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3690A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3690A
KR20100033690A KR1020080092679A KR20080092679A KR20100033690A KR 20100033690 A KR20100033690 A KR 20100033690A KR 1020080092679 A KR1020080092679 A KR 1020080092679A KR 20080092679 A KR20080092679 A KR 20080092679A KR 20100033690 A KR20100033690 A KR 20100033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ore
tank
passag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호
Original Assignee
오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호 filed Critical 오영호
Priority to KR1020080092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3690A/ko
Publication of KR20100033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6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capilla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잉크탱크에 저장되어있는 잉크가 필기에 사용되기 위해 심체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부품의 수개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잉크가 원활하게 이동되지 못하고 생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잉크탱크(200)에 저장된 잉크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체(100)로 공급되는 필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잉크탱크(200) 내벽의 걸림턱(210)에 걸리도록 끼워져서 잉크의 저장상태를 유지시켜주며, 중앙에는 심체(100)의 끝단이 잉크탱크(200) 내에 놓이도록 관통되어 끼워지는 심체홀(310)이 구비되고, 심체홀(310)을 중심으로 하여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의 통체부(320)를 표면에 세워 구비하며, 심체홀(310)과 인접한 일측에는 누출잉크통로(350)가 구비되는 탱크홀더(300);와 심체(100)가 끼워져 관통되는 심체 고정부(410)를 탱크홀더(300)의 통체부(320) 내부로 삽입시켜서 통체부(320)와의 사이에는 누출잉크통로(350)를 통해 잉크가 공급되는 제1누출잉크통로(600)가 구비되게 하고, 통체부(320)와 잉크탱크(200) 사이에 끼워져 제1누출잉크통로(600)와 통하는 제2 및 제3누출잉크통로(610)(620)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통체부(420)를 심체 고정부(410) 외부에 구비한 심체홀더(400);와 후미는 잉크탱크(200) 내주벽에 결합되어 제3누출잉크통로(620)로 누출되는 잉크가 심체(100) 선단으로 공급되게 하고, 선단은 심체(100) 외부에 끼워지되, 내부에 심체(100)가 끼워지는 돌기부(110)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돌기부(110) 사이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통기 공(120) 구비하며, 돌기부(110)의 일측에는 심체(100)를 고정시켜주는 걸림부(130)가 형성되고 걸림부(130)와 통체부(320) 사이에는 잉크 공급홀(140)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잉크 공급부(150)를 구비하며, 선단은 심체(100) 외부에 끼워져 심체(100)를 지지해 주는 지지캡부(5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기구, 심체, 탱크홀더, 심체홀더, 통체부, 누출잉크통로

Description

필기구{writing instrument}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탱크와 잉크를 배출하여 필기를 이루어지게 하는 심체를 직접 연결하여 잉크탱크에 저장된 잉크를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고, 부품의 수를 줄여서 구조를 단순화하며, 잉크탱크에서 심체로 이동하는 중에 누출되는 누출잉크는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누출잉크통로를 통해 심체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잉크의 손실을 줄여 수명을 연장시 킬 수 있도록 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를 사용하여 필기를 이루어지게 하는 필기구에는 만년필 등과 같은 필기구가 있다.
이러한 필기구들은 모세관 원리에 따라 설계되어 있는데 그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필기구 내부에 있는 일련의 모세 홈과 심체 또는 펜촉에 있는 좁은 틈을 따라 잉크탱크 안에 있던 잉크가 심체 또는 펜촉 끝으로 운반된다.
이때, 심체 또는 펜촉을 종이에 닿게 하면 잉크가 흘러나와 잉크가 묻으며 글이 써진다.
하지만 필기를 하지않을 때에는 잉크탱크 밖의 대기압이 잉크탱크의 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잉크가 세어 나오지 않는 것이다.
이 현상은 물 담은 컵 위에 종이를 얹어 뒤집어도 물이 쏟아지지 않는 이유와 같은 원리이다.
그런데 구식 만년필 중에는 글을 쓸 때 갑자기 큰 잉크 방울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주로 겨울에 잉크가 적을 때 발생하는데 사람 손에 의해 잉크탱크 내부 공기가 데워져 팽창하여 잉크가 밀려나가기 때문이다.
요즘 만년필은 모세 홈을 많이 만들거나 잉크를 축적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 이런 일은 없다.
