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825B1 - 직액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직액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825B1
KR101754825B1 KR1020150126023A KR20150126023A KR101754825B1 KR 101754825 B1 KR101754825 B1 KR 101754825B1 KR 1020150126023 A KR1020150126023 A KR 1020150126023A KR 20150126023 A KR20150126023 A KR 20150126023A KR 101754825 B1 KR101754825 B1 KR 101754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space
flow
ridge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9115A (ko
Inventor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주)진주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주메이트 filed Critical (주)진주메이트
Priority to KR1020150126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8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43K8/06Wick feed from within reservoir to writing-point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액식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수용공간부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부 하단부에 삽입된 다공질 재료의 잉크흡수체;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장착되되, 하단부가 몸체의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단부가 상기 수용공간부로 진입하여 상기 잉크흡수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펜촉;
상기 잉크흡수체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부를 상기 잉크흡수체가 수용되는 하부 흡수체수용부와 잉크가 수용되는 상부 잉크수용부로 구획하게 되는 내부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마개는
상기 잉크흡수체의 상면을 막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융기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융기부의 내측에 하방 개방되도록 형성된 유통공간부; 그리고
상기 유통공간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융기부를 측방 관통하여 형성되되, 융기부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관통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직액식 필기구는, 잉크수용부에 저장되어 있던 잉크가 필기 시 각 관통공 중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관통공 및 유통공간부를 통하여 흡수체수용부로 유입되고, 펜촉을 통하여 흡수체수용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기 시 유통공간부 및 각 관통공 중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관통공을 통하여 잉크수용부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잉크 공급 및 공기 유입이 적절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직액식 필기구는 잉크 및 공기의 유통을 위한 관통공과 유통공간부가 내부마개의 융기부 내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융기부는 잉크흡수체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되 잉크흡수체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더욱 슬림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직액식 필기구{Writing tool of direct liquid type}
본 발명은 직액식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펜촉으로의 잉크 공급 및 필기구 내측으로의 공기 유입이 적절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직액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직액식 필기구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9470호(2014.08.20.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직액식 필기구"]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내부 수용공간부를 갖는 몸체;
상기 수용공간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방 개방된 내부 저장공간부를 갖는 잉크저장체;
상기 잉크저장체의 저장공간부에 삽입된 잉크흡수체;
상기 잉크저장체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공간부의 상측을 폐쇄하는 커버;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장착되되, 하단부가 상기 몸체의 하방으로 노출되고, 상단부가 상기 잉크저장체의 저장공간부 측으로 진입하여 상기 잉크흡수체에 삽입되는 필심;
상기 잉크저장체의 내벽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잉크저장체의 바닥에서부터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잉크흡수체의 외주면 전부 또는 일부와 접하게 되는 지지부;
상기 잉크저장체의 하면에서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공기유입로;
상기 잉크저장체 및 상기 지지부를 측방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잉크저장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배열되는 둘 이상의 관통공; 및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부와 상기 각 관통공을 연결하도록 상기 잉크저장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통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수용공간부의 상부에 저장되어 있던 잉크가 필기 시 각 관통공 중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관통공을 통하여 저장공간부로 유입되고, 공기유입로를 통하여 저장공간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기 시 각 관통공 중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관통공을 통하여 수용공간부의 상부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잉크흡수체로의 잉크 공급 및 수용공간부로의 공기 유입이 적절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잉크흡수체를 감싸기 위한 잉크저장체가 구비되어야 하고, 이 잉크저장체의 측면에 지지부, 공기유입로, 관통공 등이 형성되어야 함으로써, 잉크저장체의 직경이 커 필기구를 슬림한 구조로 제작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잉크저장체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잉크 및 공기의 유통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펜촉으로의 잉크 공급 및 필기구 내측으로의 공기 유입이 적절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더욱 슬림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직액식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직액식 필기구는,
내부 수용공간부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부 하단부에 삽입된 다공질 재료의 잉크흡수체;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장착되되, 하단부가 몸체의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단부가 상기 수용공간부로 진입하여 상기 잉크흡수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펜촉;
상기 잉크흡수체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부를 상기 잉크흡수체가 수용되는 하부 흡수체수용부와 잉크가 수용되는 상부 잉크수용부로 구획하게 되는 내부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마개는
상기 잉크흡수체의 상면을 막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융기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융기부의 내측에 하방 개방되도록 형성된 유통공간부; 그리고
상기 유통공간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융기부를 측방 관통하여 형성되되, 융기부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관통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잉크수용부에 저장되어 있던 잉크는 필기 시 상기 각 관통공 중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관통공 및 상기 유통공간부를 통하여 상기 흡수체수용부로 유입되고,
상기 펜촉을 통하여 상기 흡수체수용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기 시 상기 유통공간부 및 상기 각 관통공 중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잉크수용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직액식 필기구는,
잉크수용부에 저장되어 있던 잉크가 필기 시 각 관통공 중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관통공 및 유통공간부를 통하여 흡수체수용부로 유입되고, 펜촉을 통하여 흡수체수용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기 시 유통공간부 및 각 관통공 중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관통공을 통하여 잉크수용부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잉크 공급 및 공기 유입이 적절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직액식 필기구는 잉크 및 공기의 유통을 위한 관통공과 유통공간부가 내부마개의 융기부 내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융기부는 잉크흡수체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되 잉크흡수체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더욱 슬림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액식 필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액식 필기구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액식 필기구는 크게 몸체(100), 잉크흡수체(200), 펜촉(300), 내부마개(400) 및 중계체(500)로 이루어진다.
