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691B1 - 직액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직액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691B1
KR101227691B1 KR1020110020456A KR20110020456A KR101227691B1 KR 101227691 B1 KR101227691 B1 KR 101227691B1 KR 1020110020456 A KR1020110020456 A KR 1020110020456A KR 20110020456 A KR20110020456 A KR 20110020456A KR 101227691 B1 KR101227691 B1 KR 101227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ink storage
partition member
storage container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030A (ko
Inventor
김학재
안중걸
Original Assignee
동아연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연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연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0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691B1/ko
Priority to JP2011071592A priority patent/JP5835920B2/ja
Publication of KR2011003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필기시 공기의 순환 및 잉크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용기와, 잉크저장용기의 한쪽 끝부분 내부에 조립되고 선단 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펜선과, 잉크저장용기의 펜선쪽 내부에 위치하고 펜선의 후단 쪽이 매설되며 잉크를 흡수 저장하는 잉크흡장체와, 다공질 물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통기성을 구비하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연이어 설치되는 다공체와, 잉크저장용기 내부를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부 쪽과 잉크흡장체 및 다공체가 위치하는 잉크흡수부 쪽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와, 잉크저장부쪽과 다공체의 후단쪽을 연통시키는 공기이동통로를 갖도록 설치되는 공기파이프와, 잉크저장부의 선단쪽과 잉크흡장체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잉크이동통로를 갖도록 설치되는 잉크파이프를 포함하는 직액식 필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직액식 필기구 {Free Ink Type Writ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직액식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기시 공기이동통로를 통해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저장된 잉크의 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직액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액식 필기구는 볼펜 등에 비하여 점성이 낮은 잉크를 사용할 수 있고 잉크의 보충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등의 장점이 있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의 일종으로는 싸인펜 등이 있는데, 싸인펜의 경우 잉크를 잉크흡장체 등에 흡수하여 저장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저장되는 잉크의 양이 적어 불편하므로 최근에는 잉크저장용기의 내부에 직접 잉크를 수용시킨 구조의 직액식 필기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는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용기와, 상기 잉크저장용기의 한쪽 끝부분 내부에 조립되고 선단 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펜선과, 상기 잉크저장용기의 펜선쪽 내부에 위치하고 펜선의 후단 쪽이 매설되며 잉크를 흡수 저장하는 잉크흡장체와, 상기 잉크저장용기의 내부를 상기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부 쪽과 상기 잉크흡장체가 위치하는 잉크흡수부 쪽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직액식 필기구는 필기시 잉크저장부와 외부 간에 공기의 순환이 잘 이루어져야 하지만 공기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일본공개실용 제1981-7504호에는 흡액재가 위치하는 공간과 잉크수납실을 연통하도록 급기관을 설치하고 흡액재를 2층으로 설치한 싸인펜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는바, 급기관의 입구가 흡액재와 흡액재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잉크가 2층에 위치한 흡액재까지 흡수되는 경우 또는 급기관의 입구 주위에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급기관으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한국공개특허 제2005-0118803호에는 잉크저장탱크와 흡수저장체가 한 개의 잉크유출관으로 연통되므로 잉크유출관의 통한 잉크유출과 공기이동이 동시에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6-240281호에는 잉크흡장체쪽에 2개의 연통관이 설치되어 신속하게 공기의 흡입 및 잉크의 유출이 가능한 직액식 필기구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는바, 잉크흡장체에 흡수 저장된 잉크 및 잉크탱크 내부의 잉크가 연통관을 단부를 각각 막고 있는 상태가 되기 쉬우므로, 실질적으로는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공개특허 제2009-0052982호에는 펜선 주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밀도가 낮게 구성되는 잉크흡장체가 설치되고 밀도가 낮은 부분과 잉크저장용기의 빈 공간을 공기유동구로 연통시키도록 구성되는 직액식 필기구에 대해 기재되어 있는 바, 공기유동관의 한쪽 끝부분이 잉크흡장체의 내부쪽으로 매설되도록 돌출되어 설치되어 것에 의하여 팽창공기 발생하는 등 잉크흡장체의 밀도가 낮은 부분까지 잉크가 차는 경우 공기유동관의 한쪽 끝부분이 막혀서 팽창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잉크파이프의 출구는 잉크흡장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공기파이프의 입구는 다공체의 후단쪽에 위치하여 공기파이프의 입구 주위까지 잉크가 차는 것을 방지하므로 공기의 순환 및 잉크의 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직액식 필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직액식 필기구는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용기와, 상기 잉크저장용기의 한쪽 끝부분 내부에 조립되고 선단 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펜선과, 상기 잉크저장용기의 펜선쪽 내부에 위치하고 펜선의 후단 쪽이 매설되며 잉크를 흡수 저장하는 잉크흡장체와, 다공질 물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통기성을 구비하며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연이어 설치되는 다공체와, 상기 잉크저장용기 내부를 상기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부 쪽과 상기 잉크흡장체 및 다공체가 위치하는 잉크흡수부 쪽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잉크저장부쪽과 다공체의 후단쪽을 연통시키는 공기이동통로를 갖도록 설치되는 공기파이프와, 상기 잉크저장부의 선단쪽과 잉크흡장체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잉크이동통로를 갖도록 설치되는 잉크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잉크흡장체는 상기 다공체보다 밀도가 높은 다공질물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잉크저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기파이프의 길이는 잉크저장부 전체길이의 50%이상으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공기파이프는 입구가 상기 구획부재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출구가 상기 잉크저장부의 후방쪽에 형성된다.
