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494A -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494A
KR20220069494A KR1020200156671A KR20200156671A KR20220069494A KR 20220069494 A KR20220069494 A KR 20220069494A KR 1020200156671 A KR1020200156671 A KR 1020200156671A KR 20200156671 A KR20200156671 A KR 20200156671A KR 20220069494 A KR20220069494 A KR 20220069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assembly
blocks
motor
leg 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168B1 (ko
Inventor
박상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200156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168B1/ko
Publication of KR2022006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95Lower-leg-rests, e.g. calf-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3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with double foot-rests or leg-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전개 및 복원이 가능한 블록조립체가 쿠션프레임의 전방 단부에 설치된다.
하나의 모터로 작동이 가능하여 중량이 감소되며, 시트 쿠션 하부의 레그룸 확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LEG REST OF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행 중 승객의 다리를 지지해주어 편안함을 더해 줄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세단이나 밴 타입 차량의 2열 시트에는 승객의 다리를 받쳐주는 레그레스트가 구비된다.
종래의 레그레스트는 시트의 쿠션프레임 전방에 설치된 다관절 링크부와, 다관절 링크부의 단부에 설치된 레그서포트부로 이루어지며, 다관절 링크부와 레그서포트부는 링크 전개 및 서포트플레이트의 이동을 위해 각각의 구동 모터 및 동력전달기구를 구비한다.
따라서 종래의 레그레스트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와 중량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다관절 링크부의 주링크 길이가 길고, 레그서포트부의 서포트플레이트는 접힐 수 없는 판형 부품으로서 레그레스트가 비사용(보관) 상태일 때의 상하 길이가 길다.
따라서 시트 하부에 설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야만 하므로 시트의 높이가 증가되는데, 2열 시트의 경우 시트의 높이가 높고 쿠션 하부 공간에 대한 요구가 상대적으로 낮아 레그레스트 적용이 가능했다면, 운전석이나 동승석과 같은 1열의 경우 쿠션의 높이가 낮고, 쿠션 하부 레그룸에 대한 주 운전자의 요구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방식의 레그레스트를 적용하기 곤란하였다. 이에 1열 시트에는 승객의 다리를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는 짧은 유형의 레그레스트 만이 부분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5414호(2017.04.05.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와 중량이 감소되며, 1열 시트에 적용하기 용이하고, 레그룸 확보에도 유리한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최상단 블록이 시트의 쿠션프레임에 장착된 블록조립체와; 상기 쿠션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블록조립체를 전개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조립체에서 서로 인접한 두 블록은, 상측 블록의 하단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하측 블록의 상단에 연결핀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핀부가 상기 삽입홈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 및 연결된다.
상기 블록조립체를 이루는 블록의 상단면에는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블록조립체의 상면쪽 부분에는 상면에 대해 직각면을 이루는 제1스토퍼가 형성되고, 하면쪽 부분은 하면쪽으로 갈수록 점점 벌어지는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는 제2스토퍼가 형성된다.
상기 블록조립체에서 인접한 두 블록의 사이마다 토션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양단부가 인접한 두 블록에 각각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려지며, 상기 토션스프링은 항상 블록조립체가 하방으로 말려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션스프링은 블록조립체에서 상측에 위치할수록 복원력이 작고 하측에 위치할수록 복원력이 크다.
상기 블록조립체의 각 블록들의 회동점 위로 와이어홀이 형성되고, 그 와이어홀에 블록들을 상방으로 당겨주는 와이어가 삽입되며, 그 와이어는 쿠션프레임에 장착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에 감겨진다.
상기 블록조립체의 하면을 지지하는 블록조립체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조립체 지지부는 하단이 쿠션프레임에 설치된 마운팅브라켓에 고정되는 가스스프링과, 가스스프링의 로드에 설치되어 블록조립체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쿠션프레임에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기어박스에 리드스크류가 설치되며, 상기 리드스크류에 리드스크류 회전시 리드스크류를 따라 전후 이동하는 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너트에 블록조립체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록조립체에서 두 인접한 블록 중 상측 블록의 하단부에 블록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이 설치되고 타단부에 구동기어가 설치되며, 하측 블록의 상단부 일측면에 고정축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에 종동기어가 회전이 불가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쿠션프레임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축에 구동스프라켓이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스프라켓과 최상단 블록의 회전축에 설치된 종동스프라켓이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최상단 블록 이하의 부분에서는 상측 블록의 구동스프라켓과 하측 블록의 종동스프라켓들이 각각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가 서로 치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관절 링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해지고, 하나의 모터로 레그레스트 전체의 전개 및 복원 작동이 가능하므로 부품수와 중량이 감소된다.
