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428B1 - 직액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직액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428B1
KR100946428B1 KR1020070020029A KR20070020029A KR100946428B1 KR 100946428 B1 KR100946428 B1 KR 100946428B1 KR 1020070020029 A KR1020070020029 A KR 1020070020029A KR 20070020029 A KR20070020029 A KR 20070020029A KR 100946428 B1 KR100946428 B1 KR 100946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ommunication
tube
storage body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2611A (ko
Inventor
테츠히로 쿠리타
타카오 이나바
Original Assignee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68245A external-priority patent/JP47505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68246A external-priority patent/JP4750591B2/ja
Application filed by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2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43K8/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including compartment for soluble sol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측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장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고, 잉크흡장체와 잉크탱크와의 사이에 격벽을 설치하며, 상기 격벽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연통관 각각을 돌출시키고 상기 연통관 각각의 전단을 잉크흡장체 내부에 위치시켜서 적어도 1개의 연통관을 상기 격벽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시키고, 그 연통관의 후단을 잉크탱크 내부에 위치시킨 직액식 필기구.
잉크흡장체, 잉크탱크, 연통관, 직액식

Description

직액식 필기구{WRITING TOOLS OF DIRECT LIQUID TYP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펜 촉 하향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펜 촉 하향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3 실시 형태의 펜 촉 하향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제4 실시 형태의 펜 촉 하향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제5 실시 형태의 펜 촉 하향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연통관의 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연통관의 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펜 촉 하향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펜 촉 하향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펜 촉 하향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 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의 펜 촉 하향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⑴이 도 13의 C-C선 확대단면도, ⑵가 도 13의 D-D선 확대단면도, ⑶이 도 13의 E-E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15는, ⑴이 도 13의 F-F선 확대단면도, ⑵가 도 13의 G-G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펜 촉 하향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⑴이 도 16의 H-H선 확대단면도, ⑵가 도 16의 I-I선 확대단면도, ⑶이 도 16의 J-J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18은, ⑴이 도 16의 K-K선 확대단면도, ⑵가 도 16의 L-L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의 펜 촉 하향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펜 촉 하향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3의 실시 형태의 펜 촉 하향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의 펜 촉 하향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이다.
도 23은, ⑴이 도 22의 M-M선 확대단면도, ⑵가 도 22의 N-N선 확대단면도,⑶이 도 22의 O-O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의 펜 촉 하향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5는, ⑴이 도 24의 P-P선 확대단면도, ⑵가 도 24의 Q-Q선 확대단면도, ⑶이 도 24의 R-R선 확대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직액식 필기구
2…펜 촉
21…환상홈 22…볼
23…홀더 24…잉크유도부재
3…잉크흡장체
31…고밀도부 32…저밀도부
4…촉 부재
41…소경부(小徑部) 42…대경부(大徑部)
43…리브(Rib) 43a…규제벽부
43b…계지볼록부 44…공기구멍
5…중간부재
51…전방 통부 52…격벽
52a…부착구멍
52b…접촉벽부(환상볼록부, 판형상 리브) 53…후방 통부
54…접속관 54a…돌기
55…부착 통부
6…연통관
61…경사 커트면 62…유통로
63…잉크흡수체 64…리브
65…창 구멍 66…유량규제부
6a…연통관 6b…연통관
7…잉크탱크 71…마개본체
8…잉크 9…간극
10…공기통로
11…축 통
111…테이퍼부 112…본체부
113…리브 113a…규제벽부
113b…통형상 벽부
12…뒷마개 13…캡
L…잉크흡장체 전체의 축 방향 길이
S1, S2…잉크흡장체의 전단에서 연통관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
T1, T2…연통관의 전단과 펜 촉 후단과의 축 방향의 거리
본 발명은 잉크탱크 내에 잉크를 바로 저장하고, 상기 잉크탱크와 펜 촉과의 사이에 잉크흡장체를 개재시킨 직액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前)」은 펜 촉 측을 가리키고, 「후(後)」는 잉크탱크 측을 가리킨다.
[1] 종래부터 이러한 종류의 직액식 필기구에 있어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잉크용체(容體)의 상측 개구부에 연결공(연결관)과 관통공을 갖고 흡수성재를 충전한 수용체를 삽입하고 끼워서 흡수성재에 연결하는 필수(筆穗)를 설치해서 통기관과 관통공에 삽입하고 외기와 잉크용체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직액식 필기구는 잉크용체의 상부 개구부에 연통관 및 통기관을 구비하고 있다고 해도 항상 통기관이 외기와 연통하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펜 촉 하향상태를 유지하면 외기가 통기관을 통해서 잉크용체 내에 계속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잉크용체 내의 잉크가 연결관을 통해서 흡수성재에 계속해서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용체 내의 잉크가 펜 촉 측에서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있다.
[2] 또 종래의 특허문헌 2에는 「용기본체 내의 한쪽에 밀폐용 뚜껑 본체를 착탈가능하게 한 잉크보급구를 갖는 잉크수납실을 설치하는 동시에, 본체 선단개구부 측에는 상기 잉크수납실과는 격벽에서 분리된 잉크흡액재 수납실을 개구부와 연통하는 상태로서 설치하고, 이 수납실 내에는 2분할된 통기성을 갖는 흡액재(吸液材)를 수납하며, 또한 선단개구부 측의 흡액재에는 펜 촉의 기부(基部)를 포지(抱持)시키는 동시에 그 기부단면은 잉크수납실 측의 흡액재를 접촉시키고, 상기 격벽에는 수납잉크를 흡액재로 급액시키기 위한 급액공(給液孔)을 천설(穿設)하는 동시에, 적당한 급기관을 고정시키고 또한 그 급기관 한쪽 단면개구부를 본체 선단개구부 측의 급액재에 접촉시키며, 다른 쪽 단면개구부를 잉크보급구 부근의 잉크수납실 내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인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의 직액식 필기구는 2개의 흡액재를 구비하고, 급기관의 전단면을 본체 선단개구부 측의 흡액재 후단면에 접촉시켜서 급액공이 잉크수납실 측의 흡액재 후단면에 연통하는 구성, 즉, 급기관의 전단개구부와 급액공의 전단개구부가 전후로 이간되어 위치하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급액공에서 공급되어 흡액재에 함침된 잉크에 의해 급기관의 개구단을 막는 것(즉, 급기관의 개구단을 액밀 상태로 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잉크탱크에서의 잉크유출과 잉크탱크로의 공기유입(즉, 잉크와 공기의 교체)을 확실히 정지시킬 수 없다. 그 결과, 과잉의 잉크가 흡액재에 공급되고 잉크가 펜 촉 측에서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의 직액식 필기구는 펜 촉이 본체 선단개구부 측의 흡액재를 관통해서 잉크수납실 측의 흡액재에 접촉하는 구성이므로 펜 촉의 긴쪽 치수를 짧게 설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펜 촉의 비용이 상승해서 사용자에게 염가로 제공할 수 없으며, 게다가 펜 촉 후단에서 펜 촉 선단까지 잉크유출로가 길어져서 펜 촉에서의 잉크유출성이 저하되어 필적의 긁힘이나 필적의 끊어짐이 발생하기 쉽다.
[3] 또 종래의 특허문헌 3에는 「전축(前軸) 내에 잉크조정관, 잉크도관을 동심으로 배치해서 잉크도관에 중계심(中繼芯)을 삽입하고, 그 후단을 잉크 실(잉크탱크)에 삽입하여 선단을 모필체 후단에 소정의 간극을 두어 위치시키며, 잉크조정관과 잉크도관 사이의 환상로내 및 모필체 후단상에는 다공질재로 이루어진 흡수체를 장착하여 그 선단의 밀도를 다른 부분보다 크게 하고, 모필체 후단에는 잉크통로를 형성하여 전축(前軸) 내면과 잉크조정관 외면 사이에는 외기로 연통한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이 공기통로 후단과 잉크조정관 후단을 연통해서 이루어지는 모필상 필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3의 직액식 필기구는 하나의 잉크도관만에 의해 잉크탱크와 잉크흡수체를 접속하는 구성이므로 초기 잉크유출시(즉, 잉크탱크에서 흡액재에 최초로 잉크를 공급할 때)에 신속하게 공기와 잉크가 교체되지 않고, 필기가 가능하게 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 상기 특허문헌 3의 직액식 필기구는 부품점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해서 사용자에게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소 45-1889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소 56-750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소 60-719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잉크탱크 내의 잉크가 펜 촉 측에서 누출될 우려가 없고, 또 펜 촉의 긴 쪽 치수를 짧게 해서 펜 촉의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펜 촉에서의 잉크유출성을 원할하게 할 수 있으며, 게다가 초기 잉크유출시에 신속하게 공기와 잉크가 교체되어 단시간에 필기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으며, 게다가 잉크탱크 내의 압력이 급격히 변화한 경우에도 펜 촉 측에서의 잉크누출이나 잉크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직액식 필기구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구성 1)
본 발명은 펜 촉(2)과, 상기 펜 촉(2)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3)와,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측에 배치되어 잉크를 바로 저장하는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흡장체(3)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6)으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6)을 복수 구비하고 잉크흡장체(3)와 잉크탱크(7)와의 격벽(52)을 설치하며, 상기 격벽(52)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을 돌출시키고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을 잉크흡장체(3) 내부에 위치시켜서 적어도 1개의 연통관(6b)을 상기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시키고, 그 연통관(6b)의 후단을 잉크탱크(7) 내부에 위치시킨 것(구성 1)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에서, 상기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하는 연통관(6b)의 후단은 펜 촉(2)의 방향이나 잉크탱크(7) 내의 잉크잔량에 의해 잉크 액면(液面)으로부터 상측으로 위치하는 경우와, 잉크액면으로부터 하측(즉, 잉크 속)으로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하는 연통관(6b)의 후단이 잉크액면으로부터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인 경우, 상기 후측으로 돌출한 연통관(6b)에 의해 잉크탱크(7)와 외기 사이의 공기유통이 이루어지고, 다른 연통관(6a)에 의해 잉크탱크(7)와 잉크흡장체(3) 사이의 잉크유통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격벽(52) 후면에서 후측으로 돌출하는 연통관(6b)의 후단이 잉크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위치하는 상태인 경우, 적어도 1개의 연통관(6)에 의해 잉크탱크(7)와 외기 사이의 공기유통이 이루어지고, 다른 연통관(6)에 의해 잉크탱크(7)와 잉크흡장체(3) 사이의 잉크유통이 이루어진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에서, 잉크탱크(7)내의 잉크를 잉크흡장체(3)에 공급할 때, 펜 촉(2)을 하향상태로 하면 중력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잉크가 적어도 1개의 연통관(6)을 통해서 잉크흡장체(3)로 공급되고, 잉크흡장체(3) 내부에서 함침된다. 그와 동시에 외기가 다른 연통관(6)을 통해서 잉크탱크(7) 내로 거두어 들여진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가 일정량이 되면 상기 외기를 거두어들인 다른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가 상기 함침잉크에 의한 액밀 상태로 되어 일시적으로 폐쇄되고, 잉크탱크(7) 내로의 외기의 공급은 정지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잉크공급을 하고 있었던 연통관(6)에 의한 잉크탱크(7)에서 잉크흡장체(3)로 잉크공급도 정지되며, 그 결과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가 액밀상 태로 되어 일시적으로 폐쇄되고, 잉크탱크(7)에서의 잉크유출과 잉크탱크(7)로의 공기유입(즉, 잉크와 공기의 교체)이 정지상태로 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는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이므로,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 전부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의 액밀에 의해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탱크(7)에서 잉크흡장체(3)로 과잉의 잉크를 공급하는 일이 없고, 펜 촉(2) 측에서 외부로 잉크가 누출될 우려가 없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는, 연통관(6)을 복수개(즉, 2개 이상) 가짐으로써 적어도 1개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하는 경우, 다른 연통관(6)이 공기공급을 하게 된다. 그 때문에 초기잉크유출시(즉, 잉크가 함침되어 있지 않은 잉크흡장체(3)에 최초로 잉크를 공급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잉크와 공기의 교체가 이루어지고 단시간에 필기가 가능해진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는 온도상승 등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압력이 상승한 때, 잉크탱크(7) 내에서 압출된 과잉의 잉크는 상기 연통관(6)을 통해서 잉크흡장체(3)의 내부로 공급되고,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일시적으로 함침된다. 한편, 온도저하 등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압력이 감소한 때,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가 연통관(6)을 통해서 잉크탱크(7) 내로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잉크탱크(7) 내가 압력 변화한 때, 잉크탱크(7) 내의 과잉잉크를 적당히 잉크흡장체(3)에 일시적으로 흡수시키고, 그 후 그 과잉잉크를 잉크탱크(7)로 적당히 되돌아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가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는 적어도 1개의 연통관(6b)을 상기 격벽(52) 후면에서 후측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그 연통관(6b)의 후단을 잉크탱크(7)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펜 촉 하향상태에서 급격한 압력변화가 발생한 경우, 잉크탱크(7) 내의 가압공기가 상기 격벽(52)의 후면에서 후측으로 돌출하는 연통관(6 b)의 후단개구부에서 이 연통관(6b)의 내부를 통과하고, 그 다음 잉크흡장체(3)의 내부를 통해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되며, 펜 촉(2) 측에서 잉크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분출될 우려가 없다. 즉,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는 펜 촉 하향상태에서 잉크탱크(7) 내의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한 경우에도 펜 촉(2) 측에서의 잉크누출이나 잉크분출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펜 촉 하향시, 상기 후측으로 돌출하는 연통관(6b)의 후단이 잉크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잉크액면으로부터 상기 후측으로 돌출하는 연통관(6b) 후단까지의 거리가 잉크액면에서 격벽(52) 후면까지의 거리(즉, 격벽(52) 후면에서 후측으로 돌출하지 않은 연통관(6a)의 후단과 잉크액면과의 거리)에 비해 짧으므로, 펜 촉 하향상태에서 잉크탱크 내의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한 경우 잉크탱크(7) 내의 다량의 잉크가 잉크흡장체(3)로 압출되는 일 없이 각 연통관(6)을 통해서 잉크탱크(7) 내에서 약간의 과잉잉크가 잉크흡장체(3)에 압출되어 잉크흡장체(3)에 보존된 후, 바로 상기 후측으로 돌출하는 연통관(6b)의 후단개구부와 잉크액면 상측의 공간이 연통되고, 잉크액면 상측의 가압공기가 상기 후측으로 돌출하는 연통관(6b)을 통해서 외부로 방출된다. 이에 따라 펜 촉 하향상 태에서 급격한 압력변화가 발생한 경우라도 펜 촉(2) 측에서의 잉크누출이나 잉크분출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탱크(7) 내의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는, 예컨대, 저온환경하에서 캡을 펜 촉 측에 장착한 후 고온환경하에서 잉크탱크(7) 내의 공기가 가압된 상태로 펜 촉 측에서 캡을 제거한 경우, 또는 지상의 1기압 상태에서 캡을 펜 촉 측에 장착한 후 항공기 내 등의 감압상태에서 잉크탱크(7) 내의 공기가 가압된 상태로 펜 촉 측에서 캡을 제거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구성 2)
본 발명은 상기 구성 1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 축 방향의 위치가 서로 같게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것(구성 2)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는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 축 방향의 위치가 서로 갖게 설정되는 구성(즉,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서로 전후로 이간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므로, 잉크흡장체(3) 내부에서의 연통관(6) 각각 전단의 상호 간 거리가 더욱 짧아지며,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의 액밀성이 향상되고 외부로의 잉크유출을 보다 더 방지할 수 있다.
