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356A - 직액식 펜형 아이라이너 - Google Patents
직액식 펜형 아이라이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8356A KR20220128356A KR1020227024562A KR20227024562A KR20220128356A KR 20220128356 A KR20220128356 A KR 20220128356A KR 1020227024562 A KR1020227024562 A KR 1020227024562A KR 20227024562 A KR20227024562 A KR 20227024562A KR 20220128356 A KR20220128356 A KR 202201283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nt
- feeder
- groove
- applicator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8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72 Acryl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group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55 polyphenylene 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43K8/06—Wick feed from within reservoir to writing-poin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1—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 B43K5/1809—Feed b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6—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capillary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원활하게 도료를 안내하여 토출 가능하게 하는 도료 도포구를 제공한다. 도료 피더(4)는, 도포 부재(2)의 구멍부(2a) 내에 위치하는 도료 배출 영역(4a)과, 구멍부(2a) 외에 위치하여 도료 탱크의 도료를 도료 배출 영역(4a)을 향하여 안내하는 도료 안내 영역(4b)을 갖고, 도료 배출 영역(4a)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도료 피더(4)의 지름 방향이 되는 피더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함과 함께 구멍부(2a)의 내주면에 대향하고, 도료가 유입하는 둘레상 홈(40)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료 도포구(塗布具)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체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도포구(필기구, 아이라이너 등)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도포구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의 도포구에서는, 액체 도료가 중계심(中繼芯)을 통하여 필부(筆部)에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현재, 도료에 광택을 부여하기 위해, 라메(금속 분체) 등의 고형물을 함유하는 액체 도료를 수용한 아이라이너나 필기구가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의 분야에서는 화려함의 연출을 위해, 이러한 라메가 들어간 아이라이너의 니즈가 클 뿐만 아니라, 더욱 도료의 광택을 증가시키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도료의 광택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료에 포함되는 라메의 사이즈나 함유량을 증가시키고자 한 경우, 전술한 종래의 도포구의 구조에서는 도포구 내에 라메를 막히는 일 없이 도료를 필부까지 원활하게 안내하여, 필부로부터 토출시키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은, 도료의 종류에 상관없이, 원활하게 도료를 안내하여 토출 가능하게 하는 도료 도포구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도료 도포구는, 봉 형상을 이루고, 길이 방향의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을 향하여 도료를 안내하여 상기 전단측으로부터 토출시키는 도료 도포구로서, 상기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 공간이 형성된 도료 탱크와, 상기 후단측의 단면으로부터 상기 전단측을 향하여 오목한 구멍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도료를 토출시키는 도포 부재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을 이루어 상기 후단측으로부터 상기 구멍부에 삽입됨과 함께 상기 도료 수용 공간 내에 연장되어 상기 도료 탱크의 상기 도료를 상기 도포 부재에 공급하는 도료 피더(feeder)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도료 피더의 외주측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접속된 완충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도료 수용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도료 및 공기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있어서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도료 피더는, 상기 구멍부 내에 위치하는 도료 배출 영역과, 상기 구멍부 외에 위치하여 상기 도료 탱크의 상기 도료를 상기 도료 배출 영역을 향하여 안내하는 도료 안내 영역을 갖고, 상기 도료 배출 영역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도료 피더의 지름 방향이 되는 피더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함과 함께 상기 구멍부의 내주면에 대향하고, 상기 도료가 유입하는 둘레상(周上) 홈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둘레상 홈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료 피더의 둘레 방향이 되는 피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도료 피더는, 상기 도료 안내 영역과 상기 도료 배출 영역이 일체로 형성된 수지제의 부재이고, 상기 둘레상 홈은, 상기 도료 배출 영역과 상기 도료 안내 영역과의 사이에 걸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과 함께 상기 구멍부와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을 연통하고, 상기 도료 피더는,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에 끼워 맞춤함으로써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복수의 상기 둘레상 홈으로서, 제1 홈과, 상기 제1 홈보다도 상기 피더 지름 방향의 깊이 치수가 작은 제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피더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제1 홈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도료 피더에는, 상기 피더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둘레상 홈끼리를 접속하는 횡(橫)홈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둘레상 홈에 있어서의 상기 피더 둘레 방향의 최대 홈폭 치수가 0.05㎜ 이상 0.18㎜ 이하라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도료 배출 영역의 최대 외경 치수에 대한, 상기 둘레상 홈에 있어서의 상기 피더 지름 방향의 최대 깊이 치수의 비율이 25% 이상 40% 이하라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도료 배출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둘레상 홈이 차지하는 점유 면적의 비율이, 5%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도료 배출 영역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통 형상을 이루고, 수지에 의해 형성된 통 형상체와, 상기 통 형상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섬유를 수속(收束)하여 구성된 배출측 중계 심체를 갖고, 상기 통 형상체에 상기 둘레상 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둘레상 홈이, 상기 통 형상체를 상기 피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배출측 중계 심체의 상기 도료가, 상기 둘레상 홈을 통하여 상기 도포 부재에 배출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구멍부는 상기 전단측을 향하여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을 갖고, 상기 배출측 중계 심체는, 상기 통 형상체로부터 상기 전단측으로 돌출함과 함께, 상기 구멍부의 형상을 따라 상기 전단측을 향하여 외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도료 안내 영역은, 섬유를 수속하여 구성된 봉 형상을 이루는 안내측 중계 심체를 갖고, 상기 안내측 중계 심체 및 상기 배출측 중계 심체가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도료 배출 영역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봉 형상을 이루고, 수지에 의해 형성된 봉 형상체이고, 상기 도료 안내 영역은, 섬유를 수속하여 구성된 봉 형상을 이루는 중계 심체이고, 상기 중계 심체에 있어서의 전단측이, 상기 봉 형상체의 후단측의 단면에 상기 후단측으로부터 맞닿는 맞닿음면을 가짐과 함께, 상기 중계 심체에 있어서의 상기 후단측이 상기 도료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봉 형상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둘레상 홈의 후단측은, 상기 맞닿음면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도료 안내 영역은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에 삽입 통과되어 여유있게 끼워지고,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도료 안내 영역의 외주면과의 경계에, 상기 도료 배출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둘레상 홈과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을 연통하고,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의 상기 도료를 상기 둘레상 홈까지 안내 가능한 유통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는, 상기 도료 피더를 삽입 통과시킴과 함께 상기 완충 공간에 대하여 상기 피더 지름 방향의 내측의 벽부를 형성하는 본체 통부를 갖고, 상기 본체 통부에는, 상기 피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완충 공간과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공기 유통공(孔) 및, 상기 공기 유통공과 상기 길이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피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완충 공간과 상기 둘레상 홈을 연통하는 연결 유로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도료 도포구는, 봉 형상을 이루고, 길이 방향의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을 향하여 도료를 안내하여 상기 전단측으로부터 토출시키는 도료 도포구로서, 상기 후단측의 단면으로부터 상기 전단측을 향하여 오목한 구멍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도료를 토출시키는 도포 부재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을 이루고 상기 후단측으로부터 상기 구멍부에 삽입된 도료 피더와, 상기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도료 피더로 상기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 탱크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도료 피더의 외주측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접속된 완충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도료 수용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도료 및 공기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있어서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도료 피더는, 섬유를 수속하여 구성된 중계 심체로서,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에 삽입 통과되어 여유있게 끼워지고,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도료 피더의 외주면과의 경계에, 상기 구멍부와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을 연통하고,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의 상기 도료를 상기 구멍부에 안내 가능한 유통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에는, 상기 유통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도료 피더를 지지하는 피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료 피더는, 외주면에 상기 도료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어 도료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을 갖고, 상기 피더 지지부는, 상기 접촉 영역보다도 상기 후단측에서 상기 도료 피더를 지지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윤곽 투영에 의해 계측한 상기 도료 피더의 최대 외경 치수를 α,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의 내경 치수를 β라고 정의한 경우에, α<β+0.040㎜를 충족해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도료 피더의 최대 외경 치수 α와,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의 내경 치수 β가, α<β를 충족해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도료 피더의 최대 외경 치수 α와,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의 내경 치수 β가, β-0.25㎜≤α를 충족해도 좋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구에서는, 상기 도료는, 액체 도료에 고형물이 포함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태양의 도료 도포구에 의하면, 원활하게 도료를 안내하여 토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도포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도포구의 주요부 확대도로서,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포구에 있어서의 도료 피더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에 상당하는 사진이다.
