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309A - 음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309A
KR20220116309A KR1020227026007A KR20227026007A KR20220116309A KR 20220116309 A KR20220116309 A KR 20220116309A KR 1020227026007 A KR1020227026007 A KR 1020227026007A KR 20227026007 A KR20227026007 A KR 20227026007A KR 20220116309 A KR20220116309 A KR 20220116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unit
steam
foam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 스가와라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1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6Means to produce beverage with a layer on top, e.g. of cream, foam or fr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8Pu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폼 밀크의 거품 레벨과 스팀 밀크의 온도를 적절하게 또 유연하게 개별 제어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밀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밀크에 증기 및 공기를 혼합하여 밀크를 거품낸 폼 밀크를 생성하는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ΔT1)과 밀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밀크에 증기를 혼합하여 밀크를 따뜻하게 한 스팀 밀크를 생성하는 1 이상의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으로 나눠, 튜브 펌프에 의해, 폼 밀크 생성 기간(ΔT1)에 있어서의 밀크 토출 속도(튜브 펌프의 회전 속도 ω1)와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에 있어서의 밀크 토출 속도(튜브 펌프의 회전 속도 ω2)를 개별로 제어한다.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
본 발명은 폼 밀크의 거품 레벨과 스팀 밀크의 온도를 적절하게 또 유연하게 개별 제어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는 커피머신 등의 음료 공급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음료 공급 장치는, 이용자에 의해 음료가 선택된 경우에, 예컨대 커피콩 그라인딩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 등을 행하여 음료를 생성하고,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컵에 대하여 상기 음료 공급부를 구성하는 노즐로부터 음료를 토출하여 공급하는 것이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9-274767호 공보
그런데, 음료 공급 장치가 공급하는 음료에는, 밀크가 포함된 커피 음료인 카페오레, 카페라떼, 카푸치노 등이 포함된다. 카페오레는 커피에 밀크를 넣은 것이고, 카페라떼는 짙은 커피(에스프레소)에 증기로 따뜻하게 한 밀크인 액상 스팀 밀크를 넣은 것이고, 카푸치노는 에스프레소에 스팀 밀크와 증기 및 공기에 의해 밀크를 거품낸 거품형 폼 밀크를 넣은 것이다. 또한, 카페라떼에는, 스팀 밀크뿐만 아니라, 스팀 밀크의 1할 정도의 폼 밀크를 넣은 것도 있다. 즉, 카페라떼나 카푸치노에는 스팀 밀크 및 폼 밀크를 첨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폼 밀크 및 스팀 밀크를 생성하는 경우, 공기의 공급 유무로 전환되며, 모두 동일한 토출 속도로 밀크가 공급되고 있었다. 즉, 폼 밀크는 밀크에 증기 및 공기를 혼합하여 생성되고, 스팀 밀크는 공기 공급을 하지 않고서 밀크에 증기만을 혼합하여 생성되지만, 모두 밀크의 토출 속도가 동일하기 때문에, 폼 밀크의 거품의 미세한 정도인 거품 레벨이 낮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여기서, 밀크의 토출 속도를 빨리 하면 거품 레벨이 높은 폼 밀크가 생성되지만, 반대로 밀크의 토출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스팀 밀크의 온도가 낮아져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폼 밀크의 거품 레벨과 스팀 밀크의 온도를 적절하게 또 유연하게 개별 제어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컵에 대하여 음료 생성부에서 생성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증기 탱크로부터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와, 에어 펌프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밀크 탱크로부터 밀크 공급용 펌프에 의해 밀크를 공급하는 밀크 공급부와, 상기 밀크에 상기 증기 및 상기 공기를 혼합하거나 또는 상기 밀크에 상기 증기를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밀크를 상기 컵에 공급하는 밀크 생성 기간을 복수의 기간으로 나눠, 각 기간을 상기 밀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밀크에 상기 증기 및 상기 공기를 혼합하여 밀크를 거품낸 폼 밀크를 생성하는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과 상기 밀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밀크에 상기 증기를 혼합하여 밀크를 따뜻하게 한 스팀 밀크를 생성하는 1 이상의 스팀 밀크 생성 기간으로 할당하여, 상기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 및 상기 1 이상의 스팀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밀크 공급용 펌프에 의한 단위 밀크 공급량 및 상기 폼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에어 펌프에 의한 단위 공기 공급량을 각각 가변으로 설정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 및 상기 1 이상의 스팀 밀크 생성 기간의 각 기간을 가변으로 설정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밀크 공급용 펌프에 의한 밀크 토출 속도를 가변으로 설정 제어함으로써, 상기 단위 밀크 공급량을 가변으로 설정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크 공급용 펌프는 튜브 펌프이고, 상기 단위 밀크 공급량은 상기 튜브 펌프의 회전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펌프의 에어 토출 속도를 가변으로 설정 제어함으로써, 상기 단위 공기 공급량을 가변으로 설정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 펌프는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펌프의 기동 개수를 가변으로 설정 제어함으로써, 상기 단위 공기 공급량을 가변으로 설정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단위 밀크 공급량을, 상기 스팀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단위 밀크 공급량보다도 많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의 단위 밀크 공급량은 거품의 미세함의 레벨에 따른 단위 밀크 공급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은 거품의 생성량에 따라서 설정되는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단위 공기 공급량은 거품의 생성량에 따라서 설정되는 단위 