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230A - 직액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직액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230A
KR20060051230A KR1020050084988A KR20050084988A KR20060051230A KR 20060051230 A KR20060051230 A KR 20060051230A KR 1020050084988 A KR1020050084988 A KR 1020050084988A KR 20050084988 A KR20050084988 A KR 20050084988A KR 20060051230 A KR20060051230 A KR 20060051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storage body
communication tube
ink storage
writ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2571B1 (ko
Inventor
테츠히로 쿠리타
타카오 이나바
Original Assignee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26769A external-priority patent/JP4537864B2/ja
Application filed by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43K8/06Wick feed from within reservoir to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며, 상기 잉크흡장체가 고밀도부와 이 고밀도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접되는 저밀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밀도부에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및 상기 펜 촉의 후단이 접속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잉크흡장체, 연통관, 고밀도부, 저밀도부

Description

직액식 필기구{DIRECT-FLUID-SUPPLY WRITING IMPL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펜 촉 하향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펜 촉 하향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펜 촉 하향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의 펜 촉 하향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의 펜 촉 하향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의 펜 촉 하향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연통관의 예를 표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연통관의 예를 표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의 펜 촉 하향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의 펜 촉 하향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의 펜 촉 하향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의 펜 촉 하향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의 펜 촉 하향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직액식 필기구 2. 펜 촉
21. 환상 홈 22. 볼
23. 홀더 24. 잉크 유도 부재
3. 잉크흡장체
31. 고 밀도부(제1의 잉크흡장체) 32. 저 밀도부(제2의 잉크흡장체)
4. 촉 부재
41. 소경부 42. 대경부
43. 리브 43a. 규제벽부
43b. 걸림 볼록부 43c. 돌입부
44. 공기 구멍
5. 중간부재 51. 전방 통부
52. 격벽 52a. 부착구멍
52b. 환상 볼록부 53. 후방 통부
6. 연통관
61. 경사 컷 면 62. 유통로
63. 잉크흡수체 64. 리브
6a. 대경의 연통관 6b. 소경의 연통관
7. 잉크탱크 8. 잉크
9. 극간 10. 공기통로
L1. 잉크흡장체 전체의 축 방향의 길이
S1, S2 잉크흡장체의 전단으로부터 연통관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
T1, T2 연통관의 전단과 펜 촉의 후단과의 축 방향의 거리
본 발명은 잉크탱크 내에 잉크를 바로 저류하고, 상기 잉크탱크와 펜 촉과의 사이에 잉크흡장체를 개재시킨 직액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이라는 것은 펜 촉 측을 가리키며, 「후」라는 것은 잉크탱크 측을 가리킨다.
[1] 종래, 이 종류의 직액식 필기구에 있어서, 예컨대, 특허문헌 1은 이하의 필기구를 개시한다. 「연락관과 관통구멍을 갖고 또한 흡수성재가 충전된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를 위쪽 개구부에 끼워서 삽입한 잉크수용체와, 상기 흡수성 재에 삽입한 붓 끝과 상기 수용체의 관통구멍에 관통되는 통기관을 갖고, 상기 통기관을 통하여 잉크수용체의 내부와 흡수성재를 연락하며, 상기 통기관을 통하여 잉크수용체의 내부와 외기를 연락하여도 되는 필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직액식 필기구는 잉크 수용체의 위쪽 개구부에 연락관 및 통기관을 구비하고 있다 하여도, 상시 통기관이 외기와 연통하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펜 촉 하향상태를 유지하면, 외기가 통기관을 통하여 잉크 수용체 내로 계속 공급되는 동시에 잉크 수용체 내의 잉크가 연락관을 통하여 흡수성재에 계속 공급된다. 그 결과, 잉크 수용체 내에 잉크가 펜 촉으로부터 외부로 누출할 우려가 있다.
[2] 또, 종래 특허 문헌 2는 이하의 펠트 펜(Felt pen)을 개시한다. 「용기 본체와, 착탈 가능한 밀폐용 뚜껑을 갖는 잉크 보급구를 갖고, 상기 용기 본체의 뒤쪽에 배치되는 잉크 수용실과, 상기 용기 본체의 앞쪽에 배치되는 제1 흡액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뒤쪽에 배치되는 제2 흡액재를 갖는 잉크급액재 수납실과 기부가 상기 제1 흡액재에 안겨지게 되고, 기부 단면은 상기 제2 흡액재에 접촉하는 펜 촉과 상기 잉크수납실과 상기 잉크 급액재 수납실을 분리하는 격벽과, 상기 제1 흡액재에 접촉하는 제1 개구부와, 상기 잉크보급구 부근의 상기 잉크수납실 내에 배치된 제2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격벽에 고정된 흡기관을 가지며, 상기 잉크수납실에 저류된 잉크는 상기 격벽에 설치된 흡액구멍을 통하여 상기 흡액재에 급액된다.」
상기 특허 문헌 2의 직액식 필기구는 2개의 흡액재를 구비하고, 급기관의 전단면을 본체 선단 개구부 측의 흡액재의 후단면에 접촉시키며, 급액 구멍이 잉크 수납실 측의 흡액재의 후단면에 연통하는 구성, 즉, 급기관의 전단 개구부와 급액구멍의 전단 개구부가 전후로 떨어져서 위치하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급액구멍으로부터 공급되어 흡액재에 함침된 잉크에 의해 급기관의 개구단을 막는 것(즉, 급기관의 개구단을 액실 상태로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잉크탱크로부터의 잉크 유출과 잉크탱크로의 공기 유입(즉, 잉크와 공기의 교체)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없다. 그 결과, 과잉의 잉크가 흡액재에 공급되고, 잉크가 펜 촉 측으로부터 외부로 누출할 우려가 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의 직액식 필기구는, 펜 촉이 본체 선단 개구부 측의 흡액재를 관통하여 잉크 수용실측의 흡액재에 접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펜 촉의 길이 치수를 짧게 설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펜 촉의 코스트가 상승되고, 사용자에게 염가로 제공할 수 없으며, 더구나 펜 촉 후단으로부터 펜 촉 선단까지의 잉크 유출로가 길게 되고, 펜 촉으로부터의 잉크 유출성이 저하되며 필적의 긁힘이나 필적의 끊어짐이 생기기 쉽다.
[3] 또, 종래 특허문헌 3은 이하의 모필상 필기구를 개시한다. 「잉크탱크와, 모필체와 동심으로 배치된 잉크조정관, 잉크도관을 갖는 전축과 상기 잉크도관에 삽입되고, 그 후단이 상기 잉크탱크에 삽입되며, 그 선단이 상기 모필체 후단과 소정 간극을 통하여 배치된 중계심과, 상기 잉크조정관과 상기 잉크도관과의 사이에서 정의되는 환상로 및 상기 모필체 후단상에 장착되는 다공질의 잉크흡수체와, 상기 전축 내면과 상기 잉크조정관 외면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외기와 연통하는 공기통로와 상기 모필체 후단에 형성되고 공기통로와 연락하는 잉크통로 를 가지며, 상기 잉크흡수체의 선단의 밀도는 다른 부분보다 크다.」
상기 특허문헌 3의 직액식 필기구는, 하나의 잉크도관만에 의해 잉크탱크와 잉크흡수체를 접속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초기 잉크유출시(즉, 잉크탱크로부터 흡액재에 최초로 잉크를 공급할 때)에 신속하게 공기와 잉크가 교체되지 않고, 필기 가능하게 될 때까지에 상당한 시간을 요한다. 또, 상기 특허문헌 3의 직액식 필기구는 부품 수가 많고 구성이 복잡하며, 사용자에게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공 소 45-1889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실공 소 56-750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실공 소 60-791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잉크탱크 내의 잉크가 펜 촉 측으로부터 누출할 우려가 없고, 더구나 초기 잉크유출시에 신속하게 공기와 잉크가 교체되며 단시간에 필기 가능하게 되고, 또 간이한 구조로 될 수 있는 직액식 필기구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요건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며, 상기 잉크흡장체가 고밀도부와 이 고밀도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접되는 저밀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밀도부에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및 상기 펜 촉의 후단이 접속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2)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고, 상기 잉크흡장체가 고밀도부와 이 고밀도부로 부터 후방으로 연접되는 저밀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저밀도부의 내부를 상기 연통관의 각각이 관통하고, 상기 고밀도부에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및 상기 펜 촉의 후단이 접속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잉크흡장체의 후단으로부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을 삽입한 때에,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의 내부를 전방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의 내부에 상기 고밀도부가 형성되는 직액식 필기 구.
(청구항 4)
청구항 1,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부가, 잉크흡장체의 외측면을 직경방향 안쪽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5)
청구항 1, 2,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부가 잉크흡장체의 전단면을 후방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가 고밀도에 설정된 제1의 잉크흡장체와, 저밀도에 설정된 제2의 잉크흡장체로 되고, 제1의 잉크흡장체가 상기 고밀도부를 구성하며, 제2의 잉크흡장체가 상기 저밀도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내부에, 모세 간극을 구비한 잉크흡수체를 배치하고, 상기 잉크흡수체의 모세관력을 상기 고밀도부의 모세관력 보다도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8)
청구항 1 내지 7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의 축 방향의 위치가 서로 갖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9)
청구항 1 내지 8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펜 촉 후단 근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10)
청구항 1 내지 9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펜 촉의 후단과,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는, 상기 고밀도부를 통하여 잉크유통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11)
청구항 1 내지 10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의 전단면 및 후단면이 외기와 연통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12)
청구항 1 내지 11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측벽을 서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13)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의 축 방향의 위치가 서로 같게 설정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14)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 내부의 펜 촉 후단 근방에 위치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15)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 내부의 펜촉 후단 근방에 위치되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의 축 방향의 위치가 서로 같게 설정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16)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상기 잉크흡장체 내부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펜 촉의 후단이 상기 잉크흡장체의 내부 전방에 위치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17)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 내부에 위치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18)
제 13항 내지 제 17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펜 촉의 후단과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는, 상기 잉크흡장체를 통하여 잉크유통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19)
청구항 13 내지 18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을 잉크흡장체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삽입하고, 잉크흡장체의 내부를 전방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의 밀도를,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부분의 잉크흡장체의 밀도보다도 높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을 끝이 날카로운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그 전단 개구부를 포함하는 경사 컷 면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22)
청구항 13 내지 21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가, 상기 잉크흡장체 전체의 축 방향의 길이의 3% 이상 50% 이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23)
청구항 13 내지 22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24)
청구항 13 내지 23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과 상기 펜 촉의 후단과의 축 방향의 거리가 10mm 이내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25)
청구항 13 내지 24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과 상기 펜 촉의 후단과의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26)
청구항 13 내지 25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의 전단면 및 후단면이 외기와 연통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27)
청구항 13 내지 26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내부에, 모세 간극을 구비한 잉크흡수체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28)
청구항 13 내지 27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측벽을 서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부의 공극율이 70%~95%이고, 또한 상기 저밀도부의 공극율과 상기 고밀도부의 공극율과의 차가 7% 이상인 직액식 필기구.
