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429A -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429A
KR20210111429A KR1020200026325A KR20200026325A KR20210111429A KR 20210111429 A KR20210111429 A KR 20210111429A KR 1020200026325 A KR1020200026325 A KR 1020200026325A KR 20200026325 A KR20200026325 A KR 20200026325A KR 20210111429 A KR20210111429 A KR 20210111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layer
manufacturing
pet
nail sti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119B1 (ko
Inventor
구환희
김호근
Original Assignee
(주)루팡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루팡컴퍼니 filed Critical (주)루팡컴퍼니
Priority to KR1020200026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11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1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7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 A44C15/008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on the n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40Distribut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members moving relatively to surface
    • B05D1/42Distribut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members moving relatively to surface by non-rotary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1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에 문양이 형성되고, 점착층을 구비하여 손톱에 점착하여 부착하는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스티커 제조방법은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되고 광택이 좋고,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좋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 METHOD FOR MANUFACTURING NAIL STICKER }
본 발명은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에 문양이 형성되고, 점착층을 구비하여 손톱에 점착하여 부착하는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일 스티커는 네일 아트의 한 분야로 손톱을 장식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일 스티커는 한쪽면에 문양이 형성되고, 이면에는 점착층이 접착제의 도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점착층을 손톱 위에 점착하는 방식으로 부착하여 미용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네일 스티커는 합성수지재의 베이스층에 점착층, 문양을 형성하고,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형성한다.
상기 코팅층이 네일 스티커가 광택을 갖도록 하며 문양이 긁히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 제조방식은 코팅층의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코팅층의 광택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09398 B1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택이 좋고,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좋은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스티커 제조방법은 베이스 이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층 형성 단계와, 상기 접착층 이면에 제1PET를 부착하는 제1PET 부착 단계와, 상기 베이스 표면에 문양층을 형성하는 문양층 형성 단계와, 상기 문양층 표면에 UV코팅액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제1UV코팅층을 형성하는 제1UV코팅층 형성 단계와 상기 제1UV코팅층 표면에 UV코팅액을 도포하여 제2UV코팅층을 형성하는 제2UV코팅층 형성 단계와, 상기 제2UV코팅층 표면의 평을 잡고 건조하는 평잡기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평잡기 단계를 스크린에 가압액체를 통한 방식과 롤러를 통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스티커 제조방법은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되고 광택이 좋고,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네일스티커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네일스티커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네일스티커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스크린 방식으로 평을 잡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일 스티커를 제조할 대 네일 스티커의 단면도를 표현한 것이며, 도2 내지 도3은 롤러 방식으로 평을 잡을 때의 단면도를 표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네일스티커는 제1PET(11), 접착층(12), 베이스(13), 문양층(20), 제1UV코팅층(30), 제2UV코팅층(4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접착층 형성 단계, 제1PET 부착 단계, 문양층 형성 단계, 제1UV코팅층 형성 단계, 제2UV코팅층 형성 단계, 평잡기 단계를 포함하며, 이러한 단계를 통해 상기의 네일 스티커를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네일 스티커는 2개 이상의 UV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UV코팅층은 스티커의 표면을 투명하게 보호하면서 내부의 문양층이 잘 보일 수 있도록 하면서 광택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스티커는는 1개의 코팅층을 형성하였으나 1개의 코팅층을 형성하면 보호가 잘 되지 않거나 광택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접착층 형성 단계는 베이스 이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베이스는 투명한 합성수지재의 필름이며, 그 재질은 PET, 우레탄 등 다양한 재질이 될 수 있다. 접착층은 일반적인 접착제의 도포에 의해 형성된다.
문양층 형성 단계는 베이스 표면에 문양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다양한 방식으로 문양층을 형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크칼라인쇄 방식, 금박(포일)부착 방식, 칼라옵셋인쇄 방식 등으로 문양층을 형성하였으며, 이때 한가지 방식으로 문양층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두가지 이상의 방식을 혼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실크칼라인쇄 방식으로 제1문양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다시 금박을 입혀서 제2문양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방식은 그 순서를 바꿔서 효과를 달리할 수도 있다. 금박을 먼저 입히고 그 위에 실크칼라인쇄를 하거나 칼라옵셋인쇄를 하여 단일 색상의 금박을 다양한 색상의 금박인 것처럼 효과를 줄 수 있다.
제1UV코팅층 형성 단계는 문양층 표면에 UV코팅액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제1UV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문양층을 보호하면서 광택을 갖도록 하게 된다. 이때 UV코팅액에는 반사성 입자를 다수 포함하도록 하여 글리터 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코팅액의 도포와 건조과정에서는 별도의 가압에 의한 평잡기가 없기 때문에 문양층이 UV코팅액과 혼합되면서 파괴되지 않고 또렷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제2UV코팅층 형성 단계는 제1UV코팅층 표면에 UV코팅액을 도포하여 제2UV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다음 단계의 평잡기에서 표면을 편평하게 할 수 있도록 UV코팅액이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한다.
평잡기 단계는 제2UV코팅층 표면의 평을 잡고 건조하는 단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방식과 롤러 방식에 의해 평을 잡았다.
도1은 스크린 방식에 의해 평을 잡는 상태를 표현한 것이며, 도2와 도3은 롤러 방식에 의해 평을 잡는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스크린 방식에 의해 평을 잡는 것은 제2UV코팅층 표면에 제2PET를 덮고, 제2PET 표면에 스크린을 배치하고 스크린 표면에 가압액체를 도포하고 가압액체를 스퀴지로 누르면서 밀어내어 가압액체가 제2PET표면을 가압하고 제2PET는 다시 제2UV코팅층 표면을 눌러서 편평하게 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제2UV코팅층 표면이 편평하게 된 상태에서 건조하고 제2PET를 제2UV코팅층에서 떼어내어 분리하여 네일 스티커를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스크린 방식은 종래에 실크스크린 인쇄 기법을 평잡기에 적용한 것으로 스크린에 형성된 다수의 망점을 가압액체가 스퀴지에 밀려서 통과하면서 균일한 압력으로 PET표면을 눌러서 UV코팅층을 편평하게 하는 것이다.
롤러 방식에 의해 평을 잡는 것은 도2와 같이 제2UV코팅층을 롤러로 가압하여 편평하게 하는 것인데 UV코팅액이 롤러에 붙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롤러 표면의 재질을 PET재질로 형성하거나 텅스텐 등의 금속으로 형성하여 코팅액이 들러붙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도3과 같이 롤러 표면에 윤활유를 도포하여 종래의 롤러를 활용하면서 코팅액이 롤러에 들러붙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 : 제1PET
12 : 접착층
13 : 베이스
20 : 문양층
30 : 제1UV코팅층
40 : 제2UV코팅층
110 : 제2PET
120 : 스크린
130 : 가압액체층
140 : 스퀴지
200 : 롤러
210 : 윤활유

