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740Y1 -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740Y1
KR200395740Y1 KR20-2005-0018016U KR20050018016U KR200395740Y1 KR 200395740 Y1 KR200395740 Y1 KR 200395740Y1 KR 20050018016 U KR20050018016 U KR 20050018016U KR 200395740 Y1 KR200395740 Y1 KR 2003957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alk
link
cab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헌필
채수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to KR20-2005-0018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7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7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60N2/1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and provided with memory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의 측면에 설치되며, 시트의 베이스 브래킷(14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을 폴딩시키고 시트쿠션 프레임(110)을 슬라이딩시켜 차량의 시트를 워크인 상태로 작동시키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로서, 일단부가 워크인 레버(123)에 각각 연결된 제 1 케이블(121) 및 제 2 케이블(122)과; 일단부에 제 1 케이블(121)이 연결되어 제 1 케이블(121)의 당겨짐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을 해제하는 리클라이닝 레버(142)와; 리클라이닝 축(141)을 중심으로 회전자재하며,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에 고정된 회동 브래킷(131)에 의해 회동력을 부여받는 워크인 링크(143)와; 힌지핀(145)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일단부에 연결된 제 2 케이블(122)의 당겨짐에 의해 회동력이 부여되고, 타단부에 형성된 핀(147a)에 상기 워크인 링크(143)에 형성된 암부(143a)가 접촉하여 회동력을 전달받는 스토퍼 링크(147)와; 힌지핀(145)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일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48c)에 상기 스토퍼 링크(147)에 형성된 암부(147d)가 접촉하여 회동력을 전달받고, 타단부에 시트트랙 케이블(111)이 연결된 케이블 링크(1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차량의 시트백의 상단에 워크인 레버를 설치하여 워크인 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워크인 레버에 케이블을 연결하므로 부품의 수를 줄이는 동시에 조립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Walk in device of vehicular seat}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백의 상단에 워크인 레버를 설치하여 워크인 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워크인 레버에 케이블을 연결하므로 부품 수를 줄이는 동시에 조립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플로어(floor)에는 운전자와 승객이 앉을 수 있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설치된다. 프론트 시트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각각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분리식으로 구성되며, 리어 시트는 좌측과 우측의 시트 쿠션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차량용 프론트 시트는 착좌용 시트쿠션(seat cushion)과 등받이용 시트백(seat back)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단부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헤드레스트(headrest)가 장착된다.
상기 시트백을 지지하고 있는 시트백 프레임은 힌지를 중심으로 시트쿠션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탑승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게 시트백을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최근 산업발전과 함께 여가활동 시간이 확대되고, 또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다수의 승객이 탑승할 수 있고,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이 넉넉한 레저용 차량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레저차량의 시트배열을 살펴보면 전방에 주로 운전석과 조수석으로 구성되는 제 1 열 시트가 구비된다. 그 후방에는 제 2 열 시트가 구비되고, 제 2 열 시트의 후방과 화물 적재칸 사이에 구비된 제 3 열 시트로 이루어진다. 제 1 열 시트와 제 2 열 시트는 프론트 도어(front door) 및 리어 도어(rear door)를 통하여 자유롭게 승차 및 하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제 3 열 시트의 경우에는 승차 및 하차를 위한 별도의 도어가 없기 때문에 리어 도어를 통하여 승차 및 하차를 하게 된다. 따라서 리어 도어로 사용하기 위해 제 2 열 시트에는 시트백을 폴딩하고 시트쿠션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워크인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된다.
즉, 시트의 후방 하단에 설치된 워크인 페달이나 시트의 측면 하단에 설치된 워크인 레버에 의하여 시트백 프레임이 소정각도만큼 폴딩되는 동시에 시트쿠션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는 시트의 하부를 구성하며 시트쿠션(23)을 지지하는 로어암(2)의 측면에 접합바(22)가 형성된 센서링크(21)가 설치된다.
시트쿠션(23)의 자중에 의해 시트쿠션(23)이 접합바(2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므로 센서링크(21)가 회동된다. 센서링크(21)가 회동되면 제 1 링크(17)가 회동부재(5)의 회동반경 내로 이동되어 시트백이 장착되는 어퍼암(3)이 소정각도로 워크인 폴딩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어퍼암(3)을 폴딩시키면 제 2 링크(18)에 연결된 케이블(13)이 당겨진다. 케이블(13)이 당겨지면 시트트랙의 록킹이 해제되어, 시트가 전방으로 이송되므로 워크인 상태로 된다.
