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381A - 도포구 - Google Patents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381A
KR20140043381A KR1020137032710A KR20137032710A KR20140043381A KR 20140043381 A KR20140043381 A KR 20140043381A KR 1020137032710 A KR1020137032710 A KR 1020137032710A KR 20137032710 A KR20137032710 A KR 20137032710A KR 20140043381 A KR20140043381 A KR 20140043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iquid
ink
protrusion
flow path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토리 나카타니
쇼헤이 스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쿠라 크레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쿠라 크레파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쿠라 크레파스
Publication of KR20140043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5/00Assembling, finishing, or repairing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18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with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87Assembling, repairing or finishing era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연통관의 직경이 가는 경우라도 여러가지 도포액을 사용 가능하고, 도포액을 잉크 흡장체에서 펜 끝으로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한 도포구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도포액 수용부(5)와, 도포액 흡장체(4)와, 도포체(6)를 갖고, 도포액 수용부(5)와 도포액 흡장체(4) 사이에 도포액(7)을 유통 가능한 유로를 갖는 유로 형성부(3)가 설치된 도포구(1)를 제공한다. 이때, 유로 형성부(3)에는 돌출부(11)와, 가압부(33)를 설치한다. 그리고, 가압부(33)의 적어도 일부를 도포액 흡장체(4)에 상방에서 접촉시킨다.

Description

도포구{APPLICATION IMPLEMENT}
본 발명은 내장된 도포액을 펜 끝 등의 도포체에 공급하는 도포구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도포체로의 도포액의 공급량을 안정시키기 위한 도포액 공급 수단을 갖는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도포구란 펠트펜, 만년필, 라인 마커, 백판 마커 등의 필기구에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정펜과 같은 액상의 물건을 지면이나 백판 등 임의의 대상물에 칠하는 용구를 포함하는 것의 총칭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펜 끝(도포체)에 도포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도포액 공급 수단으로서, 펜 끝과 잉크 탱크 사이에 잉크(도포액)를 함침할 수 있는 중면(中綿)(도포액 흡장체)을 설치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잉여의 잉크를 중면이 흡수하기 때문에 펜 끝에 잉크가 지나치게 공급되는 일이 없다. 또한 펜 끝에서 잉크가 부족한 경우에, 중면에 흡수된 잉크가 펜 끝에 공급되기 때문에 잉크의 공급 부족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의해, 펜 끝에 잉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기술을 사용한 도포구로서, 직액식 필기구의 잉크 탱크와 잉크 흡장체(도포액 흡장체)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을 설치하고, 연통관을 통하여 잉크 탱크에서 잉크 흡장체로 잉크를 공급하는 도포구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도포구에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직액식 필기구가 있다.
여기서 직액식 필기구란 소위 무조작형 필기구라고 불리는 필기구이다. 무조작형 필기구란 펜 끝이나 펜 축을 두드린다는 잉크 공급을 위한 조작을 하지 않고, 펜 끝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는 필기구이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212884호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과 같은, 연통관을 통하여 잉크 흡장체로 잉크를 공급하는 도포구에서는, 사용하는 잉크에 따라서는 연통관을 굵게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점도가 높은 잉크를 사용할 경우, 연통관 내에 잉크가 막혀버려, 연통관 내를 흐르는 잉크가 잉크 흡장체까지 도달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즉, 잉크의 점도에 따라서는 잉크의 자중에 의한 힘만으로는 잉크를 잉크 흡장체까지 흘릴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는 연통관의 직경을 굵게 하여 잉크를 흐르기 쉽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연통관의 직경을 굵게 하면, 굵은 연통관을 설치하기 위해서 본체의 직경을 굵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설계상의 제약이 있었다.
또한 점도가 높은 잉크를 사용한 경우, 잉크 흡장체에 잉크가 배어들기 어렵고, 잉크 흡장체로부터 펜 끝으로의 잉크의 흐름이 안정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무조작형의 도포구에 있어서 연통관의 직경이 가는 경우라도 여러가지 도포액을 사용 가능하며, 도포액을 잉크 흡장체로부터 펜 끝으로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한 도포구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충전된 도포액이 내부 유동 가능한 도포액 수용부와, 도포액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체를 갖고, 도포액 수용부와 도포체 사이에 도포액을 함침하는 도포액 흡장체를 구비하고, 도포액 수용부와 도포액 흡장체 사이에 도포액을 유통 가능한 유로를 갖는 유로 형성부가 설치된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부는 적어도 1개의 돌출부와 가압부를 갖는 것이고, 돌출부는 도포체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내부에 중공 부분이 형성되고, 중공 부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의 적어도 일부는 도포액 흡장체에 상방에서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유로 형성부가 가압부를 갖고, 가압부의 적어도 일부가 도포액 흡장체에 상방에서 접촉하고 있다. 이렇게 도포액 흡장체를 상방에서 가압함으로써, 도포액 흡장체의 모세관력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잉크의 점도가 높은 경우나, 연통관의 구멍 직경이 작은 경우와 같이 잉크가 자중만으로는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라도, 모세관력에 의해 잉크를 도포액 흡장체로 끌어들일 수 있다. 즉, 직경이 작은 연통관으로 다종 다양한 도포액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포액 흡장체의 상방 부분이 가압부에 가압되면, 도포액 흡장체의 하단 근방에 공극률이 저하된 부분이 형성된다. 즉, 도포액 흡장체의 하단 근방은 비교적 공극률이 낮은 고밀도 부분이 되고, 도포액 흡장체의 상단 근방은 하단 근방에 비해 공극률이 높은 저밀도 부분이 된다. 즉, 도포액 흡장체의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 사이에서 밀도차가 형성되어, 도포액 흡장체의 상단 근방의 모세관력에 비해, 도포액 흡장체의 하단 근방의 모세관력이 강해진 상태가 된다. 여기서, 도포액은 모세관력이 작은 부분에서 큰 부분으로 흐르기 때문에, 도포액 흡장체로 끌어들인 잉크를 더욱 하방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펜 끝으로의 잉크의 공급을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가압부의 하단이 상기 연통공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도포구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압부의 하단이 상기 연통공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가압부가 연통공과 도포액 흡장체의 접촉을 저해하는 않기 때문에, 연통공과 도포액 흡장체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압부의 하단이 연통공의 하방에 있는 경우나, 가압부의 하단과 연통공의 높이 방향의 위치가 같은 경우, 가압부가 돌출부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도포액 흡장체를 가압함으로써, 돌출부에 형성된 연통공과 도포액 흡장체의 접촉이 방해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가압부가 연통공의 상방에 있기 때문에, 돌출부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도포액 흡장체와 연통공의 접촉을 저해하는 경우가 없다.