(청구항 3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잉크흡장체의 공극율이 70%~95%이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잉크흡장체의 공극율과,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의 공극율과의 차가 7% 이상인 직액식 필기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의 직액식 필기구(1)는, 펜촉(2)과, 상기 펜 촉(2)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3)와, 상기 잉크흡장체(3)와,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8)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흡장체(3)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6)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6)을 복수 구비하며,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고, 상기 잉크흡장체(3)가 고밀도부(31)와 이 고밀도부(31)로부터 후방으로 연접되는 저밀도부(32)를 구비하며, 상기 고밀도부(31)에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및 상기 펜 촉(2)의 후단이 접속하여 되는 것(청구항 1)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의 연통관(6)은, 그 각각이 잉크탱크(7) 내 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공급하는 기능과, 외기를 잉크탱크(7) 내에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에 공급할 때, 펜 촉(2)을 하향상태로 하면, 중력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가, 적어도 하나의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 공급되고, 상기 고밀도부(31)에서 함침된다. 그와 동시에, 외기가 다른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탱크(7) 내에 들어오게 된다. 즉, n개의 연통관(6)의 경우(n은 2이상의 정수), 하나 이상이고 (n-1)개 이하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하고, 다른 나머지의 연통관(6)이 외기의 공급을 한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 함침된 잉크가 일정량으로 되면, 상기 외기를 받아들이고 있던 다른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가 상기 함침 잉크에 의해 액 실(seal)상태로 되고, 일시적으로 폐쇄되며, 잉크탱크(7) 내로의 외기의 공급은 정지된다. 그것과 동시에, 상기 잉크공급을 하고 있던 연통관(6)에 의한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로의 잉크공급도 정지되며, 그 결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가 액실상태로 되고, 일시적으로 폐쇄되고, 잉크탱크(7)로 부터의 잉크유출과 잉크탱크(7)로의 공기유입(즉, 잉크와 공기의 교체)이 정지상태로 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는, 잉크흡장체(3)가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근방의 밀도를 높게 설정한 부분(고밀도부(31))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부분의 밀도를 낮게 설정한 부분(저밀도부(32))을 구비한다. 그 때문에, 잉크흡장체(3) 내부에서의 잉크를, 저밀도부(32) 보다도 고밀도부(31)에 우선하여 함침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를 함침 잉 크에 의해 확실하게 액실할 수 있다. 그 결과, 온도저하 등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압력이 감소한 때, 잉크흡장체(3) 내에 함침된 잉크가, 잉크흡장체(3) 내에 잔류하는 일은 없으며,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로부터 연통관(6)을 통하여 적정하게 잉크탱크 내로 되돌려진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는,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 접속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의 모두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의 액실에 의해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에 과잉의 잉크를 공급하는 일이 없고, 펜 촉(2) 측으로부터 외부로 잉크가 누출될 우려가 없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는, 연통관(6)을 복수 개(즉, 2개 이상) 가짐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할 경우, 다른 통기관(6)이 공기공급을 하게 된다. 그 때문에, 초기 잉크유출시(즉, 잉크가 함침되어 있지 않은 잉크흡장체(3)에 최초로 잉크를 공급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잉크와 공기와의 교체가 되고, 단시간으로 필기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는, 펜 촉(2)의 후단을 고밀도부(31)에 접속한 구성에 의해, 펜 촉 상향상태나 필기구 본체의 수평상태 등의 잉크탱크(7)로부터의 잉크공급이 없는 경우에도,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 함침된 잉크에 의해 충분히 필기가능하게 된다.
[2]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의 직액식 필기구(1)는, 펜 촉(2)과, 상기 펜 촉(2)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방에 배치되 고, 잉크(8)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흡장체(3)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6)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6)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며, 상기 잉크흡장체(3)가, 고밀도부(31)와 이 고밀도부(31)로부터 후방으로 연접되는 저밀도부(32)를 구비하고, 상기 저밀도부(32)의 내부를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이 관통되며, 상기 고밀도부(31)에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및 상기 펜 촉(2)의 후단이 접속하여 되는 것(청구항 2)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2)의 연통관(6)은, 그 각각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공급하는 기능과, 외기를 잉크탱크(7) 내로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에 공급할 때, 펜 촉(2)을 하향상태로 하면, 중력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가 적어도 하나의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 공급되고, 상기 고밀도부(31)에서 함침된다. 그와 동시에, 외기에 다른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탱크(7) 내에 받아들여진다. 즉, n개의 연통관(6)의 경우(n는 2 이상의 정수), 하나 이상이고 또한 (n-1) 개 이하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하고, 다른 나머지의 연통관(6)이 외기의 공급을 한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 함침된 잉크가 일정량으로 되면, 상기 외기를 받아들이고 있던 다른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가, 상기 함침 잉크에 의한 액 실 상태로 되고, 일시적으로 폐쇄되며, 잉크탱크(7) 내로의 외기의 공급은 정지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잉크공급을 하고 있던 연통관(6)에 의한 잉크탱크(7)로 부터 잉크흡장체(3)로의 잉크공급도 정지되며, 그 결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가 액 실 상태로 되고, 일시적으로 폐쇄되며, 잉크탱크(7)로 부터의 잉크유출과 잉크탱크(7)로의 공기유입(즉, 잉크와 공기의 교체)이 정지상태로 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2)는, 잉크흡장체(3)가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근방의 밀도를 높게 설정한 부분(고밀도 부(31))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부분의 밀도를 낮게 설정한 부분(저밀도 부(32))을 구비한다. 그 때문에, 잉크흡장체(3) 내부에서의 잉크를 저밀도부(32) 보다도 고밀도부(31)에 우선하여 함침시킬 수 있다. 그것에 따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를 함침잉크에 의해 확실하게 액 실할 수 있다. 그 결과, 온도저하 등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압력이 감소된 때, 잉크흡장체(3) 내에 함침된 잉크가, 잉크흡장체(3)에 잔류하는 일이 없고,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로부터 통기관(6)을 통하여 적정하게 잉크탱크(7) 내로 되돌려진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2)는,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 접속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의 모두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의 액 실에 의해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에 과잉의 잉크를 공급하는 일이 없고, 펜 촉(2) 측으로부터 외부로 잉크가 누출될 우려가 없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2)는, 통기관(6)을 복수 개(즉, 2개 이상) 가짐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할 경우, 다른 통기관(6)이 공기공급을 하게 된다. 그 때문에, 초기 잉크유출시(즉, 잉크가 함침되어 있지 않는 잉크흡장체(3)에 최초로 잉크를 공급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잉크와 공기와의 교체가 되고 단시간에서 필기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2)는, 펜 촉(2)의 후단을 고밀도부(31)에 접속한 구성에 의해, 펜 촉 상향상태나 필기구 본체의 수평상태 등의 잉크탱크(7)로부터의 잉크공급이 없는 경우에서도,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에 함침된 잉크에 의해 충분히 필기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2)는, 상기 저밀도부(32)의 내부를 상기 통기관(6)의 각각이 관통하는 구성에 의해, 잉크흡장체(3)를 수용하는 부분의 외경을 크게 하지 않고, 충분한 용적의 저밀도부(32)를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연통관(6)의 각각이 저밀도부(32)의 내부를 관통하지 않고 고밀도부(31)에 접속되는 경우, 잉크흡장체(3)를 수용하는 부분의 외경이 커져서 필기구 본체를 잡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으며, 혹은, 저밀도부(32)의 용적이 작게 되어 잉크탱크(7)로부터의 잉여잉크를 충분히 흡수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3]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잉크흡장체(3)의 후단으로부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을 삽입한 때에,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의 내부를 전방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상기 고밀도부(31)가 형성되는 것(청구항 3)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3)는, 잉크흡장체(3)의 밀도차(즉,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와 저밀도부(32))를 연통관(3)의 각각의 전단을 상기 잉크흡 장체(3)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삽입하고, 잉크흡장체(3)의 내부를 전방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형성하기 때문에, 연통관(6)을 잉크흡장체에 조립하기 전에 미리 잉크흡장체(3)에 밀도차를 마련할 필요없이 제조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과 고밀도부(31)와의 접속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4]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부(31)가 잉크흡장체(3)의 외측면을 직경방향 안쪽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청구항 4)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미리 잉크흡장체(3)에 밀도차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제조가 대단히 용이하게 된다.
[5]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 2,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부(31))가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을 후방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청구항 5)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미리 잉크흡장체(3)에 밀도차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제조가 대단히 용이하게 된다.
[6]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3)가 고밀도로 설정된 제1의 잉크흡장체와, 저밀도에 설정된 제2의 잉크흡장체로 되고, 제1의 잉크흡장체가 상기 고밀도부(31)를 구성하고, 제2의 잉크흡장체가 상기 저밀도부(32)를 구성하는 것(청구항 6)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잉크흡장체(3)에 고밀도부(31)와 저밀도부(32)(즉, 잉크흡장체(3)의 밀도차)를 흐트러짐 없이 확실하게 설정할 수 있다.