또한, 시트쿠션(23)을 로어암(2)에서 들어올린 상태에서는 접합바(23)가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센서링크(21)가 회동되지 않아 어퍼암(3)이 워크인 폴딩되지 않고 전방으로 완전히 폴딩되는 풀폴딩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워크인 디바이스의 구성은 시트쿠션(23)이 접합바(22)를 하방으로 가압한 상태에서는 시트백의 워크인 폴딩이 가능하고 시트트랙의 록킹해제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시트쿠션(23)이 접합바(22)를 하방으로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시트트랙의 록킹이 해제되지 않고 시트백의 풀폴딩만 가능하게 된다. 즉, 시트의 풀폴딩 작동과 워크인 폴딩 작동을 구분하기 위해 시트쿠션을 들어 올리거나 내려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워크인 디바이스에서는 워크인 레버가 시트의 일측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워크인 페달이 후방 하단에 함께 설치된다. 그래서 탑승자가 승하차 시에 시트 하단의 워크인 레버를 허리를 굽혀 손으로 조작하거나 워크인 페달을 발로 조작한 상태에서 시트백을 폴딩시켜 시트를 워크인 상태로 만들게 된다.
그러나, 통상 시트의 측면공간이 협소하므로 손으로 워크인 레버를 작동할 경우 탑승자의 손이 시트의 측면공간이 끼이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시트의 후방에서 탑승자의 발이 실수로 시트의 후방 하단에 설치된 워크인 페달을 조작할 경우, 시트가 워크인되므로 시트에 착좌한 탑승자의 위치가 변동되므로 주행중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워크인 디바이스는 풀폴딩과 워크인 작동을 구분하기 위해 부품 수가 증가하고 결합구조가 복잡해지며, 승하차시 워크인 작동을 위하여 레버와 페달을 함께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시트백의 상단에 워크인 레버를 설치하여 워크인 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워크인 레버에 케이블을 연결하므로 부품 수를 줄이는 동시에 조립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시트의 측면에 설치되며, 시트의 베이스 브래킷(14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을 폴딩시키고 시트쿠션 프레임(110)을 슬라이딩시켜 차량의 시트를 워크인 상태로 작동시키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로서, 일단부가 워크인 레버(123)에 각각 연결된 제 1 케이블(121) 및 제 2 케이블(122)과; 일단부에 제 1 케이블(121)이 연결되어 제 1 케이블(121)의 당겨짐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을 해제하는 리클라이닝 레버(142)와; 리클라이닝 축(141)을 중심으로 회전자재하며,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에 고정된 회동 브래킷(131)에 의해 회동력을 부여받는 워크인 링크(143)와; 힌지핀(145)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일단부에 연결된 제 2 케이블(122)의 당겨짐에 의해 회동력이 부여되고, 타단부에 형성된 핀(147a)에 상기 워크인 링크(143)에 형성된 암부(143a)가 접촉하여 회동력을 전달받는 스토퍼 링크(147)와; 힌지핀(145)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일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48c)에 상기 스토퍼 링크(147)에 형성된 암부(147d)가 접촉하여 회동력을 전달받고, 타단부에 시트트랙 케이블(111)이 연결된 케이블 링크(1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브래킷(140)에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 링크(147)의 회동을 제한하는 커버 스토퍼(149)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토퍼 링크(147)의 일단부에는 회동을 복귀시키는 토션스프링(146)이 걸어맞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워크인 링크(143)는 회동 브래킷(131)에 일측이 고정된 링크스프링(143b)에 연결되어 탄성복원력을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시트의 측면에 설치되며, 시트의 베이스 브래킷(14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을 폴딩시키고 시트쿠션 프레임(110)을 슬라이딩시켜 차량의 시트를 워크인 상태로 작동시키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로서, 시트백이 사용자의 착좌위치일 때에는 시트트랙부(150)의 록킹을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며, 리클라이닝 브래킷(130)과 함께 회동하여 시트백이 전방으로 풀폴딩된 위치일 때에는 시트트랙부(150)의 록킹을 조작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워크인 링크(14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를 시트 외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를 시트 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의 요부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방향에서 본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도 7e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워크인 디바이스는 제 1 케이블(121), 제 2 케이블(122), 리클라이닝 레버(142), 워크인 링크(143), 스토퍼 링크(147) 및 케이블 링크(148)로 이루어지며, 시트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시트의 베이스 브래킷(14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을 폴딩시키고 시트쿠션 프레임(110)을 슬라이딩시켜, 차량의 시트를 워크인 상태로 작동시키게 된다.
