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587B1 - 액상형 필기구 - Google Patents

액상형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587B1
KR100985587B1 KR1020100021976A KR20100021976A KR100985587B1 KR 100985587 B1 KR100985587 B1 KR 100985587B1 KR 1020100021976 A KR1020100021976 A KR 1020100021976A KR 20100021976 A KR20100021976 A KR 20100021976A KR 100985587 B1 KR100985587 B1 KR 100985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ore
absorber
rear end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홍
유강수
Original Assignee
유강수
이상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강수, 이상홍 filed Critical 유강수
Priority to KR1020100021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12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액상의 잉크를 심체(30)에 일정한 양으로 지속적이면서 원활하게 공급하여 필기가 미려하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액상형 필기구(1)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잉크저장체(10), 잉크흡수체(20), 심체(30), 뚜껑(40)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액상형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액상형 필기구(1)는 잉크저장체(10)의 선단부에 잉크흡수체(20)가 내입되며 선단부에 심체(30)의 후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심체후방고정구(51)가 일체로 형성되며 선단부가 도넛형상으로 개방된 내통(50a)과 외통(50b)의 이중구조로 구성된 잉크흡수통(50)을 직접적으로 결합 구성하고, 잉크흡수통(50)의 후단부에 잉크저장체(10)의 잉크를 잉크흡수통(50)으로 공급하고 잉크흡수통(50)으로 공급된 잉크가 임의로 잉크저장체(10)에 역류되는 것을 차단토록 잉크공급캡(60)을 결합 구성하며, 잉크흡수통(50)의 개방된 선단부를 통해 내통(50a)과 외통(50b) 사이에 심체(30)의 선단이 돌출되도록 심체(30)의 선단 일부가 끼움 고정되는 심체전방고정구(71)와 내부 잉크흡수체(2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구멍(72)이 형성되며 선단부에 심체(30)를 보호하고 잉크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한 뚜껑(40)이 탈착 가능토록 심체홀더(70)를 직접적으로 결합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세관 현상으로 자연적인 잉크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여 잉크저장체(10)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의 잉크를 잉크흡수통(50) 내부의 잉크흡수체(20)를 거쳐 심체(30)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양으로 지속적이면서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필기를 행할 시 글씨체의 끊김 현상을 없애고 글씨의 색상 및 선명도가 일정하도록 하여 보다 미려하면서 원활한 필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필기구(1)의 잦은 고장을 예방하므로 그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으며, 주위의 온도 변화에 따른 잉크의 부피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잉크가 필기구(1)의 외부로 누출되거나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상형 필기구{Liquid type pens}
