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929A -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및 도포구 - Google Patents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및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929A
KR20160081929A KR1020167013371A KR20167013371A KR20160081929A KR 20160081929 A KR20160081929 A KR 20160081929A KR 1020167013371 A KR1020167013371 A KR 1020167013371A KR 20167013371 A KR20167013371 A KR 20167013371A KR 20160081929 A KR20160081929 A KR 20160081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paint
coating material
buff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8956B1 (ko
Inventor
마사유키 가와사키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브이 스파크
케미코스 크리에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18159A external-priority patent/JP57950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42610A external-priority patent/JP5849082B2/ja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브이 스파크, 케미코스 크리에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브이 스파크
Publication of KR20160081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43K23/128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with sp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43K8/06Wick feed from within reservoir to writing-points
    • B43K8/08Wick separate from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 B43K7/105Feed bar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압력 변동 완충 기구(180)는 도료가 유통하는 도료 유통 공간(도료 탱크(140) 및 도료 피더(160))를 통해 브러시(120)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K)을 구비한다. 압력 변동 완충 기구(180)는 도료 유통 공간과 완충 공간(K)과의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도료 탱크(140)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것이다. 압력 변동 완충 기구(180)는 완충 공간(K)에서 제1 완충 공간(K1)을 형성하는 제1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3), 및 완충 공간(K)에서 제2 완충 공간(K2)을 형성하는 제2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4)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완충 공간(K1)과 도료 유통 공간 사이의 도료는 제2 완충 공간(K2)과 도료 유통 공간 사이의 도료보다 흐르기 쉽다.

Description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및 도포구{Pressure fluctuation buffering mechanism and applicator}
본 발명은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및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탱크를 구비한 도포구(예컨대, 만년필)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도포구가 이용되는 환경 조건(압력이나 기온 등)의 변동에 의해 잉크 탱크 내의 압력 변동이 발생하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예컨대, 잉크 탱크 내의 압력이 증대되면, 펜 끝으로부터 잉크의 누출이 발생한다. 한편, 잉크 탱크 내의 압력이 감소하면, 펜 끝으로부터 잉크가 잘 나오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잉크 체류용 빗살 홈(comb groove)과, 빗살 홈에 직교하여 마련된 잉크 유통 홈과, 빗살 홈에 직교하여 마련된 공기 유통 홈을 갖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를 구비하여 잉크 탱크에 있어서의 압력 변동에 의한 문제를 해소하는 필기구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 공고실용신안 공보 소62-028458호
그러나, 전술한 문헌에 기재된 필기구에 마련된 압력 변동 완충 기구의 완충 능력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자가 예의 검토한 결과, 압력 변동 완충 기구의 완충 능력을 가능한 한 높게 하기 위해서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의 축 방향(잉크 탱크로부터 펜 끝을 향하는 방향)에서의 길이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고, 압력 변동 완충 기구의 굵기는 가능한 한 굵은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고, 양자를 모두 갖추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지견을 얻었다. 그러나, 압력 변동 완충 기구의 완충 능력을 최대한 끌어 내고자 하면, 필기구 전체의 형상도 짧고, 굵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짧고 굵은 필기구는 잡기 어려워 실용적이지 않다.
또한, 전술한 필기구에 마련된 압력 변동 완충 기구에 대해서는, 잉크 탱크로부터 펜 끝까지 잉크의 공급을 행하는 잉크 유도심이 삽입 마련된다(예컨대, 전술한 문헌). 그러나, 이 잉크 유도심의 삽입 구조에 의해 잉크 유도심의 유통 성능이 저해된다. 그리고, 잉크 유도심의 유통 성능이 저해되면, 압력 변동 완충 기구는 소기의 성능을 나타낼 수 없다.
본 발명자의 열심히 검토의 결과, 잉크 유도심의 유통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이하의 (i)~(ii) 중 하나가 필요하다는 지견을 얻었다.
(i) 잉크 탱크로부터 펜 끝으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유도심을 지지하는 유도심 지지 구조와 압력 변동 완충 기구를 분리하는 것.
(ii) 잉크 및 에어가 잉크 탱크와 잉크 유도심 사이에서 유통되기 쉬워지는 것.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압력 변동의 완충 능력이 극히 높고, 필기구 등에 채용한 경우에도 실용성을 해치지 않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잉크 유도심의 유통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압력 변동 완충 기구를 구비한 도포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의 예의 연구에 의해, 상기 목적은 이하의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유통 공간을 통해 도포 부재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로서, 상기 완충 공간에서 제1 완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완충 공간 형성 부재와, 상기 완충 공간에서 제2 완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완충 공간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완충 공간 및 상기 도료 유통 공간 사이에서의 상기 도료는 상기 제2 완충 공간 및 상기 도료 유통 공간 사이에서의 상기 도료보다 흐르기 쉬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완충 공간은 상기 도포 부재에 대해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완충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제1 완충 공간에 배치되어 제1 도료 유통로를 형성하는 제1 도료 유통로 형성 부재와, 상기 제1 완충 공간에 배치되어 제1 에어 유통로를 형성하는 제1 에어 유통로 형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2 완충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제2 완충 공간에 배치되어 제2 도료 유통로를 형성하는 제2 도료 유통로 형성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공간에 배치되어 제2 에어 유통로를 형성하는 제2 에어 유통로 형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 도료 유통로에서의 상기 도료는 상기 제2 도료 유통로에서의 상기 도료보다 흐르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력 변동 완충 기구는 제1 도료용 노치가 형성됨과 아울러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판과, 제2 도료용 노치가 형성됨과 아울러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2 판을 가지며, 상기 제1 도료 유통로는 상기 제1 판 사이와 상기 제1 도료용 노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유통로는 상기 제1 판의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도료 유통로는 상기 제2 판의 사이와 상기 제2 도료용 노치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2 에어 유통로는 상기 제2 판의 주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판에는 각각 제1 에어용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용 노치가 상기 제1 에어 유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도료 유통로는 상기 도포 부재에 대해 개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완충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제2 에어 유통로를 외부 공간에 접속되는 외부 접속 유로와, 상기 외부 접속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 저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은 상기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 공간과, 상기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도포 부재에 상기 도료의 공급을 행하는 도료 공급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완충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제1 완충 공간과 상기 도료 공급 공간을 연결하는 제1 연결 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2 완충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제2 완충 공간과 상기 도료 공급 공간을 연결하는 제2 연결 유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연결 유로는 상기 제1 연결 유로와 상기 도포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료 공급 공간에는 상기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도포 부재까지의 상기 도료의 공급을 행하는 도료 공급 코어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완충 공간과 상기 제2 완충 공간 중 적어도 일방에는 에어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저장부는 상기 제1 완충 공간에 형성된 제1 도료 유통로를 통해 상기 제1 연결 유로에 대향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완충 공간에 형성된 제2 도료 유통로를 통해 상기 제2 연결 유로에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에어 저장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연결 유로, 또는 상기 에어 저장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연결 유로는 상기 도료의 유통로임과 동시에 상기 에어의 유통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은 상기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 공간과, 상기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도포 부재에 상기 도료의 공급을 행하는 도료 공급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완충 공간 및 상기 제2 완충 공간은 상기 도료 공급 공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유통 공간을 통해 도포 부재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로서, 상기 완충 공간은 상기 도포 부재에 대해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유통 공간을 통해 도포 부재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로서, 상기 완충 공간을 형성하는 완충 공간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완충 공간에 형성된 에어 유통로를 외부 공간에 접속되는 외부 접속 유로와, 상기 외부 접속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 저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유통 공간을 통해 도포 부재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로서, 상기 완충 공간을 형성하는 완충 공간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은 상기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 공간과, 상기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도포 부재에 상기 도료의 공급을 행하는 도료 공급 공간을 가지며, 상기 완충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완충 공간과 상기 도료 공급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가지며, 상기 완충 공간에는 에어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저장부는 