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405B1 -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 Google Patents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405B1
KR102196405B1 KR1020190058038A KR20190058038A KR102196405B1 KR 102196405 B1 KR102196405 B1 KR 102196405B1 KR 1020190058038 A KR1020190058038 A KR 1020190058038A KR 20190058038 A KR20190058038 A KR 20190058038A KR 102196405 B1 KR102196405 B1 KR 102196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ortion
nejapan
decoration
dimensional
artificial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463A (ko
Inventor
김동성
최경식
Original Assignee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8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40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7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 A44C15/008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on the n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은, 입체형 장식물; 상면에 입체형 장식물의 하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입체형 장식물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마련된 3차원 곡면을 갖는 네일본체; 및 안착부에 마련되어 입체형 장식물의 하면을 안착부에 점착시키는 점착층을 포함하며, 입체형 장식물이 안착부에 점착된 상태에서 네일본체의 굴곡탄성률(flexural modulus)이 5 ~ 40 MPa이다.

Description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ARTIFICIAL NAIL WITH DECORATION}
본 발명은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톱 등에 용이하게 점착 또는 부착할 수 있는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멋을 부리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신의 손과 네일을 아름답게 가꾸고 보존하여 타인에게 매력적인 호감을 주고 스스로는 만족감을 가지게 된다. 이렇듯 네일 미용은 패션의 한 부분으로 전체 코디네이션의 완성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없어서는 안되는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더욱이 현대의 미용산업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매니큐어 대신 다양한 모양이나 문자 등을 인쇄된 인조네일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개성과 아름다움을 연출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인조네일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조네일에 인조보석 등과 같은 입체형 장식물을 점착할 수 있으나, 특히 크기가 큰 입체형 장식물을 인조네일에 점착하는 경우에 인조네일의 굴곡탄성률(flexural modulus)이 증가되어 유연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크기가 큰 입체형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손톱 등에 점착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9735호(2013.03.06.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단하고 크기가 큰 입체형 장식물이 인조네일에 부착된 경우에도 손톱 등에 인조네일을 용이하게 점착할 수 있는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체형 장식물; 상면에 상기 입체형 장식물의 하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체형 장식물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마련된 3차원 곡면을 갖는 네일본체; 및 상기 안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입체형 장식물의 하면을 상기 안착부에 점착시키는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입체형 장식물이 상기 안착부에 점착된 상태에서 상기 네일본체의 굴곡탄성률(flexural modulus)이 5 ~ 40 MPa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의 길이는 상기 네일본체의 길이 대비 40 ~ 70%이고, 상기 안착부의 폭은 상기 네일본체의 폭 대비 30 ~ 50%일 수 있다.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가 위치한 상기 네일본체의 두께가 0.1 ~ 1.7mm이고 상기 네일본체의 폭방향 끝단 위치와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 위치 사이의 상기 네일본체 상면 상의 중간위치에서 상기 네일본체의 두께가 0.1 ~ 0.5mm이 되도록, 상기 네일본체는 상기 네일본체의 폭방향 끝단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되는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네일본체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ABS)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체형 장식물은 유리(Glass), 에폭시(epoxy)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와 상기 입체형 장식물의 하면 테두리가 상호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입체형 장식물의 테두리를 감싸는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네일본체의 상면에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네일본체의 상면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테두리에서 중심방향으로 하방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네일본체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의 표면에는 5 ~ 10㎛의 표면거칠기 Ra를 갖는 표면개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의 