특히 블록조립체가 둥글게 말린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므로 보관 상태의 상하 길이(= 높이)가 작기 때문에 설치 공간이 감소된다. 따라서 시트의 높이가 낮은 1열 시트에도 전개 길이가 충분한 레그레스트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록조립체가 보관 상태에서 시트 하부공간의 전면부를 완전히 차단하지 않고, 플로어와 블록조립체의 사이에 틈이 존재하기 때문에 승객의 발 뒤꿈치 쪽 레그룸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보관 상태 사시도.
도 3은 상기 제1실시예의 전개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블록조립체의 연결부 확대도.
도 5의 (a) 내지 (d)는 블록조립체의 전개 과정도.
도 6은 상기 블록조립체 지지를 위한 가스스프링 설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저면도.
도 8은 상기 제2실시예의 보관 상태도.
도 9는 상기 제2실시예의 전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평면도.
도 11은 상기 제3실시예의 체인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상기 제3실시예의 기어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실시예는 시트의 쿠션프레임(1)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블록조립체(20)와, 쿠션프레임(1)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블록조립체(20)를 작동시키는 모터(10)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0)는 감속기어열을 구비한 기어드모터이며 모터하우징 또는 기어박스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매개로 쿠션프레임(1)에 고정된다.
상기 모터(10)의 출력축에는 원통형의 드럼(11)이 설치되고, 드럼(11)에는 상기 블록조립체(20)에 연결된 와이어(22)가 권취된다.
상기 블록조립체(20)는 다수의 블록(21)들이 서로 회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 것으로, 설치 상태에서 최상단의 블록(21)이 쿠션프레임(1)의 전단부에 볼팅,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최하단의 블록(21)은 자유단이 된다.
상기 블록(21)들은 통상적인 레그레스트의 지지부의 폭(횡방향 길이)과 유사한 길이를 가지는 길이가 긴 직사각형 판재이다.
도 4와 같이, 서로 인접한 두 블록 중 일측 블록에는 연결핀부(21a)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 블록에는 삽입홈(21b)이 형성된다. 이들 연결핀부(21a)와 삽입홈(21b)의 단면은 원형이며 삽입홈(21b) 내부로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연결핀부(21a)는 해당 블록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돌출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연결핀부(21a)와 해당 블록의 사이에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핀부(21a)와 삽입홈(21b)은 블록(21)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연결핀부(21a)가 삽입홈(21b)에 삽입되면 서로 인접한 두 블록이 연결핀부(21a)를 중심으로 서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연결핀부(21a)가 형성된 하측 블록의 상단 즉, 상기 연결핀부(21a)의 양측 하부는 스토퍼면으로 작용하게 된다.
쿠션프레임(1)에 블록조립체(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승객의 다리를 지지하는 상면쪽 부분은 상면에 대해 직각면으로서 제1스토퍼(21d)가 되고, 하면쪽 부분은 소정 각도로 하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제2스토퍼(21e)가 된다.
상기 제1스토퍼(21d)가 서로 인접한 두 블록 중 위쪽 블록의 하단에 닿으면 두 블록은 서로 평평하게 펼쳐진다. 모든 블록들에서 제1스토퍼(21d)가 상대 블록의 대응면에 닿으면 블록조립체(20)는 도 3과 같이 완전히 전개되어 평판 형상을 이루며, 이 상태에서 승객의 다리(종아리 부분)를 지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스토퍼(21e)는 경사면이므로 제2스토퍼(21e)가 인접한 위쪽 블록의 하단에 닿으면 두 블록 사이의 각도가 최소가 된다. 모든 블록들에서 제2스토퍼(21e)가 상대 블록의 대응면에 닿으면 블록조립체(20)는 도 2와 같이 완전히 초기 상태로 복원되어 둥글게 말려진 형상을 이루며, 이 상태에서 시트 쿠션프레임(1)의 전방 하부에 보관된다.