공기 공급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팀 밀크 생성 기간 후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폼 밀크의 거품 레벨과 스팀 밀크의 온도를 적절하게 또 유연하게 개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음료 공급 장치의 제어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어부에 의한 음료 공급 제어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음료 생성부 내의 밀크 생성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밀크 생성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6은 본 변형예 1에 의한 밀크 생성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7은 본 변형예 2에 의한 밀크 생성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8은 본 변형예 3에 의한 밀크 생성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9는 본 변형예 4에 의한 밀크 생성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10은 본 변형예 5에 의한 밀크 생성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11은 컵의 바닥에서부터 거품 상단까지의 전체 높이와 거품 높이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변형예 6에 의한 밀크 생성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1)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음료 공급 장치(1)의 제어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음료 공급 장치(1)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 머신이며, 예컨대 커피콩 그라인딩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를 행하여, 용기인 바닥을 가진 통형 컵(C)에, 예컨대 카페라떼 등의 유음료를 포함한 커피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음료 공급 장치(1)는 본체 캐비닛(10) 및 앞면 도어(20)를 갖추고 있다. 본체 캐비닛(10)은 앞면이 개구된 대략 직방체형을 이루는 것이다. 이 본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료(예컨대 카페라떼)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앞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앞면 개구를 폐색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도어체이다. 이 앞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 전방 측의 일측 가장자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는 축부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 캐비닛(10)의 앞면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앞면 도어(20)는, 앞면이 접객면을 구성하고 있고, 표시부(21), 음료 공급부(22) 및 개폐 도어(22a)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21)는, 예컨대 액정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종 정보를 표시하면서 또한 터치 조작 등의 입력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21a)를 갖고 있다.
음료 공급부(22)는 표시부(21)의 아래쪽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음료 공급부(22)는 노즐 유닛(23) 및 스테이지(24)를 갖는다. 노즐 유닛(23)은 음료 생성부(11)에서 생성된 음료를 아래쪽으로 향해서 토출하는 것이다. 노즐 유닛(23)은 노즐(23a, 23b)을 가지며(도 4 참조), 노즐(23a)은 밀크를 토출하는 것이고, 노즐(23b)은 커피를 토출하는 것이다. 스테이지(24)는 노즐(23a, 23b)의 아래쪽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지(24)는, 컵(C)을 배치하게 하는 배치부이며, 원호형의 스토퍼(24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지(24)에는, 노즐 유닛(23)으로부터 토출되어 컵(C)에 공급되지 않은 음료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아래쪽에는 음료를 저류하기 위한 트레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도어(22a)는, 예컨대 투명한 수지 등의 투광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7)를 덮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다. 개폐 도어(22a)는, 좌측 단부가 앞면 도어(20)에 피봇 지지되어 있고,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한 것이다. 즉, 개폐 도어(22a)는, 음료 공급부(22)에 근접(近接) 및 이반(離反)하는 양태로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하며, 음료 공급부(22)에 근접하는 양태로 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7)를 닫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음료 공급부(22)로부터 이반하는 양태로 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입구(27)를 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음료 공급 장치(1)는 컵 검출부(31), 투광부(32), 촬상부(33), 도어 개폐 검지부(35), 도어 개폐 로크 기구(36) 및 제어부(40)를 구비한다.
컵 검출부(31)는, 예컨대 광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음료 공급부(22)에 있어서의 컵(C)의 배치 유무, 즉 스테이지(24)에 컵(C)이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컵 검출부(31)는 컵(C) 유무의 검출 결과를 제어부(40)에 보내준다.
투광부(32)는 음료 공급부(22)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벽 및 우측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다. 투광부(32)는 예컨대 LED이며, 스테이지(24)에 배치된 컵(C)의 표면에 대하여 빛을 조사한다. 투광부(32)는, 컵(C)의 상부 둘레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빛을 조사할 수 있게 각각 측벽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있다.
촬상부(33)는, 음료 공급부(22)에 있어서의 좌측 측벽의 하부에 설치되어, 컵(C)을 포함하는 화상을 취득한다.
도어 개폐 검지부(35)는,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7)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예컨대 광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검지부(35)는, 개폐 도어(22a)에 의한 입구(27)의 개폐를 검지하는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27)가 닫힘, 즉 개폐 도어(22a)가 닫힘으로 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다. 도어 개폐 검지부(35)는 개폐 도어(22a)가 닫힘으로 되는지 여부의 검지 결과를 제어부(40)에 보내준다.