도 5는 상기 도포구에 있어서의 압력 변동 완충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포구에 있어서의 압력 변동 완충 부재의 횡단면도로서, (a)는 도 5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도 5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포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도포구의 주요부 확대도로서, 도 7의 D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도포구에 있어서의 도료 피더의 횡단면도로서, (a)는 도 8의 E-E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도 8의 F-F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c)는 도 8의 G-G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도포구의 도료 피더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도포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도포구의 주요부 확대도로서, 도 11의 H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포구의 주요부 확대도로서,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포구에 있어서의 도료 피더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에 상당하는 사진이다.
도 5는 상기 도포구에 있어서의 압력 변동 완충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포구에 있어서의 압력 변동 완충 부재의 횡단면도로서, (a)는 도 5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도 5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포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도포구의 주요부 확대도로서, 도 7의 D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도포구에 있어서의 도료 피더의 횡단면도로서, (a)는 도 8의 E-E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도 8의 F-F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c)는 도 8의 G-G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도포구의 도료 피더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도포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도포구의 주요부 확대도로서, 도 11의 H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료 도포구(이하, 도포구)(1)는, 봉 형상을 이루고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으로 도료(P)를 안내하여, 도료(P)를 전단측으로부터 토출시킨다.
도포구(1)는, 도료(P)를 토출하는 도포 부재(2)와, 도료(P)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도료 탱크(3)와, 도료 탱크(3)로부터 도포 부재(2)로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 피더(4)와, 도료 수용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부재(5)와, 압력 변동 완충 부재(5)의 외주측에 형성된 아우터 케이스(6)를 구비하고 있다.
(도포 부재)
도포 부재(2)는 예를 들면 브러시로서, 나일론이나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상의 집합체이다. 도포 부재(2)는 브러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소결 펜 타입의 것이나, 다공질의 우레탄으로 형성된 것 등이라도 좋다. 도료(P)가 고형물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도포 부재(2)는 브러시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료(P)가 고형물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 도포 부재(2)는 유연성, 탄력성, 가요성을 갖는 나일론 등의 합성 섬유의 수속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부재(2)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축 방향(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둥근 봉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도포 부재(2)는, 축 방향의 중도 위치로부터 전단측을 향하여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부재(2)의 후단측의 단면에는, 전단 측을 향하여 오목한 구멍부(2a)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2a)는,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을 향하여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멍부(2a)의 내경은 후술하는 도료 피더(4)의 외경과 동등해도 좋지만, 구멍부(2a)의 내경이 도료 피더(4)의 외경보다도 약간 커져 도료 피더(4)의 외주면과 구멍부(2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도료(P)가 유통 가능한 공간(클리어런스)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포 부재(2)의 후단측의 단부에는, 도포 부재의 각 섬유를 묶는 고착층(固着層)(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멍부(2a)는 고착층(20)을 관통하고 있다. 고착층(20)은 예를 들면 접착재 등에 의해 도포 부재(2)의 섬유끼리가 고착됨으로써 형성된다. 고착층(20)은 축선(O)을 중심으로 한 원반 형상을 이루고 있다. 고착층(20)의 외경은 도포 부재(2)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음으로써, 도포 부재(2)로부터 외주측에 고착층(20)이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료 피더)
도료 피더(4)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둥근 봉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도료 피더(4)는 도포 부재(2)의 후단측으로부터 구멍부(2a)에 삽입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료 피더(4)는, 구멍부(2a) 내에 위치하는 도료 배출 영역(4a)과, 도료 배출 영역(4a)의 후단측에서 구멍부(2a) 외에 위치하는 도료 안내 영역(4b)을 갖고 있다.
이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도료 피더(4)의 지름 방향을 피더 지름 방향으로 한다. 또한 도료 피더(4)의 둘레 방향을 피더 둘레 방향으로 한다.
도료 배출 영역(4a)의 전단측의 단면은, 피더 지름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료 배출 영역(4a)의 전단측의 단면보다도 더욱 전단측에는, 도료 배출 영역(4a)과 구멍부(2a)의 내면과의 사이에 끼워지는 원추 형상의 공간(S1)이 형성되어 있다. 도료 배출 영역(4a)은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합성 수지로서는, 폴리아세탈(POM), 폴리아미드(PA)<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수지가 예시된다.
도료 안내 영역(4b)은 도료 배출 영역(4a)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료 안내 영역(4b)도 도료 배출 영역(4a)과 동일한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료 배출 영역(4a) 및 도료 안내 영역(4b)은, 예를 들면 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된다. 또한 도료 안내 영역(4b)의 후단측의 단부는 후술하는 도료 탱크(3)의 도료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다(도 1 참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료 피더(4)에는 둘레상 홈(40)이 형성되어 있다. 도료 피더(4)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둘레상 홈(40)도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둘레상 홈(40)은 피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둘레상 홈(40)은, 도료 배출 영역(4a)과 도료 안내 영역(4b)과의 사이에 걸쳐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둘레상 홈(40)은 도료 배출 영역(4a) 및 도료 안내 영역(4b)에 있어서의 외주면으로부터, 피더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함과 함께, 도료 피더(4)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둘레상 홈(40)은 도료 배출 영역(4a)의 전단측의 단면에 개구함과 함께, 도료 안내 영역(4b)의 후단측의 단면에도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둘레상 홈(40)은, 도포 부재(2)에 있어서의 구멍부(2a)의 내주면에 대향함과 함께, 도포 부재(2)의 구멍부(2a)와 도료 탱크(3)의 도료 수용 공간(도 1 참조)을 연통하고 있다.
도료 피더(4)에는, 둘레상 홈(40)으로서 제1 홈(41)과, 제1 홈(41)보다도 피더 지름 방향의 깊이 치수가 작은 제2 홈(42)이 형성되어 있다. 피더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제1 홈(41)끼리의 사이에 제2 홈(42)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홈(41)과 제2 홈(42)은, 피더 둘레 방향에 교대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더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제1 홈(41)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Y자 형상을 이루고, 둘레상 홈(40)끼리의 사이에는, 돌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돌출부(43)에 있어서의 피더 지름 방향의 가장 외측의 면, 즉 도료 피더(4)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면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원호면(43a)으로 되어 있다. 또한 원호면(43a)은, 각각의 돌출부(43)에 있어서의 피더 둘레 방향의 중앙부에서, 가장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압력 변동 완충 부재(5)의 내주면에 대하여 원호면(43a)이 선 접촉하고 있다.
도 3으로 되돌아가, 각각의 둘레상 홈(40)에 있어서의 피더 둘레 방향의 최대 홈폭 치수(W1)는, 0.05㎜ 이상 0.18㎜ 이하이면 좋다. 또한 최대 홈폭 치수(W1)는, 0.05㎜ 이상 0.16㎜ 이하이면 더욱 좋다. 또한 도료 배출 영역(4a)(도료 피더(4))의 최대 외경 치수(D)에 대한, 둘레상 홈(40)에 있어서의 피더 둘레 방향의 최대 홈폭 치수(W1)의 비율은 2.5% 이상 9.2%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8.2% 이하이면 좋다. 또한 도료 배출 영역(4a)의 최대 외경 치수(D)에 대한, 둘레상 홈(40)에 있어서의 피더 지름 방향의 최대 깊이 치수(제1 홈(41)의 최대 깊이 치수)(L1)는 25% 이상 40% 이하이면 좋다. 또한, 도료 배출 영역(4a)에 있어서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둘레상 홈(40)이 차지하는 점유 면적의 비율이 5% 이상이면 좋고, 10% 이상이면 더욱 좋고, 20% 이상면 더욱 좋다.