(구성 3)
본 발명은 상기 구성 1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 내부의 펜 촉(2) 후단 근방에 위치되어 이루어지는 것(구성 3) 을 요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3)는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펜 촉(2) 후단 근방에 위치하는 구성에 의해 어느 한쪽 연통관(6)의 전단개구부에서 잉크가 공급되어도 펜 촉(2)에 잉크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기잉크유출시, 확실하게 단시간에 필기가 가능해진다.
(구성 4)
본 발명은 상기 구성 1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펜 촉(2)의 후단이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위치해서 이루어지는 것(구성 4)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4)는, 펜 촉(2)의 후단이 잉크흡장체(3)의 내부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펜 촉(2) 전체의 긴 쪽 치수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탱크(7)에서의 윤택한 잉크가 연통관(6)을 통해서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을 통해서 펜 촉(2) 후단으로 공급된 후, 상기 펜 촉(2) 선단에 신속하게 공급되므로, 필적의 끊어짐이나 필적의 긁힘이 없는 펜 촉(2)으로부터의 원활한 잉크유출성을 얻을 수 있다. 또 펜 촉(2) 전체의 긴 쪽 치수를 짧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펜 촉(2)의 비용을 염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4)는 온도상승 등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압력이 상승한 때, 잉크탱크(7) 내에서 압출된 과잉의 잉크는 상기 연통관(6)을 통해서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으로 공급되고, 또한, 잉크흡장체(3)의 내부 후측 으로 공급되어 일시적으로 함침된다. 한편, 온도저하 등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압력이 감소한 때, 잉크흡장체(3)의 내부 후측에 함침된 잉크가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으로부터 연통관(6)을 통해서 잉크탱크(7) 내로 되돌아간다.
즉,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4)는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위치하는 구성에 의해 잉크탱크(7) 내가 압력 변화한 때, 잉크탱크(7) 내의 과잉잉크를 적당히 잉크흡장체(3)에 일시적으로 흡수시키고, 그 후 그 과잉잉크를 잉크탱크(7)로 적당히 되돌릴 수 있다. 그 결과, 잉크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구성 5)
본 발명은, 상기 구성 1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펜 촉(2)의 후단과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는 상기 잉크흡장체(3)를 통해서 잉크유출이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구성 5)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5)는 상기 펜 촉(2)의 후단과,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적어도 펜 촉(2)의 후단과 연통관(6)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의 잉크흡장체(3) 내부에는 일정량의 잉크가 함침되어 있다. 이에 따라 펜 촉 상향상태나 필기구 본체의 수평상태 등의 잉크탱크(7)에서의 잉크공급이 없는 경우라도 상기 펜 촉(2)의 후단과 연통관(6)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의 잉크흡장체(3) 내부에 함침된 잉크에 의해 충분히 필기가 가능해진다.
(구성 6)
본 발명은 상기 구성 1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을 잉크흡장체(3)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삽입하고, 잉크흡장체(3)의 내부를 전방으로 압압하고 압축함으로써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3)의 밀도를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부분의 잉크흡장체(3)의 밀도보다도 높게 설정한 것(구성 6)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6)는 잉크흡장체(3)가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의 밀도를 높게 설정한 부분(고밀도부(31))과,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밀도를 낮게 설정한 부분(저밀도부(32))을 구비한다. 그 때문에 잉크흡장체(3) 내부에서의 잉크를 저밀도부(32) 보다도 고밀도부(31)에 우선해서 함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를 함침잉크에 의해 확실히 액밀하게할 수 있다. 그 결과, 온도저하 등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압력이 감소한 때, 잉크흡장체(3) 내에 함침된 잉크가 잉크흡장체(3) 내에 잔류하는 일이 없으며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서 연통관(6)을 통해 적당히 잉크탱크(7) 내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6)는 잉크흡장체(3)의 밀도차(즉,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와 저밀도부(32))를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을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삽입하고, 잉크흡장체(3)의 내부를 전방으로 압압하고 압축함으로써 형성하기 때문에 연통관(6)을 잉크흡장체(3)에 넣기 전에 미리 잉크흡장체(3)에 밀도차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제조가 매우 용이해 진다.
(구성 7)
본 발명은 상기 구성 1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마개 개방 전의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를 마개본체(71)에 의해 개폐하고, 상기 격벽(52) 후면에서 후측으로 접속관(54)을 돌출시켜서 상기 접속관(54)을 상기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 내에 삽입하고, 상기 접속관(54)이 상기 마개본체(71)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잉크탱크(7)의 마개를 개방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52) 후면에서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6b)이 상기 접속관(54)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격벽(52) 후면에서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6b)의 후단이 상기 접속관(54)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든지 또는 상기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6b)의 후단과 상기 접속관(54)의 후단과의 축 방향 위치가 대략 일치해서 이루어지는 것(구성 7)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7)는, 접속관(54)을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에 삽입 장착한 때 접속관(54)이 마개본체(71)를 적당히 압압해서 잉크탱크(7)의 마개를 확실하게 개방할 수 있으며, 게다가 잉크탱크(7)의 마개를 개방시에 잉크탱크 내의 잉크가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없다. 만약,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6b)의 후단이 접속관(54)의 후단으로부터 후측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으면, 접속관(54)을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에 삽입하여 장착한 때 상기 연통관(6b)이 마개본체(71)에 접촉하고, 잉크탱크(7)의 마개를 확실하게 개방할 수 없는 우려나, 접속관(54)이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에 완전히 삽입 장착되기 전에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로부터 마개본체(71)가 벗겨져서 잉크가 외부로 누출 될 우려가 있다.
(구성 8)
본 발명은 상기 구성 7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잉크탱크(7)의 마개 개방시에 상기 마개본체(71)의 한쪽을 압압하는 돌기(54a)를 상기 접속관(54) 후단의 돌기에 설치하고, 상기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연통관(6b)의 외면과 상기 돌기(54a)의 내면을 근접시켜서 이루어지는 것(구성 8)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8)는 잉크탱크(7)의 마개 개방시, 돌기(54a)가 마개본체(71)의 한쪽을 압압함으로써 마개본체(71)를 적당히 벗겨낼 수 있다. 만약, 상기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6b)의 외면과 상기 돌기(54a)의 내면이 근접하지 않는 구성인 경우, 잉크탱크(7)의 마개를 개방시, 상기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6b)이 마개본체(71)에 접촉하여 마개본체(71)의 원활한 마개의 개방동작을 방해하고 잉크탱크(7)가 적당한 마개의 개방을 이룰 수 없는 우려가 있다.
(구성 9)
본 발명은 상기 구성 1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잉크흡장체(3)가 고밀도부(31)와 이 고밀도부(31)에서 후측으로 연접되는 저밀도부(32)를 구비하고, 상기 고밀도부(31)에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 및 상기 펜 촉(2)의 후단을 위치시킨 것(구성 9)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9)에서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 체(3)에 공급할 때, 펜 촉(2)을 하향상태로 하면 중력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가 적어도 1개의 연통관(6)을 통해서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로 공급되고, 상기 고밀도부(31)에서 함침된다. 이와 동시에 외기가 다른 연통관(6)을 통해서 잉크탱크(7) 내로 거두어 들여진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 함침된 잉크가 일정량이 되면 상기 외기를 거두어들인 다른 연통관(6)의 전단개구부가 상기 함침잉크에 의한 액밀 상태로 되어 일시적으로 폐쇄되고, 잉크탱크(7) 내로의 외기의 공급은 정지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잉크공급을 하고 있었던 연통관(6)에 의한 잉크탱크(7)에서 잉크흡장체(3)로 잉크공급도 정지되고, 그 결과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가 액밀 상태로 되어 일시적으로 폐쇄되고 잉크탱크(7)에서의 잉크유출과 잉크탱크(7)로의 공기유입(즉, 잉크와 공기의 교체)이 정지상태로 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9)는 잉크흡장체(3)가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의 밀도를 높게 설정한 부분(고밀도부(31))과,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부분의 밀도를 낮게 설정한 부분(저밀도부(32))을 구비한다. 그 때문에 잉크흡장체(3) 내부에서의 잉크를 저밀도부(32)보다도 고밀도부(31)에 우선해서 함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를 함침잉크에 의해 확실하게 액밀할 수 있다. 그 결과, 온도저하 등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압력이 감소한 때, 잉크흡장체(3) 내에 함침된 잉크가 잉크흡장체(3) 내에 잔류하는 일이 없으며,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로부터 연통관(6)을 통해 적당히 잉크탱크(7) 내로 되돌아간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9)는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 위치하는 구성이므로,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 전부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의 액 실에 의해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탱크(7)에서 잉크흡장체(3)에 과잉의 잉크를 공급하는 일이 없으며 펜 촉(2) 측에서 외부로 잉크가 누출될 우려가 없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9)는 펜 촉(2)의 후단을 고밀도부(31)에 위치한 구성에 의해, 펜 촉 상향상태나 필기구 본체의 수평상태 등의 잉크탱크(7)로부터의 잉크공급이 없는 경우라도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 함침된 잉크에 의해 충분히 필기가 가능해진다.
(구성 10)
상기 구성 9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저밀도부(32)의 내부를 상기 연통관(6) 각각이 관통하고, 상기 고밀도부(31)에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 및 상기 펜 촉(2)의 후단이 위치해서 이루어지는 것(구성 10)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0)는, 상기 저밀도부(32)의 내부를 상기 연통관(6) 각각이 관통하는 구성에 의해 잉크흡장체(3)를 수용하는 부분의 외경을 굵게 하는 일 없이 충분한 용적의 저밀도부(32)를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연통관(6) 각각이 저밀도부(32)의 내부를 관통하지 않고 고밀도부(31)에 접속되는 경우, 잉크흡장체(3)를 수용하는 부분의 외경이 굵어져서 잉크탱크(7)에서의 과잉의 잉크를 충분히 수용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구성 11)
상기 구성 9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잉크흡장체(3)의 후단에서 연통관(9) 각각의 전단을 삽입한 때에,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의 내부를 전방으로 압압하고 압축함으로써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상기 고밀도부(31)가 형성되는 것(구성 11)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1)는 잉크흡장체(3)의 밀도차(즉,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와 저밀도부(32))를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을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삽입하고, 잉크흡장체(3)의 내부를 전방으로 압압하고 압축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기 때문에 연통관(6)을 잉크흡장체(3)에 넣기 전에 미리 잉크흡장체(3)에 밀도차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제조가 매우 용이해지는 동시에 연통관(6) 각각의 전단과 고밀도부(31)와의 접속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구성 12)
상기 구성 9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고밀도부(31)가 잉크흡장체(3)의 외측면을 직경방향 내부로 압압하여 압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구성 12)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리 잉크흡장체(3)에 밀도차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제조가 매우 용이해 진다.
(구성 13)
상기 구성 9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고밀도부(31)가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을 후측으로 압압하여 압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구성 13)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리 잉크흡장체(3)에 밀도차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제조가 매우 용이해 진다.
(구성 14)
상기 구성 9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잉크흡장체(3)가 고밀도에 설정된 제1 잉크흡장체와, 저밀도에 설정된 제2 잉크흡장체로 이루어지며, 제1 잉크흡장체가 상기 고밀도부(31)를 구성하고, 제2 잉크흡장체가 상기 저밀도부(32)를 구성하는 것(구성 14)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잉크흡장체(3)에 고밀도부(31)와 저밀도부(32)(즉, 잉크흡장체(3)에 밀도차)를 흐트러짐 없이 확실하게 설정할 수 있다.