본 발명은 마킹-펜(marking pen) 등의 액상형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내부에 저장된 액상의 잉크를 심체에 일정한 양으로 지속적이면서 원활하게 공급하여 필기가 미려(美麗)하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액상형 필기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흑연과 점토를 혼합하여 구운 심을 나무에 내입 구성한 연필, 겔(gel) 형태의 잉크가 내입된 대롱의 단부에 회전하는 볼이 내입된 촉을 결합한 심을 다양한 구조와 형상의 케이싱 내부에 설치한 볼펜, 심체가 단부에 고정된 케이싱의 내부에 잉크를 머금은 스펀지 등의 잉크흡수심지가 심체의 후단과 접하도록 하여 잉크흡수심지의 잉크가 심체로 유출되어 필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일명 사인펜 내지 형광펜 등의 잉크흡수심지용 필기구, 케이싱 내부에 액상의 잉크가 내입된 잉크저장체와 잉크저장체의 잉크를 흡수하여 심체로 공급하는 잉크흡수체와 잉크저장체와 잉크흡수체간의 잉크 유동을 강제로 개폐시키는 밸브체와 잉크흡수체로부터 잉크를 공급받아 필기가 이루어지게 한 심체로 구성한 마킹-펜 등의 액상형 필기구 등으로 대분되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대분되는 필기구 중 액상형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상형 필기구는 잉크저장체에서 밸브체의 조작에 따른 개폐에 의해서 잉크흡수체로 잉크가 강제 유동되어 흡수되며, 잉크흡수체로 흡수된 잉크는 잉크흡수체와 접하는 심체로 공급되어 필기가 이루어지게 되지만, 잉크저장체에서 유동된 잉크를 흡수, 보관하는 잉크흡수체에 보관 및 저장되는 잉크의 용량이 적어서 심체로 잉크가 공급되어 필기를 행할 시 글씨체가 군데군데 빈번하게 끊김과 더불어 글씨의 색상 농도가 지속적으로 일정하지 못하여 원활한 필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지속적으로 원활한 필기가 이루어지게 하려면 잉크저장체에 보관되어 있는 잉크를 잉크흡수체로 보다 많이 유동시켜야 하므로 매번 밸브체를 조작하여 잉크를 유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잦은 밸브체의 조작으로 인해 잉크저장체에 저장된 잉크의 전량을 채 사용하기도 전에 밸브체의 고장 및 밸브체를 개폐시키기 위한 심체의 감압(심체를 바닥에 대고 필기구 전체를 누르는 작용)으로 심체가 변형되는 등의 필기구 고장에 의해서 그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잉크저장체와 잉크흡수체 사이에 잉크를 인위적으로 유동시키는 밸브체를 구비함으로써, 잉크흡수체에 보관된 잉크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잉크의 부피가 팽창하여 심체를 보호 유지하고 있는 필기구의 뚜껑 개폐 시 심체가 고정된 심체홀더상의 공기구멍 등을 통해 케이싱 외부로 누출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종래 잉크저장체와 잉크흡수체간의 밸브체로 인하여 잉크저장체로부터 공급받는 잉크의 용량이 적어 잉크흡수체에 흡수된 저용량 잉크를 심체로 공급하여 필기를 행할 시 글씨체의 잦은 끊김과 색상의 선명도가 일정하지 않아 매번 지속적인 잉크공급을 위해 인위적이고 지속적인 심체의 감압을 통해서 잉크를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주변 온도의 변화 등의 환경에 따라서 잉크의 부피 변화로 인해 뚜껑이 열릴 시 잉크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인위적인 잉크의 유동을 일으키는 밸브체를 없애고, 모세관 현상에 의한 자연적인 유동으로 잉크저장체와 잉크흡수체 간의 잉크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지속적으로 심체에 잉크가 공급되게 함과 더불어 필기구의 잦은 고장도 예방하며, 잉크흡수체를 개선시켜 유기적인 잉크의 누출을 방지하며, 액상의 잉크를 심체에 일정한 양으로 지속적이면서 원활하게 공급하여 필기가 미려하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주위의 온도 변화에 따른 잉크의 부피 변화로 공기구멍을 막거나 잉크가 필기구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액상형 필기구를 제공함에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잉크가 내입된 잉크저장체와, 잉크저장체로부터 잉크를 공급받아 흡수, 보관하는 잉크흡수체와, 잉크흡수체에 후단부가 접하여 잉크흡수체에서 흡수하고 있던 잉크가 유동되어 필기가 이루어지게 구성된 심체와, 심체를 보호하고 잉크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필기구의 선단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액상형 필기구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액상형 필기구는 잉크저장체의 선단부에 잉크흡수체가 내입되며 선단부에 심체의 후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심체후방고정구가 일체로 형성되며 선단부가 개방된 도넛형상의 내외 이중구조로 구성된 잉크흡수통을 직접적으로 결합 구성하고, 잉크흡수통의 후단부에 잉크저장체의 잉크를 잉크흡수통으로 공급하고 잉크흡수통으로 공급된 잉크가 임의로 잉크저장체에 역류되는 것을 차단토록 잉크공급캡을 결합 구성하며, 잉크흡수통의 개방된 선단부를 통해 내통과 외통 사이에 심체의 선단이 돌출되도록 심체의 선단 일부가 끼움 고정되는 심체전방고정구와 내부 잉크흡수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구멍이 형성되며 