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436A - 2열 수동 릴렉션시트 - Google Patents

2열 수동 릴렉션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436A
KR20230166436A KR1020220066423A KR20220066423A KR20230166436A KR 20230166436 A KR20230166436 A KR 20230166436A KR 1020220066423 A KR1020220066423 A KR 1020220066423A KR 20220066423 A KR20220066423 A KR 20220066423A KR 20230166436 A KR20230166436 A KR 20230166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rest
relaxation
sheet
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5796B1 (ko
Inventor
심우현
Original Assignee
애디언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디언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디언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579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6642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705796B1/ko
Publication of KR20230166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5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0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ushion, e.g. back-rest hinged on the bottom to the cushion and linked on the top to the vehi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열 수동 릴렉션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동작 시, 등받이부가 시트부와 연동되어 리클라이닝되는 구조를 가져, 2열 시트의 탑승자가 시트의 등받이부와 시트부를 조정하여 릴렉션 모드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한, 2열 수동 릴렉션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열 수동 릴렉션시트 {2nd row manual relaxation seat}
본 발명은 2열 수동 릴렉션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동작 시, 등받이부가 시트부와 연동되어 리클라이닝되는 구조를 가져, 2열 시트의 탑승자가 시트의 등받이부와 시트부를 조정하여 릴렉션 모드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한, 2열 수동 릴렉션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승객이 편한 자세로 차량에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차량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릴렉션(relaxation) 모드를 탑재한 시트가 출시되고 있다. 릴렉션 모드란,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게 되면, 조수석의 시트 백과 시트 쿠션의 각도가 조절되어 승객의 자세가 '무중력 중립 자세'가 되는 모드이다.
이를 통해 승객은 시트에 체압이 줄어들고 허벅지의 지지면적이 증가됨으로써, 신체 각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어 무중력 자세처럼 편안한 자세로 착석하여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승용차량의 2열 시트(리어 시트, rear seat)나 세단의 1열 시트 등에서는 차체의 격벽 등으로 인하여 공간적 제약이 뒤따르고, 이에 따라 2열 시트는 릴렉션 모드로 시트가 리클라이닝 되지 않아 상당시간 동일한 자세로 착석하여 이동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에 관한 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20-0113316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탑승자의 레버작동에 의해 시트쿠션이 슬라이딩 이동될 시, 등받이부가 시트부와 연동되어 리클라이닝되는 구조를 가져, 탑승자가 릴렉션 모드로 착석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수동 릴렉션시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열 수동 릴렉션 시트는 차체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브라켓에 의해 차체 바닥면과 이격 설치되어, 전후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시트부; 일측은 상기 시트부의 후단과 링크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타측은 차체 격벽에 구비된 등받이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시트부와 연동되어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방 격벽에 의해 등받이부의 각도조절이 어려운 종래의 2열 시트의 구조와는 달리, 본 발명의 2열 릴렉션시트는, 시트부와 연동되는 등받이부를 통해, 등받이부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탑승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며, 탑승자가 기본 위치에서 레버를 당기게 되면, 레버에 연결된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로킹되어 있던 래치부(제1 내지 제2 시트래치부)가 언로킹 상태로 해제되어, 릴렉션시트의 시트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탑승자가 레버를 놓게 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부가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오면서 래치부의 위치가 복원되어 다시 로킹된다.
