조사함으로써 경화하여 도 5와 같은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완전경화상태로 준비된 경우에는 외부의 빛이 조사되어도 더 이상 경화되지 않으므로 네일용 장식물(100)을 투명한 포장지에 장입하여 외부에서 투시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디자인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구매욕을 자극할 수 있다.
상기 네일용 장식물(100)은 네일(N)에 부착된 이후에 필요시 사용자는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며, 네일용 장식물(100) 내부에는 필름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절단 작업이 용이하다.
상기 네일용 장식물(100)은 도 6과 같이 여러 층이 적층된 상태로 일체화되어 있으며, 맨 아래층에는 점착력을 가지며 이형필름(110) 제거시 네일(N) 외면에 부착되는 점착층(120)이 구비되고, 맨 위층에는 네일용 장식물(100)의 최외측에 위치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탑코팅층(180)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탑코팅층(180) 아래에는 색상, 무늬, 문자, 패턴, 금속질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외부로 표시하도록 데코레이션부(160)가 형성되며, 상기 데코레이션부(160)와 점착층(120) 사이에는 데코가능층(140)이 위치한다.
상기 점착층(120)은 네일용 장식물(100)이 네일(N)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점착력을 갖는 것으로 OCA,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데코가능층(140)은 점착층(120)의 점착성으로 인해 데코레이션부(160)를 형성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데코레이션부(160)가 들러붙음 없이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데코가능층(140)은 UV를 조사하거나 가열시 경화하며, 우레탄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네일용 장식물(100)은 탑코팅층(180)을 경화시키기 전에는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진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네일(N)에 들뜸없이 부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네일용 장식물(100)은 필름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필름을 포함한 상태에서 경화시 스프링백 현상으로 인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탑코팅층(180)은 데코레이션부(160) 외면을 차폐하도록 형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데코레이션부(160)의 긁힘 등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반경화상태로 신축성을 가지며 네일(N)에 부착된 상태에서 UV 조사시에 네일(N) 형상으로 완전 경화되어 보호막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탑코팅층(180)은 투명하게 구성되어 하측에 위치한 데코레이션부(160)가 외부로 투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탑코팅층(180)을 내려다보면 데코레이션부(160)가 표현하는 다양한 디자인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반경화상태여서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지므로 네일용 장식물(100)을 네일(N)에 붙일 때 큰 어려움 없이 네일(N) 모양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네일용 장식물(100)의 사용전/후의 단면 상태를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을 사용시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7과 같이 상기 네일용 장식물(100)은 이형필름(110)과 이물차단층(190)을 구비한 상태로 포장되어 있다.
즉 상기 네일용 장식물(100)에서 점착층(120)의 하면에는 이형필름(1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형필름(110) 제거시 점착층(120)은 도 8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어 네일(N)에 부착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탑코팅층(180) 상면에는 이물차단층(190)이 구비된다. 상기 이물차단층(190)은 데코레이션부(160)가 외부로 투시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비되며, 상기 탑코팅층(180)이 이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이물차단층(190)과 이형필름(110)이 부착된 상태의 네일용 장식물(100)은 포장지에 포장된 상태에서 외부로 데코레이션부(160)가 투시될 수 있으므로 구매욕을 자극할 수 있게 되며, 이물차단층(190)이 제거된 상태에서 네일(N)에 부착된 네일용 장식물(100)에 UV를 조사함으로써 탑코팅층(180)을 완전히 경화시키게 되면 네일용 장식물(100)의 부착이 완료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데코레이션부(160)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에서 일 구성인 데코레이션부(160)의 일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에서 일 구성인 데코레이션부(160)의 다른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에서 일 구성인 데코레이션부(160)의 또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9와 같이 상기 데코레이션부(160)는 상기 데코가능층(140) 외면에 투명하게 형성되며 외측에 패턴을 가지는 패턴층(162)과, 상기 패턴층(162) 외면에 금속질감을 갖도록 형성된 증착층(164)과, 상기 증착층(164) 외면에 광투과성 및 색상을 갖도록 형성된 투과인쇄층(1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턴층(162)은 점착층(120)의 점착성을 차단하는 데코가능층(140) 상면에 형성되고, 상면에는 미세한 요철로 이루어진 패턴이 형성된 것으로서, 투명하게 형성되며 UV를 조사하거나 가열시 경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턴층(162) 상면에는 증착층(164)이 구비된다. 상기 증착층(164)은 패턴층(162)이 투명함에 따라 외부에서 패턴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패턴이 외부에서 금속질감을 갖는 상태로 육안 확인될 수 있도록 증착 형성된 것으로, 상기 패턴의 요철을 채워 형성된다.