또한 도료 배출 영역(4a)의 외주면의 표면적에 대한, 둘레상 홈(40)이 도료 배출 영역(4a)의 외주면으로 개구하는 면적의 비율이 30% 이상이면 좋고, 50% 이상이면 더욱 좋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둘레상 홈(40)은, 피더 지름 방향에 피더 둘레 방향의 홈폭 치수가 변화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더 지름 방향의 내측의 단부로부터 외측의 단부를 향하여 홈폭 치수가 점차 확대한 후에 점차 감소하고, 재차 확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둘레상 홈(40)에서는, 최소 홈폭 치수(W1s)를 갖는 부분이 최대 홈폭 치수(W1)를 갖는 부분보다도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4의 예와 같이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의 단부의 개구 위치에서 홈폭 치수가 확대하고 있음으로써, 이 개구 위치의 홈폭 치수가 최대 홈폭 치수(W1)보다도 커져 있어도 좋다. 이 때문에 도 4의 예에 있어서의 최대 홈폭 치수(W1)는, 둘레상 홈(40)의 피더 지름 방향으로의 개구 위치를 제외한 위치에서의 홈폭 치수의 최대값을 나타낸다. 최소 홈폭 치수(W1s)에 대해서도 0.05㎜ 이상 0.18㎜ 이하이면 좋고, 0.05㎜ 이상 0.16㎜ 이하이면 더욱 좋다.
(도료 탱크)
도 1로 되돌아가 도료 탱크(3)는, 도료 피더(4)의 후단측의 단부로부터, 후단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료 탱크(3)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을 이루는 외통부(30)와, 외통부(30)의 후단측을 폐색하는 미전(尾栓)(39)을 갖고 있다. 외통부(30), 미전(39) 및, 후술하는 압력 변동 완충 부재(5)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이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 공간으로 되어 있다. 도료 수용 공간에는, 도료(P)로서 액체 도료나, 고형물을 함유한 액체 도료가 수용되어 있다. 액체 도료는, 예를 들면 필기구나 아이라이너에 이용되는 액체 잉크 등이다. 또한 고형물은 액체 도료보다도 비중이 높은 것으로서, 예를 들면 티탄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분체나, 금, 은, 알루미늄, 주석 등을 증착 등으로 박막으로 한 라메나, 글래스 비즈 등의 무기물 등을 들 수 있다. 고형물을 포함하는 도료(P)의 점도는, 예를 들면 4mPa·s 이상 17mPa·s 이하 정도이다.
도료 탱크(3) 내의 도료 수용 공간 내에는 교반 부재(M)가 수용되어 있다. 도포구(1)의 전체를 축 방향으로 흔듦으로써 교반 부재(M)에 의해 도료 탱크(3) 내의 도료(P)가 교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교반 부재(M)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구체(球體) 형상이나, 원기둥 형상이나, 입방체 또는 직방체 등의 다면체 형상 등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료(P)의 종류에 따라서는, 교반 부재(M)는 반드시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외통부(30)는, 도료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 영역(30a)과, 공간 형성 영역(30a)으로부터 더욱 전단측으로 연장되는 피더 수용 영역(30b)을 갖고 있다. 피더 수용 영역(30b)은 도료 피더(4)의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피더 지름 방향으로부터 보아 도료 피더(4)에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도료 피더(4)를 덮고 있다. 또한 피더 수용 영역(30b)은, 축 방향의 중도의 위치로부터 전단측을 향하여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더 수용 영역(30b)에 있어서의 전단측의 단부는, 도포 부재(2)에 대하여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피더 지름 방향으로부터 보아 도포 부재(2)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도포 부재(2)를 덮고 있다.
또한 외통부(30)의 전단측의 단부의 내면에는, 축 방향으로 후단측을 향하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한 환 형상을 이루는 제1 단차면(31)과, 제1 단차면(31)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되어 축선(O)을 중심으로 한 환 형상을 이루는 제2 단차면(32)이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통부(30)에 있어서의 피더 수용 영역(30b)에는, 외통부(30)의 내주면으로부터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에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환 형상으로 오목한 제1 오목부(33)와, 제1 오목부(33)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되어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환 형상으로 오목한 제2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통부(30)의 내경은, 전단측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작아지게 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30)에는, 제1 오목부(33)에 연통함과 함께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통부(30)의 전단측의 단면에 개구하는 공기 유통홈(30x)이 피더 둘레 방향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 유통홈(30x), 제1 오목부(33) 및, 제2 오목부(34)를 통하여 공기가 후술의 완충 공간(K)의 내외에서 교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30)에 있어서의 피더 수용 영역(30b)에는, 제2 단차면(32)보다도 후단측이 되는 축 방향의 중도의 위치에서,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에 환 형상으로 돌출하는 외통 플랜지(35)가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외통부(30)와 도포 부재(2)와의 사이에는 내통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36)는 축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고착층(20) 및 외통부(30)에 걸어 맞춤되어 있다. 내통부(36)는 도포 부재(2)의 후단측의 단부를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압입하도록 하여 덮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통부(36)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의 전단측을 향하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한 환 형상을 이루는 외측 단차면(3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 단차면(36a)에 의해 내통부(36)의 외주면에는,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한 환 형상을 이루는 외측 볼록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통부(36)의 외경은, 전단측에 비하여 후단측에서 크게 되어 있다.
내통부(36)의 외측 볼록부(37)가 외통부(30)의 제1 오목부(33) 내에 배치되고, 내통부(36)의 외측 단차면(36a)이 축 방향으로 외통부(30)의 제1 단차면(31)에 대향하도록 하여 내통부(36)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내통부(36)의 외측 단차면(36a)과 외통부(30)의 제1 단차면(31)이 걸어 맞춤되고, 내통부(36)가 외통부(30)에 걸어 맞춤되어 있다. 또한 내통부(36)의 내주면에는 외측 단차면(36a)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되어 후단측을 향하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한 환 형상을 이루는 내측 단차면(36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 단차면(36b)에 의해 내통부(36)의 내주면에는,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오목한 축선(O)을 중심으로 한 환 형상을 이루는 내측 오목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오목부(38) 내에는 고착층(20)이 배치되어 내통부(36)와 고착층(20)이 걸어 맞춤되고, 내통부(36)를 통하여 외통부(30)가 도포 부재(2)를 지지하고 있다.
(아우터 케이스)
아우터 케이스(6)는, 외통부(30)의 외통 플랜지(35)에 대하여 후단측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맞닿음과 함께, 외통 플랜지(35)보다도 후단측에서 외통부(30)를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즉 아우터 케이스(6)는, 외통부(30)를 삽입 가능하게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아우터 케이스(6)에 대하여 외통부(30)가 끼워 맞춤되어, 아우터 케이스(6)와 외통부(30)가 고정되어 있다. 아우터 케이스(6)의 내측에는, 아우터 케이스(6)의 저면과 도료 탱크(3)에 있어서의 미전(39)의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에 공간(S2)이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압력 변동 완충 부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 변동 완충 부재(5)는, 피더 보존 유지통(50)과, 피더 보존 유지통(50)보다도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에서 피더 보존 유지통(50)과 외통부(3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완충 공간(K)을 형성하는 완충 기구(51)를 갖고 있다. 압력 변동 완충 부재(5)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료 탱크(3) 중의 도료(P)가 수성 도료인 경우, 합성 수지로서는 ABS 수지, AS 수지, PET 수지, PBT 수지, 스티렌 수지, POM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등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료 탱크(3) 중의 도료(P)가 유성 도료(특히 알코올을 주용제로 하는 도료)인 경우, 합성 수지로서는 PE 수지, PP 수지, POM 수지, PET 수지, PBT 수지, 폴리아미드 등을 사용 가능하다.
(피더 보존 유지통)
피더 보존 유지통(50)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더 보존 유지통(50)은, 축선(O)을 중심으로 한 원통형을 이루고 도료 피더(4)가 삽입 통과된 본체 통부(52)와, 본체 통부(52)의 후단측에 본체 통부(52)와 일체로 형성된 연출부(延出部)(53)를 갖고 있다.