제 1 케이블(121) 및 제 2 케이블(122)은 일단부가 워크인 레버(123)에 각각 연결되어 탑승자가 워크인 레버(123)를 조작하면 각각의 케이블이 당겨진다. 이 워크인 레버(123)는 탑승자가 승하차시 용이하게 조작하도록 시트의 시트백 프레임(120)의 상단 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작 및 레이아웃의 측면을 고려하여 케이블 연결이 가능한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이 워크인 레버(123)로는 케이블을 당길 수 있는 구성이면, 예시된 것 이외의 다양한 레버를 적용해도 된다.
이들 제 1 케이블(121) 및 제 2 케이블(122)은 튜브 내에 케이블이 내설되어 슬라이딩 되므로 워크인 레버(123)의 조작시 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블이 내설된 튜브의 단부는 베이스 브래킷(140)의 소정위치에 고정된 고정브래킷에 고정되어 튜브 내의 케이블의 힘 전달을 원활하게 한다.
리클라이닝 레버(142)는 일단부가 리클라이닝 축(141)에 고정되어 시트백 프레임(120)이 고정된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을 폴딩시키기 위해 리클라이너(132)를 록킹해제시킨다.
리클라이닝 레버(142)의 타단부에는 제 1 케이블(121)이 연결된다. 따라서, 워크인 레버(123)에 의해 제 1 케이블(121)이 당겨지면, 리클라이닝 레버(142)에 회동력이 부여되어 리클라이너(132)의 록킹이 해제되고,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이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 144)에 의해 폴딩하게 된다.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이 폴딩되면 이에 고정된 시트백 프레임(120)이 폴딩된다. 한편 워크인 레버(123)를 조작하지 않고 리클라이닝 축(141)에 고정된 별도의 폴딩레버(도시안함)를 조작하면, 통상적인 시트백 프레임(120)의 폴딩이나 풀폴딩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풀폴딩시에는 워크인 레버(123)를 조작해도 워크인 링크(143)와 스토퍼 링크(147)가 접촉되지 않으므로 워크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도 7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워크인 링크(143)는 리클라이닝 축(141)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의 폴딩시에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에 고정된 회동 브래킷(131)에 의해 회동력을 전달받는다.
워크인 링크(143)의 일단부에는 암부(143a)가 형성된다. 이 암부(143a)의 단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크인 링크(143)의 타단부에는 자중에 의한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링크스프링(143b)의 일단이 연결되고,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에 고정된 회동 브래킷(131)에 링크스프링(143b)의 타단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크인 작동시, 워크인 링크(143)의 타단부에는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의 회동 브래킷(131)이 접촉하여 회동력을 전달하므로 워크인 링크(143)는 리클라이닝 축(14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워크인 링크(143)는 리클라이닝 브래킷(130)과 함께 리클라이닝 축(14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워크인 링크(143)는 워크인 작동을 위한 회동 후 링크스프링(143b)에 의해 탄성복원력을 부여받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워크인 링크(143)는 시트백이 사용자의 착좌위치일 때 시트트랙부(150)의 록킹을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며, 리클라이닝 브래킷(130)과 함께 회동하여 시트백이 전방으로 풀폴딩된 위치일 때 시트트랙부(150)의 록킹을 조작할 수 없는 위치에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착좌시에는 시트백이 세워진 상태이므로 워크인 레버(123)를 조작하면 워크인 링크(143)가 회동되면서 스토퍼 링크(148) 및 케이블 링크(148)에 회동력을 부여하여 시트트랙부(150)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시트공간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시트백을 전방으로 완전히 접은 풀폴딩시킨 상태에서 워크인 레버(123)를 조작하면 워크인 링크(143)가 회동된 상태이므로 스토퍼 링크(148) 및 케이블 링크(148)에 회동력을 부여할 수 없어 시트트랙부(150)의 록킹을 해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워크인 디바이스는 시트백이 세워진 상태에서 워크인 레버(123)를 조작하면 워크인 작동이 가능하고 풀폴딩시에는 워크인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는 시트쿠션의 위치에 따라 워크인 작동여부가 결정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쿠션의 위치에 상관없이 시트백의 위치에 따라 워크인 작동여부가 결정된다.