표면에는 10 ~ 100㎛의 표면거칠기 Rz를 갖는 표면개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단하고 크기가 큰 입체형 장식물을 네일본체에 점착할 수 있으며, 단단하고 크기가 큰 입체형 장식물이 네일본체에 점착된 경우에도 인조네일의 굴곡탄성률(flexural modulus)을 5 ~ 40 MPa로 유지함으로써 인조네일을 손톱 등에 용이하게 점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일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일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네일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네일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네일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110)을 구비한 인조네일(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일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110)을 구비한 인조네일(100)은 입체형 장식물(110)과, 상면에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부(131)가 마련된 네일본체(130)와, 안착부(131)에 마련되어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을 안착부(131)에 점착시키는 점착층(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장식물(110)은 하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3차원 형상의 장식물(110)로서, 예를들어 인조보석, 스터드(stud), 라인 스톤(Rhinestone), 금속 가공물, 비드(bead), 찡 등을 포함하며, 네일본체(130)에 점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입체형 장식물(110)은 경도가 높은 단단한 물질로 제조되며, 유리(Glass), 에폭시(epoxy)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일본체(130)는 손톱, 발톱 등의 대상물에 점착되며, 네일본체(130)의 상면에 입체형 장식물(110)이 점착된다. 또한 네일본체(130)가 점착되는 손톱, 발톱 등의 대상물은 3차원 곡면을 가지므로, 네일본체(130)도 손톱 등의 대상물 형상에 대응되는 3차원 곡면 형상을 갖는다. 도 1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네일본체(130)는 손톱 등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므로 길이방향(X방향)의 곡률반경이 폭방향(Y방향)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네일본체(130)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ABS)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네일본체(130)의 상면에는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부(131)가 마련된다. 여기서 입체형 장식물의 하면 테두리와 안착부의 테두리는 상호 밀착될 수 있다.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 형상이 네일본체(130)의 길이방향(X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 형상을 갖는 경우에,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131)도 네일본체(130)의 길이방향(X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것에 대응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131)는 네일본체(130)의 상면에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입체형 장식물(110)은 네일본체(13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131)에 안착되고 안착부(131)에 점착되는데, 입체형 장식물(110)을 안착부(131)에 점착하기 위해 안착부(131)에는 점착층(150)이 마련된다.
한편, 안착부(131)와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 사이에 점착층(150)이 개재되므로 안착부(131)와 입체형 장식물(110) 사이에 틈이 생기면 일상생활에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틈에 끼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틈에 끼어 점착층(150)에 붙으면 점착층(150)이 지저분해지고 점착층(150)에 이물질이 침투되어 점착층(150)의 점착력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입체형 장식물(110)이 안착부(13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이 편평하고 안착부(131)도 편평한 형상을 가지므로, 네일글루(nail glue) 등과 같은 점착층(150)이 안착부(131)의 상면에 마련된 상태에서 입체형 장식물(110)을 점착층(150)에 밀착한 후 입체형 장식물(110)을 가압하면 네일글루 등이 입체형 장식물(110)과 안착부(131) 사이로 세어나와 네일본체(130)에 묻게 되고 이로 인해 네일본체(130)의 미관을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부(131)의 테두리와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 테두리를 상호 밀착되게 하여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점착층(150)에 끼거나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입체형 장식물(110)을 안착부(131)에 점착하는 동안 네일글루 등이 입체형 장식물(110)과 안착부(131) 사이로 세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입체형 장식물(110)이 안착부(131)에 강하게 점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131)의 표면에 표면개질층(132)을 형성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개질층(132)은 안착부(131)의 표면에 미세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미세요철 형상은 반구형, 반타원형, 종(bell)형, 원반형, 원기둥형, 별기둥형, 삼각기둥형, 사각기둥형, 육면체형, 사면체형, 피라미드형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3차원 구조일 수 있다.
표면개질층(132)의 표면거칠기 Ra(중심선 평균 거칠기, centerline average roughness)는 5 ~ 10㎛ 일 수 있다. 또는 표면개질층(132)의 표면거칠기 Rz(십점 평균 거칠기, ten point median height)는 10 ~ 100㎛ 일 수 있다.
