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472A -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재의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재의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472A
KR20220109472A KR1020227024408A KR20227024408A KR20220109472A KR 20220109472 A KR20220109472 A KR 20220109472A KR 1020227024408 A KR1020227024408 A KR 1020227024408A KR 20227024408 A KR20227024408 A KR 20227024408A KR 20220109472 A KR20220109472 A KR 20220109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ed
guide member
pair
opening
clos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3677B1 (ko
Inventor
아키오 오야마
켄이치 시바오
Original Assignee
오사카 시링구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사카 시링구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사카 시링구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9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6Devices for presenting articles in predetermined attitude or position at labelling station
    • B65C9/065Devices for presenting articles in predetermined attitude or position at labelling station for orienting articles having irregularities in their shape, the irregularities being detected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6Devices for applying labels
    • B65C9/36Wipers; Pres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54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Abstract

반송되어 온 식품용 용기(50)를 센터링하는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10)에 있어서, 식품용 용기(50)에 대향하여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대향하는 피당접부(51, 51)에 대하여 각각 당접하는 한 쌍의 가이드면(11b, 11c)을 가지는 규제 가이드 부재(11)를 가지고, 규제 가이드 부재(11)의 한 쌍의 가이드면(11b, 11c)은 식품용 용기(50)의 반송 방향 하류 측을 향해 서로 벌어지도록 넓어지는 선단부(11a)를 구비하고, 선단부(11a)는 한 쌍의 가이드면(11b, 11c)으로 형성되는 각도(θ)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재의 포장 장치
본 발명은, 반송 컨베이어 등으로 운반되어 온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재의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과 같이 식품이 수용된 용기를 컨베이어로 반송할 때에, 반송 방향에 대하여 원하는 각도로 용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용기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용기 반송 방향 변환 장치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 변환 장치에서는, 용기를 반송하는 컨베이어의 도중에 턴테이블이 배치되어 있고, 이 턴테이블 상에 반송된 용기가 원하는 각도로 방향 전환되어 하류 측으로 반송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15-2084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용기 반송 방향 변환 장치에서는 방향 전환만을 위한 턴테이블을 설치해야만 하여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턴테이블 상에서 용기를 방향 변환할 때 용기의 반송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기 때문에 그만큼 처리 속도가 저하된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간단한 구조로 처리 속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용이하게 반송물의 위치 결정을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반송물의 피당접부에 각각 당접하는 한 쌍의 가이드면을 갖는 규제 가이드 부재를 설치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발명에서는 반송되어 온 반송물을 센터링하는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를 전제로 하며, 상기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는, 상기 반송물에 대향하여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대향하는 피당접부에 대하여 각각 당접하는 한 쌍의 가이드면을 갖는 규제 가이드 부재를 갖고, 상기 규제 가이드 부재의 한 쌍의 가이드면은 상기 반송물의 반송 방향 하류 측을 향하여 서로 벌어지도록 넓어지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면으로 형성되는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규제 가이드 부재의 한 쌍의 가이드면이, 반송되어 오는 반송물의 적어도 한 쌍의 피당접부에 대하여 각각 당접하여 반송물이 하류 측으로 운반됨에 따라 반송물의 각도가 수정되고, 후공정에서 라벨 등의 포장재를 정확한 위치에 접착할 수 있다. 이로써, 비용이 많이 드는 카메라와 그 화상을 이용한 위치 결정 제어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각도 변경이 가능하므로 위치 결정 제어 가능한 반송물의 종류가 늘어난다.
제2 발명에서는,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규제 가이드 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제1 전방측 가이드 부재 및 제2 전방측 가이드 부재가 제1 개폐축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방측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전방측 가이드 부재의 후단이 제2 개폐축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제2 개폐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방측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2 전방측 가이드 부재의 후단이 제3 개폐축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제3 개폐축과 연결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반송물의 한 쌍의 피당접부의 거리에 맞춰 규제 가이드 부재의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제3 발명에서는, 제2 발명에 있어서, 반송 컨베이어로 반송되어 온 상기 반송물에서의 당해 반송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규제하는 한 쌍의 폭 방향 가이드가 세워서 설치되고, 상기 제1 개폐축은 상기 한 쌍의 폭 방향 가이드의 폭 방향 중앙에 세워서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반송물이 반송 컨베이어로 반송되는 때에 한 쌍의 폭 방향 가이드에 반송물 전체가 센터링됨과 함께, 규제 가이드 부재의 한 쌍의 가이드면이 반송물의 적어도 한 쌍의 피당접부에 당접하면서 반송물의 반송 방향이 확실하게 수정된다.