선단부에 심체를 보호하고 잉크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한 뚜껑이 탈착 가능토록 심체홀더를 직접적으로 결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잉크흡수체는 기공의 밀도를 달리하는 저밀도흡수체, 중밀도흡수체, 고밀도흡수체의 3단으로 잉크공급캡에서 심체홀더 방향으로 차례대로 배치되게 구성하되, 저밀도흡수체는 잉크공급호스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잉크공급호스의 선단부가 중밀도흡수체의 일측을 가압토록 구성하며, 고밀도흡수체는 심체의 후단부가 가압토록 형성하며, 저밀도흡수체와 중밀도흡수체의 사이 및 중밀도흡수체와 고밀도흡수체의 사이에는 잉크흡수통 내부에서의 잉크 역류를 방지토록 심체홀더의 공기구멍으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각각 생성된 공기막으로 이루어진 공기형성층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잉크공급캡은 가운데에 잉크저장체와 잉크흡수통에 연통되는 잉크공급호스를 일체로 형성하고, 잉크흡수통으로 공급된 잉크가 외력에 의해서 잉크저장체로 임의의 역류가 일어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잉크공급호스 외측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환형(環形)의 역류방지환테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심체의 후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잉크흡수통의 심체후방고정구의 내경을 심체의 선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심체홀더의 심체전방고정구 내경보다 작게 구성하며, 심체전방고정구의 후단과 심체후방고정구의 선단이 접하도록 하여 심체를 심체전방고정구와 심체후방고정구에 완전 밀착되게 구성하며, 심체후방고정구와 심체전방고정구의 내경 크기에 따라서 심체 후단부의 외경은 작게 형성하고 심체 선단부의 외경은 후단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잉크흡수체에 의한 모세관 현상으로 자연적인 잉크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여 잉크저장체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의 잉크를 잉크흡수통 내부의 잉크흡수체를 거쳐 심체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양으로 지속적이면서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보드판 등의 대상에 필기를 행할 시 글씨체의 끊김 현상을 없애고 글씨의 색상 및 선명도가 일정하도록 하여 보다 미려하면서 원활한 필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종래 매번 심체를 감압하여 잉크를 공급하던 것에 비하여 보다 용이하게 필기를 행할 수 있으며, 종래의 밸브체를 없애고 심체를 감압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필기구의 잦은 고장을 예방하여 그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잉크흡수체 및 잉크공급캡의 구성에 의해서 주위의 온도 변화에 따른 잉크의 부피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잉크가 필기구의 외부로 누출되거나 잉크흡수통으로 공급된 잉크가 임의로 잉크저장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누출되는 잉크가 심체홀더의 공기구멍을 막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액상형 필기구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액상형 필기구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상기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액상형 필기구(1)를 구성하되, 상기 액상형 필기구(1)는 잉크가 내입된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잉크저장체(10)와 잉크저장체(10)로부터 잉크를 공급받아 일차적으로 잉크를 흡수하여 보관하고 있는 잉크흡수체(20)와, 잉크흡수체(20)에 후단부가 접하여 잉크흡수체(20)에서 흡수하고 있던 잉크가 유동되어 필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심체(30)와, 심체(30)를 보호하고 잉크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필기구(1)의 케이싱 선단에 결합되는 뚜껑(40)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액상형 필기구(1)구조에 있어서, 상기 잉크저장체(10), 잉크흡수체(20), 심체(30), 뚜껑(4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액상형 