도어 개폐 로크 기구(36)는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7)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로크 기구(36)는, 입구(27)를 닫는 개폐 도어(22a)가 닫힘으로 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상기 개폐 도어(22a)가 전방으로 향해 요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개폐 도어(22a)가 전방으로 향해 요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의 사이에서 택일적으로 전환 가능한 것이다. 도어 개폐 로크 기구(36)의 전환은 제어부(4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제어부(40)는, 음료 생성부(11), 표시부(21), 컵 검출부(31), 투광부(32), 촬상부(33), 도어 개폐 검지부(35), 도어 개폐 로크 기구(36)를 접속하여, 기억부(41)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서 이들 각 부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40)는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이며, 판정부(40a) 및 음료 공급제어부(40b)를 갖는다. 판정부(40a)는, 촬상부(33)가 취득한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컵(C)의 색 정보를 바탕으로 컵(C)의 색을 판정한다.
음료 공급 제어부(40b)는, 판정부(40a)에 의해서 판정된 컵의 색에 대응하는 음료를 생성하여, 컵(C)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한다. 컵의 색에 대응하는 음료에는, 상기한 것과 같이, 커피, 카페오레, 카페라떼, 카푸치노가 있다. 또한, 컵의 색은 밀크(핫밀크)만을 나타내는 것이라도 좋다.
음료 생성부(11)는 커피 추출부(11a) 및 밀크 생성부(11b)를 갖는다. 커피 추출부(11a)는, 추출기의 추출 실린더 내에, 커피콩 등의 분쇄된 원료와 온수를 투입하여, 페이퍼 필터 상에서 교반한 후에, 추출 실린더의 상면 개구를 실린더 헤드로 닫아 가압하고, 페이퍼 필터를 통과시켜 커피 등의 음료를 추출하여, 노즐(23b)로부터 토출한다. 밀크 생성부(11b)는, 필요에 따라서, 밀크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밀크에 증기 및 공기를 혼합하여 밀크가 거품내어진 폼 밀크를 생성하고, 또한 밀크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밀크에 증기를 혼합하여 밀크가 따뜻하게 된 스팀 밀크를 생성하여, 노즐(23a)로부터 토출한다. 이때, 음료 공급 제어부(40b)는, 폼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밀크 토출 속도를, 스팀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밀크 토출 속도보다도 빠르게 하도록 하고 있다. 밀크 생성부(11b)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음료 공급 제어 처리>
이어서, 도 3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제어부(40)에 의한 음료 공급 제어 처리 수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어부(40)는, 우선 컵 검출부(31)에 의해 컵(C)이 음료 공급부(22)에 있다고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1). 즉, 컵 검출부(31)는 컵(C)이 스테이지(24)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컵(C)이 있다고 검출된 경우(단계 S101: 예), 제어부(40)는, 도어 개폐 검지부(35)의 검지 결과를 바탕으로, 개폐 도어(22a)가 닫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2). 개폐 도어(22a)가 닫힘이 아닌 경우(단계 S102: 아니오)에는, 단계 S102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제어부(40)는, 개폐 도어(22a)가 닫힘인 경우(단계 S102: 예)에는, 투광부(32)에 의한 컵(C) 표면에의 투광을 행하고, 촬상부(33)에 컵(C)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의 취득을 지시하여 촬상 화상을 취득하여, 촬상 화상 내의 색 정보를 바탕으로 컵(C)의 색 판정을 행한다(단계 S103).
그 후, 판정부(40a)는 판정된 색에 대응하는 컵(C)의 음료 종류를 판정한다(단계 S104). 예컨대 컵(C)의 색이 갈색인 경우, 카페라떼라고 판정하고, 컵(C)의 색이 백색인 경우, 블렌드 커피라고 판정하고, 컵(C)의 색이 진청색인 경우, 프리미엄 커피라고 판정한다.
그 후, 제어부(40)는, 표시부(21)에 대하여, 판정한 컵(C)에 공급하는 음료의 표시와, 확인 문자가 표시된 입력부(21a)의 터치를 안내하는 안내 표시를 행한다(단계 S105).
그 후, 제어부(40)는 입력부(21a)가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6). 입력부(21a)가 터치되지 않은 경우(단계 S106: 아니오), 제어부(40)는 단계 S106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입력부(21a)가 터치된 경우(단계 S106: 예), 제어부(40)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36)를 이용하여 개폐 도어(22a)를 닫힘 상태로 로크하고(단계 S107), 음료 생성부(11)에 대하여, 공급하는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처리를 하게 한다(단계 S108).
그 후, 제어부(40)는 음료 생성부(11)에 의한 음료 공급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9). 음료 공급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단계 S109: 아니오)에는, 제어부(40)는 단계 S108로 되돌아가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처리를 속행한다.
한편, 음료 공급이 종료된 경우(단계 S109: 예)에는, 제어부(40)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36)에 의한 개폐 도어(22a)의 닫힘 상태의 로크를 해제하고(단계 S110),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한 처리는 소정 기간마다 반복하여 행한다.
<밀크 생성부의 회로 구성>
도 4는 음료 생성부(11) 내의 밀크 생성부(11b)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밀크 생성부(11b)는 증기 공급부(51), 공기 공급부(52), 밀크 공급부(53) 및 혼합부로서의 T형 조인트(J2)를 갖는다.