제4 발명에서는, 제2 발명 또는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축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피당접부에 당접하는 일방의 자세 유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3 개폐축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피당접부에 당접하는 타방의 자세 유지 부재에 연결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선단부에서 방향 수정된 반송물은 한 쌍의 자세 유지 부재에 의해 그 자세를 유지하면서 반송된다.
제5 발명에서는, 제1 발명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규제 가이드 부재의 상기 반송물의 반송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상기 반송물의 상기 피당접부의 위치에 맞춰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규제 가이드 부재의 높이를 반송물의 피당접부의 높이에 맞춰 변경할 수 있으므로 각도 수정 가능한 반송물의 종류가 늘어난다.
제6 발명에서는, 제4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면의 각도는, 상기 규제 가이드 부재의 근방에 설치한 제1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개폐축과 상기 제3 개폐축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에 따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규제 가이드 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1 핸들 근방에 설치된 제2 핸들에 의해 당해 규제 가이드 부재 자체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각각 가까이에 설치된 제1 핸들과 제2 핸들을 조작하면, 규제 가이드 부재를 반송물의 적어도 한 쌍의 피당접부의 위치에 맞춰 용이하게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운반되어 오는 다양한 형상의 반송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확실하게 수정할 수 있다.
제7 발명에서는, 제1 발명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와, 상기 반송물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센터링 장치에 의해 센터링된 상기 반송물에 포장재를 접착하는 포장재 누름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반송물이 규제 가이드 부재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자세가 수정되므로, 포장재 누름 기구에 의해 반송물의 원하는 위치에 확실하게 포장재를 접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규제 가이드 부재의 한 쌍의 가이드면을 반송물의 적어도 한 쌍의 피당접부에 대해 각각 당접시키면서 반송물의 방향을 수정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처리 속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용이하게 반송물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a는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b는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 및 그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재의 포장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원형 용기가 규제 가이드 부재를 향하여 반송되어 오는 모습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경사지게 운반되어 오는 원형 용기가 규제 가이드 부재에 의해 방향이 수정되는 모습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원형 용기의 한 쌍의 피당접부가 규제 가이드 부재의 한 쌍의 가이드면에 안내되면서 반송되는 모습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원형 용기의 한 쌍의 피당접부의 간격에 맞춰 규제 가이드 부재의 폭을 조정하는 모습의 개요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원형 용기의 한 쌍의 피당접부의 높이에 맞춰 규제 가이드 부재의 높이를 조정하는 모습의 개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a~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10)를 나타내고, 이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10)는 반송되어 온 반송물로서의 식품용 용기(50)(도 3~도 8에 도시)를 센터링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포장재의 포장 장치(1)에 설치된다.
포장재의 포장 장치(1)는 금속 프레임 등으로 구성된 베이스 프레임(2)을 구비하고, 이 베이스 프레임(2)에는 벨트 컨베이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송 컨베이어(3)가 설치되며, 도 3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그 반송면(3a) 상을 식품용 용기(50)가 반송되게 된다. 이 반송 컨베이어(3)의 상방에 예를 들어 라벨 공급기(4), 라벨 인쇄 기구(5), 포장재 누름 기구로서의 라벨 누름 기구(6) 등이 설치된다. 반송 컨베이어(3)의 양측에는 이 반송 컨베이어(3)로부터 반송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규제하는 한 쌍의 폭 방향 가이드(7, 7)가 세워서 설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폭 방향 가이드(7, 7)의 선단은 반송 방향 상류 측을 향하여 넓어진다.