상기 투과인쇄층(166)은 옅은 색상을 갖도록 구성하여 하측에 위치한 패턴이 외부로 투시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며, 디지털 인쇄방식, 그라비아인쇄, 스크린 인쇄, 옵셋 인쇄 방식 등을 채택하여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투과인쇄층(166) 상측에 형성되는 탑코팅층(180)은 데코레이션부(160)가 외부의 자극이나 충격에 대하여 취약한 점을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데코레이션부(160)보다 탑코팅층(180)이 강도나 경도면에서 높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데코레이션부(160)는 도 10과 같이 투과인쇄층(166)을 제외하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네일용 장식물(100)은 외부에서 보았을 때 금속질감을 가지는 패턴으로 보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레이션부(160)는 도 11과 같이 탑코팅층(180)과 데코가능층(140) 사이에 투과인쇄층(166)만 게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일용 장식물(100)은 패턴없이 색상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에서 일 구성인 점착층(120)의 외면에 데코가능층(140)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에서 일 구성인 데코가능층(140)의 외면에 데코레이션부(160)가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에서 일 구성인 데코레이션부(160) 외면에 탑코팅층(180)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우선 도 12와 같이 상기 점착층(120)은 하측에 이형필름(110)이 구비되고, 상면에는 데코가능층(140)이 형성된다.
이후 도 13과 같이 상기 데코가능층(140) 상면에 데코레이션부(16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데코레이션부(160)는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다양한 층구조로 선택적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데코레이션부(160)가 형성된 이후에는 도 14와 같이 탑코팅층(180)이 형성된다. 상기 탑코팅층(180)은 데코레이션부(160) 상면에 도포된 후 소정의 시간만큼 열 또는 UV에 노출되어 완전 경화 또는 반경화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는 들뜸없이 네일(N)에 부착 가능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네일(N)에 붙어있는 네일용 장식물(100)에 UV를 조사하여 탑코팅층(180)을 완전 경화시킴으로써 도 5와 같이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탑코팅층(180)은 반경화상태로 예시하였으나, 네일(N)에 부착시에 휘어질 수 있는 범위 이내에서 경화 정도를 조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네일용 장식물 110. 이형필름
120. 점착층 140. 데코가능층
160. 데코레이션부 162. 패턴층
164. 증착층 166. 투과인쇄층
180. 탑코팅층 190. 이물차단층
N . 네일

Claims (7)

  1. 삭제
  2. 점착력을 가지며 이형필름 제거시 네일(nail) 외면에 부착되는 점착층과,
    색상, 무늬, 문자, 패턴, 금속질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데코레이션부와,
    상기 점착층과 데코레이션부 사이에서 점착층의 점착력을 차단하여 데코레이션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게재된 데코가능층과,
    상기 데코레이션부 외면에서 외관을 형성하고, 반경화상태로 신축성을 가지며 네일에 부착된 상태에서 UV조사시 완전 경화되어 상기 데코레이션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탑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데코레이션부는,
    상기 데코가능층 외면에 투명하게 형성되며 외측에 패턴을 가지는 패턴층과,
    상기 패턴층 외면에 금속질감을 갖도록 형성된 증착층과,
    상기 증착층 외면에 광투과성 및 색상을 갖도록 형성된 투과인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데코가능층은 UV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 경화되어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3. 점착력을 가지며 이형필름 제거시 네일(nail) 외면에 부착되는 점착층과,
    색상, 무늬, 문자, 패턴, 금속질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데코레이션부와,
    상기 점착층과 데코레이션부 사이에서 점착층의 점착성을 차단하여 데코레이션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게재된 데코가능층과,
    상기 데코레이션부 외면에서 외관을 형성하고, 반경화상태로 신축성을 가지며 네일에 부착된 상태에서 UV조사시 완전 경화되어 상기 데코레이션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탑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데코레이션부는,
    상기 데코가능층 외면에 투명하게 형성되며 외측에 패턴을 가지는 패턴층과,
    상기 패턴층 외면에 금속질감을 갖도록 형성된 증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데코가능층은 UV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 경화되어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4. 점착력을 가지며 이형필름 제거시 네일(nail) 외면에 부착되는 점착층과,
