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056A -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056A
KR20190091056A KR1020180010027A KR20180010027A KR20190091056A KR 20190091056 A KR20190091056 A KR 20190091056A KR 1020180010027 A KR1020180010027 A KR 1020180010027A KR 20180010027 A KR20180010027 A KR 20180010027A KR 20190091056 A KR20190091056 A KR 20190091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nail
coating
layer
decora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숙
박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라리즈
박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라리즈, 박미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라리즈
Priority to KR1020180010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1056A/ko
Publication of KR20190091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029/005Printing or stamping devices for applying images or ornaments to n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층의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되는 동시에 네일에 대한 영양 제공은 물론 발향 기능을 갖는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네일 스티커는 네일용 영양 성분을 함유하는 기저 필름과,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장식층과,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상기 장식층을 코팅하는 상태로 도포되며, 향 발산용의 향 재료를 함유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장식층은 홀로그램지 및 박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장식층은 입체형의 장식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Nail stick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장식층의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되는 동시에 네일에 대한 영양 제공은 물론 발향 기능을 갖는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성 경제인구가 남성의 60%를 넘고 있는 상황에서, 미적 감성을 중요시하는 현대 여성들의 경향에 맞춰 네일 아트는 그 시장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네일 아트의 기법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대한민국을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최근에 국내 미용 및 네일 아트 산업은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약 4조 원대로 추정되는 뷰티 시장에서 네일 아트 산업의 규모는 약 1조원 규모로 추정되고 있으며, 그 규모가 당분간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네일 아트는 통상 손톱 또는 발톱을 미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하며, 단순히 매니큐어를 칠하는 것으로부터 예술적인 표정을 손톱에 살린 것을 의미하는 종합적 개념으로써, 긴 손톱에 그림을 그리거나 비즈, 보석 등을 붙이는 것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네일 아트에 사용되는 장식 소재 중 비교적 저가이면서 많이 사용되는 종류로써 “네일 스티커”가 있는데, 이러한 네일 스티커는 한쪽 면에 디자인이 인쇄되고 나머지 한쪽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손톱 위에 스티커 부착 방식으로 부착하여 미용 효과를 내는 제품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네일 스티커를 예시한 것으로써, 이를 참조하면, 네일 스티커는 에폭시 수지로 제조되는 기재층(11)과, 이러한 기재층(11)의 저면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점착제층(12)과, 이러한 점착제층(12)의 저면에 탈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지(13) 및 에폭시와 글리터가 혼합된 글리터 믹스를 상술한 기재층(11)의 상면에 실크스크린 인쇄하여 형성되는 장식층(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네일 스티커는 장식층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장식층의 글리터가 에폭시로부터 비교적 쉽게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유발하고, 또한 시각적인 미용 효과를 제공하는 것 말고는 다른 기능을 갖지 못하여 하나의 제품을 통해 복합적인 기능을 얻으려는 최근의 트렌드에 부합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네일 스티커는 장식층이 평면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장식 기능이 비교적 단조로울 수 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해당 네일 스티커가 매우 다양한 장식감을 표현하기 에는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는 것이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40508호(2013.03.11.공고), “네일스티커” 한국 등록특허 제10-1342492호(2013.12.17.공고), “UV 젤층 도포용 네일 스티커 및 그 적용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식층의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되는 동시에 네일에 대한 영양 제공은 물론 발향 기능을 갖는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식층이 홀로그램지 내지 박지의 열융착 방식의 결합을 통해 형성됨에 따라, 기존의 네일 스티커에서 발생되고 있는 장식층의 일부가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는데 따른 훼손 및 장식감 저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식층이 입체감을 갖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해당 네일 스티커가 매우 다양하고 역동적인 장식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는 네일용 영양 성분을 함유하는 기저 필름과,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장식층과,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상기 장식층을 코팅하는 상태로 도포되며, 향 발산용의 향 재료를 함유하는 코팅층, 상기 