반송되어 온 식품용 용기(50)에서의 반송 컨베이어(3)의 폭 방향의 이동가능범위를 규제하는 라벨 누름 기구(6)는, 센터링 장치(10)에 의해 센터링된 식품용 용기(50)에 포장재로서의 라벨(60)(도 4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을 접착하는 역할을 갖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품용 용기(50)에 반송 방향에 수직인 띠 형상의 라벨(60)에 필요 사항을 인쇄하고 접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a, 도 1b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히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10)는, 식품용 용기(50)에 대향하여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대향하는 피당접부(51, 51)에 대하여 각각 당접하는 한 쌍의 가이드면(11b, 11c)을 갖는 규제 가이드 부재(11)를 갖는다.
규제 가이드 부재(11)의 한 쌍의 가이드면(11b, 11c)은 식품용 용기(50)의 반송 방향 하류 측을 향하여 서로 벌어지도록 넓어지는 선단부(11a)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선단부(11a)는 한 쌍의 가이드면(11b, 11c)으로 형성되는 각도(θ)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규제 가이드 부재(11)의 선단부(11a)는 한 쌍의 가이드면(11b, 11c)을 형성하는 제1 전방측 가이드 부재(12) 및 제2 전방측 가이드 부재(13)가 제1 개폐축(14)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제1 개폐축(14)은 한 쌍의 폭 방향 가이드(7, 7)의 폭 방향 중앙에 세워서 설치된다. 제1 개폐축(14)은 예를 들어 도어 힌지의 요동축과 동일한 부재이며, 이 제1 개폐축(14)을 중심으로 제1 전방측 가이드 부재(12)와 제2 전방측 가이드 부재(13)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전방측 가이드 부재(12)의 후단이 제2 개폐축(15)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전방측 가이드 부재(13)의 후단이 제3 개폐축(16)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개폐축(15), 제3 개폐축(16)도 도어 힌지의 요동축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식품용 용기(50)의 한 쌍의 피당접부(51, 51)의 거리에 맞춰 규제 가이드 부재(11)의 각도(θ)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규제 가이드 부재(11)의 하류 측에는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며 피당접부(51, 51)에 당접하는 한 쌍의 자세 유지 부재(19)가 설치되어 있고, 센터링된 식품용 용기(50)가 그 자세를 유지하도록 피당접부(51, 51)에 당접하도록 구성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면(11b, 11c)의 각도(θ)는, 규제 가이드 부재(11)의 근방에 설치한 제1 핸들(17)을 회전시킴으로써 제2 개폐축(15)과 제3 개폐축(16) 사이의 거리(한 쌍의 자세 유지 부재(19)의 폭(W))를 조정함에 따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핸들(17)을 회전시키면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 볼나사(17a)가 회전하여 제2 개폐축(15)과 제3 개폐축(16) 사이의 거리(폭(W))가 커지거나 작아지게 할 수 있다. 그 치수는 제1 메모리 표시부(17b)에 표시된다.
또한, 규제 가이드 부재(11)의 식품용 용기(50)의 반송면(3a)으로부터의 높이(H)를 식품용 용기(50)의 피당접부(51, 51)의 위치에 맞춰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규제 가이드 부재(11)의 높이(H)는 제1 핸들(17) 근방에 설치된 제2 핸들(18)에 의해 규제 가이드 부재(11) 자체의 높이(H)를 조정함으로써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 핸들(18)을 회전시키면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볼나사(18a)가 회전하여 규제 가이드 부재(11) 전체가 상하로 이동한다. 그 치수는 제2 메모리 표시부(18b)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4~도 8을 이용하여 반송물로서의 식품용 용기(50)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식품용 용기(50)는, 예를 들어 얇은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원반 형상 덮개 부재(53)와 단면 원형 용기부(54)를 구비하며, 단면 원형 용기부(54)에 식품을 수용한 상태에서 원반 형상 덮개 부재(53)로 닫고, 포장재의 포장 장치(1)에 의해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띠 형상의 라벨(60)(도 4에만 이점 쇄선으로 도시)이 접착되는 것이다.