이렇게 연통관된 돌출부가 도포액 흡장체에 접촉하면, 돌출부에 설치된 상기 구멍의 개구를 도포액 흡장체가 덮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에 의해, 도포액 흡장체의 모세관력에 의해 도포액이 끌어 당겨져서, 연통관에서의 도포액의 시간당 유출량이 안정된다. 즉, 연통관의 선단에서 도포액의 표면 장력에 의해 도포액의 흐름이 정체된다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가압부는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서 외방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는 평판 형상의 돌기이고,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기단(基端) 부분에서 선단(先端) 부분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도포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도가 높은 가압부를 갖고, 제조가 용이한 돌출부(연통관)를 갖는 도포구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도포액 흡장체의 일부가 상기 유로 형성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포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로 형성부의 내부에 도포액 흡장체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잉크의 점도가 높은 경우나, 돌출부의 직경이 작은 경우와 같이 잉크가 자중만으로 하방의 방출구까지 이동하지 않는 경우라도, 유로 형성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도포액 흡장체에 잉크가 접촉하면, 도포액 흡장체의 모세관력에 의해 잉크를 보다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확실하게 잉크를 도포액 흡장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잉크의 공급을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유로 형성부와 도포액 수용부가 착탈 자유롭게 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포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로 형성부와 도포액 수용부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가능하기 때문에, 도포액 수용부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도포액의 보충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포구 본체 내의 도포액 수용부에 스포이트와 같은 별도 부재를 사용하여 도포액을 보충하는 경우에 비해 도포액의 보충 작업이 용이하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도포액 수용부는 하방에 외부와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수용부측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로 형성부는 토대부와 돌출부에서 형성되고, 상기 토대부에는 통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고, 통 형상부는 상기 돌출부의 중공 부분과 연통하는 것이고, 상기 유로 형성부와 도포액 수용부를 장착했을 때, 수용부측 관통공과 통 형상부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도포구이다.
청구항 6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유로 형성부와 도포액 수용부의 착탈이 보다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면의 모세관력을 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연통관의 구멍 직경이 작은 경우와 같이 잉크가 자중만으로는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라도, 모세관력에 의해 잉크를 도포액 흡장체로 끌어들일 수 있다. 즉, 직경이 작은 연통관으로 다종 다양한 도포액을 채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면의 하단 근방의 모세관력을 상단 근방의 모세관력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포액 흡장체로 끌어들인 잉크를 더욱 하방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펜 끝으로의 잉크의 공급을 안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도포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중계심(中繼芯)을 위 아래를 거꾸로 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중계심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잉크 탱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잉크 탱크부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도포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내부에 잉크가 없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중계심을 일부 파단시켜서 도 1의 중계심과 잉크 탱크부를 접속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a) 내지 (b)의 순서로 접속한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도포구에 있어서 중면 배치부에 잉크가 채워지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a) 내지 (c)의 순서로 잉크가 채워진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의 도포구에 있어서 중면 배치부에 충전된 잉크가 감소되고, 다시 잉크 탱크에서 잉크가 충전될 때의 잉크의 액위(수위)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a)는 중면 배치부에 잉크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b)는 중면 배치부의 잉크가 감소된 상태를 도시하고, (c)는 중면 배치부에 잉크가 다시 충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O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중계심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중계심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더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의 관계는 펜 끝측을 앞측, 잉크 탱크측을 뒤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도포구(1)는 구체적으로는 백판용 마커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통(2), 중계심(3; 유로 형성부), 중면(4; 도포액 흡장체), 잉크 탱크부(5; 도포액 수용부), 펜 끝(6; 도포체)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본체통(2)의 내측에 설치된 중공 부분의 뒤측에 잉크(7)를 저장 가능한 잉크 탱크부(5)가 배치되어 있고, 중공 부분의 앞측에는 중면 배치부(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통(2)의 중공 부분의 전후에는 중계심(3)에 의해 간막이되어 있다.