상기 잉크파이프는 입구가 상기 구획부재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출구가 상기 잉크흡장체의 내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공기파이프의 입구가 다공체가 위치하는 공간인 잉크흡수부의 후단쪽에 위치하는 것에 의하여 다공체의 일부에 잉크가 흡수되는 경우에도 공기파이프의 입구가 잉크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필기시 공기파이프를 통하여 잉크저장부의 후단쪽으로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잉크파이프를 통한 잉크의 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유출파이프의 출구가 잉크흡장체 내부에 위치하므로 유출되는 잉크가 다공체 쪽으로 흡수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잉크흡장체를 경유하여 펜선에 원활한 잉크의 공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저장용기(10)와, 상기 잉크저장용기(10)의 선단 쪽에 설치되는 펜선(20)과, 잉크를 흡수 저장하는 잉크흡장체(30)와, 상기 잉크흡장체(30)에 연이어 설치되는 다공체(40)와, 상기 잉크저장용기(10) 내부를 2부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50)와, 공기파이프(51) 및 잉크파이프(54)와, 상기 잉크저장용기(10)에 조립되는 뚜껑(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잉크저장용기(10)는 한쪽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몸통(11)과,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몸통(11)의 개구쪽 외주면에 조립되며 상기 펜선(20)의 선단 쪽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제2몸통(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통(11)은 내부에 잉크저장부(2)가 구비하게 되고 외면에는 상기 제2몸통(14)의 후단 모서리가 걸리는 하나의 걸림턱(12) 및 복수의 조립돌기(13)가 외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몸통(14)은 내부에 잉크흡수부(4)가 구비하게 되고 내면에는 상기 조립돌기(13)가 조립되는 복수의 조립홈(15)이 형성되며 상기 펜선(20)이 조립되는 쪽은 뾰족하게 선축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잉크저장용기(10)의 제2몸통(14) 내부에는 상기 펜선(20)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지지하고 상기 잉크흡장체(30) 및 다공체(40)가 조립되는 통형상의 지지부재(18)가 조립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지지부재(18)의 펜선(20)을 지지하는 전방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간격유지돌기(18a)가 세로로 길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간격유지돌기(18a)가 형성되면 상기 지지부재(18)의 내주면과 펜선(20) 사이에 공기이동공간(18b)이 형성되면서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지지부재(18)의 잉크흡장체(30)가 조립되는 후방부에도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간격유지돌기(18c)가 세로로 길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간격유지돌기(18c)는 상기 다공체(40)가 위치하는 부분까지 길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간격유지돌기(18c)가 형성되면 상기 지지부재(18)의 내주면과 잉크흡장체(30) 사이에 공기이동공간(18d)이 형성되면서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1몸통(11)와 제2몸통(14)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사출성형 등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1몸통(11)과 제2몸통(14)을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잉크저장용기(10)의 후단쪽 끝면을 개구시키고 개구된 끝면에 마개를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펜선(20)은 일반적으로 보드펜이나 사인펜 등에 널리 사용되는 펜선과 마찬가지로 다공성 물질(예를 들면, 압축섬유, 압축솜, 펠트(felt), 스펀지, 발포수지, 발포고무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잉크흡장체(30)는 상기 잉크저장용기(10)의 펜선(20)쪽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펜선(20)의 후단 쪽이 매설된다.