원반 형상 덮개 부재(53)에는 예를 들어 4개의 스태킹용 리브(52)가 상방으로 융기되어 있고, 이 스태킹용 리브(52)는 식품용 용기(50)를 적층할 때 상하의 식품용 용기(50)끼리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각 스태킹용 리브(52)에는 적어도 한 쌍의 피당접부(51, 51)가 형성된다(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두 쌍으로 총 4개의 피당접부(51)가 형성되어 있지만, 적어도 대향하는 한 쌍의 피당접부(51, 51)가 있으면 된다). 대향하는 한 쌍의 피당접부(51) 사이에는 평탄면(5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평탄면(55)에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걸쳐 라벨(60)이 접착된다. 평탄면(55)에는 규제 가이드 부재(11)의 밑면에 걸릴 가능성이 있는 돌기가 설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품용 용기(50)는 어느 정도 라벨(60)을 접착하기 쉬운 상태로 상류 측으로부터 운반되어 오지만, 그래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방향에 대하여 어느 정도 경사진 상태로 운반되어 온다.
도 5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반송되어 왔다고 해도, 규제 가이드 부재(11)의 한 쌍의 가이드면(11b, 11c)이, 반송되어 오는 식품용 용기(50)의 전후 두 쌍의 피당접부(51, 51)에 대하여 각각 당접한다. 즉, 식품용 용기(50)가 반송 컨베이어(3)로 반송될 때, 한 쌍의 폭 방향 가이드(7, 7)에 식품용 용기(50) 전체가 센터링됨과 함께, 규제 가이드 부재(11)의 한 쌍의 가이드면(11b, 11c)이 식품용 용기(50)의 한 쌍의 피당접부(51, 51)에 당접하고, 식품용 용기(50)가 하류 측으로 운반됨에 따라 식품용 용기(50)의 각도(자세)가 수정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면(11b, 11c)을 통과할 때에는 식품용 용기(50)는 거의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면서 한 쌍의 자세 유지 부재(19)에 의해 하류 측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후공정에서 라벨(60)을 정확한 위치에 접착할 수 있다.
한편, 다른 형상의 식품용 용기(50)를 운반하는 경우에는 각각 근처에 설치된 제1 핸들(17)과 제2 핸들(18)을 조작하여 규제 가이드 부재(11)의 각도(θ) 및 높이(H)를 조정한다. 그렇게 하면, 규제 가이드 부재(11)를 식품용 용기(50)의 피당접부(51, 51)의 위치에 맞춰 용이하게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운반되어 오는 식품용 용기(50)를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원하는 방향으로 수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품용 용기(50)가 규제 가이드 부재(11)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자세가 수정되므로 라벨 누름 기구(6)에 의해 식품용 용기(50)의 원하는 위치에 확실하게 라벨(60)을 접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용이 많이 드는 카메라와 그 화상을 이용한 위치 결정 제어가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10)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처리 속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용이하게 식품용 용기(50)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서 센터링 장치(10)는 띠 형상의 라벨(60)을 식품용 용기(50)에 접착하는 포장재의 포장 장치(1)의 상류 측에 설치하지만, 포장재의 포장 장치(1)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송 컨베이어(3) 상에 운반되어 온 식품용 용기(50)의 방향을 식품용 용기(50)의 적어도 한 쌍의 피당접부(51, 51)를 이용하여 수정할 필요가 있는 장치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이나 용도 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1 : 포장재의 포장 장치
2 : 베이스 프레임
3 : 반송 컨베이어
3a : 반송면
4 : 라벨 공급기
5 : 라벨 인쇄 기구
6 : 라벨 누름 기구(포장재 누름 기구)
7, 7 : 폭 방향 가이드
10 : 센터링 장치
11 : 규제 가이드 부재
11a 선단부
11b, 11c : 가이드면
12 : 제1 전방측 가이드 부재
13 : 제2 전방측 가이드 부재
14 : 제1 개폐축
15 : 제2 개폐축
16 : 제3 개폐축
17 : 제1 핸들
18 : 제2 핸들
19 : 자세 유지 부재
50 : 식품용 용기
51, 51 : 피당접부
52 : 스태킹용 리브
53 : 원반 형상 덮개 부재
54 : 단면 원형 용기부
55 : 평탄면
60 : 라벨(포장재)

Claims (7)

  1. 반송되어 온 반송물을 센터링하는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에 대향하여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대향하는 피당접부에 대하여 각각 당접하는 한 쌍의 가이드면을 갖는 규제 가이드 부재를 갖고,