본체통(2)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나 니오븀 등의 금속이라는 적당한 재료에 의해 형성된 통체이다. 이 본체통(2)은 선단 부분(28)과 후단 부분(29)에서 형성되어 있다. 선단 부분(28)의 외관은 앞측을 향함에 따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방측에서 전방측을 향하여, 직경이 큰 통 형상 부분(28a), 직경이 작은 통 형상 부분(28b), 테이퍼 형상 부분(28c), 가장 직경이 작은 통 형상 부분(28d)의 4개 부분이 연속되어 있다. 이때, 직경이 큰 통 형상 부분(28a)과 직경이 작은 통 형상 부분(28b)은 단차를 통해서 연속되어 있다. 또한, 선단 부분(28)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통하고 있는 내부 공간(30)이 있고, 이 내부 공간(30)도 앞측을 향함에 따라 끝이 가늘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선단 부분(28)의 내주면의 후방 단부에는 본체측 나선 홈(28e)이 형성되어 있다.
후단 부분(29)은 한쪽에 개방구가 설치된 대략 유저(有底) 원통 형상의 덮개체로 되어 있다.
중면(4)은 공지된 중면이고, 잉크(7)를 함침 가능한 연속 기공(氣孔)을 갖고 있는 부재이다. 더 상세하게는 아크릴 섬유 등의 적당한 섬유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잉크(7)를 함침할 수 있다.
중계심(3)은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 구성 부재이고,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중계심(3)은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나 금속 등의 적당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심(3)은 돌출부(11)와 토대부(12)에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는 대략 원통 형상의 돌출부 본체(32)와, 장방형 평판 형상의 가압편(33; 가압부)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돌출부 본체(32)는 토대부(12)의 전단면(25)(도 2에 있어서의 상단면)에서 전방(도 2의 상방)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고, 돌출부 본체(32)와 토대부(12)의 중심축은 같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토대부(12)의 전단면(25)의 중심 부분 근방에서 돌출부(11)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가압편(33)은 돌출부 본체(32)의 측면의 원주 방향에 대략 180도 벗어난 2곳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돌출부 본체(32)의 측면에서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2개의 가압편(33)은 모두 돌출부 본체(32)의 길이 방향(돌출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에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 2개의 가압편(33)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가압편(33)은 돌출부 본체(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압편(33)의 후단 부분은 토대부(12)의 전단면(25)과 접촉하고 있고, 가압편(33)의 전단 부분은 돌출부 본체(32)의 전단(돌출 방향 선단이고 도 2의 상단)보다 다소 뒤측(도 2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2개의 가압편(33)은 모두 토대부(12)의 전단면(25)(도 2의 상단면)에서 전방(도 2의 상방)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길이가 돌출부 본체(32)보다 다소 짧게 되어 있다.
또한, 가압편(33)의 폭(L1), 즉 가압편(33)의 돌출 방향의 길이(L1)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2.0mm 내지 4.5mm이 바람직하고, 더욱 적합하게는 3.0mm 내지 4.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편(33)의 두께(L2), 즉, 가압편(33)의 길이 방향(연장 방향) 및 돌출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의 길이(L2)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mm 내지 3.0mm이 바람직하고, 더욱 적합하게는 1.5mm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돌출부(11)에는 그 전단 부분에 연통공(13)이 설치되어 있다.
연통공(13)은 돌출부(11)의 돌출 방향 선단에 있는 원형의 면(24)(도 2에 있어서의 상면이고, 돌출부(11)가 토대부(12)와 접촉하고 있는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통공(13)은 개구 형상이 원형이며, 개구의 중심이 돌출부(11)의 중심축과 겹쳐져 있다. 이 연통공(13)의 직경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2.0mm 내지 7.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적합하게는 2.0mm 내지 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적합하게는 2.5mm 내지 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통공(13)의 개구의 면적은 3.14mm2(평방 밀리미터) 내지 38.47mm2(평방 밀리미터)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적합하게는 4.9mm2(평방 밀리미터) 내지 7.O7mm2(평방 밀리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토대부(12)는,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부(35)와, 외통부(35)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통부(36)에서 형성되어 있다. 외통부(3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에 개방구(39)가 설치된 대략 유저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내통부(36)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내통부(36)는 외통부(35)보다도 직경이 작고, 외통부(35)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내통부(36)와 외통부(35)의 중심축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내통부(36) 및 외통부(35)는 모두 전후 방향(도 3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체로 되어 있다.
이 내통부(36)의 전방 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부(35)의 내측 저면(40)과 연속되어 있고, 후방 단부는 외통부(35)의 후단(도 3의 하단)에서 후방(도 3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내통부(36)는 전후 방향(도 3 상하 방향)의 길이가 외통부(35)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한 내통부(36)의 후방 단부에는 내통부(36)의 외주면이 후방을 향함에 따라 좁은 직경이 된 테이퍼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중계심(3)의 내부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중계심(3)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의 내측에 중공 부분(21)이 설치되어 있고, 토대부(12)의 내측에 중공 부분(22,41)이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11)에서는 돌출부 본체(32)의 내측에 중공 부분(21)이 설치되어 있다. 중공 부분(21)은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연장되는 공간이고, 구체적으로는 돌출부 본체(32)의 토대부(12)측의 단부로부터 연통공(13)을 향하여, 돌출부 본체(32)의 중심 부분을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연통공(13)과 연속되어 있다. 그리고, 연통공(13)과 중공 부분(21)은 단면의 직경이 같은 크기이고, 개구의 중심이 동일한 위치로 되어 있다. 즉, 돌출부 본체(32)는 중공 부분(21)과 연통공(13)에 의해 중심 부분이 관통되어 대략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중공 부분(21)은 연통공(13)을 통해서 외부와 연속되어 있다.