또한 상기 시트부의 시트프레임에는 시트핀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시트장공과 제2 시트장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시트장공과 제2 시트장공은 그 경사각도가 다르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시트부가 기본위치에서 릴렉션위치로 전방 이동하게 되면, 제1 내지 제2 시트핀이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을 따라 시트장공의 후방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시트의 전단부가 올라가고, 시트의 후단부는 내려간 형태가 된다. 즉, 시트부는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의 진행 각도에 따라 시트부의 전단부가 tilt-up되면서 전방 이동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시트부 전단부가 다소 들어 올려지므로, 탑승자의 하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릴렉션 시트는 링크부재를 통해 시트부와 등받이부가 각각 연결되며, 이에 따라 시트부가 슬라이딩 이동될 시에, 상기 등받이부가 회전하면서 부드럽게 굽어지듯 연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릴렉션 위치에서, 시트부는 기본위치에 대하여 전방 이동되는 동시에, 시트부의 전단부가 다소 상향되도록 이동되고(-x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tilt-up된 상태), 상기 시트부와 연동된 등받이부는, 다소 하향 이동되면서 등받이부의 각도가 다소 젖혀진 상태(-z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90° -> 92° 각도로 젖혀지도록 회전 운동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탑승자의 상체 및 하체에 고르게 체압 분산이 가능해지고, 탑승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탑승할 수 있어 탑승자의 피로를 저감시키며 안락함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릴렉션시트는 탑승자가 레버를 조작하는 수동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고가의 모터 등을 사용하는 전동식 방식에 비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더불어 종래 기술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시트를 리클라이닝할 수 있으므로, 중량 및 부품수를 감소하여 차량시트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렉션시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렉션시트의 지지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렉션시트의 시트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렉션시트의 래치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렉션시트의 래치가 로킹 또는 언로킹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렉션시트의 래치가 언로킹 상태에 있다가 로킹될 때의 연동로킹플레이트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렉션시트의 링크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렉션시트의 등받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렉션시트의 등받이 슬라이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렉션시트의 기본 위치와 릴렉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2열 수동 릴렉션시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동작 시 등받이부가 시트부와 연동되어 리클라이닝되는 구조를 가져, 2열 시트의 탑승자가 시트의 등받이부와 시트부를 조정하여 릴렉션 모드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한, 2열 수동 릴렉션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2열 수동 릴렉션시트(1)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시트부(10)가 슬라이딩되지 않은 상태의 시트부(10)와 등받이부(40)의 위치를 "기본위치"라 지칭하고, 시트부(10)가 슬라이딩되어 시트부(10)와 등받이부(40)의 위치 및 각도가 조정된 위치를 "릴렉션위치"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열 수동 릴렉션시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와, 시트부(10)와, 링크부재(30)와, 등받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지지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3)과, 상기 지지프레임(23) 상부에 설치된 제1 내지 제2 시트브라켓(21, 22)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3)은 차체바닥면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20)의 제1 내지 제2 시트브라켓(21, 22)은 시트부(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내지 제2 시트브라켓(21, 22)의 일측에 제1 내지 제2 시트핀(211, 221)이 볼트 결합된다.
또한 시트부(10)는 상기 지지부(20)에 의해 차체바닥면(60)과 이격 설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13)과, 상기 시트프레임(13) 양측에 구비된 제1 내지 제2 시트 슬라이딩부(11, 12)로 구성된다.
시트프레임(13)은 쿠션결합부재에 의해 시트쿠션(14)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시트쿠션(14)은 둔부와 허벅지 등이 닿는 부분을 일컫는다.
상기 제1 내지 제2 시트 슬라이딩부(11, 12)는 상기 시트프레임(13)을 전방 슬라이딩 작동될 수 있도록 하거나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후방 슬라이딩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지지부(20)의 제1 내지 제2 시트핀(211, 221)을 수용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111, 121)과, 상기 제1 내지 제2 시트핀(211, 221)의 일측 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로킹 또는 언로킹 되는 제1 내지 제2 시트래치부(110, 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111, 121)은 제1 내지 제2 시트 슬라이딩부(11, 12)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 시트장공(121)은 상기 제1 시트장공(111)을 기준으로 했을 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시트장공(111)과 제2 시트장공(121)은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10)가 기본위치에서 릴렉션위치로 전방 이동하게 되면, 제1 내지 제2 시트핀(211, 221)이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111, 121)을 따라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의 우측에 위치되면서, 기본위치에 비하였을 때, 시트의 전단부는 다소 올라간 형태가 되고, 시트의 후단부는 다소 내려간 형태가 된다.