몸체(100)는 상하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몸체(120) 및 상부몸체(130)로 이루어진다.
하부몸체(120)는 상방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몸체(130)는 하방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하부몸체(120)와 상부몸체(130)의 결합에 의해 몸체(10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부(110)가 마련된다.
그리고 하부몸체(120)의 하면 중앙에는 펜촉(300)이 삽입되는 결합부(121)가 돌출 형성되고, 이 결합부(121)의 외측에는 펜촉(300)을 덮는 공지의 뚜껑(140)이 결합된다.
잉크흡수체(200)는 몸체(100)의 수용공간부(110) 하단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잉크를 흡수하여 저장하였다가 펜촉(300)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잉크흡수체(200)는 스펀지, 섬유, 합성수지발포제 등의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진다.
펜촉(300)은 몸체(10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하단부가 몸체(100)의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단부가 수용공간부(110)로 진입하여 잉크흡수체(200)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하부몸체(120)의 결합부(121)에 삽입된다.
펜촉(300)은 잉크흡수체(200)와 마찬가지로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펜촉(300)은 잉크흡수체(200)로부터 잉크를 공급받아 필기 시 잉크를 배출하게 되고, 배출되는 잉크의 양에 비례하여 필기구 외부의 공기가 펜촉(300)과 몸체(100) 사이의 틈새, 또는 펜촉(300)의 내부 공극을 통해 몸체(100)의 수용공간부(110)로 유입된다.
내부마개(400)는 잉크흡수체(2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몸체(100)의 수용공간부(11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잉크흡수체(200)의 상면을 막는 플랜지부(410);
플랜지부(410)의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융기부(420);
플랜지부(410)와 융기부(420)의 내측에 하방 개방되도록 형성된 유통공간부(430);
유통공간부(430)와 연결되도록 융기부(420)를 측방 관통하여 형성된 둘 이상의 관통공(440); 그리고
융기부(42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플랜지부(410)의 상면에 형성된 장착부(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플랜지부(410)는 외주면이 수용공간부(110)의 내벽과 접하여 고정되며, 이에 따라 수용공간부(110)를 잉크흡수체(200)가 수용되는 하부 흡수체수용부(110a)와 잉크가 수용되는 상부 잉크수용부(110b)로 구획하게 된다.
관통공(440)은 융기부(42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둘 이상이 형성되며, 유통공간부(430)와 함께 흡수체수용부(110a)와 잉크수용부(110b)를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각 관통공(440)은 필기 시 내부마개(400)가 몸체(100)와 함께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높이 차이를 갖게 되는데,
이러한 각 관통공(440)의 높이 차이에 의하여, 잉크수용부(110b)에 저장되어 있던 잉크는 필기 시 각 관통공(440) 중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관통공(440) 및 유통공간부(430)를 통하여 흡수체수용부(110a)로 유입됨에 따라 잉크흡수체(200)에 흡수되고, 펜촉(300)을 통하여 흡수체수용부(110a)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기 시 유통공간부(430) 및 각 관통공(440)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관통공(440)을 통하여 잉크수용부(110b)로 유입됨으로써, 펜촉(300)으로의 잉크 공급 및 필기구 내측으로의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잉크 및 공기의 유통을 위한 관통공(440)과 유통공간부(430)가 내부마개(400)의 융기부(420) 내에 위치하게 되고, 이 융기부(420)는 잉크흡수체(2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되 잉크흡수체(200)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필기구를 더욱 슬림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장착부(450)는 상부몸체(130)의 하단부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상부몸체(130)와 내부마개(400)가 결합될 수 있게 한다.
결국, 상부몸체(130)는 그 하단부가 장착부(450)에 끼워져 내부에 잉크수용부(110b)를 이루게 되고, 이때 장착부(450)는 융기부(42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부몸체(130)의 내주면이 융기부(420)의 외주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부몸체(130)를 고정하게 된다.
장착부(4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부(420)와 플랜지부(410)를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융기부(420)를 중심으로 환형(環形)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중계체(500)는 내부마개(400)의 유통공간부(43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부가 유통공간(430)에 삽입되고, 하부가 잉크흡수체(200)의 상부에 삽입된다.
중계체(500)는 잉크흡수체(200) 및 펜촉(300)과 마찬가지로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관통공(440)을 통하여 유통공간부(430)로 유입된 잉크를 흡수하여 잉크흡수체(200)로 공급하게 된다.