    색상, 무늬, 문자, 패턴, 금속질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데코레이션부와,
    상기 점착층과 데코레이션부 사이에서 점착층의 점착성을 차단하여 데코레이션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게재된 데코가능층과,
    상기 데코레이션부 외면에서 외관을 형성하고, 반경화상태로 신축성을 가지며 네일에 부착된 상태에서 UV조사시 완전 경화되어 상기 데코레이션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탑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데코레이션부는,
    상기 데코가능층 외면에 광투과성 및 색상을 갖도록 형성된 투과인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데코가능층은 UV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 경화되어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가능층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탑코팅층 외면에는,
    상기 데코레이션부가 외부로 투시되게 하고, 상기 탑코팅층의 이물 접촉을 차단하는 이물차단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KR1020220023955A 2022-02-23 2022-02-23 네일용 장식물 KR102415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955A KR102415498B1 (ko) 2022-02-23 2022-02-23 네일용 장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955A KR102415498B1 (ko) 2022-02-23 2022-02-23 네일용 장식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498B1 true KR102415498B1 (ko) 2022-07-01

Family

ID=8239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955A KR102415498B1 (ko) 2022-02-23 2022-02-23 네일용 장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260B1 (ko) * 2022-09-16 2023-03-02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일방향 투시성을 가지는 차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044A (ko) * 2019-01-29 2019-02-11 (주)글루가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53587B1 (ko) * 2019-08-27 2019-12-06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네일용 장식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044A (ko) * 2019-01-29 2019-02-11 (주)글루가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53587B1 (ko) * 2019-08-27 2019-12-06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네일용 장식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260B1 (ko) * 2022-09-16 2023-03-02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일방향 투시성을 가지는 차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254B1 (ko) 네일용 스티커
CN107690292B (zh) 胶质指甲贴及其制作方法
KR102208444B1 (ko)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57873B1 (ko) 전사가능한 미용부재
JP4843739B1 (ja) ネイル装飾方法
EP2671466A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nail decals
KR101391621B1 (ko) 배면 인쇄를 이용한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US20130139840A1 (en) Multiple Style Nail Applique
US20150327651A1 (en) Device for nail applique transfer, sheet of nail appliques and method for nail applique transfer
KR102415498B1 (ko) 네일용 장식물
US6394099B1 (en) Decorative nail files incorporating glitter and luminescent material
KR101361040B1 (ko) 미용 스티커 세트
KR102053587B1 (ko) 네일용 장식물
WO2004089151A2 (en) Artificial nail containing liquid
KR102293528B1 (ko) 하이브리드 젤네일 스티커
KR102539186B1 (ko)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4141B1 (ko) 네일 아트의 제조 방법
KR101242166B1 (ko) 인조네일 및 인조네일 제조방법
US20030031827A1 (en) Apparatus for applying glass elements to a substrate
KR20220039274A (ko) 젤네일 스티커
KR200456840Y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JP6857382B2 (ja) 切欠き模様付成形品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切欠き模様付成形品
JP3118673U (ja) 装飾具
KR102494163B1 (ko) 금형을 이용한 연장가능한 완전경화용 젤네일 스티커의 시술방법
JP7164240B1 (ja) 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を用いた施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