토대부(12)의 내측에는 내통부(36)의 내측에 설치된 중공 부분(22)과, 내통부(36)의 외주면과 외통부(35)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된 환 형상의 중공 부분(41)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36)의 내측에 설치된 중공 부분(22)은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연장되고, 내통부(3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간이다.
여기서, 돌출부 본체(32)의 중공 부분(21)과 내통부(36)의 중공 부분(22)은 연결공(23)을 통해서 연속되어 있다. 이 연결공(23)은 토대부(12)의 개방구(39)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저판부를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는 관통공이고,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관통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때, 연결공(23)과 돌출부 본체(32)의 중공 부분(21)은 모두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연장되는 구멍이고, 단면의 직경, 구멍의 연장 방향, 중심축이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공(23)과 돌출부 본체(32)의 중공 부분(21)이 서로 겹쳐 1개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돌출부 본체(32)의 중공 부분(21)의 내주면과 연결공(23)의 내주면은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연결공(23)과 내통부(36)의 중공 부분(22)도 또한 모두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연장되는 구멍이고, 단면의 직경, 구멍의 연장 방향, 중심축이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공(23)과 내통부(36)의 중공 부분(22)이 서로 겹쳐 동일한 관통공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내통부(36)의 중공 부분(22)의 내주면과 연결공(23)의 내주면은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즉, 중계심(3)의 내부에는 돌출부 본체(32)의 중공 부분(21), 연결공(23), 내통부(36)의 중공 부분(22)이 일체가 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 공간(20)은 내통부(36)에 형성된 중공 부분(22)의 후단측의 개구(36b)에서 돌출부 본체(32)에 형성된 연통공(13)의 개구까지를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공간(20)은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단면의 직경이 대략 동일하고 중계심(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에 연장되어 있다. 이때, 내통부(36)에 형성된 중공 부분(22)의 후단측의 개구(36b)와, 돌출부 본체(32)에 형성된 연통공(13)의 개구는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잉크 탱크부(5)는,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이 대략 원주 형상의 탱크 본체부(42)와, 본체통 계합부(43)에서 형성되어 있다.
탱크 본체부(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부분이 공동(空洞)화되어 내부 공간(4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탱크 본체부(42)의 후방 부분(46)은 중심 부분에서 후방을 향함에 따라 내경 및 외경이 작아져 있다. 또한, 탱크 본체부(42)의 전방 부분(47)에서는 중심 부분에서 전방 끝까지 대략 같은 내경 및 대략 같은 외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 본체부(42)의 전방 끝(도 4, 도 5의 하방 끝)에는 원형판 형상의 저판부(48)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저판부(48)는 탱크 본체부(42)의 전방을 막도록 설치되어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판부(48)의 상부면인 내측면(48a)과 저판부(48)의 저면인 외측면(48b)은 탱크 본체부(42)의 길이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저판부(48)의 중심 부분에는 외부와 탱크 본체부(42)의 내부 공간(45)을 연통하는 잉크 공급공(4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잉크 공급공(49)은 저판부(48)의 외측면(48b)에서 내측면(48a)까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고,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관통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면(48b) 및 내측면(48a)에 설치되는 개구의 형상도 또한 원형으로 되어 있다.여기서, 저판부(48)의 외측면(48b)에 형성되는 개구(49a)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2.0mm 내지 7.0mm이 바람직하고, 더욱 적합하게는 2.5mm 내지 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판부(48)의 외측면(48b)에서는 저판부(48)의 외측면(48b)에 형성되는 잉크 공급공(49)의 개구를 둘러싸도록 중계심 계합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중계심 계합부(50)는 저판부(48)의 외측면(48b)에서 대략 수직 하방으로 돌출하는 환 형상 입벽(立壁)으로 되어 있다. 이 중계심 계합부(50)는 잉크 공급공(49)의 개구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다소 외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통 계합부(4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 본체부(42)의 길이 방향의 중심 부분 근방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통 형상 부분(43a)과, 상기 통 형상 부분(43a)의 내주면의 전단 부분(도 5의 하단 부분)과 탱크 본체부(42)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연결부(43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통 형상 부분(43a)의 내주면은 탱크 본체부(42)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다소 떨어진 위치에 있다. 그리고, 통 형상 부분(43a)의 내주면의 전단 부분과 탱크 본체부(42)의 외주면 사이에는 연결부(43b)가 위치하고 있다. 이때 연결부(43b)는 통 형상 부분(43a)의 내주면의 전단 부분 및 탱크 본체부(42)의 외주면의 일부 각각과 일체로 되고 있고, 이들과 틈 없이 연속되어 있다. 따라서, 통 형상 부분(43a)의 내주면과 탱크 본체부(42)의 외주면 사이에는 전단이 폐쇄되고 후단이 개방된 환 형상 홈(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 형상 부분(43a)의 외주면에는 잉크 탱크측 나선 홈(43c)이 형성되어 있다.