(구성 15)
본 발명은 상기 구성 9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마개 개방 전의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를 마개본체(71)에 의해 폐쇄하고, 상기 격벽(52) 후면에서 후측으로 접속관(54)을 돌출시켜서 상기 접속관(54)을 상기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 내에 삽입하여 장착하고, 상기 접속관(54)이 상기 마개본체(71)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잉크탱크(7)의 마개를 개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잉크탱크(7)의 마개 개방 후, 상기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6b)이 상기 접속관(54)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연통관(6b)의 후단이 상기 접속관(54)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든지, 또는 상기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6b)의 후단과 상기 접속관(54)의 후단과의 축 방향의 위치가 대략 일치해서 이루어지는 것(구성 15)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5)는 접속관(54)을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에 삽입하여 장착한 때, 접속관(54)이 마개본체(71)를 적당히 압압해서 잉크탱크(7)의 마개를 확실하게 개방할 수 있고, 게다가 잉크탱크(7)의 마개 개방시에 잉크탱크 내의 잉크가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없다. 만약, 격벽(52) 후면에서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6b)의 후단이 접속관(54)의 후단에서 후측으로 크게 돌출하고 있으면, 접속관(54)을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에 삽입하여 장착한 때, 상기 연통관(6b)이 마개본체(71)에 접촉하고 잉크탱크(7)의 마개를 확실하게 개방할 수 없는 우려나, 접속관(54)이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에 완전히 삽입하여 장착되기 전에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에서 마개본체(71)가 벗겨지고 잉크가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있다.
(구성 16)
본 발명은 상기 구성 15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잉크탱크(7)의 마개 개방시에 상기 마개본체(71)의 한쪽을 압압하는 돌기(54a)를 상기 접속관(54) 후단의 한쪽에 설치하고, 상기 격벽(52) 후면에서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6b)의 외면과 상기 돌기(54a)의 내면을 근접시켜서 이루어지는 것(구성 16)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6)는 잉크탱크(7)의 마개 개방시, 돌기(54a)가 마개본체(71)의 한쪽을 압압함으로써 마개본체(71)를 적당히 벗겨낼 수 있다. 만 약, 상기 격벽(52) 후면에서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6b)의 외면과 상기 돌기(54a)의 내면이 근접하지 않는 구성인 경우, 잉크탱크(7)의 마개 개방시, 상기 격벽(52) 후면에서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6b)이 마개본체(71)에 접촉하고 마개본체(71)의 원활한 마개 개방동작을 방해하여 잉크탱크(7)의 적당한 마개 개방이 이루어질 수 없는 우려가 있다.
(구성 17)
본 발명은 펜 촉(2)과, 상기 펜 촉(2)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3)와,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측에 배치되고, 잉크(8)를 바로 저장하는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흡장체(3)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6)으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6)을 복수 구비하고 잉크흡장체(3)와 잉크탱크(7)와의 사이에 격벽(52)을 설치하며, 상기 격벽(52) 전면에서 전방으로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을 돌출시켜고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을 잉크흡장체(3) 내부에 위치시키며, 상기 격벽(52)의 후면에서 후측으로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 내에 삽입장착 가능한 접속관(54)을 돌출시키고, 상기 접속관(54) 내에 위치하는 격벽(52)에 상기 각 연통관(6) 내의 유통로(62)를 관통시켜서 이루어지는 것(구성 17)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7)의 연통관(6)은 그 각각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8)의 내부에 공급하는 기능과, 외기를 잉크탱크(7) 내에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에 공급할 때, 펜 촉(2)을 하향상태로 하면 중력에 의해 잉크탱크(7)의 잉크(8)가 적어도 1개의 연통관(6)을 통해서 잉크흡장체(3)에 공급되고, 잉크흡장체(3) 내부에서 함침된다. 그와 동시에 외기가 다른 연통관(6)을 통해서 잉크탱크(7) 내로 거두어 들여진다. 즉, n개의 연통관(6)의 경우(n은 2 이상의 정수), 1개 이상 또는 (n-1) 개 이하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하고, 다른 나머지의 연통관(6)이 외기의 공급을 행한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8)가 일정량이 되면, 상기 외기를 거둬들이고 있었던 다른 연통관(6)의 전단개구부가 상기 함침잉크에 의한 액밀상태로 되어 일시적으로 폐쇄되고, 잉크탱크(7) 내로의 외기의 공급은 정지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잉크공급을 하고 있었던 연통관(6)에 의한 잉크탱크(7)에서 잉크흡장체(3)로 잉크공급도 정지되고, 그 결과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가 액밀 상태로 되어 일시적으로 폐쇄되어 잉크탱크(7)에서의 잉크유출과 잉크탱크(7)로의 공기유입(즉, 잉크와 공기의 교체)이 정지상태로 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7)는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이므로,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 전부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의 액밀에 의해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탱크(7)에서 잉크흡장체(3)에 과잉의 잉크를 공급하는 일이 없고, 펜 촉(2) 측에서 외부로 잉크가 누출될 우려가 없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7)는 연통관(6)을 복수개(즉, 2개 이상) 가짐으로써 적어도 1개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행한 경우, 다른 연통관(6)이 공기 공급을 행하게 된다. 그 때문에 초기잉크유출시(즉, 잉크가 함침되어 있지 않은 잉크흡장체(3)에 최초로 잉크를 공급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잉크와 공기의 교체가 이루어져서 단시간에 필기가 가능해진다.
특히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7)는 격벽(52)의 후면에서 후측으로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 내에 삽입장착 가능한 접속관(52)을 돌출시키고, 상기 접속관(54) 내에 위치하는 격벽(52)에 상기 각 연통관(6) 내의 유통로(62)를 관통시켜서 이루어짐으로써 접속관(54)을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 내에 삽입장착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잉크탱크(7) 내와 잉크흡장체(3) 내와의 사이가 복수의 연통관(6)을 통해서 잉크 및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접속된다. 이에 따라, 잉크(7)와 접속관(54)을 접속하면 신속하게 잉크와 공기의 교체가 이루어지고 단시간에 필기가 가능해진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7)에서 잉크탱크(7)를 교환가능하게 하고, 상기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를 마개본체(71)에 의해 폐쇄하며,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에 접속관(54)을 삽입장착하고 마개본체(71)를 압압하여 제거함으로써 잉크탱크(7)의 마개를 개방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구성 18)
상기 구성 17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접속관(54) 내에 위치하는 격벽(52)의 축 심을 제거하는 개소에 각 연통관(6) 내의 유통로(62)를 관통시켜서 이루어지는 것(구성 18)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8)는 각각의 유통로(62)를 격벽(52)에 치우침 없이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필기구 본체를 수평상태로 한 때에 잉크탱크(7) 내의 잉크(8)가 어느 하나의 유통로(62)에 공급될 가능성이 크고, 상기 어느 하나의 유통로(62)를 통해서 잉크탱크(7) 내의 잉크(8)가 잉크흡장체(3)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필기가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성 19)
상기 구성 17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격벽(52), 상기 각 연통관(6), 및 상기 접속관(54)을 일체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구성 19)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19)는 상기 격벽(52), 상기 각 연통관(6), 및 상기 접속관(54)이 1부품에 의해 얻어지고, 부품점수를 감소시켜서 간이구조로 해서 사용자에게 염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격벽(52), 상기 각 연통관(6), 및 상기 접속관(54)은 합성수지의 성형체에 의해 일체로 연장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 20)
상기 구성 17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격벽(52)에 각 연통관(6)의 기부(基部) 또는 접속관(54)의 기부를 포위하는 부착통부(55)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부착통부(55)의 외면을 축 통(11)의 내면에 고착시켜서 이루어지는 것(구성 20)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0)는 상기 격벽(52), 상기 각 연통관(6), 상기 접속관(54) 및 부착통부(55)가 1부품에 의해 얻어지고, 보다 더 부품점수를 감소시켜서 제조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부착통부(55)에 의해 격벽(52)을 축 통(11) 내면에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0)에서 상기 부착 통부(55)가 적어도 각 연통관(6)의 기부 또는 접속관(54) 기부중 어느 한쪽을 포위하는 구성이면 되지만, 상기 부착 통부(55)가 각 연통관(6)의 기부 및 접속관(54)의 기부를 포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축 통(11)은 펜 촉(2) 및 잉크흡장체(3)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구성 21)
상기 구성 17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잉크흡장체(3)가 고밀도부(31)와 이 고밀도부(31)보다 후측으로 연접되는 저밀도부(32)를 구비하고, 상기 고밀도부(31)에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 및 상기 펜 촉(2)의 후단을 위치시키는 것(구성 21)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1)는 잉크흡장체(3)가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의 밀도를 높게 설정한 부분(고밀도부(31))과,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부분의 밀도를 낮게 설정한 부분(저밀도부(32))을 구비한다. 그 때문에 잉크흡장체(3) 내부에서의 잉크를 저밀도부(33)보다도 고밀도부(31)에서 우선해서 함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를 함침잉크에 의해 확실하게 액밀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온도저하 등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압력이 감소한 때, 잉크흡장체(3) 내에 함침된 잉크가 잉크흡장체(3) 내에 잔류하는 일이 없으며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로부터 연통관(6)을 통해서 적당히 잉크탱크(7) 내로 되돌아간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1)는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 접속하는 구성이므로,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의 전부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의 액밀에 의해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에 과잉의 잉크를 공급하는 일이 없으며 펜 촉(2) 측으로부터 외부로 잉크가 노출될 우려가 없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1)는, 펜 촉(2)의 후단을 고밀도부(31)에 접속한 구성에 의해 펜 촉 상향상태 등의 잉크탱크(7)로부터의 잉크공급이 없는 경우라도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 함침된 잉크에 의해 충분히 필기가 가능해진다.
(구성 22)
본 발명은 펜 촉(2)과, 상기 펜 촉(2)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3)와,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측에 배치되고, 잉크(8)를 바로 저장하는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흡장체(3)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6)으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6)을 복수 구비하고, 잉크흡장체(3)와 잉크탱크(7)와의 사이에 격벽(52)을 설치하며, 상기 격벽(52) 전면에서 전방으로 상기 연통관(6) 각각을 돌출시키고,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을 잉크흡장체(3) 내부에 위치시키며, 상기 격벽(52) 전면에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의 일부와 접 촉하는 접촉벽부(52b)를 형성하고, 상기 접촉벽부(52b)와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이 접촉한 때,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과 격벽(52) 전면과의 사이에 외기와 통기가능한 간극(9)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벽부(52b)가 상기 연통관(6) 각각의 기부(基部)와 격벽(52) 전면에 접속되며, 상기 접촉벽부(52b)가 상기 연통관(6) 각각의 기부를 서로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것(구성 22)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2)의 연통관(6)은 그 각각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공급하는 기능과, 외기를 잉크탱크(7) 내에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에 공급할 때, 펜 촉(2)을 하향상태로 하면, 중력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가 적어도 1개의 연통관(6)을 통해서 잉크흡장체(3)에 공급되고 잉크흡장체(3) 내부에서 함침된다. 그와 동시에 외기가 다른 연통관(6)을 통해서 잉크탱크(7) 내로 거두어들여 진다. 즉, n개의 연통관(6)의 경우(n은 2 이상의 정수), 1개 이상 또는(n-1) 개 이하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행하고, 다른 나머지의 연통관(6)이 외기의 공급을 행한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8)가 일정량이 되면, 상기 외기를 거둬들이고 있었던 다른 연통관(6)의 전단개구부가 상기 함침잉크에 의한 액밀상태로 되어 일시적으로 개폐되고, 잉크탱크(7) 내로의 외기의 공급은 정지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잉크공급을 하고 있었던 연통관(6)에 의한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로 잉크공급도 정지되며, 그 결과,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가 액밀상태로 되어 일시적으로 폐쇄되고 잉크탱크(7)로부터의 잉크유출과 잉크탱크(7)로의 공기유입(즉, 잉크와 공기의 교체)이 정지상태로 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2)는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이므로,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의 전부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의 액밀에 의해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에 과잉의 잉크를 공급하는 일이 없으며 펜 촉(2) 측에서 외부로 잉크가 누출될 우려가 없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2)는 연통관(6)을 복수개(즉, 2개 이상) 가짐으로써 적어도 1개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한 경우, 다른 연통관(6)이 공기공급을 행하게 된다. 그 때문에 초기잉크유출 시(즉, 잉크가 함침되어 있지 않은 잉크흡장체(3)에 최초로 잉크를 공급할 경우)에 신속하게 잉크와 공기의 교체가 이루어지고 단시간에 필기가 가능해진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2)는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과 격벽(52) 전면과의 사이에 외기와 통기 가능한 간극(9)을 형성함으로써 잉크흡장체(3) 내부의 공기를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에서 외부로 놓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상승 등에 의한 잉크탱크(7) 내의 압력상승시, 잉크탱크(7) 내에서 압출된 잉크가 스무스하게 연통관(6)의 전단에서 잉크흡장체(3)의 연통관(6)의 전단 근방을 통해서 후측으로 이동하고, 잉크흡장체(3)의 후측으로 함침되어 잉크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며, 한편 온도저하 등에 의한 잉크탱크(7) 내의 압력감소시, 잉크흡장체(3) 후측의 함침잉크를 잉크흡장체(3) 내부의 연통관(6)의 전단 근방을 통해서 연통관(6)의 전단개구부에서 연통관(6) 내를 통해 잉크탱크(7) 내로 되돌아 갈 수 있다. 특 히,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2)는 접촉벽부(52b)에 의해 잉크흡장체(3)의 후측 이동이 규제되는 동시에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과 격벽(52)의 전면과의 사이에 상기 간극(9)을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2)는 상기 접촉 벽부(52b)가 상기 연통관(6) 각각의 기부와 격벽(52) 전면에 접속됨으로써 격벽(52)에 대한 연통관(6)의 굴곡강도가 향상되고, 연통관(6)의 절곡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2)는 연통관(6) 각각의 기부에 접촉 벽부(52b)가 형성되므로 접촉 벽부(52b)를 넓은 범위에 설치할 수 있으며, 잉크흡장체(3) 후단면과 접촉 벽부(52b)와의 안정된 접촉이 가능해진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2)는 상기 접촉 벽부(52b)가 상기 연통관(6) 각각의 기부를 서로 연결해서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더 격벽(52)에 대한 연통관(6)의 굴곡강도가 향상되고 연통관(6)의 절곡을 억제할 수 있다.