상기 완충 공간에 형성된 도료 유통로를 통해 상기 연결 유로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 저장부와 대향하는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도료의 유통로임과 동시에 상기 에어의 유통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압력 변동 완충 기구는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도포 부재까지의 도료의 공급을 행하는 도료 공급 코어 중 제1 코어 부분을 지지하는 공급 코어 지지 구조와, 상기 도료 공급 코어의 제2 코어 부분을 걸어멈춤시키는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와,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가지며, 상기 도료 수용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상기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 변동 완충 구조는 상기 공급 코어 지지 구조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료 공급 코어 중 상기 제2 코어 부분보다 상기 도포 부재측의 부분과,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을 연결하는 연통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압력 변동 완충 기구는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도포 부재까지의 도료의 공급을 행하는 도료 공급 코어 중 제1 코어 부분을 지지하는 공급 코어 지지 구조와, 상기 도료 공급 코어의 제2 코어 부분을 걸어멈춤시키는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와,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가지며, 상기 도료 수용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상기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도료 공급 코어 중 상기 제2 코어 부분보다 상기 도포 부재측의 부분과,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을 연결하는 연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 코어 지지 구조와 상기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 코어 지지 구조와 상기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 코어 지지 구조는 상기 제1 코어 부분을 수용하는 통상체이며, 상기 연결 구조는 상기 통상체의 상기 도료 수용 공간측 단면으로부터,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는 상기 연결 구조의 상기 도료 수용 공간측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는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 코어 지지 구조와 상기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는 상기 제2 코어 부분과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는 상기 제2 코어 부분이 압입되는 압입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는 상기 제2 코어 부분과 용착되는 용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코어 부분이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코어 부분보다 상기 도료 수용 공간측의 부분이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 공간에는 도료 유통로와 에어 유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압력 변동 완충 구조는, 도료용 노치 및 에어용 노치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완충 공간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판을 가지며, 상기 도료 유통로는 상기 도료용 노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에어 유통로는 상기 에어용 노치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유통 공간을 통해 도포 부재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로서, 상기 완충 공간을 형성하는 완충 공간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은 상기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 공간과, 상기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도포 부재에 상기 도료의 공급을 행하는 도료 공급 공간을 가지며, 상기 완충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완충 공간 중 상기 도포 부재측 벽을 형성하는 도포 부재측 벽 부재와, 상기 완충 공간 중 상기 도료 수용 공간측의 벽을 형성하는 도료 수용 공간측 벽 부재와, 상기 도포 부재측 벽 부재 및 도료 수용 공간측 벽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완충 공간에 도료 유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도료 유통로 형성 부재와, 상기 도포 부재측 벽 부재 및 도료 수용 공간측 벽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완충 공간에 에어 유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에어 유통로 형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도료 수용 공간측 벽 부재 및 상기 도료 유통로 형성 부재 사이에는 상기 에어 유통로와 연통하는 버퍼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유통 공간을 통해 도포 부재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로서, 상기 압력 변동 완충 기구를 통에 삽입하였을 때, 자신의 변형에 의해 상기 통으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 기구와, 상기 완충 공간에 기밀성을 부여하는 에어 타이트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빠짐 방지 기구와 상기 에어 타이트 기구 사이에는 도피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타이트 기구와 변형 상태의 상기 빠짐 방지 기구는 상기 도피 공간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유통 공간을 통해 도포 부재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로서, 상기 완충 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통기공을 가지며, 상기 통기공은 상기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 저장 공간과 정면으로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포구는 상기 압력 변동 완충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 변동의 완충 능력이 극히 높고, 필기구 등에 채용한 경우에도 실용성을 해치지 않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및 압력 변동에 기인한 도료의 누출이 잘 일어나지 않는 도포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잉크 유도심의 유통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및 이를 구비한 도포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도포구의 개요를 도시한 것으로서, 중축의 중심을 통과하는 면에 있어서의 도포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포구의 개요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과 동일한 면에 있어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포구의 중축 및 그 근방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 및 압력 변동 완충 기구의 개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의 개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의 Ⅳc-Ⅳc선 단면도이다.
도 4d는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의 Ⅳd-Ⅳd선 단면도이다.
도 4e는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의 Ⅳc-Ⅳc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및 이들의 근방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 및 압력 변동 완충 기구의 개요를 나타낸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 7a는 제1 도료용 연통 홈 및 제2 도료용 연통 홈의 개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b는 제1 도료용 연통 홈 및 제2 도료용 연통 홈의 개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 및 압력 변동 완충 기구의 개요를 나타낸 Ⅷ-Ⅷ선 단면도이다.
도 9a는 제1 에어용 연통 홈의 개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b는 제1 에어용 연통 홈의 개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브러시, 브러시 보유지지 부재 및 이들의 근방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 및 압력 변동 완충 기구의 개요를 나타낸 ⅩⅠ-ⅩⅠ선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제1 완충 공간에 형성된 에어 저장소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B)는 제2 완충 공간에 형성된 에어 저장소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3은 통기공을 가지는 브러시 보유지지 부재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포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구(2)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봉상(棒狀)의 도포구 본체(100), 및 도포구 본체(100)의 전단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캡(200)을 구비한다.
(캡)
캡(200)은 외부 캡(210), 외부 캡(210)의 내측에 배치된 내부 캡(220), 및 외부 캡(210)의 내측에서 내부 캡(220)을 탄성 가압하는 내부 캡용 스프링(230)을 갖는다. 외부 캡(210)이나 내부 캡(220)은 합성 수지, 예컨대, PP(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다.
외부 캡(210)의 내주면에는 걸어맞춤 돌기(211)가 마련된다. 걸어맞춤 돌기(211)는 내부 캡(220)의 선단부(221)에 걸어맞추어진다. 내부 캡(220)은 외부 캡(210)의 내부 공간에서 선단부(221)와 걸어맞춤 돌기(211)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위치와, 선단부(221)와 걸어맞춤 돌기(211)가 떨어진 걸어맞춤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내부 캡용 스프링(230)은 외부 캡(210)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 캡(210)의 내주면과 내부 캡(22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내부 캡용 스프링(230)은 걸어맞춤 위치를 향해 내부 캡(220)을 탄성 가압한다.
(도포구 본체)
도 1~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구 본체(100)는 원통형 중축(中軸; 110)과, 중축(110)의 전단측에 배치된 브러시(120)와, 중축(110)의 전단측 개구에 장착되어 브러시(120)를 보유지지하는 브러시 보유지지 부재(130)와, 중축(110)의 후단측 개구에 장착된 도료 탱크(140)와, 도료와 함께 도료 탱크(140) 내에 수용된 교반 부재(150)와, 도료 탱크(140)에 수용된 도료를 브러시(120)에 공급하는 도료 피더(160)(도료 공급 코어)와, 중축(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도료 피더(160)를 보유지지하는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과, 도료 탱크(140) 내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180)와, 도료 탱크(140)를 덮도록 하여 중축(110)에 장착되는 외축(外軸; 190)을 구비한다.
(중축)
중축(1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중축(110)에 있어서 축 방향(A)의 중도 부분(110C)의 외주면에는 걸어맞춤 돌기(111)가 형성된다. 걸어맞춤 돌기(111)는 캡(200)의 개구단이나 외축(190)의 개구단과 걸어맞추어진다. 중축(110)의 전방통부(110F)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외경이 작게 되어 있고, 손가락으로 잡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중축(110)의 후방통부(110B)는 전방에서 후방까지 그 직경은 거의 일정하게 되어 있다.
(도료 탱크)
도료 탱크(140)에는 도료가 수용된다. 도료로는 필기구 용도의 잉크나 액상 아이라이너 등이 있다. 필기구 용도의 잉크로는 예컨대, 생 잉크(점도가, 예컨대 10poise 이하인 것), 겔 잉크(점도가, 예컨대 100poise~3000poise인 것), 고점도 잉크(점도가, 예컨대 10000poise~100000poise인 것) 등이 있고, 액상 아이라이너로는 유성 타입, 수성 피막 타입, 수성 비피막 타입 등이 있다.
도료 탱크(140)는 양측에 개구를 갖는 미통(尾筒; 141)과, 미통(141)의 후단측 개구를 막는 엔드캡(142)을 갖는다. 미통(141)의 전단측 개구는 중축(110)의 후단측 개구에 장착된다. 엔드캡(142)은 미통(14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엔드캡(142)의 착탈 조작을 통해 도료 탱크(140)에 대한 도료의 보충을 행할 수 있다.
(교반 부재)
교반 부재(150)는 도료와 함께 도료 탱크(140)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도포구(2)를 축 방향(A)으로 흔듦으로써, 도료 탱크(140) 내의 도료를 교반할 수 있다. 또한 교반 부재(150)의 형상으로는 구체, 다면체(입방체, 직방체 등) 등의 형상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도료의 종류에 따라 교반 부재(150)를 생략할 수도 있다.