본체 통부(52)에는 도료 피더(4)가 끼워 맞춤되어 있음으로써, 본체 통부(52)의 내주면에는 도료 피더(4)의 둘레상 홈(40)이 피더 지름 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본체 통부(52)의 내주면에는 도료 피더(4)의 돌출부(43)(도 3 및 도 4 참조)에 있어서의 피더 지름 방향의 최외단이 선 접촉하고 있다. 돌출부(43)의 피더 둘레 방향의 폭 치수(W2)(도 3 참조)는 매우 작고, 본체 통부(52)에 도료 피더(4)가 끼워 맞춤되어 있음으로써, 본체 통부(52)의 내주면에 의해 돌출부(43)가 밀려 변형되고, 본체 통부(52)와 도료 피더(4)와의 사이에는 매우 미소한 극간(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 미소한 극간에 의해, 피더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둘레상 홈(40)끼리가 연통하는 공간이, 본체 통부(52)와 도료 피더(4)와의 사이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본체 통부(52)의 후단측의 단부에는, 축 방향으로 후단측을 향하는 제1 단차면(52a) 및, 축 방향으로 후단측을 향함과 함께 제1 단차면(52a)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된 제2 단차면(52b)이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체 통부(52)의 내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환 형상으로 오목한 제1 환 형상 오목부(54)와, 제1 환 형상 오목부(54)보다 후단측에서 제1 환 형상 오목부(54)보다도 더욱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오목한 제2 환 형상 오목부(55)가 본체 통부(52)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환 형상 오목부(54)는 피더 둘레 방향의 일부에서 본체 통부(52)를 피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고, 후술하는 제1 완충 공간(K1)에 개구하고 있음으로써, 제1 완충 공간(K1) 내와 도료 수용 공간과의 사이에서 공기가 유통 가능한 공기 유통공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본체 통부(52)의 후단측의 단부에서는, 후단측을 향하여 본체 통부(52)의 내경이 단계적으로 확경(擴徑)하고 있다. 또한 본체 통부(52)의 외주면에는, 제1 환 형상 오목부(54)와는 축 방향의 전단측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본체 통부(52)의 내외를 관통하는 연결 유로(F)가 피더 둘레 방향의 일부에서,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 유로(F)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을 이루고 있다. 연결 유로(F)의 수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후술하는 제1 완충 공간(K1)에 연통하도록 1개소 및, 제2 완충 공간(K2)에 연통하도록 1개소에 연결 유로(F)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본체 통부(52)는, 후술하는 제1 완충 공간(K1) 및 제2 완충 공간(K2)에 대하여 피더 지름 방향의 내측의 벽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연결 유로(F)에 의해, 후술하는 제1 완충 공간(K1) 및 제2 완충 공간(K2)과, 둘레상 홈(40)이 연통되어 있다.
연출부(53)는, 본체 통부(52)의 내경을 후단측을 향하여 확경하도록 연장되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한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출부(53)는, 본체 통부(52)의 제2 환 형상 오목부(55)의 내면과 면일(面一)의 내면을 갖고 제2 환 형상 오목부(55)와 동일한 내경인 채 후단측으로 연장된 후에, 내경을 확경하도록 굴곡 또는 만곡하여 후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연출부(53)는 후단측의 단부에서 외통부(30)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본체 통부(52)에 있어서의 제1 환 형상 오목부(54) 및 제2 환 형상 오목부(55)와, 연출부(53)가 도료 탱크(3)의 전단측의 벽을 형성하여, 도료 수용 공간을 획정하고 있다. 따라서 제1 환 형상 오목부(54) 내, 제2 환 형상 오목부(55) 내 및, 연출부(53) 내에는 도료(P)가 들어가 있다. 그리고 연출부(53)의 내측에 도료 피더(4)에 있어서의 도료 안내 영역(4b)의 후단측의 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완충 기구)
완충 기구(51)는, 피더 보존 유지통(5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완충 기구(51)는, 본체 통부(52)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중도 위치에서, 본체 통부(52)로부터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환 형상으로 돌출하는 칸막이 부재(56)와, 칸막이 부재(56)보다도 후단측에서 본체 통부(5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볼록 부재(57)와, 칸막이 부재(56)보다도 전단측에서 본체 통부(5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볼록 부재(58)를 갖고 있다.
칸막이 부재(56)는, 본체 통부(52)로부터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외통부(30)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칸막이 부재(56)는, 본체 통부(52)와 외통부(30)와의 사이의 공간, 즉 완충 공간(K)을 축 방향으로 2개로 나누어, 후단측의 제1 완충 공간(K1) 및, 전단측의 제2 완충 공간(K2)의 벽부를 형성하고 있다.
제1 볼록 부재(57)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링 형상을 이루고 본체 통부(52)로부터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을 이루는 부재이다. 제1 볼록 부재(57)는, 본체 통부(52)와 외통부(30)와의 사이에 제1 완충 공간(K1)을 형성하고 있다. 제1 볼록 부재(57)는,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제1 볼록 부재(57)는, 외통부(30)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축 방향에 인접하는 제1 볼록 부재(57)끼리의 사이에는 제1 둘레홈(57a)이 형성되어 있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볼록 부재(57)에는, 제1 볼록 부재(57)의 외주면으로부터 피더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오목함과 함께 제1 볼록 부재(57)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공기용 홈(57b)과 제1 도료용 홈(57c)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1 볼록 부재(57)에 형성된 제1 도료용 홈(57c)은 서로 축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제1 둘레홈(57a) 및 제1 도료용 홈(57c)의 홈폭 치수(피더 둘레 방향의 폭 치수)는, 모관력에 의해 도료(P)가 침입 가능한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도료용 홈(57c)은, 본체 통부(52)의 연결 유로(F)에 연통하고 있다. 연결 유로(F)를 통하여 제1 완충 공간(K1)(도 5 참조)과, 본체 통부(52)에 삽입 통과된 도료 피더(4)의 둘레상 홈(40)과의 사이에서 도료(P)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제1 볼록 부재(57)에 형성된 제1 공기용 홈(57b)은 서로 축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제1 공기용 홈(57b)은, 제1 도료용 홈(57c)에 대하여 피더 둘레 방향으로 반대측(180도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제2 볼록 부재(58)는, 제1 볼록 부재(57)와 마찬가지로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원환 형상을 이루고 본체 통부(52)로부터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을 이루는 부재이다. 제2 볼록 부재(58)는, 본체 통부(52)와 외통부(30)와의 사이에 제2 완충 공간(K2)을 형성하고 있다. 제2 볼록 부재(58)는,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제2 볼록 부재(58)는, 외통부(30)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축 방향에 인접하는 제2 볼록 부재(58)끼리에 사이에는 제2 둘레홈(58a)이 형성되어 있다.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2 볼록 부재(58)에는, 제2 볼록 부재(58)의 외주면으로부터 피더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오목함과 함께 제1 볼록 부재(57)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도료용 홈(58c)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2 볼록 부재(58)에 형성된 제2 도료용 홈(58c)은 서로 축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제2 둘레홈(58a) 및 제2 도료용 홈(58c)의 홈폭 치수(피더 둘레 방향의 폭 치수)는, 모관력에 의해 도료(P)가 침입 가능한 치수로 되어 있다.