(구성 23)
상기 구성 22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접촉 벽부(52b)가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판형상 리브(Rib)로 이루어지는 것(구성 23)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3)는 잉크흡장체(3) 후단면의 충분한 통기성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잉크흡장체(3) 후단면과의 안정된 접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판형상 리브는 연통관(6)의 기부(基部)를 서로 연결하는 동시에 잉크흡장체(3) 후단면과의 안정된 접촉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횡단면 방사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 24)
상기 구성 22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잉크흡장체(3)가 고밀도부(31)와 이 고밀도부(31)에서 후측으로 연접되는 저밀도부(32)를 구비하고, 상기 고밀도부(31)에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 및 상기 펜 촉(2)의 후단을 위치시키는 것(구성 24)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4)는 잉크흡장체(31)가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의 밀도를 높게 설정한 부분(고밀도부(31))과,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부분의 밀도를 낮게 설정한 부분(저밀도부(32))을 구비한다. 그 때문에 잉크흡장체(3) 내부에서의 잉크를 저밀도부(32)보다도 고밀도부(31)에 우선해서 함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를 함침잉크에 의해 확실하게 액밀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온도저하 등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압력이 감소한 때, 잉크흡장체(3) 내에 함침된 잉크가 잉크흡장체(3) 내에 잔류하는 일이 없으며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로부터 연통관(3)을 통해서 적당히 잉크탱크(7) 내로 되돌아간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4)는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 접속하는 구성이므로,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 전부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의 액밀에 의해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에 과잉의 잉크를 공급하는 일이 없으며 펜 촉(2) 측에서 외부로 잉크가 노출될 우려가 없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4)는 펜 촉(2)의 후단을 고밀도부(31)에 접속한 구성에 의해 펜 촉 상향상태 등의 잉크탱크(7)로부터의 잉크공급이 없는 경우라도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 함침된 잉크에 의해 충분히 필기가 가능해진다.
(구성 25)
상기 구성 22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격벽(52)의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 내에 삽입 장착 가능한 접속관(54)을 돌출시키고, 상기 격벽(52), 상기 각 연통관(6), 상기 접촉 벽부(52b), 및 상기 접속관(54)을 일체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구성 25)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5)는 격벽(52), 연통관(6), 접촉 벽부(52b), 및 접속관(54)이 1부품을 구성할 수 있다.
(구성 26)
상기 구성 22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격벽(52)에 각 연통관(6)의 기부 또는 접속관(54)의 기부를 포위하는 부착 통부(55)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부착 통부(55)의 외면을 축 통(11)의 내면에 고착해서 이루어지는 것(구성 26)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6)는 부착 통부(55)에 의해 격벽(52)을 축 통(11) 내면에 흔들림없이 안정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6)에서 상기 부착 통부(55)가 적어도 각 연통관(6)의 기부 또는 접속관(54)중 어느 한쪽을 포위하는 구성이면 되지만, 상기 부착 통부(55)가 각 연통관(6)의 기부 및 접속관(54)의 기부를 포위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축 통(11)은 펜 촉(2) 및 잉크흡장체(3)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구성 27)
본 발명은 상기 구성 1 내지 26중 어느 하나의 직액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잉크흡장체(3)의 공극률이 70%~95%이고,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잉크흡장체(3)의 공극률과,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3)의 공극률차가 7% 이상(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인 것(구성 27)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7)에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잉크흡장체(3)의 공극률은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밀도를 낮게 설정한 부분(저밀도부(32))의 잉크흡장체(3)의 공극률이고,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3)의 공극률은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의 밀도를 높게 설정한 부분(고밀도부(31))의 잉크흡장체(3)의 공극률이다. 상기 저밀도부(32)의 공극률을 70%~95%의 범위로 설정하고, 또한 상기 저밀도부(32)의 공극률과 고밀도부(31)의 공극률차를 7%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한층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를 함침잉크에 의해 확실하게 액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성 28)
본 발명은 상기 구성 1 내지 27중 어느 하나인 직액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에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 S1, S2가 상기 잉크흡장체(3) 전체의 축 방향 길이의 3% 이상 50% 이하(바람직하게는 3% 이상 30% 이하)에 설정되는 것(구성 28)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8)는 잉크탱크(7)의 내압상승시에 잉크흡장체(3)의 전단에서 잉크가 노출되는 일이 없으며, 게다가 필적의 끊어짐이나 필적의 긁힘이 없는 펜 촉(2) 선단에서의 충분한 잉크유출성을 얻을 수 있다. 만약, 잉크흡장체(3)의 전단에서 그 후측에 위치하는 연통관(6)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 S1, S2가 잉크흡장체(3) 전체의 축 방향 길이의 3% 미만이면, 잉크탱크(7)의 내압상승시에 잉크흡장체(3)의 전단에서 잉크가 유출될 우려가 있다. 또 만약, 잉크흡장체(3)의 전단에서 그 후측에 위치하는 연통관(6)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 S1, S2가 잉크흡장체(3) 전체의 축 방향 길이의 50%를 넘으면, 연통관(6) 각각의 전단에서 펜 촉(2) 선단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고, 잉크유출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구성 29)
본 발명은 상기 구성 1 내지 28중 어느 하나인 직액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에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 거리 S1, S2가 같게 설정되는 것(구성 29)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29)는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서의 연통관(6) 각각의 전단 상호 간의 거리가 한층 짧아지고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의 액밀성이 향상되며 외부로의 잉크유출을 보다 더 방지할 수 있다.
(구성 30)
본 발명은 상기 구성 1 내지 29중 어느 하나인 직액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과 상기 펜 촉(2) 후단과의 축 방향 거리 T1, T2가 10㎜(밀리미터) 이내에 설정되는 것(구성 30)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30)는 초기 잉크유출시, 연통관(6) 각각의 전단에서 펜 촉(2)의 후단에 잉크가 신속하게 공급되고 단시간에 필기가 가능해진다. 만약 연통관(6) 각각의 전단과 펜 촉(2) 후단과의 축 방향 거리 T1, T2가 10㎜를 넘으면 연통관(6) 각각의 전단과 펜 촉(2) 후단과의 거리가 커지고, 연통관(6) 각각의 전단에서 펜 촉(2) 후단으로 신속하게 잉크를 공급할 수 없으며, 초기잉크 유출시, 필기가 가능해지기까지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펜 촉(2)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위치하고 있어도 되며, 또는 펜 촉(2)의 후단에서 후측으로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구성 31)
본 발명은 상기 구성 1 내지 30중 어느 하나인 직액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과 상기 펜 촉(2) 후단과의 사이의 간격이 같게 설정되 는 것(구성 31)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31)는 초기 잉크유출시 잉크탱크(7)에서의 잉크가 복수의 연통관(6) 중에서 한쪽의 연통관(6) 전단개구부에서 펜 촉(2)의 후단에 공급된 경우라도 흐트러짐 없이 일정시간에 필기가 가능해진다.
(구성 32)
본 발명은 상기 구성 1 내지 31중 어느 하나인 직액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 및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이 외기와 연통되는 것(구성 32)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32)는 잉크흡장체(3) 내부의 공기를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 및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으로부터 빼앗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잉크흡장체(3) 내부의 연통관(6)의 전단개구부에서 공급된 잉크를 상기 잉크흡장체(3) 내부의 연통관(6)의 전단 근방에서 잉크흡장체(3)의 전단 방향 및 연통관(6)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서 잉크흡장체(3)의 후단 방향으로 스무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과 외기가 연통함으로써 온도상승 등에 의한 잉크탱크(7) 내의 압력상승시 잉크탱크(7) 내에서 압출된 잉크가 스무스하게 연통관(6)의 전단으로부터 잉크흡장체(3)의 연통관(6)의 전단 근방을 통해서 후측으로 이동하고, 잉크흡장체(3)의 후측으로 함침되며, 잉크의 외부로 누출을 방지하고, 한편 온도저하 등에 의한 잉크탱크(7) 내의 압력 감소시 잉크흡장체(3) 후측의 함침잉크를 잉크흡장체(3) 내부의 연통관(6)의 전단 근방을 통해서 연통관(6)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연통관(6) 내를 통해서 잉크탱크(7) 내로 되돌아갈 수 있다.
(구성 33)
본 발명은 상기 구성 1 내지 32중 어느 하나인 직액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내부에 모세 간극을 구비한 잉크흡수체(63)를 배치한 것(구성 33)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33)에 의해 연통관(6)의 절곡을 억제하기 위해서 각 연통관(6)의 외경 및 내경을 비교적 크게 설정한 경우라도 연통관(6)의 전단개구부의 적당한 액밀구조를 얻을 수 있다.
(구성 34)
본 발명은 상기 구성 1 내지 33중 어느 하나인 직액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측벽을 서로 연결한 것(구성 34)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34)에 의해 각 연통관(6)의 굴곡강도가 향상되고, 각 연통관(6)의 절곡을 억제할 수 있다.
(구성 35)
상기 구성 9의 직액식 필기구(1)에서 상기 펜 촉(2)의 후단과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는 상기 고밀도부(31)를 통해서 잉크를 유통가능하게 접속되는 것(구성 35)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구성 35)는 상기 펜 촉(2)의 후단과,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어도 펜 촉(2)의 후단과 연통관(6)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의 잉크흡장체(3) 내부에는 일정량의 잉크가 함침되어 있다. 이에 따라 펜 촉 상향상태나 필기구 본체의 수평상태 등의 잉크탱크(7)에서의 잉크공급이 없는 경우라도 상기 펜 촉(2)의 후단과 연통관(6)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의 잉크흡장체(3) 내부에 함침된 잉크에 의해 충분히 필기가 가능해진다. 또 잉크탱크에서 펜 촉(2)에 과잉의 잉크가 직접 공급되어 외부로 누출될 우려도 없다.
(연통관)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통관(6)은 일정한 강성을 구비하는 점에서 합성수지제 또는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통관(6)의 외주면 및 내주면의 횡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원형, 타원, 또는 3각형, 4각형 등의 다각형 등, 어느 것이라도 된다. 또 상기 연통관(6)의 개수는 복수개(즉, 2개 이상)이면 되고, 예컨대,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은 전후방향으로 연장설치되고, 그 각각의 내부에 유통로(62)가 전후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즉, 연통관(6)의 각각은 양단(전단 및 후단)에 개구부를 구비한다.
또 상기 복수의 연통관(6)은 그 내부에 독립된 복수개의 유통로(62)가 병렬로 형성된 구성이면 되고, 예컨대, 각 연통관(6)이 직경 방향으로 이격된 구성(도 1 내지 도 5 참조), 각 연통관(6)의 측벽이 서로 연결된 구성(도 6 내지 도 8, 도 13 내지 도 18, 도 22 내지 도 25 참조), 또는 대경의 연통관(6a)의 내부에 소경의 연통관(6b)을 배치한 구성(도 9 참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펜 촉(2)을 중심으로 한 동일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축 방향 전방으로 개구해도 되며,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구해도 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의 형상은 예컨대, 경사 커트면, 수직면, 원추면, 볼록 곡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후단은 축 방향 후측으로 개구해도 되며,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구해도 된다.
또 상기 연통관(6) 각각의 후단은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한 것이라도 되지만, 적어도 1개의 연통관(6b)을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시키는 동시에 다른 연통관(6a)의 후단을 상기 후측으로 돌출하는 연통관(6b)의 후단보다도 전방으로 위치시키는 구성 또는 다른 연통관(6a)의 후단을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시키지 않는 구성(즉, 연통관(6a)의 후단과 격벽(52)의 후면을 일치시키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잉크흡장체)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잉크흡장체(3)는 잉크를 함침가능한 연속기공을 갖는 부재(즉,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진 것이면 되고, 예컨대, 섬유 다발의 열융착가공체, 섬유 다발의 수지가공체, 펠트의 수지가공체, 펠트의 니들펀치(needle punch) 가공체, 합성수지의 연속기포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 상기 잉크흡장체(3)는 그 외주면에 합성수지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피를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전방은 잉크흡장체(3)의 전반부 내부인 것이다. 상기 잉크흡장체(3)는 단일 부재라도 되며, 모세관력이 다른 복수의 부재라도 된다.
(잉크흡장체의 밀도)
본 발명에서 상기 잉크흡장체(3)의 밀도는 섬유밀도 등의 다공질조직의 밀도이다.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서는 모세 간극의 간극 폭이 작아 지고, 잉크흡장체(3)의 저밀도부(32)에서는 모세 간극의 간극 폭이 커진다. 이에 따라 상기 고밀도부(31)의 모세관력은 상기 저밀도부(32)의 모세관력보다도 커진다.
(펜 촉)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펜 촉(2)은 예컨대, 섬유 다발의 수지가공체, 섬유 다발의 열융착 가공체, 펠트가공체, 파이프형상 펜 체, 선단에 슬릿을 갖는 만년필형 판형상 펜 체, 모필 펜체, 합성수지의 다공질 기포체, 볼펜 칩, 축 방향의 잉크 유도로를 갖는 합성수지의 압출성형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 상기 펜 촉(2)의 후단을 구성하는 재료는 적어도 잉크흡장체(3)와의 적당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모세 간극을 구비한 부재이면 되며, 예컨대, 섬유 다발의 수지가공체, 섬유 다발의 열융착가공체, 펠트가공체, 합성수지의 다공질 기포체 등의 다공질재료 또 는 축 방향의 잉크 유도로를 갖는 합성수지의 압출성형체를 예로 들 수 있다. 즉,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펜 촉(2)은 잉크유도부재를 포함한다.