(브러시)
도 2~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120)는 PBT(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섬유상의 집합체이다. 또한 도시하는 도포 부재로서 브러시(120)를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의 도포 부재로는 브러시(120) 이외의 것(예컨대, 볼펜 타입, 섬유 다발을 이용한 사인펜 타입, 내부에 도료의 유도공을 갖는 플라스틱 펜 타입, 소결 펜 타입 외에, 다공질 우레탄으로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브러시 보유지지 부재)
브러시 보유지지 부재(1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브러시 보유지지 부재(130)는 브러시(120)의 기부(基部)측과 걸어맞추어지는 브러시 걸어맞춤부(131)를 내주면에 가지며, 중축(110)과 걸어맞추어지는 중축 걸어맞춤부(132)를 외주면에 갖는다. 이 때문에, 브러시 보유지지 부재(130)는 중축(110)의 전단측에서 브러시(120)를 보유지지할 수 있다.
(도료 피더)
도료 피더(160)는 봉상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도료 탱크(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브러시(120)까지 연장된다. 도료 피더(160)는 중간 봉부(160C)와, 중간 봉부(160C)의 브러시(120)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전봉부(160F)와, 중간 봉부(160C)의 도료 탱크(140)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후봉부(160B)를 갖는다. 전봉부(160F)나 후봉부(160B)의 선단은 뾰족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봉부(160F)의 선단은 브러시(120)에 꽂히고, 후봉부(160B)의 선단은 도료 탱크(140)의 내부 공간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도료 피더(160)는 도료 탱크(140)에 수용된 도료를 브러시(120)로 공급할 수 있다. 도료 피더(160)로는 스펀지, 우레탄제 다공질, 또는 섬유를 묶은 솜(中綿) 등으로 이루어진 부재에 잉크를 보유지지시킨 잉크 흡장체 타입이나, 잉크 탱크에 잉크를 직접 수용시킨 생 잉크 타입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
도 3, 도 4a~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은 중축(110)의 축 방향(A)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료 피더(160)가 수용된 본체 통부(170T)와, 본체 통부(170T)에 마련된 연장부(170S)와, 연장부(170S)에 마련된 걸어멈춤부(170B)를 갖는다. 연장부(170S)는 본체 통부(170T)의 후방 단면(端面)으로부터 도료 탱크(140)를 향해 연장된다. 걸어멈춤부(170B)는 연장부(170S) 후방부에서 본체 통부(170T)의 축선(AX170T)을 향해 돌출 마련된다. 연장부(170S)나 걸어멈춤부(170B)는 도료 탱크(140)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어멈춤부(170B)에는 도료 피더(160)가 압입되는 압입공(170BX)이 형성된다. 압입공(170BX)이 후봉부(160B)에 압입됨으로써,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은 도료 피더(160)의 후봉부(160B)를 보유지지한다.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에 의해 보유지지된 후봉부(160B) 중 일부분은 도료 탱크(140)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일부분은 도료 탱크(140)에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료 탱크(140)에서 노출된 그 일부분은 도료 탱크(140)와의 사이에서 도료나 에어의 유통이 행해진다.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은,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 통부(170T)는 도료 피더(160)를 수용하기 위해 도료 피더(160)의 지지 기구(공급 코어 지지 구조)로서 기능한다. 또한, 걸어멈춤부(170B)는 도료 피더(160)의 후단부를 걸어멈춤시키기 위해 도료 피더(160)의 걸어멈춤 기구(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연장부(170S)는 도료 피더(160)의 지지 기구와 도료 피더(160)의 걸어멈춤 기구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로서 기능한다.
중축(110), 브러시 보유지지 부재(130), 도료 탱크(140)나 외축(190)은 합성 수지, 예컨대,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PET(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에스테르나 아크릴 등으로부터 형성된다.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변동 완충 기구(180)는 도료 탱크(140)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통하는 완충 공간(K)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과 압력 변동 완충 기구(180)는 일체 형성되어 있다. 도 4a, 도 4b,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변동 완충 기구(180)는 완충 공간(K)을 형성하기 위한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1)와, 완충 공간(K)을 제1 완충 공간(K1) 및 제2 완충 공간(K2)을 나누는 분리 부재(182)와, 소정의 유로를 갖는 제1 완충 공간(K1)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3)와, 소정의 유로를 갖는 제2 완충 공간(K2)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4)와, 제1 완충 공간(K1)과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 연결 유로(185)와, 제2 완충 공간(K2)과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연결 유로(186)를 갖는다. 그리고, 제1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3)와, 제2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4)는 압력 변동 완충 구조로서 개별적으로 기능한다.
(완충 공간 형성 부재)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1)는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에 있어서, 축 방향(A)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마련된다. 예컨대, 일방의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1)는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의 전단부(170F)(본체 통부(170T)의 전단부)에 마련되고, 다른 일방의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1)는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의 중도부(170C)(본체 통부(170T)의 후단부)에 마련된다. 각각의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1)는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중축(110)의 내주면을 향해 연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적어도 2개의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1) 사이에는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축(110)의 내주면에 걸쳐 완충 공간(K)이 형성된다.
(분리 부재)
분리 부재(182)는 전방의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1)와 후방의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1) 사이의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에 마련된다. 분리 부재(182)는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중축(110)의 내주면을 향해 연장된다. 분리 부재(182)에 의해, 완충 공간(K)은 제1 완충 공간(K1)과 제2 완충 공간(K2)으로 나누어진다.
(제1 완충 공간 형성 부재)
도 4a,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3)는 원환상의 제1 볼록판(183T)을 복수개 갖는다. 복수의 제1 볼록판(183T)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축 방향(A)으로 배열됨과 아울러 각각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중축(110)의 내주면을 향해 연장된다. 제1 완충 공간(K1)에 있어서, 복수의 제1 볼록판(183T) 사이에는 각각 제1 둘레 홈(183S)이 형성된다(도 7a 참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볼록판(183T)에는 각각 에어용 노치부(183TA)와 도료용 노치부(183TB)가 마련된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볼록판(183T)에 마련된 도료용 노치부(183TB)는 축 방향(A)으로 배열된다. 제1 둘레 홈(183S)의 폭(W183S)이나, 도료용 노치부(183TB)의 폭(W183TB)(도 6 참조)은 모세관힘에 의해 도료의 침입이 가능한 것이 되어 있다. 즉, 도료용 노치부(183TB)와, 제1 둘레 홈(183S) 중 도료용 노치부(183TB)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1 완충 공간(K1)에 있어서의 제1 도료용 연통 홈(183B)(제1 도료 유통로)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료용 노치부(183TB)(도 6 참조)에 있어서의 도료는 제1 둘레 홈(183S)(도 7a 참조)에 있어서의 도료보다 흐르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료용 노치부(183TB)의 폭(W183TB)(도 6 참조)은 제1 둘레 홈(183S)의 폭(W183S)(도 7a 참조)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볼록판(183T)에 마련된 에어용 노치부(183TA)는 복수의 제1 볼록판(183T)에 있어서 축 방향(A)으로 배열된다. 에어용 노치부(183TA)와, 제1 둘레 홈(183S) 중 에어용 노치부(183TA)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1 에어용 세로 홈(183A)(제1 에어 유통로)으로서, 즉 제1 완충 공간(K1)에서의 제1 에어용 연통 홈으로서 기능한다. 제1 에어용 세로 홈(183TA)은 제1 도료용 연통 홈(183TB)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제1 연결 유로)
도 5~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유로(185)는 도료용 노치부(183TB)의 노치면으로부터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의 내주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1 연결 유로(185)에 의해, 제1 완충 공간(K1)과,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에 삽입된 도료 피더(160) 사이에 도료의 유통이 가능해진다. 제1 연결 유로(185)의 수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은 또한, 빠짐 방지부(170R)와, 에어 타이트부(170E)와, 도료 탱크 연통로(170TX)를 갖는다. 빠짐 방지부(170R)는 중축(1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빠짐 방지면을 갖는 것으로, 후방의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1)의 둘레면에 마련된다. 에어 타이트부(170E)는 후방의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1)보다 뒤에서,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으로부터 돌출된다. 에어 타이트부(170E)의 선단에는 중축(1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에어 타이트면이 형성된다. 도료 탱크 연통로(170TX)는 일단측이 제1 연결 유로(185)에 개구되고, 타단측이 도료 탱크(140)에 개구된다. 따라서, 도료 탱크 연통로(170TX)에 의해 제1 연결 유로(185)와 도료 탱크(140)가 연통된다. 또한 도료 탱크 연통로(170TX)에 의해 도료 피더(160)의 중간 봉부(160C)의 둘레면이 도료 탱크(140)와 연결된다. 따라서, 도료 탱크 연통로(170TX)에 의해 도료 피더(160)와 도료 탱크(140)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 부분을 도료 탱크 연통로(170TX)로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중축(110)의 내주면과의 밀착에 의해 빠짐 방지부(170R)가 변형된다. 그리고, 빠짐 방지부(170R)의 변형은 중축(110)으로부터의 빠짐 방지에 기여한다. 그러나, 빠짐 방지부(170R)와 에어 타이트부(170E)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빠짐 방지부(170R)의 변형이 에어 타이트부(170E)에 의한 기밀 성능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빠짐 방지부(170R)와 에어 타이트부(170E) 사이에 도피 공간(ER)을 마련할 수도 있다(도 4a, 도 4b, 도 5 참조). 도피 공간(ER)의 크기는 중축(110)의 내주면과의 밀착에 의해 변형된 빠짐 방지부(170R)가 에어 타이트부(170E)와 접촉하지 않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빠짐 방지부(170R)가 변형된 경우에도, 에어 타이트부(170E)에 의한 기밀 성능이 확보된다. 즉, 도피 공간(ER)을 마련함으로써, 빠짐 방지 성능과 기밀 성능과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완충 공간 형성 부재)
도 4,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4)는 원환상의 제2 볼록판(184T)을 복수개 갖는다. 복수의 제2 볼록판(184T)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축 방향(A)으로 배열됨과 아울러 각각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중축(110)의 내주면을 향해 연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완충 공간(K2)에 있어서, 복수의 제2 볼록판(184T) 사이에는 각각 제2 둘레 홈(184S)이 형성된다(도 9a 참조).