표면개질층(132)의 표면거칠기 Ra 또는 표면거칠기 Rz의 범주를 만족하는 경우, 안착부(131)에 입체형 장식물(110)을 강하게 점착할 수 있고 또한 안착부(131)의 테두리와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 테두리가 상호 밀착되게 하여 점착층(150)에 머리카락 등 이물질의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점착층(15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점착층(150)의 점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면개질층(132)의 표면거칠기 Ra 또는 표면거칠기 Rz의 범주를 만족하는 경우 입체형 장식물(110)을 가압하여 점착시키는 공정 중에 점착층(150)을 이루는 네일글루 등이 입체형 장식물(110)과 안착부(131) 사이로 흘러나오지 않아 네일본체(13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31)의 표면에 미세요철 형상의 표면개질층(132)을 형성하는 경우에 빛이 인조보석 등과 같은 입체형 장식물(110)에 입사된 후 표면개질층(132)에서 산란되고 입체형 장식물(110)의 외부로 반사됨으로써 입체형 장식물(110)의 반짝거림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단단(rigid)하고 크기가 큰 입체형 장식물(110)을 네일본체(130)에 점착하여 사용하고자 하므로 단단하고 크기가 큰 입체형 장식물(110)이 네일본체(130)에 점착된 경우에 네일본체(130)가 가지는 굴곡탄성률이 증가되어 3차원곡면을 갖는 손톱 등의 대상물에 인조네일(100)을 점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체형 장식물(110)이 네일본체(130)에 점착되는 상태에서 인조네일(100)이 손톱 등에 용이하게 점착될 수 있도록, 네일본체(130)는 입체형 장식물(110)이 네일본체(130)에 점착된 상태에서 5 ~ 40MPa의 굴곡탄성률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입체형 장식물(110)이 점착된 인조네일(100)을 손톱 등의 대상물에 점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네일본체(130)에 점착되는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 최소크기와 최대크기를 제한하여야 한다.
이는 인조네일(100)의 굴곡탄성률에 영향을 미치는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이 점착되는 안착부(131)의 길이 및/또는 폭의 길이와 네일본체(130)의 길이 및/또는 폭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131)의 길이(B)는 네일본체(130)의 길이(A) 대비 40 ~ 70%이고, 안착부(131)의 폭(D)은 네일본체(130)의 폭(C) 대비 30 ~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안착부(131)의 길이 및/또는 폭의 최소범위는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 최소크기에 해당되며, 안착부(131)의 길이 및/또는 폭의 최대범위는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 최대크기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 최소크기는 입체형 장식물의 하면 테두리가 안착부의 테두리와 상호 밀착되므로,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이 점착된 안착부(131)의 길이 및/또는 폭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 최소크기는 안착부(131)의 길이(B)가 네일본체(130)의 길이(A) 대비 40% 이고 안착부(131)의 폭(D)이 네일본체(130)의 폭(C) 대비 30% 인 경우에 해당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 최대크기는 입체형 장식물(110)이 네일본체(130)에 점착된 경우에 인조네일(100)의 굴곡탄성률이 증가됨에 따라 인조네일(100)을 손톱 등의 대상물에 점착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최대크기이며 이는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이 점착되는 안착부(131)의 길이 및/또는 폭으로 나타낼 수 있다.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 최대크기는 안착부(131)의 길이(B)가 네일본체(130)의 길이(A) 대비 70% 이고 안착부(131)의 폭(D)이 네일본체(130)의 폭(C) 대비 50% 인 경우에 해당된다.
상기와 같은 입체형 장식물(110)의 하면 최소크기 및 최대크기에 대응되는 안착부(131)의 길이 및/또는 폭에 의해 인조네일(100)이 갖는 굴곡탄성률(flexural modulus)을 5 ~ 40MPa로 유지할 수 있어 인조네일(100)을 손톱 등의 대상물에 용이하게 점착할 수 있다.