[7] 상기 직액식 필기구(1) (청구항 1 내지 6)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내부에 모세 간극을 구비한 잉크흡수체(63)를 배치하고, 상기 잉크흡수체 (63)의 모세관력을 상기 고밀도부(31)의 모세관력보다도 작게 설정한 것(청구항 7)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7)에 의해, 연통관(6)의 구부러짐을 억제하기 위하여 각각의 연통관(6)의 외경 및 내경을 비교적 크게 설정한 경우에서도,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의 적정한 액체 실이 얻어진다.
[8]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 내지 7)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의 축 방향의 위치가 서로 갖게 설정되는 것(청구항 8)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8)는,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의 축 방향의 위치가 서로 같게 설정되는 구성(즉,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전후로 떨어져 있지 않은 구성)이기 때문에,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서의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의 상호 간의 거리가 한층 짧게 되고,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의 액체 실성이 향상되며, 외부로의 잉크 누출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다.
[9]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 내지 8)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펜 촉(2) 후단 근방에 위치되는 것(청구항 9)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9)는,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펜 촉(2) 후단 근방에 위치하는 구성에 의해, 어느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로부터 잉크가 공급되어도, 펜 촉(2)에 잉크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초기 잉크유출시 확실하게 단시간으로 필기가능하게 된다.
[10]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 내지 9)에 있어서, 상기 펜 촉(2)의 후단과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는, 상기 고밀도부(31)를 통하여 잉 크 유통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청구항 10)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0)는, 상기 펜 촉(2)의 후단과,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어도 펜 촉(2)의 후단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의 잉크흡장체(3) 내부에는 일정량의 잉크가 함침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펜 촉 상향상태나, 필기구 본체의 수평상태 등의 잉크탱크(7)로부터의 잉크공급이 없는 경우에서도, 상기 펜 촉(2)의 후단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의 잉크흡장체(3) 내부에 함침된 잉크에 의해 충분히 필기 가능하게 된다. 또, 잉크탱크(7)로부터 펜 촉(2)으로 과잉의 잉크가 직접 공급되어 외부에 누출할 우려도 없다.
[11]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 내지 10)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 및 후단면이 외기와 연통 되는 것(청구항 11)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1)는, 잉크흡장체(3)의 내부의 공기를,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 및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으로부터 내보낼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잉크흡장체(3)의 내부의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의 연통관(6)의 전단 근방으로부터, 잉크흡장체(3)의 전단방향 및 연통관(6)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3)의 내부로부터 잉크흡장체(3)의 후단방향으로 스무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과 외기가 연통 됨으로써 온도상승 등에 의한 잉크탱크(7) 내의 압력 상승시, 잉크탱크(7) 내로부터 밀려 낸 잉크가 스무드하게 연통관(6)의 전단으로부터 잉크흡장체(3)의 연통관(6)의 전단 근방을 통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며, 잉크흡장체(3)의 후방에 함침 되고, 잉크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며, 한편, 온도저하 등에 의한 잉크탱크(7) 내의 압력 감소시, 잉크흡장체(3)의 후방의 함침잉크를 잉크흡장체(3) 내부의 연통관(6)의 전단 근방을 통하여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로부터 연통관(6) 내를 통하여 잉크탱크(7) 내로 되돌릴 수 있다.
[12]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 내지 11)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의 측벽을 서로 연결한 것(청구항 12)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각각의 연통관(6)의 굴곡 강도가 향상되고 각각의 연통관(6)의 구부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13]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의 형태의 직액식 필기구(1)는, 펜 촉(2)과, 상기 펜 촉(2)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3)와,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흡장체(3)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6)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6)을 복수 구비하며,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고,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의 축 방향의 위치가 서로 갖게 설정되어 되는 것(청구항 13)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3)의 연통관(6)은, 그 각각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공급하는 기능과, 외기를 잉크탱크(7)내에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에 공급할 때, 펜 촉(2)을 하향상태로 하면, 중력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가 적어도 하나의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흡장체(3)에 공급되고, 잉크흡장체(3) 내부에서 함침된다. 그와 동시에, 외기가 다른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탱크(7) 내에 들어오 게 된다. 즉, n개의 연통관(6)의 경우(n은 2 이상의 정수), 하나 이상 또는 (n-1)개 이하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하고, 다른 나머지의 연통관(6)이 외기의 공급을 한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가 일정량이 되면, 상기 외기를 들어오게 하고 있던 다른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가, 상기 함침잉크에 의한 액체 실 상태로 되고 일시적으로 폐쇄되며, 잉크탱크(7) 내로의 외기의 공급은 정지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잉크공급을 하고 있던 연통관(6)에 의한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로의 잉크공급도 정지되고, 그 결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가 액체 실 상태로 되며 일시적으로 폐쇄되며, 잉크탱크(7)로부터의 잉크유출과 잉크탱크(7)로의 공기유입(즉, 잉크와 공기의 교체)이 정지상태로 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3)는,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의 모두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의 액체 실에 의해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에 과잉의 잉크를 공급하는 일은 없고, 펜 촉(2) 측으로부터 외부로 잉크가 누출될 우려가 없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3)는,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의 축 방향의 위치가 서로 갖게 설정되는 구성(즉,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서로 전후로 떨어져 있지 않은 구성)이기 때문에,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서의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의 상호 간의 거리가 한층 짧게 되고,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의 액체 실 성이 향상되며 외부로의 잉크누출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3)는 연통관(6)을 복수 개(즉, 2개 이상) 가짐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하는 경우, 다른 연통관(6)이 공기공급을 하게 된다. 그 때문에, 초기 잉크유출시(즉, 잉크가 함침되어 있지 않은 잉크흡장체(3)에 최초로 잉크를 공급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잉크와 공기와의 교체가 되고 단시간에서 필기 가능하게 된다.
[14]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의 형태의 직액식 필기구(1)는, 펜 촉(2)과 상기 펜 촉(2)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3)와,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흡장체(3)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6)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6)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며,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 내부의 펜 촉(2) 후단 근방에 위치되어 되는 것(청구항 14)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4)의 연통관(6)은, 그 각각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공급하는 기능과, 외기를 잉크탱크(7) 내에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에 공급할 때, 펜 촉(2)을 하향상태로 하면, 중력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가 적어도 하나의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흡장체(3)에 공급되고, 잉크흡장체(3) 내부에서 함침된다. 그와 동시에, 외기가 다른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탱크(7) 내에 들어오게 된다. 즉, n개의 통기관(6)의 경우(n는 2 이상의 정수), 하나 이상이고 (n-1) 개 이하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하고, 다른 나머지의 연통관(6)이 외기의 공급을 한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가 일정량으로 되면, 상기 외기를 들어오게 하고 있던 다른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가, 상기 함침잉크에 의한 액체 실 상태로 되고 일시적으로 폐쇄되며, 잉크탱크(7) 내로의 외기의 공급은 정지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잉크공급을 하고 있던 연통관(6)에 의한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로의 잉크공급도 정지되고, 그 결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가 액체 실 상태가 되며 일시적으로 폐쇄되고, 잉크탱크(7)로부터의 잉크유출과 잉크탱크(7)로의 공기유입(즉, 잉크와 공기의 교체)이 정지상태로 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4)는,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의 모두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의 액체 실에 의해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에 과잉의 잉크를 공급하는 일이 없고, 펜 촉(2) 측으로부터 외부로 잉크가 누출될 우려가 없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4)는, 연통관(6)을 복수 개(즉, 2개 이상) 가짐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할 경우, 다른 연통관(6)이 공기공급을 하게 됩니다. 그 때문에, 초기 잉크유출시(즉, 잉크가 함침되어 있지 않는 잉크흡장체(3)에 최초로 잉크를 공급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잉크와 공기와의 교체가 되고, 단시간에서 필기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는,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펜 촉(2) 후단 근방에 위치하는 구성에 의해,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로부터 잉크가 공급되 어도 펜 촉(2)에 잉크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초기 잉크유출시 확실하게 단시간에서 필기가능하게 된다.
[15]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의 형태의 직액식 필기구(1)는, 펜 촉(2)과, 상기 펜 촉(2)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3)와,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흡장체(3)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6)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6)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며,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 내부의 펜 촉(2) 후단 근방에 위치되고,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의 축 방향의 위치가 서로 같게 설정되어 되는 것(청구항 15)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5)의 연통관(6)은, 그 각각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공급하는 기능과, 외기를 잉크탱크(7) 내에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로 공급할 때, 펜 촉(2)을 하향상태로 하면, 중력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가, 적어도 하나의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흡장체(3)에 공급되고, 잉크흡장체(3) 내부에서 함침된다. 그와 동시에, 외기가 다른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탱크(7) 내로 들어오게 된다. 즉, n개의 연통관(6)의 경우(n는 2 이상의 정수), 하나 이상이고 또한 (n-1) 개 이하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하고, 다른 나머지의 연통관(6)이 공기의 공급을 한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가 일정량으로 되면, 상기 외기를 들어오게 하고 있던 다른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가, 상기 함침잉크에 의한 액체 실 상태로 되고, 일시적으로 폐쇄되며, 잉크탱크(7) 내로의 외기의 공급은 정지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잉크공급을 하고 있던 연통관(6)에 의한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로의 잉크공급도 정지되고, 그 결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가 액체 실 상태로 되며 일시적으로 폐쇄되고, 잉크탱크(7)로부터의 잉크유출과 잉크탱크(7)로의 공기유입(즉, 잉크와 공기의 교체)이 정지상태로 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5)는,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의 모두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의 액체 실에 의해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로 과잉의 잉크를 공급하는 일이 없고, 펜 촉(2) 측으로부터 외부로 잉크가 누출될 우려가 없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0)(청구항 15)은,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의 축 방향의 위치가 서로 같게 설정되는 구성(즉,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서로 전후로 떨어져 있지 않은 구성)이기 때문에,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서의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의 상호 간의 거리가 한층 짧게 되고,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의 액체 실성이 향상되며, 외부로의 잉크누출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5)는, 연통관(6)을 복수개(즉, 2개 이상) 가짐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하는 경우, 다른 연통관(6)이 공기공급을 하게 된다. 그 때문에, 초기 잉크유출시(즉, 잉크가 함침되어 있지 않은 잉크흡장체(3)에 최초로 잉크를 공급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잉크와 공기 와의 교체가 되고 단시간에서 필기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5)는,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펜 촉(2) 후단 근방에 위치되어 되는 구성에 의해, 어느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로부터 잉크가 공급되어도 펜 촉(2)에 잉크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초기 잉크유출시 확실하게 단시간에서 필기 가능하게 된다.