중계체(500)는 잉크흡수체(200)보다 높은 공극률(porosity)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중계체(500)는 60 내지 80 %, 잉크흡수체(200)는 10 내지 30 %의 공극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잉크흡수체(200)가 중계체(500)에 비하여 낮은 흡수력을 갖게 됨으로써 잉크가 새거나, 펜촉(300)을 통하여 과도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몸체(130), 내부마개(400) 및 중계체(500)는 잉크수용부(110b)에 잉크가 채워진 카트리지(cartridge)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부몸체(130), 내부마개(400), 중계체(500) 및 잉크로 구성된 카트리지만을 별도로 구입하여 잉크가 소모된 필기구의 카트리지와 교체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필기구를 재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직액식 필기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몸체
110 : 수용공간부
120 : 하부몸체
130 : 상부몸체
140 : 뚜껑
200 : 잉크흡수체
300 : 펜촉
400 : 내부마개
410 : 플랜지부
420 : 융기부
430 : 유통공간부
440 : 관통공
450 : 장착부
500 : 중계체

Claims (4)

  1. 내부 수용공간부(110)를 갖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수용공간부(110) 하단부에 삽입된 다공질 재료의 잉크흡수체(200);
    상기 몸체(100)의 하단부에 장착되되, 하단부가 몸체(100)의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단부가 상기 수용공간부(110)로 진입하여 상기 잉크흡수체(200)의 하부에 삽입되는 펜촉(300);
    상기 잉크흡수체(2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100)의 수용공간부(110)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부(110)를 상기 잉크흡수체(200)가 수용되는 하부 흡수체수용부(110a)와 잉크가 수용되는 상부 잉크수용부(110b)로 구획하고, 상기 잉크흡수체(200)의 상면을 막는 플랜지부(410), 상기 플랜지부(410)의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융기부(420), 상기 플랜지부(410)와 상기 융기부(420)의 내측에 하방 개방되도록 형성된 유통공간부(430), 그리고 상기 유통공간부(430)와 연결되도록 상기 융기부(420)를 측방 관통하여 형성되되 융기부(42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관통공(440)을 포함하는 내부마개(400); 및
    상부가 상기 내부마개(400)의 유통공간부(430)에 삽입되고, 하부가 상기 잉크흡수체(200)의 상부에 삽입되는 다공질 재료의 중계체(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관통공(440)은 필기 시 상기 내부마개(400)가 상기 몸체(100)와 함께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높이 차이를 갖게 되고,
    상기 잉크수용부(110b)에 저장되어 있던 잉크는 필기 시 상기 각 관통공(440) 중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관통공(440) 및 상기 유통공간부(430)를 통하여 상기 흡수체수용부(110a)로 유입되며,
    상기 펜촉(300)을 통하여 상기 흡수체수용부(110a)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기 시 상기 유통공간부(430) 및 상기 각 관통공(440) 중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관통공(440)을 통하여 상기 잉크수용부(110b)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체(500)는 상기 잉크흡수체(200)보다 높은 공극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방 개방된 통 형상의 하부몸체(120),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120)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몸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410)의 상면에는 상기 융기부(42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장착부(45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30)는 하단부가 상기 장착부(450)에 끼워져 내부에 상기 잉크수용부(110b)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4. 삭제
KR1020150126023A 2015-09-07 2015-09-07 직액식 필기구 KR101754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023A KR101754825B1 (ko) 2015-09-07 2015-09-07 직액식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023A KR101754825B1 (ko) 2015-09-07 2015-09-07 직액식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15A KR20170029115A (ko) 2017-03-15
KR101754825B1 true KR101754825B1 (ko) 2017-07-06

Family

ID=5840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023A KR101754825B1 (ko) 2015-09-07 2015-09-07 직액식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971B1 (ko) * 2020-08-25 2022-08-24 주식회사 프린텍코리아 잉크공급용 심재를 포함하는 필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649B1 (ko) * 2007-09-18 2008-08-27 (주)지텍 필기 보드용 잉크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649B1 (ko) * 2007-09-18 2008-08-27 (주)지텍 필기 보드용 잉크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15A (ko)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428B1 (ko) 직액식 필기구
CN206390306U (zh) 雾化器及其电子烟
JP5687529B2 (ja) 塗布具
KR101227691B1 (ko) 직액식 필기구
US20060054036A1 (en) Direct-fluid-supply writing implement
CN100509438C (zh) 直液式书写工具
US20170224085A1 (en) System for testing a perfume
JP5700817B2 (ja) 塗布具
KR101754825B1 (ko) 직액식 필기구
KR100916381B1 (ko) 마커펜
JP2008183896A (ja) 直液式筆記具
KR200460219Y1 (ko) 배드민턴 셔틀콕의 보관 케이스
RU2015148269A (ru) Резервуар
KR200463527Y1 (ko) 개량된 구성의 아이라이너액 유출 구조체
KR101587997B1 (ko) 연속필기 가능한 마커펜
KR101429470B1 (ko) 직액식 필기구
CN107074005A (zh) 墨水充填工具
JP2018057339A (ja) ペット用給水器およびそのフィルター
KR101969491B1 (ko) 잉크펜
KR20150107022A (ko) 직액식 필기구
KR101838387B1 (ko) 공기 순환로가 형성된 리필형 마카펜
TW201318886A (zh) 塗布具
KR101418942B1 (ko) 필기구
JP2007245376A (ja) 直液式筆記具
KR100903403B1 (ko) 액상 보드마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