또한, 복수의 제2 볼록판(184T)에는 도료용 노치부(184TB)가 마련된다(도 8 참조). 복수의 제2 볼록판(184T)에 마련된 도료용 노치부(184TB)는 축 방향(A)으로 배열된다(도 7a 참조). 제2 둘레 홈(184S)의 폭(W184S)(도 7a 참조)나, 도료용 노치부(184TB)의 폭(W184TB)(도 8 참조)은 모세관힘에 의해 도료의 침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2 둘레 홈(184S)과 도료용 노치부(184TB)는 제2 완충 공간(K2)에 있어서의 제2 도료용 연통 홈(184B)(제2 도료 유통로)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료용 노치부(184TB)(도 8 참조)에 있어서의 도료는 제2 둘레 홈(184S)(도 7a 참조)에 있어서의 도료보다 흐르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료용 노치부(184TB)의 폭(W184TB)(도 8 참조)은 제2 둘레 홈(184S)의 폭(W184S)(도 7a 참조)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도료용 연통 홈(184B)은 제1 도료용 연통 홈(183B)로부터 떨어져 있다. 제2 도료용 연통 홈(184B)과 제1 도료용 연통 홈(183B) 사이에는 분리 부재(182)가 위치한다. 즉, 제2 도료용 연통 홈(184B)과 제1 도료용 연통 홈(183B)은 이 분리 부재(182)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볼록판(184T)의 선단면과 중축(110)의 내주면 사이에는 간극(184A)이 형성된다. 이 간극(184A)은 제2 완충 공간(K2)에서의 제2 에어 유통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복수의 제2 볼록판(184T)에는 도료용 노치부(184TB)와 함께, 에어용 노치부(184TA)(도 9b 참조)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볼록판(184T)에 마련된 에어용 노치부(184TA)는 복수의 제2 볼록판(184T)에서 축 방향(A)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에어용 노치부(184TA)와, 제2 둘레 홈(184S) 중 에어용 노치부(184TA)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2 완충 공간(K2)에서의 제2 에어용 연통 홈으로서 기능한다.
(제2 연결 유로)
도 5,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결 유로(186)는 제2 둘레 홈(184S)의 홈 면으로부터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의 내주면까지 관통한다. 제2 연결 유로(186)에 의해, 제2 완충 공간(K2)과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에 삽입된 도료 피더(160)와의 사이에 도료의 유통이 가능해진다. 제2 연결 유로(186)의 수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모두 가능하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둘레 홈(183S)의 폭(W183S)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넓어지기 때문에, 후방에서 전방을 향함에 따라 도료의 침입이 일어나기 쉽다. 마찬가지로 제2 둘레 홈(184S)의 폭(W184S)은 후방에서부터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넓어지기 때문에, 후방에서 전방을 향함에 따라 도료의 침입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제1 둘레 홈(183S)의 폭(W183S)은 제2 둘레 홈(184S)의 폭(W184S)에 비해 좁다. 이 때문에, 모세관힘에 의한 도료의 침입은 제2 둘레 홈(184S)에 비해, 제1 둘레 홈(183S) 쪽이 일어나기 쉽다.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이나 압력 변동 완충 기구(180)는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수성의 도료를 이용하는 경우, 이 합성 수지로는 ABS 수지, AS 수지, PET 수지, PBT 수지, 스틸렌 수지, POM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변성 폴리페닐렌 에테르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성 도료(그 중에서도, 알코올을 주용제로 하는 도료)를 이용하는 경우, 이 합성 수지로는 PE 수지, PP 수지, POM 수지, PET 수지, PBT 수지, 폴리아미드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둘레 홈(183S)의 폭(W183S)은 제2 둘레 홈(184S)의 폭(W184S)에 비해 좁기 때문에, 도료의 침입은 제2 완충 공간(K2)에 우선하여, 제1 완충 공간(K1) 쪽이 일어나기 쉽고, 도료의 유출은 제1 완충 공간(K1)에 우선하여, 제2 완충 공간(K2) 쪽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도료 탱크(140)(도 3 참조) 내의 압력이 증대한 경우에는, 제2 완충 공간(K2)에 우선하여, 제1 완충 공간(K1)에 도료가 침입한다. 그리고, 소정량의 도료가 제1 완충 공간(K1)에 충전된 후, 제2 완충 공간(K2)으로 도료가 침입되기 시작한다. 또한, 도료 탱크(140) 내의 압력이 감소한 경우에는, 제1 완충 공간(K1)에 우선하여, 제2 완충 공간(K2)으로부터의 도료가 유출된다. 그리고, 모든 도료, 또는 대부분의 도료가 제2 완충 공간(K2)으로부터 유출된 후, 제1 완충 공간(K1)으로부터의 도료가 유출되기 시작한다. 그 결과, 제1 완충 공간(K1)으로의 도료의 침입에 의해, 도료 탱크(140) 내의 압력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료의 저장 용이성이 다른 제1 완충 공간(K1)과 제2 완충 공간(K2)을 완충 공간(K)에 마련함으로써, 통상의 사용 조건에 있어서의 도료 탱크(140)의 압력 변동의 완충 기능을 제1 완충 공간(K1)에, 통상과는 다른 사용 조건에서의 도료 탱크(140)의 압력 변동의 완충 기능을 제2 완충 공간(K2)에 각각 분담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둘레 홈(183S)에 있어서의 모세관힘에 의한 도료의 침입이 제2 둘레 홈(184S)에 우선하여 일어나기 쉽게 하기 위해, 제1 둘레 홈(183S)의 폭(W183S)은 제2 둘레 홈(184S)의 폭(W184S)에 비해 좁은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완충 공간(K1)에서의 도료가, 제2 완충 공간(K2)에서의 도료보다 흐르기 쉬운 것이면 무방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도료용 노치부(183TB)의 폭(W183TB)을 도료용 노치부(184TB)의 폭(W184TB)에 비해 좁은 것이나, 도료의 젖음성이 제2 완충 공간(K2)보다 제1 완충 공간(K1) 쪽이 높은 것, 또는 그 조합 등이 있다.