[16]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의 형태의 직액식 필기구(1)는, 펜 촉(2)과, 상기 펜 촉(2)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3)와,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흡장체(3)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6)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6)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며,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펜 촉의 후단이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위치하여 되는 것(청구항 16)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6)의 연통관(6)은, 그 각각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으로 공급하는 기능과, 외기를 잉크탱크(7) 내로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로 공급할 때, 펜 촉(2)을 하향상태로 하면, 중력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가 적어도 하나의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으로 공급되고,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서 함침된다. 그와 동시에, 외기가 다른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탱크(7) 내에 들어오게 된다. 즉, n개의 연통관(6)의 경우 (n은 2 이상의 정수), 하나 이상이고, (n-1) 개 이하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하고, 다른 나머지의 연통관(6)이 외기의 공급을 한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함침된 잉크가 일정량으로 되면, 상기 외기를 들어오게 한 다른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가, 상기 함침잉크에 의한 액체 실 상태로 되고 일시적으로 폐쇄되며, 잉크탱크(7) 내로의 외기의 공급은 정지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잉크공급을 하고 있던 연통관(6)에 의한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로의 잉크공급도 정지되고, 그 결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가 액체 실 상태로 되며, 일시적으로 폐쇄되고, 잉크탱크(7)로부터의 잉크유출과 잉크탱크(7)로의 공기유입(즉, 잉크와 공기의 교체)이 정지상태로 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6)는,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의 모두가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위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의 모두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함침된 잉크의 액체 실에 의해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로 과잉의 잉크를 공급하는 일이 없고, 펜 촉(2) 측으로부터 외부로 잉크가 누출될 우려가 없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6)는, 펜 촉(2)의 후단이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펜 촉(2) 전체의 길이 치수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탱크(7)로부터의 윤택한 잉크가,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을 통하여 펜 촉(2) 후단에 공급된 후, 상기 펜 촉(2)의 선단에 신속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필적의 끊어짐이나 필적의 긁힘이 없는 펜 촉(2)으로부터의 원활한 잉크유출성이 얻어진다. 또, 펜 촉(2) 전체의 길이 치수를 짧 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펜 촉(2)의 코스트를 염가로 억제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6)는, 연통관(6)을 복수 개(즉, 2개 이상) 가짐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할 경우, 다른 연통관(6)이 공기공급을 하게 된다. 그 때문에, 초기 잉크유출시(즉, 잉크가 함침되어 있지 않은 잉크흡장체(3)에 최초로 잉크를 공급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잉크와 공기와의 교체가 되고 단시간에서 필기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6)는, 온도상승 등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압력이 상승한 때, 잉크탱크(7) 내로부터 밀어내어진 잉여분의 잉크는, 상기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으로 공급되고, 또, 잉크흡장체(3)의 내부 후방에 공급되어 일시적으로 함침된다. 한편, 온도저하 등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압력이 감소한 때, 잉크흡장체(3)의 내부 후방에 함침된 잉크가,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을 통하여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탱크(7) 내로 되돌려진다.
즉,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의 앞 부분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에 의해 잉크탱크(7) 내가 압력 변화한 때, 잉크탱크(7) 내의 잉여분 잉크를 적정하게 잉크흡장체(3)에 일시적으로 흡수시키고, 그 후 그 잉여분 잉크를 잉크탱크(7)로 적정하게 되돌릴 수 있다. 그 결과, 잉크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17]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7)의 연통관(6)은, 그 각각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공급하는 기능과, 외기를 잉크탱크(7) 내의 잉크(8)를 잉크흡장체(3)에 공급할 때, 펜 촉(2)을 하향상태로 하면, 중력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잉크(8)가 적어도 하나의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흡장체(3)에 공급되고, 잉크흡장체(3) 내부에서 함침된다. 그와 동시에, 외기가 다른 연통관(6)을 통하여 잉크탱크(7) 내에 들어오게 된다. 즉, n개의 연통관(6)의 경우(n은 2 이상의 정수), 하나 이상 또는 (n-1) 개 이하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하고 다른 나머지의 연통관(6)이 외기의 공급을 한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가 일정량이 되면, 상기 외기를 들어오게 하고 있던 다른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가 상기 함침잉크에 의한 액체 실상 태로 되고 일시적으로 폐쇄되며, 잉크탱크(7) 내로의 외기의 공급은 정지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잉크공급을 하고 있던 연통관(6)에 의한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로의 잉크공급도 정지되고, 그 결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가 액체 실 상태로 되며 일시적으로 폐쇄되며 잉크탱크(7)로부터의 잉크유출과 잉크탱크(7)로의 공기유입(즉, 잉크와 공기의 교체)이 정지상태로 된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7)는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의 모두를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의 액체 실에 의해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탱크(7)로부터 잉크흡장체(3)에 과잉의 잉크를 공급하는 일은 없고, 펜 촉(2) 측으로부터 외부로 잉크가 누출될 우려가 없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7)는 연통관(6)을 복수 개(즉, 2개 이상) 가짐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연통관(6)이 잉크공급을 하는 경우, 다른 연통관 (6)이 공기공급을 하게 된다. 그 때문에 초기 잉크유출시(즉, 잉크가 함침되어 있지 않은 잉크흡장체(3)에 최초로 잉크를 공급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잉크와 공기와의 교체가 되고 단시간에서 필기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의 형태의 직액식 필기구(1)는, 펜 촉(2)과, 상기 펜 촉(2)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3)와,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8)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탱크(7)와, 상기 잉크흡장체(3)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6)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의 형태의 상기 직액식 필기구(1)는 상기 연통관(6)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며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위치된다.
[18]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3 내지 17)에 있어서, 상기 펜 촉(2)의 후단과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는, 상기 잉크흡장체(3)를 통하여 잉크유통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청구항 18)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8)는, 상기 펜 촉(2)의 후단과,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어도 펜 촉(2)의 후단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의 잉크흡장체(3) 내부에는 일정량의 잉크가 함침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펜 촉 상향상태나 필기구 본체의 수평상태 등의 잉크탱크(7)로부터의 잉크공급이 없는 경우에서도, 상기 펜 촉(2)의 후단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의 잉크흡장체(3) 내부에 함침된 잉크에 의해 충분히 필기 가능하게 된다.
[19]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3 내지 18)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을 잉크흡장체(3)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삽입하고, 잉크흡장체(3)의 내부를 전방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3)의 밀도를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부분의 잉크흡장체의 밀도보다도 높게 설정하는 것(청구항 19)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9)는, 잉크흡장체(3)가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근방의 밀도를 높게 설정한 부분(고밀도부(31))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부분의 밀도를 낮게 설정한 부분(저밀도부(32))을 구비한다. 그 때문에, 잉크흡장체(3) 내부에서의 잉크를 저밀도부(32) 보다도 고밀도부(31)에 우선하여 함침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를 함침잉크에 의해, 확실하게 액체 실할 수 있다. 그 결과, 온도저하 등에 의해 잉크탱크(7) 내의 압력이 감소한 때, 잉크흡장체(3) 내에 함침된 잉크가 잉크흡장체(3) 내에 잔류하는 일이 없고,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로부터 연통관(6)을 통하여, 적정하게 잉크탱크(7) 내로 되돌려진다.
또,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9)는, 잉크흡장체(3)의 밀도차(즉, 잉크흡장체(3)의 밀도차(즉,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와 저밀도부(32))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을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삽입하고, 잉크흡장체(3)의 내부를 전방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형성하기 때문에 연통관(6)을 잉크흡장체(3)에 조립하기 전에, 미리 잉크흡장체(3)에 밀도차를 설정할 필요가 없고, 제조가 대단히 용이하게 된다.
[20]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을 끝이 날카로운 형상으로 한 것 (청구항 20)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20)는,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끝이 날카로운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연통관(6)을 잉크흡장체(3)의 후단으로부터 스무드하게 푹 찔러서 삽입할 수 있다. 그 결과, 미리 잉크흡장체(3)에 연통관 삽입용의 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21]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그 전단 개구부를 포함하는 경사 컷 면(61)으로 되는 것(청구항 21)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의 끝이 날카로운 형상을 그 전단 개구부를 포함하는 경사 컷 부(6)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연통관(6)의 잉크흡장체(3)로의 찔러서 삽입하는 삽입 성이, 보다 한층 향상하는 동시에 각각의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의 개구면적이 증가되고, 잉크흡장체(3)의 내부로의 잉크의 공급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22]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3 내지 21)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 S1, S2 가 상기 잉크흡장체(3) 전체의 축 방향의 길이 L의 3% 이상 50% 이하에 설정되는 것(청구항 22)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22)는, 잉크탱크(7)의 내압상승시에 잉크흡장 체(3)의 전단으로부터 잉크가 누출하는 일이 없고, 더구나 필적의 끊어짐이나 필적의 긁힘이 없는 펜 촉(2) 선단으로부터의 충분한 잉크유출 성이 얻어진다. 만약 잉크흡장체(3)의 전단으로부터 그 후방에 위치하는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 S1, S2 가 잉크흡장체(3) 전체의 축 방향의 길이의 3% 미만이면, 잉크탱크(7)의 내압상승시에 잉크흡장체(3)의 전단으로부터 잉크가 누출될 우려가 있다. 또, 만약 잉크흡장체(3)의 전단으로부터 그 후방에 위치하는 연통관(6)의 각각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 S1, S2 가 잉크흡장체(3) 전체의 축 방향의 길이의 50%를 넘으면,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으로부터 펜 촉(2) 선단까지의 거리가 길게 되고 잉크유출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23]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3 내지 22)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13)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 S1, S2 가 같게 설정되는 것(청구항 23)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23)는,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서의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의 상호 간의 거리가 한층 짧게 되고,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의 액체 실 성이 향상되며, 외부로의 잉크누출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다.
