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11171A1 -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11171A1
WO2022211171A1 PCT/KR2021/004486 KR2021004486W WO2022211171A1 WO 2022211171 A1 WO2022211171 A1 WO 2022211171A1 KR 2021004486 W KR2021004486 W KR 2021004486W WO 2022211171 A1 WO2022211171 A1 WO 202221117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yer
gel
nail
gel nail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448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주진웅
Original Assignee
주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웅 filed Critical 주진웅
Priority to JP2022573752A priority Critical patent/JP7485408B2/ja
Priority to US17/927,710 priority patent/US20230210239A1/en
Publication of WO202221117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1117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4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81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waves, e.g. ultraviolet radiation, electron be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365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tachment type gel nai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ttachment type gel nail including a decorative layer such as a ston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nail art has been made by applying pigments such as nail polish of various colors to nails or toenails, or attaching accessories such as beads or jewels to nails.
  • the method of applying the liquid pigment to the nail or toenail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to harden the pigment after applying it.
  • a method of attaching a nail sticker is used instead of a method of directly applying a pigment to a user's fingernail or toenail.
  • the user can decorate the nails and toenails by simply attaching a sticker to the nails or toenails without waiting for the user to apply and harden the pigment, so that the user can nail the nails much more quickly and easi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art could be done.
  • Patent Document 1 Registered Patent No. 10-2024663 (2019.09.24) Gel Nail Sticker
  • Patent Document 2 Registered Patent No. 10-2024666 (2019.09.24) Manufacturing method of gel nail sticker
  • Patent Document 3 Registered Patent No. 10-11949267 (2019.02.19) Gel nail stic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atent Document 4 Registered Patent No. 10-1797203 (2017.11.15) Semi-hardened gel nail sticker for nail ar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ttachable gel nail capable of firmly attaching an additional decorative layer to the gel nai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hesive gel nail with significantly improved colorability or durabili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the adhesive gel nail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color base layer formed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color print layer formed on the color base layer, a gel coating layer formed on the color print layer, and and a decorative layer formed on the gel coating layer, wherein a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layer is disposed on the color base layer.
  • the color base layer may be formed of a urethane material.
  • the color base layer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n open cell and a closed cell are mixed.
  •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color base layer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a gel protrusion from which the gel coating layer protrudes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decorative layer.
  • the gel protrusion may be formed to cover the edge of the decoration layer.
  • an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layer.
  • the decorative layer may have an opening formed therein, and an adhesive layer may be filled in the opening.
  • tissue fusion part in which the adhesive layer and the gel coating layer are thermally fused may be formed under the decorative layer.
  • a release paper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and a compression mark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decorative layer may be generated on the release paper.
  • the color printing layer may be cured by ultraviolet rays while in contact with the color base layer.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gel nail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ing a color base layer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forming a color printing layer on the color base layer. , forming a gel coating layer on the color printing layer, and forming a decorative layer on the gel coating layer, wherein a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color base layer.
  • the attachable gel nai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 large-scale production while maximizing the adhesion of a decoration such as a stone by pl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layer on the color base layer.
  •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colorability and resolution of the color printing layer by forming the color base layer of polyurethane.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ttachable gel na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ttachable gel nai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ttachable gel nai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ttachable gel nai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ttachable gel nai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ttachable gel nai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hotograph of the upper part of the attachable gel n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gel n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ttachable gel na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adhesive gel nail 100 includes an adhesive layer 20 , a color base 30 , a color printing layer 40 , a gel coating layer 50 , and a decoration. layer 60 .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is formed on the release paper 10 for its manufacture.
  • the release paper 10 serves to support to for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and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adhesive gel nail 100 . This release paper 10 may be removed when the adhesive gel nail 100 is used.
  • the release paper 10 may include a silicone release treated fabric in a PET material.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crylic water-based, acrylic oil-based, and UV-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refers to a portion directly attached to a user's fingernail or toenail.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is formed by coating on the release paper 10 .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is an anti-funger nutrient glue layer and may include a nutrient-enhancing component for taking care of nails and toenails and an antibacterial component for protecting the nail from bacteria or fungi.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includes at least one of vitamins, calcium, eucalyptus, cypress water, and natural herbs.
  • vitamin B5, vitamin E, calcium, etc. may be included as nutritional enhancing ingredients
  • eucalyptus, cypress water, and natural herbs may be included as antibacterial ingredients.
  • the adhesive gel nai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ntains both a nutritional strengthening component and an antibacterial component,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user's nails and toenails damaged by frequent self-nail procedures and to minimize damage to the nail surface.
  • the color base layer 30 is formed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and may be formed to create an air hole by adding an aerosol to the urethane raw material.
  • a urethane raw material by mixing an ester polymer type and an ether polymer typ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lor base layer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n open cell and a closed cell are mixed, and minimum air permeability is ensured. In order to do this,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volume% ratio of the open cell to 5% or more.
  • the attachable gel nail 100 can have a higher oxygen permeability and thus have air permeability. This can make it more comfortable to wear.
  • the urethane sheet layer 30 may have a thickness of 20 to 50 ⁇ m.