펜 끝(6)은 공지된 펜 끝과 같고, 섬유속(纖維束)의 열 융착 가공체, 섬유속의 수지 가공체, 펠트의 수지 가공체 등의 적당한 섬유속을 접합한 소재로 형성되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중면(4)에서 잉크(7)를 흡입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도포구(1)의 조립 구조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체통(2)의 선단 부분(28) 앞측 단부에 펜 끝(6)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 부분(28)의 내부 공간(30)에는 펜 끝(6)의 뒤측에 중면(4)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중면(4)은, PP(폴리프로필렌) 등의 적당한 재료로 형성된 통체(도시 생략)내에 채워진 상태로, 본체통(2)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때, 중면(4)의 전단과 펜 끝(6)의 후단이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선단 부분(28)의 내부 공간(30)에는 중계심(3)이 삽통(揷通)되어 있다. 이때, 중계심(3)은 돌출부(11)가 전방, 토대부(12)가 후방이 되도록 삽통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11)의 돌출부 본체(32) 및 2개의 가압편(33)의 대략 모든 부분은 중면(4)에 삽입되어 있다. 즉, 돌출부 본체(32) 및 2개의 가압편(33) 전후 방향의 전단에서 후단 부근까지의 부분이 중면(4)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세하게는, 중계심(3)은 중면(4)의 후방측에서 삽입되어 있고, 돌출부(11)의 돌출부 본체(32) 및 2개의 가압편(33)은 중면(4)을 후방에서 전방으로(도 13에 있어서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즉, 선단 부분(28)의 내부 공간(30)에 있어서, 중계심(3)의 토대부(12)의 전단면(25)으로부터 다소 전방의 부분에서, 내부 공간(30)의 전단 근방의 부분까지가 중면 배치부(8)로 되어 있다.
이때, 돌출부(11)의 연통공(13)의 개구는 대략 전면에 걸쳐 중면(4)으로 덮어져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면(4)의 일부가 연통공(13)에서 돌출부(11)의 내부 공간(20)(중공 부분(21))으로 들어가 있다. 즉, 돌출부(11)의 내부 공간(20)의 전단 근방(도 6에 있어서의 하단 근방)에는 중면(4)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연통공(13)의 개구면에서 후방(도 6에 있어서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중면(4)의 일부가 배치되는 동시에, 연통공(13)의 개구가 중면(4)에 의해 막아져 있다.
여기서, 중계심(3)의 토대부(12)의 외경(외통부(35)의 외경)과 본체통(2)의 선단 부분(28)의 내경은 대략 같기 때문에, 본체통(2)의 선단 부분(28)에 중계심(3)이 끼워져서 고정된다.
또한, 본체통(2)의 선단 부분(28)에는 내부 공간(45)에 잉크(7)가 충전된 잉크 탱크부(5)가 중계심(3)의 후방측에서 부착되어 있다. 이때, 잉크 탱크부(5)의 외주에 형성된 잉크 탱크측 나선 홈(43c)과, 본체통(2)의 선단 부분(28)의 내주면에 형성된 본체측 나선 홈(28e)이 나사 결합되어 있고, 잉크 탱크부(5)가 본체통(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부(36)의 후방 단부가 환 형상 입벽(立壁)인 중계심 계합부(50)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내통부(36)의 외경과 중계심 계합부(50)의 내경이 대략 같기 때문에, 중계심 계합부(50)에 내통부(36)의 후방 단부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공급공(49)의 외측에 위치하는 개구(49a)와 내통부(36)에 형성된 개구(36b)가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잉크 공급공(49)과 내부 공간(20)이 접속되고, 이들이 마치 일체의 관통공과 같이 된다.
또한, 잉크 탱크부(5)의 후방에서 본체통(2)의 후단 부분(29)이 부착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잉크 탱크부(5)에 형성된 환상 홈(51)에 본체통(2)의 후단 부분(29)의 전방 단부를 삽입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상으로 본 실시형태의 도포구(1)의 조립 구조에 관한 설명을 종료한다.