[24]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3 내지 23)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과 상기 펜 촉(2)의 후단과의 축 방향의 거리 T1, T2 가 10mm 이내에 설정되는 것(청구항 24)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24)는, 초기 잉크유출시,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으로부터 펜 촉(2)의 후단으로 잉크가 신속하게 공급되고, 단시간에서 필기 가능하게 된다. 만약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과 펜 촉(2)의 후단과의 축 방향의 거리 T1, T2 가 10mm를 초과하면,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과 펜 촉(2)의 후단과의 거리가 크게 되고,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으로부터 펜 촉(2)의 후단으로의 신속한 잉크공급이 될 수 없으며, 초기 잉크유출시 필기가능으로 될 때까지에 상당한 시간을 요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은, 펜 촉(2)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있어도 되고, 혹은 펜 촉(2)의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있어도 된다.
[25]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3 내지 24)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과 상기 펜 촉(2)의 후단과의 사이의 간격이 같게 설정되는 것(청구항 25)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25)는, 초기 잉크유출시, 잉크탱크(7)로부터의 잉크가, 복수 개의 연통관(6) 중에서, 어느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로부터 펜 촉(2)의 후단으로 공급된 경우에서도 흐트러짐 없이 일정시간으로 필기 가능하게 된다.
[26]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3 내지 25)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 및 후단면이 외기와 연통 되는 것(청구항 26)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26)는, 잉크흡장체(3)의 내부의 공기를,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 및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그것에 의 해, 잉크흡장체(3)의 내부의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의 연통관(6)의 전단 근방으로부터, 잉크흡장체(3)의 전단방향 및 연통관(6)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3)의 내부로부터 잉크흡장체(3)의 후단방향으로 스무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과 외기가 연통 됨으로써, 온도상승 등에 의한 잉크탱크(7) 내의 압력상승시, 잉크탱크(7) 내로부터 밀어내어진 잉크가 스무드하게 연통관(6)의 전단으로부터 잉크흡장체(3)의 연통관(6)의 전단 근방을 통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 잉크흡장체(3)의 후방에 함침되며, 잉크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고, 한편 온도저하 등에 의한 잉크탱크(7) 내의 압력감소시, 잉크흡장체(3)의 후방의 함침 잉크를, 잉크흡장체(3) 내부의 연통관(6)의 전단 근방을 통하여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로부터 연통관(6)내를 통하여 잉크탱크(7) 내로 되돌릴 수 있다.
[27]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3 내지 26)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내부에 모세 간극을 구비한 잉크흡수체(63)를 배치한 것(청구항 26)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27)에 의해, 연통관(6)의 구부러짐을 억제하기 위하여 각각의 연통관(6)의 외경 및 내경을 비교적 크게 설정한 경우에서도,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의 적정한 액체 실이 얻어진다.
[28]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13 내지 27)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측벽을 서로 연결하는 것(청구항 28)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1)(청구항 28)에 의해, 각각의 연통관(6)의 굴곡 강도가 향상되고, 각각의 연통관(6)의 구부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연통관)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통관(6)은, 일정한 강성을 구비하는 점에서, 합성수지제 또는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통관(6)의 외주면 및 내주면의 횡단면 형상은, 예컨대 원형, 타원 또는 3각형, 4각형 등의 다각형 등 어느 것이라도 된다. 또, 상기 연통관(6)의 개수는 복수 개(즉, 2개 이상)이면 되고, 예컨대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은 전후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되고, 그 각각의 내부에 유통로(62)가 전후방향으로 관통 설치된다. 또, 상기 복수 개의 연통관(6)이라는 것은, 그 내부에 독립한 복수의 유통로(62)가 병렬로 형성된 구성이면 되고, 예컨대 각각의 연통로(6)가 직경 방향으로 이격한 구성(도 1 내지 도 6 참조), 각각의 연통관(6)의 측벽이 서로 연결된 구성(도 7 내지 도 9 참조), 또는 대경의 연통관(6a)의 내부에 소경의 연통관(6b)을 배치한 구성(도 10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은, 펜 촉(2)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 상에 같은 간격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을 축 방향 전방에 개구하여도 되고,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개구하여도 된다. 또,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의 형상은, 예컨대 경사 컷 면, 수직면, 원추면, 볼록곡면 등을 들 수 있다.
(잉크흡장체)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잉크흡장체(3)는, 잉크를 함침 가능한 연속기공을 갖는 부재(즉, 다공질재료)로 되는 것이면 좋고, 예컨대 섬유 다발의 열융착 가공 체, 섬유 다발의 수지가공체, 펠트의 수지가공체, 펠트의 니들펀치 가공체, 합성수지의 연속 기포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잉크흡장체(3)는, 그 외주 면에 합성수지 필름 등으로 되는 외피를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이라는 것은, 잉크흡장체(3)의 전반부의 내부의 것이다. 상기 잉크흡장체(3)는 단일의 부재라도 좋고, 모세관력이 다른 복수의 부재라도 좋다.
(펜 촉)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펜 촉(2)은, 예컨대 섬유 다발의 수지가공체, 섬유 다발의 열 융착 가공체, 펠트 가공체, 파이프 상 펜체, 선단에 슬릿을 갖는 만년필 상 펜 체, 모필 펜 체, 합성수지의 다공질 기포체, 볼펜 칩, 축 방향의 잉크 유도로를 갖는 합성수지의 압출 성형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펜 촉(2)의 후단을 구성하는 재료는, 적어도 잉크흡장체(3)와의 적정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모세 간극을 구비한 부재이면 되고, 예컨대 섬유 다발의 수지가공체, 섬유 다발의 열 융착 가공체, 펠트 가공체, 합성수지의 다공질 기포체 등의 다공질재료 또는 축 방향의 잉크 유도로를 갖는 합성수지의 압출 성형체를 들 수 있다.
(잉크흡수체)
또한, 상기 잉크수용체(63)는 모세 간극을 구비하는 것이면 되고, 예컨대 섬유 다발의 수지가공체, 섬유 다발의 열 융착 가공체, 펠트 가공체, 합성수지의 다공질 기포체 등의 다공질 재료, 또는 축 방향의 잉크 유도로를 갖는 합성수지의 압출 성형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잉크흡수체(63)의 모세관력은 잉크흡장체(3) 내부의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근방 부분(고밀도부(31))의 모세관력 보다도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
(제1 실시 예)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직액식 필기구(1)를 도 1 내지 도 2에 표시한다.
본 실시 예의 직액식 필기구(1)는, 펜 촉(2)과 상기 펜 촉(2)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3)와, 상기 펜 촉(2)을 전단부에서 보존하고 또한 상기 잉크흡장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흡장체 수용부와, 상기 흡장체 수용부의 후방에 부착되고, 내부에 잉크(8)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7)와, 상기 흡장체 수용부와 상기 잉크탱크(7)를 구획하는 격벽(52)과, 상기 격벽(52)의 앞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잉크흡장체(3)의 내부에 푹 찔러서 접속되는 복수 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연통관(6)으로 된다. 상기 흡장체 수용부는, 상기 펜 촉(2)을 보존하는 촉 부재(4)와, 상기 촉 부재(4)와 상기 잉크탱크(7)를 접속하는 중간부재로 된다.
·펜 촉
상기 펜 촉(2)은, 합성수지제 섬유(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나일론 섬유 등)의 수지가공에 의해 얻어지는 봉상체이다. 상기 펜 촉(2)의 선단은 포탄상으로 연삭된다. 상기 펜 촉(2)의 후단부 외주면은 테이퍼 상으로 모따기 된다. 상기 펜 촉(2)의 중간부는, 환상 홈(21)이 형성된다.
·잉크흡장체
상기 잉크흡장체(3)는, 원주상의 합성 수지제 섬유(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가공체로 된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외주 면에는 원통 상의 외피가 피복 되어 있다. 상기 외피는 합성수지제 필름(예컨대, 폴리에틸렌 텔레프타레이트제 필름)으로 된다.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 면의 축 심에 펜 촉(2)의 후단이 푹 찔러서 삽입되고, 상기 펜 촉(2)의 후단이 상기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위치된다.
·촉 부재
상기 촉 부재(4)는, 합성수지(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통상체이다. 상기 촉 부재(4)는 펜 촉(2) 외주 면을 보존하는 소경부(41)와, 이 소경부(41)보다 후방에 연설 되고, 잉크흡장체(3)의 앞 부분 외주 면을 보존하는 대경부(42)로 된다.
상기 촉 부재(4)의 내면(즉, 소경부(41)의 내면으로부터 대경부(42)의 내면까지)에는, 전후방향으로 뻗는 복수 개의 리브(4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43)는, 상기 촉 부재(4)의 소경부(41)와 대경부(42)와의 중간부에 있어서, 단(step) 형상의 규제벽부(43a)가 형성된다. 상기 규제벽부(43a)에 잉크흡장체(3)의 전단이 축 방향으로 맞닿고, 상기 대경부(42)의 내면의 리브(43)에 잉크흡장체(3)의 앞 부분 외주 면이 압접 보존된다. 상기 리브(43)는, 상기 소경부(41) 내면에 있어서, 걸림 볼록부(43b)가 형성된다. 상기 소경부(41) 내면에 있어서, 리브(43)에 의한 펜 촉(2)의 외주 면이 직경 방향으로 압접 보존되는 동시에, 상기 걸림 볼록부(43b)에 펜 촉(2) 외주 면의 환상 홈(21)에 걸어 맞추고, 펜 촉(2)의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상기 리브(43)에 의해, 잉크흡장체(3)의 앞부분 외주면과 대경부(42)의 내면 과의 사이, 잉크흡장체(3)의 전단 면과 촉 부재(4)의 중간부 내면과의 사이 및 펜 촉(2) 외주 면과 소경부(41) 내면과의 사이에, 공기 통로(10)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로(10)의 전방은 촉 부재(4)의 전단으로부터 외부로 개구되는 동시에, 상기 공기통로(10)의 후방은,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과 연통하고 있다. 즉, 상기 공기통로에 의해, 잉크흡장체(3)의 전단면 및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이 외기와 연통된다.