한편, 네일본체(130)를 손톱에 용이하게 점착하기 위해서는 네일본체(130)의 폭방향 양측의 굴곡탄성률이 중요하다. 이에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네일본체(130)가 폭방향(Y방향) 끝단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되는 곡면형상을 가지므로, 인조네일(100)의 상부에서 가압하는 경우에 인조네일(100)의 폭방향 굴곡탄성률이 5 ~ 40MPa의 범위 내에 있도록 네일본체(130)의 두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131)의 테두리 위치(P2)에서 네일본체(130)의 두께(T1)는 0.1 ~ 1.7mm이고, 네일본체(130)의 폭방향(Y방향) 끝단 위치(P1)와 안착부(131)의 테두리 위치(P2) 사이의 네일본체(130) 상면 상의 중간위치(P3)에서 네일본체(130)의 두께(T2)는 0.1 ~ 0.5mm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네일본체(130)의 폭방향(Y방향) 두께를 조절하여 인조네일(100)의 폭방향 굴곡탄성률(flexural modulus)을 5 ~ 40MPa로 유지할 수 있어 인조네일(100)을 손톱 등의 대상물에 용이하게 점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네일본체(130)의 폭방향 상면 곡률은 5.8 ~ 6.5m-1이고 네일본체(130)의 폭방향 하면 곡률은 5.5 ~ 6.2m-1일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네일본체(130)의 폭방향 두께를 만족시키기 위해 네일본체(130)의 폭방향(Y방향) 끝단 위치(P1)에서 안착부(131)의 테두리 위치(P2)까지의 거리(D1)와 네일본체(130)의 폭방향(Y방향) 끝단 위치(P1)와 안착부(131)의 테두리 위치(P2) 사이의 네일본체(130) 상면 상의 중간위치(P3)까지의 거리(D2)의 비는 2.5 ~ 6.5 : 1.2 ~ 3.5 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네일본체(130)의 길이방향 상면 곡률은 29 ~ 30.5m-1이고 네일본체(130)의 길이방향 하면 곡률은 28 ~ 29.5m-1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110a)을 구비한 인조네일(10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일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110a)을 구비한 인조네일(100a)은 입체형 장식물(110a)과, 상면에 입체형 장식물(110a)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부(131a)가 마련된 네일본체(130a)와, 안착부(131a)에 마련되어 입체형 장식물(110a)의 하면을 안착부(131a)에 점착시키는 점착층(150a)과, 안착부(131a)의 테두리에 연속되게 형성된 돌기부(170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장식물(110a)과 네일본체(130a)와 점착층(150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장식물(110)과 네일본체(130)와 점착층(15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인 돌기부(170a)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70a)는 안착부(131a)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되고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입체형 장식물(110a)이 안착부(131a)에 점착된 경우에 돌기부(170a)는 입체형 장식물(110a)의 테두리를 감싼다. 상기와 같이 안착부(131a)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부(170a)를 형성함으로써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점착층(150a)에 끼거나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입체형 장식물(110a)을 안착부(131a)에 점착하는 동안 네일글루 등이 입체형 장식물(110a)과 안착부(131a) 사이로 세어나오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어 네일본체(130a)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110b)을 구비한 인조네일(10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네일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110b)을 구비한 인조네일(100b)은 입체형 장식물(110b)과, 상면에 입체형 장식물(110b)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부(131b)가 마련된 네일본체(130b)와, 안착부(131b)에 마련되어 입체형 장식물(110b)의 하면을 안착부(131b)에 점착시키는 점착층(150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장식물(110b)과 점착층(150b)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장식물(110)과 점착층(15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네일본체(130b)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네일본체(130)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일본체(130b)의 상면에는 입체형 장식물(110b)의 하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입체형 장식물(110b)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부(131b)가 