상기 블록(21)들은 모두 와이어(22)에 의해 연결된다. 이를 위해 블록(2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블록(21)을 상단면에서 하단면쪽으로 관통하는 와이어홀(21c)이 형성된다. 또한 개별 블록의 측면에서 볼 때 와이어홀(21c)은 블록 사이의 회전 중심이 되는 연결핀부(21a) 및 삽입홈(21b)을 기준으로 그 상부 즉, 블록조립체(20)의 상면쪽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22)가 당겨질 때 서로 연결된 두 블록의 상면이 평평해지는 방향으로 회동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22)는 두 가닥 또는 한 가닥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두 가닥 적용시, 두 와이어(22)의 상단은 상기 드럼(11)에 감겨진다. 두 와이어(22)는 블록조립체(20) 양측의 와이어홀(21c)들을 각각 통과하여 최하단 블록에 고정된다.
한 가닥 적용시, 와이어(22)의 일단은 드럼(11)에 연결되고, 타단은 블록조립체(20)의 좌측의 와이어홀(21c)들을 상부에서 하부로 모두 통과하고, 최하단 블록에서 다시 우측의 와이어홀(21c)들을 하부에서 상부로 모두 관통한 후, 상기 드럼(11)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모든 블록(21)들이 하나의 와이어(2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22)가 드럼(11)에 연결되면, 모터(10) 작동에 의한 드럼(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와이어(2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22) 장력과 토션스프링(23)(이하에서 설명함)의 상호 하중 작용에 의해 블록조립체(20)의 전개 및 복원 작동이 이루어진다.
블록조립체(20)의 좌우측 단부에는 다수의 토션스프링(23)들이 설치된다.
블록조립체(20)에서 서로 인접한 두 블록(21) 사이마다 토션스프링(23)이 설치된다. 서로 인접한 두 블록의 단면에는 각각 걸림돌기(21f,21g)가 돌출 형성되고, 그 걸림돌기(21f,21g)에 토션스프링(23)의 양단이 각각 걸려진다. 설치 상태에서 토션스프링(23)은 항상 두 인접한 블록 사이의 각도를 하방으로 좁히는 방향 즉, 블록조립체(2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토션스프링(23)들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와이어(22)가 느슨하게 풀려지면 블록조립체(20)는 도 2의 상태와 같이 하방으로 둥글게 말려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토션스프링(23)들은 그 위치에 따라 상이한 탄성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블록조립체(20) 전체로 볼 때 위쪽(시트의 쿠션프레임(1)에 가까운 쪽)으로 갈수록 토션스프링(23)의 복원력은 작아지고, 반대로 아래쪽(자유단부)으로 갈수록 토션스프링(23)의 복원력은 커진다. 이는 와이어(22)가 릴리즈되면 아래쪽(자유단부) 부터 폴드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비사용(보관) 상태에서는 도 2와 같이 상기 토션스프링(23)들의 복원력만 작용하고 와이어(22)는 느슨한 상태이므로 서로 인접한 두 블록 사이에서 제1스토퍼(21d)는 대응 블록의 하단에서 멀어지고 제2스토퍼(21e)가 대응 블록의 하단에 밀착된다. 따라서 서로 인접한 두 블록의 하면 사이의 각도가 최소가 되며, 모든 블록들의 사이가 이와 같으므로 블록조립체(20)는 시트의 쿠션프레임 전방 하부에서 내측으로 둥글게 말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레그레스트 사용시에는 모터(10)가 작동하여 드럼(11)이 회전되면, 와이어(22)가 드럼(11)에 감기면서 당겨짐으로써 장력이 점차 증가하게 되고, 도 5의 (a) 내지 (d)의 순으로 블록조립체(20)의 전개가 이루어진다. 와이어(22) 전체에 걸리는 장력은 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하지만 쿠션프레임(1)에 가까운 상부쪽 토션스프링(23)들의 복원력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상측 토션스프링(23)들이 먼저 변형되면서 상측 블록들이 먼저 펼쳐지기 시작한다(도 5의 (b)단계).