또한, 도 4,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의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1)에는 제2 완충 공간(K2)과 브러시(120)를 연통하는 브러시 연통공(181FX)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제2 도료용 연통 홈(184B)(특히, 도료용 노치부(184TB))이 브러시(120)에 개구되도록, 브러시 연통공(181FX)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도 11 참조). 즉, 제2 도료용 연통 홈(184B)의 개구 부분은 브러시(120)에 정면으로 대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브러시(120)에 근접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브러시 연통공(181FX)의 형성에 의해, 브러시(120)에 대해 제2 완충 공간(K2)이 개구되기 때문에, 잉여의 도료가 도료 피더(160)에 있는 경우와, 잉여의 도료가 브러시(120)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잉여의 도료를 제2 완충 공간(K2)에 수용한다, 즉, 도료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 연통공(181FX)의 폭은 모세관힘에 의해 도료의 침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무방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부재(182)에 의해, 완충 공간(K)을 제1 완충 공간(K1) 및 제2 완충 공간(K2)으로 나누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완충 공간(K)을 제1 완충 공간(K1)과 제2 완충 공간(K2)으로 나눌 수 있는 분리 구조라면 무방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부재(182) 자체에 모세관힘에 의한 도료의 침입이 가능한 도료 유통로를 마련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부재(182)에 모세관힘에 의한 도료의 침입이 가능한 슬릿(182FX)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슬릿(182FX)에 의해 제1 완충 공간(K1)과 제2 완충 공간(K2)이 연통된다. 또한, 슬릿(182FX)은 제1 도료용 연통 홈(183B) 및 제2 도료용 연통 홈(184B)에 대해 정면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182FX), 제1 도료용 연통 홈(183B) 및 제2 도료용 연통 홈(184B)은 동일 직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료용 노치부(183TB)의 폭(W183TB)(도 6 참조)은 도료용 노치부(184TB)의 폭(W184TB)(도 8 참조)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료 유통로나 연결 유로에 있어서의 도료의 흐름 용이성은 도료 유통로나 연결 유로의 폭, 도료 유통로나 연결 유로를 형성하는 부재(유로 형성 부재라 총칭)에 있어서의 도료의 젖음성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또한, 도료의 젖음성은 도료의 표면 장력, 유로 형성 부재의 표면 거칠기나, 유로 형성 부재의 표면에 실시하는 친수성 처리나 소수성 처리 등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예컨대, 도료가 수성인 경우에는, 유로 형성 부재의 표면에 친수성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도료 유통로나 연결 유로에 있어서의 도료의 흐름 용이성은 향상된다.
이러한 분리 구조의 예로서, 제1 완충 공간(K1)에 있어서의 제1 도료용 연통 홈(183B)의 전단측 개구와, 제2 완충 공간(K2)에서의 제2 도료용 연통 홈(184B)의 후단측의 개구가 이격되어 있는 구조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두 개구의 간격은 상기 2개의 개구 사이에서 모세관힘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라면 무방하다. 또한, 이러한 두 개구의 위치 관계는 축 방향(A)에서 서로 정면으로 대향하는 위치 관계일 수도 있고, 상기 위치 관계로부터 벗어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두 개구의 간격이 상기 2개의 개구 사이에서 모세관힘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인 경우에는, 분리 부재(182)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볼록판(183T)의 선단면(외주면)과 중축(110)의 내주면과의 간극(이하, 제1 간극이라 함)(WX1)은 도료용 노치부(183TB)의 폭(W184TB)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2 볼록판(183T)의 선단면(외주면)과 중축(110)의 내주면과의 간극(이하, 제2 간극이라 칭함)(WX2)은 도료용 노치부(184TB)의 폭(W184TB)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이에 따라, 제1 간극(WX1) 및 제2 간극(WX2)에 있어서의 도료의 유통이 도료용 노치부(183TB)나 도료용 노치부(184TB)에 우선하여 일어나지 어려워지기 때문에, 중축(110)의 내주면에 따른 도료의 유통에 기인한 「도료의 누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2 간극(WX2)은 제1 간극(WX1)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2 완충 공간(K2)에 있어서의 도료의 유통이 제1 완충 공간(K1)에 비해 억제된다.
그런데, 도료 탱크(140) 내에서 압력의 증대가 있는 경우, 제1 연결 유로(185)나 제1 둘레 홈(183S)에 대한 도료의 유입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 압력의 증대가 급격한 것인 경우에는, 제1 연결 유로(185)나 제1 둘레 홈(183S)을 통해 도료가 중축(110)의 내벽에 부착되게 된다. 중축(110)의 내벽에 부착한 도료는 상기 내벽을 따라 유통되는 결과, 도료 누출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도료의 누출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저장소(KA1)가 제1 완충 공간(K1)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저장소(KA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제1 볼록판(183T)의 높이를 낮게 하고, 제1 간극(WX1)을 크게 하면 된다. 그리고, 에어 저장소(KA1)는 제1 도료용 연통 홈(183B)을 통해 제1 연결 유로(185)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2 완충 공간(K2)에, 에어 저장소(KA1)와 마찬가지의 에어 저장소(K2)를 마련해도 무방하다(도 12의 (B) 참조). 제1 도료용 연통 홈(183B)을 통해 에어 저장소(KA1)와 대향되는 제1 연결 유로(185)는 도료의 유통로임과 동시에 에어의 유통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2 도료용 연통 홈(184B)을 통해 에어 저장소(KA2)와 대향되는 제2 연결 유로(186)는 도료의 유통로임과 동시에 에어의 유통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구 본체(100)는 제2 완충 공간(K2)을 외부 공간에 접속시키는 외부 접속 기구(192)를 구비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외부 접속 기구(192)는 전방의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1)에 형성된 접속공(192A)과, 중축(110) 및 브러시 보유지지 부재(130)의 전단 간극(192X)을 갖는다. 접속공(192A)은 전단 간극(192X)과 제2 완충 공간(K2)을 연결한다. 전단 간극(192X)은 외부 공간에 대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완충 공간(K2)은 접속공(192A) 및 전단 간극(192X)을 통해 외부 공간에 접속된다.
여기서, 전단 간극(192X)은 도료를 저장할 수 있는 크랭크 구조(192XC)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크랭크 구조(192XC)에 의해 제2 완충 공간(K2) 및 외부 공간에서의 에어의 유통을 유지하면서, 제2 완충 공간(K2)으로부터 접속공(192A)에 흐른 도료를 크랭크 구조(192XC)로 보유지지할 수 있다.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 저장부로서 크랭크 구조(192XC)를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료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용 가능하다.
그런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200)을 도포구 본체(100)에 장착할 때, 도포구 본체(100)의 주변에 있는 에어가 전단 간극(192X)을 통해 제2 완충 공간(K2)으로 밀려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도포구 본체(100) 주변에 있는 에어가 제2 완충 공간(K2)으로 밀려 들어가기 때문에, 도료 탱크(140) 내의 압력이 증대하고, 결과적으로, 도료가 브러시(120)로부터 누출되게 된다.
도포구(2)의 캡(200)은 내부 캡(220) 및 내부 캡용 스프링(230)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캡(200)을 도포구 본체(100)에 장착할 때, 내부 캡(220)은 내부 캡용 스프링(230)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걸어맞춤 해제 상태로부터 걸어맞춤 상태로 천이된다. 따라서, 캡(200)의 장착 조작에 있어서, 도료 탱크(140) 내의 압력의 증대를 완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캡(200)의 장착 조작에 기인한 도료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은 전단부(170F)와 중도부(170C) 사이에, 제1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3)와 제2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4)를 가지며, 후단부에 걸어멈춤부(170B)를 갖는다. 여기서, 도료 피더(160)를 본체 통부(170T)에 삽입하면, 도료 피더(160) 중 압입공(170BX)에 압입된 부분은, 압축 결과, 다른 부분에 비해 도료의 유통이 저해된다. 본 발명에서는 걸어멈춤부(170B)가, 본체 통부(170T)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걸어멈춤부(170B)에 의한 걸어멈춤을 행하더라도, 도료 피더(160)에 있어서의 도료의 유통은 확보된다.
또한,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은 도료 탱크 연통로(170TX)를 갖는다. 그리고, 도료 탱크 연통로(170TX)에 의해 도료 피더(160)와 도료 탱크(140)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도료 피더 보유지지통(170)에 의해 보유지지된 후봉부(160B) 중 일부분은 도료 탱크(140)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일부분은 도료 탱크(140)에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료 탱크(140)에서 노출된 상기 일부분은 도료 탱크(140)와의 사이에서 압력 변동 완충 구조를 통하지 않고, 도료 및 에어의 유통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료 및 에어가 도료 탱크(140)와 도료 피더(160)와의 사이에서 유통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소기의 압력 변동 완충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료 피더(160)의 걸어멈춤 구조로서 압입공(170BX)을 는 걸어멈춤부(170B)(도 4a~도 4d 참조)를 채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4e와 같은 압입 오목부(170BY)를 갖는 걸어멈춤부(170B)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료 피더(160)의 걸어멈춤 구조로서 도료 피더(160)의 후봉부(160B)와 용착된 용착부를 갖는 걸어멈춤부나, 도료 피더(160)의 후봉부(160B)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부를 갖는 걸어멈춤부를 채용해도 무방하다. 여기서, 도료 피더(160)의 걸어멈춤 구조로서, 압입 대신에 용착·끼워맞춤을 채용한 경우에도, 도료 피더(160)의 용착 부분이 녹거나, 또는 끼워맞춤 부분이 압축되게 되고, 그 결과, 압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료의 유통이 저해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압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료 피더(160)에 있어서의 도료의 유통은 확보된다.