  • the color base layer 30 may be positioned under the color printing layer 40 and made of a white color. Therefore, in the adhesive gel nail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order to express a desired color in the color printing layer 40 , a color ink mixed with CMYK or other colors is applied on the white color base layer 30 . Since the color saturation is maximized and expressive power is increased, the color resolution of the color layer is increased, and the pattern of the color printing layer 40 can be more clearly identified.
  •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color base layer 4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
  • the printing resolution is very deteriorated due to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
  • the color base layer 30 made of a polyurethane film is first adher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and a color or pattern is printed thereon, the printing resolution can be maximiz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ore microscopic pattern or shape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resolution as well as the increase in saturation.
  • the color base layer 30 supports the color printing layer 40 when the color printing layer 40 is cured by ultraviolet rays. That is, since the color base layer 30 has a breathabl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flexible and has significantly greater tensile strength tha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 Therefore, even when the color printing layer 40 is cured, it is deformed together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volume of the color printing layer 40, thus reducing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color layer while maintaining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from the other side. The durability of the gel nail 100 is significantly increased.
  • the color printing layer 40 is applied to the color base layer 30 and may be formed by printing color ink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 the color ink used for the color printing layer 40 includes CMYK, C is blue, M is red, Y is yellow, and K is black. 40) can be formed.
  • the color printing layer 40 can print the nail shape pattern together, and the design can be expressed by various printing methods, gold foil, silver foil, thin foil, or glitter (glitter).
  • the color printing layer 50 may be formed by methods such as silk screen printing, flexographic printing, offset printing, digital printing, and gravure printing.
  • the gel coating layer 60 includes a UV gel coating layer (not shown) or an LED gel coating layer (not shown).
  • the UV gel coating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UV gel coating solution in which an oligomer, a monomer, and a short-wavelength initiator are mixed and drying the UV gel coating solution.
  • the UV gel coating layer may be formed using a UV gel coating solution in which 40% to 60% of an oligomer, 30% to 55% of a monomer, and 2% to 10% of a short wavelength initiator are mixed.
  • the oligomer may use urethane, acryl, acrylic epoxy, polyester-based oligomer, etc.
  • the short-wavelength initiator may use TPO, 184, or the like.
  • the applied UV gel coating solution can form a UV gel coating layer by drying it in a UV UV curing method.
  • the adhesive gel nail 100 becomes too hard, and it is difficult to attach it to the curved nails of general consumers. Therefore, the feeling of closeness is lost, and the gel nail 100 may be separated (a phenomenon that falls from a nail or toenail), and since there is no sense of closeness, deformation may occu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ix so that the content of the oligomer is 40% or more.
  • the monomer content in the UV gel coating layer exceeds the standard value (for example, 55% content)
  • the flexibility and elongation of the product may be lowered, and the adhesion (adhesion) to the curved nail or toenail will decrease, so the durability may be reduced.
  • the reference value for example, 30%
  • the adhesive gel nail 100 becomes too hard, so the adhesion (adhesion) decreases when attached to the curved nail and the durability (stick to the nail or toenail) adhesion) is lowered, so it is preferable to mix the monomer in the range of 30% to 55%.
  • the adhesion to the nail or toenail means that the adhesive layer 20 provided on the release paper 10 in the attachable gel nail 100 is attached to the user's curved nail or toenail without falling off.
  • the attachment-type gel nail 100 can be made to have excellent adhesion to the nail or toenail.
  • the short-wavelength initiator exceeds 10% in the UV gel coating layer, the curing state of the product is too fast, and natural curing may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or distribution process. It becomes difficult to attach, and even if it is attached, the gel nail 100 may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nail or toenail. In order to prevent this phenomenon, in the case of the UV gel coating layer, the short wavelength initiator may be mixed so as not to exceed 10%.
  • the short-wavelength initiator when the short-wavelength initiator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eg, 2%), the curing rate may be lowered and the product robustness may be deteriorated. For this reason, foreign substances may easily adhere to the nail or toenail, and deformation may occur easily, and durability may also be reduc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content so that the content of the short-wavelength initiator used in the UV gel coating layer is 2% or more.
  • the LED gel coating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and drying an LED gel coating solution in which an oligomer, a monomer, a long wavelength initiator and cellulose are mixed.
  • the LED gel coating layer may be formed using an LED gel coating solution in which 15% to 40% of an oligomer, 20% to 30% of a monomer, 0.1% to 0.5% of a long wavelength initiator, and 30% to 55% of cellulose are mixed.
  • the applied LED gel coating solution can be dried at a temperature of 60 to 100 degrees for 30 to 60 minutes to form an LED gel coating layer.
  • the UV gel coating layer and the LED gel coating layer may serve to protect the color printing layer 40 as a transparent coating layer.
  • the LED gel coating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220 microns.
  • the monomer exceeds a reference value (eg, 30%)
  • the stickiness of the adhesive gel nail 100 may be severe, and the durability may be reduced.
  • the attachment-type gel nail 100 is placed on the user's hand, and the shape of the gel nail 100 may be damaged.
  • the curing speed of the product is also greatly reduced.
  • the content of the monomer is less than 20%, the gel nail 100 becomes too hard, so that when the gel nail 100 is attached to the curved nail, the feeling of adhesion may decrease and the durability may also decreas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content of the monomer 20% or more.