즉,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111, 121)의 각도에 따라 시트부(10)는 약간의 회전(틸팅) 운동을 하면서 전방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부(10)의 이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2 시트래치부(110, 120)는 상기 시트프레임(13)의 측면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시트프레임(13)을 로킹 또는 언로킹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2 시트래치부(110, 120)는 릴렉션시트(1)를 승객의 기본 위치와 릴렉션 위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1 내지 제2 시트래치부(110, 12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제1 시트래치부(110)와 제2 시트래치부(120)는 구성과 동작원리가 동일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1 시트래치부(110)를 대표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b)는 이러한 제1 시트래치부(110)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이러한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도 4(a)에서는 도 4(b)의 T자플레이트(1112)만을 제거하여 도시하였다.
제1 시트래치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브라켓(21)의 제1 결합핀(1115)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와, 상기 제1 시트브라켓(21)의 제2 결합핀(1116)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동로킹플레이트(1110)를 회전시켜주는 로킹플레이트(1111)와, 상기 제1 결합핀(1115)과 상기 제2 결합핀(1116)에 결합되어, 상기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와 로킹플레이트(1111)와 결합된 제1 내지 제2 결합핀(1115, 1116) 사이의 거리를 소정 거리로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T자플레이트(1112)와, 상기 로킹플레이트(1111)의 일측에 연결되어 로킹플레이트(1111)가 상기 제2 결합핀(1116)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당겨주는 와이어(1113)와, 상기 로킹플레이트(1111)와 연동로킹플레이트(1110)를 연결하여 이들을 탄력적으로 연동시켜주는 연동스프링(11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동로킹플레이트(1110)는 제1 결합핀(1115)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그 일부분이 상기 제1 시트핀(211)을 감쌀 수 있도록 후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로킹플레이트(1111)는 제2 결합핀(1116)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와 인접 배치되어 상기 연동로킹플레이트(1110)를 회전시켜주는 부재이다.
상기 T자플레이트(1112)는 일측이 상기 로킹플레이트(1111)에 결합된 제2 결합핀(1116)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와 결합된 제1 결합핀(1115)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결합핀(1115)과 상기 제2 결합핀(1116)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1113)는, 상기 로킹플레이트(1111)의 일측에 걸림 고정되어 차량 시트에 마련된 조작용 레버(미도시)를 당겼을 때, 레버에 연결된 와이어(1113)에 의해 상기 로킹플레이트(1111)가 제2 결합핀(1116)을 중심으로 하여 언로킹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당겨주는 매개수단으로서, 내측에 케이블심선(Cable Core Wire)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연동스프링(1114)은, 상기 로킹플레이트(1111)가 회전할 때 상기 연동로킹플레이트(111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로킹플레이트(1111)와 연동로킹플레이트(1110) 간에 걸려 있어 이들을 탄력적으로 연동시켜주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연동스프링(1114)은 탑승자에 의해 와이어(1113)가 당기어지면, 연동로킹플레이트(1110)가 열림 상태(연동로킹플레이트의 절개부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다가, 와이어를 놓게 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연동로킹플레이트(1110)가 닫힘 상태(연동로킹플레이트의 절개부가 수직 상방을 보도록 회전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제1 시트래치부(110)는 다음과 같은 원리가 적용되어 언로킹될 수 있다. 도 5는 언로킹 동작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T자플레이트(1112)를 생략하고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릴렉션시트에서 로킹 상태에서의 제1 시트래치부(110)의 부품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언로킹 상태로의 제1 시트래치부(110)의 부품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의 로킹 상태에서는, 시트의 지지부(20)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1 시트핀(211)이 상기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의 후크에 감싸져 로킹되어 있고, 또한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의 타측이 제1 결합핀(1115)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로킹플레이트(1111)는 일단이 상기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와 맞닿도록 설치되어 있고, 타단은 와이어(1113)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2 결합핀(1116)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T자플레이트(도 5에서는 래치의 작동에 대한 설명을 위해 생략 도시함)는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에 결합된 제1 결합핀(1115)과 로킹플레이트(1111)에 결합된 제2 결합핀(1116)에 결합 설치되어 있다.