증기 공급부(51)는 증기 탱크(51a), 히터(51b) 및 증기 밸브(51c)를 갖는다. 증기 탱크(51a)는 히터(51b)의 가열에 의해서 증기를 생성하여 저류한다. 증기 탱크(51a) 내의 증기는, 증기 탱크(51a)와 T형 조인트(J1)를 접속하는 배관(L1) 상에 마련된 증기 밸브(51c)를 통해 조인트(J1) 측으로 토출된다. 히터(51b) 및 증기 밸브(51c)는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어부(40)는 증기 밸브(51c)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일정 유량의 증기를 토출시킨다.
공기 공급부(52)는 에어 펌프(52a), 펌프 구동부(52b)를 갖는다. 에어 펌프(52a)는, 펌프 구동부(52b)의 구동 제어 하에, 에어 펌프(52a)와 조인트(J1)를 접속하는 배관(L2) 상에 설치된 역지밸브(V1)를 통해 조인트(J1) 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또한, 펌프 구동부(52b)는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어부(40)는 펌프 구동부(52b)를 제어하여 일정 유량의 공기를 토출시킨다.
조인트(J1)는, 배관(L1)을 통한 증기 및 배관(L2)을 통한 공기를 혼합하여, 배관(L3)을 통해 조인트(J2) 측으로 토출한다.
밀크 공급부(53)는 튜브 펌프(53a), 펌프 구동부(53b) 및 밀크 탱크(53c)를 갖는다. 튜브 펌프(53a)는, 밀크 공급용 펌프로서 기능하며, 펌프 구동부(53b)의 구동 제어 하에, 튜브 펌프(53a)와 조인트(J2) 사이를 접속하는 배관(L4)을 통해, 밀크 탱크(53c) 내의 밀크를 조인트(J2) 측으로 토출한다. 밀크 탱크(53c)는 액체용 복합 용기(백인 박스)에 밀크를 저류하고 있다. 또한, 펌프 구동부(53b)는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된다.
조인트(J2)는, 밀크, 증기 및 공기를 혼합하여 밀크를 거품낸 폼 밀크를 생성함과 더불어, 밀크 및 증기를 혼합하여 밀크를 따뜻하게 한 스팀 밀크를 생성하는 혼합부이다. 조인트(J2)의 배관(L3) 측 및 배관(L4) 측에는 각각 역지밸브(V2, V3)가 배치된다. 조인트(J2)는, 토출한 밀크에 대하여, 증기 및 공기의 혼합 유체가 직교 방향으로부터 접촉하여, 밀크 거품을 생성한다.
제어부(40)는, 밀크 생성 기간을, 밀크 공급부(53)로부터 공급되는 밀크에 증기 및 공기를 혼합하여 밀크를 거품낸 폼 밀크를 생성하는 폼 밀크 생성 기간과, 밀크 공급부(53)로부터 공급되는 밀크에 증기를 혼합하여 밀크를 따뜻하게 한 스팀 밀크를 생성하는 스팀 밀크 생성 기간으로 나눠, 펌프 구동부(53b)를 제어하고, 폼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밀크 토출 속도(튜브 펌프(53a)의 회전 속도)와, 스팀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밀크 토출 속도(튜브 펌프(53a)의 회전 속도)를 개별로 제어한다. 제어부(40)는, 폼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밀크 토출 속도를, 스팀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밀크 토출 속도보다도 빠르게 하게 한다.
폼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밀크 토출 속도를 빠르게 하면, 거품이 미세하게 되어, 거품의 미세함 정도를 나타내는 거품 레벨을 올릴 수 있다. 한편, 스팀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밀크 토출 속도를 느리게 하면, 단위 체적당 밀크에 대하여 증기의 열량이 많이 전해져, 원하는 밀크 온도로 할 수 있다. 또한, 폼 밀크 생성 기간의 밀크 토출 속도는 거품의 미세함의 원하는 레벨에 따른 밀크 토출 속도로 하면 된다. 또한, 폼 밀크 생성 기간은, 거품의 생성량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1 이상의 설정 기간으로 하고, 음료 종별에 따라서 선택된 하나의 설정 기간으로 하여도 좋다.
조인트(J2)에 의해서 생성된 폼 밀크 및 스팀 밀크는 배관(L5)을 통해 노즐(23a)에 송출되어 컵(C)에 공급된다.
또한, 커피 추출부(11a)는,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밀크 생성부(11b)의 처리와 병행하여 커피를 추출하고, 추출한 커피를 노즐(23b)을 통해 컵(C)에 토출한다. 또한, 음료 종별이 핫밀크인 경우, 커피 추출부(11a)에 의한 처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밀크 생성부(11b)는 스팀 밀크만을 생성한다.
<밀크 생성 제어 처리>
도 5는 밀크 생성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여기서는 폼 밀크를 갖는 카페라떼를 생성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컵 검출부(31)가 컵(C)을 시점(t0)에서 검출하면(도 5(a)), 그 후, 시점(t1)에 있어서 입력부(21a)에 표시된 확인 버튼이 눌린다(도 5(b)). 또한, 시점(t1)에 있어서, 도어 개폐 로크 기구(36)가 로크되고(도 5(c)), 커피 추출부(11a)에 의한 커피 추출 처리가 시작되고(도 5(d)), 밀크 생성부(11b)에 의한 밀크 생성(밀크 판매)이 시작된다(도 5(e)).