    상기 규제 가이드 부재의 한 쌍의 가이드면은 상기 반송물의 반송 방향 하류 측을 향하여 서로 벌어지도록 넓어지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면으로 형성되는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가이드 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제1 전방측 가이드 부재 및 제2 전방측 가이드 부재가 제1 개폐축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방측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전방측 가이드 부재의 후단이 제2 개폐축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제2 개폐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방측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2 전방측 가이드 부재의 후단이 제3 개폐축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제3 개폐축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반송 컨베이어로 반송되어 온 상기 반송물에서의 당해 반송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규제하는 한 쌍의 폭 방향 가이드가 세워서 설치되고,
    상기 제1 개폐축은 상기 한 쌍의 폭 방향 가이드의 폭 방향 중앙에 세워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축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피당접부에 당접하는 일방의 자세 유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3 개폐축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피당접부에 당접하는 타방의 자세 유지 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가이드 부재의 상기 반송물의 반송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상기 반송물의 상기 피당접부의 위치에 맞춰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면의 각도는, 상기 규제 가이드 부재의 근방에 설치한 제1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개폐축과 상기 제3 개폐축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에 따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규제 가이드 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1 핸들 근방에 설치된 제2 핸들에 의해 당해 규제 가이드 부재 자체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와,
    상기 반송물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센터링 장치에 의해 센터링된 상기 반송물에 포장재를 접착하는 포장재 누름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의 포장 장치.
KR1020227024408A 2019-12-24 2019-12-24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재의 포장 장치 KR102543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50605 WO2021130853A1 (ja) 2019-12-24 2019-12-24 搬送物のセンタリング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包装材の包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472A true KR20220109472A (ko) 2022-08-04
KR102543677B1 KR102543677B1 (ko) 2023-06-14

Family

ID=7657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408A KR102543677B1 (ko) 2019-12-24 2019-12-24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재의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071091B1 (ko)
JP (1) JP7105531B2 (ko)
KR (1) KR102543677B1 (ko)
CN (1) CN114845945B (ko)
AU (1) AU2019480153B2 (ko)
CA (1) CA3162534C (ko)
WO (1) WO2021130853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4026B2 (ja) * 1988-12-01 1997-02-19 花王株式会社 物品搬送具及びその整列装置
JPH11157635A (ja) * 1997-11-27 1999-06-15 Banyu Pharmaceut Co Ltd キャップの選択整列搬送装置及びキャップの選択整列搬送方法
JP2000335739A (ja) * 1999-05-24 2000-12-05 Chuo Motor Wheel Co Ltd ホイールディスクの方向位置決め装置
US20040200190A1 (en) * 2003-01-15 2004-10-14 Stefan Wagner Beverage bottling plant for filling bottles and like containers with a liquid beverage filling material and a conveyer arrangement for aligning and distributing packages containing filled bottles and like containers
JP2005096884A (ja) * 2003-09-22 2005-04-14 Okura Yusoki Co Ltd 積付けパターン形成装置
JP2011178550A (ja) * 2010-03-03 2011-09-15 Toyota Motor Corp ガイド部材
CN103662748A (zh) * 2013-12-10 2014-03-26 长沙中联重科环卫机械有限公司 匀料装置
JP2015020846A (ja) 2013-07-17 2015-02-02 株式会社フジキカイ 容器の搬送向き変換装置
JP2018154416A (ja) * 2017-03-15 2018-10-04 トキワ工業株式会社 物品分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15296Y1 (ko) * 1966-01-06 1970-06-26