기저 필름의 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에 탈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층은 홀로그램지 및 박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층은 입체형의 장식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코팅액에 대한 압착 공정의 생략 또는 무광 코팅액을 통해 광택이 없는 코팅층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UV 코팅층인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 제조 방법은 네일용 영양 성분을 함유하는 기저 필름의 일면에 장식층이 형성되는 단계와, 향 발산용의 향 재료를 함유하는 코팅층이 상기 장식층을 코팅하는 상태로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 발산용의 향 재료를 함유하는 코팅층이 상기 장식층을 코팅하는 상태로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단계에는, 상기 코팅층의 형성을 위해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도포된 코팅액이 압착을 가하는 가공면과의 직접 접촉이 방지되는 상태로 압착 가공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 가공은 상기 코팅액을 덮는 상태로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커버 필름이 합지된 상태에서 상기 기저 필름이 한 쌍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방식 또는 프레스를 통해 압착되는 방식이거나, 상기 코팅액을 덮기 위한 용도의 커버 필름을 씌운 프레스의 압착 가공부가 상기 코팅액을 압착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일용 영양 성분을 함유하는 기저 필름의 일면에 장식층이 형성되는 단계에는, 홀로그램지 및 박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일용 영양 성분을 함유하는 기저 필름의 일면에 장식층이 형성되는 단계에는,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입체형의 장식 재료가 결합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네일 스티커가 그 장식층의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되고 또한 네일에 대한 영양 제공은 물론 발향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네일 스티커의 장식층이 홀로그램지 내지 박지의 열융착 방식의 결합을 통해 형성됨에 따라, 기존의 네일 스티커에서 발생되고 있는 장식층의 일부가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는데 따른 훼손 및 장식감 저하 현상이 방지되는 동시에 기존과 다른 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식층이 입체감을 갖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해당 네일 스티커가 매우 다양하고 역동적인 장식감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기존의 일반적인 네일 스티커를 예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 제조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 제조 방법에서 코팅층 형성 공정의 일 예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 제조 방법에서 코팅층 형성 공정의 다른 예를 예시한 도면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100)는 기저 필름(110), 장식층(120) 및 코팅층(130), 점착층(140) 및 이형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저 필름(110)은 네일용 영양성분을 함유하며, 이러한 기저 필름(110)은 네일 스티커(100)의 모체에 해당되는 부분으로서, 다시 말해 이어서 설명되는 장식층(120) 및 코팅층(130)이 기저 필름(110)에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장식층(120)은 기저 필름(110)의 일면에 형성되며, 이러한 장식층(120)은 네일 스티커(100)가 네일에 부착되어 장식감을 발휘토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장식층(120)이 홀로그램지 및 박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기저 필름(110)의 일면에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기저 필름(110)의 일면에 홀로그램지(120a)가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되어 장식층(120)이 형성되는 형태를 예로 한 것이다.
코팅층(130)은 기저 필름(110)의 일면에 장식층(120)을 코팅하는 상태로 도포되며, 이러한 코팅층(130)은 향 발산용의 향 재료를 함유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팅층(130)은 코팅액에 대한 압착 공정의 생략 또는 무광 코팅액이 사용됨에 따라 광택이 없는 코팅층의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코팅층(130)이 UV 코팅층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층(140)은 기저 필름의 타면에 형성되며, 이러한 점착층(140)은 네일 스티커(100)가 네일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형지(150)는 점착층(140)에 탈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서, 네일 스티커(100)의 사용 시 사용자는 이형지(150)를 점착층(140)으로부터 분리 후 점착층(140)의 점착력을 통해 네일 스티커(100)의 기저 필름(110)을 네일 표면에 부착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네일 스티커(100)는 네일에 부착 시 해당 네일에 영양을 공급하고 또한 발향 기능을 가져 그 기능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에 더하여, 네일 스티커(100)의 장식층(120)이 홀로그램지 내지 박지의 열융착 방식의 결합을 통해 형성됨에 따라, 기존의 네일 스티커에서 발생되고 있는 장식층의 일부가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는데 따른 훼손 및 장식감 저하 현상이 방지되는 동시에 기존과 다른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네일 스티커(100)의 장식층(120)을 복수의 홀로그램지(120a)가 조합되거나 복수의 박지(120b)가 조합되는 형태 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홀로그램지(120a) 및 박지(120b)가 조합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예시한 단면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a)는 기저 필름(110)의 일면에 서로 다른 두 개의 홀로그램지(120a)가 열융착 방식을 통해 결합되어 서로 조합되면서 장식층(120)을 형성한 것을 예로 한 것이고, (b)는 기저 필름(110)의 일면에 홀로그램지(120a) 및 박지(120b)가 열융착 방식을 통해 결합되어 서로 조합되면서 장식층(120)을 형성한 것을 예로 한 것이다.