(잉크흡수체)
또한, 상기 잉크흡수체(63)는 모세 간극을 구비하는 것이면 되고, 예컨대, 섬유 다발의 수지가공체, 섬유 다발의 열융착 가공체, 펠트가공체, 합성수지의 다공질 기포체 등의 다공질재료 또는 축 방향의 잉크 유도로를 갖는 합성수지의 압출성형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잉크흡수체(63)의 모세관력은 잉크흡장체(3) 내부의 유도관(6) 각각의 전단 근방 부분(고밀도부(31))의 모세관력 보다도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
상기 격벽(52)은 잉크흡장체(3)와 잉크탱크(7)를 구획하는 것이고, 실제로는 잉크탱크와 잉크흡장체(3)를 수용하는 흡장체 수용부를 구획하는 것이다. 상기 격벽(52)의 후면은 잉크탱크(7) 내에 면하고 있다.
(잉크탱크)
상기 잉크탱크(7)는 예컨대, 필기구 본체에 직접 형성하는 구성(즉, 도 1과 같이 잉크탱크(7)가 필기구 본체 일부를 구성하는 것), 또는 필기구 본체 내에 수용하는 구성(도 13, 도 16 참조)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잉크탱 크(7) 내에 저장되는 잉크(8)는 구체적으로는 필기구용 잉크(예컨대, 수성잉크, 유성잉크) 또는 도포액(예컨대, 화장액, 수정액, 접착제, 도료, 액체의약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잉크탱크 내의 잉크가 펜 촉 측으로부터 누출될 우려가 없고, 게다가 초기잉크 유출시에 신속하게 공기와 잉크가 교체되며, 단시간에 필기가 가능해지고 또한 간이한 구조로 되며, 또 펜 촉 하향상태에서 급격한 압력변화가 생겨도 펜 촉 측에서의 잉크누출이나 잉크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직액식 필기구(1)를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직액식 필기구(1)는 펜 촉(2)과, 상기 펜 촉(2)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3)와, 상기 펜 촉(2)을 전단부에서 지지하고 또한 상기 잉크흡장체(3)를 내부에 수용하는 흡장체수용부와, 상기 흡장체 수용부의 후측에 부착되며 또한, 내부에 잉크(8)를 바로 저장하는 잉크탱크(7)와, 상기 흡장체 수용부와 상기 잉크탱크(7)를 구획하는 격벽(52)과, 상기 격벽(52)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잉크흡장체(3)의 내부로 관통해서 접속되는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연통관(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장체 수용부는 상기 펜 촉(2)을 지지하는 촉 부재(4)와, 상기 촉 부재(4)와 상기 잉크탱크(7)를 접속하는 중간부재(5)로 이루어진다.
·펜 촉
상기 펜 촉(2)은 합성수지제 섬유(예컨대, 폴리에스테르섬유, 아크릴섬유, 나일론섬유 등)의 수지가공에 의해 얻어지는 봉상체(棒狀體)이다. 상기 펜 촉(2)의 선단은 포탄형상으로 연삭된다. 상기 펜 촉(2)의 후단부 외주면은 테이퍼형상으로 모따기된다. 상기 펜 촉(2)의 중간부는 환상 홈(21)이 형성된다.
·잉크흡장체
상기 잉크흡장체(3)는 원주상의 합성수지제 섬유(예컨대, 폴리에스테르섬유)의 가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외주면에는 원통형상의 외피가 피복되어 있다. 상기 외피는 합성수지제 필름(예컨대,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제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의 축심에 펜 촉(2)의 후단이 찔러서 삽입되고, 상기 펜 촉(2)의 후단이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전방에 위치된다.
·촉 부재
상기 촉 부재(4)는 합성수지(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통상체이다. 상기 촉 부재(4)는 펜 촉(2) 외주면을 지지하는 소경부(41)와, 이 소경부(41)로부터 후측으로 연장 설치되고 잉크흡장체(3)의 앞쪽 외주면을 지지하는 대경부(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촉 부재(4)의 내면(즉, 소경부(41)의 내면에서 대경부(42)의 내면까지)에는 전후 방향으로 뻗는 복수개의 리브(4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43)에는 상기 촉 부재(4)의 소경부(41)와 대경부(42)의 중간부에서, 단 형상의 규제벽부(43a)가 형성된다. 상기 규제벽부(43a)에 잉크흡장체(3)의 전단이 축 방향으로 접촉하고, 상기 대경부(42) 내면의 리브(43)에 잉크흡장체(3)의 앞쪽 외주면이 압접 지지된다. 상기 리브(43)는 상기 소경부(41) 내면에서 계지볼록부(43b)가 형성된다. 상기 소경부(41) 내면에서 리브(43)에 의해 펜 촉(2)의 외주면이 직경방향으로 압접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계지볼록부(43b)에 펜 촉(2) 외주면의 환상 홈(21)이 계합하고 펜 촉(2)의 전후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상기 리브(43)에 의해 잉크흡장체(3)의 앞쪽 외주면과 대경부(42)의 내면 사이,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과 촉 부재(4)의 중간부 내면과의 사이 및 펜 촉(2) 외주면과 소경부(41) 내면과의 사이에 공기 통로(10)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로(10)의 앞쪽은, 촉 부재(4)의 전단에서 외부로 개구되는 동시에 상기 공기통로(10)의 뒤쪽은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과 연통하고 있다. 즉, 상기 공기통로(10)에 의해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 및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이 외기와 연통된다.
·중간부재
상기 중간부재(5)는 합성수지(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통상체이다. 상기 중간부재(5)는 전방으로 개구하는 전방 통부(51)와 이 전방 통부(51)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격벽(52)과, 이 격벽(52)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 설치되고, 또한 후측으로 개구하는 후방 통부(53)와 상기 격벽(52) 전면에서 축 방향 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연통관(6)이 일체로 연장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격벽(52)과 연통관(6)이 일체로 연장 설치되어 있지만, 그 밖에도 별도 부재로 이루어지는 격 벽(52)과 연통관(6)을 고착시키는 구성이라도 된다.
상기 전방 통부(51)의 내주면에는 상기 촉 부재(4)의 대경부(42) 외주면이 압입 고착된다. 상기 전방 통부(51), 격벽(52) 및 촉 부재(4)의 대경부(4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즉, 흡장체 수용부)에 잉크흡장체(3)가 수용된다. 상기 후방 통부(53)에는 잉크탱크(7)의 개구부가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방 통부(53)에는 잉크탱크(7)의 개구부가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상기 격벽(52)과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은 비접촉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격벽(52)과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과의 사이에는 외기와 연통하는 간극(9)이 형성된다. 상기 간극(9)은 상기 공기통로(10)를 통해서 외기와 연통된다.
·연통관
상기 연통관(6) 각각의 내부에는 축 방향으로 유통로(62)가 설치되고, 상기 유통로(62)가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양 단에서 개구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내부전방에 개구되고, 상기 연통관(6) 각각의 후단은 잉크흡장체(3) 후측의 잉크탱크(7) 내에 개구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축선에 대해 수직면이다. 상기 복수의 연통관(6)에서 1개의 연통관(6b)이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그 연통관(6b)의 후단이 잉크탱크(7) 내에 위치되며, 한편 다른 연통관(6a)이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즉, 다른 연통관(6a)의 후단이 격벽(52) 후면과 일치하고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연통관(6)은 잉크흡장체(3)와 잉크탱크(7)와의 사이에 병렬로 배치되기 때문 에 잉크흡장체(3)와 그 후측의 잉크탱크와의 사이에 독립된 복수 개의 유통로(62)가 병렬로 배치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찔러서 삽입되고, 마지막은 잉크흡장체(3) 내부 전방의 펜 촉(2) 후단 근방에 위치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에 찔러서 삽입될 때,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의 섬유를 전방으로 압압 압축한다. 이에 따라 각 연통관(6)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3)의 섬유밀도가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부분의 잉크흡장체(3)의 섬유밀도보다도 높게 설정된다. 즉, 잉크흡장체(3) 내부에 섬유밀도가 높은 고밀도부(31)와, 섬유밀도가 낮은 저밀도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상기 고밀도부(31)가 형성되고, 잉크흡장체(3)의 내부 후측에 상기 저밀도부(32)가 형성된다. 상기 각 연통관(6)은 저밀도부(32)를 후측에서 전방으로 관통되고,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저밀도부(32)에서 전방의 고밀도부(31)의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 저밀도부(32)의 공극률(기공률)은 85%~93%에 설정되고, 상기 고밀도부(31)의 공극률은 상기 저밀도부(32)의 공극률보다도 낮게 설정되며, 상기 저밀도부(32)의 공극률과 상기 고밀도부(31)의 공극률차는 20%에 설정되어 있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축 심에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이간 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의 형 태에서는 연통관(6)은 2개이므로 상기 연통관(6)은 잉크흡장체(3)의 축심에 대해 180도 대칭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펜촉(2)이 잉크흡장체(3)의 축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펜 촉(2) 후단과 직접 접속되지 않고 펜 촉(2)과 비접촉상태에 있으며,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고밀도부(31))을 통해서 잉크유통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펜 촉(2)의 후단으로부터 약간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상기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 연통관(6) 각각의 전단 및 펜 촉(2)의 후단이 접속된다.
·축 방향의 거리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 잉크흡장체(3) 전체의 축 방향 길이 L은 30㎜로 설정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에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 S1, S2는 양자 모두 4㎜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에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 S1, S2는 상기 잉크흡장체(3) 전체의 축 방향 길이 L의 13.3%(즉, 3%~50%의 범위 내)이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과 상기 펜 촉(2) 후단과의 축 방향 거리 T1, T2는 양자 모두 1㎜(즉, 10㎜ 이내)로 설정된다.
·잉크탱크
상기 잉크탱크(7)는 전단이 개구하여 전단이 폐쇄된 유저(有低)통상체이고,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또는 블로우(blow)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잉크탱크(7) 내에는 바로 잉크(8)가 저장된다. 상기 잉크탱크(7) 내에 저장되는 잉크(8)는 수성잉크, 유성잉크 중 어느 하나라도 된다.
상기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는 중간부재(5)와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상기 잉크탱크(7)의 잉크(8)가 소비되어 필기불능이 된 경우, 상기 잉크탱크(7)를 중간부재(5)로부터 제거되고, 그 잉크탱크(7)의 내부에 잉크(8)를 충전한 후, 또는 내부에 잉크(8)가 충전된 새로운 잉크탱크(7)와 교환한 후, 상기 내부에 잉크(8)가 충전된 잉크탱크(7)를 중간부재(5)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다시 필기가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직액식 필기구(1)는 펜 촉(2) 측에 착탈이 자유로운 캡(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상기 캡을 펜 촉(2) 측에 장착함으로써 펜 촉(2) 및 공기통로(10)의 전단개구부가 밀봉되어 잉크탱크(7)와 외기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제2 실시의 형태)
도 3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예이고,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펜 촉(2)의 전단이 티젤형상을 갖는 점 및 연통관(6)과 격벽(52)이 별도 부재로 이루어지는 점이다.
상기 격벽(52)은 전후방향으로 2개의 부착공(52a)이 관통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부착공(52a)에 연통관(6)이 압입 고착된다. 또 상기 격벽(52)의 전면에는 상기 부착공(52a)이 전방으로 개구되는 환상 볼록부(52b)(접촉벽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환상볼록부(52b)와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이 접촉되고, 상기 잉크 흡장체(3)의 후단면과 격벽(52)과의 사이에 상기 환상볼록부(52b)의 돌출치수에 따른 간극(9)이 적당히 형성된다. 또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이 규제벽부(43a)에 접촉되고, 또한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이 상기 환상 볼록부(52b)에 의해 접촉되는 구성이므로, 잉크흡장체(3)의 전후 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점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의 형태)
도 4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예이고, 펜 촉(2)이 볼펜 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펜 촉(2)은, 선단에 회전이 가능하게 볼(22)을 포지하는 홀더(23)와, 이 홀더(23) 내에 삽입 장착되는 잉크유도부재(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잉크유도부재(24)는 봉형상의 합성수지제 섬유의 수지가공체로 이루어지고, 그 후단이 잉크흡장체(3)의 전단으로부터 찔러서 삽입되며,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또 촉 부재(4)의 소경부(41) 측벽에는 공기구멍(44)이 천설된다. 상기 공기구멍(44)에 의해 외기와 촉 부재(4) 내의 공기통로(10)가 연통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은 전단이 한 개의 경사커트면(61)으로 이루어지고, 끝이 둔화된다. 이에 따라 각 연통관(6)의 잉크흡장체(3)로의 찔러 넣는 삽입성이 향상되고, 각 연통관(6)의 전단개구부의 개구면적이 증가되고, 잉크흡장체(3) 내부로 잉크의 공급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의 경사커트면(61)은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커트 면(61)(즉, 연통관(6)의 전단개구부)은 잉크흡장체(3)의 축 심 방향(즉, 펜 촉(2) 측단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잉크를 펜 촉(2) 후단으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연통관(6)의 전단에 의해 펜 촉(2) 후단 근방의 섬유가 펜 촉(2) 후단방향을 향해서 압압 압축되고, 펜 촉(2) 후단 근방의 섬유밀도를 용이하게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외면 및 내면의 횡단면은 원형상이고,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의 외주테두리 및 내주테두리는 경사커트면(61)에 의해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의 형태)
도 5에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이고,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섬유가공체로 이루어진 잉크흡장체(63)를 각 연통관(6)의 유통로(62) 내에 수용한 점이다. 상기 잉크흡장체(63)의 섬유밀도(모세관력)는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의 섬유밀도(모세관력) 보다도 작게 설정된다. 상기 잉크흡장체(63)를 연통관(6)에 수용함으로써 연통관(6)의 외경 및 내경을 비교적 크게 설정해도 연통관(6)의 전단개구부를 적당히 액밀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연통관(6)의 외경 및 내경을 굵게 설정할 수 있으며, 연통관(6)의 절곡방지에 유리해진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의 형태)
도 6 및 도 7에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이고,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경사커트면(61)으로 이루어지는 점(제3 실시의 형태와 같은 구성)과, 각 연통관(6)의 측벽을 축 방향으로 뻗은 판형상 리브(64)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한 점이다. 상기 각 연통관(6)의 측벽을 축 방향으로 뻗은 판형상 리브(64)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한 구성에 의해 각 연통관(6)의 굴곡강도가 향상되고, 잉크흡장체(3)로 안정되게 찔러서 삽입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다른 연통관(6)의 예를 도시한다.