필기구(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잉크저장체(10)의 선단부에 잉크흡수체(20)가 내입되는 잉크흡수통(50)을 직접적으로 결합 구성하고, 상기 잉크흡수통(50)의 선단부에는 심체(30)의 후단부가 강제끼움으로 결합 고정되는 심체후방고정구(51)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잉크흡수통(50)의 후단부에 잉크흡수통(50)과 잉크저장체(10) 사이에서 잉크저장체(10)의 잉크를 잉크흡수통(50)으로 공급하고 잉크흡수통(50)으로 공급된 잉크가 임의로 잉크저장체(10)에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잉크공급캡(60)을 결합 구성하되, 상기 잉크흡수통(5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잉크공급캡(60)은 잉크공급캡(60)의 가운데에 잉크저장체(10)와 잉크흡수통(50)에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잉크저장체(10) 내부의 잉크를 잉크흡수통(50)으로 공급토록 한 잉크공급호스(61)와 잉크흡수통(50)으로 공급된 잉크가 필기구(1)의 흔들림이나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서 잉크저장체(10)로 임의의 역류가 일어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잉크공급호스(61) 외측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된 환형(環形)의 역류방지환테(62)로 구성하며, 상기 잉크흡수통(50)은 도 2 내지 3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단부가 도넛형상으로 개방되는 내통(50a)과 외통(50b)의 이중구조로 구성하며, 내통(50a)의 후단부에 공기유입공(50c)을 수개 형성하며, 상기 잉크흡수통(50)의 개방된 선단부를 통해 내통(50a)과 외통(50b) 사이에 심체(30)가 결합된 심체홀더(70)를 직접적으로 결합 구성하되, 상기 심체홀더(70)는 심체(30)의 선단이 돌출되도록 심체(30)의 선단 일부가 강제끼움되어 고정되는 심체전방고정구(71)를 일체로 형성하며, 내부 잉크흡수체(2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구멍(72)을 일측에 형성하여 공기구멍(72)으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가 잉크흡수통(50)의 공기유입공(50c)을 통해 잉크흡수체(20)로 유입되도록 구성하며, 선단부에 심체(30)를 보호하고 잉크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한 뚜껑(40)을 탈착 가능토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잉크흡수통(50)의 심체후방고정구(51) 내경을 심체홀더(70)의 심체전방고정구(71) 내경보다 작게 구성하며, 상기 잉크흡수통(50)에 심체홀더(70)의 결합 시 심체전방고정구(71)의 후단과 심체후방고정구(51)의 선단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하도록 하여 심체(40)를 심체전방고정구(71)와 심체후방고정구(51)에 완전 밀착되게 구성함으로써 잉크흡수체(20)로부터 심체(30)로의 잉크 유동 시 필기구(1)의 과도한 흔들림이나 충격, 온도변화로 인한 부피의 팽창 등에 의해서 잉크가 심체홀더(70)의 내면이나 심체홀더(70)의 공기구멍(72)으로 잉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구성한다.
상기 잉크흡수통(50)에 내입되어 잉크저장체(10)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흡수, 보관하는 잉크흡수체(20)는 스펀지 등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며 액체를 흡수토록 된 흡수체로 구성하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잉크흡수체(20)를 기공의 밀도(=기공률)를 달리하는 저밀도흡수체(21), 중밀도흡수체(22), 고밀도흡수체(23)의 3단으로 잉크공급캡(60)에서 심체홀더(70) 방향으로 차례대로 배치토록 구성하여 잉크의 유동을 조절하므로 심체홀더(70)의 공기구멍(72)으로의 잉크누출을 방지토록 하고, 상기 저밀도흡수체(21)는 가운데 관통구멍(21a)을 형성하여 상기한 잉크공급캡(60)의 잉크공급호스(61)가 관통되게 구성하며, 저밀도흡수체(21)의 관통구멍(21a)을 통과한 잉크공급호스(61)의 선단부가 중밀도흡수체(22)의 일측을 가압토록 구성하며, 심체(30)의 후단부가 고밀도흡수체(23)를 일부 가압토록 구성하며, 상기 심체홀더(70)의 공기구멍(72)으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 상기 저밀도흡수체(21)와 중밀도흡수체(22)의 사이, 중밀도흡수체(22)와 고밀도흡수체(23)의 사이에 각각 자연적으로 생성된 공기막으로 이루어진 공기형성층(24)을 구성하여 잉크흡수통(50) 내부에서 잉크의 역류를 방지토록 한 것이다.