하지만 만년필과 같은 필기구 들은 가격이 고가이고 잉크를 재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잉크탱크와 몸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심체를 이용하여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구가 주로 사용된다.
즉, 도 1 은 종래의 필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필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렇게, 잉크탱크(20)와 심체(10)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 잉크탱크(20)와 심체(10) 사이에 흡수저장통(60)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 잉크가 임시로 저장되는 흡수저장체(30)와 잉크탱크(20)에서 과잉공급되는 잉크를 제한하는 유출제한체(40) 및 잉크를 잉크탱크(20)로부터 유출시켜주는 잉크유출관(50) 등 다수개의 부품들을 구비하여 잉크탱크(20)에서 심체(10)로 잉크를 공급할 때, 필요 이상의 잉크가 과잉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필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잉크탱크에서 심체로 잉크가 과잉공급되어 필기구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중이라 하더라도 필요 이상의 잉크가 심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잉크탱크와 심체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 잉크탱크와 심체 사이에 다수개의 부품들이 구비되어 있어서, 잉크탱크에 구비되어 있는 잉크가 필기를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심체로 이동하는 동안 잉크의 손실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잉크가 잉크탱크와 심체 사이에 있는 부품들을 지나는 동안 일정장소에 정체되어 굳어짐으로써 잉크탱크 내부에서 잉크가 심체로 이동하는 통로를 차단하게 되어 필기가 불가능해짐으로써 필기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탱크와 심체를 직접 연결하고, 잉크탱크에서 심체로 잉크가 과잉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탱크홀더의 일측에는 누출잉크통로를 형성하고 심체홀더의 일측과 탱크홀더의 통체부에 각각의 누출잉크통로를 형성하고, 심체에는 지지부캡을 구비하여, 잉크탱크에서 과잉공급되는 잉크가 심체로 직접 필기가 이루어지는 심체 끝단으로 이동되지 않고, 필기구 내부에서 누출잉크통 로를 통해 심체로 다시 공급되게 형성하여 부품의 구가 많아져서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고 잉크가 유동되는 동안 정체되어 굳어지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필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잉크탱크에 저장된 잉크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체로 공급되는 필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잉크탱크 내벽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끼워져서 잉크의 저장상태를 유지시켜주며, 중앙에는 심체의 끝단이 잉크탱크 내에 놓이도록 관통되어 끼워지는 심체홀이 구비되고, 심체홀을 중심으로 하여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의 통체부를 표면에 세워 구비하며, 심체홀과 인접한 일측에는 누출잉크통로가 구비되는 탱크홀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심체가 끼워져 관통되는 심체 고정부를 탱크홀더의 통체부 내부로 삽입시켜서 통체부와의 사이에는 누출잉크통로를 통해 잉크가 공급되는 제1누출잉크통로가 구비되게 하고, 통체부와 잉크탱크 사이에 끼워져 제1누출잉크통로와 통하는 제2 및 제3누출잉크통로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통체부를 심체 고정부 외부에 구비한 심체홀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후미는 잉크탱크 내주벽에 결합되어 제3누출잉크통로로 누출되는 잉크가 심체 선단으로 공급되게 하고, 선단은 심체 외부에 끼워지되, 내부에 심체가 끼워지는 돌기부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돌기부 사이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통기공 구비하며, 돌기부의 일측에는 심체를 고정시켜주는 걸림부가 형성되 고 걸림부와 통체부 사이에는 잉크 공급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잉크 공급부를 구비하며, 선단은 심체 외부에 끼워져 심체를 지지해 주는 지지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탱크홀더의 통체부에 형성되는 입구에는, 돌기부와 홈부를 등간격으로 구비하여 돌기부가 밀착되어 결합된 후에도 누출잉크가 홈부를 통해 누출잉크통로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탱크홀더와 심체홀더의 각 통체부 양면 중 한쪽 면과 지지캡부의 제3누출잉크통로와 접하는 면에는, 제1누출잉크통로와 제2누출잉크통로 및 제3누출잉크통로를 나선형 통로로 형성하는 돌출형이나 요입형의 나선부를 구비하여 잉크의 유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통체부가 탱크홀더와 