이때, 탑승자가 와이어(1113)를 당기게 되면, 로킹플레이트(1111)의 끝단이 와이어(1113)의 당김 방향을 따라 제2 결합핀(1116)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면서, 로킹플레이트(1111)의 전단이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의 일측단을 밀어냄과 동시에, 연동스프링(1114)에 의해 연동로킹플레이트(1110)가 로킹플레이트(1111) 방향으로 잡아당기어 진다.
이에 따라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에는 고정 설치된 제1 시트핀(211)을 중심으로 회전 움직임이 일어난다.
이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1 시트핀(211)은 차체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부품이다. 와이어를 당겨 로킹플레이트(1111)가 회전하면, 로킹플레이트(1111)가 연동로킹플레이트(1110)를 밀어내고 이와 동시에 로킹플레이트(1111)가 회전 시에 연동스프링(1114)이 연동로킹플레이트(1110)를 당겨서 결국 연동로킹플레이트(1110)는 도면 5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시트핀(211)이 위치 고정된 부품이기 때문에, 연동로킹플레이트(1110)가 회전하면,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의 절개부 내측면이 제1 시트핀(211)의 우측부분을 밀게 되고 제1 시트핀(211)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연동로킹플레이트(1110)가 우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렇게 연동로킹플레이트(1110)가 회전하며 우측으로 밀려나면서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의 로킹홈에서 제1 시트핀(211)이 이탈하여 로킹이 해제되는 것이다.
즉, 와이어를 당겨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의 절개부가 제1 시트핀(211)을 벗어나서 로킹 해제될 때, 연동로킹플레이트(1110)가 도면 5 기준으로 우측으로 밀려나면서 연동로킹플레이트(1110)가 장착된 제1 시트브라켓(21)도 함께 우측으로 밀려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릴렉션시트(1)는 로킹이 해제될 때, 상기와 같이 시트브라켓을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므로, 사용자가 많은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레 시트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래치에 로킹 해제만 이루어진다면, 사용자는 릴렉션시트(1)에 많은 힘을 가해 시트를 이동시켜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릴렉션시트(1)의 로킹수단은 로킹 해제와 함께 시트가 이동될 수 있도록 도와주므로, 편리한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는 지렛대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와 로킹플레이트(1111)의 접촉면의 길이를
Figure pat00001
이라 가정하고, 로킹플레이트(1111)의 회전의 중심이 되는 제2 결합핀(1116)의 중심과 로킹플레이트(1111)의 끝단 사이의 거리를
Figure pat00002
라 가정하면, 탑승자가 f의 힘으로 로킹플레이트(1111)에 연결된 레버를 당기게 되면, 상기 로킹플레이트(1111)가 제2 결합핀(1116)을 중심으로
Figure pat00003
의 큰 반지름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면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의 접촉면
Figure pat00004
에는 f×
Figure pat00005
의 큰 힘이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은 힘으로도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의 접촉면을 밀어줄 수 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의 후크의 절개된 부분에서 상기 제1 시트핀(211)이 이탈되면서, 제1 시트래치부(110)가 언로킹된다.
도 6은 래치가 로킹 해제 상태에 있다가 로킹될 때,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로킹 해제 상태에 있을 때, 연동스프링(1114)은 연동로킹플레이트(1110)가 열림 상태(연동로킹플레이트의 절개부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연동로킹플레이트(1110)를 당기어준다. 따라서 연동로킹플레이트(1110)는 도 6(a)와 같은 상태에 있다.
이후, 시트의 이동이 일어나 도 6(b)와 같이 제1 시트핀(211)이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의 절개부 안쪽으로 진입하게 되면,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의 전방턱(11100)이 제1 시트핀(211)을 지나간 후, 후방턱(11101)이 제1 시트핀(211)에 걸리게 되면서 연동로킹플레이트(111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로킹플레이트(1110)의 절개부가 수직 상방을 보는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스토퍼 지점에서 연동로킹플레이트(1110)가 자동으로 로킹되는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링크부재(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10)와 등받이부(4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링크부재(30)는 도 1을 참조하면, 링크부재(30)의 전단이 상기 시트프레임(13)의 후단과 연결되고, 상기 링크부재(30)의 후단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41)의 하단과 링크 연결된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30)의 전후단이 시트부(10) 및 등받이부(40)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시트부(10)의 이동에 따라 등받이부(40)가 연동될 시, 상기 등받이부(40)가 회전하면서 부드럽게 굽어지듯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등받이부(40)는 등받이 브라켓(420)에 의해 차체 격벽(50)과 이격 설치되며,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41)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41) 양측에 구비된 등받이 슬라이딩부(42)로 구성된다.