  • the amount of oligomer included in the LED gel coating layer exceeds 40%, it can be easily cured by ultraviolet rays. That is, natural hardening may easily occu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distribution process of the adhesive gel nail 100 . For this reason, when the user removes the adhesive gel nail 100 after the LED gel coating layer is cured, it may not be completely removed and may be peeled off while being split. In this case, damage to the nails may occur. On the other hand, if the oligomer content is less than 15%, the curing rate is too slow during UV curing, so curing cannot be completed completely. have. As such, the durability of the attachment-type gel nail 100 may be reduced due to shape deformation, deterioration of gloss, foreign substances, and the like.
  • the long-wavelength initiator of the LED gel coating layer exceeds 0.5%, natural curing can easily occur due to exposure to light in real life, making it difficult to easily attach the adhesive gel nail 100 to the user's curved fingernails or toenails. Even after that, the gel nail 100 may easily fall off. If the long-wavelength initiator is less than 0.1%, the curing speed is too slow, and the firmness of the gel nail 100 may be deteriorated. For this reason, foreign substances may easily adhere, deformation may occur easily, and durability may be reduced.
  • the cellulose of the LED gel coating layer is mixed so that more than 55%, so it may be difficult to attach to a curved nail or toenail. That is, since the gel nail 100 is not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ingernail or toenail and is easily removed, the adhesiv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gel nail 100 may be reduc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ix the cellulose to 55% or less in the LED gel coating layer.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cellulose is less than 30%, the function of making the adhesive gel nail 100 into a semi-solid state may be deteriorated, so it is necessary to set the cellulose content to 30% or more.
  • the monomers, oligomers, and long-wavelength initiators used in the adhesive gel nai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products in a liquid state, and only when exposed to ultraviolet light changes from a liquid state to a solid state.
  • the cellulose may perform a function of making the gel nail in a liquid state into a semi-solid state.
  • the decorative layer 60 is formed on the gel coating layer 50 .
  • the decorative layer 6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stone, a metal, and a synthetic resin material. However, for the thermal fusio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the material of the decorative layer is preferably formed of a stone or a metal material.
  •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layer 60 may be disposed on the color base layer 40 in order to maximize adhesion.
  • the decorative layer 60 is attached while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lower side by a method of thermocompression bonding.
  • the color base made of polyurethane is partially melted and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layer 60 .
  • the color base is properly inserted into the portion causing the surface roughness, so that the adhesion is further increased.
  • This thermocompression bonding does not require any manual operation, and since mass automatic production is possible, the manufacturing cost is remarkably reduced.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ttachable gel nai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omitted.
  • the attachment-type gel nail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el protrusion 55 is formed.
  • the gel coating layer 50 is partially melted to form the gel protrusion 55 protruding upward. Since the gel protrusion 55 is formed to cover the edge of the decorative layer 60 as shown, the adhesive force of the decorative layer 60 can be further maximized.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ttachable gel nai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omitted.
  • an adhesive layer 65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part 60 . Since the adhesive layer 65 performs a role of more closely adhering to the color base layer 30 during thermocompression bond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decorative layer 60 is further maximized.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ttachable gel nai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omitted.
  • the temperature range is further increased so that the adhesive part 65 in the third embodiment is melted and fused with the color base layer 30 to form a tissue A fusion portion 70 was formed.
  • This tissue fusion unit 70 further maximizes the adhesion by simple adhes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ttachable gel nai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omitted.
  • the decorative layer 60' has an opening 61 that is an empty space therein, and an adhesive layer 65' is formed in the opening 61.
  • the internal adhesive is thermally fused with the color printing layer 30 to form a tissue fusion portion 70 ′ having a different shape from that of the previous embodiment.
  • the tissue fusion part 70' allows the adhesive layer 65' to hold the upper decorative layer while allowing the tissue fusion part 70' to more firmly bond the decorative layer 60' in the lower direc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ttachable gel nai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omitted.
  • the compression marks 15 are generated on the release paper 10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thermocompression bonding the decorative layer 60 ′ when a pressure less than a set range is applied, a problem occurs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layer 60 ′ cannot be disposed on the color base layer 30 , and is higher than the set range.
  • pressure is applied,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decorative layer 60 ′ penetrates the release paper 10 .
  •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layer 60 ′ is disposed on the color base layer 30 when a compression mark 15 is generated on the release paper 10 , but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extent that the release paper 10 is not pierced.
  • FIG. 7 and 8 show pictures of the adhesive gel nails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examples.
  • 7 is an upper photograph of the attachable gel n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lower photograph of the attachable gel n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t can be seen that other layers are surrounded by the rim of the decorative layer.
  • This other layer is the gel coating layer described above.
  • FIG. 8 the lower edge of the decorative layer is visible, which shows that a pressure enough to generate a compression mark on the release paper was applied.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gel n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gel nail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a base film (S10), forming a color base layer on the adhesive layer (S20), and a color base layer. Forming a color printing layer on the (S30), forming a gel coating layer on the color printing layer (S40), and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decorative layer (S50) on the gel coating layer.
  •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previous will be omitted,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most important to form the color base layer and the decorative layer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the color base layer serves as a color base in white color, but the surface roughness is smaller tha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increase the printing resolution, and even when the color layer is hardened, the color base layer closely supports the color layer,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color layer and the entire gel nail. will increase significantly.