또한, 제1 둘레 홈(183S)의 폭(W183S)은 제2 둘레 홈(184S)의 폭(W184S)에 비해 좁기 때문에, 도료의 침입은 제2 완충 공간(K2)에 우선하여, 제1 완충 공간(K1) 쪽이 일어나기 쉽고, 도료의 유출은 제1 완충 공간(K1)에 우선하여, 제2 완충 공간(K2) 쪽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도료 탱크(140)(도 3 참조) 내의 압력이 증대된 경우에는 제2 완충 공간(K2)에 우선하여, 제1 완충 공간(K1)에 도료가 침입한다. 그리고, 소정량의 도료가 제1 완충 공간(K1)에 충전된 후, 제2 완충 공간(K2)으로의 도료의 침입이 개시된다. 또한, 도료 탱크(140) 내의 압력이 감소한 경우에는, 제1 완충 공간(K1)에 우선하여, 제2 완충 공간(K2)으로부터의 도료가 유출된다. 그리고, 모든 도료, 또는 대부분의 도료가 제2 완충 공간(K2)으로부터 유출된 후, 제1 완충 공간(K1)으로부터의 도료의 유출이 개시된다. 그 결과, 제1 완충 공간(K1)으로의 도료의 침입에 의해, 도료 탱크(140) 내의 압력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료의 저장 용이성이 다른 제1 완충 공간(K1)과 제2 완충 공간(K2)을 완충 공간(K)에 마련함으로써, 통상의 사용 조건에 있어서의 도료 탱크(140)의 압력 변동의 완충 기능을 제1 완충 공간(K1)에, 그리고 통상과는 다른 사용 조건에 있어서의 도료 탱크(140)의 압력 변동의 완충 기능을 제2 완충 공간(K2)에 각각 분담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둘레 홈(183S)에 있어서의 모세관힘에 의한 도료의 침입이 제2 둘레 홈(184S)에 우선하여 일어나기 쉽게 하기 위해, 제1 둘레 홈(183S)의 폭(W183S)은 제2 둘레 홈(184S)의 폭(W184S)에 비해 좁은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완충 공간(K1)에 있어서의 도료가 제2 완충 공간(K2)에서의 도료보다 흐르기 쉽기만 한다면 무방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도료용 노치부(183TB)의 폭(W183TB)을 도료용 노치부(184TB)의 폭(W184TB)에 비해 좁은 것이나, 도료의 젖음성이 제2 완충 공간(K2)보다 제1 완충 공간(K1) 쪽이 높은 것,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있다.
또한, 도 4a,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의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1)에는 제2 완충 공간(K2)과 브러시(120)를 연통하는 브러시 연통공(181FX)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제2 도료용 연통 홈(184B)(특히, 도료용 노치부(184TB))가 브러시(120)에 개구되도록, 브러시 연통공(181FX)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도 11 참조). 즉, 제2 도료용 연통 홈(184B)의 개구 부분은 브러시(120)에 정면으로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브러시(120)에 근접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브러시 연통공(181FX)의 형성에 의해, 브러시(120)에 대해 제2 완충 공간(K2)이 개구되기 때문에, 잉여의 도료가 도료 피더(160)에 있는 경우와, 잉여의 도료가 브러시(120)에 있는 경우에서 모두, 잉여의 도료를 제2 완충 공간(K2)에 수용한다, 즉, 도료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 연통공(181FX)의 폭은 모세관힘에 의해 도료의 침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무방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부재(182)에 의해, 완충 공간(K)을 제1 완충 공간(K1) 및 제2 완충 공간(K2)을 나누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완충 공간(K)을 제1 완충 공간(K1)과 제2 완충 공간(K2)으로 나눌 수 있는 분리 구조이기만 하면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부재(182)를 이용하여 완충 공간(K)을 제1 완충 공간(K1) 및 제2 완충 공간(K2)을 나누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분리 부재(182)의 생략에 의해, 하나의 완충 공간(K)에 있어서, 도료 유통로 및 에어 유통로를 마련한 경우라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부재(182) 자체에 모세관힘에 의한 도료의 침입이 가능한 도료 유통로를 마련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부재(182)에 모세관힘에 의한 도료의 침입이 가능한 슬릿(182FX)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슬릿(182FX)에 의해, 제1 완충 공간(K1)과 제2 완충 공간(K2)이 연통된다. 또한, 슬릿(182FX)은 제1 도료용 연통 홈(183B) 및 제2 도료용 연통 홈(184B)에 대해 정면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182FX), 제1 도료용 연통 홈(183B) 및 제2 도료용 연통 홈(184B)은 동일 직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료용 노치부(183TB)의 폭(W183TB)(도 6 참조)은 도료용 노치부(184TB)의 폭(W184TB)(도 8 참조)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리 구조의 예로서, 제1 완충 공간(K1)에서의 제1 도료용 연통 홈(183B)의 전단측의 개구와, 제2 완충 공간(K2)에서의 제2 도료용 연통 홈(184B)의 후단측의 개구가 이격되어 있는 구조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두 개구의 간격은 상기 2개의 개구 사이에서 모세관힘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면 된다. 또한, 이러한 두 개구의 위치 관계는 축 방향(A)에서 서로 정면으로 대향하는 위치 관계여도 무방하고, 상기 위치 관계로부터 벗어난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이러한 두 개구의 간격이, 그 두 개구 사이에서 모세관힘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인 경우에는 분리 부재(182)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볼록판(183T)의 선단면(외주면)과 중축(110)의 내주면과의 간극(이하, 제1 간극이라 칭함)(WX1)은 도료용 노치부(183TB)의 폭(W183TB)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2 볼록판(183T)의 선단면(외주면)과 중축(110)의 내주면과의 간극(이하, 제2 간극이라 칭함)(WX2)은 도료용 노치부(184TB)의 폭(W184TB)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이것에 의해, 제1 간극(WX1) 및 제2 간극(WX2)에 있어서의 도료의 유통이 도료용 노치부(183TB)나 도료용 노치부(184TB)에 우선하여 일어나기 어려워지게 되므로, 중축(110)의 내주면에 따른 도료의 유통에 기인한 「도료의 누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2 간극(WX2)은 제1 간극(WX1)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2 완충 공간(K2)에 있어서의 도료의 유통이 제1 완충 공간(K1)에 비해 억제된다.
그런데, 도료 탱크(140) 내에서 압력의 증대가 있는 경우, 제1 연결 유로(185)나 제1 둘레 홈(183S)으로의 도료의 유입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 압력의 증대가 급격한 것인 경우에는, 제1 연결 유로(185)나 제1 둘레 홈(183S)를 통해 도료가 중축(110)의 내벽에 부착되게 된다. 중축(110)의 내벽에 부착한 도료는 상기 내벽을 따라 유통되는 결과, 도료 누출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도료의 누출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저장소(KA1)가 제1 완충 공간(K1)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저장소(KA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제1 볼록판(183T)의 높이를 낮게 하여 제1 간극(WX1)을 크게 하면 된다. 그리고, 에어 저장소(KA1)는 제1 도료용 연통 홈(183B)을 통해 제1 연결 유로(185)에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완충 공간(K2)에 에어 저장소(KA1)와 마찬가지의 에어 저장소(K2)를 마련해도 무방하다(도 12의 (B) 참조). 제1 도료용 연통 홈(183B)을 통해 에어 저장소(KA1)와 대향하는 제1 연결 유로(185)는 도료의 유통로임과 동시에 에어의 유통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구 본체(100)는 제2 완충 공간(K2)을 외부 공간에 접속시키는 외부 접속 기구(192)를 구비할 수도 있다. 외부 접속 기구(192)는 전방의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1)에 형성된 접속공(192A)과, 중축(110) 및 브러시 보유지지 부재(130)의 전단 간극(192X)을 갖는다. 접속공(192A)은 전단 간극(192X)과 제2 완충 공간(K2)을 연결한다. 전단 간극(192X)은 외부 공간에 대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완충 공간(K2)은 접속공(192A) 및 전단 간극(192X)을 통해 외부 공간에 접속된다.