증기 밸브(51c)는, 확인 버튼 누름이 끝난 시점(t2)에 있어서 열림으로 되어, 일정 유량(a1)의 증기가 기간(ΔT0)에 배관(L1, L3, L5)에 토출된다. 이에 따라, 각 배관(L1, L3, L5), 조인트(J1, J2)가 따뜻하게 된다.
그 후, 시점(t3)부터 시점(t5)까지의 기간이 밀크 생성 기간으로 된다. 밀크 생성 기간은 폼 밀크 생성 기간(ΔT1)과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으로 나뉜다. 시점(t3)부터 시점(t4)까지의 폼 밀크 생성 기간(ΔT1)에 일정 유량(a1)의 증기 및 일정 유량(b1)의 공기가 조인트(J1)에서 혼합되고, 혼합된 유체가 조인트(J2)에 토출됨(도 5의 (f), (h))과 더불어, 튜브 펌프(53a)가 회전 속도(ω1)(>ω2)로 밀크를 조인트(J2)에 토출하고(도 5(g)), 밀크와 증기와 공기가 혼합되어 거품이 생긴 폼 밀크를 생성한다.
그 후, 시점(t4)부터 시점(t5)까지의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에 튜브 펌프(53a)가 회전 속도(ω2)(<ω1)로 밀크를 조인트(J2)에 토출하고(도 5(g)), 조인트(J2)에 있어서 일정 유량(a1)의 증기(도 5(f))와 혼합하여, 증기에 의해서 원하는 온도로 따뜻하게 된 스팀 밀크를 생성한다.
그 후, 시점(t5)부터 시점(t6)까지의 기간(ΔT3) 동안 증기를 블로우하여, 배관 상의 잔액을 불어 날려 버리고, 또한, 시점(t7)부터 시점(t8)까지의 기간(ΔT4) 동안 2번째의 증기 블로우를 행하여, 배관 상의 잔액을 또 불어 날려 버리는 처리를 행한다(도 5(f)).
그 후, 시점(t9)에 있어서, 커피 추출이 끝나고(도 5(d)), 또한 시점(t10)에 있어서 최종적인 밀크 생성이 끝나면(도 5(e)), 도어 개폐 로크 기구(36)의 로크를 해제하고(도 5(c)), 그 후의 시점(t11)에 있어서 컵(C)을 빼냄으로써 컵 검출이 OFF가 된다(도 5(a)).
또한, 카페오레나 핫밀크 등과 같이 폼 밀크가 불필요한 경우, 폼 밀크 생성 기간(ΔT1)의 처리는 생략되고,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의 처리만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폼 밀크 생성 기간(ΔT1)과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의 밀크 토출 속도를 개별로 제어하며, 폼 밀크 생성 기간(ΔT1)의 밀크 토출 속도를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의 밀크 토출 속도보다도 빠르게 하여, 폼 밀크 거품의 미세함 정도인 거품 레벨을 높이면서 스팀 밀크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따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폼 밀크 생성 기간(ΔT1)과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의 밀크 토출 속도를 개별로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밀크를 포함하는 음료의 판매 기간을 단축하는 등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팀 밀크의 생성과는 별개로 폼 밀크의 거품 레벨이나 거품량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기의 유무, 즉 에어 펌프의 기동 유무에 의해서 폼 밀크 생성 기간(ΔT1)과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을 나누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폼 밀크 생성 기간(ΔT1)과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으로 전환 제어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밀크의 토출 속도를 튜브 펌프(53a)에 의해서 제어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각종 펌프, 예컨대 기어 펌프나 시린지 펌프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변형예 1>
도 6은 본 변형예 1에 의한 밀크 생성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상기한 실시형태의 밀크 생성 기간에서는, 폼 밀크 생성 기간(ΔT1)에 있어서 폼 밀크를 생성한 후,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에 있어서 스팀 밀크를 생성하도록 했었지만, 본 변형예 1에서는, 맨 처음에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11)에 있어서 스팀 밀크를 생성하고, 그 후, 시점(t14)부터 폼 밀크 생성 기간(ΔT12)에 있어서 폼 밀크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11)은,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과 동일한 기간이며, 튜브 펌프(53a) 및 에어 펌프(52a)에 대한 제어도 동일하다. 또한, 폼 밀크 생성 기간(ΔT12)은, 폼 밀크 생성 기간(ΔT1)과 동일한 기간이며, 튜브 펌프(53a) 및 에어 펌프(52a)에 대한 제어도 동일하다. 즉, 본 변형예 1에서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팀 밀크 생성과 폼 밀크 생성을 시간적으로 반대로 한 것이다.