마련된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131b)는 네일본체(130b)의 상면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입체형 장식물(110b)의 하면은 편평하거나 안착부(131b)에 삽입될 수 있게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착부(131b)는 테두리에서 중심방향으로 완만하게 하방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안착부(131b)는 테두리에서 중심방향으로 완만하게 하방 5°경사(Θ)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입체형 장식물(110b)을 안착부(131b)에 점착하는 동안 점착층(150b)을 이루는 네일글루 등이 입체형 장식물(110b)과 안착부(131b) 사이로 세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부(131b)의 테두리와 입체형 장식물(110b)의 하면 테두리를 상호 밀착되게 하여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점착층(150b)에 끼거나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입체형 장식물(110b)을 안착부(131b)에 점착하는 동안 점착층(150b)을 이루는 네일글루 등이 입체형 장식물(110b)과 안착부(131b) 사이로 세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입체형 장식물(110b)이 안착부(131b)에 강하게 점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131b)의 표면에 표면개질층(132b)이 형성된다.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개질층(132b)은 안착부(131b)의 표면에 미세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면개질층(132b)의 표면거칠기 Ra(중심선 평균 거칠기,centerline average roughness)는 5 ~ 10㎛ 일 수 있다. 또는 표면개질층(132b)의 표면거칠기 Rz(십점 평균 거칠기,ten point median height)는 10 ~ 100㎛ 일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131b)의 길이(B)는 네일본체(130b)의 길이(A) 대비 40 ~ 70%이고, 안착부(131b)의 폭(D)은 네일본체(130b)의 폭(C) 대비 30 ~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입체형 장식물(110b)의 하면 최소크기 및 최대크기에 대응되는 안착부(131)의 길이 및/또는 폭에 의해 인조네일(100b)이 갖는 굴곡탄성률(flexural modulus)을 5 ~ 40MPa로 유지할 수 있어 인조네일(100b)을 손톱 등의 대상물에 용이하게 점착할 수 있다.
한편, 네일본체(130b)를 손톱에 용이하게 점착하기 위해서는 네일본체(130b)의 폭방향 양측의 굴곡탄성률이 중요하다. 이에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네일본체(130b)가 폭방향(Y방향) 끝단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되는 곡면형상을 가지므로, 인조네일(100b)의 상부에서 가압하는 경우에 인조네일(100b)의 폭방향 굴곡탄성률이 5 ~ 40MPa의 범위 내에 있도록 네일본체(130b)의 두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131b)의 테두리 위치(P2)에서 네일본체(130b)의 두께(T1)는 0.1 ~ 1.7mm이고, 네일본체(130b)의 폭방향(Y방향) 끝단 위치(P1)와 안착부(131b)의 테두리 위치(P2) 사이의 네일본체(130b) 상면 상의 중간위치(P3)에서 네일본체(130b)의 두께(T2)는 0.1 ~ 0.5mm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네일본체(130b)의 폭방향(Y방향) 두께를 조절하여 인조네일(100b)의 폭방향 굴곡탄성률(flexural modulus)을 5 ~ 40MPa로 유지할 수 있어 인조네일(100b)을 손톱 등의 대상물에 용이하게 점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네일본체(130b)의 폭방향 상면 곡률은 5.8 ~ 6.5m-1이고 네일본체(130b)의 폭방향 하면 곡률은 5.5 ~ 6.2m-1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한 네일본체(130b)의 폭방향 두께를 만족시키기 위해 네일본체(130b)의 폭방향(Y방향) 끝단 위치(P1)에서 안착부(131b)의 테두리 위치(P2)까지의 거리(D1)와 네일본체(130b)의 폭방향(Y방향) 끝단 위치(P1)와 안착부(131b)의 테두리 위치(P2) 사이의 네일본체(130b) 상면 상의 중간위치(P3)까지의 거리(D2)의 비는 2.5 ~ 6.5 : 1.2 ~ 3.5 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네일본체(130b)의 길이방향 상면 곡률은 29 ~ 30.5m-1이고 네일본체(130b)의 길이방향 하면 곡률은 28 ~ 29.5m-1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110c)을 구비한 인조네일(100c)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네일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110c)을 구비한 인조네일(100c)은 입체형 장식물(110c)과, 상면에 입체형 장식물(110c)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부(131c)가 마련된 네일본체(130c)와, 안착부(131c)에 마련되어 입체형 장식물(110c)의 하면을 안착부(131c)에 점착시키는 점착층(150c)과, 안착부(131c)의 테두리에 연속되게 형성된 돌기부(170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장식물(110c)과 네일본체(130c)와 점착층(150c)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장식물(110b)과 네일본체(130b)와 점착층(150b)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인 돌기부(170c)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70c)는 안착부(131c)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되고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입체형 장식물(110c)이 안착부(131c)에 점착된 경우에 돌기부(170c)는 입체형 장식물(110c)의 테두리를 감싼다. 