여기서, 전단 간극(192X)은 도료를 저장할 수 있는 크랭크 구조(192XC)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크랭크 구조(192XC)에 의해 제2 완충 공간(K2) 및 외부 공간에서의 에어의 유통을 유지하면서, 제2 완충 공간(K2)으로부터 접속공(192A)으로 흐른 도료를 크랭크 구조(192XC)로 보유지지할 수 있다.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 저장부로서 크랭크 구조(192XC)를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료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이용 가능하다.
그런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200)을 도포구 본체(100)에 장착할 때, 도포구 본체(100)의 주변에 있는 에어가 전단 간극(192X)을 통해 제2 완충 공간(K2)에 밀려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도포구 본체(100)의 주변에 있는 에어가 제2 완충 공간(K2)에 밀려 들어가므로, 도료 탱크(140) 내의 압력이 증대되고, 결과적으로 도료가 브러시(120)로부터 누출되게 된다.
도포구(2)의 캡(200)은 내부 캡(220) 및 내부 캡용 스프링(230)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캡(200)을 도포구 본체(100)에 장착할 때, 내부 캡(220)은 내부 캡용 스프링(230)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걸어맞춤 해제 상태로부터 걸어맞춤 상태로 천이된다. 따라서, 캡(200)의 장착 조작에 있어서, 도료 탱크(140) 내의 압력의 증대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캡(200)의 장착 조작에 따른 도료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의 완충 공간 형성 부재(181)와 제1 볼록판(183T) 사이에는 완충홈(170M)이 형성된다. 완충홈(170M)과 제1 완충 공간(K1)은 제1 도료 유통로를 통하지 않고, 제1 에어 유통로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완충홈(170M)은 에어 저장소(KA1)를 통해 제2 완충 공간(K2)과 연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완충홈(170M)은 캡(200)의 장착 조작에 기인하는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버퍼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도포구로는 소정의 대상에 도료를 도포할 수 있는 것이라면, 필기구(예컨대, 잉크 펜, 붓펜, 만년필 등), 화장구 등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그런데, 만년필에서는 도료 피더(160)(도 2 참조)가 존재하지 않고, 제1 도료 유통로나 제2 도료 유통로가 도료 피더를 겸한다. 즉, 만년필에서는 제1 도료 유통로 등의 제1 완충 공간이나 제2 도료 유통로 등의 제2 완충 공간이 도포 부재(펜 끝)와 도료 탱크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만년필에서는 도료 탱크의 도료는 제1 도료 유통로와 제2 도료 유통로를 차례로 통과한 후에, 도포 부재(펜 끝)에 도달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 보유지지 부재(130)는 통기공(192H)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공(192H)은 브러시 보유지지 부재(13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제2 완충 공간(K2)은 접속공(192A) 및 통기공(192H)을 통해 외부 공간에 접속된다. 여기서, 통기공(192H)은 브러시 보유지지 부재(130)의 전방 내벽면(192NF)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내돌출부(192T)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내돌출부(192T)의 형성에 의해, 내돌출부(192T)와 측방 내벽면(192NS)과의 사이에는 통기공(192H)으로부터 나온 도료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도료 저장 공간(KA2)이 형성된다. 접속공(192A)은 도료 저장 공간(KA2)과 정면으로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통기공(192H)으로부터의 도료의 누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4)

  1.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유통 공간을 통해 도포 부재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로서,
    상기 완충 공간에서 제1 완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완충 공간 형성 부재와,
    상기 완충 공간에서 제2 완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완충 공간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완충 공간 및 상기 도료 유통 공간 사이에서의 상기 도료는, 상기 제2 완충 공간 및 상기 도료 유통 공간 사이에서의 상기 도료보다 흐르기 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 공간은 상기 도포 부재에 대해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제1 완충 공간에 배치되어 제1 도료 유통로를 형성하는 제1 도료 유통로 형성 부재와,
    상기 제1 완충 공간에 배치되어 제1 에어 유통로를 형성하는 제1 에어 유통로 형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2 완충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제2 완충 공간에 배치되어 제2 도료 유통로를 형성하는 제2 도료 유통로 형성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공간에 배치되어 제2 에어 유통로를 형성하는 제2 에어 유통로 형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 도료 유통로에서의 상기 도료는 상기 제2 도료 유통로에서의 상기 도료보다 흐르기 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력 변동 완충 기구는,
    제1 도료용 노치가 형성됨과 아울러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판과,
    제2 도료용 노치가 형성됨과 아울러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2 판을 가지며,
    상기 제1 도료 유통로는 상기 제1 판의 사이와 상기 제1 도료용 노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유통로는 상기 제1 판의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도료 유통로는 상기 제2 판의 사이와 상기 제2 도료용 노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에어 유통로는 상기 제2 판의 주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판에는 각각 제1 에어용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용 노치가 상기 제1 에어 유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료 유통로는 상기 도포 부재에 대해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제2 에어 유통로를 외부 공간에 접속되는 외부 접속 유로와,
    상기 외부 접속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 저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은,
    상기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 공간과,
    상기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도포 부재에 상기 도료의 공급을 행하는 도료 공급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완충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제1 완충 공간과 상기 도료 공급 공간을 연결하는 제1 연결 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2 완충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제2 완충 공간과 상기 도료 공급 공간을 연결하는 제2 연결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유로는 상기 제1 연결 유로와 상기 도포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도료 공급 공간에는 상기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도포 부재까지의 상기 도료의 공급을 행하는 도료 공급 코어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1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공간과 상기 제2 완충 공간 중 적어도 일방에는 에어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저장부는, 상기 제1 완충 공간에 형성된 제1 도료 유통로를 통해 상기 제1 연결 유로에 대향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완충 공간에 형성된 제2 도료 유통로를 통해 상기 제2 연결 유로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에어 저장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연결 유로, 또는 상기 에어 저장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연결 유로는 상기 도료의 유통로임과 동시에 상기 에어의 유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은,
    상기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 공간과,
    상기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도포 부재에 상기 도료의 공급을 행하는 도료 공급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완충 공간 및 상기 제2 완충 공간은 상기 도료 공급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14.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유통 공간을 통해 도포 부재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로서,
    상기 완충 공간은 상기 도포 부재에 대해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15.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유통 공간을 통해 도포 부재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로서,
    상기 완충 공간을 형성하는 완충 공간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완충 공간에 형성된 에어 유통로를 외부 공간에 접속되는 외부 접속 유로와,
    상기 외부 접속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 저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16.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유통 공간을 통해 도포 부재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로서,
    상기 완충 공간을 형성하는 완충 공간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은,
    상기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 공간과,
    상기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도포 부재에 상기 도료의 공급을 행하는 도료 공급 공간을 가지며,
    상기 완충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완충 공간과 상기 도료 공급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가지며,
    상기 완충 공간에는 에어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저장부는 상기 완충 공간에 형성된 도료 유통로를 상기 연결 유로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에어 저장부와 대향하는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도료의 유통로임과 동시에 상기 에어의 유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18.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도포 부재까지의 도료의 공급을 행하는 도료 공급 코어 중 제1 코어 부분을 지지하는 공급 코어 지지 구조와,
    상기 도료 공급 코어의 제2 코어 부분을 걸어멈춤시키는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와,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가지며, 상기 도료 수용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상기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어 부분은 상기 제2 코어 부분보다 상기 도포 부재측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 변동 완충 구조는 상기 공급 코어 지지 구조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도료 공급 코어 중 상기 제2 코어 부분보다 상기 도포 부재측의 부분과,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을 연결하는 연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20.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도포 부재까지의 도료의 공급을 행하는 도료 공급 코어 중 제1 코어 부분을 지지하는 공급 코어 지지 구조와,