본 변형예 1에서는, 먼저 생성된 스팀 밀크 안을 폼 밀크가 통과하기 때문에, 폼 밀크의 거품의 수분량이 증가하고, 촉촉한 거품이 생성되어, 입에 닿는 느낌이 좋은 카페라떼를 생성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7은 본 변형예 2에 의한 밀크 생성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본 변형예 2에서는, 밀크 생성 기간을 시간적으로 3개의 기간으로 나누고, 맨 처음 기간(시점 t3∼t24) 및 마지막 기간(시점 t25∼t5)에 각각 스팀 밀크를 생성하는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1, ΔT23)을 할당하고,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1, ΔT23) 사이에 끼워진 중간 기간(시점 t24∼t25)에 폼 밀크를 생성하는 폼 밀크 생성 기간(ΔT22)을 할당하고 있다.
또한,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1, ΔT23)은,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과 마찬가지로, 튜브 펌프(53a)를 구동하고, 에어 펌프(52a)를 오프(off)로 하고 있다. 또한, 폼 밀크 생성 기간(ΔT22)은, 폼 밀크 생성 기간(ΔT1)과 마찬가지로, 에어 펌프(52a)를 구동하고, 튜브 펌프(53a)의 회전 속도를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21, ΔT23)의 회전 속도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밀크의 토출 속도를 크게 하여 단위 밀크 공급량을 크게 하고 있다.
본 변형예 2에서는, 앞서 생성된 스팀 밀크의 양이 적게 조정되기 때문에, 폼 밀크 거품의 촉촉함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시점(t24, t25)의 위치는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튜브 펌프(53a)의 회전 속도나 에어 펌프(52a)의 단위 공기 공급량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변형예 3>
도 8은 본 변형예 3에 의한 밀크 생성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본 변형예 3에서는, 변형예 2에 있어서의 스팀 밀크 생성 기간(T23)에 있어서 에어 펌프(52a)를 구동하여 폼 밀크 생성 기간으로 하고 있다. 이 폼 밀크 생성 기간에서는, 에어 펌프(52a)의 단위 공기 공급량을 폼 밀크 생성 기간(ΔT22)과 비교하여 작게 하고 있으며 또한 튜브 펌프(53a)를 회전 속도(ω3)로 하여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21)의 회전 속도(ω2)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본 변형예 3에서는, 폼 밀크의 거품량, 거품의 높이, 다른 성질을 가진 거품의 혼합 등을 자유롭게 변경 설정하여, 각종 카페라떼를 생성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변형예 4>
도 9는 본 변형예 4에 의한 밀크 생성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본 변형예 4에서는, 변형예 3에 있어서의 폼 밀크 생성 기간(ΔT22)에 있어서의 튜브 펌프(53a)의 회전 속도(단위 밀크 공급량) 및 에어 펌프(52a)의 단위 공기 공급량을 시간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 6에서는, 튜브 펌프(53a)의 회전 속도(단위 밀크 공급량) 및 에어 펌프(52a)의 단위 공기 공급량을 시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기호에 맞춘 카페라떼를 생성할 수 있다.
<변형예 5>
도 10은 본 변형예 5에 의한 밀크 생성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본 변형예 5에서는, 시점(t3)부터 시점(t5)까지의 밀크 생성 기간을 3개의 기간으로 나눠, 시점(t3)부터 시점(t31)까지의 기간 및 시점(t31)부터 시점(t32)까지의 기간을 각각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31, ΔT32)으로서 할당하고, 시점(t32)부터 시점(t5)까지의 기간을 폼 밀크 생성 기간(ΔT33)으로서 할당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a)∼도 10(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폼 밀크 생성 기간(ΔT33)을, 폼 밀크 생성 기간 ΔT43(시점 t42∼t5), ΔT53(시점 t52∼t5), ΔT63(시점 t62∼t5)과 같이 순차 길게 하고 있다. 또한,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31)을, 스팀 밀크 생성 기간 ΔT41(시점 t3∼t41), ΔT51(시점 t3∼t51), ΔT61(시점 t3∼t61)과 같이 순차 짧게 하고 있다. 여기서,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31, ΔT41, ΔT51, ΔT61)의 단위 밀크 공급량은 동일하며,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밀크 공급량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32) 및 폼 밀크 생성 기간(ΔT33)의 단위 밀크 공급량을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42, ΔT52, ΔT62) 및 폼 밀크 생성 기간(ΔT43, ΔT53, ΔT63)과 같이 순차 적게 하고 있다. 또한, 폼 밀크 생성 기간(ΔT33, ΔT43, ΔT53, ΔT63)의 단위 공기 공급량은 동일하게 하고 있다.
여기서, 도 10(a)∼도 10(d)의 밀크 생성 제어에 의한 결과의 일례를,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컵(C)의 바닥에서부터 거품 상단까지의 전체 높이(h)와 거품 높이(ha)로 나타내면, 도 10(a)∼도 10(d)에서는, 전체 높이(h)가 각각 61 mm, 62 mm, 65 mm, 66 mm이고, 거품 높이(ha)가 각각 13 mm, 14 mm, 17 mm, 20 mm였다. 이에 따라, 적어도 폼 밀크 생성 기간(ΔT33, ΔT43, ΔT53, ΔT63)의 기간을 길게 함으로써 거품 높이(ha)를 높게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에어 펌프(52a)의 단위 공급량을 늘려 나가면, 더욱 거품의 높이(ha)를 높일 수 있으면서 또한 거품의 치밀함도 높일 수 있다.