상기 심체(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후단부가 결합되는 심체후방고정구(51)와 선단부가 결합되는 심체전방고정구(71)의 내경 크기에 따라서 후단부는 외경을 작게 형성하고, 선단부는 외경을 후단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며, 심체(30)의 선단은 심체홀더(70)에서 돌출되게 구성하며, 전체적으로 잉크저장체(10)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모세관현상에 의해서 잉크흡수통(50) 내부의 잉크흡수체(20)에서 흡수, 보관하였다가 심체(30)로 유동시켜 필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액상형 필기구(1)를 사용하여 보드판 등의 대상에 필기를 행하려면, 우선 잉크저장체(10)에 내입된 잉크가 잉크공급캡(60)의 잉크공급호스(61)를 통해서 잉크흡수통(50)으로 공급되고, 잉크흡수통(50)으로 공급된 잉크는 잉크흡수통(50)에 내입된 잉크흡수체(20)에서 흡수 및 보관을 하게 되며, 잉크흡수체(20)에서 흡수, 보관하고 있던 잉크는 잉크흡수체(20)에 후단부가 접하고 있던 심체(30)로 유동이 이루어져서 항상 일정한 양으로 심체(30)에 잉크가 공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필기를 행하는 시점에 필기구(1)의 뚜껑(40)을 심체홀더(70)에서 개방시킨 다음, 보드판 등의 대상에 심체(30)의 선단을 접하게 하여 필기를 행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필기를 행할 시 종래 액상형 필기구(1)는 심체(30)를 감압시켜 잉크를 심체(30)로 공급되도록 하는 반면, 본 발명의 액상형 필기구(1)는 모세관현상에 의해서 잉크저장체(10)의 잉크가 공급되는 잉크흡수체(20)에서 항상 흡수, 보관되어 심체(30)로 유동되기 때문에 지속적이며 자연스럽게 일정한 양으로 공급이 이루어져서 필기를 행할 시 글씨체의 끊김이 없으며, 글씨의 색상 및 선명도 등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보다 미려하고 원활하며 용이하게 필기를 행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잉크흡수체(20)의 구성을 저밀도흡수체(21), 중밀도흡수체(22), 고밀도흡수체(23)의 3단으로 구성하므로 잉크저장체(10)로부터 심체(30)에 일정하게 잉크를 유동시킴과 더불어 저밀도흡수체(21)와 중밀도흡수체(22)의 사이, 중밀도흡수체(22)와 고밀도흡수체(23)의 사이에 각각 공기막으로 이루어진 공기형성층(24)을 두어 외부의 온도 변화 등에 의해서 잉크의 부피가 팽창하더라도 잉크흡수체(20)에서 흡수, 보관하던 잉크가 심체홀더(70)의 공기구멍(72)이나 심체전방고정구(71)의 내면 및 심체(30)의 외면을 타고 필기구(1)의 외부로 누출되려고 할 때 공기형성층(24)이 잉크흡수통(50)의 내부를 밀폐하는 작용을 하여 잉크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면서 심체(30)로 잉크가 과도하게 유출되는 것까지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잉크공급캡(60)의 잉크공급호스(61) 외측으로 일체로 형성된 역류방지환테(62)에 의해서 잉크저장체(10)에서 잉크흡수통(50)으로 공급되었던 잉크가 임의로 잉크저장체(10)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여 잉크의 역류를 방지하며, 잉크흡수체(20)가 내입된 잉크흡수통(50)의 전후로 심체(30)가 결합, 고정되는 심체홀더(70)와 잉크공급호스(61)가 형성된 잉크공급캡(60)을 조립하여 일체로 형성함과 함께 잉크공급캡(60)과 심체홀더(70)가 조립 형성된 잉크흡수통(50)에 잉크저장체(10)를 결합하고, 잉크흡수통(50)에 결합된 전방의 심체홀더(70)에 뚜껑(40)을 결합함으로써 필기구(1)의 전체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심체(30)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외경을 다르게 형성하며 전단부가 결합되는 심체전방고정구(71)와 후단부가 결합되는 심체후방고정구(51)의 내경을 각각 심체(30)의 형상에 맞추어 직경을 달리 형성함으로써 잉크의 누출을 보다 더 철저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잉크흡수체(20)의 저밀도흡수체(21)를 도넛형상으로 형성하여 잉크공급캡(60)의 잉크공급호스(61)가 관통되게 한 후 잉크공급호스(61)의 단부를 중밀도흡수체(22)에 연결시켜 중밀도흡수체(22)와 고밀도흡수체(23)에 잉크가 과도하게 흡수되어 있을 시 잉크가 상기 저밀도흡수체(21)로는 역류가 방지되면서 상기 잉크공급호스(61)를 통해서 잉크저장체(10)로 자연스럽게 유동되어 심체(30)로 잉크가 과도하게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액상형)필기구 10:잉크저장체
20:잉크흡수체 21:저밀도흡수체
21a:관통구멍 22:중밀도흡수체
23:고밀도흡수체 24:공기형성층
30:심체 40:뚜껑
50:잉크흡수통 50a:내통
50b:외통 50c:공기유입공