연결되는 선단에는, 잉크저장부를 형성하고, 잉크저장부에 잉크저장체를 구비하고, 통체부에 형성되는 누출잉크통로는, 잉크탱크에서 제1누출잉크통로 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넓어지는 원뿔형태로 형성하여, 잉크탱크에서 제1누출잉크통로로 이동하는 것보다 잉크가 제1누출잉크통로에서 잉크탱크로 이동하는 것이 수월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탱크와 잉크를 배출하여 필기를 이루어지게 하는 심체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잉크탱크의 잉크를 남김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부품의 수를 줄여서 구조를 단순화하며, 잉크탱크와 심체 사이의 공간 에서 잉크가 굳어져 잉크탱크에 남아있는 잉크가 심체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필기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잉크탱크에서 심체로 이동하는 중에 누출되는 누출잉크는 다수개의 누출잉크통로를 형성하여 심체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잉크의 손실을 줄여 수명을 연장하고, 필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의 흐름을 보여주는 요부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요부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요부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잉크탱크(200)에 저장된 잉크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체(100)로 공급되는 필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잉크탱크(200) 내벽의 걸림턱(210)에 걸리도록 끼워져서 잉크의 저장상태를 유지시켜주며, 중앙에는 심체(100)의 끝단이 잉크탱크(200) 내에 놓이도록 관통되어 끼워지는 심체홀(310)이 구비되고, 심체홀(310)을 중심으로 하여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의 통체부(320)를 표면에 세워 구비하며, 심체홀(310)과 인접한 일측에는 누출잉크통로(350)가 구비되는 탱크홀 더(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심체(100)가 끼워져 관통되는 심체 고정부(410)를 탱크홀더(300)의 통체부(320) 내부로 삽입시켜서 통체부(320)와의 사이에는 누출잉크통로(350)를 통해 잉크가 공급되는 제1누출잉크통로(600)가 구비되게 하고, 통체부(320)와 잉크탱크(200) 사이에 끼워져 제1누출잉크통로(600)와 통하는 제2 및 제3누출잉크통로(610)(620)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통체부(420)를 심체 고정부(410) 외부에 구비한 심체홀더(4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후미는 잉크탱크(200) 내주벽에 결합되어 제3누출잉크통로(620)로 누출되는 잉크가 심체(100) 선단으로 공급되게 하고, 선단은 심체(100) 외부에 끼워지되, 내부에 심체(100)가 끼워지는 돌기부(110)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돌기부(110) 사이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통기공(120) 구비하며, 돌기부(110)의 일측에는 심체(100)를 고정시켜주는 걸림부(130)가 형성되고 걸림부(130)와 통체부(320) 사이에는 잉크 공급홀(140)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잉크 공급부(150)를 구비하며, 선단은 심체(100) 외부에 끼워져 심체(100)를 지지해 주는 지지캡부(5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탱크홀더(300)의 통체부(320)에 형성되는 입구에는, 돌기부(800)와 홈부(810)를 등간격으로 구비하여 돌기부(800)가 밀착되어 결합된 후에도 누출잉크가 심체홀더(400) 일측에 형성되어 제2누출잉크통로(610)에서 제3누출잉크통로(620)로 잉크를 보내주는 잉크홈부(890)를 통해 누출잉크가 유동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탱크홀더(300)와 심체홀더(400)의 각 통체부(320)(420) 양면 중 한쪽 면과 지지캡부(500)의 제3누출잉크통로(620)와 접하는 면에는, 제1누출잉크통로(600)와 제2누출잉크통로(610) 및 제3누출잉크통로(620)를 나선형 통로로 형성하는 돌출형이나 요입형의 나선부(850)를 구비하여 잉크의 유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통체부(320)가 탱크홀더(300)와 연결되는 선단에는, 잉크저장부(900)를 형성하고, 잉크저장부(900)에 잉크저장체(9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통체부(320)에 형성되는 누출잉크통로(350)는, 잉크탱크(200)에서 제1누출잉크통로(600) 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넓어지는 원뿔형태로 형성하여, 잉크탱크(200)에서 제1누출잉크통로(600)로 이동하는 것보다 잉크가 제1누출잉크통로(600)에서 잉크탱크(200)로 이동하는 것이 수월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잉크탱크(200) 내에 심체(100)가 직접 놓이도록 탱크홀더(300)의 심체홀(310)에 심체(100)의 일측이 잉크탱크(200)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한다.