제2 도료용 홈(58c)과 제1 도료용 홈(57c)의 사이에는 칸막이 부재(56)가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2 도료용 홈(58c)은 제1 도료용 홈(57c)과 축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볼록 부재(58)의 선단면(피더 지름 방향의 최외단면)과 외통부(3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극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극간은 제2 완충 공간(K2)에 있어서의 공기류 유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각각의 제2 볼록 부재(58)에는, 제1 볼록 부재(57)와 마찬가지로 공기용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2 도료용 홈(58c)은, 본체 통부(52)의 연결 유로(F)에 연통하고 있다. 연결 유로(F)를 통하여 제2 완충 공간(K2)과, 본체 통부(52)에 삽입 통과된 도료 피더(4)의 둘레상 홈(40)과의 사이에서 도료(P)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작용 효과)
다음으로, 상기 도포구(1)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도포구(1)에 의하면, 도포 부재(2)의 구멍부(2a) 내에서 둘레상 홈(40)이 구멍부(2a)의 내주면에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구멍부(2a) 내에서 구멍부(2a)의 내주면을 향하여, 둘레상 홈(40) 내로부터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도료(P)를 스며 나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도료 피더(4)에 있어서의 도료 안내 영역(4b)에 의해 전단측으로부터 둘레상 홈(40) 내를 안내된 도료(P)를, 도료 피더(4)에 있어서의 도료 배출 영역(4a)으로부터 도포 부재(2)를 향하여 확산시켜, 도포 부재(2)에 원활하게 도료(P)를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료(P)에 고형물이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즉 도료(P)의 종류에 상관없이, 둘레상 홈(40)에 의해 도료(P)를 도포 부재(2)로 원활하게 안내하고, 도포 부재(2)로부터 원활하게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료 피더(4)에 있어서의 둘레상 홈(40)은, 도료 배출 영역(4a)과 도료 안내 영역(4b)과의 사이에 걸쳐 형성되고, 도포 부재(2)의 구멍부(2a)와 도료 탱크(3)의 도료 수용 공간을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료(P)의 유통이 축 방향의 도중에서 차단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만일 도료(P)에 고형물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해도, 둘레상 홈(40)이 모관력에 의해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도료(P)를 빨아 올린 후, 고형물을 도료 피더(4)의 도중에서 막히게 하는 일 없이, 도료(P)를 도포 부재(2)에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료의 종류에 상관없이, 원활하게 도료(P)를 도포 부재(2)를 향하여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둘레상 홈(40)이 도포 부재(2)의 구멍부(2a)와 도료 탱크(3)의 도료 수용 공간을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교반 부재(M)에 의한 도료(P)의 교반의 효과가 도포 부재(2)에까지 전달되기 쉬워져, 도료(P)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원활하게 도료(P)를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둘레상 홈(40)으로서 제1 홈(41) 및 제2 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나 하나의 홈(41, 42)에 있어서의 피더 둘레 방향의 홈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둘레상 홈(40)에서의 모관력을 발생시키기 쉽게 할 수 있어, 도료(P)를 효과적으로 도포 부재(2)를 향하여 유통시킬 수 있다. 제1 홈(41)끼리의 사이에 제2 홈(42)을 형성함으로써 도료 피더(4)에 있어서의 홈(40)의 점유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어, 원활하게 도료(P)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료 배출 영역(4a)의 최대 외경 치수(D)에 대한 제1 홈(41)의 최대 깊이 치수(L1)를 25% 이상 40% 이하로 하는 것, 또는, 도료 배출 영역(4a)에 있어서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둘레상 홈(40)이 차지하는 점유 면적의 비율을 5% 이상으로 함으로써, 도료 피더(4)를 도료(P)의 유통에 최적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둘레상 홈(40)에 있어서의 최대 홈폭 치수(W1) 및 최소 홈폭 치수(W1s)를 0.05㎜ 이상 0.18㎜ 이하, 바람직하게는 0.16㎜ 이하로 함으로써, 모관력을 충분히 발휘시킴과 함께, 고형물을 둘레상 홈(40)의 도중에서 막히게 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도료(P)가 단숨에 전단측을 향하여 유통해 버려 도료 피더(4) 내에 공기가 들어가는 현상(소위 「잉크 하강」)이 생겨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음과 함께, 구멍부(2a)의 공간(S1)에 잉크가 체류하여 버리는 것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둘레상 홈(40)의 홈폭 치수가 피더 지름 방향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홈폭이 비교적 큰 영역에서는 고형물을 유통시키기 쉽게 할 수 있음과 함께, 홈폭이 비교적 작은 영역에서는 모관력에 의한 도료(P)의 빨아 올림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압력 변동 완충 부재(5)에 있어서의 본체 통부(52)에는, 둘레상 홈(40)에 연통하는 연결 유로(F)가 형성되어 있다. 둘레상 홈(4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료(P)가 압력 변동 완충 부재(5)와 도료 피더(4)와의 사이에 보다 많이 존재하지만, 연결 유로(F)에 의해 완충 공간(K)으로의 도료(P)의 들어감을 향상시켜, 도료(P)의 누출을 회피할 수 있다. 특히 제1 환 형상 오목부(54)와는 따로 연결 유로(F)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공기는 제1 환 형상 오목부(54)에 의해 완충 공간(K)과 도료 수용 공간과의 사이에서 이동되고, 도료(P)는 연결 유로(F)에 의해 완충 공간(K)과 둘레상 홈(40)과의 사이에서 이동되게 되어, 도료(P)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료 피더(4)의 외주면에는 피더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둘레상 홈(40)끼리를 접속하는 횡홈(도시하지 않음)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이러한 횡홈은 둘레상 홈(40)에 교차하여 피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횡홈에 의해, 둘레상 홈(40)끼리에서의 도료(P)의 주고 받음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원활하게 전단측을 향하여 도료(P)를 유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도포구(1A)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료 피더(7) 및 압력 변동 완충 부재(8)가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상이하다.
(도료 피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료 피더(7)에 있어서의 도료 배출 영역(7a)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한 원통 형상을 이루는 통 형상체(70)와, 통 형상체(70)의 내부에 배치된 배출측 중계 심체(71)를 구비하고 있다.
통 형상체(70)는 제1 실시 형태의 도료 배출 영역(4a)과 마찬가지로 수지제이다. 통 형상체(70)는 축 방향의 중도 위치로부터 전단측을 향하여 점차 축경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통 형상체(70)의 외경은, 도포 부재(2)의 구멍부(2a)의 내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통 형상체(70)의 외주면과 구멍부(2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도료(P)가 유통 가능한 공간(클리어런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포 부재(2)가 브러시인 경우에는, 통 형상체(70)의 외주면과 구멍부(2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반드시 공간(클리어런스)이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둘레상 홈(40)(제1 홈(41) 및 제2 홈(42))이 통 형상체(7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둘레상 홈(40)은 구멍부(2a)의 내주면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둘레상 홈(40) 중의 제1 홈(41)만이, 통 형상체(70)를 피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후술하는 배출측 중계 심체(71)의 외주면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또한 둘레상 홈(40)은, 도 9(a) 내지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체(70)의 후단측의 단부로부터 통 형상체(70)가 테이퍼 형상이 되는 영역까지 연장되고, 통 형상체(70)의 전단측의 단부에는 둘레상 홈(40)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배출측 중계 심체(71)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둥근 봉 형상을 이루고 있다. 배출측 중계 심체(71)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나일론 섬유나 아크릴 섬유를 수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배출측 중계 심체(71)는, 통 형상체(70)의 내주면의 형상을 따라, 축 방향의 중도 위치로부터 전단측을 향하여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배출측 중계 심체(71)는, 통 형상체(70)로부터 전단측으로 돌출하고,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구멍부(2a)의 내주면을 따르고 있다. 배출측 중계 심체(71)와 구멍부(2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공간(S1)이 형성되어 있다.
도료 피더(7)에 있어서의 도료 안내 영역(7b)은, 통 형상체(70)와 일체로 형성된 연출 통체(72)와, 배출측 중계 심체(71)와 일체로 형성된 안내측 중계 심체(73)를 갖고 있다.
연출 통체(72)는, 통 형상체(70)의 후단측에 접속되어 있다. 연출 통체(72)는 통 형상체(7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 형상체(70)와 동일한 수지제의 부재인, 연출 통체(72)는 통 형상체(70)와 동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둘레상 홈(40)은 통 형상체(70)와 연출 통체(72)와의 사이에 걸쳐 형성되고, 연출 통체(72)의 후단측의 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안내측 중계 심체(73)는, 배출측 중계 심체(71)의 후단측에 접속되고, 연출 통체(72)에 삽입 통과되어 봉 형상을 이루고 있다. 안내측 중계 심체(73)는 배출측 중계 심체(7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측 중계 심체(71)와 동일한 섬유를 수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안내측 중계 심체(73)는, 배출측 중계 심체(71)와 동 지름에서 후단측으로 연장된 후에 피더 지름 방향에 대하여 외경이 확경한다. 따라서 안내측 중계 심체(73)에는 축 방향의 중도 위치에서 축선(O)을 중심으로 한 원환 형상을 이루는 환 형상 단면(맞닿음면)(73a)이 형성되어 있다. 환 형상 단면(73a)은 고착층(20)보다도 후단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환 형상 단면(73a)에는 연출 통체(72)가 전단측으로부터 맞닿아 있다. 이 환 형상 단면(73a)보다도 후단측에서는, 안내측 중계 심체(73)가 연출 통체(72)보다도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환 형상 단면(73a)에는 둘레상 홈(40)의 개구가 대향하고 있다.