  • the decorative layer is thermocompression-bond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lower surface is disposed on the color base layer, the gel coating layer protrudes on the top, and the tissue fusion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in which the adhesive and the color base layer are fused. This maximizes the frictional force of the decorativ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가적 장식층을 견고하게 젤네일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색성 또는 내구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킨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은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베이스층, 상기 컬러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인쇄층, 상기 컬러인쇄층의 상부에 형성된 젤코팅층, 및 상기 젤코팅층의 상부에 형성된 장식층을 포함하고, 상기 장식층의 하면은 상기 컬러베이스층에 배치된다. [대표도] 도 1

Description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톤(Stone)과 같은 장식층을 포함하는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일 아트의 경우 다양한 색상의 매니큐어와 같은 안료 등을 손톱이나 발톱 등에 도포하거나 비즈나 보석 등의 악세서리를 손톱에 부착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액상의 안료를 손톱이나 발톱에 도포하는 방법은 안료를 도포한 후 경화시키기 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를 부착하는 경우에도 접착제가 완전히 굳어질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며, 부착이 완료된 후에도 작은 충격에 쉽게 액세서리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에 안료를 직접 도포하는 방법 대신 네일 스티커를 부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안료를 도포하고 경화시킬 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간단히 손톱이나 발톱에 스티커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손톱과 발톱을 장식할 수 있어 사용자가 기존 방식에 비해 훨씬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네일 아트를 실시할 수 있었다.
나아가, 선행기술문헌 1 내지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최근에는 연질의 반고체 상태인 스티커를 손톱이나 발톱에 부착한 이후에 자외선 경화를 진행하도록 하여 손톱 또는 발톱에 부착된 형태를 유지하는 방법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4에서는 모두 점착층 또는 접착층 위에 컬러층을 구현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젤네일에서의 컬러층은 젤네일 스티커의 컬러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데, 선행기술문헌 1 내지 4은 점착층 또는 접착층에 바로 컬러층을 형성하게 되므로 착색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나아가 최근에는 제품의 고급화 추세에 맞추어 스톤(Stone)이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층을 젤네일의 최외각에 부착하는 제품이 등장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식층을 따로 붙이기 위해서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고 있으므로 제품의 가격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문제가 있고 장식층이 쉽게 박리되어 젤네일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1) 등록특허 제10-2024663호(2019.09.24) 젤네일 스티커
(특허문헌2) 등록특허 제10-2024666호(2019.09.24) 젤네일 스티커의 제조방법
(특허문헌3) 등록특허 제10-11949267호(2019.02.19) 젤 네일 스티커및 이의 제조 방법
(특허문헌4) 등록특허 제10-1797203호(2017.11.15)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가적 장식층을 견고하게 젤네일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색성 또는 내구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킨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은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베이스층, 상기 컬러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인쇄층, 상기 컬러인쇄층의 상부에 형성된 젤코팅층, 및 상기 젤코팅층의 상부에 형성된 장식층을 포함하고, 상기 장식층의 하면은 상기 컬러베이스층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컬러베이스층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베이스층은 오픈셀(open cell)과 크로즈드셀(closed cell)이 혼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베이스층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 거칠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층의 측면에는 상기 젤코팅층이 돌출된 젤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젤돌출부는 상기 장식층의 테두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층의 하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층은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접착층이 충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층의 하부에는 접착층과 상기 젤코팅층이 열융합한 조직융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하면에 배치된 이형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형지에는 상기 장식층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압축흔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인쇄층은 상기 컬러베이스층과 접촉하면서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은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제층 상에 컬러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베이스층 상에 컬러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인쇄층 상에 젤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젤코팅층 상에 장식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층의 하면은 상기 컬러베이스층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장식층의 하면을 컬러베이스층에 배치되도록 하여 스톤과 같은 장식의 부착력을 극대화시키면서 대규모 제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베이스층을 폴리우레탄으로 형성시켜 컬러인쇄층의 착색성과 해상도를 증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상부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하부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100)은 점착제층(20), 컬러베이스(30), 컬러인쇄층(40), 젤코팅층(50), 및 장식층(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점착제층(20)은 그 제조를 위해 이형지(10) 상에서 형성된다.
우선, 이형지(10)는 점착제층(20)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부착형 젤네일(100)의 가장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이형지(10)는 부착형 젤네일(100)의 사용 시 제거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이형지(10)는 PET 재질에 실리콘 이형 처리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층(20)은 아크릴 수성 계열, 아크릴 유성 계열 및 UV 경화형 점착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에 직접 부착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점착제층(20)은 이형지(10) 상에 도포하여 형성한다.
