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056Y1 -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056Y1
KR200388056Y1 KR20-2005-0008238U KR20050008238U KR200388056Y1 KR 200388056 Y1 KR200388056 Y1 KR 200388056Y1 KR 20050008238 U KR20050008238 U KR 20050008238U KR 200388056 Y1 KR200388056 Y1 KR 200388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am
locking
seat bac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범진
정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to KR20-2005-0008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0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0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60N2/3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레버(11)의 회전 조작시 그 회동력을 전달받아 언록킹 상태로 회전되는 회전축(18)과; 상기 회전축(18)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며 일단부에 접촉부(16a)가 형성된 플레이트(16)와; 회동핀(15)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일측에는 상기 접촉부(16a)로부터 언록킹 작동을 위한 가압력을 받는 제 1 지지부(60a)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 1 관통공(61)이 형성된 제 2 지지부(60b)가 구비된 링크(60)와; 일단이 상기 제 2 지지부(60b)에 고정되고 타단이 프레임(100)측에 고정되어 링크(60)에 록킹 상태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5)과; 고정핀(54)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일측으로 연장된 아암부에 상기 제 1 관통공(61)과 회동핀(53)을 개재하여 연결 설치되도록 제 2 관통공(51)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부의 단부 일측에는 걸림돌기(55)가 형성된 캠(50)과; 연결핀(22)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외주 일측에는 상기 캠(50)의 상단부와 상접하여 시트백의 언폴딩 록킹 상태를 이루는 만곡부(43)가 형성되고, 외주 타측에는 상기 캠(50)의 걸림돌기(55)와 맞물려 폴딩 록킹 상태를 이루는 걸림홈(41)이 형성된 록킹브래킷(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캠을 사용하여 시트백의 폴딩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며 폴딩시에 시트백이 걸어맞춤되어 고정되므로 시트백의 폴딩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Mechanism for folding seat back of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캠을 사용하여 시트백의 폴딩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며 폴딩시에 시트백이 걸어맞춤되어 고정되므로 시트백의 폴딩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는 승차자가 착석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과 승차자의 등을 기대는 시트백(seat back)으로 이루어진 차량의 시트의 구성중에서 시트백을 전방으로 접어서 시트쿠션과 연접되도록 함으로써 3도어 차량 또는 쿠페(coupe) 차량 등과 같이, 리어도어(rear door)가 없는 차량의 후석 승차자들의 승차를 용이하게 하거나, RV(Recreation Vehicle) 차량에서 평상시는 후석시트에 승객이 착석할 수 있으며, 화물을 적재하고자 할 때에는 후석시트의 시트백을 시트쿠션 측으로 폴딩시켜 후석부의 공간을 확보하므로 각종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다.
최근 산업발전과 함께 여가활동시간이 확대되고 또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다수의 승객이 탑승할 수 있고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이 넉넉한 레저용 차량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레저차량의 시트배열을 살펴보면 전방에 주로 운전석과 조수석으로 구성되는 제 1 열 시트가 구비되고, 그 후방에는 제 2 열 시트가 구비되고, 제 2 열 시트의 후방과 화물 적재칸 사이에 구비된 제 3 열 시트로 이루어져 있었다. 제 1 열 시트와 제 2 열 시트는 프론트 도어(front door) 및 리어 도어(rear door)를 통하여 자유롭게 승차 및 하차가 가능하나, 제 3 열 시트의 경우에는 승차 및 하차를 위한 별도의 도어가 없기 때문에 리어 도어를 통하여 승차 및 하차를 하게 된다. 따라서 제 3 열 시트에서 리어 도어를 사용하기 위해 제 2 열 시트에는 시트백을 폴딩하는 시트백 폴딩기구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는 프레임(110)에 제 1 아암(120) 및 제 2 아암(130)이 고정설치되고 제 1 아암(120) 및 제 2 아암(130) 사이에는 회동축(131)을 개재해서 시트백 고정브래킷(140)이 회전자재하게 설치되고, 프레임(110) 상에는 회전축(113)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113) 상에는 레버(111) 및 스프링(112)이 설치된다.
따라서, 레버(111)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링크(160) 및 제 1 아암(120) 및 제 2 아암(130) 사이에 내설된 캠-링크 기구를 개재해서 록킹핀(123)이 수직슬롯(121)을 따라서 하방으로 자유낙하하여 시트백 고정브래킷(140)과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시트백이 폴딩되고, 레버(111)를 하방으로 회동시키면 록킹핀(123)이 상방으로 승강하여 시트백 고정브래킷(140)과 록킹된다.