·중간부재
상기 중간부재(5)는, 합성수지(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 에틸렌 등)의 사출성형으로부터 얻어지는 통상체이다. 상기 중간부재(5)는, 전방에 개구하는 전방 통부(51)와, 이 전방 통부(51)의 저부에 형성되는 격벽(52)과, 이 격벽(52)으로부터 후방으로 뻗어서 설치되고, 후방으로 개구하는 후방 통부(53)와, 상기 격벽(52) 전면으로부터 축 방향 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구체적으로는 2개)의 연통관(6)이 일체로 연설되어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격벽(52)과 연통관(6)이 일체로 연설되어 된다. 이 이외에도 별도 부재로 되는 격벽(52)과 연통관(6)을 고착시키는 구성이라도 된다.
상기 전방 통부(51)의 내주 면에는 상기 촉 부재(4)의 대경부(42) 외주 면이 압입 고착된다. 상기 전방 통부(51), 격벽(52) 및 촉 부재(4)의 대경부(4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즉, 흡장체 수용부)에 잉크흡장체(3)가 수용된다. 상기 후방 통부(53)에는 잉크탱크(7)의 개구부가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방 통부(53)에는 잉크탱크(7)의 개구부가 나사 끼워 맞춤에 의해 착탈이 자유 롭게 부착된다.
상기 격벽(52)과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은 비접촉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격벽(52)과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과의 사이에는, 외기와 연통하는 극간(9)이 형성된다. 상기 극간(9)은 상기 공기통로(10)를 통하여 외기와 연통된다.
·연통관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내부에는, 축 방향으로 유통로(62)가 설치되고, 상기 유통로(62)가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양단에서 개구된다.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개구되고,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후단은, 잉크흡장체(3) 후방의 잉크탱크(7) 내에 개구된다. 상기 복수 개의 연통관(6)은 잉크흡장체(3)와 잉크탱크(7)와의 사이에 병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잉크흡장체(3)와 그 후방의 잉크탱크(7)와의 사이에 독립된 복수 개의 유통로(62)가 병렬로 설치된다.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은, 전단이 하나의 경사 컷 면(61)으로 되고, 끝이 날카롭게 된다.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후단으로부터 푹 찔러서 삽입되고, 최후는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의 펜 촉(2) 후단 근방에 위치된다.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에 푹 찔러서 삽입될 때,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의 섬유를 전방으로 압압 압축한다. 그것에 의해, 각각의 연통관(6)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3)의 섬유 밀도가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부분의 잉크흡장체(3)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게 설정된다. 즉, 잉크흡장체(3) 내부에 섬유 밀도가 높은 고밀도부(31)와, 섬유 밀도가 낮 은 저밀도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상기 고밀도부(31)가 형성되고, 잉크흡장체(3)의 내부 후방에 상기 저밀도부(32)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연통관(6)은, 저밀도부(32)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관통되고,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저밀도부(32)보다 전방의 고밀도부(31)의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부(32)의 공극율(기공율)은 85%~93%에 설정되고, 상기 저밀도부(32)의 공극율과 상기 고밀도부(31)의 공극율과의 차는 20%에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밀도부(32)의 공극율은 70~95%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부(32)의 공극율과 상기 고밀도부(31)의 공극율과의 차는 7% 이상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저밀도부(32)의 공극율과 상기 고밀도부(31)의 공극율과의 차는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축 심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은 잉크흡장체(3)의 축 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연통관(6)은 2개이므로, 상기 연통관(6)은 잉크흡장체(3)의 축 심에 대하여, 180도 대칭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펜 촉(2)에 잉크흡장체(3)의 축 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은, 펜 촉(2) 후단과 직접 접속되지 않고 펜 촉(2)과 비접촉 상태에 있으며,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고밀도부(31))을 통하여 잉크 유통가능하게 접속된다. 또,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은 펜 촉(2)의 후단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의 경사 컷 면(61)은,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 컷 면(61)(즉,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은, 잉크흡장체(3)의 축 심 방향(즉, 펜 촉(2) 후단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잉크가 펜 촉(2) 후단에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는 동시에 연통관(6)의 전단에 의한 섬유의 압압 압축이 펜 촉(2) 후단 근방에서 적정하게 시행되고, 펜 촉(2) 후단 근방의 섬유 밀도를 용이하게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외면 및 내면의 횡단면은 원 형상이고,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의 외주 가장자리 및 내주 가장자리는 경사 컷 면(61)에 의해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축 방향의 거리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3) 전체의 축 방향의 길이 L는 30mm에 설정된다. 또,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 S1, S2는 양자 모두 4mm에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 S1, S2는, 상기 잉크흡장체(3) 전체의 축 방향의 길이 L의 13.3%(즉 3%~50%의 범위 내)이다. 또,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과 상기 펜 촉(2)의 후단과의 축 방향의 거리 T1, T2는 양자 모두 1mm(즉 10mm 이내)에 설정된다.
·잉크탱크
상기 잉크탱크(7)는, 전단이 개구되고 후단이 폐쇄된 바닥이 있는 통상체이며,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또는 블로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잉크탱크(7) 내에는 바로 잉크(8)가 저류된다. 상기 잉크탱크(7) 내에 저류되는 잉크는 수성잉크, 유성잉크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상기 잉크탱크(7)의 전단 개구부는, 중간부재(5)와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상기 잉크탱크(7)의 잉크(8)가 소비되고 필기 불능으로 된 경우, 상기 잉크탱크(7)를 중간부재(5)로부터 떼고, 이 잉크탱크(7)의 내부에 잉크(8)를 충전한 후, 또는 내부에 잉크(8)가 충전된 새로운 잉크탱크(7)와 교환한 후, 상기 내부에 잉크(8)가 충전된 잉크탱크(7)를 중간부재(5)에 부착한다. 그것에 의해, 다시 필기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3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표시한다.
본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이고, 제1 실시 예와 다른 점은 잉크흡장체(3)의 앞 부분 외주 면을 직경 방향 안쪽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잉크흡장체(3)의 앞 부분에 고밀도부(31)을 형성한 점이다.
촉 부재(4)의 대경부(42)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43)는, 그 내접원의 직경이 잉크흡장체(3)의 앞 부분의 외경보다도 비교적 크게 설정된다. 상기 잉크흡장체(3)는, 촉 부재(4)에 압입전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균일한 밀도 분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촉 부재(4)의 대경부(42)에 상기 잉크흡장체(3)의 앞 부분을 압입하면, 상기 리브(43)에 의해 상기 잉크흡장체(3)의 앞 부분 외주 면이 직경 방 향 안쪽으로 압압 압축되고, 그것에 의해 잉크흡장체(3)의 앞 부분에 고밀도부(31)가 형성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고밀도부(31)의 후방은, 잉크흡장체(3)의 외주 면이 직경 방향으로 압축되지 않기 때문에 저밀도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대경부(42) 내면의 리브(43)의 직경 방향 안쪽에는,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및 펜 촉(2)의 후단이 위치되기 때문에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근방 및 펜 촉(2)의 후단 근방에 고밀도부(31)를 적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예)
도 4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표시한다.
본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이고, 제1 실시 예와 다른 점은 잉크흡장체(3)의 전단 면을 후방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잉크흡장체(3)의 앞 부분에 고밀도부(31)를 형성한 점이다.
촉 부재(4)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43)의 규제벽부(43a)에는, 후방으로 크게 돌출하는 돌입부(43c)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잉크흡장체(3)는, 촉 부재(4)에 압입전은, 전후 방향에서 균일한 밀도분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촉 부재(4)의 대경부(42)내에 상기 잉크흡장체(3)의 앞 부분을 삽입하면, 상기 돌입부(43c)가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 면에 깊이 삽입되고, 잉크흡장체(5)의 전단 면이 후방으로 압압 압축되며, 그것에 의해, 잉크흡장체(3)의 앞 부분에 고밀도부(31)가 형성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고밀도부(31)의 후방은, 잉크흡장체(3)의 외주 면이 압압, 압축되지 않기 때문에, 저밀도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돌입부 (43c) 후단은,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근방 및 펜 촉(2)의 후단 근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근방 및 펜 촉(2)의 후단 근방에 고밀도부(31)를 적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 예)
도 5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표시한다.
본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이고, 제1 실시 예와 다른 점은, 잉크흡장체(3)가 고밀도부(31)를 구성하는 제1의 잉크흡장체와 저밀도부(32)를 구성하는 제2의 잉크흡장체로 되는 점이다.
제1의 잉크흡장체의 섬유밀도는 미리 높게 설정되는 동시에, 제2의 잉크흡장체의 섬유밀도는 상기 제1의 잉크흡장체의 섬유밀도보다 미리 낮게 설정된다. 상기 제1의 잉크흡장체의 후단면과, 제2의 잉크흡장체의 전단 면과는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연통관(6)의 각각은 상기 제2의 잉크흡장체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푹 찔러서 접속된다. 또, 펜 촉(2)의 후단이 제1의 잉크흡장체의 전단 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푹 찔러서 접속된다. 그것에 의해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 근방 및 펜 촉(2)의 후단 근방에는 고밀도부(31)가 적정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 예)
도 6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를 표시한다.
본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이고, 제1 실시 예와 다른 점은, 섬유가공체로 되는 잉크흡수체(63)를 각각 연통관(6)의 유통로(62)내에 수용한 점이다. 상기 잉크흡수체(63)의 섬유밀도(모세관력)는, 잉크흡장체(3)의 고밀도부(31)의 섬유밀도(모세관력)보다 작게 설정된다. 상기 잉크흡수체(63)를 연통관(6)에 수용함으로써 연통관(6)의 외경 및 내경을 비교적 크게 설정하여도, 연통관(6)의 전단 개구부에 적정하게 액체 실할 수 있다. 그 결과, 연통관(6)의 외경 및 내경을 크게 설정할 수 있고, 연통관(6)의 구부러짐 방지에 유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6 실시 예)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를 표시한다.