상술한 도 3의 구성에 의해서, 네일 스티커(100)의 장식층(120)을 보다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네일 스티커(100)의 장식 기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네일 스티커(100)의 장식층(120)을 입체형 장식 재료(120c)가 포함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를 예시한 단면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기저 필름(110)의 일면에 징, 스톤 등 입체형 장식 재료(120c)가 부착되는 형태로 장식층(120)을 형성함으로써, 네일 스티커(100)가 매우 다양하고 역동적인 장식감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장식층(120)은 입체형 장식재료(120c)가 단독으로 사용되면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입체형 장식재료(120c)가 홀로그램지(120a) 및 박지(120b)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조합되면서 사용되어 장식감을 발휘하는 형태일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입체형 장식재료(120c)와 홀로그램지(120a)가 서로 조합되어 장식층(120)을 형성한 형태를 예로 한 것이다.
다음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스티커 제조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네일용 영양 성분을 함유하는 기저 필름의 일면에 장식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단계(S110)에서, 상기 장식층의 형성은 홀로그램지 및 박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써, 상기 장식층의 형성이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입체형 장식 재료가 결합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써, 상기 장식층의 형성이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홀로그램지 및 박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그리고 입체형 장식재료가 서로 조합되면서 결합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S110)에 이어 단계(S120)에서, 향 발산용의 향 재료를 함유하는 코팅층이 상기 장식층을 코팅하는 상태로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단계(S120)에서, 상기 코팅층의 형성을 위해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도포된 코팅액이 압착을 가하는 가공면과의 직접 접촉이 방지되는 상태로 압착 가공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압착 가공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압착 가공은 프레스(300)의 압착 가공부(310)에 커버 필름(200)을 씌우고, 이렇게 커버 필름(200)이 씌워진 프레스(300)의 압착 가공부(310)를 통해 기저 필름(100)의 일면에 도포된 코팅액(131)을 압착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써, 도 7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기저 필름(110)의 일면에 코팅액(131)을 덮는 상태로 커버 필름(200)이 합지된 상태에서 상기 기저 필름(110)이 한 쌍의 롤러(400) 사이를 통과하는 방식이 사용되거나, 도 7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기저 필름(110)의 일면에 코팅액(131)을 덮는 상태로 커버 필름(200)이 합지된 상태에서 커버 필름(200)이 프레스(300)를 통해 압착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압착 가공에 의해서, 네일 스티커는 그 장식층의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 설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은, 네일 스티커가 그 장식층의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되고 또한 네일에 대한 영양 제공은 물론 발향 기능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또한, 네일 스티커의 장식층이 홀로그램지 내지 박지의 열융착 방식의 결합을 통해 형성됨에 따라, 기존의 네일 스티커에서 발생되고 있는 장식층의 일부가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는데 따른 훼손 및 장식감 저하 현상을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기존과 다른 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장식층이 입체감을 갖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해당 네일 스티커가 매우 다양하고 역동적인 장식감을 표현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네일 스티커 110 : 기저 필름
120 : 장식층 120a : 홀로그램지
120b : 박지 120c : 입체형 장식재료
130 : 코팅층 140 : 점착층
150 : 이형지 200 : 커버 필름
300 : 프레스 310 : 압착 가공부
400 : 롤러

Claims (10)

  1. 네일용 영양 성분을 함유하는 기저 필름;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장식층;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상기 장식층을 코팅하는 상태로 도포되며, 향 발산용의 향 재료를 함유하는 코팅층;
    상기 기저 필름의 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에 탈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지를 포함하는 네일 스티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은 홀로그램지 및 박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스티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은 입체형의 장식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스티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코팅액에 대한 압착 공정의 생략 또는 무광 코팅액을 통해 광택이 없는 코팅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스티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UV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스티커.
  6. 네일용 영양 성분을 함유하는 기저 필름의 일면에 장식층이 형성되는 단계;
    향 발산용의 향 재료를 함유하는 코팅층이 상기 장식층을 코팅하는 상태로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일 스티커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향 발산용의 향 재료를 함유하는 코팅층이 상기 장식층을 코팅하는 상태로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단계에는,
    상기 코팅층의 형성을 위해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도포된 코팅액이 압착을 가하는 가공면과의 직접 접촉이 방지되는 상태로 압착 가공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스티커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가공은 상기 코팅액을 덮는 상태로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커버 필름이 합지된 상태에서 상기 기저 필름이 한 쌍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방식 또는 프레스를 통해 압착되는 방식이거나, 상기 코팅액을 덮기 위한 용도의 커버 필름을 씌운 프레스의 압착 가공부가 상기 코팅액을 압착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스티커 제조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일용 영양 성분을 함유하는 기저 필름의 일면에 장식층이 형성되는 단계에는,
    홀로그램지 및 박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스티커 제조 방법.