또한 배출측 중계 심체(71)는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에 삽입 통과되어 여유있게 끼워져 있음으로써,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의 내주면과 안내측 중계 심체(73)의 외주면과의 경계에는, 도료(P)를 안내 가능한 유통 공간(S3)이 형성되어 있다. 환 형상 단면(73a)이 고착층(20)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유통 공간(S3)은, 둘레상 홈(40)과 도료 탱크(3)의 도료 수용 공간(도 7 참조)을 연통하고 있음과 함께, 구멍부(2a)와 도료 탱크(3)의 도료 수용 공간을 연통하고 있다. 안내측 중계 심체(73)의 후단측의 단부는, 도료 탱크(3)의 도료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다(도 7 참조).
여기에서 여유있게 끼움이란, 소정의 힘으로 도료 피더(7)를 밀면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에 대하여 도료 피더(7)가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도료 피더(7)가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윤곽 투영에 의해 계측한 도료 피더(7)에 있어서의 도료 안내 영역(7b)의 최대 외경 치수를 α라고 하고,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의 내경 치수를 β라고 정의한 경우에, α<β+0.04㎜를 충족하면 좋다. α<β를 충족하면 더욱 좋다. 또한 β-0.25㎜≤α이면 더욱 좋다.
또한, 도료 안내 영역(7b)은, 압력 변동 완충 부재에 0.5〔N〕이하의 힘으로 저항 없이 삽입할 수 있는 상태에서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압력 변동 완충 부재)
도 7로 되돌아가, 본 실시 형태의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에서는, 연출부(83)의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연출부(83)의 후단측의 단부에 피더 지지부(84)가 형성되어 있다. 피더 지지부(84)는, 피더 둘레 방향의 일부에서 연출부(83)의 내주면으로부터 피더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즉 축선(O)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더 지지부(84)는, 도료 탱크(3)의 도료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피더 지지부(84)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공(84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84a)에는 도료 안내 영역(7b)의 후단측의 단부가 끼워 넣어져 있다. 피더 지지부(84)는,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의 내주면과 도료 안내 영역(7b)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의 유통 공간(S3)이 형성된 상태에서 도료 안내 영역(7b)을 지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피더 지지부(84)보다도 전단측에서 연출부(83)의 내측에서는, 도료 안내 영역(7b)의 외주면의 일부가 도료(P)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CA)으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피더 지지부(84)는, 이 접촉 영역(CA)보다도 후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료 탱크(3)의 미전(90)은 도료 탱크(3)의 외주벽 및 저벽을 형성하도록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외통부(30)와 미전(90)은, 도료 수용 공간의 전단측의 단부에서 걸어 맞춤하여 도료 탱크(3)의 외주벽을 형성하고 있지만,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미전(39)을 형성해도 좋다.
(작용 효과)
다음으로, 상기 도포구(1A)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도포구(1A)에 의하면, 도포 부재(2)의 구멍부(2a) 내에서 둘레상 홈(40)이 구멍부(2a)의 내주면에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구멍부(2a) 내에서 구멍부(2a)의 내주면을 향하여, 둘레상 홈(40) 내로부터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도료(P)를 스며 나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도료 피더(7)에 있어서의 도료 안내 영역(7b)에 의해 전단측으로부터 둘레상 홈(40) 내를 안내된 도료(P)를, 도료 피더(7)에 있어서의 도료 배출 영역(7a)으로부터 도포 부재(2)를 향하여 확산시켜, 도포 부재(2)에 원활하게 도료(P)를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료(P)에 고형물이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즉 도료(P)의 종류에 상관없이, 둘레상 홈(40)에 의해 도료(P)를 도포 부재(2)로 원활하게 안내하고, 도포 부재(2)로부터 원활하게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료 안내 영역(7b)의 환 형상 단면(73a)에 둘레상 홈(40)의 개구가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료 탱크(3)의 도료 수용 공간 내의 도료(P)가 도료 안내 영역(7b)의 안내측 중계 심체(73) 내에 모관력에 의해 빨아 올려진 후, 둘레상 홈(40)에 유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료 안내 영역(7b)의 안내측 중계 심체(73)는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에 여유있게 끼워져 있다. 이 때문에, 도료 안내 영역(7b)과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와의 사이에는 도료(P)를 안내 가능한 유통 공간(S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유통 공간(S3)은 구멍부(2a) 내에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도료(P)가 고형물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고형물과 함께 도료(P)가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이 유통 공간(S3)을 유통하여 구멍부(2a) 내에 유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료(P)가 고형물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라도, 고형물을 도료 피더(7)의 도중에서 막히게 하는 일 없이, 도료(P)를 도포 부재(2)에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료(P)의 종류에 상관없이, 원활하게 도료(P)를 도포 부재(2)를 향하여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둘레상 홈(40) 중의 제1 홈(41)은, 도료 배출 영역(7a)을 피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출측 중계 심체(71)를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도료 안내 영역(7b)의 안내측 중계 심체(73)로부터 배출측 중계 심체(71)에 유입한 도료(P)도, 제1 홈(41)을 통하여 도포 부재(2)를 향하여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에 확산시켜, 도료(P)를 도포 부재(2)에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둘레상 홈(40)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구멍부(2a)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넓은 범위에서 둘레상 홈(40)이 대향하고, 보다 많은 도료(P)를 도포 부재(2)를 향하여 확산시켜, 도료(P)를 도포 부재(2)에 원활하게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둘레상 홈(40)이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유통 공간(S3)으로부터 축 방향에 연속하기 때문에, 도료 탱크(3)의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곧장 도료(P)를 안내할 수 있어, 원활하게 도료(P)를 도포 부재(2)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도료 배출 영역(7a)의 배출측 중계 심체(71)는, 통 형상체(70)로부터 돌출하여 통 형상체(70)의 외에 배치되어 구멍부(2a)의 내면의 형상을 따르고 있다. 따라서, 배출측 중계 심체(71)의 전단측의 단부로부터도 구멍부(2a)의 내주면을 향하여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에 도료(P)를 스며 나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도료(P)를 도료 탱크(3)의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도포 부재(2)에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료(P)가 고형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도료 안내 영역(7b)이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에 여유있게 끼워져 있지 않아도 좋고, 끼워 맞춤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적어도 둘레상 홈(40)이 도료 배출 영역(7a)을 피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도료 안내 영역(7b)의 내부에 스며든 도료(P)를, 둘레상 홈(40)을 통하여 도포 부재(2)를 향하여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의 유통 공간(S3)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한편, 도료(P)가 고형물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유통 공간(S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둘레상 홈(40)은 예를 들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환 형상을 이루는 횡홈이라도 좋고, 축선(O) 둘레로 나선상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적어도 둘레상 홈(40)이 도료 배출 영역(7a)을 피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변형예)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의 제2 실시 형태의 도료 피더(7X)에서는, 수지제의 도료 배출 영역(7Xa) 및, 중계심인 도료 안내 영역(7Xb)이 함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둥근 봉 형상을 이루어도 좋다. 즉 도료 배출 영역(7Xa)이 수지제의 봉 상태이고, 도료 안내 영역(7Xb)이 상기 섬유를 수속하여 구성된 중계 심체라도 좋다. 그리고, 도료 안내 영역(7Xb)에 있어서의 전단측의 단면이 도료 배출 영역(7Xa)의 후단측의 단면(맞닿음면)(71Xa)에 맞닿아 있어도 좋다. 둘레상 홈(40)은 맞닿음면(71Xa)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도료(P)는 도료 안내 영역(7Xb)으로부터 도료 배출 영역(7Xa)의 둘레상 홈(40) 내에 유입하고, 둘레상 홈(40) 내로부터 피더 지름 방향의 외측에 도료(P)를 스며 나가게 하여, 도료(P)를 도포 부재(2)로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도료 안내 영역(7Xb)은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에 여유있게 끼워져 있어도 좋고, 끼워 맞춤하고 있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도포구(1B)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도료 피더(104)가 상기 실시 형태의 것과 상이하다.