이때, 필기가 이루어질 때 잉크가 부족하여 필기가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탱크홀더(300)의 심체홀(310)과 인접한 일측에는 누출잉크통로(350)를 형성하여, 잉크탱크(200)로부터 심체(100)에 부족한 잉크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누출잉크통로(350)의 형태가 잉크탱크(200)에서 제1누출잉크통로(600)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월뿔 형태여서, 제1누출잉크통로(600)에서 역류된 잉크가 다시 잉크탱크(200)로 이동하는 것은 쉬우나, 잉크탱크(200)에서 제1누출잉크통 로(600)로 잉크가 이동하는 것은 어렵게 하여, 잉크가 충격이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심체(100)로 과잉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출되는 잉크는 심체홀더(400)에 구비되는 심체 고정부(410)와 탱크홀더(300)에 구비되는 통체부(3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누출잉크통로(60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렇게 배출되는 잉크는 심체홀더(400)의 통체부(420)와 탱크홀더(300)의 통체부(320) 사이에 형성되는 제2누출잉크통로(610)로 이동하게 되고, 심체홀더(400)의 통체부(420)와 잉크탱크(200) 사이에 형성되는 제3누출잉크통로(620)를 통해 심체(100)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심체홀더(400)와 탱크홀더(300)에 구비되는 통체부(320)가 만나는 입구에는 돌기부(800)와 홈부(850)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있고, 심체홀더(400)의 통체부(420)와 탱크홀더(300)가 만나는 입구의 일측에는 잉크홈부(890)가 형성되어 있어서 밀착 결합 된 후에도 누출잉크가 누출잉크통로로 유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심체홀더(400)와 탱크홀더(300)의 각각의 통체부(420)(320) 양면 중 어느 한쪽 면에는 제1누출잉크통로(600)와 제2누출잉크통로(610) 및 제3누출잉크통로(620)에 돌출형 또는 요입형으로 나선형 통로를 형성하여, 잉크탱크(200)에서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잉크보다 유출공을 통해서 다시 심체(100)로 이동되는 잉크의 속도를 늦춤으로써 항상 일정 양의 잉크가 심체(100)로 유입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필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필기구를 소지한 사용자가 비행기에 탑승하여 비행을 하는 경우와 같 이 필기구 주위의 기압이 낮아졌을 때, 상대적으로 일정기압을 유지하고 있는 잉크탱크(200) 내부의 잉크가 심체(100)를 통해 흘러나오게 되는데 이때, 잉크탱크(200)에서 흘러나오는 잉크가 심체(100)를 통해 필기구 밖으로 흘러나오기 전, 누출잉크통로(350)를 통해 각각의 누출잉크통로(600)(610)(620)로 흘러들어 조절됨으로써 잉크가 심체(100)로 흘러넘쳐 필기구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누출잉크통로(350)를 통해 누출잉크가 제1누출잉크통로(600)로 흘러들어가기 전에 탱크홀더(300)에 잉크저장부(900)를 형성하고, 잉크저장부(900) 내부에 누출되는 잉크를 임시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스펀지(sponge) 등과 같이 흡수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잉크저장체(950)를 구비하여 필기구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잉크역류현상을 막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필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필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의 흐름을 보여주는 요부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요부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심체 110 : 돌기부
120 : 통기공 130 : 걸림부
140 : 공급홀 150 : 공급부
200 : 잉크탱크 300 : 탱크홀더
310 : 심체홀 320 : 통체부
350 : 누출잉크통로 400 : 심체홀더
410 : 심체 고정부 420 : 통체부
500 : 지지캡부 600 : 제1누출잉크통로
610 : 제2누출잉크통로 620 : 제3누출잉크통로
800 : 돌기부 810 : 홈부
850 : 나선부 950 : 잉크저장체

Claims (5)

  1. 잉크탱크(200)에 저장된 잉크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체(100)로 공급되는 필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잉크탱크(200) 내벽의 걸림턱(210)에 걸리도록 끼워져서 잉크의 저장상태를 유지시켜주며, 중앙에는 심체(100)의 끝단이 잉크탱크(200) 내에 놓이도록 관통되어 끼워지는 심체홀(310)이 구비되고, 심체홀(310)을 중심으로 하여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의 통체부(320)를 표면에 세워 구비하며, 심체홀(310)과 인접한 일측에는 누출잉크통로(350)가 구비되는 탱크홀더(300);와