모터(10) 작동이 지속되어 와이어(22)의 장력이 증가될수록 중간 부분의 토션스프링(23)들이 변형되면서 중간 부분의 블록들이 펼쳐지고((c)단계), 마지막으로 최하단의 블록까지 펼쳐지면서 블록조립체(20)의 전개가 완료된다((d)단계 = 도 3의 상태).
따라서 완전 전개된 블록조립체(20)의 상면(=정면)이 승객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블록조립체(20)가 레그레스트 기능을 할 수 있다.
모터(10)가 블록조립체(20) 전개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점차 회전되면 드럼(11)의 역회전에 의해 와이어(22)가 풀리면서 장력이 점차 감소되고, 이 과정에서 복원력이 큰 아래쪽 토션스프링(23)들부터 복원이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따라서 블록조립체(20)는 도 5의 (d) 상태에서 (c)와 같이 아래쪽부터 다시 시트쪽으로 말리기 시작하면서 중간 부분이 말리는 (b)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a)와 같이 상측 부분도 말려진 보관상태로 복원된다.
상기와 같이 블록조립체(20)는 둥글게 말려서 보관되므로 보관 상태일 때 상하 높이가 작고, 전개시에는 상부가 먼저 펼쳐지고 복원시에는 하부가 먼저 복원되므로 작동에 필요한 공간의 높이도 작다.
따라서 레그레스트 설치공간이 감소됨으로써 2열 시트 뿐만 아니라 시트 높이가 낮은 1열 시트에도 레그레스트를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레그레스트는 충분한 전개 길이를 가지므로 1열 승객의 종아리 부분 전체를 지지해 줄 수 있다.
또한 도 5(a)와 같은 보관 상태에서 블록조립체(20)의 하단과 플로어(F) 사이에 상당한 높이의 빈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1열 시트에도 충분한 레그룸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블록조립체(20)의 다리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블록조립체 지지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블록조립체 지지부는 가스스프링(30)과, 가스스프링(30)의 로드(31) 단부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32)를 포함한다.
가스스프링(30)의 하단은 플로어 또는 시트의 쿠션프레임에 장착된 마운팅브라켓(미도시)에 고정된다.
로드(31)는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탄력적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하중을 지지한다.
지지플레이트(32)는 블록조립체(20)와 연결(구속)되지는 않으며 단지 블록조립체(20)의 하면에 접촉하여 블록조립체(20)를 지지한다. 단, 블록조립체(20)의 복원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대한 위쪽에 위치한 대략 2~3개 블록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블록조립체(20)의 상부 하면이 가스스프링(30)에 의해 지지되므로 블록조립체(20)의 다리 지지력이 향상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다리를 지지할 수 있으며, 다리 지지시 쿠션감이 더해져 승객의 사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실시예는 블록조립체(20)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지지부의 구성이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블록조립체(20)의 구조는 동일하다. 다수의 블록(21)이 연결핀부(21a)와 삽입홈(21b)의 결합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각 블록의 상면에는 제1스토퍼(21d)와 제2스토퍼(21e)가 형성되어 블록조립체(20)가 평평하게 전개되거나 둥글게 말리면서 복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블록조립체(20)의 양측 단부에 다수의 토션스프링(23)들이 설치되어 항상 블록조립체(20)를 보관 상태로 되돌리려는 복원력이 작용하고, 토션스프링(23)들은 블록조립체(20)의 상측으로 갈수록 복원력이 작고 하측으로 갈수록 복원력이 큰 것이 배치되어 있는 것도 동일하다.
단, 제1실시예와 달리 블록(21)들을 연결하는 와이어(22)가 존재하지 않는다. 제2실시예의 구동부는 모터(10)와 리드스크류(12)와 너트(13) 및 지지부재(14)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0)는 기어박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마운팅브라켓(15)으로 쿠션프레임(1)의 하부에 장착된다.
기어박스는 내부에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감속기어열을 구비하는데, 최종 출력은 모터(10)의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리드스크류(12)를 통해 이루어진다.
리드스크류(12)는 기어박스에 일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된 위치에서 이동 없이 회전만 가능하다.