이것은 연통관(6) 각각의 측벽을 서로 연결한 다른 예이다. 즉, 이 예에서는 1개의 통상체의 내부를 긴 쪽 방향으로 뻗은 칸막이 벽에 의해 구획한 구성, 또는 환언하면, 횡단면 반월형상의 2개의 연통관(6a),(6b)을 횡단면 원형상으로 되도록 일체로 연결한 구성이다. 이에 따라 통상체의 내부에 횡단면 반월형상의 2개의 유통로(62)가 독립되어 병렬로 배치된다.
도 9에 다른 연통관(6)의 예를 도시한다.
이것은 대경(大徑)의 연통관(6a)의 내부에 소경(小經)의 연통관(6b)을 배치한 구성 예이다. 이 예에서는 대경의 연통관(6a)의 내주면과 소경의 연통관(6b)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횡단면환상의 유통로(62)가 형성되고, 소경의 연통관(6b)의 내부에 횡단면 원형상의 유통로(62)가 형성된다. 상기 대경의 연통관(6a)의 후단은 격벽(52) 후면에서 후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소경의 연통관(6b)의 후단이 격벽(52) 후단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되어 잉크탱크(7) 내에 위치된다.
(제6 실시의 형태)
도 10에 제6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 예이고,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잉크탱크(7) 내로 돌출하는 연통관(6b)이 격벽(52)과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격벽(52)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제1 관(管)형상 부재와, 격벽(52)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제2 관형상 부재의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점에 있다. 상기 제2 관형상 부재는 격벽(52)에 압입고착되고, 제1 관형상부재와 연통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7 실시의 형태)
도 11에 제7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예이고,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축 방향 전방으로 개구하지 않고, 복수의 창 구멍(65)에 의해 직경방향 외측으로 개구하고 있는 점에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8 실시의 형태)
도 12에 제8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예이고,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잉크흡장체(3) 축 심의 관통공에 펜 촉(2)의 후부가 압입되고, 펜 촉(2)의 후단이 잉크흡장체(3)의 내부 후측(잉크흡장체(3) 후반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9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의 직액식 필기구(1)를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직액식 필기구(1)는 펜 촉(2)과, 상기 펜 촉(2)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3)와, 상기 잉크흡장체(3) 후측에 배치되는 중간부재(5)와, 상기 중간부재(5)의 후측에 배치되는 잉크탱크(7)와, 전단부에서 상기 펜 촉(2)을 지지하고, 또한 내부에 상기 잉크흡장체(3), 상기 중간부재(5) 및 상기 잉크탱크(7)를 수용하는 축 통(11)과, 상기 축 통(11) 후단개구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나사장착되는 뒷마개(12)와, 펜 촉(12) 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배치되는 캡(13)으로 이루어진다.
·펜 촉
상기 펜 촉(2)은, 합성수지제 섬유(예컨대, 폴리에스테르섬유, 아크릴섬유, 나일론섬유 등)의 수지가공에 의해 얻어지는 봉상체(棒狀體)이다. 상기 펜 촉(2)의 전단은 포탄형상으로 연삭된다. 상기 펜 촉(2)의 후단부 외주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모따기된다.
·잉크흡장체
상기 잉크흡장체(3)는 원주상의 합성수지제 섬유(예컨대, 폴리에스테르섬유)의 가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외주면에는 원통형상의 외피가 피복되어 있다. 상기 외피는 합성수지제 필름(예컨대, 폴리에틸렌 텔레프 탈레이트제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잉크흡장체(3) 전단면의 축심에 펜 촉(2)의 후단이 찔러서 삽입되고, 상기 펜 촉(2)의 후단이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으로 위치된다.
·축 통
상기 축 통(11)은 합성수지(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통상체이다. 상기 축 통(11)은 펜 촉(2) 외주면을 지지하는 테이퍼부(111)와, 이 테이퍼부(111)로부터 후측으로 연장 설치되고, 잉크흡장체(3) 및 격벽(52) 및 잉크탱크(7)가 수용되는 본체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 통(11)의 내면(즉, 테이퍼부(111)의 내면에서 본체부(112)의 앞쪽 내면까지)에는 전후방향으로 뻗는 복수 개의 리브(1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113)에는 상기 축 통(11)의 테이퍼부(111)와 본체부(112)와의 접속부의 근방에서 단 형상의 규제벽부(113a)가 형성된다. 상기 규제벽부(113a)에 잉크흡장 체(3)의 전단면이 축 방향으로 접촉하고, 상기 본체부(112)의 앞쪽 내면의 리브(113)에 잉크흡장체(3)의 외주면이 압접 지지된다. 상기 테이퍼부(111) 내면의 리브(113)에 의해 펜 촉(2)의 외주면이 압접 지지된다. 상기 리브(113)의 상기 펜 촉(3) 외주면을 지지하는 개소와, 상기 잉크흡장체(3) 외주면을 지지하는 개소와의 사이에 통상벽부(113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113)에 의해 잉크흡장체(3)의 외주면과 본체부(112)의 내면과의 사이,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과 축 통(11) 내면과의 사이 및 펜 촉(2) 외주면과 테이퍼부(111) 내면과의 사이에 공기통로(10)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로(10)의 앞쪽은 축 통(11)의 전단에서 외부로 개구되는 동시에 상기 공기통로(10)의 뒤쪽은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과 연통하고 있다. 즉, 상기 공기통로(10)에 의해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 및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이 외기와 연통된다.
·중간부재
상기 중간부재(5)는 합성수지(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중간부재(5)는 상기 잉크흡장체(3)와 잉크탱크(7)를 구획하는 격벽(52)과, 상기 격벽(52)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잉크흡장체(3)의 내부로 찔러서 접속되는 복수 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연통관(6)과, 상기 격벽(52)의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에 삽입장착되는 접속관(5)과, 상기 격벽(52)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축 통(11) 내면(본체부(112) 내면)에 고착되는 부착통부(55)를 구비한다. 축 통(11) 및 격벽(5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즉, 흡장체 수용부)에 잉 크흡장체(3)가 수용된다. 상기 부착통부(55)는 격벽(52) 전방의 각 연통관(6)의 기부(基部)외주 또는 접속관(54) 외주를 포위하고 있다. 상기 접속관(54) 후단에는 절결이 형성된다. 상기 절결에 의해 상기 접속관(54) 후단에는 마개본체(71)의 한쪽을 압압하기 위한 돌기(54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격벽(52)은 원판형상이고, 상기 각 연통관(6), 상기 접속관(54), 상기 부착통부(55)는 원통형상이다. 상기 돌기(54a)는 횡단면 형상이 원호상이다.
상기 격벽(52), 각 연통관(6)(즉, 연통관(6a),(6b)), 접속관(54) 및 부착통부(55)는 일체로 연장 설치된다. 즉, 중간부재(5)에 의해 격벽(52), 연통관(6), 접속관(54) 및 부착통부(55)가 1부품을 구성할 수 있다.
·접촉벽부
도 15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벽(52)의 전면에는 판형상의 리브로 이루어지는 접촉벽부(52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벽부(52b)가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과 접촉된다. 상기 접촉벽부(52b)에 의해 상기 격벽(52)과 상기 잉크흡장체(3) 후단면과의 사이에는 외기와 연통하는 간극(9)이 형성된다. 상기 간극(9)은 상기 공기통로(10)를 통해서 외기와 연통된다. 상기 접촉벽부(52b)의 일부는 각 연통관(6)의 기부 사이에 형성되고, 각 연통관(6)의 기부 측벽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각 연통관(6)의 굴곡강도가 향상되고, 각 연통관(6)의 격벽(52)에 대한 절곡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접촉벽부(52b)는 횡단면이 분기(分岐)형상, 방사상, 또는 십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연통관
상기 연통관(6) 각각의 내부에는 축 방향으로 유통로(62)가 설치되고, 상기 유통로(62)가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양단에서 개구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위치하고, 또한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개구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후단은 잉크흡장체(3) 후측의 잉크탱크(7) 내에 개구된다. 상기 복수 개의 연통관(6)에서 1개의 연통관(6b)이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그 연통관(6b)의 후단이 잉크탱크(7) 내(접속관(54)내)에 위치되며, 한편 다른 연통관(6a)이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즉, 다른 연통관(6a)의 후단이 격벽(52) 후면과 일치하고 있다). 상기 각 연통관(6)은 잉크흡장체(3)와 잉크탱크(7)와의 사이에 병렬로 배치되므로, 잉크흡장체(3)와 그 후측의 잉크탱크(7)와의 사이에 독립된 복수 개의 유통로(62)가 병렬로 배치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유통로(62)는 접속관(54) 내에 위치하는 격벽(52)의 축 심으로부터 이간된 개소로 관통된다.
상기 격벽(52) 후면에서 후측으로 돌출하는 연통관(6b) 후단의 전후방향의 위치는 접속관(54)의 후단(즉, 돌기(54a)의 후단)과 대략 일치하고 있거나, 또는 접속관(54)의 후단(즉, 돌기(54a)의 후단)에서 약간 전방으로 위치된다. 즉, 상기 격벽(52) 후면에서 후측으로 돌출하는 연통관(6b)의 후단이 접속관(54)의 후단(즉, 돌기(54a)의 후단)으로부터 후측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지 않다. 또 상기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하는 연통관(6b)은 돌기(54a) 내면에 근접해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격벽(52)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하는 연통관(6b)은 접속관(54)의 축 심과 돌기(54a) 내면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찔러서 삽입되고, 마지막은 잉크흡장체(3) 내부의 펜 촉(2) 후단 근방에 위치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에 찔러서 삽입될 때,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의 섬유를 전방으로 압압 압축한다. 이에 따라 각 연통관(6)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3)의 섬유밀도가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부분의 잉크흡장체(3)의 섬유밀도보다도 높게 설정된다. 즉, 잉크흡장체(3) 내부에 섬유밀도가 높은 고밀도부(31)(모세관력이 큰 고밀도부(31))와 섬유밀도가 낮은 저밀도부(32)(모세관력이 작은 저밀도부(32))가 형성된다. 잉크흡장체(3)의 내부전방에는 상기 고밀도부(31)가 성형되고, 상기 고밀도부(31)의 후측에 상기 저밀도부(32)가 형성된다. 상기 고밀도부(31)와 상기 저밀도부(32)와는 연접된다. 상기 각 연통관(6)은 저밀도부(32)를 후측으로부터 전방으로 관통되고,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저밀도부(32)로부터 전방의 고밀도부(31)의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 저밀도부(32)의 공극률(기공률)은 85%~93%에 설정되고, 상기 고밀도부(31)의 공극률은 상기 저밀도부(32)의 공극률보다도 낮게 설정되며, 상기 저밀도부(32)의 공극률과 상기 고밀도부(31)의 공극률차는 20%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축 심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간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연통관(6)은 2개이므로 상기 연통관(6)은 잉크흡장체(3)의 축심에 대해 180도 대칭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펜 촉(2)이 잉크흡장체(3)의 축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펜 촉(2) 후단과 직접 접속되지 않고, 펜 촉(2)과 비접촉상태에 있으며,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고밀도부(31))을 통해서 잉크가 유통가능하게 접속된다. 또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펜 촉(2)의 후단으로부터 조금 후측으로 위치하고 있다.
·축 방향의 거리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 잉크흡장체(3) 전체의 축 방향 길이는 28㎜로 설정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에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 거리 S1, S2는 양자 모두 14㎜에 설정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과 상기 펜 촉(2) 후단과의 축 방향의 거리 T1, T2는 양자 모두 3㎜(즉, 10㎜ 이내)에 설정된다.
·잉크탱크
상기 잉크탱크(7)는 전단이 개구하고 후단이 폐쇄된 유저통상체이며,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또는 블로우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잉크탱크(7) 내에는 바로 잉크(8)가 저장된다. 상기 잉크탱크(7) 내에 저장되는 잉크(8)는 수성잉크, 유성잉크 중 어느 하나라도 된다.
상기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 내면에는 중간부재(5)의 접속관(54) 외면의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져서 장착된다. 상기 잉크탱크(7)의 잉크(8)가 소비되어 필기 불가능하게 된 경우, 상기 잉크탱크(7)를 접속관(54)으로부터 제거하고, 내부에 잉크(8)가 충전된 새로운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에 접속관(54)을 삽입 장착한 다. 이에 따라 다시 필기가 가능해진다. 상기 새로운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는 마개본체(71)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 내면에 마개본체(71)가 끼워져서 장착되어 있다. 접속관(54)을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에 삽입장착한 때, 상기 마개본체(71)의 한쪽을 접속관(54)의 돌기(54a)에 의해 후측으로 압압하고, 마개본체(71)를 제거하여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가 마개를 개방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상기 마개본체(71)로서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원판형상의 마개본체(71)가 채용된다. 또한, 상기 원판형상의 마개본체(71) 대신에 구형상의 마개본체를 채용할 수도 있다.
·캡
상기 캡(13)은 펜 촉(2) 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배치된다. 상기 캡(13)을 펜 촉(2) 측에 장착함으로써 펜 촉(2) 및 공기통로(10)의 전단개구부가 밀봉되고, 잉크탱크 내와 외기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제10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의 직액식 필기구(1)를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제9 실시형태의 변형 예이고, 제9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연통관(6) 각각의 내면(구체적으로는 축 방향 전방으로 개구하는 연통관(6) 각각의 전단개구부의 내면)에 유량규제부(66)(구체적으로는 환상돌기부)를 설치한 점에 있다. 상기 유량규제부(66)에 의해 펜 촉 하향상태에서 급격한 압력변화가 발생한 경우 잉크탱크(7) 내의 잉크(8)가 외부로 분출하는 것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9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1 실시의 형태)
도 19에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 예이고,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잉크흡장체(3)의 앞쪽 외주면을 직경방향 내측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잉크흡장체(3)의 앞쪽에 고밀도부(31)를 형성한 점과, 연통관(6) 각 전단의 끝을 둔화시킨 점(구체적으로는 연통관(6) 각각의 전단면이 경사커트면(61)으로 이루어지는 점)이다.