(도료 피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료 피더(104)는, 상기의 섬유를 수속하여 구성된 중계 심체로서,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에 삽입 통과되어 여유있게 끼워져 있다. 여기서 여유있게 끼움이란,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힘으로 도료 피더(104)를 압압하면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에 대하여 도료 피더(104)가 이동하도록 도료 피더(104)가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의 피더 지지부(84)에 의해,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의 내주면과 도료 피더(104)의 외주면과의 경계에, 구멍부(2a)와 도료 탱크(3)의 도료 수용 공간을 연통함과 함께, 도료(P)를 안내 가능한 유통 공간(S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료 피더(104)는, 일부가 구멍부(2a) 내에 배치되는 소경부(105)와, 소경부(105)보다도 후단측에서 소경부(105)보다도 외경이 크고, 또한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에 삽입 통과되는 대경부(106)를 갖고 있다. 소경부(105)와 대경부(106)의 경계는, 고착층(20)보다도 후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료 피더(104)의 외주면과 구멍부(2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도료(P)가 유통 가능한 공간(클리어런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포 부재(2)가 브러시인 경우에는, 도료 피더(104)의 외주면과 구멍부(2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반드시 공간(클리어런스)이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작용 효과)
다음으로, 상기 도포구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도포구에 의하면, 도료 피더(104)가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에 여유있게 끼워지고, 압력 변동 완충 부재(8)의 내주면과 도료 피더(10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도료(P)를 안내 가능한 유통 공간(S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통 공간(S3)은 도료 탱크(3)의 도료 수용 공간과 구멍부(2a)를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도료가 고형물을 포함하는 경우라도,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이 유통 공간(S3)을 유통하여 구멍부(2a) 내에 유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료 중의 고형물이 도료 피더(104)의 도중에서 막히는 일이 없고, 도료(P)를 도포 부재(2)로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료(P)의 종류에 상관없이, 원활하게 도료를 도포 부재(2)를 향하여 안내하여 도포 부재(2)로부터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도포 부재(2), 도료 탱크(3), 도료 피더(4(7, 7X, 104)), 압력 변동 완충 부재(5(8)) 및, 아우터 케이스(6)는 반드시 동축에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도료 도포구는, 원활하게 도료를 안내하여 토출 가능하게 한다.
1, 1A, 1B : 도료 도포구
2 : 도포 부재
2a : 구멍부
3 : 도료 탱크
4, 7, 7X, 104 : 도료 피더
4a, 7a, 7Xa : 도료 배출 영역
4b, 7b, 7Xb : 도료 안내 영역
5, 8 : 압력 변동 완충 부재
40 : 둘레상 홈
41 : 제1 홈
42 : 제2 홈
P : 도료
S3 : 유통 공간
2 : 도포 부재
2a : 구멍부
3 : 도료 탱크
4, 7, 7X, 104 : 도료 피더
4a, 7a, 7Xa : 도료 배출 영역
4b, 7b, 7Xb : 도료 안내 영역
5, 8 : 압력 변동 완충 부재
40 : 둘레상 홈
41 : 제1 홈
42 : 제2 홈
P : 도료
S3 : 유통 공간
Claims (21)
- 봉 형상을 이루고, 길이 방향의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을 향하여 도료를 안내하여 상기 전단측으로부터 토출시키는 도료 도포구(塗布具)로서,
상기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 공간이 형성된 도료 탱크와,
상기 후단측의 단면으로부터 상기 전단측을 향하여 오목한 구멍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도료를 토출시키는 도포 부재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을 이루고 상기 후단측으로부터 상기 구멍부에 삽입됨과 함께 상기 도료 수용 공간 내에 연장되어 상기 도료 탱크의 상기 도료를 상기 도포 부재에 공급하는 도료 피더(feeder)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도료 피더의 외주측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접속된 완충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도료 수용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도료 및 공기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있어서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도료 피더는,
상기 구멍부 내에 위치하는 도료 배출 영역과,
상기 구멍부 외에 위치하여 상기 도료 탱크의 상기 도료를 상기 도료 배출 영역을 향하여 안내하는 도료 안내 영역
을 갖고,
상기 도료 배출 영역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도료 피더의 지름 방향이 되는 피더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함과 함께 상기 구멍부의 내주면에 대향하고, 상기 도료가 유입하는 둘레상(周上) 홈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도료 도포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상 홈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료 피더의 둘레 방향이 되는 피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도료 도포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피더는, 상기 도료 안내 영역과 상기 도료 배출 영역이 일체로 형성된 수지제의 부재이고,
상기 둘레상 홈은, 상기 도료 배출 영역과 상기 도료 안내 영역과의 사이에 걸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과 함께 상기 구멍부와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을 연통하고,
상기 도료 피더는,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에 끼워 맞춤함으로써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도료 도포구.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둘레상 홈으로서, 제1 홈과, 상기 제1 홈보다도 상기 피더 지름 방향의 깊이 치수가 작은 제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피더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제1 홈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도료 도포구.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피더에는, 상기 피더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둘레상 홈끼리를 접속하는 횡(橫)홈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도료 도포구. -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상 홈에 있어서의 상기 피더 둘레 방향의 최대 홈폭 치수가 0.05㎜ 이상 0.18㎜ 이하인 도료 도포구. -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배출 영역의 최대 외경 치수에 대한, 상기 둘레상 홈에 있어서의 상기 피더 지름 방향의 최대 깊이 치수의 비율이 25% 이상 40% 이하인 도료 도포구. -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배출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둘레상 홈이 차지하는 점유 면적의 비율이, 5% 이상인 도료 도포구.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배출 영역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통 형상을 이루고, 수지에 의해 형성된 통 형상체와,
상기 통 형상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섬유를 수속(收束)하여 구성된 배출측 중계 심체(中繼芯體)
를 갖고,
상기 통 형상체에 상기 둘레상 홈이 형성되어 있는 도료 도포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상 홈이, 상기 통 형상체를 상기 피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배출측 중계 심체의 상기 도료가, 상기 둘레상 홈을 통하여 상기 도포 부재에 배출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도료 도포구.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는 상기 전단측을 향하여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을 갖고,
상기 배출측 중계 심체는, 상기 통 형상체로부터 상기 전단측으로 돌출함과 함께, 상기 구멍부의 형상을 따라 상기 전단측을 향하여 외경이 점차 작게 되어 있는 도료 도포구. -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안내 영역은, 섬유를 수속하여 구성된 봉 형상을 이루는 안내측 중계 심체를 갖고,
상기 안내측 중계 심체 및 상기 배출측 중계 심체가 일체화되어 있는 도료 도포구.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배출 영역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봉 형상을 이루고, 수지에 의해 형성된 봉 형상체이고,
상기 도료 안내 영역은, 섬유를 수속하여 구성된 봉 형상을 이루는 중계 심체이고,
상기 중계 심체에 있어서의 전단측이, 상기 봉 형상체의 후단측의 단면에 상기 후단측으로부터 맞닿는 맞닿음면을 가짐과 함께, 상기 중계 심체에 있어서의 상기 후단측이 상기 도료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봉 형상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둘레상 홈의 후단측은, 상기 맞닿음면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는 도료 도포구.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안내 영역은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에 삽입 통과되어 여유있게 끼워지고,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도료 안내 영역의 외주면과의 경계에, 상기 도료 배출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둘레상 홈과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을 연통하고,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의 상기 도료를 상기 둘레상 홈까지 안내 가능한 유통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도료 도포구.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는, 상기 도료 피더를 삽입 통과시킴과 함께 상기 완충 공간에 대하여 상기 피더 지름 방향의 내측의 벽부를 형성하는 본체 통부를 갖고,