점착제층(20)은 안티 펑거 영양 글루층으로서 손톱과 발톱을 케어하기 위한 영양 강화 성분과 세균이나 곰팡이 등으로부터 손톱을 보호하기 위한 향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점착제층(20)은 비타민, 칼슘, 유칼립투스, 편백수 및 천연허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영양 강화 성분으로서 비타민 B5, 비타민 E, 칼슘 등을 포함하고, 향균 성분으로서 유칼립투스, 편백수, 천연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은 영양 강화 성분과 향균 성분을 동시에 포함하므로 잦은 셀프 네일 시술로 손상된 사용자의 손톱과 발톱을 보호하고 손톱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컬러베이스층(30)은 점착제층(20)의 상부에 형성되는데, 우레탄 원료에 에어로졸을 첨가하여 에어홀을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우레탄 원료를 에스테르 폴리머계 및 에테르 폴리머계를 혼합하여 사용하여 컬러베이스층의 내부 구조가 오픈셀(open cell)과 크로즈드셀(closed cell)이 혼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최소한의 통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오픈셀의 부피% 비율을 5%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컬러베이스층(30)의 구비에 따라서, 부착형 젤네일(100)은 산소 투과율이 높아져 통기성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가 젤네일(100)을 손톱이나 발톱에 부착할 경우 답답함을 느끼지 않고 보다 편한 착용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우레탄 시트층(30)은 20 내지 50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컬러베이스층(30)은 컬러인쇄층(4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백색 계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100)에서는 컬러인쇄층(40)에서 원하는 색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CMYK를 혼합하거나 다른 색상을 혼합한 컬러 잉크를 백색의 컬러베이스층(30) 상에 도포하게 되므로 색상의 채도가 극대화되어 표현력이 증가하므로 컬러층의 색상 해상도가 증가되고 컬러인쇄층(40)의 패턴이 보다 선명하게 확인될 수 있다.
더욱 나아가, 이 경우에 컬러베이스층(40)의 표면 거칠기는 점착제층(20)의 표면 거칠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점착제층(20)에 바로 컬러인쇄층(40)을 도포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20)의 표면 거칠기에 기인하여 인쇄 해상도가 매우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구성된 컬러베이스층(30)을 먼저 점착제층(20)에 접착하고 여기에 색상이나 패턴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인쇄 해상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채도의 증가와 더불어 해상도의 증가에 따라 보다 미시적인 패턴이나 모양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더더욱 나아가, 컬러베이스층(30)은 컬러인쇄층(40)이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경우에 컬러인쇄층(40)을 지지하게 된다. 즉, 컬러베이스층(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기성 구조를 가지므로 플렉서블(flexible)하면서도 점착제층(20)보다 현저히 큰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컬러인쇄층(40)이 경화되는 경우에도 컬러인쇄층(40)의 부피 변화에 대응하여 함께 변형되므로 컬러층의 크랙 발생을 줄이면서 다른 쪽에서 점착제층(20)과의 결합력도 계속 유지하므로 젤네일(100)의 내구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킨다.
컬러인쇄층(40)은 컬러베이스층(30)에 도포되며, 컬러 잉크를 일정 두께로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컬러인쇄층(40)에 사용되는 컬러 잉크로는 CMYK 등이 있는데, C는 블루, M은 레드, Y는 옐로우, K는 블랙으로서, 이러한 컬러 잉크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적절히 혼합하여 컬러인쇄층(4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컬러인쇄층(40)은 네일의 모양 패턴을 함께 인쇄할 수 있는데 각종 인쇄 방법이나 금박, 은박, 홀박 또는 글리터(반짝이) 등으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컬러인쇄층(50)은 실크 스크린 인쇄, 플렉소 그래픽 인쇄, 옵셋 인쇄, 디지털 인쇄 및 그라비아 인쇄 등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컬러인쇄층(40) 상에는 젤코팅층(60)이 형성된다. 젤코팅층(60)은 UV 젤코팅층(미도시) 또는 LED 젤코팅층(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UV 젤코팅층은 올리고머, 모노머 및 단파장 개시제를 혼합한 UV 젤코팅액을 도포하여 자외선 경화 방식으로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V 젤코팅층은 올리고머 40% 내지 60%, 모노머 30% 내지 55%, 단파장 개시제 2% 내지 10%를 혼합한 UV 젤코팅액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 아크릴에폭시, 폴리에스더 계열 올리고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파장 개시제는 TPO, 18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포된 UV 젤코팅액은 UV 자외선 경화 방식으로 건조시킴으로써 UV 젤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UV 젤코팅층의 경우, 올리고머가 기준치 이상일 때(즉, 올리고머의 함량이 60%를 초과할 때)에 젤네일(100)이 너무 유연(soft)하게 되어 젤네일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스크래치, 찍힘 등이 손상이 많이 생겨 유지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올리고머의 함량은 가능한 60%를 초과하지 않도록 혼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면, 올리고머가 기준치 이하일 때(즉, 올리고머의 함량이 40% 미만일 때)에는 부착형 젤네일(100)이 너무 단단(hard)하게 되어 일반 소비자의 굴곡진 손톱에 붙이기 어렵다. 따라서, 밀착감이 떨어져 젤네일(100)이 이탈 현상(손톱이나 발톱에서 떨어지는 현상)이 생길 수 있으며, 밀착감이 없으므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올리고머의 함량이 40% 이상이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UV 젤코팅층에서 모노머가 기준치(예를 들면, 55% 함량)를 초과하면 제품의 유연성과 신율이 하향할 수 있어, 굴곡진 손톱이나 발톱에 붙이는 밀착감(밀착력)이 떨어지므로 지속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모노머의 함량이 기준치(예를 들면, 30%) 미만이면, 부착형 젤네일(100)이 너무 딱딱해지므로 굴곡진 손톱에 붙일 때에 밀착감(밀착력)이 떨어지면서 지속력(손톱이나 발톱에 붙어 있는 부착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모노머를 30% 내지 55% 범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손톱이나 발톱에 대한 밀착력이라 함은 부착형 젤네일(100)에서 이형지(10)에 구비된 점착제층(20)이 사용자의 굴곡진 손톱이나 발톱에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점착제층(20)의 밀착감을 향상시킴으로써 부착형 젤네일(100)이 손톱이나 발톱에 붙어 있는 밀착감을 우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UV 젤코팅층에서 단파장 개시제가 10%를 초과하면, 제품의 경화 상태가 너무 빨라져 제조 과정이나 유통 과정에서 자연 경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굴곡진 손톱이나 발톱에 부착형 젤네일(100)을 붙이기 어려워지며, 붙이게 되더라도 젤네일(100)이 손톱이나 발톱에서 쉽게 박리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UV 젤코팅층의 경우 단파장 개시제를 10%가 초과하지 않도록 혼합할 수 있다.