상기와 같이 안착부(131c)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부(170c)를 형성함으로써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점착층(150c)에 끼거나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입체형 장식물(110c)을 안착부(131c)에 점착하는 동안 네일글루 등이 입체형 장식물(110c)과 안착부(131c) 사이로 세어나오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어 네일본체(130c)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110d)을 구비한 인조네일(100d)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네일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110d)을 구비한 인조네일(100d)은 입체형 장식물(110d)과, 상면에 입체형 장식물(110d)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부(131d)가 마련된 네일본체(130d)와, 안착부(131d)에 마련되어 입체형 장식물(110d)의 하면을 안착부(131d)에 점착시키는 점착층(150d)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장식물(110d)과 점착층(150d)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장식물(110)과 점착층(15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네일본체(130d)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네일본체(130)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일본체(130d)의 상면에는 입체형 장식물(110d)의 하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입체형 장식물(110d)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부(131d)가 마련된다.
또한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131d)는 네일본체(130d)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입체형 장식물(110d)의 하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것에 대응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131d)의 상면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부(131d)의 상면 테두리와 입체형 장식물(110d)의 하면 테두리를 상호 밀착되게 하여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점착층(150d)에 끼거나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입체형 장식물(110d)을 안착부(131d)의 상면에 점착하는 동안 점착층(150d)을 이루는 네일글루 등이 입체형 장식물(110d)과 안착부(131d)의 상면 사이로 세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입체형 장식물(110d)이 안착부(131d)의 상면에 강하게 점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131d)의 상면표면에 표면개질층(132d)이 형성된다.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개질층(132d)은 안착부(131d)의 상면표면에 미세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면개질층(132d)의 표면거칠기 Ra(중심선 평균 거칠기,centerline average roughness)는 5 ~ 10㎛ 일 수 있다. 또는 표면개질층(132d)의 표면거칠기 Rz(십점 평균 거칠기,ten point median height)는 10 ~ 100㎛ 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입체형 장식물(110d)이 네일본체(130d)에 점착되는 상태에서 인조네일(100d)이 손톱 등에 용이하게 점착될 수 있도록, 네일본체(130d)는 입체형 장식물(110d)이 네일본체(130d)에 점착된 상태에서 5 ~ 40MPa의 굴곡탄성률을 갖는다.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131d)가 네일본체(130d)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된 경우에 안착부(131d)의 하부길이(B)는 네일본체(130d)의 길이(A) 대비 40 ~ 70%이고, 안착부(131d)의 하부폭(D)은 네일본체(130d)의 폭(C) 대비 30 ~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안착부(131d)의 하부길이 및/또는 하부폭에 의해 인조네일(100d)이 갖는 굴곡탄성률(flexural modulus)을 5 ~ 40MPa로 유지할 수 있어 인조네일(100d)을 손톱 등의 대상물에 용이하게 점착할 수 있다.