등받이 프레임(41)은 쿠션결합부재에 의해 등받이쿠션(43)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쿠션(43)은 등이 닿는 부분을 일컫는다.
또한 상기 등받이 슬라이딩부(42)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41)을 상방 또는 하방 슬라이딩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9에서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41)에 구비된 등받이 핀브라켓(423)과, 상기 등받이 핀브라켓(423) 상에 구비된 등받이 핀(422)과, 상기 등받이 핀(422)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등받이 장공(421)을 포함하는 등받이 브라켓(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 브라켓(420)은 차체 격벽(50)에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 브라켓(420)의 일측에 등받이 장공(421)이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 장공(421)은 상기 등받이 핀(422)을 수용하여 안내할 수 있다.
차체 격벽(50)은 2열 시트의 차체에 마련된 후방 격벽을 뜻하며, 또한 상기 차체 격벽(50)은 세단 1열에서의 파티션 판넬 등일 수 있다.
상기 등받이 핀(422)은 상기 등받이 브라켓(420)의 등받이 장공(421)에 설치된다.
상기 등받이 브라켓(420)의 등받이 장공(421)은 상기 등받이 핀(422)의 상하이동을 가이드 한다. 구체적으로, 등받이 핀(422)은 등받이 프레임(41)의 상하 이동 시, 등받이 장공(421)의 상하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등받이 핀(422)은 시트부(10)가 릴렉션위치로 전방 슬라이딩 시 등받이 장공(421)을 따라 등받이 장공(421)의 하부에 위치된다. 또한 등받이 핀(422)은 시트부(10)가 기본위치로 되돌아갈 때, 등받이 장공(421)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시트부(10)의 전방 슬라이딩 작동 시, 등받이부(40)의 등받이 프레임(41)은 링크부재(30)에 의해 시트부(10)와 연동되어 당겨지면서, 등받이 슬라이딩부(42)의 등받이 핀(422)이 등받이 장공(421)의 하부에 위치된다. 또한 이에 따라 등받이부(40)와 시트부(10)의 경사각도가 커진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릴렉션시트(1)의 전체 동작 원리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1에는 릴렉션시트(1)의 기본위치와 릴렉션위치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0의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과, 도 11(a)는 기본위치에서의 릴렉션시트(1)를 도시한 것이며, 도 9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과, 도 11(b)는 릴렉션위치에서의 릴렉션시트(1)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릴렉션시트(1)는 기본위치에서 제1 내지 제2 시트핀(211, 221)이 로킹되어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111, 121)의 전방에 위치하고, 등받이 핀(422)은 등받이 장공(421)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때, 기본위치에서의 시트부(10)와 등받이부(40)의 각도는 90°(A)이다.
탑승자가 시트부(10)와 등받이부(40)의 위치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탑승자는 레버(미도시)를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각각 제1 내지 제2 시트핀(211, 221)에 로킹되어 있던 상기 제1 내지 제2 시트래치부(110, 120)가 언로킹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내지 제2 시트핀(211, 221)이 제1 내지 제2 시트래치부(110, 120)에서 벗어나 지지부(20)의 고정위치에서 분리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2 시트브라켓(21, 22)과, 등받이 브라켓(420)이 각각 차체 바닥면과 차체 격벽에 고정되어 있는 채로, 시트부(1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2 시트핀(211, 221)은 상기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111, 121)을 따라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111, 121)의 후단으로 위치 이동된다.