반면, 단파장 개시제가 기준치(예를 들면 2%)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 속도가 저하되고 제품의 견고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물질이 손톱이나 발톱에 쉽게 붙을 수 있으며, 변형도 쉽게 발생할 수 있고 지속력 또한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UV 젤코팅층에 사용되는 단파장 개시제의 함량을 2% 이상이 되도록 함량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 젤코팅층은 올리고머, 모노머, 장파장 개시제 및 셀룰로오스를 혼합한 LED 젤코팅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ED 젤코팅층은 올리고머 15% 내지 40%, 모노머 20% 내지 30%, 장파장 개시제 0.1% 내지 0.5% 및 셀룰로오스 30% 내지 55%를 혼합한 LED 젤코팅액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포된 LED 젤코팅액은 60도 내지 100도 사이에서 30분 내지 60분정도 건조시킴으로써 LED 젤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UV 젤코팅층과 LED 젤코팅층은 투명 코팅층으로서 컬러인쇄층(4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ED 젤코팅층은 22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LED 젤코팅층의 경우, 모노머가 기준치(예를 들면, 30%)를 초과하면, 부착형 젤네일(100)의 끈적임이 심해질 수 있고, 견고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부착형 젤네일(100)이 사용자의 손에 묻게 되며 젤네일(100)의 형태가 손상될 수 있다. 제품의 경화 속도도 많이 저하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도록 LED 젤코팅층에서는 모노머의 함량을 30% 이하로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모노머의 함량이 20% 미만이면, 젤네일(100)이 너무 딱딱하게 되어 굴곡진 손톱에 젤네일(100)을 부착할 때 밀착감이 떨어지면서 지속력 또한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모노머의 함량을 20%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LED 젤코팅층에 포함되는 올리고머가 40%를 초과하면, 자외선에 쉽게 경화될 수 있다. 즉, 부착형 젤네일(100)의 제조 과정이나 유통 과정에서 쉽게 자연 경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LED 젤코팅층이 경화된 후 부착형 젤네일(100)을 제거하는 경우, 완전히 제거가 되지 못하고 쪼개지면서 벗겨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손톱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올리고머가 15% 미만이면, 자외선 경화시 경화 속도가 너무 느려져, 경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그대로 미경화된 제품을 사용하게 되면 부착형 젤네일(100)이 심하게 손상될 수 있다. 이처럼 형태 변형, 광택감 저하, 이물질 등에 의해 부착형 젤네일(100)의 지속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LED 젤코팅층의 장파장 개시제가 0.5%를 초과하면, 실생활에서 빛에 노출되어 쉽게 자연 경화가 발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굴곡진 손톱이나 발톱에 쉽게 부착형 젤네일(100)을 붙이기 어렵고, 붙인 이후에도 젤네일(100)이 쉽게 떨어질 수 있다. 만약 장파장 개시제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 속도가 너무 느려지고, 젤네일(100)의 견고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물질이 쉽게 붙고, 변형이 쉽게 발생하며 지속력도 저하될 수 있다.