본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이고, 제1 실시 예와 다른 점은 각각의 연통관(6)의 측벽을 축 방향으로 뻗는 판상 리브(64)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한 점이다. 그것에 의해, 각각의 연통관(6)의 굴곡 강도가 향상되고, 잉크흡장체(3)로의 안정된 천공 삽입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다른 연통관(6)의 예를 표시한다.
이것은 연통관(6)의 각각의 측벽을 서로 연결한 다른 예이다. 즉, 이 예에서는, 하나의 통상체의 내부를 길이 방향으로 뻗는 칸막이 벽에 의해 구획한 구성 혹은 다른 말로 하면, 횡단면 반월상의 2개의 연통관(6)을 횡단면 원형상으로 되도록 일체로 연결한 구성이다. 그것에 의해, 통상체의 내부에 횡단면 반월상의 2개 의 유통로(62)가 독립되어 병렬로 설치된다.
도 10에 다른 연통관(6)의 예를 표시한다.
이것은 대경의 연통관(6a)의 내부에 소경의 연통관(6b)을 배치한 구성의 예이다. 이 예에서는, 대경의 연통관(6a)의 내주면과 소경의 연통관(6b)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횡단면 환상의 유통로(62)가 형성되고 소경의 연통관(6b)의 내부에 횡단면 원형상의 유통로(62)가 형성된다.
(제7 실시 예)
도 11에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를 표시한다.
본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이고, 제1 실시 예와 다른 점은 펜 촉(2)의 선단이 끌(chisel) 형상을 갖는 점 및 연통관(6)과 격벽(52)이 별도 부재로 되는 점이다.
상기 격벽(52)에는, 전후 방향으로 2개의 부착구멍(52a)이 관통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부착구멍(52a)에 연통관(6)이 압입 고착된다. 또, 상기 격벽(52)의 앞면에는, 상기 부착구멍(52a)이 전방으로 개구되는 환상 볼록부(52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환상 볼록부(52b)와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이 접촉되고,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과 격벽(52)과의 사이에, 상기 환상 볼록부(52b)의 돌출치수에 따른 극간(9)이 적정하게 형성된다. 또, 상기 잉크흡장체(3)의 전단 면이 규제벽부(43a)에 접촉되고, 또한 상기 잉크흡장체(3)의 후단면이 상기 환상 볼록부(52b)에 의해 접촉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잉크흡장체(3)의 전후 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점은, 제1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8 실시 예)
도 12에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를 표시한다.
본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이고, 펜 촉(2)이 볼펜 칩으로 된다. 상기 펜 촉(2)은,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볼(22)을 안고 있는 홀더(23)와, 이 홀더(23) 내에 삽입 장착되는 잉크 유도부재(24)로 된다. 상기 잉크 유도부재(24)는 봉 상의 합성수지제 섬유의 수지가공체로 되고, 그 후단이 잉크흡장체(3)의 전단으로부터 천공 삽입되며, 잉크흡장체(3)의 내부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또 촉 부재(4)의 소경부(41) 측벽에는 공기구멍(44)이 뚫려서 설치된다. 상기 공기구멍(44)에 의해 외기와 촉 부재(4)내의 공기통로(10)가 연통 된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9 실시 예)
도 13에 제9 실시 예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이고 제1 실시 예와 다른 점은,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축선에 대하여 수직면인 점에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0 실시 예)
도 14는 제10 실시 예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이고, 제1 실시 예와 다른 점은, 연통관(6)의 전단이 축선에 대하여 수직면인 점과,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축 방향 전방에 개구되지 않고, 복수의 창구멍(65)에 의해 직경방향 바깥쪽에 개구하고 있는 점에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1 실시 예)
도 15에 제11 실시 예를 표시한다.
본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이고, 제1 실시 예와 다른 점은, 연통관(6)의 각각의 전단이 축선에 대하여 수직면인 점과, 잉크흡장체(3)의 축심의 관통구멍에 펜 촉(2)의 후부가 압입되고, 펜 촉(2)의 후단이 잉크흡장체(3)의 내부 후방(잉크흡장체(3)의 후반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청구항 1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탱크 내의 잉크가 펜 촉 측으로부터 누출될 우려가 없고, 더구나 초기 잉크유출시에 신속하게 공기와 잉크가 교체되며, 단시간에서 필기 가능하게 되고, 또 펜 촉 상향상태나 필기구 본체의 수평 상태 등의 잉크탱크로부터의 잉크 공급이 없는 경우에서도, 잉크흡장체 내부에 함침된 잉크에 의해 충분히 필기 가능하게 되며 또한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탱크 내의 잉크가 펜 촉 측으로부터 누출될 우려가 없고, 더구나 초기 잉크유출시에 신속하게 공기와 잉크가 교체되며, 단시간에서 필기 가능하게 되고, 또 펜촉 상향 상태나 필기구 본체의 수평 상 태 등의 잉크탱크로부터의 잉크공급이 없는 경우에서도, 잉크흡장체 내부에 함침된 잉크에 의해 충분히 필기 가능하게 되며, 더구나 잉크흡장체를 수용하는 부분의 외경을 크게 하는 일 없이 충분한 용적의 저밀도부를 설정할 수 있고, 또한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연통관을 잉크흡장체에 조립하기 전에 미리 잉크흡장체에 밀도차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제조가 지극히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4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미리 잉크흡장체에 밀도차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제조가 지극히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5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미리 잉크흡장체에 밀도차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제조가 지극히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6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흡장체에 밀도차를 흐트러짐 없이 확실하게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연통관의 구부러짐을 억제하기 위하여 각각의 연통관의 외경 및 내경을 비교적 크게 설정한 경우에서도, 연통관의 전단 개구부의 적정한 액체 실이 얻어진다.
청구항 8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흡장체의 내부에서의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의 상호 간의 거리가 한층 짧게 되고,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의 액체 실성이 향상되며, 외부로의 잉크 누출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어느 연통관의 전단 개구부로부터 잉크가 공급되어도, 펜 촉에 잉크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초기 잉 크 유출시, 확실하게 단시간에 필기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0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펜촉 상향상태나 필기구 본체의 수평 상태 등의 잉크탱크로부터의 잉크 공급이 없는 경우에서도, 상기 펜 촉의 후단과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의 잉크흡장체 내부에 함침된 잉크에 의해 충분히 필기 가능하게 된다. 또, 잉크탱크로부터 펜 촉에 과잉의 잉크가 공급되어 외부에 누출할 우려도 없다.
청구항 11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흡장체의 내부의 연통관의 전단 개구부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상기 잉크흡장체의 내부의 연통관의 전단 근방으로부터, 잉크흡장체의 전단 방향 및 연통관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의 내부로부터 잉크흡장체의 후단 방향으로 수무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12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각각의 연통관의 굴곡 강도가 향상되고, 각각의 연통관의 구부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3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탱크 내의 잉크가 펜촉 측으로부터 누출할 우려가 없고, 더구나 초기 잉크 유출시에 신속하게 공기와 잉크가 교체되며, 단시간에 필기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탱크 내의 잉크가 펜 촉 측으로부터 누출할 우려가 없고, 더구나 초기 잉크유출시에 신속하게 공기와 잉크가 교체되며 또한 어느 연통관의 전단 개구부로부터도 펜 촉의 후단으로 신속하게 잉크가 공급되며 확실하게 단시간에 필기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5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탱크 내의 잉크가 펜촉 측으로부 터 누출할 우려가 없고, 더구나 초기 잉크 유출시에 신속하게 공기와 잉크가 교체되며 또한 어느 연통관의 전단 개구부로부터도 펜 촉의 후단으로 신속하게 잉크가 공급되며, 확실하게 단시간에 필기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6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탱크 내의 잉크가 펜 촉 측으로부터 누출할 우려가 없고, 또 펜 촉의 길이 치수를 짧게 하며, 펜 촉의 코스트를 억제하는 동시에 펜 촉으로부터의 잉크유출성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더구나 초기 잉크유출시에 신속하게 공기와 잉크가 교체되며, 단시간에 필기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7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탱크 내의 잉크가 펜 촉 측으로부터 누출할 우려가 없고, 더구나 초기 잉크유출시에 신속하게 공기와 잉크가 교체되며, 단시간에 필기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8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펜 촉 상향 상태나 필기구 본체의 수평 상태 등의 잉크탱크로부터의 잉크공급이 없는 경우라도, 잉크흡장체의 내부에 함침된 잉크에 의해 충분히 필기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9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를 함침 잉크에 의해 확실하게 액체 실할 수 있고, 더구나 연통관을 잉크흡장체에 조립하기 전에 미리 잉크흡장체에 밀도차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제조가 지극히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20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각각의 연통관을 잉크흡장체의 후단으로부터 스무드하게 천공 삽입할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21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각각의 연통관의 잉크흡장체로의 천공 삽입성이 보다 한층 스무드하게 되는 동시에, 각각의 연통관의 전단 개구부의 개구면적이 증가되고, 잉크흡장체의 내부로의 잉크의 공급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2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탱크의 내압 상승시에 잉크흡장체의 전단으로부터 잉크가 누출되는 일이 없고, 더구나 필적의 끊어짐이나 필적의 긁힘이 없는 펜 촉 선단으로부터의 충분한 잉크 유출성이 얻어진다.
청구항 23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의 액체 실 성이 향상되고, 외부로의 잉크 누출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4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초기 잉크유출시,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으로부터 펜 촉의 후단으로 잉크가 신속하게 공급되고, 단시간에 필기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5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초기 잉크유출시, 잉크탱크로부터의 잉크가 복수 개의 연통관 중에서, 어느 연통관의 전단 개구부로부터 펜 촉의 후단으로 공급된 경우에서도, 흐트러짐 없이 일정시간에서 필기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6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흡장체의내부의 연통관의 전단 개구부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상기 잉크흡장체의 내부의 연통관의 전단 근방으로부터, 잉크흡장체의 전단 방향 및 연통관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의 내부로부터 잉크흡장체의 후단 방향으로 수무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27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각각의 연통관의 외경 및 내경을 비교적 크게 설정한 경우에서도, 연통관의 전단 개구부의 적정한 액체 실이 얻어진다.