이때, 상기 시트부(10)의 제1 시트장공(111)과 제2 시트장공(121)은 경사 각도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부(10)가 전방 이동하게 되면, 제1 내지 제2 시트핀(211, 221)이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111, 121)을 따라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111, 121)에서의 위치가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시트의 전단부는 올라가고, 시트의 후단부는 내려간다. 즉,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111, 121)의 형성 각도에 따라 시트부(10)는 약간의 회전(틸팅) 운동을 하면서 전방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트부(10)의 시트프레임(13) 후단과 연결된 링크부재(30)는, 그 후단이 등받이 프레임(41)의 하단과 링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부(10)의 이동에 따라 등받이부(40)가 연동될 시, 상기 등받이부(40)가 부드럽게 굽어지듯 회전하면서 하향 방향으로 이동되며 젖혀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40)는 시트부(10)와 연동되어 슬라이딩됨으로써, 등받이 핀(422)이 등받이 장공(421)의 하단에 위치된다.
또한 이때의 시트부(10)와 등받이부(40)의 각도는 92°(B)로 그 각도가 커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릴렉션 위치(92°)에서, 시트부(10)는 기본위치(90°)에 대하여 전방 이동되는 동시에, 시트부(10)의 전방이 다소 상향되도록 이동되고(-x 방향으로 C 거리만큼 이동되면서 D 거리만큼 상향된 상태), 상기 시트부(10)와 연동되는 등받이부(40)는, 하향 이동되면서 등받이부(40)의 각도가 다소 젖혀진 상태(-z 방향으로 하향 이동되면서 젖혀지도록 회전 운동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착좌한 탑승자는 2열 시트라 할지라도 등받이의 각도와 위치를 조절하여 릴렉션 위치로 착좌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2열 시트의 탑승자는 안락함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릴렉션 시트는 시트부와 연동되는 등받이부를 통해, 등받이부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탑승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며, 탑승자가 기본 위치에서 레버를 당기게 되면, 레버에 연결된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로킹되어 있던 래치부(제1 내지 제2 시트래치부)가 언로킹 상태로 해제되어, 릴렉션시트의 시트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탑승자가 레버를 놓게 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부가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오면서 래치부의 위치가 복원되어 다시 로킹된다.
또한 상기 시트부의 시트프레임에는 시트핀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시트장공과 제2 시트장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시트장공과 제2 시트장공은 그 경사각도가 다르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시트부가 기본위치에서 릴렉션위치로 전방 이동하게 되면, 제1 내지 제2 시트핀이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을 따라 시트장공의 후방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시트의 전단부가 올라가고, 시트의 후단부는 내려간 형태가 된다. 즉, 시트부는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의 진행 각도에 따라 시트부의 전단부가 tilt-up되면서 전방 이동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시트부 전단부가 다소 들어 올려지므로, 탑승자의 하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릴렉션 시트는 링크부재를 통해 시트부와 등받이부가 각각 연결되며, 이에 따라 시트부가 슬라이딩 이동될 시에, 상기 등받이부가 회전하면서 부드럽게 굽어지듯 연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릴렉션 위치에서, 시트부는 기본위치에 대하여 전방 이동되는 동시에, 시트부의 전단부가 다소 상향되도록 이동되고(-x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tilt-up된 상태), 상기 시트부와 연동된 등받이부는, 다소 하향 이동되면서 등받이부의 각도가 다소 젖혀진 상태(-z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90° -> 92° 각도로 젖혀지도록 회전 운동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탑승자의 상체 및 하체에 고르게 체압 분산이 가능해지고, 탑승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탑승할 수 있어 탑승자의 피로를 저감시키며 안락함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릴렉션시트는 탑승자가 레버를 조작하는 수동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고가의 모터 등을 사용하는 전동식 방식에 비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더불어 종래 기술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시트를 리클라이닝할 수 있으므로, 중량 및 부품수를 감소하여 차량시트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2열 수동 릴렉션시트
10: 시트부
11: 제1 시트 슬라이딩부
110: 제1 시트래치부
1110: 연동로킹플레이트
1111: 로킹플레이트
1112: T자플레이트
1113: 와이어
1114: 연동스프링
1115: 제1 결합핀
1116: 제2 결합핀
111: 제1 시트장공
12: 제2 시트 슬라이딩부
120: 제2 시트래치부
121: 제2 시트장공
13: 시트프레임
14: 시트쿠션
20: 지지부
21: 제1 시트브라켓
211: 제1 시트핀
22: 제2 시트브라켓
221: 제2 시트핀
23: 지지프레임
30: 링크부재
40: 등받이부
41: 등받이 프레임
42: 등받이 슬라이딩부
420: 등받이 브라켓
421: 등받이 장공
422: 등받이 핀
423: 등받이 핀브라켓
43: 등받이쿠션
50: 격벽
60: 차체바닥면

Claims (5)