또한, LED 젤코팅층의 셀룰로오스가 55%를 초과되도록 혼합하면, 젤네일(100)의 신율이 너무 낮아져 굴곡진 손톱 또는 발톱에 붙이기가 어려울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에 젤네일(100)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쉽게 떨어지게 되므로, 젤네일(100)의 점착력과 지속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LED 젤코팅층에는 셀룰로오스를 55% 이하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30% 미만이면, 부착형 젤네일(100)을 반고체 상태로 만들어 주는 기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셀룰로오스 함량을 30% 이상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100)에 사용된 모노머, 올리고머, 장파장 개시제는 모두 액상 상태의 제품으로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에만 액상 상태에서 고체로 변하게 된다. 이 때, 이러한 액상 상태의 젤네일을 셀룰로오스가 반고체 상태로 만들어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젤코팅층(50)의 상부에는 장식층(60)이 형성된다. 장식층(60)은 스톤(Stone), 금속 및 합성수지 재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열융착 공정을 위해 장식층의 재질은 스톤이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장식층(60)은 부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그 하면이 컬러베이스층(40)에 배치될 수 있다. 장식층(60)은 열압착의 방법에 의하여 하부로 압축력을 가하면서 부착되는데 이 경우 폴리우레탄 재질인 컬러베이스가 일부 용융되어 장식층(60)의 하면에 밀착하게 된다. 또한, 장식층의 하면은 표면 거칠기가 설정값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컬러베이스가 표면 거칠기를 유발하는 부위에 적절하게 삽입되므로 더욱 부착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열압착은 수작업이 필요없으며 대량 자동 생산이 가능하므로 제조 원가가 현저하게 저감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200)은 젤돌출부(55)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압착의 방법으로 장식층(60)을 부착하는 경우에 젤코팅층(50)이 일부 융용되어 상부로 돌출되어 튀어 나오는 젤돌출부(55)가 형성된다. 젤돌출부(5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층(60)의 테두리를 덮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장식층(60)의 부착력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식부(60)의 하면에 접착층(65)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착층(65)은 열압착시 컬러베이스층(30)과 더욱 밀접하게 접착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장식층(60)의 부착력을 더욱 극대화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에서 더욱 나아가 장식층(60)을 열압착시키는 경우에 온도 범위를 보다 상승시켜 제3실시예에서의 접착부(65)가 용융되면서 컬러베이스층(30)과 융합되어 조직융합부(70)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조직융합부(70)는 단순 접착에 의한 부착력을 더욱 극대화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식층(60')의 형태를 변경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층(60')은 내부에 빈공간인 개구부(61)를 형성하였는데 이러한 개구부(61)에는 접착층(6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장식층(60')을 열압착시키는 경우에 내부의 접착제가 컬러인쇄층(30)과 열융합하여 이전 실시예와 다른 형태의 조직융합부(70')가 형성된다.
이러한 조직융합부(70')은 접착층(65')이 상부의 장식층을 잡아주면서 하부 방향으로는 조직융합부(70')가 장식층(60')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이형지(10)에 압축흔(15)이 생성되는 것을 설명한다. 장식층(60')을 열압착하는 경우에 설정 범위 이하의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장식층(60')의 하면이 컬러베이스층(30)에 배치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설정 범위 이상의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장식층(60')이 이형지(10)를 뚫고 나오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열압착시에는 설정 범위의 압력 인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경우 설정범위의 압력을 인가하게 되면 이형지(10)가 살짝 눌린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는 이형지(10)에 압축흔(15)이 생성될 정도의 압력인가가 바람직하다.
즉, 이형지(10)에 압축흔(15)이 생성되지만 이형지(10)가 뚫리지 않을 정도의 압력 인가 시에 장식층(60')의 하면이 컬러베이스층(30)에 배치되게 된다.
이상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부착형 젤 네일의 사진을 도 7 및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상부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하부 사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층의 테두리에 다른 층이 둘러싸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층은 앞에서 설명한 젤코팅층이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장식층의 하면 테두리가 보이는데 이는 이형지에 압축흔이 발생될 정도의 압력이 인가되었음을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 필름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S10), 점착제층 상에 컬러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S20), 컬러베이스층 상에 컬러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S30), 컬러인쇄층 상에 젤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40), 및 젤코팅층 상에 장식층(S5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앞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점착제층에 컬러베이스층을 형성하는 것과 장식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점착제층을 먼저 형성하고 그 상부에 컬러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컬러층의 경화는 크랙이 유발되는 큰 단점이 된다. 따라서, 흰색 계열로 컬러베이스의 역할을 하되 표면 거칠기가 점착제층보다 작아져 인쇄 해상도를 높이면서 컬러층이 경화되는 경우에도 컬러베이스층이 컬러층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여 컬러층과 전체 젤네일의 내구성을 현저하게 높이게 된다.
또한, 장식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열압착하여 하면이 컬러베이스층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상부에 젤코팅층이 돌출된 젤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하면에는 접착제와 컬러베이스층이 융합된 조직융합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장식층의 부찰력을 극대화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500, 600: 부착형 젤네일
10: 이형지
15: 압축흔
20: 점착제층
30: 컬러베이스층
40: 컬러인쇄층
50: 젤코팅층
55: 젤돌출부
60: 장식층
65, 65': 접착층
70, 70': 조직융합부

Claims (12)

  1.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베이스층;
    상기 컬러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된 컬러인쇄층;
    상기 컬러인쇄층의 상부에 형성된 젤코팅층; 및
    상기 젤코팅층의 상부에 형성된 장식층;
    을 포함하고,
    상기 장식층의 하면은 상기 컬러베이스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베이스층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베이스층은 오픈셀(open cell)과 크로즈드셀(closed cell)이 혼합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베이스층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 거칠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의 측면에는 상기 젤코팅층이 돌출된 젤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젤돌출부는 상기 장식층의 테두리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의 하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은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접착층이 충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의 하부에는 접착층과 상기 젤코팅층이 열융합한 조직융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하면에 배치된 이형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형지에는 상기 장식층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압축흔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인쇄층은 상기 컬러베이스층과 접촉하면서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
  12.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제층 상에 컬러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베이스층 상에 컬러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인쇄층 상에 젤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젤코팅층 상에 장식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층의 하면은 상기 컬러베이스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젤네일의 제조 방법.