본 변형예 5에서는, 밀크 생성 기간을 3개의 기간으로 나눠, 각 기간의 길이를 조정하고, 또한 단위 밀크 공급량, 단위 공기 공급량을 조정함으로써 각종 기호에 따른 카페라떼를 생성할 수 있다.
<변형예 6>
도 12는 본 변형예 6에 의한 밀크 생성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상기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튜브 펌프(53a)와 에어 펌프(52a)의 제어를, 스팀 밀크 생성 기간과 폼 밀크 생성 기간에 각각 동기시키고 있었지만, 본 변형예 6에서는, 튜브 펌프(53a)와 에어 펌프(52a)의 제어를 동기시키지 않고서 튜브 펌프(53a)와 에어 펌프(52a)가 각각 개별로 제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 제어는, 결과적으로 스팀 밀크 생성 기간과 폼 밀크 생성 기간을 더욱 다분할(多分割)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본 변형예 6에서는, 튜브 펌프(53a)가 밀크 생성 기간을 시점(t71, t73)에서 3분할하여, 각 기간에 단위 밀크 공급량을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에어 펌프(52a)는, 밀크 생성 기간을 시점(t72, t74)에서 3분할하여, 시점(t3)부터 시점(t72)까지의 기간 및 시점(t74)부터 시점(t5)까지의 기간에 오프로 하고, 시점(t72)부터 시점(t74)까지의 기간에 온(on)으로 하게 하고 있다.
이 변형예 6은, 밀크 생성 기간을 5개로 나눠, 시점(t3)부터 시점(t71), 시점(t71)∼시점(t72), 시점(t74)부터 시점(t5)까지의 3개의 기간을 스팀 밀크 생성 기간(ΔT71, ΔT72, ΔT75)으로 설정하고, 시점(t72)부터 시점(t73), 시점(t73)부터 시점(t74)의 2개의 기간을 폼 밀크 생성 기간(ΔT73, ΔT74)으로 설정한 것과 다름없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의 단위 밀크 공급량은 튜브 펌프(53a)의 토출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다. 즉, 튜브 펌프(53a)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단위 밀크 공급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단위 공기 공급량은 에어 펌프(52a)의 토출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단위 공기 공급량은, 에어 펌프(52a)를 복수 설치하여, 각 에어 펌프의 기동 개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밀크 생성 기간을 복수의 기간으로 나눠, 각 기간을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과 1 이상의 스팀 밀크 생성 기간으로 할당하고,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 및 1 이상의 스팀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단위 밀크 공급량 및 폼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단위 공기 공급량을 각각 가변으로 설정 제어한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원하는 거품 높이, 원하는 거품의 치밀도, 다른 성질을 가진 거품의 혼합, 원하는 거품의 촉촉함 등을 조정한 복수의 설정 제어를 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주문 맞춤성(customizability)이 높은 카페라떼 등의 각종 음료를 생성 제어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바리에이션(variation)이 많은 음료를 유연하게 생성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도시한 각 구성은 기능 개략적인 것이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도시한 구성으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각 장치 및 구성 요소의 분산·통합 형태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 사용 상황 등에 따라서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1: 음료 공급 장치, 10: 본체 캐비닛, 11: 음료 생성부, 11a: 커피 추출부, 11b: 밀크 생성부, 20: 앞면 도어, 21: 표시부, 21a: 입력부, 22: 음료 공급부, 22a: 개폐 도어, 23: 노즐 유닛, 23a, 23b: 노즐, 24: 스테이지, 24a: 스토퍼, 27: 입구, 31: 컵 검출부, 32: 투광부, 33: 촬상부, 35: 도어 개폐 검지부, 36: 도어 개폐 로크 기구, 40: 제어부, 40a: 판정부, 40b: 음료 공급 제어부, 41: 기억부, 51: 증기 공급부, 51a: 증기 탱크, 51b: 히터, 51c: 증기 밸브, 52: 공기 공급부, 52a: 에어 펌프, 52b, 53b: 펌프 구동부, 53: 밀크 공급부, 53a: 튜브 펌프, 53c: 밀크 탱크, a1, b1: 일정 유량, C: 컵, h: 전체 높이, ha: 거품 높이, J1, J2: 조인트, L1∼L5: 배관, t0∼t11, t14, t24, t25, t31, t32, t41, t42, t51, t52, t61, t62: 시점, V1, V2, V3: 역지밸브, ΔT0, ΔT3, ΔT4: 기간, ΔT1, ΔT12, ΔT22, ΔT33, ΔT43, ΔT53, ΔT63, ΔT73, ΔT74: 폼 밀크 생성 기간, ΔT2, ΔT11, ΔT21, ΔT23, ΔT31, ΔT32, ΔT41, ΔT42, ΔT51, ΔT52, ΔT61, ΔT62, ΔT71, ΔT72, ΔT75: 스팀 밀크 생성 기간, ω1, ω2, ω3: 회전 속도.