  1. 차체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브라켓에 의해 차체 바닥면과 이격 설치되어, 전후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시트부; 및
    일측은 상기 시트부의 후단과 링크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타측은 차체 격벽에 구비된 등받이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시트부와 연동되어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등받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수동 릴렉션 시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일측에는 한 쌍의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제1 내지 제2 시트핀이 형성되되,
    상기 제1 내지 제2 시트핀은 상기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 내에 수용되어, 시트의 슬라이딩 작동 시, 상기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수동 릴렉션 시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장공과 제2 시트장공은 서로 각도가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시트부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 시, 시트부가 상기 제1 내지 제2 시트장공을 따라 틸트-업 또는 틸트-다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수동 릴렉션 시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시트부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시트부와 연동되어 상하 슬라이딩 이동되되,
    상기 시트부의 전방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등받이부가 하향되되, 등받이부와 시트부와의 각도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수동 릴렉션 시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제1 내지 제2 시트래치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2 시트래치부는 평상시 로킹 상태에 있다가,
    사용자의 레버 조작 시, 언로킹 상태로 회전되어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수동 릴렉션 시트.
KR1020220066423A 2022-05-31 2열 수동 릴렉션시트 KR102705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423A KR102705796B1 (ko) 2022-05-31 2열 수동 릴렉션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423A KR102705796B1 (ko) 2022-05-31 2열 수동 릴렉션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436A true KR20230166436A (ko) 2023-12-07
KR102705796B1 KR102705796B1 (ko) 2024-09-11

Family

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19477A1 (en) * 2020-05-18 2023-07-13 Safran Seats Usa Llc Hands-free release system for a passenger sea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0230B2 (en) * 2004-04-30 2010-08-24 Hector Serber Seat assembly with movable seat and backrest and method
KR101406449B1 (ko) * 2012-12-17 2014-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0230B2 (en) * 2004-04-30 2010-08-24 Hector Serber Seat assembly with movable seat and backrest and method
KR101406449B1 (ko) * 2012-12-17 2014-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19477A1 (en) * 2020-05-18 2023-07-13 Safran Seats Usa Llc Hands-free release system for a passenger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03830B (zh) 辅助座椅存储结构
US8777316B2 (en) Recliner mechanism
CN111601732B (zh) 便捷进入的车辆座椅
EP1344677A2 (en)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and vehicle provided therewith
KR20090019012A (ko) 차량용 시트 장치
KR101210155B1 (ko)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KR102621617B1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KR101884741B1 (ko)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CN109353254B (zh) 一种多方向调节的换向式汽车座椅
US20070052263A1 (en) Seating system for passenger service vehicles, for aircraft in particular
KR101884744B1 (ko) 스트라이커 이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CN112140949B (zh) 座椅的辅助座椅存放装置
CN111204262B (zh) 配置有易进入系统的汽车座椅
KR20230166436A (ko) 2열 수동 릴렉션시트
KR102705796B1 (ko) 2열 수동 릴렉션시트
CN215705819U (zh) 车辆用座椅
KR102411246B1 (ko)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KR101746457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CN116829407A (zh) 带有锁定元件的车辆座椅
KR20190138531A (ko) 쿠션시트 팁업과 동시에 슬라이딩하는 차량용 시트
JP3410300B2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のチルトロック機構
KR20240027458A (ko) 차량용 후석 시트
JP7515319B2 (ja) 車両用シート
JP7166059B2 (ja) 車両用シート
KR20240038408A (ko) 차량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