    상기 도료 공급 코어의 제2 코어 부분을 걸어멈춤시키는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와,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가지며, 상기 도료 수용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상기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도료 공급 코어 중 상기 제2 코어 부분보다 상기 도포 부재측의 부분과,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을 연결하는 연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21.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코어 지지 구조와 상기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 코어 지지 구조와 상기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공급 코어 지지 구조는 상기 제1 코어 부분을 수용하는 통상체이며,
    상기 연결 구조는 상기 통상체의 상기 도료 수용 공간측 단면(端面)으로부터, 상기 도료 수용 공간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는 상기 연결 구조의 상기 도료 수용 공간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23.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는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24.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코어 지지 구조와 상기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가 일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25.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는 상기 제2 코어 부분과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26.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는 상기 제2 코어 부분이 압입되는 압입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27.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코어 걸어멈춤 구조는 상기 제2 코어 부분과 용착되는 용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28.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어 부분이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29.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어 부분보다 상기 도료 수용 공간측의 부분이 상기 도료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30.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공간에는 도료 유통로와 에어 유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압력 변동 완충 구조는,
    도료용 노치 및 에어용 노치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완충 공간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판을 가지며,
    상기 도료 유통로는 상기 도료용 노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에어 유통로는 상기 에어용 노치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31.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유통 공간을 통해 도포 부재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로서,
    상기 완충 공간을 형성하는 완충 공간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은,
    상기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 공간과,
    상기 도료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도포 부재에 상기 도료의 공급을 행하는 도료 공급 공간을 가지며,
    상기 완충 공간 형성 부재는,
    상기 완충 공간 중 상기 도포 부재측의 벽을 형성하는 도포 부재측 벽 부재와,
    상기 완충 공간 중 상기 도료 수용 공간측의 벽을 형성하는 도료 수용 공간측 벽 부재와,
    상기 도포 부재측 벽 부재 및 도료 수용 공간측 벽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완충 공간에 도료 유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도료 유통로 형성 부재와,
    상기 도포 부재측 벽 부재 및 도료 수용 공간측 벽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완충 공간에 에어 유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에어 유통로 형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도료 수용 공간측 벽 부재 및 상기 도료 유통로 형성 부재 사이에는 상기 에어 유통로와 연통되는 버퍼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32.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유통 공간을 통해 도포 부재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로서,
    상기 압력 변동 완충 기구를 통에 삽입하였을 때, 자신의 변형에 의해 상기 통으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 기구와,
    상기 완충 공간에 기밀성을 부여하는 에어 타이트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빠짐 방지 기구와 상기 에어 타이트 기구 사이에는 도피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타이트 기구와 변형 상태의 상기 빠짐 방지 기구는 상기 도피 공간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33.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유통 공간을 통해 도포 부재에 접속되는 완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도료 유통 공간과 상기 완충 공간 사이에서의 도료 및 에어의 유통에 의해 상기 도료 유통 공간의 압력 변동을 완충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로서,
    상기 완충 공간을 외부에 개방하는 통기공을 가지며,
    상기 통기공은 상기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 저장 공간과 정면으로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동 완충 기구.
  3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력 변동 완충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KR1020167013371A 2013-10-21 2014-09-30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및 도포구 KR101958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18159 2013-10-21
JP2013218159A JP5795042B2 (ja) 2013-10-21 2013-10-21 圧力変動緩衝機構及び塗布具
JP2013242610A JP5849082B2 (ja) 2013-11-25 2013-11-25 圧力変動緩衝機構及び塗布具
JPJP-P-2013-242610 2013-11-25
PCT/JP2014/076111 WO2015060078A1 (ja) 2013-10-21 2014-09-30 圧力変動緩衝機構及び塗布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929A true KR20160081929A (ko) 2016-07-08
KR101958956B1 KR101958956B1 (ko) 2019-03-15

Family

ID=52992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371A KR101958956B1 (ko) 2013-10-21 2014-09-30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및 도포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69205B2 (ko)
EP (1) EP3053755B1 (ko)
KR (1) KR101958956B1 (ko)
CN (1) CN105848918B (ko)
WO (1) WO20150600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806U (ko) * 2019-06-18 2020-12-29 닝보 지에리 코스메틱 패키지 컴퍼니 리미티드 조절기를 구비한 아이라이너펜
KR20220128356A (ko) * 2020-01-17 2022-09-20 케미코스 크리에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직액식 펜형 아이라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2753B (zh) * 2016-08-25 2023-12-15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具有蓄液功能的液体眼线笔
CN110367678A (zh) * 2019-07-08 2019-10-25 宁波杰立化妆品包装用品有限公司 一种极细眼线笔
US20220371356A1 (en) * 2021-05-19 2022-11-24 Sanford L.P. Writing instru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458U (ko) 1985-08-05 1987-02-20
US4671692A (en) * 1984-08-29 1987-06-09 Pilot Ink Co., Ltd. Writing pen holder with three wicks
US5217313A (en) * 1989-09-29 1993-06-08 Pentel Kabushiki Kaisha Writing instrument
JPH0620082U (ja) * 1992-03-27 1994-03-15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000224A (nl) 1980-01-14 1981-08-17 Bok Edward Pen met een verbeterd inktcontrolesysteem.
JPS6228458A (ja) 1985-07-24 1987-02-06 根来産業株式会社 タフテイング法
JP2514873Y2 (ja) 1989-12-27 1996-10-23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の一時的インキ溜め部材
DE4024382C1 (ko) * 1990-08-01 1992-08-27 Pelikan Ag, 3000 Hannover, De
JP2576043Y2 (ja) 1993-01-08 1998-07-09 株式会社壽 筆記具
JPH07195889A (ja) 1993-12-28 1995-08-01 Mitsubishi Pencil Co Ltd 筆記具用インキ保留体
JP3596154B2 (ja) 1996-03-29 2004-12-02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
US5906446A (en) 1996-10-22 1999-05-25 Bic Corporation Fillerless writing instrument
CN2325223Y (zh) * 1998-03-05 1999-06-23 瑞怡股份有限公司 笔具结构
JP2000153690A (ja) * 1998-11-19 2000-06-06 Mitsubishi Pencil Co Ltd 筆記具のコレクター
JP4666872B2 (ja) 2000-05-18 2011-04-06 三菱鉛筆株式会社 コレクター式筆記具
US6702498B2 (en) * 2001-05-29 2004-03-09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Writing implement
JP4082946B2 (ja) 2002-07-09 2008-04-30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KR100758391B1 (ko) * 2003-12-16 2007-09-14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양두식 필기구
CN2787452Y (zh) * 2005-03-17 2006-06-14 王良 一种书写工具
CN201073857Y (zh) * 2007-07-12 2008-06-18 哈的尔 一种改进的钢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1692A (en) * 1984-08-29 1987-06-09 Pilot Ink Co., Ltd. Writing pen holder with three wicks
JPS6228458U (ko) 1985-08-05 1987-02-20
US5217313A (en) * 1989-09-29 1993-06-08 Pentel Kabushiki Kaisha Writing instrument
JPH0620082U (ja) * 1992-03-27 1994-03-15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806U (ko) * 2019-06-18 2020-12-29 닝보 지에리 코스메틱 패키지 컴퍼니 리미티드 조절기를 구비한 아이라이너펜
KR20220128356A (ko) * 2020-01-17 2022-09-20 케미코스 크리에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직액식 펜형 아이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50884A1 (en) 2016-09-01
CN105848918B (zh) 2017-09-05
EP3053755A1 (en) 2016-08-10
CN105848918A (zh) 2016-08-10
EP3053755A4 (en) 2017-01-25
EP3053755B1 (en) 2018-11-28
WO2015060078A1 (ja) 2015-04-30
KR101958956B1 (ko) 2019-03-15
US9969205B2 (en)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956B1 (ko)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및 도포구
US7887246B2 (en) Liquid supply device
JP6736144B2 (ja) 塗布具
EP1634724B1 (en) Ink occluding element in a writing implement
JP5933792B1 (ja) 塗布具
JP5859164B1 (ja) 塗布具
JP7011893B2 (ja) 筆記具
JP5849082B2 (ja) 圧力変動緩衝機構及び塗布具
JP5795042B2 (ja) 圧力変動緩衝機構及び塗布具
KR20140043381A (ko) 도포구
KR20000076678A (ko) 직액식 필기구
WO2017026176A1 (ja) 塗布具
WO2014041901A1 (ja) 筆記具
JP5933793B1 (ja) 塗布具
US11858289B2 (en) Applicator
JP2021007421A (ja) 塗布具
JP6042005B1 (ja) 塗布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187464A (ja) 塗布具
JP2001341488A (ja) インキ充填器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インキ充填方法
JP2013081699A (ja) 液体化粧料塗布容器
JPH1099768A (ja) 塗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