51:심체후방고정구 60:잉크공급캡
61:잉크공급호스 62:역류방지환테
70:심체홀더 71:심체전방고정구
72:공기구멍

Claims (4)

  1. 잉크가 내입된 잉크저장체(10)와, 잉크저장체(10)로부터 잉크를 공급받아 흡수, 보관하는 잉크흡수체(20)와, 잉크흡수체(20)에 후단부가 접하여 잉크흡수체(20)에서 흡수하고 있던 잉크가 유동되어 필기가 이루어지게 구성된 심체(30)와, 심체(30)를 보호하고 잉크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필기구(1)의 선단에 결합되는 뚜껑(40)과, 잉크흡수체(20)가 내입되며 선단부에 심체(30)의 후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심체후방고정구(51)가 일체로 형성된 잉크흡수통(50)과, 잉크저장체(10)의 잉크를 잉크흡수통(50)으로 공급토록 잉크공급호스(61)가 구성된 잉크공급캡(60)과, 심체(30)의 선단이 돌출되도록 심체(30)의 선단 일부가 끼움 고정되는 심체전방고정구(71)가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 잉크흡수체(2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구멍(72)이 일측에 형성되며 선단부에 심체(30)를 보호하고 잉크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한 뚜껑(40)이 탈착 가능토록 구성된 심체홀더(70)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액상형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액상형 필기구(1)는
    선단부가 도넛형상으로 개방된 내통(50a)과 외통(50b)의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내통(50a)의 후단부에 공기유입공(50c)이 수개 형성되며, 잉크저장체(10)의 선단부에 직접적으로 결합 구성된 잉크흡수통(50)과,
    잉크흡수통(50)으로 공급된 잉크가 임의로 잉크저장체(10)에 역류되는 것을 차단토록 잉크흡수통(50)의 후단부에 결합 구성된 잉크공급캡(60)과,
    잉크흡수통(50)의 개방된 선단부를 통해 내통(50a)과 외통(50b) 사이에 직접적으로 결합 구성된 심체홀더(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필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수체(20)는 기공의 밀도를 달리하는 저밀도흡수체(21), 중밀도흡수체(22), 고밀도흡수체(23)의 3단으로 잉크공급캡(60)에서 심체홀더(70) 방향으로 차례대로 배치토록 구성되며,
    상기 저밀도흡수체(21)는 잉크공급호스(61)가 관통되는 관통구멍(21a)이 형성되어 잉크공급호스(61)의 선단부가 중밀도흡수체(22)의 일측을 가압토록 구성되며,
    상기 고밀도흡수체(23)는 심체(30)의 후단부가 일부 가압토록 구성되며.
    상기 저밀도흡수체(21)와 중밀도흡수체(22)의 사이, 중밀도흡수체(22)와 고밀도흡수체(23)의 사이에는 잉크흡수통(50) 내부에서의 잉크 역류를 방지토록 심체홀더(70)의 공기구멍(72)으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각각 생성된 공기막으로 이루어진 공기형성층(24)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필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공급캡(60)은 잉크공급캡(60)의 가운데에 잉크저장체(10)와 잉크흡수통(50)에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된 잉크공급호스(61)와,
    잉크흡수통(50)으로 공급된 잉크가 외력에 의해서 잉크저장체(10)로 임의의 역류가 일어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잉크공급호스(61) 외측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된 환형(環形)의 역류방지환테(6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필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체(30)의 후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잉크흡수통(50)의 심체후방고정구(51)의 내경은 심체(30)의 선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심체홀더(70)의 심체전방고정구(71)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며,
    상기 잉크흡수통(50)에 심체홀더(70)의 결합 시 심체전방고정구(71)의 후단과 심체후방고정구(51)의 선단이 접하도록 구성하여 심체(40)가 심체전방고정구(71)와 심체후방고정구(51)에 완전 밀착되게 구성되며,
    상기 심체후방고정구(51)와 심체전방고정구(71)의 내경 크기에 따라서 심체(30) 후단부의 외경은 작게 형성되고, 심체(30) 선단부의 외경은 후단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필기구.