리드스크류(12)에는 리드스크류(12)를 따라 전후로 직선 이동하는 너트(13)가 구비되고, 너트(13)에 상기 지지부재(14)가 고정된다. 지지부재(14)는 대략 직사각형의 얇은 박스 형상으로서 블록조립체(20)의 가로 길이보다 조금 작은 가로길이를 가지고, 대략 블록 3개에 해당되는 세로길이를 가진다.
지지부재(14)의 상판과 하판의 사이 공간으로 상기 너트(13)가 삽입 고정되어 있다.
모터(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리드스크류(12)에서 너트(13)가 전진 및 후진할 때 너트(13)에 설치된 지지부재(14)가 함께 전진 및 후진된다.
도 8과 같이, 지지부재(14)가 리드스크류(12)의 모터(10)쪽 부분으로 최대한 이동하면, 토션스프링(23)들의 작용에 의해 블록조립체(20)가 하방으로 말려서 보관 상태가 된다.
반면 도 8의 상태에서 지지부재(14)가 리드스크류(12)의 하단쪽으로 이동하면, 지지부재(14)가 이동하면서 대응하는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밀어 상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블록조립체(20)가 점차로 전개된다.
따라서 지지부재(14)가 최대한 하방으로 이동하면 블록조립체(20)가 완전히 전개되며, 그 상태에서 승객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경우 리드스크류(12)가 기어박스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기어박스 자체는 마운팅브라켓(15)으로 시트의 쿠션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리드스크류(12)가 상하 방향으로 견고한 지지력을 가진다. 따라서 리드스크류(12)에 너트(13)를 매개로 장착된 지지부재(14) 역시 상하 방향으로 충분한 지지력을 가지며, 이에 승객의 다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제1실시예의 가스스프링(30)과 같은 별도의 블록조립체 지지부는 필요치 않다.
상기와 같이 제2실시예는 구동부가 지지부의 역할까지 겸하므로 장치 구성이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부재(14)가 이동하면서 블록조립체(20)을 전개시키는 것이므로 블록조립체(20)의 전개 과정에서 전 구간에 걸쳐 블록조립체(2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3실시예에서도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블록조립체(20)가 사용되고, 구동 및 전개 상태의 지지를 위한 구성은 상이하다.
제3실시예에서 블록조립체(20)의 일측면(차량 내측 방향)에는 스프라켓(40,41)과 체인(50)이 설치되고, 타측면(차량 외측 방향)에는 기어(60,61)가 설치된다.
블록(21)의 하단부에는 회전축(31)이 블록(21) 전체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회전축(31)의 일측 단부에는 구동스프라켓(40)과 종동스프라켓(41)이 설치된다. 감속을 위해 구동스프라켓(40)에 비해 종동스프라켓(41)의 크기가 더 크다. 구동스프라켓(40)과 종동스프라켓(41)은 회전축(31)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된다.
인접한 두 블록(21)에서 상측 블록의 구동스프라켓(40)과 하측 블록의 종동스프라켓(41)은 체인(50)으로 연결된다.
최상단 블록의 종동스프라켓(41)은 쿠션프레임(1)에 장착된 모터(1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40)에 체인(50)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블록(21)의 순서에 따라 각 블록의 회전축(31)에서 구동스프라켓(40)과 종동스프라켓(41)의 위치는 반복적으로 교차 배치된다. 즉, 상측 블록의 회전축(31)의 내측부(블록에 가까운 위치)에 종동스프라켓(41)이 설치되고 외측부에 구동스프라켓(40)이 설치된 경우, 그에 인접한 하측 블록의 회전축(31)의 외측부에는 종동스프라켓(41)이 설치되고 내측부에 구동스프라켓(40)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측 블록의 구동스프라켓(40)이 하측 블록의 종동스프라켓(41)을 체인(50)으로 구동하는 구조를 최소한의 설치 공간내에 간결히 구성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한편, 회전축(31)의 반대쪽 단부에는 구동기어(60)가 설치된다. 이에 대응하여 서로 인접한 두 블록에서 하측 블록의 상단부에는 고정축(32)이 설치되고, 고정축(32)의 단부에 종동기어(61)가 장착된다. 상기 구동기어(60)는 회전축(31)과 함께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종동기어(61)는 고정축(32)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는다. 구동기어(60)와 종동기어(61)는 서로 치합되어 있으며, 블록의 작동각을 크게 하기 위하여 종동기어(61)는 구동기어(60)에 비해 작은 크기의 것이 사용된다.