상기 잉크흡장체(30)에 있어서도 상기 펜선(20)과 마찬가지로 다공성물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잉크흡장체(30)의 외부는 합성수지로 감싸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다공체(40)는 다공질 물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통기성을 구비하며 상기 잉크흡장체(30)의 후방에 연이어 설치된다.
상기에서 잉크흡장체(30)는 상기 다공체(40)보다 밀도가 높은 다공질물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잉크흡장체(30)는 상기 다공체(40)보다 밀도가 대략 1.2배 정도 이상 높게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다공체(40)의 재질로는 스펀지, 스펀지고무, 울(wool)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구획부재(50)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잉크저장용기(10)의 내부를 상기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부(2) 쪽과 상기 잉크흡장체(30) 및 다공체(40)가 위치하는 잉크흡수부(4) 쪽으로 분리되게 구획한다.
상기에서 구획부재(50)는 상기 잉크저장용기(10)의 제1몸통(11)과 지지부재(18) 사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기파이프(51)는 상기 구획부재(50)에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되고 상기 잉크저장부(2)쪽과 다공체(40)의 후단쪽을 연통시키는 공기이동통로(52)를 갖는다.
상기 공기파이프(51)는 입구(51a)가 상기 구획부재(50)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출구(51b)가 상기 잉크저장부(2)의 후방쪽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잉크저장부(2) 쪽에 위치하는 공기파이프(51)의 길이(L2)는 잉크저장부(2) 길이(L1)의 대략 50%정도 이상으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70~95% 정도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잉크파이프(54)는 상기 공기파이프(51)와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상기 구획부재(50)에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되며 상기 잉크저장부(2)의 선단쪽과 잉크흡장체(3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잉크이동통로(55)를 갖는다.
상기 잉크파이프(54)는 입구(54a)가 상기 구획부재(50)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출구(54b)가 상기 잉크흡장체(30)의 중앙쪽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잉크파이프(54)는 상기 잉크흡장체(30)의 전체길이에서 대략 50% 이상의 길이가 잉크흡장체(30)에 매설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50~80% 정도 매설되게 형성된다.
상기 뚜껑(60)은 상기 잉크저장용기(10)의 펜선(20)이 위치하는 선단쪽 외주면에 조립되어 상기 펜선(20)이 외부공기와 접촉하지 않게 밀폐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1 : 잉크 2 : 잉크저장부
4 : 잉크흡수부 10 : 잉크저장용기
11 : 제1몸통 14 : 제2몸통
15 : 선축 18 : 지지부재
20 : 펜선 30 : 잉크흡장체
40 : 다공질체 50 : 구획부재
51 : 공기파이프 52 : 공기이동통로
54 : 잉크파이프 55 : 잉크이동통로

Claims (6)

  1.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용기와,
    상기 잉크저장용기의 한쪽 끝부분 내부에 조립되고 선단 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펜선과,
    상기 잉크저장용기의 펜선쪽 내부에 위치하고 펜선의 후단 쪽이 매설되며 잉크를 흡수 저장하는 잉크흡장체와,
    다공질 물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통기성을 구비하며 상기 잉크흡장체의 후방에 연이어 설치되는 다공체와,
    상기 잉크저장용기 내부를 상기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부 쪽과 상기 잉크흡장체 및 다공체가 위치하는 잉크흡수부 쪽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잉크저장부쪽과 다공체의 후단쪽을 연통시키는 공기이동통로를 갖도록 설치되는 공기파이프와,
    상기 잉크저장부의 선단쪽과 잉크흡장체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잉크이동통로를 갖도록 설치되는 잉크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파이프는, 입구를 상기 구획부재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고, 출구를 상기 잉크저장부의 후방쪽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저장부 쪽에 위치하는 공기파이프의 길이는 잉크저장부 전체길이의 50%이상으로 형성하여 설치하는 직액식 필기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파이프는 입구를 상기 구획부재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고, 출구를 상기 잉크흡장체의 내부에 형성하는 직액식 필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장체는 상기 다공체보다 밀도가 높은 다공질물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파이프와 잉크파이프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상기 구획부재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설치하는 직액식 필기구.