    심체(100)가 끼워져 관통되는 심체 고정부(410)를 탱크홀더(300)의 통체부(320) 내부로 삽입시켜서 통체부(320)와의 사이에는 누출잉크통로(350)를 통해 잉크가 공급되는 제1누출잉크통로(600)가 구비되게 하고, 통체부(320)와 잉크탱크(200) 사이에 끼워져 제1누출잉크통로(600)와 통하는 제2 및 제3누출잉크통로(610)(620)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통체부(420)를 심체 고정부(410) 외부에 구비한 심체홀더(400);와
    후미는 잉크탱크(200) 내주벽에 결합되어 제3누출잉크통로(620)로 누출되는 잉크가 심체(100) 선단으로 공급되게 하고, 선단은 심체(100) 외부에 끼워지되, 내부에 심체(100)가 끼워지는 돌기부(110)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돌기부(110) 사이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통기공(120) 구비하며, 돌기부(110)의 일측에는 심체(100)를 고정시켜주는 걸림부(130)가 형성되고 걸림부(130)와 통체 부(320) 사이에는 잉크 공급홀(140)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잉크 공급부(150)를 구비하며, 선단은 심체(100) 외부에 끼워져 심체(100)를 지지해 주는 지지캡부(5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탱크홀더(300)의 통체부(320)에 형성되는 입구에는,
    돌기부(800)와 홈부(810)를 등간격으로 구비하여 돌기부(800)가 밀착되어 결합된 후에도 누출잉크가 심체홀더(400) 일측에 형성되어 제2누출잉크통로(610)에서 제3누출잉크통로(620)로 잉크를 보내주는 잉크홈부(890)를 통해 누출잉크가 유동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탱크홀더(300)와 심체홀더(400)의 각 통체부(320)(420) 양면 중 한쪽 면과 지지캡부(500)의 제3누출잉크통로(620)와 접하는 면에는,
    제1누출잉크통로(600)와 제2누출잉크통로(610) 및 제3누출잉크통로(620)를 나선형 통로로 형성하는 돌출형이나 요입형의 나선부(850)를 구비하여 잉크의 유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통체부(320)가 탱크홀더(300)와 연결되는 선단에는,
    잉크저장부(900)를 형성하고, 잉크저장부(900)에 잉크저장체(9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탱크홀더(300)에 형성되는 누출잉크통로(350)는,
    잉크탱크(200)에서 제1누출잉크통로(600) 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넓어지는 원뿔형태로 형성하여, 잉크탱크(200)에서 제1누출잉크통로(600)로 이동하는 것보다 잉크가 제1누출잉크통로(600)에서 잉크탱크(200)로 이동하는 것이 수월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1020080092679A 2008-09-22 2008-09-22 필기구 KR20100033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679A KR20100033690A (ko) 2008-09-22 2008-09-22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679A KR20100033690A (ko) 2008-09-22 2008-09-22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690A true KR20100033690A (ko) 2010-03-31

Family

ID=4218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679A KR20100033690A (ko) 2008-09-22 2008-09-22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36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31891C1 (ru) * 2013-10-30 2014-10-27 Дмит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авлов Пишущая ручк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31891C1 (ru) * 2013-10-30 2014-10-27 Дмит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авлов Пишущая ручк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2056B1 (en) Writing instrument
US7887246B2 (en) Liquid supply device
JP6367561B2 (ja) 筆記具用リフィル及び筆記具
KR101227691B1 (ko) 직액식 필기구
JP5859164B1 (ja) 塗布具
JP6142622B2 (ja) 生インキ内蔵筆記具
JP5866747B2 (ja) 塗布具
JP2006240281A (ja) 直液式筆記具
KR102337514B1 (ko) 펜 및 펜용 리필
JP2001219693A (ja) 両頭式直液筆記具
JP2001171285A (ja) 直液式筆記具
KR20100033690A (ko) 필기구
JP4871354B2 (ja) 筆記用具
KR100968623B1 (ko) 필기구
KR100985587B1 (ko) 액상형 필기구
KR100968624B1 (ko) 필기구
JP3524832B2 (ja) 直液式筆記具
KR20090052982A (ko) 직액식 필기구
JP2002362086A (ja) インキ導入管及びこれを内蔵した筆記具
US6588963B2 (en) Collector type writing instrument
JPH0650886U (ja) 直液式筆記具
JP4463360B2 (ja) コレクター式筆記具
JP4321118B2 (ja) 塗布具
JPH0811483A (ja) 筆記具
JP6142624B2 (ja) 生インキ内蔵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