제3실시예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블록조립체(20)가 쿠션프레임(1)의 전방 하부에 말려 있는 상태에서, 모터(10)가 작동되면 모터 회전축에 장착된 구동스프라켓(40)이 회전되고, 이에 체인(50)으로 연결된 첫번째 블록의 종동스프라켓(41)이 회전된다.
상기 종동스프라켓(41)이 회전되면 그와 동일한 회전축(31)에 장착되어 있는 첫번째 블록의 구동스프라켓(40)이 회전되고, 이에 체인(50)으로 연결된 두번째 블록의 종동스프라켓(41)이 회전된다.
따라서 두번때 블록의 종동스프라켓(41)과 동일한 회전축에 장착된 구동스프라켓(40)이 회전되고, 그 회전은 체인(50)을 매개로 세번째 블록의 종동스프라켓(41)으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모터(10)의 회전력이 전체 블록의 회전축(31)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각 블록의 회전축(31)의 타측 단부에는 구동기어(60)가 장착되고, 인접한 하측 블록에는 구동기어(60)와 치합된 종동기어(61)가 회전 불가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31)이 회전될 때 구동기어(60)가 함께 회전되면 구동기어(60)가 자신에 치합되어 있는 하측 블록의 종동기어(61)를 들어올려(구동기어(60)의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하는 공전이 발생함) 하측 블록이 상측 블록에 대해 상방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은 작동이 모든 블록의 사이에서 이루어짐으로써 블록조립체(20) 전체가 완전히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체인블록(20)의 복원은 상기 모터(10)가 역회전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모터(10)는 단순히 off되고 체인블록(20)에 설치된 토션스프링(23)들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될 수도 있다. 제3실시예의 경우 토션스프링(23)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블록 양측의 스프라켓 및 기어들을 블록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켜 토션스프링(23) 설치 공간을 확보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제3실시예에 따른 레그레스트는 블록간의 연결이 체인&스프라켓 및 기어 맞물림 구조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실시예인 와이어 작동 방식에 비해 블록조립체(20)가 수직 하중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매우 견고하다.
따라서 제3실시예는 별도의 지지수단을 부가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그 자체로서 승객의 다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쿠션프레임 10 : 모터
11 : 드럼 12 : 리드스크류
13 : 너트 14 : 지지부재
15 : 마운팅브라켓 20 : 블록조립체
21 : 블록 21a : 연결핀부
21b : 삽입홈 21c : 와이어홀
21d : 제1스토퍼 21e : 제2스토퍼
21f,21g : 걸림돌기 22 : 와이어
23 : 토션스프링 30 : 가스스프링
31 : 로드 32 : 지지플레이트
40 : 구동스프라켓 41 : 종동스프라켓
50 : 체인 60 : 구동기어
61 : 종동기어

Claims (8)

  1.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최상단 블록이 시트의 쿠션프레임에 장착된 블록조립체와;
    상기 쿠션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블록조립체를 전개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조립체에서 서로 인접한 두 블록은, 상측 블록의 하단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하측 블록의 상단에 연결핀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핀부가 상기 삽입홈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 및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조립체를 이루는 블록의 상단면에는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블록조립체의 상면쪽 부분에는 상면에 대해 직각면을 이루는 제1스토퍼가 형성되고, 하면쪽 부분은 하면쪽으로 갈수록 점점 벌어지는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는 제2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조립체에서 인접한 두 블록의 사이마다 토션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양단부가 인접한 두 블록에 각각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려지며, 상기 토션스프링은 항상 블록조립체가 하방으로 말려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션스프링은 블록조립체에서 상측에 위치할수록 복원력이 작고 하측에 위치할수록 복원력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조립체의 각 블록들의 회동점 위로 와이어홀이 형성되고, 그 와이어홀에 블록들을 상방으로 당겨주는 와이어가 삽입되며, 그 와이어는 쿠션프레임에 장착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에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조립체의 하면을 지지하는 블록조립체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조립체 지지부는 하단이 쿠션프레임에 설치된 마운팅브라켓에 고정되는 가스스프링과, 가스스프링의 로드에 설치되어 블록조립체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프레임에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기어박스에 리드스크류가 설치되며, 상기 리드스크류에 리드스크류 회전시 리드스크류를 따라 전후 이동하는 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너트에 블록조립체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조립체에서 두 인접한 블록 중 상측 블록의 하단부에 블록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이 설치되고 타단부에 구동기어가 설치되며, 하측 블록의 상단부 일측면에 