한편, 네일본체(130d)를 손톱에 용이하게 점착하기 위해서는 네일본체(130d)의 폭방향 양측의 굴곡탄성률이 중요하다. 이에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네일본체(130d)가 폭방향(Y방향) 끝단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되는 곡면형상을 가지므로, 인조네일(100d)의 상부에서 가압하는 경우에 인조네일(100d)의 폭방향 굴곡탄성률이 5 ~ 40MPa의 범위 내에 있도록 네일본체(130d)의 두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131d)의 하부 테두리 위치(P2)에서 네일본체(130d)의 두께(T1)는 0.1 ~ 1.7mm이고, 네일본체(130d)의 폭방향(Y방향) 끝단 위치(P1)와 안착부(131d)의 하부 테두리 위치(P2) 사이의 네일본체(130d) 상면 상의 중간위치(P3)에서 네일본체(130d)의 두께(T2)는 0.1 ~ 0.5mm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네일본체(130d)의 폭방향(Y방향) 두께를 조절하여 인조네일(100d)의 폭방향 굴곡탄성률(flexural modulus)을 5 ~ 40MPa로 유지할 수 있어 인조네일(100d)을 손톱 등의 대상물에 용이하게 점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네일본체(130d)의 폭방향 상면 곡률은 5.8 ~ 6.5m-1이고 네일본체(130d)의 폭방향 하면 곡률은 5.5 ~ 6.2m-1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한 네일본체(130d)의 폭방향 두께를 만족시키기 위해 네일본체(130d)의 폭방향(Y방향) 끝단 위치(P1)에서 안착부(131d)의 하부 테두리 위치(P2)까지의 거리(D1)와 네일본체(130d)의 폭방향(Y방향) 끝단 위치(P1)와 안착부(131d)의 하부 테두리 위치(P2) 사이의 네일본체(130d) 상면 상의 중간위치(P3)까지의 거리(D2)의 비는 2.5 ~ 6.5 : 1.2 ~ 3.5 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네일본체(130d)의 길이방향 상면 곡률은 29 ~ 30.5m-1이고 네일본체(130d)의 길이방향 하면 곡률은 28 ~ 29.5m-1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100a,100b,100c,100d: 인조네일
110,110a,110b,110c,110d: 입체형 장식물
130,130a,130b,130c,130d: 네일본체
131,131a,131b,131c,131d: 안착부
132,132a,132b,132c,132d: 표면개질층
150,150a,150b,150c,150d: 점착층
170a,170c: 돌기부

Claims (12)

  1. 입체형 장식물;
    상면에 상기 입체형 장식물의 하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체형 장식물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와 상기 입체형 장식물의 하면 테두리가 상호 밀착되는 3차원 곡면을 갖는 네일본체; 및
    상기 안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입체형 장식물의 하면을 상기 안착부에 점착시키는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입체형 장식물이 상기 안착부에 점착된 상태에서 상기 네일본체의 굴곡탄성률(flexural modulus)이 5 ~ 40 MPa이 되도록, 상기 안착부의 길이는 상기 네일본체의 길이 대비 40 ~ 70%이고 상기 안착부의 폭은 상기 네일본체의 폭 대비30 ~ 50%이며, 상기 네일본체는 상기 네일본체의 폭방향 끝단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되는 곡면형상을 가지되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가 위치한 상기 네일본체의 두께는 0.1 ~ 1.7mm이고 상기 네일본체의 폭방향 끝단 위치와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 위치 사이의 상기 네일본체 상면 상의 중간위치에서 상기 네일본체의 두께는 0.1 ~ 0.5mm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일본체의 폭방향 상면 곡률은 5.8 ~ 6.5m-1이고 상기 네일본체의 폭방향 하면 곡률은 5.5 ~ 6.2m-1이며,
    상기 네일본체의 폭방향 끝단 위치에서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 위치까지의 거리와 상기 네일본체의 폭방향 끝단 위치와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 위치 사이의 상기 네일본체 상면 상의 중간위치까지의 거리의 비는 2.5 ~ 6.5 : 1.2 ~ 3.5 인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일본체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ABS)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체형 장식물은 유리(Glass), 에폭시(epoxy)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입체형 장식물의 테두리를 감싸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네일본체의 상면에 편평하게 형성되는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네일본체의 상면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테두리에서 중심방향으로 하방 경사지게 형성된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네일본체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는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표면에는 5 ~ 10㎛의 표면거칠기 Ra를 갖는 표면개질층이 형성된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표면에는 10 ~ 100㎛의 표면거칠기 Rz를 갖는 표면개질층이 형성된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KR1020190058038A 2019-05-17 2019-05-17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KR102196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038A KR102196405B1 (ko) 2019-05-17 2019-05-17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038A KR102196405B1 (ko) 2019-05-17 2019-05-17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463A KR20200132463A (ko) 2020-11-25