KR1020110020456A 2011-03-08 2011-03-08 직액식 필기구 KR101227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456A KR101227691B1 (ko) 2011-03-08 2011-03-08 직액식 필기구
JP2011071592A JP5835920B2 (ja) 2011-03-08 2011-03-29 直液式筆記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456A KR101227691B1 (ko) 2011-03-08 2011-03-08 직액식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030A KR20110036030A (ko) 2011-04-06
KR101227691B1 true KR101227691B1 (ko) 2013-02-28

Family

ID=4404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456A KR101227691B1 (ko) 2011-03-08 2011-03-08 직액식 필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835920B2 (ko)
KR (1) KR1012276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942B1 (ko) * 2013-03-14 2014-07-11 최성호 필기구
KR101804552B1 (ko) 2016-12-07 2017-12-06 (주)영창엘이디 잉크 흘림방지 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66Y1 (ko) * 2011-10-20 2012-03-23 주식회사모나미 직액식 필기구
KR101429470B1 (ko) * 2013-09-27 2014-08-20 최성호 직액식 필기구
RU2531891C1 (ru) * 2013-10-30 2014-10-27 Дмит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авлов Пишущая ручка
CN108081806A (zh) * 2017-02-28 2018-05-29 朱郎平 一种仰卧状态可以继续使用的液体笔的使用方法
KR101992128B1 (ko) 2017-12-26 2019-06-24 주식회사 모나미 고밀도유지 돌기형 직액식 필기구
KR101992126B1 (ko) 2017-12-26 2019-09-30 주식회사 모나미 고밀도유지관체형 직액식 필기구
KR101992127B1 (ko) 2017-12-26 2019-06-24 주식회사 모나미 고밀도유지 돌기형 직액식 필기구
CN110001239B (zh) * 2018-01-04 2021-01-29 顺德工业股份有限公司 书写工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803A (ko) * 2004-06-15 2005-12-20 주식회사모나미 필기구
KR20070092611A (ko) * 2006-03-09 2007-09-13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직액식 필기구
JP2009000920A (ja) 2007-06-21 2009-01-08 Pilot Ink Co Ltd 直液式筆記具
KR20090052982A (ko) * 2007-11-22 2009-05-27 동아연필 주식회사 직액식 필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803A (ko) * 2004-06-15 2005-12-20 주식회사모나미 필기구
KR20070092611A (ko) * 2006-03-09 2007-09-13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직액식 필기구
JP2009000920A (ja) 2007-06-21 2009-01-08 Pilot Ink Co Ltd 直液式筆記具
KR20090052982A (ko) * 2007-11-22 2009-05-27 동아연필 주식회사 직액식 필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942B1 (ko) * 2013-03-14 2014-07-11 최성호 필기구
KR101804552B1 (ko) 2016-12-07 2017-12-06 (주)영창엘이디 잉크 흘림방지 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26290A (ja) 2011-06-30
KR20110036030A (ko) 2011-04-06
JP5835920B2 (ja)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691B1 (ko) 직액식 필기구
KR100963317B1 (ko) 도포구
KR100946428B1 (ko) 직액식 필기구
JP5687529B2 (ja) 塗布具
JP5859164B1 (ja) 塗布具
JP4658259B2 (ja) 直液式筆記具
KR100562280B1 (ko) 필기구
JP5700817B2 (ja) 塗布具
JP2006212884A (ja) 直液式筆記具
KR20090052982A (ko) 직액식 필기구
TW201705878A (zh) 塗布具
JP5975421B2 (ja) 反転式印判
KR101429470B1 (ko) 직액식 필기구
JP2007245376A (ja) 直液式筆記具
JP4321118B2 (ja) 塗布具
KR101754825B1 (ko) 직액식 필기구
KR100968623B1 (ko) 필기구
JP4750590B2 (ja) 直液式筆記具
KR101969492B1 (ko) 지속적 잉크배출이 가능한 잉크펜
JP6042005B1 (ja) 塗布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43402B1 (ko) 필기구
CN217763749U (zh) 一种具有上加水结构的落地式加湿器
US20220049866A1 (en) Fragrance container of a scenting device
KR102400753B1 (ko) 가습장치용 물통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20100033690A (ko)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