고정축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에 종동기어가 회전이 불가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쿠션프레임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축에 구동스프라켓이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스프라켓과 최상단 블록의 회전축에 설치된 종동스프라켓이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최상단 블록 이하의 부분에서는 상측 블록의 구동스프라켓과 하측 블록의 종동스프라켓들이 각각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가 서로 치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KR1020200156671A 2020-11-20 2020-11-20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KR102442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671A KR102442168B1 (ko) 2020-11-20 2020-11-20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671A KR102442168B1 (ko) 2020-11-20 2020-11-20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494A true KR20220069494A (ko) 2022-05-27
KR102442168B1 KR102442168B1 (ko) 2022-09-08

Family

ID=8179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671A KR102442168B1 (ko) 2020-11-20 2020-11-20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1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41087A1 (en) * 2019-06-25 2022-02-10 Yanfeng Adient Seating Co., Ltd. Inbuilt Seat Leg Support and Sea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3629A (ja) * 1998-07-28 2000-02-15 Nissan Motor Co Ltd フットレスト
JP3844946B2 (ja) * 1999-06-15 2006-11-15 ソシエテ アンデュストリエル エ コメルシャル ドゥ マテリエル アエロノティク レッグレスト
JP2013530076A (ja) * 2010-02-02 2013-07-25 ビーイー・エアロスペー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展開可能なレッグレスト
KR101381575B1 (ko) * 2012-09-06 2014-04-07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
KR101725414B1 (ko) 2015-12-24 2017-04-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JP2020121719A (ja) * 2020-05-21 2020-08-1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3629A (ja) * 1998-07-28 2000-02-15 Nissan Motor Co Ltd フットレスト
JP3844946B2 (ja) * 1999-06-15 2006-11-15 ソシエテ アンデュストリエル エ コメルシャル ドゥ マテリエル アエロノティク レッグレスト
JP2013530076A (ja) * 2010-02-02 2013-07-25 ビーイー・エアロスペー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展開可能なレッグレスト
KR101381575B1 (ko) * 2012-09-06 2014-04-07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
KR101725414B1 (ko) 2015-12-24 2017-04-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JP2020121719A (ja) * 2020-05-21 2020-08-1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41087A1 (en) * 2019-06-25 2022-02-10 Yanfeng Adient Seating Co., Ltd. Inbuilt Seat Leg Support and Seat
US11679707B2 (en) * 2019-06-25 2023-06-20 Yanfeng Adient Seating Co., Ltd. Inbuilt seat leg support and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168B1 (ko)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038B1 (ko) 차량의 폴딩 시트 고정 장치
JP4863051B2 (ja) 車両用ウォークイン装置
US7992913B2 (en) Fold flat seat assembly
US7090277B2 (en) Gear drive and linkage for power operated seat assembly
KR102442168B1 (ko)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CN112550096A (zh) 车辆用后座椅
KR100593095B1 (ko) 자동차용 리클라이닝 장치의 회전축 구조
JP4697024B2 (ja) 車両用シート
JP5808584B2 (ja) 車両用シート
KR20210057989A (ko) 자동차용 파워 테이블 장치
JP456615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230092083A (ko) 컨트롤 암레스트 격납 구조
US7007993B2 (en) Center console
JP5228762B2 (ja) 車両用シート
JP6377538B2 (ja) 回転止め機構
JP4855219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388418B1 (ko) 차량용 시트의 탈부착장치
KR101316532B1 (ko) 차량의 워크인시트
KR200388056Y1 (ko)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
JP4899205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高さ調整装置
JP2006282020A (ja) 自動車用シートの高さ調整装置
KR101869052B1 (ko) 가변샤프트부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JP3162303B2 (ja) 自動車用スペースアップシートのインナーレッグカバー構造
JPS598917Y2 (ja) 安全ベルト巻取装置
KR100501520B1 (ko) 차량용 리어 시트의 폴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