그러나 록킹핀(123)의 자중에 의한 자유낙하운동을 이용할 경우, 수직슬롯(121)과 록킹핀(123)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록킹핀(123)의 자유낙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록킹이 해제되지 않아 시트백의 폴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직슬롯(121)과 록킹핀(123) 사이에 이물질이 침투할 경우에도 록킹핀(123)의 자유낙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록킹이 해제되지 않아 시트백의 폴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는 시트백의 폴딩시 또는 언폴딩시에 록킹핀(123)에 의해 시트백 고정브래킷(140)과 록킹되므로 록킹 또는 록킹해제가 불완전하게 이루어질 경우, 시트백이 폴딩상태 또는 언폴딩상태로 고정되므로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거나 조작자가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캠을 사용하여 시트백의 폴딩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며 폴딩시에 시트백이 걸어맞춤되어 고정되므로 시트백의 폴딩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레버(11)의 회전 조작시 그 회동력을 전달받아 언록킹 상태로 회전되는 회전축(18)과; 상기 회전축(18)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며 일단부에 접촉부(16a)가 형성된 플레이트(16)와; 회동핀(15)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일측에는 상기 접촉부(16a)로부터 언록킹 작동을 위한 가압력을 받는 제 1 지지부(60a)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 1 관통공(61)이 형성된 제 2 지지부(60b)가 구비된 링크(60)와; 일단이 상기 제 2 지지부(60b)에 고정되고 타단이 프레임(100)측에 고정되어 링크(60)에 록킹 상태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5)과; 고정핀(54)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일측으로 연장된 아암부에 상기 제 1 관통공(61)과 회동핀(53)을 개재하여 연결 설치되도록 제 2 관통공(51)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부의 단부 일측에는 걸림돌기(55)가 형성된 캠(50)과; 연결핀(22)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외주 일측에는 상기 캠(50)의 상단부와 상접하여 시트백의 언폴딩 록킹 상태를 이루는 만곡부(43)가 형성되고, 외주 타측에는 상기 캠(50)의 걸림돌기(55)와 맞물려 폴딩 록킹 상태를 이루는 걸림홈(41)이 형성된 록킹브래킷(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일측이 프레임(100)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회전축(18)측에 고정되어, 회전축(18)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12)이 더욱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링크(60)의 제 1 지지부(60a)에는 상기 플레이트(16)의 접촉부(16a)의 가압력을 받도록 고정핀(66)이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회전축(18)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과; 상기 회동핀(15) 및 고정핀(54), 연결핀(22)이 설치되며, 상기 회동핀(53)의 회동 위치를 제한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아암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의 작동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는 크게 보면 회전축(18), 플레이트(16), 링크(60), 스프링(65), 캠(50) 및 록킹브래킷(40)으로 이루어지고 차량의 시트백을 폴딩하는 기구이다.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된 프레임(100)에는 회전축(18)이 고정되고, 회전축(18) 상에는 레버(11)가 고정되므로 회전축(18)은 레버(11)의 회전 조작시 레버(11)의 회동력을 전달받아 언록킹 상태로 회전된다.
예를 들면, 레버(11)의 동작을 더욱 용이하기 하기 위해 일측이 프레임(100)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회전축(18)측에 고정된 코일스프링(12)을 더 구비하여, 레버(11)가 고정된 회전축(18)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레버(11)의 동작을 단속하기 위한 스토퍼(13)를 프레임(100) 상에 설치하여 레버(11)의 회동을 단속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플레이트(16)는 "ㄴ"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회전축(18) 상에 축홀(17)을 개재해서 레버(11)와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레버(11)의 회동에 의해 회전축(18)과 함께 회동하게 되고, 일단부에는 접촉부(16a)가 형성된다.
링크(60)는 프레임(100)의 링크홀(24)에 고정된 회동핀(15)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일측에는 접촉부(16a)로부터 언록킹 작동을 위한 가압력을 받는 제 1 지지부(60a)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 1 관통공(61)이 형성된 제 2 지지부(60b)가 형성된다. 또한, 링크(60)의 제 2 지지부(60b)에는 스프링(65)을 걸어맞춤하여 고정하기 위한 걸림홀(62)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제 1 지지부(60a) 측으로 치우쳐진 위치에는 회동핀(15)이 결합되는 핀홀(63)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링크(60)의 제 1 지지부(60a)의 고정핀홀(64)에는 플레이트(16)의 접촉부(16a)의 가압력을 받도록 고정핀(66)이 돌설되어, 플레이트(16)의 회동력에 의해 링크(60)가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65)은 일단부가 링크(60)의 제 2 지지부(60b)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가 프레임(100)측의 스프링 걸림턱(21)에 고정되어, 도 4a 및 도 4d에 표시된 바와 같이, 링크(60)에 록킹 상태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캠(50)은 프레임(100)측에 고정핀홀(52)를 개재해서 고정하는 고정핀(54)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일측으로 연장된 아암부에는 제 1 관통공(61)과 회동핀(53)을 개재하여 연결 설치되도록 제 2 관통공(51)이 형성되고, 아암부의 단부 일측에는 록킹을 위한 걸림돌기(55)가 형성된다.