도 4 내지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링크(147)는 축홀(147b)을 개재해서 힌지핀(145)에 축지지되어 베이스 브래킷(140)에 고정된 힌지핀(145)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스토퍼 링크(147)의 일단부에 형성된 암부(147d)에는 케이블홀(147c)이 형성되어 제 2 케이블(122)이 연결된다. 따라서, 워크인 레버(123)를 조작하면 이에 연결된 제 2 케이블(122)에 의해 스토퍼 링크(147)에 회동력이 부여된다. 스토퍼 링크(147)의 타단부에는 워크인 링크(143)의 암부(143a)와 접촉하여 회동력을 전달받는 핀(147a)이 형성된다.
즉, 스토퍼 링크(147)는 워크인 레버(123)에 의해 1차적으로 회동하여 타단부의 핀(147a)이 워크인 링크(143)의 회동반경 내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회동 브래킷(131)에 의해 워크인 링크(143)가 회동되면서 스토퍼 링크(147)의 핀(147a)과 워크인 링크(143)의 암부(143a)가 접촉하여 2차적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암부(143a)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가 핀(147a)의 외주부와 접촉하므로 회동력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스토퍼 링크(147)의 회동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걸림턱(149c)이 형성된 커버 스토퍼(149)를 스토퍼 링크(147)의 외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스토퍼(149)는 베이스 브래킷(140)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힌지홀(149b)에 힌지핀(145)이 끼워맞춤된다.
즉, 스토퍼 링크(147)의 회동각도가 걸림턱(149c)에 의해 제한되므로 스토퍼 링크(147)를 회동시키는 워크인 링크(143)의 회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워크인 링크(143)를 회동시키는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의 회동이 제한되어 이에 고정된 시트백 프레임(120)의 폴딩각도가 소정의 각도로 한정된다.
스토퍼 링크(147)의 일단부에는 회동을 복귀시키는 토션스프링(146)이 힌지핀(145)을 중심축으로 하여 걸어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토션스프링(146)의 제 1 걸림부(146a)는 스토퍼 링크(147)의 일단부에 걸어맞춤되고 제 2 걸림부(146b)는 베이스 프레임(140)의 하단부에 걸어맞춤되므로 스토퍼 링크(147)에 탄지력을 부여하여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워크인 상태에서 시트백 프레임(120)을 후방으로 밀면 워크인 링크(143)가 회동되어 스토퍼 링크(147)와의 접촉이 해제되므로 토션스프링(146)에 의해 스토퍼 링크(147)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케이블 링크(148)는 스토퍼 링크(147)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브래킷(140)에 힌지핀(145)으로 축지지되어 회동된다. 케이블 링크(148)의 일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48c)에 상기 스토퍼 링크(147)의 암부(147d)가 접촉하여 회동력이 전달된다. 케이블 링크(148)의 타단부에 형성된 케이블홀(148a)에는 시트트랙부(150)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시트트랙 케이블(111)이 연결된다.
즉, 케이블 링크(148)는 스토퍼 링크(147)의 2차 회동시 케이블홀(147c)이 형성된 스토퍼 링크(147)의 암부(147d)가 걸림턱(148c)에 접촉하여 회동력을 전달받으므로 타단부에 연결된 시트트랙 케이블(111)이 당겨지게 된다.
시트트랙 케이블(111)이 당겨지게 되면, 시트트랙 케이블(111)이 연결된 연결바(152)가 회동되어 시트트랙부(150)의 록킹이 해제된다. 연결바(152)는 시트쿠션 프레임(110)에 핸들 브래킷(112)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일단부에는 시트이송핸들(151)이 고정된다. 한편, 워크인 레버(123)를 조작하지 않고 시트이송핸들(151)을 조작하면, 통상적인 시트쿠션 프레임(110)의 이송만 이루어지게 된다.
시트트랙부(150)의 이송레일(153) 상측에는 시트쿠션 프레임(110)이 고정되고, 시트쿠션 프레임(110)의 후단에는 스프링 브래킷(113)을 개재해서 코일스프링(155)의 일측이 연결된다. 또 시트트랙부(150)의 고정레일(154)은 차체의 플로어에 고정되고, 고정레일(154)의 전단에는 코일스프링(155)의 타측이 연결된다.