KR102196405B1 true KR102196405B1 (ko) 2020-12-30

Family

ID=73645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038A KR102196405B1 (ko) 2019-05-17 2019-05-17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4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171A1 (ko) * 2021-03-29 2022-10-06 주진웅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75000A1 (ko) * 2021-11-01 2023-05-04 (유)호인 상부에 네일용 파츠가 결합되어 있는 네일아트용 반경화 스티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677B1 (ko) * 2021-06-14 2021-12-27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인조네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9441A (ja) 2006-11-08 2008-05-29 Sung Yong Chang 付け爪、付け爪セット、付け爪セットの製造金型、付け爪の製造方法および付け爪セットの製造方法
JP2011130934A (ja) * 2009-12-25 2011-07-07 Imca Inc 人工爪への宝石類の取付方法および宝石類を取り付けた人工爪
KR101342492B1 (ko) * 2013-03-05 2013-12-17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Uv 젤층 도포용 네일 스티커 및 그 적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2601A (ko) * 2008-04-03 2008-08-06 김효선 다층구조 인조손톱
KR101239735B1 (ko) 2010-11-26 2013-03-06 장성용 입체형 장식물이 부착된 인조네일 및 인조네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9441A (ja) 2006-11-08 2008-05-29 Sung Yong Chang 付け爪、付け爪セット、付け爪セットの製造金型、付け爪の製造方法および付け爪セットの製造方法
JP2011130934A (ja) * 2009-12-25 2011-07-07 Imca Inc 人工爪への宝石類の取付方法および宝石類を取り付けた人工爪
KR101342492B1 (ko) * 2013-03-05 2013-12-17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Uv 젤층 도포용 네일 스티커 및 그 적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171A1 (ko) * 2021-03-29 2022-10-06 주진웅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75000A1 (ko) * 2021-11-01 2023-05-04 (유)호인 상부에 네일용 파츠가 결합되어 있는 네일아트용 반경화 스티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463A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405B1 (ko)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CN101031218B (zh) 结构柔软的人造指甲
US20190374003A1 (en) Flexible artificial nail
KR20080037352A (ko) 인조네일
MX2011001219A (es) Uñas artificiales flexibles y metodo para formar las mismas.
US20010052245A1 (en) Finger ring having bezel and removable tablet visible therethrough
USD997143S1 (en) Information transceiver
US6006548A (en) Facet cut structure for gemstones to enhance brilliance
KR101361040B1 (ko) 미용 스티커 세트
KR20020092155A (ko) 눈화장용 용구
KR200491640Y1 (ko) 네일 커버 반지
CA95354S (en) Lenticular lens
KR102188137B1 (ko) 인조 네일
KR102188139B1 (ko) 인조 네일
KR102236178B1 (ko) 유연성과 보강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KR102278851B1 (ko) 밀착 특성 및 형상 유지 특성이 향상된 인조 손톱
CN209498826U (zh) 首饰
US20040214020A1 (en) Covering shel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shell
US6752294B2 (en) Device for mounting an item
US5761929A (en) Facet cut structure for colored stones to enhance brilliance
EP4104708A1 (en) Artificial nail
JP3118673U (ja) 装飾具
CN215125033U (zh) 币章展示盒
JP3152383U (ja) アクセサリー
KR20090011868U (ko)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