JPH07109021A (ja) * 1993-10-15 1995-04-25 Murata Mach Ltd トレイの方向決め装置
JP4515296B2 (ja) 2005-03-17 2010-07-28 エヌ・ティ・ティ・コムウェア株式会社 資産管理システム、資産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28148B2 (ja) * 2007-03-02 2013-01-23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搬送装置
JP5576132B2 (ja) * 2010-01-29 2014-08-20 株式会社ゴートレイド 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5912519B2 (ja) * 2011-12-26 2016-04-27 大森機械工業株式会社 方向変換装置
CN109264349A (zh) * 2018-09-12 2019-01-25 王少明 一种移动式机动车轮胎对中放置机构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4026B2 (ja) * 1988-12-01 1997-02-19 花王株式会社 物品搬送具及びその整列装置
JPH11157635A (ja) * 1997-11-27 1999-06-15 Banyu Pharmaceut Co Ltd キャップの選択整列搬送装置及びキャップの選択整列搬送方法
JP2000335739A (ja) * 1999-05-24 2000-12-05 Chuo Motor Wheel Co Ltd ホイールディスクの方向位置決め装置
US20040200190A1 (en) * 2003-01-15 2004-10-14 Stefan Wagner Beverage bottling plant for filling bottles and like containers with a liquid beverage filling material and a conveyer arrangement for aligning and distributing packages containing filled bottles and like containers
JP2005096884A (ja) * 2003-09-22 2005-04-14 Okura Yusoki Co Ltd 積付けパターン形成装置
JP2011178550A (ja) * 2010-03-03 2011-09-15 Toyota Motor Corp ガイド部材
JP2015020846A (ja) 2013-07-17 2015-02-02 株式会社フジキカイ 容器の搬送向き変換装置
CN103662748A (zh) * 2013-12-10 2014-03-26 长沙中联重科环卫机械有限公司 匀料装置
JP2018154416A (ja) * 2017-03-15 2018-10-04 トキワ工業株式会社 物品分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45945B (zh) 2022-10-25
EP4071091B1 (en) 2023-09-06
CA3162534A1 (en) 2021-07-01
CA3162534C (en) 2023-01-03
EP4071091C0 (en) 2023-09-06
WO2021130853A1 (ja) 2021-07-01
AU2019480153B2 (en) 2022-09-01
CN114845945A (zh) 2022-08-02
JP7105531B2 (ja) 2022-07-25
EP4071091A4 (en) 2022-12-21
AU2019480153A1 (en) 2022-08-04
JPWO2021130853A1 (ko) 2021-07-01
EP4071091A1 (en) 2022-10-12
US20230029717A1 (en) 2023-02-02
KR102543677B1 (ko)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6224B2 (en) Packaging machine and packaging method
US5586637A (en) Variable angle conveyor assembly with stepped cleat
US6863173B2 (en) Reorientation of articles
JP2003127084A (ja) 包装装置
JP2006327758A (ja) 方向転換装置
KR20220109472A (ko) 반송물의 센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재의 포장 장치
EP0205197B1 (en) Conveyor with a curved disc
EP3898461B1 (en) A method of operating an alignment station for slices, and an alignment station for performing said method
US12006161B2 (en) Centering device for objects to be conveyed, and packaging device for packaging materials equipped with same
JP5553551B2 (ja) 物体分別装置
JP2014100709A (ja) 選果機
WO2016035548A1 (ja) 方向規制装置および方向規制方法
US11851218B1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US10894668B1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of mounting a roller of a conveyor
JP6015596B2 (ja) 固定状態判別装置
JP4319311B2 (ja) 自動整列装置及び自動整列方法
US11286130B2 (en) Redirection and sampling device and method for a plate-shaped element
CN216784069U (zh) 一种在线连续式输送开启状态纸箱的设备
CN217755324U (zh) 一种带方向导正的柔性材料精准定位分拣运输系统
ATE82735T1 (de) Vorratsbunker, insbesondere fuer schwingzufuehrgeraete.
CN211254205U (zh) 一种传送设备
JP3057763U (ja) 物品搬送装置
JP3626848B2 (ja) 農産物の移載装置
WO2012138219A1 (en) Sorting apparatus
JPH0648559A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