PCT/KR2021/004486 2021-03-29 2021-04-09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21117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73752A JP7485408B2 (ja) 2021-03-29 2021-04-09 装飾層が形成された付着型ジェルネイル及びこれの製造方法
US17/927,710 US20230210239A1 (en) 2021-03-29 2021-04-09 Adhesive gel na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459 2021-03-29
KR1020210040459A KR102539186B1 (ko) 2021-03-29 2021-03-29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1171A1 true WO2022211171A1 (ko) 2022-10-06

Family

ID=83456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4486 WO2022211171A1 (ko) 2021-03-29 2021-04-09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10239A1 (ko)
JP (1) JP7485408B2 (ko)
KR (1) KR102539186B1 (ko)
WO (1) WO2022211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312B1 (ko) * 2023-08-16 2024-02-28 박고은 네일 구조체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7754B1 (ja) * 2008-03-28 2009-02-04 千恵 戸田 爪又は人工爪の装飾方法、及びこの装飾方法に用いられる爪又は人工爪装飾用具
KR101314948B1 (ko) * 2012-05-16 2013-10-04 홍우식 프레스 압력을 이용한 손톱용 스티커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손톱용 스티커
KR102194838B1 (ko) * 2020-08-18 2020-12-29 주식회사 내일팀 부착형 젤네일 및 그에 대한 제조 방법
KR102196405B1 (ko) * 2019-05-17 2020-12-30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KR102226272B1 (ko) * 2018-12-11 2021-03-11 김설연 네일아트용 스티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333B1 (ko) 2006-09-19 2007-10-09 장성용 인조네일 및 네일용 장식물
JP2011130931A (ja) 2009-12-25 2011-07-07 Imca Inc 人工爪への宝石類の取付方法および宝石類を取り付けた人工爪
KR101239735B1 (ko) 2010-11-26 2013-03-06 장성용 입체형 장식물이 부착된 인조네일 및 인조네일 제조방법
KR102093833B1 (ko) 2012-04-09 2020-03-27 파영 박 금속 포일 네일 아플리케
JP2014039698A (ja) 2012-08-23 2014-03-06 Oikosu:Kk ネイル用ステッカーの製造装置、ネイル用ステッカー、およびネイル用ステッカーの製造方法
JP2014050966A (ja) 2012-09-05 2014-03-20 Bn:Kk 装飾用シール及び装飾用シールの製造方法
KR101797203B1 (ko) 2015-08-10 2017-11-15 (주)글루가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949267B1 (ko) 2017-02-09 2019-02-19 (주)글루가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91056A (ko) *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 라라리즈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4666B1 (ko) 2019-01-31 2019-09-24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024663B1 (ko) 2019-01-31 2019-09-24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7754B1 (ja) * 2008-03-28 2009-02-04 千恵 戸田 爪又は人工爪の装飾方法、及びこの装飾方法に用いられる爪又は人工爪装飾用具
KR101314948B1 (ko) * 2012-05-16 2013-10-04 홍우식 프레스 압력을 이용한 손톱용 스티커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손톱용 스티커
KR102226272B1 (ko) * 2018-12-11 2021-03-11 김설연 네일아트용 스티커
KR102196405B1 (ko) * 2019-05-17 2020-12-30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장식물을 구비한 인조네일
KR102194838B1 (ko) * 2020-08-18 2020-12-29 주식회사 내일팀 부착형 젤네일 및 그에 대한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85408B2 (ja) 2024-05-16
JP2023529121A (ja) 2023-07-07
KR20220135012A (ko) 2022-10-06
US20230210239A1 (en) 2023-07-06
KR102539186B1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5926B2 (en) Adhesive gel na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7026790A1 (ko)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4666B1 (ko)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WO2022158815A1 (ko) 젤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024663B1 (ko) 젤네일 스티커
WO2019074321A1 (ko)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US5073423A (en) Decalcomania
WO2022211171A1 (ko)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13488B1 (ko)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17833A (ko)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US9655430B2 (en) Double colored nail applique having an ultraviolet cured layer, method of making and using
JP2891256B1 (ja) 転写基板及び転写シール
KR20190017832A (ko) 젤네일 스티커
KR20190015448A (ko) 네일 장식용 인쇄 기재
WO2013162294A1 (ko) 오픈타입 비드 제조방식이 적용된 인쇄 반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WO2022085927A1 (ko)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132212A1 (ko) 포장과 제품이 일체화된 네일스티커
CN110370761A (zh) 装饰膜片及壳体组件和电子设备
WO2023224404A1 (ko)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의 제조방법
WO2023075000A1 (ko) 상부에 네일용 파츠가 결합되어 있는 네일아트용 반경화 스티커
ITMI20011195A1 (it) Procedimento per realizzare su un nastro di supporto flessibile una pellicola decorativa trasferibile a caldo
WO2017150767A1 (ko) 네일용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
KR20040071368A (ko) 미용칼라콘택트렌즈의 착색 및 이의 인쇄제조방법
WO2021100962A1 (ko) 네일스티커용 기록매체 및 그 제조방법
WO2022265134A1 (ko) 문양을 원단에 형성하여 고정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352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7375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352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