따라서, 시트트랙부(150)의 록킹이 해제되면, 코일스프링(155)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레일(154)을 따라서 이송레일(153)이 슬라이딩된다. 그러면 이송레일(153)에 고정된 시트쿠션 프레임(110)이 이송된다.
이러한 시트트랙부(150)로는 시트트랙 케이블(111)에 의해 록킹해제 조작이 가능한 것이면 상기 예시된 것 이외의 어떤 종류의 것이라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워크인 디바이스의 작동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7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탑승자가 시트백의 상단이나 후단에 설치된 워크인 레버(123)를 당기면, 워크인 레버(123)에 연결된 제 1 케이블(121) 및 제 2 케이블(122)이 당겨진다. 제 1 케이블(121)이 당겨지면, 제 1 케이블(121)에 연결된 리클라이닝 레버(142)가 리클라이닝 축(1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리클라이너(132)의 록킹이 해제된다. 리클라이너(132)의 록킹이 해제되면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또, 제 2 케이블(122)이 당겨지면, 제 2 케이블(122)에 연결된 스토퍼 링크(147)가 힌지핀(14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워크인 링크(143)의 회동반경 내로 상승하게 된다.
도 7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링크(147)가 워크인 링크(143)의 회동반경 내로 회동하게 되면, 도 7c에 표시된 바와 같이, 워크인 링크(143)가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에 고정된 회동 브래킷(131)과 접촉하여 리클라이닝 축(14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함께 회동된다. 워크인 링크(143)가 회동되면, 회동반경 내로 회동한 스토퍼 링크(147)와 접촉하여 스토퍼 링크(147)와 함께 회동하게 된다.
도 7d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링크(147)가 워크인 링크(143)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동하게 되면, 스토퍼 링크(147)의 암부(147d)는 케이블 링크(148)와 접촉하여 케이블 링크(148)를 힌지핀(145)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케이블 링크(148)가 회동되면, 케이블 링크(148)의 타단부에 연결된 시트트랙 케이블(111)이 당겨져서 시트이송레버(151)가 고정된 연결바(152)가 조작되므로 시트트랙부(150)의 록킹이 해제된다. 시트트랙부(150)의 록킹이 해제되면, 코일스프링(155)의 탄성력에 의해 이송레일(153)이 고정레일(154)의 상부를 슬라이딩하게 되어 시트쿠션 프레임(110)이 전방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도 7e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시트의 시트백 프레임(120)이 소정각도 폴딩되고, 시트쿠션 프레임(110)이 전방으로 이송되어 워크인 작동이 완료하게 된다. 또한, 워크인 상태에서 시트쿠션 프레임(110)을 후방으로 이송시킨 후 시트백 프레임(120)을 후방으로 폴딩시키면, 본 실시예의 워크인 디바이스가 상기와 역순으로 작동하여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시트의 일측에 워크인 디바이스를 리클라이너 및 시트의 슬라이딩기구와 복합적으로 설계하여 부품 수를 줄일 뿐만 아니라 조립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워크인 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의 폴딩각도를 소정각도로 제한하여 원위치로의 복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워크인 레버는 워크인 디바이스를 케이블을 개재해서 조작하므로 다양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풀폴딩 작동이나 워크인 작동의 구분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추가할 필요없이 워크인 레버에 의해 명확하게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크스토퍼에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복귀작동의 불편함을 감소시켜 원활한 복귀작동을 행할 수 있다.