촉 부재(4)의 대경부(42)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43)는 그 내접원의 직경이 잉크흡장체(3) 앞쪽의 외경보다도 비교적 작게 설정된다. 상기 잉크흡장체(3)는 촉 부재(4)에 압입전은 전후 방향에서 균일한 밀도분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촉 부재(4)의 대경부(42)에 상기 잉크흡장체(3)의 앞쪽을 압입하면, 상기 리브(43)에 의해 상기 잉크흡장체(3)의 앞쪽 외주면이 직경방향 내측으로 압압 압축되고, 이에 따라 잉크흡장체(3)의 앞쪽에 고밀도부(31)가 형성된다. 그와 동시시에 상기 고밀도부(31)의 후측은 잉크흡장체(3)의 외주면이 직경방향으로 압축되지 않으므로, 저밀도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대경부(42) 내면의 리브(43)의 직경방향 내측에는 연통관(6) 각각의 전단 및 펜 촉(2)의 후단이 위치되므로,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 및 펜 촉(2)의 후단 근방에 고밀도부(31)를 적당히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은 전단이 하나의 경사커트면(61)으로 이루어지고, 끝이 둔화된다. 이에 따라 각 연통관(6)의 잉크흡장체(3)로의 찔러 넣는 삽입성이 향상되고, 각 연통관(6)의 전단개구부의 개구면적이 증가하며, 잉크흡장체(3)로 잉크의 공급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통관(6)의 각 전단의 경사커트면(61)은 연통관(6)의 각 전단개구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커트면(61)(즉, 연통관(6)의 전단개구부)은 잉크흡장체(3)의 축심방향(즉, 펜 촉(2) 후단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잉크를 펜 촉(2) 후단(2)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연통관(6)의 전단에 의해 펜 촉(2) 후단 근방의 섬유가 펜 촉(2) 후단방향을 향해서 압압 압축되고, 펜 촉(2) 후단근방의 섬유밀도를 용이하게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외면 및 내면의 횡단면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원형상이며,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외주테두리 및 내주 테두리는 경사커트면(61)에 의해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2 실시의 형태)
도 20에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예이고,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을 후측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잉크흡장체(3)의 앞쪽에 고밀도부(31)를 형성한 점과, 제11 실시형태와 같은 연통관(6) 각 전단의 끝을 둔화 한 점(구체적으로는 연통관(6) 각각의 전단면이 경사커트면(61)으로 이루어진 점)이다.
촉 부재(4)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43)의 규제벽부(43a)에는 후측으로 크게 돌출하는 돌입부(43c)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잉크흡장체(3)는 촉 부재(4)에 압입전은 전후방향에서 균일한 밀도분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촉 부재(4)의 대경부(42) 내에 상기 잉크흡장체(3)의 앞쪽을 삽입하면, 상기 돌입부(43c)가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에 깊게 삽입되고,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이 후측으로 압입 압축되며, 이에 따라 잉크흡장체(3)의 앞쪽에 고밀도부(31)가 형성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고밀도부(31)의 후측은 잉크흡장체(3)의 외주면이 압압 압축되지 않으므로, 저밀도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돌입부(43c)의 후단은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 및 펜 촉(2)의 후단 근방에 위치되므로,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 및 펜 촉(2)의 후단 근방에 고밀도부(31)를 적당히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3 실시의 형태)
도 21에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예이고,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잉크흡장체(3)가 고밀도부(31)를 구성하는 제1 잉크흡장체와 저밀도부(32)를 구성하는 제2 잉크흡장체로 이루어진 점과,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의 끝을 둔화시킨 점(구체적으로는 연통관(6) 각각의 전단면이 경사커트면(61)으 로 이루어진 점)이다.
제1 잉크흡장체의 섬유밀도는 미리 높게 설정되는 동시에, 제2 잉크흡장체의 섬유밀도는 상기 제1 잉크흡장체의 섬유밀도보다 미리 낮게 설정된다. 상기 제1 잉크흡장체의 후단면과 제2 잉크흡장체의 전단면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연통관(6)의 각각은 상기 제2 잉크흡장체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제1 잉크흡장체에 후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찔러서 접속된다. 또 펜 촉(2)의 후단이 제1 잉크흡장체에 전방으로부터 후측으로 찔러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 및 펜 촉(2)의 후단 근방에는 고밀도부(31)가 적당히 위치된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4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제14 실시형태의 직액식 필기구(1)를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다.
본 실시 예의 직액식 필기구(1)는 펜 촉(2)과, 상기 펜 촉(2)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3)와,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측에 배치되는 중간부재(5)와, 상기 중간부재(5)의 후측에 배치되는 잉크탱크(7)와, 전단부에서 상기 펜 촉(2)을 지지하고, 또한 내부에 상기 잉크흡장체(3), 상기 중간부재(5) 및 상기 잉크탱크(7)를 수용하는 축 통(11)과, 상기 축 통(11)의 후단개구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나사 장착되는 뒷마개(12)로 이루어진다.
·펜 촉
상기 펜 촉(2)은 합성수지제 섬유(예컨대, 폴리에스테르섬유, 아크릴섬유, 나일론섬유 등)의 수지가공에 의해 얻어지는 봉상체이다. 상기 펜 촉(2)의 전단은 포탄형상으로 연삭된다. 상기 펜 촉(2)의 후단부 외주면은 테이퍼형상으로 모따기된다.
·잉크흡장체
상기 잉크흡장체(3)는 원주상의 합성수지제섬유(예컨대, 폴리에스테르섬유)의 가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외주면에는 원통형상의 외피가 피복되어 있다. 상기 외피는 합성수지제 필름(예컨대, 폴리에틸렌 텔레프 탈레이트제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잉크흡장체(3) 전단면의 축심에 펜 촉(2)의 후단이 찔러서 삽입되고, 상기 펜 촉(2)의 후단이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위치된다.
·축 통
상기 축 통(11)은 합성수지(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통상체이다. 상기 축 통(11)은 펜 촉(2) 외주면을 지지하는 테이퍼부(111)와, 이 테이퍼부(111)로부터 후측으로 연장 설치되고, 잉크흡장체(3) 및 격벽(52) 및 잉크탱크(7)가 수용되는 본체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 통(11) 내면(즉, 테이퍼부(111)의 내면에서 본체부(112)의 앞쪽 내면까지)에는 전후 방향으로 뻗는 복수 개의 리브(1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113)에는 상기 축 통(11)의 테이퍼부(111)와 본체부(112)와의 접속부의 근방 에서, 단(段) 형상의 규제벽부(113a)가 형성된다. 상기 규제벽부(113a)에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이 축 방향으로 접촉하고, 상기 본체부(112)의 앞쪽 내면의 리브(113)에 잉크흡장체(3)의 외주면이 압접 지지된다. 상기 테이퍼부(111) 내면의 리브(113)에 의해 펜 촉(2)의 외주면이 압접 지지된다. 상기 리브(113)의 상기 펜 촉(2) 외주면을 지지하는 개소와, 상기 잉크흡장체(3) 외주면을 지지하는 개소와의 사이에 통형상 벽부(113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113)에 의해 잉크흡장체(3)의 외주면과 본체부(112) 내면과의 사이,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과 축 통(11) 내면과의 사이, 및 펜 촉(2) 외주면과 테이퍼부(111) 내면과의 사이에 공기통로(10)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로(10)의 앞쪽은 축 통(11)의 전단으로부터 외부로 개구되는 동시에 상기 공기통로(10)의 뒤쪽은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과 연통하고 있다. 즉, 상기 공기통로(10)에 의해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 및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이 외기와 연통된다.
·중간부재
상기 중간부재(5)는 합성수지(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중간부재(5)는 상기 잉크흡장체(3)와 잉크탱크(7)를 구획하는 격벽(52)과, 상기 격벽(52)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관통 접속되는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연통관(6)과, 상기 격벽(52)의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에 삽입장착되는 접속관(54)과, 상기 격벽(52)의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축 통(11) 내면(본체부(112) 내면)에 고착되는 부착통부(55)를 구비한다. 축 통(11) 및 격벽(5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즉, 흡장체 수용부)에 잉크흡장체(3)가 수용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 부착통부(55)는 접속관(54)의 기부(基部) 외주를 포위하고 있다. 상기 접속관(54)에는 마개본체(71)의 한쪽을 압압하기 위해서 돌기(54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격벽(52)은 원판형상이고, 상기 각 연통관(6), 상기 접속관(54), 상기 부착통부(55)는 원통형상이다.
상기 격벽(52), 각 연통관(6), 접속관(54) 및 부착통부(55)는 일체로 연장설치된다. 즉, 중간부재(5)에 의해 격벽(52), 연통관(6), 접속관(54) 및 부착통부(55)가 1부품을 구성할 수 있다.
·접촉벽부
도 2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벽(52)의 전면에는 판형상의 리브로 이루어지는 접촉벽부(52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벽부(52b)가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과 접촉된다. 상기 접촉벽부(52b)에 의해 상기 격벽(52)과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과의 사이에는 외기와 연통하는 간극(9)이 형성된다. 상기 간극(9)은 상기 공기통로(10)를 통해서 외기와 연통된다. 상기 접촉벽부(52b)는 횡단면 방사상(여기서는 십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벽부(52b)의 일부는 각 연통관(6)의 기부 사이에 형성되고, 각 연통관(6)의 기부 측벽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각 연통관의 굴곡강도가 향상되고, 각 연통관(6)의 격벽(52)에 대한 절곡을 억제할 수 있다.
·연통관
상기 연통관(6) 각각의 내부에는 축 방향으로 유통로(62)가 설치되고, 상기 유통로(62)가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양단에서 개구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내부전방에 개구되고, 상기 연통관(6) 각각의 후단은 잉크흡장체(3) 후측의 잉크탱크(7) 내에 개구된다. 상기 각 연통관(6)은 잉크흡장체(3)와 잉크탱크(7)와의 사이에 병렬로 배치되므로, 잉크흡장체(3)와, 그 후측의 잉크탱크(7)와의 사이에 독립된 복수 개의 유통로(62)가 병렬로 배치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유통로(62)는 접속관(54) 내에 위치하는 격벽(52)의 축 심으로부터 이간된 개소에 관통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찔러서 삽입되고, 마지막은 잉크흡장체(3) 내부전방의 펜 촉(2) 후단 근방에 위치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에 찔러서 삽입될 때,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의 섬유를 전방으로 압압 압축한다. 이에 따라 각 연통관(6)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3)의 섬유밀도가 연통관(6)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부분의 잉크흡장체(3)의 섬유밀도보다도 높게 설정된다. 즉, 잉크흡장체(3) 내부에 섬유밀도가 높은 고밀도부(31)와, 섬유밀도가 낮은 저밀도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상기 고밀도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고밀도부(31)의 후측에 상기 저밀도부(32)가 형성된다. 상기 고밀도부(31)와 상기 저밀도부(32)는 연접된다. 상기 각 연통관(6)은 저밀도부(32)를 후측으로부터 전방으로 관통하고,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이 저밀도부(32)로부터 전방의 고밀도부(31)의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저밀도부(32)의 공극률 (기공률)은 85%~93%에 설정되고, 상기 저밀도부(32)의 공극률과 상기 고밀도부(31)의 공극률차는 20%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축 심에서 직경방향 외부로 이간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연통관(6)은 2개이므로, 상기 연통관(6)은 잉크흡장체(3)의 축심에 대해 180도 대칭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펜 촉(2)이 잉크흡장체(3)의 축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펜 촉(2) 후단과 직접 접속되지 않고, 펜 촉(2)과 비접촉 상태에 있으며,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고밀도부(31))을 통해서 잉크유통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은 펜 촉(2)의 후단으로부터 약간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축 방향의 거리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잉크흡장체(3) 전체의 축 방향의 길이 L는 30㎜로 설정된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 거리 S1, S2는 양자 모두 4㎜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에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 거리 S1, S2는 상기 잉크흡장체(3) 전체의 축 방향 길이 L의 13.3%(즉, 3%~50%의 범위)이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통관(6) 각각의 전단과 상기 펜 촉(2) 후단과의 축 방향의 거리 T1, T2는 양자 모두 1㎜(즉, 10㎜ 이내)로 설정된다.
·잉크탱크
상기 잉크탱크(7)는 전단이 개구하고 후단이 폐쇄된 유저(有低)통상체이며,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또는 블로우(blow)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잉크탱크(7) 내에는 바로 잉크(8)가 저장된다. 상기 잉크탱크(7) 내에 저장되는 잉크(8)는 수성잉크, 유성잉크중 어느 하나라도 된다.
상기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 내면에는 중간부재(5)의 접속관(54) 외면이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서 장착된다. 상기 잉크탱크(7)의 잉크(8)가 소비되서 필기가 불가능하게 된 경우, 상기 잉크탱크(7)를 접속관(54)으로부터 제거하고, 내부에 잉크(8)가 충전된 새로운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에 접속관(54)을 삽입 장착한다. 이에 따라, 다시 필기가 가능해진다. 상기 새로운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는 마개본체(71)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접속관(54)을 잉크탱크(7)의 전단개구부에 삽입 장착한 때, 상기 마개본체(71)를 접속관(54)의 돌기(54a)에 의해 후측으로 압압하고, 마개본체(71)를 제거하여 잉크탱크(7) 전단개구부의 마개가 개방된다.