상기 본체 통부에는, 상기 피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완충 공간과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공기 유통공(孔) 및, 상기 공기 유통공과 상기 길이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피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완충 공간과 상기 둘레상 홈을 연통하는 연결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도료 도포구. - 봉 형상을 이루고, 길이 방향의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을 향하여 도료를 안내하여 상기 전단측으로부터 토출시키는 도료 도포구로서,
상기 후단측의 단면으로부터 상기 전단측을 향하여 오목한 구멍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도료를 토출시키는 도포 부재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을 이루고 상기 후단측으로부터 상기 구멍부에 삽입된 도료 피더와,
상기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도료 피더로 상기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 탱크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도료 피더의 외주측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접속된 완충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도료 수용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도료 및 공기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있어서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도료 피더는, 섬유를 수속하여 구성된 중계 심체로서,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에 삽입 통과되어 여유있게 끼워지고,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도료 피더의 외주면과의 경계에, 상기 구멍부와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을 연통하고,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의 상기 도료를 상기 구멍부에 안내 가능한 유통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도료 도포구. -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에는, 상기 유통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도료 피더를 지지하는 피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료 피더는, 외주면에 상기 도료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어 도료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을 갖고,
상기 피더 지지부는, 상기 접촉 영역보다도 상기 후단측에서 상기 도료 피더를 지지하고 있는 도료 도포구. - 제14항, 제1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윤곽 투영에 의해 계측한 상기 도료 피더의 최대 외경 치수를 α,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의 내경 치수를 β라고 정의한 경우에, α<β+0.040㎜를 충족하는 도료 도포구.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피더의 최대 외경 치수 α와,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의 내경 치수 β가, α<β를 충족하는 도료 도포구.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피더의 최대 외경 치수 α와, 상기 압력 변동 완충 부재의 내경 치수 β가, β-0.25㎜≤α를 충족하는 도료 도포구. -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는, 액체 도료에 고형물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도료 도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005640A JP7100904B2 (ja) | 2020-01-17 | 2020-01-17 | 直液式ペン型アイライナー |
JPJP-P-2020-005640 | 2020-01-17 | ||
PCT/JP2021/001243 WO2021145426A1 (ja) | 2020-01-17 | 2021-01-15 | 塗料塗布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8356A true KR20220128356A (ko) | 2022-09-20 |
KR102616607B1 KR102616607B1 (ko) | 2023-12-20 |
Family
ID=7686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24562A KR102616607B1 (ko) | 2020-01-17 | 2021-01-15 | 직액식 펜형 아이라이너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707127B2 (ko) |
EP (1) | EP4091496A4 (ko) |
JP (1) | JP7100904B2 (ko) |
KR (1) | KR102616607B1 (ko) |
CN (1) | CN115023298A (ko) |
WO (1) | WO202114542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3108760A (ja) * | 2022-01-26 | 2023-08-07 | 三菱鉛筆株式会社 | 化粧料塗布具 |
WO2024029380A1 (ja) * | 2022-08-01 | 2024-02-08 | 三菱鉛筆株式会社 | 化粧料塗布具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90253A (ja) * | 2002-08-29 | 2004-03-25 | Tombow Pencil Co Ltd | 筆記具 |
JP2015100981A (ja) * | 2013-11-25 | 2015-06-04 | ケミコスクリエイションズ株式会社 | 圧力変動緩衝機構及び塗布具 |
JP2016078325A (ja) * | 2014-10-16 | 2016-05-16 | 株式会社呉竹 | ペン及びペン用リフィル |
KR20160081929A (ko) * | 2013-10-21 | 2016-07-08 | 유겐가이샤 브이 스파크 |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및 도포구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25314U (ja) | 1983-02-10 | 1984-08-23 | 株式会社資生堂 | 液状化粧料容器 |
DE9217540U1 (de) * | 1992-12-22 | 1993-03-04 | Hermann Böhler GmbH, 6830 Schwetzingen | Schreibspitze für einen Schreibstift |
KR200180830Y1 (ko) * | 1998-04-07 | 2000-05-15 | 오영호 | 필기구 |
EP1151873B1 (en) * | 1998-11-19 | 2009-07-08 |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 Collector for writing instruments |
KR20020037024A (ko) * | 1999-07-19 | 2002-05-17 | 추후제출 | 필기구 |
JP4706992B2 (ja) * | 2001-07-02 | 2011-06-22 | オーベクス株式会社 | 液体供給体及びペン先又はペン用中継芯 |
JP2008006668A (ja) * | 2006-06-29 | 2008-01-17 | Mitsubishi Pencil Co Ltd | 直液式塗布具 |
JP5457695B2 (ja) * | 2009-03-16 | 2014-04-02 | ケミコスクリエイションズ株式会社 | 化粧料の塗布具 |
JP5597223B2 (ja) * | 2012-04-23 | 2014-10-01 | 株式会社トキワ | 塗布材押出容器 |
JP6262463B2 (ja) * | 2013-07-26 | 2018-01-17 | 三菱鉛筆株式会社 | 液体塗布具 |
JP6326586B2 (ja) * | 2013-09-18 | 2018-05-23 | 株式会社トキワ | 化粧料塗布具 |
US9498044B2 (en) * | 2014-11-18 | 2016-11-22 | Capicolor International Cosmetics Ltd. | Cosmetic applicator |
JP6669692B2 (ja) * | 2016-06-30 | 2020-03-18 | 花王株式会社 | 泡吐出容器 |
CN107772753B (zh) * | 2016-08-25 | 2023-12-15 |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 具有蓄液功能的液体眼线笔 |
JP6868377B2 (ja) * | 2016-11-29 | 2021-05-12 | ぺんてる株式会社 | 液状化粧料容器 |
JP7401175B2 (ja) * | 2017-05-16 | 2023-12-19 | 三菱鉛筆株式会社 | 塗布具 |
JP6678206B2 (ja) * | 2018-05-31 | 2020-04-08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塗布容器 |
-
2020
- 2020-01-17 JP JP2020005640A patent/JP7100904B2/ja active Active
-
2021
- 2021-01-15 WO PCT/JP2021/001243 patent/WO2021145426A1/ja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1-15 EP EP21741787.2A patent/EP4091496A4/en active Pending
- 2021-01-15 CN CN202180009726.XA patent/CN115023298A/zh active Pending
- 2021-01-15 KR KR1020227024562A patent/KR10261660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7-15 US US17/865,819 patent/US1170712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90253A (ja) * | 2002-08-29 | 2004-03-25 | Tombow Pencil Co Ltd | 筆記具 |
KR20160081929A (ko) * | 2013-10-21 | 2016-07-08 | 유겐가이샤 브이 스파크 |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및 도포구 |
JP2015100981A (ja) * | 2013-11-25 | 2015-06-04 | ケミコスクリエイションズ株式会社 | 圧力変動緩衝機構及び塗布具 |
JP2016078325A (ja) * | 2014-10-16 | 2016-05-16 | 株式会社呉竹 | ペン及びペン用リフィ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1112692A (ja) | 2021-08-05 |
US11707127B2 (en) | 2023-07-25 |
KR102616607B1 (ko) | 2023-12-20 |
CN115023298A (zh) | 2022-09-06 |
US20220346525A1 (en) | 2022-11-03 |
WO2021145426A1 (ja) | 2021-07-22 |
EP4091496A1 (en) | 2022-11-23 |
JP7100904B2 (ja) | 2022-07-14 |
EP4091496A4 (en) | 2024-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07127B2 (en) | Direct liquid type pen-shaped eyeliner | |
US7578631B2 (en) | Direct-fluid-supply writing implement | |
KR20070092611A (ko) | 직액식 필기구 | |
WO2011118752A1 (ja) | 塗布具 | |
JP2021112692A5 (ko) | ||
JP4658259B2 (ja) | 直液式筆記具 | |
WO2012157594A1 (ja) | 塗布具 | |
JP2006212884A (ja) | 直液式筆記具 | |
EP3081387B1 (en) | Ballpoint pen | |
WO2024075148A1 (ja) | 直液式ペン型アイライナー | |
WO2023286237A1 (ja) | 直液式ペン型アイライナー | |
US6659671B1 (en) | Ink introducing tube and writing instrument incorporated with the same | |
WO2023100270A1 (ja) | 直液式ペン型アイライナー | |
US7163350B2 (en) | Liquid container | |
JP2005313404A (ja) | 筆記具 | |
CN113825426B (zh) | 笔 | |
JP2000127672A (ja) | 直液式筆記具 | |
JP2008044285A (ja) | 直液式筆記具 | |
TW201318886A (zh) | 塗布具 | |
WO2017094614A1 (ja) | インキカートリッジ及び筆記具 | |
JPH10309885A (ja) | 直液式筆記具 | |
JP4943950B2 (ja) | 直液式筆記具 | |
JP2008200945A (ja) | 直液式筆記具 | |
JP2008162212A (ja) | 直液式筆記具 | |
JP2023160749A (ja) | 塗布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