KR1020100021976A 2010-03-11 2010-03-11 액상형 필기구 KR100985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976A KR100985587B1 (ko) 2010-03-11 2010-03-11 액상형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976A KR100985587B1 (ko) 2010-03-11 2010-03-11 액상형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587B1 true KR100985587B1 (ko) 2010-10-06

Family

ID=4313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976A KR100985587B1 (ko) 2010-03-11 2010-03-11 액상형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5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817Y1 (ko) 2011-08-02 2011-11-24 박철우 링형의 잉크 흡수체가 구비된 형광펜
KR101206631B1 (ko) 2010-12-31 2012-11-29 서상일 펜 중간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잉크펜
KR20220026064A (ko) * 2020-08-25 2022-03-04 주식회사 프린텍코리아 잉크공급용 심재를 포함하는 필기구
US11660903B2 (en) * 2020-06-05 2023-05-30 Qingdao Best Point Stationery Co., Ltd. Writing instru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0141U (ko) * 1989-12-27 1991-09-13
KR20040046902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전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543402B1 (ko) 2004-06-15 2006-01-20 주식회사모나미 필기구
KR100562280B1 (ko) 2004-06-15 2006-03-23 주식회사모나미 필기구
KR200446902Y1 (ko) 2007-12-18 2009-12-14 주식회사모나미 흡수저장부를 갖는 필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0141U (ko) * 1989-12-27 1991-09-13
KR20040046902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전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543402B1 (ko) 2004-06-15 2006-01-20 주식회사모나미 필기구
KR100562280B1 (ko) 2004-06-15 2006-03-23 주식회사모나미 필기구
KR200446902Y1 (ko) 2007-12-18 2009-12-14 주식회사모나미 흡수저장부를 갖는 필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631B1 (ko) 2010-12-31 2012-11-29 서상일 펜 중간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잉크펜
KR200456817Y1 (ko) 2011-08-02 2011-11-24 박철우 링형의 잉크 흡수체가 구비된 형광펜
US11660903B2 (en) * 2020-06-05 2023-05-30 Qingdao Best Point Stationery Co., Ltd. Writing instrument
KR20220026064A (ko) * 2020-08-25 2022-03-04 주식회사 프린텍코리아 잉크공급용 심재를 포함하는 필기구
KR102435971B1 (ko) * 2020-08-25 2022-08-24 주식회사 프린텍코리아 잉크공급용 심재를 포함하는 필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9775B2 (ja) 液体供給装置
KR100963317B1 (ko) 도포구
US4496258A (en) Writing pen with space behind nib
KR100985587B1 (ko) 액상형 필기구
KR100916381B1 (ko) 마커펜
US3922100A (en) Writing implement
JP2006212884A (ja) 直液式筆記具
JP2014188969A (ja) 生インキ内蔵筆記具
JP2017505247A (ja) マーカー
JP2013082193A (ja) 塗布具
JP6016410B2 (ja) 筆記具
JP5975421B2 (ja) 反転式印判
WO2016056067A1 (ja) 筆記具用インク貯留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バルブ式筆記具
JP5998163B2 (ja) バルブ式液材滲出具
JP2014240154A (ja) インキ自給式印判
JP2594306Y2 (ja) 直液式筆記具
KR100655426B1 (ko)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필기구
WO2007107057A1 (fr) Instrument d'ecriture
KR200368892Y1 (ko)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필기구
KR200181332Y1 (ko) 칠판용 개량 필기펜
JP5085960B2 (ja) 直液式筆記具
KR20000000771U (ko) 칠판용 개량 필기펜
JP6748040B2 (ja) バルブ式液材滲出具
KR200387812Y1 (ko) 리필이 용이한 필기구
JPS622846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