또 워크인 링크에 탄성부재를 연결하여 리클라이너의 작동시 오작동의 원인을 미리 방지하여 워크인 작동과 리클라이닝 작동을 명확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백의 위치에 따라서 워크인 동작가능 여부가 결정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를 시트 외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를 시트 내측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의 요부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방향에서 본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a, 도 7b, 도 7c, 도 7d 및 도 7e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시트쿠션 프레임 111 : 시트트랙 케이블
112 : 핸들 브래킷 113 : 스프링 브래킷
120 : 시트백 프레임 121 : 제 1 케이블
122 : 제 2 케이블 123 : 워크인 레버
130 : 리클라이닝 브래킷 131 : 회동 브래킷
132 : 리클라이너 140 : 베이스 브래킷
141 : 리클라이닝 축 142 : 리클라이닝 레버
143 : 워크인 링크 144 : 스파이럴 스프링
145 : 힌지핀 146 : 토션스프링
147 : 스토퍼 링크 148 : 케이블 링크
149 : 커버 스토퍼 150 : 시트트랙부
151 : 시트이송핸들 152 : 연결바
153 : 이송레일 154 : 고정레일
155 : 코일스프링

Claims (5)

  1. 시트의 측면에 설치되며, 시트의 베이스 브래킷(14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을 폴딩시키고 시트쿠션 프레임(110)을 슬라이딩시켜 차량의 시트를 워크인 상태로 작동시키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로서,
    일단부가 워크인 레버(123)에 각각 연결된 제 1 케이블(121) 및 제 2 케이블(122)과;
    일단부에 제 1 케이블(121)이 연결되어 제 1 케이블(121)의 당겨짐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을 해제하는 리클라이닝 레버(142)와;
    리클라이닝 축(141)을 중심으로 회전자재하며,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에 고정된 회동 브래킷(131)에 의해 회동력을 부여받는 워크인 링크(143)와;
    힌지핀(145)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일단부에 연결된 제 2 케이블(122)의 당겨짐에 의해 회동력이 부여되고, 타단부에 형성된 핀(147a)에 상기 워크인 링크(143)에 형성된 암부(143a)가 접촉하여 회동력을 전달받는 스토퍼 링크(147)와;
    힌지핀(145)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일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48c)에 상기 스토퍼 링크(147)에 형성된 암부(147d)가 접촉하여 회동력을 전달받고, 타단부에 시트트랙 케이블(111)이 연결된 케이블 링크(1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래킷(140)에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 링크(147)의 회동을 제한하는 커버 스토퍼(149)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링크(147)의 일단부에는 회동을 복귀시키는 토션스프링(146)이 걸어맞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인 링크(143)는 회동 브래킷(131)에 일측이 고정된 링크스프링(143b)에 연결되어 탄성복원력을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5. 시트의 측면에 설치되며, 시트의 베이스 브래킷(14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리클라이닝 브래킷(130)을 폴딩시키고 시트쿠션 프레임(110)을 슬라이딩시켜 차량의 시트를 워크인 상태로 작동시키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로서,
    시트백이 사용자의 착좌위치일 때에는 시트트랙부(150)의 록킹을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며, 리클라이닝 브래킷(130)과 함께 회동하여 시트백이 전방으로 풀폴딩된 위치일 때에는 시트트랙부(150)의 록킹을 조작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워크인 링크(14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KR20-2005-0018016U 2005-06-22 2005-06-22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KR200395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016U KR200395740Y1 (ko) 2005-06-22 2005-06-22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016U KR200395740Y1 (ko) 2005-06-22 2005-06-22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940A Division KR100649090B1 (ko) 2005-06-22 2005-06-22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740Y1 true KR200395740Y1 (ko) 2005-09-13

Family

ID=4369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016U KR200395740Y1 (ko) 2005-06-22 2005-06-22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7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090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US8388054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8061776B2 (en) Walk-in and folding apparatus for seat
US8056954B2 (en) Fold flat seat assembly with drive link
WO2007073103A1 (en) Folding recliner of seat for vehicles
EP1558459A2 (en) Thin profile folding vehicle seat
KR20200143585A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20210031037A (ko) 차량용 후석 시트
KR100461102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JPH1148840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US8066325B2 (en) Deployable bolster for a vehicle seat
KR101423774B1 (ko) 시트백 연동형 자동 암레스트장치
US10266075B2 (en) Stowable vehicle seat with slotted guide linkage
JP7360006B2 (ja) 乗り物用シート
US20090189429A1 (en) Easy lift mechanism for vehicle seats
KR200395740Y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KR20230166436A (ko) 2열 수동 릴렉션시트
JP3768428B2 (ja) 車両用シート
JP3941751B2 (ja) 車両用シート
JP3894169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7030717A (ja) 乗り物用シート
KR20190138531A (ko) 쿠션시트 팁업과 동시에 슬라이딩하는 차량용 시트
JP7476625B2 (ja) 車両用乗降補助装置
CN216580219U (zh) 一键翻转式座椅骨架
JP2013001176A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