청구항 28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각각의 연통관의 구부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9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를 함침잉크에 의해 보다 한층 확실하게 액체실 할 수 있다.
청구항 30의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개구부를 함침잉크에 의해 보다 한층 확실하게 액체 실 할 수 있다.

Claims (30)

  1.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며, 상기 잉크흡장체가 고밀도부와 이 고밀도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접되는 저밀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밀도부에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및 상기 펜 촉의 후단이 접속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부의 내부를 상기 연통관의 각각이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잉크흡장체의 후단으로부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을 삽입한 때에,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의 내부를 전방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의 내부에 상기 고밀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부가, 잉크흡장체의 외측면을 직경방향 안쪽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부가 잉크흡장체의 전단 면을 후방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가 고밀도에 설정된 제1의 잉크흡장체와, 저밀도에 설정된 제2의 잉크흡장체로 되고, 제1의 잉크흡장체가 상기 고밀도부를 구성하며, 제2의 잉크흡장체가 상기 저밀도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내부에, 모세 간극을 구비한 잉크흡수체를 배치하고, 상기잉크흡수체의 모세관력을 상기 고밀도부의 모세관력보다도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의 축 방향의 위치가 서로 같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펜 촉 후단 근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펜 촉의 후단과,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는, 상기 고밀도부를 통하여 잉크유통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의 전단 면 및 후단면이 외기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측벽을 서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13.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의 축 방향의 위치가 서로 같게 설정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14.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 내부의 펜 촉 후단 근방에 위치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15.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 내부의 펜 촉 후단 근방에 위치되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의 축 방향의 위치가 서로 같게 설정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16.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상기 잉크흡장체 내부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펜 촉의 후단이 상기 잉크흡장체의 내부 전방에 위치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17. 펜 촉과, 상기 펜 촉의 후단에 접속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잉크를 바로 저류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흡장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관으로 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연통관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개구되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잉크흡장체 내부에 위치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18. 제 13항 내지 제 17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펜 촉의 후단과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과의 사이는, 상기 잉크흡장체를 통하여 잉크유통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19. 제 13항 내지 제 17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을 잉크흡장체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삽입하고, 잉크흡장체의 내부를 전방으로 압압 압축함으로써,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의 밀도를,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부분의 잉크흡장체의 밀도보다도 높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을 끝이 날카로운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이 그 전단 개구부를 포함하는 경사 컷 면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22. 제 13항 내지 제 17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가, 상기 잉크흡장체 전체의 축 방향의 길이의 3% 이상 50% 이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23. 제 13항 내지 제 17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24. 제 13항 내지 제 17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에 각각의 전단과 상기 펜 촉의 후단과의 축 방향의 거리가 10mm 이내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25. 제 13항 내지 제 17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과 상기 펜 촉의 후단과의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26. 제 13항 내지 제 17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의 전단 면 및 후단면이 외기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27. 제 13항 내지 제 17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내부에 모세 간극을 구비한 잉크흡수체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28. 제 13항 내지 제 17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측벽을 서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부의 공극율이 70%~95%이고, 또한 상기 저밀도부의 공극율과 상기 고밀도부의 공극율과의 차가 7% 이상인 직액식 필기구.
  3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잉크흡장체의 공극율이 70%~95%이고,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근방 이외의 잉크흡장체의 공극율과, 상기 연통관의 각각의 전단 근방의 잉크흡장체의 공극율과의 차가 7% 이상인 직액식 필기구.
KR1020050084988A 2004-09-14 2005-09-13 직액식 필기구 KR100932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67491 2004-09-14
JPJP-P-2004-00267491 2004-09-14
JPJP-P-2005-00026769 2005-02-02
JP2005026768 2005-02-02
JP2005026769A JP4537864B2 (ja) 2005-02-02 2005-02-02 直液式筆記具
JPJP-P-2005-00026768 2005-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230A true KR20060051230A (ko) 2006-05-19
KR100932571B1 KR100932571B1 (ko) 2009-12-17

Family

ID=3538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988A KR100932571B1 (ko) 2004-09-14 2005-09-13 직액식 필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78631B2 (ko)
EP (1) EP1634724B1 (ko)
KR (1) KR100932571B1 (ko)
DE (1) DE602005020883D1 (ko)
ES (1) ES2342608T3 (ko)
HK (1) HK1087985A1 (ko)
SG (2) SG131108A1 (ko)
TW (1) TWI32664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428B1 (ko) * 2006-03-09 2010-03-10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직액식 필기구
KR101366439B1 (ko) * 2013-03-19 2014-03-12 주식회사모나미 직액식 필기구
KR20200087920A (ko) * 2019-01-11 2020-07-22 주식회사모나미 레귤레이터닙형 직액식 필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5749B2 (en) * 2009-07-20 2013-07-16 Crayola Llc Ink delivery systems
CA2795025A1 (en) * 2010-03-31 2011-10-06 Beauty Union Global Ltd. Refill system and method
JP5866747B2 (ja) * 2011-09-29 2016-02-17 シヤチハタ株式会社 塗布具
FR2988328B1 (fr) * 2012-03-23 2014-12-19 Bic Soc Dispositif d'application de fluide et ses utilisations
CN103465684B (zh) * 2013-09-03 2016-08-17 宁波五云笔业有限公司 一种自动平衡出墨的直液式书写工具
US9889700B2 (en) * 2015-02-19 2018-02-13 Jessica Chan Modular fountain pens useable with inks of varying viscosities
US10569595B2 (en) * 2015-06-26 2020-02-25 Kabushiki Kaisha Pilot Corporation Direct liquid type of writing tool
US10730338B2 (en) 2017-04-26 2020-08-04 Hayden R Murphy Fluid applicator refill system
TWI621540B (zh) 2017-05-19 2018-04-21 Sdi Corp 書寫工具及其輸墨單元
TWI645987B (zh) * 2017-09-18 2019-01-01 順德工業股份有限公司 書寫工具
CN111619264B (zh) * 2020-06-05 2022-05-20 青岛点石文具用品有限公司 书写文具
CN112265365B (zh) * 2020-10-15 2022-03-11 安徽扬子线缆有限公司 一种电线电缆表面印字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504Y2 (ko) 1978-09-16 1981-02-18
JPS607191Y2 (ja) 1979-07-27 1985-03-09 ぺんてる株式会社 毛筆状筆記具
DE3914465A1 (de) 1989-05-02 1990-11-08 Merz & Krell Schreibgeraet
US5454658A (en) 1991-01-31 1995-10-03 Pentel Kabushiki Kaisha Rear end knocking type liquid discharge apparatus
US5290116A (en) 1992-06-23 1994-03-01 Chang Shin Ju D Flow control for writing instruments
EP0683062B1 (en) * 1993-11-30 1999-01-27 Pentel Kabushiki Kaisha Applicator
FR2719806B1 (fr) 1994-05-11 1996-08-02 Conte Article d'écriture à encre liquide, notamment à base de solvant.
DE19529865C2 (de) * 1995-08-14 2002-02-28 Kaufmann R Dataprint Gerät zum Auftragen von Flüssigkeiten auf eine Unterlage mittels eines Auftragselements
JP3917259B2 (ja) 1997-08-29 2007-05-23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直液式筆記具
TW385760U (en) * 1998-10-21 2000-03-21 Mcaide Entpr Company Ltd Pen
DE60220150T2 (de) * 2001-03-26 2007-08-30 Sanford L.P., Freeport Druckregulierte freie tintenzuführung
JP2003154785A (ja) 2001-11-26 2003-05-27 Kotobuki:Kk 直液式筆記具
TWI260280B (en) 2002-05-31 2006-08-21 Pentel Kk Applicator
JP4321118B2 (ja) * 2002-05-31 2009-08-26 ぺんてる株式会社 塗布具
KR100562280B1 (ko) * 2004-06-15 2006-03-23 주식회사모나미 필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428B1 (ko) * 2006-03-09 2010-03-10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직액식 필기구
KR101366439B1 (ko) * 2013-03-19 2014-03-12 주식회사모나미 직액식 필기구
KR20200087920A (ko) * 2019-01-11 2020-07-22 주식회사모나미 레귤레이터닙형 직액식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571B1 (ko) 2009-12-17
US20060054036A1 (en) 2006-03-16
SG121134A1 (en) 2006-04-26
US7578631B2 (en) 2009-08-25
EP1634724B1 (en) 2010-04-28
ES2342608T3 (es) 2010-07-09
HK1087985A1 (en) 2006-10-27
DE602005020883D1 (de) 2010-06-10
TWI326642B (en) 2010-07-01
SG131108A1 (en) 2007-04-26
TW200621533A (en) 2006-07-01
EP1634724A2 (en) 2006-03-15
EP1634724A3 (en) 200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571B1 (ko) 직액식 필기구
KR100946428B1 (ko) 직액식 필기구
JP4848068B2 (ja) 直液式筆記具
JP4537864B2 (ja) 直液式筆記具
JP4658259B2 (ja) 直液式筆記具
CN101274565A (zh) 直液式笔具
JP2011218795A (ja) 塗布具
JP4820701B2 (ja) 直液式筆記具
JP4750591B2 (ja) 直液式筆記具
JP3152082U (ja) 直液式筆記具
JP4750590B2 (ja) 直液式筆記具
JP3917259B2 (ja) 直液式筆記具
JP5085960B2 (ja) 直液式筆記具
JP2000127672A (ja) 直液式筆記具
JP4848067B2 (ja) 直液式筆記具
JP2008023877A (ja) 直液式筆記具
JP4137293B2 (ja) 直液式筆記具
JP2008044285A (ja) 直液式筆記具
JP4943956B2 (ja) 直液式筆記具
JP3152083U (ja) 直液式筆記具
JP4943950B2 (ja) 直液式筆記具
JPH11301168A (ja) 直液式筆記具
JP2020001352A (ja) ボールペン
JP2009012191A (ja) 直液式筆記具
JP2000006574A (ja) 直液式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