록킹브래킷(40)은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된 프레임(100)에 핀홀(42)과 고정결합된 연결핀(22)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외주 일측에는 캠(50)의 상단부와 상접하여 도 4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의 언폴딩 록킹 상태를 이루는 만곡부(43)가 형성되고, 외주 타측에는 캠(50)의 걸림돌기(55)와 맞물려 도 4d에 표시된 바와 같이 폴딩 록킹 상태를 이루는 걸림홈(41)이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시트의 시트백과 결합하기 위한 핀홀이 형성된다.
또한, 록킹브래킷(40)의 만곡부(43)와 걸림홈(41) 사이에는 언록킹시 캠(50)의 걸림돌기(55)와 마찰접촉하면서 안내하는 유선형의 안내부(4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00)은 회전축(18)이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10)과, 회동핀(15) 및 고정핀(54), 연결핀(22)이 설치되며, 회동핀(53)의 회동 위치를 제한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아암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아암프레임은 제조공정 등을 고려하여 제 1 아암프레임(20) 및 제 2 아암프레임(30)으로 이루어져 이들이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
통상적인 시트의 리클라이닝 동작을 위하여 메인프레임(10)과 제 1 아암프레임(20)은 메인프레임(10)에 고정된 회전축(18) 상에 축홀(26)을 개재해서 제 1 아암프레임(20)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회동은 가이드핀(14)에 의해서 안내된다. 제 1 아암프레임(20)과 제 2 아암프레임(30)은 고정핀(31) 및 스토퍼핀(32)을 개재해서 서로 결합고정되고, 제 1 아암프레임(20)과 제 2 아암프레임(30) 사이에는 연결핀(22) 및 핀홀(42)을 개재해서 록킹브래킷(40)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캠(50)도 회동핀(53)이 양측의 가이드 슬롯(23, 33)을 따라서 고정핀(54)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핀홀(25) 및 핀홀(34)을 개재해서 고정설치된다.
상기 본 실시예의 시트백 폴딩동작은 도 4a 내지 도 4d에 표시된 바와 같이, 우선 도 4a의 시트백이 언폴딩되고 캠(50)과 록킹브래킷(40)이 록킹된 상태에서 도 4b에 표시된 바와 같이, 레버(11)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레버(11)가 고정된 회전축(18) 상에 고정된 플레이트(16)도 회동하여 링크(60)의 제 1 지지부(60a)에 고정된 고정핀(66)을 접촉부(16a)로 가압하여 링크(60)를 회동시키게 된다.
도 4c에 표시된 바와 같이, 링크(60)가 회동되면 회동핀(53)을 개재해서 가이드 슬롯(23, 33)을 따라서 안내되는 캠(50)이 회동하여 캠(50)과 록킹브래킷(40) 사이의 록킹이 해제되어 록킹브래킷(40)이 회동가능하게 되어 록킹브래킷(40)에 고정된 시트백이 폴딩가능하게 된다.
도 4d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이 폴딩되어 록킹브래킷(40)이 회동하게 되면 스프링(65)에 의해서 캠(50)에 복원탄성력이 부여되어 캠(50)이 록킹브래킷(40)의 걸림홈(41)에 걸어맞춤되므로, 시트백이 폴딩된 상태에서 캠(50)과 록킹브래킷(40)이 록킹하게 되어 시트백의 폴딩이 완료된다.