이하, 도 8, 도 9를 더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도포구(1)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필기를 위해 펜 끝(6)을 하측을 향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7)가 중력에 의해 잉크 탱크부(5)의 내부 공간(45)에서 중면 배치부(8)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잉크(7)는 잉크 공급공(49)을 통과하고, 중계심(3)의 내부 공간(20)의 하방 부분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돌출부(11)의 하단 근방까지 이동한 잉크(7)는 자신의 중력 및 중면(4)의 모세관력에 의해 하방측으로 끌려간다. 이에 의해, 잉크(7)가 연통공(13)에서 방출되어 중면 배치부(8)로 공급된다. 즉, 중계심(3)의 내부 공간(20)이 잉크(7)를 공급할 때의 잉크 유통로가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편(33)에 의해 중면(4)을 상방에서 가압하고 있다. 그에 의해, 중면(4)의 하방 부분에 비교적 공극률이 저하된 중밀도부(53)가 형성된다. 즉, 중면(4)을 상방에서 가압편(33) 등으로 가압함으로써, 가압된 중면(4)의 일부가 하방으로 밀려와 집적된다. 그에 의해, 중면(4)에는 비교적 공극률이 높고 섬유 밀도가 낮은 저밀도부(54)가 상방 부분에 형성되고, 비교적 공극률이 낮고 섬유 밀도가 높은 중밀도부(53)가 하방 부분에 형성된다. 그리고 펜 끝(6)은 중면(4)의 중밀도부(53)보다 섬유 밀도가 높은 고밀도부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면(4)의 상방 부분과 하방 부분에 연속되는 섬유 밀도의 다른 부분이 형성되고, 하방을 향하여 섬유 밀도가 높게 되어 있다. 그리고, 중면(4)의 후단에서 펜 끝(6)의 전단을 향하여 저밀도부(54), 중밀도부(53), 고밀도부(펜 끝(6))가 연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면(4)의 전단에서 가압편의 하단 부근까지가 중밀도부(53)로 되고 있고, 가압편(33)의 하단 부근부터 후방의 부분이 저밀도부(54)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잉크(7)를 펜 끝(6)으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잉크(7)가 자신의 중력만으로는 연통공(13)의 개구까지 도달하지 않는 잉크라도 잉크(7)를 중계심(3)에서 중면(4)으로 끌어들여, 중면(4)에서 펜 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연통공(13)에서 외기(미세한 양의 공기)가 잉크 탱크부(5)의 내부 공간(45)에 도입된다. 그리고, 내부 공간(45) 내에서 잉크(7)와 외기의 교환이 행해지고, 잉크(7)가 연통공(13)에서 급격하게 중면 배치부(8)로 공급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도포구(1)는 연통공(13)에서 외기를 도입하고, 또한 연통공(13)에서 잉크(7)를 방출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중계심(3)은 연통관된 돌출부(11)를 1개만 갖고, 이 1개의 돌출부(11)가 외기 도입용의 관과 잉크 방출용의 관을 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11)에서는 외기의 도입과 잉크의 방출이 동시에 실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연통공(13)의 직경이나 면적의 크기를 상기한 바람직한 크기로 함으로써, 잉크(7)의 유속을 보다 바람직한 속도로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중면 배치부(8)로의 잉크(7)의 공급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계심(3)이 가압편(33)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잉크(7)를 중계심(3)에서 중면(4)으로 강하게 끌어들이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11)가 1개뿐인 구성의 구성이라도 잉크(7)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이상의 돌출부를 설치하거나, 직경이 큰 돌출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1개뿐인 돌출부(11)로 잉크(7)를 충분히 공급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거나, 직경이 큰 돌출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중계심(3)의 설계의 자유도가 높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8(a)에 도시된 상태에서 잉크(7)가 중면 배치부(8)로 계속 공급됨으로써,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면(4)에 잉크(7)가 함침된다. 또한, 이때 연통공(13)과 중면(4)은 접촉하고 있으므로, 연통공(13) 근방에 도달한 잉크(7)는 중면(4)의 모세관력에 의해 끌어 당겨진다. 그 때문에 잉크(7)의 표면 장력 등에 의해 연통공(13) 근방에서 잉크(7)의 흐름이 정체되지 않는다.
그리고, 잉크(7)가 중면(4)에 함침되면, 중면 배치부(8)의 잉크(7)의 수위가 올라간다(수위의 경계선이 잉크 탱크부(5)측으로 가까이 간다). 올라간 중면 배치부(8)의 잉크(7)의 수위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디어 연통공(13)의 높이(위치)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중면 배치부(8)의 잉크(7)의 수위가 올라가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공(13)의 위치까지 잉크(7)로 채워진다. 그에 의해, 연통공(13)이 함침된 잉크(7)에 의해 액 씰 상태가 되어 실질적으로 폐쇄된다. 그리고, 잉크 탱크부(5)의 내부 공간(45)에 외기를 도입할 수 없게 되어, 중면 배치부(8)로의 잉크(7)의 공급이 정지한다. 이때, 중면(4)은 앞측(도 8, 도 9에 있어서의 하측)이 잉크(7)에 충분히 함침된 상태가 되고, 뒤측(도 8, 도 9에 있어서의 상측)은 잉크(7)에 함침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통상, 이 중면(4)의 뒤측은 잉크(7)에 함침되지 않지만, 주위의 온도가 상승한 경우나, 도포구(1)의 자세가 기운 경우 등에 있어서는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9(a)와 같은 중면(4)의 앞측에 잉크(7)가 함침된 상태로 필기를 계속하면, 드디어 중면(4)에 함침된 잉크(7)가 감소되어, 연통공(13)의 액 씰 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잉크 탱크(3) 내에 외기가 취득되므로, 중면 배치부(8)로의 잉크(7)의 공급이 개시된다. 그리고, 도 9(c)와 같이, 연통공(13)이 함침된 잉크(7)에 의해 다시 액 씰 상태가 될 때까지, 중면 배치부(8)로의 잉크(7)의 공급이 계속된다. 이와 같이, 잉크(7)가 필기에 의해 감소될 때마다 중면 배치부(8) 및 중면(4)에 잉크(7)가 공급된다. 그리고, 중면(4)에 공급된 잉크(7)는 중밀도부(53)에서 저밀도부(54)로는 흐르기 어렵게 되어 있다. 