  10. 제 6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네일용 영양 성분을 함유하는 기저 필름의 일면에 장식층이 형성되는 단계에는,
    상기 기저 필름의 일면에 입체형의 장식 재료가 결합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스티커 제조 방법.
KR1020180010027A 2018-01-26 2018-01-26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91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027A KR20190091056A (ko) 2018-01-26 2018-01-26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027A KR20190091056A (ko) 2018-01-26 2018-01-26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056A true KR20190091056A (ko) 2019-08-05

Family

ID=67616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027A KR20190091056A (ko) 2018-01-26 2018-01-26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1056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0962A1 (ko) * 2019-11-19 2021-05-27 디에스글로벌 (주) 네일스티커용 기록매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1022A (ko) * 2019-11-19 2021-05-27 디에스글로벌 (주) 네일스티커용 기록매체
KR20210061023A (ko) * 2019-11-19 2021-05-27 디에스글로벌 (주) 네일스티커용 기록매체
KR20210061024A (ko) * 2019-11-19 2021-05-27 디에스글로벌 (주) 네일스티커용 기록매체
KR20210061730A (ko) * 2019-11-20 2021-05-28 디에스글로벌 (주) 네일스티커용 기록매체 제조방법
KR20210084326A (ko) * 2019-12-27 2021-07-07 (주)글루가 네일 아트의 제조 방법
KR20210111429A (ko) * 2020-03-03 2021-09-13 (주)루팡컴퍼니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20220135012A (ko) * 2021-03-29 2022-10-06 주진웅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508B1 (ko) 2011-08-02 2013-03-11 장순동 네일스티커
KR101342492B1 (ko) 2013-03-05 2013-12-17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Uv 젤층 도포용 네일 스티커 및 그 적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508B1 (ko) 2011-08-02 2013-03-11 장순동 네일스티커
KR101342492B1 (ko) 2013-03-05 2013-12-17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Uv 젤층 도포용 네일 스티커 및 그 적용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0962A1 (ko) * 2019-11-19 2021-05-27 디에스글로벌 (주) 네일스티커용 기록매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1022A (ko) * 2019-11-19 2021-05-27 디에스글로벌 (주) 네일스티커용 기록매체
KR20210061023A (ko) * 2019-11-19 2021-05-27 디에스글로벌 (주) 네일스티커용 기록매체
KR20210061024A (ko) * 2019-11-19 2021-05-27 디에스글로벌 (주) 네일스티커용 기록매체
KR20210061730A (ko) * 2019-11-20 2021-05-28 디에스글로벌 (주) 네일스티커용 기록매체 제조방법
KR20210084326A (ko) * 2019-12-27 2021-07-07 (주)글루가 네일 아트의 제조 방법
KR20210111429A (ko) * 2020-03-03 2021-09-13 (주)루팡컴퍼니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20220135012A (ko) * 2021-03-29 2022-10-06 주진웅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1056A (ko)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CN108463137A (zh) 装饰人的皮肤或指甲的物品以及使用这种物品的方法
KR101949942B1 (ko) 가속눈썹 점착부재 및 가속눈썹 키트
JP4225935B2 (ja) 化粧製品および化粧製品の製造方法
JP4965421B2 (ja) 油性固形化粧製品の製造方法
KR101277974B1 (ko) 스티커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856704B1 (ko) 이미용 점착 스티커
KR200213256Y1 (ko) 향 발산 스티커형 매니큐어
KR102001177B1 (ko) 네일 아트용 장식 소재 및 이를 이용한 네일 아트 방법
JP2005082579A (ja) 化粧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製品
JP3182987U (ja) ネイルシール
KR100528302B1 (ko) 장식용 보석 스티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04451U (ko) 코디 스티커
JP5347055B1 (ja) 爪装飾用シール
CN213324246U (zh) 一种新型圆形美甲片包装盒
CN205959538U (zh) 一种具有香味的压敏胶标签结构
KR200270586Y1 (ko) 목재 박판을 이용한 장신구
JP3001328U (ja) 化粧紙およびこの化粧紙を有する台紙
US248527A (en) Liam c
KR101889785B1 (ko) 음각 또는 양각 문양 이용 가능한 스티커
TWI248875B (en) Preparation of material with surface expressing effect of mineral crystal feeling
KR20200042361A (ko) 귀금속 시트 및 그 제조방법
TW528674B (en) Method for forming breast patches on a single piece of release paper
JP2009012792A (ja) 食品包装体の装飾方法
JPH0237522A (ja) 装飾用題材貼付けテレホンカードおよびその製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18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925

Effective date: 2020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