(제15 실시의 형태)
도 24 및 도 25에 본 발명의 제15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제14 실시형태의 변형 예이고, 제14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부착통부(55)가 격벽(52)의 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각 연통관(6)의 기부(基部)를 포위하는 점과, 접촉벽부(52b)가 격벽(52)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크게 돌출되는 점이다. 특히 상기 접촉벽부(52b)의 축 방향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필기구 본체를 파지(把持)하기 쉬운 축 방향 길이에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잉크 탱크(7)의 축 방향의 길이(즉, 잉크탱크 용량)나 잉크흡장체(3)의 축 방향 길이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다른 구성은 제14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잉크탱크 내의 잉크가 펜 촉 측으로부터 누출될 우려가 없고, 게다가 초기잉크 유출시에 신속하게 공기와 잉크가 교체되며, 단시간에 필기가 가능해지고 또한 간이한 구조로 되며, 또 펜 촉 하향상태에서 급격한 압력변화가 생겨도 펜 촉 측에서의 잉크누출이나 잉크분출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6)

  1.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측에 배치되어 잉크를 바로 저장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고, 잉크흡장체와 잉크탱크와의 사이에 격벽을 설치하며, 상기 격벽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을 돌출시키고, 상기 연통관 각각의 전단을 잉크흡장체 내부에 위치시키며, 적어도 1개의 연통관을 상기 격벽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시켜서 그 연통관의 후단을 잉크탱크 내부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 각 전단의 축 방향 위치가 서로 같게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 내부의 펜 촉 후단 근방에 위치되어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 각각의 전단이 상기 잉크흡장체의 내부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펜 촉의 후단이 상기 잉크흡장체의 내부 전방에 위치해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펜 촉의 후단과 상기 연통관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는 상기 잉크흡장체를 통해서 잉크가 유통가능하게 접속되는 직액식 필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 각각의 전단을 잉크흡장체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삽입하고, 잉크흡장체의 내부를 전방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상기 연통관 각각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의 밀도를 상기 연통관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 부분의 잉크흡장체의 밀도보다도 높게 설정한 직액식 필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마개개방전 잉크탱크의 전단개구부를 마개본체에 의해 폐쇄하고, 상기 격벽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접속관을 돌출시키며, 상기 접속관을 상기 잉크탱크의 전단개구부 내에 삽입 장착하고, 상기 접속관이 상기 마개본체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잉크탱크의 마개를 개방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이 상기 접속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격벽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의 후단이 상기 접속관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위치하든지 또는 상기 격벽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의 후단과 상기 연통관의 후단과의 축 방향 위치가 대략 일치해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잉크탱크의 마개 개방시에 상기 마개본체의 한쪽을 압압하는 돌기를 상기 접속관 후단의 한쪽에 설치하고, 상기 격벽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의 외면과 상기 돌기의 내면을 근접시켜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가 고밀도부와 이 고밀도부로부터 후측으로 연접되는 저밀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밀도부에 상기 연통관 각각의 전단 및 상기 펜 촉의 후단을 위치시켜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부의 내부를 상기 연통관 각각이 관통하고, 상기 고밀도부에 상기 연통관 각각의 전단 및 상기 펜 촉의 후단이 위치해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11. 제 9항에 있어서,
    잉크흡장체의 후단에서 연통관 각각의 전단을 삽입한 때에 상기 연통관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의 내부를 전방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연통관 각각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의 내부에 상기 고밀도부가 형성되는 직액식 필기구.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부가 잉크흡장체의 외측면을 직경방향 내측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형성되는 직액식 필기구.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부가 잉크흡장체의 전단면을 후측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형성되 는 직액식 필기구.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가 고밀도에 설정된 제1 잉크흡장체와, 저밀도에 설정된 제2 잉크흡장체로 이루어지고, 제1 잉크흡장체가 상기 고밀도부를 구성하며, 제2 잉크흡장체가 상기 저밀도부를 구성하는 직액식 필기구.
  15. 제 9항에 있어서,
    마개 개방 전의 잉크탱크의 전단개구부를 마개본체에 의해 폐쇄하고, 상기 격벽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접속관을 돌출시키며, 상기 접속관을 상기 잉크탱크의 전단개구부 내에 삽입 장착하고, 상기 접속관이 상기 마개본체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잉크탱크의 마개를 개방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이 상기 접속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격벽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의 후단이 상기 접속관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위치하든지 또는 상기 격벽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의 후단과 상기 접속관의 후단과의 축 방향 위치가 대략 일치해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16. 제 15항에 있어서,
    잉크탱크의 마개 개방시에 상기 마개본체의 한쪽을 압압하는 돌기를 상기 접속관 후단의 한쪽에 설치하고, 상기 격벽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된 연통관의 외면과 상기 돌기의 내면을 근접시켜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17.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측에 배치되어 잉크를 바로 저장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고, 잉크흡장체와 잉크탱크와의 사이에 격벽을 설치해서 상기 격벽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연통관을 각각 돌출시키고, 상기 연통관 각각의 전단을 잉크흡장체 내부에 위치시키며, 상기 격벽의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잉크탱크의 전단개구부 내에 삽입장착 가능한 접속관을 돌출시키고, 상기 접속관 내에 위치하는 격벽에 상기 각 연통관 내의 유통로를 관통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 내에 위치하는 격벽의 축심을 제거하는 개소에 각각의 연통관 내의 유통로를 관통시켜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상기 각각의 연통관 및 상기 접속관을 일체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각 연통관의 기부(基部) 또는 접속관의 기부를 포위하는 부착통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부착통부의 외면을 축 통의 내면에 고착해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가 고밀도부와 이 고밀도부에 의해 후측으로 연접되는 저밀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밀도부에 상기 연통관 각각의 전단 및 상기 펜 촉의 후단을 위치시켜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22.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측에 배치되어 잉크를 바로 저장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 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고, 잉크흡장체와 잉크탱크와의 사이에 격벽을 설치하고, 상기 격벽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을 돌출시키고, 상기 연통관 각각의 전단을 잉크흡장체 내부에 위치시키며, 상기 격벽 전면에 상기 잉크흡장체 후단면의 일부를 접촉하는 접촉벽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촉벽부와 잉크흡장체의 후단면이 접촉한 때, 잉크흡장체의 후단면과 격벽 전면과의 사이에 외기와 통기 가능한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벽부가 상기 연통관 각각의 기부(基部)와 격벽 전면에 접속되고, 상기 접촉벽부가 상기 연통관 각각의 기부를 서로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벽부가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판형상 리브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가 고밀도부와 이 고밀도부로부터 후측으로 연접되는 저밀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밀도부에 상기 연통관 각각의 전단 및 상기 펜촉의 후단을 위치시켜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잉크탱크의 전단개구부 내에 삽입 장착 가능한 접속관을 돌출시키고, 상기 격벽, 상기 각각의 연통관, 상기 접촉벽부 및 상기 접속관을 일체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각각의 연통관의 기부 또는 접속관의 기부를 포위하는 부착통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부착통부의 외면을 축 통의 내면에 고착해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KR1020070020029A 2006-03-09 2007-02-28 직액식 필기구 KR100946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63786 2006-03-09
JPJP-P-2006-00063785 2006-03-09
JPJP-P-2006-00063786 2006-03-09
JP2006063785 2006-03-09
JP2006068245A JP4750590B2 (ja) 2006-03-13 2006-03-13 直液式筆記具
JP2006068246A JP4750591B2 (ja) 2006-03-13 2006-03-13 直液式筆記具
JPJP-P-2006-00068245 2006-03-13
JPJP-P-2006-00068246 2006-03-13
JPJP-P-2007-00000850 2007-01-06
JPJP-P-2007-00000851 2007-01-06
JP2007000851 2007-01-06
JP2007000850 2007-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611A KR20070092611A (ko) 2007-09-13
KR100946428B1 true KR100946428B1 (ko) 2010-03-10

Family

ID=3807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029A KR100946428B1 (ko) 2006-03-09 2007-02-28 직액식 필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28304B2 (ko)
EP (1) EP1832442B1 (ko)
KR (1) KR100946428B1 (ko)
DE (1) DE602007008157D1 (ko)
HK (1) HK1109371A1 (ko)
SG (1) SG136064A1 (ko)
TW (1) TWI3819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7689A1 (en) * 2010-03-18 2013-11-21 Yaakov Elchonon Oppen Calculatore string measurer
JP5687529B2 (ja) * 2010-03-26 2015-03-18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塗布具
EP2431192B1 (en) * 2010-09-15 2015-05-27 Tung Yik International Ltd. Writing pen with ink storage
KR101227691B1 (ko) * 2011-03-08 2013-02-28 동아연필 주식회사 직액식 필기구
CN102490521A (zh) * 2011-12-23 2012-06-13 上海乐美文具有限公司 一种新型的直液式结构笔
CA2907612C (en) * 2013-03-20 2021-03-09 Kabushiki Kaisha Pilot Corporation (Also Trading As Pilot Corporation) Writing instrument and ink cartridge
CN103465684B (zh) * 2013-09-03 2016-08-17 宁波五云笔业有限公司 一种自动平衡出墨的直液式书写工具
JP6367561B2 (ja) * 2014-01-20 2018-08-01 株式会社呉竹 筆記具用リフィル及び筆記具
JP6630473B2 (ja) 2014-10-16 2020-01-15 株式会社呉竹 ペン及びペン用リフィル
JP6514480B2 (ja) * 2014-10-16 2019-05-15 株式会社呉竹 インク充填具
BR112017027535B1 (pt) 2015-06-26 2022-02-15 Kabushiki Kaisha Pilot Corporation (Also Trading As Pilot Corporation) Ferramenta de escrita do tipo de líquido direto.
CN205292011U (zh) * 2015-07-02 2016-06-08 东益企业国际有限公司 一种具有微孔直液结构的储液式书写笔
US10730338B2 (en) 2017-04-26 2020-08-04 Hayden R Murphy Fluid applicator refill system
JP7401175B2 (ja) * 2017-05-16 2023-12-19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TWI645987B (zh) * 2017-09-18 2019-01-01 順德工業股份有限公司 書寫工具
KR101992126B1 (ko) * 2017-12-26 2019-09-30 주식회사 모나미 고밀도유지관체형 직액식 필기구
JP6843335B2 (ja) * 2018-03-29 2021-03-17 株式会社 エポックケミカル 筆ペン
KR102138035B1 (ko) * 2019-01-11 2020-07-28 주식회사 모나미 레귤레이터닙형 직액식 필기구
CN111038140A (zh) * 2019-12-31 2020-04-21 杭州鼎鸿文化用品有限公司 一种可加笔油的笔组件
JP7441655B2 (ja) 2020-01-22 2024-03-01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WO2022015991A1 (en) * 2020-07-15 2022-01-20 Acryl8, LLC Channeled porous filter for controlled-release of flui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764B1 (ko) 1993-11-30 2002-06-20 아사베 히로시 도포기
WO2003101760A1 (fr) 2002-05-31 2003-12-11 Pentel Kabushiki Kaisha Applicateur
JP2004142413A (ja) 2002-05-31 2004-05-20 Pentel Corp 塗布具
KR20060051230A (ko) * 2004-09-14 2006-05-19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직액식 필기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504Y2 (ko) * 1978-09-16 1981-02-18
JPS567504A (en) 1979-06-29 1981-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mplifier
JPS607191Y2 (ja) * 1979-07-27 1985-03-09 ぺんてる株式会社 毛筆状筆記具
JPS607191A (ja) 1983-06-24 1985-01-14 三容真空工業株式会社 回路基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US5454658A (en) * 1991-01-31 1995-10-03 Pentel Kabushiki Kaisha Rear end knocking type liquid discharge apparatus
TW385760U (en) * 1998-10-21 2000-03-21 Mcaide Entpr Company Ltd P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764B1 (ko) 1993-11-30 2002-06-20 아사베 히로시 도포기
WO2003101760A1 (fr) 2002-05-31 2003-12-11 Pentel Kabushiki Kaisha Applicateur
JP2004142413A (ja) 2002-05-31 2004-05-20 Pentel Corp 塗布具
KR20060051230A (ko) * 2004-09-14 2006-05-19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직액식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28304B2 (en) 2012-03-06
KR20070092611A (ko) 2007-09-13
TWI381951B (zh) 2013-01-11
EP1832442A1 (en) 2007-09-12
TW200800648A (en) 2008-01-01
HK1109371A1 (en) 2008-06-06
EP1832442B1 (en) 2010-08-04
DE602007008157D1 (de) 2010-09-16
US20070212159A1 (en) 2007-09-13
SG136064A1 (en) 2007-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428B1 (ko) 직액식 필기구
KR100932571B1 (ko) 직액식 필기구
JP4848068B2 (ja) 直液式筆記具
JP5687529B2 (ja) 塗布具
JP4658259B2 (ja) 直液式筆記具
JP4537864B2 (ja) 直液式筆記具
JP4820701B2 (ja) 直液式筆記具
JP4750591B2 (ja) 直液式筆記具
JP3152082U (ja) 直液式筆記具
JP4750590B2 (ja) 直液式筆記具
JP5085960B2 (ja) 直液式筆記具
JP3917259B2 (ja) 直液式筆記具
JP4848067B2 (ja) 直液式筆記具
JP4943950B2 (ja) 直液式筆記具
JP2008023877A (ja) 直液式筆記具
JP3152083U (ja) 直液式筆記具
JP2008044285A (ja) 直液式筆記具
JP2013056519A (ja) 塗布具
JP5085952B2 (ja) 直液式筆記具
JP4943951B2 (ja) 直液式筆記具
JP2009012191A (ja) 直液式筆記具
JP2020001352A (ja) ボールペン
JP2009012190A (ja) 直液式筆記具
JP2004330710A (ja) 液体容器
JP2010228119A (ja) 直液式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