즉, 중면(4)에 공급된 잉크(7)가 펜 끝(6)측을 향하여 흐르기 쉽기 때문에, 펜 끝(6)에 안정적으로 잉크(7)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도포구(1)가 마커인 예를 게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만년필이나 볼펜, 수정액 등의 도포구라도 좋다. 따라서, 본체통(2)의 원료 및 형상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펜 끝(6)도 섬유속의 수지 가공체, 섬유속의 열 융착 가공체, 펠트 가공체, 파이프 형상 펜체, 선단에 슬릿을 갖는 만년필형 판 형상 펜체, 모필(붓) 펜체, 합성 수지의 다공질 기포체, 볼펜 팁, 축 방향의 잉크 유도로를 갖는 합성 수지의 압출 성형체 등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선단 부분의 원료 및 개구하는 형상은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또한, 중면(4)도 상기한 바와 같이 잉크(7)를 함침 가능한 연속 기공을 갖고 있는 부재이면 좋고, 그 형상도 대략 원주형이나 대략 직방체형에 한정하지 않는다. 원료 및 형상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중계심(3)의 돌출부 본체(32)가 중면(4)과 접촉하고 있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중계심(3)과 중면(4)은 반드시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중계심(3)(의 연통공)과 중면(4)이 접촉하고 있지 않으면, 중계심(3)의 내경이 작은 경우에 잉크(7)에 작동하는 표면 장력이 중력을 상회하여, 잉크(7)가 중공 부분(21)내에 머무르려고 하기 때문에, 잉크(7)의 중면 배치부(8)로의 공급시에 잉크(7)의 시간당 유출량이 저감될 우려가 있다. 그에 대해 중계심(3)과 중면(4)이 접촉하고 있으면, 중면(4)의 모세관력에 의해 잉크(7)가 끌어 당겨져서 잉크(7)가 원활하게 흐르기 때문에, 중계심(3)의 내경을 작게 설계해도 잉크(7)의 시간당 유출량이 안정된다. 따라서, 이렇게 중계심(3)과 중면(4)이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연통공(13)의 개구의 전 영역을 중면(4)이 덮도록 배치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통공(13)의 개구는 중면(4)으로 덮어져 있지 않아도 좋고, 연통공(13)의 개구의 일부분만 중면(4)으로 덮어져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그러나, 연통공(13)의 개구의 전 영역을 중면(4)이 덮도록 배치하면, 돌출부(11)의 전단 근방에 위치하는 잉크(7)를 보다 확실하게 중면(4)측으로 끌어당길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가압편(33)은 평판 형상이며 돌출부 본체(32)의 측면과 토대부(12)의 전단면(25)에 접촉하는 구성이었지만, 본 발명의 중계심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돌출부 본체(32)에 접촉하지 않고 토대부(12)에서 전방에 돌출한 가압편(61)을 구비한 중계심(60)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도 11에서 나타내는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가압편(71)이 토대부(12)에 접촉하지 않고 돌출부 본체(32)에서 굴곡하여 연장되어 있는 중계심(70)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가압편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 2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둥근 막대 형상의 가압편이라도 좋고(도 10 참조), 제 3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갈고랑이 형상(L자판 형상)의 가압편이라도 좋다(도 11 참조). 따라서, 가압편은 단면 형상이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상으로 연장되는 가압편이라도 좋고,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연장되는 가압편이라도 좋다. 또한, 일부가 굴곡하여 연장되는 가압편이라도 좋다.
즉, 본 발명의 가압편은 중면를 가압함으로써, 중계심의 잉크 배출구(연통공(13)) 근방에 위치하는 중면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섬유 밀도가 높은 상태로 할 수 있으면 좋다.
상기한 각 실시형태의 가압편은 모두 중계심에 2개 설치한 것이었지만, 가압편의 수는 1개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상관없다.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중계심의 돌출부와 중면의 상단면이 이루는 각이 대략 90도가 되도록 접촉시키고 있지만, 중계심의 배치 각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계심의 돌출부와 중면의 상단면이 이루는 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70도 이상 90도 이하가 되도록 중계심의 돌출부와 중면의 상단면을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잉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점도가 6.7mPa·s보다 크고, 또한 고체 표면과 접촉했을 때의 접촉각이 53.8도보다 작고, 또한 표면 장력이 33.5mN/m보다 작은 특성을 갖는 잉크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도포구
3, 60, 70 중계심(유로 형성부)
4 중면(도포액 흡장체)
5 잉크 탱크부(도포액 수용부)
6 펜 끝(도포체)
7 잉크(도포액)
11 돌출부
12 토대부
13 연통공
21 중공 부분
20 내부 공간
33, 61, 71 가압편(가압부)

Claims (6)

  1. 충전된 도포액이 내부 유동 가능한 도포액 수용부와, 도포액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체를 갖고, 도포액 수용부와 도포체 사이에 도포액을 함침하는 도포액 흡장체를 구비하고, 도포액 수용부와 도포액 흡장체 사이에 도포액을 유통 가능한 유로를 갖는 유로 형성부가 설치된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부는 적어도 1개의 돌출부와, 가압부를 갖는 것이고,
    돌출부는 도포체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내부에 중공 부분이 형성되고, 중공 부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의 적어도 일부는 도포액 흡장체에 상방에서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하단이 상기 연통공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서 외방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는 평판 형상의 돌기이고,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기단 부분에서 선단 부분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포액 흡장체의 일부가 상기 유로 형성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도포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부와 도포액 수용부가 착탈 자유롭게 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6. 제 5 항에 있어서, 도포액 수용부는 하방에 외부와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수용부측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로 형성부는 토대부와 돌출부에서 형성되고, 상기 토대부에는 통 형상부가 형성되고 있고, 통 형상부는 상기 돌출부의 중공 부분과 연통하는 것이고,