Claims (11)

  1.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컵에 대하여 음료 생성부에서 생성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증기 탱크로부터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와,
    에어 펌프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밀크 탱크로부터 밀크 공급용 펌프에 의해 밀크를 공급하는 밀크 공급부와,
    상기 밀크에 상기 증기 및 상기 공기를 혼합하거나, 또는 상기 밀크에 상기 증기를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밀크를 상기 컵에 공급하는 밀크 생성 기간을 복수의 기간으로 나눠, 각 기간을, 상기 밀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밀크에 상기 증기 및 상기 공기를 혼합하여 밀크를 거품낸 폼 밀크를 생성하는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과 상기 밀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밀크에 상기 증기를 혼합하여 밀크를 따뜻하게 한 스팀 밀크를 생성하는 1 이상의 스팀 밀크 생성 기간으로 할당하고, 상기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 및 상기 1 이상의 스팀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밀크 공급용 펌프에 의한 단위 밀크 공급량 및 상기 폼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에어 펌프에 의한 단위 공기 공급량을 각각 가변으로 설정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 및 상기 1 이상의 스팀 밀크 생성 기간의 각 기간을 가변으로 설정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밀크 공급용 펌프에 의한 밀크 토출 속도를 가변으로 설정 제어함으로써, 상기 단위 밀크 공급량을 가변으로 설정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크 공급용 펌프는 튜브 펌프이고,
    상기 단위 밀크 공급량은 상기 튜브 펌프의 회전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펌프의 에어 토출 속도를 가변으로 설정 제어함으로써, 상기 단위 공기 공급량을 가변으로 설정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펌프는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펌프의 기동 개수를 가변으로 설정 제어함으로써, 상기 단위 공기 공급량을 가변으로 설정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단위 밀크 공급량을, 상기 스팀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단위 밀크 공급량보다도 많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의 단위 밀크 공급량은 거품의 미세함의 레벨에 따른 단위 밀크 공급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은 거품의 생성량에 따라서 설정되는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에 있어서의 단위 공기 공급량은 거품의 생성량에 따라서 설정되는 단위 공기 공급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폼 밀크 생성 기간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팀 밀크 생성 기간 후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KR1020227026007A 2020-06-25 2021-02-22 음료 공급 장치 KR202201163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09886 2020-06-25
JPJP-P-2020-109886 2020-06-25
PCT/JP2021/006679 WO2021261012A1 (ja) 2020-06-25 2021-02-22 飲料供給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309A true KR20220116309A (ko) 2022-08-22

Family

ID=7928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007A KR20220116309A (ko) 2020-06-25 2021-02-22 음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15103B2 (ko)
KR (1) KR20220116309A (ko)
CN (1) CN115003198A (ko)
WO (1) WO202126101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4767A (ja) 2009-07-31 2009-11-26 Sanyo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62332T1 (de) * 2002-07-09 2010-04-15 Coca Cola Co 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LCHSCHAUM FÜR HEIßGETRÄNKE
EP2220972A1 (de) * 2009-02-24 2010-08-25 Jura Elektroapparate AG Abgabevorrichtung für Milch und/oder Milchschaum und eine Kaffee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Abgabevorrichtung
JP2013116215A (ja) * 2011-12-02 2013-06-13 Kazuo Shimooka ミルク供給装置並びにこれを組み込んだ飲料ディスペンサ
JP5927535B2 (ja) * 2012-02-15 2016-06-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飲料製造装置
JP6620429B2 (ja) * 2015-06-02 2019-12-18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
AU2016281901B2 (en) * 2015-06-26 2020-08-13 Cma Macchine Per Caffe' S.R.L. Device for preparing frothy milk
JP6928910B2 (ja) * 2017-05-15 2021-09-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飲料製造装置
JP6975899B2 (ja) * 2018-01-18 2021-12-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ミルクフォーマ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4767A (ja) 2009-07-31 2009-11-26 Sanyo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15103B2 (ja) 2023-07-26
WO2021261012A1 (ja) 2021-12-30
CN115003198A (zh) 2022-09-02
JPWO2021261012A1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2263B1 (en) Beverage production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beverage production module
AU2016202874B2 (en)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CN103327859A (zh) 用于饮料机器的简单用户接口
CN103813740A (zh) 饮料制备机器
JP5927535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飲料製造装置
CN103249335A (zh) 用于调制和调配饮料的基于内胆的系统
BRPI0903437A2 (pt) dispositivo de preparação de café e método para produzir uma bebida de café com o dispositivo de preparação
US20060207433A1 (en) Beverage preparing method for beverage dispenser and beverage dispenser
JP6620429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07094869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2007259928A (ja)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KR20220116309A (ko) 음료 공급 장치
JP2009211184A (ja) 飲料調理装置
CN112770656A (zh) 饮料成分容器
JP4104509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それを備えた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JP2007015706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06263028A (ja) 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マシーン
JP2005073868A (ja) 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JP3741835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CN107616703A (zh) 冲泡机及饮品冲泡方法
CN114747936A (zh) 饮料供给装置
JP3994935B2 (ja) 飲料抽出装置
CN110811333A (zh) 饮料供给装置
IT202100026807A1 (it) Macchina e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JP2000182143A (ja) コーヒー飲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