또한, 시트백의 언폴딩시에는 상기와 역순으로 진행하게 된다. 즉 폴딩된 상태에서 레버(11)를 회동시키면 캠(50)과 록킹브래킷(40) 사이의 록킹이 해제되어 록킹브래킷(40)이 회동가능하게 되므로, 시트백이 언폴딩되고 캠(50)과 록킹브래킷(40) 사이의 록킹이 이루어지므로 시트백의 언폴딩이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캠을 사용하여 시트백의 폴딩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며 폴딩시에 시트백이 걸어맞춤되어 고정되므로 시트백의 폴딩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의 작동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프레임 11 : 레버
12 : 코일스프링 13 : 스토퍼
14 : 가이드핀 15 : 회동핀
16 : 플레이트 16a : 접촉부
17 : 축홀 18 : 회전축
20 : 제 1 아암프레임 21 : 스프링 걸림턱
22 : 연결핀 23 : 가이드 슬롯
24 : 링크홀 25 : 핀홀
26 : 축홀 30 : 제 2 아암프레임
31 : 고정핀 32 : 스토퍼핀
33 : 가이드 슬롯 34 : 핀홀
40 : 록킹브래킷 41 : 걸림홈
42 : 핀홀 43 : 만곡부
44 : 안내부 50 : 캠
51 : 제 2 관통공 52 : 고정핀홀
53 : 회동핀 54 : 고정핀
55 : 걸림돌기 60 : 링크
60a : 제 1 지지부 60b : 제 2 지지부
61 : 제 1 관통공 62 : 걸림홀
63 : 핀홀 64 : 고정핀홀
65 : 스프링 66 : 고정핀

Claims (4)

  1. 레버(11)의 회전 조작시 그 회동력을 전달받아 언록킹 상태로 회전되는 회전축(18)과;
    상기 회전축(18)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며 일단부에 접촉부(16a)가 형성된 플레이트(16)와;
    회동핀(15)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일측에는 상기 접촉부(16a)로부터 언록킹 작동을 위한 가압력을 받는 제 1 지지부(60a)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 1 관통공(61)이 형성된 제 2 지지부(60b)가 구비된 링크(60)와;
    일단이 상기 제 2 지지부(60b)에 고정되고 타단이 프레임(100)측에 고정되어 링크(60)에 록킹 상태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5)과;
    고정핀(54)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일측으로 연장된 아암부에 상기 제 1 관통공(61)과 회동핀(53)을 개재하여 연결 설치되도록 제 2 관통공(51)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부의 단부 일측에는 걸림돌기(55)가 형성된 캠(50)과;
    연결핀(22)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외주 일측에는 상기 캠(50)의 상단부와 상접하여 시트백의 언폴딩 록킹 상태를 이루는 만곡부(43)가 형성되고, 외주 타측에는 상기 캠(50)의 걸림돌기(55)와 맞물려 폴딩 록킹 상태를 이루는 걸림홈(41)이 형성된 록킹브래킷(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이 프레임(100)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회전축(18)측에 고정되어, 회전축(18)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12)이 더욱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60)의 제 1 지지부(60a)에는 상기 플레이트(16)의 접촉부(16a)의 가압력을 받도록 고정핀(66)이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회전축(18)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과;
    상기 회동핀(15) 및 고정핀(54), 연결핀(22)이 설치되며, 상기 회동핀(53)의 회동 위치를 제한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아암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
KR20-2005-0008238U 2005-03-25 2005-03-25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 KR200388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238U KR200388056Y1 (ko) 2005-03-25 2005-03-25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238U KR200388056Y1 (ko) 2005-03-25 2005-03-25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976A Division KR100636027B1 (ko) 2005-03-25 2005-03-25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056Y1 true KR200388056Y1 (ko) 2005-06-28

Family

ID=4368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238U KR200388056Y1 (ko) 2005-03-25 2005-03-25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0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809B1 (ko) 2005-12-21 2006-07-19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너
KR100766714B1 (ko) * 2005-12-27 2007-10-1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809B1 (ko) 2005-12-21 2006-07-19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너
WO2007073103A1 (en) * 2005-12-21 2007-06-28 Austem Co., Ltd. Folding recliner of seat for vehicles
CN100457500C (zh) * 2005-12-21 2009-02-04 奥斯特姆有限公司 车辆座椅的折叠式倾斜器
KR100766714B1 (ko) * 2005-12-27 2007-10-1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809B1 (ko) 차량용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너
US7393056B2 (en) Vehicle seat release assembly
EP2261078B1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seat for vehicle
US7665704B2 (en) Seat rail apparatus
KR100649090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US7168763B2 (en) Seatback reclining apparatus for a vehicle
KR100317464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풀 플로우팅 장치
JP2003127741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200388056Y1 (ko)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
KR100636027B1 (ko)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
JP2916860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893078B1 (ko) 차량용 더블 폴딩 시트의 폴딩장치
JP2002307991A (ja) 跳ね上げ式格納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ロック構造
US20220332224A1 (en) Locking device for walk-in seat of vehicle
JP3279137B2 (ja) 乗物用チャイルドシート装置
JPH05300821A (ja) 自動車のアームレスト構造
KR100398102B1 (ko) 자동차용 시트 폴딩 구조
KR20000012179U (ko)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KR100461163B1 (ko) 2단 접철식 시트조립체의 자동잠금장치
JP3489671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機構
JP3427722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325091B1 (ko) 헤드레스트 잠금장치
JP4101423B2 (ja) 跳ね上げシートのヒンジ構造
KR200395740Y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KR100607091B1 (ko) 회전간섭 방지기능을 가지는 점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