Claims (5)

  1. 베이스 이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층 형성 단계와,
    상기 접착층 이면에 제1PET를 부착하는 제1PET 부착 단계와,
    상기 베이스 표면에 문양층을 형성하는 문양층 형성 단계와,
    상기 문양층 표면에 UV코팅액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제1UV코팅층을 형성하는 제1UV코팅층 형성 단계와;
    상기 제1UV코팅층 표면에 UV코팅액을 도포하여 제2UV코팅층을 형성하는 제2UV코팅층 형성 단계와,
    상기 제2UV코팅층 표면의 평을 잡고 건조하는 평잡기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잡기 단계는 제2UV코팅층 표면에 제2PET을 덮고,
    상기 제2PET 표면에 스크린을 배치하고
    상기 스크린 표면에 가압액체를 도포하고,
    상기 가압액체를 스퀴지로 누르면서 밀어내어 가압액체로 제2PET표면을 가압하여 제2UV코팅층의 표면을 편평하게 하고 제2UV코팅층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잡기 단계는 제2UV코팅층 표면을 표면이 PET 재질로 형성된 롤러로 가압하면서 밀어내어 제2UV코팅층 표면을 편평하게 하고 제2UV코팅층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잡기 단계는 제2UV코팅층 표면을 표면이 금속 재질로 형성된 롤러로 가압하면서 밀어내어 제2UV코팅층 표면을 편평하게 하고 제2UV코팅층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잡기 단계는 제2UV코팅층 표면을 표면에 윤활유가 도포된 롤러로 가압하면서 밀어내어 제2UV코팅층 표면을 편평하게 하고 제2UV코팅층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0200026325A 2020-03-03 2020-03-03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305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325A KR102305119B1 (ko) 2020-03-03 2020-03-03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325A KR102305119B1 (ko) 2020-03-03 2020-03-03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429A true KR20210111429A (ko) 2021-09-13
KR102305119B1 KR102305119B1 (ko) 2021-09-28

Family

ID=7779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325A KR102305119B1 (ko) 2020-03-03 2020-03-03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1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492B1 (ko) * 2013-03-05 2013-12-17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Uv 젤층 도포용 네일 스티커 및 그 적용방법
KR101728432B1 (ko) * 2016-02-25 2017-04-19 김재연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1882174B1 (ko) * 2017-10-13 2018-07-30 주식회사 컨트롤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20190091056A (ko) *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 라라리즈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9398B1 (ko) 2016-10-05 2019-08-09 김영주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492B1 (ko) * 2013-03-05 2013-12-17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Uv 젤층 도포용 네일 스티커 및 그 적용방법
KR101728432B1 (ko) * 2016-02-25 2017-04-19 김재연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009398B1 (ko) 2016-10-05 2019-08-09 김영주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1882174B1 (ko) * 2017-10-13 2018-07-30 주식회사 컨트롤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20190091056A (ko) *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 라라리즈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119B1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9962B (zh) 具有立体效果的装饰材料
US8667896B2 (en) Screen print reflection transfer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20070275203A1 (en) Separating Layer Carrier
KR100980621B1 (ko) 손톱 스티커와 그 제조방법
KR102305119B1 (ko)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CN110053387A (zh) 一种高光泽度荧光烫金膜及其制作工艺
CN112549805B (zh) 抗氧化黑卡烫金工艺
KR102063339B1 (ko)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및 네일 스티커
JPH10157399A (ja) 転写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US20040188871A1 (en) Holographic image shrink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JP2927536B2 (ja) 化粧料サンプル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料サンプル品
JP2007160184A (ja) 装飾付シールシートの製造方法
JP2579327Y2 (ja) 化粧料の色調選択用シート
KR100541606B1 (ko) 입체감을 갖는 그림으로 구성된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JP4721963B2 (ja) ポッティング加飾物の製造方法
JPS62116146A (ja) 化粧シ−ト
KR20130059678A (ko) 스티커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N219171883U (zh) 一种金葱粉
KR20030047914A (ko) 양초용 전사지 및 그 제조 방법
TWM596694U (zh) 分類用透明印刷膠帶
JP2744922B2 (ja) シールやステッカー等の表面加飾加工方法
JPH0524147A (ja) 光輝性装飾転写箔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25053B1 (ko) 이중증착 열전사박
JPS63186792A (ja) 粘着シ−ト
JP3140680U (ja) 積層構造の貼付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