    상기 유로 형성부와 도포액 수용부를 장착했을 때, 수용부측 관통공과 통 형상부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KR1020137032710A 2011-05-19 2012-05-14 도포구 KR201400433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2334 2011-05-19
JP2011112334A JP5700817B2 (ja) 2011-05-19 2011-05-19 塗布具
PCT/JP2012/062252 WO2012157594A1 (ja) 2011-05-19 2012-05-14 塗布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381A true KR20140043381A (ko) 2014-04-09

Family

ID=4717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710A KR20140043381A (ko) 2011-05-19 2012-05-14 도포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00817B2 (ko)
KR (1) KR20140043381A (ko)
CN (1) CN103561966A (ko)
WO (1) WO20121575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80658C1 (ru) * 2017-05-19 2019-02-26 ЭсДиАй КОРПОРЕЙШН Пиш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и его выдачной бло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436A1 (ja) * 2015-06-26 2016-12-29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直液式筆記具
TWI645987B (zh) * 2017-09-18 2019-01-01 順德工業股份有限公司 書寫工具
CN110001239B (zh) * 2018-01-04 2021-01-29 顺德工业股份有限公司 书写工具
JP7118814B2 (ja) * 2018-08-30 2022-08-16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ボールペン
JP2022179242A (ja) * 2021-05-20 2022-12-02 登志朗 遠藤 ペン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9690U (ja) * 1983-10-21 1985-05-17 セーラー万年筆株式会社 カ−トリツヂインキ補充式筆記具
JP2006212884A (ja) * 2005-02-02 2006-08-17 Pilot Ink Co Ltd 直液式筆記具
JP2007245376A (ja) * 2006-03-13 2007-09-27 Pilot Ink Co Ltd 直液式筆記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3592A (ja) * 1999-02-17 2000-08-29 Pilot Ink Co Ltd 直液式筆記具
JP2002192879A (ja) * 2000-12-27 2002-07-10 Mitsubishi Pencil Co Ltd 直液式筆記具
JP4061049B2 (ja) * 2001-10-31 2008-03-12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筆記具
CN101274565B (zh) * 2004-09-14 2010-04-07 百乐墨水株式会社 直液式笔具
JP4750590B2 (ja) * 2006-03-13 2011-08-17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直液式筆記具
CN100509438C (zh) * 2006-03-09 2009-07-08 百乐墨水株式会社 直液式书写工具
JP4771863B2 (ja) * 2006-05-31 2011-09-14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直液式筆記具群
JP4820701B2 (ja) * 2006-07-19 2011-11-24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直液式筆記具
JP2008023877A (ja) * 2006-07-21 2008-02-07 Pilot Ink Co Ltd 直液式筆記具
CN201889999U (zh) * 2009-10-21 2011-07-06 上海白金制笔有限公司 直液式笔
JP5687529B2 (ja) * 2010-03-26 2015-03-18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塗布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9690U (ja) * 1983-10-21 1985-05-17 セーラー万年筆株式会社 カ−トリツヂインキ補充式筆記具
JP2006212884A (ja) * 2005-02-02 2006-08-17 Pilot Ink Co Ltd 直液式筆記具
JP2007245376A (ja) * 2006-03-13 2007-09-27 Pilot Ink Co Ltd 直液式筆記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80658C1 (ru) * 2017-05-19 2019-02-26 ЭсДиАй КОРПОРЕЙШН Пиш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и его выдачной блок
US10828928B2 (en) 2017-05-19 2020-11-10 Sdi Corporation Writing tool and dispensing unit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61966A (zh) 2014-02-05
JP2012240299A (ja) 2012-12-10
WO2012157594A1 (ja) 2012-11-22
JP5700817B2 (ja)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7529B2 (ja) 塗布具
KR20140043381A (ko) 도포구
CN107776259B (zh) 笔具以及墨水芯
KR100946428B1 (ko) 직액식 필기구
KR100932571B1 (ko) 직액식 필기구
CN111183041B (zh) 涂布工具
WO2005123416A1 (ja) 液体供給装置
JP5859164B1 (ja) 塗布具
KR101958956B1 (ko)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및 도포구
JP2013102910A (ja) 液体供給装置
JP4537864B2 (ja) 直液式筆記具
JP2000233592A (ja) 直液式筆記具
JP5795042B2 (ja) 圧力変動緩衝機構及び塗布具
JP2014188969A (ja) 生インキ内蔵筆記具
JP2015100981A (ja) 圧力変動緩衝機構及び塗布具
JP3536673B2 (ja) ペ ン
JP2013056519A (ja) 塗布具
JP2012245749A (ja) 筆記具
WO2021187239A1 (ja) 塗布具
JP2007245376A (ja) 直液式筆記具
TWM466555U (zh) 卡式眼線筆
JP2004314618A (ja) 筆記具及びインキ補充装置
JP2012135916A (ja) インク補充具及びインク補充具を有する筆記具セット
JP2014128891A (ja) 塗布具
JP2014037074A (ja) 液体塗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